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8921B1 - 음성통화 중 통화 단절을 방지하는 안심 통화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음성통화 중 통화 단절을 방지하는 안심 통화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8921B1
KR100738921B1 KR1020060032437A KR20060032437A KR100738921B1 KR 100738921 B1 KR100738921 B1 KR 100738921B1 KR 1020060032437 A KR1020060032437 A KR 1020060032437A KR 20060032437 A KR20060032437 A KR 20060032437A KR 100738921 B1 KR100738921 B1 KR 100738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voice
dis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2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어탁호
김학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2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89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8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892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통화 중 통화 단절을 방지하는 안심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 무선 기지국, HLR 및 ARS 서버와 연동하며, 안심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음성통화 단절 발생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b) HLR을 이용하여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및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 중 안심통화 서비스에 가입한 단말기가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c) 단계 (b)의 확인 결과, 서비스에 가입한 단말기가 있는 경우 음성통화 단절 발생 메시지를 이용하여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및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 중 통화 단절이 발생한 단말기를 확인하는 단계; (d) 단계 (c)의 확인 결과,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통화 단절이 발생한 경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통화 신호를 ARS 서버로 연결하는 단계; (e)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위치 등록을 수신하는 단계; (f) HLR로부터 기 저장된 음성 메시지가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g) 단계 (f)의 확인 결과, 상기 기 저장된 음성 메시지가 있는 경우 상기 기 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통화 중 통화 단절을 방지하는 안심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음성통화 중 단절이 발생한 경우에도 전하고자 하는 중요한 메시지를 상대방에게 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음성통화 중 갑자기 단 절이 발생한 경우 상대방의 상태를 음성 메시지로 통보받을 수 있어 지속적인 발신 전화에 의한 자원 낭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의 통화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통화 단절, 안심 통화, ARS, 통화 이력, 음성통화

Description

음성통화 중 통화 단절을 방지하는 안심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afety Call Service Preventing From Voice Busy Trun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심 통화 서비스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성통화 중 단절이 발생한 경우 안심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절 발생 상황이 해제된 경우 안심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120: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
130: 이동통신망 132: 무선기지국
134: 이동통신 교환국 136: HLR
140: ARS 서버
본 발명은 음성통화 중 통화 단절을 방지하는 안심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음성통화를 수행하는 중에 배터리 소진 또는 음영지역 진입 등의 사유로 인해 음성통화가 단절된 경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심통화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서비스에 가입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있는 경우 통화 단절이 발생하지 않은 이동통신 단말기로 음성통화 단절 사유 알림 메시지를 송출하고 음성 메시지를 수신하여 저장한 후 통화 단절이 발생한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위치 등록 요청이 수신되면 통화 단절이 발생한 이동통신 단말기로 기 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송신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전자, 통신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무선통신망(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을 이용한 다양한 무선통신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에 따라,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음성 서비스뿐만 아니라, SMS(Short Message Service)와 무선 인터넷 접속에 인한 무선데이터 등과 같은 데이터를 송신하는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로 발전해 가고 있으며, 그에 따라 사용자 편의를 위한 부가 서비스들이 많이 제공되고 있다.
종래의 부가 서비스 중 통화 불능 상태에서 미수신된 착신 이력을 통보해 주는 서비스에 대해 알아보면 SK Telecom의 콜 키퍼(Call Kipper), LG Telecom의 매너콜(Manner Call) 등이 이동통신 사업자가 서비스하는 부가 서비스의 대표적인 예이다. 예를 들어, 서비스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전원을 끈 상태 / 통화 중 / 통화 불능 상태 등에서 상대방으로부터 음성통화가 수신된 경우, 특정 서버는 상대 방의 발신 번호 및 발신 시간을 포함하는 통화 이력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서비스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가 되면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 이력 정보를 전송하여 가입자로 하여금 착신 이력을 확인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종래의 부가 서비스 중 통화 가능 통보 서비스는 서비스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전원을 끈 상태 / 통화 중 / 통화 불능 상태 등에서 상대방으로부터 음성통화가 수신된 경우, 특정 서버는 상대방의 발신 번호 및 발신 시간을 포함하는 통화 이력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가 되면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 이력 정보를 전송하는 한편 상대방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가입자의 통화 가능 상태를 통보해 주는 서비스이다.
하지만, 종래의 콜 키퍼, 매너 콜, 통화 가능 통보 서비스는 사용자가 통화 불능 상태에서 미수신된 착신 이력을 통보해 주는 서비스로서, 사용자가 상대방과 음성통화 중에 배터리 소진 또는 음영지역으로 진입하여 음성통화가 단절된 경우, 통화 중이던 상대방이 전하는 중요한 메시지를 듣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상대방은 사용자가 어떠한 상황에 처한 지를 인지하지 못하고 다시 지속적인 발신 전화를 하게 되며, 이동통신 서비스 사용자의 통화 만족도에 악영향을 미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음성통화 중 단절이 발생하는 경우, 상대방에게 사용자의 음성통화 단절 사유 알림 메시지를 송출하고, 상대방의 음성 메시지를 수신하여 저장한 후, 사용자의 음성통화 단절 발생 상황이 해제된 경우 기 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전송하 는 서비스가 필요하나 이는 아직까지 제공되지 않고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음성통화를 수행하는 중에 배터리 소진 또는 음영지역 진입 등의 사유로 인해 음성통화가 단절된 경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심통화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서비스에 가입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있는 경우 통화 단절이 발생하지 않은 이동통신 단말기로 음성통화 단절 사유 알림 메시지를 송출하고 음성 메시지를 수신하여 저장한 후 통화 단절이 발생한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위치 등록 요청이 수신되면 통화 단절이 발생한 이동통신 단말기로 기 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송신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 무선 기지국, HLR(Home Location Register: 홈 위치 등록기, 이하 'HLR'이라 칭함) 및 ARS(Automatic Response System: 자동 응답 시스템, 이하 'ARS'라 칭함) 서버와 연동하며, 안심 통화 서비스(Safety Call Service)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음성통화 단절 발생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b) HLR을 이용하여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및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 중 안심통화 서비스에 가입한 단말기가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c) 단계 (b)의 확인 결과, 서비스에 가입한 단말기가 있는 경우 음성통화 단절 발생 메시지를 이용하여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및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 중 통화 단절이 발생한 단말기를 확인하는 단계; (d) 단계 (c)의 확인 결과,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통화 단절이 발생한 경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통화 신호를 ARS 서버로 연결하는 단계; (e)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위치 등록을 수신하는 단계; (f) HLR로부터 기 저장된 음성 메시지가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g) 단계 (f)의 확인 결과, 상기 기 저장된 음성 메시지가 있는 경우 상기 기 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통화 중 통화 단절을 방지하는 안심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의하면,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 및 ARS 서버를 포함하며, 음성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및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통화 신호를 수신하며, 통화 단절에 따른 음성통화 단절 발생 메시지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무선 기지국; 안심 통화 서비스의 가입 정보를 저장하고 ARS 서버로부터 음성 메시지의 저장 상태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HLR(Home Location Register: 홈 위치 등록기, 이하 'HLR'이라 칭함); 및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음성통화 단절 발생 메시지를 수신한 후 HLR을 이용하여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및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 중 안심 통화 서비스에 가입한 단말기가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서비스에 가입한 단말기가 있는 경우, 음성통화 단절 발생 메시지를 이용하여 단절이 발생한 단말기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 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절이 발생한 경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통화 신호를 ARS 서버로 연결하고,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위치 등록을 수신하면 HLR 을 이용하여 기 저장된 음성 메시지가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기 저장된 음성 메시지가 있는 경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기 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송신하는 이동통신 교환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심 통화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심 통화 서비스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심 통화 서비스 시스템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20), 이동통신망(130) 및 ARS(Automatic Response System: 자동 응답 시스템, 이하 'ARS'라 칭함) 서버(140)를 포함한다.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 및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20)는 이동통신망(130)과 연결되어 무선 통신으로 통상적인 음성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SMS를 지원하는 소프트웨어 및 무선 인터넷 접속 프로그램을 구비한 단말기이다.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사용자의 키조작에 따른 발신 번호를 입력받고 발신 번호에 해당하는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20)로 음성통화 신호를 발신하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20)는 음성통화 신호를 착신하여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와 음성통화를 수행하는 단말기이다.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 및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20)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핸드헬드 PC(Hand-Held PC),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등이 될 수 있다. 여기서, MBS폰은 현재 논의되고 있는 제 4세대 시스템에서 사용될 핸드폰을 말한다.
이동통신망(130)은 무선 기지국(132), 이동통신 교환국(MSC: Mobile Switching Center)(134) 및 홈 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136)를 포함하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 및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20)와 무선으로 연결되고, ARS 서버(140)와 연동하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 및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20)가 음성 통신 서비스, 무선 데이터 서비스 또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메시지 서비스 등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제반 기능 등을 수행한다.
무선 기지국(132)은 위치 등록 기능, 무선 채널을 할당하는 기능, 핸드오프 등 무선 호 처리에 필요한 제반 기능 등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기지국(132)은 음성통화 중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 또는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20)에서 단절이 발생한 경우 음성통화 단절 발생 메시지를 생성한 후 이동통신 교환국(134)으로 송신한다. 여기서, 음성통화 단절 발생 메시지 는 단절의 발생원인 및 통화 이력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있다.
이동통신 교환국(134)은 음성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본 및 부가 서비스 처리, 가입자의 착신 및 발신 호 처리, 위치등록 절차 및 핸드오프 절차 처리, 타망과의 연동 기능 등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교환국(134)은 무선 기지국(132)으로부터 음성통화 단절 발생 메시지를 수신한 후 HLR(136)을 이용하여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 및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20) 중 안심 통화 서비스에 가입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서비스에 가입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있는 경우 이동통신 교환국(134)은 음성통화 단절 발생 메시지를 이용하여 음성통화의 단절이 발생한 단말기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인지 또는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20)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20)에서 음성통화의 단절이 발생한 경우, 이동통신 교환국(134)은 단절이 발생하지 않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음성통화 신호를 ARS 서버(140)로 연결한다. 단절이 발생한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20)로부터 위치 등록을 수신한 경우, 이동통신 교환국(134)은 HLR(136)을 이용하여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20)에 대한 기 저장된 음성 메시지가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기 저장된 음성 메시지가 있는 경우 ARS 서버(140)로부터 기 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수신하여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20)로 송신한다.
확인 결과,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에서 음성통화의 단절이 발생한 경우, 이동통신 교환국(134)은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20)의 음성통화 신호를 ARS 서 버(140)로 연결한다. 단절이 발생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위치 등록을 수신한 경우, 이동통신 교환국(134)은 HLR(136)을 이용하여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대한 기 저장된 음성 메시지가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기 저장된 음성 메시지가 있는 경우 ARS 서버(140)로부터 기 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수신하여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송신한다.
홈 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 이하 'HLR'로 칭함)(136)는 이동통신 가입자의 정보에 관한 서비스 프로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 및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20)의 단말기 식별번호(MIN: Mobile Identification Number), 단말기 고유 번호(ESN: Electronic Serial Number) 및 서비스 종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여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HLR(136)은 안심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 및 해제 정보를 저장하며, ARS 서버(140)로부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 및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20) 중 어느 한 단말기의 음성 메시지의 저장 상태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ARS 서버(140)는 이동통신 교환국(134)으로부터 단절이 발생하지 않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 또는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20)의 음성통화 신호를 수신하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 또는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20)로 통화 단절 사유 알림 메시지를 송신한다. 여기서, 통화 단절 사유 알림 메시지는 배터리 소진에 의한 단절 또는 음영지역 진입에 따른 단절 등 의 메시지 중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포함한다.
ARS 서버(140)는 단절이 발생하지 않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 또는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20)로부터 음성 메시지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음성 메시지 저장 상태를 HLR(136)로 전송한다. 또한, ARS 서버(140)는 이동통신 교환국(134)으로부터 음성 메시지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기 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이동통신 교환국(134)으로 송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성통화 중 단절이 발생한 경우 안심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사용자의 키조작에 따른 발신 번호를 입력받고 발신 번호에 해당하는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20)로 음성통화 신호를 발신하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20)는 음성통화 신호를 착신하여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와 음성통화를 수행한다(S210).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 또는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20)에 배터리 소진 또는 음영지역 진입 등의 사유로 인해 음성통화 단절이 발생한다(S220). 여기서, 통화의 단절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 및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20) 중 어느 한 단말기에도 발생할 수 있다.
무선 기지국(132)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 또는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20)의 음성통화 단절 발생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동통신 교환국(134)으로 송신한다(S230). 여기서, 음성통화 단절 발생 메시지는 음성통화 단절의 발생원인 및 통화 이력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이동통신 교환국(134)은 음성통화 단절 발생 메시지를 수신한 후 HLR(136)을 이용하여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20) 및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 중 안심 통화 서비스에 가입한 단말기가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240). 여기서, HLR(136)은 안심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 및 해제 정보를 저장한다.
단계 S240의 확인 결과, 안심 통화 서비스에 가입한 단말기가 있는 경우, 이동통신 교환국(134)은 음성통화 단절 발생 메시지를 이용하여 단절이 발생한 단말기가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20)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250).
단계 S250의 확인 결과,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20)에서 통화 단절이 발생한 경우, 이동통신 교환국(134)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음성통화 신호를 ARS 서버(140)로 연결한다(S252).
ARS 서버(140)는 이동통신 교환국(134)으로부터 단절이 발생하지 않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음성통화 신호를 수신한 후,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통화 단절 사유 알림 메시지를 송신한다(S254). 여기서, 통화 단절 사유 알림 메시지는 배터리 소진에 의한 단절 또는 음영지역 진입에 따른 단절 등의 메시지 중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포함한다.
ARS 서버(140)는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음성 메시지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음성 메시지를 수신된 경우 이를 저장한다(S256).
단계 S250의 확인 결과, 통화 단절이 발생한 단말기가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20)가 아닌 경우, 이동통신 교환국(134)은 음성통화 단절 발생 메시지를 이용 하여 통화 단절이 발생한 단말기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260).
단계 S260의 확인 결과, 통화 단절이 발생한 단말기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인 경우, 이동통신 교환국(134)은 단절이 발생하지 않은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20)의 음성통화 신호를 ARS 서버(140)로 연결한다(S262).
ARS 서버(140)는 이동통신 교환국(134)으로부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20)의 음성통화 신호를 수신한 후,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20)로 통화 단절 사유 알림 메시지를 송신한다(S264). 여기서, 통화 단절 사유 알림 메시지는 배터리 소진에 의한 단절 또는 음영지역 진입에 따른 단절 등의 메시지 중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포함한다.
ARS 서버(140)는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20)로 음성 메시지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20)로부터 음성 메시지를 수신된 경우 이를 저장한다(S266).
ARS 서버(140)는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 또는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20)의 음성 메시지 저장 상태를 HLR(136)로 송신한다(S270). HLR(136)은 ARS 서버(140)로부터 음성 메시지 저장 상태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이동통신 교환국(134)으로부터 음성 메시지 저장 상태의 요청이 있는 경우 HLR(136)은 음성 메시지 저장 상태를 이동통신 교환국(134)으로 송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절 발생 상황이 해제된 경우 안심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배터리의 소진 또는 음영지역 진입 등의 사유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 또는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에 통화 단절이 발생할 수 있으나,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20)에서 통화 단절이 발생한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겠다.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20)가 통화 단절 상황에서 벗어난 경우 무선 기지국(132)은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20)의 위치 등록을 수신하여 이동통신 교환국(134)으로 송신한다(S310).
이동통신 교환국(134)은 HLR(136)을 이용하여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20)가 안심 통화 서비스에 가입된 단말기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320). 여기서, HLR(136)은 안심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 및 해제 정보를 저장한다.
단계 S320의 확인 결과,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20)가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 이동통신 교환국(134)은 HLR(136)을 이용하여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20)에 대한 기 저장된 음성 메시지가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330). 여기서, HLR(136)은 ARS 서버(140)로부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 및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20) 중 어느 한 단말기의 음성 메시지의 저장 상태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단계 S330의 확인 결과, 기 저장된 음성 메시지가 있는 경우, 이동통신 교환국(134)은 ARS 서버(140)로 음성 메시지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ARS 서버(140)로부터 기 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수신하여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20)로 송신한다(S340).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 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음성통화를 수행하는 중에 배터리 소진 또는 음영지역 진입 등의 사유로 인해 음성통화가 단절된 경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심통화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서비스에 가입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있는 경우, 통화 단절이 발생하지 않은 이동통신 단말기로 음성통화 단절 사유 알림 메시지를 송출한 후 음성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이를 저장하고, 통화 단절이 발생한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위치 등록이 요청되면 통화 단절이 발생한 이동통신 단말기로 기 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송신하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음성통화 중 단절이 발생한 경우에도 전하고자 하는 중요한 메시지를 상대방에게 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음성통화 중 갑자기 단절이 발생한 경우 상대방의 상태를 음성 메시지로 통보받을 수 있어 지속적인 발신 전화에 의한 자원 낭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의 통화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 무선 기지국, HLR(Home Location Register: 홈 위치 등록기, 이하 'HLR'이라 칭함) 및 ARS(Automatic Response System: 자동 응답 시스템, 이하 'ARS'라 칭함) 서버와 연동하며, 안심 통화 서비스(Safety Call Service)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음성통화 단절 발생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HLR을 이용하여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 중 안심통화 서비스에 가입한 단말기가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의 확인 결과, 서비스에 가입한 단말기가 있는 경우 상기 음성통화 단절 발생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 중 통화 단절이 발생한 단말기를 확인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c)의 확인 결과,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통화 단절이 발생한 경우,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통화 신호를 상기 ARS 서버로 연결하는 단계;
    (e)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위치 등록을 수신하는 단계;
    (f) 상기 HLR로부터 기 저장된 음성 메시지가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g) 상기 단계 (f)의 확인 결과, 상기 기 저장된 음성 메시지가 있는 경우 상기 기 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통화 중 통화 단절을 방지하는 안심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계 (d) 이후에,
    (d1) 상기 ARS 서버에서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 단절 사유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d2) 상기 ARS 서버에서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음성 메시지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d3) 상기 ARS 서버에서 상기 음성 메시지의 저장 상태를 상기 HLR로 송신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통화 중 통화 단절을 방지하는 안심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1)의 상기 통화 단절 사유 알림 메시지는 배터리 소진에 의한 단절 및 음영지역 진입에 따른 단절 중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통화 중 통화 단절을 방지하는 안심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계 (g) 이후에,
    (h) 상기 단계 (c)의 확인 결과,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통화 단절이 발생한 경우,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통화 신호를 상기 ARS 서버로 연결하는 단계;
    (i)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위치 등록을 수신하는 단계; 및
    (j) 상기 ARS 서버로부터 상기 기 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통화 중 통화 단절을 방지하는 안심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의 상기 음성통화 단절 발생 메시지는 단절의 발생원인 및 통화 이력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통화 중 통화 단절을 방지하는 안심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6.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 및 ARS 서버를 포함하며, 음성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및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통화 신호를 수신하며, 통화 단절에 따른 음성통화 단절 발생 메시지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무선 기지국;
    안심 통화 서비스의 가입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ARS 서버로부터 음성 메시지의 저장 상태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HLR(Home Location Register: 홈 위치 등록기, 이하 'HLR'이라 칭함); 및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음성통화 단절 발생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HLR을 이용하여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 중 안심 통화 서비스에 가입한 단말기가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서비스에 가입한 단말기가 있는 경우, 상기 음성통화 단절 발생 메시지를 이용하여 단절이 발생한 단말기가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 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단절이 발생한 경우,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음성통화 신호를 상기 ARS 서버로 연결하고,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위치 등록을 수신하면 상기 HLR을 이용하여 기 저장된 음성 메시지가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상기 기 저장된 음성 메시지가 있는 경우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기 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송신하는 이동통신 교환국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심 통화 서비스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ARS 서버는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으로부터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음성통화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 단절 사유 알림 메시지를 송신한 후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음성 메시지가 수신되면 이를 저장한 후 상기 음성 메시지의 저장 상태를 상기 HLR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심 통화 서비스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단절 사유 알림 메시지는 배터리 소진에 의한 단절 및 음영지역 진입에 따른 단절 중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심 통화 서비스 시스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은 상기 음성통화 단절 발생 메시지를 이용하여 단절이 발생한 단말기가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 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단절이 발생한 경우,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음성통화 신호를 상기 ARS 서버로 연결하고,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위치 등록을 수신하면 상기 HLR을 이용하여 기 저장된 음성 메시지가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상기 기 저장된 음성 메시지가 있는 경우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기 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심 통화 서비스 시스템.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통화 단절 발생 메시지는 단절의 발생원인 및 통화 이력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심 통화 서비스 시스템.
KR1020060032437A 2006-04-10 2006-04-10 음성통화 중 통화 단절을 방지하는 안심 통화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0738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2437A KR100738921B1 (ko) 2006-04-10 2006-04-10 음성통화 중 통화 단절을 방지하는 안심 통화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2437A KR100738921B1 (ko) 2006-04-10 2006-04-10 음성통화 중 통화 단절을 방지하는 안심 통화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8921B1 true KR100738921B1 (ko) 2007-07-12

Family

ID=38504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2437A KR100738921B1 (ko) 2006-04-10 2006-04-10 음성통화 중 통화 단절을 방지하는 안심 통화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892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1673A (ko) * 2002-12-11 2004-06-1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단절 원인 자동 통보 방법
KR20060004168A (ko) * 2004-07-08 2006-01-12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망에서 비정상적으로 종료된 단말기의 상태를문자 메시지로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1673A (ko) * 2002-12-11 2004-06-1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단절 원인 자동 통보 방법
KR20060004168A (ko) * 2004-07-08 2006-01-12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망에서 비정상적으로 종료된 단말기의 상태를문자 메시지로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4-0051673A
10-2006-0004168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71006A1 (en) Delivery of communications services in developing regions
JP4708473B2 (ja) 通信システム、移動機、着信制御方法
KR20020071296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문메시지 착신전환 방법
US6473422B2 (en) Communications network and method for screening incoming circuit switched calls
KR20060105597A (ko) 무선 네트워크 및 무선 네트워크 동작 방법
JP5313404B2 (ja) ローカルコールローカルスイッチの実現方法及びシステム
KR100738921B1 (ko) 음성통화 중 통화 단절을 방지하는 안심 통화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1202993B1 (ko) 이동통신망에서의 미수신 통화내역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미수신 통화내역제공 서비스서버
US20060223584A1 (en) Notify me service in wireless networks
KR101054081B1 (ko) 해외 로밍 단말을 위한 사서함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100637550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 발신 호 설정과정 중 음성메시지 전송방법
KR101007373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부가 서비스를 이용한 무선 품질 관리방법
KR20060120723A (ko) 통신 상태 실시간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051021B1 (ko) 착신 이력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10017676A (ko) 착신금지 또는 착신전환된 휴대 단말에 대한 단문 메시지 처리 방법
KR20010028310A (ko) 통화중인 가입자에게 접속 요청을 알리는 방법
KR20090021509A (ko) 이동통신망에서의 호 충돌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0723701B1 (ko) 콜 개런티 서비스 방법과 그를 수행하는 서버 및 시스템
KR100532329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발신자 정보 제공 방법
KR20050097290A (ko) 양방향 sms 메시지 전송을 통한 자동 통화 연결 서비스방법 및 시스템
KR101218235B1 (ko) 착신전환 서비스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806199B1 (ko) 단문 메시지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감시하는 방법및 시스템
KR101316787B1 (ko) 페이징 시스템 및 페이징 방법
KR20090124283A (ko) 통신시스템에서 호 충돌을 방지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618439B1 (ko) 단문메시지의 자동 발송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