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5839A - 용기 - Google Patents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5839A
KR20200075839A KR1020207011362A KR20207011362A KR20200075839A KR 20200075839 A KR20200075839 A KR 20200075839A KR 1020207011362 A KR1020207011362 A KR 1020207011362A KR 20207011362 A KR20207011362 A KR 20207011362A KR 20200075839 A KR20200075839 A KR 202000758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region
container
container body
bo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1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와 하시모토
마사히로 구보
야스히로 나카노
Original Assignee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7210707A external-priority patent/JP718887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7210708A external-priority patent/JP713791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8186975A external-priority patent/JP7352342B2/ja
Application filed by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75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58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4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by microwaves
    • B65D81/3453Rigid containers, e.g. trays, bottles, boxes, c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오목부 및 오목부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외방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제 1 용기 본체와, 플랜지부에 형성되는 접합 영역에서 제 1 용기 본체에 접합됨으로써 오목부와의 사이에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 2 용기 본체를 구비하는 용기로서, 제 1 용기 본체와 제 2 용기 본체의 사이에는, 외부로부터의 힘에 의해 제 2 용기 본체를 제 1 용기 본체로부터 떼어내는 것을 용이하게 하면서 내부 공간의 내압에 대항하는 구조가 형성되고, 접합 영역에는, 내부 공간의 내압이 상승했을 때에 내부 공간을 외부 공간에 연통시키는 것이 가능한 증기 통과부가 형성되는 용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용기
본 발명은 용기에 관한 것이다.
용기 본체 및 덮개체로 이루어지는 식품 등의 용기에 있어서, 용기의 밀봉성과, 개봉성, 즉 개봉 시에 덮개체를 용기 본체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양립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용기 본체와 덮개체 사이의 접합 강도를 강하게 하면 밀봉성은 향상되지만 개봉성은 저하되고, 반대로 접합 강도를 약하게 하면 개봉성이 향상되는 대신에 밀봉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은 지금까지 여러 가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용기 본체와 용기 본체의 플랜지부에 접합되는 덮개체로 이루어지는 용기에 있어서, 용기 본체 및 덮개체를 형성하는 적층체 중 어느 것의 층의 응집 강도를 용기 본체와 덮개체 사이의 접합 강도보다 작아지도록 구성함과 함께, 용기 본체와 덮개체 사이의 접합부의 내주 가장자리부 근방에 수지 저류부를 형성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용기 본체와 덮개체의 접합 영역에서는 용기 본체 및 덮개체를 형성하는 적층체 중 어느 것의 층을 응집 파괴시킴으로써, 용기 본체와 덮개체 사이의 접합 강도를 약하게 하는 일 없이 개봉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예를 들어, 특허문헌 2 및 특허문헌 3 에는, 용기 본체와 용기 본체의 플랜지부에 접합되는 덮개체로 이루어지는 용기에 있어서, 다층 시트로 형성된 용기 본체의 내외층의 층간 접착력을 용기 본체와 덮개체 사이의 접착력보다 작아지도록 구성함과 함께, 플랜지부의 용기 개구부측의 내층에 절입을 형성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절입의 외측에 형성되는 용기 본체와 덮개체의 접합 영역에서는 용기 본체를 층간 박리시킴으로써, 용기 본체와 덮개체 사이의 접합 강도를 약하게 하는 일 없이 개봉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일본 특허공보 제500196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2-25136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3-78호
한편, 개봉하지 않고 전자 렌지에 넣어 식품 등의 내용물을 가열하는 것이 가능한 용기도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용기에서는, 가열된 내용물로부터 발생한 수증기에 의해 내압이 상승했을 때에 용기가 파열하지 않도록, 덮개체에 증기를 빼기 위한 개공 (開孔) 을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개공을 형성함으로써 용기의 밀봉성은 없어지기 때문에, 이와 같은 용기에 있어서 상기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 과 같은 기술은 채용되지 않는다.
본래, 상기와 같은 용기에서는, 개공의 크기 및 수를 필요 최소한으로 하고, 수증기를 용기 내에 충만시킴으로써, 가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전자 렌지에 의한 가열은, 기종이나 개체에 의한 편차가 커, 가열 시에 발생하는 내압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은 어렵다. 그러므로, 실제로는, 용기의 파열을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해서, 조금 큰, 또는 조금 많은 개공이 형성되고, 가열 효율이 낮은 상태인 경우가 많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개봉하지 않고 내용물을 가열하는 것이 가능한 용기에 있어서, 용기의 파열을 방지함과 함께 가열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신규이고 또한 개량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의 하나로 한다.
본 발명의 어느 관점에 의하면, 오목부 및 오목부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외방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제 1 용기 본체와, 플랜지부에 형성되는 접합 영역에서 제 1 용기 본체에 접합됨으로써 오목부와의 사이에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 2 용기 본체를 구비하는 용기로서, 제 1 용기 본체와 제 2 용기 본체의 사이에는, 외부로부터의 힘에 의해 제 2 용기 본체를 제 1 용기 본체로부터 떼어내는 것을 용이하게 하면서 내부 공간의 내압에 대항하는 구조가 형성되고, 접합 영역에는, 내부 공간의 내압이 상승했을 때에 내부 공간을 외부 공간에 연통시키는 것이 가능한 증기 통과부가 형성되는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개봉성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용기 본체와 덮개체 사이의 접합 강도를 강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용기에 증기 통과부를 형성함으로써, 내용물의 가열 시에는 수증기를 외부에 배출하여 용기의 파열을 방지하면서, 증기 통과부로부터 방출되는 수증기의 양을 제한함으로써 내부 공간에 수증기를 충만시킴과 함께 내압을 어느 정도까지 상승시켜, 내용물의 가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의 용기에 있어서, 제 1 용기 본체는, 제 1 층과, 제 1 층에 접합되어 접합 영역에 면하는 제 2 층을 적어도 포함하는 적층체로 이루어지고, 제 2 용기 본체는, 접합 영역에 면하는 제 3 층과, 제 3 층에 접합되는 제 4 층을 적어도 포함하는 적층체로 이루어지고, 제 2 층 또는 제 3 층 중 어느 것이 응집 파괴층이고, 응집 파괴층의 응집 강도는 제 2 용기 본체와 제 1 용기 본체 사이의 접합 강도, 제 1 층부터 제 4 층까지 중 응집 파괴층 이외의 각 층의 응집 강도, 그리고 제 1 층과 제 2 층 사이 및 제 3 층과 제 4 층 사이의 층간 접합 강도보다 약하고, 접합 영역의 오목부측의 단 (端) 가장자리부에, 제 1 층 및 제 2 층을 형성하는 수지로 이루어지고 오목부측으로 기울어진 혹 형상 단면 (斷面) 의 제 1 수지 저류부와, 제 3 층의 수지로 이루어지고 제 1 수지 저류부보다 오목부측에 위치하는 혹 형상 단면의 제 2 수지 저류부가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증기 통과부는, 제 1 수지 저류부 및 제 2 수지 저류부가 부분적으로 형성되지 않는 부분을 포함해도 된다.
상기의 용기에 있어서, 제 1 용기 본체는, 적어도 제 1 층 및 제 2 층을 포함하는 적층체로 이루어지고, 제 2 용기 본체는, 제 2 층에 접합되고, 제 2 용기 본체와 제 2 층 사이의 접합 강도는, 제 2 층과 제 1 층 사이의 층간 접합 강도보다 강하고, 접합 영역보다 오목부측에 제 2 층의 결락부가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결락부에서는, 적어도 제 2 층에 절입이 형성되거나, 제 2 층이 부분적으로 얇게 성형되거나, 또는 제 2 층이 부분적으로 중단되어도 된다. 또, 이 경우, 제 1 용기 본체는, 플랜지부의 둘레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스커트부, 및 스커트부의 둘레 가장자리의 일부가 플랜지부와 평행하게 더욱 연장된 스텝부를 포함하고, 제 2 용기 본체는, 접합 영역에 더하여, 스텝부에 위치하는 추가 접합 영역에서 제 2 층에 접합되어도 된다. 혹은, 제 1 용기 본체는, 플랜지부의 둘레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스커트부를 포함하고, 접합 영역의 외주 가장자리의 근방에 제 2 층의 추가 결락부가 형성되어도 된다. 또, 접합 영역은, 플랜지부의 폭에 대해 상대적으로 좁은 폭으로 형성되는 환상부 (環狀部) 와, 환상부로부터 플랜지부의 둘레 가장자리를 향하여 장출하는 장출부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플랜지부의 둘레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적층체의 단부 (端部) 에 있어서, 제 2 층의 단 가장자리에, 제 2 층의 단 가장자리에 덮이는 늘어짐부가 형성되어도 된다.
상기의 용기에 있어서, 증기 통과부는, 제 2 용기 본체와 제 1 용기 본체가 접합되지 않는 미접합 영역, 또는 제 2 용기 본체와 제 1 용기 본체가 상대적으로 약한 단위면적당의 접합 강도로 접합되는 약접합 영역을 포함해도 된다.
상기의 용기에 있어서, 미접합 영역 또는 약접합 영역은, 접합 영역을 폭 방향으로 횡단해도 된다.
상기의 용기에 있어서, 미접합 영역 또는 약접합 영역은, 1 또는 복수의 슬릿 형상의 영역이어도 된다.
상기의 용기에 있어서, 미접합 영역 또는 약접합 영역은, 접합 영역이 폭 방향으로 돌출한 부분의 선단을 포함하는 영역, 또는 접합 영역이 폭 방향으로 팽출한 부분의 정부 (頂部) 를 포함하는 영역에 형성되어도 된다.
상기의 용기에 있어서, 증기 통과부는, 접합 영역의 폭 방향으로 서로 병렬하여 배치되는 미접합 영역 및 약접합 영역을 포함하고, 미접합 영역은, 약접합 영역보다 작은 연통 경로를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약접합 영역은, 플랜지부의 전체 둘레에 형성되어도 된다. 또, 미접합 영역과 약접합 영역은, 접합 영역의 폭 방향에 대해 밀접해 있어도 되고, 이격해 있어도 된다.
상기의 용기에 있어서, 증기 통과부는, 접합 영역의 둘레 방향의 일부에 형성되는 서로 고립된 복수의 비접합 영역을 포함해도 된다. 이 경우, 비접합 영역의 1 개당 면적은 0.1 ㎟ 이상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개봉하지 않고 내용물을 가열하는 것이 가능한 용기에 있어서, 용기의 파열을 방지함과 함께 가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용기의 개봉 동작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3A 는, 도 1 에 나타내는 용기에 형성되는 증기 통과부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B 는, 도 1 에 나타내는 용기에 형성되는 증기 통과부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는, 도 1 에 나타내는 용기에 형성되는 증기 통과부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 는, 도 1 에 나타내는 용기에 형성되는 증기 통과부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는, 도 1 에 나타내는 용기에 형성되는 증기 통과부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 는, 도 1 에 나타내는 용기에 형성되는 증기 통과부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는, 도 1 에 나타내는 용기에 형성되는 증기 통과부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B 는, 도 1 에 나타내는 용기에 형성되는 증기 통과부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는, 도 1 에 나타내는 용기에 형성되는 증기 통과부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B 는, 도 1 에 나타내는 용기에 형성되는 증기 통과부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는, 도 1 에 나타내는 용기에 형성되는 약접합 영역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B 는, 도 1 에 나타내는 용기에 형성되는 약접합 영역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C 는, 도 1 에 나타내는 용기에 형성되는 약접합 영역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기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11 는, 도 10 에 나타내는 용기의 개봉 동작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14A 는, 도 13 에 나타내는 용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4B 는, 도 13 에 나타내는 용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5 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16 는, 도 15 에 나타내는 용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7A 는, 도 15 에 나타내는 용기에 형성되는 증기 통과부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B 는, 도 15 에 나타내는 용기에 형성되는 증기 통과부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A 는, 도 15 에 나타내는 용기에 형성되는 증기 통과부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B 는, 도 15 에 나타내는 용기에 형성되는 증기 통과부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A 는, 도 15 에 나타내는 용기에 형성되는 증기 통과부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B 는, 도 15 에 나타내는 용기에 형성되는 증기 통과부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A 는, 도 15 에 나타내는 용기에 형성되는 증기 통과부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B 는, 도 15 에 나타내는 용기에 형성되는 증기 통과부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A 는, 도 15 에 나타내는 용기에 형성되는 증기 통과부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B 는, 도 15 에 나타내는 용기에 형성되는 증기 통과부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 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3A 는, 도 8 에 나타내는 용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3B 는, 도 8 에 나타내는 용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3C 는, 도 8 에 나타내는 용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4 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25A 는, 도 24 에 나타내는 용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5B 는, 도 24 에 나타내는 용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5C 는, 도 24 에 나타내는 용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6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 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기의 증기 통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 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련된 용기의 증기 통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 은,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의 펑크압 강도와 시일 온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1(A) 에는 개봉 전의 상태가, 도 1(B) 에는 개봉 중의 상태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용기의 개봉 동작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 는, 각각 도 1(A) 및 도 1(B) 의 상태에 대응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기 (1100) 는, 용기 본체 (1110) (제 1 용기 본체) 와, 덮개체 (1130) (제 2 용기 본체) 를 포함한다. 용기 본체 (1110) 는, 대략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고, 오목부 (1111) 와, 오목부 (1111) 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플랜지부 (1112) 를 포함한다. 플랜지부 (1112) 는, 오목부 (1111) 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외방으로 연장된다. 덮개체 (1130) 는, 오목부 (1111) 의 개구를 덮는 필름상의 부재이며, 플랜지부 (1112) 에 형성되는 접합 영역 (1140) 에서 히트 시일 또는 초음파 시일 등을 사용하여 용기 본체 (1110) 에 접합됨으로써 오목부 (1111) 와의 사이에 내부 공간 (SP) 을 형성한다.
용기 본체 (1110)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층 (1114A), 표면 하층 (1114B) 및 표면층 (1114C) 을 포함하는 적층체 (1114) 를, 진공 성형 또는 압공 성형 등에 의해 오목부 (1111) 및 플랜지부 (1112) 를 포함하는 형상으로 성형한 것이다. 기재층 (1114A) 은, 용기 본체 (1110) 의 외측에 위치하고, 용기 본체 (1110) 의 형상의 유지에 필요해지는 강성을 발휘한다. 표면 하층 (1114B) 은, 기재층 (1114A) 과 표면층 (1114C) 의 사이에 있고, 각각의 층에 접합되어 있다. 표면층 (1114C) 은, 용기 본체 (1110) 의 내측, 즉 내부 공간 (SP) 에 면하는 측에 위치하고, 플랜지부 (1112) 에 형성되는 접합 영역 (1140) 에 면한다.
여기서, 적층체 (1114) 의 기재층 (1114A) 및 표면 하층 (1114B) 은, 예를 들어 올레핀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및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 중 적어도 어느 것을 포함하는 수지로 형성된다. 올레핀계 수지로는,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이 예시된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가 예시된다. 기재층 (1114A) 및 표면 하층 (1114B) 의 사이에서는, 예를 들어 강성이 상이하다. 기재층 (1114A) 에는,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탤크 등의 무기 필러가 첨가되어도 된다.
한편, 적층체 (1114) 의 표면층 (1114C) 은, 예를 들어 에틸렌-아크릴산에스테르-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또는 스티렌 그래프트 프로필렌 수지 중 적어도 어느 것을,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에 블렌드하여 얻어진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다. 이 경우, 에틸렌-아크릴산에스테르-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또는 스티렌 그래프트 프로필렌 수지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0 질량부 내지 50 질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질량부 내지 40 질량부 정도, 첨가하면 된다.
또한, 도시된 예에 있어서 적층체 (1114) 는 기재층 (1114A), 표면 하층 (1114B) 및 표면층 (1114C) 의 3 개의 층을 포함하지만, 다른 예에 있어서 적층체 (1114) 는 추가 층을 포함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적층체 (1114) 는, 높은 강성이 필요해지는 경우에, 복수의 기재층과, 기재층끼리를 접착하는 접착층을 포함해도 된다. 접착층은, 예를 들어 우레탄계 엘라스토머,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에틸렌,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또는 에틸렌아세트산비닐 (EVA) 등으로 형성된다. 또, 적층체 (1114) 는, 산소 등을 차단하는 가스 배리어층을 포함해도 된다. 가스 배리어층은, 예를 들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비누화물 (EVOH), 폴리염화비닐리덴 (PVDC), 또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 (PAN) 등으로 형성된다.
덮개체 (1130) 는, 외층 (1131A) 및 시일층 (1131B) 을 포함하는 필름상의 적층체 (1131) 로 이루어진다. 외층 (1131A) 은, 덮개체 (1130) 의 표측, 즉 용기 본체 (1110) 에 면하지 않는 측에 위치하고, 덮개체 (1130) 에 필요해지는 유연성이나 인장 강도를 발휘한다. 외층 (1131A) 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필름, 또는 2 축 연신 나일론 필름 (O-Ny) 등으로 형성된다. 한편, 시일층 (1131B) 은, 덮개체 (1130) 의 이측 (裏側), 즉 용기 본체 (1110) 를 향하는 측에 위치하고, 플랜지부 (1112) 에 형성되는 접합 영역 (1140) 에 면한다. 시일층 (1131B) 은, 예를 들어 랜덤 폴리프로필렌 (RPP), 블록 폴리프로필렌 (BPP), 직사슬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LLDPE), 또는 폴리에틸렌 등의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외층 (1131A) 과 시일층 (1131B) 은 서로 접합되어 있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적층체 (1131) 에도 추가 층이 포함되어도 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적층체 (1114) 의 표면층 (1114C) 의 응집 강도는, 접합 영역 (1140) 에 있어서의 덮개체 (1130) 와 용기 본체 (1110) 사이의 접합 강도보다 약하고, 적층체 (1114) 및 적층체 (1131) 를 구성하는 표면층 (1114C) 이외의 각 층의 응집 강도보다 약하고, 또 적층체 (1114) 및 적층체 (1131) 의 각 층 사이의 층간 접합 강도보다 약하다. 요컨대, 표면 하층 (1114B) 을 제 1 층, 표면층 (1114C) 을 제 2 층, 시일층 (1131B) 을 제 3 층, 외층 (1131A) 을 제 4 층으로 했을 경우에, 제 2 층의 응집 강도는, 덮개체 (1130) 와 용기 본체 (1110) 사이의 접합 강도, 제 1 층, 제 3 층 및 제 4 층의 응집 강도, 그리고 제 1 층과 제 2 층 사이 및 제 3 층과 제 4 층 사이의 층간 접합 강도보다 약하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표면층 (1114C) 을 응집 파괴층으로 함으로써 용기 (1100) 를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응집 강도는, 적층체의 각 층을 구성하는 수지를 결합시키고 있는 분자간력 (응집력) 에 의해 발휘되는 강도를 의미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합 영역 (1140) 의 오목부 (1111) 측의 단 가장자리부에, 제 1 수지 저류부 (1121) 및 제 2 수지 저류부 (1122) 가 형성된다. 제 1 수지 저류부 (1121) 는, 적층체 (1114) 의 표면 하층 (1114B) 및 표면층 (1114C) 을 형성하는 수지로 이루어지고, 오목부 (1111) 측으로 기울어진 혹 형상 단면을 갖는다. 제 2 수지 저류부 (1122) 는, 덮개체 (1130) 의 시일층 (1131B) 을 형성하는 수지로 이루어지고, 제 1 수지 저류부 (1121) 보다 오목부 (1111) 측에 위치하는 혹 형상 단면을 갖는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표면층 (1114C) 은, 제 1 수지 저류부 (1121) 의 표면을 따라, 또한 제 1 수지 저류부 (1121) 와 제 2 수지 저류부 (1122) 의 간극을 통과하도록 형성된다. 이하의 본 실시형태의 설명에서는, 제 1 수지 저류부 (1121) 및 제 2 수지 저류부 (1122) 를 총칭하여 수지 저류부 (1120) 라고도 한다.
(용기의 개봉 동작)
다음으로, 용기 (1100) 의 개봉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용기 (1100) 에서는, 예를 들어 대략 사각형의 평면 형상의 모서리부에 있어서, 덮개체 (1130) 가 플랜지부 (1112) 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크게 연장되어 있다. 사용자는 연장된 덮개체 (1130) 의 단부를 용이하게 잡고, 여기서부터 도 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체 (1130) 를 떼어냄으로써 용기 (1100) 의 개봉을 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표면층 (1114C) 의 응집 강도는, 접합 영역 (1140) 에 있어서의 덮개체 (1130) 와 표면층 (1114C) 사이의 접합 강도, 적층체 (1114) 및 적층체 (1131) 의 표면층 (1114C) 이외의 각 층의 응집 강도, 그리고 적층체 (1114) 및 적층체 (1131) 의 각 층 사이의 층간 접합 강도보다 약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덮개체 (1130) 를 떼어내면, 접합 영역 (1140) 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덮개체 (1130) 에 끌어당겨진 표면층 (1114C) 이 응집 파괴된다. 이에 따라, 표면층 (1114C) 의 일부가 덮개체 (1130) 와 함께 떼어내어지고, 표면층 (1114C) 의 나머지 부분은 표면 하층 (1114B) 측에 남는다.
또한 사용자가 덮개체 (1130) 를 떼어내면, 도 2(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지 저류부 (1120) 에서 표면층 (1114C) 의 응집 파괴가 중단되고, 거기서부터는 덮개체 (1130) 만이 떼어내어진다. 이것은, 수지 저류부 (1120) 에 있어서, 표면층 (1114C) 의 응집 파괴가, 제 1 수지 저류부 (1121) 의 형상을 따라 진행되기 때문이다. 제 1 수지 저류부 (1121) 의 표면과 제 2 수지 저류부 (1122) 의 표면이 서로 이반하는 접합 영역 (1140) 의 단 가장자리 (1140E) 부근에서 표면층 (1114C) 은 양측에서 끌어당겨져 파단하고, 덮개체 (1130) 측에서 떨어진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기 (1100) 는, 상기와 같은 순서에 의해 개봉된다. 적층체 (1114) 의 표면층 (1114C) 의 응집 강도를 약하게 하면, 개봉 시에 사용자가 덮개체 (1130) 를 떼어내는 힘이 작아도 되어, 개봉이 용이해진다. 한편, 개봉 전, 용기 본체 (1110) 와 덮개체 (1130) 가 서로 접합된 상태에서는, 내부 공간 (SP) 의 내압은 접합 영역 (1140) 에 작용한다. 접합 영역 (1140) 에 있어서의 덮개체 (1130) 와 용기 본체 (1110) 사이의 접합 강도는, 표면층 (1114C) 의 응집 강도보다 강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표면층 (1114C) 의 응집 강도를 약하게 함으로써 개봉을 용이하게 한 경우이더라도, 덮개체 (1130) 와 용기 본체 (1110) 사이의 접합 강도는 강한 상태로 하여 높은 내압에 대항할 수 있다. 게다가, 접합 영역 (1140) 에서는 제 1 수지 저류부 (1121) 의 오목부 (1111) 측의 근원 부근에 응력이 집중하기 때문에, 접합 영역 (1140) 은 보다 수지 저류부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보다 높은 내압에 대항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기 (1100) 에서는, 개봉성과 내내압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
(증기 통과부의 구성)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1100) 의 접합 영역 (1140) 에 증기 통과부 (1141) 가 형성된다. 여기서, 증기 통과부 (1141) 는, 용기 (1100) 의 내부 공간 (SP) 의 내압이 상승했을 때에, 내부 공간 (SP) 을 외부 공간에 연통시키는 것이 가능한 부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증기 통과부 (1141) 는, 덮개체 (1130) 와 용기 본체 (1110) 가 접합되지 않는 미접합 영역, 또는 덮개체 (1130) 와 용기 본체 (1110) 가 상대적으로 약한 단위면적당의 접합 강도로 접합되는 약접합 영역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약접합 영역은, 영역 내의 접합 면적은 다른 영역과 동일하고 접합 강도가 다른 영역보다 약한 영역이어도 된다. 또, 약접합 영역은, 접합 강도는 다른 영역과 동일하고 영역 내의 접합 면적이 다른 영역보다 작은 영역이어도 된다. 혹은, 약접합 영역은, 영역 내의 접합 면적이 다른 영역보다 작고, 또한 접합 강도가 다른 영역보다 약한 영역이어도 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대략 사각형상의 접합 영역 (1140) 의 양방의 장변의 각각 중앙 부근에 증기 통과부 (1141) 가 형성된다. 또한, 증기 통과부 (1141) 에 있어서의 미접합 영역 또는 약접합 영역의 배치의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와 같은 증기 통과부 (1141) 가 형성됨으로써, 용기 (1100) 를 개봉하지 않고 전자 렌지에 넣어 식품 등의 내용물을 가열했을 때에, 가열된 내용물로부터 발생한 수증기의 일부가 증기 통과부 (1141) 를 통해서 방출된다. 예를 들어, 증기 통과부 (1141) 에서는, 접합 영역 (1140) 을 폭 방향으로 횡단하는 미접합 영역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 공간 (SP) 이 외부 공간에 연통되어 있다. 또, 예를 들어, 증기 통과부 (1141) 에서는, 접합 영역 (1140) 을 폭 방향으로 횡단하는 약접합 영역이 형성되거나, 미접합 영역 또는 약접합 영역이 내압의 집중 부분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수증기의 발생에 의해 상승한 내부 공간 (SP) 의 내압에 의해 덮개체 (1130) 와 용기 본체 (1110) 사이의 접합이 파괴됨으로써 내부 공간 (SP) 이 외부 공간에 연통한다.
여기서, 증기 빼기 기능 그것에 관해서 말하면, 증기 통과부 (1141) 는 종래의 용기에 형성되는 증기 빼기를 위한 개공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기 (1100) 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개봉성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용기 본체 (1110) 와 덮개체 (1130) 사이의 접합 강도를 강하게 하여, 높은 내압에 대항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증기 통과부 (1141) 에 배치되는 미접합 영역 또는 약접합 영역의 크기 및 수를, 예를 들어 종래의 용기에서 동일한 증기 빼기를 하는 경우에 비해, 보다 작게, 또는 보다 적게 할 수 있다.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전자 렌지에 의한 가열은, 기종이나 개체에 따른 편차가 크지만, 상기와 같이 용기 (1100) 는 높은 내내압성을 갖기 때문에, 증기 통과부 (1141) 에 배치되는 미접합 영역 또는 약접합 영역을 필요 이상으로 크게, 또는 많이 하지 않아도, 용기 (1100) 의 파열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증기 통과부 (1141) 의 크기 및 수를 필요 최소한으로 할 수 있음으로써, 가열 시에는 용기 내에 보다 많은 수증기를 충만시켜, 가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용기 (1100) 의 내압을 높게 할 수 있음으로써, 압력 냄비와 마찬가지로 내용물의 가압 조리를 실시할 수도 있다.
도 3A 및 도 3B 에는, 증기 통과부 (1141) 가, 접합 영역 (1140) 을 폭 방향으로 횡단하는 3 개 지점의 슬릿 형상의 미접합 영역 (1141A) 또는 약접합 영역 (1141B) 을 포함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4A 및 도 4B 에는, 증기 통과부 (1141) 가, 접합 영역 (1140) 을 비스듬하게 횡단하는 2 개 지점의 슬릿 형상의 미접합 영역 (1141A) 또는 약접합 영역 (1141B) 을 포함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증기 통과부 (1141) 에는, 접합 영역 (1140) 을 폭 방향으로 (비스듬해도 된다) 횡단하는 1 또는 복수의 슬릿 형상의 미접합 영역 (1141A) 및 약접합 영역 (1141B) 을 배치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 에는, 증기 통과부 (1141) 에 있어서, 약접합 영역 (1141B) 이, 접합 영역 (1140) 이 폭 방향으로 돌출한 부분의 선단을 포함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5A 에 도시된 예에서는, 증기 통과부 (1141) 에 형성되는 약접합 영역 (1141B) 이, 내부 공간 (SP) 측에서 외부 공간을 향해서 접합 영역 (1140) 이 V 자형으로 돌출한 부분의 선단을 포함하는 영역에 형성된다. 한편, 도 5B 에 도시된 예에서는, 약접합 영역 (1141B) 이, 외부 공간에서 내부 공간 (SP) 측을 향해서 접합 영역 (1140) 이 V 자형으로 돌출한 부분의 선단을 포함하는 영역에 형성된다. 도 5A 또는 도 5B 와 같은 V 자형으로 함으로써, 접합이 파괴되는 데에 필요한 내압 내성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약접합 영역 (1141B) 에 있어서의 덮개체 (1130) 와 용기 본체 (1110) 사이의 접합의 파괴, 및 그 후의 증기 통과부 (1141) 를 통한 외부 공간으로의 수증기의 방출이 안정적으로 발생한다. 또한, 상기의 예에 있어서 약접합 영역 (1141B) 대신에 미접합 영역 (1141A) 을 형성한 경우도, 동일한 원리에 의해 증기 통과부 (1141) 를 통한 외부 공간으로의 수증기의 방출이 안정적으로 발생한다. 또, 도시된 예에서는 접합 영역 (1140) 이 돌출한 부분의 선단 부근에만 약접합 영역 (1141B) 이 형성되어 있지만, 약접합 영역 (1141B) 은 접합 영역 (1140) 이 돌출한 부분의 전체에 형성되어도 된다. 미접합 영역 (1141A) 이 형성되는 경우도 동일하다.
도 6A 및 도 6B 에는, 증기 통과부 (1141) 에 있어서, 약접합 영역 (1141B) 이, 접합 영역 (1140) 이 폭 방향으로 팽출한 부분의 정부를 포함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6A 에 도시된 예에서는, 증기 통과부 (1141) 에 형성되는 약접합 영역 (1141B) 이, 내부 공간 (SP) 의 측에서 외부 공간을 향해서 접합 영역 (1140) 이 원호형으로 팽출한 부분의 정부를 포함하는 영역에 형성된다. 한편, 도 6B 에 도시된 예에서는, 약접합 영역 (1141B) 이, 외부 공간에서 내부 공간 (SP) 측을 향해서 접합 영역 (1140) 이 원호형으로 팽출한 부분의 정부를 포함하는 영역에 형성된다. 도 6A 또는 도 6B 와 같은 원호형으로 함으로써, 접합이 파괴되는 데에 필요한 내압 내성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약접합 영역 (1141B) 에 있어서의 덮개체 (1130) 와 용기 본체 (1110) 사이의 접합의 파괴, 및 그 후의 증기 통과부 (1141) 를 통한 외부 공간으로의 수증기의 방출이 안정적으로 발생한다. 또한, 상기의 예에 있어서 약접합 영역 (1141B) 대신에 미접합 영역 (1141A) 을 형성한 경우도, 동일한 원리에 의해 증기 통과부 (1141) 를 통한 외부 공간으로의 수증기의 방출이 안정적으로 발생한다. 또, 도시된 예에서는 접합 영역 (1140) 이 팽출한 부분의 정부 부근에만 약접합 영역 (1141B) 이 형성되어 있지만, 약접합 영역 (1141B) 은 접합 영역 (1140) 이 팽출한 부분의 전체에 형성되어도 된다. 미접합 영역 (1141A) 이 형성되는 경우도 동일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증기 통과부 (1141) 에 있어서 접합 영역 (1140) 이 폭 방향으로 돌출 또는 팽출한 부분의 선단 또는 정부를 포함하는 영역에 약접합 영역 (1141B) 또는 미접합 영역 (1141A) 을 형성함으로써 내압의 집중 부분이 형성되고, 내부 공간 (SP) 의 내압이 상승했을 때에 덮개체 (1130) 와 용기 본체 (1110) 사이의 접합의 파괴와 증기 통과부 (1141) 를 통한 수증기의 방출을 안정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이 때에 발생하는 덮개체 (1130) 와 용기 본체 (1110) 사이의 접합의 파괴는, 용기 본체 (1110) 의 표면층 (1114C) 과 덮개체 (1130) 의 시일층 (1131B) 의 사이의 계면 박리, 또는 표면층 (1114C) 과 시일층 (1131B) 사이에 형성되는 접합층에 있어서의 응집 박리에 의해 생긴다. 요컨대, 상기 예의 약접합 영역 (1141B) 에 있어서의 접합의 파괴는, 용기 본체 (1110) 의 표면층 (1114C) 과 기재층 (1114A) 사이의 층간 박리와는 상이하다.
도 7A 및 도 7B 에는, 증기 통과부 (1141) 가, 접합 영역 (1140) 의 폭 방향으로 서로 병렬하여 배치되는 미접합 영역 (1141A) 및 약접합 영역 (1141B) 을 포함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예에서는, 내용물의 가열 시에 상승한 내부 공간 (SP) 의 내압에 의해 약접합 영역 (1141B) 에 있어서의 덮개체 (1130) 와 용기 본체 (1110) 사이의 접합이 파괴된 후에, 미접합 영역 (1141A) 을 경유하여 수증기가 방출된다. 도 7A 에 도시된 예에서는, 내부 공간 (SP) 측에 약접합 영역 (1141B) 이 배치되고, 외부 공간측에 미접합 영역 (1141A) 이 배치된다. 미접합 영역 (1141A) 은 슬릿 형상이고, 약접합 영역 (1141B) 보다 작은 연통 경로를 형성하고 있다. 도 7A 의 예에서는, 약접합 영역 (1141B) 이 내부 공간 (SP) 에 넓게 면함으로써 내압의 상승 시에 약접합 영역 (1141B) 의 접합이 파괴되기 쉬운 한편, 슬릿 형상의 미접합 영역 (1141A) 이 방출되는 수증기의 유량을 제한함으로써 내용물의 가열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약접합 영역 (1141B) 은, 증기 통과부 (1141) 에만 형성되어도 되고, 증기 통과부 (1141) 이외를 포함하는 플랜지부 (1112) 의 전체 둘레에서 접합 영역 (1140) 의 내부 공간 (SP) 측에 형성되어도 된다. 또, 도시된 예에서는 접합 영역 (1140) 과 약접합 영역 (1141B) 이 접합 영역 (1140) 의 폭 방향에 대해 이격해 있지만, 접합 영역 (1140) 과 약접합 영역 (1141B) 은 접합 영역 (1140) 의 폭 방향에 대해 밀접해 있어도 된다.
한편, 도 7B 에 도시된 예에서는, 내부 공간 (SP) 측에 미접합 영역 (1141A) 이 배치되고, 외부 공간측에 약접합 영역 (1141B) 이 배치된다. 이 예에서도 미접합 영역 (1141A) 은 슬릿 형상이고, 약접합 영역 (1141B) 보다 작은 연통 경로를 형성하고 있다. 도 7B 의 예에서는, 슬릿 형상의 미접합 영역 (1141A) 이 오리피스로서 기능함으로써 약접합 영역 (1141B) 에 걸리는 내압이 감압되기 때문에, 약접합 영역 (1141B) 의 접합이 파괴될 때까지의 사이에 내부 공간 (SP) 의 내압을 보다 높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증기 통과부 (1141) 의 배치가, 용기 (1100) 의 내내압 성능과 적절히 조합되면, 내용물의 가열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도, 약접합 영역 (1141B) 은, 증기 통과부 (1141) 에만 형성되어도 되고, 증기 통과부 (1141) 이외를 포함하는 플랜지부 (1112) 의 전체 둘레에서 접합 영역 (1140) 의 외부 공간측에 형성되어도 된다. 또, 도시된 예에서는 접합 영역 (1140) 과 약접합 영역 (1141B) 이 접합 영역 (1140) 의 폭 방향에 대해 이격해 있지만, 접합 영역 (1140) 과 약접합 영역 (1141B) 은 접합 영역 (1140) 의 폭 방향에 대해 밀접해 있어도 된다.
도 8 은, 도 1 에 나타내는 용기에 형성되는 약접합 영역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의 예에 있어서의 약접합 영역 (1141B) 은, 영역 내의 접합 면적은 다른 영역과 동일하고 접합 강도가 다른 영역보다 약한 영역이지만, 도 8A 내지 도 8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영역 내의 접합 면적이 다른 접합 영역 (1140) 보다 작은 영역이 약접합 영역 (1141B) 으로서 기능해도 된다. 도 8A 에는, 약접합 영역 (1141B) 에 있어서, 접합 영역 (1140) 이 망목상으로 형성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망목 사이의 부분에서는 덮개체 (1130) 와 용기 본체 (1110) 의 사이가 접합되지 않기 때문에, 접합 면적은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작아진다. 도 8B 에는, 약접합 영역 (1141B) 에 있어서, 접합 영역 (1140) 이 협폭으로 형성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도, 협폭 부분에 있어서의 접합 면적이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작아진다. 도 8C 에는, 약접합 영역 (1141B) 에 있어서, 접합 영역 (1140) 이 도트상으로 형성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트는, 서로 겹치고, 전체적으로 내부 공간 (SP) 과 외부 공간의 사이를 차단하고 있다. 이 경우도, 도트 사이의 부분에서는 덮개체 (1130) 와 용기 본체 (1110) 의 사이가 접합되지 않기 때문에, 접합 면적은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작아진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예에 있어서, 미접합 영역 (1141A) 및 약접합 영역 (1141B) 은 기본적으로 호환적인 것으로서 설명되었지만, 개별의 이점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미접합 영역 (1141A) 의 경우, 증기 통과부 (1141) 에 있어서 용기 본체 (1110) 와 덮개체 (1130) 의 사이가 개방되는 부분의 크기가 확정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의 용기 (1100) 사이에서, 증기 통과부 (1141) 로부터 방출 가능한 수증기의 유량의 변동이 작다. 이 점에 대해, 약접합 영역 (1141B) 에서는, 용기 본체 (1110) 와 덮개체 (1130) 사이의 접합의 파괴가 약접합 영역 (1141B) 과 접합 영역 (1140) 의 다른 부분과의 경계를 넘어 퍼지거나, 반대로 경계에 도달하지 않거나 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복수의 용기 (1100) 사이에서, 증기 통과부 (1141) 로부터 방출 가능한 수증기의 유량의 변동이 크다.
한편, 약접합 영역 (1141B) 의 경우, 내부 공간 (SP) 의 내압이 상승할 때까지 용기 본체 (1110) 와 덮개체 (1130) 사이는 밀봉되어 있기 때문에, 가열 전의 단계에서는 용기 (1100) 를 증기 통과부 (1141) 가 형성되지 않는 밀봉 용기와 동일하게 취급할 수 있다. 이 점에 대해, 미접합 영역 (1141A) 에서는, 용기 (1100) 가 제조된 단계에서 용기 본체 (1110) 와 덮개체 (1130) 사이가 접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증기 통과부 (1141) 가 형성되지 않는 밀봉 용기와는 상이한 취급이 필요해지는 경우가 있다. 단, 예를 들어 용기 (1100) 가 외장 필름에 의해 포장되어 있거나, 내용물이 고형물 뿐이거나 하는 경우에는, 미접합 영역 (1141A) 이 형성된 용기 (1100) 를 밀봉 용기와 마찬가지로 취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용기의 제조 방법)
도 9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기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기 (1100) 의 제조 공정은, 환상 시일반 (1601) 을 사용하여 히트 시일로 덮개체 (1130) 와 용기 본체 (1110) 의 사이를 접합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여기서, 환상 시일반 (1601) 은, 용기 본체 (1110) 의 플랜지부 (1112) 에 형성되는 접합 영역 (1140) 의 내주측, 즉 오목부 (1111) 측의 단 가장자리부에 면하는 팽출부 (1602) 와, 팽출부 (1602) 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넓어지는 경사면 (1603) 을 포함한다. 또한, 팽출부 (1602) 및 경사면 (1603) 을 포함하는 환상 시일반 (1601) 과는 별도로, 접합 영역 (1140) 의 외주측을 접합하기 위해서, 플랜지부 (1112) 에 대해 거의 평행한 평탄면 (1604) 을 포함하는 추가 환상 시일반 (1605) 이 배치되어도 된다.
상기의 제조 공정에서는, 도 중의 상측으로부터 환상 시일반 (1601) 이 하강해 왔을 때에, 팽출부 (1602) 가 다른 부분보다 먼저 덮개체 (1130) 에 맞닿아진다. 그 후, 경사면 (1603) 이 순차, 덮개체 (1130) 에 맞닿아진다. 팽출부 (1602) 및 경사면 (1603) 이 맞닿아진 부분에서는 덮개체 (1130) 및 용기 본체 (1110) 를 형성하는 수지에 환상 시일반 (1601) 으로부터 열이 가해져, 히트 시일에 의해 덮개체 (1130) 와 용기 본체 (1110) 의 사이가 접합된다. 이 때, 접합 영역 (1140) 의 내주측의 단 가장자리부에서는, 가해진 열에 의해 용융한 용기 본체 (1110) 의 표면 하층 (1114B) 및 표면층 (1114C), 그리고 덮개체 (1130) 의 시일층 (1131B) 을 형성하는 수지가, 팽출부 (1602) 에 의해 오목부 (1111) 측으로 밀려나와 제 1 수지 저류부 (1121) 및 제 2 수지 저류부 (1122) 를 형성한다.
여기서, 환상 시일반 (1601) 의 팽출부 (1602) 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형성되는 제 1 수지 저류부 (1121) 및 제 2 수지 저류부 (1122) 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접합 영역 (1140) 의 일부분에서 환상 시일반 (1601) 의 팽출부 (1602) 를 다른 부분보다 작게 하면, 그 부분에서는 제 1 수지 저류부 (1121) 및 제 2 수지 저류부 (1122) 가 다른 부분보다 작아진다. 또한, 접합 영역 (1140) 의 일부분에서 환상 시일반 (1601) 에 팽출부 (1602) 를 형성하지 않고, 접합 영역 (1140) 의 내주측부터 외주측까지의 전체를 평탄면으로 하면, 그 부분에서는 제 1 수지 저류부 (1121) 및 제 2 수지 저류부 (1122) 가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접합 영역 (1140) 의 일부분에 형성되는 제 1 수지 저류부 (1121) 및 제 2 수지 저류부 (1122) 가 다른 부분보다 작으면, 당해 부분에 있어서 용기 본체 (1110) 와 덮개체 (1130) 사이의 접합이 견딜 수 있는 내압의 크기가 다른 부분보다 작아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환상 시일반 (1601) 의 팽출부 (1602) 의 크기를 조절하여 제 1 수지 저류부 (1121) 및 제 2 수지 저류부 (1122) 의 크기를 변화시킴으로써, 증기 통과부 (1141) 로서 기능하는 약접합 영역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용기 (1100) 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증기 통과부 (1141) 에 포함되는 미접합 영역 (1141A) 은, 예를 들어 환상 시일반 (1601, 1605) 의 팽출부 (1602), 경사면 (1603) 및 평탄면 (1604) 을 부분적으로 절결함으로써 형성된다. 혹은, 미접합 영역 (1141A) 은, 팽출부 (1602), 경사면 (1603) 및 평탄면 (1604) 으로부터 덮개체 (1130) 에 가해지는 열을 단열재 등으로 부분적으로 차단함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한편, 증기 통과부 (1141) 에 포함되는 약접합 영역 (1141B) 은, 예를 들어 팽출부 (1602), 경사면 (1603) 및 평탄면 (1604) 에 부분적인 요철을 형성함으로써 형성된다. 혹은, 약접합 영역 (1141B) 은, 팽출부 (1602), 경사면 (1603) 및 평탄면 (1604) 으로부터 덮개체 (1130) 에 가해지는 열을 단열재 등으로 부분적으로 약하게 함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다른 수법으로서, 약접합 영역 (1141B) 은, 덮개체 (1130) 의 외층 (1131A) 과 시일층 (1131B) 사이의 층간 접합의 강도를 약하게 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외층 (1131A) 과 시일층 (1131B) 의 사이를 층간 접합하지 않음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제 1 실시형태 정리)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기 (1100) 에서는, 용기 본체 (1110) 를 구성하는 적층체 (1114) 의 표면층 (1114C) 의 응집 강도를, 덮개체 (1130) 와 용기 본체 (1110) 사이의 접합 강도, 적층체 (1114) 및 적층체 (1131) 의 표면층 (1114C) 이외의 각 층의 응집 강도, 그리고 적층체 (1114) 및 적층체 (1131) 의 각 층의 사이의 층간 접합 강도보다 약하게 함으로써, 개봉성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용기 본체 (1110) 와 덮개체 (1130) 사이의 접합 강도를 강하게 하여, 종래의 용기보다 높은 내압에 대항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용기 본체 (1110) 와 덮개체 (1130) 사이에는, 외부로부터의 힘에 의해 덮개체 (1130) 를 용기 본체 (1110) 로부터 떼어내는 것을 용이하게 하면서 내부 공간 (SP) 의 내압에 대항하는 구조가 형성된다. 또, 접합 영역 (1140) 의 오목부 (1111) 측의 단 가장자리부에 제 1 수지 저류부 (1121) 및 제 2 수지 저류부 (1122) 를 형성함으로써, 용기 (1100) 의 개봉 동작을 안정시키고, 또 내내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용기 (1100) 에 증기 통과부 (1141) 를 형성함으로써, 내용물의 가열 시에는 수증기를 외부에 배출하여 용기 (1100) 의 파열을 방지하면서, 증기 통과부 (1141) 로부터 방출되는 수증기의 양을 제한함으로써 내부 공간 (SP) 에 수증기를 충만시킴과 함께 내압을 어느 정도까지 상승시켜, 내용물의 가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내용물의 가열 시에 내부 공간 (SP) 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를 외부에 배출하는 수단으로서 미접합 영역 (1141A) 또는 약접합 영역 (1141B) 을 포함하는 증기 통과부 (1141) 를 형성하는 것은, 이하에 서술하는 바와 같이 용기 (1100) 의 변형 방지를 위해서 유효하다. 수증기의 발생에 의해 내부 공간 (SP) 의 내압이 상승하면, 덮개체 (1130) 의 부풀어오름이나, 용기 본체 (1110) 와 덮개체 (1130) 사이의 접합 영역 (1140) 의 내주연에 응력이 걸리는 것에 의한 플랜지부 (1112) 의 솟아오름이 발생한다. 본 실시형태의 증기 통과부 (1141) 는, 용기 본체 (1110) 와 덮개체 (1130) 사이에 형성되기 때문에, 이 증기 통과부 (1141) 를 통과하는 수증기가 받는 저항력의 반력은, 상기와 같은 덮개체 (1130) 의 솟아오름이나 플랜지부 (1112) 의 솟아오름을 발생시키는 응력과는 상이한 방향, 구체적으로는 수평 방향 (용기 (1100) 가 수평으로 유지되고 있는 경우) 으로 걸린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증기 통과부 (1141) 를 형성한 용기 (1100) 에서는, 내압의 상승 시에 있어서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11 은, 도 10 에 나타내는 용기의 개봉 동작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기 (1200) 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기 (1100) 와 동일한 형상의 용기 본체 (1210) 와, 덮개체 (1230) 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용기 본체 (1210) 는, 오목부 (1111) 와, 오목부 (1111) 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플랜지부 (1112) 를 포함한다. 플랜지부 (1112) 는, 오목부 (1111) 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외방으로 연장된다. 덮개체 (1230) 는, 플랜지부 (1112) 에 형성되는 접합 영역 (1140) 에서 용기 본체 (1210) 에 접합됨으로써 오목부 (1111) 와의 사이에 내부 공간 (SP) 을 형성한다. 용기 (1200) 에서도, 접합 영역 (1140) 에 증기 통과부 (1141) 가 형성된다. 또한, 증기 통과부 (1141) 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의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용기 본체 (1210) 는,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층 (1114A), 표면 하층 (1114B) 및 표면층 (1214C) 을 포함하는 적층체 (1214) 로 이루어진다. 제 1 실시형태의 적층체 (1114) 와의 상위 (相違) 로서, 표면층 (1214C) 은, 기재층 (1114A) 및 표면 하층 (1114B) 과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올레핀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및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 중 적어도 어느 것을 포함하는 수지로 형성된다. 한편, 덮개체 (1230) 는, 외층 (1131A) 및 시일층 (1231B) 을 적층체 (1231) 로 이루어진다. 제 1 실시형태의 적층체 (1131) 와의 상위로서, 시일층 (1231B) 은, 예를 들어 스티렌 그래프트 프로필렌 수지, 또는 접착성 폴리올레핀 수지 등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적층체 (1214) 및 적층체 (1231) 의 구성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일층 (1231B) 의 응집 강도가, 접합 영역 (1140) 에 있어서의 덮개체 (1230) 와 용기 본체 (1210) 사이의 접합 강도보다 약하고, 적층체 (1214) 및 적층체 (1231) 의 시일층 (1231B) 이외의 각 층의 응집 강도보다 약하고, 또 적층체 (1214) 및 적층체 (1231) 의 각 층의 사이의 층간 접합 강도보다 약해진다. 요컨대, 표면 하층 (1114B) 을 제 1 층, 표면층 (1214C) 을 제 2 층, 시일층 (1231B) 을 제 3 층, 외층 (1131A) 을 제 4 층으로 했을 경우에, 제 3 층의 응집 강도는, 덮개체 (1230) 와 용기 본체 (1210) 사이의 접합 강도, 제 1 층, 제 2 층 및 제 4 층의 응집 강도, 그리고 제 1 층과 제 2 층 사이 및 제 3 층과 제 4 층 사이의 층간 접합 강도보다 약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도,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합 영역 (1140) 의 오목부 (1111) 측의 단 가장자리부에, 제 1 수지 저류부 (1221) 및 제 2 수지 저류부 (1222) 가 형성된다. 제 1 수지 저류부 (1221) 는, 용기 본체 (1210) 의 표면 하층 (1114B) 및 표면층 (1214C) 을 형성하는 수지로 이루어지고, 오목부 (1111) 측으로 기울어진 혹 형상 단면을 갖는다. 제 2 수지 저류부 (1222) 는, 덮개체 (1230) 의 시일층 (1231B) 을 형성하는 수지로 이루어지고, 제 1 수지 저류부 (1221) 보다 오목부 (1111) 측에 위치하는 혹 형상 단면을 갖는다. 이하의 본 실시형태의 설명에서는, 제 1 수지 저류부 (1221) 및 제 2 수지 저류부 (1222) 를 총칭하여 수지 저류부 (1220) 라고도 한다.
(용기의 개봉 동작)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용기 (1200) 의 개봉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용기 (1200) 에서도, 플랜지부 (1112) 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크게 연장된 덮개체 (1230) 의 단부를 사용자가 잡고, 여기서부터 도 11(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체 (1230) 를 떼어냄으로써 용기 (1200) 의 개봉이 개시되는 점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단,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시일층 (1231B) 의 응집 강도가, 덮개체 (1230) 와 용기 본체 (1210) 사이의 접합 강도, 시일층 (1231B) 이외의 각 층의 응집 강도, 그리고 적층체 (1214) 및 적층체 (1231) 의 각 층의 사이의 층간 접합 강도보다 약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덮개체 (1230) 를 떼어내면, 접합 영역 (1140) 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용기 본체 (1210) 에 접합된 시일층 (1231B) 이 응집 파괴된다. 이에 따라, 덮개체 (1230) 는 시일층 (1231B) 의 일부를 용기 본체 (1110) 의 표면층 (1214C) 측에 남긴 채로 떼어내어진다.
또한 사용자가 덮개체 (1230) 를 떼어내면, 도 1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지 저류부 (1220) 에서 시일층 (1231B) 의 응집 파괴가 중단되고, 거기서부터는 시일층 (1231B) 의 전체가 덮개체 (1230) 와 함께 떼어내어진다. 이것은, 수지 저류부 (1220) 에 있어서, 시일층 (1231B) 의 응집 파괴가 진행하는 방향과 교차하도록 제 2 수지 저류부 (1222) 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제 1 수지 저류부 (1221) 의 표면과 제 2 수지 저류부 (1222) 의 표면이 서로 이반하는 접합 영역 (1140) 의 단 가장자리 (1140E) 부근에서 시일층 (1231B) 은 양측에서 끌어당겨져 파단하고, 용기 본체 (1210) 측에서 떨어진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기 (1200) 는, 상기와 같은 순서에 의해 개봉된다. 적층체 (1231) 의 시일층 (1231B) 의 응집 강도를 약하게 하면, 개봉 시에 사용자가 덮개체 (1230) 를 떼어내는 힘이 작아도 되어, 개봉이 용이해진다. 한편, 개봉 전, 용기 본체 (1210) 와 덮개체 (1230) 가 서로 접합된 상태에서는, 내부 공간 (SP) 의 내압은 접합 영역 (1140) 에 작용한다. 접합 영역 (1140) 에 있어서의 덮개체 (1230) 와 용기 본체 (1210) 사이의 접합 강도는, 시일층 (1231B) 의 응집 강도보다 강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시일층 (1231B) 의 응집 강도를 약하게 함으로써 개봉을 용이하게 한 경우이더라도, 덮개체 (1230) 와 용기 본체 (1210) 사이의 접합 강도는 강한 상태로 하여 높은 내압에 대항할 수 있다. 게다가, 접합 영역 (1140) 에서는 제 1 수지 저류부 (1121) 의 오목부 (1111) 측의 근원 부근에 응력이 집중하기 때문에, 접합 영역 (1140) 은 보다 수지 저류부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보다 높은 내압에 대항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기 (1200) 에서는, 개봉성과 내내압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정리)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기 (1200) 에서는, 덮개체 (1230) 를 구성하는 적층체 (1231) 의 시일층 (1231B) 의 응집 강도를, 덮개체 (1230) 와 용기 본체 (1210) 사이의 접합 강도, 적층체 (1214) 및 적층체 (1231) 의 시일층 (1231B) 이외의 각 층의 응집 강도, 그리고 적층체 (1114) 및 적층체 (1231) 의 각 층의 사이의 층간 접합 강도보다 약하게 함으로써, 개봉성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용기 본체 (1210) 와 덮개체 (1230) 사이의 접합 강도를 강하게 하여, 종래의 용기보다 높은 내압에 대항할 수 있다. 또,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 1 수지 저류부 (1121) 및 제 2 수지 저류부 (1222) 를 형성함으로써, 용기 (1200) 의 개봉 동작을 안정시키고, 또 내내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용기 (1200) 에 증기 통과부 (1141) 를 형성함으로써, 내용물의 가열 시에는 수증기를 외부에 배출하여 용기 (1200) 의 파열을 방지하면서, 증기 통과부 (1141) 로부터 방출되는 수증기의 양을 제한함으로써 내부 공간 (SP) 에 수증기를 충만시킴과 함께 내압을 어느 정도까지 상승시켜, 내용물의 가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도 12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기의 사시도이다. 상기의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용기 본체 (1110, 1210) 가 대략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고 있었던 데 반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기 (1300) 의 용기 본체 (1310) 는 대략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다. 용기 본체 (1310) 는, 오목부 (1311) 와, 오목부 (1311) 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오목부 (1311) 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외방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 (1312) 를 포함한다. 덮개체 (1330) 는, 오목부 (1311) 의 개구를 덮는 필름상의 부재이며, 플랜지부 (1312) 에 형성되는 접합 영역 (1340) 에서 용기 본체 (1310) 에 접합됨으로써 오목부 (1311) 와의 사이에 내부 공간 (SP) 을 형성한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용기 본체 (1310) 와 덮개체 (1330) 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적층체 (1114) 및 적층체 (1131) 의 조합, 또는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한 적층체 (1214) 및 적층체 (1231) 의 조합에 의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형태에서도,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개봉성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용기 본체 (1310) 와 덮개체 (1330) 사이의 접합 강도를 강하게 하여, 종래의 용기보다 높은 내압에 대항할 수 있다. 수지 저류부를 형성함으로써 용기 (1300) 의 개봉 동작을 안정시키고, 또 내내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점도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도, 용기 (1300) 의 접합 영역 (1340) 에는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한 증기 통과부 (1341) 가 형성되지만, 용기 (1300) 의 내내압성이 높기 때문에 증기 통과부 (1341) 로부터 방출되는 수증기의 양을 제한하고, 내부 공간 (SP) 에 수증기를 충만시킴과 함께 내압을 어느 정도까지 상승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도, 용기의 파열을 방지하면서, 가열된 내용물로부터 발생하는 수증기를 이용하여 가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도 13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14 는, 도 13 에 나타내는 용기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14A 는 도 13 에 나타내는 A-A 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14B 는 도 13 에 나타내는 B-B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기 (1400) 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상기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기 (1300) 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용기 (1400) 에서는, 제 1 내지 제 3 실시형태에 나타낸 바와 같은 증기 통과부 대신에, 수지 저류부를 형성하지 않는 것에 의한 약접합 영역 (1441B) 이 형성되고, 이 약접합 영역 (1441B) 이 증기 통과부 (1441) 로서 기능한다. 도 14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증기 통과부 (1441) 이외에서는, 접합 영역 (1340) 의 오목부 (1311) 측의 단 가장자리부에 수지 저류부 (1120) 가 형성되고, 이에 따라 용기 본체 (1310) 와 덮개체 (1330) 사이의 접합이 높은 내압에 대항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도 14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약접합 영역 (1441B) 에서는, 접합 영역 (1340) 의 오목부 (1311) 측의 단 가장자리부에 수지 저류부 (1120) 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약접합 영역 (1441B) 에서는, 용기 본체 (1310) 와 덮개체 (1330) 사이의 접합은, 수지 저류부 (1120) 가 형성된 부분보다 낮은 내압으로 파괴된다. 구체적으로는, 용기 본체 (1310) 의 표면층 (1114C) 과 덮개체 (1330) 의 시일층 (1131B) 의 사이의 계면 박리, 또는 표면층 (1114C) 과 덮개체 (1330) 의 시일층 (1131B) 의 사이에 형성되는 접합층의 응집 박리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서도, 증기 통과부 (1441) 가 형성됨으로써, 상기의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 상기의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증기 통과부 (1141) 에, 본 실시형태와 같은 수지 저류부를 형성하지 않는 것에 의한 약접합 영역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5 실시형태)
도 15 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15(A) 에는 개봉 전의 상태가, 도 15(B) 에는 개봉 중의 상태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16 은, 도 15 에 나타내는 용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6(A) 및 도 16(B) 는, 각각 도 15(A) 및 도 15(B) 의 상태에 대응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기 (2100) 는, 용기 본체 (2110) (제 1 용기 본체) 와, 덮개체 (2130) (제 2 용기 본체) 를 포함한다. 용기 본체 (2110) 는, 대략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고, 오목부 (2111) 와, 오목부 (2111) 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플랜지부 (2112) 를 포함한다. 플랜지부 (2112) 는, 오목부 (2111) 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외방으로 연장된다. 덮개체 (2130) 는, 오목부 (2111) 의 개구를 덮는 필름상의 부재이며, 플랜지부 (2112) 에 형성되는 접합 영역 (2140) 에서 히트 시일 또는 초음파 시일 등을 사용하여 용기 본체 (2110) 에 접합됨으로써 오목부 (2111) 와의 사이에 내부 공간 (SP) 을 형성한다.
용기 본체 (2110) 는,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층 (2114A) 및 표면층 (2114B) 을 포함하는 적층체 (2114) 를, 진공 성형 또는 압공 성형 등에 의해 오목부 (2111) 및 플랜지부 (2112) 를 포함하는 형상으로 성형한 것이다. 기재층 (2114A) 은, 용기 본체 (2110) 의 외측에 위치하고, 용기 본체 (2110) 의 형상의 유지에 필요해지는 강성을 발휘한다. 표면층 (2114B) 은, 용기 본체 (2110) 의 내측, 즉 내부 공간 (SP) 에 면하는 측에 위치한다. 접합 영역 (2140) 에 있어서, 덮개체 (2130) 는 적층체 (2114) 의 표면층 (2114B) 에 접합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접합 영역 (2140) 에 있어서의 덮개체 (2130) 와 표면층 (2114B) 사이의 접합 강도는, 적층체 (2114) 에 있어서의 기재층 (2114A) 과 표면층 (2114B) 사이의 층간 접합 강도보다 강하다.
여기서, 적층체 (2114) 의 기재층 (2114A) 은, 상기 서술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적층체 (1114) 의 기재층 (1114A) 및 표면 하층 (1114B) 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한편, 적층체 (2114) 의 표면층 (2114B) 은,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형성된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로는, 호모 폴리프로필렌 (HPP), 랜덤 폴리프로필렌 (RPP), 및 블록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고밀도 폴리에틸렌 (HDPE),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 (LDPE) 과 같은 폴리에틸렌계 수지, 그리고 직사슬형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등이 예시된다. 또한, 도시된 예에 있어서 적층체 (2114) 는 기재층 (2114A) 및 표면층 (2114B) 의 2 개의 층을 포함하지만, 상기 서술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적층체 (1114) 와 마찬가지로 추가 층을 포함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용기 본체 (2110) 의 플랜지부 (2112) 에, 접합 영역 (2140) 을 따른 절입 (2115) 이 형성된다. 절입 (2115) 은, 접합 영역 (2140) 보다 오목부 (2111) 측의 플랜지부 (2112) 에서, 적어도 적층체 (2114) 의 표면층 (2114B) 에 형성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절입 (2115) 은, 표면층 (2114B) 의 결락부의 예이다. 도시된 예에서는 절입 (2115) 이 정확히 표면층 (2114B) 만을 관통하여 기재층 (2114A) 에는 도달해 있지 않지만, 절입 (2115) 은 기재층 (2114A) 의 일부에 도달해 있어도 된다. 혹은, 절입 (2115) 은 표면층 (2114B) 을 관통하지 않고, 표면층 (2114B) 이 용기 (2100) 의 개봉 시에 용이하게 파단할 수 있을 정도의 두께로 남겨져도 된다. 또한, 절입 (2115) 의 단면 형상은 도시된 예에서는 V 자형이지만, U 자형 또는 I 자형 등의 다른 형상이어도 된다.
덮개체 (2130) 는, 외층 (2131A) 및 시일층 (2131B) 을 포함하는 필름상의 적층체 (2131) 로 이루어진다. 외층 (2131A) 은, 덮개체 (2130) 의 표측, 즉 용기 본체 (2110) 에 면하지 않는 측에 위치하고, 덮개체 (2130) 에 필요해지는 유연성이나 인장 강도를 발휘한다. 시일층 (2131B) 은, 덮개체 (2130) 의 이측, 즉 용기 본체 (2110) 에 면하는 측에 위치하고, 접합 영역 (2140) 에서 용기 본체 (2110) 를 구성하는 적층체 (2114) 의 표면층 (2114B) 에 접합된다. 여기서, 적층체 (2131) 의 외층 (2131A) 및 시일층 (2131B) 은, 상기 서술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적층체 (1131) 의 외층 (1131A) 및 시일층 (1131B) 과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적층체 (2131) 에도 추가 층이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다른 예에 있어서, 덮개체 (2130) 를 구성하는 적층체 (2131) 는 반드시 필름상은 아니어도 되고, 용기 본체 (2110) 를 구성하는 적층체 (2114) 와 마찬가지로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된 시트상의 적층체여도 된다. 이 경우, 용기 (2100) 는, 호환적인 제 1 용기 본체와 제 2 용기 본체를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제 1 용기 본체를 구성하는 적층체가 제 1 층 및 제 2 층을 포함하고, 제 2 층에 결락부가 형성됨으로써, 제 1 층과 제 2 층의 층간 박리를 이용하여 용기 (2100) 를 개봉할 수 있다. 상기의 예에서는 제 1 용기 본체가 용기 본체 (2110), 제 2 용기 본체가 덮개체 (2130) 이지만, 제 1 용기 본체를 덮개체 (2130), 제 2 용기 본체를 용기 본체 (2110) 로 하고, 덮개체 (2130) 를 구성하는 적층체의 제 2 층에 결락부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동일한 구성은, 후술하는 다른 실시형태에서도 가능하다.
(용기의 개봉 동작)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용기 (2100) 의 개봉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용기 (2100) 에서는, 예를 들어 대략 사각형의 평면 형상의 모서리부에 있어서, 도 16(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체 (2130) 가 용기 본체 (2110) 의 플랜지부 (2112) 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크게 연장되어 있다. 사용자는 연장된 덮개체 (2130) 의 단부를 용이하게 잡고, 여기서부터 덮개체 (2130) 를 떼어냄으로써 용기 (2100) 의 개봉을 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접합 영역 (2140) 에 있어서의 덮개체 (2130) 와 표면층 (2114B) 사이의 접합 강도는, 적층체 (2114) 의 기재층 (2114A) 과 표면층 (2114B) 사이의 층간 접합 강도보다 강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덮개체 (2130) 를 떼어내면, 적층체 (2114) 의 단부에 가까운 접합 영역 (2140) 에서 덮개체 (2130) 에 접합된 표면층 (2114B) 이 덮개체 (2130) 와 함께 떼어내어지는 한편, 적층체 (2114) 의 기재층 (2114A) 과 표면층 (2114B) 사이는 층간 박리한다.
또한 사용자가 덮개체 (2130) 를 떼어내면, 도 16(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입 (2115) 에서 표면층 (2114B) 이 덮개체 (2130) 로부터 떨어지고, 거기서부터는 덮개체 (2130) 만이 떼어내어진다. 이것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절입 (2115) 이 표면층 (2114B) 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절입 (2115) 에 의해 표면층 (2114B) 이 용이하게 파단될 수 있을 정도의 두께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기 (2100) 는, 상기와 같은 순서에 의해 개봉된다. 적층체 (2114) 의 기재층 (2114A) 과 표면층 (2114B) 사이의 층간 접합 강도를 약하게 하면, 개봉 시에 사용자가 덮개체 (2130) 를 떼어내는 힘이 작아도 되어, 개봉이 용이해진다. 한편, 개봉 전, 용기 본체 (2110) 와 덮개체 (2130) 가 서로 접합된 상태에서는, 내부 공간 (SP) 의 내압은 접합 영역 (2140), 보다 구체적으로는 접합 영역 (2140) 의 오목부 (2111) 측의 단 가장자리부에 집중한다. 절입 (2115) 은 접합 영역 (2140) 의 단 가장자리부로부터 이격해 있기 때문에, 집중한 내압이 절입 (2115) 을 기점으로 하여 적층체 (2114) 를 층간 박리시키도록 작용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층간 접합 강도를 약하게 함으로써 개봉을 용이하게 한 경우이더라도, 덮개체 (2130) 와 표면층 (2114B) 사이의 접합 강도를 강하게 함으로써 높은 내압에 대항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기 (2100) 에서는, 개봉성과 내내압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
(증기 통과부의 구성)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2100) 의 접합 영역 (2140) 에 증기 통과부 (2141) 가 형성된다. 또한, 증기 통과부 (2141) 의 개략적인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상기 서술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증기 통과부 (1141) 와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형태의 증기 통과부 (2141) 에 있어서의 미접합 영역 또는 약접합 영역의 배치의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7A 및 도 17B 에는, 상기에서 도 3A 및 도 3B 를 참조하여 설명한 예와 동일한 증기 통과부 (2141) 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18A 및 도 18B 에는, 상기에서 도 4A 및 도 4B 를 참조하여 설명한 예와 동일한 증기 통과부 (2141) 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9A 및 도 19B 에는, 상기에서 도 5A 및 도 5B 를 참조하여 설명한 예와 동일한 증기 통과부 (2141) 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20A 및 도 20B 에는, 상기에서 도 6A 및 도 6B 를 참조하여 설명한 예와 동일한 증기 통과부 (2141) 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또, 상기에서 도 8A 내지 도 8C 를 참조하여 설명한 예와 동일한 증기 통과부 (2141) 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1A 및 도 21B 에는, 증기 통과부 (2141) 가, 접합 영역 (2140) 의 폭 방향으로 서로 병렬하여 배치되는 미접합 영역 (2141A) 및 약접합 영역 (2141B) 을 포함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예에서는, 내용물의 가열 시에 상승한 내부 공간 (SP) 의 내압에 의해 약접합 영역 (2141B) 에 있어서의 덮개체 (2130) 와 용기 본체 (2110) 사이의 접합이 파괴된 후에, 미접합 영역 (2141A) 을 경유하여 수증기가 방출된다. 도 21A 에 도시된 예에서는, 내부 공간 (SP) 측에 약접합 영역 (2141B) 이 배치되고, 외부 공간측에 미접합 영역 (2141A) 이 배치된다. 미접합 영역 (2141A) 은 슬릿 형상이고, 약접합 영역 (2141B) 보다 작은 연통 경로를 형성하고 있다. 도 21A 의 예에서는, 약접합 영역 (2141B) 이 내부 공간 (SP) 에 넓게 면함으로써 내압의 상승 시에 약접합 영역 (2141B) 의 접합이 파괴되기 쉬운 한편, 슬릿 형상의 미접합 영역 (2141A) 이 방출되는 수증기의 유량을 제한함으로써 내용물의 가열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약접합 영역 (2141B) 은, 증기 통과부 (2141) 에만 형성되어도 되고, 증기 통과부 (2141) 이외를 포함하는 플랜지부 (2112) 의 전체 둘레에서 접합 영역 (2140) 의 내부 공간 (SP) 측에 형성되어도 된다. 또, 도시된 예에서는 접합 영역 (2140) 과 약접합 영역 (2141B) 이 접합 영역 (2140) 의 폭 방향에 대해 밀접해 있지만, 접합 영역 (2140) 과 약접합 영역 (2141B) 은 접합 영역 (2140) 의 폭 방향에 대해 이격해 있어도 된다.
한편, 도 21B 에 도시된 예에서는, 내부 공간 (SP) 측에 미접합 영역 (2141A) 이 배치되고, 외부 공간측에 약접합 영역 (2141B) 이 배치된다. 이 예에서도 미접합 영역 (2141A) 은 슬릿 형상이고, 약접합 영역 (2141B) 보다 작은 연통 경로를 형성하고 있다. 도 21B 의 예에서는, 슬릿 형상의 미접합 영역 (2141A) 이 오리피스로서 기능함으로써 약접합 영역 (2141B) 에 걸리는 내압이 감압되기 때문에, 약접합 영역 (2141B) 의 접합이 파괴될 때까지의 사이에 내부 공간 (SP) 의 내압을 보다 높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증기 통과부 (2141) 의 배치가, 용기 (2100) 의 내내압 성능과 적절히 조합되면, 내용물의 가열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도, 약접합 영역 (2141B) 은, 증기 통과부 (2141) 에만 형성되어도 되고, 증기 통과부 (2141) 이외를 포함하는 플랜지부 (2112) 의 전체 둘레에서 접합 영역 (2140) 의 외부 공간측에 형성되어도 된다. 또, 도시된 예에서는 접합 영역 (2140) 과 약접합 영역 (2141B) 이 접합 영역 (2140) 의 폭 방향에 대해 밀접해 있지만, 접합 영역 (2140) 과 약접합 영역 (2141B) 은 접합 영역 (2140) 의 폭 방향에 대해 이격해 있어도 된다.
(제 5 실시형태 정리)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기 (2100) 에서는, 접합 영역 (2140) 에 있어서 적층체 (2114) 를 구성하는 기재층 (2114A) 과 표면층 (2114B) 사이의 층간 접합 강도보다 강한 접합 강도로 덮개체 (2130) 를 표면층 (2114B) 에 접합하고, 또한 접합 영역 (2140) 의 내주를 따른 절입 (2115) 을 형성함으로써, 개봉성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용기 본체 (2110) 와 덮개체 (2130) 사이의 접합 강도를 강하게 하여, 종래의 용기보다 높은 내압에 대항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용기 본체 (2110) 와 덮개체 (2130) 사이에는, 외부로부터의 힘에 의해 덮개체 (2130) 를 용기 본체 (2110) 로부터 떼어내는 것을 용이하게 하면서 내부 공간 (SP) 의 내압에 대항하는 구조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용기 (2100) 에 증기 통과부 (2141) 를 형성함으로써, 내용물의 가열 시에는 수증기를 외부에 배출하여 용기 (2100) 의 파열을 방지하면서, 증기 통과부 (2141) 로부터 방출되는 수증기의 양을 제한함으로써 내부 공간 (SP) 에 수증기를 충만시킴과 함께 내압을 어느 정도까지 상승시켜, 내용물의 가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용기 (2100) 의 변형 방지에 대해서도, 상기 서술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제 6 실시형태)
도 22 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2(A) 에는 개봉 전의 상태가, 도 22(B) 에는 개봉 중의 상태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23 은, 도 22 에 나타내는 용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3A 는 도 22(A) 에 나타내는 A-A 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23B 는 도 22(A) 에 나타내는 B-B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3C 는, 변형예에 관련된 용기의 B-B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기 (2200) 는, 용기 본체 (2210) 와, 덮개체 (2230) 를 포함한다. 용기 본체 (2210) 는, 대략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고, 오목부 (2211) 와, 오목부 (2211) 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플랜지부 (2212) 를 포함한다. 플랜지부 (2212) 는, 오목부 (2211) 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외방으로 연장된다. 덮개체 (2230) 는, 오목부 (2211) 의 개구를 덮는 필름상의 부재이고, 플랜지부 (2212) 에 형성되는 접합 영역 (2240) 에서 히트 시일 또는 초음파 시일 등을 사용하여 용기 본체 (2210) 에 접합됨으로써 오목부 (2211) 와의 사이에 내부 공간 (SP) 을 형성한다. 용기 (2200) 에서도, 접합 영역 (2240) 에 증기 통과부 (2141) 가 형성된다. 또한, 증기 통과부 (2141) 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의 제 5 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용기 본체 (2210) 는, 도 2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의 제 5 실시형태와 동일한 적층체 (2114) 를, 진공 성형 또는 압공 성형 등에 의해 오목부 (2211) 및 플랜지부 (2212) 를 포함하는 형상으로 성형한 것이다. 덮개체 (2230) 도, 상기의 제 5 실시형태와 동일한 필름상의 적층체 (2131) 로 이루어진다. 덮개체 (2230) 는, 접합 영역 (2240) 에 있어서, 히트 시일, 초음파 시일, 또는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표면층 (2114B) 에 접합된다. 제 5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접합 영역 (2240) 에 있어서의 덮개체 (2230) 와 표면층 (2114B) 사이의 접합 강도는, 적층체 (2114) 에 있어서의 기재층 (2114A) 과 표면층 (2114B) 의 층간 접합 강도보다 강하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도, 제 5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용기 본체 (2210) 의 플랜지부 (2212) 에, 접합 영역 (2240) 을 따른 절입 (2215) 이 형성된다. 절입 (2215) 은, 접합 영역 (2240) 보다 오목부 (2211) 측의 플랜지부 (2212) 에서, 적어도 적층체 (2114) 의 표면층 (2114B) 에 형성된다. 제 5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절입 (2215) 의 깊이, 및 단면 형상은,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형태에서는, 용기 본체 (2210) 가, 플랜지부 (2212) 의 둘레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스커트부 (2216) 와, 스커트부 (2216) 의 둘레 가장자리의 일부에 형성되는 스텝부 (2217) 를 포함한다. 도 22 및 도 23 에 있어서의 상하의 방향을 기준으로 한 경우, 플랜지부 (2212) 는 오목부 (2211) 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고, 스커트부 (2216) 는 플랜지부 (2212) 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져 더 연장된다. 스텝부 (2217) 는, 스커트부 (2216) 의 둘레 가장자리의 일부가, 플랜지부 (2212) 보다 일단 낮은 위치에서, 플랜지부 (2212) 와 평행하게, 즉 대략 수평으로 연장된 부분이다. 스텝부 (2217) 에는, 덮개체 (2230) 가 적층체 (2114) 의 표면층 (2114B) 에 접합되는 추가 접합 영역 (2218) 이 형성된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접합 영역 (2240) 과 추가 접합 영역 (2218) 이 분리되어 있지만, 이들은 연속해서 형성되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커트부 (2216) 가 형성됨으로써, 플랜지부 (2212) 및 스커트부 (2216) 로 이루어지는 용기 본체 (2210) 의 림 부분의 강성이 향상된다. 이에 따라, 용기 본체 (2210) 가 하중이나 충격에 대항하여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것에 더하여, 예를 들어 내부 공간 (SP) 이 부압이 되어 덮개체 (2230) 가 오목부 (2111) 측으로 끌어당겨진 경우에도, 덮개체 (2230) 의 장력에 의한 플랜지부 (2212) 의 휘어오름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스커트부 (2216) 가 형성되는 경우, 도 2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 (2212) 에 형성되는 접합 영역 (2240) 이 스커트부 (2216) 의 둘레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적층체 (2114) 의 단부로부터 멀어지기 때문에, 덮개체 (2230) 를 떼어내어 용기 (2200) 를 개봉할 때에, 접합 영역 (2240) 에서 기재층 (2114A) 과 표면층 (2114B) 사이를 층간 박리시키는 것이 어려워진다. 이에 대하여, 도 2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텝부 (2217) 가 형성된 부분에서는, 적층체 (2114) 의 단부에 가까운 추가 접합 영역 (2218) 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추가 접합 영역 (2218) 에서 기재층 (2114A) 과 표면층 (2114B) 사이를 용이하게 층간 박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용기 (2200) 도, 상기의 제 5 실시형태에서 도 16 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동작으로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다.
도 23C 에는,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련된 용기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변형예에 관련된 용기에서는, 도 23B 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스텝부 (2217) 에 형성된 추가 접합 영역 (2218) 대신에, 추가 절입 (2215B) 이 형성된다. 또한, 도 23C 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절입 (2215A) 은, 도 23B 등의 예에 있어서의 절입 (2215) 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추가 절입 (2215B) 은, 절입 (2215A) 보다 플랜지부 (2212) 의 외주측에 형성되는 표면층 (2114B) 의 결락부이다. 절입 (2215B) 도, 절입 (2215A) 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깊이, 및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추가 절입 (2215B) 은, 접합 영역 (2240) 의 외주 가장자리 근방의 임의의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추가 절입 (2215B) 은, 도시된 예와 같이 접합 영역 (2240) 의 외주 가장자리에 거의 일치하는 위치에 형성되어도 되고, 접합 영역 (2240) 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플랜지부 (2212) 의 외주측으로 이격한 위치에 형성되어도 되고, 접합 영역 (2240) 의 외주 가장자리보다 플랜지부 (2212) 의 내주측, 즉 접합 영역 (2240) 과 겹쳐지는 위치에 형성되어도 된다.
도 23C 의 예에서는, 사용자가 덮개체 (2230) 를 떼어내어 용기 (2200) 를 개봉할 때에, 절입 (2215B) 을 기점으로 하여 기재층 (2114A) 과 표면층 (2114B) 사이를 용이하게 층간 박리시킬 수 있다. 그 이후는, 본 변형예에 관련된 용기도, 상기의 제 5 실시형태에서 도 16 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동작으로 개봉할 수 있다.
(제 6 실시형태 정리)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기 (2200) 에서도, 접합 영역 (2240) 에 있어서 적층체 (2114) 를 구성하는 기재층 (2114A) 과 표면층 (2114B) 사이의 층간 접합 강도보다 강한 접합 강도로 덮개체 (2230) 를 표면층 (2114B) 에 접합하고, 또한 접합 영역 (2240) 의 내주를 따른 절입 (2215) 을 형성함으로써, 개봉성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용기 본체 (2210) 와 덮개체 (2230) 사이의 접합 강도를 강하게 하여, 종래의 용기보다 높은 내압에 대항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용기 (2200) 에 증기 통과부 (2141) 를 형성함으로써, 내용물의 가열 시에는 수증기를 외부에 배출하여 용기 (2200) 의 파열을 방지하면서, 증기 통과부 (2141) 로부터 방출되는 수증기의 양을 제한함으로써 내부 공간 (SP) 에 수증기를 충만시킴과 함께 내압을 어느 정도까지 상승시켜, 내용물의 가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커트부 (2216) 를 형성함으로써, 용기 본체 (2210) 의 림 부분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스커트부 (2216) 와 함께 스텝부 (2217) 를 형성하고, 스텝부 (2217) 에 추가 접합 영역 (2218) 을 형성함으로써, 스커트부 (2216) 가 형성되는 경우이더라도, 상기와 같이 개봉성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용기 본체 (2210) 와 덮개체 (2230) 사이의 접합 강도를 강하게 할 수 있다.
또, 도 23C 에 나타낸 변형예의 경우, 추가 절입 (2215B) 을 형성함으로써, 추가 접합 영역 (2218) 을 형성하지 않아도 상기의 본 실시형태의 효과가 얻어진다. 게다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접합 영역 (2240) 의 외주 가장자리가 절입 (2215B) 을 넘어 플랜지부 (2212) 의 외주측에 위치해도 되기 때문에, 접합 영역 (2240) 의 외주 가장자리에 대해, 덮개체 (2230) 를 용기 본체 (2210) 에 접합할 때의 위치 맞춤에 어느 정도의 어긋남이 허용된다.
(제 7 실시형태)
도 24 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25 는, 도 24 에 나타내는 용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5A 는 도 24 에 나타내는 A-A 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25B 는 도 24 에 나타내는 B-B 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25C 는 도 24 에 나타내는 C-C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기 (2300) 는, 용기 본체 (2310) 와, 덮개체 (2230) 를 포함한다. 용기 본체 (2310) 는, 제 6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대략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고, 오목부 (2211) 와, 오목부 (2211) 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외방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 (2312) 를 포함한다. 용기 본체 (2310) 는, 스커트부 (2216) 및 스텝부 (2217) 가 형성되지 않는 점에서 제 6 실시형태의 용기 본체 (2210) 와 상이하지만, 그 이외에서는, 절입 (2215) 을 포함하여 용기 본체 (2210) 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덮개체 (2230) 는, 제 6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구성되고, 플랜지부 (2312) 에 형성되는 접합 영역 (2340) 에서 용기 본체 (2310) 에 접합된다. 접합 영역 (2340) 은, 환상부 (2341) 와, 외방 장출부 (2342) 를 포함한다. 환상부 (2341) 의 일부에는, 미접합 영역 (2341A) 이 형성된다. 또한, 덮개체 (2230) 는, 플랜지부 (2312) 에 형성되는 환상의 약접합 영역 (2341B) 에서도 용기 본체 (2310) 에 접합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내부 공간 (SP) 의 내압이 상승했을 때에 내부 공간 (SP) 을 외부 공간에 연통시키는 증기 통과부는, 접합 영역 (2340) 의 폭 방향으로 서로 병렬하여 배치되는 미접합 영역 (2341A) 과 약접합 영역 (2341B) 을 포함한다. 여기서, 환상부 (2341) 의 일부에만 형성되는 미접합 영역 (2341A) 은, 플랜지부 (2312) 의 전체 둘레에 형성되는 약접합 영역 (2341B) 보다 작은 연통 경로를 형성한다.
상기의 접합 영역 (2340) 중, 환상부 (2341) 는, 도 25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 (2312) 의 폭에 대해 상대적으로 좁은 폭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환상부 (2341) 에서는 접합 영역 (2340) 이 플랜지부 (2312) 의 둘레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적층체 (2114) 의 단부로부터 멀어지지만, 한편으로, 히트 시일, 초음파 시일, 또는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덮개체 (2230) 를 용기 본체 (2310) 에 접합할 때의 위치 맞춤에 어느 정도의 어긋남이 허용된다.
한편, 접합 영역 (2340) 중, 외방 장출부 (2342) 는, 도 25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환상부 (2341) 로부터 외방으로, 즉 플랜지부의 둘레 가장자리를 향하여 장출되어 있다. 외방 장출부 (2342) 의 평면 형상은, 도시된 예와 같은 사다리꼴에 한정되지는 않고, 삼각형이나 반원형, U 자형 등의 다른 형상이어도 된다. 또, 도시된 예에 있어서, 외방 장출부 (2342) 는 플랜지부 (2212) 의 둘레 가장자리에 도달해 있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적층체 (2114) 의 기재층 (2114A) 과 표면층 (2114B) 사이의 층간 박리를 개시시키는 것이 가능한 범위에서 플랜지부 (2312) 의 둘레 가장자리에 근접해 있으면 되고, 반드시 플랜지부 (2312) 의 둘레 가장자리에 도달해 있지 않아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랜지부 (2312) 의 둘레 가장자리에 근접하는 외방 장출부 (2342) 가 형성됨으로써, 덮개체 (2230) 를 떼어내어 용기 (2300) 를 개봉할 때에, 적층체 (2114) 의 기재층 (2114A) 과 표면층 (2114B) 사이를 용이하게 층간 박리시킬 수 있다. 요컨대,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방 장출부 (2342) 이외의 환상부 (2341) 에서는 접합 영역 (2340) 의 폭을 좁게 함으로써 위치 맞춤의 어긋남을 허용하면서, 외방 장출부 (2342) 를 형성함으로써, 용기 (2300) 의 높은 개봉성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미접합 영역 (2341A) 은, 도 25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합 영역 (2340) 의 환상부 (2341) 가 중단됨으로써 용기 본체 (2310) 와 덮개체 (2230) 사이가 부분적으로 접합되어 있지 않은 영역이다. 단, 환상의 약접합 영역 (2341B) 은 미접합 영역 (2341A) 이 형성되는 부분에도 형성되기 때문에, 내부 공간 (SP) 의 내압이 상승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용기 본체 (2310) 와 덮개체 (2230) 사이는 플랜지부 (2312) 의 전체 둘레에 걸쳐 접합되어 있다. 여기서, 용기 본체 (2310) 와 덮개체 (2230) 가 서로 접합된 상태에서는, 내부 공간 (SP) 의 내압은 환상의 약접합 영역 (2341B) 의 오목부 (2211) 측의 단 가장자리부에 집중하기 때문에, 내부 공간 (SP) 의 내압이 상승하면, 먼저 환상의 약접합 영역 (2341B) 의 어느 부분에서 용기 본체 (2310) 와 덮개체 (2230) 사이의 접합이 파괴된다. 도시된 예와 같이 미접합 영역 (2341A) 과 약접합 영역 (2341B) 이 접합 영역 (2340) 의 폭 방향에 대해 이격해 있는 경우, 수증기는 약접합 영역 (2341B) 의 접합이 파괴된 부분으로부터 환상부 (2341) 와 약접합 영역 (2341B) 의 사이를 통과하여 미접합 영역 (2341A) 에 이르고, 미접합 영역 (2341A) 으로부터 외부 공간으로 배출된다. 혹은, 미접합 영역 (2341A) 과 약접합 영역 (2341B) 이 접합 영역 (2340) 의 폭 방향에 대해 밀접해 있는 경우, 약접합 영역 (2341B) 의 둘레 방향으로 접합의 파괴가 진행되고, 미접합 영역 (2341A) 에 인접한 부분에서 약접합 영역 (2341B) 의 접합이 파괴되면, 수증기가 외부 공간으로 배출된다.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약접합 영역 (2341B) 에서 발생하는 덮개체 (2230) 와 용기 본체 (2310) 사이의 접합의 파괴는, 용기 본체 (2310) 의 표면층 (2114B) 과 덮개체 (2230) 의 시일층 (2131B) 의 사이의 계면 박리, 또는 표면층 (2114B) 과 시일층 (2131B) 사이에 형성되는 접합층에 있어서의 응집 박리로서, 표면층 (2114B) 과 기재층 (2114A) 사이의 층간 박리와는 상이하다. 도시된 예와 같이 약접합 영역 (2341B) 의 단 가장자리부와 절입 (2215) 이 이격해 있으면, 내압은 기재층 (2114A) 과 표면층 (2114B) 사이를 층간 박리시키도록은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미접합 영역 (2341A) 이외에서 내부 공간 (SP) 이 외부 공간에 연통하는 경우는 없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증기의 발생에 의해 상승한 내부 공간 (SP) 의 내압에 의해, 덮개체 (2230) 와 용기 본체 (2310) 사이의 접합이 약접합 영역 (2341B) 의 일부에서 파괴되고, 덮개체 (2230) 와 용기 본체 (2310) 가 접합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 미접합 영역 (2341A) 에 도달함으로써 내부 공간 (SP) 이 외부 공간에 연통한다. 요컨대,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합 영역 (2340) 의 환상부 (2341) 에 형성되는 미접합 영역 (2341A) 과, 환상부 (2341) 의 내측에 형성되는 환상의 약접합 영역 (2341B) 의 조합이, 내부 공간 (SP) 의 내압이 상승했을 때에 내부 공간 (SP) 을 외부 공간에 연통시키는 것이 가능한 증기 통과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제 5 실시형태 내지 제 7 실시형태의 구성은 호환적이다. 예를 들어, 제 5 실시형태와 같은 대략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용기 본체 (2110) 에, 제 6 실시형태와 같은 스커트부 (2216) 및 스텝부 (2217) 를 형성해도 된다. 혹은, 대략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용기 본체 (2110) 의 플랜지부 (2112) 에, 환상부 (2341) 및 외방 장출부 (2342) 를 포함하는 접합 영역 (2340), 미접합 영역 (2341A), 그리고 약접합 영역 (2341B) 을 형성해도 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각종 변형예도, 제 5 실시형태 내지 제 7 실시형태에 있어서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변형예)
도 26 및 도 27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용기 본체 (2110) 의 플랜지부 (2112) 의 둘레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적층체 (2114) 의 단부에 있어서, 표면층 (2114B) 의 단 가장자리에, 기재층 (2114A) 의 단 가장자리에 덮이는 늘어짐부 (2114P) 가 형성된다. 용기 (2100) 의 개봉 시에는, 도 26(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층 (2114B) 이 늘어짐부 (2114P) 째 기재층 (2114A) 으로부터 층간 박리하여 덮개체 (2130) 와 함께 떼어내어진다. 혹은, 표면층 (2114B) 은 늘어짐부 (2114P) 에서 파단하고, 늘어짐부 (2114P) 의 선단은 기재층 (2114A) 측에 남겨져도 된다. 이와 같은 적층체 (2114) 의 단부의 형상은, 도 2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2100) 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적층체 (2114) 를 플랜지부 (2112) 의 둘레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타발할 때에, 가이드 (2601A, 2601B) 를 사용하여 플랜지부 (2112) 의 외측을 끼워 넣은 상태에서, 플랜지부 (2112) 의 이측, 즉 적층체 (2114) 의 기재층 (2114A) 이 위치하는 측으로부터 타발형 (2602) 을 대어 적층체 (2114) 를 타발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층체 (2114) 의 단부에 근접하여 형성되는 접합 영역 (2140) 에서 히트 시일을 사용하여 덮개체 (2130) 를 표면층 (2114B) 에 접합할 때에, 히트 시일의 온도, 압력, 및 각각의 수지의 용융 점도 등의 조건에 따라서는, 용융한 수지가 접합 영역 (2140) 으로부터 흐르기 시작할 가능성이 있다. 이 때에, 흐르기 시작한 수지가 적층체 (2114) 의 단부에 도달하고, 표면층 (2114B) 의 단 가장자리를 넘어 기재층 (2114A) 의 단 가장자리에까지 도달하면, 용기 (2100) 의 개봉 시에 기재층 (2114A) 과 표면층 (2114B) 사이를 층간 박리시키는 것이 곤란해진다. 본 변형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표면층 (2114B) 에 늘어짐부 (2114P) 가 형성됨으로써, 흐르기 시작한 수지가 기재층 (2114A) 의 단 가장자리에까지 도달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서는, 예를 들어 고온 및 고압의 히트 시일에 의해 덮개체 (2130) 를 표면층 (2114B) 에 접합하여, 용기 (2100) 의 내내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28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용기 본체 (2110) 의 플랜지부 (2112) 에 형성되는 절입 (2115) 대신에, 접합 영역 (2140) 보다 오목부 (2111) 측에 위치하는 플랜지부 (2112) 와 오목부 (2111) 의 경계 부근에, 표면층 (2114B) 의 박육부 (薄肉部) (2120) 가 형성된다. 박육부 (2120) 는, 예를 들어, 적층체 (2114) 를 오목부 (2111) 및 플랜지부 (2112) 를 포함하는 형상으로 성형할 때에, 플랜지부 (2112) 의 압압 (押壓) 에 의해 기재층 (2114A) 의 수지를 표면층 (2114B) 측으로 팽출시킴으로써 형성된다. 박육부 (2120) 에서는, 도시된 예와 같이 표면층 (2114B) 이 부분적으로 얇게 성형되어 있어도 되고, 혹은 표면층 (2114B) 이 부분적으로 중단되어 있어도 된다.
본 변형예와 같이, 표면층 (2114B) 에 박육부 (2120) 가 형성되는 경우도, 박육부 (2120) 에서는 표면층 (2114B) 이 중단되어 있거나, 또는 용이하게 파단할 수 있을 정도의 두께로 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 (2100) 의 개봉 시에 박육부 (2120) 에서 표면층 (2114B) 이 덮개체 (2130) 로부터 떨어지고, 거기서부터는 덮개체 (2130) 만이 떼어내어진다. 요컨대, 본 변형예에 있어서의 박육부 (2120) 는, 상기의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절입 (2115) 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와 같이 표면층 (2114B) 을 중단시키거나, 또는 용이하게 파단할 수 있을 정도의 두께로 하는 부분을, 표면층 (2114B) 의 결락부라고도 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절입 (2115) 이나 박육부 (2120) 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범위에서, 결락부의 형상은 어떠한 것이어도 되며, 반드시 절입 또는 박육부라고 불리는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8 실시형태)
도 29 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기의 증기 통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용기 본체 (제 1 용기 본체) 및 덮개체 (제 2 용기 본체) 의 사이의 접합 영역 (3140) 은, 예를 들어 상기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접합 영역 (1140), 또는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접합 영역 (2140) 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접합 영역 (3140) 에 형성되는 증기 통과부 (3141) 에서는, 접합 영역 (3140) 에, 직경 (φ) 의 대략 원형의 비접합 영역 (3141A) 이 중심 간격 (d) 으로 배열된다. 여기서, 배열은, 규칙성을 가진 위치 관계로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각각의 비접합 영역 (3141A) 은, 서로 접하는 일 없이 고립되어 있다 (요컨대, d > φ). 비접합 영역 (3141A) 은, 예를 들어 시일반에 동 (同) 형상의 오목부를 형성하고, 오목부에서는 열이나 초음파를 가하지 않음으로써 형성된다. 비접합 영역 (3141A) 을 형성함으로써, 증기 통과부 (3141) 에서 다른 부분보다 접합 강도를 낮게 하거나, 혹은 증기 통과부 (3141) 에서 접합 강도의 시일 온도 (또는 초음파의 강도) 에 대한 변화율을 완만하게 할 수 있다.
도 30 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련된 용기의 증기 통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변형예에 관련된 용기의 증기 통과부 (3141) 에서는, 모서리를 둥글린 V 자형의 비접합 영역 (3141B) 이 배열된다. 본 변형예에서도, 비접합 영역 (3141B) 은, 서로 접하는 일 없이 고립되어 있다. 비접합 영역 (3141B) 도, 예를 들어 시일반에 동 형상의 오목부를 형성하고, 오목부에서는 열이나 초음파를 가하지 않음으로써 형성된다. 비접합 영역 (3141B) 을 형성하는 경우도, 증기 통과부 (3141) 에서 다른 부분보다 접합 강도를 낮게 하거나, 혹은 증기 통과부 (3141) 에서 접합 강도의 시일 온도 (또는 초음파의 세기) 에 대한 변화율을 완만하게 할 수 있다.
상기에서 도 30 의 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증기 통과부 (3141) 에 있어서 대략 원형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의 비접합 영역을 배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0 의 예에 나타낸 형상 이외에도, 다각형, 또는 타원형 등의 비접합 영역을 배열해도 된다. 또, 비접합 영역의 형상은 모두 동일하지 않아도 되고, 예를 들어 복수 종류의 형상의 비접합 영역을 배열함으로써 증기 통과부 (3141) 가 형성되어도 된다. 어느 경우도, 비접합 영역이 서로 접하는 일 없이 고립되어 있음으로써, 용기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하는 시일 누설의 발생이 방지된다.
계속해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실험 결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표 1 에 나타내는 실시예 1 ∼ 실시예 4, 및 비교예 1 에 대해서, 히트 시일의 시일 온도를 바꾸면서, 용기에 성형하기 전의 시트에, RPP (랜덤 폴리프로필렌) 실란트 필름을 덮개재로서 접합한 것에 대해, 시트와 덮개재 사이에 소정의 송풍량으로 공기를 송입함으로써 펑크압 강도 (파열 시의 최대 압력) 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 ∼ 실시예 3 은 비접합 영역을 원형으로 하여 직경 (φ) 을 변화시킨 예, 실시예 4 는 비접합 영역을 모서리를 둥글린 V 자형으로 한 예, 비교예 1 은 비접합 영역을 형성하지 않은 예이다. 표 1 에는, 비접합 영역 1 개당의 면적 (S) 도 나타낸다. 또한, 실시예 4 에 있어서의 면적 (S) 은, V 자형의 모서리를 둥글린 부분을 무시하고 (모서리가 있는 것으로 하여) 계산하였다. 또한, 표 1 에 있어서의 증기 통풍 안정성에 대한 평가는, A (양호), B (약간 양호), C (불량) 의 3 단계로 기재되어 있다.
Figure pct00001
도 31 은,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의 펑크압 강도와 시일 온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그래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 1 에서는 시일 온도가 165 ℃ 부터 175 ℃ 사이에서 펑크압 강도가 0.034 ㎫ 부터 0.111 ㎫ 까지 급상승한다. 요컨대, 비교예 1 의 경우, 상기의 10 ℃ 의 온도 범위 중에서 시일 온도가 변동하면 펑크압 강도가 크게 변화하기 때문에, 시일 온도에 대한 증기 통풍 안정성은 낮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2 에서 상기의 온도 범위의 펑크압 강도의 기울기가 비교예 1 보다 약간 완만해진다 (표 1 에서는, 증기 통풍 안정성에 대해 「B」 의 평가). 비접합 영역의 직경 (φ) 을 더욱 크게 한 실시예 1, 실시예 3 및 실시예 4 에서는, 시일 온도가 165 ℃ 를 초과하고 나서의 펑크압 강도의 상승이 비교예 1 에 비해 현저하게 완만하고, 펑크압 강도가 0.10 ㎫ 를 초과하는 것은 시일 온도가 185 ℃ ∼ 195 ℃ 일 때이다 (표 1 에서는, 증기 통풍 안정성에 대해 「A」 의 평가). 이와 같이, 실시예 1 ∼ 실시예 4 에서는 시일 온도에 대한 증기 통풍 안정성이 비교예 1 에 비해 개선되기 때문에, 원하는 펑크압 강도를 실현하는 경우의 시일 온도의 허용 오차를 크게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의 실시예 2 의 결과로부터, 증기 통풍 안정성의 개선을 위해서는, 비접합 영역의 1 개당 면적 (S) 이 0.1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이면, 청구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 있어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상도할 수 있는 것은 분명하고, 이들에 대해서도, 당연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1100 : 용기
1110 : 용기 본체
1111 : 오목부
1112 : 플랜지부
1114 : 적층체
1114A : 기재층
1114B : 표면 하층
1114C : 표면층
1120 : 수지 저류부
1121 : 제 1 수지 저류부
1122 : 제 2 수지 저류부
1130 : 덮개체
1131 : 적층체
1131A : 외층
1131B : 시일층
1140 : 접합 영역
1141 : 증기 통과부
1141A : 미접합 영역
1141B : 약접합 영역
1200 : 용기
1210 : 용기 본체
1214 : 적층체
1214C : 표면층
1220 : 수지 저류부
1221 : 제 1 수지 저류부
1222 : 제 2 수지 저류부
1230 : 덮개체
1231 : 적층체
1231B : 시일층
1300 : 용기
1310 : 용기 본체
1311 : 오목부
1312 : 플랜지부
1330 : 덮개체
1340 : 접합 영역
1341 : 증기 통과부
1601 : 환상 시일반
1602 : 팽출부
1603 : 경사면
1604 : 평탄면
1605 : 환상 시일반
2100 : 용기
2110 : 용기 본체
2111 : 오목부
2112 : 플랜지부
2114 : 적층체
2114A : 기재층
2114B : 표면층
2114P : 늘어짐부
2115 : 절입
2120 : 박육부
2130 : 덮개체
2131 : 적층체
2131A : 외층
2131B : 시일층
2140 : 접합 영역
2141 : 증기 통과부
2141A : 미접합 영역
2141B : 약접합 영역
2200 : 용기
2210 : 용기 본체
2211 : 오목부
2212 : 플랜지부
2215 : 절입
2216 : 스커트부
2217 : 스텝부
2218 : 추가 접합 영역
2230 : 덮개체
2240 : 접합 영역
2300 : 용기
2310 : 용기 본체
2312 : 플랜지부
2340 : 접합 영역
2341 : 환상부
2342 : 외방 장출부
2343 : 내방 장출부
2344, 2345 : 추가 절입
3140 : 접합 영역
3141 : 증기 통과부
3141A : 비접합 영역
3141B : 비접합 영역
SP : 내부 공간

Claims (18)

  1. 오목부 및 상기 오목부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외방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제 1 용기 본체와,
    상기 플랜지부에 형성되는 접합 영역에서 상기 제 1 용기 본체에 접합됨으로써 상기 오목부와의 사이에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 2 용기 본체를 구비하는 용기로서,
    상기 제 1 용기 본체와 상기 제 2 용기 본체의 사이에는, 외부로부터의 힘에 의해 상기 제 2 용기 본체를 상기 제 1 용기 본체로부터 떼어내는 것을 용이하게 하면서 상기 내부 공간의 내압에 대항하는 구조가 형성되고,
    상기 접합 영역에는, 상기 내부 공간의 내압이 상승했을 때에 상기 내부 공간을 외부 공간에 연통시키는 것이 가능한 증기 통과부가 형성되는,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용기 본체는, 제 1 층과, 상기 제 1 층에 접합되고 상기 접합 영역에 면하는 제 2 층을 적어도 포함하는 적층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용기 본체는, 상기 접합 영역에 면하는 제 3 층과, 상기 제 3 층에 접합되는 제 4 층을 적어도 포함하는 적층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층 또는 상기 제 3 층 중 어느 것이 응집 파괴층이고, 상기 응집 파괴층의 응집 강도는 상기 제 2 용기 본체와 상기 제 1 용기 본체 사이의 접합 강도, 상기 제 1 층부터 상기 제 4 층까지 중 상기 응집 파괴층 이외의 각 층의 응집 강도, 그리고 상기 제 1 층과 상기 제 2 층 사이 및 상기 제 3 층과 상기 제 4 층 사이의 층간 접합 강도보다 약하고,
    상기 접합 영역의 상기 오목부측의 단 (端) 가장자리부에, 상기 제 1 층 및 상기 제 2 층을 형성하는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오목부측으로 기울어진 혹 형상 단면 (斷面) 의 제 1 수지 저류부와, 상기 제 3 층의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수지 저류부보다 상기 오목부측에 위치하는 혹 형상 단면의 제 2 수지 저류부가 형성되는,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통과부는, 상기 제 1 수지 저류부 및 상기 제 2 수지 저류부가 부분적으로 형성되지 않는 부분을 포함하는,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용기 본체는, 적어도 제 1 층 및 제 2 층을 포함하는 적층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용기 본체는, 상기 제 2 층에 접합되고,
    상기 제 2 용기 본체와 상기 제 2 층 사이의 접합 강도는, 상기 제 2 층과 상기 제 1 층 사이의 층간 접합 강도보다 강하고,
    상기 접합 영역보다 상기 오목부측에 상기 제 2 층의 결락부가 형성되는, 용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락부에서는, 적어도 상기 제 2 층에 절입이 형성되거나, 상기 제 2 층이 부분적으로 얇게 성형되거나, 또는 상기 제 2 층이 부분적으로 중단되는, 용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용기 본체는, 상기 플랜지부의 둘레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스커트부, 및 상기 스커트부의 둘레 가장자리의 일부가 상기 플랜지부와 평행하게 더욱 연장된 스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용기 본체는, 상기 접합 영역에 더하여, 상기 스텝부에 위치하는 추가 접합 영역에서 상기 제 2 층에 접합되는, 용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용기 본체는, 상기 플랜지부의 둘레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스커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합 영역의 외주 가장자리의 근방에 상기 제 2 층의 추가 결락부가 형성되는, 용기.
  8.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영역은, 상기 플랜지부의 폭에 대해 상대적으로 좁은 폭으로 형성되는 환상부 (環狀部) 와, 상기 환상부로부터 상기 플랜지부의 둘레 가장자리를 향하여 장출하는 장출부를 포함하는, 용기.
  9. 제 4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의 둘레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상기 적층체의 단부 (端部) 에 있어서, 상기 제 2 층의 단 가장자리에, 상기 제 2 층의 단 가장자리에 덮이는 늘어짐부가 형성되는, 용기.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통과부는, 상기 제 2 용기 본체와 상기 제 1 용기 본체가 접합되지 않는 미접합 영역, 또는 상기 제 2 용기 본체와 상기 제 1 용기 본체가 상대적으로 약한 단위면적당의 접합 강도로 접합되는 약접합 영역을 포함하는, 용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미접합 영역 또는 상기 약접합 영역은, 상기 접합 영역을 폭 방향으로 횡단하는, 용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접합 영역 또는 상기 약접합 영역은, 1 또는 복수의 슬릿 형상의 영역인, 용기.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미접합 영역 또는 상기 약접합 영역은, 상기 접합 영역이 폭 방향으로 돌출한 부분의 선단을 포함하는 영역, 또는 상기 접합 영역이 폭 방향으로 팽출한 부분의 정부 (頂部) 를 포함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용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통과부는, 상기 접합 영역의 폭 방향으로 서로 병렬하여 배치되는 상기 미접합 영역 및 상기 약접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미접합 영역은, 상기 약접합 영역보다 작은 연통 경로를 형성하는, 용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접합 영역은, 상기 플랜지부의 전체 둘레에 형성되는, 용기.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미접합 영역과 상기 약접합 영역은, 상기 접합 영역의 폭 방향에 대해 밀접 또는 이격해 있는, 용기.
  17.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통과부는, 상기 접합 영역의 둘레 방향의 일부에 형성되는 서로 고립된 복수의 비접합 영역을 포함하는, 용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합 영역의 1 개당 면적은 0.1 ㎟ 이상인, 용기.
KR1020207011362A 2017-10-31 2018-10-30 용기 KR202000758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10707A JP7188878B2 (ja) 2017-10-31 2017-10-31 容器
JPJP-P-2017-210707 2017-10-31
JPJP-P-2017-210708 2017-10-31
JP2017210708A JP7137919B2 (ja) 2017-10-31 2017-10-31 容器
JP2018186975A JP7352342B2 (ja) 2018-10-01 2018-10-01 容器
JPJP-P-2018-186975 2018-10-01
PCT/JP2018/040281 WO2019088082A1 (ja) 2017-10-31 2018-10-30 容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5839A true KR20200075839A (ko) 2020-06-26

Family

ID=66333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1362A KR20200075839A (ko) 2017-10-31 2018-10-30 용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200075839A (ko)
CN (1) CN111278746B (ko)
TW (1) TW201927648A (ko)
WO (1) WO2019088082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962B1 (ko) 1970-08-18 1975-01-22
JPS62251363A (ja) 1986-04-08 1987-11-02 出光石油化学株式会社 簡易ピ−ル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4229Y2 (ko) * 1975-12-27 1980-03-31
JPH0173180U (ko) * 1987-11-02 1989-05-17
JPH10258878A (ja) * 1997-03-17 1998-09-29 Oji Paper Co Ltd 食品容器及び該容器に使用する易開封性の蓋材
JP4146267B2 (ja) * 2003-04-08 2008-09-10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容器、包装体及び容器の製造方法
JP2005041557A (ja) * 2003-07-25 2005-02-17 Sun A Kaken Co Ltd 加熱処理用包装体および加熱処理用包装体における内容物の包装方法
JP4539266B2 (ja) * 2004-09-28 2010-09-08 東洋製罐株式会社 電子レンジ調理用包装体
JP4610357B2 (ja) * 2005-01-31 2011-01-12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易開封性容器の製造方法
JP4924613B2 (ja) * 2006-11-10 2012-04-25 東洋製罐株式会社 電子レンジ調理用包装体
JP5001962B2 (ja) * 2009-02-16 2012-08-15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易開封性容器、易開封性容器の製造方法、及び易開封性容器の製造装置
JP5466982B2 (ja) * 2010-04-08 2014-04-09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容器本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包装容器
JP2015020781A (ja) * 2013-07-19 2015-02-02 凸版印刷株式会社 蓋材
WO2015072404A1 (ja) * 2013-11-12 2015-05-21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容器本体、容器および容器の製造方法
JP6505452B2 (ja) * 2015-02-05 2019-04-24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包装体の製造方法、包装体の製造装置、および、受け体
GB2537811B (en) * 2015-03-26 2017-07-05 Parkside Flexibles (Europe) Ltd Package
JP6777842B2 (ja) * 2015-04-06 2020-10-28 キョーラク株式会社 電子レンジ用容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962B1 (ko) 1970-08-18 1975-01-22
JPS62251363A (ja) 1986-04-08 1987-11-02 出光石油化学株式会社 簡易ピ−ル容器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3-78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927648A (zh) 2019-07-16
CN111278746B (zh) 2022-05-13
CN111278746A (zh) 2020-06-12
WO2019088082A1 (ja)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45407B (zh) 易开封容器和其制造方法及制造装置
JP2017057008A (ja) 電子レンジ用パウチ
WO2005023676A1 (ja) 電子レンジ用包装袋
JP2005187079A (ja) 電子レンジ用包装袋及び該電子レンジ用包装袋に内容物を充填した包装体の製造方法
JPWO2017208864A1 (ja) 電子レンジ用パウチ
JP2011195157A (ja) 易開封性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059896B2 (ja) 包装袋
JP7352342B2 (ja) 容器
JP7422501B2 (ja) 容器
KR20200075839A (ko) 용기
JP7137919B2 (ja) 容器
JP7188878B2 (ja) 容器
JP4139588B2 (ja) 電子レンジ用包装袋
JP2010111087A (ja) 多層シート、熱成形容器および易開封性包装体
JP6168997B2 (ja) 包装袋
JP7432300B2 (ja) 誤開封防止容器
JP7032210B2 (ja) 容器
JP2016159976A (ja) 包装体
JP2019081585A (ja) 容器
JP7082707B2 (ja) 包装袋
JP6693006B1 (ja) レンジ用容器
CN113614004B (zh) 微波炉用容器
CN114126975B (zh) 包装袋
JP6578461B2 (ja) 包装袋
JP6122274B2 (ja) シール盤、シール方法、シール装置、および容器の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