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9428B1 - 횡편기의 끝실 처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횡편기의 끝실 처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9428B1
KR101019428B1 KR1020067006726A KR20067006726A KR101019428B1 KR 101019428 B1 KR101019428 B1 KR 101019428B1 KR 1020067006726 A KR1020067006726 A KR 1020067006726A KR 20067006726 A KR20067006726 A KR 20067006726A KR 101019428 B1 KR101019428 B1 KR 101019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per
knitting
needle bed
yarn
c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6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1905A (ko
Inventor
히로시 마에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60121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1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9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9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3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7/32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tubular goods
    • D04B7/34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tubular goods glov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54Thread guides
    • D04B15/56Thread guide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04B15/565Associated thread-clamping or thread-sever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04Proc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687By tool reciprocable along elongated ed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748With work immobilizer
    • Y10T83/7487Means to clamp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발생하는 크로스오버 얀을 확실하게 포착하여 절단하고 절단 후의 끝실을 적절하게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제1그리퍼11 및 제2그리퍼12는 함께 횡편기15의 니들베드16을 따르는 길이방향16a와 니들베드16의 니들베드 갭15a에 접근/이간하는 접근/이간방향16b로 이동 가능하고, 펀사19를 파지하지 않는 상태와 파지하는 상태로 변환 가능하고,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편사19를 절단하는 커터13은 제1그리퍼11 측에 설치된다. 제어수단14는 제1그리퍼11, 제2그리퍼12 및 커터13의 이동 및 상태의 변환을 제어하고, 제1그리퍼11 및 제2그리퍼12에 의하여 편사19가 파지되는 상태에서, 파지되고 있는 편사19를 커터13으로 절단하도록 제어한다. 커터13으로 편사19를 절단함으로써 발생하는 끝실은 놓지 않고 파지된 상태로 제1그리퍼11 및 제2그리퍼12에 의하여 독립하여 처리된다.

Description

횡편기의 끝실 처리장치 및 방법{END YARN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OF WEFT KNITTING MACHINE}
본 발명은, 횡편기로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크로스오버 얀(crossover yarn)을 절단하여 생기는 끝실을 처리하는 횡편기의 끝실 처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횡편기에 의하여 다양한 제품형태로 편성포의 편성이 이루어지고 있다. 도22는 편성포의 장갑1로서의 대표적인 형태를 나타낸다. 장갑1은, 새끼손가락부분2a, 약지부분2b, 중지부분2c, 검지부분2d 및 엄지부분3으로 이루어지는 각 손가락마다의 손가락부와 네 손가락 몸통4, 다섯 손가락 몸통5 및 손목부분6으로 형성된다.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를 구비하는 횡편기로 장갑1을 편성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새끼손가락부분2a, 약지부분2b, 중지부분2c 및 검지부분2d의 손가락부를 순차적으로 편성한 후에, 네 손가락 몸통4를 편성하고 또 엄지부분3의 손가락부를 편성하고 다섯 손가락 몸통5 및 손목부분6을 각각 편성한다. 각 손가락마다의 손가락부는 예 를 들면 선단(先端)부터 편성하기 시작하여, 네 손가락 몸통4와 만나는 부분인 손가락 베이스(finger base)까지 전후의 니들베드를 사용하여 튜뷸러 플레인 스티치(tubular plain stitch)로 편성한다. 손가락부를 손가락 베이스까지 편성하면 다음 손가락부의 손끝의 편성으로 이동한다. 이 때에 편사를 절단하지 않으면, 가상선(假想線)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로스오버 얀7a, 7b, 7c가 발생한다. 끝실 처리는, 크로스오버 얀7a, 7b, 7c가 되는 편사를 절단한 후, 절단장소에서 장갑1의 편성포 측에 발생하는 끝실8a, 8b, 8c와 얀 피더(yarn feeder) 등의 급사(給絲) 측에 발생하는 끝실9a, 9b, 9c에 대하여 이루어진다.
끝실 처리로는, 예를 들면 약지부분2b의 손가락부 편성을 시작하기 전에, 새끼손가락부분2a로서 편성되어 있는 손가락부의 편성포를 지지하고 있는 편침으로부터 얀 피더에 걸쳐지는 크로스오버 얀7a를, 우선 전후의 니들베드가 대향하고 편침이 진퇴하여 편성이 이루어지는 편성구(編成口)의 하방(下方)으로 끌어 들여 자른다. 잘라져서 발생하는 끝실8a, 9a를 각각 공기 주입에 의하여 편성포 중으로 삽입시키는 것 등에 의하여 끝실 처리가 이루어진다(예를 들면, 일본국 공고특허 특공소49-111호 공보 참조). 또한 다른 끝실 처리로는, 편성포 측의 끝실8a, 8b, 8c는 지지하지 않고 얀 피더 측의 끝실9a, 9b, 9c를 지지하고 다음에 약지부분2b의 손끝을 편성한 뒤에, 지지하고 있었던 끝실9a, 9b, 9c를 공기 분사에 의하여 손가락부 내로 삽입하는 처리도 이루어진다(예를 들면, 일본국 공고특허 특공소48- 24421호 공보 및 일본국 특허공보 특공평1-51574호 공보 참조).
전후의 니들베드가 대향하고 편침의 진퇴에 의하여 편성포의 편성이 이루어지는 편성구는 니들베드 갭(needle bed gap)이라고도 불린다. 편성포 간에 발생하는 크로스오버 얀을 니들베드 갭에 근접하는 위치로부터 상방 위치로 끌어올리고, 크로스오버 얀의 얀 피더 측을 파지(把持)하는 그리퍼(gripper)를 설치하고, 그 위치에서 그리퍼와 편성포를 지지하는 편침과의 사이의 편사를 절단하는 장치도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8-325901호 공보 참조). 편사의 절단은 가위와 같은 절단기구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그리퍼와 가위는 동일한 조작수단인 모터에 의하여 구동된다. 끝실이 그리퍼에 의하여 지지되고 가위로 절단되는 동안에, 토션 코일 스프링(torsion coil spring)의 쿠션(cushion)에 의한 유동(遊動)과 그립 압력(grip pressure)이 이용된다.
편사의 절단은 니들베드 갭의 하방에서 하고, 끝실 처리는 니들베드 갭의 상방의 훅(hook)으로 결합하여 하는 장치도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제3347079호 공보 참조). 니들베드 갭 상방에서 편침으로부터 얀 피더로 크로스(cross)되는 실, 예를 들면 손가락 베이스로부터 다음에 편성하는 손끝으로 크로스되는 실로서, 손가락 베이스 측의 끝실은 절단 후에 개방된다.
일본국 공고특허 특공소49-111호 공보, 일본국 공고특허 특공소48-24421호 공보 및 일본국 특허공보 특공평1-51574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공기에 의하여 끝실을 손가락부 내로 넣는 방법으로는 끝실을 확실하게 손가락부 내로 유도하기 어렵다. 편사에는 탄력성이 있고 장력도 걸려 있으므로 잘라 버리면 끝실의 위치가 불안정하게 된다. 끝실의 처리가 불안정하게 되므로 편성되고 있는 편성포에 끝실이 불규칙하게 편성되어 제품도 불균질하게 된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8-325901호 공보의 끝실 처리는, 절단 위치와 그리퍼 사이의 거리는 짧지만 절단 위치와 편침 사이의 거리가 커져버린다. 최근에 도2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장갑1에, 방호(防護)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아라미드 섬유(aramid 纖維)와 같은 단단한 실도 사용되고 있다. 그러한 단단한 실을 절단하는 경우에는 가위의 칼날이 미끄러져서 확실하게 절단할 수 없게 된다. 절단 후의 편침 측의 끝실은 어떤 처리도 없이 남겨진 상태로서, 탄력에 의하여 손가락부 내로 삽입되어도 편성포 중으로 불규칙하게 편성될 뿐이어서 제품마다 처리가 다른 불균질한 상태가 된다. 그리퍼 측의 끝실은 편침보다 상방의 위치에서 실의 단부(端部)를 풀어놓기 때문에, 편성포 중으로 불규칙하게 편성되어 제품이 불균질해져 버린다. 또한 그리퍼에 의한 편사의 파지와 가위의 절단은 동일한 조작수단에 의하여 구동되고, 그리퍼가 실의 단부를 그립하여 가위로 절단하는 동안에 토션 코일 스프링에 의한 유동과 그립 압력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실의 단부를 그립 한 채 그리퍼 구동 블록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지지간(支持杆)과 그리퍼 구동부재의 키(key)에 저항이 걸려서 내구 성이나 안정성이 손상된다.
일본국 특허 제3347079호 공보의 끝실 처리는, 편성된 손가락부의 손가락 베이스로부터 다음에 편성하는 손끝에 걸쳐지는 실을 절단하면 손가락 베이스 측의 끝실은 어떤 처리도 없이 남겨지게 된다. 이 때문에 다음의 손가락부를 편성하는 편침 또는 몸통을 편성하는 편침에 의하여 불규칙하게 편성되는 경우가 있다. 훅에 결합된 끝실은, 니들베드 갭 하부에서 절단되고 실 프레스(yarn press)에 의하여 그립 될 때까지의 상승하는 동안에 훅으로부터 빠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발생하는 크로스오버 얀을 확실하게 포착(捕捉)하여 절단하고, 절단 후의 끝실을 적절하게 처리할 수 있는 횡편기의 끝실 처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색, 및 이점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더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횡편기에서 전후의 니들베드(needle bed)가 대향하고 편침의 진퇴(進退)에 의하여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편사를 절단하고 절단에 의하여 발생하는 끝실을 처리하는 횡편기의 끝실 처리장치에 있어서,
횡편기의 니들베드를 따르는 방향 및 상기 니들베드의 니들베드 갭(needle bed gap)으로부터 접근(接近)/이간(離間)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편사를 파지(把持)하지 않는 상태와 파지하는 상태로 변환(變換) 가능한 제1그리퍼(gripper)와,
횡편기의 니들베드를 따르는 방향 및 상기 니들베드로부터 접근/이간하는 방향으로, 제1그리퍼와는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고, 편사를 파지하지 않는 상태와 파지하는 상태로 변환 가능한 제2그리퍼와,
횡편기의 니들베드를 따라 이동 가능하고, 편사를 절단하는 상태와 절단하지 않는 상태로 변환 가능한 커터와,
제1그리퍼, 제2그리퍼 및 커터의 이동 및 상태의 변환을 제어하고, 제1그리퍼 및 제2그리퍼에 의하여 편사를 파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파지되어 있는 사이의 편사를 커터로 절단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끝실 처리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커터는, 상기 제1그리퍼에 구비되고,
상기 제2그리퍼에는 커터를 작동시켜서 편사를 절단하기 위한 구동기구의 적어도 일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제1그리퍼 또는 상기 제2그리퍼 중 적어도 일방은,
편성포로부터 연장되는 편사를 선단부에서 포착하여 거는 훅 부재(hook 部材)와,
훅 부재에 의하여 걸어진 편사를, 훅 부재의 선단부와 함께 삽입되어 파지되도록 가압하는 가압부재와,
훅 부재의 선단부를 향해 가압되도록 가압부재를 가압하는 스프링과,
훅 부재를, 상기 니들베드의 니들베드 갭으로부터 접근/이간하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변위기구를 포함하는 스프링 가압 그리퍼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스프링 가압 그리퍼 기구가 구비되는 상기 제1그리퍼 또는 상기 제2그리퍼 중의 일방에 대한 타방에는, 상기 제1그리퍼 및 상기 제2그리퍼가 미리 정해진 거리의 범위 내에서 접근하고 있을 때에 일방에 대한 타방의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니들베드의 니들베드 갭에 대하여 편사의 급사가 이루어지는 위치에 접근하지 않도록 저지하는 스토퍼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베드의 니들베드 갭을 따라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그리퍼 및 상기 제2그리퍼의 상기 니들베드에 따르는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 궤도를 구비하고,
상기한 한 쌍의 안내 궤도의 일방 및 타방은, 축선에 대한 각변위에 의하여 상기 제1그리퍼 및 상기 제2그리퍼가 상기 니들베드의 니들베드 갭에 대하여 접근/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하여 각각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횡편기에 의하여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편사를 절단하고 절단에 의하여 발생하는 끝실을 처리하는 횡편기의 끝실 처리방법에 있어서,
커터가 편사를 절단하는 부분의 양측을 2개의 그리퍼에 의하여 파지하고,
각 그리퍼는, 커터에 의한 편사의 절단 후에 발생하는 끝실을 각각 독립하여 편성포에 흡수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끝실 처리방법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2개의 그리퍼가 미리 정해진 거리의 범위 내에 접근하고 있을 때에만 편사를 포착하여 파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2개의 그리퍼가 편사를 파지하고 있을 때에만 상기 커터를 작동시켜서 편사를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끝실 처리장치10에 관한 개략적인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2는, 도1의 끝실 처리장치10에서 제1그리퍼11, 제2그리퍼12 및 커터13이 좌단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구동을 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3은, 도1의 끝실 처리장치10에서 제1그리퍼11, 제2그리퍼12 및 커터13이 우단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구동을 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4는 도2 및 도3의 좌측면도이다.
도5는 도2 및 도3의 우측면도이다.
도6은, 도1의 제1그리퍼11을 접근/이간 방향16b로 구동하는 구동원에 관한 구성을 나타내는 좌측면 단면도이다.
도7은, 도1의 제1그리퍼11이 니들베드 갭15a로부터 가장 떨어져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좌측면 단면도이다.
도8은, 도1의 제1그리퍼11이 선단부를 열고 니들베드 갭15a에 가장 접근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좌측면 단면도이다.
도9는, 도1의 제1그리퍼11이 선단부를 닫고 니들베드 갭15a에 가장 접근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좌측면 단면도이다.
도10은, 도1의 제2그리퍼12를 접근/이간 방향16b로 구동하는 구동원에 관한 구성을 나타내는 우측면 단면도이다.
도11은, 도1의 제1그리퍼11과 제2그리퍼12의 간격이 큰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12는, 도1의 제1그리퍼11과 제2그리퍼12의 간격이 작아져서 스토퍼56a에 의하여 가압부재54를 제한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13은, 도1의 제1그리퍼11이 니들베드 갭15a에 대하여 이접(離接)할 때에 선단부가 그리는 궤적을 나타내는 간략한 좌측면도이다.
도14는, 도1의 커터13이 열려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우측면 단면도이다.
도15는, 도1의 커터13이 닫혀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우측면 단면도이다.
도16은, 도1의 커터13이 열려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17은, 도1의 커터13이 닫혀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18은, 도1의 커터13의 개폐 동작을 나타내는 부분적 측면도이다.
도19는, 도1의 끝실 처리장치10으로 편사19를 파지하여 절단하고 끝실을 처리하는 개략적인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20은, 도1의 끝실 처리장치10에 의한 끝실19a, 19b의 처리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1은, 본 발명의 실시의 다른 형태인 스프링 가압 그리퍼80의 선단부 형상을 나타내는 부분적 정면도, 좌측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22는, 종래부터의 장갑1의 편성포의 구성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하나의 예인 횡편기의 끝실 처리장치1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끝실 처리장치10은 제1그리퍼11, 제2그리퍼12, 커터13 및 제어수단14를 포함한다. 횡편기15는 니들베드16의 길이방향16a를 따라 다수 배열되는 편침17로 편성포를 편성한다. 횡편기15는 V베드형(V bed型)이다. 니들베드16은 정면에서 봤을 때 전후로 쌍을 이뤄 설치되고, 전후의 니들베드는 중간의 니들베드 갭15a에서 대향하고 있다. 각 니들베드16은 니들베드 갭15a 측이 높고 니들베드 갭15a로부터 멀어지면 낮아지게 되도록 경사져 있다. 편침17은, 예를 들면 니들베드16의 길이방향16a를 왕복주행하는 캐리지(carriage)18에 탑재(搭載)되는 편성 캠 기구(編成cam機構)에 의하여, 니들베드 갭15a에 대하여 진퇴하도록 선택적으로 구동되어 편성동작을 한다. 편성동작을 하는 편침17에 대하여는 니들베드 갭15a로 편사19가 공급되어 편성포가 형성된다. 편성포의 편성 중에 편사19가 크로스오버 얀이 되는 경우에, 끝실 처리장치10에 의한 절단과 끝실의 처리가 이루어진다.
제1그리퍼11은, 횡편기15의 니들베드16을 따르는 방향, 즉 길이방향16a 및 니들베드16의 니들베드 갭15a에 접근(接近)/이간(離間)하는 방향, 즉 니들베드 갭15a 상방에서 대략 승강방향16b로 각각 이동할 수 있고, 편사19를 파지하지 않는 상태와 파지하는 상태로 변환(變換)될 수 있다. 제2그리퍼12도 길이방향16a 및 승강방향16b로 제1그리퍼11과는 독립적으로 각각 이동 가능하고, 편사19를 파지하지 않는 상태와 파지하는 상태로 변환 가능하다. 커터13은 길이방향16a로 이동 가능하고, 편사19를 절단하는 상태와 절단하지 않는 상태로 변환 가능하다. 제어수단14는 제1그리퍼11, 제2그리퍼12 및 커터13의 이동 및 상태의 변환을 제어하고, 제1그리퍼11 및 제2그리퍼12에 의하여 편사19가 파지된 상태의 편사19가 커터13에 의하여 절 단되도록 제어한다.
도2 및 도3은, 도1에 나타내는 끝실 처리장치10의 제1그리퍼11, 제2그리퍼12 및 커터13을 니들베드16의 길이방향16a를 따라 이동시키고, 니들베드 갭15a에 접근 또는 격리하는 접근/이간방향16b에 대하여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을 하는 구성을 나타낸다. 도2는 니들베드16의 좌측단으로 이동하고 있는 상태, 도3은 니들베드16의 우측단으로 이동하고 있는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커터13은 제1그리퍼11에 결합시켜 길이방향16a에서의 이동은 일체적으로 이루어진다. 제1그리퍼11 및 제2그리퍼12의 길이방향16a에 대한 이동은, 길이방향16a와 평행하게 가설되는 가이드 레일20, 제1구동축21 및 제2구동축22를 공통의 안내 궤도로 하여 이루어진다. 이 안내 궤도에 대하여, 예를 들면 정면에서 봤을 때 제1그리퍼11은 좌측에 배치되고 제2그리퍼12는 우측에 배치된다. 제1그리퍼11 및 제2그리퍼12는, 길이방향16a의 이동에 대한 구동원(驅動源)으로서 제1이동 모터23 및 제2이동 모터24를 각각 가이드 레일20의 좌단 측 및 우단 측에 구비하고 있다. 제1그리퍼11 및 제2그리퍼12의 접근/이간방향16b의 이동에 대한 구동원으로는 가이드 레일20의 좌단 측 및 우단 측에 제1회전 모터25 및 제2회전 모터26을 각각 구비하고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구성에서는, 제1그리퍼11에 대한 것은 길이방향16a의 좌측에, 제2그리퍼12에 대한 것은 길이방향16a의 우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제1이동 모터23 및 제2이동 모터24에 의한 제1그리퍼11 및 제2그리퍼12의 이동은 제1체인(chain)27 및 제2체인28을 통하여 각각 이루어진다. 제1이동 모터23 및 제2이동 모터24의 출력축에는 제1피니언 기어(pinion gear)29 및 제2피니언 기어30이 각각 장착되어 있다. 제1체인27 및 제2체인28에는 각각 제1피니언 기어29 및 제2피니언 기어30과 맞물리는 래크톱니(rack teeth)가 형성되어, 제1이동 모터23 및 제2이동 모터24의 회전운동을 길이방향16a의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킨다. 제1그리퍼11 및 제2그리퍼12는 제1체인27 및 제2체인28의 우단 측 부근 및 좌단 측 부근에 각각 설치할 수 있다. 제1체인27 및 제2체인28의 변위량(變位量)은 제1인코더(encoder)31 및 제2인코더32에 의하여 각각 검출된다. 제1체인27 및 제2체인28의 좌단에는 제1검출부재27a 및 제2검출부재28a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제1검출부재27a로는 예를 들면 제1체인27의 말단(末端)의 링크 핀(link pin)을 사용할 수 있다.
도2의 상태는 제1그리퍼11 및 제2그리퍼12가 각각 좌단으로 이동한 위치로서, 제1체인27 및 제2체인28의 기준위치로부터의 변위량은 제1이동 모터23 및 제2이동 모터24의 스텝수(step數)로 결정되고, 제1인코더31 및 제2인코더32에 의하여 각각 검출된다. 도3의 상태는 제1그리퍼11 및 제2그리퍼12가 각각 기준위치에 있을 때를 나타내고, 제1검출부재27a 및 제2검출부재28a는 제1근접 센서33 및 제2근접 센서34에 의하여 각각 검출된다. 제1체인27 및 제2체인28의 좌단 측 및 우단 측은 구부러져서, 하방으로 향하 는 제1체인 수납 홈통(chain accommodating gutter)35 및 제2체인 수납 홈통36 내로 안내된다. 제1회전 모터25 및 제2회전 모터26에 의한 제1그리퍼11 및 제2그리퍼12의 구동은, 제1변환기구37 및 제2변환기구38에 의하여 회전축의 방향을 변환시킴으로써 제1구동축21 및 제2구동축22를 통하여 각각 이루어진다. 제1구동축21 및 제2구동축22의 기준위치의 검출은, 제1근접편42 및 제2근접편45를 제1근접편 센서43 및 제2근접편 센서46에 의하여 각각 검출하지만 일방만을 사용하여도 좋다. 제1그리퍼11 및 제2그리퍼12의 니들베드 갭15a로부터의 접근/이간방향16b의 위치는 제1회전 모터25 및 제2회전 모터26의 기준위치로부터의 스텝수로 결정된다.
도1의 제어수단14는, 제1이동 모터23, 제2이동 모터24, 제1회전 모터25 및 제2회전 모터26을 각각 구동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수단14에는 제1인코더31, 제2인코더32, 제1근접 센서33 및 제2근접 센서34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된다.
도4 및 도5는 도2나 도3에 나타내는 끝실 처리장치10의 구성을 좌측 및 우측에서 본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니들베드 갭15a에는, 전후의 니들베드16으로부터 편침17의 선단이 캐리지18에 의한 구동에 의하여 진퇴함과 아울러, 편성하는 편성포를 가압하는 싱커39도 설치되어 있다. 끝실 처리장치10에 의한 끝실의 처리는 편침18이나 싱커39의 편성동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도6~9는 제1그리퍼11에 관한 구성을 나타낸다. 제2그리퍼12에 관한 구성은 형상이 대략적으로 좌우 대칭이 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기본적으로 같다. 또한 제1그리퍼11에는 도1의 커터13도 설치되어 있지만 설명의 편의상 관련되는 부분의 도시(圖示)를 생략한다.
도6은 제1그리퍼11을 도1의 접근/이간방향16b로 구동하는 구동원에 관한 구성을 나타낸다. 제1변환기구37은 제1회전 모터25의 출력축에 장착되는 베벨기어(bevel gear)40과, 제1구동축21에 장착되는 부분베벨기어41을 포함한다. 부분베벨기어41에 대신하여 톱니가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베벨기어를 사용하여도 좋지만, 제1구동축21은 반회전 이하의 각변위(angular displacement)를 하여도 좋으므로 부분베벨기어41을 이용하여 경량화를 꾀하고 있다. 제1구동축21이 기준 각도에 있는지, 없는지는 제1구동축21에 장착되어 있는 제1근접편42를 제1근접편 센서43에 의하여 검출함으로써 판단한다. 제1근접편 센서43로부터의 신호는 도1의 제어수단14에 입력된다.
도7, 도8 및 도9는 제1그리퍼11의 접근/이간방향16b에 있어서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다. 도7은 제1그리퍼11이 니들베드 갭15a로부터 가장 떨어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6의 제1근접편 센서43은 제1근접편42를 검출하여 가장 떨어져 있는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제1그리퍼11의 선단부는 니들베드 갭15a에 작용하는 편침17이나 싱커39 및 니들베드 갭15a에 편사를 공급하는 급사구(給絲口)44로부터 충분히 떨어져 있어 이들의 동작에는 간섭하지 않는다. 도8 및 도9는, 제1그리퍼11이 니들베드 갭15a에 가장 접근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다만 도8에서는 제1그리퍼11의 선단부가 열려 있는 것에 반하여 도9에서는 선단부가 닫혀 있다.
도10은 제2그리퍼12를 도1의 접근/이간방향16b로 구동하는 구동원에 관한 구성을 나타낸다. 제2변환기구38에서 도6에 나타내는 제1변환기구37과 대응하는 부분은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여서 나타낸다. 제2구동축22에 장착되어 있는 제2근접편45를 제2근접편 센서46이 검출하면 기준위치라고 판단한다. 또 제2근접 센서34에 의한 제2체인28의 기준위치 검출은 제2검출부재28a의 검출에 의하여 한다.
본 실시예의 제1그리퍼11 및 제2그리퍼12는, 스프링 가압 그리퍼50으로서 제1링크부재51, 제2링크부재52, 훅 부재(hook 部材)53, 가압부재54, 스프링55, 베이스56, 제1연결 핀57 및 제2연결 핀58을 포함한다. 스프링 가압 그리퍼50의 선단부는, 훅 부재53의 선단부53a와 가압부재54의 선단부54a에 의하여 형성된다. 제1링크부재51 및 제2링크부재52의 선단은, 제1연결 핀57 및 제2연결 핀58에 의하여 훅 부재53에 각각 연결되어 회전변위 가능하다. 제1그리퍼11에서는, 제1링크부재51의 기단이 제1구동축21과 결합하고, 제2링크부재52의 기단에는 제2구동축22가 삽입될 뿐이다. 제2그리퍼12에서는, 제2링크부재52의 기단이 제2구동축22와 결합하고, 제1링크부재51의 기단에는 제1구동축21이 삽입될 뿐이다.
제1구동축21 및 제2구동축22는 일부를 직선으로 절단한 원형(圓形)의 단면, 즉 궁형(弓形)의 단면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제1링크부재51 및 제2 링크부재52의 기단에 단면형상이 궁형인 관통구멍을 형성하여 제1구동축21 또는 제2구동축22를 연결시키면, 각변위에 의한 구동력의 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제1링크부재51 및 제2링크부재52의 기단에 단면형상이 원형인 관통구멍을 형성하면, 각변위에 의한 구동력의 전달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제1링크부재51 및 제2링크부재52의 기단측에 형성되는 관통구멍의 형상에 의하여, 구동력의 전달을 받는 것을 제1구동축21로 할지, 제2구동축22로 할지를 선택할 수 있다.
가압부재54는 선단부54a가 훅 부재53의 선단부53a를 가압하도록 스프링55로 가압되어 있다. 스프링55는 압축 스프링으로서, 훅 부재53에 형성되는 스프링 수납부에 수납되어 가압부재54에 설치되는 스프링 받침부54b를 가압하고 있다. 훅 부재53의 선단부53a와 가압부재54의 선단부54a의 사이에서 편사를 포착하면, 가압부재54의 선단부54a를 훅 부재53의 선단부53a에 의하여 가압하여 선단부53a, 54a 사이를 닫히게 함으로써 편사를 파지할 수 있다. 가압부재54에는 돌출부54c도 형성된다. 일방의 스프링 가압 그리퍼50에 형성되는 가압부재54의 돌출부54c는, 타방의 스프링 가압 그리퍼50의 베이스56에 설치되는 스토퍼56a에 접촉하여 니들베드 갭15a로의 접근이 제한된다.
도8은,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하고 있지만 제1그리퍼11과 제2그리퍼12가 서로 접근하고, 가압부재54의 니들베드 갭15a에 대한 접근은 제한되나 훅 부재53은 니들베드 갭15a에 가장 접근하여 제1그리퍼11의 선단부가 가장 열려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가압부재54의 제한위치는, 급사구44가 니들베드 갭15a에 편사를 공급하는 위치보다는 떨어져 있는 위치로 한다. 다만 후술하는 커터13에 의한 편사의 절단 위치보다는 니들베드 갭15a에 접근한 위치로 한다. 스토퍼56a에 의하여 가압부재54에 의한 제한을 해제하면, 도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스프링 가압 그리퍼50의 선단부는 스프링55에 의한 가압에 의하여 닫혀지게 할 수 있다.
도11 및 도12는, 제1그리퍼11 및 제2그리퍼12의 간격에 따라 가압부재54의 접근/이간방향16b에 대한 이동의 제한이 효과가 없는 상태 및 효과가 있는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각 베이스56에서는 타방의 베이스56을 향하여 스토퍼56a가 돌출한다. 스토퍼56a의 위치는 제1그리퍼11과 제2그리퍼12가 서로 방해하지 않도록 비켜 놓아 둔다. 가압부재54에 형성되는 돌출부54c의 위치도 스토퍼56a의 위치에 대응하여 비켜 놓는다.
도11은, 스토퍼56a가 가압부재54의 돌출부54c에 접촉하는 범위보다 제1그리퍼11과 제2그리퍼12의 간격이 큰 상태를 나타낸다. 각 가압부재54는 각 훅 부재53을 향하여 스프링55에 의하여 가압되어 각 스프링 가압 그리퍼50의 선단부는 닫힌다. 도12는, 스토퍼56a가 가압부재54의 돌출부54c에 접촉할 때까지 제1그리퍼11과 제2그리퍼12가 접근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훅 부재53과 가압부재54의 선단부가 닫힌 상태에서, 선단부가 접근/이간방향16b로 니들베드 갭15a로부터 가장 떨어진 기준위치에서부터 니들베드 갭15a에 접근하도록 이동하면, 도중에 가압부재54의 돌출부54c가 스토퍼56a에 접촉하여 가압부재54의 이동이 저지되고 훅 부재53만이 이동을 계속하여 선단부 53a, 54a 상호간의 간격이 넓어진다.
제1그리퍼11에는 커터13도 설치되고, 커터13의 절단 위치는, 스토퍼56a에 의하여 가압부재54가 니들베드 갭15a로 접근하는 것이 저지되는 위치보다는 니들베드 갭15a로부터 떨어져 있는 위치로 한다. 훅 부재53 및 가압부재54는, 커터13에 의한 절단 위치보다 니들베드 갭15a로부터 떨어진 위치까지 접근/이간방향16b로 멀어질 수 있다. 훅 부재53 및 가압부재54의 선단부53a, 54a 사이에서 편사를 파지하고 있을 때에는, 훅 부재53 및 가압부재54의 선단부53a, 54a가 절단 위치로부터 멀어져도 편사의 이동을 제한하여 절단 위치로 안내하는 실 안내부재59가 훅 부재53 및 가압부재54의 측방에 설치된다. 실 안내부재59는 편사가 절단된 후의 실의 단부를 견고하게 파지한다.
도13은, 스프링 가압 그리퍼50이 니들베드 갭15a에 대하여 접근/이간할 때에 선단부가 그리는 궤적50a를 나타낸다. 훅 부재53이 제1링크부재51 및 제2링크부재52와 함께 평행사변형 링크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궤적50a는 접근/이간방향16b의 직선이 아니라 원호 모양의 곡선을 따른다. 따라서 선단부가 니들베드 갭15a로 진입할 때에, 각 니들베드16으로부터 니들베드 갭15a로 돌출하는 편침17의 선단이나 싱커39를 방해하지 않도록, 니들베드 갭15a의 중심으로 치우쳐서 진퇴 할 수 있다.
도14~도18은 커터13의 동작에 대하여 나타낸다. 도14 및 도15는 측단면에서 봤을 때, 도16 및 도17은 평면에서 봤을 때를 각각 나타낸다. 도18은 커터13의 칼날의 개폐 동작을 부분적인 측면에서 봤을 때를 나타낸다. 도14 및 도16은 커터13의 칼날이 벌어져 있는 상태, 도15 및 도17은 커터13의 칼날이 닫혀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커터13은, 홀딩 캠(holding cam)60에 의하여 개폐되는 상부칼날61과 하부칼날62의 사이에 편사를 두고 절단한다. 상부칼날61과 하부칼날62는 교차축63에서 교차하고, 교차축63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변위 할 수 있다. 상부칼날61이 교차축63을 지나는 측의 단부에는 구동부재64의 일단이 연결된다. 구동부재64의 타단은 홀딩 캠60에 형성되는 캠 홈60a로 안내되는 팔로워(follower)(버트(butt))64a를 구비한다. 하부칼날62가 교차축63을 지나는 측의 단부에는 팔로워(롤러(roller))62a가 설치된다. 팔로워(롤러)62a는 안내부재65의 안내 홈65a로 안내된다.
도16 및 도1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커터13이 제1그리퍼11 측에 설치되어 있는 반면, 커터13을 동작시키는 기구의 일부인 홀딩 캠60은 제2그리퍼12 측에 설치되어 있다. 홀딩 캠60은 연결판66을 통하여 제2체인28의 좌단에 접속되어 있다. 제2체인28의 좌단에서는 제2그리퍼12의 베이스56의 이동을 위한 구동도 이루어지지만, 제2그리퍼12의 베이스56이 제1그리퍼11의 베이스56에 접촉하여 이동을 정지해도, 연결판66 및 홀딩 캠60은 계속하여 좌측방향으로 더 이동할 수 있다. 이 이동에 의하여, 홀딩 캠60의 캠 홈60a로 안내되는 구동부재64의 팔로워(버트)64a가 상부칼날61을 편사에 접근하도록 밀어낸다. 하부칼날62도 교차축63을 통하여 밀어내는 힘을 받고, 상부칼날61 및 하부칼날62의 양방이 밀리면서 닫힌다. 이에 따라 도18에 확대하여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안내 제한 부재59의 선단에서 위치가 결정되어 있는 편사19를 상부칼날61과 하부칼날62 사이로 삽입하여 확실하게 절단할 수 있다.
도19는, 끝실 처리 처리장치10으로 편사19를 파지하여 절단하고 끝실을 처리하는 개략적인 순서를 나타낸다. 스텝s0부터 순서를 시작하고, 스텝s1에서는 제1그리퍼11 및 제2그리퍼12가 기준위치에 있는 것을 확인한다. 기준위치는, 예를 들면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우단의 위치에서 스프링 가압 그리퍼50의 훅 부재53과 가압부재54는 니들베드 갭15a로부터 가장 떨어진 상태로 한다. 스텝s2에서는, 제1이동 모터23 및 제2이동 모터24를 구동하여 제1그리퍼11 및 제2그리퍼12를 끝실 처리가 이뤄지는 편성포의 테두리까지 이동시킨다. 스텝s3에서는, 편사19를 사용하여 편성포를 편성하는 것이 일단 종료하여 크로스오버 얀이 발생하는 부분이 생기는 상태가 되면, 제1회전 모터25 및 제2회전 모터26을 구동하여 훅 부재53을 니들베드 갭15a에 가장 근접하도록 이동시킨다. 도중까지는 가압부재54도 따라가지만 스토퍼56a에 의하여 제한되어 훅 부재53만이 니들베드 갭15a로 접근한다. 크로스오버 얀이 되는 편사19는 훅 부재53의 선단부53a에 의하여 포착된다.
스텝s4에서는, 제1회전 모터25 및 제2회전 모터26을 역회전시켜서 훅 부재53을 니들베드 갭15a로부터 멀어지도록 구동한다. 2개의 훅 부재53의 선단부53a는, 간격을 두고 편사19를 포착하여 스토퍼56a에 의하여 제한되어 있는 가압부재54의 선단부54a로 접근한다. 또한 훅 부재53이 니들베드 갭15a로부터 멀어지는 이동을 계속하면, 훅 부재53의 선단부53a에 의하여 포착되어 있는 편사19는 가압부재54의 선단부54a와의 사이에 끼워져 파지된다. 스토퍼56a에 의한 가압부재54에 대한 제한은 니들베드 갭15a로 접근하는 쪽으로 작용하고 니들베드 갭15a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는 작용하지 않으므로, 구동을 더 계속하면 스텝s5에서 훅 부재53 및 가압부재54의 선단부53a, 54a 사이에서 파지된 편사19를 커터13에 의한 절단 위치를 넘어서 끌어올릴 수 있다. 다만 편사19는 안내 제한 부재59에 의하여 절단 위치로 안내되어 절단 위치보다 상방으로는 끌어올릴 수 없도록 제한된다.
스텝s6에서는, 도16에서부터 도1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홀딩 캠60을 이동시켜서 커터13으로 편사19를 절단한다. 편사19는 커터13에 의한 절단 장소의 양측에서 제1그리퍼11 및 제2그리퍼12의 스프링 가압 그리퍼50에 의하여 파지되어 있기 때문에, 놓지 않고 각각의 끝실로서 파지된 상태로 있다. 스텝s7에서는 편성포 측의 끝실을, 편성포 측의 제1그리퍼11 또는 제2그리퍼12의 일방을 타방과 독립적으로 길이방향16a로 이동시키고 또 필요에 따라 접근/이간방향16b로도 이동시킴으로써 처리한다. 스텝s8에서는, 급사구44 측의 끝실을 제1그리퍼11 또는 제2그리퍼12의 타방에 의하여 처리한다. 스텝s9에서 순서를 종료한다.
도20은, 도19의 스텝s2로부터 스텝s8까지의 처리를 장갑을 편성하는 편성포의 손가락부 편성의 경우에 대하여 나타낸다. (a)는 1개의 손가락부 70의 편성이 종료한 상태를 나타낸다. 손가락부70을 지지하고 있는 니들베드16에 의하여 손가락부70에 인접하는 폭p의 부분에서 다음의 손가락부가 편성된다. 급사구44는 편사19를 동반하여 손가락부70을 지지하는 니들베드16의 편침으로부터 멀어진다. 제1그리퍼11 및 제2그리퍼12는 열린 상태로 니들베드 갭에 접근하고 그 위로 편사19가 걸쳐진다. (b)에서는, 제1그리퍼11 및 제2그리퍼12로 편사19를 포착하고 상방으로 끌어올려 파지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c)에서는, 편사19를 파지하고 있는 부분의 중간을 커터13으로 절단하여 편성포인 손가락부70 측에 끝실19a가 발생하고, 급사구44 측에 끝실19b가 발생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d)에서는, 편성포 측의 끝실19a를 파지하는 제2그리퍼12를 이동시켜 끝실19a를 손가락부70 내로 삽입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제2그리퍼12를 손가락부70의 개구(開口)를 따라 이동시킴과 아울러 니들베드 갭으로부터 접근/이간시키는 이동도 병용함으로써 확실하게 삽입할 수 있다.
(e)는, 급사구44 측의 끝실19b를 제1그리퍼11로 파지한 채로 급사구44를 이동시켜서 다음의 손가락부71의 초기 편성을 시작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편성포 측의 끝실19a는, 제2그리퍼12를 이동시킴으로써 발생하는 장력(張力)으로 훅 부재53 및 가압부재54의 선단부53a, 54a 사이에서의 파지력에 저항하여 선단부53a, 54a 사이로부터 인출되어 손가락부70 내에서 멈춘다. (b)의 상태에서, 편성포 측의 제2그리퍼12가 파지하는 편사19와 편성포까지의 길이를 짧게 해 두면 용이하게 끝실19a를 손가락부70 내로 삽 입할 수 있다.
(f)에서부터 (g)에 걸쳐서 다음의 손가락부71의 초기편성이 이루어진다. (h)에서는, 선단부가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은 궤적이 되도록 제1그리퍼11을 이동시켜서 편성이 시작된 다음의 손가락부71 내로 끝실19b를 삽입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i)에서는, 손가락부71의 편성이 진행되고 끝실19b가 편성포에 흡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끝실 처리장치10은, 횡편기15에 의하여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편사19를 절단하고 절단에 의하여 발생하는 끝실19a, 19b를 처리하기 위하여, 제1그리퍼11과 제2그리퍼12와 커터13과 제어수단14를 포함한다. 제1그리퍼11 및 제2그리퍼12는 모두 횡편기15의 니들베드16을 따르는 길이방향16a와 니들베드16으로부터 접근/이간하는 접근/이간방향16b로 이동 가능하고, 편사19를 파지하지 않는 상태와 파지하는 상태로 변환이 가능하다. 제1그리퍼11과 제2그리퍼12는 독립적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커터13은, 횡편기15의 니들베드16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편사19를 절단하는 상태와 절단하지 않는 상태로 변환 가능하다. 제어수단14는 제1그리퍼11, 제2그리퍼12 및 커터13의 이동 및 상태의 변환을 제어하고, 제1그리퍼11 및 제2그리퍼12에 의하여 편사19가 파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파지되어 있는 편사19를 커터13에 의하여 절단하도록 제어한다. 커터13에 의한 편사19의 절단은 절단 부분의 양측을 제1그리퍼11 및 제2그리퍼12에 의하여 파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하므로, 편사19가 단단한 실과 같은 경우에도 칼날이 미끄러지는 일이 없이 편사19를 확실하게 절단할 수 있다. 커터13으로 편사19를 절단함으로써 발생하는 끝실19a, 19b는 커터13의 양 측에서 제1그리퍼11 및 제2그리퍼12에 의하여 각각 파지되어 있기 때문에 놓치게 되는 일은 없다. 제1그리퍼11 및 제2그리퍼12는 니들베드16을 따르는 방향과 니들베드에 접근/이간하는 방향으로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이 끝실19a, 19b를 파지하여 편성포의 편성동작에 합쳐서 적절한 타이밍에 이동하여 편성포 중으로 안정하게 흡수되도록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발생하는 크로스오버 얀을 확실하게 포착하여 절단하고, 절단 후의 끝실19a, 19b를 적절하게 처리할 수 있다.
또 끝실 처리장치10에서는 커터13이 제1그리퍼11에 구비되므로 커터13과 제1그리퍼11을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어 이동을 위한 구성을 간략화 할 수 있다. 제2그리퍼12에는, 커터13을 작동시켜서 편사19를 절단하기 위한 구동기구의 적어도 일부로서 홀딩 캠60이 설치되므로, 제1그리퍼11과 제2그리퍼12가 협동하여 제1그리퍼11에 구비되는 커터13을 작동시킬 수 있다. 제1그리퍼11과 제2그리퍼12가 서로 분리되어 있을 때에는 구동기구를 형성할 수 없으므로 편사19를 절단하지 않게 할 수 있다. 물론 커터13을 제1그리퍼11이나 제2그리퍼12와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더라도 좋다.
또 제1그리퍼11 및 제2그리퍼12의 양쪽 모두 스프링 가압 그리퍼50으로 하고 있지만, 어느 쪽의 일방만 그렇게 하여도 좋다. 타방에는 그리퍼의 개폐를 위한 액추에이터를 탑재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과 같은 횡 편기15에 의하여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편사19를 절단하고 절단에 의하여 발생하는 끝실19a, 19b를 처리하는 끝실 처리방법은, 커터와 그리퍼의 일방에 대신하여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제3347079호 공보에서도 언급하고 있는 바와 같은 니들베드 갭15a의 하방에 설치되는 실 절단 파지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다. 편사의 절단되는 부분의 양 측을 지지할 수 있으면, 지지나 절단을 위한 구성으로는 어떤 것을 사용해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절단 후에도, 절단 후에 발생하는 끝실을 각각 독립하여 지지하여 편성포에 흡수 되도록 처리하면 확실하게 끝실을 처리할 수 있다.
도21은 본 발명의 실시의 다른 형태로서, 도13에 나타내는 스프링 가압 그리퍼50과 같은 스프링 가압 그리퍼80의 선단부의 형상의 예를 나타낸다. 다른 부분의 구성은 스프링 가압 그리퍼50과 같다. 도21(a)는, 훅 부재83 및 가압부재84의 선단부83a, 84a를 나란하게 배열하여 정면에서 봤을 때를 나타낸다. 도21(b)은, 훅 부재83 및 가압부재84의 선단부83a, 84a를 나란하게 배열하여 좌측면에서 봤을 때를 나타낸다. 도21(c)는, 훅 부재83의 선단부83a와 가압부재84의 선단부84a로 형성되는 제1그리퍼11 및 제2그리퍼12의 선단부가 약간 열려있는 상태를 사시도로 나타낸다.
도1의 제1그리퍼11 및 제2그리퍼12는 편사를 확실하게 파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플레이팅(plating) 등으로는 복수의 편사를 동시에 편성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복수의 편사 사이에 성질이 다른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편성포 편성용의 굵은 편사와 신축성을 구비하는 폴리우레탄 등의 가는 편사가 혼재하는 경우도 있다. 성질이 다른 편사가 혼재하여도 확실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스프링 가압 그리퍼80의 선단을, 예를 들면 훅 부재83의 선단부83a를 두 갈래 모양으로 하고 타방인 가압부재84의 선단부84a를 두 갈래의 중간에 결합하는 형상으로 하고 있다. 편사의 파지를 확실하게 하는 선단부 형상은 그 외에도 여러가지가 고려된다. 선단부 형상을 파지한 편사가 쉽게 미끄러지지 않는 형상으로 함으로써, 성질이 다른 편사가 혼재하고 있어도 확실하게 파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다른 여러 가지의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내는 것으로서 명세서 본문에는 조금도 구속되지 않는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그리퍼 및 제2그리퍼에 의하여 편사를 파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파지되어 있는 편사를 커터로 절단하기 때문에 편사가 단단한 실인 경우에도 커터의 칼날이 미끄러지지 않고, 편사를 확실하게 절단할 수 있다. 커터로 편사를 절단함으로써 발생하는 끝실은, 커터의 양측에서 제1그리퍼 및 제2그리퍼에 의하여 각각 파지되어 있기 때문에, 놓지 않고 독립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제1그리퍼 및 제2그리퍼에 의하 여 편성포 중으로 안정하게 흡수시킬 수 있어,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발생하는 크로스오버 얀을 확실하게 포착하여 절단하고 절단 후의 끝실을 적절하게 처리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커터가 제1그리퍼에 구비되므로 커터와 제1그리퍼를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어 이동을 위한 구성을 간략화 할 수 있다. 제2그리퍼에는, 커터를 작동시켜서 편사를 절단시키기 위한 구동기구의 적어도 일부가 설치되므로 제1그리퍼와 제2그리퍼가 협동하여 제1그리퍼에 구비되는 커터를 작동시킬 수 있다. 제1그리퍼와 제2그리퍼가 서로 분리되어 있을 때에는 구동기구를 형성할 수 없으므로 편사를 절단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제1그리퍼 또는 제2그리퍼 중 적어도 일방에 스프링 가압 그리퍼 기구가 설치되어 끝실을 훅 부재의 선단부에서 포착하고, 훅 부재의 선단부와 함께 삽입되어 파지되도록 스프링에 의하여 가압된 가압부재에 의하여 가압한다. 일단 파지된 끝실은 스프링에 의한 가압에 의하여 계속 파지될 수 있고, 변위기구에 의하여 끝실의 파지 위치를 니들베드의 니들베드 갭에 대하여 접근/이간시킬 수 있다. 끝실이 편성포 중으로 편성되어 끝실에 걸리는 장력이 훅 부재의 선단부와 가압부재의 사이로 삽입되어 지지되는 힘보다 커지게 되면, 끝실의 파지를 해소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제1그리퍼 및 제2그리퍼가 미리 정해진 거리 의 범위 내에서 서로 접근하고 있을 때에, 스토퍼는 타방의 가압부재가 니들베드의 니들베드 갭에 대하여 편사의 급사가 이루어지는 위치로 접근하지 않도록 저지하기 때문에, 스프링에 의한 가압에 저항하고 변위기구에 의하여 훅 부재만을 니들베드의 니들베드 갭에 접근시켜 크로스오버 얀이 되는 편사를 선단부에서 포착할 수 있다. 제1그리퍼 및 제2그리퍼가 상기 범위의 이상으로 떨어져 있을 때에, 스토퍼에 의한 타방의 가압부재의 저지가 이루어지지 않고, 훅 부재의 선단부를 가압부재가 가압하는 상태에서 훅 부재가 니들베드 갭에 대하여 접근/이간하기 때문에, 끝실이 되는 포착한 편사를 파지한 채로 니들베드 갭에 접근시킴과 아울러 니들베드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동과 접근/이간의 이종(二種)의 구동만으로, 제1그리퍼와 제2그리퍼의 접근 또는 이간을 이용함으로써 훅 부재의 선단과 가압부재의 선단을 열거나 닫거나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한 쌍의 안내 궤도를 제1그리퍼 및 제2그리퍼의 니들베드를 따르는 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형성하고, 안내 궤도의 일방 및 타방의 축선에 대한 각변위에 의하여, 니들베드의 니들베드 갭에 대하여 접근/이간하는 방향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1그리퍼 및 제2그리퍼에 각각 전달할 수 있다. 제1그리퍼 및 제2그리퍼에는 구동원을 탑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소형화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횡편기에 의하여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2개의 그리퍼에 의하여 양 측을 파지하고 있는 편사를 커터가 절단하고, 각 그리퍼는 커터에 의한 편사의 절단 후에 발생하는 끝실을 각각 독립하여 편성포에 흡수되도록 처리하기 때문에,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발생하는 크로스오버 얀을 확실하게 포착하여 절단하고 절단 후의 끝실을 적절하게 처리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2개의 그리퍼가 미리 정해진 거리의 범위 내에 접근하고 있을 때에만 편사를 포착하여 파지하기 때문에 커터에 의한 절단에 있어 적절한 거리를 설정하여 양측을 파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확실하게 절단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2개의 그리퍼가 편사를 파지하고 있을 때에만 커터를 작동시켜서 편사를 절단하므로, 커터에 의하여 편사를 확실하게 절단할 수 있다.

Claims (8)

  1. 횡편기에서 전후의 니들베드(needle bed)가 대향하고 편침의 진퇴(進退)에 의하여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편사를 절단하고 절단에 의하여 발생하는 끝실을 처리하는 횡편기의 끝실 처리장치에 있어서,
    횡편기의 니들베드를 따르는 방향 및 상기 니들베드의 니들베드 갭(needle bed gap)으로부터 접근(接近)/이간(離間)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편사를 파지(把持)하지 않는 상태와 파지하는 상태로 변환(變換) 가능한 제1그리퍼(gripper)와,
    횡편기의 니들베드를 따르는 방향 및 상기 니들베드로부터 접근/이간하는 방향으로 제1그리퍼와는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고, 편사를 파지하지 않는 상태와 파지하는 상태로 변환 가능한 제2그리퍼와,
    횡편기의 니들베드를 따라 이동 가능하고, 편사를 절단하는 상태와 절단하지 않는 상태로 변환 가능한 커터와,
    제1그리퍼, 제2그리퍼 및 커터의 이동 및 상태의 변환을 제어하고, 제1그리퍼 및 제2그리퍼에 의하여 편사를 파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파지되어 있는 사이의 편사를 커터로 절단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끝실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는, 상기 제1그리퍼에 구비되고,
    상기 제2그리퍼에는 커터를 작동시켜서 편사를 절단하기 위한 구동기구의 적어도 일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끝실 처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그리퍼 또는 상기 제2그리퍼 중 적어도 일방은,
    편성포로부터 연장되는 편사를 선단부에서 포착하여 거는 훅 부재(hook 部材)와,
    훅 부재에 의하여 걸어진 편사를, 훅 부재의 선단부와 함께 삽입되어 파지되도록 가압하는 가압부재와,
    훅 부재의 선단부를 향해 가압되도록 가압부재를 가압하는 스프링과,
    훅 부재를, 상기 니들베드의 니들베드 갭으로부터 접근/이간하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변위기구를 포함하는 스프링 가압 그리퍼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끝실 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가압 그리퍼 기구가 구비되는 상기 제1그리퍼 또는 상기 제2그리퍼 중의 일방에 대한 타방에는, 상기 제1그리퍼 및 상기 제2그리퍼가 미리 정해진 거리의 범위 내에서 접근하고 있을 때에 일방에 대한 타방의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니들베드의 니들베드 갭에 대하여 편사의 급사가 이루어지는 위치에 접근하지 않도록 저지하는 스토퍼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끝실 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베드의 니들베드 갭을 따라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그리퍼 및 상기 제2그리퍼의 상기 니들베드에 따르는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 궤도를 구비하고,
    상기한 한 쌍의 안내 궤도의 일방 및 타방은, 축선에 대한 각변위에 의하여 상기 제1그리퍼 및 상기 제2그리퍼가 상기 니들베드의 니들베드 갭에 대하여 접근/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하여 각각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끝실 처리장치.
  6. 횡편기에 의하여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편사를 절단하고 절단에 의하여 발생하는 끝실을 처리하는 횡편기의 끝실 처리방법에 있어서,
    커터가 편사를 절단하는 부분의 양측을 2개의 그리퍼에 의하여 파지하고,
    각 그리퍼는, 커터에 의한 편사의 절단 후에 발생하는 끝실을 각각 독립하여 편성포에 흡수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끝실 처리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그리퍼가 미리 정해진 거리의 범위 내에 접근하고 있을 때에만 편사를 포착하여 파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끝실 처리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그리퍼가 편사를 파지하고 있을 때에만 상기 커터를 작동시켜서 편사를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끝실 처리방법.
KR1020067006726A 2003-09-19 2004-09-17 횡편기의 끝실 처리장치 및 방법 KR1010194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27759A JP4015980B2 (ja) 2003-09-19 2003-09-19 横編機の端糸処理装置および方法
JPJP-P-2003-00327759 2003-09-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1905A KR20060121905A (ko) 2006-11-29
KR101019428B1 true KR101019428B1 (ko) 2011-03-09

Family

ID=34372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6726A KR101019428B1 (ko) 2003-09-19 2004-09-17 횡편기의 끝실 처리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392670B2 (ko)
EP (1) EP1666653B1 (ko)
JP (1) JP4015980B2 (ko)
KR (1) KR101019428B1 (ko)
CN (1) CN100507114C (ko)
DE (1) DE602004030138D1 (ko)
WO (1) WO20050287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07058090A1 (ja) * 2005-11-17 2009-04-3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糸接合部分の処理方法
EP1972709A4 (en) * 2005-11-17 2012-08-15 Shima Seiki Mfg METHOD AND DEVICE FOR CUTTING / MAINTAINING CHAIN IN A CUTTING MESH MACHINE
DE502006004125D1 (de) * 2006-04-21 2009-08-13 Stoll H Gmbh & Co Kg Fadenschneidplatine einer Flachstrickmaschine
EP2080828B1 (en) 2006-09-15 2012-11-14 Shima Seiki Mfg., Ltd Method of measuring elastic characteristics of kitting yarn and knitting machine
JP2008095217A (ja) 2006-10-06 2008-04-24 Shima Seiki Mfg Ltd 端糸挿入装置
JP5160760B2 (ja) * 2006-10-06 2013-03-13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端糸挿入装置
EP1918439B1 (de) * 2006-11-03 2011-09-21 H. Stoll GmbH & Co. KG Klemm- Schneideinrichtung mit Fadenzuweis- und Fadenabstreifvorrichtung
EP2123815B1 (en) * 2006-12-29 2014-06-25 Shima Seiki Mfg., Ltd Yarn end treating device for flat knitting machine
JP5161242B2 (ja) * 2007-12-29 2013-03-13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の端糸処理装置
JP5436279B2 (ja) * 2010-03-15 2014-03-05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およびその編成方法、ならびにデザイン装置
JP2014221958A (ja) * 2013-05-14 2014-11-27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の端糸処理装置
FR3008432A1 (fr) * 2013-07-10 2015-01-16 Steiger Participations Sa Dispositif de pincement et de coupe pour une machine a tricoter rectiligne
JP6153509B2 (ja) * 2014-12-27 2017-06-2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成方法
JP6153551B2 (ja) * 2015-02-02 2017-06-2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出し方法
EP3786327B1 (en) * 2017-03-31 2022-02-23 Nike Innovate C.V. Knitting feeder with a cutting device
CN110520561B (zh) * 2017-03-31 2022-03-04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具有电子辅助部件的针织机
CN110791868B (zh) * 2019-10-25 2020-12-04 浙江睿丰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无线头编织方法
JP7424901B2 (ja) * 2020-04-23 2024-01-3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
CN111843010B (zh) * 2020-07-30 2023-03-03 安徽省海力机床制造有限公司 一种龙门式刨槽机的立体刨槽装置
CN112030346B (zh) * 2020-09-23 2022-02-18 浙江彩蝶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经编机针床随动分幅器
JP2024034234A (ja) 2022-08-31 2024-03-13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端糸処理装置及び端糸処理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111A (ko) * 1972-04-21 1974-01-05
JPH0474463A (ja) * 1990-07-17 1992-03-09 Nec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0987946A (ja) * 1995-09-21 1997-03-31 Tsudakoma Corp 横編機の糸保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557458A (en) * 1942-05-15 1943-11-22 Toone Nottingham Ltd B Improvements in knitting, knitting machines, and knitted articles
JPS4824421B1 (ko) 1970-12-10 1973-07-20
JPS49111B1 (ko) 1970-12-15 1974-01-05
JPS5815291B2 (ja) 1977-07-18 1983-03-24 大建工業株式会社 真空成形装置
DE2748841A1 (de) * 1977-10-31 1979-05-03 Sulzer Morat Gmbh Klemmorgan fuer faden-, band- oder streifenfoermiges material
DE3003570A1 (de) * 1980-02-01 1981-08-06 Sulzer Morat Gmbh, 7024 Filderstadt Strickmaschine
DE3333500A1 (de) * 1983-09-16 1985-06-27 Sulzer Morat Gmbh, 7024 Filderstadt Fadenfuehrer
JPS6414352A (en) 1987-07-06 1989-01-18 Matsutani Tekko Kk Knitted glove knitting machine
JPS6414352U (ko) 1987-07-17 1989-01-25
JPH02269848A (ja) 1989-04-08 1990-11-05 Shima Seiki Seisakusho:Kk 横編機における糸把持装置
JP2733627B2 (ja) 1990-01-22 1998-03-3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
DE4407708C2 (de) 1994-03-08 1996-07-11 Schieber Universal Maschf Flachstrickmaschine
JP3028923U (ja) 1994-06-30 1996-09-17 マラス・ケリド・リミターダ 編み機用分別化編み糸キャリア牽引装置
JPH08127948A (ja) 1994-10-31 1996-05-21 Shima Seiki Mfg Ltd 編機のキャリアの制御方法とその装置
JPH08325901A (ja) 1995-05-24 1996-12-10 Shima Seiki Mfg Ltd 横編機における編糸切断把持装置
JP3845142B2 (ja) 1996-03-28 2006-11-15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糸道管交換装置を備えた横編機
ES2153261B1 (es) * 1997-10-07 2001-08-16 Jumberca Sa Maquina tejedora circular para generos de punto.
DE19844833A1 (de) * 1998-09-30 2000-04-13 Stoll & Co H Fadenklemm- und Schneidvorrichtung für Strickmaschinen
JP3347079B2 (ja) 1998-12-16 2002-11-2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の端糸挿入装置
JP4074463B2 (ja) * 2001-03-19 2008-04-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における制御軸回転角位置センサ出力基準位置学習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111A (ko) * 1972-04-21 1974-01-05
JPH0474463A (ja) * 1990-07-17 1992-03-09 Nec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0987946A (ja) * 1995-09-21 1997-03-31 Tsudakoma Corp 横編機の糸保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254400A1 (en) 2006-11-16
JP4015980B2 (ja) 2007-11-28
CN100507114C (zh) 2009-07-01
KR20060121905A (ko) 2006-11-29
EP1666653B1 (en) 2010-11-17
DE602004030138D1 (de) 2010-12-30
US7392670B2 (en) 2008-07-01
CN1853010A (zh) 2006-10-25
EP1666653A1 (en) 2006-06-07
EP1666653A4 (en) 2006-11-02
JP2005089933A (ja) 2005-04-07
WO2005028726A1 (ja) 2005-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9428B1 (ko) 횡편기의 끝실 처리장치 및 방법
KR101618581B1 (ko) 특히 관형 편물의 축방향 단부에서 관형 편물의 자동화된 폐쇄를 위한 봉제 또는 루핑 작업용 헤드
JP5160760B2 (ja) 端糸挿入装置
KR200490925Y1 (ko) 장갑 편성기
CN110714267B (zh) 横编机
KR20080057242A (ko) 실의 스플라이싱 방법 및 그 장치
EP1010789B1 (en) End yarn insertion device of flat knitting machine
KR100629307B1 (ko) 장갑편직기의 편직사의 절단 마무리 처리장치
US6591637B2 (en) Plate for closing the toe of hosiery
EP1972709A1 (en) Method and device for cutting/holding knitting yarn in weft knitting machine
JPH08325901A (ja) 横編機における編糸切断把持装置
EP2241660B1 (en) Yarn-end treating device for flat-knitting machine
CN210314701U (zh) 横编机的编织纱保持切断装置
JP5161113B2 (ja) 横編機の端糸処理装置
CN113186637B (zh) 手套编织机
EP4345042A1 (en) Yarn joining device and yarn joining method
KR20050106570A (ko) 장갑편직기의 편직사의 컷팅 및 마무리장치
KR200411256Y1 (ko) 장갑편직기의 편직사의 절단 마무리 처리장치
CN116334825A (zh) 一种横编织机无线头编织工艺
KR20090030769A (ko) 인타샤전용 원형타입 편직기의 편사공급 및 처리장치
JPH07138852A (ja) 横編み機
JP2014221958A (ja) 横編機の端糸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