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4945B1 - 용기, 포장체 및 용기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용기, 포장체 및 용기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4945B1
KR101034945B1 KR1020057019038A KR20057019038A KR101034945B1 KR 101034945 B1 KR101034945 B1 KR 101034945B1 KR 1020057019038 A KR1020057019038 A KR 1020057019038A KR 20057019038 A KR20057019038 A KR 20057019038A KR 101034945 B1 KR101034945 B1 KR 101034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ayer
opening
sealing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9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2124A (ko
Inventor
히로유키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112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2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4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4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 B65D77/2028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 B65D77/2032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by peeling or tearing the cover from the container
    • B65D77/2044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by peeling or tearing the cover from the container whereby a layer of the container or cover fails, e.g. cohesive fail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bags
    • B65D25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25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 B65D2577/2025Multi-layered container, e.g. laminated, co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bags
    • B65D25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25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 B65D2577/2041Pull tabs
    • B65D2577/205Pull tabs integral with the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bags
    • B65D25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25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 B65D2577/2075Lines of weakness or apertures
    • B65D2577/2083Lines of weakness or apertures in container fl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용기(6)는 다층 시트를 열성형한 것이고, 용기 본체(65)와 이 용기 본체(65)의 개구부 주연부에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64)를 구비하고 있다. 플랜지부(64)의 외측 단부면에는 제 1 층(60A)의 단부(601A)가 박리성 면(H)의 단부 가장자리(H1)를 넘어서 저면부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용기(6)의 플랜지부(64)에 커버재를 열밀봉했을 때에, 밀봉 수지가 플랜지부(64) 단부면까지 용출해도, 박리성 면(H)의 단부 가장자리(H1)가 제 1 층(60A)의 단부(601A)에 의해 덮여 있기 때문에, 박리성 면(H)의 단부 가장자리에는 밀봉 수지가 부착되지 않는다.

Description

용기, 포장체 및 용기의 제조 방법{CONTAINER, PACKAGING BOD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ONTAINER}
본 발명은 다층 시트를 성형하여 이루어지고, 밀봉성과 개봉 용이성을 양립 가능하게 한 용기, 이 용기를 구비한 포장체, 용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젤리, 프림 등의 각종 식품류의 포장에는, 일반적으로 용기와 커버재를 구비한 포장체가 사용되고 있다. 이 포장체에 사용되는 용기는 시트를 열성형한 것이고, 식품류 등을 충전한 후, 용기의 개구부 주연부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플랜지부에 커버재가 열밀봉(용착)된다.
이와 같은 포장체는 내용물의 보존·수송 등의 관점에서는, 강고히 열밀봉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밀봉성). 그러나, 커버재를 개봉하여 사용할 때에는, 커버재를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개봉 용이성). 그 때문에, 이상 설명한 밀봉성 및 개봉 용이성이라는 상반되는 특성을 만족시키는 포장체가 요구되고 있다.
이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서, 예컨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층 시트 로 용기(100)를 형성하고, 플랜지부(101)의 최내층(100A)과 커버재(7)를 열밀봉하며, 커버재(7)를 박리할 때에, 최내층(100A)과 이 최내층(100A)에 인접하는 다음 층(100B) 사이에서 층간 박리를 발생시켜서, 최내층(100A)을 커버재(7)와 함께 박리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 공보 제 93-67509호, 제 1 페이지 ~ 제 4 페이지, 도 1, 도 2 등 참조).
이와 같은 방법은 매우 우수한 포장 방법이지만, 최내층(100A)과 커버재(7)의 열밀봉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고온, 고압으로 열밀봉한 경우, 최내층(100A)의 수지의 종류, 커버재(7)의 수지의 종류, 이러한 수지의 용융 점도 등에 따라서는, 밀봉 수지가 플랜지부(101)의 단부면측으로 용출하고, 다음 층(100B)상에 형성되는 박리성 면(H)의 단부 가장자리를 덮어버리기 때문에, 층간 박리에 의한 최내층(100A)의 박리가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좁은 범위에서 열밀봉 조건을 제어하지 않으면, 충분한 밀봉성, 개봉 용이성을 확보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고온, 고압에서 커버재를 열밀봉하고 밀봉성을 높여도 개봉 용이성을 유지할 수 있는 용기, 포장체, 용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용기는, 내층에 박리성 면을 갖는 다층 시트를 성형하여 이루어지고, 피포장물 수납용의 개구부 주연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한 용기로서, 상기 플랜지부의 외측 단부면에는, 이 플랜지부 상면을 포함하는 용기 내측에 배치되는 최내층의 단부가 이 플랜지부에 형성되는 박리성 면의 단부 가장자리를 넘어서 용기 바닥부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박리성 면은 최내층과 이 최내층에 인접하는 다음 층 사이에 층간 박리가 생김으로써 형성되는 것이 아닐 수도 있고, 또한 다음 층내에서 응집 파괴가 생김으로써 형성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최내층내에서 응집 파괴가 생김으로써 형성되는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최내층과 다음 층의 사이에서 층간 박리가 일어나는 경우에는, 용기의 플랜지부의 최내층에 열밀봉된 커버재를 벗기면, 최내층이 커버재와 함께 박리되게 된다. 또한, 최내층이 층내에서 응집 파괴를 일으키는 경우에는, 커버재를 벗기면, 최내층이 층내에서 파괴되어서, 커버재와 함께 박리되게 된다. 또한, 다음 층이 층내 응집 파괴를 일으키는 것인 경우에는, 커버재를 벗기면, 다음 층과 함께 커버재에 열밀봉된 최내층이 박리되게 된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박리성 면이란, 플랜지부의 연장 방향을 따르는 면을 말하고, 예컨대 최내층이 다음 층과의 사이에서 층간 박리를 일으키는 경우에, 용기 바닥부측으로 연장된 최내층의 단부가 다음 층으로부터 박리됨으로써 형성되는 면은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또한, 최내층과 다음 층과의 사이에서 층간 박리가 생기는 경우, 층간 박리의 박리 강도가 3 ~ 15N/15㎜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최내층을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함유하는 층으로 하고, 다음 층을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폴리에틸렌계 수지가 50:50 ~ 97:3의 비율로 포함되는 수지 조성물을 함유하는 층으로 하는 것이 고려된다.
다음 층이나 최내층이 층내에서 응집 파괴를 일으키는 경우, 이 다음 층, 최내층은 다른 강도의 어느 필름에 강고하게 접착하여 박리 시험을 실행하면, 층내에서 파괴가 일어나고, 박리 강도가 25N/15㎜ 이하로 되는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JIS K 6854).
다음 층이나 최내층이 층내에서 응집 박리를 일으키는 경우에는, 예컨대 다음 층, 최내층을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예컨대 탄성률이 200㎫ 이하, 특히 150㎫ 이하인 엘라스토머, 연질 수지 또는 비상용성 수지 등을 함유하는 층으로 할 수 있다.
연질 수지나 엘라스토머는 폴리 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중에 3 ~ 50 중량% 정도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폴리 올레핀계 수지 조성물로는, 특히 제한은 없고, 호모 폴리프로필렌, 랜덤 폴리프로필렌, 블록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고밀도 폴리에틸렌,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상(直鎖狀)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예시할 수 있다.
연질 수지로는, 예컨대 에틸렌 극성 비닐 화합물계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예컨대,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EAA), 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EMA),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EMAA), 에틸렌-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EMMA),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EEA),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무수 말레인산 공중합체(EEA-MAH), 아이오노머 수지 등의 공지의 에틸렌-아크릴산계 공중합체, 에틸렌-초산 비닐 공중합체, 혹은 스티렌 그래프트 폴리프로필렌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엘라스토머로는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비결정성의 에틸렌과 프로필렌, 부텐 등의 α-올레핀과의 밀도 9OO㎏/㎥ 이하의 공중합체 등),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스티렌-부타디엔 블록계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계 랜덤 공중합체 등), 이러한 수소 첨가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최내층의 단부가 박리성 면의 단부 가장자리를 넘어서 용기 바닥부측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박리성 면의 단부 가장자리는 플랜지부의 외측 단부면에 있어서 노출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커버재를 플랜지부에 열밀봉할 때에, 밀봉 수지가 플랜지부 단부면까지 용출한 경우에도, 이 밀봉 수지가 박리성 면의 단부 가장자리에 부착되지 않고, 밀봉 수지의 용출에 의한 개봉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개봉 용이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밀봉 수지가 플랜지부의 단부면에 용착한 경우에도 개봉 용이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고온, 고압으로 열밀봉을 실행할 수 있고, 높은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의 최내층의 단부의 연장 치수는, 상기 플랜지부에 있어서의 최내층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박리성 면간의 치수의 1.2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최내층의 단부의 연장 치수를 최내층의 상면 및 상기 박리성 면간의 치수의 1.2배 이상으로 함으로써, 확실하게 밀봉 수지가 박리성 면의 단부 가장자리에 용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박리성 면은 최내층 및 이 최내층에 인접하는 다음 층간에서의 층간 박리 또는, 상기 다음 층내에서 생기는 응집 파괴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의 최내층에는 상기 개구부를 따라 고리 형상의 노치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내층에 개구부를 따라 고리 형상의 노치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용기에 커버재를 용착하고 커버재를 벗기면, 최내층의 노치보다도 외주측 부분이 커버재와 함께 용이하게 박리되게 되고, 이로써 개봉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포장체는, 상술한 어느 한 용기와, 상기 용기의 플랜지부에 용착되는 커버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포장체는 상술한 어느 한 용기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고온, 고압에서 커버재를 열밀봉하고 밀봉성을 높여도 개봉 용이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커버재를 용착하는 밀봉 수지가 적어도 커버재 개봉 부분에 있어서 상기 최내층의 단부 외면까지 용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온, 고압에서 커버재와 용기를 열밀봉하고, 밀봉 수지가 최내층의 단부 외면까지 용출하는 경우에도, 박리성 면의 단부 가장자리는 최내층의 단부로 덮여 있기 때문에, 밀봉 수지의 용출에 의해 포장체의 개봉이 어려워지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용기의 플랜지부에는 고리 형상의 노치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재는 상기 노치로부터 0.2㎜ 이상 외주측에 용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장체의 내압이 높아지면, 커버재와 플랜지부의 열밀봉 부분 중, 내주측의 부분에 응력이 집중되게 되지만, 커버재는 노치로부터 0.2㎜ 외주측에 용착되어 있기 때문에, 노치에는 응력이 거의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내압성이 우수한 포장체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재는 개봉 태브(tab)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용기의 플랜지부 및 커버재는 상기 개구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소정폭의 제 1 밀봉부와, 이 제 1 밀봉부의 영역 내부에 제 1 밀봉부를 따라 상기 개구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밀봉부보다도 폭이 좁은 제 2 밀봉부에 의해 용착되며, 상기 커버재의 개봉 태브를 따르는 위치에는, 상기 제 2 밀봉부의 밀봉 수지가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최내층의 단부 외면까지 용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 1 밀봉부의 폭은 2 ~ 20㎜ 정도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3 ~ 10㎜ 정도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밀봉부의 폭은 0.5 ~ 6㎜ 정도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1 ~ 4㎜ 정도가 바람직하다.
플랜지부 및 커버재는 개구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 1 밀봉부와, 이 제 1 밀봉부의 영역내에 형성된 제 2 밀봉부로 용착되어 있기 때문에, 포장체의 높은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개봉 태브를 따르는 위치에서는, 제 2 밀봉부의 밀봉 수지가 플랜지부의 최내층의 단부면까지 용출하고 있고, 이 제 2 밀봉부는 제 1 밀봉부의 영역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개봉시의 힘이 제 1 밀봉부의 영역내에 전달되어, 용이하게 커버재를 개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기의 제조 방법은 내층에 박리성 면을 갖는 다층 시트를 성형하여 이루어지고, 피포장물을 수납하는 개구부를 갖는 용기 본체와, 이 용기 본체의 개구부 주연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박리성 면이 형성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한 용기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다층 시트에 상기 용기 본체를 형성한 후, 이 용기 본체의 내측에 배치된 최내층과는 반대측의 면에 펀칭 금형을 배치하여, 상기 다층 시트의 플랜지부에 해당하는 부분의 외주를 펀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플랜지부 외주를 펀칭할 때에, 펀칭 금형을 접근시키도록 하여 펀칭하도록 할 수도 있고, 성형된 다층 시트를 지지하여 펀칭 금형에 접근시킴으로써 플랜지부 외주를 펀칭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다층 시트의 최내층측에 배치한 지지대 등에 의해, 다층 시트의 플랜지부에 해당하는 부분의 외측을 지지하고, 플랜지부에 해당하는 부분의 최외층측에 펀칭 금형을 배치한다. 그리고, 펀칭 금형과 지지대 등으로 다층 시트를 끼워서, 플랜지부 외주를 절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 본체의 최내층과 반대측의 면에 펀칭 금형을 배치하여, 플랜지부 외주를 펀칭함으로써, 플랜지부의 외측 단부면에서는, 최내층의 단부가 플랜지부에 형성되는 박리성 면의 단부 가장자리를 넘어서 용기 바닥부측으로 연장되게 된다. 플랜지부에 형성되는 박리성 면의 단부 가장자리가 최내층의 단부에 덮여지게 되므로, 용기의 플랜지부에 커버재를 용착시킬 때에, 밀봉 수지가 용출한 경우에도, 박리성 면의 단부 가장자리에는 밀봉 수지가 부착되지 않는다. 따라서, 밀봉 수지의 용출에 의해 개봉을 방해할 수 없고, 커버재와 용기를 고온, 고압으로 열밀봉시킬 수 있고, 폭넓은 밀봉 조건하에서 개봉 용이성을 유지하면서, 높은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는 용기를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다층 시트의 상기 플랜지부에 해당하는 부분의 외측을 지지하고, 상기 펀칭 금형을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다층 시트의 플랜지부에 해당하는 부분의 외측을 지지하고, 펀칭 금형을 작동시킴으로써, 다층 시트가 느슨해지지 않기 때문에, 정확하게 용기를 펀칭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다층 시트의 상기 플랜지부에 해당하는 부분의 외측을 지지할 때에, 상기 최내층의 반대 방향으로부터 가압하여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다층 시트의 플랜지부 외측에 해당하는 부분을 지지할 때에, 최내층의 반대 방향으로부터 가압하여 지지함으로써, 펀칭후에 지지하고 있던 부분으로부터, 신속하게 이간시킬 수 있고, 연속적으로 펀칭을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층 시트에 형성된 용기 본체의 개구부를 하향으로 하고, 상기 펀칭 금형을 하강시켜서 펀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개구부를 하향으로 하고, 펀칭 금형을 하강시켜서 펀칭함으로써, 펀칭된 용기는 자중으로 낙하되게 된다. 그 사이에, 새로운 다층 시트를 교체하여 펀칭하도록 하면, 연속적으로 펀칭 공정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용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상기 도 1의 용기의 단면도,
도 3은 상기 용기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포장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상기 포장체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상기 포장체를 커버재의 상면측에서 본 평면도,
도 7은 상기 포장체의 개봉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상기 실시 형태에서 사용하는 펀칭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9는 종래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용기(6)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용기(6)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용기(6)는 젤리, 프림 등의 각종 식품류 등을 수납하는 것이고, 원형 형상의 저면부(61), 이 저면부(61)로부터 상승되어서 일체 성형된 원통 형상의 측면부(62) 및 저면부(61)와 대향 배치된 개구부(63)를 갖는 용기 본체(65)와, 이 용기 본체(65)에 일체 성형된 플랜지부(64)를 구비하고 있다.
용기(6)는 7층 구조의 다층 시트(2)(도 8 참조, 또한 도 8에 있어서는 층구성을 생략하고 있음)를 열성형한 것이고, 용기(6)의 내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 1층(최내층)(60A), 제 2층(60B), 제 3층(60C), 제 4층(60D), 제 5층(60E), 제 6층(60F), 제 7층(60G)으로 되어 있다.
최내층인 제 1층(60A)은 후술하는 커버재(7)와 열밀봉되는 것이기 때문에, 열밀봉이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것이면 좋고, 예컨대 폴리올레핀계 수지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함유하는 것으로 한다.
제 2층(60B)은 최내층에 인접하는 다음 층이고, 후술하는 커버재(7)를 벗길 때에, 제 1층(60A)과 제 2층(60B) 사이에서는 층간 박리가 일어난다. 따라서, 제 2층(60B)은 제 1층과의 사이에서 층간 박리를 일으키는 수지이면 무방하지만, 예컨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폴리에틸렌계 수지가 50:50 ~ 97:3 비율인 수지 조성물을 함유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제 3층(60C)은 예컨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함유하는 층이고, 기재층으로 되는 것이다.
제 4층(60D)은 제 3층(60C)과 제 5층(60E)을 접착하기 위한 접착층이고, 접착성의 수지를 함유한다.
제 5층(60E)은 가스 베리어(gas barrier)성의 층이고, 예컨대 에틸렌비닐알콜 공중합체를 함유한다.
제 6층(60F)은 제 5층(60E)과 제 7층(60G)을 접착하기 위한 층이고, 제 4층(60D)과 같이, 접착성의 수지를 함유한다.
제 7층(60G)은 용기(6)의 최외층으로 되는 층이고, 예컨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함유한다.
플랜지부(64)에는 개구부(63)의 주연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것이고, 도 3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부(63)를 둘러싸도록 하여, 제 1 층(60A)에 단면에서 보아 대략 V자형 형상의 노치(64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부(64)의 외측 단부면에서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층(60A)의 단부(601A)가 저면부(61)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이 단부(601A)의 연장 방향 선단부는 제 1층(60A) 및 제 2층(60B) 사이에 형성되는 박리성 면(H)의 단부 가장자리(H1)를 넘어서 제 3층(60C)까지 이르고 있다. 이 단부(601A)의 연장 치수(L1)는 제 1층(60A)의 상면과, 제 2층(60B)의 상면에 형성되는 박리성 면(H)과의 사이의 거리(L2)의 1.2배 이상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도 4 ~ 도 7을 참조하여, 이러한 용기(6)를 이용한 포장체(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장체(1)는 용기(6)와 이 용기(6)의 플랜지부 (64)에 용착되어, 개구부(63)를 덮는 커버재(7)를 구비하고 있다.
커버재(7)는 시트를 대략 원형 형상으로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이고, 커버재(7)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대략 반원형상의 개봉 태브(75)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커버재(7)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64)에 열밀봉되는 실런트층(70A)과, 실런트층(70A)과 이 실런트층(70A)에 접착 수지층(70B)을 거쳐서 접착되는 기재층(70C)을 구비하고 있다.
실런트층(70A)은 플랜지부(64)와 열밀봉 가능한 수지층이면 좋고, 예컨대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함유하는 층이다. 또한, 기재층(70C)은 예컨대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 수지를 함유하는 것이다.
이러한 커버재(7)를 용기(6)의 플랜지부(64)에 용착하면, 플랜지부(64)의 상면[제 1층(60A)]에 열밀봉부(641)가 형성된다. 이 열밀봉부(641)는, 도 6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부(63)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소정폭의 원형 고리 형상의 제 1 밀봉부(641A)와, 이 제 1 밀봉부(641A)의 영역내에 제 1 밀봉부(641A)를 따라 개구부(63)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원형 고리 형상의 제 2 밀봉부(641B)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밀봉부(641A)는, 도 5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치(64A)로부터 0.2㎜ 이상, 바람직하게는 0.5 ~ 5㎜ 정도 외주측[즉, 제 1 밀봉부(641A)의 내주연과, 노치(64A)의 간격(t)이 0.2㎜ 이상, 바람직하게는 0.5 ~ 5㎜ 정도가 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커버재(7)는 플랜지부(64)의 노치(64A)로부터 0.2㎜ 이상 외주측에 용착되게 된다.
제 2 밀봉부(641B)는 제 1 밀봉부(641A)의 폭 방향 중 중심 부분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폭 치수는 제 1 밀봉부(641A)보다 좁게 되어 있다. 예컨대, 제 1 밀봉부(641A)의 폭치수는 2 ~ 20㎜, 바람직하게는 3 ~ 10㎜이고, 제 2 밀봉부(641B)의 폭은 0.5 ~ 6㎜, 바람직하게는 1 ~ 4㎜이다.
또한, 제 2 밀봉부(641B)는 커버재(7)의 개봉 태브(75)에 대응하는 위치에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 밀봉부(641C)를 갖고 있다. 연장 밀봉부(641C)는 제 2 밀봉부(641B)의 밀봉 수지가 용출함으로써 형성된 것이다. 이 연장된 밀봉부(641C)는 개봉 태브(75)의 이면까지 연장되고, 또한 용기(6)의 제 1층(60A)의 단부(601A)의 단부면에까지 이르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장 밀봉부(641C)는 1개소만 형성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 형성해도 무방하다.
개봉 용이성 포장체(1)의 개봉에 있어서는, 도 7에 표시되는 바와 같이, 우선 개봉 태브(75)를 쥐고, 커버재(7)를 벗긴다. 이 때, 개봉 태브(75)로부터 전달되는 응력은 연장 밀봉부(641C)에 전달된다. 그리고, 제 1 층(60A) 중, 플랜지부(64)의 노치(64A)보다도 외주측 부분[단부(601A)를 포함함]이 커버재(7)측에 접착된 채로, 제 1층(60A)과 제 2층(60B)의 계면에서 박리한다.
이 때, 제 1층(60A)과 제 2층(60B)의 박리 강도는 15N/15㎜ 이하가 좋고, 바람직하게는 3 ~ 5N/15㎜이다. 이 박리 강도가 15N/15㎜를 초과하면, 제 1층(60A)과 제 2층(60B)의 사이에서 박리되기 어려워지고, 개봉 용이성을 확보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커버재(7)와 제 1층(60A)의 열밀봉부(641)와의 박리 강도는, 제 1층(60A)과 제 2층(60B)의 박리 강도보다 큰 것이 필요하고, 20N/15㎜ 이상, 바람직하게는 25N/1.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박리 강도가 20N/15㎜ 미만이면, 제 1층(60A)과 제 2층(60B)의 사이에서의 개봉 용이성을 확보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층(60A)의 단부(601A)는 커버재(7)와 함께 박리되는 것으로 했지만, 단부(601A)는 그 연장 방향 선단측의 두께가 얇아져 있기 때문에, 커버재(7)를 벗길 때의 힘에 의해 절단될 가능성도 있다. 즉, 단부(601A)의 선단 부분은 제 3층(60C)의 단부면으로부터 박리되지 않고, 제 3층(60C)의 단부면에 남는 경우도 있다.
이상과 같은 개봉 용이성 포장체(1)의 제조 순서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봉 용이성 포장체(1)의 제조 방법으로는, 예컨대 시트 성형으로부터 피포장물의 수납을 일관되게 실행하는 시스템(FormFieldSeal 시스템)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다층 시트(2)를 제조하는 시트 성형 공정과, 용기 본체(65)를 성형하는 용기 본체 성형 공정과, 다층 시트의 제 1층(60A)과는 반대측의 면으로부터 후술하는 펀칭 금형(92)(도 8 참조)을 작동시켜서 플랜지부(64) 외주를 펀칭하는 펀칭 공정과, 커버재(7)를 성형하는 커버재 성형 공정과, 성형된 용기(6)내에 식품 등의 피포장물을 수납하는 수납 공정과, 피포장물이 수납된 용기(6)와 커버재(7)를 열밀봉하는 열밀봉 공정을 구비하고 있다.
우선, 미리 T 다이 공압출 등에 의해 상기 7층 구조의 다층 시트(2)를 제조 한다(시트 성형 공정). 그리고, 도시하지 않지만, 용기 본체(65)의 외형 형상으로 형성된 공동(cavity)내에 플러그로 예비 신장하고, 그 후 공기 압축 혹은 진공 성형하는 플러그 어시스트 성형에 의해, 다층 시트(2)에 용기 본체(65)를 형성한다. 이 때,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64)에 해당하는 부분의 외측에 위치 결정용의 시트 위치 결정부(23)를 성형한다. 이 시트 위치 결정부(23)는 용기 본체(65)의 저면부(61)에 해당하는 부분측으로 돌출된 것이다(용기 본체 성형 공정).
다음에, 개봉을 위해서 형성되는 노치(64A)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고리 형상 날을 갖는 프레스 금형(도시 생략)을 플랜지부(64)에 해당하는 부분의 상면에 가압함으로써 노치(64A)를 형성한다. 여기서, 고리 형상 날로는 금속제의 날이나 가열 기능을 구비하는 가열 날 등을 들 수 있다.
다음에, 다층 시트(2)의 플랜지부(64)에 해당하는 부분의 외측을 펀칭한다. 여기서, 이 펀칭 공정에서 사용하는 펀칭 장치(9)를 설명한다.
펀칭 장치(9)는,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다층 시트(2)[용기본체(65) 성형 완료]의 양면으로부터 다층 시트(2)의 플랜지부(64)에 해당하는 부분의 외측을 삽입하는 시트 삽입부(91)와, 이 시트 삽입부(91)에 삽입된 다층 시트(2)의 제 1층(60A)의 반대측으로부터 접근하여 플랜지부(64)의 외측을 펀칭하는 펀칭 금형(92)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시트 삽입부(91)는 설치대 등에 고정되고, 이 다층 시트(2)의 플랜지부(64) 외측에 해당하는 부분을 하측으로부터 지지하는 시트 지지대(911)와, 시트 지지대(911)의 상측에 배치되고, 다층 시트(2)의 플랜지부(64) 외측에 해당하는 부분을 시트 지지대(911)와 함께 삽입하는 펀칭 금형 가이드(91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시트 지지대(911)는 내면이 펀칭 금형(92)의 외주면과 대응하는 금속제의 단면에서 보아 대략 원형의 링 형상 부재이다.
펀칭 금형 가이드(912)는 시트 지지대(911)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간·접근 가능하게 되고, 금속제의 단면에서 보아 대략 원형의 링형상 부재인 가이드 본체(9121)와, 가이드 본체(9121)의 시트 지지대(911)측의 외주연을 따라 설치된 가압부(912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 본체(9121)는 그 내면이 펀칭 금형(92)의 외주면과 대응하고 있다.
가압부(9122)는 고무 등의 가압 부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시트 지지대(911) 및 펀칭 금형 가이드(912)는 동일한 내경 및 외경을 갖고 있다.
한편, 펀칭 금형(92)은 금속제의 용기 형상 부재이고, 다층 시트(2)의 플랜지부(64)에 해당하는 부분의 외측을 펀칭하는 것이다. 이 펀칭 금형(92)은 원형 형상의 저면부(921)와, 이 저면부(921)로부터 상승시켜서 일체 형성되는 원통형의 측면부(922)를 구비한 것이고, 저면부(921)에 대향한 면에는 원형 형상의 개구부(923)가 형성되어 있다.
이 펀칭 금형(92)은 시트 삽입부(91)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고, 펀칭 금형(92)의 외형 크기는 용기(6)의 플랜지부(64)의 외형 크기와 대략 동일하다. 또한, 펀칭 금형(92)의 내경은 용기(6)의 개구부(63)의 직경보다도 크고, 플랜지부(64)의 외형 크기보다도 작다.
또한, 측면부(922)의 개구부(923)측의 단부면(922A)은 개구부 내측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외측 단부 가장자리를 향해서 하방으로 경사져있다. 따라서, 다층 시트(2)를 펀칭할 때에는, 측면부(922)의 단부면(922A)의 외측 단부 가장자리와, 시트 지지대(911)의 상면의 내주측 단부 가장자리로 다층 시트(2)가 삽입되어서, 플랜지부(64)의 외주측이 절단된다.
이상과 같은, 펀칭 장치(9)를 이용하여 이하와 같이 펀칭 공정을 실행한다.
우선,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다층 시트(2)의 시트 위치 결정부(23)를 시트 지지대(911)의 외측 단부 가장자리에 접촉시켜서, 다층 시트(2)의 설치 위치를 위치 결정하고, 용기 본체(65)의 개구부(63)를 하향으로 하여, 시트 지지대(911)상에 배치한다.
다음에, 시트 지지대(911)상에 배치된 다층 시트(2)의 상측으로부터 펀칭 금형 가이드(912)를 접근시키고, 가압부(9122)가 다층 시트(2)의 제 7층(60G)측[제 1층(60A)과 반대측]에 접촉하며, 다층 시트(2)가 가압된다. 그리고, 시트 지지대(911) 및 펀칭 금형 가이드(912)로 다층 시트(2)의 양면[제 7층(60G) 및 제 1층(60A)측]으로부터 다층 시트(2)의 플랜지부(64) 외측에 해당하는 부분을 삽입 지지한다.
또한, 펀칭 금형 가이드(912)측으로부터, 즉 지지된 다층 시트(2)의 상방[제 7층(60G)측]으로부터 펀칭 금형(92)을 하강시켜서, 다층 시트(2)의 플랜지부(64)에 해당하는 부분의 외주측을 펀칭하고, 이로써 용기(6)를 얻는다(펀칭 공정).
다음에, 성형된 용기(6)의 개구부(63)로부터 식품 등의 내용물을 공지된 충전 장치, 수납 장치 등을 사용하여 수납한다(수납 공정).
또한, 미리 용기(6)의 플랜지부(64)의 형상·크기에 따라 수지제의 시트를 절단하여 형성한 커버재(7)를 용기(6)의 플랜지부(64)에 열밀봉한다.
여기서, 커버재(7)와 용기(6)의 열밀봉에 사용하는 열밀봉 장치는 범용되는 장치이고, 용기(6)를 받는 밀봉 버켓과, 시트 형상의 커버재(7)를 보내는 커버 이송 장치와, 상하로 이동하여 커버재(7)와 용기(6)의 플랜지부(64)를 밀봉하기 위한 열밀봉 링을 구비한 것이다(도시 생략).
또한, 이 열밀봉 링은 도시는 생략하지만, 용기(6)의 개구부(63)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 1 밀봉부(641A)를 형성하기 위한 제 1 열밀봉 링과, 제 2 밀봉부(641B)를 형성하는 제 2 열밀봉 링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우선, 폭이 넓은 제 1 열밀봉 링으로 커버재(7)와 플랜지부(64)의 열밀봉을 실행하고, 그 후 제 2 열밀봉 링으로 열밀봉을 실행한다.
또한, 열밀봉 온도는 160 ~ 220℃으로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밀봉 시간은 1.5초 정도이다(열밀봉 공정).
이상과 같이 하여, 개봉 용이성 포장체(1)가 제조된다.
이러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1)제 1층(60A)의 단부(601A)가 박리성 면(H)의 단부 가장자리(H1)를 넘어서 용기 저면부(61)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박리성 면(H)의 단부 가장자리(H1)는 플랜지부(64)의 외측 단부면에 있어서 노출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커버재(7)를 플랜지부(64)에 열밀봉할 때에, 밀봉 수지가 플랜지부(64)의 단부면까지 용출해도, 이 수지가 박리성 면(H)의 단부 가장자리(H1)에 부착되지 않는다. 이로써, 밀봉 수지의 용출에 의한 개봉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개봉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2)또한, 이와 같이, 밀봉 수지가 플랜지부(64)의 단부면에 용착한 경우에도 개봉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고온, 고압력으로 열밀봉을 실행할 수 있고, 높은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다.
(3)또한, 플랜지부(64)의 제 1층(60A)의 단부(60lA)의 연장 치수는 제 1 층(60A)의 상면 및 박리성 면(H)의 상면간의 1.2배 이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확실하게 밀봉 수지가 박리성 면(H)의 단부 가장자리(H1)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층(60A)의 단부(601A)는 제 3층(60C)까지도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다량의 밀봉 수지가 플랜지부(64) 단부면에 용출한 경우에도, 밀봉 수지가 제 1층(60A)의 단부(601A) 외면에만 부착되고, 다른 층의 단부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확실하게 개봉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4)플랜지부(64)의 제 1층(60A)에는 노치(64A)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재(7)의 개봉시에 노치(64A)의 외주측의 제 1 층(60A)을 커버재(7)와 함께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고, 이로써도 개봉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5)포장체(1)내의 내압이 높아지면, 커버재(7)와 용기(6)의 플랜지부(64)의 열밀봉부(641) 중, 내주측의 부분[제 1 밀봉부(641A)의 내주연 부분]에 응력이 집중되게 되지만, 제 1 밀봉부(641A)의 내주연 부분은 플랜지부(64)의 노치(64A)로부터 0.2㎜ 이상 외주측이기 때문에, 노치(64A)에는 응력이 거의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내압성에 우수한 포장체(1)로 할 수 있다.
(6)용기(6)의 플랜지부(64) 및 커버재(7)는 제 1 밀봉부(641A)와, 이 제 1 밀봉부(641A)의 영역내에 형성된 제 2 밀봉부(641B)로 용착되어 있기 때문에, 포장체(1)의 높은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다.
(7)또한, 개봉 태브(75)를 따르는 위치에서는, 제 2 밀봉부(641B)가 플랜지부(64)의 제 1층(60A)의 단부(601A)의 외면까지 용출하고 있고, 이 제 2 밀봉부(641B)는 제 1 밀봉부(641A)의 영역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개봉시의 힘이 제 1 밀봉부(641A)의 영역내에 전달되고, 용이하게 커버재(7)를 개봉할 수 있다.
(8)제 2 밀봉부(641B)의 연장 밀봉부(641C)는 커버재(7)의 개봉 태브(75)를 따르는 위치 이외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지만, 개봉 태브(75) 이외의 부분으로부터 커버재(7)가 개봉될 우려가 없다.
(9)또한, 용기(6)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는, 다층 시트(2)의 플랜지부(64)에 해당하는 부분의 제 7층(60G)측에 펀칭 금형(92)이 배치되고, 플랜지부(64)보다도 외측 부분에 밀봉 지지대(911)가 배치되어 있다. 펀칭 금형(92)과 시트 지지대(911)를 이러한 배치로 하고, 제 7층(60G)측으로부터 다층 시트(2)를 펀칭함으로써, 제 1층(60A)의 단부(60lA)를 용기 저면부(61)측으로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펀칭과 동시에 제 1층(60A)의 단부(601A)를 연장시키고 있고, 단부(601A)를 연장시키기 위한 공정을 별도로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용기(6)의 제조에 시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10)또한, 다층 시트(2)에 형성된 용기 본체(65)의 개구부(63)에 해당하는 부분을 하향으로 해서 펀칭하고 있기 때문에, 다층 시트(2)로부터 펀칭된 용기(6)는 자중으로 낙하되게 된다. 이 사이에, 다른 용기 본체(65)가 형성된 새로운 다층 시트(2)를 교체하여 펀칭하도록 하면, 연속적으로 펀칭 공정을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11)다층 시트(2)의 플랜지부(64)의 외측에 해당하는 부분을 지지하여 펀칭 금형을 작동시키고 있기 때문에, 다층 시트(2)가 느슨해지지 않고, 정확하게 용기를 펀칭할 수 있다.
또한, 다층 시트(2)의 플랜지부(64) 외측에 해당하는 부분을 지지할 때에, 제 1층(60A)의 반대 방향으로부터 가압하여 지지함으로써, 펀칭 후에 지지하고 있던 부분으로부터 신속하게 이간할 수 있고, 연속적으로 펀칭을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의 변형, 개량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용기(6)의 제 1층(60A)과 제 2층(60B)과의 사이의 층간 박리에 의해 커버재(7)와 제 1층(60A)이 함께 벗겨지는 구성을 하고 있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2층을 응집 파괴성의 수지층으로 하고, 제 2층내에서 응집 파괴가 일어나며, 제 2층 및 제 1층이 커버재와 함께 박리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제 1층도 응집 파괴성의 수지층으로 하고, 제 2층의 응집 파괴 강도를, 제 1층의 응집 파괴 강도보다도 작게 하는 구성이 사료된다. 이 경우에는, 커버재를 벗길 때에, 제 2층에 응력이 집중되고, 제 2층내에서 응집 파괴가 일어나며, 제 1층이 커버재와 함께 박리된다.
또한, 제 1층을 응집 파괴성의 수지층으로 하고, 커버재(7)를 개봉할 때에, 제 1층내에서 응집 파괴가 일어나고, 제 1층이 커버재(7)와 함께 박리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응집 파괴를 일으키는 층으로는, 폴리 올레핀계 수지와, 예컨대 탄성률이 200㎫ 이하, 특히 150㎫ 이하인 엘라스토머, 연질 수지 또는 비상용성 수지 등을 함유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연질 수지나 엘라스토머는 폴리 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중에 3 ~ 50 중량% 정도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질 수지로는 예컨대, 에틸렌-극성 비닐 화합물계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예컨대,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EAA), 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EMA),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EMAA), 에틸렌-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EMMA),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EEA),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무수 말레인산 공중합체(EEA-MAH), 아이오노머 수지 등의 공지의 에틸렌-아크릴산계 공중합체, 에틸렌-초산 비닐 공중합체 혹은 스틸렌 그래프트 폴리프로필렌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엘라스토머로는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비결정성의 에틸렌과, 프로필렌, 부텐 등의 α-올레핀과의 밀도 9OO㎏/㎥ 이하의 공중합체 등), 스틸렌계 엘라스토머(스틸렌-부타디엔블록계 공중합체, 스틸렌-부타디엔계 랜덤 공중합체 등), 이러한 수분 첨가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폴리 올레핀계 수지로는 특히 제한은 없고, 호모 폴리프로필렌, 랜덤 폴리프로필렌, 블록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고밀도 폴리에틸렌,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용기(6)는 7층 구조의 다층 시트(2)를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이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커버재(7)를 박리할 때에, 박리성 면이 형성되는 다층 시트, 즉 내층에 박리성 면을 구비한 다층 시트이면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커버재(7)는 실런트층(70A), 접착 수지층(70B), 기재층(70C)과의 3층 구조의 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이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층 구조이어도 무방하고, 4층 이상의 구조의 시트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커버재(7)는 개봉 태브(75)를 구비하는 것으로 했지만, 개봉 태브는 없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하면, 커버재의 형상을 보다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커버재(7)와 용기(6)의 열밀봉부(641)는 제 1 밀봉부(641A)와 제 2 밀봉부(641B)를 구비한 2단 밀봉으로 되어 있었지만, 1단의 밀봉으로 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용기(6)는 커버재(7)와 고온, 고압으로 열밀봉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1단의 밀봉으로 한 경우에도 충분한 밀봉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용기(6)의 플랜지부(64)에 노치(64A)를 형성했지만, 노치(64A)를 형성하지 않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커버재(7)를 벗길 때에, 제 1층(60A)이 에지를 떨어뜨리는 것으로 하면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 1층(60A)의 단부(60lA)가 제 3층(60C)의 단부면까지 전부 연장되어 있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박리성 면(H)을 넘어서 저면부(61)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면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펀칭 공정은, 용기(6)의 제 1층(60A) 즉 개구부(63)를 하향으로 하여, 용기 본체(65)가 성형된 다층 시트(2)를 지지하고, 이 지지된 다층 시트(2)의 상방으로부터 펀칭 금형(92)을 하강시켜서 펀칭하고 있었지만, 이것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가로 방향으로 펀칭 금형(92)이 이동하여 다층 시트(2)를 펀칭하도록 할 수도 있고, 펀칭 금형(92)을 고정하고, 시트 지지대(91)를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이동시켜서 펀칭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을 실시할 때의 구체적인 구조 및 형상 등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내에서 다른 구조 등으로 할 수도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우선, 용기(6)의 성형에 사용하는 다층 시트(2)의 원료 수지로서, 이하의 수지를 사용하고, 공압출 성형에 의해 7층의 다층 시트(2)를 성형했다.
[1]제 1층(60A)(최내층)
[1-1]원료 수지:폴리에틸렌(HDPE-445M 이데미쯔 석유 화학 주식회사제)
[1-2]층의 두께:80㎛
[2]제 2층(60B)(다음 층)
[2-1]원료 수지:폴리프로필렌(E-105GM 이데미쯔 석유 화학 주식회사제) 80중량부, 폴리에틸렌(LDPE-fz-038 미쓰비시상사 주식회사제) 20중량부
[2-2]층의 두께:180㎛
[3]제 3층(60C)(기재층)
[3-1]원료 수지:폴리프로필렌(E-105GM 이데미쯔 석유 화학 주식회사제)
[3-2]층의 두께:350㎛
[4]제 4층(60D)
[4-1]원료 수지:변성 폴리 올레핀 접착성 수지(애드머 QF-500, 미쯔이 화학 주식회사제)
[4-2]층의 두께:10㎛
[5]제 5층(60E)
[5-1]원료 수지:에틸렌비닐알콜 수지(에발, 쿠라레 주식회사제)
[5-2]층의 두께:70㎛
[6]제 6층(60F)
[6-1]원료 수지:변성 폴리 올레핀 접착성 수지(애드머 QF-500, 미쯔이 화학 주식회사제)
[6-2]층의 두께:10㎛
[7]제 7층(60G)(용기 외면층)
[7-1]원료 수지:폴리프로필렌(E-105GM 이데미쯔 석유 화학 주식회사제)
[7-2]층의 두께:200㎛
이상의 구성의 7층 구조의 다층 시트(2)에 용기 본체(65)를 형성하고,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한 방법으로 용기(6)를 얻었다. 즉, 용기 본체(65)의 개구부(63)가 하방을 향하도록 다층 시트(2)를 배치하고, 제 7층(60G)측으로부터 펀칭 금형(92)을 하강시켜서, 다층 시트(2)를 펀칭하여, 용기(6)를 얻었다.
다음에, 커버재(두께 100㎛)를 제조했다. 이 커버재는 상기 실시 형태의 커버재(7)와 동일한 형상이지만, 층구성이 상이하고, 이하와 같이 되어 있다.
[1]기재층
[1-1]원료 수지: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PT4274, 미쯔이·듀폰폴리케미칼 주식회사제)
[1-2]층의 두께:16㎛
[2]접착층
[2-1]원료 수지:변성 폴리 올레핀 접착성 수지(애드머 QF-500, 미쯔이 화학 주식회사제)
[2-2]층의 두께:10㎛
[3]가스 베리어층
[3-1]원료 수지:에틸렌비닐알코올 수지(에발, 쿠라레 주식회사제)
[3-2]층의 두께:14㎛
[4]접착층
[4-1]원료 수지:변성 폴리 올레핀 접착성 수지(애드머 QF-500, 미쯔이 화학 주식회사제)
[4-2]층의 두께:10㎛
[5]실런트층
[5-1]원료 수지:폴리에틸렌(L-LDPE-0238CL, 이데미쯔 석유 화학 주식회사제)
[5-2]층의 두께:50㎛
이와 같은 커버재를 실런트층이 용기(6)의 플랜지부(64)의 제 1층(60A)과 접하도록 열밀봉했다. 열밀봉은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한 2단 밀봉[제 1 밀봉부(641A) 및 제 2 밀봉부(641B)로 구성되는 것]이고, 제 1 밀봉부(641A)의 폭은 5㎜, 열밀봉 시간은 1.5초이다. 또한, 열밀봉 온도는 160℃, 170℃, 180℃, 190℃, 200℃, 210℃ 및 220℃의 각 온도이다.
[비교예]
실시예와 동일한 원료 수지를 이용하여 얻어진 7층의 다층 시트(2)를 성형하여 용기(100)(도 9 참조)를 얻었다. 이 용기(100)는 그 크기 형상이 실시예의 용기(6)와 대략 동일한 것이지만, 다층 시트(2)로부터의 펀칭 방법이 상이하다. 즉, 비교예에 있어서는, 다층 시트(2)를 펀칭할 때에, 개구부(63)를 상향으로 하고, 제 1층(60A)측으로부터 펀칭 금형을 하강시켜서 펀칭했다.
또한, 실시예와 동일한 커버재를 실시예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용기(100)의 플랜지부(101)에 열밀봉했다.
[평가 방법]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각 열밀봉 온도에서 열밀봉한 포장체를 커버재 의 개봉 태브로부터 개봉하고, 개봉성의 평가를 실행했다. 이하의 표 1에 평가 결과를 도시한다.

열밀봉 온도(℃)
160 170 180 190 200 210 220
실시예 ×
비교예 × × ×
표 1 중, ○는 개봉성이 양호하고, ×는 커버재를 개봉할 수 없던 것을 나타낸다.
이 표 1에 의하면, 실시예에서는 160℃ 이외의 조건에서는, 개봉성이 양호하고, 210℃ 이상의 높은 온도로 열밀봉한 경우에 있어서도 개봉성이 양호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에서는 l70 ~ 200℃의 조건에서만 개봉성이 양호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비교예에서는, 210℃ 이상의 열밀봉에서는 밀봉 수지가 박리성 면(H)의 단부 가장자리에 부착되기 때문에(도 9 참조), 개봉이 어려워지는 것이다.
이상으로부터 실시예에서는 높은 온도로 열밀봉을 실행해도 개봉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은 다층 시트를 성형하여 이루어지고, 밀봉성과 개봉 용이성을 양립 가능하게 한 용기, 이 용기를 구비한 포장체, 용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고, 젤리, 프림 등의 각종 식품류의 포장에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1)

  1. 내층에 박리성 면을 갖는 다층 시트를 성형하여 이루어지고, 피포장물 수납용의 개구부 주연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한 용기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의 외측 단부면에서는, 이 플랜지부 상면을 포함하는 용기 내측에 배치되는 최내층의 단부가, 이 플랜지부에 형성되는 박리성 면의 단부 가장자리를 넘어서 용기 바닥부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의 최내층의 단부의 연장 치수는 상기 플랜지부에 있어서의 최내층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박리성 면간의 치수의 1.2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성 면은 최내층 및 이 최내층에 인접하는 다음 층간에서의 층간 박리 또는, 상기 다음 층내에서 생기는 응집 파괴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의 최내층에는 상기 개구부를 따르는 환형상의 노치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용기와, 상기 용기의 플랜지부에 용착되는 커버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커버재를 용착하는 밀봉 수지가 적어도 커버재 개봉 부분에 있어서, 상기 최내층의 단부 외면까지 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6. 제 4 항에 기재된 포장체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플랜지부에는 환형상의 노치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재는 상기 노치로부터 0.2㎜ 이상 외주측에 용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재는 개봉 태브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용기의 플랜지부 및 커버재는 상기 개구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소정폭의 제 1 밀봉부와, 이 제 1 밀봉부의 영역 내부에 제 1 밀봉부를 따라 상기 개구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밀봉부보다도 폭이 좁은 제 2 밀봉부에 의해 용착되며,
    상기 커버재의 개봉 태브를 따르는 위치에서는, 상기 제 2 밀봉부의 밀봉 수지가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최내층의 단부 외면까지 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8. 내층에 박리성 면을 갖는 다층 시트를 성형하여 이루어지고, 피포장물을 수납하는 개구부를 갖는 용기 본체와, 이 용기 본체의 개구부 주연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박리성 면이 형성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한 용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층 시트에 상기 용기 본체를 형성한 후,
    이 용기 본체의 내측에 배치된 최내층과는 반대측의 면에 펀칭 금형을 배치하고, 상기 다층 시트의 플랜지부에 해당하는 부분의 외주를 펀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제조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시트의 상기 플랜지부에 해당하는 부분의 외측을 지지하고, 상기 펀칭 금형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제조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시트의 상기 플랜지부에 해당하는 부분의 외측을 지지할 때에, 상기 최내층의 반대 방향으로부터 가압하여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제조 방법.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시트에 형성된 용기 본체의 개구부를 하향으로 하고, 상기 펀칭 금형을 하강시켜서 펀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제조 방법.
KR1020057019038A 2003-04-08 2004-04-07 용기, 포장체 및 용기의 제조 방법 KR1010349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04153A JP4146267B2 (ja) 2003-04-08 2003-04-08 容器、包装体及び容器の製造方法
JPJP-P-2003-00104153 2003-04-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2124A KR20050112124A (ko) 2005-11-29
KR101034945B1 true KR101034945B1 (ko) 2011-05-17

Family

ID=33156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9038A KR101034945B1 (ko) 2003-04-08 2004-04-07 용기, 포장체 및 용기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891516B2 (ko)
EP (1) EP1616811B1 (ko)
JP (1) JP4146267B2 (ko)
KR (1) KR101034945B1 (ko)
CN (1) CN100450768C (ko)
AT (1) ATE502872T1 (ko)
DE (1) DE602004031932D1 (ko)
WO (1) WO20040897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10357B2 (ja) * 2005-01-31 2011-01-12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易開封性容器の製造方法
JP2007118520A (ja) * 2005-10-31 2007-05-17 Kyoraku Co Ltd 多層構造体および多層容器
ES2350592T3 (es) * 2006-07-13 2011-01-25 Impress Metal Packaging Sa Tapa de recipiente con una membrana desprendible.
WO2008134174A1 (en) * 2007-04-25 2008-11-06 Ithink Packaging Solutions Reduced material container
EP2138422A1 (de) * 2008-06-27 2009-12-30 Teich Aktiengesellschaft Platine zum Verschliessen eines Bechers
JP5363785B2 (ja) * 2008-11-10 2013-12-11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多層シート、熱成形容器および易開封性包装体
JP5756411B2 (ja) * 2009-03-13 2015-07-29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容器用複合蓋
CA2762818C (en) 2009-05-21 2014-02-11 Zhiquan Q. Yan Hermetically sealed paperboard containers with enhanced barrier performance
US8430257B2 (en) * 2009-10-01 2013-04-30 Agilent Technologies, Inc. Dissolution test vessel with integral verticality control
JP5878683B2 (ja) * 2010-03-18 2016-03-08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易開封性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9023445B2 (en) 2011-10-14 2015-05-05 Kellogg North America Company Composite containers for storing perishable products
US8733550B2 (en) 2012-03-09 2014-05-27 Wki Holding Company, Inc. Nesting container lids with snap on wings
USD675057S1 (en) 2012-03-09 2013-01-29 Wki Holding Company, Inc. Lid
USD673807S1 (en) 2012-03-10 2013-01-08 Wki Holding Company, Inc. Container lid
USD673808S1 (en) 2012-03-10 2013-01-08 Wki Holding Company, Inc. Container lid
CA151964S (en) * 2013-03-15 2014-04-17 Dart Ind Inc Cover for a food container
JP6156634B2 (ja) * 2013-07-01 2017-07-05 サントリー食品インターナショナル株式会社 包装体
US9096346B2 (en) * 2013-08-07 2015-08-04 Sonoco Development, Inc. Flexible package structure with a press-and-pull opening feature
DE102015205221A1 (de) * 2015-03-23 2016-09-29 Multivac Sepp Haggenmüller Se & Co. Kg Tiefziehverpackungsmaschine, Verfahren und Verpackung
KR20200075839A (ko) * 2017-10-31 2020-06-26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용기
JP7137919B2 (ja) * 2017-10-31 2022-09-15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容器
JP2019085123A (ja) * 2017-11-02 2019-06-06 昭和電工パッケージング株式会社 包装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90135520A1 (en) * 2017-11-03 2019-05-09 The Quaker Oats Company Rigid Packages Having Peelable Hermetic Seals
USD891859S1 (en) * 2018-10-19 2020-08-04 Rene Ramirez Ramirez Reusable soda can resealer
JP6882350B2 (ja) * 2019-01-23 2021-06-02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内容物入り容器の製造装置、製造方法および容器
CN111470179B (zh) * 2020-05-13 2021-06-22 广州立白企业集团有限公司 一种具有封口膜的包装瓶
US20220151412A1 (en) * 2020-10-22 2022-05-19 Jeffrey Julian Taco holder with storage compartment
US11884466B2 (en) * 2020-12-11 2024-01-30 Sonoco Development, Inc. Sustainable barrer containers and method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4973A (ja) * 1994-12-12 1996-06-25 Toyo Seikan Kaisha Ltd ピーラブルシール容器
JP2994957B2 (ja) 1994-05-13 1999-12-27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食品包装用2分割容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8293A (en) * 1986-04-08 1993-01-12 Idemitsu Petrochemical Co., Ltd. Easily-openable packaging container
JPS6326568A (ja) 1986-07-18 1988-02-04 Chino Corp ガス濃度センサ
JPS6326568U (ko) * 1986-08-06 1988-02-22
CA2007748C (en) * 1989-08-31 1996-01-02 Eiji Tamura Food packaging container
US5176314A (en) * 1989-12-25 1993-01-05 Sumitomo Bakelite Company Limited Easily openable sealed container
TW232671B (ko) * 1990-01-16 1994-10-21 Idemitsu Petrochemical Co
JPH0567511A (ja) * 1991-09-05 1993-03-19 Shin Etsu Chem Co Ltd 希土類焼結磁石の製造方法
JP4133436B2 (ja) 2003-02-26 2008-08-13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易開封性包装体および易開封性包装体の製造方法
WO2012029188A1 (ja) * 2010-08-30 2012-03-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94957B2 (ja) 1994-05-13 1999-12-27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食品包装用2分割容器
JPH08164973A (ja) * 1994-12-12 1996-06-25 Toyo Seikan Kaisha Ltd ピーラブルシール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307024A (ja) 2004-11-04
CN1771171A (zh) 2006-05-10
JP4146267B2 (ja) 2008-09-10
WO2004089779A1 (ja) 2004-10-21
DE602004031932D1 (de) 2011-05-05
EP1616811A4 (en) 2009-11-11
US7891516B2 (en) 2011-02-22
EP1616811A1 (en) 2006-01-18
EP1616811B1 (en) 2011-03-23
US20070164094A1 (en) 2007-07-19
ATE502872T1 (de) 2011-04-15
KR20050112124A (ko) 2005-11-29
CN100450768C (zh) 2009-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4945B1 (ko) 용기, 포장체 및 용기의 제조 방법
CN102745407B (zh) 易开封容器和其制造方法及制造装置
US5178293A (en) Easily-openable packaging container
US4905838A (en) Easily-openable packaging container having notched inner surface layer
KR101157411B1 (ko) 전자레인지 조리용 포장체
EP1607345B1 (en) Easily unsealable packaging bod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080109902A (ko) 전자레인지용 포장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US7364779B2 (en) Easy-opening high barrier plastic closure and method therefor
KR20090118108A (ko) 다층 테이프, 그 제조 방법 및 포장 주머니
JP4876679B2 (ja) 電子レンジ用包装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32194B1 (ko) 다층 시이트, 용기, 용이개봉성 포장체
JP4443277B2 (ja) 易開封性多層容器
JP3867474B2 (ja) 易開封性複合フィルム及び包装容器
JP2002104474A (ja) 蓋材および軟包装体
KR20100052413A (ko) 다층 시트, 열성형 용기 및 개봉 용이성 포장체
JP2003226365A (ja) 易開封性包装体および易開封性包装体の製造方法
JP4128011B2 (ja) 多層シート、熱成形容器、容器用蓋材および易開封性包装体
JP4190868B2 (ja) 容器及びレトルト食品用易開封性包装体
EP2496494B1 (en) Peel-off packaging system for fresh foodstuffs
JP2004167774A (ja) 多層シート、容器、易開封性包装体
JPH08164973A (ja) ピーラブルシール容器
KR910009911B1 (ko) 개봉이 용이한 포장용기
TW202304782A (zh) 用於成形容器的積層體、成形容器及包裝體
JP5965817B2 (ja) 容器、包装容器、容器の製造方法、および、包装容器の製造方法
JP2756306B2 (ja) 易開封性密封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