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0785B1 - 야채 이식기 - Google Patents

야채 이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0785B1
KR101040785B1 KR1020057017650A KR20057017650A KR101040785B1 KR 101040785 B1 KR101040785 B1 KR 101040785B1 KR 1020057017650 A KR1020057017650 A KR 1020057017650A KR 20057017650 A KR20057017650 A KR 20057017650A KR 101040785 B1 KR101040785 B1 KR 101040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ling
fork
transplant
rotary member
transpla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7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1393A (ko
Inventor
토모히로 타케야마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111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1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0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0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Abstract

야채 이식기에 있어서, 모종 탑재대(14) 위의 모종 트레이(15)로부터 모종(N)을 취출하여 논밭에 이식하는 모종 이식 포크(16)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모종 이식 포크(16)는 회전하는 로터리 부재(17)의 회전 단부에 상하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모종 이식 포크(16)의 1회 분의 모종 취출·이식 행정 중에 있어서의 상기 모종 이식 포크(16)의 요동 지지점(49·53)의 궤적(A)은, 상기 로터리 부재(17)의 회전 지지점(31)을 중심으로 대략 삼각형상으로서, 그 일 정점(頂点)을 상기 모종 이식 포크(14)의 모종 트레이(15)로부터의 모종 취출 운동에, 다른 일 정점을 상기 모종 이식 포크(16)의 논밭으로의 이식 운동에 할당하고 있다. 모종 압출 부재(64) 구동용 압출 캠(24) 및 모종 이식 포크 개폐용 개폐 캠(22)은 캠축(53) 상에서 상기 이식 포크(16)를 통하여 상기 로터리 부재(17·18)와 반대측에 마련되어 있다.

Description

야채 이식기{Vegetable transplanter}
본 발명은 모종 트레이로부터 모종 이식 포크에 의해 취출한 1주(株)분의 양파, 파, 흰 파 등의 야채 모종을 그대로 직접 논밭에 이식하도록 한 야채 이식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 특허 2001-211713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 모종 탑재대의 모종 트레이로부터 하나의 모종 취출 포크에 의해 취출한 모종을 하방의 또 하나의 모종 이식 포크로 넘겨받아 1세트분의 모종 이식을 행하는 1세트의 모종 취출 포크와 모종 이식 포크에 의한 수계 방식의 야채 이식기가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수계 방식의 경우, 모종 취출 포크와 모종 이식 포크 각각의 구동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동기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구조가 매우 복잡해짐과 함께, 모종 취출 포크로부터 모종 이식 포크로의 모종 수계 시에는 모종 자세에 흐트러짐을 발생시키고, 특히 이식 속도가 고속이 될수록 이 흐트러짐이 현저해져, 모종 이식 정확도를 저하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이식 정확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는 전술한 바와 같은 모종의 수계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확실하고도 고속의 이식이 가능한 모종 이식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야채 이식기는, 모종 탑재대 위의 모종 트레이로부터 모종을 취출하여 논밭에 이식하는 모종 이식 포크를 가진다. 이와 같이, 모종 이식 포크 그 자체가 모종 탑재대 위의 모종 트레이로부터 모종을 취출하므로, 종래의 모종 취출 포크가 불필요하며,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발생시키는 모종 수계가 없어져 모종 이식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그리고 이와 같이 모종 탑재대로부터의 모종 취출도 겸용하는 모종 이식 포크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야채 이식기에 있어서, 상기 모종 이식 포크는 회전하는 로터리 부재의 회전 단부에 상하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모종 이식 포크의 일회분의 모종 취출·이식 행정 중에 있어서의 상기 모종 이식 포크의 요동 지지점의 궤적은, 상기 로터리 부재의 회전 지지점을 중심으로 대략 삼각형상으로서, 그 일 정점(頂点)을 상기 모종 이식 포크의 모종 트레이로부터의 모종 취출 운동에, 다른 일 정점을 상기 모종 이식 포크의 포장으로의 이식 운동에 할당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상기 모종 이식 포크의 요동 지지점의 대략 삼각형상의 궤적은, 로터리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로터리 부재의 회전 지지점으로부터 모종 이식 포크의 요동 지지점까지의 전동 기구(예를 들어 유성 기어 기구나 캠 기구)를 마련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그 두 정점을 이용함으로써, 모종 취출 및 모종 이식을 위한 모종 이식 포크의 진퇴 동작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터리 부재를 제 1 로터리 부재로 하고, 상기 회전 지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단에 제 2 로터리 부재의 기단을 회전 가능하게 부착하고, 상기 제 2 로터리 부재의 선단에 상기 모종 이식 포크의 요동 지지점을 마련하고, 상기 요동 지지점에 상기 모종 이식 포크를 부착하며, 상기 제 1 로터리 부재의 한 방향에 있어서의 회전과, 상기 제 2 로터리 부재의 상기 제 1 로터리 부재에 대한 반대 방향의 회전과의 조합에 의해, 상기 모종 이식 포크의 대략 삼각형 궤적을 구현하고, 이 제 1·제 2 로터리 부재의 회전에, 상기 요동 지지점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모종 이식 포크의 요동을 조합함으로써, 상기 모종 이식 포크의 상기 모종 취출 운동 및 모종 이식 운동을 구현한다.
이와 같이, 제 1·제 2 로터리 부재의 회전에 의해 구현되는 모종 이식 포크의 요동 지지점의 대략 삼각형 움직임에, 상기 요동 지지점을 중심으로 하는 모종 이식 포크의 요동을 조합함으로써, 모종 트레이 및 논밭에 대하여 모종 이식 포크를 대략 직각상으로 진퇴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모종 이식 포크에 의한 원활한 모종 취출 및 모종 이식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야채 이식기는 모종의 이식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상기 모종 이식 포크에 모종 압출 부재를 마련하고, 상기 모종 압출 부재 구동용 압출 캠을 상기 모종 이식 포크의 요동 지지점축 방향으로, 상기 모종 이식 포크를 개재하여, 상기 제 1·제 2 로터리 부재와 반대측에 마련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상기 제 1·제 2 로터리 부재나 모종 이식 포크의 좌우 폭 방향(이것들의 회전 지지점축·요동 지지점축 방향)의 부착 치수에 영향을 미치는 일 없이, 간단히 모종 압출 캠을 조합해 넣어, 콤팩트하고 탈착이 용이한 구조로 확실한 모종의 압출을 가능하게 하여 모종 이식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야채 이식기는, 모종의 이식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상기 모종 이식 포크를 개폐 가능하게 하고 있으며, 상기 모종 이식 포크의 개폐 구동을 위한 포크 개폐 캠을 상기 모종 이식 포크의 요동 지지점축 방향으로, 상기 모종 이식 포크를 개재하여 상기 제 1·제 2 로터리 부재와 반대측에 마련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상기 제 1·제 2 로터리 부재나 모종 이식 포크의 좌우 폭 방향(이것들의 회전 지지점축·요동 지지점축 방향)의 부착 치수에 영향을 미치는 일 없이, 간단히 모종 압출 캠을 조합해 넣어, 콤팩트하고 탈착이 용이한 구조로 확실한 이식 포크 모종의 개폐를 가능하게 하여 모종 이식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상의, 또한 그 이외의 목적, 특징, 효과에 대해서는, 이하의 첨부의 도면을 근거로 하는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식기의 전체 측면도이다.
도 2는 이식부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모종 이식 포크부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로터리 케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모종 이식 포크의 구동 설명도이다.
도 6은 요동 캠부의 설명도이다.
도 7은 홈 캠부의 설명도이다.
도 8은 이식 포크부의 평면 설명도이다.
도 9는 모종 압출 부재의 설명도이다.
도 10은 모종 이식 포크의 궤적의 설명도이다.
도 11은 로터리 케이스의 측면 설명도이다.
도 12는 모종 이식 포크의 측면 설명도이다.
도 13은 모종 이식 포크의 측면 설명도이다.
도 14는 모종 이식 포크의 0°, 180°위치의 설명도이다.
도 15는 모종 이식 포크의 45°, 225°위치의 설명도이다.
도 16은 모종 이식 포크의 90°, 270°위치의 설명도이다.
도 17은 모종 이식 포크의 135°, 315°위치의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근거하여 상술한다. 도 1은 이식기의 전체 측면도, 도 2는 이식부의 측면도이며, 도면 중 1은 엔진(2)을 뒷부분에 탑재하여 전후 차륜(3·4)을 가지는 이동 차체, 5는 후차륜(4)을 구동하는 미션 케이스, 6은 조향 핸들(7)을 가지는 운전 조작부, 8은 운전 조작부(6)의 후방에 마련하는 운전석, 9는 이동 차체(1)의 대략 중앙에 마련하는 예비 모종대, 10은 전후 승강 링크(11·12) 및 승강 실린더(13)를 통하여 이동 차체(1)의 대략 중앙 하측에 승강 가능하게 마련하는 모종 이식 장치이고, 모종 이식 장치(10)는 좌우 왕복 이동하는 모종 탑재대(14)와, 모종 탑재대(14) 위의 모종 트레이(15)로부터 1주(株) 분의 포트 모종(N)을 취출하여 논밭의 이랑면에 직접 이식하는 모종 이식 포크(16)를 구비하고, 차체 주행 중에 이랑면에 일정 간격마다 포트 모종(N)의 이동을 행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모종 이식 포크(16)는, 하나의 모종 트레이(15)에 대하여 2개의 모종 이식 포크(16)에 의해 모종(N)의 취출 및 이식을 행하는 것으로, 동일 이식 궤적(A) 상에서 180도 위상을 다르게 하여, 1개의 이식 궤적(A) 중에서 2회의 모종 취출 및 모종 이식을 행하여 2주의 모종(N)을 이식하여, 모종 이식 속도를 대략 2배로 증속시켜서 고속 이식 작업을 행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 3 내지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모종 이식 장치(10)는, 모종 이식 포크(16)를 구동하는 제 1 로터리 케이스(17) 및 제 2 로터리 케이스(18)와, 모종 이식 포크(16)를 끄덕이는(상하 요동시키는) 요동용 홈 캠(19)과, 모종 이식 포크(16)의 좌우 포크체(20·21)를 개폐하는 개폐 캠(22)과, 주걱형 좌우 포크체(20·21)에 협지하는 모종(N)의 압출 기구(23)를 동작시키는 모종 압출 캠(24)을 구비하고, 가로 이동 스크류축(25) 및 가이드 롤러(26) 등을 통하여 모종 탑재대(14)를 왕복 이동시키도록 차체에 지지시킴과 함께, 차체의 고정 브라켓(27) 등에 구동 수동축(28)을 고정시키고, 이식 클러치 케이스의 출력축에 스프로켓(29) 및 체인(30)을 통하여 연결하는 이식 입력축(31)에 외통축(32)을 스플라인 결합시키고, 외통축(32)을 수동축(29)에 지지시킴과 함께, 제 1 로터리 케이스(17)에 외통축(32)의 일단측을 고정시키고 있다. 그리고 제 1 로터리 케이스(17) 내의 수동축 (28)에 썬 기어(sun gear)(38)를 고정시켜, 제 1 로터리 케이스(17) 양단의 출력축(39)의 위성 기어(40)에 중간축(41)의 아이들 기어(42)를 통하여 썬 기어(38)를 연결시키고, 썬 기어(38)와 아이들 기어(42)를 동일 톱니 수로, 위성 기어(40)와 이들 기어(38·42)의 기어 비를 1:3으로 형성하여, 제 1 로터리 케이스(17)가 일방향으로 1회전 할 때 출력축(39)을 역방향으로 2회전 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제 1 로터리 케이스(17)의 우측에 제 2 로터리 케이스(18)를 배치시키고, 제 2 로터리 케이스(18)의 일단측을 상기 출력축(39)에 고정시키고, 출력축(39)에 회전 가능하게 내삽하는 포크 출력축(43) 일단의 기어(43a)에 요동 아암(44) 일단측의 부분 기어(45)를 연결시키고 있다. 상기 요동 아암(44)은 중간부를 제 1 로터리 케이스(17)에 지지점축(46)을 통하여 요동 가능하게 지지시키고, 입력축(31)을 중심으로 하여 수동축(28)에 형성하는 무단상(無端狀)의 홈 캠(19) 내에 아암(44) 타단측의 롤러(47)를 감합 가이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 2 로터리 케이스(18) 내에 면하는 포크 출력축(43)에 썬 기어(48)를 고정시키고, 제 2 로터리 케이스(18) 타단의 요동 축(49)의 위성 기어인 출력 기어(50)에 중간축(51)의 제 1 아이들 기어(52)를 통하여 썬 기어(48)를 연결시킴과 함께, 요동 축(49)에 회전 가능하게 내삽하는 캠축(53)의 위성 기어인 출력 기어(54)를 제 1 아이들 기어(52)와 일체인 제 2 아이들 기어(55)에 연결시키고, 상기 썬 기어(48)와 제 1 아이들 기어(52) 및 제 2 아이들 기어(55)와 출력 기어(54)를 동일 톱니 수로, 제 1 아이들 기어(52)와 출력 기어(54)의 기어 비를 2:3으로 하여, 요동 축(49)의 출력 기어(50)와 캠축(53)의 출력 기어(54)의 회전 차이가 1회전이 되도록 설정하고, 요동 축(49)에 연결하는 모종 이식 포크(16)의 요동 시에는 캠 축(53)은 모종 이식 포크(16)에 대하여 항상 일정 회전시키는 상태로 하여, 무리가 없는 홈 캠(19) 형상으로, 캠축(53)에 고정하여 마련하는 개폐 캠(22) 및 모종 압출 캠(24)의 원활한 회전을 행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도 10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력축(31)을 중심으로 한 제 1 로터리 케이스(17)의 반시계 방향(실선 화살표 방향)의 1회전에 대하여 포크 출력축(43)을 중심으로 하여 제 2 로터리 케이스(18)를 시계 방향(점선 화살표 방향)으로 2회전시키고, 제 1 로터리 케이스(17)의 1회전(제 2 로터리 케이스(18)의 2회전)에 의해 캠축(53)에 동일 도면의 K로 나타내는 바와 같은 대략 삼각형상(특히 정삼각형상)의 이식 기본 궤적(K)을 그리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도 11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로터리 케이스(18)의 외측에 돌출시키는 요동 축(49)에 부착판(56)을 통하여 베이스판(57)을 고정시키고, 상기 베이스판(57)에 좌우 개폐축(58·59)를 통하여 좌우 포크체(20·21)를 개폐 가능하게 지지시키고, 중앙에서 돌출부 및 요홈부 캠부를 맞물리게 하는 좌우 개페판(60·61)을 좌우 개폐축(58·59)에 고정시키고, 좌 개폐판(60)과 베이스판(57) 사이에 닫음용 토션 코일 스프링(62)을 개재하고, 우 개폐판(60)의 개폐 조작 볼트(63)를 마련하고, 상기 요동 축(49)보다 외측으로 돌출시키는 캠축(53)의 외측단에 판상 개폐 캠(22)을 고정시키고, 상기 개폐 캠(22)의 외주 캠면(22a)에 상기 볼트(63)를 접촉시켜, 개폐 캠(22)의 회전 캠 작용으로 좌우 포크체(20·21)의 개폐를 행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좌우 포크체(20·21)에 모종(N)을 압출하는 모종 압출 부재(64)를 압출 기구(23)에 마련하는 것으로, 모종 압출 부재(64)를 축(65) 및 압출 아암(66)을 통하여 베이스판(57)의 아암 축(67)에 지지시키고, 상기 캠축(53)의 외측단에서 개폐 캠(22)의 내측에 판상 모종 압출 캠(24)을 고정시켜, 상기 압출 아암(66)에 축(68)을 통하여 부착하는 캠 롤러(69)를 토션 스프링(70)력으로 모종 암출 캠(24)의 외주 캠면(24a)에 접촉시켜, 모종 압출 캠(24)의 회전 캠 작용으로 좌우 포크체(20·21)를 따른 모종 압출 부재(64)의 상하 이동을 행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모종 압출 부재(64)는 선상체(線狀體)로 형성한 선상 모종 압출 부재(71)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무 혹은 수지재 등으로 형성하는 탄성판상 모종 압출 부재(72)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으로, 선상 모종 압출 부재(71)의 경우 기단륜(基端輪) 형상부(71a)를 압출 아암(66)의 축(65)에 지지시킴과 함께, 선단륜 형상부(71b)를 좌우 포크체(20·21)에 유성(遊性)삽입하여, 바퀴 형상부(71b)로 모종(N)의 압출을 행하는 한편, 탄성판상 모종 압출 부재(72)의 경우 좌우 포크체(20·21)의 내측에 상단측을 슬라이딩 접촉시키는 2장의 고무 혹은 수지재 등의 탄성판(73)의 기단을 1장의 부착판(74)에 고정시켜서 2갈래 형상으로 형성하고, 부착판(74)의 기단을 상기 압출 아암(66)의 축(65)에 지지시켜, 좌우 포크체(20·21)의 내면을 따라 탄성판(73)을 밑으로 움직일 때, 모종(N)을 압출함과 동시에 포크체(20·21) 내면에 부착되는 양토나 흙을 떨어뜨리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탄성판상 모종 압출 부재(72)의 위치 규제를 행하는 가이드(75)를 베이스판(57)의 대부(台部)(57a)에 조절 볼트(76)를 통 하여 높이 조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것으로, 문(門) 형상의 가이드(75)를 볼트(76) 두부에 고정시키고, 모종 압출 부재(72)의 상하좌우를 가이드(75)로 규제시키는 상태로 하여 효과적인 모종 압출을 행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모종 이식 포크(16) 및 모종 압출 부재(64) 등을 장착하는 베이스판(57)은 요동 축(49)의 부착판(56)에 볼트(77)를 통하여 탈착가능하게 고정시켜, 모종 이식 포크(16) 및 모종 압출 부재(64) 등의 보수점검이나 부품 교환 시에는 베이스판(57)을 탈착하여 용이하게 작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캠축(53)의 구동은 묘종 이식 포크(16)의 구동인 요동 축(49)의 구동 도중(아이들 기어(52·55))에, 홈 캠(19) 및 요동 아암(44)으로 형성하는 요동 기구보다 하류에서 분기시켜, 요동 축(49)의 출력 기어(50)에 대해서는 캠축(53)의 출력 기어(54)가 1회전 차이(예를 들어 출력 기어(50)가 0일 때 출력 기어(54)는 1회전)를 가지므로, 모종 이식 포크(16)의 요동에 대하여 캠(22·24)은 항상 일정 회전 상태가 되어, 무리가 없는 캠(22·24)형상으로 좌우 포크체(20·21)의 개폐나 모종 압출 부재(64)의 원활한 압출 동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제 1 및 제 2 로터리 케이스(17·18)의 회전 중에 있어서도 요동 아암(44)이 예를 들어 요동 정지 상태일 때, 캠축(53)이 1회전 하는데 대하여 요동 축(49)은 회전을 0으로 하여, 모종 이식 포크(16)의 요동 정지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으로, 본 실시예와 같이 홈 캠(19)의 캠 작용으로 요동 아암(44)이 왕복 요동할 때, 캠축(53)에 1회전을 유지시키면서 요동 축(49)은 요동 아암(44)의 요동에 따른 일정 각도분 회동하고 묘종 이식 포크(16)를 요동(상하요동)시킨다.
그리고 가이드 롤러(26) 등을 통하여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모종 탑재대(14)를 진행 방향에 대하여 기체 중앙부에 마련하고, 취출 위치 부근에서 모종 트레이(15)는 대략 수직 자세로 유지하여 모종 트레이(15)의 개구 취출측을 후방에 면하게 하고, 모종 탑재대(14) 후방에 배치시키는 모종 이식 장치(10)의 모종 이식 포크(16)를 후방 하측으로부터 대략 수평으로 모종 트레이(15)의 포트 내로 돌입시켜서 모종(N)의 취출을 행하는 것으로, 도 3, 도 10, 도 14 내지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로터리 케이스(17)가 입력측(31)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실선 화살표 방향)으로 1회전 할 때, 제 2 로터리 케이스(18)를 출력축(43)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점선 화살표 방향)으로 2회전시켜, 축(43)을 중심으로 한 케이스(18)의 회전 중은 출력축(53)을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정)삼각형의 기본 궤적(K)으로 운동시키고, 이 운동 중 케이스(17)에 수동축(28)에 마련하는 요동용 홈 캠(19)과 요동 아암(44)의 상대 변화로써 모종 이식 포크(16)에 요동 동작을 행하게 하여, 이식 궤적(A)으로 모종 이식 포크(16)를 상하 연동시켜, 모종 트레이(15)로부터 모종(N)을 취출하고 나서 논밭의 이랑면(M)에 이식하기까지의 일련의 이식 작업을 단일한 모종 이식 포크로 행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식 궤적(A)은 상부의 모종 취출 위치 및 하부의 모종 이식 위치에서 전방 및 하방으로 돌출시키고, 모종 취출 위치로부터 모종 이식 위치 중간까지의 사이에서는 후방으로 완만한 하강 경사로, 모종 이식 위치부터 모종 취출 위치까지의 중간에서는 대략 수직으로, 중간 위치부터 모종 취출 위치까지의 사이에서는 대략 수평보다 앞쪽으로 상승 경사로 형성하여, 대략 수직의 모종 트레이 (15)에 대하여 모종 트레이(15)의 하측으로부터 모종 이식 포크(16)가 가까워져, 포크(16)로 모종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모종(N)을 후방으로 뽑아내고, 뽑아낸 모종(N)은 포크(16)의 하측 후방으로의 이동에 의해 모종 트레이(15) 상방의 모종(N)을 흐트러뜨리는 일없이 원활하게 모종 트레이(15)로부터 떨어져, 모종(N)의 이식 부근에서는 모종 자세를 대략 수직으로 한 양호한 모종(N)의 이식을 행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 결과, 제 1 로터리 케이스(17)가 반시계 방향으로 1회전, 제 2 로터리 케이스(18)가 시계 방향으로 2회전 할 때 각 모종 이식 포크(16)는 이식 궤적(A)의 하나의 루프를 형성시켜, 180도 위상을 다르게 하는 모종 이식 포크(16)에 의해 2회의 이식이 행해지는 것으로, 도 14의 모종 이식 포크(16) 위치를 이식 궤적(A)의 0°및 180°상태로 하고, 이로부터 제 1 로터리 케이스(17)를 반시계방향으로 45°, 제 2 로터리 케이스(18)를 시계 방향으로 90°회전시킬 때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종 이식 포크(16)는 궤적(A) 상을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여, 0°및 180°위치로부터 45°및 225°위치로 변화하고, 또한 제 1 로터리 케이스(17)를 90° 혹은 135°, 제 2 로터리 케이스(18)를 180° 혹은 270°까지 회전시킬 때에는 도 16,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종 이식 포크(16)는 90°·270° 혹은 135°·315° 위치까지 변화하고, 제 1 로터리 케이스(17)를 1회전, 제 2 로터리 케이스(18)를 2회전 시킬 때 도 17 상태로 복귀하고, 제 1 로터리 케이스(17)의 1회전, 제 2 로터리 케이스(18)의 1회전에 의해 하나의 모종 이식 포크(16)가 하나의 이식 궤적(A)의 루프를 완료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모종 이식 포크(16)의 궤적(A)을 따른 운동 중 모종 이식 포크(16)가 모종 취출 위치 직전이 될 때, 좌우 포크체(20·21)를 열어 모종 트레이(15)에 돌입시켜서 좌우 포크체(20·21)의 닫힘 시에 모종(N)을 협지하고, 모종 이식 포크(16)가 최하위의 이식 위치가 될 때, 좌우 포크체(20·21)를 열어 모종(N)을 개방한 후에 모종 압출 부재(64)를 밑으로 움직여 모종(N)을 포크체(20·21)로부터 압출하여 논밭에 이식하는 것이다. 이 모종 이식용 모종 이식 포크(16)의 대략 상하 방향의 진퇴 운동은, 상기의 요동 축(49)(캠축(53))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정삼각형의 궤적의 최하단의 정점의 경과 전후의 움직임으로 구현되는 것이다.
그리고 기체 진행 방향에 대하여 전측에 모종 탑재대(14)를, 후측에 모종 이식 포크(16)를 마련하고, 측면에서 보았을 때 좌측의 모종 탑재대(14)에 대하여 우측의 모종 이식 포크(16)를 반시계 방향의 회전 궤적(A)으로 운동시켜서, 모종 이식 포크(16)에 의한 모종 취출 시에는 모종(N)을 포크(16)로 손상시키는 일 없이 양호하게 포크(16)를 모종 트레이(15)에 돌입시키고, 모종 트레이(15)로부터 모종 을 뽑아낼 때에는 상방의 모종(N)을 흐트러뜨리는 일 없이 원활하게 모종(N)을 뽑아내어 모종 취출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모종 이식용 모종 이식 포크(16)의 대략 전후 방향의 진퇴 운동은, 상기의 요동 축(49)(캠축(53))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정삼각형 궤적의 최전단의 정점 경과 전후의 움직임으로 구현되는 것이다.
또한, 중앙의 회전축인 입력축(3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제 1 로터리 부재인 제 1 로터리 케이스(17)의 출력축(39)에 제 2 로터리 부재인 제 2 로터리 케이스(18)의 기단을 연결시킴과 함께, 제 2 로터리 케이스(18)의 선단 출력축인 요동 축(49)에 모종 이식 포크(16)를 부착하여, 요동 축(49)을 중심으로 하여 모종 이식 포크(16)를 요동시켜서 모종 이식 포크(16)의 선단을 모종 이식 궤적(A)으로 이동시켜, 제 1 로터리 케이스(17)의 1회전 시에 제 2 로터리 케이스(18)를 개재하는 2개의 모종 이식 포크(16)로 2회의 모종 이식을 행하여 고속 이식 작업을 용이하게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2 로터리 케이스(18)의 요동 축(49)(캠축(53))을 중심으로 하여 모종 이식 포크(16)를 요동시키는 요동 캠인 홈 캠(19)을 제 1 로터리 케이스(17)의 중앙에 마련하여, 모종 취출 및 모종 이식에 최적인 모종 이식 포크(16)의 요동을 용이하게 가능하게 하여 이식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중앙의 입력축(3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제 1 로터리 케이스(17)의 양단에 마련한 출력축(39)에 제 2 로터리 케이스(18)의 기단을 연결시켜서, 상기 제 2 로터리 케이스(18) 선단의 요동 축(49)을 측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정)삼각형 궤적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요동 축(49)을 중심으로 요동시키기 위해 상기 요동 축(49)에 모종 이식 포크(16)를 부착함으로써, 모종 이식 포크(16)를 모종 이식 궤적(A)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모종 이식 포크(16)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모종 이식 포크(16)로 협지하는 모종(N)의 압출을 행하는 모종 압출 부재(64)가 마련되어 있으며, 그 압출 동작을 행하기 위한 압출 캠(24)을, 상기 캠축(53) 상에서, 모종 이식 포크(16)를 통하여 로터리 케이스(17·18)와는 반대측 위치에 마련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 1 및 제 2 로터리 케이스(17·18)나 모종 이식 포크(16)의 좌우 폭 방향의 부착 치수 에 영향을 미치는 일 없이 간단히 압출 캠(24)을 끼워넣어, 콤팩트하고 또한 탈착이 용이한 구조로 모종(N)의 확실한 압출을 가능하게 하여 모종 이식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좌우의 모종 이식 포크(16)를 개폐동작시키는 포크 개폐 캠(22)도, 상기 캠축(53) 상에서, 모종 이식 포크(16)를 통하여 로터리 케이스(17·18)와는 반대측 위치에 마련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 1 및 제 2 로터리 케이스(17·18)나 모종 이식 포크(16)의 좌우 폭 방향의 부착 치수에 영향을 미치는 일 없이 간단히 개폐 캠(22)을 끼워넣어, 콤팩트하고 또한 탈착이 용이한 구조로 모종 이식 포크(16)의 확실한 개폐를 가능하게 하여 모종 이식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대표적인 것은 보행형 야채 이식기이나, 모종 트레이를 탑재하는 모종 탑재대와, 상기 모종 트레이로부터 모종을 논밭에 이식하는 모종 이식 포크를 구비하는 것이면 되며, 또한 심는 모종은 야채의 모종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청구 범위에서 기술되는 구성으로 이식 가능한 모종이면 된다.

Claims (5)

  1. 모종 이식 포크는 회전하는 로터리 부재의 회전 단부에 상하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로터리 부재를 제1 로터리 부재와 제2 로터리 부재에 의해 구성하고,
    회전 지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 로터리 부재의 회전단에 제2 로터리 부재의 기단을 회전 가능하게 부착하고,
    상기 제2 로터리 부재의 선단에 상기 모종 이식 포크의 요동 지지점을 마련하고, 상기 요동 지지점에 상기 모종 이식 포크를 부착하며,
    상기 모종 이식 포크에 의해 모종 탑재대 위의 모종 트레이로부터 모종을 취출하여 상기 모종 이식 포크에 의해 논밭에 이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 이식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터리 부재의 한 방향에서의 회전과 상기 제2 로터리 부재의 상기 제1 로터리 부재에 대한 반대 방향의 회전의 조합에 의해 상기 모종 이식 포크의 1회분의 모종 취출·이식 행정의 궤적을 구성하고,
    상기 행정 중에서의 상기 모종 이식 포크의 요동 지지점의 궤적은 상기 제1 로터리 부재의 회전 지지점을 중심으로 정삼각형상의 궤적을 그리게 되고,
    상기 제1 로터리 부재와 제2 로터리 부재의 회전에 상기 요동 지지점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모종 이식 포크의 요동을 조합함으로써 상기 모종 이식 포크의 상기 모종 취출 운동 및 모종 이식 운동을 구현하고,
    상기 모종 이식 포크의 모종 이식 운동의 궤적은 삼각형의 3개의 꼭지점을 연결하는 선에 의해 형성되며, 그 일 정점(頂点)을 상기의 모종 이식 포크의 모종 트레이로부터의 모종 취출 운동에, 다른 일 정점을 상기 모종 이식 포크의 논밭으로의 이식 운동에 할당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 이식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종 이식 포크에, 상기 모종 이식 운동을 위해 상기 모종 이식 포크로부터 모종을 압출하기 위한 모종 압출 부재를 마련하고,
    상기 모종 압출 부재를 구동하는 모종 압출 캠을, 상기 모종 이식 포크의 요동 지지점축 방향으로, 상기 모종 이식 포크를 개재하여, 상기 제1·제2 로터리 부재와 반대측에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 이식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종 이식 포크를 개폐가능하게 하고,
    상기 모종 이식 포크를 개폐 구동하기 위한 포크 개폐 캠을, 상기 모종 이식 포크의 요동 지지점축 방향으로, 상기 모종 이식 포크를 개재하여, 상기 제1·제2 로터리 부재와 반대측에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 이식기.
  5. 삭제
KR1020057017650A 2003-03-20 2004-03-10 야채 이식기 KR1010407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76923 2003-03-20
JPJP-P-2003-00076923 2003-03-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1393A KR20050111393A (ko) 2005-11-24
KR101040785B1 true KR101040785B1 (ko) 2011-06-13

Family

ID=33027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7650A KR101040785B1 (ko) 2003-03-20 2004-03-10 야채 이식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061324B2 (ko)
KR (1) KR101040785B1 (ko)
CN (1) CN100349504C (ko)
WO (1) WO200408236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04402A (zh) * 2015-02-01 2015-05-13 浙江大学 苗盘苗移栽的电动机械爪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49386A (zh) * 2011-09-01 2012-02-15 黑龙江八一农垦大学 一种适用于植质钵育秧盘的旱田移栽机传动机构
KR101586851B1 (ko) 2013-11-26 2016-01-20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보행형 양파 자동정식기
JP6717275B2 (ja) * 2017-09-19 2020-07-01 井関農機株式会社 作業車両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6411A (ja) 2000-06-05 2001-12-18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野菜移植機
JP2002335715A (ja) 2001-05-16 2002-11-26 Kubota Corp 移植機の苗取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97792B2 (ja) * 1987-12-17 1998-01-14 井関農機株式会社 歩行型苗移植機
JP4167362B2 (ja) * 1999-10-08 2008-10-15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野菜移植機
JP4167365B2 (ja) * 1999-10-12 2008-10-15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野菜移植機
JP4126142B2 (ja) * 2000-01-20 2008-07-30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野菜移植機
JP2001204207A (ja) * 2000-01-20 2001-07-31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野菜移植機
JP4303397B2 (ja) * 2000-05-02 2009-07-29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野菜移植機
JP4454133B2 (ja) * 2000-10-02 2010-04-21 ヤンマー株式会社 野菜移植機
JP3821738B2 (ja) * 2002-03-20 2006-09-13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野菜移植機
JP2004049068A (ja) * 2002-07-18 2004-02-19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野菜移植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6411A (ja) 2000-06-05 2001-12-18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野菜移植機
JP2002335715A (ja) 2001-05-16 2002-11-26 Kubota Corp 移植機の苗取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04402A (zh) * 2015-02-01 2015-05-13 浙江大学 苗盘苗移栽的电动机械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49504C (zh) 2007-11-21
CN1761390A (zh) 2006-04-19
JP4061324B2 (ja) 2008-03-19
WO2004082365A1 (ja) 2004-09-30
KR20050111393A (ko) 2005-11-24
JPWO2004082365A1 (ja) 2006-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0785B1 (ko) 야채 이식기
JP3115292B1 (ja) 苗移植装置
JP2006141367A (ja) 移植機
JP2000102306A (ja) 野菜移植機の移植部
JP3942749B2 (ja) 野菜移植機の移植装置
JP4018043B2 (ja) 移植機
JP4010501B2 (ja) 野菜移植機
JP2005269932A (ja) 移植機
JP2010051271A (ja) ニンニク等の球根植付け装置
JP3514705B2 (ja) 移植機の植付装置
JP4003998B2 (ja) 野菜移植機
JP3821738B2 (ja) 野菜移植機
JP2003274709A (ja) 野菜移植機
JP3821737B2 (ja) 野菜移植機
JP5223442B2 (ja) 野菜苗移植機
JP4562495B2 (ja) 田植機におけるロータリー式苗植付け機構
JP4056058B2 (ja) 野菜移植機
JP2003274713A (ja) 野菜移植機
JP2001112317A (ja) 苗移植装置
JP3859367B2 (ja) 野菜移植機の苗取り駆動部の支持構成
JP4220927B2 (ja) 乗用型移植機
JP2003274710A (ja) 野菜移植機
JP4018041B2 (ja) 移植機の植付カップ駆動機構
JP3689149B2 (ja) 苗移植機
JP3321854B2 (ja) 間歇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