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5359A - 지엽류 분리 조출 기구 - Google Patents

지엽류 분리 조출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5359A
KR20080015359A KR1020070069273A KR20070069273A KR20080015359A KR 20080015359 A KR20080015359 A KR 20080015359A KR 1020070069273 A KR1020070069273 A KR 1020070069273A KR 20070069273 A KR20070069273 A KR 20070069273A KR 20080015359 A KR20080015359 A KR 20080015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paper sheet
paper
banknote
p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9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3752B1 (ko
Inventor
사토루 이와사키
신지 사도
Original Assignee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15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5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3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3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22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65H3/50Elements, e.g. fingers, plates, rollers, inserted or traversed between articles to be separated and remainder of the pil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07D11/165Pi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과제) 지폐의 조출 (繰出) 을 실시할 때에 최초로 조출하는 지폐가 경사진 상태가 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지폐를 수납하는 지폐 수납부 (2) 와, 픽업 롤러 (10) 를 설치하고, 지폐의 조출을 개시할 때에, 픽업 롤러 (10) 를 저속으로 소정 횟수만큼 회전시켜 지폐를 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폐, 픽업 롤러, 빌프레스 롤러, 종동 롤러

Description

지엽류 분리 조출 기구{PAPER SHEET TAKE-OUT APPARATUS FOR SEPARATING PAPER SHEET}
본 발명은, 집적된 지폐나 티켓 등의 지엽류를 롤러에 의해 1 매씩 분리하여 조출 (繰出) 하는 지엽류 분리 조출 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출 불량에 의해 지엽류를 검출할 수 없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종래의 지엽류 분리 기구는, 지엽류를 조출할 때에 빌프레스를 이동시킴으로써 집적되어 있는 지엽류를 픽업 롤러로 누름과 함께, 픽업 롤러를 회전시켜 지엽류를 1 매씩 분리하여 피드 롤러와 분리 롤러 사이에서 조출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147749호 (4 페이지 단락 0019-단락 0020, 도 1)
그러나, 상기 서술한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픽업 롤러로 지엽류를 조출할 때에, 픽업 롤러의 고속 회전의 기세에 의해 지엽류의 자세가 경사진 채로 피드 롤러와 분리 롤러 사이에 끼워져 버리는 경우가 있다.
특히 최초의 지엽류가 조출되고 나서 피드 롤러와 분리 롤러 사이에 끼워지면, 그 후에 계속되는 지엽류는 지엽류간의 마찰에 의해 최초의 지엽류가 조출되는 것에 부수하도록 하여 피드 롤러측까지 이동하기 때문에, 최초의 지엽류가 조출될 때에 경사진 상태가 되어 버렸을 경우에는, 후에 계속되는 지엽류의 자세도 경사진 상태가 되고, 이것이 원인이 되어 지엽류의 반송 잼을 일으킨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지엽류의 조출을 실시할 때 최초로 조출하는 지엽류가 경사진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지엽류를 수납하는 수납고와, 그 수납고로부터 지엽류를 조출하는 픽업 롤러를 설치하고, 지엽류의 조출을 개시할 때에, 그 픽업 롤러를 통상적인 속도보다 저속으로 소정 횟수만큼 회전시켜 지엽류를 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픽업 롤러를 저속으로 회전시켜 지엽류를 천천히 조출해 가기 때문에, 지엽류가 경사진 상태에서 조출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지폐의 조출을 개시했을 때에 픽업 롤러를 저속 회전시켜 최초의 지폐를 조출함으로써 조출되는 지폐가 경사진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안정적인 지폐의 조출을 실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지엽류 분리 조출 기구의 실시예 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 은, 실시예 1 의 지엽류 분리 조출 기구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1 에 있어서, 1 은 지엽류 분리 조출 기구이다.
2 는 지엽류 수납부 (수납고) 로서, 프런트판 (2a) 과 이것에 대향하여 설치된 리어판 (2b), 프런트판 (2a) 과 리어판 (2b) 의 측방에 설치된 한 쌍의 측면판 및 하방에 설치된 저판 (2c) 으로 이루어지는 케이스로서, 저판 (2c) 에 지폐 (P) 를 집적하여 수납한다.
지엽류 수납부 (2) 는 그 상부에 수납하는 지폐 (P) 를 거두어들이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지폐 수용구를 구비하고, 또 저판 (2c) 과 프런트판 (2a) 사이에는 지폐 (P) 를 조출하기 위한 지엽류 조출구 (3) 가 형성되어 있다.
4 는 빌프레스 (가압 부재) 로서, 도시하지 않은 승강 기구에 의해 지엽류 수납부 (2) 내에서 승강 가능하게 구성되고, 지엽류 수납부 (2) 에 지폐 (P) 가 집적될 때에는, 그 집적에 방해가 되지 않게 상승함으로써 퇴피하고, 지엽류 수납부 (2) 로부터 지폐 (P) 가 조출되는 경우에는 하강하여 집적된 지폐 (P) 를 누르는 것에 의해 조출이 원활히 행해지도록 한다.
5 는 피드 롤러로서, 지엽류 조출구 (3) 에 설치되어 정역 (正逆) 가능하게 회전하고, 외주면에는 그 일부에 지엽류 (P) 의 반송을 위해서 충분한 마찰력을 갖는 고마찰 부재 (6) 가 장착됨과 함께, 원주 방향 전체 영역에 걸친 링 형상의 홈부가 2 개 병렬 형성되어 있다.
7 은 분리 롤러로서, 피드 롤러 (5) 에 대향 배치되고, 그 외주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링 형상의 홈부가 1 개 형성되고, 대향하는 피드 롤러 (5) 의 홈부와 볼록부에 맞물리도록 배치된다.
또 분리 롤러 (7) 는, 지폐 (P) 를 조출 방향으로 반송할 때에 복수의 지폐가 조출되고, 지폐가 피드 롤러 (5) 와의 사이에 끼였을 때에, 분리 롤러 (7) 와 지폐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이, 조출 방향으로 회전하는 피드 롤러 (5) 와 지폐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보다도 작고, 지폐끼리 작용하는 마찰보다도 커지도록 그 재질 등이 결정되어 있고, 이로써 복수의 지폐가 피드 롤러 (5) 에 끼였을 때에 지폐의 중복 이송을 방지한다.
8 은 지폐 검지 센서로서, 발광부와 수광부로 이루어지고, 발광부로부터의 광이 피드 롤러 (5) 와 분리 롤러 (7) 사이에 끼는 지폐 (P) 에 의해 차단됨으로써 지폐 (P) 를 검지한다.
10 은 픽업 롤러로서, 피드 롤러 (5) 의 조출 방향의 상류측에 배치되고, 그 외주의 일부에 지엽류 (P) 의 반송을 위해서 충분한 마찰력을 가진 고마찰 부재 (10a) 가 장착되어 있고, 벨트 등에 의해 피드 롤러 (5) 와 연동하여 회전한다.
또한, 상기 저판 (2c) 에는, 픽업 롤러 (10) 의 외주의 일부를 지엽류 수납부 (2) 의 내부에 돌출시키기 위한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픽업 롤러 (10) 의 고마찰 부재 (10a) 는, 픽업 롤러 (10) 의 다른 둘레면에 비해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고마찰 부재 (10a) 는 그 둘레 길이 (10b) 가, 지엽류 조출구 (3) 로부터 지폐 (P) 가 피드 롤러 (5) 와 분리 롤러 (7) 사이에 끼이는 위치까지의 거리 이상의 길이가 되도록 형성된다.
11 은 돌기부로서, 픽업 롤러 (10) 의 도시하지 않은 회전축과 평행으로 형성되어 있고, 픽업 롤러 (10) 의 회전과 함께 회전한다.
12 는 픽업 롤러 회전 검지 센서로서, 발광부와 수광부로 이루어지고, 발광부로부터의 광이 돌기부 (11) 에 의해 차단됨으로써 픽업 롤러 (10) 의 회전을 검지한다.
도 2 는 지엽류 분리 조출 기구의 종동 롤러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1 에 나타내는 화살표 A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2 에 있어서, 13 은 종동 롤러로서, 분리 롤러 (7) 보다도 지폐 (P) 의 조출 방향의 하류측에서 피드 롤러 (5) 와 축방향으로 어긋난 상태에서 포갤 수 있는 상자 형상으로 배치되고, 피드 롤러 (5) 사이에서 지폐 (P) 를 끼워 반송한다.
도 3 은 실시예 1 의 지엽류 분리 조출 기구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 에 있어서, 15 는 제어부로서, 기억부 (16) 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프 로그램에 따라 지엽류 분리 조출 기구 (1) 의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기억부 (16) 는, 제어부 (15) 가 실행하는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것 외에, 제어부 (15) 에 의한 처리 결과 등을 기억한다.
또한, 기억부 (16) 는 지폐 (P) 의 조출을 개시했을 때에 픽업 롤러 (10) 의 회전 속도가 통상적인 10 분의 1 정도의 저속 회전이 되도록 하는 조출 모터 (17) 의 저구동력값을 기억하고 있다.
17 은 조출 모터로서, 피드 롤러 (5) 를 회전시킴으로써, 픽업 롤러 (10) 를 회전시켜, 지엽류 수납부 (2) 로부터 지폐 (P) 를 조출하고, 조출한 지폐 (P) 를 더욱 반송하기 위한 모터이다.
18 은 반송 모터로서, 피드 롤러 (5) 에서 반송된 지폐 (P) 를 더욱 반송하는 도시하지 않은 지폐 반송로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이다.
19 는 지폐 카운트부로서, 지폐 검지 센서 (8) 에 의해 검지된 지폐 (P) 의 매수를 계수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서술한 구성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지엽류 수납부 (2) 로부터 지폐 (P) 를 조출할 때, 제어부 (15) 는 빌프레스 (4) 를 하강시켜 집적되어 있는 지폐 (P) 에 누르도록 하여, 기억부 (16) 에 기억되어 있는 저구동력값을 판독하고, 그 저구동력값에 따라 조출 모터 (17) 를 구동하여 픽업 롤러 (10) 를 저속 회전시킨다.
지엽류 수납부 (2) 에 집적되어 있는 가장 아래에 있는 지폐 (P1) 는, 저속 회전하는 픽업 롤러 (10) 의 고마찰 부재 (10a) 에 의해 피드 롤러 (5) 측을 향해 보내진다.
이 때, 고마찰 부재 (10a) 의 둘레 길이 (10b) 는, 지엽류 조출구 (3) 로부터 지폐 (P1) 가 피드 롤러 (5) 와 분리 롤러 (7) 에 끼이는 위치까지의 거리 L 이상의 길이이므로, 픽업 롤러 (10) 가 1 회전하기까지 조출된 지폐 (P1) 는, 피드 롤러 (5) 와 분리 롤러 (7) 사이에 끼워진다.
피드 롤러 (5) 와 분리 롤러 (7) 에 끼워진 지폐 (P1) 는, 피드 롤러 (5) 에 장착되어 있는 고마찰 부재 (6)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에 의해 더욱 반송된다.
여기서, 제어부 (15) 는 픽업 롤러 회전 검지 센서 (12) 에 의해 픽업 롤러 (10) 가 1 회전한 것을 검지했을 때에, 그 때까지 저속 회전시키고 있던 픽업 롤러 (10) 를 통상적인 속도로 회전시키도록 조출 모터의 구동력을 전환한다.
한편, 가장 아래에 있는 지폐 (P1) 가 조출되면 지폐간의 마찰에 의해 집적되어 있는 지폐 (P) 는 계단 형상으로 프런트판 (2a) 쪽으로 어긋나 가고, 다음으로 조출되는 지폐 (P) 는 프런트판 (2a) 에 접하여 정지되는 위치까지 옮겨진다. 그리고 통상적인 속도로 회전하도록 전환된 픽업 롤러 (10) 에 의해 지폐 (P) 는 차례로 조출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지폐의 조출을 개시했을 때에 픽업 롤러를 저속 회전시켜 최초의 지폐를 조출함으로써, 지폐가 경사진 상태에서 조출되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지폐의 조출을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에 있어서는 조출을 개시하여 최초의 지폐에 대해서 픽업 롤러를 저속 회전시킨다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최초의 지폐를 포 함하여 소정의 매수분 (예를 들어, 5 매분) 의 지폐에 대해서 픽업 롤러를 저속 회전시키도록 해도 된다.
실시예 2
도 4 는 실시예 2 의 지엽류 분리 조출 기구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4 에 있어서, 20 은 빌프레스 롤러이고, 그 회전축이 빌프레스 (4) 에 장착됨으로써 빌프레스 (4) 의 승강에 맞추어 승강하고, 또한 픽업 롤러 (10) 에 대향하도록 위치에 배치되며, 모터 등의 구동 기구와는 접속하고 있지 않고, 매우 작은 힘으로 공전하여, 빌프레스 (4) 가 하강했을 때에 빌프레스 대신에 지폐를 압접하게 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구성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 는 실시예 2 의 지엽류 분리 조출 기구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로서, 도 5(a) 는 측면도, 도 5(b) 는 화살표 B 방향으로부터 본 화살표도이다.
지엽류 수납부 (2) 로부터 지폐를 조출할 때, 도 5(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 (15) 는 빌프레스 (4) 를 하강시킴으로써 빌프레스 롤러 (20) 를 지폐에 가압시키고, 다음으로 기억부 (16) 에 기억되어 있는 저구동력값을 판독하고, 그 저구동력값에 따라 조출 모터 (17) 를 구동하여 픽업 롤러 (10) 를 저속 회전시킨다.
이로써, 도 5(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엽류 수납부 (2) 의 가장 아래에 서 픽업 롤러 (10) 에 접하고 있는 지폐 (P1) 는, 저속 회전하는 픽업 롤러 (10) 의 고마찰 부재 (10a) 에 의해 피드 롤러 (5) 쪽으로 보내진다.
이 때, 고마찰 부재 (10a) 의 둘레 길이 (10b) 는, 지엽류 조출구 (3) 로부터 지폐가 피드 롤러 (5) 와 분리 롤러 (7) 사이에 끼워진 위치까지의 거리 L 이상의 길이이므로, 픽업 롤러 (10) 가 1 회전할 때까지 조출된 지폐는, 피드 롤러 (5) 와 분리 롤러 (7) 사이에 끼워진다.
피드 롤러 (5) 와 분리 롤러 (7) 사이에 끼워진 지폐는, 피드 롤러 (5) 에 장착되어 있는 고마찰 부재 (6)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에 의해 더욱 반송된다.
여기서, 제어부 (15) 는 픽업 롤러 회전 검지 센서 (12) 에 의해 픽업 롤러 (10) 가 1 회전한 것을 검지했을 때에, 그 때까지 저속 회전시키고 있던 픽업 롤러 (10) 를 통상적인 속도로 회전시키도록 조출 모터의 구동력을 전환한다.
한편, 가장 아래에 있는 지폐가 조출되면, 지폐간의 마찰에 의해 집적되어 있는 지폐는 계단 형상으로 프런트판 (2a) 쪽으로 어긋나고, 다음으로 조출되는 지폐는 프런트판 (2a) 에 접하여 정지되는 위치까지 옮겨진다. 그리고 통상적인 속도로 회전하도록 전환된 픽업 롤러 (10) 에 의해 지폐는 차례로 조출되게 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조출되는 지폐는 빌프레스 롤러 (20) 가 압접하고 있기 때문에, 마지막 지폐가 조출될 때에는, 빌프레스 롤러 (20) 는 지폐와의 마찰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빌프레스 롤러 (20) 를 지폐에 가압시킴으로써, 마지막으로 조출되는 지폐에는 빌프레스 롤러 (20) 로부터의 마찰이 작용하지만, 빌프레스 롤 러 (20) 는 지폐의 조출에 맞추어 회전하기 때문에 지폐에 작용하는 마찰은 작아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1 의 효과에 추가로 빌프레스 대신에 지폐를 압접하는 빌프레스 롤러를 설치함으로써, 마지막 지폐를 조출할 때에 지폐를 압접하고 있는 빌프레스 롤러가 회전하고, 빌프레스를 직접 지폐에 압접하는 경우에 비해 지폐에 작용하는 마찰이 경감되므로, 마지막 지폐를 조출할 때에 지폐에 작용하는 마찰에 의해 지폐가 경사진 상태가 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지폐의 조출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픽업 롤러의 회전수를 세어 1 회전한 것을 검지하면, 저속 회전하고 있는 픽업 롤러를 통상적인 속도로 회전시키도록 한다고 설명했지만, 지폐 검지 센서에 의해 지폐 수납부로부터 조출되어 피드 롤러와 분리 롤러 사이에 끼우진 지폐를 검지했을 때에 픽업 롤러를 통상적인 속도로 회전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지폐의 조출을 예로 설명했지만, 지폐에만 한정되지 않고, 티켓 등의 지엽류에 적용하도록 해도 된다.
도 1 은, 실시예 1 의 지엽류 분리 조출 기구의 개략 측면도.
도 2 는, 지엽류 분리 조출 기구의 종동 롤러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3 은, 실시예 1 의 지엽류 분리 조출 기구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4 는, 실시예 2 의 지엽류 분리 조출 기구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
도 5 는, 실시예 2 의 지엽류 분리 조출 기구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지엽류 분리 조출 기구 2 지엽류 수납부
2a 프런트판 2b 리어판
2c 저판 3 지엽류 조출구
4 빌프레스 5 피드 롤러
6, 10a 고마찰 부재 7 분리 롤러
8 지폐 검지 센서 10 픽업 롤러
10b 둘레 길이 11 돌기부
12 픽업 롤러 회전 검지 센서 13 종동 롤러
15 제어부 16 기억부
17 조출 모터 18 반송 모터
19 지폐 카운트부 20 빌프레스 롤러

Claims (5)

  1. 지엽류를 수납하는 수납고와, 그 수납고로부터 지엽류를 조출하는 픽업 롤러를 설치하고,
    지엽류의 조출을 개시할 때에, 그 픽업 롤러를 통상적인 속도보다 저속으로 소정 횟수만큼 회전시켜 지엽류를 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분리 조출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조출된 지엽류를 반송하는 피드 롤러를 설치하고,
    상기 픽업 롤러는, 수납되어 있는 지엽류가 상기 피드 롤러까지 보내어지는 거리보다도 긴 둘레 길이의 고마찰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분리 조출 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조출된 지엽류를 검지하는 검지 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검지 센서에 의해 소정 매수분의 지엽류를 검지할 때까지 상기 픽업 롤러를 저속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분리 조출 기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엽류의 조출시에, 픽업 롤러에 지엽류를 누르는 가압 부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분리 조출 기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를 롤러로 하고,
    그 롤러는, 직접적으로 접하고 있는 지엽류가 조출될 때, 그 지엽류와의 마찰에 의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분리 조출 기구.
KR1020070069273A 2006-08-14 2007-07-10 지엽류 분리 조출 기구 KR1009937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20996 2006-08-14
JP2006220996A JP2008044708A (ja) 2006-08-14 2006-08-14 紙葉類分離繰出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5359A true KR20080015359A (ko) 2008-02-19
KR100993752B1 KR100993752B1 (ko) 2010-11-11

Family

ID=39093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9273A KR100993752B1 (ko) 2006-08-14 2007-07-10 지엽류 분리 조출 기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8044708A (ko)
KR (1) KR100993752B1 (ko)
CN (1) CN101125617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6032B1 (ko) * 2009-07-31 2015-11-04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집적장치
KR20200014728A (ko) * 2017-06-02 2020-02-11 니혼긴센기카이가부시키가이샤 지엽 적재 장치, 및 하중 조정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79596A (ja) * 2009-10-03 2011-04-21 Oki Electric Industry Co Ltd 紙葉類分離搬送装置
JP5821549B2 (ja) * 2011-11-10 2015-11-24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媒体分離繰出し機構
CN104053677B (zh) * 2012-01-23 2017-05-17 住友橡胶工业株式会社 环氧化天然橡胶的制造方法、轮胎用橡胶组合物及充气轮胎
CN106296986B (zh) * 2016-08-05 2023-02-28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纸币出入装置和纸币自动交易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03129A (ja) * 1988-02-08 1989-08-15 Toshiba Corp 給紙装置
JP2926111B2 (ja) * 1992-03-31 1999-07-28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幣自動支払装置
JPH10329965A (ja) * 1997-06-03 1998-12-15 Alps Electric Co Ltd 給紙装置
JP3560223B2 (ja) * 1998-09-17 2004-09-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紙葉類分離繰出装置
JP2000296607A (ja) * 1999-04-16 2000-10-24 Mutoh Ind Ltd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3976449B2 (ja) 1999-07-06 2007-09-19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処理装置及び紙幣入出金機
JP2002173244A (ja) 2000-09-27 2002-06-21 Nippon Conlux Co Ltd 紙葉類搬送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6032B1 (ko) * 2009-07-31 2015-11-04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집적장치
KR20200014728A (ko) * 2017-06-02 2020-02-11 니혼긴센기카이가부시키가이샤 지엽 적재 장치, 및 하중 조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044708A (ja) 2008-02-28
CN101125617A (zh) 2008-02-20
CN101125617B (zh) 2012-04-25
KR100993752B1 (ko) 2010-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15002B2 (ja) 紙葉類繰り出し機構
JP4723003B2 (ja) 紙葉類押さえ装置
KR100993752B1 (ko) 지엽류 분리 조출 기구
JPH0769485A (ja) シート処理装置
KR20220050409A (ko) 매체 입금기의 번들모듈
US5116037A (en) Apparatus for receiving and issuing sheets
KR20110056945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이송방법 및 그 장치
JP2009046298A (ja) 紙葉類集積装置
KR101099466B1 (ko) 매체분리 인출기구
JPH07137870A (ja) 紙幣繰出し装置
JP4415060B2 (ja) 紙葉類繰り出し機構
JP2908852B2 (ja) 紙葉類堆積装置
JP3943969B2 (ja) 紙葉類分離排出装置
KR20210061551A (ko) 매체 처리 장치
JPH1171055A (ja) 紙葉類堆積装置
JPS6181330A (ja) 紙葉類の取出装置
JP2990973B2 (ja) 紙葉計数装置における紙葉押え部材の制御方式
JP4707442B2 (ja) 給紙装置
KR20030054209A (ko) 현금자동지급기용 지폐분리부의 롤러간극조절장치
JPH10329962A (ja) シート送り装置
KR200379151Y1 (ko) 지폐류 출금기의 낱장분리장치
JPS62100331A (ja) 紙葉類の取出装置
JP2000007232A (ja) 紙葉類収納繰出し装置
KR20090096819A (ko) 매체입금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0466772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407

Effective date: 201007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