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6645B1 - 분류 땜납조 - Google Patents

분류 땜납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6645B1
KR101076645B1 KR1020087026892A KR20087026892A KR101076645B1 KR 101076645 B1 KR101076645 B1 KR 101076645B1 KR 1020087026892 A KR1020087026892 A KR 1020087026892A KR 20087026892 A KR20087026892 A KR 20087026892A KR 101076645 B1 KR101076645 B1 KR 101076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screw pump
solder
pump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6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1333A (ko
Inventor
미츠오 젠
히로카즈 이치카와
사토시 오자와
Original Assignee
센주긴조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센주긴조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센주긴조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21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1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6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6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23K3/06Solder feeding devices; Solder melting pans
    • B23K3/0646Solder baths
    • B23K3/0653Solder baths with wave generating means, e.g. nozzles, jets, fount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B23K1/0008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work
    • B23K1/0016Brazing of electronic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B23K1/08Soldering by means of dipping in molten solder
    • B23K1/085Wave sold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36Electric or electronic devices
    • B23K2101/42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05K3/3457Solder materials or compositions; Methods of application thereof
    • H05K3/3468Applying molten sol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olten Solder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Piezo-Electric Or Mechanical Vibrators, Or Delay Or Filter Circuits (AREA)

Abstract

과제
종래의 스크루 펌프를 사용한 분류 땜납조에서는, 분류 노즐로부터 분류되는 용융 땜납이 상하 운동한다는 맥동을 일으키는 일이 있었다. 스크루 펌프에서 맥동이 일어나는 원인은, 스크루 펌프와 케이싱 사이의 간극이 넓기 때문에, 여기에서부터 역류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 간극을 좁게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이것을 좁게 하면 스크루 펌프가 편심되었을 때 케이싱에 접촉되어 버린다.
해결 수단
본 발명의 분류 땜납조는, 케이싱 하부의 유입 구멍의 직경을 스크루 펌프의 직경보다 작게 함으로써 케이싱 사이의 간극이 넓더라도 역류되는 것이 없어진다. 또 케이싱의 유출구에 끝이 넓어지는 가이드벽을 형성함으로써, 더욱 안정적인 유동이 된다.
분류 땜납조.

Description

분류 땜납조{JET SOLDER BATH}
본 발명은, 자동 납땜 장치에 설치하여 프린트 기판의 납땜을 실시하는 분류 땜납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 납땜 장치에는, 플럭서, 프리 히터, 분류 땜납조, 냉각기 등의 처리 장치가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이들 처리 장치 상을 반송 컨베이어가 주행하고 있다. 프린트 기판은, 반송 컨베이어에서 주행되면서 플럭서에서 플럭스 도포, 프리 히터에서 예비 가열, 분류 땜납조에서 땜납의 부착, 냉각기에서 냉각이 이루어져 납땜이 이루어진다.
자동 납땜 장치에서는, 처리 장치 전체가 납땜의 좋고 나쁨에 영향을 주는 것이지만, 특히 분류 땜납조는 그 영향이 크다. 예를 들어, 분류 높이가 상하 운동하는 맥동이 있거나 또 용융 땜납 중에 부유되는 산화물을 말려들거나 하지 않는 것이어야 한다.
분류 땜납조는 용융 땜납을 상방으로 분류시키고, 그 분류된 용융 땜납에 프린트 기판을 접촉시킴으로써 프린트 기판의 땜납을 실시하는 것으로, 그러기 위해서는 분류 땜납조에는 용융 땜납을 송출하는 분류 펌프와, 펌프에서 보내져 온 용융 땜납을 상방으로 분류시키는 분류 노즐이 필요하다.
분류 펌프와 분류 노즐은 덕트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요컨대 덕트의 일단에 분류 펌프가 배치되고 덕트의 타단에 분류 노즐이 설치되어 있다. 분류 펌프는, 덕트의 단부에 형성된 케이싱 내에 설치되어 있고, 분류 펌프로 흡입한 용융 땜납을 덕트를 통과하여 분류 노즐에 보내고, 그 분류 노즐로부터 용융 땜납을 상방으로 분류시키는 것이다.
분류 땜납조에 사용하는 펌프로서는 임펠러 펌프와 스크루 펌프가 있다. 임펠러 펌프란, 축의 주위에 다수의 판상의 날개를 방사형으로 장착한 것이다. 임펠러 펌프의 케이싱은, 덕트의 일단에 형성되어 있고, 그 형상은 대략 달팽이형으로 되어 있다. 임펠러 펌프의 축은 케이싱의 상부에 천공된 축 구멍을 통하여 용융 땜납의 액면상까지 돌출되어 있다. 또 케이싱의 유입 구멍은 케이싱의 하부에 천공되어 있다.
임펠러 펌프는, 다수의 날개가 회전함으로써, 날개 사이에 있는 용융 땜납을 그 원심력으로 날려, 그것이 덕트를 통과하여 분류 노즐에 보내지는 것이다. 이 임펠러 펌프는, 축에 날개를 방사형으로 장착한 것 뿐이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하고 저가이지만, 임펠러 펌프에서는 분류 노즐로부터의 분류가 맥동을 일으키는 일이 있었다. 임펠러 펌프에서 맥동을 일으키는 원인은 용융 땜납의 송출이 불연속이 되기 때문이다. 즉 임펠러 펌프에서는 용융 땜납이 1 조의 날개 사이에서 날려진 후, 다음에 인접한 1 조의 날개 사이에서 날려지기 때문에, 그 사이에는 용융 땜납이 날려지지 않은 부분이 발생하여 용융 땜납이 보내지지 않는 순간이 있다. 이것이 임펠러 펌프에 있어서의 맥동의 원인이 되는 것이다.
한편, 스크루 펌프는 한 장, 또는 복수장의 판형재가 축의 주위에 나선형으로 감긴 것으로서, 나선이 된 판형재에 용융 땜납을 실어 송출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스크루 펌프에서는 불연속 부분이 없기 때문에, 이론적으로는 맥동을 일으키지 않는다고 되어 있다. 이 스크루 펌프를 사용한 분류 땜납조는 특허나 실용 신안에서 예전부터 다수 제안되고 있었다 (특허 문헌 1 ∼ 7).
특허 문헌 1 : 일본 실용신안공보 소48-19425호
특허 문헌 2 :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소48-98520호
특허 문헌 3 :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소48-55025호
특허 문헌 4 :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소50-148327호
특허 문헌 5 :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소51-3632호
특허 문헌 6 :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2-259665호
특허 문헌 7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28446호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스크루 펌프는, 이론적으로는 맥동을 일으키지 않는 것이라고 생각되고 있었지만, 실제로 분류 땜납조에 설치하여 프린트 기판의 납땜을 실시하면, 맥동을 일으켜 프린트 기판 표면으로의 땜납의 덮어씀이나 접촉 불량에 의한 미땜납 등의 문제를 발생시키는 일이 있었다. 본 발명은 스크루 펌프의 특징을 충분히 발휘하여, 결코 맥동을 일으키지 않는 분류 땜납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스크루 펌프를 사용한 분류 땜납조에서 맥동을 일으키는 원인에 대해 예의 검토를 더한 결과, 스크루 펌프와 케이싱 사이의 간극이 문제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요컨대 종래의 그 분류 땜납조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형의 케이싱 (K) 의 내측이 그대로 유입 구멍 (R) 이 되고, 유입 구멍 (R) 의 내경 (R2) 이 스크루 펌프 (P) 의 직경 (P1) 보다 크기 때문에, 스크루 펌프 (P) 와, 케이싱 (K) 사이에 넓은 간극 (G) 이 형성된다. 그 때문에, 종래의 그 분류 땜납조에서는, 케이싱 하부의 유입 구멍 (R) 으로부터 흡입되는 용융 땜납 (화살표 a) 은, 덕트 (D) 를 통과하여 분류 노즐 방향 (화살표 b) 으로 흐르려고 하지만, 덕트 내에는 이미 용융 땜납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그 저항으로 되밀어내진다. 이 되밀어내지는 용융 땜납이 스크루 펌프 (P) 와 케이싱 (K) 의 간극 (G) 을 통과하여 유입 구멍 (R) 로부터 화살표 c 와 같이 역류하여 외방으로 유출되어 간다. 이 외방으로 유출되어 가는 용융 땜납이 스크루 펌프 (P) 에 의해 흡입되는 용융 땜납 (화살표 a) 과 간섭되어, 흡입되는 용융 땜납을 흐트러뜨린다. 흐트러진 상태에서 흡입된 용융 땜납은 스크루 펌프 (P) 에서 밀려 나왔을 때에도, 이 흐트러짐이 계속되고 있어, 분류 노즐로부터 분류될 때에 맥동이 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의 실험에 의하면 그 간극이 0.5㎜ 이하이면, 상방의 용융 땜납은 간극을 통과하여 하방으로 역류되는 일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 그래서 그 간극을 없애도록 스크루 펌프의 직경과 케이싱의 직경을 정확하게 가공하는 것은 가능하다. 그러나 분류 땜납조에서는, 땜납조 내에 설치된 것이 반드시 변형되어 버리기 때문에, 설령 간극을 0.5㎜ 로 마무리하더라도, 케이싱 내에 설치된 스크루 펌프는 편심되어 일방으로 치우쳐져, 스크루 펌프가 케이싱에 접촉되어 버리는 것이다.
요컨대 분류 땜납조에서는, 사용시에는 분류 땜납조 내의 히터에 통전되어 땜납을 녹인 상태로 되어 있지만, 미사용시에는 히터로의 통전을 멈추기 때문에 용융되어 있던 땜납은 식어서 고체화된다. 그리고 또 분류 땜납조의 사용시에는 히터에 통전되어 땜납을 가열하여 용융시킨다. 이와 같이 분류 땜납조에서는, 땜납의 용융ㆍ고체화가 반복되지만, 땜납은 히터에 의해 가열되면 열팽창되고, 또 히터에 대한 통전이 멈춰져서 식으면 열수축하기 때문에, 분류 땜납조 내의 것은, 땜납의 열팽창ㆍ수축을 받아 변형된다. 따라서, 케이싱이나 케이싱 내에 설치된 스크루 펌프도 땜납의 열팽창ㆍ수축의 영향을 받아 변형되고, 그 결과, 스크루 펌프와 케이싱 간의 간극을 정밀하게 마무리한 경우, 스크루 펌프가 편심되어 케이싱에 스치거나, 강하게 눌리거나 하여 원활한 회전을 할 수 없게 된다. 그 결과, 정밀 마무리한 스크루 펌프에서는 맥동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스크루 펌프나 케이싱을 손상시켜 버리게 된다.
상기 서술한 종래의 스크루 펌프를 사용한 분류 땜납조 (특허 문헌 1 ∼ 7) 는 케이싱의 하부의 용융 땜납의 유입 구멍이 케이싱의 내경과 동일하기 때문에, 도 5 의 화살표 c 와 같이 상방에서 역류되어 온 용융 땜납이 그대로 하방으로 유출해 가고, 그것이 스크루 펌프 (P) 로 흡입되는 용융 땜납 (화살표 a) 을 흐트러뜨리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스크루 펌프와 케이싱 사이의 넓은 분류 땜납조에서도, 역류를 방지할 수 있으면 맥동을 일으키지 않게 되는 것에 주목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본 발명은, 땜납조 내에 설치된 덕트의 일단에는 원통형의 케이싱이 형성되어 있고, 덕트의 타단에는 분류 노즐이 형성되어 있어 그 케이싱 내에 스크루 펌프가 배치된 분류 땜납조에 있어서, 케이싱의 하부에는 스크루 펌프의 직경보다 소직경인 유입 구멍이 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땜납조이다.
또 다른 발명은, 땜납조 내에 설치된 덕트의 일단에는 원통형의 케이싱이 형성되어 있고, 덕트의 타단에는 분류 노즐이 형성되어 있어 그 케이싱 내에 스크루 펌프가 배치된 분류 땜납조에 있어서, 케이싱의 하부에는 스크루 펌프의 직경보다 소직경인 유입 구멍이 천공되어 있고, 게다가 케이싱의 상부는 일부가 덕트 방향을 향한 원호형의 유출구가 되어 있음과 함께, 그 유출구의 양측에는 가이드벽이 끝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땜납조이다.
본 발명의 분류 땜납조는, 스크루 펌프와 케이싱 사이가 넓어도, 상방에서 하방으로 역류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맥류를 일으키지 않는 것이다. 또한 스크루 펌프를 사용한 땜납조에서 안정적인 유동으로 하기 위해서, 케이싱의 유출구에 끝이 넓어지는 가이드벽을 설치하고 있다. 이 끝이 넓어지는 가이드벽이란, 케이싱의 상부를 유동 방향으로 개구된 원호로 하고, 그 원호의 양측에 가이드벽을 끝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장착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력이 가해진 액체가 그대로 좁은 곳을 유동하면 유속이 빨라져 난류가 되지만, 압력이 가해진 액체가 넓은 곳으로 나오면 흐름이 느려 흐트러지지 않는다. 그 결과, 케이싱의 유출구에 끝이 넓어지는 가이드벽을 설치하면, 흐름이 안정적으로 분류 노즐로부터 분류하는 용융 땜납은 맥동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분류 땜납조는, 스크루 펌프와 케이싱 사이의 간극을 정밀하게 마무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저가로 제조할 수 있는 것이며, 또 스크루 펌프나 케이싱이 땜납의 열팽창ㆍ수축으로 다소 변형되어도 스크루 펌프가 케이싱에 스치거나 눌리거나 하는 일이 없고, 스크루 펌프는 안정적인 회전을 실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분류 땜납조는, 케이싱의 하부에 천공한 유입 구멍의 직경을 스크루 펌프의 직경보다 작게 했기 때문에, 스크루 펌프에 의해 흡입한 용융 땜납이 스크루 펌프와 케이싱간을 역류했을 때에, 유입 구멍의 내측 플랜지에 방해되어 유입 구멍으로부터 유출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분류 땜납조는, 스크루 펌프에 의해 흡입되는 용융 땜납이 흐트러지지 않기 때문에, 스크루 펌프를 나와 덕트를 유동할 때에도 흐트러지지 않고, 또한 분류 노즐로부터 분류될 때 맥동이 되지 않는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분류 땜납조는, 프린트 기판의 납땜면에 대해 항상 안정적인 상태에서 용융 땜납을 접촉시킬 수 있으므로, 신뢰성이 있는 납땜부가 얻어지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 분류 땜납조의 정면 단면도.
도 2 는 일부를 파단한 주요부 확대 사시도.
도 3 은 도 1 의 X-X 선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 분류 땜납조의 스크루 펌프에 있어서의 용융 땜납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
도 5 는 종래의 분류 땜납조의 스크루 펌프에 있어서의 용융 땜납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분류 땜납조 본체 2 덕트
3 케이싱 4 분류 노즐
5 스크루 펌프 6 유입 구멍
7 내측 플랜지 8 유출구
9 가이드벽 13 축 유지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분류 땜납조를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 분류 땜납조의 정면 단면도, 도 2 는 일부를 파단한 주요부 확대 사시도, 도 3 은 도 1 의 X-X 선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 분류 땜납조의 스크루 펌프에 있어서의 용융 땜납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분류 땜납조는, 본체 (1) 가 뚜껑이 없는 상자형으로 되어 있고, 본체 내에는 덕트 (2) 가 설치되어 있다. 덕트 (2) 의 일단에는 케이싱 (3) 이 배치되고 타단 상부에는 분류 노즐 (4) 이 배치되어 있다. 케이싱 (3) 내에는, 스크루 펌프 (5) 가 적당한 간격 (G), 예를 들어 땜납의 열팽창ㆍ수축으로 스크루 펌프가 다소 편심을 일으켜도 스크루 펌프가 케이싱에 접하지 않는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케이싱 (3) 의 하부에는, 유입 구멍 (6) 이 천공되어 있다. 유입 구멍 (6) 은 케이싱 (3) 하부의 내측 플랜지 (7) 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입 구멍 (6) 의 직경 (R1) 은 스크루 펌프의 직경 (P1) 보다 작게 되어 있다.
케이싱 (3) 은, 상부를 일부 절결한 원호형의 유출구 (8) 로 되어 있다. 그리고 유출구 (8) 의 양측에는 가이드벽 (9, 9) 이 끝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벽의 선단은 덕트 (2) 의 양벽 (10, 10) 에 고정되어 있다. 또 유출구 (8) 와 높이가 동일한 부분은 가이드판 (11) 으로 되어 있고, 그 가이드판은 하방으로 경사져 덕트 (2) 의 저면 (12) 에 고정되어 있다.
케이싱 (3) 의 상부가 되는 덕트 (2) 에는, 케이싱 (3) 의 내경과 거의 동일 직경의 펌프 삽입 구멍 (13) 이 천공되어 있고, 그 펌프 삽입 구멍의 상부에는 축유지체 (14) 가 설치되어 있다. 축유지체 (14) 에는 하단에 스크루 펌프 (5) 를 고정시키고, 상단에 풀리 (15) 를 고정시킨 펌프축 (16) 이 자유롭게 회전 운동할 수 있게 장착되어 있다.
축유지체 (14) 는, 하부판 (17), 상부판 (18), 4 개의 파이프 (19), 4 개의 너트, (20), 2 개의 베어링 (21, 21) 및 인레이판 (22) 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부판 (17) 과 상부판 (18) 은 4 개의 파이프 (19) 로 연결되어 있다. 파이프 (19) 는 축유지체 (14) 를 덕트 (2) 상에 두었을 때에,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융 땜납 (S) 의 액면보다 충분히 상방으로 돌출된 길이로 되어 있다.
상부판 (18) 의 상부 일측에는 베어링판 (23) 이 수직 형성되어 고정되어 있고, 그 베어링판에는 2 개의 베어링 (21, 21) 이 구멍 방향을 세로 방향을 향하여 동심 (同芯)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하부판 (17) 과 상부판 (18) 의 거의 중앙에는 상기 서술한 베어링 (21, 21) 과 동심 위치에 펌프축 (16) 보다 약간 대직경으로 된 축삽입 구멍 (24, 25) 이 천공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판 (17) 의 이면에는 위치 결정부인 원반형의 인레이판 (22) 이 고정되어 있다. 인레이판 (22) 과 끼워 맞추는 덕트 (2) 의 수용부로서는 펌프 삽입 구멍 (13) 을 이용한다. 인레이판 (22) 은 펌프 삽입 구멍 (13) 보다 극히 소직경이며, 인레이판 (22) 을 펌프 삽입 구멍 (13) 에 끼워 맞췄을 때에, 거의 간극이 없을 정도로 끼워 맞출 수 있게 되어 있다. 그 인레이판의 중심에는 하부판 (17) 의 축삽입 구멍 (24) 과 거의 동일 직경의 축삽입 구멍 (26) 이 천공되어 있고, 하부판 (17) 의 축삽입 구멍 (24) 과 인레이판 (22) 의 축삽입 구멍 (26) 은 동심으로 되어 있다.
펌프축 (16) 은, 인레이판 (22), 하부판 (17), 상부판 (18) 의 각각의 축삽입 구멍 (26, 24, 25) 에 삽입되어 2 개의 베어링 (21, 21) 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 운동할 수 있게 유지되어 있다. 펌프축 (16) 의 상단에 장착된 풀리 (15) 는 본체 (1) 의 외부에 설치된 모터 (27) 의 풀리 (28) 와 벨트 (29) 로 연동되어 있다.
덕트 (2) 의 상부에는, 상기 서술한 유지체 (14) 의 4 개의 파이프 (19) 와 동일 위치에 4 개의 지지 기둥 (30) 이 수직 형성되어 있다. 지지 기둥 (30) 의 상단에는, 상기 서술한 너트 (20) 가 나사 결합할 수 있는 수나사 (31) 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 기둥 (30) 는, 직경이 파이프 (19) 의 구멍보다 약간 소직경으로, 길이가 파이프 (19) 보다 길게 되어 있어, 지지 기둥 (30) 를 파이프 (19) 중에 삽입 통과시켰을 때에 수나사 (31) 가 상부판 (18) 보다 상방으로 돌출되어 너트 (20) 을 나사 결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4 개의 파이프 (19) 사이에는, 직사각형의 산화 방지 플로트 (32) 가 배치되어 있다. 산화 방지 플로트란, 세로 방향의 길이가 서로 대향하는 2 개의 파이프 (19, 19) 사이보다 약간 작고, 가로 방향의 길이가 서로 대향하는 2 개의 파이프 (19, 19) 사이 이상의 길이로 되어 있고, 거의 중앙에 펌프축 (16) 보다 약간 대직경의 구멍 (33) 이 천공된 것이다. 산화 방지 플로트 (32) 는 주위에 공동 (空洞) 인 부표가 형성되어 있고, 축유지체 (14) 를 덕트에 설치했을 때에, 용융 땜납의 액면에 뜬 상태가 된다. 그리고 펌프축 (16) 이 회전했을 때에, 그 주위에 산화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구조를 갖는 분류 땜납조에서의 분류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모터 (27) 를 구동시키면 모터 (27) 의 풀리 (28) 와 벨트 (29) 로 연동되어 있는 풀리 (15) 가 회전 운동하여 펌프축 (16) 을 회전시킨다. 펌프축 (16) 의 회전으로 스크루 펌프 (5) 가 회전하면, 덕트 (2) 의 하부에 있는 용융 땜납 (S) 은 유입 구멍 (6) 으로부터 케이싱 (3) 내로 유입된다. 케이싱 (3) 내로 유입된 용융 땜납은, 덕트 (2) 에 장착된 분류 노즐 4 방향으로 유동되지만, 이 때 덕트 (2) 내에는 용융 땜납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되밀어내지려고 하여 케이싱 (3) 과 스크루 펌프 (5) 의 간극 (G) 내로 유입된다. 그러나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싱 (3) 의 하부에는 스크루 펌프 (5) 의 직경 (P1) 보다 소직경 (R1) 인 유입 구멍 (6) 이 천공되어 있기 때문에, 간극 (G) 을 통과한 용융 땜납은 하방으로 빠져 나갈 수 없다. 그 결과, 덕트 하부에 있는 용융 땜납은 흐트려지지 않고 케이싱 (3) 내로 유입될 수 있고, 그 영향은 케이싱 (3) 의 유출구 (9) 로부터 나오는 용융 땜납에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흐트러짐이 없는 용융 땜납은 덕트를 통과하여 분류 노즐로부터 분류될 때에 맥동이 되지 않고 항상 안정적인 높이로 분류가 된다.
실시예 1 로서 스크루 펌프의 직경이 86㎜, 케이싱의 내경이 94㎜, 유입구의 직경이 60㎜ 이고, 유출구에는 끝이 넓어지지 않고 덕트의 벽면에 대해 직각이 되는 가이드벽을 설치한 분류 땜납조에서 Sn-3Ag-0.75Cu (비중 : 7.4) 의 납 프리 땜납을 분류시키고, 2 차 분류 노즐의 액면의 상하 운동을 레이저 측정기로 정밀하게 측정한 바, 액면의 상하 운동은 0.2㎜ 였다. 또 실시예 2 로서 가이드벽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고, 가이드벽을 끝이 넓어지게 한 분류 땜납조에서 2 차 분류 노즐의 액면을 레이저 측정기로 측정한 바, 액면의 상하 운동은 0.1㎜ 이내였 다. 한편, 비교예로서 실시예와 동일한 스크루 펌프, 케이싱, 납 프리 땜납을 사용하고, 유입 구멍이 케이싱의 내경과 동일한 94㎜ 의 분류 땜납조에서 2 차 분류 노즐의 액면의 상하 운동을 레이저 측정기로 측정한 바, 비교예에서는 액면의 상하 운동이 0.7㎜ 로, 분명한 맥동이 되었다.
본 발명의 분류 땜납조는, 조용한 파 (波) 를 분류시키는 2 차 분류 노즐 뿐만 아니라, 거친 파를 분류시키는 1 차 분류 노즐에도 채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특히 비중이 큰 Pb-Sn 땜납에서는 맥동이 일어나지 않은 분류 땜납조에서도, 비중이 작은 Sn 주성분의 납 프리 땜납에서는 맥동이 발생하기 쉬운 것이지만, 본 발명의 분류 땜납조에서는 그 납 프리 땜납을 사용해도 맥동을 일으키지 않는다.

Claims (2)

  1. 땜납조 내에 설치된 덕트의 일단에는 원통형의 케이싱이 형성되어 있고, 덕트의 타단에는 분류 노즐이 형성되어 있어 그 케이싱 내에 스크루 펌프가 배치된 분류 땜납조에 있어서, 케이싱의 하부에는 스크루 펌프의 직경보다 소직경인 유입 구멍이 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땜납조.
  2. 땜납조 내에 설치된 덕트의 일단에는 원통형의 케이싱이 형성되어 있고, 덕트의 타단에는 분류 노즐이 형성되어 있어 그 케이싱 내에 스크루 펌프가 배치된 분류 땜납조에 있어서, 케이싱의 하부에는 스크루 펌프의 직경보다 소직경인 유입 구멍이 천공되어 있고, 게다가 케이싱의 상부는 일부가 덕트 방향을 향한 원호형의 유출구로 되어 있음과 함께, 그 유출구의 양측에는 가이드벽이 끝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땜납조.
KR1020087026892A 2006-04-05 2007-04-02 분류 땜납조 KR1010766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03736 2006-04-05
JPJP-P-2006-103736 2006-04-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1333A KR20090021333A (ko) 2009-03-03
KR101076645B1 true KR101076645B1 (ko) 2011-10-27

Family

ID=38581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6892A KR101076645B1 (ko) 2006-04-05 2007-04-02 분류 땜납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959055B2 (ko)
EP (1) EP2022590B1 (ko)
JP (1) JP4893738B2 (ko)
KR (1) KR101076645B1 (ko)
CN (1) CN101454108B (ko)
AT (1) ATE524266T1 (ko)
PL (1) PL2022590T3 (ko)
WO (1) WO20071168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2012570T3 (pl) 2006-04-26 2012-03-30 Senju Metal Industry Co Zbiornik do lutowania w strumieniu
GB2483265B (en) * 2010-09-01 2018-03-28 Pillarhouse Int Ltd Soldering nozzle
JP5601342B2 (ja) * 2012-04-27 2014-10-08 千住金属工業株式会社 偏流板及び噴流装置
EP2854923B1 (en) * 2012-06-05 2019-08-21 Muffin Incorporated Catheter systems and methods useful for cell therapy
CN104540465A (zh) * 2012-08-24 2015-04-22 波士顿科学西美德公司 带有含单独微孔隙区域的球囊的血管内导管
US20150272666A1 (en) 2012-11-02 2015-10-01 Lixiao Wang Chemical Ablation Formulations and Methods of Treatments for Various Diseases
US20190366460A1 (en) * 2018-06-01 2019-12-05 Progress Y&Y Corp. Soldering apparatus and solder nozzle module thereof
CN109794681B (zh) * 2019-01-25 2020-11-10 上海中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长焊缝高精度激光焊接设备
CN109794683B (zh) * 2019-01-25 2020-12-22 山东钧策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长焊缝高精度激光焊接工艺
JP6590232B1 (ja) * 2019-04-22 2019-10-16 千住金属工業株式会社 はんだ付け装置及びはんだ付け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19425Y1 (ko) 1969-12-16 1973-06-02
JPS4855025U (ko) 1971-10-15 1973-07-14
JPS5122859B2 (ko) 1971-11-11 1976-07-13
JPS4898520U (ko) 1972-02-25 1973-11-21
JPS521771B2 (ko) 1972-03-25 1977-01-18
DE2515437A1 (de) 1974-04-16 1975-11-20 Ici Ltd Verfahren zur kristallisation von bis(4-chlorphenyl)sulfon
JPS5334345Y2 (ko) 1974-05-28 1978-08-23
JPS513632U (ko) 1974-06-26 1976-01-12
JPS513632A (ja) 1974-06-28 1976-01-13 Kenkoo Kk Ingayakitsukeho
US4011980A (en) * 1976-03-25 1977-03-15 Western Electric Company, Inc. Flow-over mass soldering
JPS5623371A (en) * 1979-07-31 1981-03-05 Koki:Kk Soldering device
EP0212911B1 (en) * 1985-08-09 1991-07-31 Dolphin Machinery Limited Soldering apparatus
JPS62259665A (ja) 1986-01-20 1987-11-12 Asahi Chem Res Lab Ltd 溶融半田の噴流方法及び装置
JP2505172B2 (ja) * 1986-09-30 1996-06-05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Icカ−ド
JPS6387293U (ko) * 1986-11-28 1988-06-07
JPH01114165A (ja) * 1987-10-27 1989-05-02 Mitsubishi Electric Corp 垂直偏向回路
JPH0641722Y2 (ja) * 1988-01-29 1994-11-02 千住金属工業株式会社 噴流はんだ槽
JPH0619968A (ja) 1991-09-13 1994-01-28 Oki Electric Ind Co Ltd 専門用語自動抽出装置
JPH0619968U (ja) * 1992-08-20 1994-03-15 株式会社コウキテクノ 噴流式半田槽
JPH06246433A (ja) 1993-03-03 1994-09-06 Murata Mfg Co Ltd 噴流式半田付装置
JPH1126926A (ja) * 1997-06-30 1999-01-29 Ando Electric Co Ltd 噴流式はんだ付け装置及び方法
JP2004009127A (ja) * 2002-06-11 2004-01-15 Senju Metal Ind Co Ltd 噴流はんだ槽
JP4136887B2 (ja) 2003-06-17 2008-08-20 千住システム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半田槽用ポンプ及びそれを使用する半田槽
MXPA06003903A (es) * 2003-10-10 2006-12-15 Senju Metal Industry Co Tanque de soldadura por onda.
WO2005120141A1 (ja) * 2004-06-03 2005-12-15 Andes Electric Co., Ltd. 半田噴流装置,半田噴流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子部品の半田付け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01047A1 (en) 2010-01-07
EP2022590A4 (en) 2009-06-10
CN101454108A (zh) 2009-06-10
JPWO2007116853A1 (ja) 2009-08-20
WO2007116853A1 (ja) 2007-10-18
EP2022590A1 (en) 2009-02-11
JP4893738B2 (ja) 2012-03-07
KR20090021333A (ko) 2009-03-03
US7959055B2 (en) 2011-06-14
EP2022590B1 (en) 2011-09-14
PL2022590T3 (pl) 2011-12-30
CN101454108B (zh) 2012-09-05
ATE524266T1 (de) 201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6645B1 (ko) 분류 땜납조
CN101454109B (zh) 焊接设备
JP4720905B2 (ja) 噴流はんだ槽
EP1850646A1 (en) Jet solder bath
WO2006100899A1 (ja) 噴流はんだ槽
JP4962197B2 (ja) 噴流はんだ槽
JP6422102B2 (ja) はんだ付け装置およびはんだ付け吹き口体の清掃方法
JP2021053703A (ja) 局所はんだ付けノズル及び局所はんだ付け装置
JP2011146638A (ja) フローはんだ付けノズル、はんだ付け装置およびはんだ付け方法
JP5165270B2 (ja) はんだ付け装置用整流ノズル、はんだ付け装置
JP5458854B2 (ja) 噴流はんだ槽
JP2009039748A (ja) 噴流はんだ槽
JP4644079B2 (ja) 噴流はんだ槽
JP2006114555A (ja) 噴流はんだ槽
CN110303215A (zh) 钎焊装置
JP2007095919A (ja) Alip型電子部品実装用噴流波形成装置
JPH10154569A (ja) 溶融半田噴出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自動半田付け装置
JP2010120063A (ja) はんだ付け噴流波形成装置
JP5614518B1 (ja) 偏流板及び噴流装置
JP2021030256A (ja) はんだ付け装置
JP2019188417A (ja) 噴流式はんだ付け装置
KR100442093B1 (ko) 무연 솔더를 이용한 플로우 솔더링 시스템
JP2007222900A (ja) はんだ付け装置
KR20000065635A (ko) 플럭스 분출장치
JP2000294915A (ja) 噴流はんだ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