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3289B1 - 유리창 승강장치 및 유리창 고정방법 - Google Patents

유리창 승강장치 및 유리창 고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3289B1
KR101023289B1 KR20067019973A KR20067019973A KR101023289B1 KR 101023289 B1 KR101023289 B1 KR 101023289B1 KR 20067019973 A KR20067019973 A KR 20067019973A KR 20067019973 A KR20067019973 A KR 20067019973A KR 101023289 B1 KR101023289 B1 KR 101023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ch
window
windshield
glass
sec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7019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9513A (ko
Inventor
베른하드 에카르트
베른하드 시엘홀스트
엔리코 실리바
하랄드 쾰너
Original Assignee
파우레시아 이넨라움 시스템 게엠바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우레시아 이넨라움 시스템 게엠바하 filed Critical 파우레시아 이넨라움 시스템 게엠바하
Publication of KR20060129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9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3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3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38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for vehicle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38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for vehicle windows
    • E05F11/385Fixing of window glass to the carrier of the operating mechanism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4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4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 E05F11/481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for vehicle windows
    • E05F11/483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for vehicle windows by cables
    • E05F11/486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for vehicle windows by cables with one cable connection to the window 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38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for vehicle windows
    • E05F11/385Fixing of window glass to the carrier of the operating mechanism
    • E05F2011/387Fixing of window glass to the carrier of the operating mechanism using arrangements in the window glass, e.g. ho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8Hol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C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4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69Permanence of use
    • E05Y2800/692Temporary use, e.g. removable t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69Permanence of use
    • E05Y2800/696Permanence of use during transport or storag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창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의 사이드 유리창에 관한 것이다. 유리창 승강장치는 당김장치 및 당김장치에 의하여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는 유리창(3)을 위한 캐치(2)를 포함한다. 캐치(2)는 당김장치의 상향 당김단(8)을 위한 제1 고정점(7) 및 당김장치의 하향 당김단(10)을 위한 제2 고정점 (9)을 갖고, 제2 고정점(9)은 유리창(3)이 고정되면 유리창 면에서 제1 고정점(7)과 수평적으로 이격된다. 유리창 승강장치는 유리창(3)이 고정되기 전에도 캐치(2)가 자유도에 대하여 정의된 위치에 유지될 수 있도록 적어도 세 개의 자유도에 대하여 캐치(2)를 배치하고 고정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 또는 사이드 패널 모듈 및 이와 같은 유리창 승강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차 사이드 도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해당 유리창 승강장치에서 유리창(3)을 고정하는 단순화된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리창 승강장치 및 유리창 고정방법{WINDOW LIFT SYSTEM AND METHOD FOR FITTING A WINDOW PANE}
본 발명은 유리창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의 주 청구항의 전제부와 같은 당김장치(pulling device)에 의하여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유리창을 위한 캐치(catch)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사이드 유리창을 위한 유리창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유리창 승강장치에서 유리창을 고정하는 방법뿐만 아니라 이러한 유리창 승강장치를 포함하는 도어 또는 사이드 패널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형태의 유리창 승강장치에서, 캐치는 당김장치의 상향 당김단을 위한 제1 고정점 및 당김장치의 하향 당김단을 위한 제2 고정점을 가진다. 일단 유리창이 고정되면, 상기 제2 고정점은 유리창 면에서 제1 고정점과 수평적으로 이격 (offset)된다. 이러한 유리창 승강장치는 독일특허 DE 690 27 127 T2 로부터 알려져 있다.
이러한 형태의 유리창 승강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수평으로 이격된 캐치 의 두 고정점에서 당김장치의 상향 당김단 및 하향 당김단의 고정이, 움직임 방향에 관계없이 움직임 구동력이 유리창에 인가되어 유리창이 각 움직임 방향과 동일하게 유지되는 단지 하나의 가이드 에지(guiding edge) 또는 레일(rail)에 대하여 항상 눌리도록 한다는 데에 특히 관심이 있다. 따라서, 해당 가이드 장치에서 유리창의 기울어짐(tilting)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설계된 유리창 승강장치는 본 출원의 출원일에 공개되지 않은 독일 특허출원 DE 102 55 461.7호에 제시되어 있다. 이하 설명하는 발명은 상기 특허출원에서 제시된 형태의 유리창 승강장치에 특히 적합하고, 그 특허출원의 내용은 참고로서 본 출원에 전적으로 포함된다.
이러한 형태의 유리창 승강장치는 본 발명의 출발점을 형성하는 문제점을 제기한다. 이와 같은 유리창 승강장치에서, 토크(torque)가 당김 및 움직임의 방향과 무관하게 유리창에 가해진다. 이러한 토크는 일반적으로 유리창을 동일한 가이드 에지 또는 레일에 일정하게 누르기 위하여 요망된다.
일단 유리창이 고정되면, 캐치를 통하여 유리창에 전달된 동일한 토크는, 유리창의 고정 전에, 유리창의 고정을 매우 어렵게 하고 특히 유리창을 캐치에 연결하는 경사위치(oblique position)로 캐치가 당겨지게 한다. 유리창의 고정은, 단지 두 개의 말단에 의하여 지탱되었던 캐치가 적어도 하나의 회전 자유도를 갖고, 또한 적어도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어렵게 된다. 이것은 또한 유리창 승강장치를 포함한 해당 도어 또는 사이드 패널 모듈이 이동될 때 원치않는 덜컹거림(rattling)을 야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어려움과 단점들을 극복하는 데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된 유리창 승강장치는 도시된 방법으로 토크를 해당 유리창에 전달하기에 적합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형태의 유리창 승강장치에 유리창을 고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주 청구항의 전제부의 특징과 함께 주 청구항의 특징적인 특성을 갖는 유리창 승강장치에 의하여 달성되고, 청구항 10항의 도어 또는 사이드 패널 모듈 또는 청구항 12항의 차량용 사이드 도어, 그리고 청구항 13항의 특징을 갖는 유리창을 고정하는 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 및 개선은 종속항의 특징으로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승강장치는 적어도 세 개의 자유도를 구속하도록 캐치를 배치하고 고정하는 수단을 가짐으로써, 유리창이 아직 장착되기 전에 캐치가 세 개의 자유도가 구속된 위치에 유지될 수 있어, 유리창의 고정이 결정적으로 간편해진다.
이와 같은 유리창 승강장치에서 유리창의 바람직한 고정방법은,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제공된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자유도를 구속하도록 고정된 캐치를 제공하고, 유리창과 캐치가 서로 대응하는 위치를 취할 때까지 유리창 승강장치로 삽입되는 유리창을 제공하고(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승강장치에서 유리창이 떨어져서 삽입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자동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맞물림결합(form-fit) 및/또는 강제-로킹(force-locking) 방식으로 캐치에 연결되는 유리창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캐치는 유리창의 하단 에지를 수용하기 위한 상향으로 개방된 슬릿(slit)을 가지고 있다. 유리창이 고정되고, 캐치를 위치하고 고정한 후(방향 표시 및 상대적인 위치 표시는 유리창 승강장치의 고정 또는 동작상태와 항상 관련된다), 유리창은 유리창 승강장치로 위로부터 떨어져 삽입되어, 유리창의 하단 에지가 위로부터 캐치의 슬릿으로 끼워질 수 있다. 유리창의 삽입(통상적인 유리창 승강장치 및 해당 고정방법에서는 위로부터)은 도어 또는 차량의 사이드 패널에서 유리창 승강장치의 고정 전후에 일어날 수 있다.
유리창과 캐치의 간단하고 신뢰할 수 있는 연결은, 캐치가 유리창의 적어도 하나의 대응 오목부(recess)에 스냅식으로 물리는(snapping) 하나 또는 다수의 잠금부재(locking element)를 갖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맞물림결합은 유리창의 삽입으로 인하여 사실상 자동으로 발생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구멍(openings) 또는 두 개의 대향하는 구멍이 캐치에 제공될 수 있고, 유리창이 일단 삽입되면 유리창에 제공되는 오목부 또는 오목부들이 일직선상에 배열되는 이러한 구멍 또는 구멍들을 통하여 핀 또는 볼트를 끼워 유리창이 캐치와 결합된다. 이러한 핀 또는 볼트는 해당 구멍들 또는 오목부들에서 가능한 한 정확하게 끼워져야 한다.
이와 같은 핀 결합(joint) 또는 나사-볼트 연결은 당김장치의 말단으로부터 유리창으로의 특히 신뢰할 수 있는 힘 전달을 보장할 수 있다. 하향으로 유도되는 견인력은 캐치를 유리창으로부터 멀어지게 당기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우수한 힘 전달은 당김장치의 하향 당김단에 대하여 특히 바람직하다. 상술한 형태의 하나의 핀 접합 또는 나사-볼트 연결이 제공되면, 이러한 연결을 배열하는 것이 편리하여 특히 당김장치의 하향 당김단으로부터 나오는 힘을 흡수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수평으로 이격되고 유리창과 캐치의 내토크(torque-proof)를 보장하는 두 개의 핀 접합 또는 나사-볼트 연결이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장치에서 캐치와 유리창의 결합은, 유리창의 유리창 승강장치로의 삽입 이후에, 유리창과 캐치가 서로 대응하는 위치를 취했을 때, 각각의 핀 또는 볼트가 대응 구멍 또는 오목부를 통하여 끼워지도록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유리창 승강장치는 도어 또는 사이드 패널 모듈의 구성요소로서 제공되고, 또는 유리창이 고정되기 전 그리고 해당 도어 또는 사이드 패널 모듈이 고정되기 전에 도어 또는 사이드 패널 모듈에 배열된다.
이와 같은 모듈은 안정성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차례로 성형되거나 사출성형(injection-moudling)될 수 있는 강화섬유 플라스틱 물질로 이루어지는 패널부를 가진다. 경제적인 제조 및 간단한 고정을 위하여, 유리창 승강장치의 캐치 및/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위치시키고 고정하기 위한 상술한 적어도 몇몇 수단이 이 패널부에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실시예가 특히 유리하다.
특히, 이러한 도어 또는 사이드 패널 모듈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승강장치를 조합함으로써, 단순화된 고정의 장점뿐만 아니라, 캐치를 위치시키고 고정하는 수단을 이용하여 유리창 승강장치 또는 도어 또는 사이드 패널 모듈을 이송하는 동안 캐치의 원치않는 덜컹거림(clattering)을 방지할 수 있다는 또 다른 장점이 있다. 따라서, 이송하는 동안 캐치가 덜컹거림(jolt)의 결과로 자유자재로 부딪히는 캐치에 의하여 야기될 수 있는 파손을 피할 수 있다.
상술한 형태의 유리창 승강장치의 장점은 소위 레일이 없는 유리창 승강장치, 또는 일측(예를 들어 단일 레일 또는 가이드 에지)에서만 안내되는 유리창을 갖는 유리창 승강장치로부터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또는 이와 유사한 유리창 승강장치에 있어서, 당김장치의 두 말단에 대한 두 개의 이격된 고정점의 배열을 통하여, 균일하게 유도되는 토크가 움직임 방향과 무관하게 유리창에 전달될 수 있다는 것이 중요하다.
지금까지 설명된 것으로부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캐치는 유리창이 장착되기 전에 충분히 정확하게 배치되어, 유리창이 삽입됨에 따라 자동으로 캐치와 유리창의 신뢰성 있는 가능한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하여, 캐치가 모든 가능한 (여섯 개의) 자유도를 구속하도록 고정될 필요는 없다. 유리창 승강장치의 다양한 구성요소의 치수 및 상대적인 배열에 따라, 캐치가 세 개의 자유도에 대하여 이와 같은 방식으로 배치되고 고정될 수 있는 것으로 충분하다. 본 발명의 다양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캐치가 네 개, 다섯 개, 또는 모든 여섯 개의 자유도에 대하여 상술한 수단에 의하여 배치되고 고정될 수 있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고정 방법에 따르면, 특히 여섯 개의 자유도를 구속하도록 캐치를 배치하고 고정할 수 있는 실시예에서, 캐치는 유리창의 고정 전에, 유리창이 고정되기 위한 캐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바람직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것은 완전히 열린 유리창에 대응하는 캐치의 최하단 위치일 수 있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유리창이 고정되기 전에, 캐치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자유도가 구속되어 제공될 수 있고, 캐치는 유리창의 삽입에 의하여 유리창과 캐치의 결합이 일어난다. 유리창의 삽입 전에 캐치가 배치되고 고정되는 고정방법의 정확한 구현 및 자유도의 개수에 무관하게, 캐치가 유리창의 하단 에지를 수용하는 상향 개방 슬릿을 가지도록 형성되면, 유리창을 삽입하기 위하여, 캐치가 유리창 평면 또는 영역에 상술한 슬릿이 놓이는 위치에 고정되는 것이 모든 경우에 도움이 된다. 그런 다음, 유리창과 캐치를 연결하기 위하여 둘을 서로 결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반적인 실시예에서, 당김장치는 견인 케이블 또는 체인을 가져 상향 당김단 및 하향 당김단이 각각 견인 케이블 또는 체인의 일단을 형성한다. 와이어 또는 플라스틱 케이블은 가능한 높은 장력 안정성, 낮은 선형 신장성 및 우수한 유연성을 위하여 예를 들어 견인 케이블로서 제시된다. 또한, 두 개의 독립적인 당김장치 예를 들어 견인 케이블 또는 체인의 일단이 캐치에 고정되도록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유리창 승강장치의 당김장치는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크랭크 드라이브(crank drive) 또는 전기 모터에 의하여 제공되는 드라이브 시스템뿐만 아니라 롤러 및/또는 슬라이딩 블록에 의하여 반전된다.
캐치를 배치하고 고정하는 수단은 다양한 방법으로 설계될 수 있다. 특히 간단한 실시예에서, 이들 수단은 예를 들어 캐치용 하부 스토퍼(stop)에 의하여 제공될 수 있고, 또는 이와 같은 하부 스토퍼 또는 심지어 두 개의 스토퍼을 가질 수 있다. 유리창을 삽입하기 전에 캐치를 배치하고 고정하는 것은, 이러한 스토퍼 또는 스토퍼들에 대하여 캐치가 당김장치의 하향 당김단에 의하여 당겨지고, 동일한 말단에 의하여 고정되는 간단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단에서 스토퍼에 이미 인접하는 캐치는 초기에는 경사진 위치를 유지하고, 유리창에 의하여 올바르게 방향이 잡힌 위치로 눌려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당김장치의 하향 당김단에 의하여 유리창의 삽입전에도 캐치가 가능한 경사위치로부터 당겨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스토퍼과 공조하는 당김장치의 하향 당김단은 캐치에 토크를 인가한다.
캐치를 배치하고 고정하기 위한 수단의 다른 구성요소로서, 캐치를 위한 하부 스토퍼 또는 다수의 하부 스토퍼의 보조로서, 하부 스토퍼 또는 스토퍼들의 주변에 적어도 하부 움직임 부에서 캐치의 수평 안내를 위하여 가이드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측방향 안내"는 유리창에 의하여 정의되는 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캐치의 움직임의 자유를 제한하는 캐치의 안내를 특히 일컫는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가이드 수단은 또한 종방향으로 캐치를 위치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가이드 수단은 예를 들어 캐치를 수평적으로 안내하고 바람직하게는 깔대기(funnel) 형태로 아래로 수렴하는 벽에 의하여 간단하게 구현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캐치가 가장 아래쪽 위치에 안착하는 원뿔부재(cone)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원뿔부재를 두 개 제공하면 더욱 정밀하고 신뢰성 있는 배치를 달성할 수 있다. 원뿔부재 대신에, 하향으로 움직이는 캐치가 함몰부(depression), 구멍(bore) 또는 오목부를 통하여 안착되도록 위치하는 상향으로 가늘어지는 형상의 구성요소가 고려될 수 있다.
하부 스토퍼 대신에, 상부 스토퍼 및 캐치의 수평 안내를 위한 가능한 가이드 수단이, 캐치를 배치하고 고정하고, 완전히 닫힌 유리에 대응하는 상부 위치에 유리창을 배치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기능하는 수단으로서, 상부 스토퍼 주변에서 상부 움직임부에 제공될 수 있다.
유리창 승강장치가 도어 또는 사이드 패널 모듈에 일체화될 때 또는 이와 같은 모듈에 배열될 때, 배치 및 고정 수단은 또한 이 모듈의 패널부에 구멍 또는 다수의 구멍에 의하여 제공될 수 있고, 각 경우에, 정의된 고정위치에 캐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호 대응하는 구멍을 통하여 눌려질 수 있는 핀뿐만 아니라 캐치에서 대응 구멍에 의하여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캐치를 배치하고 고정하기 위한 수단은 예를 들어 가이드 수단과 같은 다른 특징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고정위치는 유리창이 고정되면 캐치의 가능한 위치에 대응되어야 한다. 이 위치는 캐치의 가장 낮은 위치에 대응될 수 있으나,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유리한 배치는 모든 자유도에 대하여 정의될 수 있기 때문에, 캐치에서 구멍 및 패널부에서 해당 구멍을 통하여 눌려질 수 있는 두 개의 핀이 제공되면 이루어진다. 핀은 간단한 볼트 또는 나사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머리 없는 나사일 수 있다. 두 개의 대응하는 구멍 중 적어도 하나는 나사와 맞물리는 나사산을 포함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나사는 도어 또는 사이드 패널 모듈을 통하여 캐치에 고정될 수 있고, 또한 캐치를 통하여 도어 또는 사이드 패널 모듈로 고정될 수 있다.
첫 번째의 경우, 캐치에서 대응 구멍이 단지 함몰부로 설계되기만 하면 충분하다. 두 번째의 경우, 도어 또는 사이드 패널 모듈에서 구멍은 완전한 오목부로서 설계되는 것이 아니라 단지 함몰부로서 설계된다(간단한 볼트가 나사 대신에 핀으로서 사용될 경우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술한 도어 또는 사이드 패널 모듈은 일반적으로 자동차 도어 또는 사이드 패널에서 도어 외부를 향한, 물기가 유입될 수 있는 습윤부(wet side)와 도어 내부를 향한 건조부(dry side) 사이의 칸막이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모듈이 상술한 방식으로 구멍을 포함하면, 이 구멍은 유리창이 고정된 후 그대로 두거나 밀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이와 같은 구멍은 해당 핀이 제거된 후 플러그로 밀봉될 수 있다. 그러나, 캐치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었던 나사는 유리창의 고정되어 캐치가 해제될 때까지 다시 나사결합되는 것이 또한 가능하고, 구멍은 나사에 의하여 밀봉된 채 남아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또는 사이드 패널 모듈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고정 방법의 유사한 실시예에서, 구멍은 또한 모듈의 대응 패널부에 제공될 수 있고, 이 구멍을 통하여 툴(tool)이 핀 대신에 안내될 수 있고, 상기 툴은 캐치를 단단히 붙잡을 수 있고, 패널부에 대하여 그리고 도어 또는 사이드 패널 모듈에 대하여 고정하는 동안 캐치를 배치하고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유리한 응용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징과 전술한 특허 출원 독일 DE 102 55 461.7호에 청구되고 설명된 유리창 승강장치와의 결합을 통하여 나온다. 이와 같은 조합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승강장치 및 도어 또는 사이드 패널 모듈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여기서 설명되는 방법은 특히 이러한 형태의 유리창 승강장치에 유리창을 고정하는 데 적합하다. 이러한 결합을 언급하는 특허출원 독일 DE 102 55 461.7호의 내용은 본 출원에 포함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더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승강장치를 가지는 자동차의 앞쪽 좌측 도어를 위한 도어 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승강장치의 도어 모듈 상의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자동차의 앞쪽 좌측 도어에 고정될 도어 모듈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 도어 모듈은 사출성형된 강화섬유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유리창 승강장치가 배열되고, 동시에 대응하는 사이드 도어에서 유리창 단부로 부터 도어모듈로 물기가 들어올 수 있는 차량 외부를 향한 습윤부와 물기가 들어오지 않는 차량 내부를 향한 건조부, 건조부와 습윤부 사이의 칸막이 역할을 하는 패널부(1)를 가지고 있다. 유리창 승강장치는, 도면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유리창(3)을 위한 당김장치에 의하여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는 캐치(2)를 가지고 있다.
당김장치의 구성요소로서 도면에는, 크랭크 드라이브(미도시)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는 드럼, 또는 전기 모터, 드럼(4)에 감겨져 이동가능한 견인 케이블(5), 롤러 형태로 견인 케이블(5)을 위한 두 개의 반전부재가 식별가능하게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반전부재(6)는 또한 슬라이딩 블록(sliding blocks)의 형태일 수 있다.
견인 케이블(5)은 플라스틱 케이블의 형태이고, 견인 케이블(5) 대신에 와이어 케이블 또는 심지어 체인을 가지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견인 케이블(5)은 캐치 (2)에 고정되고, 상기 캐치(2)는 케이블(5)의 상향 당김단(8)을 위한 제1 고정점 (7)과 하향 당김단(10)을 위한 제2 고정점(9)을 가지고 있다. 도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유리창(3)이 고정되면, 제2 고정점(9)은 제1 고정점(7)으로부터 수평적으로 이격되게 배열된다.
도시된 유리창 승강장치 및 이러한 형태의 다른 유리창 승강장치에서, 유리창(3)은 움직임 방향에 무관하게, 즉 유리창(3)이 위로 당겨지든 또는 아래로 당겨지든 관계없이, 항상 단지 도 1에 도시된 동일한 가이드 에지 또는 레일(11)을 향하여, 견인 케이블(5)에 의하여 캐치(2)에 가해지는 토크로 유리창에 눌려진다.
또한, 도시된 유리창 승강장치는, 유리창을 아직 장착하기 전에 캐치가 정해진 위치에 유지될 수 있도록 캐치(2)를 배치하고 고정하는 수단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도시된 실시예에서, 캐치(2)를 배치하고 고정하는 수단은 패널부(1) 상에 일체로 성형되고 캐치(2)의 하부 스토퍼의 역할을 하는 두 개의 지지대(12)로 구성된다.
이러한 지지대(12)의 각각에는 원뿔부재(13)가 형성되고, 이들 원뿔부재(13)은 캐치가 최하단 위치에 있을 때, 캐치(2)의 바닥에 형성된,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두 개의 구멍이 원뿔부재(13)에 배치되어 캐치(2)가 안착되도록 배열된다. 도 1에 점선으로 표시한 캐치(2)의 이 최하단 위치에서, 캐치(2)는 지지대(2) 상에 안착된다. 캐치(2)가 하향운동을 하는 동안, 원뿔부재(13)는 최하단 위치에 도달하기 직전의 마지막 이동구간 동안 캐치(2) 안착을 위한 가이드수단으로서 역할을 한다.
유리창(3)이 캐치에 고정되기 전에, 캐치(2)는 견인 케이블(5)의 상향 당김단(8) 및 하향 당김단(10)에 의하여서만 지지된다. 제 1 고정점(7)과 제 2 고정점(9)의 이격 배열로 인하여, 캐치가 당겨질 때 경사지게 되고 상향 당김단(8) 및 하향 당김단(10)으로 이루어지는 축을 중심으로 소정의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도 있다. 즉, 캐치는 직교하는 3개의 (x, y, z) 축방향으로 각각 이동과 회전할 수 있는 6개의 자유도를 갖게 된다.
만일 별도의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다면, 캐치(2)는 도어 모듈의 운송 동안에 바람직하지 못하게 자유롭게 덜컹거리고 파손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리창(3)의 고정 및 특히 유리창(3)과 캐치(2)의 연결이 매우 어려울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승강장치는 캐치를 제위치에 배치하고 고정하는 수단으로서 또는 가이드하는 수단으로서 지지대(12) 및 원뿔부재(13)을 갖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의 유리창 승강장치에서는, 도어 모듈을 안전하게 운송하기 위하여 또는 유리창(3)을 삽입하여 캐치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캐치(2)는 최하단 위치로 당겨지고, 이때 고정점(9)에서 하향 당김단(10)에 의하여 아래로 당겨져, 도 1의 오른쪽에 위치하는 지지대(12) 상에 먼저 안착되고, 그리고 도 1의 왼쪽에 위치하는 지지대(12) 상에 안착될 때까지 경사지게 당겨진다.
이러한 과정에서, 유리창(3)이 아직 삽입되지 않았을 때도 캐치(2)는 원뿔부재(13)에 의하여 측방향으로 안내되어 캐치의 바닥에 형성된 구멍이 원뿔부재에 끼워진 상태로 지지대(12)들에 안착됨으로써 캐치는 직교하는 3개의 (x, y, z)축 방향에서 이동 및 회전할 수 있는 모두 여섯 개의 자유도가 구속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운송 도중에 흔들리더라도 캐치(2)는 덜컹거림을 피할 수 있으며, 유리창(3)과 캐치의 결합은 상당히 용이하게 된다.
사출성형된 플라스틱 부품인 캐치(2)는 유리창(3)의 하단 에지(15)를 수용하기 위한 상방이 개방된 슬릿(14)을 갖는다. 유리창(3)과 캐치(2)가 맞물림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캐치는 또한 도면에서 식별할 수 없는 유리창(3)에 형성된 두 개의 오목부에 스냅(snap)방식으로 맞물리는 두 개의 잠금부재(16)를 가지고 있다. 또한, 캐치(2)와 유리창(3)을 결합하기 위하여 구멍(17)이 캐치(2)와 유리창에 형성되고, 유리창(3)이 캐치(2)에 장착될 때 캐치의 잠금부재(16)들이 유리창(3)의 오목부들에 맞물리게 되며 이때 캐치와 유리창의 구멍(17)에 핀을 끼워 고정하게 된다. 캐치(2)와 유리창(3)의 맞물림결합에 의한 연결은 스냅방식의 잠금부재(16)와 유리창의 오목부의 맞물림과 캐치와 유리창의 구멍(17)에의 핀 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유리창의 하단 에지(15)가 캐치(2)에 형성된 슬릿(14)에 끼워지게 하기 위하여 캐치는 최소한 3개의 자유도, 즉 유리창에 대해 수직 방향의 이동 자유도와, 유리창 평면에서의 두개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유리창 평면에서 슬릿이 벗어나는 회전 자유도가 구속되어야 하며, 지지대(12)와 원뿔부재(13)는 캐치가 상기한 자유도를 구속하도록 캐치를 배치 및 고정한다.
견인 케이블(5)의 하향 당김단(10)을 견인하여 캐치(2)를 최하단 위치로 당겨서 원뿔(13)을 갖는 지지대(12) 상에서 캐치는 모든 자유도에 대하여 구속되어 고정되게 배치됨으로써 유리창(3)은 유리창 승강장치에 장착될 수 있게 된다. 그런 다음, 유리창(3)과 캐치(2)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은 상태가 되도록 유리창(3)이 최하단 위치에 배치될 때까지 유리창을 승강장치속으로 삽입한다.
이 과정에서, 잠금부재(16)가 유리창(3)의 오목부에 맞물리기 때문에, 캐치(2)와 유리창(3)의 맞물림결합은 실질적으로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캐치와 유리창은 구멍(17)을 통하여 핀(또는 볼트)을 끼움으로써 더욱 견고하게 결합된다. 유리창(3)이 삽입되기 전에 유리창의 에지가 끼워질 위치에 캐치가 배치되고 고정되기 때문에,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캐치를 고비용 방식으로 수동으로 유지하지 않고도, 유리창(3)이 삽입됨에 따라 유리창(3)의 하단 에지(15)는 자동적으로 캐치(2)의 슬릿(14)에 끼워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는 또한, 자동차용 도어 모듈이 해당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도 2와 그 다음의 도면에서 반복되는 구성요소들에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부여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 점은, 캐치(2)를 배치하고 고정하는 수단으로서, 하나의 하부 스토퍼(18)와, 하향 이동의 끝부분에서 캐치(2)를 측방향에서 안내하는 가이드 수단으로서 이 하부 스토퍼(18)와 이어져 형성된 벽부재(19)가 제공되는 점이다.
도 2에 도시된 유리창 승강장치는, 유리창(3)을 고정하기 위하여, 캐치(2)가 여섯 개의 자유도 중 단지 다섯 개에 대하여 고정되게 배치되도록 설계된다. 이를 위하여, 캐치(2)는 그 양단부들중 하나의 단부가 하부 스토퍼(18)에 안착될 때까지 하향 당김단(10)에 의하여 아래로 당겨지고, (도어 모듈의 패널부(1)와 공조하는) 벽부재(19)에 의한 측방향 안내의 결과로서 유리창(3)의 수직 방향에 대해 한정된 위치에서, 도 2에 점선으로 표시된 경사진 위치로 유지된다. 캐치(2)가 모든 자유도가 구속되게 고정되지 않더라도, 슬릿(14)은 유리창(3)의 이동 영역에 위치하게 되므로, 유리창 승강장치로 유리창을 삽입시켜 캐치의 슬릿에 유리창(3)을 고정하는 것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
유리창(3)이 삽입됨에 따라, 더 정확하게는 유리창(3)의 하단 에지(15)가 캐치(2)의 슬릿(14) 속으로 이동함에 따라, 캐치(2)는 유리창(3) 자체에 의하여, 유리창이 완전히 개방된 위치에 대응된 최하단 위치로 눌려지게 되며, 유리창이 장착될 때 유리창(3)과 캐치(2)는 전술한 바와 같이 맞물림결합하게 된다. 전술한 형태의 유리창 승강장치의 여러 구성요소의 치수 및 상대적인 배열에 따라, 다른 실시예로서 캐치(2)는 세 개의 자유도에 대해서만 구속하도록 고정배치수단에 의하여 고정배치될 수 있으면 충분하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도어 모듈의 패널부(1)에 배치되는 유리창 승강장치에서, 캐치(2)를 배치하고 고정하는 수단은, 하부 스토퍼(18)뿐만 아니라, 패널부(1)의 구멍(20) 및 캐치(2)의 대응하는 구멍(21)을 포함하고, 도 3에 점선으로 표시한 대응 구멍(21)은 단지 패널부(1)와 대면하는 캐치(2)의 측면에 함몰부로서 간단하게 설계된다. 구멍(20, 21)들은 캐치(2)가 도 3에 점선으로 표시된 최하단 위치에 있을 때 서로 대면하도록 배열되어 핀으로 끼워 고정하게 된다.
유리창(3)을 고정하는 동안에 고정위치로서의 최하단 위치에 캐치(2)를 배치하고 고정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되지 않은 핀은 건조부로부터 패널부(1)의 구멍(20)을 통하여 캐치의 구멍(21)으로 삽입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구멍(20,21)들에 삽입하여 패널부와 캐치를 임시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핀은 머리 없는 나사로서 제공되고, 패널부(1)의 구멍(20)에는 상기 머리 없는 나사와 맞물리는 나사산이 제공된다. 따라서, 캐치(2)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지고, 패널부(1)의 구멍(20)을 통하여 캐치(2)의 구멍(21)으로 나사결합되는 상기 머리 없는 나사에 의하여 고정된다.
유리창(3)이 고정된 후, 즉 유리창(3)이 유리창 승강장치로의 삽입 및 유리창(3)의 캐치(2)와의 결합이 전술한 방식으로 이루어진 후, 머리 없는 나사는 캐치 (2)에서 제거되고, 캐치는 유리창을 개폐하기 위하여 유리창(3)과 함께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패널부의 구멍(20)에 남아있는 머리 없는 나사는 차량 도어의 건조부 영역으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패널부(1)의 구멍(20)을 밀봉하는 역할을 한다. 머리 없는 나사를 제거하고 플러그로 구멍(20)을 밀봉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머리 없는 나사 대신에, 핀으로서 간단한 볼트를 사용하여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사한 실시예에서, 다수의 핀,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핀과 패널부(1)와 캐치(2)의 대응되는 개수의 구멍 또는 함몰부가 전술한 방법으로 캐치(2)를 고정하기 위하여 제공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유리창이 고정될 때의 캐치(2)의 위치에 대응하는 패널부의 위치에 제공된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그 위치는 반드시 캐치(2)의 최하단 위치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유사한 실시예에서, 이와 같은 나사 또는 이와 같은 핀이 패널부(1)를 통하여 캐치(2)로 나사결합되거나 끼워지는 것이 아니라 캐치(2)를 통하여 패널부(1)에 나사결합되거나 끼워지도록 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핀 또는 나사 대신에, 구멍(20)을 통하여 결합되어 캐치(2)를 고정할 수 있는 다른 수단이 제공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유리창 승강장치에서, 각 경우에, 유리창(3)은 하나의 가이드 레일(11)에 의하여 일측에서 안내된다. 그러나, 레일이 없는 유리창 승강장치에서도 거의 같은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하나의 견인 케이블(5) 대신에, 두 개의 독립적인 당김장치(예를 들어, 견인 케이블 또는 체인)가 제공되고, 그 중 하나는 상향 당김단(8)을 형성하고 다른 하나는 하향 당김단(10)을 형성한다는 점에서 도면에 도시된 유리창 승강장치와 다르게 될 수 있다.

Claims (15)

  1. 당김장치, 상기 당김장치에 의하여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는 유리창(3)의 하측 모서리를 수용하는 슬릿을 구비한 캐치(2)를 포함하고, 상기 캐치(2)는 당김장치의 상향 당김단(8)을 위한 제1 고정점(7) 및 당김장치의 하향 당김단(10)을 위한 제2 고정점(9)을 갖고, 유리창(3)이 고정될 때 상기 제2 고정점(9)은 유리창 평면에서 제1 고정점(7)과 수평적으로 이격된, 자동차의 사이드 유리창을 위한 유리창 승강장치에 있어서,
    유리창(3)이 삽입되기 전에 3개의 자유도에 대해 구속되게 캐치(2)를 배치고정하고 그리고 상기한 자유도에 대해 구속된 위치에서 캐치가 유지되도록 캐치를 배치하고 고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승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치(2)를 배치하고 고정하는 수단은 캐치를 여섯 개의 자유도에 대해 구속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승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장치는 당김단(8, 10)을 갖는 견인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승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치(2)는 유리창(3)의 하단 에지(15)를 수용하기 위한 상향으로 개방된 슬릿(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승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치(2)는 유리창(3)의 오목부에 맞물리는 잠금부재(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승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치(2)는 구멍(17)을 가지며, 유리창(3)은 오목부를 구비하여, 유리창이 고정될 때 상기 구멍(17)과 일직선으로 배열되는 유리창(3)의 오목부에 정확히 끼워지도록 제공되는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승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및 고정 수단은 캐치(2)용 하부 스토퍼(1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승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스토퍼(18)에는 캐치의 하부 이동의 끝부분에 캐치(2)의 수평 안내를 위한 가이드 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승강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수단은 캐치(2)를 수평적으로 안내하는 벽부재(19)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승강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리창 승강장치를 포함하는 도어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배치 및 고정 수단은 도어 모듈의 패널부(1)의 구멍(20)과 이에 대응하는 캐치(2)의 구멍(21) 및 캐치(2)를 정해진 고정위치에 고정하도록 상기 구멍(20, 21)을 통하여 삽입되는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모듈.
  12.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리창 승강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
  13. 캐치(2)를 배치하고 고정하는 수단을 이용하여 캐치의 자유도를 구속하도록 캐치(2)를 배치하고 고정하는 단계;
    유리창(3) 및 캐치(2)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유리창 승강장치로 유리창(3)을 삽입하는 단계;
    맞물림결합으로 유리창(3)을 캐치(2)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순서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리창 승강장치에 유리창을 고정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창(3)이 삽입되기 전에, 상기 캐치(2)는 유리창(3)을 장착하기 위한 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승강장치에 유리창을 고정하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창(3)이 삽입되기 전에, 상기 캐치(2)는 유리창 평면내에서 경사진 위치에 배치되고, 유리창을 삽입함으로써 캐치(2)와 유리창(3)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승강장치에 유리창을 고정하는 방법.
KR20067019973A 2004-04-02 2005-04-01 유리창 승강장치 및 유리창 고정방법 KR1010232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0410017645 DE102004017645A1 (de) 2004-04-02 2004-04-02 Fensterheberanordnung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r Fensterscheibe
DE102004017645.0 2004-04-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9513A KR20060129513A (ko) 2006-12-15
KR101023289B1 true KR101023289B1 (ko) 2011-03-18

Family

ID=34965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7019973A KR101023289B1 (ko) 2004-04-02 2005-04-01 유리창 승강장치 및 유리창 고정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127495B2 (ko)
EP (1) EP1730374A1 (ko)
JP (1) JP5027650B2 (ko)
KR (1) KR101023289B1 (ko)
CN (1) CN1961130A (ko)
BR (1) BRPI0509060A (ko)
DE (1) DE102004017645A1 (ko)
RU (1) RU2361994C2 (ko)
WO (1) WO200509574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6015A1 (ko) * 2019-11-13 2021-05-20 주식회사 광진 자동차용 윈도우 승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61009B3 (de) 2005-12-19 2007-08-23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Fensterheberanordnung, Türmodul, Kraftfahrzeugtür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r Fensterheberanordnung
US8132368B2 (en) 2005-12-19 2012-03-13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Window lift apparatus, door module, motor vehicle door and method for installation of a window lift apparatus
DE102006030238B4 (de) * 2006-06-30 2012-10-18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Mitnehmer für eine Fensterheberanordnung
DE102006036534A1 (de) * 2006-07-31 2008-02-07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Türmodul mit Fensterhebereinrichtung
DE102006039625B4 (de) * 2006-08-24 2014-08-07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Schienenloser Seilzug-Fensterheber
DE102006060097B4 (de) * 2006-12-18 2012-04-26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Fensterheberanordnung, Mitnehmer, Türmodul, Kraftfahrzeugtür und Verfahren zur Montage der Fensterheberanordnung
DE202007018213U1 (de) 2007-12-28 2009-05-07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Schienenloser Seil-Fensterheber
DE102008044175B4 (de) * 2008-11-28 2010-12-23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Montagevorrichtung zur Montage einer Fensterscheibe an einen Mitnehmer eines Fensterhebers
DE102008060407A1 (de) 2008-12-01 2010-06-02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Fensterheberbaugruppe
DE202008017217U1 (de) * 2008-12-19 2010-04-29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Fensterheberbaugruppe mit Positionierungselement für eine Fensterscheibe
US7861464B2 (en) * 2009-02-04 2011-01-0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Vehicle window glass drip management
JP5453008B2 (ja) * 2009-07-27 2014-03-26 株式会社ハイレックスコーポレーション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装置
DE102011054192B4 (de) 2011-10-05 2019-01-03 Küster Holding GmbH Fensterheber für ein Kraftfahrzeug, mit einem durch einen Seilzug betätigbaren Mitnehmer
DE102011054212A1 (de) 2011-10-05 2013-04-11 Küster Holding GmbH Verfahren zum Festlegen einer Fensterscheibe an einem Mitnehmer eines Fensterhebers und Fensterheber
JP6154326B2 (ja) * 2011-10-25 2017-06-28 株式会社ハイレックスコーポレーション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CN103375085A (zh) * 2013-08-15 2013-10-30 昆山麦格纳汽车系统有限公司 汽车前后门玻璃升降器滑块机构
JP6344085B2 (ja) * 2014-06-23 2018-06-2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昇降装置及びその昇降装置を備える車両用ドア
JP6345063B2 (ja) * 2014-09-26 2018-06-20 シロキ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及び傾き抑制機構
DE102018119474A1 (de) * 2018-08-10 2020-02-13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Fensterheberanordnung
US11193320B2 (en) * 2019-11-04 2021-12-07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Window regulator assembly
DE102022204183A1 (de) 2022-04-28 2023-11-02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Fensterhebersystem für eine Fensterscheibe eines Kraftfahrzeug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8359A (ja) 2000-12-22 2002-07-05 Shiroki Corp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JP2003034143A (ja) 2001-07-24 2003-02-04 Oi Seisakusho Co Ltd 車両用ドア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622A (en) * 1934-09-11 1935-09-24 Evulich Anton Doorstop
US4001971A (en) * 1975-09-02 1977-01-11 Freedland Industries Corporation Unit window regulator assembly
JPS6316793Y2 (ko) * 1981-04-30 1988-05-12
EP0164116B1 (en) * 1984-06-06 1989-09-0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Door window regulator
GB2223797B (en) * 1988-09-01 1992-08-19 Kuester & Co Gmbh Window pane displacing device
GB2230558A (en) * 1989-04-15 1990-10-24 Ford Motor Co Regulating system for motor vehicle window
US5067281A (en) * 1989-09-26 1991-11-26 Gen Corp Inc. Door glass cassette for vehicles
US5174066A (en) * 1989-09-26 1992-12-29 Gencorp Inc. Door glass cassette for vehicles
US5001867A (en) * 1989-09-26 1991-03-26 Gencorp Inc. Door glass cassette for vehicles
DE4420008C1 (de) * 1994-06-08 1995-05-24 Ford Werke Ag Seilzug-Fensterheber,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DE4429487C1 (de) 1994-08-19 1995-10-26 Ford Werke Ag Fensterheber,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DE29503036U1 (de) * 1995-02-23 1995-04-20 Brose Fahrzeugteile Vorrichtung zum Verbinden einer Fensterscheibe mit einem Fensterheber
JP3355863B2 (ja) * 1995-04-20 2002-12-09 株式会社ニフコ ガラスホルダー及び該ガラスホルダーを用いた窓ガラスの取付方法
JPH09189170A (ja) * 1996-01-11 1997-07-22 Mitsubishi Motors Corp 窓ガラス昇降装置
JPH09228734A (ja) * 1996-02-26 1997-09-02 Aichi Mach Ind Co Ltd 窓ガラスの開閉機構
JP3332803B2 (ja) * 1997-05-19 2002-10-0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ドアガラスの昇降装置
FR2781006B1 (fr) * 1998-07-08 2000-10-06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Dispositif de leve-vitre de porte de vehicule automobile
US20020083647A1 (en) * 2000-12-28 2002-07-04 Bostian Bruce R. Structural window lift module
CN1247873C (zh) * 2001-03-19 2006-03-29 日本缆绳系统株式会社 弯曲玻璃的支承构造和窗玻璃开闭调节器
JP2004524469A (ja) * 2001-04-26 2004-08-12 インティアー オートモーティヴ クロージャ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万能型の車両用ケーブル付き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組立体
FR2830894B1 (fr) * 2001-10-16 2004-04-16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Leve-vitre avec blocage de curseur et procede d'assemblage correspondant
FR2831588B1 (fr) * 2001-10-26 2004-06-18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Element de liaison d'une vitre a un cable de leve-vitre et procede correspondant
JP3936239B2 (ja) * 2002-05-20 2007-06-27 株式会社ハイレックスコ−ポレ−ション 昇降ガラスの支持構造および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DE10255461B4 (de) * 2002-11-25 2007-05-16 Faurecia Innenraum Sys Gmbh Fensterheberanordnung sowie Kraftfahrzeugtür
US7797882B2 (en) * 2003-05-14 2010-09-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Window positioning apparatus
US7610720B2 (en) * 2006-04-26 2009-11-03 Magna Closures Inc Railless window regula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8359A (ja) 2000-12-22 2002-07-05 Shiroki Corp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JP2003034143A (ja) 2001-07-24 2003-02-04 Oi Seisakusho Co Ltd 車両用ドア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6015A1 (ko) * 2019-11-13 2021-05-20 주식회사 광진 자동차용 윈도우 승강장치
KR20210058208A (ko) * 2019-11-13 2021-05-24 주식회사 광진 자동차용 윈도우 승강장치
KR102310318B1 (ko) * 2019-11-13 2021-10-08 주식회사 광진 자동차용 윈도우 승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4017645A1 (de) 2005-11-03
BRPI0509060A (pt) 2007-08-21
JP5027650B2 (ja) 2012-09-19
RU2006134335A (ru) 2008-05-10
US20090000202A1 (en) 2009-01-01
EP1730374A1 (de) 2006-12-13
RU2361994C2 (ru) 2009-07-20
US8127495B2 (en) 2012-03-06
JP2007530835A (ja) 2007-11-01
KR20060129513A (ko) 2006-12-15
WO2005095745A1 (de) 2005-10-13
CN1961130A (zh) 2007-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3289B1 (ko) 유리창 승강장치 및 유리창 고정방법
JP2007530835A5 (ko)
EP2811098B1 (en) Window regulator assembly for a vehicle
KR101222240B1 (ko) 창문 거상 장치, 도어 모듈, 자동차 도어 및 창문 거상 장치의 설치 방법
EP1347139B1 (en) Door assembly process
US20170314307A1 (en) Guide rail fitting structure and window regulator
US20170297418A1 (en) Vehicle door module
US20130255411A1 (en) Tensioning assembly for cable drive
CN109661498B (zh) 用于窗升降器的驱动设备,具有用于绳鼓轮的止挡环
CN109690006B (zh) 用于窗升降器的驱动设备
US8341890B2 (en) Dual channel cable drive window lift system
US5855093A (en) Cable-driven window lift
CN117022648A (zh) 一种无动力型无人机牵引绳挂载工具及挂载方法
CA2165473A1 (en) Cable-operated window lifter
CN213898611U (zh) 车用升降托盘
US20080098657A1 (en) Mid-Travel Position Installation of Window Glass
JP5358614B2 (ja) 車両用ウインドーパネル昇降装置
JP2002192941A (ja) 自動車用ドア、および自動車用窓ガラスの取り付け構造
KR200299335Y1 (ko) 케이블 클램프
JP6739476B2 (ja) ケーブル配索構造およびこれを用いた窓ガラス昇降装置
CN211173657U (zh) 汽车用车窗调节器
KR100323084B1 (ko) 자동차의 도어 레귤레이터용 그로멧
KR20190028084A (ko) 비모듈형 듀얼 레귤레이터 어셈블리
JP3798646B2 (ja)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KR100520772B1 (ko) 차량의 윈도우글라스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