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7803B1 - 차량용 스페어 타이어의 캐리어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페어 타이어의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7803B1
KR101047803B1 KR1020040082262A KR20040082262A KR101047803B1 KR 101047803 B1 KR101047803 B1 KR 101047803B1 KR 1020040082262 A KR1020040082262 A KR 1020040082262A KR 20040082262 A KR20040082262 A KR 20040082262A KR 101047803 B1 KR101047803 B1 KR 101047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re tire
wire
carrier
carrier box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2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3258A (ko
Inventor
신상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2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7803B1/ko
Publication of KR20060033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3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7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7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3/0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B62D43/02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xternal to the vehicle body
    • B62D43/04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xternal to the vehicle body attached beneath the vehicl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페어 타이어의 캐리어는 차체에 설치되고,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배치되며, 저면부에 돌기부가 형성된 캐리어박스와, 상기 와이어가 관통하게 상기 와이어의 둘레면에 배치되고, 상측에 상기 돌기부가 안착되는 안착홈부가 형성되며, 하측은 스페어타이어에 끼움되어서, 상기 와이어가 상기 캐리어박스를 향해 당겨지면 상기 돌기부가 상기 안착홈부에 안착되면서 상기 캐리어박스에 밀착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를 관통한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고, 상기 스페어타이어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페어타이어를 지지하는 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스페어 타이어의 오장착으로 인한 상기 스페어 타이어의 유동이 방지되기 때문에, 상기 스페어 타이어가 안정적으로 장착되어 상기 스페어 타이어의 유동에 따른 소음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와이어, 익스텐션 샤프트, 가이드 수단

Description

차량용 스페어 타이어의 캐리어{Carrier of spare tire for automobil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스페어 타이어의 캐리어가 도시된 구성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경사진 노면에서의 차량용 스페어 타이어의 캐리어가 도시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페어 타이어의 캐리어가 도시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진 노면에서의 차량용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의 작동상태가 도시된 작동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60: 캐리어박스 60a: 돌기부
61: 익스텐션 샤프트 62: 스페어 타이어
63: 림부 63a: 끼움홀
64: 와이어 66: 홀더
67: 후크부 70: 가이드 수단
72: 가이드 부재 74: 안착홈부
본 발명은 차량용 스페어 타이어의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페어 타이어와 캐리어 사이에 위치조정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스페어 타이어의 유동을 방지한 차량용 스패어 타이어의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주행중에 타이어가 파손되었을 때 타이어를 교체할 수 있도록 비상용으로 스페어 타이어가 구비되는 바, 차량의 종류에 따라 트렁크의 안쪽 또는 차량의 뒤편 및 하측에 각각 설치된다. 스페어 타이어는 차체 중량을 줄여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일반 타이어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된 것이 사용된다.
상기 스페어 타이어는 트렁크 또는 차량의 하부에 장착되고, 최근에는 차량의 내부 공간활용을 위하여 차량의 하부에 와이어를 이용한 스페어 타이어 장착이 많아지는 추세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스페어 타이어의 캐리어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경사진 노면에서의 차량용 스페어 타이어의 캐리어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스페어 타이어의 캐리어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 프레임(미도시)의 하측에 설치되어 와이어(12)가 감겨지는 캐리어 박스(10)와, 상기 캐리어박스(10)에 와이어(12)로 고정되는 스페어 타이어(20)와, 상기 차체 프레임(미도시)에 회동가능토록 장착되어 상기 와이어(12)가 감겨지거나 풀어지게 하는 익스텐션 샤프트(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캐리어박스(10)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스페어 타이어(20)와 연결되도록 상기 와이어(12)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상기 익스텐션 샤프트(16)의 단부에는 작업자가 공구를 삽입하여 상기 익스텐션 샤프트(16)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공구가 삽입되는 공구홈부(18)가 형성된다.
상기 스페어 타이어(20)에는 내측에 림부(21)가 형성되고, 상기 림부(21) 저면에는 상기 림부(21)에 상하 걸림됨과 아울러 상기 와이어(12)에 연결되어 상기 스페어 타이어(2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22)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스페어 타이어의 캐리어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익스텐션 샤프트(16)의 단부에 형성된 상기 공구홈부(18)에 공구(미도시)를 삽입하여 상기 스페어 타이어(20)가 탈거되는 방향으로 상기 익스텐션 샤프트(16)를 회전시킨다.
상기 익스텐션 샤프트(16)를 회전시키는 회전력은 상기 와이어(12)를 풀게 된다.
이후, 상기 와이어(12)가 풀어지면서 상기 스페어 타이어(20)가 하강하게 되어 작업자가 상기 와이어(12)로부터 상기 스페어 타이어(20)를 탈거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스페어 타이어의 캐리어는 경사진 노면에서 타이어를 교체할 경우, 상기 와이어(12)가 하중에 의해 상기 캐리어 박스(10)에 기울어진 상태로 상기 스페어 타이어(20)를 장착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12)는 차량이 주행하게 될 때 쳐짐이 발생되고, 상기 스페어 타이어(20)의 유동이 발생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스페어 타이어의 캐리어는 경사진 노면에서의 타이어 교체 시, 와이어가 기울어져 장착되기 때문에, 와이어에 장착된 타이어의 유동으로 인한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스페어 타이어의 캐리어는 상기 타이어의 유동으로 인해 제품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타이어를 지지하는 와이어 상에 가이드를 장착하여, 경사노면에서 타이어를 교체하더라도 타이어 유동이 방지되어 소음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제품신뢰성이 향상된 차량용 스페어 타이어의 캐리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페어 타이어의 캐리어는 차체에 설치되고,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배치되며, 저면부에 돌기부가 형성된 캐리어박스와, 상기 와이어가 관통하게 상기 와이어의 둘레면에 배치되고, 상측에 상기 돌기부가 안착되는 안착홈부가 형성되며, 하측은 스페어타이어에 끼움되어서, 상기 와이어가 상기 캐리어박스를 향해 당겨지면 상기 돌기부가 상기 안착홈부에 안착되면서 상기 캐리어박스에 밀착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를 관통한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고, 상기 스페어타이어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페어타이어를 지지하는 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페어 타이어의 캐리어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진 노면에서의 차량용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의 작동상태가 도시된 작동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페어 타이어의 캐리어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미도시)에 설치되고 스페어타이어(62)와 와이어(64)로 연결되는 캐리어박스(60)와; 상기 와이어(64)와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스페어타이어(62)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스페어타이어(62)를 지지하는 홀더(66)와; 상기 캐리어박스(60)와 홀더(66) 사이에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와이어(64)가 관통되며, 상기 와이어(64)가 상기 캐리어박스(60)에 수직하게 위치되도록 상기 와이어(64)를 안내하는 가이드 수단(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캐리어 박스(60)의 저면부에는 상기 가이드 부재(72)를 향해 돌출된 돌기부(60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캐리어 박스(60)에는 상기 와이어(64)를 감거나 풀어줄 수 있도록 상기 캐리어 박스(60)와 연결된 익스텐션 샤프트(6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익스텐션 샤프트(61)는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와이어(64)를 감거나 풀게 된다.
상기 스페어 타이어(62)에는 내측에 림부(63)가 형성되고, 상기 림부(63)에는 상기 가이드 수단(70)이 끼움되는 끼움홀(63a)이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64)는 일단이 상기 캐리어박스(60)에 의해 감김 또는 풀림되도록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홀더(66)에 연결된다.
상기 홀더(66)는 상기 와이어(64)의 감김 또는 풀림에 의해 승강될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64)에 연결되는 후크부(67)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홀더(66)는 상기 와이어(64)가 승강됨에 따라 상기 스페어 타이어(62)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스페어 타이어(62)의 림부(63) 저면에 상하 걸림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가이드 수단(70)은 상기 와이어(64)가 상기 캐리어박스(60)를 향해 당겨질 때 상측이 상기 캐리어 박스(60)에 밀착되고, 하측은 상기 타이어의 내부에 삽입되어 걸림되도록 형성된 가이드 부재(72)이다.
상기 가이드 부재(72)는 원뿔 형상의 부재로써, 상면에 상기 캐리어 박스(60)의 상기 돌기부(60a)가 안착되는 안착홈부(7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부재(72)는 하측 둘레면이 상기 스페어 타이어(62)의 끼움홀(63a) 내부에 용이하게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페어 타이어의 캐리어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페어 타이어의 캐리어는 상기 스페어 타이어(62)를 상기 캐리어 박스(60) 하측에 장착하고자 할 경우, 탈착 공구를 통해 상기 익스텐션 샤프트(61)를 회전시켜 상기 와이어(64)를 감게 된다.
상기 와이어(64)가 감김에 따라, 상기 홀더(66)는 상승되고, 상기 홀더(66)에 상하 걸림된 상기 스페어 타이어(62)도 상기 홀더(66)와 일체로 상승하게 된다.
이때, 경사진 노면에서 상기의 작업을 실시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와이어(64)가 상기 스페어 타이어(62)에 의해 쳐지게 되어 중력방향으로 쏠리게 된다.
상기 스페어 타이어(62)는 상기 와이어(64)에 의해 상기 캐리어 박스(60)까지 상승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72)는 상기 캐리어 박스(60)의 저면 일측에 접촉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부재(72)는 하측 둘레면이 상기 스페어 타이어(62)의 끼움홀(63a)에 끼움되고, 상기 와이어(64)가 감길수록 상기 캐리어 박스(60)의 저면측으로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캐리어 박스(60)의 돌기부(60a)가 상기 가이드 부재(72)의 안착홈부(74)에 끼움됨에 따라, 상기 스페어 타이어(62)는 상기 캐리어 박스(6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부재(72)는 상기 와이어(64)가 중력방향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게 됨과 아울러, 상기 캐리어 박스(60)에 장착된 상기 스페어 타이어(62)의 측방향 유동방지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페어 타이어의 캐리어는 차체에 설치되고,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배치되며, 저면부에 돌기부가 형성된 캐리어박스와, 상기 와이어가 관통하게 상기 와이어의 둘레면에 배치되고, 상측에 상기 돌기부가 안착되는 안착홈부가 형성되며, 하측은 스페어타이어에 끼움되어서, 상기 와이어가 상기 캐리어박스를 향해 당겨지면 상기 돌기부가 상기 안착홈부에 안착되면서 상기 캐리어박스에 밀착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를 관통한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고, 상기 스페어타이어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페어타이어를 지지하는 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스페어 타이어의 오장착으로 인한 상기 스페어 타이어의 유동이 방지되기 때문에, 상기 스페어 타이어가 안정적으로 장착되어 상기 스페어 타이어의 유동에 따른 소음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페어 타이어의 캐리어는 상기 스페어 타이어가 안정적으로 장착되기 때문에, 제품 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차체에 설치되고,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배치되며, 저면부에 돌기부가 형성된 캐리어박스;
    상기 와이어가 관통하게 상기 와이어의 둘레면에 배치되고, 상측에 상기 돌기부가 안착되는 안착홈부가 형성되며, 하측은 스페어타이어에 끼움되어서, 상기 와이어가 상기 캐리어박스를 향해 당겨지면 상기 돌기부가 상기 안착홈부에 안착되면서 상기 캐리어박스에 밀착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를 관통한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고, 상기 스페어타이어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페어타이어를 지지하는 홀더;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페어 타이어의 캐리어.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의 둘레면은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페어 타이어의 캐리어.
KR1020040082262A 2004-10-14 2004-10-14 차량용 스페어 타이어의 캐리어 KR101047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2262A KR101047803B1 (ko) 2004-10-14 2004-10-14 차량용 스페어 타이어의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2262A KR101047803B1 (ko) 2004-10-14 2004-10-14 차량용 스페어 타이어의 캐리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3258A KR20060033258A (ko) 2006-04-19
KR101047803B1 true KR101047803B1 (ko) 2011-07-07

Family

ID=37142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2262A KR101047803B1 (ko) 2004-10-14 2004-10-14 차량용 스페어 타이어의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78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322B1 (ko) * 2006-03-22 2007-11-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KR101714297B1 (ko) * 2016-01-20 2017-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난방지를 위한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
CN107487390B (zh) * 2017-06-15 2019-09-20 宝沃汽车(中国)有限公司 用于车辆备胎的防翻转装置、吊装机构和车辆
CN107487722A (zh) * 2017-06-15 2017-12-19 宝沃汽车(中国)有限公司 用于车辆备胎的防翻转装置、吊装机构和车辆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8175U (ja) * 1993-04-19 1994-11-01 アラコ株式会社 吊下げ式スペアタイヤキャリア
KR100432029B1 (ko) 2001-12-18 2004-05-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상용차용 스페어타이어의 도난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8175U (ja) * 1993-04-19 1994-11-01 アラコ株式会社 吊下げ式スペアタイヤキャリア
KR100432029B1 (ko) 2001-12-18 2004-05-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상용차용 스페어타이어의 도난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3258A (ko) 2006-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7803B1 (ko) 차량용 스페어 타이어의 캐리어
WO1995033644A1 (en) Tire presenter
KR100536367B1 (ko)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의 와이어 권취장치
JP4238566B2 (ja) 自動車のスペアタイヤ保持装置
JP3015063U (ja) スペアタイヤの保持装置
US3625449A (en) Reel-holding stand
KR100337825B1 (ko) 스페어타이어 보관구조
KR100461828B1 (ko) 차량용 예비 타이어의 캐리어장치
KR100376432B1 (ko) 스페어 타이어 마운팅 구조
KR100608565B1 (ko) 차량용 스페어 타이어의 캐리어
KR102383491B1 (ko)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와 이의 고정 및 탈거방법
KR200176865Y1 (ko) 스페어 타이어용 고정윈치
KR0114528Y1 (ko) 소형버스용 예비 타이어의 보관함 잠금장치
JP2009154829A (ja) 滑り止めチェーンの収納構造
JPS607268Y2 (ja) 車輛のスペアタイヤ保持装置
JPH04129386U (ja) スペアタイヤの昇降装置
JPH0331666Y2 (ko)
KR100423048B1 (ko) 스페어 타이어의 장착장치
JP2021020524A (ja) スペアタイヤ保持装置
JP2742151B2 (ja) スペアタイヤ昇降装置の操作ハンドル案内装置
JPH0577770A (ja) 車両のスペアタイヤ取付装置
KR200216187Y1 (ko)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KR100536366B1 (ko)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KR100263945B1 (ko) 왜건 차량의 스페어 타이어 고정 구조
KR0132251B1 (ko) 스페어 타이어 적재 및 탈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