KR100598034B1 - 애완 동물용 간이 변기 - Google Patents

애완 동물용 간이 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8034B1
KR100598034B1 KR1020050035003A KR20050035003A KR100598034B1 KR 100598034 B1 KR100598034 B1 KR 100598034B1 KR 1020050035003 A KR1020050035003 A KR 1020050035003A KR 20050035003 A KR20050035003 A KR 20050035003A KR 100598034 B1 KR100598034 B1 KR 100598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anure storage
main body
storage chamb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5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돈
Original Assignee
김정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돈 filed Critical 김정돈
Priority to KR1020050035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80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8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8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6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comprising vertical members connected by horizontal ba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8Folding sta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26B25/18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mainly open, e.g. dish, tray, pan, 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Abstract

본 발명은 애완동물용 간이 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애완동물의 배설물을 수용할 수 있게 상부가 열린 분뇨 수납실을 갖는 본체와, 분뇨수납실의 바닥면과 이격된 상태로 분뇨수납실을 개폐시키되 분뇨수납실을 개방시키는 위치로 이동시에는 경사지게 승강될 수 있게 본체에 설치된 배변판과, 배변판을 분뇨수납실의 개폐방향을 따라 승하강 구동할 수 있게 본체에 설치된 승하강 구동부와, 배변판에 애완동물의 탑승유무를 검출할 수 있도록 설치된 센서와, 본체에 설치되어 세척에 필요한 세척수를 저수하는 급수통과, 급수통과 연통되게 연결되어 저수된 세척수를 상기 배편판에 선택적으로 토출할 수 있게 설치된 토출부와, 센서의 출력신호를 이용하여 배변판에 배설물이 있다고 판단되면 세척수에 의해 세척되어 분뇨수납실내로 저장되도록 상기 승하강 구동부 및 상기 토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애완동물용 간이 변기에 의하면, 자동으로 배설물 세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하고, 배설물이 저장되는 분뇨수납실을 밀폐되게 폐쇄시킬 수 있어 악취의 유출을 억제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애완 동물용 간이 변기{simple chamber pot for pe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용 간이 변기를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변판을 승강시킨 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승강 가이드 부분의 저부에 형성된 슬라이더 구속 가이드관을 상세히 나타내 보인 부분 절단 발췌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배변판과 슬라이더의 결합부분을 발췌하여 확대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애완 동물용 간이 변기의 제어계통을 나타내 보인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변판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용 간이변기의 안착턱구조를 나타내 보인 부분 발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본체가 적용된 애완동물용 간이변기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본체 130: 배변판
140: 승하강 구동부 160: 급수통
170: 토출부
본 발명은 애완 동물용 간이 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애완동물의 배설물을 세척 처리후 밀폐되게 저장할 수 있도록 된 애완 동물용 간이 변기에 관한 것이다.
실내에서 애완동물을 기르는 가정이 늘어나면서 애완동물의 배설물을 처리하기 위한 간이 변기가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
그런데 대부분의 간이 변기는 배설물 수용 용기 내에 배설물이 통과될 수 있는 망체를 배설물 수용 용기로부터 이격되게 장착된 구조로 되어 있어 망체에 묻은 일부 배설물을 세척해주어야 하는 사용상의 번거러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애완동물로부터 배설되어 배설판에 떨어진 배설물을 세척수와 밀대를 이용하여 자동 세척처리하여 배변수납부에 저장할 수 있는 간이 변기를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0373270호를 통해 제안한 바 있다. 그런데 상기 간이 변기는 장기간 방치시 배변 수납부에 저장된 배설물로부터 악취가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배설물 의 처리 및 세척이 용이하면서도 저장된 배설물로부터의 악취유출을 억제시킬 수 있는 애완동물용 간이변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간이변기는 애완동물용 간이 변기에 있어서, 내부에 애완동물의 배설물을 수용할 수 있게 상부가 열린 분뇨 수납실을 갖는 본체와; 상기 분뇨수납실의 바닥면과 이격된 상태로 상기 분뇨수납실을 개폐시키되 상기 분뇨수납실을 개방시키는 위치로 이동시에는 경사지게 승강될 수 있게 상기 본체에 설치된 배변판과; 상기 배변판을 상기 분뇨수납실의 개폐방향을 따라 승하강 구동할 수 있게 상기 본체에 설치된 승하강 구동부와; 상기 배변판에 애완동물의 탑승유무를 검출할 수 있도록 설치된 센서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세척에 필요한 세척수를 저수하는 급수통과; 상기 급수통과 연통되게 연결되어 저수된 세척수를 상기 배편판에 선택적으로 토출할 수 있게 설치된 토출부와; 상기 센서의 출력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배변판에 배설물이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세척수에 의해 세척되어 상기 분뇨수납실내로 저장되도록 상기 승하강 구동부 및 상기 토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에는 상기 분뇨수납실과 이격되게 상기 배변판이 안착될 수 있되 상기 분뇨수납실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높이가 상승되는 호형 궤적을 갖는 승강 가이드부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변판은 상기 승강 가이드부분의 궤적을 따라 승하강될 수 있게 상기 승강가이드부분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는 안착부분과, 상기 안착부분으로부터 연장된 탑승판을 구비하고, 상기 승하강 구동 부는 상기 안착부분이 상기 승강 가이드부분을 따라 구속되어 승하강 될 수 있게 상기 배변판과 결합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에는 상기 배변판이 상기 분뇨수납실을 폐쇄하는 위치로 도달됐을 때 상기 배변판의 탑승판을 하부에서 지지할 수 있게 상기 분뇨수납실의 벽체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안착턱;을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승하강 구동부는 상기 승강 가이드부분을 따라 형성된 장공을 통해 일단이 상기 배변판의 상기 안착부분과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의 타단과 결합되며 상기 승강 가이드부분의 저부에서 상기 승강가이드부분의 궤적을 따라 구속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게 유연성소재로 형성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에 기어가 형성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기어와 치합되게 상기 본체에 설치된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를 정역 구동하는 제1모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출부는 상기 급수통으로부터 상기 배변판의 상기 안착부분 상면으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게 일정길이 연장된 분사관과; 상기 급수통으로부터 상기 분사관으로 이어지는 세척수 이송경로상에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제1 및 제2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세척시 상기 제1 밸브와 상기 제2밸브 사이에 저수된 양의 세척수가 토출되게 상기 제1밸브와 상기 제2밸브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착턱에 끼인 이물질을 상기 개폐판이 상기 분뇨수납실을 폐쇄시키는 위치로 도달될 때 상기 세척수에 의해 제거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배변판에는 상기 분사관을 통해 유출된 물을 유입받을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 유입 구로부터 상기 안착턱에 대응되는 상기 탑승판의 종단까지 연장된 내부 유로와; 상기 내부 유로의 종단에 간섭유무에 의해 상기 내부유로를 개폐시킬 수 있게 형성된 개폐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배변판이 상기 분뇨수납실을 폐쇄시키는 위치에서 상기 안착턱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개폐판을 간섭하여 상기 내부유로가 개방되게 상기 본체에 간섭편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분사관을 통해 보조 세척액을 공급할 수 있는 보조세척액 공급통;을 더 구비하고, 상기 보조 세척액 공급통으로부터 상기 분사관으로 이어지는 상기 보조세척액 공급 경로상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 세척액을 일정량씩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 제3밸브;를 더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세척액 공급경로상에는 상기 보조세척수의 상기 분사관쪽으로의 유출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에서 상호 대응되는 호형궤적을 갖는 임시체류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3밸브는 상기 임시체류공간의 중심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호형궤적에 대응되는 반경을 갖는 복수의 차폐판이 인접된 차폐판 사이에 함몰된 저수홈을 갖게 등간격으로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있고, 인접된 상기 차폐판 상호간의 이격거리는 상기 임시체류공간과 상기 보조세척액 공급경로를 폐쇄시킬 수 있게 형성되어 일정 각도로 회전시 상기 차폐판 사이의 저수홈에 저수된 보조세척수를 토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센서는 상기 배변판의 하중변화를 검출할 수 있게 상기 본체에 설치된 로드셀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 물용 간이변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 동물용 간이 변기를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변판을 승강시킨 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애완 동물용 간이변기(100)는 본체(110), 배변판(130), 승하강 구동부(140), 급수통(160), 토출부(170)를 구비한다.
본체(110)는 분뇨수납실(113)과 탑재실(115)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분뇨수납실(113)은 벽체에 의해 구획되어 내부에 배설물을 수용할 수 있고 상부가 열린 내부공간을 갖게 형성되어 있다.
분뇨 수납실(113)에는 배변판(130)이 분뇨수납실(113)을 폐쇄하는 위치로 도달됐을 때 배변판(130)의 가장자리부분을 하부에서 지지할 수 있게 분뇨수납실 (113)을 형성하는 벽체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안착턱(117)이 마련되어 있다.
탑재실(115)에는 승하강 구동부(140)의 요소가 설치되어 있다.
탑재실(115)의 분뇨수납실(113)과 인접된 경사진 부분에는 배변판(130)의 안착부분(133)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승강 가이드부분(118)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는 토출부(170) 및 급수통(160)이 장착되어 있다.
승강가이드부분(118)은 분뇨수납실(113)의 바닥면과 이격되게 배변판(130)이 안착지지될 수 있되 분뇨수납실(113)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높이가 상승되는 호형 궤적을 갖게 형성되어 있다.
배변판(130)은 분뇨수납실(113)의 바닥면과 이격된 상태로 분뇨수납실(113)을 개폐시킬 수 있게 분뇨 수납실(113)의 일측에 돌출된 안착턱(117)과 맞은 편의 탑재실(115)에 형성된 승강 가이드부분(118)에 안착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배변판(130)은 분뇨수납실(113)을 폐쇄시키는 위치에 있을 때 분뇨 수납실(113)의 밀폐력을 높이기 위해 배변판(130)의 저부 또는 배변판이 안착되거나 밀접되는 부분에 보조 실링부재가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배변판(130)은 분뇨 수납실(113)을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승강가이드부분(118)에 안착된 부분 쪽이 높고 안착턱(117)과 대향되는 부분이 낮게 경사지게 이동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배변판(130)은 승강 가이드부분(118)의 궤적을 따라 승하강될 수 있게 하부에 승강가이드부분(118)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는 안착부분(133)과, 안착부분으로부터 연장된 탑승판(131)을 구비한다.
따라서, 배변판(130)은 안착턱(117)과 승강가이드부분(118)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배변판(130)의 상면이 수평상태를 유지하고, 배변판(130)이 안착턱(117)으로부터 이탈되어 승강가이드부분(118)을 따라 승강될 때는 세척수의 흐름이 용이하도록 배변판(130)의 상면이 경사지게 된다.
도시된 구조의 배변판(130)은 승강시에 배변판(130)의 안착부분(133)만 승강가이드부분(118)에 지지되어 승강된다. 이와는 다르게 배변판(130)이 승강가이드부분(118)과 안착턱에 모드 지지되어 경사지게 승강될 수 있게 도 7에 도시된 바와 분뇨수납실(113)의 양 측면 벽체를 따라 안착턱(117a)(117b)을 더 길게 연장시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시에도 탑승판(131)이 쳐지지 않고 이송될 수 있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승강가이드부분(118)은 사선형태로 경사지게 형성 시켜도 됨은 물론이고, 결합부재(141)는 안착부분(133)과 적절한 범위내에서 유격을 갖게 결합되면 된다.
또한, 도시된 예와 다르게 배변판(130)의 안착부분(133)이 승강가이드부분(118)과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롤러(미도시)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배변판(130)의 상면이 평평한 형상으로 된 것이 적용되었고, 배변 후 배변판(130)으로부터 애완동물이 이탈하는 과정에서 분뇨가 묻는 것을 억제시키기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변판(130)의 상면에 안착부분(133)으로부터 탑승판(131)으로 이어지는 내부유로(136)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배수홈(138)이 형성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바람직하게는 배변판(130)은 안착턱(117)에 배설물 또는 이물질이 끼여 있을 때 이를 제거할 수 있도록 분사관(171)을 통해 유출된 세척수를 유입받을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 유입구(135)로부터 안착턱(117)에 대응되는 탑승판(131)의 종단까지 연장된 내부 유로(136) 및 내부 유로(136)의 종단에 간섭유무에 의해 내부유로(136)를 개폐시킬 수 있게 형성된 개폐판(137)이 마련된다.
개폐판(137)은 비 간섭시 자중에 의해 내부유로(136)를 폐쇄할 수 있는 구조가 적용되거나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비 간섭시 내부유로(136)를 탄성적으로 폐쇄될 수 있는 구조가 적용되면 된다.
또한, 본체(110)상에는 배변판(130)이 안착턱(117)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내부유로(136)가 개방되게 개폐판(137)을 간섭할 수 있도록 간섭편(119)이 형성되어 있다.
승하강 구동부(140)는 배변판(130)을 분뇨수납실(113)의 개폐방향을 따라 승하강 구동할 수 있게 본체(110)의 탑승실(115)에 설치되어 있다.
승하강 구동부(140)는 배변판(130)의 안착부분(133)이 승강 가이드부분(118)을 따라 구속되어 승하강 될 수 있게 배변판(130)과 결합되어 있다.
승하강 구동부(140)는 결합부재(141), 슬라이더(143), 구동기어(145) 및 제1모터(147)를 구비한다.
이러한 승하강 구동부(140)에 대해 도 3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결합부재(141)는 일단이 승강 가이드부분(118)을 따라 형성된 장공(123)을 통해 돌출되어 배변판(130)의 안착부분(133)과 결합되어 있고 타단은 승강 가이드 부분 저부에 형성된 슬라이더 구속관(121)내에 설치된 슬라이더와 결합되어 있다.
결합부재(141)는 슬라이더와 일체로 형성되어 배변판(130)의 안착부분(133)과 결합된 구조가 예시되었고 도시된 방식과 다른 결합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결합부재(141)는 슬라이더(143)가 슬라이더 구속관(121)을 따라 이동시 안착부분(133)이 슬라이딩 가이드부분(118)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될 수 있게 결합되면 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하나의 결합부재(141)가 적용되었으나 결합력을 강화하기 위해 복수개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슬라이더(143)는 슬라이더 구속관(121)내에 구속되어 결합부재(141)를 통해 배변판(130)의 안착부분과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슬라이더 구속관(121)은 슬라이딩 가이드부분(118)에 대응되는 곡률을 따라 슬라이더를 구속 수용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고, 참조부호 125는 슬라이더에 형성된 기어와 구동기어(145)가 상호 접촉될 수 있게 저부에 형성된 관통공이다.
슬라이더(143)는 승강가이드부분(118)의 궤적을 따라 슬라이더 구속관(121)내에 구속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게 유연성소재로 형성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에 기어(143a)가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143)는 휨성을 갖는 합성수지 예를 들면 테프론 소재로 형성된 것이 적용될 수 있다.
구동기어(145)는 슬라이더(143)의 기어(143a)와 치합되게 본체(110)에 설치되어 있다. 제1모터(147)는 구동기어(145)를 정역 회전 구동시킨다.
로드셀(150)은 배변판(130)에 애완동물의 탑승유무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의 일 예로서 적용된 것으로 도시된 예에서는 배변판(130)에 애완동물이 탑승했을 때의 하중 변화를 검출할 수 있게 안착턱(117) 상에 설치되었다.
도시된 예와 다르게 배변판(130)에 애완동물이 탑승됐을 때의 하중 변화에 따라 스위치 온/오프 될 수 있는 접촉스위치(미도시)가 센서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급수통(160)은 본체(110)에 설치되어 세척에 필요한 세척수를 저수한다. 급수통(160)은 개폐용 마개(미도시)가 형성된 것이 적용된다.
토출부(170)는 급수통(160)과 연통되게 연결되어 저수된 세척수를 배변판(130)에 선택적으로 토출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토출부(170)는 분사관(171) 및 제1 및 제2밸브(173)(175)를 구비한다.
분사관(171)은 급수통(160)으로부터 배변판(130)으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게 일정길이 연장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분사관(171)은 급수통(160)과 연결된 부분으로부터 연장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높이가 낮게 설치된다.
제1 및 제 2밸브(173)(175)는 급수통(160)으로부터 분사관(171)으로 이어지는 세척수 이송경로상에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다.
참조부호 177은 분사관(171)을 통해 보조 세척액을 공급할 수 있는 보조세척액 공급통이다. 여기서 보조세척액은 세정 약품 또는 향발산액 등 물과 같은 세척수 외에 세척시 부가적으로 적용하고자 하는 것을 적용하면 된다.
제3밸브(178)는 보조세척액 공급통(177)으로부터 분사관(171)으로 이어지는 보조세척액 공급 경로상에 설치되어 보조 세척액을 일정량씩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90도 회전시마다 설정된 양 만큼씩을 토출할 수 있도록 보조세척액 공급경로상에는 보조세척수의 유출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에서 상호 대응되는 호형궤적을 갖는 임시체류공간(179)이 형성되어 있고, 제3밸브(178)는 임시체류공간(179)의 중심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4개의 차폐판(178a)을 갖는 구조가 적용되었다.
차폐판(178a)들은 호형궤적에 대응되는 반경을 갖으며 인접된 차폐판(178a) 사이에 함몰된 저수홈을 갖게 등간격으로 돌출되어 있고, 인접된 차폐판 상호간의 이격거리는 임시체류공간(179)과 보조세척액 공급경로를 폐쇄시킬 수 있게 형성되어 90도 회전시 마다 차폐판(178a) 사이의 저수홈에 저수된 보조세척수를 토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제3밸브는 제2모터(도 5참조; 183)에 의해 회전구동된다.
이러한 각 요소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계통을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어부(180)는 내장된 배터리 또는 외부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동작될 수 있게 본체(110)의 탑재실 내에 설치된다.
제어부(180)는 로드셀(150)의 출력신호를 이용하여 배변판(130)에 애완동물이 용변을 본 것으로 판단되면 배변판(130)에 배설된 배설물이 세척수에 의해 세척되어 분뇨 수납실(113)내로 저장되도록 승하강 구동부(140) 및 토출부(170)를 제어한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부(180)는 세척모드시 제1 밸브(173)와 제2밸브(175) 사이에 저수된 양의 세척수가 토출되게 제1밸브(173)와 제2밸브(175)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세척모드시 제3밸브(178)가 90도 회전되게 제2모터(183)를 구동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애완동물용 간이 변기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변판(130)이 안착턱(117)과 승강가이드부분(118)에 안착되어 분뇨 수납실(113)을 폐쇄시킨 상태에서 애완동물이 배변판에 올라오면 제어부(180)는 로드셀(15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변화로부터 애완동물이 배변판(130)에 올라왔음을 판단한다.
이후, 애완동물이 배설물을 배설한 후 배변판(130)에서 내려오게 되면, 로드셀(150)의 출력신호가 변동되고 이로부터 제어부(180)는 애완동물이 용변을 마쳤음으로 판단하고, 구동기어(145)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제1모터(147)를 설정된 각도 또는 회전수 만큼 구동시킨다. 그러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변판(130)은 승강가이드부분(118)을 따라 승강되어 경사지게 지지된다. 이과정에서 배변판(130)의 개폐판(137)은 간섭편(119)으로부터의 간섭이 해제되어 내부유로(136)를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회동되어 내부 저수가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후, 제어부(180)는 제2밸브(175)가 개방되게 제어하여 제1밸브(173)와 제2밸브(175) 사이에 저수된 세척수가 대부분 배변판(130) 상면을 따라 흘러내리고, 이 과정에서 배변판(130) 상면에 있는 배설물이 세척수와 함께 씻겨 분뇨 수납실내로 수용된다. 또한, 세척수의 일부는 배변판(130)의 내부유로(136)내에 저장된다.
제1밸브(173)와 제2밸브(175)에 저수된 물의 분사관(171)을 통해 토출되어 배변판(130)을 통해 완전히 흘러내기기 까지의 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180)는 제1모터(147)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구동시킨다. 이 과정에서 배변판(130)의 개폐판(137)은 간섭편(119)에 간섭되어 내부유로(136)가 개방되고, 내부유로(136)내에 저수된 물이 안착턱(117)부분에 토출됨으로써 안착턱(117)에 혹 있을 수 있는 이물질을 씻겨낸다.
배변판(130)이 안착턱(117)에 안착된 이후 제어부(180)는 다음 세척시 사용할 세척수 및 보조 세척수를 분사관(171) 내에 저장하기 위해 먼저 제2밸브(175)는 폐쇄되게 제어한 후, 제2모터(183)가 90도 회전되게 구동시키고, 제1밸브(173)를 개방되게 제어한다. 이후 제어부(180)는 분사관(171)내에 저수가 완료되기에 충분한 시간이 경과한 후 제1밸브(173)가 폐쇄되게 제어하거나 세척모드시 제1밸브(173)를 폐쇄시키도록 설정되면 된다.
지금까지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간이 변기에 의하면, 자동으로 배설물 세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하고, 배설물이 저장되는 분뇨수납실을 밀폐되게 폐쇄시킬 수 있어 악취의 유출을 억제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Claims (10)

  1. 애완동물용 간이 변기에 있어서,
    내부에 애완동물의 배설물을 수용할 수 있게 상부가 열린 분뇨 수납실을 갖는 본체와;
    상기 분뇨수납실의 바닥면과 이격된 상태로 상기 분뇨수납실을 개폐시키되 상기 분뇨수납실을 개방시키는 위치로 이동시에는 경사지게 승강될 수 있게 상기 본체에 설치된 배변판과;
    상기 배변판을 상기 분뇨수납실의 개폐방향을 따라 승하강 구동할 수 있게 상기 본체에 설치된 승하강 구동부와;
    상기 배변판에 애완동물의 탑승유무를 검출할 수 있도록 설치된 센서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세척에 필요한 세척수를 저수하는 급수통과;
    상기 급수통과 연통되게 연결되어 저수된 세척수를 상기 배편판에 선택적으로 토출할 수 있게 설치된 토출부와;
    상기 센서의 출력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배변판에 배설물이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세척수에 의해 세척되어 상기 분뇨수납실내로 저장되도록 상기 승하강 구동부 및 상기 토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간이 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분뇨수납실과 이격되게 상기 배변판이 안착될 수 있되 상기 분뇨수납실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높이가 상승되는 호형 궤적을 갖는 승강 가이드부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변판은 상기 승강 가이드부분의 궤적을 따라 승하강될 수 있게 상기 승강가이드부분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는 안착부분과, 상기 안착부분으로부터 연장된 탑승판을 구비하고,
    상기 승하강 구동부는
    상기 안착부분이 상기 승강 가이드부분을 따라 구속되어 승하강 될 수 있게 상기 배변판과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 동물용 간이 변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배변판이 상기 분뇨수납실을 폐쇄하는 위치로 도달됐을 때 상기 배변판의 탑승판을 하부에서 지지할 수 있게 상기 분뇨수납실의 벽체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안착턱;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 동물용 간이 변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구동부는
    상기 승강 가이드부분을 따라 형성된 장공을 통해 일단이 상기 배변판의 상기 안착부분과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의 타단과 결합되며 상기 승강 가이드부분의 저부에서 상기 승강가이드부분의 궤적을 따라 구속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게 유연성소재로 형성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에 기어가 형성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기어와 치합되게 상기 본체에 설치된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를 정역 구동하는 제1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 동물용 간이 변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는 상기 급수통으로부터 상기 배변판의 상기 안착부분 상면으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게 일정길이 연장된 분사관과;
    상기 급수통으로부터 상기 분사관으로 이어지는 세척수 이송경로상에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제1 및 제2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세척시 상기 제1 밸브와 상기 제2밸브 사이에 저수된 양의 세척수가 토출되게 상기 제1밸브와 상기 제2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 동물용 간이 변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턱에 끼인 이물질을 상기 개폐판이 상기 분뇨수납실을 폐쇄시키는 위치로 도달될 때 상기 세척수에 의해 제거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배변판에는 상기 분사관을 통해 유출된 물을 유입받을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 유입구로부터 상기 안착턱에 대응되는 상기 탑승판의 종단까지 연장된 내부 유로와;
    상기 내부 유로의 종단에 간섭유무에 의해 상기 내부유로를 개폐시킬 수 있게 형성된 개폐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배변판이 상기 분뇨수납실을 폐쇄시키는 위치에서 상기 안착턱에 안착 된 상태에서는 상기 개폐판을 간섭하여 상기 내부유로가 개방되게 상기 본체에 간섭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 동물용 간이 변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변판의 상면에는 상기 내부유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골이지게 배수홈이 다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 동물용 간이 변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관을 통해 보조 세척액을 공급할 수 있는 보조세척액 공급통;을 더 구비하고,
    상기 보조 세척액 공급통으로부터 상기 분사관으로 이어지는 상기 보조세척액 공급 경로상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 세척액을 일정량씩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 제3밸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 동물용 간이 변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세척액 공급경로상에는 상기 보조세척수의 상기 분사관쪽으로의 유출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에서 상호 대응되는 호형궤적을 갖는 임시체류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3밸브는 상기 임시체류공간의 중심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호형궤적에 대응되는 반경을 갖는 복수의 차폐판이 인접된 차폐판 사이에 함몰된 저수홈을 갖게 등간격으로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있고, 인접된 상기 차폐판 상호간의 이격거리는 상기 임시체류공간과 상기 보조세척액 공급경로를 폐쇄시킬 수 있게 형성되어 일정 각도로 회전시 상기 차폐판 사이의 저수홈에 저수된 보조세척수를 토출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 동물용 간이 변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배변판의 하중변화를 검출할 수 있게 상기 본체에 설치된 로드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 동물용 간이 변기.
KR1020050035003A 2005-04-27 2005-04-27 애완 동물용 간이 변기 KR100598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5003A KR100598034B1 (ko) 2005-04-27 2005-04-27 애완 동물용 간이 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5003A KR100598034B1 (ko) 2005-04-27 2005-04-27 애완 동물용 간이 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8034B1 true KR100598034B1 (ko) 2006-07-13

Family

ID=37183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5003A KR100598034B1 (ko) 2005-04-27 2005-04-27 애완 동물용 간이 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8034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716B1 (ko) 2009-12-24 2011-02-25 이재희 애완동물용 변기
KR101039199B1 (ko) * 2011-02-21 2011-06-03 김용진 애완견의 배변 훈련기
KR101157038B1 (ko) 2012-01-26 2012-06-21 원재일 애완동물용 화장실
KR101176412B1 (ko) 2011-05-11 2012-08-28 노주환 애완동물 배변기용 친환경 청소 장치
KR101282200B1 (ko) 2011-05-11 2013-07-04 노주환 애완동물 배변기용 친환경 청소 장치
WO2016204532A1 (ko) * 2015-06-18 2016-12-22 오현민 배변 받이를 구비한 반려동물용 배변 장치
KR102240245B1 (ko) * 2021-01-07 2021-04-13 김종덕 소변 냄새 방지 기능을 강화한 반려동물용 수세식 배변판
WO2022107474A1 (ja) * 2020-11-19 2022-05-27 克人 寺西 ペット用トイ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052A (ja) * 1992-03-06 1994-01-18 Soc Prod Nestle Sa 犬猫用屋根なし便所装置
JP2003325072A (ja) 2002-05-14 2003-11-18 Seio:Kk 持運可能で中敷を犬と猫で代えることが出来る犬猫用水洗トイレ
KR200355409Y1 (ko) 2004-04-21 2004-07-06 박경룡 애완견의 배설물 처리장치
KR20040095064A (ko) * 2003-05-06 2004-11-12 유동곤 애완동물 배설물 처리장치
KR200373270Y1 (ko) 2004-07-30 2005-01-14 김정민 간이 변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052A (ja) * 1992-03-06 1994-01-18 Soc Prod Nestle Sa 犬猫用屋根なし便所装置
JP2003325072A (ja) 2002-05-14 2003-11-18 Seio:Kk 持運可能で中敷を犬と猫で代えることが出来る犬猫用水洗トイレ
KR20040095064A (ko) * 2003-05-06 2004-11-12 유동곤 애완동물 배설물 처리장치
KR200355409Y1 (ko) 2004-04-21 2004-07-06 박경룡 애완견의 배설물 처리장치
KR200373270Y1 (ko) 2004-07-30 2005-01-14 김정민 간이 변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716B1 (ko) 2009-12-24 2011-02-25 이재희 애완동물용 변기
KR101039199B1 (ko) * 2011-02-21 2011-06-03 김용진 애완견의 배변 훈련기
KR101176412B1 (ko) 2011-05-11 2012-08-28 노주환 애완동물 배변기용 친환경 청소 장치
KR101282200B1 (ko) 2011-05-11 2013-07-04 노주환 애완동물 배변기용 친환경 청소 장치
KR101157038B1 (ko) 2012-01-26 2012-06-21 원재일 애완동물용 화장실
WO2013112007A1 (ko) * 2012-01-26 2013-08-01 Won Jaeil 애완동물용 화장실
WO2016204532A1 (ko) * 2015-06-18 2016-12-22 오현민 배변 받이를 구비한 반려동물용 배변 장치
WO2022107474A1 (ja) * 2020-11-19 2022-05-27 克人 寺西 ペット用トイレ
JP7076872B1 (ja) * 2020-11-19 2022-05-30 克人 寺西 ペット用トイレ
KR102240245B1 (ko) * 2021-01-07 2021-04-13 김종덕 소변 냄새 방지 기능을 강화한 반려동물용 수세식 배변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8034B1 (ko) 애완 동물용 간이 변기
JP6266633B2 (ja) 動物給水装置、及び動物給水装置を制御する方法
JP6289481B2 (ja) 動物給水装置
KR101788704B1 (ko) 애완동물 배변장치
KR101268177B1 (ko) 애견 자동 수세식 화장실
JP4657316B2 (ja) 再循環水を使用する開閉可能な双子タンク型洗浄水容器
KR102240245B1 (ko) 소변 냄새 방지 기능을 강화한 반려동물용 수세식 배변판
CN101638908B (zh) 加压双水量冲水系统
US5791288A (en) House animal toilet with automatic self-cleaning
KR100764836B1 (ko) 수압을 이용한 변기의 자동 물내림장치
CN108797733B (zh) 供水装置和马桶
JP2014224432A (ja) 便器洗浄装置
KR200439371Y1 (ko) 물 절감 좌변기
KR101088242B1 (ko) 좌변기의 절수형 세척수탱크 구조
KR101614271B1 (ko) 수세식 겸용 포세식 화장실
JP5843349B2 (ja) トイレ装置
KR102035340B1 (ko) 잔수배출장치
KR200184937Y1 (ko) 변기용 절수기
KR20150134799A (ko) 도기 일체형 비데의 세척 시스템
KR101283761B1 (ko) 자동 물내림 장치가 구비된 비데기
KR102271341B1 (ko) 변기용수배출장치
CN214143979U (zh) 智能超声波清洁马桶
KR102147515B1 (ko) 욕실용 절수장치
KR102582343B1 (ko) 버큠 로리용 메인 맨홀
KR101124613B1 (ko) 절수형 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