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4930A - 이동통신망에서 강제적으로 통화를 제공하는 시스템, 방법및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망에서 강제적으로 통화를 제공하는 시스템, 방법및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4930A
KR20060074930A KR1020040113919A KR20040113919A KR20060074930A KR 20060074930 A KR20060074930 A KR 20060074930A KR 1020040113919 A KR1020040113919 A KR 1020040113919A KR 20040113919 A KR20040113919 A KR 20040113919A KR 20060074930 A KR20060074930 A KR 20060074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all
terminal
communication terminal
forc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3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철
신시몬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3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74930A/ko
Publication of KR20060074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49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50Connection management for emergency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에서 강제적으로 통화를 제공하는 시스템, 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이동통신망을 통한 강제 통화 요청을 수신하면,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통화 요청이 있음을 알리거나 알리지 않고,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통화를 연결시키는 강제 통화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및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및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등록을 수행하고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및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무선 채널을 할당하는 무선 기지국;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및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입자 정보에 관한 서비스 프로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및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입된 서비스 종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홈 위치 등록기(HLR : Home Location Register); 및 무선 기지국 및 홈 위치 등록기를 이용하여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및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상태 및 가입한 서비스 종류를 파악하고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통화 요청이 있으면 강제 통화 명령어를 추가하여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강제 통화를 요청하는 이동통신 교환국(MSC : Mobile Switching Center)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강제적으로 통화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발신자가 착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강제 통화를 요청 하는 경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착신자에게 발신자로부터 통화 요청이 있다는 것을 알리지 않고 착신자의 착신 행위없이 발신자와 착신자 간의 통화를 제공함으로써 착신자가 납치나 감금 등과 같이 착신 행위를 할 수 없는 위급한 상황에 처해 있어도 발신자가 착신자의 주변 상황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강제 통화, 착신 행위, 이동통신망, 이동통신 단말기

Description

이동통신망에서 강제적으로 통화를 제공하는 시스템, 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System,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Making Automatic Call for Use with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 강제적으로 통화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 강제적으로 통화를 제공하는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 강제적으로 통화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 강제적으로 통화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 강제적으로 통화를 제공하는 서버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 강제적으로 통화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3, 413 :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115, 415 :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
131, 431 : 무선 기지국 133, 433 : 기지국 전송기
135, 435 : 기지국 제어기 143, 443 : 홈 위치 등록기
145, 445 : 방문자 위치 등록기 150, 450 : 이동통신 교환국
210 : 프로그램 메모리 230 : 내부 메모리
250 : 송수신부 270 : 음성 입출력부
460 : 강제 통화 서비스 서버 510 : 프로그램 저장부
520 : 메모리 530 : 제어부
540 : NIC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에서 강제적으로 통화를 제공하는 시스템, 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발신자가 착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강제 통화를 요청하는 경우 착신자의 착신 행위없이 강제적으로 발신자와 착신자 간의 통화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망에서 강제적으로 통화를 제공하는 시스템, 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컴퓨터 및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다양한 무선 통신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가장 기본적인 무선 통신 서비스는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들에게 무선으로 음성 통화를 제공하는 무선 음성 통화 서비스로서 이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또 한, 문자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여 음성 통화 서비스를 보완해주는 한편,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무선 통신망을 통해 인터넷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대두되었다.
이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은 제 1 세대 아날로그 AMPS(Advanced Mobile Phone System) 방식과 제 2 세대 셀룰러(Cellular)/개인 휴대 통신(PCS :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방식을 거쳐 발전하여 왔으며, 최근에는 ITU-R에서 표준으로 제정하고 있는 제 3 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인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이 상용화되고 있다.
IMT-2000은 예컨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000 1x, CDMA 2000 EV-DO(Evolution Data Only), WCDMA(Wideband CDMA) 등으로 기존의 IS-95A, IS-95B, IS-95C 망에서 지원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데이터 통신을 서비스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특히, IMT-2000 시스템을 이용하면 기존의 음성 통신 서비스 및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을 이용한 서비스의 품질의 향상은 물론 각종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보다 빠른 속도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시스템은 발신자가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착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를 요청하는 경우 착신자는 착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서 발신자로부터 통화 요청이 있음을 인지하고 통화 버튼을 누른 다거나 이동통신 단말기가 폴더형인 경우 폴더를 오픈(Open)하는 것과 같은 착신 행위를 통해 발신자와의 통화를 제공받을 수 있다. 즉, 이러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반드시 발신자가 통화를 요청하는 경우 착신자의 착신 행위가 있어야 발신자와 착 신자와의 통화가 가능하다.
하지만, 발신자가 통화하려는 착신자가 사고, 납치 및 감금 등과 위급한 상황에 처한 경우 착신자는 착신 행위를 할 수 없어 발신자와 착신자 간의 통화가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좀 더 상세한 예로, 착신자가 납치나 감금과 같은 상황에 처한 경우 착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진동이나 벨소리 등과 같은 통화 요청 알림 기능으로 착신자에게 발신자의 통화 요청이 있다는 것을 알리는 경우 착신자를 납치나 감금한 사람도 이 통화 요청을 인지할 수 있어 발신자는 착신자와의 통화가 불가능해지기 때문에 발신자는 착신자가 처한 상황을 알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발신자는 착신자와 통화를 하되 착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요청 알림 기능을 작동시키지 않은 상태로 착신자와 통화가 이루어지게 하는 시스템, 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가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발신자가 착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강제 통화를 요청하는 경우 착신자의 착신 행위없이 강제적으로 발신자와 착신자 간의 통화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망에서 강제적으로 통화를 제공하는 시스템, 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 목적에 의하면,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이동통신망을 통한 강제 통화 요청을 수신하 면,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통화 요청이 있음을 알리거나 알리지 않고,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통화를 연결시키는 강제 통화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및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및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등록을 수행하고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및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무선 채널을 할당하는 무선 기지국;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및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입자 정보에 관한 서비스 프로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및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입된 서비스 종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홈 위치 등록기(HLR : Home Location Register); 및 무선 기지국 및 홈 위치 등록기를 이용하여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및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상태 및 가입한 서비스 종류를 파악하고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통화 요청이 있으면 강제 통화 명령어를 추가하여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강제 통화를 요청하는 이동통신 교환국(MSC : Mobile Switching Center)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강제적으로 통화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에 의하면,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 홈 위치 등록기, 방문자 위치 등록기 및 이동통신 교환국 등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강제 통화를 요청하면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통화 요청이 있음을 알리거나 알리지 않으면서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착신 이동 통신 상말기로 강제 통화를 요청하는 단계; (b) 이동통신 교환국이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및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c) 이동통신 교환국으로부터 강제 통화 명령어를 추가된 강제 통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d) 강제 통화 명령어를 확인하여 사용자에게 통화 요청이 왔음을 알리지 않고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화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강제적으로 통화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목적에 의하면,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이동통신망을 통한 강제 통화 요청을 수신하면,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통화 요청이 있음을 알리거나 알리지 않고,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통화를 연결시키는 강제 통화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및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및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등록을 수행하고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및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무선 채널을 할당하는 무선 기지국;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및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입자 정보에 관한 서비스 프로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및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입된 서비스 종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홈 위치 등록기(HLR : Home Location Register); 무선 기지국 및 홈 위치 등록기를 이용하여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및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상태 및 가입한 서비스 종류를 파악하고 통화를 처리하는 이동통신 교환국(MSC : Mobile Switching Center); 및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로 강제 통화를 허용한 수개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입력받아 강제 통화 허용 리스트 를 생성하고, 강제 통화를 요청하는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강제 통화 허용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강제 통화를 요청하는 강제 통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강제적으로 통화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 목적에 의하면,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이동통신망을 통한 강제 통화 요청을 수신하면,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통화 요청이 있음을 알리거나 알리지 않고,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통화를 연결시키는 강제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강제 통화를 허용한 수개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등록된 강제 통화 허용 리스트를 저장하고,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강제 통화를 요청하면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강제 통화 허용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여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강제 통화 허용 리스트에 포함된 경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강제 통화를 허용하는 강제 통화 서비스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부; 강제 통화 프로그램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메모리부;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로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 Network Interface Card); 및 프로그램 저장부 및 메모리부와 연결되어 통화 요청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강제 통화 프로그램의 정해진 알고리즘에 따라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강제 통화 허용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강제적으로 통화를 제공하는 서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5 목적에 의하면,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 홈 위치 등록기, 방문자 위치 등록기, 이동통신 교환국 및 강제 통화 서비스 서버 등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강제 통화를 요청하면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통화 요청이 있음을 알리거나 알리지 않으면서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강제 통화를 요청받는 단계; (b)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강제 통화를 허용한 수개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등록된 강제 통화 허용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c) 단계 (b)에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강제 통화 허용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다고 확인되면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강제 통화를 요청하는 단계; 및 (d)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자동으로 통화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강제적으로 통화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 강제적으로 통화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 강제 통화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3),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5), 무선 기지국(131), 홈 위치 등록기(HLR : Home Location Register)(143),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 : Visitor Location Register)(145), 및 이동통신 교환국(MSC : Mobile Switching Center)(150) 등을 포함한다.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3) 및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5)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상대방과 음성 통화가 가능한 단말기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3) 및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5)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등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3)는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5)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음성호 통화가 모두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5)로 강제 통화를 요청한다.
여기서, 강제 통화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3)가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5)로 통화를 요청하는 경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5)는 착신자에게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3)로부터 통화 요청이 왔음을 알리지 않고 자동으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3)와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5) 간의 통화를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말 한다. 이때,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3)의 사용자는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5)로 통화를 요청할 때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5)의 전화번호의 앞 또는 뒤에 강제 통화를 요청하는 특수문자, 숫자 및 문자 등과 같은 또는 특수문자, 숫자, 문자의 조합과 같은 서비스 식별자를 함께 입력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5)는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3)가 강제 통화를 요청하는 경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5)는 착신자에게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3)로부터 통화 요청이 왔는지를 알리지 않고 자동적으로 통화 상태를 유지한다.
무선 기지국(131)은 기지국 전송기(BTS : Base-station Transmission System)(133), 기지국 제어기(BSC : Base Station Controller)(135) 및 중계기(Cell Enhancer : 미도시)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기지국 전송기(133)는 각기 셀(Cell) 단위로 배치되어 있고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3)에서 발생하는 강제 통화 요청을 이동통신 교환국(150)으로 전송하거나 자신이 관할하는 셀 영역에 존재하는 발신 및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3, 115)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 입력을 수행한다.
기지국 제어기(135)는 다수의 기지국을 제어 및 관리하면서 핸드 오프 등 무선 호 처리에 필요한 제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기지국 제어기(135)는 위치 입력된 발신 및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3, 115)의 가입자 정보를 이동통신 교환국(150)으로 전달한다.
홈 위치 등록기(143)는 발신 및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3, 115)의 사용자의 가입자 정보에 관한 서비스 프로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서, 가입자의 전화번호를 비롯하여 발신 및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3, 115)의 고유 번호(ESN : Electronic Serial Number, 이하 'ESN'이라 칭함), 발신 및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3, 115)의 단말 번호인 이동체 식별번호(MIN : Mobile Identification Number, 이하 'MIN'이라 칭함) 및 서비스 종류에 대한 정보를 갖는다.
방문자 위치 등록기(145)는 발신 및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3, 115)가 위치 입력을 수행할 때, 가입자 정보를 임시로 저장하여 홈 위치 등록기(143)로 통보를 하며 홈 위치 등록기(143)로부터 발신 및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3, 115)의 단말 식별번호, 단말기 고유 번호 및 서비스 정보 등의 복사본을 넘겨받아 관리하면서 발신 및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3, 115)의 위치 제어, 호 처리, 외부 동작 처리 등에 활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동통신 교환국(150)은 무선 기지국(120)들이 효율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하는 통제 기능과 공중 전화망의 교환기와의 연동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교환국(150)은 무선 기지국(131)을 통하여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3)의 위치 입력이 수행되면, 이동통신 교환국(150)은 방문자 위치 등록기(145)에 발신 및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3, 115)의 가입자 정보를 임시 저장한 후 홈 위치 등록기(143)의 위치 입력을 요청한다. 또한, 이동통신 교환국(150)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3)의 인증 및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3)와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5) 간의 통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교환국(150)은 착 신 이동통신 단말기(115)가 자동적으로 통화를 연결하는 통화 모드를 동작시키기 위한 '강제 통화 명령'을 추가하여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5)로 강제 통화 요청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 강제적으로 통화를 제공하는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5)의 내부 구성은 프로그램 메모리(210), 내부 메모리(230), 마이크로프로세서(240), 송수신부(250) 및 음성 입출력부(270) 등을 포함한다.
프로그램 메모리(210)는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5)로 강제 통화 요청이 수신된 경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5)로 통화 요청이 수신되었음을 벨소리나 진동 등과 같은 방법으로 착신자에게 알리는 통화 요청 알림부를 동작시키지 않고 착신하여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3)와의 통화를 유지하는 '강제 통화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다.
내부 메모리(230)는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며, 이동통신 단말기(100) 내부 회로 기판(미도시)에 실장된다. 여기서, 내부 메모리(230)는 단말기 동작 프로그램 실행 시에 데이터 버퍼 역할을 수행하고, 또한, 키 입력부(미도시)에 의해 입력된 숫자를 임시로 저장하거나 외부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수신된 문자나 이미지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24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 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프로세서(240)는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3)로부터 강제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프로그램 메모리(210)에 저장된 강제 통화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송수신부(250)는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3)로부터 강제 통화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3)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5) 간에 통화가 유지되면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3)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5) 간에 발생하는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음성 입출력부(270)는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3)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미도시) 및 착신자가 통화중 발생하는 음성 데이터가 입력되는 마이크(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 강제적으로 통화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발신자가 착신자와 강제 통화를 이용한 통화를 원하는 경우 발신자는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3)에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5)의 전화번호를 강제 통화를 위한 서비스 식별자와 함께 입력하면,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3)는 무선 기지국(131)으로 세션 설정을 요청하여(S310) 무선 기지국(131)으로부터 채널을 할당받은 후(S320) 무선 기지국(131)을 거쳐 이동통신 교환국(150)으로 강제 통화 요청 신호를 송신한다(S330).
이어서, 이동통신 교환국(150)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3)의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S340).
이어서, 이동통신 교환국(150)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3)의 강제 통화 요청 신호를 무선 기지국(131)으로 송신하면(S345), 무선 기지국(131)은 강제 통화 요청 신호를 확인한 후(S350)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5)로 세션 설정 요청 및 채널을 할당하고(S355) 강제 통화 요청 신호를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5)로 전송한다(S357).
이어서, 강제 통화 요청 신호를 수신한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5)는 착신자에게 발신자로부터의 통화 요청이 있음을 알리지 않고 자동으로 통화를 실행(S370) 착신 단말기(113)와 통화 상태를 유지한다(S380).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 강제적으로 통화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 강제적으로 통화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413),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415), 무선 기지국(431), 이동통신 교환국(450), 홈 위치 등록기(443), 방문자 위치 등록기(445), 이동통신 교환국(450) 및 강제 통화 서비스 서버(460)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서는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413)는 무선 기지국(431) 및 이동통신 교환국(450)을 통해 강제 통화 서비스 서버(460)에 접속하여, 강제 통화 서비스 서버(460)에서 제공하는 '강제 통화 서비스 메뉴'를 통해 통화하고자 하는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415)의 전화번호를 입력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415)는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413)로부터 통화 요청이 왔음을 착신자에게 알리지 않고 강제적으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413)와 통화 상태를 유지하도록 요청하는 강제 통화 요청 신호를 강제 통화 서비스 서버(460)로부터 수신하면 착신자에게 통화 요청이 있음을 진동이나 벨소리 등과 같은 통화 요청 알림 기능을 작동시키지 않은 상태로 통화를 유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415)는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강제 통화를 요청받기 위해 강제 통화 서비스 서버(460)에 등록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착신자는 강제 통화를 허용하는 수개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강제 통화 서비스 서버(460)에 등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교환국(450)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413)로부터 강제 통화 서비스 요청을 받으면, 홈 위치 등록기(443)를 이용하여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413)가 통화하려는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415)가 강제 통화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415)가 강제 통화 서비스에 가입된 경우 강제 통화 서비스 서버(460)로 강제 통화 서비스를 요청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강제 통화 서비스 서버(460)는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415)로 강제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415)의 사용자인 착신자가 강제 통화를 허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들의 전화번호를 등록 한 '강제 통화 허용 리스트'를 생성하여 저장한다. 또한, 이동통신 교환국(450)으로부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413)의 강제 통화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413)의 전화번호가 강제 통화 허용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만약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413)의 전화번호가 강제 통화 허용 리스트에 등록된 경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415)로 강제 통화를 요청하여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413)로 강제 통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 강제적으로 통화를 제공하는 서버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화 요청 서버(460)는 프로그램 저장부(510), 메모리부(520), 제어부(53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Network Interface Card, 이하 'NIC'라 칭함)(540)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저장부(510)는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415)의 사용자인 착신자가 강제 통화를 허용하는 수개의 이동통신 단말기들의 전화번호를 등록한 '강제 통화 허용 리스트'를 생성하여 저장하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413)로부터 이동통신 교환국(450)으로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415)로의 강제 통화 요청이 있는 경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413)의 전화번호가 강제 통화 허용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만일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413)의 전화번호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415)와의 강제 통화를 허용하는 강제 통화 서비스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이와 같은 프로그램은 통화 요청 서버(128)의 운영 체제에 따라 여러 가지로 구현할 수 있는데, 예컨대, 'C' 프로그램 언어나 객체 지향형의 'C++', 'JAVA' 프로그램 언어로 구현할 수 있다.
메모리부(520)는 제어부(530)가 강제 통화 서비스 프로그램을 로드(Load)하여 실행중 발생하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메모리부(520)는 소정의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비휘발성 메모리인 바이트(Byte) 단위로 내용을 수정할 수 있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또는 블록(Block) 단위로 내용을 수정할 수 있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및 발생되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에스디램(SDRAM : 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을 포함한다.
제어부(530)는 강제 통화 서비스 서버(46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며, 이동통신 교환국(450)을 통해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413)로부터 통화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프로그램 저장부(510)에 저장되어 있는 강제 통화 서비스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강제 통화 서비스 프로그램의 정해진 알고리즘에 따라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413)의 전화번호가 강제 통화 허용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NIC(540)는 이동통신 교환국(450)과의 통신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통신 모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 강제적으로 통화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발신자가 착신자와 강제 통화를 원하는 경우 발신자가 강제 통화 서비스 서버(460)에 접속을 요청하면,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413)는 무선 기지국(431)으로 세션 설정을 요청하여(S610) 무선 기지국(431)으로부터 채널을 할당받은 후 (S620) 무선 기지국(431) 및 이동통신 교환국(450)을 통해 강제 통화 서비스 서버(460)에 접속한다.
이어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413)의 접속을 확인한 강제 통화 서비스 서버(460)는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413)로 강제 통화 서비스 메뉴를 제공한다(S640).
이어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413)는 통화하려는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415)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415)와의 강제 통화를 요청한다(S650).
이어서, 강제 통화 서비스 서버(460)는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413)의 전화번호가 착신자가 강제 통화를 허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인지를 확인하여 강제 통화 서비스가 가능한지 확인한다(S660).
이어서, 강제 통화 서비스 서버(460)는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415)로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기지국(431)으로 강제 통화 요청 신호를 전송하면(S665), 무선 기지국(431)은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415)로 세션 설정을 요청하고 채널을 할당한다(S680).
이어서, 강제 통화 요청 신호를 수신한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415)는 착신자에게 발신자로부터의 통화 요청이 있음을 알리지 않고 자동으로 착신하여(S680) 착신 단말기(413)와 통화 상태를 유지한다(S690).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 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발신자가 착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강제 통화를 요청하는 경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착신자에게 발신자로부터 통화 요청이 있다는 것을 알리지 않고 착신자의 착신 행위없이 발신자와 착신자 간의 통화를 제공함으로써 착신자가 납치나 감금 등과 같이 착신 행위를 할 수 없는 위급한 상황에 처해 있어도 발신자가 착신자의 주변 상황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이동통신망을 통한 강제 통화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통화 요청이 있음을 알리거나 알리지 않고,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통화를 연결시키는 강제 통화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등록을 수행하고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무선 채널을 할당하는 무선 기지국;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입자 정보에 관한 서비스 프로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서,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입된 서비스 종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홈 위치 등록기(HLR : Home Location Register); 및
    상기 무선 기지국 및 상기 홈 위치 등록기를 이용하여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상태 및 가입한 서비스 종류를 파악하고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화 요청이 있으면 강제 통화 명령어를 추가하여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강제 통화를 요청하는 이동통신 교환국(MSC : Mobile Switching Center)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강제적으로 통화를 제공하 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강제 통화를 요청할 때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앞 또는 뒤에 상기 강제 통화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서비스 식별자를 함께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강제적으로 통화를 제공하는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식별자는
    특수문자, 숫자 및 문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강제적으로 통화를 제공하는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강제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착신자에게 통화 요청이 왔음을 알리는 알림 장치를 정지 상태로 유지하면서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화를 연결하는 강제 통화 프로그램이 저장된 프로그램 메모리;
    상기 강제 통화 프로그램이 실행 될 때에 데이터 버퍼 역할을 수행하는 내부 메모리;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강제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프 로그램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강제 통화 프로그램을 로드하여 실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강제 통화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통화할 때 발생하는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착신자가 통화중 발생하는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는 음성 입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강제적으로 통화를 제공하는 시스템.
  5.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 홈 위치 등록기, 방문자 위치 등록기 및 이동통신 교환국 등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강제 통화를 요청하면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통화 요청이 있음을 알리거나 알리지 않으면서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착신 이동통신 상말기로 상기 강제 통화를 요청하는 단계;
    (b)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이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c)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으로부터 강제 통화 명령어를 추가된 강제 통화 요 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d) 상기 강제 통화 명령어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통화 요청이 왔음을 알리지 않고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화를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강제적으로 통화를 제공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강제 통화를 제공받기 위한 서비스 식별자를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앞 또는 뒤에 함께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강제적으로 통화를 제공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식별자는
    특수문자, 숫자 및 문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강제적으로 통화를 제공하는 방법.
  8.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이동통신망을 통한 강제 통화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통화 요청이 있음을 알리거나 알리지 않고,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통화를 연결시키는 강제 통화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와 무선으로 연결 되어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등록을 수행하고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무선 채널을 할당하는 무선 기지국;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입자 정보에 관한 서비스 프로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서,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입된 서비스 종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홈 위치 등록기(HLR : Home Location Register);
    상기 무선 기지국 및 상기 홈 위치 등록기를 이용하여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상태 및 가입한 서비스 종류를 파악하고 통화를 처리하는 이동통신 교환국(MSC : Mobile Switching Center); 및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로 상기 강제 통화를 허용한 수개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입력받아 강제 통화 허용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강제 통화를 요청하는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상기 강제 통화 허용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강제 통화를 요청하는 강제 통화 서비스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강제적으로 통화를 제공하는 시스템.
  9.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이동통신망을 통한 강제 통화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통화 요청이 있음을 알리거나 알리지 않고,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통화를 연결시키는 강제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강제 통화를 허용한 수개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등록된 강제 통화 허용 리스트를 저장하고,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강제 통화를 요청하면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상기 강제 통화 허용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여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상기 강제 통화 허용 리스트에 포함된 경우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강제 통화를 허용하는 강제 통화 서비스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부;
    상기 강제 통화 프로그램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메모리부;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로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 Network Interface Card); 및
    상기 프로그램 저장부 및 상기 메모리부와 연결되어 상기 통화 요청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강제 통화 프로그램의 정해진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상기 강제 통화 허용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강제적으로 통화를 제공하는 서버.
  10.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 홈 위치 등록기, 방문자 위치 등록기, 이동통신 교환국 및 강제 통화 서비스 서버 등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강제 통화를 요청하면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통화 요청이 있음을 알리거나 알리지 않으면서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상기 강제 통화를 요청받는 단계;
    (b)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강제 통화를 허용한 수개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등록된 강제 통화 허용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상기 강제 통화 허용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다고 확인되면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강제 통화를 요청하는 단계; 및
    (d)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자동으로 통화를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강제적으로 통화를 제공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a1)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접속을 요청받는 단계;
    (a2)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입력받기 위한 강제 통화 서비스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 및
    (a3)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입력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강제적으로 통화를 제공하는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 통화 서비스 서버는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강제 통화를 허용한 수개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등록된 강제 통화 허용 리스트를 저장하고,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강제 통화를 요청하면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상기 강제 통화 허용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여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상기 강제 통화 허용 리스트에 포함된 경우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강제 통화를 허용하는 강제 통화 서비스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부;
    상기 강제 통화 프로그램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메모리부;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로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 Network Interface Card); 및
    상기 프로그램 저장부 및 상기 메모리부와 연결되어 상기 통화 요청 프로그 램을 실행하고 상기 강제 통화 프로그램의 정해진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상기 강제 통화 허용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강제적으로 통화를 제공하는 방법.
KR1020040113919A 2004-12-28 2004-12-28 이동통신망에서 강제적으로 통화를 제공하는 시스템, 방법및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0749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3919A KR20060074930A (ko) 2004-12-28 2004-12-28 이동통신망에서 강제적으로 통화를 제공하는 시스템, 방법및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3919A KR20060074930A (ko) 2004-12-28 2004-12-28 이동통신망에서 강제적으로 통화를 제공하는 시스템, 방법및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4930A true KR20060074930A (ko) 2006-07-03

Family

ID=37167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3919A KR20060074930A (ko) 2004-12-28 2004-12-28 이동통신망에서 강제적으로 통화를 제공하는 시스템, 방법및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7493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765B1 (ko) * 2005-08-31 2007-06-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발신자 강제통화 호 설정방법
KR20120027760A (ko) * 2010-09-13 2012-03-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가입자 정보를 이용하는 호 처리 장치 및 방법, 네트워크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765B1 (ko) * 2005-08-31 2007-06-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발신자 강제통화 호 설정방법
KR20120027760A (ko) * 2010-09-13 2012-03-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가입자 정보를 이용하는 호 처리 장치 및 방법, 네트워크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73178B2 (en) Method for providing guide broadcasting for video phone by means of fallback between speech mode and data mode
JP4708473B2 (ja) 通信システム、移動機、着信制御方法
CN103314624A (zh) 多sim ue响应于接收到呼叫而发送繁忙状态消息的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介质
JP2010109418A (ja) 無線通信制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端末
CN104170513A (zh) 管理移动通信网络内的分组服务呼叫
KR100754456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설정된 기간 동안 부가 서비스를변경하는 방법과 그를 수행하는 부가 서비스 관리 서버 및시스템
US7043261B2 (en) System, mobile station and method for delivering services
KR20060074930A (ko) 이동통신망에서 강제적으로 통화를 제공하는 시스템, 방법및 이동통신 단말기
EP2014070B1 (en) Method for handling unanswered calls
KR20090094315A (ko) 어드레스 북 레코드의 폰­대­폰 전송
KR100827197B1 (ko) 이동통신 네트워크 환경에서 wcdma 사설망 인식 방법및 시스템
JP2006020132A (ja) 通信端末
KR20020052442A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데이터 푸쉬 방법
JP4302647B2 (ja) 移動体通信端末
KR10074430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무전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708535B1 (ko) 전화번호에 따른 정보 검색 방법과 그를 수행하는 서버 및 시스템
KR100661829B1 (ko) 이동통신 시스템, 이동통신 단말 및 그의 프로파일 sms전송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60059602A (ko) 통화 요청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537694B1 (ko) 개인 정보 단말기가 결합된 이동 전화에 하나의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멀티 액세스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및 시스템
KR20050071723A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상대 단말기의 상태를 알려주기 위한방법
KR100723701B1 (ko) 콜 개런티 서비스 방법과 그를 수행하는 서버 및 시스템
KR100738921B1 (ko) 음성통화 중 통화 단절을 방지하는 안심 통화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0986264B1 (ko) 이동단말기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방법
KR100793309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발신번호 전송방법 및 그 발신번호 메세지 구조를 가진 데이터가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0766235B1 (ko) 착신불가 정보를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시스템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