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2413A - 다층 시트, 열성형 용기 및 개봉 용이성 포장체 - Google Patents

다층 시트, 열성형 용기 및 개봉 용이성 포장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2413A
KR20100052413A KR1020090107417A KR20090107417A KR20100052413A KR 20100052413 A KR20100052413 A KR 20100052413A KR 1020090107417 A KR1020090107417 A KR 1020090107417A KR 20090107417 A KR20090107417 A KR 20090107417A KR 20100052413 A KR20100052413 A KR 20100052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surface layer
layer
container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7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야 사토
Original Assignee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52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24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75/32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 B65D75/3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one sheet or blank being recessed and the other formed of relatively stiff flat sheet material, e.g. blister packages, the recess or recesses being preform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Packages (AREA)
  • Wrapp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다층 시트 (20) 는, 표면층 (21) 과, 이 표면층 (21) 과 인접하는 표하층 (22) 을 포함하여 구성된 시트로서, 표면층 (21) 의 두께 치수는 1 ㎛ ∼ 200 ㎛ 이고, 표면층 (21) 은,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및 스티렌계 폴리머를 함유하여 구성되고, 이들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및 스티렌계 폴리머의 함유율은, 각각 60 mass% 이상 80 mass% 이하, 1 mass% 이상 10 mass% 이하, 8 mass% 이상 28 mass% 이하, 4 mass% 이상 14 mass% 이하이고, 표하층 (22) 은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함유하고, 이 폴리에틸렌계 수지의 함유율은 5 mass% 이상 50 mass% 이하이다.
다층 시트, 열성형 용기

Description

다층 시트, 열성형 용기 및 개봉 용이성 포장체{MULTILAYER SHEET, THERMOFORMING CONTAINER AND EASY-OPEN PACKAGING BODY}
본 발명은, 다층 시트, 열성형 용기 및 이 용기를 구비한 개봉 용이성 포장체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덮개재와 용기를 열시일에 의해 밀봉하는 포장 형태를 사용하는 개봉 용이성 포장체로, 식품·약품·화장품 등을 포장한다.
최근, 음식에 대한 안전 의식의 고양에 수반되어, 내용물의 밀봉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내용물을 꺼낼 수 있는 개봉 용이성 용기, 덮개재, 이들 용기 및 덮개재를 구비한 포장체가 알려져 있다 (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231226호, 문헌 2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223299호 참조).
문헌 1 에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에틸렌·아크릴산 에스테르·무수 말레산 공중합체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A 층과,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B 층을 구비한 다층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또, 다층 시트를 열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열성형 용기도 개시되어 있다.
문헌 2 에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스티렌계 블록 폴리머를 함유하는 표면층과, 스티렌계 수지 및 스티렌계 블록 폴리머를 함유하는 기재층의 2 층으로 이루 어지는 덮개재용 박리 용이 복합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문헌 1 에 기재된 용기에서는, 시일층으로서의 A 층 내에서 발생된 응집 파괴와, A 층 및 그 인접한 B 층간의 층간 박리가 랜덤하게 발생함으로써 개봉면이 안정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시일면에 흐트러진 응집 파괴의 흔적이 털과 같이 남음으로써 패키지의 일부 혼입이나, 개봉시의 감각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또, A 층을 구성하는 원료 중에 융점이 낮은 것을 사용하고 있다. 그 때문에, 열성형시의 가열 존이 가열판의 접촉 가열인 경우, 가열판에 시트가 부착되어, 안정된 용기 성형을 저해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내용물의 충전·살균·보존 공정에서 고온 분위기에 놓여졌을 때, A 층이 녹거나, 잘 무너지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열시일 조건을 높게 설정했을 때에 A 층이 배척되기 쉬워, 밀봉성이 저해되는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다.
또, 문헌 2 에 기재된 것은 층간 박리에 의해 개봉하는 것으로, 시트 성형시, 용기 열성형시의 가열 조건 등의 변화에 의해, 박리 강도가 변화되기 쉬워 개봉 감촉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또, 포장체에 내용물을 충전하여 밀봉하는 경우,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열시일 조건을 높게 설정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밀봉성을 높임으로써 개봉 후의 외관이나 개봉감이 희생되는 경우가 있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목적은, 개봉 용이성 및 개봉 감촉이 안정되고, 내열성 및 개봉면의 외관이 양호한 용기, 그 용기를 구비한 포장체 및 이들 용기 및 포장체를 구성하는 다층 시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층 시트는, 표면층과, 이 표면층에 인접하여 적층된 표하층을 포함하여 구성된 다층 시트로서, 상기 표면층의 두께 치수는 1 ㎛ ∼ 200 ㎛ 이고, 상기 표면층은,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및 스티렌계 폴리머를 함유하여 구성되고, 이들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및 스티렌계 폴리머의 함유율은, 각각 60 mass% 이상 80 mass% 이하, 1 mass% 이상 10 mass% 이하, 8 mass% 이상 28 mass% 이하, 4 mass% 이상 14 mass% 이하이고, 상기 표하층은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함유하고, 이 폴리에틸렌계 수지의 함유율은, 5 mass% 이상 50 mass%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다층 시트는, 표면층과, 이 표면층에 인접하여 적층된 기재층을 포함하여 구성된 다층 시트로서, 상기 표면층의 두께 치수는 1 ㎛ ∼ 200 ㎛ 이며, 상기 표면층은,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및 스티렌계 폴리머를 함유하여 구성되고, 이들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및 스티렌계 폴리머의 함유율은, 각각 60 mass% 이상 80 mass% 이하, 1 mass% 이상 10 mass% 이하, 8 mass% 이상 28 mass% 이하, 4 mass% 이상 14 mass% 이하이고, 상기 기재층은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함유하고, 이 폴리에틸렌계 수지의 함유율은, 5 mass% 이상 50 mass%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다층 시트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에 분산제가 함유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표면층에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프로필렌에틸렌부텐 1 터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티렌계 폴리머는, 스티렌에틸렌부텐스티렌 블록 코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열성형 용기는, 전술한 본 발명의 다층 시트를 열성형함으로써 얻어지고, 개구부를 갖는 열성형 용기로서, 상기 개구부의 주변에 플랜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개봉 용이성 포장체는, 전술한 본 발명의 용기와, 상기 용기의 개구부를 덮은 상태로 융착된 덮개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개봉 용이성 포장체는, 상기 플랜지부의 개구부측 근방에 수지 고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개봉 용이성 및 개봉 감촉이 안정되고, 내열성 및 개봉면의 외관이 양호한 용기, 그 용기를 구비한 포장체 및 이들 용기 및 포장체를 구성하는 다층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형태의 다층 시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층 시트 (20) 는, 기재층 (23) 과, 기재층 (23) 에 인접하여 적층된 표하층 (22) 과, 이 표하층 (22) 에 인접하여 적층된 응집 파괴성의 표면층 (21) 을 구비한다.
기재층 (23) 은, 제 1 기재층 (23E) 과, 제 1 접착층 (23D) 과, 가스 배리어층 (23C) 과, 제 2 접착층 (23B) 과, 제 2 기재층 (23A) 이 순서대로 적층된 구성이다.
제 1 및 제 2 기재층 (23E, 23A) 에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각 기재층 (23E, 23A) 의 두께는 100 ∼ 2000 ㎛ 이고, 바람직하게는 200 ∼ 1000 ㎛ 이다.
제 1 및 제 2 접착층 (23D, 23B) 에는, 예를 들어,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지만,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를 사용해도 된다.
가스 배리어층 (23C) 으로는,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에틸렌-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 등의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중에서도 에틸렌-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하층 (22) 에는, 폴리에틸렌계 수지가 함유되어 있고, 그 함유량은 5 mass% 이상 50 mass%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10 mass% 이상 30 mass% 이하이다.
또, 표하층 (22) 에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가 함유되고 있어도 되고, 예를 들어, 호모 폴리프로필렌, 랜덤 폴리프로필렌이다.
표면층 (21) 에는, 적어도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및 스티렌계 폴리머가 함유되어 있다.
폴리프로필렌의 함유량은 60 mass% 이상 80 mass%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65 mass% 이상 75 mass% 이하이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함유량은, 1 mass% 이상 10 mass%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2 mass% 이상 5 mass% 이하이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는, 예를 들어, 프로필렌에틸렌부텐 1 터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다.
또, 표면층 (21) 의 폴리에틸렌계 수지의 함유량은 8 mass% 이상 28 mass%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3 mass% 이상 23 mass% 이하이다.
스티렌계 폴리머의 함유량은 4 mass% 이상 14 mass%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6 mass% 이상 12 mass% 이하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스티렌계 폴리머란, 스티렌이나, o-메틸스티렌, m-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에틸스티렌, 디메틸스티렌 등의 방향족 비닐 탄화수소와 부타디엔, 이소프렌, 펜타디엔 등의 디엔 화합물의 블록 코폴리머이다. 그 구조로는, 폴리스티렌-폴리부타디엔 (SB) 및 폴리스티렌-폴리이소프렌 (SI) 등의 2 원계 블록 코폴리머, 폴리스티렌-폴리부타디엔-폴리스티렌 (SBS) 및 폴리스티 렌-폴리이소프렌-폴리스티렌 (SIS) 등의 3 원계 블록 코폴리머이다. 또, 이들 블록 코폴리머를 수소 첨가한 스티렌-에틸렌부텐-스티렌 (SEBS),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SEPS) 등의 포화형 PS 계 BP 를 들 수 있다. SB 계 BP 에는, 스티렌에틸렌부텐스티렌 블록 코폴리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스티렌계 폴리머 중의 스티렌 함유량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스티렌 등의 방향족 비닐 탄화수소가 10 mass% 내지 80 mass% 범위의 시판품, 구체적으로는, 전기 화학 공업 (주) 제조의 덴카 STR, 덴카-크리아렌, 닛폰 합성 고무 (주) 제조 JSR-TR, 아사히 화성 공업 (주) 제조 타프푸렌, 솔푸렌, 아사플렉스, 타프텍, 필립스 제조 솔푸렌, K 레진, 시엘 화학 (주) 제조 카리플렉스 TR, 크레이튼 G, 쿠라레 (주) 제조 세프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표면층 (21) 에는 추가로 분산제가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분산제의 함유량은 1 mass% 이상 8 mass%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2 mass% 이상 5 mass% 이하이다.
표면층 (21) 의 두께는 1 ㎛ 이상 200 ㎛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 100 ㎛ 이하이다.
이와 같은 다층 시트 (20) 는, T 다이를 사용한 다층 압출 성형법에 의해 성형된다. 즉, 각 층 21 ∼ 23 에 대응한 압출기를 사용하고, 각 압출기로부터 압출된 각 층 21 ∼ 23 을 T 다이에 넣기 직전에 형성한 특수 블록에서 합류, 적층시켜 성형한다.
다음으로, 도 2A, 도 2B, 및 도 3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 련된 용기 및 덮개재를 구비한 개봉 용이성 포장체 (이하, 「포장체」라고 약기한다) 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포장체는, 디저트류, 전자 레인지용 식품, 레토르트용 식품 등의 식품용 포장체로서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
(I) 포장체 (1) 의 구성 :
도 2A 및 도 2B 는, 본 발명의 포장체 (1) 의 일 양태 (제 1 실시형태) 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A 는 덮개재 (3) 로 밀봉된 상태, 도 2B 는 개봉 개시부 (4) 로부터 덮개재 (3) 를 개봉한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 도 3 은, 도 2A 및 도 2B 의 개봉 개시부 (4) 의 단면도이다.
포장체 (1) 는, 열성형 용기 (2 ; 이하, 「용기」라고 약기한다) 와, 덮개재 (3) 를 구비하고 있다. 덮개재 (3) 는, 용기 (2) 의 개구부 (24) 에 대해 탑재되고, 개구부 (24) 의 주연에 배치 형성된 플랜지부 (25) 에 열시일됨으로써, 도 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체 (1) 의 내부를 밀봉 상태로 한다. 덮개재 (3) 가 플랜지부 (25) 에 열시일될 때, 도 3 에 나타내는 고리형 시일 반 (盤 ; 7) 에서 형성되는 시일부 (262) 와 고리형 시일 반 (7a) 에서 형성되는 시일부 (261) 로 이루어지는 고리형 시일부 (26) 가 형성된다.
한편, 밀봉 상태의 포장체 (1) 를 개봉하는 데에는, 도 2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및 후기하는 도 7 및 도 8 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체 (1) 의 코너각에 형성된 개봉 개시부 (4) 에 있어서 덮개재 (3) 를 상부 (도 2B 의 화살표 방향) 로 들어올림으로써, 포장체 (1) 가 간편하게 개봉된다.
(I-1) 용기 (2) 의 구성
용기 (2) 는, 표면층 (21), 표하층 (22), 기재층 (23) 의 3 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이다.
또, 당해 용기 (2) 는, 소정의 깊이를 갖는 대략 직사각형의 트레이 형상으로서,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부 (24) 를 갖고 있다. 당해 개구부 (24) 의 주연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플랜지부 (25) 가 배치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후기하는 도 7 에 나타내는데, 용기 (2) 의 표면층 (21) 이 응집 파괴되는 응집 박리에 의해 포장체 (1) 가 개봉된다.
(I-2) 덮개재 (3) 의 구성 :
덮개재 (3) 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포장체 (1) 의 외부에 나타나는 외층 (33) 과, 용기 (2) 의 표면층 (21) 과 열시일되는 시일층 (31) 과, 이들 시일층 (31) 및 외층 (33) 간에 개재된 중간층 (32) 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이다.
용기 (2) 의 표면층 (21) 과 열시일되는 덮개재 (3) 의 시일층 (31) 은, 용기 (2) 의 표면층 (21) 이 응집 파괴되어 박리되는 개봉 양태이다.
또, 덮개재 (3) 를 구성하는 중간층 (32) 은, 폴리아미드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외층 (33) 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필름, 2 축 연신 나일론 필름 (O-Ny)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표면층 (21) 을 용기 (2) 에, 또 시일층 (31) 을 덮개재 (3) 에 채용하여 양자를 열시일한 경우에는, 양 층 (21, 31) 이 융착되는 한편, 포 장체 (1) 의 개봉시에는, 응력에 대해 약한 용기 (2) 의 표면층 (21) 이 응집 박리되어, 개봉이 양호하게 실시되게 된다.
(I-3) 수지 고임부 (6) 의 형성 :
본 실시형태의 포장체 (1) 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 (25) 상면에 있는 고리형 시일부 (262) 의 내주연 근방 (도 3 의 X 의 위치) 에, 용기 (2) 의 표하층 (22), 표면층 (21) 및 덮개재 (3) 의 시일층 (31) 이, 용기 (2) 의 개구부 (24) 방향으로 압출되도록 하여, 혹 형상의 수지 고임부 (6) 가 형성되어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지 고임부 (6) 는, 용기 (2) 의 표면층 (21) 의 수지 고임 (61), 표하층 (22) 의 수지 고임 (62), 및 덮개재 (3) 의 시일층 (31) 의 수지 고임 (63) 이 모여 형성되어 있다. 용기 (2) 의 표면층 (21) 이 응집 박리되는 개봉 형태의 포장체 (1) 에 이와 같은 수지 고임부 (6) 를 형성시킴으로써, 본 실시형태의 포장체 (1) 는, 포장 용기로서 높은 밀봉성을 구비할 뿐만 아니라, 양호한 상태에서 개봉 용이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 당해 수지 고임부 (6) 에 있어서의 덮개재 (3) 와 용기 (2) 의 플랜지부 (25) 의 절단이 간편하게 실시되고, 내압에 의한 응력이 가해지는 방향과 응집 파괴에 의한 개봉이 용이한 방향을 다르게 함으로써, 본 실시형태의 포장체 (1) 는, 포장 용기로서 양호한 상태에서 개봉 용이성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밀봉성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용기 (2) 의 플랜지부 (25) 상면에 있는 고리형 시일부 (262) 의 내주연 근방 (도 3 의 X 의 위치) 의 전체 둘레에는 상기한 수지 고 임부 (6) 가 형성되어 있는 한편, 용기 (2) 의 개봉 개시부 (4) 에 있는 고리형 시일부 (262) 의 외주연은 플랫, 혹은, 내주연 부근 X 에 있는 수지 고임부 (6) 보다 작은 수지 고임이 형성되어 있다. 용기 (2) 의 개봉 개시부 (4) 이외의 부분에 대응하는 고리형 시일부 (262) 의 외주연에는 내주연 근방 X 에 있는 상기 수지 고임부 (6) 와 대략 동일한 크기의 도시되지 않은 수지 고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포장체 (1) 는, 고밀봉성, 개봉 용이성, 및 개봉 개시부 (4) 이외로부터의 덮개재 (3) 의 개봉 방지성이 우수하다.
여기에서, 용기 (2) 의 표하층 (22) 에 있어서, 폴리에틸렌계 수지의 함유량이 5 mass% 미만이면, 표면층 (21) 과 표하층 (22) 의 층간과 응집 파괴면에 의해 보풀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한편, 폴리에틸렌계 수지의 함유량이 50 mass% 를 초과하면, 표하층 (22) 과 기재층 (23) 사이에서 층간이 박리되는 경우가 있다.
또, 용기 (2) 의 표면층 (21) 의 폴리프로필렌의 함유량이 60 mass% 미만이면, 덮개재 (3) 와의 접착이 약하여, 밀착성이 악화되거나 내열성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폴리프로필렌의 함유량이 80 mass% 를 초과하면, 밀착성이 너무 강해져 개봉성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다.
또, 용기 (2) 의 표면층 (21) 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함유량이 1 mass% 미만이면, 덮개재 (3) 와의 접착이 약하여, 밀착성이 악화되거나 내열성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함유량이 10 mass% 를 초과하면, 덮개재 (3) 와의 밀착성이 너무 강해져 개봉성이 악화되거나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표면층 (21) 의 폴리에틸렌계 수지의 함유량이 8 mass% 미만이면, 덮개재 (3) 와의 밀착성이 너무 강해져, 개봉성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폴리에틸렌계 수지의 함유량이 28 mass% 를 초과하면,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표면층 (21) 의 스티렌계 폴리머의 함유량이 4 mass% 미만이면, 분산성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한편, 스티렌계 폴리머의 함유량이 14 mass% 를 초과하면, 내열성이 악화됨과 함께,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경우가 있다.
표면층 (21) 의 두께가 1 ㎛ 미만 또는 200 ㎛ 를 초과하면, 응집 파괴가 잘일어나지 않는 경우가 있다.
포장체 (1) 를 제조하는 데 있어서, 용기 (2) 의 플랜지부 (25) 와 덮개재 (3) 를 융착시켜 포장체 (1) 를 밀봉 상태로 하는 데에는, 용기 (2) 의 플랜지부 (25) 에 덮개재 (3) 를 중첩시키고, 이 덮개재 (3) 의 상면으로부터, 가열 상태의 고리형 시일 반 (7) 을 가압함으로써 열시일이 실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개봉 개시부 (4) 의 고리형 시일부 (262) 의 내주연 근방 X 에 혹 형상의 수지 고임부 (6) 를 형성하는 데에는, 예를 들어, 하기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면 된다.
도 4 는, 본 실시형태의 포장체 (1) 를 제조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개봉 개시부 (4) 의 시일 공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용기 (2) 의 플랜지부 (25) 와 덮개재 (3) 의 열시일은,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2) 의 플랜지부 (25) 에 덮개재 (3) 를 중첩시키고, 당해 덮개재 (3) 상부로부터, 가열 상태의 고리형 시일 반 (7) 을 도 4 의 화살표 방향으로 가 압함으로써 실시되고, 이로써, 용기 (2) 의 플랜지부 (25) 의 표면층 (21) 과 덮개재 (3) 의 시일층 (31) 이 융착된다.
또, 도 5 는, 열시일시에 있어서의 고리형 시일 반 (7) 과 플랜지부 (25)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고, 또, 도 6 은, 고리형 시일 반 (7) 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포장체 (1) 를 제조할 때에 사용되는 고리형 시일 반 (7) 은 플랜지부 상면에 대해, 내주연에 R 가공이 실시되고, 외주연이 고리형 시일 반 (7) 의 선단 (도 6 의 선단 (73)) 보다 늦게 덮개재 (3) 에 닿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경계 A (고리형 시일 반 (7) 의 선단 (73) 이기도 하다) 를 개재하여, 외주연 측에는, 단면 (斷面) 이 경사 형상이 되는 경사면부 (71) 가, 또, 내주연 측에는, R 가공되어 단면이 곡면 형상인 곡면부 (72) 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중, 고리형 시일 반 (7) 의 외주연 측에 형성되는 경사면부 (71) 에 있어서, 도 6 과 같이 플랜지부 (25) 에 대해 내주연 측에서 외주연 측을 향해 형성되는 각도 (θ) 는, 고리형 시일 반 (7) 의 폭 H 에 따라 상이하지만, 2 ∼ 20°, 바람직하게는 3 ∼ 15°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사면부 (71) 의 각도가 2°보다 작으면, 열시일시에 가압된 경우라도, 상기한 도 3 에 나타내는 수지 고임부 (6) 가, 시일부 (26) 의 외주연 근방에도 형성되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얻어진 포장체 (1) 의 개봉시에 시일부 (26) 외측에서의 저항이 커져, 포장체 (1) 의 개봉을 원활히 실시하기가 곤란해진다.
한편, 경사면부 (71) 의 각도가 20°을 초과하면, 경계 A 의 주변이 완만하지 않고 날카로워, 시일시 혹은 개봉시에 덮개재 (3) 가 절단되는 경우가 있어, 개봉 용이성이 저해될 우려가 있다.
또, 고리형 시일 반 (7) 의 내주연 측에 형성되는 곡면부 (72) 에 실시되는 R 가공은, 고리형 시일 반 (7) 의 폭 H 에 따라 상이하지만, R 이 0.2 mm ∼ 0.5 HmmR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mm ∼ 0.4 HmmR 정도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R 이 0.2 mmR 보다 작으면, 경계 A 의 주변이 완만하지 않고 날카로워, 시일시 혹은 개봉시에 덮개재 (3) 등이 절단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R 이 0.5 HmmR 를 초과하면, 열시일시에 가압한 경우라도, 플랜지부 (25) 상면에 있는 고리형 시일부 (262) 의 내주연 근방 X 에 수지 고임부 (6) 가 잘 형성되지 않게 된다.
여기에서, 이들 경사면부 (71) 및 곡면부 (72) 는, 경계 A 가 고리형 시일 반 (7) 의 단면 폭 방향에 대해 내측 쪽 (내주연 쪽) 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계 A 가 고리형 시일 반 (7) 의 단면 폭 방향에 대해 내측 쪽이면, 고리형 시일 반 (7) 의 내주연 측에 곡면부 (72), 당해 시일 반 (7) 의 외주연 측에 경사면부 (71) 가 형성되어 있는 것도 더불어, 열시일시에 고리형 시일 반 (7) 의 외주연 측보다 선단 (73) 이 먼저 덮개재 (3) 와 접하는 것 (고리형 시일 반 (7) 의 외주연이 선단 (73) 보다 늦게 덮개재 (3) 에 접하는 것) 이 확실하게 이루어져, 고리형 시일 반 (7) 의 내주연 측의 개구부 (24) 측에 대해 수지 고임부 (6) 가 선택적으로 형성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포장체 (1) 의 개봉 개시부 (4) 이외의 부위에 대응하는, 고리형 시일 반 (7) 의 내주연 및 외주연의 양 가장자리 전체 둘레에, 상기 R 가공되어 단면이 곡면 형상인 곡면부 (72) 가 형성되어 있다. 또, 포장체 (1) 의 개봉 개시부 (4) 에 대응하는 고리형 시일 반 (7) 의 부위는, 내주연에 상기 R 가공되어 단면이 곡면 형상인 곡면부 (72) 가 형성되어 있는 한편, 외주연에는 경사면부 (71) 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리형 시일 반 (7) 의 외주연은 선단 (73) 보다 늦게 덮개재 (3) 에 접한다. 이와 같은 형상을 갖는 고리형 시일 반을 사용함으로써, 고밀봉성, 개봉 용이성, 및 개봉 개시부 (4) 이외로부터의 덮개재 (3) 의 개봉 방지성이 우수한 용기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고리형 시일 반 (7) 은, 도 2A 및 도 2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시일시, 고리형 시일부 (262) 를 일체적으로 형성시키기 위해, 상기한 경사면부 (71) 와 곡면부 (72) 를 고리형으로 연속하여 형성한 고리형 시일 반 (시일링) 으로 해도 된다. 또, 포장체 (1) 의 개봉 개시부 (4) 에 대응하는 부위에 대해서만, 당해 경사면부 (71) 와 곡면부 (72) 를 형성한 고리형 시일 반 (시일링) 으로 해도 된다.
도 5 및 도 6 에 나타낸 형상의 고리형 시일 반 (7) 을 사용하여, 용기 (2) 의 플랜지부 (25) 와 덮개재 (3) 를 열시일하기 위해서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고리형 시일 반 (7) 에 있어서의 경사면부 (71) 와 곡면부 (72) 의 경계 A 에 대응하는 선단 (73) 이 덮개재 (3) 에 접하고, 그 후, 당해 경계 A 의 내 주연 측에 형성된 곡면부 (72) 가 덮개재 (3) 의 내측을 향하고, 또, 경계 A 의 외주연 측에 형성된 경사면부 (71) 가 덮개재 (3) 의 외측을 향해 가압해 간다. 이로써, 용기 (2) 의 표면층 (21) 과 당해 표면층 (21) 과 인접하는 표하층 (22) 의 수지 성분이, 경계 A 의 하부로부터 용기 (2) 의 내측에 압출되어, 플랜지부 (25) 의 고리형 시일 반 (7) 의 내주연이 접하는 위치의 근방, 즉, 용기 (2) 시일부 (262) 의 내주연 근방 X 에 부풀어오른 혹 형상의 수지 고임 (61, 62) 을 형성한다. 또, 덮개재 (3) 의 시일층 (31) 도 추종하여 수지 고임 (63) 을 형성한다. 이들 수지 고임 (61, 62, 63) 이 수지 고임부 (6) 를 형성한 상태에서, 용기 (2) 의 플랜지부 (25) 의 표면층 (21) 과 덮개재 (3) 의 시일층 (31) 이 열시일되어, 양자가 융착되게 된다.
여기에서, 시일 조건으로서, 시일 온도는, 열시일되는 재료의 종류 등에 의해 적절하게 결정하면 되지만, 일반적으로, 160 ℃ ∼240 ℃ 정도로 하면 된다. 시일 압력은, 10 ∼ 50 kg/㎠ (100 ∼ 500 kPa) 정도로 하면 된다.
또한, 고리형 시일반 (7) 에 의한 열시일만으로는, 외주연 측으로부터 협잡물이 들어가기 쉬워질 우려가 있다. 외주연 측에서의 협잡물 혼입을 방지하기 위해서, 고리형 시일 반 (7) 에 의해, 전술한 혹 형상의 수지 고임부 (6) 를 형성하면서, 덮개재 (3) 의 시일층 (31) 을 용기 (2) 의 표면층 (21) 에 열시일한 후에, 다른 고리형 시일 반 (도 3 의 고리형 시일 반 (7a)) 을 사용하여, 용기 (2) 의 표면층 (21) 과 덮개재 (3) 의 시일층 (31) 을 열시일해도 된다. 또한, 이 때, 고리형 시일 반 (7a) 을 수지 고임부 (6) 에 닿지 않도록 하고, 또한, 덮개재 (3) 의 시일층 (31) 에 있어서, 고리형 시일 반 (7) 에 의해 열시일된 부분의 외주연 측에 닿도록 하여 덮개재 (3) 를 가압한다. 고리형 시일 반 (7a) 에 있어서, 덮개재 (3) 를 가압하는 면은 평활해도 되지만, 개봉 용이성을 저해하지 않기 위해, 로렛 등의 부분 접착이 가능한 면으로 해도 상관없다.
(I-4) 포장체 (1) 의 개봉 :
도 7 은, 본 실시형태의 포장체 (1) 가 초기 개봉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 은, 당해 포장체 (1) 가 완전히 개봉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초기 개봉된 상태」란, 응집 박리된 박리면이 수지 고임부 (6) 까지 도달하지 않은 상태를 가리킨다.
상기와 같이 하여, 용기 (2) 의 플랜지부 (25) 와 덮개재 (3) 를 열시일하여 얻어진 본 실시형태의 포장체 (1) 를 개봉 개시부 (4) 로부터 개봉하기 위해,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재 (3) 에 대해 도 7 의 화살표 방향으로 힘 F 를 가한다. 그러자 덮개재 (3) 에 대한 힘 F 에 의해, 용기 (2) 의 표면층 (21) 에 있어서 응집 박리가 진행된다.
또, 이 응집 박리가 수지 고임부 (6) 에 도달하는 것에 있어서는, 표면층 (21) 의 응집 박리는, 당해 표면층 (21) 과 인접하는 표하층 (22) 에 형성된 수지 고임 (62) 의 형상을 따라 진행되게 된다.
그리고, 표면층 (21) 의 응집 박리가, 시일부 (262) 의 내주연 근방 (X ; 절단 위치도 된다) 에까지 도달하면, 덮개재 (3) 의 시일층 (31) 에 형성된 수지 고임 (63) 의 형상에 추종하도록 하여, 용기 (2) 의 표면층 (21) 의 수지 고임 (61) 이 절단된다. 이들에 의해, 포장체 (1) 에 있어서 용기 (2) 와 덮개재 (3) 의 개봉이 용이하게 실시되게 된다.
[실시형태의 효과]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용기 (2) 를 구성한 다층 시트 (20) 에 있어서, 표면층 (21) 의 두께와, 표면층 (21) 에 함유되는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및 스티렌계 폴리머 각각의 함유율을 특정하였다. 또한, 표하층 (22) 의 폴리에틸렌계 수지의 함유율도 특정하였다.
그 때문에, 표면층 (21) 내부의 응집 파괴에 의한 박리면을 안정화시킬 수 있어, 개봉 용이성과 개봉 감촉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응집 박리 위치가 어긋나지 않기 때문에 응집 부분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고, 양호한 개봉 외관을 달성할 수 있다.
또, 고온 분위기하에 있어서의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열성형시의 가열판 접촉시에 시트의 가열판에 대한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열성형기의 가열 방법을 선택하지 않는 내열성에서 얻어지는 안정된 생산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유분이 많은 내용물이나 고온에서의 충전, 재가열시의 시트 용해를 방지할 수 있고, 내용물이나 보존 방법, 조리 방법을 선택하지 않고 용기 (2) 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다층 시트 (20) 가 표하층 (22) 을 포함하지 않고 표면층 (21) 의 1 층만으로 했을 경우, 다층 시트 (20) 에 덮개재 (3) 를 열시일하면, 개봉시에 외관 불량이 발생하거나 개봉감이 안정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 표면층 (21) 에 분산제를 함유함으로써, 스티렌계 폴리머의 분산성이 향상되는 점에서, 표면층 (21) 에 발생하기 쉬운 요철이 해소되어, 용기 (2) 의 외관이 보다 향상된다.
본 실시형태의 포장체 (1) 는, 용기 (2) 의 플랜지부 (25) 에 덮개재 (3) 를 열시일하여 형성하였다.
이 포장체 (1) 는, 개봉 용이성 및 개봉 감촉이 안정되고, 내열성 및 개봉면의 외관이 양호해진다.
또, 포장체 (1) 의 개구부 (24) 측 근방에 수지 고임부 (6) 를 형성하였다.
그 때문에, 응집 박리가 수지 고임부 (6) 가 개재하는 곳까지 진행되면, 수지 고임부 (6) 의 개재에 의해 박리되는 응력이 덮개재 (3) 를 용기 (2) 로부터 떨어뜨리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그 때문에, 덮개재 (3) 와 용기 (2) 의 플랜지부 (25) 의 절단이 양호하게 실시되어, 양호한 개봉성을 구비한 포장체 (1) 가 된다.
[제 2 실시형태]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의 포장체 (1) 는, 용기 (2) 와 덮개재 (3) 가 개봉될 때에, 용기 (2) 의 표면층 (21) 이 응집 박리되어 개봉되는 양태를 나타내는 것이었다.
이에 대하여, 제 2 실시형태의 포장체 (1a) 는, 도 9 및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2) 와 덮개재 (3) 가 개봉될 때에, 덮개재 (3) 의 시일층 (31) 이 응집 박리된다는 점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와 상위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 구조 및 동일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임과 함께, 그 설명은 생략 또는 간략화하고 있다.
도 9 는, 본 실시형태의 포장체 (1a) 가 초기 개봉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 은, 당해 포장체 (1a) 가 완전히 개봉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체 (1a) 를 구성하는 덮개재 (3) 의 시일층 (31) 이 응집 파괴되어, 덮개재 (3) 가 박리되도록 하는 데에는, 시일층 (31) 을 구성하는 재료로서, 상기 서술한 표면층 (21) 과 동일한 구성을 채용하고, 중간층 (32) 으로서, 상기 서술한 표하층 (22) 과 동일한 구성을 채용한다.
이 경우, 용기 (2) 의 표면층 (21) 으로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나 이들의 블렌드계를 사용하면 된다.
이와 같은 시일층 (31) 을 덮개재 (3) 에, 표면층 (21) 을 용기 (2) 에 채용하여 양자를 열시일한 경우에는, 양 층 (21, 31) 이 융착되는 한편, 개봉시에는, 응력에 대해 약한 덮개재 (3) 의 시일층 (31) 이 응집 파괴되어, 개봉이 양호하게 실시된다.
본 실시형태의 포장체 (1a) 를 개봉 개시부 (4) 로부터 개봉할 때에는,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재 (3) 에 대해 도 9 의 화살표 방향으로 힘 F 를 가한다. 그러면, 덮개재 (3) 에 대한 힘 F 에 의해, 덮개재 (3) 의 시일층 (31) 의 응집 박리가 진행되게 된다. 그리고, 이 응집 박리가 수지 고임부 (6) 에 도달했을 때에는, 당해 시일층 (31) 의 응집 박리가, 당해 시일층 (31) 과 열시일된 용기 (2) 의 표면층 (21) 에 형성된 수지 고임 (61) 의 형상을 따라 진행되게 된다.
덮개재 (3) 의 시일층 (31) 의 응집 박리가 시일부 (262) 의 내주연 근방 X (절단 위치도 된다) 에까지 도달한 후에는, 시일층 (31) 의 수지 고임 (63) 이 절단된다. 이들에 따라, 포장체 (1) 에 있어서 용기 (2) 와 덮개재 (3) 의 개봉이 용이하게 실시되게 된다.
[실시형태의 변형]
또한, 이상 설명한 양태는, 본 발명의 일 양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구성을 구비하고,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의 변형이나 개량이, 본 발명의 내용에 포함되는 것인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 본 발명을 실시할 때에 있어서의 구체적인 구조 및 형상 등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른 구조나 형상 등으로 해도 문제는 없다.
본 실시형태의 다층 시트 (20) 및 용기 (2) 에서는, 표면층 (21), 표하층 (22) 및 기재층 (23) 을 구비한 구성을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기재층을 형성하지 않고, 표면층 (21), 표하층 (22) 의 이층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요컨대, 표하층 (22) 이 기재층이 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의 다층 시트 (20) 및 용기 (2) 의 기재층 (23) 은, 제 1 기재층 (23E), 제 1 접착층 (23D), 가스 배리어층 (23C), 제 2 접착층 (23B), 제 2 기재층 (23A) 을 구비한 구성을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층 (23) 은, 제 1 기재층 (23E) 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요컨대, 다층 시트 (20) 및 용기 (2) 는, 표면층 (21) 및 표하층 (22) 이 적어도 포함된 2 층 이상의 다층 구성이면 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 중, 용기 (2) 의 표면층 (21) 이 응집 박리되는 양태 및 덮개재 (3) 의 시일층 (31) 이 응집 박리되는 양태를 각각 나타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개봉시에, 용기 (2) 의 표면층 (21) 과 덮개재 (3) 의 시일층 (31) 의 양 층이 응집 파괴되어 개봉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봉 용이성 용기의 제조 방법을 실시하여 도 2A, 도 2B 및 도 3 에 나타나는 구성의 개봉 용이성 용기를 제조할 때에 있어서는, 경우에 따라서는, 고리형 시일 반 (7) 의 내주연이 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수지 고임부 (6) 외에, 당해 시일 반 (7) 의 외주연이 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에 수지 고임이 형성되는 경우여도 된다. 외주연에 형성되는 수지 고임보다, 내주연에 형성되는 수지 고임이 커지므로, 양호한 개봉 용이성과 고밀봉성이 유지되게 된다.
그 외,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의 구체적인 구조 및 형상 등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 다른 구조 등으로 해도 된다.
[실시예]
다음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예 등의 기재 내용에 조금도 제약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1 ∼ 실시예 5, 비교예 1-1 ∼ 비교예 5-2]
도 12A 및 도 12B 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실시한 개봉 강도 및 시일 강도의 측정 위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1) 용기의 제조 :
공압출 성형에 의해, 다음의 표면층/표면하층/기재층으로 이루어지는, 두께가 600 ㎛ 인 적층체를 성형하였다.
(용기의 구성)
표면층 및 표하층은, 표 1, 2 에 기재된 것을 사용하였다.
제 2 기재층 (두께) : 폴리프로필렌 (150 ㎛)
제 2 접착층 (두께) : 접착성 수지 (5 ㎛)
가스 배리어층 (두께) : 에틸렌비닐알코올 (EVOH) (30 ㎛)
제 1 접착층 (두께) : 접착성 수지 (5 ㎛)
제 1 기재층 (두께) : 폴리프로필렌 (300 ㎛)
다음으로, 이 적층체를 사용하여, 플러그 보조 진공 성형에 의해, 130 mm × 150 mm × 30 mm 의 플랜지가 부착된 용기를 성형하였다. 또한, 이 용기는, 개구부에 대해 폭 15 mm 의 플랜지부를 갖고,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트레이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용기의 개구부 주연의 플랜지부에 대해, 하기 구성 로 이루어지는 다층 필름을 덮개재로서 탑재하여, 하기의 시일 조건을 사용하고,또, 시일 반으로서, 도 4 에 나타낸, 경사면부와 곡면부가 전체 둘레에 형성된 고 리형 시일 반 (시일링) 을 사용하여, 덮개재를 용기의 플랜지부에 대해 열시일하여, 본 발명의 포장체를 제조하였다.
또한, 이 구성의 용기와 덮개재를 사용하면, 개봉시에는, 용기 표면층의 응집 파괴에 의해 박리가 진행되는 응집 박리가 실시된다.
(덮개재의 구성)
외층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12 ㎛)
중간층 : 폴리아미드 (나일론, Ny) (15 ㎛)
시일층 : 폴리에틸렌 (PE) (60 ㎛) 또는 폴리프로필렌 (PP) (60 ㎛)
외층, 중간층, 시일층의 순서는, PET/Ny/PE 또는 PET/Ny/PP 이다.
[실시예 1-1 ∼ 4, 비교예 1-1 ∼ 4-2 의 제조 조건]
(시일 조건)
시일 온도 : 200 ℃
시일 압력 : 100 kg/개
시간 : 1.0 초
열시일의 횟수 : 1 회
(고리형 시일 반의 사양)
시일 폭 : 3 mm
경사 각도 θ (경사면부 (71)) : 6°
R 가공 (곡면부 (72)) : 1.0 mmR
[실시예 5, 비교예 5-1, 5-2 의 제조 조건]
(시일 조건)
시일 온도: 200 ℃
시일 압력 : 200 kg/개
시간 : 2.0 초
열시일의 횟수 : 1 회
(고리형 시일 반의 사양)
시일 폭 : 3 mm
경사 각도 θ (경사면부 (71)) : 6°
R 가공 (곡면부 (72)) : 1.0 mmR
[평가 결과]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진 실시예 1-1 ∼ 5 및 비교예 1-1 ∼ 5-2 의 접착 (밀봉) 성, 박리 강도, 개봉감, 외관, 내열성을 하기의 기준으로 비교·평가하였다. 결과는 표 1, 2 에 나타내었다.
(시일 강도)
도 12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체 (1) 의 측변부를 15 mm 폭으로 절단하여 시험 샘플로 하고, 당해 샘플을, 플랜지부의 내측 (용기 본체의 개구부 측) 으로부터 외측 (플랜지부의 외주연 측 ; 도 12B 의 화살표 방향) 으로 오토 그래프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180°박리로 300 mm/min 의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시험은 n = 8 로 실시하였다.
(박리 강도)
도 1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체 (1) 의 코너각 (개봉 개시부) 을 15 mm폭으로 절단하여 시험 샘플로 하고, 당해 샘플을, 플랜지부의 외측 (플랜지부의 외주연 측) 에서 내측 (용기 본체의 개구부 측 ; 도 12A 의 화살표 방향) 으로 오토 그래프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135°박리로 300 mm/min 의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시험은 n = 6 으로 실시하였다.
(개봉 외관)
평가 내용은, 개봉 후 눈에 띈 보풀이나 덮개재의 파괴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를 「A」, 개봉 후의 보풀이나 덮개재의 파괴가 발생한 경우를 「C」로 한 2 단계로 평가하였다.
(내열성)
평가 내용은, 용기 성형시의 열판 접촉 가열 방식을 상정한 170 ℃ 의 가열판에 부착되지 않는 경우를 「A」, 155 ℃ 의 가열판에 부착되지 않지만 170 ℃ 의 가열판에 부착되는 경우를 「B」, 155 ℃ 의 가열판에 부착되는 경우를 「C」로 한 3 단계로 평가하였다.
Figure 112009068575824-PAT00001
Figure 112009068575824-PAT00002
*1 : 기재와 강접착되어 있어, 박리되지 않고 덮개재가 파괴된다.
*2 : 기재와의 접착이 약하고, 밀봉성 없음.
*3 : 기재와의 접착이 약하고, 밀봉성 없음. 내열성 악화
*4 : 성능 양호하지만, 내열성 악화.
*5 : 개봉면이 안정되지 않고 응집 파괴면이 흐트러져 보풀이 발생.
*6 : 표면층 및 표하층의 층간과 응집 파괴면에 의해 보풀이 발생.
*7 : 성능 양호하지만 내열성 악화.
표 1,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1 ∼ 5 에서는, 시일 강도, 박리 강도, 개봉 외관, 내열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양호하였다.
한편, 비교예 1-1 ∼ 5-2 에서는, 표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일 강도, 박리 강도, 개봉 외관, 내열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해, 평가가 「C」였다.
따라서, 표면층에 함유된 PP, PP 계 수지, PE 계 수지 및 스티렌계 폴리머의 함유량을 특정함과 함께, 표하층의 PE 의 함유량을 특정하고, 또한, 표면층의 두께를 특정함으로써, 접착 (밀봉) 성, 박리 강도, 개봉감, 외관, 내열성이 양호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 은 본 실시형태의 다층 시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A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개봉 용이성 용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덮개재로 밀봉된 상태이다.
도 2B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개봉 용이성 용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개봉 개시부로부터 덮개재를 개봉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 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개봉 용이성 용기의 개봉 개시부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 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개봉 용이성 용기의 시일 공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5 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열시일시의 시일 반과 플랜지부의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6 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고리형 시일 반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7 은 제 1 실시형태의 개봉 용이성 용기가 초기 개봉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8 은 제 1 실시형태의 개봉 용이성 용기가 완전히 개봉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개봉 용이성 용기가 초기 개봉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 은 제 2 실시형태의 개봉 용이성 용기가 완전히 개봉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 은 다른 실시형태의 다층 시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A 는 실시예에 있어서 실시한 개봉 강도의 측정 위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2B 는 실시예에 있어서 실시한 시일 강도의 측정 위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Claims (11)

  1. 표면층과, 이 표면층에 인접하여 적층된 표하층을 포함하여 구성된 다층 시트로서,
    상기 표면층의 두께 치수는 1 ㎛ ∼ 200 ㎛ 이고,
    상기 표면층은,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및 스티렌계 폴리머를 함유하여 구성되고,
    이들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및 스티렌계 폴리머의 함유율은, 각각 60 mass% 이상 80 mass% 이하, 1 mass% 이상 10 mass% 이하, 8 mass% 이상 28 mass% 이하, 4 mass% 이상 14 mass% 이하이고,
    상기 표하층은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함유하고, 이 폴리에틸렌계 수지의 함유율은 5 mass% 이상 50 mass%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 다층 시트.
  2. 표면층과, 이 표면층에 인접하여 적층된 기재층을 포함하여 구성된 다층 시트로서,
    상기 표면층의 두께 치수는 1 ㎛ ∼ 200 ㎛ 이고,
    상기 표면층은,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및 스티렌계 폴리머를 함유하여 구성되고,
    이들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및 스티렌계 폴리머의 함유율은, 각각 60 mass% 이상 80 mass% 이하, 1 mass% 이상 10 mass% 이 하, 8 mass% 이상 28 mass% 이하, 4 mass% 이상 14 mass% 이하이고,
    상기 기재층은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함유하고, 이 폴리에틸렌계 수지의 함유율은 5 mass% 이상 50 mass%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 다층 시트.
  3. 제 1 항 있어서,
    상기 표면층에 분산제가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한 다층 시트.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에 분산제가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한 다층 시트.
  5. 제 1 항 있어서,
    상기 스티렌계 폴리머는 스티렌에틸렌부텐스티렌 블록 코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한 다층 시트.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계 폴리머는 스티렌에틸렌부텐스티렌 블록 코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한 다층 시트.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계 폴리머는 스티렌에틸렌부텐스티렌 블록 코폴리머인 것을 특징 으로 한 다층 시트.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계 폴리머는 스티렌에틸렌부텐스티렌 블록 코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한 다층 시트.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다층 시트를 열성형함으로써 얻어져 개구부를 갖는 열성형 용기로서,
    상기 개구부의 주변에 플랜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열성형 용기.
  10. 제 9 항에 기재된 용기와,
    상기 용기의 개구부를 덮은 상태로 융착된 덮개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개봉 용이성 포장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의 개구부측 근방에 수지 고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개봉 용이성 포장체.
KR1020090107417A 2008-11-10 2009-11-09 다층 시트, 열성형 용기 및 개봉 용이성 포장체 KR201000524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87662A JP5363785B2 (ja) 2008-11-10 2008-11-10 多層シート、熱成形容器および易開封性包装体
JPJP-P-2008-287662 2008-11-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2413A true KR20100052413A (ko) 2010-05-19

Family

ID=42277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7417A KR20100052413A (ko) 2008-11-10 2009-11-09 다층 시트, 열성형 용기 및 개봉 용이성 포장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363785B2 (ko)
KR (1) KR20100052413A (ko)
CN (1) CN101733987A (ko)
TW (1) TW20102650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23933B2 (ja) * 2010-05-28 2014-06-18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多層シート、熱成形容器、および、易開封性包装体
JP6326911B2 (ja) * 2014-03-28 2018-05-23 キョーラク株式会社 電子レンジ用容器及び電子レンジ用包装体
JP7002399B2 (ja) * 2018-04-16 2022-01-20 共同印刷株式会社 易剥離性吸収フィルム
CN115258239B (zh) * 2022-08-01 2024-02-27 北京中泰邦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无菌凝胶药物的产品包装及其制备工艺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39994B2 (ja) * 1989-03-03 1998-04-15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密封容器の製造方法
JP4146267B2 (ja) * 2003-04-08 2008-09-10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容器、包装体及び容器の製造方法
JP4443277B2 (ja) * 2004-03-25 2010-03-31 ベスパック株式会社 易開封性多層容器
CN104086900B (zh) * 2004-11-25 2016-10-26 三井化学株式会社 丙烯系树脂组合物及其用途
JP4610357B2 (ja) * 2005-01-31 2011-01-12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易開封性容器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363785B2 (ja) 2013-12-11
JP2010111087A (ja) 2010-05-20
TW201026501A (en) 2010-07-16
CN101733987A (zh) 2010-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10357B2 (ja) 易開封性容器の製造方法
JP5001962B2 (ja) 易開封性容器、易開封性容器の製造方法、及び易開封性容器の製造装置
JPH0457760A (ja) 易開封性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1115158A1 (ja) 易開封性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00052413A (ko) 다층 시트, 열성형 용기 및 개봉 용이성 포장체
JP4599054B2 (ja) 滅菌用包装体
JP4161528B2 (ja) 蓋材および軟包装体
KR101848944B1 (ko) 다층 시트, 열성형 용기, 및 개봉 용이성 포장체
JP4443277B2 (ja) 易開封性多層容器
KR20070031344A (ko) 점착제 조성물과 그를 이용한 적층 필름 및 그 용도
JP2000355358A (ja) 多層シート及び容器
JP3137320B2 (ja) 多層シート
JP2994864B2 (ja) 易開封性密封容器
JP5813168B2 (ja) 容器、易開封性包装体、および、易開封性包装体の製造方法
JP2913039B2 (ja) 容 器
JPH10138420A (ja) 多層シート
JP2742085B2 (ja) 易開封性密封容器
JP6122274B2 (ja) シール盤、シール方法、シール装置、および容器の製造方法
JP2560023B2 (ja) 易開封性容器の製造方法
JPH0539393A (ja) ヒートシール用樹脂組成物
JPH08164973A (ja) ピーラブルシール容器
JP2984464B2 (ja) 易開封性密封容器
JP2590337B2 (ja) 多層容器熱成形用多層シ−ト
JP6088888B2 (ja) 容器本体、容器、包装容器、シール方法、および、容器本体の製造方法
JP2024017270A (ja) 容器および積層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