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2536B1 - 매체자동지급기 - Google Patents

매체자동지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2536B1
KR101062536B1 KR1020040103750A KR20040103750A KR101062536B1 KR 101062536 B1 KR101062536 B1 KR 101062536B1 KR 1020040103750 A KR1020040103750 A KR 1020040103750A KR 20040103750 A KR20040103750 A KR 20040103750A KR 101062536 B1 KR101062536 B1 KR 101062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medium
media
feed roller
f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3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5043A (ko
Inventor
강관호
Original Assignee
엘지엔시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엔시스(주) filed Critical 엘지엔시스(주)
Priority to KR1020040103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2536B1/ko
Publication of KR20060065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5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2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2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07D11/165Pi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체자동지급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저장된 매체(m)를 한장씩 분리하고 여러장의 매체(m)가 동시에 분리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매체분리부(20)와, 상기 매체분리부(20)로부터 인입된 매체(m)를 이송시켜 소정위치로 방출하는 매체방출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에서는 매체(m)를 가이드하기 위한 아이들롤러(32)의 수를 줄일 수 있고, 두께검지부(34)의 상대물을 피드롤러(26)로 대체함으로써 제작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매체방출부(40)에 배치되던 두께검지부(34)를 매체분리부(20)로 변경 배치하고 상기 두께검지부(34)의 상대물이었던 데이텀롤러를 삭제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상기 매체방출부(40)의 크기가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매체, 자동지급, 매체함, 분리, 방출

Description

매체자동지급기{A Media Dispenser}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 피드롤러와 검지롤러 사이를 매체가 통과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매체분리부 22: 매체함
24: 픽업롤러 26: 피드롤러
28: 콘트라롤러 30: 인입가이드
32: 아이들롤러 34: 두께검지부
35: 검지롤러 36: 검지본체
37: 가이드브라켓 40: 매체방출부
42: 이송롤러 44: 이송밸트
본 발명은 매체자동지급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매체가 보관된 매체함에서 매체를 한장 씩 분리하여 방출하는 매체분리 및 방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매체(Media)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지폐, 수표, 티켓, 증명서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폭이나 길이에 비해 두께가 매우 얇은 다양한 것이 있을 수 있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매체자동지급기 내에는 매체함(1)이 설치된다. 상기 매체함(1)은 매체자동지급기 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분리가능하게 별도로 구성된다. 상기 매체함(1)의 내부에는 매체(m)를 일방향으로 밀어주는 밀판(미도시)이 구비된다.
상기 밀판에 의해 밀려지는 매체(m)는 픽업롤러(3)에 밀착된다. 상기 픽업롤러(3)는 별도의 구동원에 의해 회전되는 픽업롤러축(4)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매체(m)를 픽업하여 이송시키기 시작한다.
한편, 상기 픽업롤러(3)에 의해 픽업된 매체(m)를 한장씩 이송시키기 위해 피드롤러(5)가 구비된다. 상기 피드롤러(5)는 피드롤러축(6)에 다수개가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상기 피드롤러(5)의 일부 구간에는 매체(m)와의 마찰력을 높이기 위한 구성이 구비된다. 이러한 피드롤러(5)는 상기 피드롤러축(6)에 연결된 별도의 구동원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피드롤러(5)와 협력하여 매체(m)를 한장씩 분리하도록 콘트라롤러(7)가 구비된다. 상기 콘트라롤러(7)는 콘트라롤러축(8)에 설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콘트라롤러(7)는 회전하는 피드롤러(5)와 협력하여 매체(m)가 한장씩 이송되게 한다. 상기 콘트라롤러축(8)은 콘트라브라켓(8a)에 지지되는데, 상기 콘트라브라켓(8a)은 판스프링(8b)에 지지되어 상기 콘트라롤러축(8)이 상기 피드롤러축(6)에 인접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한다.
한편, 상기 피드롤러(5)와 콘트라롤러(7) 사이로 전달되는 매체(m)를 안내하기 위해 인입가이드(9)가 구비된다. 상기 인입가이드(9)는 매체(m)를 기준으로 상기 픽업롤러(3)의 반대쪽인, 상기 피드롤러(5)와 콘트라롤러(7)로 진입하기 전의 위치에 있다.
상기 피드롤러(5)와 콘트라롤러(7)를 통과한 위치에는 제 1 및 제 2아이들롤러(11a, 11b)가 구비된다. 상기 제 1 및 제 2아이들롤러(11a, 11b) 각각은 스프링(12a, 12b)에 의해 상기 피드롤러(5)의 외주면에 밀착된다. 상기 제 1 및 제 2아이들롤러(11a, 11b)는 상기 피드롤러(5)와 콘트라롤러(7)를 통과한 매체(m)를 이하에서 설명될 이송롤러(13)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송롤러(13)는 상기 제 1 및 제 2아이들롤러(11a, 11b)로부터 상기 매체(m)를 인입하여 소정위치로 상기 매체(m)를 방출하기 위해 상기 제 2아이들롤러(11b)와 소정위치 사이에 다수개가 설치된다. 이러한 이송롤러(13)는 상기 제 2아이들롤러(11b)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서로의 외주연이 접촉하는 한 쌍의 제 1이송롤러(13a)와, 상기 제 1이송롤러(13a)를 통과한 매체를 이송하는 이송밸트(15)를 구동하기 위한 제 2이송롤러(13b)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이송롤러(13b) 사이에는 상기 제 2이송롤러(13b)의 회전에 따라 소정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매체(m)를 실질적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밸트(15)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이송밸트(15)는 상기 제 2이송롤러(13b)에 의해 텐션이 조정되는 두겹의 밸트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1이송롤러(13a)를 통과한 매체(m)는 상기 두겹의 이송밸트(15) 사이로 인입되어 소정위치로 이송되게 된다.
이러한 제 2이송롤러(13b)와 이송밸트(15)로 구성되는 이송경로상에는 매체인입감지센서(미도시), 피드센서(미도시) 등의 센서와 두께를 감지하기 위한 두께검지부(17)와 데이텀롤러(19)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매체인입감지센서는 상기 피드롤러(5)와 콘트라롤러(7) 사이로 매체(m)가 진입되어 이송경로상으로 이송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피드센서는 매체(m)와 매체(m) 사이의 간격이 일정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그렇지 못한 경우 매체자동지급기가 상기 매체(m)를 리젝트(reject)시키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두께검지부(17)는 상대물인 데이텀롤러(19)와 상기 두께검지부(17)의 검지롤러(18) 사이로 상기 매체(m)가 이송될 때 상기 데이텀롤러(19)와 검지롤러(18) 사이에 이격된 간격을 감지하여 상기 매체(m)의 두께를 측정한다. 즉, 상기 두께검지부(17)에서는 상기 매체(m)가 상기 피드롤러(5)와 콘트라롤러(7) 사이에서 여러장으로 분리되었는지 또는 한장씩 분리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기술에서는 매체인입감지센서, 피드센서 등의 센서와 두께를 감지하 기 위한 두께검지부(17)와 데이텀롤러(19)가 이송경로상에 배치되었다. 따라서 종래기술에서는 매체방출부분이 차지하는 공간이 증대되어 전체 매체자동지급기의 크기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기술은 매체인입여부를 매체인입감지센서가 별도로 감지하고, 이송되는 매체(m)간의 간격이 적절한지의 여부를 피드센서가 별도로 감지하였다. 따라서 종래기술에서는 각각의 기능을 위한 별도의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장치가 복잡해지고 제작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두께검지부를 피드롤러의 외주연에 접촉되게 그 위치를 변경하여 분리 및 두께검지 기능을 통합한 매체자동지급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드롤러에 접촉되게 배치된 두께검지부가 매체의 두께뿐 아니라 인입여부도 판단하게 하는 매체자동지급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두께검지부가 여러장으로 분리된 매체의 두께를 판단하여 바로 리젝트여부를 판단하는 매체자동지급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저장된 매체를 한장씩 분리하고 여러장의 매체가 동시에 분리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매체분리부와, 상기 매체분리부로부터 인입된 매체를 이송시켜 소정위치로 방출하는 매체방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매체분리부는, 회전하는 픽업롤러축에 설치되어 매체함에 장입되어 있는 매체를 픽업하여 이송시키는 픽업롤러와, 회전하는 피드롤러축에 설치되고 상기 픽업롤러로부터 공급된 매체의 일면에 밀착되어 마찰력으로 상기 매체를 이송시키는 피드롤러와, 상기 피드롤러와 협력하여 상기 매체를 한장씩 분리하도록 콘트라롤러축에 설치되는 콘트라롤러와, 상기 피드롤러와 콘트라롤러를 통하여 분리된 매체의 두께를 검지하기 위해 상기 피드롤러의 외주연에 접촉하여 설치되는 두께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매체분리부는 상기 콘트라롤러와 두께검지부 사이에서 상기 매체를 상기 두께검지부로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피드롤러에 접촉하여 회전하는 아이들롤러를 더 구비한다.
상기 매체방출부는, 상기 매체분리부로부터 인입된 매체를 소정위치로 방출하기 위해 상기 두께검지부와 소정위치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설치되는 이송롤러와, 상기 이송롤러 상호간을 연결하여 상기 이송롤러의 회전에 따라 일정방향으로 순회하는 이송밸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두께검지부는, 상기 매체의 이송방향으로 회전하며 실질적으로 상기 피드롤러와의 사이로 이송되는 매체에 접촉하는 검지롤러와, 상기 검지롤러가 상기 피드롤러 방향으로 복원력을 갖도록 상기 검지롤러를 지지하고, 상기 매체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검지롤러와 피드롤러 사이의 간격을 기초로 상기 매체의 두께를 검출하는 검지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매체분리부에는, 상기 검지롤러와 피드롤러 사이를 통과한 매체를 상기 이송롤러로 안내하기 위해 상기 두께검지부의 상단부에 설치된 가이드브라켓이 더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매체를 가이드하기 위한 아이들롤러의 수를 줄일 수 있고, 두께검지부의 상대물을 피드롤러로 대체함으로써 제작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매체분리부(20)는 매체함(22), 픽업롤러(24), 피드롤러(26), 콘트라롤러(28), 아이들롤러(32) 및 두께검지부(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매체방출부(40)는 이송롤러(42)와 이송밸트(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매체분리부(20)에 대해 설명하면, 매체함(22)은 많은 양의 매체(m)를 장입한 상태로 매체자동지급기에 장착되어 매체(m)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매체함(22)의 내부에는 매체(m)를 일방향으로 밀어주는 밀판(미도시)이 구비된다. 상기 밀판은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지지되어 매체(m)를 소정 방향으로 밀어준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은 길이가 긴 코일 스프링이다.
상기 밀판에 의해 밀려지는 매체(m)는 픽업롤러(24)에 밀착된다. 상기 픽업롤러(24)는 별도의 구동원에 의해 회전되는 픽업롤러축(25)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 기 매체(m)를 픽업하여 이송시키기 시작한다.
한편, 상기 픽업롤러(24)에 의해 픽업된 매체(m)를 한장씩 이송시키기 위해 피드롤러(26)가 구비된다. 상기 피드롤러(26)는 피드롤러축(27)에 다수개가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상기 피드롤러(26)의 일부 구간에는 매체(m)와의 마찰력을 높이기 위한 구성이 구비된다. 이러한 피드롤러(26)는 상기 피드롤러축(27)에 연결된 별도의 구동원에 의해 회전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픽업롤러(24)를 구동하는 구동원에 의해 구동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픽업롤러축(25)과 피드롤러축(27)이 밸트 등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상기 픽업롤러축(25)에 가해지는 구동력이 상기 피드롤러축(27)에 전달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피드롤러(26)는 이하에서 설명될 검지본체(36)가 정확한 두께를 감지하도록 상기 검지롤러(35)에 대응되는 상대구조물로서 종래의 데이텀롤러와 동일한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피드롤러(26)는 약 3/100㎜의 공차로 정밀하게 가공되므로 종래의 데이텀롤러를 대체할 수 있어 이하에서 설명될 두께검지부(34)가 매체분리부(20)에 설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피드롤러(26)와 협력하여 매체(m)를 한장씩 분리하도록 콘트라롤러(28)가 상기 피드롤러(26)의 외주연에 대응되게 구비된다. 상기 콘트라롤러(28)는 콘트라롤러축(29)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콘트라롤러(28)는 회전하는 피드롤러(26)와 협력하여 매체(m)가 한장씩 이송되게 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콘트라롤러(28)가 회전되지 않는 것으로 구성하였으나, 상기 피드롤러(26)가 상기 매체(m)를 이송시키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콘트라롤러축(29)은 콘트라브라켓(29a)에 지지되는데, 상기 콘트라브라켓(29a)은 판스프링(29b)에 지지되어 상기 콘트라롤러축(29)이 상기 피드롤러(26)축(27)에 인접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한다.
한편, 상기 피드롤러(26)와 콘트라롤러(28) 사이로 전달되는 매체(m)를 안내하기 위해 인입가이드(30)가 구비된다. 상기 인입가이드(30)는 매체(m)를 기준으로 상기 픽업롤러(24)의 반대쪽인, 상기 피드롤러(26)와 콘트라롤러(28)로 진입하기 전의 위치에 있다.
상기 피드롤러(26)와 콘트라롤러(28)를 통과한 위치에는 아이들롤러(32)가 구비된다. 상기 아이들롤러(32)는 스프링(33)에 의해 상기 피드롤러(26)의 외주연에 밀착된다. 상기 아이들롤러(32)는 상기 피드롤러(26)와 콘트라롤러(28)를 통과한 매체(m)를 이하에서 설명될 두께검지부(34)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두께검지부(34)는 상기 피드롤러(26)와 콘트라롤러(28)를 통과한 매체(m)가 한장씩 분리되었는지, 아니면 여러장이 겹쳐져 분리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이렇게 매체(m)의 두께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두께검지부(34)는 상기 매체(m)가 상기 피드롤러(26)와 콘트라롤러(28) 사이로 인입되었는지를 감지하는 매체인입 판단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두께검지부(34)는 상기 피드롤러(26)의 외주연에 접촉하여 설치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매체(m)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피드롤러(26)의 외주연을 따라 콘트라롤러(28), 아이들롤러(32)와 두께검지부(34)가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두께검지부(34)는 검지롤러(35)와 검지본체(36)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검지롤러(35)는 상기 매체(m)의 이송방향으로 회전하며 실질적으로 상기 피드롤러(26)와의 사이로 이송되는 상기 매체(m)에 접촉된다. 이때 상기 검지롤러(35)는 상기 검지본체(36)에 지지되어 상기 피드롤러(26)에 접촉되는데, 상기 매체(m)의 두께에 따라 상기 피드롤러(26)와 일정간격 이격될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검지롤러(35)는 상기 피드롤러(26)와 콘트라롤러(28)를 통과한 매체(m)를 이하에서 설명될 이송롤러(42)로 안내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즉, 상기 검지롤러(35)는 상기에서 언급된 아이들롤러(32)와 같이 상기 매체(m)를 이송롤러(42)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검지본체(36)는 상기 검지롤러(35)가 상기 피드롤러(26) 방향으로 복원력을 갖도록 상기 검지롤러(35)를 지지하고, 상기 매체(m)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검지롤러(35)와 상기 피드롤러(26) 사이의 간격을 기초로 하여 상기 매체(m)의 두께를 검출한다. 이때 상기 검지본체(36)가 상기 매체(m)의 두께를 측정하는 방법은 본 분야에 잘 알려진 통상의 기술이 적용되는 것이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검지본체(36)가 상기 검지롤러(35)를 상기 피드롤러(26) 방향으로 유동되며 접촉될 수 있게 하는 것은 예를 들면, 스프링을 사용하는 등의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가이드브라켓(37)은 상기 검지본체(36)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검지롤러(35)와 피드롤러(26)를 통과한 매체(m)가 이송롤러(42)로 인입될 수 있게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가이드브라켓(37)은 판상으로 구성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각도로 절곡되어 상기 매체(m)의 양단을 지지하며 상기 매체 (m)를 안내하게 된다.
상기 매체분리부(20)에서 한장씩 분리된 매체(m)는 이송롤러(42)와 이송밸트(44)로 구성된 매체방출부(40)로 전달된다. 먼저 이송롤러(42)는 상기 두께검지부(34)로부터 두께가 검지된 매체(m)를 인입하여 소정위치로 상기 매체(m)를 방출하기 위해 상기 두께검지부(34)에 인접한 위치로부터 이송될 위치까지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배치된다.
이때 상기 이송롤러(42) 사이에는 상기 이송롤러(42)의 회전에 따라 소정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매체(m)를 실질적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밸트(44)가 구비된다. 즉, 상기 이송롤러(42)는 회전에 의해 상기 이송밸트(44)를 소정방향으로 순환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이송밸트(44)는 상기 매체(m)를 소정위치로 이송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밸트(44)는 상기 이송롤러(42)에 의해 텐션이 조정되는 한겹의 밸트로 구성된다. 즉, 두겹의 밸트로 구성되어 밸트와 밸트 사이에 상기 매체(m)가 안착되게 하여 매체(m)를 이송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한겹의 이송밸트(44)가 상기 매체(m)와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상기 매체(m)를 이송하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즉, 본 발명에서는 일반적으로 마찰력이 있는 고무재질로 구성되고 고속으로 각각 회전 및 이동되는 이송롤러(42)와 이송밸트(44)를 통해 상기 매체(m)는 상기 이송밸트(44)에 밀착된 채로 이송되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작용을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매체함(22)에 장입되어 있는 매체(m)는 밀판에 의해 항상 상기 픽업롤러(24) 의 방향으로 밀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픽업롤러(24)가 회전되면 픽업롤러(24)에 밀착되어 있던 매체(m)가 이송된다.
상기 매체(m)는 상기 인입가이드(30)에 안내되면서 상기 피드롤러(26)와 콘트라롤러(28)의 사이로 상기 피드롤러(26)의 회전에 의해 들어간다. 상기 피드롤러(26)와 콘트라롤러(28)의 사이로 들어간 매체(m)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장씩 분리되어 통과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피드롤러(26)는 상기 픽업롤러(24)의 구동을 위한 구동원에 의해 동시에 회전되나, 상기 콘트라롤러(28)는 회전하지 않고 정지상태로 있다. 따라서 상기 매체(m)가 여러장이 한번에 인입되더라도 상기 피드롤러(26)에 접촉되는 매체(m)만이 전달되고 상기 콘트라롤러(28)와 접촉하는 매체(m)는 이송되지 않고 일단 피드롤러(26)에 접촉된 매체(m)가 이송된 후에 이송이 진행된다. 한편,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콘트라롤러(28)를 상기 피드롤러(26)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게 하여도 매체(m)의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피드롤러(26)와 콘트라롤러(28)를 통과한 매체(m)는 상기 아이들롤러(32)와 피드롤러(26) 사이 및 검지롤러(35)와 피드롤러(26) 사이를 연속적으로 통과하여 이송된다. 이때 상기 아이들롤러(32)는 스프링(33)의 탄성력으로 상기 피드롤러(26)의 외주면에 매체(m)를 밀착시키면서 이송시키고, 상기 검지롤러(35)는 검지본체(36)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피드롤러(26)의 외주연에 매체(m)를 밀착시키면서 이송시킨다.
그런데 상기 검지롤러(35)와 피드롤러(26) 사이로 통과하는 매체(m)는 한장 일 수도 있지만, 여러장인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검지본체(36)는 상기 검지롤러(35)가 상기 매체(m)의 두께로 인해 상기 피드롤러(26)로부터 이격되는 간격을 감지하여 상기 매체(m)의 두께를 측정하여 리젝트(reject)시킬 것인가의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콘트라롤러(28)와 피드롤러(26) 사이에 매체(m)가 공급되었는지의 여부도 따로 판단할 필요가 없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여러장이 동시에 분리된 매체(m)가 이송경로상에서 낱장으로 분리되며 벌어짐으로써 상기 매체(m)간의 간격이 좁아지는지의 여부를 감지할 필요가 없게 된다. 즉, 낱장간의 간격을 측정하는 피드센서를 별도로 배치할 필요없이 여러장의 매체(m)가 동시에 분리되었는지 여부를 두께검지부(34)가 판단하여 바로 리젝트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검지롤러(35)와 피드롤러(26)를 통과한 매체(m)는 상기 검지본체(36)의 상단에 설치된 가이드브라켓(37)에 안내되어 이송롤러(42)로 인입된다. 이때 상기 이송롤러(42)는 이송될 소정위치까지 이송밸트(44)에 의해 다수개가 연결되어 있어, 상기 이송롤러(42)로 인입된 매체(m)는 상기 이송롤러(42)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이송밸트(44)와의 마찰력으로 인해 상기 이송밸트(44)에 가이드되어 소정위치까지 이송된다. 여기서 상기 소정위치가 배출구라면 상기 매체(m)는 상기 이송밸트(44)에 가이드되어 이송되다가 상기 배출구로 방출될 것이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 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는 두께검지부가 다수개의 이송롤러에 의한 매체의 이송구간 중에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피드롤러의 외주연에 접촉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매체를 가이드하기 위한 아이들롤러의 수를 줄일 수 있고, 두께검지부의 상대물을 피드롤러로 대체함으로써 제작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매체방출부에 배치되던 두께검지부를 매체분리부로 변경 배치하고 상기 두께검지부의 상대물이었던 데이텀롤러를 삭제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상기 매체방출부의 크기가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드롤러에 접촉되게 배치된 두께검지부가 매체의 두께뿐 아니라 인입여부도 판단하게 함으로써 별도로 매체인입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센서를 구비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두께검지부가 여러장으로 분리된 매체의 두께를 감지하여 바로 리젝트여부를 판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송경로상에서 여러장의 매체가 낱장으로 분리되어 그 간격이 좁아지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리젝트시키기 위한 피드센서를 구비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저장된 매체를 한장씩 분리하고 여러장의 매체가 동시에 분리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매체분리부; 및
    상기 매체분리부로부터 인입된 매체를 이송시켜 소정위치로 방출하는 매체방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매체분리부는,
    회전하는 픽업롤러축에 설치되어 매체함에 장입되어 있는 매체를 픽업하여 이송시키는 픽업롤러;
    회전하는 피드롤러축에 설치되고 상기 픽업롤러로부터 공급된 매체의 일면에 밀착되어 마찰력으로 상기 매체를 이송시키는 피드롤러;
    상기 피드롤러와 협력하여 상기 매체를 한장씩 분리하도록 콘트라롤러축에 설치되는 콘트라롤러; 및
    상기 매체의 이송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피드롤러와의 사이로 이송되는 매체에 접촉하는 검지롤러가 상기 피드롤러의 외주연에 접촉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검지롤러와 상기 피드롤러 사이의 간격을 기초로 상기 검지롤러와 상기 피드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매체의 두께를 검지하는 검지본체는 상기 검지롤러가 상기 피드롤러 방향으로 복원력을 갖도록 상기 검지롤러를 지지하는 두께검지부;를 포함하는 매체자동지급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분리부는 상기 콘트라롤러와 두께검지부 사이에서 상기 매체를 상기 두께검지부로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피드롤러에 접촉하여 회전하는 아이들롤러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방출부는,
    상기 매체분리부로부터 인입된 매체를 소정위치로 방출하기 위해 상기 두께검지부와 소정위치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설치되는 이송롤러;
    상기 이송롤러 상호간을 연결하여 상기 이송롤러의 회전에 따라 일정방향으로 순회하는 이송밸트;를 포함하는 매체자동지급기.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분리부는, 상기 콘트라롤러와 두께검지부 사이에서 상기 매체를 상기 두께검지부로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피드롤러에 접촉하여 회전하는 아이들 롤러를 더 구비하는 매체자동지급기.
  6. 삭제
KR1020040103750A 2004-12-09 2004-12-09 매체자동지급기 KR101062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3750A KR101062536B1 (ko) 2004-12-09 2004-12-09 매체자동지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3750A KR101062536B1 (ko) 2004-12-09 2004-12-09 매체자동지급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5043A KR20060065043A (ko) 2006-06-14
KR101062536B1 true KR101062536B1 (ko) 2011-09-06

Family

ID=37160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3750A KR101062536B1 (ko) 2004-12-09 2004-12-09 매체자동지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25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40030B2 (ja) * 2009-05-21 2013-11-13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取扱装置
KR101153639B1 (ko) * 2011-01-05 2012-06-18 엘지엔시스(주) 매체처리장치 및 방법과 금융기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2372B1 (ko) * 1998-04-09 2001-06-01 구자홍 지폐자동입출금기의지폐두께검지장치
KR100379355B1 (ko) * 2000-10-18 2003-04-11 태남정보통신 주식회사 지폐출납기의 지폐 자동인출장치
KR100779525B1 (ko) * 2001-01-12 2007-11-27 엘지엔시스(주) 매체자동지급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2372B1 (ko) * 1998-04-09 2001-06-01 구자홍 지폐자동입출금기의지폐두께검지장치
KR100379355B1 (ko) * 2000-10-18 2003-04-11 태남정보통신 주식회사 지폐출납기의 지폐 자동인출장치
KR100779525B1 (ko) * 2001-01-12 2007-11-27 엘지엔시스(주) 매체자동지급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5043A (ko) 2006-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193286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該装置のジャム検出方法
JP2006084274A (ja) 厚み検知装置
JP2006227951A (ja) 鑑別装置及びローラ
CN102030201A (zh) 纸片材拾取装置
KR101062536B1 (ko) 매체자동지급기
KR101053728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
US5590790A (en) Apparatus including a vacuum pump for assessing the condition of a bank note by measuring airflow drawn through the bank note
KR20080015359A (ko) 지엽류 분리 조출 기구
JP2005255409A (ja) 紙葉類の繰出装置
KR101960817B1 (ko) 매체 분리장치
WO2010089766A1 (en) Skew correction using split-roller
KR101408575B1 (ko) 수평방향으로 복수의 집적부를 갖는 매체집적장치 및 매체집적방법
US20040256788A1 (en) Feed Device for Stacks of Paper, Plastic Material or the Like
KR100564975B1 (ko) 시트류 처리 장치와 시트류 처리 방법
US6361043B1 (en) Sheet dispenser mechanism
KR101062614B1 (ko) 매체자동지급기, 매체분리장치 및 매체분리방법
JP2009083955A (ja) 媒体厚み検知装置
KR100961576B1 (ko) 종이매체 공급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9163004A1 (ja) 紙葉類分離装置及び紙葉類分離方法
JP2003312895A (ja) 重走検知装置
KR101066307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더블 픽업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매체 피딩 방법
JP2000331197A (ja) 発券装置
KR100935756B1 (ko) 종이매체 공급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071482B1 (ko) 압전재료를 이용한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
KR100239772B1 (ko) 지로(giro)용지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