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8564B1 -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및 통신 프로그램을 저장한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및 통신 프로그램을 저장한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8564B1
KR101088564B1 KR1020080036391A KR20080036391A KR101088564B1 KR 101088564 B1 KR101088564 B1 KR 101088564B1 KR 1020080036391 A KR1020080036391 A KR 1020080036391A KR 20080036391 A KR20080036391 A KR 20080036391A KR 101088564 B1 KR101088564 B1 KR 101088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call
interface unit
incoming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6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6981A (ko
Inventor
쇼이찌 사노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6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6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8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8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음성 호나 메일 등의 데이터 호와 같은 통신 내용에 따라서 착신의 허가, 불허가를 행하여, 복수의 인터페이스에 의한 복합적인 착신을 실현하는 것에 있다. 복수의 네트워크(셀룰러 네트워크(6), WLAN 네트워크(8))와 무선 접속되고, 각 네트워크와의 사이에서 발착신을 행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상기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복수의 인터페이스부(셀룰러 인터페이스부 CI, WLAN 인터페이스부 WI)를 구비하며, 통신중인 인터페이스부의 통신 내용과, 다른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착신의 통신 내용을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착신을 허가 또는 불허가로 제어하고, 복수의 인터페이스부를 통신 내용에 따라서 동시 사용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셀룰러 네트워크, WLAN 네트워크, 셀룰러 교환기, SIP 서버, 셀룰러 인터페이스부, WLAN 인터페이스부, 셀룰러 RF 프론트 엔드부, WLAN-RF 프론트 엔드부

Description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및 통신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COMMUNICATING PROGRAM}
본 발명은, WLAN(Wireless Lcal Area Netwrk)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 등, 복수의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착신의 통신 내용에 따른 통신 제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성 호, 데이터 호 등의 통신 내용에 따른 인터페이스에 착신 허가, 착신 거절 등의 통신 조건을 설정하여 복합적인 착신을 행할 수 있는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및 통신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 등의 이동체 통신에 관한 것으로, 셀룰러(cellular cmmunicatin system) 네트워크, WLAN 등의 규격이 있으며, 셀룰러 네트워크에는 예를 들면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나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이 있고, WLAN에는 예를 들면,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s) 802.11g,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이 존재한다. 각 네트워크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회선 인터페이스가 필요하며, 쌍방의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통신 단말 장치에는, 2개의 회선 인터페이스가 필요하다. 즉, 각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회선 인터페이스를 갖는 통신 단말 장치를 편의상 「DUAL 단말 장치」로 부른다.
이러한 셀룰러 네트워크나 WLAN 등의 복수의 네트워크에 걸친 이동체 통신에 관한 것으로, 특허 문헌 1에는, 근거리 전화는 육상 통신선에 의해, 장거리 전화는 무선 액세스 통신 장치에 의해 통신을 행하는 통신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2에는, 통신 단말기가 양호한 통신 상태를 확보할 수 있는 지역 정보나, 복수의 접속 형태 중, 양호한 통신 상태를 확보할 수 있는 통신 정보를 받고, 일정 구역에서만의 통신 가능한 고정 모드, 이동하면서 통신 가능한 이동 모드, 휴대 단말기 통신망,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통신망, 유선 통신망 등의 접속 형태의 선택을 가능하게 한 통신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3에는, 유저 기기가 무선 전화 네트워크에 관하여 아이들이며, WLAN에 대하여 액티브인 경우에, 휴대 전화 네트워크가 WLAN과 휴대 전화 네트워크와의 데이터 신호 접속을 이용하여 WLAN의 무선 채널 경유로 유저 기기를 호출할 수 있는 것, 유저 기기가 무선 전화 네트워크 및 WLAN에 대하여 아이들인 경우에, WLAN 및 휴대 전화 네트워크가 WLAN과 휴대 전화 네트워크와의 데이터 신호 접속을 이용하여 유저 기기를 호출할 수 있는 것 등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일본 특표 2002-501353호 공보(단락번호 0022 및 도 1)
[특허 문헌 2] 일본 특개 2005-33707호 공보(요약, 도 1)
[특허 문헌 3] 일본 특표 2005-531984호 공보(단락번호 0023, 0034, 도 1, 도 4, 도 7)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통신 시스템에서는, 와이어리스 통신 장치의 전원을 절단하는 경우에는, 교환기에 가입자 식별자의 등록을 해제하고 있지만, 전원이 떨어지면 센터에서의 등록도 말소되므로,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rk) 경유로 우회하여 구내 교환기가 착신하는 일은 없다. 또한, 특허 문헌 2에서는, 단말 장치가 접속 형태{이동 모드나 고정 모드(WLAN이나 유선 등의 로컬 모드)}를 나타내는 선언 신호를 송신하고, 또한, 네트워크 측이 네트워크의 상태를 파악하여, 단말 장치에 통지하고 있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또한, 특허 문헌 3에서는, 휴대 전화 네트워크와 WLAN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접속 설정된 측에 자동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그런데, 복수의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통신 장치에서, 각 인터페이스에 통전하는 것은 쓸데없는 전력 소비를 발생시키고, 배터리로 구동하는 휴대 기기에서는 배터리의 수명에 크게 영향을 준다. 따라서, 휴지 중인 인터페이스의 전원을 차단하는 것은 전력 소비를 억제하고, 휴대 기기에서는, 배터리의 수명 증대에 기여하게 되지만, 휴지 중인 인터페이스의 급전을 정지시키면, 그 인터페이스에서의 통신이 불능하게 되어, 통신의 자유도가 방해받게 된다.
또한, 무선 통신에서는, 전파 강도가 통신 품질에 영향을 주고, 전파 강도가 불충분한 경우에는 통신 불능에 빠지게 된다. 셀룰러 네트워크나 WLAN 등의 복수의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복수의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통신 장치에서는, 전파 강도 에 따라서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여, 전파 강도의 저하에 의한 통신 차단을 회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셀룰러 네트워크나 WLAN 등의 복수의 네트워크에서는, 이용 과금 등의 통신 조건이 상위하여, 필요에 따라서 선택하는 자유도가 유저에게 부여되고 있고, 복수의 인터페이스로부터 통신 조건에 따라서 최적인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면, 경제적인 통신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셀룰러 네트워크나 WLAN 등의 복수의 네트워크에 대응 가능한 복수의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통신 장치에서도, 한 사람의 유저가 복수의 인터페이스를 동시에 이용하는 것에는 자연히 제약이 있지만, 통신 장치가 대응 가능한 착신 내용에는 음성에 의한 통화, 메일 등의 데이터의 수수, 그 밖의 통신이 존재하며, 그 통신 내용은 다방면에 걸쳐 있다.
이러한 통신 환경에서, 복수의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있는 통신 장치에서는, 인터페이스의 유효 이용 등, 편리성의 확대가 기대되고 있다. 이러한 과제에 대하여, 특허 문헌 1, 2, 3에는 그 개시나 시사는 없고, 또한, 그 해결 수단에 관한 개시나 시사도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네트워크에 대응하기 위한 복수의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음성 호나 메일 등의 데이터 호와 같은 통신 내용에 따라서 인터페이스에 대한 착신의 허가, 불허가를 행하여, 복수의 인터페이스에 의한 복합적인 착신을 실현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복수의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복수의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네트워크와 인터페이스부의 통신 내용에 따라서 착신의 허가, 불허가의 판단을 행하여, 복수의 인터페이스부를 통신 내용에 따라서 동시 사용 가능하게 한 것이다. 예를 들면, 하나의 인터페이스부에서의 통화중에 다른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착신이 있었던 경우, 그 착신의 통신 내용이 데이터이면, 착신 허가, 그 통신 내용이 음성이면, 착신 불허가의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처리를 행하면, 통신을 방해하는 일없이 통신 내용에 의해 착신을 가능하게 하여, 통신 범위의 확대를 도모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처리는 통신 장치 측, 네트워크 측 중 어느 한 쪽에서 행해도 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복수의 네트워크와 무선 접속되고, 각 네트워크와의 사이에서 발착신을 행할 수 있는 통신 장치로서, 상기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복수의 인터페이스부와, 통신중인 인터페이스부의 통신 내용과, 다른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착신 내용을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착신을 허가 또는 불허가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복수의 네트워크와, 이들 네트워크에 무선 접속되고, 각 네트워크와의 사이에서 발착신을 행할 수 있는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복수의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고, 통신중인 인터페이스부의 통신 내용과, 다른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착신의 통신 내용을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기초하 여,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착신을 허가 또는 불허가로 제어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3 측면은, 복수의 네트워크와 통신 장치를 무선 접속하고, 상기 통신 장치와 각 네트워크 사이에서 발착신에 이용되는 통신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네트워크와 상기 통신 장치에 포함되는 복수의 인터페이스부 중 어느 하나와의 무선 접속을 행하는 스텝과, 통신중인 인터페이스부의 통신 내용과, 다른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착신의 통신 내용을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착신을 허가 또는 불허가로 제어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 및 각 실시예를 참조함으로써, 한층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1) 각 인터페이스부에 대하여, 착신 내용에 따라서 착신을 허가 또는 불허가로 제어하고, 특정한 통신 내용에서 통신 중에 그 통신 내용과 동일 또는 상이한 통신 내용의 착신을 할 수 있어, 통신 장치 및 복수의 인터페이스부의 유효 이용과 함께, 통신 범위가 확대된다.
(2) 통신 중에 착신할 수 있어, 편리성이 높아진다.
(3) 통신중인 인터페이스부에 대하여, 휴지 중인 인터페이스부의 유효 이용 을 도모할 수 있다.
(4) 통신중인 통신 내용과 착신에 관한 통신 내용이 비교되어, 그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착신 허가 또는 착신 불허가의 제어가 행해지므로, 통화중 등의 착신 거부가 회피되어, 통신 범위가 확대된다.
<실시예>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통신 시스템(2)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신 장치로서 통신 단말 장치(4)를 이용하여 복수의 통신 회선(네트워크)으로서 예를 들면, 셀룰러 네트워크(6), 또는 인터넷 즉, 와이어리스 LAN(Wireless Local Area Netwrk)(8)(이하, 「WLAN 네트워크(8)」라고 칭함.)을 통과시켜 통신이 가능한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네트워크로서 셀룰러 네트워크(6), WLAN 네트워크(8)를 예시하고 있지만, 또 다른 네트워크와의 통신이 가능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셀룰러 네트워크(6)에는 셀룰러 교환기(10) 및 기지국(12)이 구비되며, WLAN 네트워크(8)에는 SIP 서버(14) 및 WLAN 액세스 포인트(WLAN-AP)(16)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통신 단말 장치(4)는, 셀룰러용 전파(18)에 의해 기지국(12)을 통하여 셀룰러 교환기(10)와 접속됨과 함께, XWLAN용 전파(20)를 매개로 하여 중계국인 WLAN-AP(16)를 통하여 SIP 서버(14)가 접속된다. 즉, 셀룰러 교환기(10)는, 통신 단말 장치(4)에 대한 셀룰러 네트워크(6) 측의 네트워크 장치를 구성하고, SIP 서버(14)는 통신 단말 장치(4)에 대한 WLAN 네트워크(8) 측의 네트워크 장치를 구성한다.
이 통신 시스템(2)에서는, 셀룰러 네트워크(6)에 대응하는 셀룰러 인터페이스부 CI와, WLAN 네트워크(8)에 대응하는 WLAN 인터페이스부 WI가 통신 단말 장치(4)에 구비되고, 이들 셀룰러 인터페이스부 CI, WLAN 인터페이스부 WI는, 네트워크에 대한 통지부로서, 과금이나 전파 강도 등의 선택 조건에 따라서 동작 선택을 행하여 절전을 도모함과 함께, 동작 정지 중의 착신(소위 착호)을 동작 유지 측에 우회하여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통신 시스템(2)에서, 셀룰러 인터페이스부 CI에는 셀룰러 전화 번호, WLAN 인터페이스부 WI에는 WLAN 전화 번호가 할당된다.
따라서, 이 통신 시스템(2)에서는, 통신 단말 장치(4)가, 셀룰러 네트워크(6)에 대응하는 셀룰러 인터페이스부 CI와, WLAN 네트워크(8)에 대응하는 WLAN 인터페이스부 WI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셀룰러 네트워크(6)의 기지국(12)을 경유하여, 셀룰러 네트워크(6)에 접속하여 셀룰러 통신을 행할 수 있고, 또한, WLAN-AP(16)를 경유하여, WLAN 네트워크(8)에 접속하여 VoIP(Vice Over Internet Protocol)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에 대응하여, 셀룰러 네트워크(6)의 셀룰러 교환기(10)는 호를 제어하고, WLAN 네트워크(8)의 SIP 서버(14)는, 셀룰러 네트워크(6)의 셀룰러 교환기(10)에 상당하며, 마찬가지로 호를 제어한다.
이 통신 시스템(2)에서는, 셀룰러 네트워크(6)가 음성 호만, WLAN 네트워 크(8)가 음성 호 및 데이터 호의 쌍방을 취급할 수 있는 구성이어도 되며, 또한, 셀룰러 네트워크(6)가 음성 호 및 데이터 호의 쌍방을 취급할 수 있는 구성이어도 된다.
다음으로, 이 통신 시스템(2)을 이용한 통신 방법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통신 방법의 처리 수순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 통신 방법에서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셀룰러 인터페이스부 CI 또는 WLAN 인터페이스부 WI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한 통신 중, 통신 중 이외의 인터페이스부(예를 들면 셀룰러 인터페이스부 CI를 사용하고 있으면, WLAN 인터페이스부 WI에의 착신)에 착신을 받고(스텝 S1), 현재의 통신중인 통신 내용과 착신에 따른 통신 내용을 비교 판단하고(스텝 S2), 그 착신 처리에 대하여 착신의 허가(스텝 S3) 또는 착신의 불허가(스텝 S4)를 행한다. 예를 들면, 셀룰러 인터페이스부 CI에 의한 음성 통화중에, WLAN 인터페이스부 WI에 대한 착신이 있었던 경우, 그 착신이 음성 호인지, 데이터 호인지를 판단하여, 데이터 호이면 착신을 허가하고, 통화중에 다른 인터페이스부인 WLAN 인터페이스부 WI에 의한 데이터 착신을 행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1대의 통신 단말 장치(4)로써 셀룰러 인터페이스부 CI와 WLAN 인터페이스부 WI를 구분하여 사용하여, 착신 내용에 의해 착신의 허가 또는 착신의 불허가로 제어한다. 이에 의해, 셀룰러 인터페이스부 CI와 WLAN 인터페이스부 WI의 유효 이용이 도모된다. 이 결과, 통신중인 인터페이스부에 대하여, 휴지중인 인터페이스부의 유효 이용을 행할 수 있음과 함께, 통화중 등의 착신 거부를 회피할 수 있어, 통신 범위의 확대가 도모된다. 그리고, 이러한 통신 방법 은, 후술하는 통신 프로그램의 처리 수순에 의해 실행된다.
이러한 통신 방법에 관한 설정은, 통신 단말 장치(4)의 의뢰에 기초하는 설정, 또는 네트워크 측에서의 자동 설정 중 어느 쪽이어도 되지만, 이 실시예에서는, 통신 단말 장치(4)로부터의 의뢰에 의해 설정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이 통신 시스템(2)에서의 상기 통신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설정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SIP 서버에 대한 설정 및 착신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셀룰러 교환기에 대한 설정 및 착신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셀룰러 교환기에 대한 다른 설정 및 착신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셀룰러 인터페이스부 CI에서 음성 통화하는 경우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SIP 서버(14)에 대하여, 착신이 음성 호인 경우에는 착신의 불허가(이야기중에 의한 거절), 착신이 데이터 호인 경우에는 착신의 허가의 설정 01을 한다. 이러한 설정으로 하면,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셀룰러 인터페이스부 CI에서 음성 통화에 의한 통신 중에, WLAN 인터페이스부 WI에서 착신 02를 받고, 메일 통신 등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WLAN 인터페이스부 WI에서 음성 통화하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셀룰러 교환기(10)에 대하여, 착신이 음성 호인 경우에는 착신의 불허가(이야기중에 의한 거절)의 설정 03을 행한다. 이러한 설정으로 하면, WLAN 인터페이스부 WI에서 음성 통화에 의한 통신 중에, 셀룰러 인터페이스부 CI에 착신 04가 있었던 경우에는, 이야기중에 의한 착신 거부로 된다.
그리고, WLAN 인터페이스부 WI에서 데이터 통신을 하는 경우에는, 도 5에 도 시하는 바와 같이, 셀룰러 교환기(10)에 대하여, 착신이 음성 호인 경우에는 이야기중으로 하지 않고, 착신의 허가의 설정 05를 한다. 이러한 설정으로 하면, WLAN 인터페이스부 WI에서 메일 등의 데이터 통신 중에, 셀룰러 인터페이스부 CI에서 음성의 착신 06이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셀룰러 네트워크(6)에 의해 데이터 통신을 행할 수 있는 경우에는, 셀룰러 네트워크(6) 및 WLAN 네트워크(8)의 쌍방에서 동시에 데이터 통신을 행할 수 있으므로, 한 쪽의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통신을 행하고 있는 경우에, 다른 쪽의 네트워크로의 데이터 통신의 착호의 허가를 하는 설정으로 하면 된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하여, 도 6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통신 시스템에 이용되는 통신 단말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프로그램ㆍ데이터 저장 메모리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통신 단말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통신 시스템에 이용되는 셀룰러 교환기(10)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프로그램ㆍ데이터 저장 메모리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통신 시스템에 이용되는 SIP 서버(14)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프로그램ㆍ데이터 저장 메모리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3에서, 도 1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다.
이 통신 시스템(2)에서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신 단말 장치(4)에 대하여, 통화처인 통신 단말 장치(401), 다른 통신 단말 장치(402)를 명시하고, 이 들 3자간에서의 통신을 행할 수 있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셀룰러 네트워크(6)의 셀룰러 교환기(10)에는, 통신 단말 장치(4), 통신 단말 장치(401), 다른 통신 단말 장치(402) 등에 대응하는 기지국(121, 122 …)이구비되고, 또한, SIP 서버(14)에는 WLAN-AP(161, 162 …)가 구비되어 있다. 이 경우, 셀룰러 인터페이스부 CI에는 전화 번호로서 예를 들면, 「090-2222-0050」, WLAN 인터페이스부 WI에는 전화 번호로서 예를 들면, 「050-1111-0050」이 할당되어 있다.
통신 단말 장치(4)에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셀룰러 인터페이스부 CI, WLAN 인터페이스부 WI가 구비되고, 셀룰러 인터페이스부 CI는, 셀룰러 교환기(10)와 접속하는 기지국(121, 122 …)과 대응하기 위한 기능부로서, 안테나(22), 셀룰러 RF(Radio Frequency) 프론트 엔드부(24) 및, 셀룰러 베이스밴드부(26)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은, 통신 단말 장치(402)에서도 마찬가지이다.
WLAN 인터페이스부 WI는, SIP 서버(14) 측의 WLAN-AP(161, 162 …)에 대응하기 위한 기능부로서, 안테나(28), WLAN-RF 프론트 엔드부(30) 및 WLAN 베이스밴드부(32)를 포함하고 있다. 이들 셀룰러 인터페이스부 CI, WLAN 인터페이스부 WI는 독립하여 동작하는 구성이며, 각 인터페이스부 CI, WI에는, 개별로 설치된 전원급 전선(34, 36)과, 공통의 전원 제어부(38)를 통하여 공통 전원인 전지(40)이 접속되고, 이 전지(40)의 급전이 전원 제어부(38)에 의해 제어된다. 구체적으로는, 전원 제어부(38)가 급전 절환 기능을 구비하고 있고, 셀룰러 인터페이스부 CI와 WLAN 인터페이스부 WI와의 급전이 필요에 따라서 선택된다.
이들 인터페이스부 CI, WI 및 전원 제어부(38)에는, 급전 제어, 통신 제어, 네트워크 측에 대한 인터페이스부 CI, WI의 착신의 허가 또는 불허가의 의뢰 및 그 제어, 그 밖의 제어를 행하기 위한 제어부 또는 정보 처리부로서 컴퓨터를 구성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42)가 제어선(44)에 의해 접속되고, CPU(42)에는, 프로그램ㆍ데이터 저장 메모리(46), 작업 메모리(48), 입력부(50), 표시부(52), 음성 제어부(54)가 제어선(44) 및 데이터 버스(56)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프로그램ㆍ데이터 저장 메모리(46)는, ROM(Read-Only Memory) 등의 기록 매체로 구성되며, 이 프로그램ㆍ데이터 저장 메모리(46)에는,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로그램 저장 영역(58), 데이터 저장 영역(60)이 설정되고, 프로그램 저장 영역(58)에는 통신 제어 프로그램(62) 등의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데이터 저장 영역(60)에는 각종 데이터가 저장된다. 작업 메모리(48)는, RAM(Random-Access Memory)으로 구성되며, 작업 에리어로서 이용된다.
입력부(50)는, CPU(42)에 의해 제어되고, CPU(42)에 대한 각종 정보의 입력 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키보드로 구성된다. 표시부(52)는, CPU(42)의 제어에 기초하여, 통신처, 선택된 인터페이스부 CI, WI의 선택 정보, 메일 정보 등, 각종 정보가 표시된다. 음성 제어부(54)는, CPU(42)의 제어에 기초하여, 통화 음성의 송수신을 실행한다. 따라서, 음성 제어부(54)에는, 수화 신호를 음성으로서 재생하고, 출력하는 스피커(64) , 송화 음성을 입력하고,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66)이 접속되어 있다.
이 통신 단말 장치(4)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부(67, 69)를 힌지부(71)에서 절첩 가능하게 구성하고, 케이스부(67)에 커서 키나 문자 키를 포 함하는 입력부(50), 마이크로폰(66)을 구비하고, 케이스부(69)에 안테나(22, 28), 예를 들면 LCD(Liquid Crystal Display)로 구성되는 표시부(52), 스피커(64) 등을 구비하고 있다. 표시부(52)에는, 통화 개시나 통화중에 셀룰러 인터페이스부 CI 또는 WLAN 인터페이스부 WI의 전원의 접속의 상태 등이 표시된다. 이들 전원 접속의 절환을 메뉴얼 조작으로 행하는 경우에는, 그 다이얼로그 표시나, 설정 지시의 내용이 표시부(52)에 표시된다.
또한, 셀룰러 교환기(10)에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신 단말 장치(4) 외에, 복수의 통신 단말기에 대응하는 기지국(121, 122, … 12N) 및 가입자선 인터페이스부(681, 682, … 68N)가 구비되고, 이들 가입자선 인터페이스부(681, 682, … 68N)는 교환 스위치부(70)에 접속되고, 이 교환 스위치부(70)에는 회선 인터페이스부(72)가 접속되어 있다. 교환 스위치부(70)는, 착신에 따라서 회선 인터페이스부(72)를 선택하고, 통신처간의 접속을 행한다. 회선 인터페이스부(72)는, 회선으로부터의 착호 신호를 접수하여, 교환 스위치부(70)에 전송한다.
이들 가입자선 인터페이스부(681, 682, … 68N), 교환 스위치부(70) 및 회선 인터페이스부(72)는, 제어선(74)에 의해, 컴퓨터를 구성하는 CPU(76), 프로그램ㆍ데이터 저장 메모리(78), 작업 메모리(80)에 접속되고, CPU(76), 프로그램ㆍ데이터 저장 메모리(78), 작업 메모리(80)는, 데이터 버스(82)로 접속된다. CPU(76)는, 제어부 및 정보 처리부로서, 통신 내용에 따라서 착신의 허가 또는 불허가를 설정하는 설정부로서의 프로그램ㆍ데이터 저장 메모리(78)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가입자선 인터페이스부(681, 682, … 68N), 교환 스위치부(70) 및 회선 인터페이스부(72)를 제어하며, 착신 처리, 통신 단말 장치(4)로부터의 절환 지시 통지를 받고, 그 통지 내용을 프로그램ㆍ데이터 저장 메모리(78)에 저장하고, 착신을 계기로 절환 지시 통지 내용의 실행 등의 통신 제어를 실행한다. 프로그램ㆍ데이터 저장 메모리(78)에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로그램 저장 영역(84), 데이터 저장 영역(86)이 구비되고, 프로그램 저장 영역(84)에는, 통신 제어 프로그램(62)에 대응하는 통신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또한, 작업 메모리(80)는 RAM으로 구성되며, 작업 에리어에 이용된다.
또한, SIP 서버(14)에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WLAN 네트워크(8)에 접속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88)가 구비되고, 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88)에는, 제어부 또는 정보 처리부로서 CPU(90), 통신 내용에 따라서 착신의 허가 또는 불허가를 설정하는 설정부로서의 프로그램ㆍ데이터 저장 메모리(92), 작업 메모리(94)가 제어선(96) 및 데이터 버스(98)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프로그램ㆍ데이터 저장 메모리(92)에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로그램 저장 영역(100), 데이터 저장 영역(102)이 구비되고, 프로그램 저장 영역(100)에는, 통신 제어 프로그램(62)에 대응하는 통신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또한, 작업 메모리(94)는 RAM으로 구성되며, 작업 에리어에 이용된다.
다음으로, 셀룰러 네트워크(6)의 셀룰러 교환기(10), WLAN 네트워크(8)의 SIP 서버(14)의 어드레스 관리에 대하여,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셀룰러 교환기 상의 어드레스 관리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SIP 서버 상의 어드레스 관리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셀룰러 교환기(10)의 프로그램ㆍ데이터 저장 메모리(78)의 데이터 저장 영역(86)(도 11)에는, 도 14에 도시하는 어드레스 관리 테이블(104)이 설정되어 있다. 이 어드레스 관리 테이블(104)은, 통신처의 전화 번호에 대하여, 통화중 플래그, 착신 허가·불허가 플래그를 나타내는 정보를 관리하는 수단으로서, 이 어드레스 관리 테이블(104)에는, 접속 대상인 전화 번호를 저장하는 전화 번호란, 통화중 플래그의 설정란, 음성 착신 허가·불허가 플래그의 설정란이 구비되어 있다. 통화중 플래그의 설정란에는, 이야기중을 나타내는 「1」, 호 설정 없음을 나타내는 「0」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된다. 또한, 음성 착신 허가·불허가 플래그의 설정란에는, 「거부함」(=불허가)을 나타내는 「1」, 「거부하지 않음」(=허가)을 나타내는 「0」이 설정된다. 전화 번호란에 저장된 일례로서의 전화 번호 「050-1111-0049」에 대하여, 통화중 플래그에는, 「0」(=호 설정 없음), 또한, 음성 착신 허가·불허가 플래그에는, 「0」(=거부하지 않음)이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일례로서의 전화 번호 「050-1111-0050」에 대하여, 통화중 플래그에는, 「0」(=호 설정 없음), 또한, 음성 착신 허가·불허가 플래그에는, 「1」(=거부함)이 설정되어 있다. 이들 설정은, 셀룰러 교환기(10)의 프로그램ㆍ데이터 저장 메모리(78)에 있는 통신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통신 단말 장치(4)로부터의 의뢰 및 입력 데이터에 의해 설정된다.
SIP 서버(14)의 프로그램ㆍ데이터 저장 메모리(92)의 데이터 저장 영역(102)(도 13)에는, 도 15에 도시하는 어드레스 관리 테이블(106)이 설정되어 있다. 이 어드레스 관리 테이블(106)은, 통신처의 전화 번호에 대하여, IP 어드레 스, 통화중 플래그, 착신 허가·불허가 플래그를 나타내는 정보를 관리하는 수단으로서, 이 어드레스 관리 테이블(106)에는, 접속 대상인 전화 번호를 저장하는 전화 번호란, IP 어드레스란, 통화중 플래그의 설정란, 음성 착신 허가·불허가 플래그의 설정란이 구비되어 있다. 이 어드레스 관리 테이블(106)에서도, 통화중 플래그의 설정란에는, 이야기중을 나타내는 「1」, 호 설정 없음을 나타내는 「0」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된다. 또한, 음성 착신 허가·불허가 플래그의 설정란에는, 「거부함」(=불허가)을 나타내는 「1」,「거부하지 않음」(=허가)을 나타내는 「0」이 설정된다. 따라서, 전화 번호란에 저장된 일례로서의 전화 번호 「050-1111-0049」에 대하여, IP 어드레스에는 「10.18.42.111」, 통화중 플래그에는, 「0」(=호 설정 없음), 또한, 음성 착신 허가·불허가 플래그에는, 「0」(=거부하지 않음)이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일례로서의 전화 번호 「050-1111-0050」에 대하여, IP 어드레스에는 「10.18.42.50」, 통화중 플래그에는, 「0」(=호 설정 없음), 또한, 음성 착신 허가·불허가 플래그에는, 「1」(=거부함)이 설정되어 있다. 이들 설정은, SIP 서버(14)의 프로그램ㆍ데이터 저장 메모리(92)에 있는 통신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통신 단말 장치(4)로부터의 의뢰 및 입력 데이터에 의해 설정된다.
다음으로, 이 통신 시스템의 처리 시퀀스에 대하여, 도 16, 도 17, 도 18, 도 19,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음성 착신의 경우의 처리 시퀀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데이터 착신의 경우의 처리 시퀀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착신 거부의 경우의 처리 시퀀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착신 허가의 경우의 처리 시퀀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음성 착신의 경우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 21은, 데이터 착신의 경우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각 처리 시퀀스(도 16~도 19)는, 도 6에 도시하는 통신 시스템(2)에서, 통신 단말 장치(4)와, 셀룰러 교환기(10), SIP 서버(14), 통신 단말 장치(401) 또는 다른 통신 단말 장치(402) 사이에서 행하여지는 통신 제어 프로그램의 처리 수순이다.
(1) 음성 착신의 경우의 처리
음성 착신의 경우에서는,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신 단말 장치(4)의 WLAN 인터페이스부 WI로부터 SIP 서버(14)에 대하여, 음성 착신 거부의 설정을 의뢰한다(스텝 S101). 셀룰러 인터페이스부 CI로부터 셀룰러 교환기(10)에 대하여 접속 의뢰가 발생하고(스텝 S102), 이 접속 의뢰에 기초하여, 셀룰러 교환기(10)로부터 다른 통신 단말 장치(402)의 셀룰러 인터페이스부 CI에 대하여 호X의 설정이 행하여지며(스텝 S103), 통신 단말 장치(4)의 셀룰러 인터페이스부 CI와 통신 단말 장치(402)의 셀룰러 인터페이스부 CI 사이에서 통화가 성립한다(스텝 S104). 이 통화에 대해서는, 절단 의뢰(스텝 S107)가 발생될 때까지, 통화 계속으로 된다.
이 통화 계속중에서, 통신 단말 장치(401)로부터 SIP 서버(14)에 대하여, 음성 호의 설정 의뢰가 발생하면(스텝 S105), SIP 서버(14)에는, 음성 착신 거부의 의뢰에 기초하는 설정이 있고, 이 때문에, 음성 호의 설정이 거부된다(스텝 S106). 즉, 이야기중에 의한 착신 거부가 실행된다.
통화의 종료에 수반하여, 통신 단말 장치(4)의 셀룰러 인터페이스부 CI로부터 발생한 절단 의뢰를 셀룰러 교환기(10)가 받으면(스텝 S107), 셀룰러 교환 기(10)로부터 통신 단말 장치(402)에 대하여, 호X의 절단이 실행된다(스텝 S108). 이에 의해, 통화 계속이 해제된다. 이 통화 계속 해제에 대응하여, 통신 단말 장치(4)의 WLAN 인터페이스부 WI로부터 SIP 서버(14)에 대하여, 음성 착신 거부의 해제 의뢰가 발생되고(스텝 S109), SIP 서버(14)의 음성 착신 거부의 설정이 해제된다.
(2) 데이터 착신의 경우의 처리
데이터 착신의 경우에는,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신 단말 장치(4)의 WLAN 인터페이스부 WI로부터 SIP 서버(14)에 대하여, 음성 착신 거부의 설정을 의뢰한다(스텝 S201). 셀룰러 인터페이스부 CI로부터 셀룰러 교환기(10)에 대하여 접속 의뢰가 발생하고(스텝 S202), 이 접속 의뢰에 기초하여, 셀룰러 교환기(10)로부터 통신 단말 장치(402)의 셀룰러 인터페이스부 CI에 대하여 호X의 설정이 행하여지며(스텝 S203), 통신 단말 장치(4)의 셀룰러 인터페이스부 CI와 통신 단말 장치(402)의 셀룰러 인터페이스부 CI 사이에서 통화가 성립한다(스텝 S204). 이 통화에 대해서는, 절단 의뢰(스텝 S210)가 발생될 때까지, 통화 계속으로 된다.
이 통화 계속중에서, 통신 단말 장치(401)로부터 SIP 서버(14)에 대하여, 데이터 호의 설정 의뢰가 발생하고(스텝 S205), 이것을 받은 SIP 서버(14)에서는, 데이터 호의 허가의 설정이 있으므로, 통신 단말 장치(4)의 WLAN 인터페이스부 WI에 대하여, 데이터 호 설정의 의뢰가 발생되고(스텝 S206), 통신 단말 장치(4)의 WLAN 인터페이스부 WI로부터 접속 받아들임의 양해가 발생되고(스텝 S207), 이것을 받은 SIP 서버(14)로부터 통신 단말 장치(401)에 대하여, 접속 받아들임 양해 통지가 발 생된다(스텝 S208). 이 결과, 통신 단말 장치(4)의 셀룰러 인터페이스부 CI와 통신 단말 장치(402)의 통화 계속중에서, 통신 단말 장치(4)의 WLAN 인터페이스부 WI와 통신 단말 장치(401) 사이에서 데이터 호에 의한 통신이 실행된다(스텝 S209).
통화의 종료에 수반하여, 통신 단말 장치(4)의 셀룰러 인터페이스부 CI로부터 발생한 절단 의뢰를 셀룰러 교환기(10)가 받으면(스텝 S210), 셀룰러 교환기(10)로부터 통신 단말 장치(402)에 대하여, 호X의 절단이 실행된다(스텝 S211). 이에 의해, 통화 계속이 해제된다. 이 통화 계속 해제에 대응하여, 통신 단말 장치(4)의 WLAN 인터페이스부 WI로부터 SIP 서버(14)에 대하여, 음성 착신 거부의 해제 의뢰가 발생되고(스텝 S212), SIP 서버(14)의 음성 착신 거부의 설정이 해제된다.
(3) 착신 거부의 경우의 처리
착신 거부의 경우에는,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신 단말 장치(4)의 WLAN 인터페이스부 WI로부터 SIP 서버(14)에 대하여, 착신 거부의 설정을 의뢰한다(스텝 S301). 셀룰러 인터페이스부 CI로부터 셀룰러 교환기(10)에 대하여 접속 의뢰가 발생하고(스텝 S302), 이 접속 의뢰에 기초하여, 셀룰러 교환기(10)로부터 통신 단말 장치(402)의 셀룰러 인터페이스부 CI에 대하여 호X의 설정이 행하여지며(스텝 S303), 통신 단말 장치(4)의 셀룰러 인터페이스부 CI와 통신 단말 장치(402)의 셀룰러 인터페이스부 CI 사이에서 통화가 성립한다(스텝 S304). 이 통화에 대해서는, 절단 의뢰(스텝 S307)가 발생될 때까지, 통화 계속으로 된다.
이 통화 계속중에서, 통신 단말 장치(401)로부터 SIP 서버(14)에 대하여, 호 설정의 의뢰가 발생하고(스텝 S305), 이것을 받은 SIP 서버(14)에서는, 착신 거부의 설정이 있으므로, SIP 서버(14)로부터 통신 단말 장치(401)에 대하여, 착신 거부의 통지가 발생한다(스텝 S306).
통화의 종료에 수반하여, 통신 단말 장치(4)의 셀룰러 인터페이스부 CI로부터 발생한 절단 의뢰를 셀룰러 교환기(10)가 받으면(스텝 S307), 셀룰러 교환기(10)로부터 통신 단말 장치(402)에 대하여, 호X의 절단이 실행된다(스텝 S308). 이에 의해, 통화 계속이 해제된다. 이 통화 계속 해제에 대응하여, 통신 단말 장치(4)의 WLAN 인터페이스부 WI로부터 SIP 서버(14)에 대하여, 착신 거부의 해제 의뢰가 발생되고(스텝 S309), SIP 서버(14)의 착신 거부의 설정이 해제된다.
(4) 착신 허가의 경우의 처리
착신 허가의 경우에는,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신 단말 장치(4)의 WLAN 인터페이스부 WI로부터 SIP 서버(14)에 대하여, 음성 착신 허가의 설정을 의뢰한다(스텝 S401). 셀룰러 인터페이스부 CI로부터 셀룰러 교환기(10)에 대하여 접속 의뢰가 발생하고(스텝 S402), 이 접속 의뢰에 기초하여, 셀룰러 교환기(10)로부터 통신 단말 장치(402)의 셀룰러 인터페이스부 CI에 대하여 호X의 설정이 행하여지며(스텝 S403), 통신 단말 장치(4)의 셀룰러 인터페이스부 CI와 통신 단말 장치(402)의 셀룰러 인터페이스부 CI 사이에서 통화가 성립한다(스텝 S404). 이 통화에 대해서는, 절단 의뢰(스텝 S410)가 발생될 때까지, 통화 계속으로 된다.
이 통화 계속중에서, 통신 단말 장치(401)로부터 SIP 서버(14)에 대하여, 호의 설정 의뢰가 발생하고(스텝 S405), 이것을 받은 SIP 서버(14)에서는, 착신 허가 의 설정이 있으므로, 통신 단말 장치(4)의 WLAN 인터페이스부 WI에 대하여, 호 설정의 의뢰가 발생되고(스텝 S406), 통신 단말 장치(4)의 WLAN 인터페이스부 WI로부터 접속 받아들임 양해가 발생되고(스텝 S407), 이것을 받은 SIP 서버(14)로부터 통신 단말 장치(401)에 대하여, 접속 받아들임 양해 통지가 발생한다(스텝 S408). 이 결과, 셀룰러 인터페이스부 CI와 통신 단말 장치(402)의 통화 계속중에서, 통신 단말 장치(4)의 WLAN 인터페이스부 WI와 통신 단말 장치(401) 사이에서 데이터 호에 의한 통신이 실행된다(스텝 S409).
통화의 종료에 수반하여, 통신 단말 장치(4)의 셀룰러 인터페이스부 CI로부터 발생한 절단 의뢰를 셀룰러 교환기(10)가 받으면(스텝 S410), 셀룰러 교환기(10)로부터 통신 단말 장치(402)에 대하여, 호X의 절단이 실행된다(스텝 S411). 이에 의해, 통화 계속이 해제된다. 이 통화 계속 해제에 대응하여, 통신 단말 장치(4)의 WLAN 인터페이스부 WI로부터 SIP 서버(14)에 대하여, 음성 착신 허가의 해제 의뢰가 발생되고(스텝 S412), SIP 서버(14)의 음성 착신 허가의 설정이 해제된다.
(5) 구체적인 처리 형태
SIP 서버(14)에는 음성 착신 거부의 설정이 행하여져 있으면,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신 단말 장치(4)가 셀룰러 네트워크(6)를 통하여 통신 단말 장치(402)와 통신 중에, 통신 단말 장치(401)로부터 WLAN 네트워크(8)의 SIP 서버(14)에 음성 호의 착신이 발생한 경우, SIP 서버(14)에서는 음성 착신 거부로 된다.
SIP 서버(14)에는 데이터 착신 허가의 설정이 행하여져 있으면,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신 단말 장치(4)가 셀룰러 네트워크(6)를 통하여 통신 단말 장치(402)와 통신 중에, 통신 단말 장치(401)로부터 WLAN 네트워크(8)의 SIP 서버(14)에 데이터 호의 착신이 발생한 경우, SIP 서버(14)는, 통신 단말 장치(4)의 WLAN 인터페이스부 WI에 접속하여, 그 데이터 착신을 실행한다. WLAN 인터페이스부 WI에서는, 메일 등의 데이터를 착신하고, 그 통신 내용을 프로그램ㆍ데이터 저장 메모리(46)의 데이터 저장 영역(60)에 저장한다. 이 데이터 내용은, 통화중 또는 통화 완료 후에 표시부(52)에 전개하여,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통신 단말 장치(4)의 처리 수순에 대하여,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2는, 통신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통신 프로그램의 처리 수순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 처리 수순에서는, 발호 동작의 처리와, SIP 서버(14)로부터의 데이터 호 착신 통지에 기초하는 처리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통신 단말 장치(4)의 동작을 개시하면, 발호 동작인지 착신인지를 판단하여(스텝 S1), 발호 동작의 경우에는, SIP 서버(14)에 설정을 의뢰한다(스텝 S2). 즉, 이 경우, SIP 서버(14)에 대하여, WLAN 인터페이스부 WI에의 데이터 착신의 허가, 음성 착신의 거부의 설정을 의뢰한다. 이 상태에서, 셀룰러 인터페이스부 CI에서는, 다른 통신 단말 장치(402)에 대하여 발호하여, 호를 성립시킨다(스텝 S3). 이 호는 예를 들면, 도 16의 호X이다.
이 호의 성립에 의해, 통화가 행하여지고(스텝 S4), 통화 완료에 의해 호 절 단이 행하여진다(스텝 S5). 그리고, SIP 서버(14)에 대하여, WLAN 인터페이스부 WI의 데이터 착신의 허가, 음성 착신의 거부의 설정 해제를 의뢰한다(스텝 S6).
또한, 스텝 S1에서, SIP 서버(14)로부터 데이터 호의 착신 통지를 받은 경우에는, 접속 받아들임 양해를 응답하고(스텝 S7), 통신 단말 장치(401)로부터의 데이터 호 접속을 받아들인다(스텝 S8).
다음으로, 셀룰러 교환기(10)의 처리 수순에 대하여,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3은, 통신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통신 프로그램의 처리 수순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셀룰러 교환기(10)에서는, 지시 대기 상태(스텝 S11)에서, 통신 단말 장치(4)로부터 셀룰러 인터페이스부 CI에서 음성 착신의 거부 설정의 의뢰를 받은 경우에는, 그 의뢰 내용을 SIP 서버(14)에 전송하고(스텝 S12), 스텝 S11로 되돌아간다.
또한, 지시 대기 상태(스텝 S11)에서, 통신 단말 장치(4)로부터 셀룰러 인터페이스부 CI에서 호 접속의 요구를 받은 경우에는, 통신 단말 장치(401)와의 호 설정 처리를 행하고(스텝 S13), 스텝 S11로 되돌아간다.
다음으로, SIP 서버(14)의 처리 수순에 대하여, 도 2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4는, 통신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통신 프로그램의 처리 수순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 처리 수순은, 통신 단말 장치(4)의 처리 수순에 대응하는 처리로서, 이미 설명한 통신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SIP 서버(14)에 의해 실행되는 통신 프로그램의 처리이다.
이 경우, SIP 서버(14)는, 통신 단말 장치(4), 통신 단말 장치(401)로부터의 의뢰를 받고, 그 의뢰에 기초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A. 음성 착신의 거부 설정 의뢰의 경우
SIP 서버(14)에서는, 그 의뢰 내용을 판정한다(스텝 S21). 그 의뢰 내용이 통신 단말 장치(4)로부터 음성 착신의 거부 설정의 의뢰를 받은 경우이면, 통신 단말 장치(4)의 어드레스 관리 테이블(106)(도 15)의 음성 착신 허가·불허가 플래그를 설정하고(스텝 S22), 스텝 S21의 대기 상태로 이행한다.
B. 호 설정 요구의 경우
또한, 그 의뢰 내용이 통신 단말 장치(401)로부터의 호 설정 요구(착신)이면, 통지된 접속처 상대 번호를 어드레스 관리 테이블(106)(도 15)에서 검색하여, 통화중 플래그를 확인한다(스텝 S23). 이 경우, 「이야기중」이면, 어드레스 관리 테이블(106)에서 음성 착신 허가·불허가 플래그를 확인한다(스텝 S24). 플래그=「불허가」(=거부)이면, 호 설정 요구가 음성인지 데이터인지를 판단한다(스텝 S25). 즉, 호 접속 요구의 요구 내용으로부터 판단한다. 호 설정 요구가 음성이면, 이야기중인 것을 통지하고(스텝 S26), 스텝 S21로 되돌아간다.
호 설정 요구가 데이터이면 통신 단말 장치(4)에 데이터 호 설정 의뢰를 행하여(스텝 S27), 통신 단말 장치(4)로부터 접속 받아들임 양해의 응답을 받고(스텝 S28), 통신 단말 장치(401)에 그 접속 받아들임 양해를 보내고(스텝 S29), 스텝 S21로 되돌아간다.
그런데, 스텝 S23의 통화중 플래그의 확인 처리에서, 이야기중이 아닌 경우나, 스텝 S24의 음성 착신 허가·불허가 플래그의 확인 처리에서, 플래그=받아들임인 경우에는, 통신 단말 장치(4)에 대하여, 호 설정 의뢰를 행하여(스텝 S30), 통신 단말 장치(4)로부터 접속 받아들임 양해의 응답을 받고(스텝 S31), 통신 단말 장치(401)에 그 접속 받아들임 양해를 보내고(스텝 S32), 스텝 S21로 되돌아간다.
C. 음성 착신 거부 설정의 해제의 경우
의뢰 내용이 통신 단말 장치(4)로부터 음성 착신의 거부 설정의 해제 의뢰를 받은 경우이면, 통신 단말 장치(4)의 어드레스 관리 테이블(106)(도 15)의 음성 착신 허가·불허가 플래그를 해제하고(스텝 S33), 스텝 S21의 대기 상태로 이행한다.
(제3 실시예)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대하여,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5는, SIP 서버의 어드레스 관리 테이블을 도시하는 도면, 도 26은, SIP 서버(14)의 처리 수순으로서, 통신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통신 프로그램의 처리 수순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5에서, 도 15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 제3 실시예에서도, 도 1~도 5의 통신 시스템(제1 실시예)의 구성이 이용되어, 그 처리가 실행되고, 또한, 도 6~도 13의 통신 시스템, 도 16~도 21의 처리(제2 실시예)가 이용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이미 설명한 어드레스 관리 테이블(106)(도 15)에 대하여,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어드레스 관리 테이블(1060)이 이용되고, 착신 허가·불허가 플래그에 대하여 「A」, 「B」 및 「0」이 설정되고, 「A」에서는, 착신 종별 A를 거부하는, 「B」에서는, 착신 종별 B를 거부하는, 또한, 「0」에서는, 착신을 거부하지 않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전화 번호란에 저장된 일례로서의 전화 번호 「050-1111-0049」에 대하여, IP 어드레스에는 「10.18.42.111」, 통화중 플래그에는, 「0」(=호 설정 없음), 또한, 착신 허가·불허가 플래그에는, 「0」(=거부하지 않음)이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일례로서의 전화 번호 「050-1111-0050」에 대하여, IP 어드레스에는 「10.18.42.50」, 통화중 플래그에는, 「0」(=호 설정 없음), 또한, 착신 허가·불허가 플래그에는, 「A」(=착신 종별 A를 거부함)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일례로서의 전화 번호 「050-1111-0051」에 대하여, IP 어드레스에는 「10.18.42.51」, 통화중 플래그에는, 「0」(=호 설정 없음), 또한, 착신 허가·불허가 플래그에는, 「B」(=착신 종별 B를 거부함)가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 경우의 SIP 서버(14)의 처리 수순에 대하여, 도 2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6은, 통신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통신 프로그램의 처리 수순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 처리 수순은, 통신 단말 장치(4)의 처리 수순에 대응하는 처리로서, 이미 설명한 통신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SIP 서버(14)에 의해 실행되는 통신 프로그램의 처리이다.
이 경우, SIP 서버(14)는, 통신 단말 장치(4), 통신 단말 장치(401)로부터의 의뢰를 받고, 그 의뢰에 기초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A. 착신의 거부 설정 의뢰의 경우
SIP 서버(14)에서는, 그 의뢰 내용을 판정한다(스텝 S41). 그 의뢰 내용이 통신 단말 장치(4)로부터 착신의 거부 설정의 의뢰를 받은 경우이면, 통신 단말 장치(4)의 어드레스 관리 테이블(1060)(도 25)의 착신 허가·불허가 플래그를 설정하고(스텝 S42), 스텝 S41의 대기 상태로 이행한다.
B. 호 설정 요구의 경우
또한, 그 의뢰 내용이 통신 단말 장치(401)로부터의 호 설정 요구(착신)이면, 통지된 접속처 상대 번호를 어드레스 관리 테이블(1060)(도 25)에서 검색하여, 통화중 플래그를 확인한다(스텝 S43). 이 경우, 「이야기중」이면, 어드레스 관리 테이블(1060)에서 착신 허가·불허가 플래그를 확인한다(스텝 S44). 즉, 호 설정 요구의 요구 내용과 어드레스 관리 테이블(1060)의 설정 플래그로부터, 착신 받아들임인지 착신 거부인지를 판단한다(스텝 S45). 착신 거부이면, 이야기중인 것을 통지하고(스텝 S46), 스텝 S41로 되돌아간다.
착신 받아들임이면, 통신 단말 장치(4)에 데이터 호 설정 의뢰를 행하여(스텝 S47), 통신 단말 장치(4)로부터 접속 받아들임 양해의 응답을 받고(스텝 S48), 통신 단말 장치(401)에 그 접속 받아들임 양해를 보내고(스텝 S49), 스텝 S41로 되돌아간다.
그런데, 스텝 S43의 통화중 플래그의 확인 처리에서, 「이야기중이 아닌」 경우에는, 통신 단말 장치(4)에 대하여, 호 설정 의뢰를 행하여(스텝 S50), 통신 단말 장치(4)로부터 접속 받아들임 양해의 응답을 받고(스텝 S51), 통신 단말 장치(401)에 그 접속 받아들임 양해를 보내고(스텝 S52), 스텝 S41로 되돌아간다.
C. 착신 거부 설정의 해제의 경우
의뢰 내용이 통신 단말 장치(4)로부터 착신의 거부 설정의 해제 의뢰를 받은 경우이면, 통신 단말 장치(4)의 어드레스 관리 테이블(1060)(도 25)의 착신 허가·불허가 플래그를 해제하고(스텝 S53), 스텝 S41의 대기 상태로 이행한다.
(제4 실시예)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대하여, 도 2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7은, 셀룰러 교환기(10)의 처리 수순으로서, 통신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통신 프로그램의 처리 수순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 제4 실시예에서도, 도 1~도 5의 통신 시스템(제1 실시예)의 구성이 이용되어, 그 처리가 실행되고, 또한, 도 6~도 13의 통신 시스템, 도 16~도 21의 처리(제2 실시예)가 이용된다.
이 경우, 셀룰러 교환기(10)에서는 음성의 착신 거부 설정의 의뢰를 받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스텝 S61), 그 의뢰를 받지 않았으면(스텝 S61의 아니오), 대기 상태를 유지하고, 그 착신 거부의 의뢰를 받았으면(스텝 S61의 예), 어드레스 관리 테이블(104)(도 14)의 음성 착신 허가·불허가 플래그를 설정한다(스텝 S62).
이 상태에서 통신 단말 장치(401)로부터 호 설정 요구(착신)가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스텝 S63), 착신이 있으면(스텝 S63의 예), 접속처의 전화 번호에 대하여, 어드레스 관리 테이블(104)(도 14)을 검색하여, 통화중 플래그를 확인한다(스텝 S64). 「이야기중」이 아니면, 어드레스 관리 테이블(104)(도 14)을 검색하여, 음성 착신 허가·불허가 플래그를 확인한다(스텝 S65). 플래그=「허가」이 면, 호 설정 의뢰(예를 들면, 도 24의 스텝 S30)가 행하여지고, 플래그=「거부」이면, 호 설정 요구가 음성인지 데이터인지를 요구 내용으로부터 판단하여(스텝 S66), 데이터이면 이야기중인 것을 상대방에게 통지하고(스텝 S67), 스텝 S63으로 되돌아간다. 이 처리는, 스텝 S64에서, 이야기중인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스텝 S66에서, 음성인 것이 확인된 경우에는, 통신 단말 장치(4)에 데이터 호 설정을 의뢰하고(스텝 S68), 이 의뢰에 대하여, 통신 단말 장치(4)로부터 접속 받아들임 양해의 응답이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스텝 S69), 접속 받아들임 양해가 있으면 통신 단말 장치(401)에 접속 받아들임 양해를 보내고(스텝 S70), 스텝 S61로 되돌아간다.
(제5 실시예)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대하여, 도 2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8은, 통신 방법의 처리 수순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제1 내지 제4 실시예에서는, 통신 단말 장치(4)의 셀룰러 인터페이스부 CI, WLAN 인터페이스부 WI에 대한 착신의 허가 또는 불허가의 제어를, 통신 단말 장치(4)로부터의 의뢰에 기초하여, 셀룰러 네트워크(6), WLAN 네트워크(8) 측에서 행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통신 단말 장치(4) 측에서 행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실시예에서도, 도 6에 도시하는 통신 시스템(2), 도 7에 도시하는 통신 단말 장치(4), 도 8에 도시하는 프로그램ㆍ데이터 저장 메모리(46), 제1 내지 제4 실시예에서 나타낸 구성을 사용한다.
따라서, 이 통신 방법에서는,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셀룰러 인터페이스부 CI 또는 WLAN 인터페이스부 WI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한 통신중, 통신중 이외의 인터페이스부(예를 들면, 셀룰러 인터페이스부 CI를 사용하고 있으면, WLAN 인터페이스부 WI에의 착신)에 착신을 받는다(스텝 S71). 그 통신 내용에 대하여, 현재의 통신중인 통신 내용과 착신에 따른 통신 내용을 비교 판단하여(스텝 S72), 그 착신 처리에 대하여 착신의 허가(스텝 S73) 또는 착신의 불허가(스텝 S74)를 행한다. 예를 들면, 셀룰러 인터페이스부 CI에 의한 음성 통화중에, WLAN 인터페이스부 WI에 대한 착신이 있었던 경우, 그 착신이 음성 호인지, 데이터 호인지를 판단하여, 데이터 호이면 착신을 허가하고, 통화중에 다른 인터페이스부인 WLAN 인터페이스부 WI에 의한 데이터 착신을 행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1대의 통신 단말 장치(4)로써 셀룰러 인터페이스부 CI와 WLAN 인터페이스부 WI를 구분하여 사용하여, 착신 내용에 의해 착신의 허가 또는 착신의 불허가로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셀룰러 인터페이스부 CI와 WLAN 인터페이스부 WI의 유효 이용이 도모된다. 이 결과, 통신중인 인터페이스부에 대하여, 휴지중인 인터페이스부의 유효 이용을 행할 수 있음과 함께, 통화중 등의 착신 거부를 회피할 수 있어, 통신 범위의 확대가 도모된다. 이러한 통신 방법은, 통신 단말 장치(4)에 있는 통신 제어 프로그램(62)의 처리 수순에 의해 실행된다.
(제6 실시예)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대하여, 도 2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9는, 제6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9에서, 도 7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통신 단말 장치(400)가 입력부(50)에 있는 버튼(502)이나 그 밖의 수동 조작에 의해 음성을 절환함으로써, 동시에 복수의 통신처의 통신 단말 장치와 통화할 수 있는 구성이다. 버튼(502)은 도 9에 도시하는 통신 단말 장치(4)의 입력부(50)에 있는 어느 하나의 키에 할당하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이러한 통신 단말 장치(400)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셀룰러 네트워크(6) 및 WLAN 네트워크(8)의 쌍방에서의 음성 동시 통신을 허가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제7 실시예)
통신 단말 장치(4) 측에서 착신의 허가 또는 불허가를 행하는 경우, 셀룰러 인터페이스부 CI, WLAN 인터페이스부 WI에 대한 전원의 접속을 절환하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이러한 경우, 전원의 접속 절환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셀룰러 인터페이스부 CI, WLAN 인터페이스부 WI에 대한 전지(40)의 접속을 선택적으로 절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되고, 또한, 예를 들면,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셀룰러 인터페이스부 CI의 셀룰러 RF 프론트 엔드부(24), 셀룰러 베이스밴드부(26)에 대하여 개별로 급전선(341, 342)을 접속하고, 마찬가지로, WLAN 인터페이스부 WI의 WLAN-RF 프론트 엔드부(30), WLAN 베이스밴드부(32)에 대하여 개별로 급전선(361, 362)을 접속함으로써, 각 부에 대한 전원으로서 전지(40)의 접속을 전원 제어부(38)에서 절환하고, 착신의 허가, 불허가를 제어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다른 실시예)
(1) 상기 실시예에서는, 음성 통신을 베이스로 데이터 착신의 허가, 음성 통신의 불허가를 설정하고 있지만, 데이터 통신에서, 데이터의 종별로 착신의 허가 또는 불허가를 제어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2) 상기 실시예에서는, 통신 장치로서 통신 단말 장치(4)를 예시하였지만, 셀룰러 인터페이스부 CI와 WLAN 인터페이스부 WI를 구비하여 복수의 통신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 통신 장치이면,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도 3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셀룰러 인터페이스부 CI와 WLAN 인터페이스부 WI를 탑재하여 통신 기능을 갖는 퍼스널 컴퓨터(PC)(504, 506, 508 …)를 이용하여 통신 시스템(2)을 구성해도 되고, 또한, 도 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마찬가지의 기능을 구비한 휴대 정보 단말기(PDA : Persnal Digital Assistant)(604, 606, 608 …)를 이용하여 통신 시스템(2)을 구성해도 된다.
(3) 상기 실시예에서는, 통신 장치로서 셀룰러 인터페이스부 CI와 WLAN 인터페이스부 WI를 구비한 통신 단말 장치(4), PC(504), PDA(604) 등을 예시하였지만, 이러한 복합 통신 기능을 갖는 소위 DUAL 단말기 외에, 다른 통신 네트워크 예를 들면, WiMAX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부 등, 3이상의 인터페이스부의 전원 절환을 행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다음으로,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추출되는 기술적 사상을 청구항의 기재 형식에 준하여 부기로서 열거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은 상위 개념으로부터 하위 개념까지, 다양한 레벨이나 배리에이션에 의해 파악할 수 있는 것이며, 이하의 부기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부기 1) 복수의 네트워크와 무선 접속되고, 각 네트워크와의 사이에서 발착신을 행할 수 있는 통신 장치로서,
상기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복수의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네트워크와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통신 내용의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착신을 허가 또는 불허가로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부기 2) 부기 1의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통신중인 인터페이스부의 통신 내용과, 다른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착신의 통신 내용을 비교하여, 통신 내용이 서로 다르면, 상기 다른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착신을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부기 3) 부기 1의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통신중인 인터페이스부의 음성 통화에 대하여, 다른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착신의 통신 내용이 데이터 호이면, 그 데이터 호의 착신을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부기 4) 부기 1의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통신중인 인터페이스부의 데이터 통신에 대하여, 다른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착신의 통신 내용이 음성 호이면, 그 음성 호의 착신을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부기 5) 부기 1의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통신중인 인터페이스부의 음성 통화인 경우, 다른 인터페이 스부에 대한 착신의 통신 내용이 음성 호이면, 복수의 인터페이스부의 동시 음성 통화를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부기 6) 복수의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에 무선 접속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착신을 받는 네트워크 장치로서,
상기 통신 장치의 지시에 기초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착신에 대하여, 통신 내용에 따라서 허가 또는 불허가를 설정하는 설정부와,
통신처의 통신 내용과 상기 설정부의 설정 내용을 비교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상기 착신을 허가 또는 불허가로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부기 7) 부기 6의 네트워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통신중인 인터페이스부의 통신 내용과, 다른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착신의 통신 내용을 비교하여, 통신 내용이 서로 다르면, 상기 다른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착신을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부기 8) 부기 6의 네트워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통신중인 인터페이스부의 음성 통화에 대하여, 다른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착신의 통신 내용이 데이터 호이면, 그 데이터 호의 착신을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부기 9) 부기 6의 네트워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통신중인 인터페이스부의 데이터 통신에 대하여, 다른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착신의 통신 내용이 음성 호이면, 그 음성 호의 착신을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부기 10) 부기 6의 네트워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통신중인 인터페이스부의 음성 통화인 경우, 다른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착신의 통신 내용이 음성 호이면, 복수의 인터페이스부의 동시 음성 통화를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부기 11) 복수의 네트워크와, 이들 네트워크에 무선 접속되고, 각 네트워크와의 사이에서 발착신을 행할 수 있는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복수의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네트워크와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통신 내용의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착신을 허가 또는 불허가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부기 12) 부기 11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통신중인 인터페이스부의 통신 내용과, 다른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착신의 통신 내용을 비교하여, 통신 내용이 서로 다르면, 상기 다른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착신을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부기 13) 부기 11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통신중인 인터페이스부의 음성 통화에 대하여, 다른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착신의 통신 내용이 데이터 호이면, 그 데이터 호의 착신을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부기 14) 부기 11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통신중인 인터페이스부의 데이터 통신에 대하여, 다른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착신의 통신 내용이 음성 호이면, 그 음성 호의 착신을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부기 15) 부기 11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통신중인 인터페이스부의 음성 통화인 경우, 다른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착신의 통신 내용이 음성 호이면, 복수의 인터페이스부의 동시 음성 통화를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부기 16) 복수의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와, 이 통신 장치와 무선 접속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착신을 받는 네트워크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통신 장치의 지시에 기초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착신에 대하여, 통신 내용에 따라서 허가 또는 불허가를 설정하는 설정부를 포함하고, 통신처의 통신 내용과 상기 설정부의 설정 내용을 비교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상기 착신을 허가 또는 불허가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부기 17) 부기 16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통신중인 인터페이스부의 통신 내용과, 다른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착신의 통신 내용을 비교하여, 통신 내용이 서로 다르면, 상기 다른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착신을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부기 18) 부기 16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통신중인 인터페이스부의 음성 통화에 대하여, 다른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착신의 통신 내용이 데이터 호이면, 그 데이터 호의 착신을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부기 19) 부기 16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통신중인 인터페이스부의 데이터 통신에 대하여, 다른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착신의 통신 내용이 음성 호이면, 그 음성 호의 착신을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부기 20) 부기 16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통신중인 인터페이스부의 음성 통화인 경우, 다른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착신의 통신 내용이 음성 호이면, 복수의 인터페이스부의 동시 음성 통화를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부기 21) 복수의 네트워크와 통신 장치를 무선 접속하고, 상기 통신 장치와 각 네트워크 사이에서 발착신에 이용되는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네트워크와 상기 통신 장치에 포함되는 복수의 인터페이스부 중 어느 하나와의 무선 접속을 행하는 스텝과,
상기 네트워크와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통신 내용의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착신을 허가 또는 불허가로 제어하는 스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부기 22) 복수의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를 무선 접속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네트워크 장치 사이에서 발착신에 이용되 는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통신 장치의 지시에 기초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착신에 대하여, 통신 내용에 따라서 허가 또는 불허가를 설정하는 스텝과,
통신처의 통신 내용과 상기 허가 또는 상기 불허가가 설정된 설정 내용을 비교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상기 착신을 허가 또는 불허가로 제어하는 스텝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부기 23) 부기 21 또는 22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통신중인 인터페이스부의 통신 내용과, 다른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착신의 통신 내용을 비교하여, 통신 내용이 서로 다르면, 상기 다른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착신을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부기 24) 부기 21 또는 22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통신중인 인터페이스부의 음성 통화에 대하여, 다른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착신의 통신 내용이 데이터 호이면, 그 데이터 호의 착신을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부기 25) 부기 21 또는 22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통신중인 인터페이스부의 데이터 통신에 대하여, 다른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착신의 통신 내용이 음성 호이면, 그 음성 호의 착신을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부기 26) 부기 21 또는 22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통신중인 인터페이스부의 음성 통화인 경우, 다른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착신 의 통신 내용이 음성 호이면, 복수의 인터페이스부의 동시 음성 통화를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부기 27) 복수의 네트워크와 통신 장치를 무선 접속하고, 상기 통신 장치와 각 네트워크 사이에서 발착신에 이용되며,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통신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네트워크와 상기 통신 장치에 포함되는 복수의 인터페이스부 중 어느 하나와의 무선 접속을 행하는 스텝과,
상기 네트워크와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통신 내용의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착신을 허가 또는 불허가로 제어하는 스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프로그램.
(부기 28) 복수의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를 무선 접속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네트워크 장치 사이에서 발착신에 이용되며,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되는 통신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통신 장치의 지시에 기초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착신에 대하여, 통신 내용에 따라서 허가 또는 불허가를 설정하는 스텝과,
통신처의 통신 내용과 상기 허가 또는 상기 불허가가 설정된 설정 내용을 비교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상기 착신을 허가 또는 불허가로 제어하는 스텝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프로그램.
(부기 29) 복수의 네트워크와 통신 장치를 무선 접속하고, 상기 통신 장치와 각 네트워크 사이에서 발착신에 이용되는 통신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 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네트워크와 상기 통신 장치에 포함되는 복수의 인터페이스부 중 어느 하나와의 무선 접속을 행하는 스텝과,
상기 네트워크와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통신 내용의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착신을 허가 또는 불허가로 제어하는 스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부기 30) 복수의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를 무선 접속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네트워크 장치 사이에서 발착신에 이용되는 통신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통신 장치의 지시에 기초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착신에 대하여, 통신 내용에 따라서 허가 또는 불허가를 설정하는 스텝과,
통신처의 통신 내용과 상기 허가 또는 상기 불허가가 설정된 설정 내용을 비교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상기 착신을 허가 또는 불허가로 제어하는 스텝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 등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기재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되거나, 또는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요지에 기초하여, 당업자에게 있어서 다양한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이, 본 발명의 범 위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통신 장치에 있는 복수의 인터페이스부에 대하여, 착신 내용에 따라서 착신을 허가 또는 불허가로 제어하여, 특정한 통신 내용에서 통신중에 그 통신 내용과 동일 또는 상이한 통신 내용의 착신을 할 수 있고, 통신 장치 및 복수의 인터페이스부의 유효 이용과 함께, 통신 범위가 확대되어, 유용하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의 처리 수순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3은 통신 시스템의 SIP 서버에 대한 설정 및 착신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통신 시스템의 셀룰러 교환기에 대한 설정 및 착신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통신 시스템의 셀룰러 교환기에 대한 다른 설정 및 착신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통신 단말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프로그램ㆍ데이터 저장 메모리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통신 단말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셀룰러 교환기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프로그램ㆍ데이터 저장 메모리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SIP 서버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프로그램ㆍ데이터 저장 메모리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셀룰러 교환기의 어드레스 관리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SIP 서버의 어드레스 관리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음성 착신의 경우의 처리 시퀀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데이터 착신의 경우의 처리 시퀀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착신 거부의 경우의 처리 시퀀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착신 허가의 경우의 처리 시퀀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음성 착신의 경우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 21은 데이터 착신의 경우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 22는 통신 단말 장치의 통신 프로그램의 처리 수순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23은 셀룰러 교환기의 통신 프로그램의 처리 수순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24는 SIP 서버의 통신 프로그램의 처리 수순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25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어드레스 관리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26은 SIP 서버의 통신 프로그램의 처리 수순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27은 제4 실시예에 따른 셀룰러 교환기의 통신 프로그램의 처리 수순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28은 제5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의 처리 수순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29는 제6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30은 제7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3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
도 3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통신 시스템
4, 401, 402 : 통신 단말 장치
6 : 셀룰러 네트워크
8 : WLAN 네트워크
10 : 셀룰러 교환기
14 : SIP 서버
CI : 셀룰러 인터페이스부
WI : WLAN 인터페이스부
24 : 셀룰러 RF 프론트 엔드부
26 : 셀룰러 베이스밴드부
30 : WLAN-RF 프론트 엔드부
32 : WLAN 베이스밴드부
38 : 전원 제어부
40 : 전지
42 : CPU
46 : 프로그램ㆍ데이터 저장 메모리
62 : 통신 제어 프로그램
76 : CPU
78 : 프로그램ㆍ데이터 저장 메모리
90 : CPU

Claims (11)

  1. 통신 규격이 각각 상이한 복수의 네트워크와 무선 접속되고, 각 네트워크와의 사이에서 발착신을 행할 수 있는 통신 장치로서,
    상기 네트워크의 각각의 통신 규격에 대응함으로써, 상기 네트워크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인터페이스부와,
    통신중인 인터페이스부의 데이터 호 또는 음성 호인 통신 내용과, 다른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착신의 통신 내용을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급전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다른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착신을 허가 또는 불허가로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교의 결과, 통신 내용이 서로 다르면, 상기 다른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착신을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통신중인 인터페이스부의 음성 통화에 대하여, 다른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착신의 통신 내용이 데이터 호이면, 그 데이터 호의 착신을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통신중인 인터페이스부의 데이터 통신에 대하여, 다른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착신의 통신 내용이 음성 호이면, 그 음성 호의 착신을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통신중인 인터페이스부의 음성 통화인 경우, 다른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착신의 통신 내용이 음성 호이면, 상기 다른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음성 호의 착신을 허가함으로써, 상기 통신중인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다른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인터페이스부의 동시 음성 통화를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6. 통신 규격이 각각 상이한 복수의 네트워크와, 이들 네트워크에 무선 접속되고, 각 네트워크와의 사이에서 발착신을 행할 수 있는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네트워크의 각각의 통신 규격에 대응함으로써, 상기 네트워크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고, 통신중인 인터페이스부의 데이터 호 또는 음성 호인 통신 내용과, 다른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착신의 통신 내용을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급전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다른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착신을 허가 또는 불허가로 제어하고, 상기 다른 인터페이스부가 상기 통신중인 인터페이스부의 데이터 호 또는 음성 호인 통신 내용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통신중인 인터페이스부의 통신 내용과, 다른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착신의 통신 내용을 비교하여, 통신 내용이 서로 다르면, 상기 다른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착신을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통신중인 인터페이스부의 음성 통화에 대하여, 다른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착신의 통신 내용이 데이터 호이면, 그 데이터 호의 착신을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통신중인 인터페이스부의 데이터 통신에 대하여, 다른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착신의 통신 내용이 음성 호이면, 그 음성 호의 착신을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통신중인 인터페이스부의 음성 통화인 경우, 다른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착신의 통신 내용이 음성 호이면, 상기 다른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음성 호의 착신을 허가함으로써, 상기 통신중인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다른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인터페이스부의 동시 음성 통화를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1. 통신 규격이 각각 상이한 복수의 네트워크와 통신 장치를 무선 접속하고, 상기 통신 장치와 각 네트워크 사이에서 발착신에 이용되는 통신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네트워크와 상기 통신 장치에 포함되고, 상기 네트워크의 각각의 통신 규격에 대응함으로써, 상기 네트워크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인터페이스부 중 어느 하나와의 무선 접속을 행하는 스텝과,
    통신중인 인터페이스부의 데이터 호 또는 음성 호인 통신 내용과, 다른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착신의 통신 내용을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급전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다른 인터페이스부에 대한 착신을 허가 또는 불허가로 제어하는 스텝
    을 포함하고,
    상기 다른 인터페이스부가 상기 통신중인 인터페이스부의 데이터 호 또는 음성 호인 통신 내용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80036391A 2006-09-14 2008-04-18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및 통신 프로그램을 저장한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10885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49683 2006-09-14
JP2006249683A JP5103837B2 (ja) 2006-09-14 2006-09-14 通信装置、ネットワーク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通信プログラ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9596A Division KR101099299B1 (ko) 2006-09-14 2007-01-30 네트워크 장치, 통신 시스템, 및 통신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8099A Division KR101119758B1 (ko) 2006-09-14 2011-02-28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및 통신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6981A KR20080036981A (ko) 2008-04-29
KR101088564B1 true KR101088564B1 (ko) 2011-12-05

Family

ID=3880576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9596A KR101099299B1 (ko) 2006-09-14 2007-01-30 네트워크 장치, 통신 시스템, 및 통신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080036391A KR101088564B1 (ko) 2006-09-14 2008-04-18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및 통신 프로그램을 저장한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10018099A KR101119758B1 (ko) 2006-09-14 2011-02-28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및 통신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9596A KR101099299B1 (ko) 2006-09-14 2007-01-30 네트워크 장치, 통신 시스템, 및 통신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8099A KR101119758B1 (ko) 2006-09-14 2011-02-28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및 통신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80069073A1 (ko)
EP (3) EP2296387B1 (ko)
JP (1) JP5103837B2 (ko)
KR (3) KR101099299B1 (ko)
CN (1) CN1011460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99696B2 (ja) * 2006-07-31 2012-03-21 富士通株式会社 通信装置、中継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通信プログラム
JP5096831B2 (ja) * 2007-08-08 2012-12-12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JP4463313B2 (ja) 2008-08-06 2010-05-19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通信制御システム、移動通信交換装置、加入者情報管理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
JP4708473B2 (ja) * 2008-12-24 2011-06-22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通信システム、移動機、着信制御方法
EP2224781B1 (en) * 2009-02-27 2017-09-20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security on a mobile device using multiple communication domains
US8121638B2 (en) 2009-02-27 2012-02-21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security on a mobile device using multiple communication domains
WO2010143669A1 (ja) * 2009-06-08 2010-12-16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携帯端末装置の制御方法、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
US8914788B2 (en) 2009-07-01 2014-12-16 Hand Held Products, Inc. Universal connectivity for non-universal devices
US20110302247A1 (en) * 2010-06-02 2011-12-08 Microsoft Corporation Contextual information dependent modality selection
US8457633B1 (en) * 2011-01-24 2013-06-04 Sprint Spectrum L.P. Selective simultaneous communication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based on call type
US20120275450A1 (en) * 2011-04-29 2012-11-01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Obtaining Services Through a Local Network
JP6034587B2 (ja) * 2012-04-11 2016-11-30 株式会社Nttドコモ 移動端末及び通信方法
US9432505B2 (en) 2014-04-23 2016-08-30 Apple Inc. Simultaneous LTE data and DSDA voice
CN108173909B (zh) * 2017-12-15 2021-11-16 臻迪科技股份有限公司 数据同步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9480A (en) * 1993-12-30 1995-12-26 At&T Corp. Dual mode cellular modem
US5666364A (en) 1996-03-01 1997-09-09 Motorola, Inc. Method for prioritizing services provided by different network entities
US6526026B1 (en) * 1997-12-10 2003-02-25 Intel Corporation Digit transmission over wireless communication link
US6208627B1 (en) * 1997-12-10 2001-03-27 Xircom, Inc. Signaling and protocol for communication system with wireless trunk
US6097817A (en) * 1997-12-10 2000-08-01 Omnipoint Corporation Encryption and decryption in communication system with wireless trunk
US6580906B2 (en) * 1997-12-10 2003-06-17 Intel Corporation Authentication and secur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165028B1 (en) * 1997-12-10 2012-04-24 Intel Corporation Monitoring in communication system with wireless trunk
CN1130088C (zh) 1997-12-10 2003-12-03 西尔可穆无线公司 多能力无线中继线寻址的通信系统和方法
US6112084A (en) * 1998-03-24 2000-08-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Cellular simultaneous voice and data including digital simultaneous voice and data (DSVD) interwork
JP2000253180A (ja) * 1999-03-01 2000-09-14 Toshiba Corp データ通信端末装置
US20010026538A1 (en) * 2000-01-10 2001-10-04 Jorg Bruss Method and system for exchange of multicall capabilities between terminal and network
JP2001345753A (ja) * 2000-06-05 2001-12-14 Nec Corp 移動体内におけるphs加入者端末接続方式
JP2002064877A (ja) * 2000-08-22 2002-02-28 Sony Corp 通信システム、通信端末
JP3757769B2 (ja) * 2000-08-23 2006-03-22 サクサ株式会社 ボタン電話装置
JP2002232346A (ja) * 2001-02-06 2002-08-16 Nec Corp Cdma通信システムおよびcdma通信方法
JP4347576B2 (ja) * 2001-05-14 2009-10-21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通信サービス提供方法
US6987986B2 (en) * 2001-06-21 2006-01-17 Boesen Peter V Cellular telephone, personal digital assistant with dual lines for simultaneous uses
US7693541B1 (en) * 2001-07-20 2010-04-06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Multimodal session support on distinct multi channel protocol
JP2003219471A (ja) * 2002-01-21 2003-07-31 Nec Corp 携帯電話端末
JP3972291B2 (ja) * 2002-02-18 2007-09-05 ソニー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並びに、通信装置および方法
JP2003299155A (ja) * 2002-04-04 2003-10-17 Nec Corp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通信方法、無線携帯装置、及び無線基地局
JP2003319454A (ja) * 2002-04-23 2003-11-07 Nec Commun Syst Ltd 呼接続制御方法及び呼接続制御システム
US7251488B2 (en) 2002-06-28 2007-07-31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ordinating services in integrated WLAN-cellular systems
JP2004135324A (ja) * 2002-09-19 2004-04-30 Kozo Niimura 携帯電話用アダプタ及び電話装置
JP3867655B2 (ja) * 2002-10-29 2007-01-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マルチメディア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
US6931249B2 (en) * 2003-01-23 2005-08-16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target-initiated handoff from a source cellular wireless network to a target non-cellular wireless network
US7146130B2 (en) * 2003-02-24 2006-12-05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local access network system detection and selection
KR20040106956A (ko) * 2003-06-10 2004-12-2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착신호의 선택적 수신거부 방법
ATE497336T1 (de) * 2003-07-10 2011-02-15 Alcatel Lucent Reduktion von bandbreite und energieverbrauch in einem multimode mobilfunkendgerät durch selektives überwachen mehrerer funkschnittstellen
JP4352220B2 (ja) 2003-07-11 2009-10-28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接続装置、通信接続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JP2005073078A (ja) * 2003-08-26 2005-03-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US20050233700A1 (en) * 2004-04-14 2005-10-20 Pecen Mark E System selec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s
US7006491B2 (en) * 2004-04-30 2006-02-28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service integration in a multi-service communication system
WO2005125258A1 (ja) * 2004-06-21 2005-12-2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KR20060003296A (ko) * 2004-07-05 2006-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망과 무선랜 사이의 핸드 오프 방법 및 그 시스템
JP4101213B2 (ja) * 2004-07-06 2008-06-18 富士通株式会社 音声通話方法、音声通話プログラムおよび音声通話装置
JP2008507217A (ja) * 2004-07-16 2008-03-06 ブリッジポート ネットワー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セルラー電話通信及びインターネットプロトコル電話通信のための存在検出及びハンドオフ
JP4185513B2 (ja) * 2004-08-09 2008-11-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無線移動端末装置
KR100595683B1 (ko) * 2004-10-26 2006-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다자간 동시 통화 방법
JP4089913B2 (ja) * 2005-05-26 2008-05-28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移動通信端末、着信報知方法および着信報知プログラム
JP4899696B2 (ja) * 2006-07-31 2012-03-21 富士通株式会社 通信装置、中継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通信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01576B1 (en) 2012-08-29
US20080069073A1 (en) 2008-03-20
EP2296387B1 (en) 2012-12-26
KR20080024947A (ko) 2008-03-19
EP2458904B1 (en) 2013-09-04
EP2458904A1 (en) 2012-05-30
JP5103837B2 (ja) 2012-12-19
EP1901576B8 (en) 2012-11-21
EP2296387A1 (en) 2011-03-16
EP1901576A3 (en) 2010-12-29
JP2008072488A (ja) 2008-03-27
KR20110030526A (ko) 2011-03-23
EP1901576A2 (en) 2008-03-19
CN101146000A (zh) 2008-03-19
KR101119758B1 (ko) 2012-03-22
CN101146000B (zh) 2011-05-18
KR20080036981A (ko) 2008-04-29
KR101099299B1 (ko) 2011-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8564B1 (ko)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및 통신 프로그램을 저장한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JP5309430B2 (ja)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通信プログラム
KR100922033B1 (ko)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통신 방법 및 기록 매체
JP4254729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通信制御方法並びにそれに用いる移動局及びプログラム
US6600925B1 (en) Process for integrating cordless telephone networks into cellular mobile telephone networks
EP2421328B1 (e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O1995010923A1 (en) Dual mode subscriber terminal and a handover procedure of the dual mode subscriber terminal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8050677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all handover method
JP2010109418A (ja) 無線通信制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端末
CN101552970A (zh) 一种多模终端及其实现自动呼叫保持的方法
JP4191016B2 (ja) 電話端末の通話モード切替方式
CN102318403B (zh) 融合式无绳和蜂窝电话系统
JP5370603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通信制御方法並びにそれに用いる移動局、交換局
JP2005318344A (ja) 内線に携帯型電話機を有する電話装置に対するcti制御方法およびcti制御方式
JP5036578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通信制御方法並びにそれに用いる移動局
JP2009182887A (ja) 電話システムおよびサーバ装置
JP2003284155A (ja) 携帯通信装置
KR20060074930A (ko) 이동통신망에서 강제적으로 통화를 제공하는 시스템, 방법및 이동통신 단말기
WO2004023771A1 (en) System and method for wired/wireless call exchanging and dual-channel wireless terminal therefor
JP2012130054A (ja)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通信制御方法並びにそれに用いる移動局
KR20060114789A (ko) 최적착신추적기능이 구비된 통신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