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1509A - 이동통신망에서의 호 충돌 방지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망에서의 호 충돌 방지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1509A
KR20090021509A KR1020070086073A KR20070086073A KR20090021509A KR 20090021509 A KR20090021509 A KR 20090021509A KR 1020070086073 A KR1020070086073 A KR 1020070086073A KR 20070086073 A KR20070086073 A KR 20070086073A KR 20090021509 A KR20090021509 A KR 200900215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notification service
called terminal
terminal
servic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6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6887B1 (ko
Inventor
송선기
윤민근
김기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6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6887B1/ko
Publication of KR20090021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1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6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6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04W74/0841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with collision treatment
    • H04W74/085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with collision treatment collision avoid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5Selective call encoders for paging networks, e.g. paging centr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착신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호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 착신 단말기로 전송되는 착신 내역 통보 메시지와, 착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로 복구됨에 따라 발신 단말기로 전송되는 통화 가능 상태 통보 메시지가 서로 시간차를 두고 전송되거나, 콜백(Call Back) URL없이 전송되도록 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호 충돌 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발신 단말기로 착신 단말기의 통화 가능 상태를 알리는 통화 가능 상태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되, 상기 착신 단말기가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으면,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로 복구되었음을 보고받은 후, 기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에 상기 발신 단말기로 상기 통화 가능 상태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서버와;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착신 단말기로 상기 착신 단말기가 수신하지 못한 착신 내역을 알리는 착신 내역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되, 상기 발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으면,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로 복구되었음을 보고받은 후, 기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에 상기 착신 단말기로 상기 착신 내역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서버와; 상기 발신 단말기가 착신 단말기로 시도한 호 연결이 실패한 경우, 상기 발신 단말기가 상기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으면서 상기 착신 단말기가 상기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으면, 호 연결 실패에 따라 상기 두 서버로 각각 서비스를 요청할 때, 상기 두 서버 중에서 어느 한 서버만 지정하여, 상기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서버가 지정된 경우에는 상기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서버로 상기 착신 단말기가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가입자임을 알리고, 상기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서버가 지정된 경우에는 상기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서버로 상기 발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가입자임을 알리는 HLR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발신 가입자와 착신 가입자가 거의 동시에 호 연결을 요청하여 발생하게 되는 호 충돌 확률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gure P1020070086073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호 충돌

Description

이동통신망에서의 호 충돌 방지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COLLISION CALL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에서의 호 충돌 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착신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호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 착신 단말기로 전송되는 착신 내역 통보 메시지와, 착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로 복구됨에 따라 발신 단말기로 전송되는 통화 가능 상태 통보 메시지가 서로 시간차를 두고 전송되거나, 콜백(Call Back) URL없이 전송되도록 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호 충돌 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망에서 발신 단말기가 호 연결을 요청한 착신 단말기가 통화중이거나, 전원 오프 등으로 인하여 호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종래에는 발신측으로 착신 단말기가 통화중이거나, 전원이 오프되어 호를 연결할 수 없으므로 음성 사서함으로 연결하겠다는 자동 응답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자동 응답 서비스를 이용하여 착신 단말기 측으 로 음성 메시지나 호출 번호를 남기는 경우에는, 음성 메시지나 호출 번호를 확인한 착신 가입자가 전화하기만을 무작정 기다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음성 메시지나 호출 번호를 남기지 않는 경우에는 발신 가입자가 착신 가입자 측으로 통화가 이루어질 때까지 계속적으로 호를 재시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발신 단말기가 호 연결을 요청한 착신 단말기가 통화중이거나, 전원 오프 등으로 인하여 호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착신 단말기로는 발신 단말기로부터 통화 연결 요청이 있었음을 알리는 착신 내역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한편, 발신 단말기로는 착신 단말기의 상태가 통화 가능한 상태로 복구되면, 착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한 상태임을 알리는 통화 가능 상태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여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 간에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착신 단말기로 착신 내역 통보 메시지가 전송되고, 발신 단말기로 통화 가능 상태 통보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 착신 가입자는 통화를 완료한 직후, 또는 단말기 전원이 온 된 직후에 착신 내역 통보 메시지를 확인하게 되고, 발신 가입자는 착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한 상태로 복구됨에 따라 전송되는 통화 가능 상태 통보 메시지를 수신하여 확인하므로, 착신 가입자와 발신 가입자가 거의 동시에 착신 내역 통보 메시지와 통화 가능 상태 통보 메시지를 확인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착신 내역 통보 메시지와 통화 가능 상태 통보 메시지를 거의 동시에 확인한 착신 가입자와 발신 가입자가 거의 동시에 호 연결을 요청할 확률이 높게 되어, 다시 통화중으로 호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착신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호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 착신 단말기로 전송되는 착신 내역 통보 메시지와, 착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로 복구됨에 따라 발신 단말기로 전송되는 통화 가능 상태 통보 메시지가 서로 시간차를 두고 전송되거나, 콜백(Call Back) URL없이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발신 가입자와 착신 가입자가 거의 동시에 호 연결을 요청하여 발생하게 되는 호 충돌 확률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호 충돌 방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의 호 충돌 방지 시스템은,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발신 단말기로 착신 단말기의 통화 가능 상태를 알리는 통화 가능 상태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되, 상기 착신 단말기가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으면,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로 복구되었음을 보고받은 후, 기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에 상기 발신 단말기로 상기 통화 가능 상태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서버와;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착신 단말기로 상기 착신 단말기가 수신하지 못한 착신 내역을 알리는 착신 내역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되, 상기 발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으면, 상기 착 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로 복구되었음을 보고받은 후, 기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에 상기 착신 단말기로 상기 착신 내역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서버와; 상기 발신 단말기가 착신 단말기로 시도한 호 연결이 실패한 경우, 상기 발신 단말기가 상기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으면서 상기 착신 단말기가 상기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으면, 호 연결 실패에 따라 상기 두 서버로 각각 서비스를 요청할 때, 상기 두 서버 중에서 어느 한 서버만 지정하여, 상기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서버가 지정된 경우에는 상기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서버로 상기 착신 단말기가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가입자임을 알리고, 상기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서버가 지정된 경우에는 상기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서버로 상기 발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가입자임을 알리는 HLR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서버는,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발신 단말기가 착신 단말기로 시도한 호 연결이 실패함에 따라, HLR로부터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를 요청받을 때, 상기 HLR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가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가입자임을 보고받으면, 상기 HLR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로 복구되었음을 보고받은 후, 기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에 상기 발신 단말기로 상기 통화 가능 상태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상기 통화 가능 상태 통보 메시지를 확인한 발신 가입자가 상기 착신 단말기로 곧바로 호 연결을 시도할 수 없도록 콜백 URL을 포함하지 않는 통화 가능 상태 통보 메시지를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서버는, 발신 단말기가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착신 단말기로 시도한 호 연결이 실패함에 따라, HLR로부터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를 요청받을 때, 상기 HLR로부터 상기 발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가입자임을 보고받으면, 상기 HLR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로 복구되었음을 보고받은 후, 기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에 상기 착신 단말기로 상기 착신 내역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상기 착신 내역 통보 메시지를 확인한 착신 가입자가 상기 발신 단말기로 곧바로 호 연결을 시도할 수 없도록 콜백 URL을 포함하지 않는 착신 내역 통보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LR은, 발신 단말기가 착신 단말기로 시도한 호 연결이 실패한 경우, 상기 발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으면서 상기 착신 단말기가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으면, 호 연결 실패에 따라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서버와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서버로 각각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와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를 요청할 때, 상기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서버와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서버 중에서 어느 한 서버만 지정하여, 상기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서버가 지정된 경우에는 상기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서버로 상기 착신 단말기가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가입자임을 알려 상기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서버가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로 복구되었음을 보고받은 후, 기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에 상기 발신 단말기로 상기 통화 가능 상태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게 하고, 상기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서버가 지정된 경우에는 상기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서버로 상기 발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가입자임을 알려 상기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서버가 상기 발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로 복구되었음을 보고받은 후, 기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에 상기 착신 단말기로 상기 착신 내역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의 호 충돌 방지 방법은, 발신 단말기가 착신 단말기로 시도한 호 연결이 실패했을 때, HLR에서 상기 발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으면서 상기 착신 단말기가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지를 확인하는 제1과정과; 상기 확인결과 상기 발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으면서 상기 착신 단말기가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으면, 상기 HLR에서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서버로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를 요청하고, 상기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서버로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를 요청하되, 상기 두 서버 중에서 어느 한 서버만 지정하여, 상기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서버가 지정된 경우에는 상기 HLR에서 상기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서버로 상기 착신 단말기가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가입자임을 알리고, 상기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서버가 상기 HLR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로 복구되었음을 보고받은 후, 기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에 상기 발신 단말기로 상기 통화 가능 상태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2과정과; 상기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서버가 지정된 경우에는 상기 HLR에서 상기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서버로 상기 발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가입자임을 알리고, 상기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서버가 상기 HLR로부터 상기 발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로 복구되었음을 보고받은 후, 기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에 상기 착신 단말기로 상기 착신 내역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3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의 호 충돌 방지 시스템 및 방법은 착신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호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 착신 단말기로 전송되는 착신 내역 통보 메시지와, 착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로 복구됨에 따라 발신 단말기로 전송되는 통화 가능 상태 통보 메시지가 서로 시간차를 두고 전송되거나, 콜백(Call Back) URL없이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발신 가입자와 착신 가입자가 거의 동시에 호 연결을 요청하여 발생하게 되는 호 충돌 확률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의 호 충돌 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의 호 충돌 방지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로, 발/착신 단말기(10/25), 발/착신측 무선접속망(15/30), 발/착신측 MSC(Mobile Switching Center)(20/35), HLR(Home Location Register)(40), 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er)(55),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서버(45),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서버(5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발/착신 단말기(10/25)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대방에게 전화를 걸어 이동 전화 통화를 수행한다.
발/착신측 무선접속망(15/30)은 자신의 관할 영역에 위치한 발/착신 단말기(10/25)와 무선 접속되어 발/착신 단말기(10/25)와의 무선 통신을 담당한다.
발/착신측 MSC(20/35)는 발/착신 단말기(10/25)의 위치 및 서비스 프로파일 등을 저장하고 있으며, 교환 기능을 수행하여 발신 단말기(10)와 착신 단말기(25) 간의 통화로를 연결시켜 통화를 가능하게 한다.
HLR(40)은 발/착신 단말기(10/25)의 위치 등록을 통해 발/착신 단말기(10/25)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필요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든 영구적인 정보(단말기 식별정보(MIN, ESN), 가입자 정보, 가입자의 부가 서비스 정보 등)를 저장하고 있으며, 발신 단말기(10)가 착신 단말기(25)로 호 연결을 시도했을 때 착신 단말기(25)가 통화 불가능한 경우, 발신 단말기(10)로 제공하기 위한 안내 멘트에 대한 코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또한, HLR(40)은 발신 단말기(10)가 착신 단말기(25)로 호 연결을 시도했을 때, 착신 단말기(25)가 전원 오프 상태이거나 통화중이어서 호가 연결되지 않을 경우, 발신 단말기(10)와 착신 단말기(25)가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와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에 각각 가입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각각 가입되어 있으면,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서버(45) 및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서버(50)로 각각 발신 단말기(10)와 착신 단말기(25)에 대한 식별정보(MIN)를 전달하여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및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를 요청하는데, 이때 HLR(40)은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서버(45)와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서버(50) 중에서 어느 한 서버로 상대방 단말기가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가입자 또는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가입자임을 알린다. 즉, HLR(40)이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서버(45)로 상대방 단말기가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가입자임을 알리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 HLR(40)은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서버(45)로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를 요청함과 동시에 착신 단말기(25)가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가입자임을 알리고,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서버(50)로 상대방 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가입자임을 알리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서버(50)로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를 요청함과 동시에 발신 단말기(10)가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가입자임을 알린다.
또한, HLR(40)은 착신측 MSC(35)를 통해 착신 단말기(25)에 대한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착신 단말기(25)가 통화 가능한 상태로 복구되면,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서버(45) 및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서버(50)로 각각 착신 단말기(25)가 통화 가능한 상태로 복구되었음을 보고한다.
한편, SMSC(55)는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서버(45)로부터 전달받은 통화 가능 상태 통보 메시지를 SMS 메시지로 변환하여 발신 단말기(10)로 전송하고,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서버(50)로부터 전달받은 착신 내역 통보 메시지를 SMS 메시지로 변환하여 착신 단말기(25)로 전송한다.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서버(45)는 HLR(40) 및 SMSC(55)와 연동하여 착신 단말기(25)의 통화 가능 상태를 발신 단말기(10)로 통보하되, HLR(40)로부터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를 요청받을 때, 착신 단말기(25)가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가입자임을 보고받은 경우에는, 이후 HLR(40)로부터 착신 단말기(25)가 통화 가능 상태로 복구되었음을 보고받으면, 곧바로 발신 단말기(10)로 통화 가능 상태 통보메시지를 전송하지 않고, 기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에 발신 단말기(10)로 통화 가능 상태 통보 메시지를 전송한다. 여기서,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서버(45)는 HLR(40)로부터 착신 단말기(25)가 통화 가능 상태로 복구되었음을 보고받을 때, 통화 가능 상태 통보 메시지 전송을 지연시키는 대신에, 통화 가능 상태 통보 메시지에 통화키 입력만으로 착신 단말기(25)로 곧바로 호 연결을 시도할 수 있는 콜백(Call Back) URL을 통화 가능 상태 통보 메시지에 포함시키지 않고 발신 단말기(10)로 통화 가능 상태 통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서버(50)는 HLR(40) 및 SMSC(55)와 연동하여 발신 단말기(10)로부터의 착신 내역을 착신 단말기(25)로 통보하되, HLR(40)로부터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를 요청받을 때, 발신 단말기(10)가 통화 가능 상태 서비스 가입자임을 보고받은 경우에는, 이후 HLR(40)로부터 착신 단말기(25)가 통화 가능 상태로 복구되었음을 보고받으면, 곧바로 착신 단말기(25)로 착신 내역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고, 기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에 착신 단말기(25)로 착신 내역 통보 메시지를 전송한다. 여기서,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서버(50)는 HLR(40)로부터 착신 단말기(25)가 통화 가능 상태로 복구되었음을 보고받을 때, 착신 내역 통보 메시지 전송을 지연시키는 대신에, 착신 내역 통보 메시지에 통화키 입력만으로 발신 단말기(10)로 곧바로 호 연결을 시도할 수 있는 콜백(Call Back) URL을 착신 내역 통보 메시지에 포함시키지 않고 착신 단말기(25)로 착신 내역 통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의 호 충돌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처리도이다.
우선, 발/착신 단말기(10/25)는 이동에 따라 위치 등록을 수행하게 되는 데, 발/착신 단말기(10/25)의 위치 등록에 따라 발/착신측 MSC(20/35)는 HLR(40)로 위치 등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HLR(40)은 위치 등록을 요청한 발/착신 단말기(10/25)의 부가 서비스 정보를 위치 등록 요청 응답 메시지에 포함시켜 발/착신측 MSC(20/35)로 전송하며, 발/착신측 MSC(20/35)는 발/착신 단말기(10/25)에 대한 부가 서비스 정보를 임시 저장하게 된다.
이후, 발신 단말기(10)가 착신 단말기(25)와의 호 연결을 시도하면(S10), 발신측 MSC(20)는 착신 단말기(25)가 등록되어 있는 HLR(40)로 착신 단말기(25)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12).
상기한 과정 S12에서 발신측 MSC(20)는 HLR(40)로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때, 발신 단말기(10)의 위치 등록시 HLR(40)로부터 제공받은 발신 단말기(10)의 부가 서비스 정보를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에 포함시켜 전송한다.
상기한 과정 S12를 통해 발신측 MSC(20)로부터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받은 HLR(40)은 발신 단말기(10)와 착신 단말기(25) 간의 호 연결을 설정하기 위 하여 착신 단말기(25)의 현재 상태를 파악한다(S14).
상기한 과정 S14에서 HLR(40)은 착신 단말기(25)가 전원 오프시 HLR(40)을 통해 위치 등록을 수행하므로, 착신 단말기(25)의 전원 오프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발신측 MSC(20)로부터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착신측 MSC(35)로 전송한 라우팅 정보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착신측 MSC(35)가 HLR(40)로 전송한 착신 단말기(25)의 상태 정보에 의거하여 착신 단말기(25)가 현재 통화중 상태임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과정 S14의 파악결과 착신 단말기(25)의 전원이 오프되어 있거나, 착신 단말기(25)가 통화중인 관계로 착신 단말기(25)와의 호 연결이 실패한 경우(S16), HLR(40)은 발신측 MSC(20)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발신 단말기(10)의 부가 서비스 정보에 의거하여 발신 단말기(10)가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가입자이고, HLR(40)에 저장되어 있는 착신 단말기(25)의 부가 서비스 정보에 의거하여 착신 단말기(25)가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가입자 인지를 판단한다(S18).
상기한 과정 S18의 판단 결과, 발신 단말기(10)만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거나, 착신 단말기(25)만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해당 서비스 서버로만 서비스를 요청하고, 발신 단말기(10)도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고, 이와 더불어 착신 단말기(25)도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서버(45)로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통화 가 능 상태 통보 서비스 서버(45)로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를 요청함과 동시에(S20),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서버(50)로 착신 내역 통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서버(50)로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를 요청한다(S22).
상기한 과정 S20과 과정 S22를 통해 HLR(40)이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서버(45)와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서버(50)로 각각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요청 메시지와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때, HLR(40)은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서버(45)와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서버(50) 중에서 어느 한쪽으로만,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기의 상대방 단말기가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가입자 또는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가입자임을 알린다. 즉, HLR(40)은 상기한 과정 S20을 통해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서버(45)로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때,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를 제공받는 발신 단말기(10)의 상대 단말기인 착신 단말기(25)가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가입자임을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서버(45)로 알리거나, 아니면 상기한 과정 S22를 통해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서버(50)로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때,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를 제공받는 착신 단말기(25)의 상대 단말기인 발신 단말기(10)가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가입자임을 알린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서버(45)로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를 요청할 때, 착신 가입자가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가입자임을 알리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한 과정 S20에서 HLR(40)이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서버(45)로 전 송하는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요청 메시지에는 통화 가능 상태를 추적해야 하는 착신 단말기(25)의 식별 정보(MIN)와, 통화 가능 상태를 통보받을 발신 단말기(10)에 대한 식별 정보(MIN)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과정 S22에서 HLR(40)이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서버(50)로 전송하는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는 착신 내역을 통보받을 착신 단말기(25)의 식별정보(MIN)와 착신 단말기(25)로 호 연결을 시도한 발신 단말기(10)의 식별정보(MIN)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과정 S20을 통해 HLR(40)로부터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서버(45)는 HLR(40)로부터 전송받은 발신 단말기(10)와 착신 단말기(25)에 대한 식별 정보(MIN) 및 착신 단말기(25)가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가입자라는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한 과정 S22를 통해 HLR(40)로부터 착신 내역 통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서버(50)는 HLR(40)로부터 전송받은 발신 단말기(10)와 착신 단말기(25)에 대한 식별 정보(MIN)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한 과정 S16에서 착신 단말기(25)와의 호 연결이 불가능한 것을 확인한 HLR(40)은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착신 단말기(25)의 상태에 따른 안내 멘트 코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발신측 MSC(20)로 전달하고, 발신측 MSC(20)는 HLR(40)로부터 수신한 응답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안내 멘트 코드 정보에 대응하는 안내 멘트를 발신 단말기(10)로 전송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착신 단말기(25)의 상태에 따른 안내 멘트를 송출한 후, 발신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되는 호 종료 요청에 따라 호를 종료한다.
이후, HLR(40)은 착신 단말기(25)가 통화 가능 상태로 복구되는 지를 모니터링하여(S24), 착신 단말기(25)가 통화 가능 상태로 복구되면(S26),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서버(50) 및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서버(45)로 각각 착신 단말기(25)가 통화 가능 상태로 복구되었음을 보고한다(S28, S30).
상기한 과정 S24에서 HLR(40)은 착신 단말기(25)가 전원 오프일 때는, 착신 단말기(25)가 전원을 인가받음에 따라 수행하는 위치 등록에 의거하여 착신 단말기(25)가 전원을 인가받아 통화가 가능한 상태로 복구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착신 단말기(25)가 통화중일 때는, 착신측 MSC(35)로 착신 단말기(25)에 대한 상태 변화를 모니터링하여 착신 단말기(25)가 통화 가능 상태로 복구되면 보고하라고 요청하고, HLR(40)의 요청에 따라 착신측 MSC(35)가 착신 단말기(25)의 상태 변화를 모니터링하여 착신 단말기(25)가 통화를 종료하여 통화중 상태에서 해제되면, HLR(40)로 착신 단말기(25)에 대한 상태 변화를 보고하고, HLR(40)은 착신측 MSC(35)로부터 착신 단말기(25)가 통화 가능 상태로 복구되었음을 보고받아, 착신 단말기(25)가 통화 가능 상태로 복구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과정 S28을 통해 HLR(40)로부터 착신 단말기(25)가 통화 가능 상태로 복구되었음을 보고받은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서버(50)는 발신 단말기(10)의 식별 정보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된 착신 단말기(25)의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SMSC(55)를 통해 착신 단말기(25)로 발신 단말기(10)로부터의 착신 내역을 알리는 착신 내역 통보 메시지를 전송한다(S32).
상기한 과정 S32에서 착신 단말기(25)로 전송되는 착신 내역 통보 메시지에는 착신 내역 통보 메시지를 확인한 착신 가입자가 통화키 입력만으로 발신 단말기(10)로 곧바로 통화 연결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콜백 URL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과정 S30을 통해 HLR(40)로부터 착신 단말기(25)가 통화 가능 상태로 복구되었음을 보고받은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서버(45)는 착신 단말기(25)가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것을 알고 있으므로 호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기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에 SMSC(55)를 통해 발신 단말기(10)로 착신 단말기(25)가 통화 가능 상태로 복구되었음을 알리는 통화 가능 상태 통보 메시지를 전송한다(S34).
한편, 상기한 과정 S34에서 착신 단말기(25)가 통화 가능 상태로 복구되었음을 통보받은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버(45)는 기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에 발신 단말기(10)로 통화 가능 상태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대신, 통화 가능 상태 통보 메시지를 확인한 발신 가입자가 곧바로 호 연결을 시도할 수 없도록 콜백 URL을 포함하지 않는 통화 가능 상태 통보 메시지를 발신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서버(50)로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를 요청할 때, 발신 가입자가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가입자임을 알리는 경우, HLR(40)로부터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 한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서버(45)는 HLR(40)로부터 전송받은 발신 단말기(10)와 착신 단말기(25)에 대한 식별 정보(MIN)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HLR(40)로부터 착신 내역 통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서버(50)는 HLR(40)로부터 전송받은 발신 단말기(10)와 착신 단말기(25)에 대한 식별 정보(MIN) 및 발신 단말기(10)가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가입자라는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이후, 착신 단말기(25)가 통화 가능 상태로 복구됨에 따라, HLR(40)로부터 착신 단말기(25)가 통화 가능 상태로 복구되었음을 보고받으면,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서버(45)는 착신 단말기(25)의 식별 정보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된 발신 단말기(10)의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SMSC(55)를 통해 발신 단말기(10)로 착신 단말기(25)가 통화 가능 상태로 복구되었음을 알리는 통화 가능 상태 통보 메시지를 전송한다. 여기서, 발신 단말기(10)로 전송되는 통화 가능 상태 통보 메시지에는 통화 가능 상태 통보 메시지를 확인한 발신 가입자가 통화키 입력만으로 착신 단말기(25)로 곧바로 통화 연결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콜백 URL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서버(50)는 발신 단말기(10)가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것을 알고 있으므로 호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기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에 SMSC(55)를 통해 착신 단말기(25)로 발신 단말기(10)로부터의 착신 내역을 알리는 착신 내역 통보 메시지를 전송한다. 여기서, 발신 단말기(10)로부터의 착신 내역을 통보받은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서버(45)는 기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에 착신 단말기(25)로 착신 내역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대신, 착신 내역 통보 메시지를 확인한 착신 가입자가 곧바로 호 연결을 시도할 수 없도록 콜백 URL을 포함하지 않는 착신 내역 통보 메시지를 착신 단말기(25)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망에서의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시스템 및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의 호 충돌 방지 시스템 및 방법은 착신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호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 착신 단말기로 전송되는 착신 내역 통보 메시지와, 착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로 복구됨에 따라 발신 단말기로 전송되는 통화 가능 상태 통보 메시지가 서로 시간차를 두고 전송되거나, 콜백(Call Back) URL없이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발신 가입자와 착신 가입자가 거의 동시에 호 연결을 요청하여 발생하게 되는 호 충돌 확률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의 호 충돌 방지 시스템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의 호 충돌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처리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25. 발/착신 단말기, 15/30. 발/착신측 무선접속망,
20/35. 발/착신측 MSC, 40. HLR,
45.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서버, 50.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서버,
55. SMSC

Claims (10)

  1.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발신 단말기로 착신 단말기의 통화 가능 상태를 알리는 통화 가능 상태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되, 상기 착신 단말기가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으면,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로 복구되었음을 보고받은 후, 기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에 상기 발신 단말기로 상기 통화 가능 상태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서버와;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착신 단말기로 상기 착신 단말기가 수신하지 못한 착신 내역을 알리는 착신 내역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되, 상기 발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으면,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로 복구되었음을 보고받은 후, 기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에 상기 착신 단말기로 상기 착신 내역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서버와;
    상기 발신 단말기가 착신 단말기로 시도한 호 연결이 실패한 경우, 상기 발신 단말기가 상기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으면서 상기 착신 단말기가 상기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으면, 호 연결 실패에 따라 상기 두 서버로 각각 서비스를 요청할 때, 상기 두 서버 중에서 어느 한 서버만 지정하여, 상기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서버가 지정된 경우에는 상기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서버로 상기 착신 단말기가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가입자임을 알리고, 상기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서버가 지정된 경우에는 상기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서버로 상기 발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가입자임을 알리는 HLR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통신망에서의 호 충돌 방지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서버는,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로 복구되었음을 보고받은 후, 기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에 상기 발신 단말기로 상기 통화 가능 상태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대신, 상기 통화 가능 상태 통보 메시지를 확인한 발신 가입자가 상기 착신 단말기로 곧바로 호 연결을 시도할 수 없도록 콜백 URL을 포함하지 않는 통화 가능 상태 통보 메시지를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호 충돌 방지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서버는,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로 복구되었음을 보고받은 후, 기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에 상기 착신 단말기로 상기 착신 내역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대신, 상기 착신 내역 통보 메시지를 확인한 착신 가입자가 상기 발신 단말기로 곧바로 호 연결을 시도할 수 없도록 콜백 URL을 포함하지 않는 착신 내역 통보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호 충돌 방지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HLR은,
    착신측 MSC를 통해 상기 착신 단말기에 대한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한 상태로 복구되면, 상기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서버와 상기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서버로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로 복구되었음을 보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호 충돌 방지 시스템.
  5.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발신 단말기가 착신 단말기로 시도한 호 연결이 실패함에 따라, HLR로부터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를 요청받을 때, 상기 HLR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가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가입자임을 보고받으면, 상기 HLR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로 복구되었음을 보고받은 후, 기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에 상기 발신 단말기로 상기 통화 가능 상태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상기 통화 가능 상태 통보 메시지를 확인한 발신 가입자가 상기 착신 단말기로 곧바로 호 연결을 시도할 수 없도록 콜백 URL을 포함하지 않는 통화 가능 상태 통보 메시지를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서버.
  6. 발신 단말기가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착신 단말기로 시도 한 호 연결이 실패함에 따라, HLR로부터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를 요청받을 때, 상기 HLR로부터 상기 발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가입자임을 보고받으면, 상기 HLR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로 복구되었음을 보고받은 후, 기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에 상기 착신 단말기로 상기 착신 내역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상기 착신 내역 통보 메시지를 확인한 착신 가입자가 상기 발신 단말기로 곧바로 호 연결을 시도할 수 없도록 콜백 URL을 포함하지 않는 착신 내역 통보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서버.
  7. 발신 단말기가 착신 단말기로 시도한 호 연결이 실패한 경우,
    상기 발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으면서 상기 착신 단말기가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으면,
    호 연결 실패에 따라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서버와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서버로 각각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와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를 요청할 때,
    상기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서버와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서버 중에서 어느 한 서버만 지정하여,
    상기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서버가 지정된 경우에는 상기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서버로 상기 착신 단말기가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가입자임을 알려 상기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서버가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로 복구되었음을 보고받은 후, 기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에 상기 발신 단말기로 상기 통화 가능 상태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게 하고,
    상기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서버가 지정된 경우에는 상기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서버로 상기 발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가입자임을 알려 상기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서버가 상기 발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로 복구되었음을 보고받은 후, 기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에 상기 착신 단말기로 상기 착신 내역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LR.
  8. 발신 단말기가 착신 단말기로 시도한 호 연결이 실패했을 때, HLR에서 상기 발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으면서 상기 착신 단말기가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지를 확인하는 제1과정과;
    상기 확인결과 상기 발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으면서 상기 착신 단말기가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으면, 상기 HLR에서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서버로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를 요청하고, 상기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서버로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를 요청하되,
    상기 두 서버 중에서 어느 한 서버만 지정하여, 상기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서버가 지정된 경우에는 상기 HLR에서 상기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서버로 상기 착신 단말기가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가입자임을 알리고, 상기 통화 가 능 상태 통보 서비스 서버가 상기 HLR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로 복구되었음을 보고받은 후, 기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에 상기 발신 단말기로 상기 통화 가능 상태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2과정과;
    상기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서버가 지정된 경우에는 상기 HLR에서 상기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서버로 상기 발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가입자임을 알리고, 상기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서버가 상기 HLR로부터 상기 발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로 복구되었음을 보고받은 후, 기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에 상기 착신 단말기로 상기 착신 내역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3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통신망에서의 호 충돌 방지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은,
    호 연결 실패에 따라 상기 HLR에서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서버로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를 요청하고, 상기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서버로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를 요청할 때,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서버로 상기 착신 단말기가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가입자임을 알리는 과정과;
    상기 HLR에서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로 복구되는 지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로 복구되면, 상기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서버와 상기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서버로 각각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로 복구되었음을 보고하는 과정과;
    상기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HLR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로 복구되었음을 보고받은 후, 기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에 상기 발신 단말기로 통화 가능 상태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착신 통화 내역 통보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HLR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로 복구되었음을 보고받음에 따라 상기 착신 단말기로 상기 착신 내역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호 충돌 방지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과정은,
    호 연결 실패에 따라 상기 HLR에서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서버로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를 요청하고, 상기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서버로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를 요청할 때,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서버로 상기 발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가입자임을 알리는 과정과;
    상기 HLR에서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로 복구되는 지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로 복구되면, 상기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서버와 상기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서버로 각각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로 복구되었음을 보고하는 과정과;
    상기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HLR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로 복구되었음을 보고받음에 따라 상기 발신 단말기로 상기 통화 가능 상태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착신 내역 통보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HLR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로 복구되었음을 보고받은 후, 기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에 상기 착신 단말기로 착신 내역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호 충돌 방지 방법.
KR1020070086073A 2007-08-27 2007-08-27 이동통신망에서의 호 충돌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0936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073A KR100936887B1 (ko) 2007-08-27 2007-08-27 이동통신망에서의 호 충돌 방지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073A KR100936887B1 (ko) 2007-08-27 2007-08-27 이동통신망에서의 호 충돌 방지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1509A true KR20090021509A (ko) 2009-03-04
KR100936887B1 KR100936887B1 (ko) 2010-01-14

Family

ID=40691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6073A KR100936887B1 (ko) 2007-08-27 2007-08-27 이동통신망에서의 호 충돌 방지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688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673B1 (ko) * 2009-03-11 2011-05-16 주식회사 케이티 통화 가능 알림 방법 및 그 장치
CN102893691A (zh) * 2012-08-03 2013-01-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处理呼叫冲突的方法、系统和业务控制设备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2559A (ja) 1998-07-16 2000-01-28 Hitachi Ltd 不完了着信呼の情報通知機能を備えた移動体通信交換システム
KR100420671B1 (ko) * 2001-04-27 2004-03-02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수신 가능 상태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20050063930A (ko) * 2003-12-23 2005-06-2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망에서 발신자의 불완료호 통보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71723A (ko) * 2004-01-02 2005-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상대 단말기의 상태를 알려주기 위한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673B1 (ko) * 2009-03-11 2011-05-16 주식회사 케이티 통화 가능 알림 방법 및 그 장치
CN102893691A (zh) * 2012-08-03 2013-01-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处理呼叫冲突的方法、系统和业务控制设备
WO2014019226A1 (zh) * 2012-08-03 2014-02-0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处理呼叫冲突的方法、系统和业务控制设备
CN102893691B (zh) * 2012-08-03 2015-11-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处理呼叫冲突的方法、系统和业务控制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6887B1 (ko) 2010-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49674B1 (en) Emergency disablement of termination restrictions
KR100936887B1 (ko) 이동통신망에서의 호 충돌 방지 시스템 및 방법
CN102771107A (zh) 呼叫尝试通知
KR20010028105A (ko) 이동통신망에서의 불완료호 처리 방법
CN103379450A (zh) 漏话通知方法、装置及系统
KR20020097457A (ko) 착신 단말기의 전화 통화 가능 상태 통보 방법
KR101288344B1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시스템 및 방법
KR100408183B1 (ko) 자동 착신 전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074065B1 (ko) 착신 단말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202993B1 (ko) 이동통신망에서의 미수신 통화내역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미수신 통화내역제공 서비스서버
KR20050071945A (ko) 호 연결 실패 원인 통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655460B1 (ko) 착신전환 방법
KR101051021B1 (ko) 착신 이력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161080B1 (ko) 국제로밍차단 가입자에 대한 안내 문자 또는 재난 문자를 전송하는 관문 위치 등록기 및 방법
KR100793603B1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시스템 및 방법
KR100637550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 발신 호 설정과정 중 음성메시지 전송방법
KR20070114445A (ko) 홈위치등록기의 장애시 방문자위치등록기를 이용하여 호를처리하는 방법
KR20070099137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익명 호 수신 거부 서비스 방법
KR20060004168A (ko) 이동통신망에서 비정상적으로 종료된 단말기의 상태를문자 메시지로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141157B1 (ko) Sms 착신중 음성호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078938B1 (ko) 일반전화의 통화가능 상태를 통보하는 시스템 및 방법
WO2015126274A1 (ru) Система уведомления вызываемого абонента о вызове поступившем в режиме "занято"
KR100738921B1 (ko) 음성통화 중 통화 단절을 방지하는 안심 통화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1218235B1 (ko) 착신전환 서비스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618439B1 (ko) 단문메시지의 자동 발송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