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4297B1 - 도난방지를 위한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도난방지를 위한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4297B1
KR101714297B1 KR1020160006847A KR20160006847A KR101714297B1 KR 101714297 B1 KR101714297 B1 KR 101714297B1 KR 1020160006847 A KR1020160006847 A KR 1020160006847A KR 20160006847 A KR20160006847 A KR 20160006847A KR 101714297 B1 KR101714297 B1 KR 101714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spare tire
rotational force
passing
minimum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6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우
김성대
김효식
염기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6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4297B1/ko
Priority to US15/289,778 priority patent/US10077086B2/en
Priority to CN201610937414.6A priority patent/CN107031743B/zh
Priority to DE102016121460.4A priority patent/DE102016121460A1/de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4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4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3/0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B62D43/007Anti-theft devices for spare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3/0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B62D43/02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xternal to the vehicle body
    • B62D43/04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xternal to the vehicle body attached beneath the vehicl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3/0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B62D43/02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xternal to the vehicle body
    • B62D43/04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xternal to the vehicle body attached beneath the vehicle body
    • B62D43/045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xternal to the vehicle body attached beneath the vehicle body the wheel or its cradle being attached to one or more chains or cables for hand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1/00Measures against loss of bolts, nuts, or pins; Measures against unauthorised operation of bolts, nuts or pins
    • F16B41/005Measures against unauthorised operation of bolts, nuts or p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2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crews, bolts, rive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난방지를 위한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조공정에서는 스페어타이어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차량 출고 후에는 외부에서 샤프트볼트의 조작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스페어타이어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난방지를 위한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A STRUCTURE TO MOUNT SPARE TIRE FOR ANTITHEFT}
본 발명은 도난방지를 위한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조공정에서는 스페어타이어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차량 출고 후에는 외부에서 샤프트볼트의 조작을 방지하는 도난방지를 위한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의 스페어타이어는 사용 중인 타이어가 여러 가지 이유로 손상되거나 파손되었을 때에 교체할 목적으로 차량에 탑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스페어타이어는 차량의 종류에 따라 차량에 탑재되어 지지가 되는 방식이 상이하다. 승용차량의 경우에는 트렁크 룸에 형성된 별도의 수납공간에 스페어타이어를 수납하여 탑재하고 있다. 반면에 상용차량이나 SUV(Sports Utility Vehicle) 차량의 경우에는 스페어타이어를 적절히 수납할 공간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서, 통상적으로는 차량의 플로어의 하부에 캐리어(30)와 와이어(W)를 매개로 장착하여 지지시키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종래의 스페어타이어(S)는 렌치와 같은 적절한 도구로 와이어(W)를 감거나 풀어줄 수 있는 캐리어(30)와, 와이어 권취장치에 감겨진 와이어(W)의 일단과 연결되면서 스페어타이어(S)에 착탈가능한 캐리어 서포트 브라켓(10)을 구비하여, 캐리어 서포트 브라켓(10)을 스페어타이어(S)와 연결한 다음에 상기 캐리어(30)를 매개로 와이어(W)를 감아서 스페어타이어(S)를 차량에 탑재하고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샤프트볼트(32)의 상단을 일방향(EX: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샤프트볼트(32)의 하단을 타방향(EX: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스페어타이어(S)가 상승하여 차량에 탑재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샤프트볼트(32)의 상단을 상기 타방향(EX: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샤프트볼트(32)의 하단을 상기 일방향(EX: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스페어타이어(S)가 하강하여 차량에서 분리할 수 있다.
종래에는 캐리어(30)의 샤프트볼트(32)의 하단이 차량 외부로 노출되어 있었다. 이는 차량의 제조공정에서 스페어타이어(S)를 용이하게 장착시키기 위함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샤프트볼트(32)의 하단이 차량 외부로 노출됨으로 인해, 차량의 외부에서도 샤프트볼트(32)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스페어타이어(S)의 도난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0-168636호 (2000.06.2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샤프트볼트의 하단을 가공하고, 상기 샤프트볼트의 하단에 별도의 소켓을 장착한 도난방지를 위한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난방지를 위한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는 스페어타이어(S)가 장착되는 캐리어 서포트 브라켓(100); 차량의 하면에 장착되어, 상기 스페어타이어(S)를 지지하는 브라켓(200); 및 상기 캐리어 서포트 브라켓(100)에 장착된 와이어(W)를 감거나 풀어, 상기 스페어타이어(S)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캐리어(300);를 포함하는 도난방지를 위한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300)는 상면에는 관통공(311)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원통형태의 돌출구(312)가 형성된 캐리어 하우징(310); 상기 캐리어 하우징(310)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와이어(W)를 감거나 풀 수 있는 샤프트볼트(320); 및 상기 캐리어 하우징(310)의 돌출구(312)의 외부로부터 상기 돌출구(312)의 내부로 삽입되며, 차량 외부에서 가해진 회전력을 상기 샤프트볼트(320)로 전달하거나, 상기 회전력이 상기 샤프트볼트(32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소켓(3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캐리어 하우징(310)의 상기 관통공(311)과 상기 돌출구(312)가 동축상에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볼트(320)는 상기 관통공(311)과 상기 돌출구(312)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구(312)의 높이는 상기 샤프트볼트(320)가 상기 캐리어 하우징(310)의 하부로 돌출된 높이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샤프트볼트(320)는 상기 캐리어 하우징(310)의 상면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볼트부(321); 및 상기 볼트부(321)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형성된 샤프트부(3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샤프트부(322)는 상기 샤프트부(322)의 최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소켓(330)을 상기 샤프트볼트(320)에 장착시키는 다각기둥형태의 제 1 걸림부(322a); 상기 제 1 걸림부(322a)의 상단에 배치되어, 차량 외부에서 상기 소켓(330)에 가해진 회전력이 상기 소켓(330)으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다각기둥형태의 회전력전달부(322b); 상기 회전력전달부(322b)의 상단에 배치되며, 상기 소켓(330)으로부터 회전력이 전달될 경우에는 상기 회전력이 상기 회전력전달부(322b)로 전달되도록 상기 소켓(330)의 위치를 고정하는, 상면의 지름이 하면의 지름보다 큰 경사진 원기둥형태의 제 2 걸림부(322c); 및 상기 제 2 걸림부(322c)의 상단에 배치되어, 상기 소켓(330)으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이 상기 샤프트부(322)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원기둥형태의 회전력차단부(322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걸림부(322a)의 중심축을 지나는 상기 제 1 걸림부(322a)의 최소 폭은 상기 회전력전달부(322b)의 중심축을 지나는 상기 회전력전달부(322b)의 최소 폭을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걸림부(322c)의 상면의 지름은 상기 회전력전달부(322b)의 중심축을 지나는 상기 회전력전달부(322b)의 최소 폭을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력전달부(322b)의 중심축을 지나는 상기 회전력전달부(322b)의 최소 폭은 상기 회전력차단부(322d)의 지름을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켓(330)은 차량 외부에서 상기 소켓(330)을 회전시키는 회전력이 가해지는, 다각기둥형태의 접촉부(331); 및 상기 접촉부(331)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접촉부(331)에 가해진 회전력을 상기 샤프트볼트(320)로 전달하는, 원기둥형태의 전달부(3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켓(330)의 내부에는 원기둥형태의 내부공간(33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달부(332)는 상기 전달부(332)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공간(333)과 상기 소켓(330)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다각홀(332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각홀(332a)의 중심축을 지나는 상기 다각홀(332a)의 최소 폭은 회전력차단부(322d)의 지름을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각홀(332a)의 중심축을 지나는 상기 다각홀(332a)의 최소 폭은 회전력전달부(322b)의 중심축을 지나는 상기 회전력전달부(322b)의 최소 폭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각홀(332a)의 중심축을 지나는 상기 다각홀(332a)의 최소 폭은 제 1 걸림부(322a)의 중심축을 지나는 상기 제 1 걸림부(322a)의 최소 폭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각홀(332a)의 중심축을 지나는 상기 다각홀(332a)의 최소 폭은 상기 제 2 걸림부(322c)의 상면의 지름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공간(333)의 지름은 상기 제 1 걸림부(322a)의 최대 폭 및 상기 제 2 걸림부(322c)의 상면의 지름을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조공정에서는 스페어타이어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차량 출고 후에는 외부에서 샤프트볼트의 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페어타이어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난방지를 위한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샤프트볼트 및 소켓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샤프트볼트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소켓의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난방지를 위한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의 작동상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난방지를 위한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의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샤프트볼트 및 소켓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할 때, 도난방지를 위한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는 스페어타이어(S)가 장착되는 캐리어 서포트 브라켓(100), 차량의 하면에 장착되어, 상기 스페어타이어(S)를 지지하는 브라켓(200) 및 상기 캐리어 서포트 브라켓(100)에 장착된 와이어(W)를 감거나 풀어, 상기 스페어타이어(S)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캐리어(300);를 포함한다.
상기 캐리어(300)는 캐리어 하우징(310), 샤프트볼트(320) 및 소켓(330)을 포함한다. 캐리어 하우징(310)은 상면에는 관통공(311)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원통형태의 돌출구(312)가 형성된다.
상기 캐리어 하우징(310)의 상기 관통공(311)과 상기 돌출구(312)는 동축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샤프트부(322)가 상기 관통공(311)과 상기 돌출구(312)를 관통하도록 배치되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돌출구(312)의 높이는 상기 샤프트볼트(320)가 상기 캐리어 하우징(310)의 하부로 돌출된 높이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돌출구(312)의 높이는 차량의 제조공정에서 스페어타이어(S)가 차량에 장착된 후, 소켓(330)을 상방으로 밀어올리면, 상기 소켓(330)이 돌출구(312) 내부로 완전히 삽입될 수 있는 높이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샤프트볼트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할 때 상기 샤프트볼트(320)는 상기 캐리어 하우징(310)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와이어(W)를 감거나 풀 수 있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샤프트볼트(320)는 볼트부(321) 및 샤프트부(322)를 포함한다.
볼트부(321)는 상기 캐리어 하우징(310)의 상면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즉, 차량 출고 후, 운전자가 스페어타이어(S)를 차량에 탑재하거나, 차량에서 분리할 때 회전력을 가하는 구성요소이다.
샤프트부(322)는 상기 볼트부(321)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형성된다. 상기 샤프트부(322)는 제 1 걸림부(322a), 회전력전달부(322b), 제 2 걸림부(322c), 회전력차단부(322d)를 포함한다.
제 1 걸림부(322a)는 상기 샤프트부(322)의 최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소켓(330)을 상기 샤프트볼트(320)에 장착시키는 다각기둥형태의 구성요소이다. 즉, 후술할 소켓(330)의 다각홀(332a)을 관통하여 삽입되며, 이에 따라 소켓(330)이 샤프트부(322)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회전력전달부(322b)는 상기 걸림부(322a)의 상단에 배치되어, 차량 외부에서 상기 소켓(330)에 가해진 회전력이 상기 소켓(330)으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다각기둥형태의 구성요소이다. 즉, 차량의 제조공정에서 스페어타이어(S)를 장착시키는 동안, 상기 회전력전달부(322b)는 상기 다각홀(332a)에 삽입되어, 상기 다각홀(332a)의 내주면과 상기 회전력전달부(322b)가 접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소켓(330)에 회전력을 가하면, 상기 회전력은 회전력전달부(322b)에 전달되어, 샤프트볼트(320)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제 2 걸림부(322c)는 상기 회전력전달부(322b)의 상단에 배치되며, 상기 소켓(330)으로부터 회전력이 전달될 경우에는 상기 회전력이 상기 회전력전달부(322b)로 전달되도록 상기 소켓(330)의 위치를 고정하는, 상면의 지름이 하면의 지름보다 큰 경사진 원기둥형태의 구성요소이다.
또한, 상기 제 2 걸림부(322c)의 상면의 지름은 상기 회전력전달부(322b)의 중심축을 지나는 상기 회전력전달부(322b)의 최소 폭을 초과한다. 이때, 상기 제 2 걸림부(322c)의 하면의 지름은 상기 회전력전달부(322b)의 중심축을 지나는 상기 회전력전달부(322b)의 최소 폭과 동일하거나, 미세하게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소켓(330)을 상방으로 밀어올리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상기 소켓(330)이 상기 돌출구(312)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차량의 제조공정에서는 상기 소켓(330)의 다각홀(332a)의 내주면과 상기 회전력전달부(322b)의 외주면이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작업자가 소켓(330)에 회전력을 가하면, 상기 회전력은 분산되지 않고 그대로 회전력전달부(322b)에 전달되어, 샤프트볼트(320)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상기 회전력차단부(322d)는 상기 제 2 걸림부(322c)의 상단에 배치되어, 상기 소켓(330)으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이 상기 샤프트부(322)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원기둥형태의 구성요소이다.
즉, 차량의 제조공정에서 차량에 스페어타이어(S)를 탑재한 이후에는, 작업자는 소켓(330)을 상방으로 밀어올려, 상기 돌출구(312) 내부로 소켓(330)을 완전히 삽입시킨다. 이때, 상기 회전력차단부(322d)은 상기 다각홀(332a)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력차단부(322d)의 지름은 상기 다각홀(332a)의 최소 폭 미만이 된다.
따라서, 차량의 출고 후에는, 상기 소켓(330)에 회전력을 가하더라도, 상기 회전력차단부(322d)에 의해 회전력이 차단되므로, 소켓(330)만 헛돌게 되고 샤프트볼트(320)는 회전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차량의 출고 후 차량 외부에서 샤프트볼트(320)를 회전시킬 수 없으므로, 스페어타이어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걸림부(322a)의 중심축을 지나는 상기 제 1 걸림부(322a)의 최소 폭은 상기 회전력전달부(322b)의 중심축을 지나는 상기 회전력전달부(322b)의 최소 폭을 초과한다.
또한, 상기 제 2 걸림부(322c)의 상면의 지름은 상기 회전력전달부(322b)의 중심축을 지나는 상기 회전력전달부(322b)의 최소 폭을 초과한다. 이때, 상기 제 2 걸림부(322c)의 하면의 지름은 상기 회전력전달부(322b)의 중심축을 지나는 상기 회전력전달부(322b)의 최소 폭과 동일하거나, 미세하게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소켓(330)을 상방으로 밀어올리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상기 소켓(330)이 상기 돌출구(312)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차량의 제조공정에서 상기 다각홀(332a)의 내주면과 상기 회전력전달부(322b)가 접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소켓(33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소켓(330)에 회전력을 가하면, 상기 회전력은 분산되지 않고 그대로 회전력전달부(322b)에 전달되어, 샤프트볼트(320)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상기 회전력전달부(322b)의 중심축을 지나는 상기 회전력전달부(322b)의 최소 폭은 상기 회전력차단부(322d)의 지름을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차량의 제조공정에서 상기 다각홀(332a)의 내주면에 접하는 회전력전달부(322b)에 비해, 차량의 출고 후 상기 다각홀(332a)에 내부에 위치하는 회전력차단부(322d)의 지름이 작아야만, 상기 소켓(330)에 회전력을 가하더라도, 상기 회전력차단부(322d)에 의해 회전력이 차단되기 때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소켓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할 때, 상기 소켓(330)은 차량 외부에서 가해진 회전력을 상기 샤프트볼트(320)로 전달하거나, 상기 회전력이 상기 샤프트볼트(32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소켓(330)은 접촉부(331), 전달부(332), 내부공간(333)을 포함한다. 또한, 작업자가 상기 소켓(330)을 상방으로 밀어올려, 돌출구(312)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소켓(330)의 재질은 탄성체, 특히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단,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도 있다.
접촉부(331)는 차량 외부에서 상기 소켓(330)을 회전시키는 회전력이 가해지는, 다각기둥형태의 구성요소이다. 즉, 차량의 제조공정에서 작업자가 렌치와 같은 적절한 도구로, 상기 접촉부(331)에 회전력을 가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회전력은 상기 다각홀(332a)의 내주면에 접하는 회전력전달부(322b)를 통해, 샤프트볼트(320)를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차량의 외부에서 용이하게 스페어타이어(S)를 차량에 탑재시킬 수 있는 것이다.
전달부(332)는 상기 접촉부(331)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접촉부(331)에 가해진 회전력을 상기 샤프트볼트(320)로 전달하는, 원기둥형태의 구성요소이다. 상기 전달부(332)는 다각홀(332a)을 포함한다. 다각홀(332a)는 상기 전달부(332)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공간(333)과 상기 소켓(330)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때, 상기 다각홀(332a)의 중심축을 지나는 상기 다각홀(332a)의 최소 폭은 회전력차단부(322d)의 지름을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회전력차단부(322d)의 지름은 상기 다각홀(332a)의 최소 폭 미만이 되는 것이다.
차량의 제조공정의 마지막에는 작업자가 외력을 가해 상기 소켓(330)을 상방으로 밀어올린다. 이에 따라, 상기 소켓(330)은 상기 돌출구(312)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며, 상기 다각홀(332a) 내부에 상기 회전력차단부(322d)가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차량의 출고 후에는, 상기 소켓(330)에 회전력을 가하더라도, 상기 회전력차단부(322d)에 의해 회전력이 차단되므로, 소켓(330)만 헛돌게 되고 샤프트볼트(320)는 회전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차량의 출고 후 차량 외부에서 샤프트볼트(320)를 회전시킬 수 없으므로, 스페어타이어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다각홀(332a)의 중심축을 지나는 상기 다각홀(332a)의 최소 폭은 회전력전달부(322b)의 중심축을 지나는 상기 회전력전달부(322b)의 최소 폭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차량의 제조공정에서 스페어타이어(S)를 장착시키는 동안, 상기 회전력전달부(322b)는 상기 다각홀(332a)에 삽입되어, 상기 다각홀(332a)의 내주면과 상기 회전력전달부(322b)의 외주면이 접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소켓(330)에 회전력을 가하면, 상기 회전력은 회전력전달부(322b)에 전달되어, 샤프트볼트(320)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상기 다각홀(332a)의 중심축을 지나는 상기 다각홀(332a)의 최소 폭은 회전력전달부(322b)의 중심축을 지나는 상기 회전력전달부(322b)의 최소 폭과 같은 경우에는 차량의 외부에서 소켓(330)에 가해진 회전력을 최대한 샤프트볼트(320)에 전달할 수 있다. 단, 차량의 제조공정에서 스페어타이어(S)를 차량에 탑재한 후, 작업자가 용이하게 소켓(330)을 돌출구(312) 내부로 삽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다각홀(332a)의 중심축을 지나는 상기 다각홀(332a)의 최소 폭은 회전력전달부(322b)의 중심축을 지나는 상기 회전력전달부(322b)의 최소 폭보다 미세하게 크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다각홀(332a)의 중심축을 지나는 상기 다각홀(332a)의 최소 폭은 제 1 걸림부(322a)의 중심축을 지나는 상기 제 1 걸림부(322a)의 최소 폭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각홀(332a)의 중심축을 지나는 상기 다각홀(332a)의 최소 폭은 상기 제 2 걸림부(322c)의 상면의 지름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다각홀(332a)의 중심축을 지나는 상기 다각홀(332a)의 최소 폭은 상기 제 2 걸림부(322c)의 하면의 지름과 같거나, 상기 제 2 걸림부(322c)의 하면의 지름이 상기 다각홀(332a)의 최소 폭보다 미세하게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소켓(330)을 상방으로 밀어올리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상기 소켓(330)이 상기 돌출구(312)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차량의 제조공정에서 상기 다각홀(332a)의 내주면과 상기 회전력전달부(322b)가 접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소켓(33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소켓(330)에 회전력을 가하면, 상기 회전력은 분산되지 않고 그대로 회전력전달부(322b)에 전달되어, 샤프트볼트(320)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상기 소켓(330)의 내부에는 원기둥형태의 내부공간(33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내부공간(333)의 지름은 상기 제 1 걸림부(322a)의 최대 폭 및 상기 제 2 걸림부(322c)의 상면의 지름을 초과한다.
즉, 차량 출고 후에는, 상기 내부공간(333)의 내부에 상기 제 1 걸림부(322a), 상기 회전력전달부(322b) 및 상기 제 2 걸림부(322c)가 위치하게 된다. 그런데 차량 출고 후에는 차량의 외부에서 소켓(330)에 회전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회전력차단부(322d)에 의해 소켓(330)이 헛돌아야 한다. 따라서, 상기 내부공간(333)의 지름은 상기 제 1 걸림부(322a)의 최대 폭 및 상기 제 2 걸림부(322c)의 상면의 지름을 초과하여, 상기 제 1 걸림부(322a) 및 제 2 걸림부(322c)에 의해 소켓(330)의 회전력이 샤프트볼트(32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난방지를 위한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차량의 제조공정에서는 소켓(330)이 캐리어 하우징(310)의 돌출구(312)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차량의 제조공정에서는 상기 다각홀(332a)의 내주면과 상기 회전력전달부(322b)가 접하고, 상기 전달부(332)의 상면에는 상기 제 2 걸림부(322c)가 접촉하며, 상기 내부공간(333)의 상면에는 상기 제 1 걸림부(322a)가 접촉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소켓(330)에 가한 회전력이 최대한 샤프트볼트(320)로 전달되고, 이에 따라 작업자가 용이하게 스페어타이어(S)를 차량에 탑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페어타이어(S)를 차량에 탑재한 후에는, 작업자는 소켓(330)을 상방으로 밀어올려, 상기 돌출구(312) 내부로 소켓(330)을 완전히 삽입시킨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회전력차단부(322d)은 상기 다각홀(332a)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내부공간(333)의 내부에 상기 제 1 걸림부(322a) 상기 회전력전달부(322b) 및 상기 제 2 걸림부(322c)가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스페어타이어(S)를 차량에 탑재한 후(즉, 차량의 출고 후)에는, 상기 소켓(330)에 회전력을 가하더라도, 상기 회전력차단부(322d)에 의해 회전력이 차단되므로, 소켓(330)만 헛돌게 되고 샤프트볼트(320)는 회전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차량의 출고 후 차량 외부에서 샤프트볼트(320)를 회전시킬 수 없으므로, 스페어타이어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당업자'라 한다)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 가능한 부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10, 100 캐리어 서포트 브라켓
20, 200 브라켓
30, 300 캐리어
31, 310 캐리어 하우징
311 관통공
312 돌출구
32, 320 샤프트볼트
321 볼트부
322 샤프트부
322a 제 1 걸림부
322b 회전력전달부
322c 제 2 걸림부
322d 회전력차단부
330 소켓
331 접촉부
332 전달부
332a 다각홀
333 내부공간
S 스페어타이어
W 와이어

Claims (20)

  1. 스페어타이어(S)가 장착되는 캐리어 서포트 브라켓(100);
    차량의 하면에 장착되어, 상기 스페어타이어(S)를 지지하는 브라켓(200); 및
    상기 캐리어 서포트 브라켓(100)에 장착된 와이어(W)를 감거나 풀어, 상기 스페어타이어(S)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캐리어(300);
    를 포함하는 도난방지를 위한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300)는 상면에는 관통공(311)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원통형태의 돌출구(312)가 형성된 캐리어 하우징(310);
    상기 캐리어 하우징(310)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와이어(W)를 감거나 풀 수 있는 샤프트볼트(320); 및
    상기 캐리어 하우징(310)의 돌출구(312)의 외부로부터 상기 돌출구(312)의 내부로 삽입되며, 차량 외부에서 가해진 회전력을 상기 샤프트볼트(320)로 전달하거나, 상기 회전력이 상기 샤프트볼트(32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소켓(33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를 위한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하우징(310)의 상기 관통공(311)과 상기 돌출구(312)가 동축상에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볼트(320)는 상기 관통공(311)과 상기 돌출구(312)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를 위한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구(312)의 높이는 상기 샤프트볼트(320)가 상기 캐리어 하우징(310)의 하부로 돌출된 높이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를 위한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볼트(320)는 상기 캐리어 하우징(310)의 상면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볼트부(321); 및
    상기 볼트부(321)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형성된 샤프트부(32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를 위한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부(322)는
    상기 샤프트부(322)의 최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소켓(330)을 상기 샤프트볼트(320)에 장착시키는 다각기둥형태의 제 1 걸림부(322a);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를 위한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부(322)는
    상기 제 1 걸림부(322a)의 상단에 배치되어, 차량 외부에서 상기 소켓(330)에 가해진 회전력이 상기 소켓(330)으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다각기둥형태의 회전력전달부(322b);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를 위한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부(322)는
    상기 회전력전달부(322b)의 상단에 배치되며, 상기 소켓(330)으로부터 회전력이 전달될 경우에는 상기 회전력이 상기 회전력전달부(322b)로 전달되도록 상기 소켓(330)의 위치를 고정하는, 상면의 지름이 하면의 지름보다 큰 경사진 원기둥형태의 제 2 걸림부(322c);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를 위한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부(322)는
    상기 제 2 걸림부(322c)의 상단에 배치되어, 상기 소켓(330)으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이 상기 샤프트부(322)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원기둥형태의 회전력차단부(322d);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를 위한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걸림부(322a)의 중심축을 지나는 상기 제 1 걸림부(322a)의 최소 폭은 상기 회전력전달부(322b)의 중심축을 지나는 상기 회전력전달부(322b)의 최소 폭을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를 위한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걸림부(322c)의 상면의 지름은 상기 회전력전달부(322b)의 중심축을 지나는 상기 회전력전달부(322b)의 최소 폭을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를 위한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전달부(322b)의 중심축을 지나는 상기 회전력전달부(322b)의 최소 폭은 상기 회전력차단부(322d)의 지름을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를 위한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330)은
    차량 외부에서 상기 소켓(330)을 회전시키는 회전력이 가해지는, 다각기둥형태의 접촉부(33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를 위한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330)은
    상기 접촉부(331)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접촉부(331)에 가해진 회전력을 상기 샤프트볼트(320)로 전달하는, 원기둥형태의 전달부(33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를 위한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330)의 내부에는 원기둥형태의 내부공간(33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를 위한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332)는 상기 전달부(332)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공간(333)과 상기 소켓(330)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다각홀(332a);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를 위한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홀(332a)의 중심축을 지나는 상기 다각홀(332a)의 최소 폭은 회전력차단부(322d)의 지름을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를 위한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홀(332a)의 중심축을 지나는 상기 다각홀(332a)의 최소 폭은 회전력전달부(322b)의 중심축을 지나는 상기 회전력전달부(322b)의 최소 폭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를 위한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홀(332a)의 중심축을 지나는 상기 다각홀(332a)의 최소 폭은 제 1 걸림부(322a)의 중심축을 지나는 상기 제 1 걸림부(322a)의 최소 폭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를 위한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
  19.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홀(332a)의 중심축을 지나는 상기 다각홀(332a)의 최소 폭은 상기 제 2 걸림부(322c)의 상면의 지름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를 위한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
  20.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333)의 지름은 상기 제 1 걸림부(322a)의 최대 폭 및 상기 제 2 걸림부(322c)의 상면의 지름을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를 위한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
KR1020160006847A 2016-01-20 2016-01-20 도난방지를 위한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 KR101714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6847A KR101714297B1 (ko) 2016-01-20 2016-01-20 도난방지를 위한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
US15/289,778 US10077086B2 (en) 2016-01-20 2016-10-10 Structure for mounting spare tire for antitheft
CN201610937414.6A CN107031743B (zh) 2016-01-20 2016-10-24 用于安装备用轮胎的防盗结构
DE102016121460.4A DE102016121460A1 (de) 2016-01-20 2016-11-09 Struktur zur Montage eines Ersatzrades zur Diebstahlsicheru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6847A KR101714297B1 (ko) 2016-01-20 2016-01-20 도난방지를 위한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4297B1 true KR101714297B1 (ko) 2017-03-08

Family

ID=58404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6847A KR101714297B1 (ko) 2016-01-20 2016-01-20 도난방지를 위한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077086B2 (ko)
KR (1) KR101714297B1 (ko)
CN (1) CN107031743B (ko)
DE (1) DE10201612146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89057C1 (ru) * 2018-07-31 2019-05-23 Георгий Николаевич Кравченко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блокировки запасного колеса автомобиля от несанкционированного съем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8636A (ja) 1998-12-10 2000-06-20 Toyota Auto Body Co Ltd スペアタイヤ盗難防止構造
KR20060033258A (ko) * 2004-10-14 2006-04-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스페어 타이어의 캐리어
KR20080024645A (ko) * 2006-09-14 2008-03-1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스페어타이어 낙하방지장치
KR20120060090A (ko) * 2010-12-01 2012-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페어타이어 캐리어
KR20130030591A (ko) * 2011-09-19 2013-03-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65264A (en) * 1972-10-10 1975-02-11 Caddie Ind Inc Spare tire mount
JPS6067285U (ja) 1983-10-15 1985-05-13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スペアタイヤの盗難防止装置
US4535973A (en) * 1984-01-11 1985-08-20 Kent Products, Inc. Vehicle tire carrier
US4600352A (en) * 1984-07-18 1986-07-15 Gulf & Western Manufacturing Company Spare tire handling mechanism
CA2024565C (en) * 1990-09-04 1996-03-12 Bill Ng Tire lifting device
US5681137A (en) * 1996-11-04 1997-10-28 Stallings; Hulon D. Drive for a tire lift mechanism
JP4185610B2 (ja) * 1998-12-28 2008-11-26 万能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スペアタイヤの格納構造
US6443846B1 (en) * 2000-12-22 2002-09-03 Edscha North America Spare tire carrier torque-limiting slip mechanism
JP2004034890A (ja) 2002-07-05 2004-02-05 Toyota Motor Corp スペアタイヤ保持装置
CN2563055Y (zh) 2002-09-03 2003-07-30 林庆江 一种汽车备胎架
CN2717773Y (zh) * 2004-07-06 2005-08-17 马永涛 备用轮胎防盗安装架
JP4701048B2 (ja) 2005-09-07 2011-06-1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タイヤキャリアの盗難防止構造
CN201086693Y (zh) 2007-08-31 2008-07-16 刘前征 车辆备胎防盗升降器
CN202966465U (zh) * 2012-12-05 2013-06-05 安徽江淮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防盗型汽车备胎升降器
KR101383734B1 (ko) * 2012-12-26 2014-04-10 현대자동차(주) 차량용 스페어타이어 캐리어 장치
ITTO20130811A1 (it) * 2013-10-07 2015-04-08 Otelli Riccardo Di Otelli Carlo & C S R L Dispositivo per sollevare ed abbassare una ruota di scorta di un veicolo
JP6256219B2 (ja) * 2014-06-17 2018-01-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スペアタイヤの盗難防止構造
KR102122551B1 (ko) 2014-07-09 2020-06-15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발향장치
CN104085456A (zh) * 2014-07-21 2014-10-08 江铃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备胎架总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8636A (ja) 1998-12-10 2000-06-20 Toyota Auto Body Co Ltd スペアタイヤ盗難防止構造
KR20060033258A (ko) * 2004-10-14 2006-04-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스페어 타이어의 캐리어
KR20080024645A (ko) * 2006-09-14 2008-03-1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스페어타이어 낙하방지장치
KR20120060090A (ko) * 2010-12-01 2012-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페어타이어 캐리어
KR20130030591A (ko) * 2011-09-19 2013-03-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89057C1 (ru) * 2018-07-31 2019-05-23 Георгий Николаевич Кравченко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блокировки запасного колеса автомобиля от несанкционированного съем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077086B2 (en) 2018-09-18
US20170203800A1 (en) 2017-07-20
CN107031743B (zh) 2021-06-08
CN107031743A (zh) 2017-08-11
DE102016121460A1 (de) 2017-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65264A (en) Spare tire mount
US4828328A (en) Replacement wheel bearing spindle
KR101726419B1 (ko) 잠금 기능을 갖는 자전거 브레이크 장치
KR101714297B1 (ko) 도난방지를 위한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
JP2021512015A (ja) 緊急用ホイール
JP6325207B2 (ja)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US5426960A (en) Automobile steering lock
JPH0211440A (ja) 自動車用盗難防止装置
BR112020024810A2 (pt) trava de roda com expansor central
US2747940A (en) Anti-theft lock for vehicle hub caps
BR102016015874A2 (pt) sistema de montagem de roda sobressalente
US5718411A (en) Anti-theft device for a spare tire carrier
US8272291B2 (en) Steering column locking device
US20040208723A1 (en) Anti-tamper device having an inner shell and an outer shell that rotate independently
CN210234708U (zh) 锁紧机构
CN218616846U (zh) 转向柱和车辆
JPH026249A (ja) 自動車用ハンドルのロック装置
CN220895745U (zh) 一种电池箱体装配用连接组件
CN114704553B (zh) 一种轮毂轴承单元
KR100608565B1 (ko) 차량용 스페어 타이어의 캐리어
JP3181718U (ja) ナット部材取り外し防止装置
KR200345239Y1 (ko) 견인링크 고정장치
KR20080024645A (ko) 차량의 스페어타이어 낙하방지장치
KR960001086Y1 (ko) 차량용 디스크휠 너트의 괘,해정장치
CN111114271A (zh) 锁紧机构及具有其的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