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8338B1 -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분리 장치 - Google Patents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8338B1
KR101508338B1 KR20120158760A KR20120158760A KR101508338B1 KR 101508338 B1 KR101508338 B1 KR 101508338B1 KR 20120158760 A KR20120158760 A KR 20120158760A KR 20120158760 A KR20120158760 A KR 20120158760A KR 101508338 B1 KR101508338 B1 KR 101508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mechanism
gate
medium
paper medium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158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7933A (ko
Inventor
조지윤
차진환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20158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8338B1/ko
Publication of KR20140087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7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8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8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실시예의 매체 분리 장치는 롤러 가이드 기구를 구비하여 게이트 롤러 기구로 이동되는 종이매체의 선단을 피드 롤러 기구로 회피시킬 수 있으며, 게이트 롤러 기구에 롤러 정회전 유닛을 구비하여 게이트 롤러 기구와 피드 롤러 기구의 사이로 종이매체의 선단이 진입하는 시점에서 게이트 롤러 기구를 정방향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이매체의 선단이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게이트 롤러 기구와 접촉해서 구겨지거나 접히는 문제가 완전히 해소될 수 있다.

Description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분리 장치 {MEDIUM SEPARATING APPARATUS FOR AUTOMATIC TELLER MACHINE}
본 발명은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종이매체의 분리시 역회전되는 게이트 롤러에 의해 종이매체의 선단이 구겨지거나 접히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융자동화기기(Automatic Teller Machine, ATM)는 금융서비스와 관련하여 시간 및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고, 은행 직원 없이도 카드나 통장을 이용하여 지폐 및 수표의 입출금과 같은 기본적인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자동화 장치이다. 최근에는 은행과 같은 금융기관뿐만 아니라 편의점, 백화점, 및 공공장소 등에서도 금융자동화기기의 사용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금융자동화기기는 입출금 여부에 따라 출금기와 입금기 및 입출금기로 구분될 수 있다. 최근 들어, 금융자동화기기는 지폐의 입출금은 물론 수표(Check)의 입출금, 통장 정리, 지로요금 납부, 티켓 발매 등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종이매체는 낱장으로 입출금되거나 또는 번들 형태로 입출금될 수 있다. 최근에는 고객의 편의를 위하여 종이매체를 번들 형태로 입출금하는 금융자동화기기가 많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금융자동화기기에는 번들(bundle) 형태로 입금된 종이매체를 낱장으로 분리하는 매체 분리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번들 형태로 입금된 종이매체들을 "번들형 매체"로 표현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매체 분리 장치는, 픽업 롤러를 이용하여 번들형 매체 중에서 최상층의 종이매체부터 한 장씩 픽업하고, 피드 롤러 기구와 게이트 롤러를 이용하여 픽업된 종이매체를 피치 롤러로 이송하며, 피치 롤러를 이용하여 종이매체를 매체 이송 모듈로 전달한다.
특히, 종이매체가 이송되는 정방향으로 피드 롤러 기구를 회전시키고 종이매체의 이송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게이트 롤러를 회전시키면, 피드 롤러 기구와 게이트 롤러의 사이에서 이매의 종이매체들을 분리시킬 수 있다. 그런데, 게이트 롤러가 종이매체의 이송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종이매체의 선단이 게이트 롤러에 먼저 접촉될 경우, 종이매체가 게이트 롤러에 의해 구겨지거나 접힐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게이트 롤러 기구와 피드 롤러 기수의 사이로 진입하는 종이매체를 게이트 롤러 기구에서 피드 롤러 기구로 원활하게 회피시킬 수 있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분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게이트 롤러 기구와 피드 롤러 기구의 사이로 종이매체의 선단이 진입할 경우 게이트 롤러 기구가 순간적으로 정회전할 수 있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분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매체 출입구로 입금된 번들형 매체로부터 낱장의 종이매체를 분리하여 매체 이송 모듈로 공급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번들형 매체로부터 종이매체를 픽업하는 픽업 롤러 기구, 상기 픽업 롤러 기구에 의해 픽업된 종이매체를 상기 매체 이송 모듈로 이송하도록 상기 픽업 롤러 기구의 후방에 배치된 피드 롤러 기구, 및 상기 피드 롤러 기구와의 사이로 상기 종이매체가 통과되도록 상기 피드 롤러 기구와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피드 롤러 기구와의 사이로 상기 종이매체가 진입되면 상기 종이매체를 이송하는 정방향으로 설정 각도만큼 회전되도록 형성된 게이트 롤러 기구를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분리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분리 장치는, 상기 피드 롤러 기구와 상기 게이트 롤러 기구의 사이로 진입하는 종이매체를 상기 피드 롤러 기구로 회피시키도록 상기 게이트 롤러 기구의 측면에 탄성적으로 누름 가능하게 돌출된 롤러 가이드 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번들형 매체로부터 종이매체를 픽업하는 픽업 롤러 기구, 상기 픽업 롤러 기구에 의해 픽업된 종이매체를 상기 매체 이송 모듈로 이송하도록 상기 픽업 롤러 기구의 후방에 배치된 피드 롤러 기구, 상기 피드 롤러 기구와의 사이로 상기 종이매체가 통과되도록 상기 피드 롤러 기구와 대향되게 배치된 게이트 롤러 기구, 및 상기 피드 롤러 기구와 상기 게이트 롤러 기구의 사이로 진입하는 종이매체를 상기 피드 롤러 기구로 회피시키도록 상기 게이트 롤러 기구의 측면에 탄성적으로 누름 가능하게 돌출된 롤러 가이드 기구를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분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게이트 롤러 기구는, 상기 피드 롤러 기구와 구름 접촉되는 게이트 롤러, 상기 게이트 롤러가 연결된 게이트 샤프트, 상기 게이트 샤프트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종이매체의 이송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게이트 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이 입력되는 구동 기어, 및 상기 종이매체의 진입시 상기 게이트 샤프트가 설정 각도만큼 정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게이트 샤프트와 상기 구동 기어의 연결 부위에 구비된 롤러 정회전 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게이트 샤프트의 일단부는 상기 구동 기어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롤러 정회전 유닛은, 상기 게이트 샤프트의 일단부에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걸림 돌기, 상기 걸림 돌기와의 간섭에 의해 상기 게이트 샤프트의 회전이 제한되도록 상기 걸림 돌기가 삽입되는 걸림 홈부, 및 상기 게이트 샤프트가 역회전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상기 게이트 샤프트의 일단부와 상기 구동 기어의 사이에 구비된 역회전 탄성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걸림 홈부는 상기 게이트 롤러와 상기 종이매체의 접촉 시점으로부터 상기 종이매체의 선단이 상기 게이트 롤러 기구와 상기 피드 롤러 기구의 접촉 부위를 통과하는 시점까지 상기 게이트 롤러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게이트 롤러 기구는, 상기 피드 롤러 기구와 구름 접촉되는 게이트 롤러, 상기 게이트 롤러가 연결된 게이트 샤프트, 및 상기 게이트 샤프트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종이매체의 이송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게이트 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이 입력되는 구동 기어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롤러 가이드 기구는 상기 픽업 롤러 기구에 의해 픽업된 종이매체의 선단을 상기 피드 롤러 기구를 향해 슬라이딩 이동시키도록 상기 종이매체의 선단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되는 경사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경사부는 상기 게이트 롤러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롤러 가이드 기구는, 상기 게이트 샤프트와 평행하게 배치된 가이드 샤프트, 상기 가이드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종이매체의 선단을 상기 피드 롤러 기구로 안내하는 경사부가 구비된 롤러 가이드, 및 상기 롤러 가이드가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롤러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 샤프트의 사이에 구비된 가이드 탄성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롤러 가이드는 상기 게이트 롤러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분리 장치는, 종이매체의 분리 동작시 종이매체의 선단이 역회전되는 게이트 롤러 기구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종이매체의 선단이 게이트 롤러 기구에 의해 구겨지거나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 종이매체로 인한 잼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분리 장치는, 롤러 가이드 기구에 의해서 게이트 롤러 기구와 피드 롤러 기수의 사이로 진입하는 종이매체를 게이트 롤러 기구로부터 피드 롤러 기구로 원활하게 회피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이매체는 정회전되는 피드 롤러 기구에 의해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분리 장치는, 게이트 롤러 기구와 피드 롤러 기구의 사이로 종이매체의 선단이 진입할 경우, 게이트 롤러 기구의 게이트 롤러가 롤러 정회전 유닛에 의해 설정 각도만큼 정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종이매체의 선단이 게이트 롤러 기구에 접촉하여 구겨지거나 접히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게이트 롤러 기구는 설정 각도까지만 정회전된 후 다시 역회전되므로, 피드 롤러 기구와 게이트 롤러 기구에 의한 이매의 종이매체를 분리하는 기능도 방해 받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체 분리 장치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매체 분리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매체 분리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게이트 롤러 기구와 롤러 가이드 기구 및 롤러 정회전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롤러 정회전 유닛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롤러 가이드 기구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체 분리 장치(180)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100)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100)는 매체 처리 모듈(110), 일시 저장 모듈(120), 리젝트 모듈(130), 지폐 저장 모듈(140), 수표 저장 모듈(150), 매체 이송 모듈(160), 매체 회수 모듈(170)을 포함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금융자동화기기(100)가 종이매체의 입금 기능만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종이매체의 출금 기능 또는 입출금 기능을 수행하는 금융자동화기기(100)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금융자동화기기(100)에 입금되는 종이매체가 지폐와 수표의 혼용 매체인 것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종류의 매체, 예를 들면 상품권, 어음, 쿠폰, 유가증권 등이 지폐나 수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매체 처리 모듈(110)은 종이매체를 감지하거나, 종이매체를 정렬하거나, 또는 종이매체의 정보를 인식하는 장치이다. 즉, 매체 처리 모듈(110)은 후술하는 매체 분리 장치(180)에서 공급되는 종이매체를 검사, 정렬, 및 정보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매체 처리 모듈(110)은 매체 검사 기구(112), 매체 정렬 기구(114), 및 매체 인식 기구(116)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매체 검사 기구(112)은 매체 분리 장치(180)에서 공급되는 종이매체를 검사하는 장치이다. 예들 들면, 매체 검사 기구(112)은 종이매체의 이미지를 검출할 수 있으며, 종이매체의 이매 여부 및 스큐(skew)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그리고, 매체 정렬 기구(114)은 매체 검사 기구(112)을 통과한 종이매체를 정렬면에 정렬시키는 장치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매체 정렬 기구(114)가 원형의 드럼 타입으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또한, 매체 인식 기구(116)은 매체 정렬 기구(114)을 통과한 종이매체의 정보를 인식하는 장치이다. 특히, 수표의 표면에는 자기 잉크 문자 인식(Magnetic Ink Character Recognition, MICR) 방식으로 수표의 각종 정보가 인쇄되어 있다. 따라서, 매체 인식 기구(116)은 자기 잉크 문자 인식 방식으로 인쇄된 문자를 읽어서 입금된 수표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일시 저장 모듈(120)은 매체 처리 모듈(110)에서 정상으로 판정된 종이매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장치이다. 금융자동화기기(100)는 일시 저장 모듈(120)에 저장된 종이매체들을 입금 처리된 것으로 인식하지 않으며, 고객에 의해 입금 명령이 추가로 입력될 때까지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리젝트 모듈(130)은 매체 처리 모듈(110)에서 비정상으로 판정된 비정상 상태의 종이매체를 입금부(102)로 반송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리젝트 모듈(130)의 일측은 매체 분리 장치(180)와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정상 상태의 종이매체로는 이미지의 확보가 실패한 종이매체, 잉크 문자 인식에 실패한 종이매체, 이매 상태로 판정된 종이매체, 스큐 상태로 판정된 종이매체, 또는 비정렬 상태로 판정된 종이매체 등가 해당될 수 있다.
지폐 저장 모듈(140)은 일시 저장 모듈(120)에 일시 저장된 지폐를 전달받아 내부에 저장하는 박스 형상의 장치이고, 수표 저장 모듈(150)은 일시 저장 모듈(120)에 일시 저장된 수표를 전달받아 내부에 저장하는 박스 형상의 장치이다.
매체 이송 모듈(160)은 종이매체를 이송하는 장치이다. 매체 이송 모듈(160)은 매체 처리 모듈(110), 일시 저장 모듈(120), 리젝트 모듈(130), 지폐 저장 모듈(140), 수표 저장 모듈(150), 매체 회수 모듈(170) 및 매체 분리 장치(180)의 사이에 종이매체의 매체 이송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매체 이송 모듈(160)은 매체 이송 경로를 따라 종이매체를 한장씩 연속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매체 이송 모듈(160)은 벨트와 풀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벨트는 매체 이송 경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풀리는 벨트에 종이매체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력을 제공할 수 있다.
매체 회수 모듈(170)은, 리젝트 모듈(130)을 통해 고객에게 반환된 종이매체가 미수취된 경우 상기의 미수취된 종이매체를 저장하거나, 또는 일시 저장 모듈(120)의 내부에 종이매체가 비정상적으로 잔류된 경우 상기의 종이매체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100)는 매체 분리 장치(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매체 분리 장치(180)는 매체 출입구(102)로 입금된 번들형 매체를 낱장으로 분리하여 매체 이송 모듈(160)로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매체 분리 장치(180)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매체 분리 장치(180)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매체 분리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게이트 롤러 기구(230)와 롤러 가이드 기구(240) 및 롤러 정회전 유닛(238)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롤러 정회전 유닛(238)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롤러 가이드 기구(240)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체 분리 장치(180)는 픽업 롤러 기구(210), 피드 롤러 기구(220), 및 게이트 롤러 기구(2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매체 분리 장치(180)의 전면부에는 금융자동화기기(100)의 매체 출입구(102)와 연통되게 연결되는 유입구(200)가 형성될 수 있으며, 매체 분리 장치(180)의 후면부에는 매체 이송 모듈(160)과 연통되게 연결되는 유출구(202)가 형성될 수 있다.
픽업 롤러 기구(210)는 유입구(200)로 유입된 번들형 매체의 상부로부터 종이매체를 한 장씩 픽업하는 장치이다. 픽업 롤러 기구(210)는 픽업된 종이매체를 피드 롤러 기구(220)와 게이트 롤러 기구(230)의 사이로 이송시킬 수 있다.
피드 롤러 기구(220)는 픽업 롤러 기구(210)에 의해 픽업된 종이매체를 매체 이송 모듈(160)로 이송하는 장치이다. 피드 롤러 기구(220)는 픽업 롤러 기구(21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피드 롤러 기구(220)는 종이매체의 이송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종이매체의 이송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정방향"으로 설정하고, 종이매체의 이송 방향과 반대 방향을 "역방향"으로 설정하기로 한다.
게이트 롤러 기구(230)는 피드 롤러 기구(220)와의 사이로 종이매체가 통과되도록 피드 롤러 기구(220)와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롤러 기구(230)는 매체 분리 장치(180)의 작동시 정지 상태로 있거나 또는 피드 롤러 기구(220)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특히, 게이트 롤러 기구(230)가 피드 롤러 기구(220)의 반대 방향으로 역회전되면, 피드 롤러 기구(220)와 게이트 롤러 기구(230)의 사이에 배치된 이매의 종이매체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송되어 이매 분리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게이트 롤러 기구(230)가 역회전되는 경우, 종이매체의 선단이 게이트 롤러 기구(230)와 간섭되면, 게이트 롤러 기구(230)의 역방향 이송력에 의해서 종이매체의 선단이 구겨지거나 겹쳐지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피드 롤러 기구(220)와 게이트 롤러 기구(230)에 의한 이매 분리 기능을 포기하지 않으면서, 종이매체의 선단이 게이트 롤러 기구(230)와의 접촉에 의해 구겨지고 겹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 사상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롤러 기구(230)는 피드 롤러 기구(220)와의 사이로 종이매체(M)가 진입되는 경우, 종이매체(M)를 이송하는 정방향으로 설정 각도만큼 회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게이트 롤러 기구(230)와 피드 롤러 기구(220)의 사이로 종이매체(M)가 진입되는 시점에서 게이트 롤러 기구(230)와 피드 롤러 기구(220)가 정방향으로 모두 회전되는 구조이므로, 종이매체(M)는 게이트 롤러 기구(230)와 피드 롤러 기구(220)에 의해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다. 따라서, 게이트 롤러 기구(230)와 피드 롤러 기구(220)의 사이로 종이매체(M)가 진입되는 시점에서는 종이매체(M)의 선단이 역회전되는 게이트 롤러 기구(230)와 간섭되지 않기 때문에 종이매체(M)의 선단이 구겨지거나 접히는 현상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한편, 게이트 롤러 기구(230)와 피드 롤러 기구(220)의 사이에 종이매체(M)가 설정 길이 이상으로 진입하면, 게이트 롤러 기구(230)의 회전 방향이 정방향에서 역방향으로 다시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게이트 롤러 기구(230)와 피드 롤러 기구(220)의 사이로 종이매체(M)가 완전히 진입된 시점에서 게이트 롤러 기구(230)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므로, 게이트 롤러 기구(230)와 종이매체(M)의 선단이 서로 간섭되지 않으며, 게이트 롤러 기구(230)와 피드 롤러 기구(220)에 의한 이매 분리 기능은 더욱 안정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게이트 롤러 기구(230)는 게이트 롤러(232), 게이트 샤프트(234), 구동 기어(236), 및 롤러 정회전 유닛(238)를 구비할 수 있다.
게이트 롤러(232)는 피드 롤러 기구(220)와 구름 접촉되는 롤러 부재이다. 게이트 샤프트(234)는 게이트 롤러(232)와 함께 회전되도록 게이트 롤러(232)와 연결될 수 있다.
구동 기어(236)는 종이매체(M)의 이송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게이트 롤러(232)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이 입력되는 부재이다. 구동 기어(236)는 게이트 샤프트(234)의 일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즉, 게이트 롤러(232)는 구동 기어(236)에 입력되는 구동력에 의해 종이매체(M)의 이송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역회전될 수 있다.
롤러 정회전 유닛(238)은 게이트 롤러 기구(230)와 피드 롤러 기구(220)의 사이로 종이매체가 진입되는 경우, 게이트 샤프트(234)가 설정 각도만큼 정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롤러 정회전 유닛(238)은 다양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지만, 이하에서는 게이트 샤프트(234)와 구동 기어(236)의 연결 부위에 구비된 것으로 설명한다.
예를 들어, 롤러 정회전 유닛(238)은, 게이트 샤프트(234)의 일단부에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걸림 돌기(250), 걸림 돌기(250)와의 간섭에 의해 게이트 샤프트(234)의 회전이 제한되도록 걸림 돌기(250)가 삽입되는 걸림 홈부(252), 및 게이트 샤프트(234)가 역회전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게이트 샤프트(234)의 일단부와 구동 기어(236)의 사이에 구비된 역회전 탄성부재(254)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게이트 샤프트(234)의 일단부는 구동 기어(236)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걸림 돌기(250)와 걸림 홈부(252)가 서로 간섭되기 이전에는 게이트 샤프트(234)와 구동 기어(236)가 독립적으로 자유롭게 동작될 수 있다.
그리고, 걸림 홈부(252)는 게이트 롤러(232)와 종이매체(M)의 접촉 시점으로부터 종종이매체의 선단이 게이트 롤러 기구(230)와 피드 롤러 기구(220)의 접촉 부위를 통과하는 시점까지 게이트 롤러(232)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걸림 홈부(252)의 길이를 조절하면, 걸림 홈부(252)와 걸림 돌기(250)가 서로 걸리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게이트 롤러(232)가 정방향에서 역방향으로 회전 방향을 전환하는 시점을 설정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4, 또는 도 6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체 분리 장치(180)는, 피드 롤러 기구(220)와 게이트 롤러 기구(230)의 사이로 진입하는 종이매체(M)를 피드 롤러 기구(220)로 회피시키는 롤러 가이드 기구(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롤러 가이드 기구(240)는 게이트 롤러 기구(230)의 측면에 탄성적으로 누름 가능하게 돌출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롤러 가이드 기구(240)가 탄성적으로 눌져지지 않으면, 복수매의 종이매체(M)가 롤러 가이드 기구(240)와 피드 롤러 기구(220)의 사이에 끼일 경우, 종이매체(M)들 사이의 마찰력이 급증하여 종이매체(M)들이 분리되지 않고 잼이 발생될 수 있다.
롤러 가이드 기구(240)의 일측에는 픽업 롤러 기구(210)에 의해 픽업된 종이매체(M)의 선단을 피드 롤러 기구를 향해 슬라이딩 이동시키도록 종이매체(M)의 선단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되는 경사부(244a)가 구비될 수 있다. 경사부(244a)는 게이트 롤러(232)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롤러 가이드 기구(240)는, 게이트 샤프트(234)와 평행하게 배치된 가이드 샤프트(242), 가이드 샤프트(24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전방부에 경사부(244a)가 구비된 롤러 가이드(244), 및 롤러 가이드(244)가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롤러 가이드(244)와 가이드 샤프트(242)의 사이에 구비된 가이드 탄성부재(246)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롤러 가이드(244)는 게이트 롤러(232)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게이트 롤러(232)의 양측면에 각각 롤러 가이드(244)가 배치된 것으로 설명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롤러 가이드 기구(240)와 롤러 정회전 유닛(238)이 매체 분리 장치(180)에 모두 구비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매체 분리 장치(180)의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어느 하나만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체 분리 장치(170)에 관한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픽업 롤러 기구(210)가 매체 출입구(102)를 통해 입금된 번들형 매체의 상부에서 종이매체(M)를 픽업하여 피드 롤러 기구(220)와 게이트 롤러 기구(230)의 사이로 이송시킨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업된 종이매체(M)의 선단은 롤러 가이드 기구(240)의 롤러 가이드(244)와 접촉된 후 롤러 가이드(244)의 경사부(244a)를 따라 피드 롤러 기구(220)로 이송된다. 그리고, 종이매체(M)의 선단은 피드 롤러 기구(220)에 의해서 게이트 롤러 기구(230)와 피드 롤러 기구(220)의 사이로 이동된다.
따라서, 픽업된 종이매체(M)의 선단은 게이트 롤러 기구(230)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고, 게이트 롤러 기구(230)와 피드 롤러 기구(220)의 사이로 안정적으로 이송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이매체(M)의 선단이 게이트 롤러 기구(230)와 피드 롤러 기구(220)의 사이로 진입하면, 피드 롤러 기구(220)와 게이트 롤러 기구(230)는 정방향으로 함께 구동된다. 따라서, 종이매체(M)의 선단은 피드 롤러 기구(220)와 게이트 롤러 기구(230)에 의해 원활하게 이송된다.
종이매체(M)의 선단이 게이트 롤러 기구(230)와 피드 롤러 기구(220)의 사이를 통과하면, 피드 롤러 기구(220)는 정방향으로 계속 구동되나, 게이트 롤러 기구(230)는 역방향으로 구동된다. 따라서, 종이매체(M)의 상면과 하면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송력이 작용되므로, 종이매체(M)가 복수개일 경우에는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물론, 단수개의 종이매체(M)는 상대적으로 큰 이송력을 갖는 피드 롤러 기구(220)에 의해 매체 이송 모듈(160)로 이송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금융자동화기기
180: 매체 분리 장치
210: 픽업 롤러 기구
220: 피드 롤러 기구
230: 게이트 롤러 기구
232: 게이트 롤러
238: 롤러 정회전 유닛
240: 롤러 가이드 기구
244: 롤러 가이드
244a: 경사부

Claims (9)

  1. 매체 출입구로 입금된 번들형 매체로부터 낱장의 종이매체를 분리하여 매체 이송 모듈로 공급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분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번들형 매체로부터 종이매체를 픽업하는 픽업 롤러 기구;
    상기 픽업 롤러 기구에 의해 픽업된 종이매체를 상기 매체 이송 모듈로 이송하도록 상기 픽업 롤러 기구의 후방에 배치된 피드 롤러 기구; 및
    상기 피드 롤러 기구와의 사이로 상기 종이매체가 통과되도록 상기 피드 롤러 기구와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피드 롤러 기구와의 사이로 상기 종이매체가 진입되면 상기 종이매체를 이송하는 정방향으로 설정 각도만큼 회전되도록 형성된 게이트 롤러 기구;
    를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분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 롤러 기구와 상기 게이트 롤러 기구의 사이로 진입하는 종이매체를 상기 피드 롤러 기구로 회피시키도록 상기 게이트 롤러 기구의 측면에 탄성적으로 누름 가능하게 돌출된 롤러 가이드 기구;를 더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분리 장치.
  3. 매체 출입구로 입금된 번들형 매체로부터 낱장의 종이매체를 분리하여 매체 이송 모듈로 공급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분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번들형 매체로부터 종이매체를 픽업하는 픽업 롤러 기구;
    상기 픽업 롤러 기구에 의해 픽업된 종이매체를 상기 매체 이송 모듈로 이송하도록 상기 픽업 롤러 기구의 후방에 배치된 피드 롤러 기구;
    상기 피드 롤러 기구와의 사이로 상기 종이매체가 통과되도록 상기 피드 롤러 기구와 대향되게 배치된 게이트 롤러 기구; 및
    상기 피드 롤러 기구와 상기 게이트 롤러 기구의 사이로 진입하는 종이매체를 상기 피드 롤러 기구로 회피시키도록 상기 게이트 롤러 기구의 측면에 탄성적으로 누름 가능하게 돌출된 롤러 가이드 기구;
    를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분리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롤러 기구는,
    상기 피드 롤러 기구와 구름 접촉되는 게이트 롤러;
    상기 게이트 롤러가 연결된 게이트 샤프트;
    상기 게이트 샤프트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종이매체의 이송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게이트 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이 입력되는 구동 기어; 및
    상기 종이매체의 진입시 상기 게이트 샤프트가 설정 각도만큼 정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게이트 샤프트와 상기 구동 기어의 연결 부위에 구비된 롤러 정회전 유닛;
    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분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샤프트의 일단부는 상기 구동 기어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롤러 정회전 유닛은,
    상기 게이트 샤프트의 일단부에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걸림 돌기;
    상기 걸림 돌기와의 간섭에 의해 상기 게이트 샤프트의 회전이 제한되도록 상기 걸림 돌기가 삽입되는 걸림 홈부; 및
    상기 게이트 샤프트가 역회전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상기 게이트 샤프트의 일단부와 상기 구동 기어의 사이에 구비된 역회전 탄성부재;
    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분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홈부는 상기 게이트 롤러와 상기 종이매체의 접촉 시점으로부터 상기 종이매체의 선단이 상기 게이트 롤러 기구와 상기 피드 롤러 기구의 접촉 부위를 통과하는 시점까지 상기 게이트 롤러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형성된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분리 장치.
  7.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롤러 기구는,
    상기 피드 롤러 기구와 구름 접촉되는 게이트 롤러;
    상기 게이트 롤러가 연결된 게이트 샤프트; 및
    상기 게이트 샤프트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종이매체의 이송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게이트 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이 입력되는 구동 기어;를 구비하며,
    상기 롤러 가이드 기구는 상기 픽업 롤러 기구에 의해 픽업된 종이매체의 선단을 상기 피드 롤러 기구를 향해 슬라이딩 이동시키도록 상기 종이매체의 선단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되는 경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경사부는 상기 게이트 롤러보다 전방에 위치된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분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가이드 기구는,
    상기 게이트 샤프트와 평행하게 배치된 가이드 샤프트;
    상기 가이드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종이매체의 선단을 상기 피드 롤러 기구로 안내하는 경사부가 구비된 롤러 가이드; 및
    상기 롤러 가이드가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롤러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 샤프트의 사이에 구비된 가이드 탄성부재;
    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분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가이드는 상기 게이트 롤러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측면에 배치된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분리 장치.
KR20120158760A 2012-12-31 2012-12-31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분리 장치 KR101508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58760A KR101508338B1 (ko) 2012-12-31 2012-12-31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분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58760A KR101508338B1 (ko) 2012-12-31 2012-12-31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분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7933A KR20140087933A (ko) 2014-07-09
KR101508338B1 true KR101508338B1 (ko) 2015-04-07

Family

ID=51736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58760A KR101508338B1 (ko) 2012-12-31 2012-12-31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분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83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5918B1 (ko) * 2014-12-31 2021-05-25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지폐번들용 입출금장치
KR102621312B1 (ko) * 2021-12-10 2024-01-04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에스크로 유닛 제어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3994A (ja) * 1994-10-26 1996-05-17 Hitachi Ltd 現金自動取引装置
KR19980035412U (ko) * 1996-12-12 1998-09-15 구자홍 지폐 분리 장치
JP2002249250A (ja) 2001-02-23 2002-09-03 Ricoh Co Ltd 給送装置・給紙装置・画像形成装置・給紙方法
JP2007156781A (ja) 2005-12-05 2007-06-21 Omron Corp 紙葉類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3994A (ja) * 1994-10-26 1996-05-17 Hitachi Ltd 現金自動取引装置
KR19980035412U (ko) * 1996-12-12 1998-09-15 구자홍 지폐 분리 장치
JP2002249250A (ja) 2001-02-23 2002-09-03 Ricoh Co Ltd 給送装置・給紙装置・画像形成装置・給紙方法
JP2007156781A (ja) 2005-12-05 2007-06-21 Omron Corp 紙葉類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7933A (ko) 2014-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9657B1 (ko) 지엽류 취급 장치
US8573383B2 (en) Medium transferring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EP2866209B1 (en) Circulation-type banknote/check deposit/withdrawal apparatus using lateral deposit/withdrawal scheme and method of handling banknotes and checks applied thereto
KR20170099495A (ko) 가변 스토퍼가 구비된 다권종 지폐카세트 및 그 지폐집적방법
KR101844994B1 (ko) 경로 전환 구조와 이를 구비한 매체 보관 장치 및 금융기기
KR100980075B1 (ko) 수표 및 지로용지 겸용 처리장치
US8931632B2 (en) Jam reduction
KR20060112460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KR101508338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분리 장치
KR20170031365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장치
KR101888572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분리 장치
US9085417B2 (en) Media transferring apparatus and finance device
KR100961575B1 (ko) 종이매체 이송장치 및 이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
KR20140057124A (ko) 지엽류 속출 장치, 지엽류 처리 장치
US8757356B2 (en) Media depository
KR20140084742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정렬 기구
KR20220000295A (ko) 매체 입금기의 얼라인모듈
KR101423543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리젝트 장치
KR101781686B1 (ko) 경로전환장치, 매체처리장치 및 금융기기
KR100526580B1 (ko) 지폐류 입출금기의 일시저장장치
KR101153639B1 (ko) 매체처리장치 및 방법과 금융기기
KR101106794B1 (ko) 금융자동화기기
JP2018120288A (ja) 媒体処理装置
KR102002950B1 (ko) 매체의 경로 전환 구조 및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KR101440856B1 (ko) 매체 공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