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8541A - 호 처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호 처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8541A
KR20130088541A KR1020120009839A KR20120009839A KR20130088541A KR 20130088541 A KR20130088541 A KR 20130088541A KR 1020120009839 A KR1020120009839 A KR 1020120009839A KR 20120009839 A KR20120009839 A KR 20120009839A KR 20130088541 A KR20130088541 A KR 20130088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terminal
incoming
incoming call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9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용기
윤석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20009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8541A/ko
Publication of KR20130088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85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229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i.e. services related to one subscriber independent of his terminal and/or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호 처리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호 처리 장치는 단말의 호 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외부로부터 유입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단말로부터 발신호를 수신하거나, 단말로부터 발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유입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호 이력 정보를 확인하여 유입호 및 발신호가, 종료된 통화호의 후속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유입호 및 발신호가 후속호인 경우, 발신호를 강제 종료하고, 유입호를 착신 처리하는 통신호 처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호 처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call}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호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발신자 번호 표시(CID) 서비스, 부재중 착신 표시기능, 수신 불가능 상황에서 착신 불완료된 호(Call)에 대한 단문 메시지 전송 등을 통해서, 이동통신 가입자들은 자신이 놓친 호에 대해서 빠짐없이 알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현재의 호(call) 불완료 알림 서비스에서는 상대방이 통화중이거나, 상대방 단말기의 전원이 꺼져 있거나, 상대방이 전화를 받지 않는 등의 호 불완료 원인에 대해서만 발신 가입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따라서, 착신 가입자도 발신 가입자에게 발신을 하는 경우(즉, 두 명의 가입자가 서로를 상대방으로 하여 발신을 하는 경우)에는 단순히 통화중이라는 사실만을 알려주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에는 자신도 상대방에게 발신하고 있다는 사실을 별도의 부가적인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는 상대방에게 알려줄 수 없으며, 또한 호 불완료로 인하여 불필요하게 재발신을 하거나 발신을 포기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발명의 배경기술로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최적채널 형성 방법에 관한 특허문헌이 있으며,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무선호출망을 통해 이동단말기를 호출하고, 이동통신망을 통해 통화를 실행함으로써 최적채널을 형성하는 것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KR 2000-0043940 A 2000. 07. 15
본 발명은 통화중 비정상적으로 호가 종료되어 양자가 동시에 호를 시도하는 경우에 호 연결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단말간 호 처리를 수행하는 호 처리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 처리 장치는 단말의 호 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외부로부터 유입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단말로부터 발신호를 수신하거나, 단말로부터 발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상기 유입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호 이력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유입호 및 상기 발신호가, 종료된 통화호의 후속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유입호 및 상기 발신호가 상기 후속호인 경우, 상기 발신호를 강제 종료하고, 상기 유입호를 착신 처리하는 통신호 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호 처리 장치가 호 처리를 수행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 처리 방법은 외부로부터 유입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단말로부터 발신호를 수신하거나, 단말로부터 발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상기 유입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호 이력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유입호 및 상기 발신호가, 종료된 통화호의 후속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유입호 및 상기 발신호가 상기 후속호인 경우, 상기 발신호를 강제 종료하는 단계 및 상기 유입호를 착신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통화중 비정상적으로 호가 종료되어 양자가 동시에 호를 시도하는 경우에 호 연결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이동통신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구성도.
도 2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호 처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호 처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블록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 번호에 상관없이 동일한 수단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이동통신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통신시스템은 발신 단말(10), 착신 단말(20), 가입자 관리 서버(30), 발신 교환기(41) 및 착신 교환기(42)를 포함한다.
발신 단말(10) 및 착신 단말(20)은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이동통신 가입자의 이동통신단말이다. 예를 들어, 발신 단말(10)은 사용자로부터 통화 요청 신호(예를 들어, 음성, 영상 등의 통화 요청 신호) 또는 데이터 전송 요청 신호(예를 들어, 이메일, 문자 메시지, 파일 등의 전송 요청 신호)을 입력받아 착신 단말(20)로 발신을 시도할 수 있다. 또한, 발신 단말(10) 및 착신 단말(20)은 통화 연결 후, 통신망 또는 단말의 오작동, 사용자의 버튼 입력 오류 등과 같은 이유로 갑작스럽게 종료되는 경우, 각 사용자로부터 통화 요청 신호를 입력받아 상호 간에 동시에 호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가입자 관리 서버(30)는 이동통신 가입자의 가입자 정보를 저장 및 관리를 수행하는 서버로, 홈위치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 이하, HLR이라 함) 또는 홈가입자서버(HSS: Home Subscriber Server, 이하, HSS라 함)가 될 수 있으며, 이외에 이동통신 가입자를 관리하는 다양한 장치가 될 수 있다.
HLR은 일반적으로 가입자의 마스터 데이터베이스로, 가입자에 대한 다양한 정보(예를 들어,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며, 이동통신단말에 대한 위치 관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면, HLR은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위치 등록을 요청받은 경우, 이동통신단말의 가입자 정보를 교환기(MSC: Mobile Switching Center)로 전송할 수 있다.
HSS는 가입자 정보를 관리하는 중앙 집중화된 데이터 베이스로서, HLR에서 발전한 것의 일종이다. HSS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로써 세션 제어를 수행하는 IMS 엔티티(entity)들을 지원한다. HSS는 멀티미디어 세션 제어와 관련된 사용자 관련 가입 정보, 즉 사용자의 위치 정보, 사용자의 인증 및 허용을 위한 보안 정보, 사용자가 가입한 서비스를 포함하는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저장한다. HSS는 호 세션 제어 기능(CSCF: Call Session Control Function)로부터 권한 설정 정보 요구가 있을 경우 저장된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호 세션 제어 기능으로 제공한다.
발신 교환기(41) 및 착신 교환기(42)는 발신 단말(10)과 착신 단말(20) 사이의 호 처리를 수행하는 호 처리 장치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호 처리 장치를 교환기로 가정하여 설명하나, 호 처리 장치는 이동통신망에 따라 다양한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근에 이동통신망으로써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망과 같은 서킷 교환(Circuit Switching) 기반의 통신망뿐만 아니라, 패킷 교환(Packet Switching) 기반의 통신망이 존재하며, 특히 IP 기반의 통신을 수행하는 IMS(IP Multimedia Subsystem) 망이 사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호 처리 장치는 망에 따라 교환기(MSC: Mobile Switching Center), 패킷 교환 지원 노드(SGSN: Serving GPRS Support Node), 호 세션 제어 기능(CSCF: 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등이 될 수 있다.
교환기는 기본 및 부가 서비스 처리, 가입자의 착신 및 발신 호 처리, 위치등록 절차 및 핸드오프 절차 처리, 다른 망과 연동 기능을 수행한다.
패킷 교환 지원 노드는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PRS: General Packet Radio Service)를 위하여 이동통신단말의 관리, 발/착신호 처리 절차 및 데이터 패킷의 송수신을 처리하기 위한 세션 관리 및 인증 기능 등을 지원한다.
호 세션 제어 기능은 IMS 망에서 호 처리를 수행한다. 호 세션 제어 기능은 I-CSCF(Interrogate-CSCF), 프록시-CSCF(Proxy-CSCF : P-CSCF), 서빙-CSCF(Serving-CSCF : S-CSCF)로 구성된다. I-CSCF는 IMS 망 내에서 호 요청 메시지가 적절한 서버로 전달되도록 라우팅 정보를 제공한다. P-CSCF은 이동통신단말이 액세스 망을 통해 IMS 망에 접속할 때 만나는 지점으로, 이동통신단말로부터의 SIP 등록 요청(Register Request)을 I-CSCF로 전달한다. S-CSCF은 호 세션을 설정하며,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전달된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메시지를 받아 처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하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호 처리 장치를 교환기로 가정하고, 이에 따라, 가입자 관리 서버(30)는 HLR이 수행하는 기능 중심으로 설명한다.
발신 교환기(41)는 발신 단말(10)이 연결된 교환기이고, 착신 교환기(41)는 발신 단말(10)이 호를 시도한 착신 단말(20)이 연결된 교환기이다.
발신 교환기(41) 및 착신 교환기(42)는 발신 단말(10)의 착신 단말(20)로의 발신에 따라 착신 단말(20)로 착신을 수행함으로써, 발신 단말(10)과 착신 단말(20)간에 통화 연결이 이루어진다. 이후, 발신 단말(10)과 착신 단말(20)간의 통화 연결이 통신망 또는 단말의 오작동과 같은 이유로 비정상 종료된 후, 발신 단말(10)과 착신 단말(20)간에 동시에 호가 발생(즉, 발신 단말(10)은 착신 단말(20)로 발신하고, 착신 단말(20)은 발신 단말(10)로 발신한 경우)된 경우, 착신 교환기(42)는 호 이력(Call History) 정보를 이용하여 이를 판단하고, 착신 단말(20)의 발신호를 강제 종료하고, 발신 단말(10)의 발신에 따라 발신 교환기(41)로부터 요청된 통신호를 착신 단말(20)로 착신 처리함으로써, 발신 단말(10)과 착신 단말(20)간에 통화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호 이력 정보는 방문 위치 등록기(VLR: Visitor Locater Register)에서 관리하는 정보 중 하나이다. 예를 들어, 호 이력 정보는 단말의 통화 연결에 대한 발신자 및 착신자 정보(예를 들어, 전화번호 등), 연결 시간, 정상 종료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교환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착신 교환기(42)인 경우에 상기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교환기는 발신 교환기(41)인 경우에 상기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의 호 처리 방법은 비정상 종료 후 동시호 발생시, 비정상 종료 전의 발신자 또는 착신자의 우선권을 선택적으로 부여하는 것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발신 단말(10)과 착신 단말(20)간의 통화 연결이 정상 종료된 직후에도 발신 단말(10)과 착신 단말(20)간에 동시에 호가 발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버튼 입력 오류(즉, 통화종료 버튼 입력) 등과 같은 이유로 갑작스럽게 종료되는 경우, 사용자는 비정상 종료로 인식할 수 있으나, 단말 및 교환기는 정상 종료로 처리한다. 이에 따라, 교환기는 비정상 또는 정상 종료에 상관없이 통화 연결이 종료된 후, 발신 단말(10)과 착신 단말(20)간에 동시에 호가 발생한 경우, 발신호를 강제 종료하고, 외부 유입호를 착신 처리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호 처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S211 단계에서, 발신 단말(10)은 발신 교환기(41)로 착신 단말(20)로의 발신을 요청한다.
S212 단계에서, 발신 교환기(41)는 발신 단말(10)의 착신 단말(20)로의 발신 요청에 따라 착신 단말(20)의 위치 정보를 조회하기 위해 가입자 관리 서버(30)로 라우팅 정보 요청 메시지(SRI)를 전송한다.
S213 단계에서, 가입자 관리 서버(30)는 발신 교환기(41)로부터의 라우팅 정보 요청 메시지의 수신에 따라, 라우팅 번호 제공(PRN: Provide Roaming Number) 요청 메시지를 착신 교환기(42)로 전송한다.
S214 단계에서, 착신 교환기(42)는 가입자 관리 서버(30)로부터 라우팅 번호 제공 요청 메시지의 수신에 따라 착신 교환기(42)의 루팅번호(예를 들어, MSRN)를 포함하는 라우팅 번호 제공 응답 메시지(PRN ACK)를 가입자 관리 서버(30)로 전송한다.
S215 단계에서, 가입자 관리 서버(30)는 라우팅 번호 제공 응답 메시지에 따라 루팅 번호를 포함하는 라우팅 정보 응답 메시지(SRI ACK)를 발신 교환기(41)로 전송한다.
S216 단계에서, 발신 교환기(41)는 라우팅 정보 응답 메시지 수신시, 해당 라우팅 정보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루팅 번호를 이용하여 착신 교환기(42)로 통신호(IAM)를 요청한다.
S217 단계에서, 착신 교환기(42)는 발신 교환기(41)의 통신호 요청에 따라 착신 단말(20)로 착신 연결을 수행한다.
S218 단계에서, 발신 단말(10)과 착신 단말(20)간에 통화 연결이 이루어진다.
S219 단계에서, 발신 단말(10)과 착신 단말(20)간의 통화 연결이 통신망 또는 단말의 오작동과 같은 이유로 비정상 종료된다.
S220 단계에서, 발신 단말(10)은 발신 교환기(41)로 착신 단말(20)로의 발신을 요청하고, 착신 단말(20)은 착신 교환기(42)로 발신 단말(10)로의 발신을 요청한다. 즉, 발신 단말(10) 및 착신 단말(20)의 사용자는 S219 단계에서 원하지 않게 통화가 비정상 종료되면, 상대방과 재통화를 하기 위하여 서로에게 발신을 할 수 있다.
S221 단계에서, 발신 교환기(41) 및 착신 교환기(42)는 발신 단말(10)의 착신 단말(20)로의 발신 요청 및 착신 단말(20)의 발신 단말(10)로의 발신 요청에 따라 상호 통신호를 요청한다. 이와 같은 경우, 발신 교환기(41) 및 착신 교환기(42)는 통신호 연결이 불가한 통화중 상태로 인식할 수 있다.
S222 단계에서, 착신 교환기(42)는 외부에서 호가 유입된 상태에서 착신 단말(20)로부터 발신이 요청되면(또는 착신 단말(20)로부터 발신이 요청된 상태에서 외부에서 호가 유입되면), 호 이력 정보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착신 교환기(42)는 방문 위치 등록기에 저장된 호 이력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S223 단계에서, 착신 교환기(42)는 호 이력 정보의 확인을 통해 유입된 호(발신 교환기(42)로부터 요청된 통신호)와 착신 단말(20)의 발신호가 비정상 종료에 따른 후속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착신 교환기(42)는 유입호의 발착신 번호 및 착신 단말(20)의 발신호의 발착신 번호를 이용하여, 유입호 및 발신호의 두 발신자가 S219 단계에서 비정상 종료된 통화호의 두 통화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S224 단계에서, 착신 교환기(42)는 유입호와 발신호가 비정상 종료에 따른 후속호인 경우, 착신 단말(20)로부터 요청된 발신호를 강제 종료한다. 이때, 착신 교환기(42)는 비정상 종료에 따른 후속호가 유입되어 발신호를 강제 종료시킴을 알리는 안내방송을 착신 단말(20)로 전송할 수 있다.
S225 단계에서, 착신 교환기(42)는 발신 교환기(41)로부터 요청된 통신호를 착신 단말(20)로 착신 연결한다.
S226 단계에서, 발신 단말(10)과 착신 단말(20)간에 재통화 연결이 이루어진다.
만약, 착신 교환기(42)는 호 이력 정보의 확인을 통해 유입호와 착신 단말(20)의 발신호가 비정상 종료에 따른 후속호가 아닌 경우, S227 단계로 진입한다. 예를 들어, 유입호 및 발신호는 상호간에 발생한 동시호일 수 있으나, 비정상 종료에 따른 후속호가 아닐 수 있으며, 유입호는 비정상 종료 이후에 새로운 발신자로부터 발생한 통신호가 될 수도 있다.
S227 단계에서, 착신 교환기(42)는 비정상 종료에 따른 후속호가 아닌 경우, 통화중이라는 응답 메시지를 발신 교환기(41)로 전송한다.
S228 단계에서, 발신 교환기(41)는 발신 교환기(41)로부터 응답 메시지의 수신에 따라 착신 단말(20)이 통화중임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발신 단말(10)로 전송한다.
지금까지, 발신 단말(10)과 착신 단말(20)의 통화 연결이 비정상 종료된 후 상호간에 동시호 발생시, 비정상 종료 전의 발신자에게 우선권이 적용된 호 처리 방법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비정상 종료 전의 착신자에게 우선권이 적용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착신 교환기(42)에서 수행한 기능을 발신 교환기(41)에서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이와 같은 경우, 발신 교환기(41)는 발신 단말(10)의 발신호를 강제 종료하고, 착신 교환기(42)로부터 요청된 통신흐를 발신 단말(10)로 착신 연결시킬 수 있다.
도 3은 호 처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호 처리 장치(50)는 저장부(51), 통신부(52), 판단부(53) 및 통신호 처리부(54)를 포함한다.
저장부(51)는 단말의 호 이력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호 처리 장치(50)가 교환기인 경우, 저장부(51)는 방문 위치 등록기가 될 수 있다. 방문 위치 등록기는 단말의 통화 연결에 대한 발신자 및 착신자 정보(예를 들어, 전화번호 등), 연결 시간, 정상 종료 여부 등을 포함하는 호 이력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또는, 저장부(51)는 방문 위치 등록기로부터 호 이력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할 수도 있다.
통신부(52)는 이동통신시스템의 다른 장치들(예를 들어, 발신 교환기(41), 착신 교환기(42), 가입자 관리 서버(30) 등)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통신부(52)는 외부 유입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호 처리 장치(50)에 연결된 단말로부터 발신 요청을 수신하거나, 호 처리 장치(50)에 연결된 단말로부터 발신 요청을 수신한 상태에서 외부 유입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52)는 발신 교환기(41) 또는 착신 교환기(42)로부터 통신호 요청을 수신함과 동시에 호 처리 장치(50)에 연결된 단말로부터 발신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판단부(53)는 저장부(51)에 저장된 호 이력 정보를 확인하여, 유입호와 발신호가 비정상 종료에 따른 후속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판단부(53)는 외부 유입호의 발착신 번호 및 발신호의 발착신 번호를 이용하여, 유입호 및 발신호의 두 발신자가 비정상 종료된 통화호의 두 통화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통신호 처리부(54)는 외부에서 호가 유입되거나, 단말로부터 발신이 요청되면, 호 처리를 수행한다.
특히, 통신호 처리부(54)는 유입호와 발신호가 비정상 종료에 따른 후속호인 경우, 발신호를 강제 종료하고, 유입호를 착신 처리한다. 이때, 통신호 처리부(54)는 비정상 종료에 따른 후속호가 유입되어 발신호를 강제 종료시킴을 알리는 안내방송을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발신 단말
20: 착신 단말
30: 가입자 관리 서버
41: 발신 교환기
42: 착신 교환기
50: 호 처리 장치
51: 저장부
52; 통신부
53: 판단부
54: 통신호 처리부

Claims (10)

  1. 단말의 호 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외부로부터 유입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단말로부터 발신호를 수신하거나, 단말로부터 발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상기 유입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호 이력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유입호 및 상기 발신호가, 종료된 통화호의 후속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유입호 및 상기 발신호가 상기 후속호인 경우, 상기 발신호를 강제 종료하고, 상기 유입호를 착신 처리하는 통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호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료된 통화호는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간에 통화호 연결후 비정상 종료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유입호의 발착신 번호 및 상기 발신호의 발착신 번호를 이용하여, 유입호 및 발신호의 두 발신자가 상기 종료된 통화호의 두 통화자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후속호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 처리 장치는 상기 종료된 통화호의 착신 단말에 연결된 착신측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 처리 장치는 상기 종료된 통화호의 발신 단말에 연결된 발신측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처리 장치.
  6. 호 처리 장치가 호 처리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유입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단말로부터 발신호를 수신하거나, 단말로부터 발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상기 유입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호 이력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유입호 및 상기 발신호가, 종료된 통화호의 후속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유입호 및 상기 발신호가 상기 후속호인 경우, 상기 발신호를 강제 종료하는 단계; 및
    상기 유입호를 착신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호 처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호 및 상기 발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간에 통화호 연결후 비정상 종료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호 처리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속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유입호의 발착신 번호 및 상기 발신호의 발착신 번호를 이용하여, 유입호 및 발신호의 두 발신자가 상기 종료된 통화호의 두 통화자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후속호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처리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호 처리 장치는 상기 종료된 통화호의 착신 단말에 연결된 착신측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처리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호 처리 장치는 상기 종료된 통화호의 발신 단말에 연결된 발신측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처리 방법.
KR1020120009839A 2012-01-31 2012-01-31 호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1300885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9839A KR20130088541A (ko) 2012-01-31 2012-01-31 호 처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9839A KR20130088541A (ko) 2012-01-31 2012-01-31 호 처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8541A true KR20130088541A (ko) 2013-08-08

Family

ID=49214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9839A KR20130088541A (ko) 2012-01-31 2012-01-31 호 처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8854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6212A (ko) * 2013-09-02 2015-03-1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비정상 호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6212A (ko) * 2013-09-02 2015-03-1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비정상 호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1321B1 (ko) 통신 네트워크에서 특수 형태의 세션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169118B1 (ko) 회선 교환 액세스를 통한 ims 서비스의 제공
US8521170B2 (en) System and method for routing an incoming call to a proper domain in a network environment including IMS
US9172582B2 (en) Cellular network call management
US7974610B2 (en) Persistence of interrupted calls
US7450938B2 (en) Method for improving communication success rate in simultaneous call trial between subscriber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KR101259121B1 (ko) 단말 기반의 vcc 기능제어 방법, 그 단말 및 그네트워크 서버
EP2148521B1 (en) Method for acquiring and transmitting user location information and network device thereof
US20040196796A1 (en) Registrations in a communication system
US7730127B2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video sharing
KR101424595B1 (ko) 단말의 서비스 성능 정보 교환 방법 및 장치
GB2440576A (en) Emergency Call-Back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s Terminal without a Smart Card.
US20080287104A1 (en) Method for Smm Capability Distribution
KR20160103092A (ko) 호출 제어 장치와 사용자 서비스 처리 방법
US8908634B2 (en) Method for controlling VCC functions initiated by network and terminal and network server thereof
CN110324819A (zh) 副卡终端的管理方法和管理服务器
CN101448233A (zh) 一种ip多媒体子系统紧急呼叫的实现方法
GB2439768A (en) Emergency Call-Back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s Terminal without a Smart Card.
KR20130088541A (ko) 호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705581B1 (ko) SIP를 이용한 VoIP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MCID등록 장치 및 방법
CN101626549B (zh) 多域环境中提供遇忙呼叫完成业务的方法和实体
KR100936887B1 (ko) 이동통신망에서의 호 충돌 방지 시스템 및 방법
CN114845276B (zh) 一种网络能力开放的实现方法及平台
KR101511438B1 (ko) VoLTE 착신서비스 제공시스템, 홈 가입자 서버 및 그 VoLTE 착신서비스 제공방법
KR100930822B1 (ko) 캐치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