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9657B1 - 지엽류 취급 장치 - Google Patents

지엽류 취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9657B1
KR101089657B1 KR1020100039860A KR20100039860A KR101089657B1 KR 101089657 B1 KR101089657 B1 KR 101089657B1 KR 1020100039860 A KR1020100039860 A KR 1020100039860A KR 20100039860 A KR20100039860 A KR 20100039860A KR 101089657 B1 KR101089657 B1 KR 101089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paper sheet
separation
plan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9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6191A (ko
Inventor
에이스케 시오미
아키라 노미야마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26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6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9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9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04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 B65H31/06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the articles being piled on edg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le Receivers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해, 금종에 의해 지폐 사이즈가 긴 변, 짧은 변 방향으로도 다른 것이 많고, 또한 접힘이나 찢어짐의 정도가 좋지 않은 지폐여도, 정밀도 있게 집적할 수 있고, 저비용화 및 소형화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한 지엽류 취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폐(1001)를 겹쳐서 수납하는 일시 보관고(4)를 구비한 지폐 취급 장치(1)에, 지폐(1001)를 지폐(1001)에 집적하는 집적 동작과 상기 지폐(1001)를 분리해서 일시 보관고(4)로부터 방출하는 분리 동작을 실행하는 분리·집적 기구(800)와, 지폐 분리시에 지폐(1001)를 분리·집적 기구(800)에 유도하는 분리·집적 가이드(805)와, 지폐 집적시에 집적하는 지폐(1001)에 대해 접촉해서 면외 방향으로 변형시키는 면외 변형 부여 부재(815a)를 갖는 면외 변형 부여 기구(815)와, 분리·집적 가이드(805)와 면외 변형 부여 부재(815a)를 연동시키는 연결 링크 기구(830)를 구비하였다.

Description

지엽류 취급 장치{PAPER SHEET HANDLING DEVIC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금융 기관 등에서 사용되는 지폐 등의 지엽류(紙葉類)를 취급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ATM의 보급에 따라 지폐 취급 장치는 점점 더 소형화, 고기능화, 저비용화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ATM의 보급에 따라 외국 지폐도 취급하는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외국 지폐는 지폐 사이즈가 금종(金種)에 따라 긴 변, 짧은 변 방향으로도 다른 것이 많고, 또한 지폐의 접힘이나 찢어짐의 정도가 좋지 않은 지폐의 유통량도 많다. 이 때문에, 지폐 취급 장치는 신뢰성 확보가 필요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외국 지폐도 처리할 수 있는 장치로서 이하와 같은 지폐 입출금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상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지폐 입출금 장치에서의 지폐 수납 방출고는 지폐 가이드와, 면외(面外) 변형 부여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지폐 가이드는 지폐를 방출하는 지폐 분리시에 지폐를 집적·분리 기구에 유도하는 위치로 이동하고, 지폐를 수납하는 지폐 집적시에 지폐를 상기 집적·분리 기구로부터 멀리하여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면외 변형 부여 부재는, 지폐 집적시에 집적하는 지폐에 대해 강제적으로 변형을 끼쳐, 지폐 분리시에 분리하는 지폐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상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지폐 입출금 장치에서의 지폐 수납 방출고는 상술한 바와 같은 외국 지폐도 처리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지폐 수납 방출고는 지폐 가이드와 면외 변형 부여 부재가 각각 독립하여 구동하기 때문에, 각각 구동 기구가 필요해서, 저비용화, 소형화를 실현하는 것이 곤란했다.
일본국 특개2000-187752호 공보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감안하여, 금종에 의해 지폐 사이즈가 긴 변, 짧은 변 방향으로도 다른 것이 많고, 또한 접힘이나 찢어짐의 정도가 좋지 않은 지폐여도, 정밀도 있게 집적할 수 있고, 저비용화 및 소형화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한 지엽류 취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엽류를 겹쳐서 수납하는 지엽류 수납 방출고를 구비한 지엽류 취급 장치에서, 상기 지엽류를 상기 지엽류 수납 방출고에 집적하는 집적 동작과 상기 지엽류를 분리해서 상기 지엽류 수납 방출고로부터 방출하는 분리 동작을 실행하는 집적·분리 기구와, 지엽류 분리시에 상기 지엽류를 상기 집적·분리 기구에 유도하는 지엽류 가이드와, 지엽류 집적시에 집적하는 상기 지엽류에 대하여 접촉해서 면외 방향으로 변형시키는 면외 변형 부여 부재를 갖는 면외 변형 부여 기구와, 상기 지엽류 가이드와, 상기 면외 변형 부여 부재를 연동시키는 연결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금종에 의해 지폐 사이즈가 긴 변, 짧은 변 방향으로도 다른 것이 많고, 또한 접힘이나 찢어짐의 정도가 좋지 않은 지폐여도, 정밀도 있게 집적할 수 있고, 저비용화 및 소형화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한 지엽류 취급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지폐 취급 장치를 구비한 현금 자동 거래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지폐 취급 장치를 구비한 현금 자동 거래 장치의 제어 관계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지폐 취급 장치를 구비한 현금 자동 거래 장치의 제어 관계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지폐 취급 장치의 측면도.
도 5는 집적 상태의 분리·집적 기구에 대한 측면도.
도 6은 분리 상태의 분리·집적 기구에 대한 측면도.
도 7은 분리·집적 기구의 각 구성 요소의 제어 관계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8은 큰 치수의 지폐를 집적하는 집적 상태의 분리·집적 기구에 대한 측면도.
도 9는 면외 변형 부여 기구에 대한 개략 배치도.
도 10은 면외 변형 부여 기구와 지폐 가이드와의 연결 기구의 집적 동작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1은 일시 보관고에 지폐를 집적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2는 면외 변형 부여 기구와 지폐 가이드와의 연결 기구의 분리 동작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3은 면외 변형 부여 기구의 집적 동작 및 분리 동작에 대해 설명하는 확대 설명도.
도 14는 세로(縱) 배치형의 지폐고를 갖는 지폐 취급 장치의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지폐 취급 장치(1)를 구비한 현금 자동 거래 장치(100)에 대해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도 1은 지폐 취급 장치(1)를 구비한 현금 자동 거래 장치(100)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지폐 취급 장치(1)를 구비한 현금 자동 거래 장치(100)의 제어 관계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현금 자동 거래 장치(100)는 카드·명세표 처리 기구(102), 통장 처리 기구(103), 고객 조작부(105), 지폐 취급 장치(1) 및 본체 제어부(106)를 구비하고 있다.
지폐(1001)를 처리하는 지폐 취급 장치(1)는 본체 하우징(101)의 내측 하부에 배치하고 있다.
카드·명세표 처리 기구(102)는 현금 자동 거래 장치(100)의 본체 하우징(101)의 내측 상부에 배치하고, 본체 하우징(101)의 상부 정면판(101b)에 설치한 카드 슬롯(102a)과 연통하고 있고, 이용자의 카드를 처리하는 동시에 거래 명세표를 인자(印字)해서 방출하는 기구이다.
통장 처리 기구(103)는 현금 자동 거래 장치(100)의 본체 하우징(101)의 내측 상부에 배치하고, 본체 하우징(101)의 상부 정면판(101b)에 설치한 통장 슬롯(103a)과 연통하고, 이용자의 통장을 처리하는 통장 처리 기구이다.
고객 조작부(105)는 거래 내용의 표시 및 입력 조작부이며, 고객 조작부(105)는 본체 하우징(101)의 중간부에 배치하고 있다.
본체 제어부(106)는 현금 자동 거래 장치(100) 전체의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부이며, 본체 하우징(101)의 내측 하부에서, 지폐 취급 장치(1)의 횡(橫)의 배면측 부근에 배치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 하우징(101)에 설치한 지폐 취급 장치(1), 카드·명세표 처리 기구(102), 통장 처리 기구(103), 지폐 취급 장치(1) 및 고객 조작부(105)는 버스(106a)를 통하여 본체 제어부(106)에 접속되어 있고, 본체 제어부(106)에 의해 각각의 필요한 동작이 제어되고 있다.
또한, 본체 제어부(106)에는, 버스(106a)를 통하여, 인터페이스부(106b), 계원(係員) 조작부(106c), 외부 기억 장치(106d)가 접속되어 있고, 필요한 데이터를 데이터 통신하는 구성이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하우징(101)에는 상기 각 기구, 구성 부분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101d)를 구비하고 있고, 도시 생략한 전력 공급 라인에 의해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폐 취급 장치(1)의 제어부(10)는 본체 제어부(106)와 버스(106a)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10)는 후술하는 입출금구(入出金口)(2), 지폐 판별부(3), 일시 보관고(4), 반송로(5) 및 지폐 수납 방출고(8)가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부(10)는 본체 제어부(106)로부터의 지령 및 지폐 취급 장치(1)의 상태 검출에 따라 지폐 취급 장치(1)의 제어를 행하는 동시에, 지폐 취급 장치(1)의 상태를 필요에 따라 본체 제어부(106)에 상태 검출 데이터를 보내는 구성이다.
다음으로, 지폐 취급 장치(1)에 대해서 도 4 ~ 도 8과 함께 설명한다. 또한, 도 4는 지폐 취급 장치(1)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일시 보관고(4)에 지폐를 집적하는 집적 상태의 분리·집적 기구(800)에 대한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일시 보관고(4)로부터 지폐를 분리하는 분리 상태의 분리·집적 기구(800)에 대한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분리·집적 기구(800)의 각 구성 요소의 제어 관계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며, 도 8은 일시 보관고(4)에 큰 치수의 지폐를 집적하는 집적 상태의 분리·집적 기구(800)에 대한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지엽류 취급 장치로서 기능하는 지폐 취급 장치(1)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입출금구(2), 지폐 판별부(3), 지엽류 수납 방출고로서 기능하는 일시 보관고(4), 지폐 수납고(7), 지폐 수납 방출고(8), 장전 회수고(9), 및 반송로(5)로 구성되어 있다.
지폐 판별부(3)는 지엽류인 지폐의 판별을 행하는 판별부이며, 지폐 판별부(3)를 통과하는 지폐의 치수를 인식하는 동시에, 지폐(1001)의 반송 순서의 정보도 제어부(10)에 전달하는 구성이다.
지폐 수납고(7)는 지폐 취급 장치(1)가 취급하는 지폐만 수납하는 금고이며, 상세하게는, 입금된 지폐의 수납이나, 사용 불가능한 지폐나 이용자의 취출 망각 지폐 등을 수납하는 금고이다.
지폐 수납 방출고(8)는 지폐 취급 장치(1)가 취급하는 지폐의 수납과 방출을 행하는 금고이며, 장전 회수고(9)는 지폐 취급 장치(1) 내의 각 금고에 수납되어 있는 지폐의 회수나 지폐 취급 장치(1) 내의 각 금고에 대하여 지폐의 장전 등을 행하는 회수고이다.
그리고, 반송로(5)는 지폐를 각 금고에 반송하는 반송 기구이다.
일시 보관고(4)는 입금된 지폐를 입위(立位) 상태에서 거래 성립까지의 사이 일단 수납하는 보관용의 금고이며, 바닥면(401)과, 바닥면(401)보다 상면에서 지폐 하면을 지지하도록 현가(懸架)된 저면 벨트(402)와, 압판(403)과, 천판(404)과, 측벽(405)으로 구성되어 있다. 저면 벨트(402)의 상류 측에는 편위 조작 수단(410)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바닥면(401), 천판(404), 압판(403) 및 후술하는 분리·집적 가이드(805)로 둘러싸인 공간을, 지폐를 집적하기 위한 집적 공간 E로 하고 있다.
압판(403)은 압판용 구동 모터(403m)에 의해 구동하고, 편위 조작 수단(410)은 편위 조작 수단용 구동 모터(410m)에 의해 구동하는 구성이다.
또한, 측벽(405)은 지폐의 치수에 맞춰서 부착 위치를 설정할 수 있는 구성이다. 측벽(405)의 폭은, 최대 지폐의 폭 방향 치수보다 2㎜ ~ 10㎜ 정도 크게 설정하는 것이 적당하다.
또한, 지폐 입출금 장치(1)가 취급하는 최대 치수의 지폐를 수납할 수 있도록 바닥면(401)과 천판(404) 사이의 거리 H는 최대 치수의 지폐의 높이 방향 길이보다 크게 설정하고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시 보관고(4)는 지폐를 입위 상태에서 집적하고, 집적시킨 지폐를 분리하는 분리·집적 기구(800)를 구비하고 있다.
분리·집적 기구(800)는 피드(feed) 롤러(801)와, 픽업 롤러(811)와, 백업 롤러(802)와, 게이트 롤러(803)와, 브러시 롤러(804)와, 분리·집적 가이드(805)와, 투과 센서(지폐 잔류 검출 센서)(888a, 888b)를 구비한 취입 방출구(809a)와, 지폐 입출로(809)와, 진행 제한 수단(891)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피드 롤러(801)와 게이트 롤러(803)의 근방에 면외 변형 부여 기구(815)를 구비하고 있다.
지폐 입출로(809)는 반송로(5)와 일시 보관고(4) 내부를 연통하고, 집적·분리하는 지폐의 통과를 허용하는 구성이다. 또한, 지폐 입출로(809) 양측에는 피드 롤러(801)와 게이트 롤러(803)를 구비하고, 집적 공간 측의 단부를 집적 공간 E로의 취입 방출구(809a)로 하고 있다.
피드 롤러(801)는 필드 롤러용 구동 모터(801m)(도 7 참조)에 의해 구동하고, 지폐 입출로(809)를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한 백업 롤러(802)에 의해 지폐를 협지하고, 집적하는 지폐(1001)를 집적 공간 E로 보내고, 또한 분리하는 지폐(1001)를 지폐 입출로(809)를 통하여 반송로로 보내는 구성이다.
백업 롤러(802)는 피드 롤러(801)에 종동해서 회전하고, 피드 롤러(801)와의 사이에 지폐 입출로(809)에 있는 지폐를 협지하여, 지폐를 반송하는 구성이다.
게이트 롤러(803)는 중심축(803a)을 중심으로 하여 지폐(1001)의 집적 방향으로 회전하고, 속출(繰出) 방향으로는 회전하지 않는 롤러이다.
브러시 롤러(804)는 게이트 롤러(803)의 중심축(803a)과 동일축 상에 배치되고, 가요성에 의해 역(逆) J자 형상으로 형성된 압입 부재(804a)를 4방향으로 방사 형상으로 배치한 롤러이다.
지엽류 가이드로서 기능하는 분리·집적 가이드(805)는 지폐 입출로(809)의 지폐를 집적 공간 E로 안내하고, 또한 집적 공간 E로부터 지폐 입출로(809)로 지폐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이다.
또한, 분리·집적 가이드(805)는 평면에서 볼 때 コ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평면에서 볼 때 コ자 단면 중 집적 공간 측의 면을 지폐 안내면(805a)으로 하고 있다. 또한, 분리·집적 가이드(805)는 하단의 피벗축(樞動軸)(805b)(도 10 참조)을 피벗 중심으로 하여 피벗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는, 지폐 집적시는, 분리·집적 가이드(805)는 지폐 안내면(805a)이 지폐 입출로(809)의 취입 방출구(809a)에서의 지폐 진행 방향의 연장상에 따라, 공간 형성 위치로서 기능하는 지폐 집적시 위치 A(도 5 참조)까지 피벗하는 구성이다.
또한, 공간 형성 위치로서 기능하는 지폐 집적시 위치 A는 바닥면(401), 천판(404), 압판(403) 및 분리·집적 가이드(805)로 둘러싸인 집적 공간 E를 형성하는 동시에, 지폐 입출로(809)의 지폐를 집적 공간 E로 안내하는 위치이다.
역으로, 지폐 분리시는, 분리·집적 가이드(805)는 지폐 안내면(805a)으로부터 픽업 롤러(811)가 집적 공간 측에 노출될 때까지 퇴피하고, 유도 위치로서 기능하는 지폐 분리시 위치 R(도 6 참조)까지 피벗하는 구성이다.
또한, 유도 위치로서 기능하는 지폐 분리시 위치 R은 집적 공간 E로부터 지폐 입출로(809)로 지폐를 안내하는 위치이다.
분리·집적 가이드(805)의 상방에 배치한 진행 규제 수단(891)은 집적 공간 E에 집적하는 지폐의 상방 위치를 규제하는 수단이다.
진행 규제 수단(891)은 선단에 반시계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편(891b)을 갖는 클로(claw) 형상의 날개 형상부(891a)를, 주(周) 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3개 배치함으로써, 3개의 오목부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진행 규제 수단(891)은 진행 규제 수단용 구동 모터(891m)(도 7 참조)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구성이다.
본체 제어부(106)와 버스(106a)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제어부(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입출금구(2), 지폐 판별부(3), 일시 보관고(4), 반송로(5) 및 지폐 수납 방출고(8)가 접속되고(도 3 참조), 지폐 취급 장치(1)의 제어를 행하는 동시에,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시 보관고(4)의 각 구동부, 센서 등을 제어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제어부(10)에는, 일시 보관고(4)에서의 지폐 검출 수단(893)이 접속되는 동시에, 일시 보관고(4)의 필드 롤러용 구동 모터(801m), 진행 규제 수단용 구동 모터(891m), 압판용 구동 모터(403m) 및 편위 조작 수단용 구동 모터(410m)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10)는 지폐 판별부(3)가 판별한 지폐의 금종과 지폐 치수를 대응시킨 데이터 베이스를 갖는 기억부 DB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구조에 의해, 분리·집적 기구(800)는 분리시에 있어서 집적 공간 E에 집적한 지폐(1001)를 1매씩 분리해서 확실하게 방출할 수 있는 동시에, 지폐 입출로(809)를 통과한 지폐(1001)를 확실하게 입위 상태에서 집적 공간 E에 집적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피드 롤러(801)와 게이트 롤러(803)의 근방에 배치한 면외 변형 부여 기구(815)에 대해서, 도 9 ~ 도 13과 함께 설명한다.
도 9는 면외 변형 부여 기구(815)의 평면 방향의 개략 배치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은 분리·집적 가이드(805)와 면외 변형 부여 기구(815)의 연결 링크 기구(830)의 지폐 집적 동작시에서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은 분리·집적 가이드(805)와 면외 변형 부여 기구(815)의 지폐 분리 동작시에서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는 분리·집적 가이드(805)와 면외 변형 부여 기구(815)의 연결 링크 기구(830)의 지폐 분리 동작시에서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3은 면외 변형 부여 기구(815)의 집적 동작 및 분리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는 확대 설명도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11에서는 도면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면외 변형 부여 부재(815a)와 링크 커버(816)를 일체화한 개략도로 도시하는 동시에 연결 링크 기구(830)를 생략하고, 동일하게, 도 9에서는 연결 링크 기구(830)를 생략하고 있다.
면외 변형 부여 기구(815)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게이트 롤러(803) 및 피드 롤러(801)의 양쪽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면외 변형 부여 기구(815)는 대략 훅(hook) 형상의 면외 변형 부여 부재(815a)와, 링크 커버(816)와, 스프링(820)과, 스토퍼(817) 및 연결 링크 기구(830)로 구성되어 있다.
면외 변형 부여 부재(815a)는 선단이 집적 공간 측을 향한 훅 형상으로 형성되고, 피드 롤러(801) 측에, 지폐(1001)에 맞닿는 외각부(外角部)(815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각부(815b)의 하방의 잘록한 부분(815c)은 게이트 롤러(803)의 중심축(803a)으로부터 지폐 입출로(809)까지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다.
면외 변형 부여 부재(815a)는 지폐의 반송 방향에 대한 폭 방향(도 9에서 좌우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사이에 두고 복수 배설(配設)한 피드 롤러(801)에 대하여, 극간(隙間)을 사이에 두고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면외 변형 부여 부재(815a)는 피벗축(816a)을 피벗 중심으로 하여, 집적시 위치 Aa(도 13의 (a) 참조)와, 분리시 위치 Ra(도 13의 (b) 참조)를 피벗하는 구성이다.
또한, 면외 변형 부여 부재(815a)의 집적시 위치 Aa는 피벗에 의해 맞닿는 스토퍼(817)에 의해 규제된 위치이며, 피드 롤러(801)의 중심축(801a)과 게이트 롤러(803)의 중심축(803a)을 연결하는 가상 축심 라인 L보다 외각부(815b)의 종단이 높게되는 위치이다.
이에 의해, 피드 롤러(801)와 게이트 롤러(803)로부터 지폐를 집적 공간 E에 취입시에, 외각부(815b)에 의해 지폐가 확실히 면외 변형하고 있기 때문에, 외관의 강성에 의해 탄력성이 있는 지폐를 바로 집적 공간 E에 취입할 수 있다.
또한, 면외 변형 부여 부재(815a)의 분리시 위치 Ra는 바닥면(401)과 지폐 입출로(809)의 각부(401a)로부터 면외 변형 부여 부재(815a)의 외각부(815b)가 돌출하지 않는 위치이다(도 13의 (b) 참조).
따라서, 이 분리시 위치 Ra에서 면외 변형 부여 부재(815a)의 외각부(815b)가 각부(401a)보다 내측에 숨겨지고, 지폐(1001)를 집적 공간 E로부터 분리해서 방출할 경우에도, 면외 변형 부여 부재(815a)에 걸리지 않고, 스무드하게 방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축측 부재로서 기능하는 링크 커버(816)는 평면에서 볼 때 L자형으로 형성되고, 면외 변형 부여 부재(815a)의 하단 부근에 배치되고, 면외 변형 부여 부재(815a)와 공용하는 피벗축(816a)을 중심으로 하여 피벗하는 구성이다.
가압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스프링(820)은 링크 커버(816)의 내측에서, 피벗축(816a)에 부착되고, 링크 커버(816)에 대하여 면외 변형 부여 부재(815a)를 피드 롤러(801) 측에 가압하는 구성이다. 스프링(820)의 가압력은 고강성의 지폐를 반송할 때에, 면외 변형 부여 부재(815a)가 게이트 롤러(803) 측으로 적절하게 되돌려지는 정도의 가압력으로 설정되어 있다.
위치 규제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스토퍼(817)는 면외 변형 부여 부재(815a)의 집적시 위치 Aa를 규제하는 스토퍼이며, 후술하는 연결 링크 기구(830)에 의해, 피드 롤러(801) 측으로 피벗하는 면외 변형 부여 부재(815a)가 피드 롤러(801) 측(도 13의 (a)에서 우측)으로 더 진행되지 않도록 규제하고 있다.
또한, 스토퍼(817)는 유통도가 높은 저강성의 지폐(1001)에 대해서도 충분한 강성을 줄 수 있는 돌출량이 되도록 면외 변형 부여 부재(815a)의 위치를 규제하고 있다.
연결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연결 링크 기구(830)는 분리·집적 가이드(805)의 피벗축(805b)보다 하측의 회전축(831a)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접속된 제 1 암(831)과, 회전 고정 상태에서 링크 커버(816)에 접속된 제 2 암(832)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암(831)과 제 2 암(832)은 회전가능한 회전축(830a)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피벗축(805b)과 회전축(831a)의 간격은 그 외의 구성에 지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길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연결 링크 기구(830)에 의해 피벗하는 면외 변형 부여 부재(815a)의 스트로크를 길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구성에 의해 구성된 지폐 취급 장치(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지폐 취급 장치(1)는 입출금구(2)에 투입된 지폐(1001)를 1매씩으로 분리하고, 지폐 판별부(3)에 의해 지폐(1001)의 금종, 진위를 판정하고, 일시 보관고(4)에 일단 수납한다. 이때, 지폐 판별부(3)에 의해 판별할 수 없던 지폐(1001)나, 경사나 간격이 이상해진 지폐(1001)는 직접 입출금구(2)로 반송되어, 이용자에게 반환된다.
입금 거래의 성립 후는 지폐(1001)를 일시 보관고(4)로부터 반출하고, 다시 지폐 판별부(3)에서 지폐(1001)의 상태를 확인한 후, 지폐 수납고(7)나 지폐 수납 방출고(8) 등에 수납한다.
출금 시에는, 지폐 취급 장치(1)는 해당하는 지폐 수납 방출고(8)로부터 출금 지폐(1001)를 소정의 매수만 속출하고, 지폐 판별부(3)에 의해 판별하고, 입출금구(2)로 반송함으로써 이용자에게 지급한다.
출금 동작 중 사용 불가능한 지폐(1001)를 발견한 경우에는, 그 지폐(1001)를 일단 일시 보관고(4)에 수납하고, 그것을 대신하는 지폐(1001)를 새롭게 지폐 수납 방출고(8)로부터 속출한다. 그 후, 사용 불가능한 지폐(1001)를 일시 보관고(4)로부터 반출하고, 사용 불가능한 지폐(1001)를 지폐 수납고(7) 등에 반송하고, 수납한다.
다음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지폐 취급 장치(1)의 동작에서의 일시 보관고(4)에 지폐(1001)를 집적하는 집적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분리·집적 기구(800)의 분리·집적 가이드(805)가 지폐 집적시 위치 A에 위치하고, 그리고 면외 변형 부여 기구(815)의 면외 변형 부여 부재(815a)가 집적시 위치 Aa에 위치하는 집적 상태에서는, 도 8,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폐 입출로(809)의 양측에 배치한 피드 롤러(801)와 게이트 롤러(803)를 회전시켜, 지폐 판별부(3)를 통과한 지폐(1001)를 집적 공간 E까지 반송한다. 이때, 지폐(1001)는 분리·집적 가이드(805)의 지폐 안내면(805a)을 따라 입위 상태를 유지하여 반송된다.
지폐 입출로(809)를 통과하고, 외부로부터 취입한 지폐(1001)에 대해서 피드 롤러(801)와 게이트 롤러(803)의 협지가 빠지면, 지폐(1001)는 분리·집적 가이드(805)와의 접촉을 제외하고 비구속 상태가 되어, 집적 공간 E 내에 취입된다.
일시 보관고(4) 내에 취입되고, 피드 롤러(801)와 게이트 롤러(803)의 협지력으로부터 개방된 지폐(1001)는 후속의 지폐(1001)와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회전하고 있는 브러시 롤러(804)에 의해 피드 롤러(801)와 게이트 롤러(803)의 협지점으로부터 소출(搔出)된다.
또한, 고속으로 회전하고 있는 브러시 롤러(804)는 피드 롤러(801)와 게이트 롤러(803)의 협지점으로부터 소출한 지폐(1001)나 이미 일시 보관고(4) 내에 취입한 지폐(1001)의 하단이 피드 롤러(801)와 게이트 롤러(803) 부근으로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폐(1001)를 집적 공간 E에 취입하는 동안, 제어부(10)는 지폐 판별부(3)가 얻은 지폐(1001)의 정보에 의거하여, 진행 규제 수단(891)을 회전 제어하고, 바닥면(401)으로부터 진행 규제 수단(891)의 오목부까지의 거리가 지폐(1001)의 진행 방향 길이와 동등해지도록 한다.
상세하게는, 비교적 작은 치수의 지폐(1001)를 집적할 때의 측면도인 도 5와 비교해서, 비교적 큰 치수의 지폐(1001a)를 집적할 때의 측면도인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진행 규제 수단(891)을 도 8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 제어하고, 바닥면(401)으로부터 진행 규제 수단(891)의 오목부까지의 거리가 지폐(1001a)의 진행 방향 길이와 동등해지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집적 공간 E에 집적되고, 피드 롤러(801)와 게이트 롤러(803)의 협지로부터 빠진 지폐(1001)는 그 진행 방향 선단부가 진행 규제 수단(891)의 오목부에 충돌하여 정지한다.
이때, 바닥면(401)으로부터 진행 규제 수단(891)의 오목부까지의 거리가 지폐(1001)의 진행 방향 길이와 동등하기 때문에, 지폐(1001)의 상단 위치는 규제되고, 그 후단부를 바닥면(401) 상에 정돈하여 집적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의 동작을 연속으로 행하고, 즉, 지폐 검출 수단(893)(도 7 참조)이 일시 보관고(4)로 반송되어 오는 지폐(1001)를 검출하면, 지폐(1001)의 치수에 따라 진행 규제 수단(891)을 회전시켜, 일시 보관고(4) 내에 다른 치수의 지폐(1001)를 연속해서 집적하는 것이 가능하다.
투과 센서(888a, 888b)의 광은 취입한 지폐(1001)에 의해 차폐되지만, 취입한 지폐(1001)의 양이 적은 동안은 브러시 롤러(804)가 지폐(1001)를 가압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차폐 시간은 짧아진다.
그러나, 지폐(1001)를 계속해서 취입하면, 브러시 롤러(804)가 지폐(1001)를 가압할 수 없게 되어, 차폐 시간이 길어진다. 차폐 시간이 소정 시간 이상이 되었을 경우, 압판(403)과 저면 벨트(402)를 금고 이외의 구동원(도시 생략)에 의해 일체가 되어서 분리·집적 가이드(80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수납 완료된 지폐(1001)도 분리·집적 가이드(80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옮길 수 있다.
그 결과, 집적 공간 E 부근을 차지하는 지폐(1001)가 적어져, 다시 브러시 롤러(804)가 지폐(1001)를 가압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하여, 다른 치수의 지폐(1001)를 취급할 수 있는 현금 자동 거래 장치(100)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분리·집적 기구(800)에 의한 지폐(1001)의 집적시에, 면외 변형 부여 기구(815)에 의해 지폐(1001)를 확실하게 집적 공간 E에 집적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세하게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리·집적 가이드(805)가 반시계 방향으로 피벗하면, 연결 링크 기구(830)에 의해 분리·집적 가이드(805)의 피벗에 연동하는 면외 변형 부여 부재(815a)는 시계 방향으로 피벗하여, 변형 작용 위치로서 기능하는 집적시 위치 Aa로 이동한다.
면외 변형 부여 부재(815a)는 링크 커버(816)를 통하여 연결 링크 기구(830)에 의해 분리·집적 가이드(805)와 연결되는 동시에, 링크 커버(816)에 대하여 스프링(820)에 의해 피드 롤러(801) 측으로 가압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 링크 기구(830)에 의해 링크 커버(816)가 분리·집적 가이드(805)의 피벗에 따라 피벗하면, 스프링(820)이 가압한 상태이기 때문에, 면외 변형 부여 부재(815a)는 링크 커버(816)와 함께 피벗한다.
그러나, 면외 변형 부여 부재(815a)의 피벗이 스토퍼(817)에 의해 규제되면, 링크 커버(816)는 스프링(820)의 가압력에 반하여, 규제된 면외 변형 부여 부재(815a)와는 별도로 더 피벗하게 된다.
이렇게, 집적시 위치 Aa에 위치하는 면외 변형 부여 부재(815a)는 피드 롤러(801) 측으로 돌출하고, 외각부(815b)에 의해 지폐(1001)를 피드 롤러(801)와의 접촉면보다 깊게 압입함으로써 지폐(1001)에 면외 방향의 변형을 주고, 외관의 강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상세하게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집적시 위치 Aa에 있는 면외 변형 부여 부재(815a)에 의해, 지폐(1001)는 피드 롤러(801)와 면외 변형 부여 부재(815a) 사이에서, 지폐(1001)의 두께 방향(면외 방향)으로 절곡(折曲)됨으로써, 입체성을 구비하게 되고, 외관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환언하면, 지폐(1001)에, 집적 방향을 따라 절곡을 부여함으로써, 지폐(1001)에 탄력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유통도가 높은 저강성의 지폐(1001)에 대해서도 충분한 강성을 줄 수 있도록 스토퍼(817)에 의해 면외 변형 부여 부재(815a)의 돌출량을 규제하고 있기 때문에, 저강성의 지폐(1001)여도 외관의 강성을 높여서 확실하게 집적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피벗축(805b)과 회전축(831a)의 간격을 길게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연결 링크 기구(830)에 의해 피벗하는 면외 변형 부여 부재(815a)의 스트로크를 길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스토퍼(817)에 의해 면외 변형 부여 부재(815a)의 위치를 규제하고 있기 때문에, 분리·집적 가이드(805)의 피벗에 따라 면외 변형 부여 부재(815a)를 확실하게 원하는 집적시 위치 Aa와 분리시 위치 Ra 사이를 피벗하게 할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는, 복수의 부재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연결 링크 기구(830)의 경우, 각각의 접속 장소 수에 따라 유격(裕隔)이 증가하여, 연결 링크 기구(830)를 통하여 피벗하는 면외 변형 부여 부재(815a)의 위치 정밀도가 저감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링크 기구인 연결 링크 기구(830)에 의해, 분리·집적 가이드(805)의 피벗이 확실하게 전달되어, 스토퍼(817)에 의해 면외 변형 부여 부재(815a)의 위치를 규제할 수 있기 때문에, 면외 변형 부여 부재(815a)를 확실하게 원하는 집적시 위치 Aa와 분리시 위치 Ra 사이를 피벗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돌출량이 작고, 지폐(1001)에 대해서도 충분한 강성을 주는 것이 가능하지 않을 경우,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폐(1001)가 집적 공간 측으로 취입되는 도중에 진행 방향을 바꾸게 되어, 진행 규제 수단(891)에 관계없이 집적 불량이 발생하게 될 우려가 있지만,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확실하게, 집적 공간 E에 지폐(1001)를 집적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스프링(820)의 가압력을, 고강성 지폐를 반송할 때에, 적절하게 되돌려지는 정도의 가압력으로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면외 변형 부여 기구(815)를 통과하는 지폐(1001)에 접힘이나 상처가 생길 우려를 저감하고 있다.
다음으로, 일시 보관고(4)에 수납한 지폐(1001)를 분리해서 방출할 경우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분리·집적 기구(800)의 분리·집적 가이드(805)가 지폐 분리시 위치 R, 그리고 면외 변형 부여 기구(815)의 면외 변형 부여 부재(815a)가 분리시 위치 Ra가 되는 분리 상태에서는, 일시 보관고(4)로부터 지폐(1001)를 분리할 때에,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진행 규제 수단(891)을 지폐(1001)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까지 회전시켜서 고정한다.
압판(403)을 분리·집적 가이드(805) 측으로 이동시키고, 지폐(1001)를 분리·집적 가이드(805)에 압착시킨다. 이때, 분리·집적 가이드(805)가 지폐 분리시 위치 R에 있기 때문에, 픽업 롤러(811)가 지폐 안내면(805a)으로부터 노출되고, 픽업 롤러(811)가 지폐(1001)와 접촉한다.
픽업 롤러(811)를 회전시켜, 지폐(1001)를 1매씩 분리하면서 일시 보관고(4)의 외부로 방출한다. 또한, 이때, 브러시 롤러(804)는 지폐(1001)의 분리를 저해하지 않게 시트가 둥글게 되면서 회전한다. 또한, 압판(403)과 저면 벨트(402)는 픽업 롤러(811)에 소정의 가압력이 가해지도록 연동한다.
이렇게 하여 분리·집적 기구(800)는 분리시에 집적 공간 E에 집적한 지폐(1001)를 1매씩 분리해서 확실하게 방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세하게는, 지폐 취급 장치(1)는 픽업 롤러(811)와 피드 롤러(801)에 의해 지폐(1001)를 분리하고 방출할 때에, 지폐(1001)에 인접한 지폐(1001)는 게이트 롤러(803)로부터 마찰 저항을 받아서, 지폐(1001)에 추종해서 방출되지 않는다.
또한, 분리 상태에서 분리·집적 가이드(805)가 시계 방향으로 피벗하면, 연결 링크 기구(830)에 의해 분리·집적 가이드(805)의 피벗에 연동하는 면외 변형 부여 부재(815a)는 반시계 방향으로 피벗하여, 비접촉 위치로서 기능하는 분리시 위치 Ra로 이동한다.
이 분리시 위치 Ra에서 면외 변형 부여 부재(815a)의 외각부(815b)가 각부(401a)보다 내측에 숨겨지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지폐(1001)를 집적 공간 E로부터 분리할 경우에도, 면외 변형 부여 부재(815a)에 걸리지 않고, 스무드하게 방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렇게, 본 발명의 분리·집적 기구(800) 및 면외 변형 부여 기구(815)는 면외 변형 부여 부재(815a)를 피벗축(816a)을 중심으로 하여, 연결 링크 기구(830)에 의해 집적시 위치 Aa와 분리시 위치 Ra를 피벗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분리시 위치 Ra에서는 각부(401a)로부터 외각부(815b)가 숨겨지고, 집적시 위치 Aa에서는 스토퍼(817)에 의해 확실하게 위치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링크 기구(830)에 의해 분리·집적 가이드(805)의 피벗과 확실하게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분리·집적 기구(800) 및 면외 변형 부여 기구(815)에 의해, 면외 변형 부여 부재(815a)를 피벗하게 하는 다른 구동 수단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 면외 변형 부여 기구(815)를 구비한 지폐 취급 장치(1)의 저비용화, 소형화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날개 형상부(891a)를 3개 배치하고 있지만, 배치 수(數)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의 진행 규제 수단(891)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집적하는 지폐(1001)의 반송 방향의 지폐 길이에 의해 위치를 변화시키는 것이지만, 하나의 금종만을 취급하는 경우나, 반송 방향의 지폐 길이가 동일한 지폐만을 취급하는 경우는 고정식이어도 된다.
또한 지폐 취급 장치(1)에 구비한 지폐 수납고(7)는 지폐 취급 장치(1)의 각 구성 요소는 용도에 따라서 취사 선택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진행 규제 수단(891)의 회전축을 분리·집적 가이드(805)에 구비함으로써, 분리 동작시에, 진행 규제 수단(891)은 분리·집적 가이드(805)와 함께 퇴피하는 구조로 하고 있지만, 분리·집적 가이드(805)와 진행 규제 수단(891)이 독립하여 이동하는 구조여도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면외 변형 부여 기구(815)와 연결 링크 기구(830)를 일시 보관고(4)에 적용한 예이지만, 동일한 구성을 지폐 수납 방출고(8)나, 장전 회수고(9) 등으로 구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지폐(1001)를 입위 상태에서 집적하는 가로 배치형의 지폐고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지폐(1001)를 수평으로 집적하는 세로 배치형의 지폐고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4는 세로 배치형의 지폐고를 갖는 지폐 취급 장치의 측면도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구가 취급하는 매체는 지폐(1001) 이외에, 유가 증권, 복권, 티켓, 수표, 카드 등의 지엽류여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저비용, 소형화를 실현하고, 집적·분리 기능의 높은 신뢰성을 유지한 지엽류 취급 장치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1 : 지폐 취급 장치
4 : 일시 보관고
800 : 분리·집적 기구
805 : 분리·집적 가이드
815 : 면외 변형 부여 기구
815a : 면외 변형 부여 부재
816 : 링크 커버
816a : 피벗축
817 : 스토퍼
820 : 스프링
830 : 연결 링크 기구
A : 지폐 집적시 위치
Aa : 집적시 위치
R : 지폐 분리시 위치
Ra : 분리시 위치

Claims (3)

  1. 지엽류(紙葉類)를 겹쳐서 수납하는 지엽류 수납 방출고를 구비한 지엽류 취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엽류를 상기 지엽류 수납 방출고에 집적하는 집적 동작과 상기 지엽류를 분리해서 상기 지엽류 수납 방출고로부터 방출하는 분리 동작을 실행하는 집적·분리 기구와,
    지엽류 분리시에 상기 지엽류를 상기 집적·분리 기구에 유도하는 지엽류 가이드와,
    지엽류 집적시에 집적하는 상기 지엽류에 대해 접촉해서 면외(面外) 방향으로 변형시키는 면외 변형 부여 부재를 갖는 면외 변형 부여 기구와,
    상기 지엽류 가이드와, 상기 면외 변형 부여 부재를 연동시키는 연결 수단을 구비한 지엽류 취급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엽류 가이드를,
    지엽류 분리시에 상기 지엽류를 상기 집적·분리 기구에 유도하는 유도 위치로 변위하고, 지엽류 집적시에는 상기 집적·분리 기구로부터 멀어지고, 상기 지엽류의 수납을 허용하는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공간 형성 위치로 변위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연결 수단을,
    상기 지엽류 가이드의 상기 유도 위치로의 변위에 따라, 분리하는 지엽류에 접촉하지 않는 비접촉 위치에 상기 면외 변형 부여 부재를 변위시키고, 상기 지엽류 가이드의 상기 공간 형성 위치로의 변위에 따라, 집적하는 지엽류를 변형시키는 변형 작용 위치에 상기 면외 변형 부여 부재를 변위시키는 링크 기구에 의해 구성한 지엽류 취급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면외 변형 부여 기구를,
    상기 링크 기구에 의해, 상기 면외 변형 부여 부재가 상기 비접촉 위치와 상기 변형 작용 위치를 피벗(樞動)하는 피벗축과,
    상기 링크 기구가 연결된 상기 피벗축 측의 축측 부재와,
    상기 면외 변형 부여 부재와,
    상기 면외 변형 부여 부재를 상기 축측 부재에 대하여 상기 변형 작용 위치 방향으로 가압(付勢)하는 가압 수단으로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변형 작용 위치로 변위한 상기 면외 변형 부여 부재의 위치를 규제하는 위치 규제 수단을 구비한 지엽류 취급 장치.
KR1020100039860A 2009-05-21 2010-04-29 지엽류 취급 장치 KR1010896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22704 2009-05-21
JP2009122704A JP5340030B2 (ja) 2009-05-21 2009-05-21 紙葉類取扱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6191A KR20100126191A (ko) 2010-12-01
KR101089657B1 true KR101089657B1 (ko) 2011-12-06

Family

ID=43103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9860A KR101089657B1 (ko) 2009-05-21 2010-04-29 지엽류 취급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340030B2 (ko)
KR (1) KR101089657B1 (ko)
CN (1) CN10189441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14358B2 (ja) * 2011-03-31 2014-10-29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葉媒体整列機構および紙葉媒体処理装置
CN102760320A (zh) * 2011-04-25 2012-10-31 李艳 一种验钞机控制方法
CN102760321A (zh) * 2011-04-25 2012-10-31 李艳 一种验钞机控制装置
JP5814085B2 (ja) * 2011-11-14 2015-11-17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
JP5969264B2 (ja) * 2012-05-10 2016-08-17 Necマグナス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還流装置
CN102819892B (zh) 2012-08-09 2014-07-23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柜员循环一体机及其钞票堆叠装置
CN103150810B (zh) * 2013-03-29 2015-11-25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纸币处理设备及其出入钞机构
CN103268661B (zh) * 2013-05-07 2017-08-25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Atm机暂存模块中的大容量暂存纸币的装置
JP6072631B2 (ja) * 2013-07-08 2017-02-01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取扱装置
CN104167053A (zh) * 2014-04-30 2014-11-26 昆山古鳌电子机械有限公司 一种判别纸张类冠字号的纸张类处理装置
CN105139511A (zh) * 2014-05-29 2015-12-09 恒银金融科技有限公司 一种金融自助终端用大容量纸币收纳装置
CN104794807A (zh) 2015-05-12 2015-07-22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纸币收集回收箱
CN105825594B (zh) * 2016-03-14 2018-10-19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取款机接客部、自动取款机及动态收钞控制方法
JP6664245B2 (ja) * 2016-03-23 2020-03-13 シャープ株式会社 自動釣銭入出金機
JP6801319B2 (ja) * 2016-09-14 2020-12-1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用紙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CN107633592A (zh) * 2017-08-14 2018-01-26 昆山古鳌电子机械有限公司 一种纸张类处理装置
CN107578531A (zh) * 2017-08-21 2018-01-12 昆山古鳌电子机械有限公司 一种纸张类积聚装置
CN107481406A (zh) * 2017-08-22 2017-12-15 昆山古鳌电子机械有限公司 一种自动柜员机内存取款口装置
CN111527527B (zh) * 2018-01-30 2022-03-22 富士通先端科技株式会社 纸张堆积装置和控制纸张堆积装置的方法
JP7169627B2 (ja) * 2018-06-08 2022-11-11 Necマグナス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還流装置
CN111798611B (zh) * 2020-07-17 2022-12-13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薄片类介质集积分离装置和现金循环处理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7752A (ja) * 1998-10-12 2000-07-04 Hitachi Ltd 紙幣入出金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58150A (ja) * 1992-03-13 1993-10-08 Hitachi Ltd 紙幣自動取扱い装置
KR100330326B1 (ko) * 1998-10-12 2002-04-01 가나이 쓰토무 지폐 입출금 장치
JP4135238B2 (ja) * 1998-12-08 2008-08-20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入出金機
KR101062536B1 (ko) * 2004-12-09 2011-09-06 엘지엔시스(주) 매체자동지급기
KR20080002034A (ko) * 2006-06-30 2008-01-04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분리부 오버랩 조절장치
JP4991988B2 (ja) * 2006-11-22 2012-08-08 ネッツエスアイ東洋株式会社 紙幣保留装置、及び還流式紙幣処理装置
JP4888136B2 (ja) * 2007-01-29 2012-02-29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媒体分離機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7752A (ja) * 1998-10-12 2000-07-04 Hitachi Ltd 紙幣入出金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271887A (ja) 2010-12-02
CN101894415A (zh) 2010-11-24
JP5340030B2 (ja) 2013-11-13
KR20100126191A (ko) 2010-12-01
CN101894415B (zh) 2013-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9657B1 (ko) 지엽류 취급 장치
EP1783701B1 (en) Bill deposit/withdrawal machine for depositing/withdrawing bills
RU248083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умажных листов
JP5795990B2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JP2007062918A (ja) 紙葉類堆積装置
KR20100047786A (ko) 지폐 입출금 기구
JP6127752B2 (ja) 媒体保護装置及び媒体分離集積装置
EP2043059A2 (en) Paper sheet storing apparatus, paper sheet handling system, and automatic teller machine
EP3101632B1 (en) Financial device and medium stacking apparatus
KR101046452B1 (ko) 지엽류 분리 집적 장치
WO2014155645A1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US11535477B2 (en) Medium processing device and automatic transaction device
WO2016194466A1 (ja) 搬送ガイド、媒体収納庫及び媒体取引装置
WO2014155644A1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JP5789562B2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CN108961535B (zh) 纸币处理装置
KR101508338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분리 장치
JP6221740B2 (ja) 媒体処理装置及び媒体収納カセット
JP2015225621A (ja) 紙幣取扱装置
KR100526580B1 (ko) 지폐류 입출금기의 일시저장장치
KR102030518B1 (ko) 지폐류 입출금장치
KR101781304B1 (ko) 매체 보관 장치와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및 금융기기의 제어방법
JP2016162435A (ja) 紙幣処理装置および紙幣の精査処理方法
KR101440856B1 (ko) 매체 공급 장치
GB2602854A (en) Bundle module of medium deposi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