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2194B1 - 다층 시이트, 용기, 용이개봉성 포장체 - Google Patents

다층 시이트, 용기, 용이개봉성 포장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2194B1
KR101032194B1 KR1020057008949A KR20057008949A KR101032194B1 KR 101032194 B1 KR101032194 B1 KR 101032194B1 KR 1020057008949 A KR1020057008949 A KR 1020057008949A KR 20057008949 A KR20057008949 A KR 20057008949A KR 101032194 B1 KR101032194 B1 KR 101032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ayer
resin layer
resin
destr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8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6730A (ko
Inventor
히로유키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334792A external-priority patent/JP419086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33479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167774A/ja
Application filed by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86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6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2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2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 B65D77/2028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 B65D77/2032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by peeling or tearing the cover from the container
    • B65D77/2044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by peeling or tearing the cover from the container whereby a layer of the container or cover fails, e.g. cohesive fail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 B65D77/2028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 B65D77/2032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by peeling or tearing the cover from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bags
    • B65D25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25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 B65D2577/2025Multi-layered container, e.g. laminated, coated
    • B65D2577/2033Multi-layered container, e.g. laminated, coated with one or more layers of container being torn off upon initial ope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제 1 기재층(11), 접착층(12), 가스 배리어층(13), 접착층(14), 제 2 기재층(15), 응집파괴성 수지층(16) 및 비응집파괴성 수지층(17)을 구비한 다층 시이트를, 그 비응집파괴성 수지층(17)이 용기 내표면측이 되도록 열성형하여 용기(3)로 한다. 비응집파괴성 수지층(17)은 융점이 140℃ 이상인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함유한다. 또한, 비응집파괴성 수지층(17)의 두께 치수는 7 내지 40㎛이다. 또한, 비응집파괴성 수지층(17)에는 환상의 절결부(35)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다층 시이트, 용기, 용이개봉성 포장체{MULTI-LAYERED SHEET, CONTAINER, PACKAGED ARTICLE BEING EASY TO UNSEAL}
본 발명은 다층 시이트, 용기, 용이개봉성 포장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식품 등의 포장에는 시이트를 열성형하여 이루어진 피포장물 수납용 개구부 주연(周緣)에 플랜지부가 형성된 용기, 및 상기 개구부를 막는 덮개재를 구비한 포장체가 사용되고 있다. 이 포장체는, 식품 등을 용기에 삽입한 후, 용기의 플랜지부에 덮개재를 열 밀봉(heat sealing)함으로써 얻어진다. 이러한 포장체는 피포장물 보존의 관점에서는, 열 밀봉 강도를 높게 하여 밀봉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사용시의 개봉의 관점에서는,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따라서, 이와 같이 상반되는 성능을 갖는 포장체가 요청되고 있다.
이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용기 플랜지부의 밀봉층과 덮개재의 밀봉층의 수지의 선택, 수지의 배합 등에 의해 밀봉 강도를 조정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열 밀봉 조건, 피포장물의 플랜지부에의 부착 등의 영향에 의해, 밀봉 강도가 낮고 또 안정되기 어렵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용기의 최내층과 다음 층의 층간 박리 강도를 5 내지 15 N/15 mm 정도로 제어한 용기가 제안되어 있다(종래예 1).
이 용기는 용기 플랜지부의 최내층에 환상의 절결부를 형성하고, 이 절결부의 외주측에 덮개재를 밀봉한 것이다. 개봉시에는, 덮개재와 함께, 덮개재로 밀봉된 용기의 최내층의 일부가 박리된다.
또한, 다층의 필름, 시이트의 최내층 및 이 최내층에 인접하는 다음 층(중간층)을 응집파괴성의 수지층으로 하여, 다음 층의 응집 파괴 강도를 최내층의 응집 파괴 강도보다도 낮게 하는 방법도 제안되어 있다(종래예 2: 특허 제2869136호의 제 1면 내지 제 6면, 도 4 등 참조). 이 다층 필름, 시이트는 덮개재, 용기, 자루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예컨대, 이 다층필름, 시이트를 덮개재로 한 경우에는, 최내층을 용기의 플랜지부에 당접시켜 밀봉한다. 그리고, 이 덮개재를 박리하면, 이 덮개재의 최내층과 다음 층 중, 용기의 플랜지부에 열 밀봉된 부분이 플랜지부에 남아 개봉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예 1과 같이 층간 박리에 의해 개봉하는 방법에서는, 시이트 성형시, 용기 열성형시의 가열 조건 등의 변화나 열 이력에 의해 박리 강도가 변화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예 2의 방법에서는, 최내층을 응집파괴성의 층으로 하기 때문에 밀봉성에 한계가 있다. 또한, 최내층 등에 사용가능한 수지가 한정되어 있고, 수지 선택의 폭이 좁다는 문제가 있다. 그 때문에, 예컨대, 용도에 따라 내약품성, 내유성, 내열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종래예 2의 방법에서는, 에지 절단에 의해 박리가 행해지기 때문에, 덮개재의 두께를 얇게 하거나 덮개재의 재질을 고려해야 하여, 덮개재 선택의 폭이 좁다는 문제도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높은 밀봉성과 용이개봉성을 겸비하고, 용도에 따른 성능을 만족시킬 수 있는 용이개봉성 포장체, 용기 및 이들을 형성할 수 있는 다층 시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를 위해,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을 채용한다.
본 발명의 다층 시이트는, 기재층, 이 기재층상에 형성되고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연질 수지 또는 엘라스토머를 함유하는 응집파괴성 수지층, 및 이 응집파괴성 수지층상에 형성되는 비응집파괴성 수지층을 구비하고, 상기 비응집파괴성 수지층이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하고 두께가 7 내지 40μ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층 시이트에 있어서 응집파괴성 수지층이란, 다른 강도있는 필름에 이 층을 강고하게 접착한 후 박리 시험을 한 경우에, 이 층이 층내에서 파괴되어 박리 강도가 25 N/15 mm 이하로 되는 것을 말한다(JIS K 6854).
또한, 응집파괴성 수지층의 연질 수지, 엘라스토머로서는 탄성률이 200 MPa이하, 특히 150 M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응집파괴성 수지층의 연질 수지로서는, 예컨대, 에틸렌-극성 바이닐 화합물계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예컨대,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EAA), 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EMA),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EMAA), 에틸렌-메틸메타 크릴레이트 공중합체(EMMA),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EEA),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무수 말레산 공중합체(EEA-MAH), 아이오노머 수지 등의 공지된 에틸렌-아크릴산계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아세트산 바이닐 공중합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응집파괴성 수지층의 엘라스토머로서는,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비결정성의 에틸렌과, 프로필렌, 뷰텐 등의 α-올레핀과의 밀도 9OOkg/m3 이하의 공중합체 등),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스티렌-뷰타다이엔 블록계 공중합체, 스타이렌-뷰타다이엔계 랜덤 공중합체 등), 이들의 수첨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응집파괴성 수지층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호모폴리프로필렌, 랜덤 폴리프로필렌, 블록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고밀도 폴리에틸렌,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 응집파괴성 수지층은 표면층이 아니므로, 내열성 등을 특별히 고려할 필요는 없어 선택의 자유도가 높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층 시이트에서는, 비응집파괴성 수지층은 7μm 이상이기 때문에, 용기의 내압(內壓) 강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비응집파괴성 수지층은 40μm 이하이기 때문에, 이 시이트로 용기를 형성하고 덮개재를 용착시킨 경우, 개봉시에 비응집파괴성 수지층의 덮개재에 용착된 부분이 에지 절단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이 용착된 부분 및 응집파괴가 생긴 응집파괴성 수지층을 덮 개재와 함께 용이하게 벗길 수 있다.
한편, 비응집파괴성 수지층을 7μm 미만으로 한 경우에는, 용기의 내압 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고, 4O μm보다도 두껍게 한 경우에는, 용이개봉성을 얻을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두께는 7 내지 40μm의 범위가 적합하다.
또한, 응집파괴성 수지층상에 비응집파괴성 수지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비응집파괴성 수지층에 사용되는 수지를 변경함으로써 용도에 따른 성능을 갖는 시이트로 할 수 있다. 예컨대, 내약품성, 내유성, 내열성을 갖는 용기를 형성하고 싶은 경우에는, 비응집파괴성 수지층을 내약품성, 내유성, 내열성의 수지로 형성하면 바람직하다.
또한, 비응집파괴성 수지층에 사용되는 수지를 적절히 선택하는 것만으로, 용도에 따른 성능을 갖는 시이트로 할 수 있어, 응집파괴성 수지층에 사용되는 수지는 시이트의 용도에 제한되는 일이 없으므로 응집파괴성 수지층의 수지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다.
또한, 응집파괴성 수지층상에 비응집파괴성 수지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응집파괴성 수지층의 연질 수지나 엘라스토머 냄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층간 박리를 일으키는 것의 경우는, 열이력, 연신 등의 성형, 층 두께 등에 의해 박리 강도가 변화되기 쉽다. 따라서, 박리 강도를 일정하게 제어하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이것에 대하여, 본 발명은, 응집파괴성 수지층내에서 응집 파괴를 일으켜 박리를 행하기 때문에, 박리 강도는 일정하여 진다. 또한, 응집파괴성 수지층과 기재층의 계면이 박리하지 않도록 하는 것에 의 해, 박리 강도를 보다 안정화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기재층은 폴리올레핀계 수지이고, 상기 응집파괴성 수지층의 연질 수지는 에틸렌-극성 바이닐 화합물계 공중합체이며, 상기 비응집파괴성 수지층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융점이 140℃ 이상인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다층 시이트로부터 용기를 성형했을 때에, 용기 내표면이 되는 비응집파괴성 수지층에 융점 140℃ 이상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응집파괴성 수지층의 연질 수지로서 에틸렌-극성 바이닐 화합물계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것으로 하기 때문에 응집박리성이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집파괴성 수지층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50 내지 95 wt%, 에틸렌-극성 바이닐 화합물계 공중합체를 5 내지 50 wt%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틸렌-극성 바이닐 화합물계 공중합체가 5 wt% 미만인 경우에는, 개봉 강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버린다. 또한, 에틸렌-극성 바이닐 화합물계 공중합체가 50 wt%보다도 많은 경우에는, 기재층과 응집파괴성 수지층의 접착 강도가 저하되어, 박리가 불안정해지기 때문에, 순조로운 개봉을 할 수 없다. 따라서, 에틸렌-극성 바이닐 화합물계 공중합체의 함유량을 5 내지 50 wt%로 함으로써 용기를 성형했을 때의 용이개봉성과 밀봉성을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집파괴성 수지층의 에틸렌-극성 바이닐 화합물계 공중합체는, 에틸렌-아크릴산계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아세트산 바이닐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에틸렌-극성 바이닐 화합물계 공중합체로서 에틸렌-아크릴산계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아세트산 바이닐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특히 응집파괴성이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층의 상기 응집파괴성 수지층 반대측에, 가스 배리어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가스 배리어층으로서는, 예컨대, 폴리아마이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에틸렌-바이닐알코올 공중합체, 폴리염화바이닐리덴 등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가스 배리어층을 형성함으로써, 이 다층 시이트를 이용하여 용기 등의 포장체를 형성한 경우, 포장체내 피포장물의 내산화성, 즉 보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1 용기는, 피포장물 수납용 개구부 주연에 플랜지부가 형성된 용기로서, 이상과 같은 다층 시이트를 열성형하여 이루어지며, 용기 내표면측에 상기 다층 시이트의 비응집파괴성 수지층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용이개봉성 포장체는, 이 용기 및 상기 용기의 개구부를 막는 덮개재를 구비한 용이개봉성 포장체로서, 용기의 플랜지부에 덮개재를 열 밀봉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용이개봉성 포장체의 덮개재는, 가스 배리어성을 갖춘 것이 바람직 하다.
전술한 다층 시이트를 열성형한 이러한 용기 및 이 용기를 갖춘 용이개봉성 포장체는 다층 시이트와 같은 작용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즉, 높은 밀봉성과 용이개봉성을 겸비하여, 용도에 따른 성능을 만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용기는, 기재층, 이 기재층상에 형성되고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연질 수지 또는 엘라스토머를 함유하는 응집파괴성 수지층, 및 이 응집파괴성 수지층상에 형성되고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하는 비응집파괴성 수지층을 구비하고, 상기 비응집파괴성 수지층이 용기 내표면측에 위치하며,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비응집파괴성 수지층에는 환상의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용기에 있어서, 응집파괴성 수지층, 연질 수지, 엘라스토머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전술한 다층 시이트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것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제 2 용기에 있어서는, 제 2 용기의 내표면측으로 되는 비응집파괴성 수지층의 두께는 7 내지 40μm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2 용기에서는, 용기에 덮개재를 용착시키고 덮개재를 박리시키는 힘을 가할 때에는 응집파괴성 수지층에 응집 파괴가 생긴다. 또한, 비응집파괴성 수지층에는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절결부의 외주측에 덮개재를 용착시켜 두면, 덮개재와 함께, 비응집파괴성 수지층의 절결부 외주측의 부분과 응집 파괴가 생긴 응집파괴성 수지층을 용이하게 벗길 수 있다. 따라서, 용이개봉성을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응집파괴성 수지층 상에 비응집파괴성 수지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 에, 비응집파괴성 수지층에 사용되는 수지를 변경함으로써 용도에 따른 성능을 갖는 용기로 할 수 있다. 예컨대, 내약품성, 내유성, 내열성을 갖는 용기로 하고 싶은 경우에는, 비응집파괴성 수지층을 내약품성, 내유성, 내열성의 수지로 형성하면 된다.
또한, 용기의 용도에 따라, 비응집파괴성 수지층을 변경할 수도 있고, 응집파괴성 수지층에 사용되는 수지는 용기의 용도에 제한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수지의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다.
또한, 비응집파괴성 수지층에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비응집파괴성 수지층의 두께를 두껍게 하거나, 고융점, 고강도, 고강성의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비응집파괴성 수지층에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제 1 용기)에는, 덮개재와 비응집파괴성 수지층과의 열 밀봉 부분의 에지 절단에 의해 박리가 행하여지도록 해야 한다. 이 경우, 덮개재의 두께를 얇게 하거나, 덮개재의 재질을 고려해야 한다. 이것에 대하여, 본 발명에서는 비응집파괴성 수지층에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에지 절단에 의한 박리를 고려할 필요가 없고, 덮개재의 두께를 두껍게 할 수 있고, 또한 알루미늄 박층 등을 함유한 덮개재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덮개재의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용이개봉성 포장체는, 전술한 제 2 용기, 및 상기 용기의 개구부를 막는 덮개재를 구비한 용이개봉성 포장체로서, 상기 용기의 플랜지부의 상기 절결부의 외주측에 상기 덮개재를 열 밀봉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용이개봉성 포장체에 있어서, 덮개재는 가스 배리어성을 갖춘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2 용이개봉성 포장체로서는, 절결부의 외주측에 덮개재를 열 밀봉함으로써, 플랜지부중 덮개재에 열 밀봉 부분을 덮개재와 함께 용이하게벗길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용이개봉성 포장체에 있어서, 상기 덮개재는, 상기 용기의 플랜지부의 절결부로부터 0.5 mm 이상 외주측에 열 밀봉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덮개재를 용기의 플랜지부의 절결부로부터 0.5 mm 이상 외주측에 열 밀봉한 경우, 용이개봉성 포장체의 내압이 높아지면 덮개재와 플랜지부와의 밀봉부분중, 내주측의 부분에 응력이 집중하게 된다. 절결부에는 응력이 거의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내압에 의해 절결부로부터 비응집파괴성 수지층이 박리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내압성이 우수한 용이개봉성 포장체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다층 시이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실시 형태의 제 2 용이개봉성 포장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2의 용이개봉성 포장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2의 용이개봉성 포장체의 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제 1 용이개봉성 포장체를 나타내는 사 시도이다.
도 6은 상기 도 5의 용이개봉성 포장체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시이트(1)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성형에 사용되는 다층 시이트가 도시되어 있다. 이 다층 시이트(1)는 제 1 기재층(11), 접착층(12), 가스 배리어층(13), 접착층(14), 제 2 기재층(15), 응집파괴성 수지층(16) 및 비응집파괴성 수지층(17)을 구비한 7층 구조로 되어 있다.
제 1 기재층(11) 및 제 2 기재층(15)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예컨대, 폴리프로필렌계수지를 주성분으로 한다. 각 기재층(11,15)의 두께 치수는 100 내지 2000μm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1000μm이다.
접착층(12,14)으로서는 예컨대, 불포화 카복실산 또는 그의 유도체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가스 배리어층(13)으로서는, 폴리아마이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에틸렌-바이닐알코올 공중합체, 폴리염화바이닐리덴 등의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중에서도 에틸렌-바이닐알코올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응집파괴성 수지층(16)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50 내지 95 wt%, 에틸렌-극성 바이닐 화합물계 공중합체를 5 내지 50 wt% 함유한다. 그중에서도,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60 내지 95 wt%, 에틸렌-극성 바이닐 화합물계 공중합체를 5 내지 40 wt%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틸렌-극성 바이닐 화합물계 공중합체로서는, 에틸렌-아크릴산계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아세트산 바이닐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틸렌-아크릴산계 공중합체로서는,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EAA), 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EMA),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EMAA), 에틸렌-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EMMA),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EEA),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무수 말레산 공중합체(EEA-MAH), 아이오노머 수지 등의 공지된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폴리프로필렌계수지로서는, 예컨대 호모폴리프로필렌, 랜덤 폴리프로필렌, 블록 폴리프로필렌 등를 들 수 있다.
응집파괴성 수지층(16)의 두께 치수는, 예컨대 5 내지 300μm,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00μm, 또한 10 내지 200μm 정도가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20μm이다.
비응집파괴성 수지층(17)은, 융점 140℃ 이상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함유한다. 이 때,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예컨대 호모폴리프로필렌이거나 랜덤 폴리프로필렌일 수 있다. 이 비응집파괴성 수지층(17)의 두께 치수는 예컨대 7 내지 200μm 정도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용기(후술의 절결부(35)가 없는 것)에 이용하는 경우에는 7 내지 40μm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8 내지 20μm이다. 또한, 제 2 용기(후술의 절결부(35)가 있는 것)에 이용하는 경우에는 40 내지 200μm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20μm이다.
이러한 다층 시이트(1)는, T 다이를 이용한 다층 압출 성형법에 의해 성형된다. 즉, 각 층(11~17)에 대응한 압출기를 5종 사용하여, 각 압출기로부터 압출된 각 층(11~17)을 T 다이에 들어가기 직전에 설치한 특수 블록에서 합류, 적층시켜 성형한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 2 용기 및 제 2 용이개봉성 포장체(2)에 대하여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 1 용기 및 제 1 용이개봉성 포장체(2)는, 절결부(35)를 갖추고 있지 않은 것과, 표층의 두께(17)가 7 내지 400μm로 특정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 변함이 없다.
용이개봉성 포장체(2)는 용기(3) 및 덮개재(4)를 구비한다.
용기(3)는 원형상의 저면(31) 및 이 저면(31)으로부터 일으켜 세워져 일체 형성되고 동시에 상부에 개구부(32)를 갖는 원통상의 측면(33)을 구비하고, 개구부(32)의 주연(周緣)에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온 고리상의 플랜지부(34)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용기(3)는 다층 시이트(1)를 그 비응집파괴성 수지층(17)이 용기 내표면측이 되도록 열성형한 것이다. 이 용기(3)의 성형 방법으로서는, 다층 시이트(1)를 용기 외형 형상으로 형성된 공동(cavity) 내에서 플러그로 예비신장시키고, 그 후, 압공 성형, 진공 성형에 의해 용기로 만드는 플러그 보조(plug assist) 성형을 이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용기(3)의 플랜지부(34)의 비응집파괴성 수지층(17)에는, 개구부(32)를 둘러싸도록 환상의 절결부(35)가 형성되어 있다. 도 4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절결부(35)는 V자 단면 형상이며, 그 두께 치수는 응집파괴성 수지층(16)에까지 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으로 되돌아가서, 덮개재(4)는 용기(3)의 개구부(32)를 막는 것으로, 용기(3)의 플랜지부(34)의 외경보다도 큰 외경을 갖추고 있다. 덮개재(4)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 이루어진 제 1 PP(폴리프로필렌)층(41), 접착층(42), 가스 배리어층(43), 접착층(44) 및 제 2 PP층(45)을 구비하고 있다. 덮개재(4)는, 제 2 PP층(45)이 열 밀봉층이 되어, 용기(3)와 접하고 있다.
여기서, 가스 배리어층(43)은 다층 시이트(1)의 가스 배리어층(13)과 마찬가지로 폴리아마이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에틸렌-바이닐알코올 공중합체, 폴리염화바이닐리덴 등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접착층(42)도 다층 시이트(1)의 접착층(12,14)과 같은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이개봉성 포장체(2)는, 환상의 밀봉 링(seal ring)을 이용하여, 덮개재(4)를 용기(3)의 플랜지부(34)에 열 밀봉하는 것으로 얻어진다. 덮개재(4)는 용기(3)의 절결부(35)로부터 0.5 mm 내지 10 mm, 특히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mm 외주측에 열 밀봉된다.
이 용이개봉성 포장체(2)를 개봉할 경우에, 덮개재(4)를 박리하는 방향에 힘을 가하면, 응집파괴성 수지층(16) 내에서 응집 파괴가 생긴다. 이 응집파괴성 수지층(16) 및 비응집파괴성 수지층(17) 중 덮개재(4)에 열 밀봉된 절결부(35)의 외주측 부분이 덮개재(4)와 함께 박리되고, 이것에 의해 용이개봉성 포장체(2)가 개봉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비응집파괴성 수지층(17)에는 절결부(35)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절결부(35)의 외주측에 덮개재(4)가 용착되어 있기 때문에, 개봉시에, 응집파괴를 일으킨 응집파괴성 수지층(16)과 비응집파괴성 수지층(17) 중 덮개재(4)에 용착된 부분을 덮개재(4)와 함께 벗길 수 있다. 따라서, 용이개봉성을 만족시킬 수 있다.
응집파괴성 수지층(16) 상에 비응집파괴성 수지층(17)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비응집파괴성 수지층(17)에 사용되는 수지를 변경함으로써 용도에 따른 성능을 갖는 다층 시이트(1) 및 용기(3)로 할 수 있다. 예컨대, 내약품성, 내열성을 갖는 용기(3)로 하고 싶은 경우는, 비응집파괴성 수지층(17)을 내약품성, 내열성의 수지로 형성하면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비응집파괴성 수지층(17)에 융점이 140℃ 이상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내열성이 높은 다층 시이트(1) 및 용기(3)로 할 수 있다.
또한, 다층 시이트(1) 및 용기(3)의 용도에 따라 비응집파괴성 수지층(17)을 바꿀 수 있기 때문에, 응집파괴성 수지층(16)에 사용되는 수지는 다층 시이트(1) 및 용기(3)의 용도에 제한되는 일이 없으므로 수지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다.
또한, 응집파괴성 수지층(16) 상에 비응집파괴성 수지층(17)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응집파괴성 수지층(16)의 에틸렌-아크릴산계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아세트산 바이닐 공중합체의 냄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층간 박리를 일으키는 것의 경우는, 열이력, 연신 등의 성형, 층 두께 등에 의해 층간 박리 강도가 변화되기 쉽다. 따라서, 박리 강도를 일정하게 제어하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응집파괴성 수지층(16)내에서 응집 파괴를 일으켜 박리를 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박리 강도는 일정하여 진다. 또한, 응집파괴성 수지층(16)과 제 2 기재층(15)과의 계면이 박리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박리 강도를 보다 안정화할 수 있다.
또한, 비응집파괴성 수지층(17)에는 절결부(35)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본 실시 형태와 같이, 비응집파괴성 수지층(17)의 두께 치수를 40 내지 200μm로 두껍게 하거나, 고융점, 고강도, 고강성의 수지를 사용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비응집파괴성 수지층(17)에 절결부(35)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덮개재(4)와 비응집파괴성 수지층(17)과의 열 밀봉 부분의 에지 절단에 의해 박리가 행하여지도록 해야 한다. 이 경우, 덮개재(4)의 두께를 얇게 하거나, 덮개재(4)의 재질을 고려해야 한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비응집파괴성 수지층(17)에 절결부(35)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에지 절단에 의한 박리를 고려할 필요가 없고, 덮개재(4)의 두께를 두껍게 할 수 있다.
또한, 응집파괴성 수지층(16)의 연질 수지로서 에틸렌-아크릴산계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아세트산 바이닐 공중합체를 사용했기 때문에, 응집박리성이 우수하게 할 수 있다.
응집파괴성 수지층(16)의 에틸렌-아크릴산계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아세트산 바이닐 공중합체가 5 wt% 미만인 경우에는, 개봉 강도가 너무 높게 된다. 또한, 에틸렌-아크릴산계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아세트산 바이닐 공중합체가 50 wt%보다도 많은 경우에는, 제 2 기재층(15)과 응집파괴성 수지층(16)과의 접착 강도가 저하되어, 박리가 불안정해지기 때문에 순조로운 개봉을 할 수 없다. 따라서, 에틸렌-아크릴산계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아세트산 바이닐 공중합체의 함유량을 5 내지50 wt%로 함으로써 용기(3)의 용이개봉성과 밀봉성을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용기(3)는 가스 배리어층(13)을 갖고 있기 때문에, 용기(3)내의 충전물의 내산화성, 즉 보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덮개재(4)는 용기(3)의 플랜지부(34)의 절결부(35)로부터 0.5 mm 내지 10 mm 외주측에 열 밀봉되어 있다. 용이개봉성 포장체(2)의 내압이 높아지면, 덮개재(4)와 플랜지부(34)와의 밀봉 부분 내, 내주측 부분에 응력이 집중하게 된다. 절결부(35)에는 응력이 거의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내압에 의해 절결부(35)로부터 비응집파괴성 수지층(17)이 박리되어 버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 내압성이 우수한 용이개봉성 포장체(2)로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제 2 용기 및 제 2 용이개봉성 포장체(2)로서, 용기 플랜지부에 환상의 절결부(35)를 형성한 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했다.
본 발명은 전술한 태양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용기 성형에 사용되는 다층 시이트의 비응집파괴성 수지층의 두께가 7 내지 40μm인 경우에는, 용기 플랜지부에 환상의 절결부(35)를 형성하지 않고 제 1 용기 및 제 1 용이개봉성 포장체가 얻어진다.
이 경우에는, 절결부(35)의 형성이 불필요하게 되고, 용이개봉성은 용기 플랜지부에의 덮개재의 열 밀봉시의 압력에 의해, 절결부에 상당하는 내층의 에지 절단을 발생시킬 필요가 있다. 이것 때문에, 최내층의 두께, 수지, 덮개재의 종류에 제한이 있어, 적절한 사용이 필요하다.
비응집파괴성 수지층(17)을 7μm 미만으로 한 경우에는, 용기(3)의 내압 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고, 40μm 이상보다도 두껍게 한 경우에는, 용이개봉성이 얻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비응집파괴성 수지층(17)은 7μm 이상이기 때문에 용기(3)의 내압 강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비응집파괴성 수지층(17)은, 40μm 이하이기 때문에, 개봉시에는, 비응집파괴성 수지층(17)의 덮개재(4)에 용착된 부분이 에지 절단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비응집파괴성 수지층(17)의 덮개재(4)에 용착된 부분 및 응집 파괴가 생긴 응집파괴성 수지층(16)을 덮개재(4)와 함께 용이하게 벗길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비응집파괴성 수지층(17)은 덮개재(4)에 열 밀봉된 부분이 에지 절단을 일으켜 박리되기 때문에, 비응집파괴성 수지층(17)에 절결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 용이개봉성 포장체(2)의 제조에 시간이 필요하지 않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된 실시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의 변형, 개량 등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실시 형태로서는, 가스 배리어층(13)으로서, 에틸렌-바이닐알코올 공중합체를 사용했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폴리아마이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염화바이닐리덴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단, 에틸렌-바이닐알코올 공중합체로 가스 배리어층(13)을 형성하면, 성형성이 좋고, 또한 보다 밀봉성이 높은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다층 시이트(1) 및 용기(3)는 가스 배리어층(13)을 갖추는 것으로 했지만, 피포장물이 내산화성을 갖는 것이면, 가스 배리어층(13)을 갖고 있지 않더라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다층 시이트(1) 및 용기(3)를 저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응집파괴성 수지층(16)의 에틸렌-극성 바이닐 화합물계 공중합체는, 에틸렌-아크릴산계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아세트산 바이닐 공중합체라고 했지만, 다른 에틸렌-극성 바이닐 화합물계 공중합체나 다른 연질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에틸렌-극성 바이닐 화합물계 공중합체 등의 연질 수지가 아니라, 엘라스토머, 예컨대,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비결정성의 에틸렌과, 프로필렌, 뷰텐 등의 α-올레핀과의 밀도 9OOkg/m3 이하의 공중합체 등),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스타이렌-뷰타다이엔 블록계 공중합체, 스타이렌-뷰타다이엔계 랜덤 공중합체 등), 이들의 수첨물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응집파괴성 수지층(16)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50 내지 95 wt%, 에틸렌-극성 바이닐 화합물계 공중합체를 5 내지 50 wt% 함유한다고 했지만, 이 비율로 한정되지 않는다.
응집파괴성 수지층(16)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함유한다고 했지만, 다른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하게 할 수도 있다. 응집파괴성 수지층 상에는 비응집파괴성 수지층이 형성되어 있고, 응집파괴성 수지층은 표면층이 아니기 때문에, 내열성 등을 특별히 고려할 필요는 없고, 사용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대신에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함유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비응집파괴성 수지층(17)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융점이 140℃ 이상인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 했지만, 내열성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수지제의 덮개재(4)를 사용했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알루미늄 등의 금속박, 금속 증착막, 무기 증착막 등을 갖는 덮개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 2 용기(3)는 비응집파괴성 수지층(17)에 절결부(35)가 형성되어 있어 에지 절단에 의한 박리를 고려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러한 덮개재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덮개재(4)는 용기(3)의 플랜지부(34)의 절결부(35)로부터 0.5 mm 내지 10 mm 외주측에 열 밀봉되어 있다고 했지만, 이 범위에는 한정되지 않고, 1O mm보다 외주측에 열 밀봉되어 있더라도 좋다. 또한, 0.5 mm 미만이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비응집파괴성 수지층(17)의 두께 치수를 40 내지 200μm으로 했지만, 이 두께 치수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용기(3)의 플랜지부(34)의 형상을 개구부(32)가 속하는 면과 수평으로 외측에 연장되어 나온 플랫 플랜지로 했지만, 개구부가 속하는 면과 수평으로 외측에 연장되어 나와 최외연에서 드리워져 내려간 ㄷ자형 단면의 스커트(skirt) 플랜지나, 컬(curl) 플랜지로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플랜지부의 드리워져 내려간 부분에 절결부를 넣을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다층 시이트(1)를 이용하여 용기(3)를 형성했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덮개재나 자루 등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다층 시이트(1)는 T 다이를 이용한 다층 압출 성형법에 의해 성형된다고 했지만, 다른 성형법에 의해 성형할 수도 있다. 예컨대, 드라이 라미네이트, 압출 라미네이트에 의해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로서는, 열 밀봉의 폭을 5 mm, 열 밀봉 온도를 170 내지 230℃로 했지만, 이 조건에는 한정되지 않고, 개봉시에, 용기(3)의 비응집파괴성 수지층(17) 및 응집파괴성 수지층(16)이 덮개재(4)와 함께 박리되는 조건이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1) 다층 시이트(1)
상기 실시 형태에 나타낸 다층 시이트(1)를 공압출 성형에 의해 성형했다.
(1-1) 제 1 기재층(11)
원료 수지: 폴리프로필렌(E-203 GK, 이데미쓰석유화학(주)제)
층의 두께: 200μm
(1-2) 접착층(12)
원료 수지: 접착 수지(아드마 QF-500, 미쓰이화학(주)제)
층의 두께: 20μm
(1-3) 가스 배리어층(13)
원료 수지: 에틸렌-바이닐알코올 공중합체(에발, 쿠라레(주)제 J-102 B)
층의 두께: 5O μm
(1-4) 접착층(14)
원료 수지: 접착 수지(아드마 QF-500, 미쓰이화학(주)제)
층의 두께: 20μm
(1-5) 제 2 기재층(15)
원료 수지: 폴리프로필렌(E-203 GK, 이데미쓰석유화학(주)제)
층의 두께: 350μm
(1-6) 응집파괴성 수지층(16)
원료 수지: 폴리프로필렌(E-105 GM, 이데미쓰석유화학(주)제) 70 wt%, 및 에틸렌·아크릴산 에스터·무수 말레산 공중합체계 수지(일본폴리올레핀(주)제, 굽힘 탄성률 80 MPa) 30 wt%을 배합한 수지
융점(DSC 법으로 측정함) 99℃
MFR(JIS K 6760에 의해서 측정) 8 g/10분
층의 두께: 200μm
(1-7) 비응집파괴성 수지층(17)
원료 수지: 랜덤 폴리프로필렌
융점 145℃
층의 두께: 4O μm
(2) 용기(3)
상기 다층 시이트(1)를 이용하여, 플러그 보조 압공 열성형에 의해 개구부(32)의 직경 64 mm, 저면(31)의 직경 50 mm, 플랜지부(34)의 폭 8 mm의 용기(3)를 수득했다. 이 용기(3)의 플랜지부(34)에 환상의 절결부(35)를 형성했다.
(3) 덮개재(4)
공압출 성형에 의해 덮개재(4)를 성형했다.
(3-1) PP층(41)
원료 수지: 랜덤 폴리프로필렌
층의 두께: 200μm
(3-2) 접착층(42)
원료 수지: 접착 수지(아드마 QF-500, 미쓰이화학(주)제)
층의 두께: 30μm
(3-3) 가스 배리어층(43)
원료 수지: 에틸렌-바이닐알코올 공중합체(에발, 쿠라레(주)제 J-102 B)
층의 두께: 4O μm
(3-4) 접착층(44)
원료 수지: 접착 수지(아드마, 미쓰이화학(주)제)
층의 두께: 30μm
(3-5) PP층(45)
원료 수지: 랜덤 폴리프로필렌
층의 두께: 4O μm
(4) 용이개봉성 포장체(2)
용기(3)내에 젤리를 충전한 후, 덮개재(4)를 용착시켰다. 구체적으로는, 5 mm 폭의 환상 밀봉 링을 이용하여 플랜지부(34)의 절결부(35)로부터 2 mm 외주측에 190℃, 15 MPa, 1.5초로 제 1 밀봉부를 형성했다. 또한, 폭 2 mm의 링 밀봉을 이용하여, 제 1 밀봉부의 폭 방향의 중심 부분에 따르도록 제 2 밀봉부를 형성했다. 이 제 2 밀봉부는 덮개재(4)의 개봉 탭의 이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외측으로 돌출한 돌출 밀봉부를 갖고 있다.
또한, 이렇게 하여 수득된 용이개봉성 포장체(2)에 120℃, 30분의 레토르트 처리를 실시했다.
(평가 방법 및 결과)
용이개봉성 포장체(2)의 박리 강도 및 내압 강도를 측정했다.
박리 강도는 15 mm 폭으로 잘라 낸 시험편을 이용하여 180° 박리 시험(JIS K 6854)을 하여 측정했다.
또한, 내압 강도는 용이개봉성 포장체(2)에 공기를 주입하여 측정하는 방법으로 측정했다.
용이개봉성 포장체(2)의 레토르트 처리전의 박리 강도는 15 N/15 mm, 내압 강도는 0.05 MPa였다. 또한, 레토르트 처리후의 박리 강도는 14 N/15 mm, 내압 강도는 0.05 MPa였다.
이상으로부터, 충분한 내압 강도를 유지하면서, 개봉 강도가 낮은 이상적인 용이개봉성 포장체로 되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비교 실험을 했다.
[비교예 1]
용기의 비응집파괴성 수지층(17)을 형성하지 않은 점 이외는 실시예와 같다.
(평가방법 및 결과)
실시예 1과 같은 측정 방법으로 내압 강도 및 박리 강도를 측정했다.
비교예에서는, 레토르트 처리전의 박리 강도는 14 N/15 mm, 내압 강도는 0.03 MPa, 레토르트 처리후의 박리 강도는 13 N/15 mm, 내압 강도는 0.03 MPa였다.
이와 같이, 비교예에서는 내압 강도가 낮아, 충분한 밀봉성이 얻어질 수 없음이 분명해졌다.
[실시예 2]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 2는 전술한 실시예 1과 기본적으로 유사하며 일부 설정 등이 다른 것이다. 이것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서는 같은 부분에 관해서는 생략하고, 상이점을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1) 다층 시이트(1)
다층 시이트(1)에 관해서는 하기의 조건이 다르다.
(1-7) 비응집파괴성 수지층(17)
원료 수지: 랜덤 폴리프로필렌
융점 145℃
층의 두께: 1O μm
(2) 용기(3)
용기(3)의 플랜지부(34)에 환상의 절결부(35)를 형성하지 않았다. 다른 조건은 같다.
(3) 덮개재(4)
덮개재(4)에 관해서는 하기의 조건이 다르다.
(3-1) PP층(41)
원료 수지: 랜덤 폴리프로필렌
층의 두께: 240 μm
(3-5) PP층(45)
원료 수지: 랜덤 폴리프로필렌
층의 두께: 1O μm
(4) 용이개봉성 포장체(2)
용기(3)내에 젤리를 충전한 후, 덮개재(4)를 5 mm 폭의 환상 밀봉 링을 이용하여 190℃, 15 MPa, 1.5초로 열 밀봉하여, 용이개봉성 포장체(2)를 수득했다. 또한, 이 용이개봉성 포장체(2)에 120℃, 30분의 레토르트 처리를 실시했다.
(평가 방법 및 결과)
시험방법은 전술의 실시예 1과 같다.
시험 결과는 하기와 같았다.
용이개봉성 포장체(2)의 레토르트 처리전의 박리 강도는 17 N/15 mm, 내압 강도는 0.06 MPa였다. 또한, 레토르트 처리후의 박리 강도는 15 N/15 mm, 내압 강도는 0.06 MPa였다.
이상으로부터, 충분한 내압 강도를 유지하면서 개봉 강도가 낮은 이상적인 용이개봉성 포장체(2)로 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비교 실험을 했다.
[비교예 2-1]
용기의 비응집파괴성 수지층(17)을 2μm으로 한 점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이다.
[비교예 2-2]
용기의 비응집파괴성 수지층(17)을 50μm으로 한 점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이다.
(평가 방법 및 결과)
실시예 1과 같은 측정 방법으로, 내압 강도 및 박리 강도를 측정했다.
비교예 2-1에서는, 레토르트 처리전의 박리 강도는 7 N/15 mm, 내압 강도는 0.02 MPa, 레토르트 처리후의 박리 강도는 6 N/15 mm, 내압 강도는 0.02 MPa였다.
비교예 2-2에서는, 레토르트 처리전의 박리 강도는 51 N/15 mm, 내압 강도는 0.12 MPa, 레토르트 처리후의 박리 강도는 48 N/15 mm, 내압 강도는 0.11 MPa였다.
이와 같이, 비교예 2-1에서는 내압 강도가 낮고, 또한 비교예 2-2에서는 용이개봉성을 얻을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식품 등을 포장하기 위한 용기 내지는 용이개봉성 포장체로서 이용할 수 있고, 또한 이들의 용기 등에 바람직한 다층 시이트로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저면 및 이 저면으로부터 일으켜 세워져 일체 형성되고 상부에 개구부를 갖는 측면을 구비하고, 개구부의 주연에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온 플랜지부가 일체 형성된 용기로서,
    기재층; 이 기재층상에 형성되고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연질 수지 또는 엘라스토머를 함유하고, 두께가 20μm 이상 200μm 이하의 응집파괴성 수지층; 이 응집파괴성 수지층상에 형성되고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하며, 두께가 40μm 이상 200μm 이하의 비응집파괴성 수지층을 구비하며,
    상기 비응집파괴성 수지층이 용기 내표면측에 위치하며,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비응집파괴성 수지층에는 환상의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이 폴리올레핀계 수지이며,
    상기 응집파괴성 수지층이 연질 수지인 에틸렌-극성 바이닐 화합물계 공중합체를 갖고,
    상기 비응집파괴성 수지층의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융점 140℃ 이상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응집파괴성 수지층이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50 내지 95 wt%, 에틸렌-극성 바이닐 화합물계 공중합체를 5 내지 50 wt%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응집파괴성 수지층의 에틸렌-극성 바이닐 화합물계 공중합체가 에틸렌-아크릴 산계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아세트산 바이닐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2.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의 상기 응집파괴성 수지층측 반대측에 가스 배리어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3.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용기, 및 상기 용기의 개구부를 막는 덮개재를 구비한 용이개봉성 포장체로서,
    상기 용기 플랜지부의 상기 절결부의 외주측에 상기 덮개재를 열 밀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이개봉성 포장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재가 상기 용기의 플랜지부의 절결부로부터 0.5 mm 이상 외주측에 열 밀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이개봉성 포장체.
KR1020057008949A 2002-11-19 2003-11-18 다층 시이트, 용기, 용이개봉성 포장체 KR1010321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34792 2002-11-19
JP2002334792A JP4190868B2 (ja) 2002-11-19 2002-11-19 容器及びレトルト食品用易開封性包装体
JP2002334791A JP2004167774A (ja) 2002-11-19 2002-11-19 多層シート、容器、易開封性包装体
JPJP-P-2002-00334791 2002-11-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6730A KR20050086730A (ko) 2005-08-30
KR101032194B1 true KR101032194B1 (ko) 2011-05-02

Family

ID=32328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8949A KR101032194B1 (ko) 2002-11-19 2003-11-18 다층 시이트, 용기, 용이개봉성 포장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60141185A1 (ko)
KR (1) KR101032194B1 (ko)
WO (1) WO20040458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27459A1 (en) * 2012-07-25 2014-01-30 Sahar Anis Madanat Multi-Layered Container
US8672725B1 (en) * 2012-10-26 2014-03-18 Christopher R. Betts Photographic camouflaged scent-free game call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9848596B2 (en) 2012-10-26 2017-12-26 Double B Custom Calls, Llc Photographic camouflaged scent-free game call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11033019B2 (en) 2012-10-26 2021-06-15 Deadshot Customs Llc Photographic camouflaged scent-free game call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EP3126261A1 (en) 2014-04-03 2017-02-08 Printpack Illinois, Inc. Thermoforming sheets and thermoformed containers prepared therefrom
JP6661265B2 (ja) * 2014-09-24 2020-03-11 東洋アルミニウム株式会社 密封包装体
JP6531664B2 (ja) * 2016-02-18 2019-06-19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レトルト用共押出多層フィルムおよびレトルト用包装体
US20190135520A1 (en) * 2017-11-03 2019-05-09 The Quaker Oats Company Rigid Packages Having Peelable Hermetic Seals
JP6882350B2 (ja) * 2019-01-23 2021-06-02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内容物入り容器の製造装置、製造方法および容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6589A (ja) * 1995-08-31 1997-03-11 Dainippon Printing Co Ltd 多層フィルム
JPH10264330A (ja) 1997-03-26 1998-10-06 Mitsubishi Plastics Ind Ltd 易開封性共押出複合フィルム
JPH11268208A (ja) 1998-03-23 1999-10-05 Sumika Plastech Kk 積層フィルム、蓋材及び容器
JP2000272665A (ja) 1999-03-19 2000-10-03 Sumitomo Bakelite Co Ltd 包装体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5829A (ja) * 1982-08-05 1984-02-09 Chisso Corp ポリオレフイン系樹脂組成物
JPS62117741A (ja) * 1985-11-19 1987-05-29 東燃化学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系多層フイルム
JP2698486B2 (ja) * 1991-05-24 1998-01-19 出光石油化学株式会社 密閉容器
JPH0752906A (ja) * 1993-08-12 1995-02-28 Idemitsu Petrochem Co Ltd 密封容器の製造方法
ES2107315T3 (es) * 1994-03-29 1997-11-16 Advanced Elastomer Systems Elastomeros termoplasticos que tienen propiedades superficiales mejoradas.
JPH0940001A (ja) * 1995-07-20 1997-02-10 Dainippon Printing Co Ltd ふた材
JPH09216318A (ja) * 1996-02-09 1997-08-19 Dainippon Printing Co Ltd 多層フィルム
JP3137321B2 (ja) * 1997-01-17 2001-02-19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多層シート
US6286705B1 (en) * 1997-03-03 2001-09-11 Abbott Laboratories Container having tapered sidewall made from sheet material and lid to seal same
US6960392B2 (en) * 2000-03-30 2005-11-01 Arkema Structure comprising a binder layer non-delaminable with respect to a metallized substrate and peelable with respect to a polypropylene substrat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6589A (ja) * 1995-08-31 1997-03-11 Dainippon Printing Co Ltd 多層フィルム
JPH10264330A (ja) 1997-03-26 1998-10-06 Mitsubishi Plastics Ind Ltd 易開封性共押出複合フィルム
JPH11268208A (ja) 1998-03-23 1999-10-05 Sumika Plastech Kk 積層フィルム、蓋材及び容器
JP2000272665A (ja) 1999-03-19 2000-10-03 Sumitomo Bakelite Co Ltd 包装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6730A (ko) 2005-08-30
WO2004045850A1 (ja) 2004-06-03
US20060141185A1 (en) 2006-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67339A (en) Easily openable container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101370239B1 (ko) 탭이 달린 내부 시일
WO2004089779A1 (ja) 容器、包装体及び容器の製造方法
JP4133436B2 (ja) 易開封性包装体および易開封性包装体の製造方法
KR101032194B1 (ko) 다층 시이트, 용기, 용이개봉성 포장체
WO2005023676A1 (ja) 電子レンジ用包装袋
JP2004098663A (ja) 多層シート、熱成形容器、蓋材、及び易開封性包装体
JP5363785B2 (ja) 多層シート、熱成形容器および易開封性包装体
JP4190868B2 (ja) 容器及びレトルト食品用易開封性包装体
JP4128011B2 (ja) 多層シート、熱成形容器、容器用蓋材および易開封性包装体
JP4624506B2 (ja) 易開封性多層容器
JPH0564592B2 (ko)
JP2004167774A (ja) 多層シート、容器、易開封性包装体
JPH0637224B2 (ja) 易開封性容器
JP2994957B2 (ja) 食品包装用2分割容器
JP2913039B2 (ja) 容 器
JP2589371B2 (ja) 多層構造物、易開封性容器及び蓋材
JP2575709B2 (ja) 易開封性密封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590337B2 (ja) 多層容器熱成形用多層シ−ト
JP2575708B2 (ja) 易開封性容器
JP2545529B2 (ja) 容器の成形打抜き方法
JPH08164973A (ja) ピーラブルシール容器
JP2005289424A (ja) 容器
JPH05139463A (ja) 密封包装体
JP2610875B2 (ja) 易開封性包装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