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8208A - 자동차용 윈도우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윈도우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8208A
KR20210058208A KR1020190145404A KR20190145404A KR20210058208A KR 20210058208 A KR20210058208 A KR 20210058208A KR 1020190145404 A KR1020190145404 A KR 1020190145404A KR 20190145404 A KR20190145404 A KR 20190145404A KR 20210058208 A KR20210058208 A KR 202100582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pillar
vehicle
damper
center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5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0318B1 (ko
Inventor
이관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진
Priority to KR1020190145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0318B1/ko
Priority to PCT/KR2020/007343 priority patent/WO2021096015A1/ko
Publication of KR20210058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8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0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0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4Door pillars ; windshield pilla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C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윈도우 승강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일의 가이드 레일; 캐리어 플레이트; 및 필러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러는, 측면도어에서 차체의 중앙측에 배치되며 윈도우의 일측 가장자리에 접촉할 수 있는 제1필러와, 제1필러의 반대측에 배치되며 윈도우의 타측 가장자리에 접촉할 수 있는 제2필러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는, 케이블이 고정되는 케이블 고정부와,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는 레일 지지부가 마련된 캐리어 본체; 상기 캐리어 본체에 설치되고, 윈도우의 하단을 지지하여 상승하는 윈도우를 받쳐주는 댐퍼; 및 상기 캐리어 본체에 설치되고, 윈도우의 전면과 배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에 삽입되어 걸리며, 하강하는 윈도우를 지지하는 후크;를 포함하고, 윈도우에서 회전모멘트가 0이 되는 점들을 연결한 가상선을 중심선으로 규정하였을 때, 상기 댐퍼는 상기 중심선에서 상기 제2필러와 근접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상기 중심선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후크는 상기 중심선에서 상기 제1필러와 근접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상기 중심선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댐퍼와 후크는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쪽에 위치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승강장치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윈도우 승강장치{Window lifting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윈도우 승강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윈도우의 상승과 하강시 윈도우가 센터필러에 기대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승강장치에 대한 것이다.
자동차용 윈도우 승강장치는 윈도우를 지지하기 위해 양 사이드 또는 중앙 부근을 지지하도록, 윈도우의 하단에 캐리어 플레이트를 마련하여 윈도우를 승하강한다. 이러한 자동차용 윈도우 승강장치에서는 캐리어 플레이트에 승하강용 케이블을 고정하고 구동부에 의해 승하강용 케이블을 감거나 풀면서, 캐리어 플레이트와 윈도우를 일체적으로 승하강시키고 있다.
이러한 자동차용 윈도우 승강장치(10)에서는 승하강용 케이블(51)의 권취 투입에 의해 윈도우(40)의 승하강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승강장치(10)은 캐리어 플레이트(30), 캐리어 플레이트(30)를 안내하는 가이드레일(50), 승하강용 케이블(51), 구동 모터(미도시), 승하강용 케이블(51)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52) 등의 부품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윈도우의 안정적인 승하강을 위해서 윈도우의 양측 가장자리를 도어의 양측에 배치된 필러에 가이드되도록 한다. 즉, 윈도우의 하단은 캐리어 플레이트가 지지하고 윈도우의 양측 가장자리는 필러가 지지하게 하여 윈도우의 상승 또는 하강이 안정되게 한다.
이러한 종래의 자동차용 윈도우 승강장치는, 윈도우의 상승과정에서 윈도우가 자동차의 중간 위치에 배치된 센터필러(20)에 기대해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윈도우(40)가 출렁거림이 없이 안정적인 승하강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도어에서 전방에 위치한 전방도어에서는, 윈도우가 프론트 필러(21)와, 센터필러(20)에 접촉되어 있게 되는데, 이때 캐리어 플레이트(30)가 모멘트 O가 되는 지점보다 전방에서 윈도우(40)를 지지하는 구조를 배치함으로서 상승과정에서 시계방향의 모멘트가 작용되게 하고, 이에 따라서 윈도우(40)가 센터필러(20)에 기댄 상태로 안정적으로 상승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측면도어에서 후방에 위치한 후방도어에서는, 윈도우(40)가 센터필러(20)와 리어 필러(22)에 접촉되어 있게 되는데, 이때 캐리어 플레이트(30)는 모멘트가 O가 되는 지점보다 후방에서 윈도우(40)를 지지하는 구조를 배치함으로서 상승과정에서 반시계방향의 모멘트가 작용되게 하고, 이에 따라서 윈도우(40)가 센터필러(20)에 기댄 상태로 안정적으로 상승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윈도우의 하강시에서는 전방도어에서는 윈도우(40)를 하방으로 당겨주는 지점이 모멘트 0이 되는 지점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있게 되어 있게 되는데, 이에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시와는 반대인 반시계방향으로 모멘트가 작용되어 윈도우(40)가 센터필러(20)가 아닌 프론트 필러(21)에 기댄 상태로 하강하게 된다.
또한, 윈도우의 하강시에 후방도어에서는 윈도우(40)를 하방으로 당겨주는 지점이 모멘트가 0이 되는 지점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있어서, 상승시와는 반대인 시계방향으로 모멘트가 작용되게 되어 윈도우(40)가 센터필러(20)가 아닌 리어 필러(22)에 기댄 상태로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도어에서 윈도우는 상승과 하강시 서로 다른 필러에 기대어서 이동하게 되기 때문에, 윈도우는 틸팅되는 문제가 있어서 안정적인 이동이 어려워지는 단점이 있다. 특히, 윈도우가 센터필러에 기대서 상승하다가 다른 필러에 기대는 하강과정에서 윈도우는 출렁거리게 되어 안정적인 윈도우의 이동은 어려워지게 된다. 또한, 전방도어에서는 프론트 필러가 짧은 형태를 가지고 있어서 윈도우의 회전에는 취약한 문제가 있게 된다. 이러한 문제는 도어 내에 하나의 가이드 레일과 캐리어 플레이트를 가지는 구조에서 주로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윈도우의 상승과 하강과정에서 자동차의 중앙에 위치한 센터필러에 기대어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승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차용 윈도우 승강장치는, 측면도어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설치되는 단일의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순환괘적 이동하는 케이블; 윈도우를 지지하며 상기 케이블에 고정되어 상기 케이블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승하강이동하는 캐리어 플레이트; 및 윈도우의 양측 가장자리에 접촉하여 상기 윈도우의 승하강이동을 가이드하는 필러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러는, 측면도어에서 차체의 중앙측에 배치되며 윈도우의 일측 가장자리에 접촉할 수 있는 제1필러와, 제1필러의 반대측에 배치되며 윈도우의 타측 가장자리에 접촉할 수 있는 제2필러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는,
케이블이 고정되는 케이블 고정부와,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는 레일 지지부가 마련된 캐리어 본체;
상기 캐리어 본체에 설치되고, 윈도우의 하단을 지지하여 상승하는 윈도우를 받쳐주는 댐퍼; 및
상기 캐리어 본체에 설치되고, 윈도우의 전면과 배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에 삽입되어 걸리며, 하강하는 윈도우를 지지하는 후크;를 포함하고,
윈도우에서 회전모멘트가 0이 되는 점들을 연결한 가상선을 중심선으로 규정하였을 때, 상기 댐퍼는 상기 중심선에서 상기 제2필러와 근접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상기 중심선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후크는 상기 중심선에서 상기 제1필러와 근접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상기 중심선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댐퍼와 후크는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쪽에 위치한다.
상기 자동차용 윈도우 승강장치에서,
상기 측면도어가, 자동차의 전방도어인 경우, 상기 제2필러는 제1필러보다 전방에 위치한 프론트 필러이며, 상기 자동차의 후방도어인 경우, 상기 제2필러는 제1필러보다 후방에 위치한 리어 필러일 수 있다.
상기 자동차용 윈도우 승강장치에서,
상기 캐리어 본체는,
하부 지지체와, 상기 하부 지지체의 중앙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케이블 고정부가 마련되는 중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는, 상기 하부 지지체의 일측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윈도우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자동차용 윈도우 승강장치에서,
상기 캐리어 본체는,
하부 지지체와, 상기 하부 지지체의 중앙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케이블 고정부가 마련되는 중앙부재와, 상기 하부 지지체의 타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중앙부재와의 사이에 윈도우가 끼워질 수 있도록 윈도우의 삽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중앙부재와 이격되어 있는 측방지지체를 포함하되,
상기 후크는, 상기 측방지지체와 중앙부재 사이에 삽입된 윈도우의 관통공에 끼워질 수 있도록 내측면에서 돌출되도록 구성되되, 하측으로 갈수록 돌출높이가 증가하는 경사면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자동차용 윈도우 승강장치에서,
상기 댐퍼와 후크는 60mm ~ 120mm 수평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차용 윈도우 승강장치는 측면도어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설치되는 단일의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순환괘적 이동하는 케이블; 윈도우를 지지하며 상기 케이블에 고정되어 상기 케이블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승하강이동하는 캐리어 플레이트; 및 윈도우의 양측 가장자리에 접촉하여 상기 윈도우의 승하강이동을 가이드하는 필러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러는, 측면도어에서 차체의 중앙측에 배치되며 윈도우의 일측 가장자리에 접촉할 수 있는 제1필러와, 제1필러의 반대측에 배치되며 윈도우의 타측 가장자리에 접촉할 수 있는 제2필러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는,
케이블이 고정되는 케이블 고정부와,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는 레일 지지부가 마련된 캐리어 본체;
상기 캐리어 본체에 설치되고, 윈도우의 하단을 지지하여 상승하는 윈도우를 받쳐주는 댐퍼; 및
상기 캐리어 본체에 설치되고, 윈도우에 형성된 돌출부에 걸리며, 하강하는 윈도우를 지지하는 지지체;를 포함하고,
윈도우에서 회전모멘트가 0이 되는 점들을 연결한 가상선을 중심선으로 규정하였을 때, 상기 댐퍼는 상기 중심선에서 상기 제2필러와 근접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상기 중심선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후크는 상기 중심선에서 상기 제1필러와 근접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상기 중심선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댐퍼와 후크는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쪽에 위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윈도우 승강장치는, 상승시 윈도우를 받쳐주는 댐퍼와, 하강시 윈도우를 하방으로 당겨주는 후크가 모멘트 0 지점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격되어 있어서, 윈도우가 상승 또는 하강시에 센터필러에 기댄 상태로 이동될 수 있어서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윈도우 승강장치의 상승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자동차용 윈도우 승강장치의 하강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전면도어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자동차용 윈도우 승강장치를 전면에서 바라본 분리도면.
도 4는 도 3의 결합도면.
도 5는 도 3의 승강장치를 후면에서 바라본 분리도면.
도 6은 도 5의 결합도면.
도 7은 도 3의 승강장치의 작동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후면도어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자동차용 윈도우 승강장치의 작동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전면도어와 후면도어에 본 발명의 자동차용 윈도우 승강장치가 작동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승강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윈도우 승강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윈도우 승강장치(100)는, 측면도어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설치되는 단일의 가이드 레일(170); 상기 가이드 레일(170)을 따라서 순환괘적 이동하는 케이블(171); 윈도우(160)를 지지하며 상기 케이블(171)에 고정되어 상기 케이블(171)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170)을 따라서 승하강이동하는 캐리어 플레이트(120); 및 윈도우(160)의 양측 가장자리에 접촉하여 상기 윈도우(160)의 승하강이동을 가이드하는 필러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윈도우 승강장치(100)는 각 도어에 단일의 가이드 레일(170)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170)에 하나의 캐리어 플레이트(120)가 마련되고 윈도우(160)는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120)에 스냅 핏(Snap-fit) 결합에 의하여 결합된 구조를 가지고 있게 된다.
단일의 가이드 레일(170)을 사용하는 승강장치(100)는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전체적인 도어의 중량을 감소시키고 구조가 간단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캐리어 플레이트(120)는 윈도우(160)를 기존과 같이 볼트에 의하여 고정결합하는 것이 아니라 스냅핏(snap-fit) 결합에 의하여 부착함으로서 간단한 구조로 설치가 용이한 장점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단일의 가이드 레일(170)을 가지면서 스냅핏 구조를 적용한 승강장치(100)는 구조적 간편성과 비용절감의 측면에서 유리하나 윈도우(160)의 회전문제가 발생할 염려가 있게 되고 윈도우(160)를 견고하게 고정하지 못하게 된다는 인식이 있었다. 특히 윈도우(160)의 상승과 하강과정에서 윈도우(160)가 회전하는 문제가 발생할 염려가 있게 되는데, 본 발명은 단일의 가이드 레일(170)을 가지면서 스냅핏 구조를 가지는 승강장치(100)를 적용하면서도 윈도우(160)의 회전(틸팅)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하는 구조를 제안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승강장치(100)에서, 필러와, 캐리어 플레이트(120)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지게 된다.
먼저, 필러는 자동차의 차체와 지붕을 연결하는 기둥부분이다. 구체적으로 자동차의 앞쪽에서부터 A필러, B필러, C필러라고 부른다. 자동차의 지붕을 받쳐 줄 뿐만 아니라 일체형 차체의 강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A필러는 프론트필러라고 하며, 앞유리와 옆유리 사이에 장착하고, B필러는 앞뒤 문의 중심에 있어 센터필러 또는 사이드필러라고 부른다. C필러는 뒷유리와 옆유리 사이에 있어 리어필러라고 부른다.
본 발명에서는 센터필러를 "제1필러(110)"라고 용어정의하고, 프런트필러 또는 리어필러를 "제2필러(111)"로 규정한다. 즉, 제1필러(110)는 센터필러를 지칭하는 것이며, 제2필러(111)는 측면도어가 전방도어일 경우에 프론트필러를 의미하고, 측면도어가 후방도어일 경우에 리어필러를 의미하게 된다.
이러한 필러에는 윈도우(160)와 접촉되어 윈도우(160)를 닫았을 때 비와, 물, 먼지 등이 실내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창틀과 윈도우(160) 사이에 꼭 맞게 마련된 탄성고무 소재의 웨더 스트립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웨더 스트립에 윈도우(160)가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120)는, 가이드 레일(170)에 접촉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170)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이다. 이러한 캐리어 플레이트(120)에는 윈도우(160)가 고정설치되어 있어서 캐리어 플레이트(120)가 가이드 레일(170)을 따라서 이동시 윈도우(160)도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캐리어 플레이트(120)는 케이블(171)이 고정되어 있어서 케이블(171)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120)는 가이드 레일(170)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캐리어 플레이트(120)는, 캐리어 본체(130)와, 댐퍼(140) 및 후크(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캐리어 본체(130)는 합성수지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하부지지체(131), 중앙부재(132)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지지체(131)는 캐리어 본체(130)의 하측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지고 있게 된다. 이러한 하부지지체(131)에는 소정의 리브가 형성되어 있게 된다.
상기 중앙부재(132)는, 상기 하부지지체(131)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사각형태의 판으로서, 상기 중앙부재(132)에는 케이블(171)의 단부가 고정되는 케이블 고정부(1321)와, 상기 케이블 고정부(1321)의 일측에 배치되고 가이드 레일(17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는 레일 지지부(1322)를 포함하게 된다. 이때 중앙부재(132)는 사각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케이블 고정부(1321)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포켓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서 상측에서 유입되는 케이블(171)의 일단 및 스프링이 삽입되는 상부포켓과, 하측에 유입되는 케이블(171)의 일단 및 스프링이 삽입되는 하부포켓으로 이루어지고, 상부포켓과 하부포켓이 협력하여 한 쌍의 케이블(171)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레일 지지부(1322)는, 가이드 레일(170)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어 슬라이드 가능한 부분으로서 가이드 레일(170)의 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레일 지지부(1322)에서 가이드 레일(170)에 접촉되는 부분은 하부지지체(131)의 소재와 다르게 할 필요가 있으므로 별도의 분리가능한 가이드 슈(1322)를 적용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레일 지지부(1322)는 분리가능한 가이드 슈(1322)를 결합하여 형성할 수 있으므로 이때 가이드 슈(1322)는 "ㄱ" 형상의 공간을 가지면서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가이드 레일(170)과 접촉되는 면에는 요철을 형성하여 가이드 레일(170)과 선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상기 댐퍼(140)는, 상기 캐리어 본체(130)에 설치되고, 윈도우(160)의 하단을 지지하여 상승하는 윈도우(160)를 받쳐주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댐퍼(140)는 상기 하부지지체(131)의 일측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윈도우(160)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윈도우(160)에 접촉되는 부분에는 삼각단면형태를 가지면서 고무소재로 이루어져 있어서 윈도우(160)를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댐퍼(140)의 형태를 삼각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윈도우(160)에서 회전모멘트가 0이 되는 점들을 연결한 가상선을 중심선으로 규정하였을 때, 상기 댐퍼(140)는 상기 중심선에서 상기 제2필러(111)와 근접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상기 중심선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전면도어에서, 댐퍼(140)는 제1필러(110) 즉, 센터필러가 아닌 제2필러(111), 즉 프론트 필러측에 근접하게 설치되어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중심선을 기준으로 제2필러(111)에 근접한 위치에 상기 중심선과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게 된다. 댐퍼(140)가 제2필러(111)에 근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게 됨으로써 캐리어 플레이트(120)가 상승하는 경우 댐퍼(140)가 상기 중심선의 우측 하단을 밀어 올리게 되고 이에 따라서 시계방향의 모멘트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시계반향의 모멘트가 걸리게 되면 윈도우(160)는 제1필러(110)인 센터필러에 기댄 상태로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후크(150)는 상기 캐리어 본체(130)에 설치되고, 윈도우(160)의 전면과 배면을 관통하는 관통공(161)에 삽입되어 걸리며, 하강하는 윈도우(160)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후크(150)는 상기 중심선에서 상기 제1필러(110)와 근접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상기 중심선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댐퍼(140)와 후크(150)는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쪽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후크(150)는 제1필러(110)인 센터필러에 근접하게 설치되고 제2필러(111)인 프론트필러에서 멀게 위치하게 된다. 이때, 댐퍼(140)과 후크(150)는 서로 60mm ~ 120mm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것이 좋다. 간격이 60mm보다 작은 경우에는 회전모멘트가 충분하게 작용하지 못하게 되어 센터필러에 기대어서 이동하는 것을 보장하기 어렵고, 간격이 120mm보다 큰 경우에는 캐리어 플레이트가 지나치게 크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러한 후크(150)는 하부지지체(131)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측방지지체(151)에 형성되어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측방지지체(151)는 상기 하부지지체(131)의 타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중앙부재(132)와의 사이에 윈도우(160)가 끼워질 수 있도록 윈도우(160)의 삽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중앙부재(132)와 이격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후크(150)는 측방지지체(151)와 중앙부재(132) 사이에 삽입된 윈도우(160)의 관통공(161)에 끼워질 수 있도록 내측면에서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있게 되며, 하측으로 갈수록 돌출높이가 증가하는 경사면(151a)이 마련된다. 상기 후크(150)의 하단은 단턱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후크(150)의 하단 단턱이 윈도우(160)의 관통공(161)에 삽입된 후에 상기 윈도우(160)의 관통공(161)을 하방으로 당겨주게 되는 것이다.
상기 후크(150)가 제1필러(110)인 센터필러에 근접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윈도우(160)를 하방으로 당겨주도록 구성되어 있게 됨으로써, 캐리어 플레이트(120)가 상승시에는 후크(150)가 윈도우(160)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지 않고 캐리어 플레이트(120)가 하강시에 후크(150)의 하단이 윈도우(160)의 관통공(161)을 하방으로 당겨주게 된다. 이때 후크(150)는 제1필러(110)인 센터필러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윈도우(16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한다.
즉, 윈도우(160)가 상승시에는 댐퍼(140)가 윈도우(160)를 상방으로 밀어 올리고, 윈도우(160)가 하강시에는 후크(150)가 윈도우(160)를 하방으로 당겨주게 된다. 이때 댐퍼(140)와 후크(150)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쪽에 분리되어 배치되어 있게 되어 있어서, 상승과 하강시에 윈도우(160)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모멘트가 작용될 수 있게 하여 제1필러(110)인 센터필러 측에 기대어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센터필러에만 기대어서 윈도우(160)가 승하강 함에 따라서 불필요한 윈도우(160)의 회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도 8에서는 측면도어에서 후방도어에 배치되는 캐리어 플레이트(120)의 구조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전방도어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댐퍼(140)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프론트필러 즉, 제2필러(111)측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고, 후크(150)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센터필러 즉, 제1필러(110)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설명하였다.
후방도어에서 동일하게, 댐퍼(140)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리어필러, 즉 제2필러(111)측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고, 후크(150)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센터필러 즉, 제1필러(110)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도 9는 전방도어와 후방도어에서의 윈도우(160)의 승하강모습을 도시한다.
먼저, 전방도어에서는 댐퍼(140)가 프론트필러에 근접하게 배치되고, 후크(150)가 센터필러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있게 되어, 댐퍼(140)와 후크(150)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분리되어 배치된다.
또한 후방도어에서는 댐퍼(140)가 리어필러에 근접하게 배치되고, 후크(150)가 센터필러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잇게 되어, 댐퍼(140)와 후크(150)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분리되어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댐퍼(140)와 후크(150)를 서로 분리하여 수평방향으로 충분하게 이격된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윈도우(160)는 상승과 하강시 센터필러에 기대어서 이동할 수 있게 되며 불필요한 윈도우(160)의 회전등의 문제는 없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윈도우 승강장치(100)는, 단일의 가이드 레일(170)을 가지면서 캐리어 플레이트(120)에 윈도우(160)가 스냅핏 구조로 적용되기 때문에, 중량, 원가절감 및 조립성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특히 댐퍼(140)와 후크(150)가 수평방향으로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격되어 있어서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윈도우(160)가 회전(틸팅)되지 않고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게 된다. 이에 따라서 윈도우(160) 회전(틸팅)에 취약한 후방도어(리어필러가 짧은 형태)에도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캐리어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서 원가 및 중량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단일의 후크를 채용하여 안정적인 윈도우 승하강 구현이 가능하게 되고 윈도우에 하나의 관통공만을 형성하면 되기 때문에 원가가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후크가 윈도우의 전면과 배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에 삽입되어 걸리는 구조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260)에는 윈도우의 관통공에 결합되며 윈도우의 표면에서 돌출된 돌출부(262)가 마련되어 있으며, 캐리어 플레이트(220)의 지지체(250)는 상기 돌출부(262)를 스냅핏(snap-fit) 방식으로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지지체(250)는 상기 캐리어 본체(230)의 상부측에 설치되고, 윈도우에 형성된 돌출부(250)에 걸리며, 하강하는 윈도우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지지체(250)와 댐퍼(240)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배열형태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는, 윈도우와 지지체 간의 결합형태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냅핏 방식이라면 다양한 구조가 본원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자명하다.
이상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100...윈도우 승강장치 110...제1필러
111...제2필러 120...캐리어 플레이트
130...캐리어 본체 1321...케이블 고정부
1322...레일 지지부 140...댐퍼
150...후크 151...측방지지체
160...윈도우 161...관통공
170...가이드 레일 171...케이블

Claims (6)

  1. 측면도어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설치되는 단일의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순환괘적 이동하는 케이블; 윈도우를 지지하며 상기 케이블에 고정되어 상기 케이블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승하강이동하는 캐리어 플레이트; 및 윈도우의 양측 가장자리에 접촉하여 상기 윈도우의 승하강이동을 가이드하는 필러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러는, 측면도어에서 차체의 중앙측에 배치되며 윈도우의 일측 가장자리에 접촉할 수 있는 제1필러와, 제1필러의 반대측에 배치되며 윈도우의 타측 가장자리에 접촉할 수 있는 제2필러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는,
    케이블이 고정되는 케이블 고정부와,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는 레일 지지부가 마련된 캐리어 본체;
    상기 캐리어 본체에 설치되고, 윈도우의 하단을 지지하여 상승하는 윈도우를 받쳐주는 댐퍼; 및
    상기 캐리어 본체에 설치되고, 윈도우의 전면과 배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에 삽입되어 걸리며, 하강하는 윈도우를 지지하는 후크;를 포함하고,
    윈도우에서 회전모멘트가 0이 되는 점들을 연결한 가상선을 중심선으로 규정하였을 때, 상기 댐퍼는 상기 중심선에서 상기 제2필러와 근접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상기 중심선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후크는 상기 중심선에서 상기 제1필러와 근접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상기 중심선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댐퍼와 후크는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승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도어가, 자동차의 전방도어인 경우, 상기 제2필러는 제1필러보다 전방에 위치한 프론트 필러이며, 상기 자동차의 후방도어인 경우, 상기 제2필러는 제1필러보다 후방에 위치한 리어 필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승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본체는,
    하부 지지체와, 상기 하부 지지체의 중앙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케이블 고정부가 마련되는 중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는, 상기 하부 지지체의 일측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윈도우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승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본체는,
    하부 지지체와, 상기 하부 지지체의 중앙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케이블 고정부가 마련되는 중앙부재와, 상기 하부 지지체의 타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중앙부재와의 사이에 윈도우가 끼워질 수 있도록 윈도우의 삽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중앙부재와 이격되어 있는 측방지지체를 포함하되,
    상기 후크는, 상기 측방지지체와 중앙부재 사이에 삽입된 윈도우의 관통공에 끼워질 수 있도록 내측면에서 돌출되도록 구성되되, 하측으로 갈수록 돌출높이가 증가하는 경사면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승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와 후크는 60mm ~ 120mm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승강장치.
  6. 측면도어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설치되는 단일의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순환괘적 이동하는 케이블; 윈도우를 지지하며 상기 케이블에 고정되어 상기 케이블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승하강이동하는 캐리어 플레이트; 및 윈도우의 양측 가장자리에 접촉하여 상기 윈도우의 승하강이동을 가이드하는 필러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러는, 측면도어에서 차체의 중앙측에 배치되며 윈도우의 일측 가장자리에 접촉할 수 있는 제1필러와, 제1필러의 반대측에 배치되며 윈도우의 타측 가장자리에 접촉할 수 있는 제2필러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는,
    케이블이 고정되는 케이블 고정부와,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는 레일 지지부가 마련된 캐리어 본체;
    상기 캐리어 본체에 설치되고, 윈도우의 하단을 지지하여 상승하는 윈도우를 받쳐주는 댐퍼; 및
    상기 캐리어 본체에 설치되고, 윈도우에 형성된 돌출부에 걸리며, 하강하는 윈도우를 지지하는 지지체;를 포함하고,
    윈도우에서 회전모멘트가 0이 되는 점들을 연결한 가상선을 중심선으로 규정하였을 때, 상기 댐퍼는 상기 중심선에서 상기 제2필러와 근접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상기 중심선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체는 상기 중심선에서 상기 제1필러와 근접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상기 중심선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댐퍼와 지지체는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승강장치.
KR1020190145404A 2019-11-13 2019-11-13 자동차용 윈도우 승강장치 KR102310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404A KR102310318B1 (ko) 2019-11-13 2019-11-13 자동차용 윈도우 승강장치
PCT/KR2020/007343 WO2021096015A1 (ko) 2019-11-13 2020-06-05 자동차용 윈도우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404A KR102310318B1 (ko) 2019-11-13 2019-11-13 자동차용 윈도우 승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208A true KR20210058208A (ko) 2021-05-24
KR102310318B1 KR102310318B1 (ko) 2021-10-08

Family

ID=75911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5404A KR102310318B1 (ko) 2019-11-13 2019-11-13 자동차용 윈도우 승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10318B1 (ko)
WO (1) WO202109601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58328A (zh) * 2022-05-04 2022-08-05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窗玻璃上升剩余力测量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5336A (ko) * 2004-03-26 2005-09-29 평화정공 주식회사 윈도우 글라스 설치구조
JP2007513271A (ja) * 2003-12-05 2007-05-24 インティアー オートモーティヴ クロージャ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浮動ウインドウキャリヤを有する自動車用ウインドウレギュレータ
KR101023289B1 (ko) * 2004-04-02 2011-03-18 파우레시아 이넨라움 시스템 게엠바하 유리창 승강장치 및 유리창 고정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61610A1 (de) * 2005-12-21 2007-07-05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teuern der Schließbewegung eines Karosseriebauteils für Fahrzeuge
JP6360079B2 (ja) * 2014-01-27 2018-07-25 株式会社ミツバ 駆動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13271A (ja) * 2003-12-05 2007-05-24 インティアー オートモーティヴ クロージャ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浮動ウインドウキャリヤを有する自動車用ウインドウレギュレータ
KR20050095336A (ko) * 2004-03-26 2005-09-29 평화정공 주식회사 윈도우 글라스 설치구조
KR101023289B1 (ko) * 2004-04-02 2011-03-18 파우레시아 이넨라움 시스템 게엠바하 유리창 승강장치 및 유리창 고정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58328A (zh) * 2022-05-04 2022-08-05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窗玻璃上升剩余力测量方法
CN114858328B (zh) * 2022-05-04 2024-04-16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窗玻璃上升剩余力测量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0318B1 (ko) 2021-10-08
WO2021096015A1 (ko) 2021-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0493B2 (en) Mounting device for mounting a cable-operated window regulator
KR20210058208A (ko) 자동차용 윈도우 승강장치
US6560930B2 (en) Guide device for a window having a guide rail mounted to pivot substantially parallel to a plane of the window
US20160207381A1 (en) Vehicle roof which can be opened and which comprises a movable cover
KR930008801B1 (ko) 차량의 창문 조절장치
JP6835524B2 (ja)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及び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を備えた車両用ドア
JP2022037661A (ja)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KR102463049B1 (ko)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KR101724827B1 (ko)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이동장치
KR102579851B1 (ko) 창호의 방풍 기능 향상을 위한 차폐기구와 미닫이 타입의 창문
JP2015013576A (ja) 車両用サッシュドアおよび車両用サッシュドア組立方法
KR101255773B1 (ko) 글라스의 진동 방지를 위한 자동차의 윈도우 레귤레이터 장치
CN117052250B (zh) 一种推拉窗的滑轨结构、推拉窗以及推拉窗安装方法
JP7459909B1 (ja) 窓昇降構造および車両
KR100402866B1 (ko)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승강장치
KR100422688B1 (ko) 자동차용 도어 모듈의 가이드 레일 구조
US20190126731A1 (en) Window glass holding structure
EP1024242A2 (en) Window lift mechanism
KR20140025991A (ko) 파노라마루프의 글라스 닫힘 고정 장치
EP2746209A1 (en) Mounting of guides for guide rails on an elevator car.
JPS6124203B2 (ko)
JP6359816B2 (ja) ワイヤ式ウィンドウレギュレータ
KR20080003731A (ko) 자동차용 도어 모듈
JP2024034151A (ja) 取付構造および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US20070151160A1 (en) Window regulator motor mou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