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8581B1 - 특히 관형 편물의 축방향 단부에서 관형 편물의 자동화된 폐쇄를 위한 봉제 또는 루핑 작업용 헤드 - Google Patents

특히 관형 편물의 축방향 단부에서 관형 편물의 자동화된 폐쇄를 위한 봉제 또는 루핑 작업용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8581B1
KR101618581B1 KR1020107027780A KR20107027780A KR101618581B1 KR 101618581 B1 KR101618581 B1 KR 101618581B1 KR 1020107027780 A KR1020107027780 A KR 1020107027780A KR 20107027780 A KR20107027780 A KR 20107027780A KR 101618581 B1 KR101618581 B1 KR 101618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ing
arm
head
cutting member
chain st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7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8274A (ko
Inventor
에토레 로나티
티베리오 로나티
파우스토 로나티
Original Assignee
로나티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030285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61858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로나티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로나티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110028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8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8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8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7/00Linking machines, e.g. for joining knitted fabric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23/007Sewing units for assembling parts of knitted panties or closing the stocking toe part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7/00Devices incorporated in sewing machines for slitting, grooving, or cutting
    • D05B37/04Cutt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5/00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 D05B65/02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controlled by the sewing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Toys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관형 편물의 축방향 단부들 중 하나의 단부에서 관형 편물의 자동화된 폐쇄(closing)를 위한 봉제 또는 루핑 작업용 헤드에 있어서, 편물을 봉제 또는 루핑하는 데에 필요한 길이를 초과하는 봉제 체인 스티치(30)의 길이를 최소화하고, 봉제 또는 루핑 작동을 수행하는 데에 필요한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해, 대응 작동 경로들을 따라 이동되고, 봉제 체인 스티치(30)를 형성함에 있어서 서로 협동할 수 있는 한 쌍의 봉제 부재(2, 3), 및 상기 봉제 체인 스티치(30)를 절단하기 위해 작동될 수 있는 절단 부재(10)를 포함하며, 상기 절단 부재(10)는, 상기 한 쌍의 봉제 부재(2, 3)의 상기 경로들의 교차점 또는 상기 봉제 체인 스티치(30)가 형성되는 지점 근처에서 상기 봉제 체인 스티치(30)와 맞물릴 수 있는, 봉제 또는 루핑 작업용 헤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특히 관형 편물의 축방향 단부에서 관형 편물의 자동화된 폐쇄를 위한 봉제 또는 루핑 작업용 헤드{SEWING OR LOOPING HEAD, PARTICULARLY FOR AUTOMATED CLOSING OF TUBULAR KNITTED ARTICLES AT AN AXIAL END THEREOF}
본 발명은, 특히 관형 편물의 축방향 단부에서 관형 편물의 자동화된 폐쇄(closing)를 위한 봉제 또는 루핑 작업용 헤드에 관한 것이다.
원형 양말 편물기에서 생산의 종료시에, 관형 편물 특히 양말의 축방향 단부, 즉 양말의 경우에 발가락에서 자동화된 폐쇄를 수행하기 위한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이들 기술 중의 몇몇은, 생산의 종료시에 원형 양말 편물기로부터 편물을 픽업하고, 편물을 생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편물기에 대해 대체로 측방향으로 배치되는 봉제 또는 루핑 스테이션으로 이송하는 것에 기초한다.
봉제 또는 루핑 스테이션에, 편물의 생산이 종료되는 축방향 단부에 의해 통상적으로 구성되는 편물의 축방향 단부를 폐쇄시키는 봉제 또는 루핑 작업용 헤드가 배치된다.
몇몇 기술은, 편물을 생산한 편물기로부터 편물을 픽업하고, 편물의 축방향 단부를 폐쇄시키기 위해 봉제 또는 루핑 작동 동안에 편물을 지지하기 위해 단일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것에 기초한다. 다른 기술에서는, 편물을 픽업하고 봉제 또는 루핑 스테이션으로 이송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봉제 또는 루핑 스테이션에 배치되며, 후속 봉제 또는 루핑 작동을 위해 편물을 준비하고, 옵션으로서 편물을 봉제 또는 루핑 동안에 봉제 또는 루핑 작업용 헤드에 대해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핸들링 디바이스가 구비된다.
통상적으로, 편물은 편물을 생산한 편물기로부터 픽업되고, 옵션으로서 편물의 마지막 로우의 편물의 루프와 개별적으로 결합함으로써 핸들링 디바이스로 이송되고, 편물의 그러한 마지막 로우의 반부 로우의 편물의 루프는, 봉제 또는 루핑이 진행되기 전에 다른 반부 로우의 편물의 루프와 개별적으로 대면하게 되어, 편물의 축방향 단부는, 편물의 마지막으로 형성된 로우를 구성하는 2개의 반부 로우의 2개의 상호 대면하는 루프를 각각의 순간에 결합함으로써 폐쇄된다. 이러한 사실로 인해, 관형 편물의 축방향 단부 특히 양말의 발가락의 자동화된 폐쇄에서 정밀도 및 심미안의 면에서 우수한 결과가 얻어진다.
양말의 발가락의 자동화된 폐쇄를 수행하기 위한 다른 기술에서, 봉제 또는 루핑 동안에 편물을 지지하는 부재는, 편물을 생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편물기의 동일한 바늘 실린더의 1개의 반부에 의해 구성되는데, 그것은, 편물의 생산의 종료시에, 편물의 마직막으로 형성된 로우의 1개의 반부가, 적절히 구비된 부재에 의해, 하나의 루프씩, 편물을 생산한 바늘로부터, 편물을 생산하고 아직 동일한 로우의 다른 반부의 편물의 루프를 유지하고 있는 바늘로 이송되기 때문이다.
실질적으로, 편물 특히 양말의 축방향 단부의 자동화된 폐쇄는, 복수의 스파이크를 구비한 반부 링 부재에 의해 편물을 지지함으로써 수행되며, 복수의 스파이크는 링의 축 주위에 서로 균일하게 이격되며, 복수의 스파이크 각각에 2개의 편물의 루프가 배치되며, 2개의 편물의 루프 중 하나는 편물의 로우의 1개의 반부에 속하고, 다른 하나는 편물의 동일한 로우의 다른 반부에 속한다. 사용되는 봉제 또는 루핑 작업용 헤드에 일반적으로, 봉제 체인 스티치를 형성하기 위해 협동하는 2개의 부재, 예를 들면 2개의 바늘, 또는 바늘과 코바늘뜨게(crochet)가 구비된다. 서로에 대해 동시에 작동되고 또한 링의 축 주우의 반부 링의 회전 이동에 대해 동시에 작동되는 이들 2개의 부재 중 하나는, 각각의 순간에 부재의 스파이크와 함께, 반부 링 부재의 동일한 스파이크에 의해 운반되는 한 쌍의 편물의 루프내로 들어가서, 봉제 체인은 점진적으로 여러 쌍의 루프를 함께 묶어, 편물의 축방향 단부를 폐쇄시킨다.
이들 봉제 또는 루핑 작업용 헤드는 일반적으로, 봉제 또는 루핑될 편물을 지지하는 반부 링을 향해 또는 그로부터 멀리 이동되어, 봉제 또는 루핑 작동 동안에 반부 링에 가까워지고, 작동 정지시에는 이격되어, 반부 링의 스파이크로의 편물의 루프의 이송 작동 동안, 및 봉제 또는 루핑의 종료시에 편물을 제거하는 작동 동안에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이들 봉제 또는 루핑 작업용 헤드에, 봉제 또는 루핑 작동의 종료시에 봉제 체인 스티치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 부재가 장착된다.
절단 부재가 장착되는 이들 봉제 또는 루핑 작업용 헤드는, 일반적으로 봉제 또는 루핑 동안에 편물을 지지하는 반부 링의 회전 방향을 따라 봉제 체인 스티치가 형성되는 영역의 하류에 배치되며, 이들 봉제 또는 루핑 작업용 헤드는, 일반적으로, 한 쌍의 봉제 부재의 앞을 통과한 반부 링의 마지막 스파이크로부터 연장되는 봉제 체인 스티치의 부분과 맞물리도록 명령에 따라 이동될 수 있는 후크형 부재, 및 봉제 부재 자체로 구성된다. 클립 및 블레이드는 각각 후크형 부재에 측방향으로 인접하고, 각각 봉제 체인 스티치와 맞물려 봉제 체인 스티치를 절단하도록 디자인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편물과 결합되는 봉제 체인 스티치의 부분은 봉제 또는 루핑 작업용 헤드로부터 분리되고, 후크형 부재로부터 봉제 부재로 연장되는 봉제 체인 스티치의 나머지 부분은 그 단부가 후크형 부재와 클립 사이에 클램핑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들 봉제 또는 루핑 작업용 헤드는, 주로 사용되는 절단 부재로 인한 몇 가지 단점을 가진다.
봉제 또는 루핑 작동 동안에 편물을 지지하는 반부 링의 회전 방향을 따라 봉제 부재의 하류에 배치되는 절단 부재의 배치로 인해, 후크형 부재가 봉체 체인 스티치와 맞물려 봉제 체인 스티치를 절단하도록, 편물의 봉제된 부분의 최종 단부가 후크형 부재와 대면할 수 있게 하기 위해, 편물에 대해 수행되는 봉제 작동의 종료시에 초과되는 봉제 체인 스티치의 부분이 생기는 것이 강요된다. 이러한 봉제 체인 스티치의 초과 부분은 절단 부재에 의해, 봉제 공정의 종료시에 편물의 봉제된 부분의 마지막 단부 근처에서 절단되며, 또한, 초과 부분이 편물에 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편물의 봉제된 부분의 시작 단부가 후크형 부재에 인접하여 통과하는 때인 새로운 봉제 공정의 시작시에 절단된다. 이러한 절단에서, 새로운 봉제 작동의 시작시에, 절단 부재는, 후크형 부재가 편물의 근처에서 봉제 체인 스티치와 분리 및 다시 맞물리는 동안에 봉제 체인 스티치의 부분을 유지하는 흡입부에 의해 지원(assist)된다. 흡입부로부터 이격되는 이러한 초과 봉제 체인 스티치는, 대량 생산의 경우에, 막대한 실의 소비이고 따라서 추가 비용이 된다.
또한, 이러한 봉제 체인 스티치의 초과 부분은, 일단 봉제 작동이 종료되었을 때, 초과 부분을 후크형 부재와 맞물리기에 적합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반부 링을 추가 원호를 통해 회전시키는 필요성과 함께, 봉제 또는 루핑 작동을 완료하는 데에 필요한 시간을 불가피하게 증가시키고, 결과적으로 편물의 축방향 단부의 자동화된 폐쇄를 위한 작동에 의해 요구되는 전체 시간에 부정적 효과를 가진다. 또한, 이러한 시간의 증가는, 절단 부재가 봉제 체인 스티치를 절단한 후에, 일반적으로 반부 링이 링의 축 주위의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되어야 한다는 사실로 인해 더욱 악화된다.
본 발명의 목표는, 봉제 또는 루핑 작동에 의해 요구되는 시간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는, 특히 관형 편물의 축방향 단부들 중 한 단부에서 관형 편물의 자동화된 폐쇄를 위한 봉제 또는 루핑 작업용 헤드를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표 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봉제 또는 루핑의 실행에서 실의 소모를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게 하는 봉제 또는 루핑 작업용 헤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봉제 또는 루핑 체인 스티치를 절단함에 있어서 높은 신뢰성 및 정밀성을 가진 봉제 또는 루핑 작업용 헤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흡입 포트의 사용을 필요로 하지 않는 봉제 또는 루핑 작업용 헤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에서 더욱 명백하게 될 이러한 목표, 이들 목적 및 다른 목적은, 특히 관형 편물의 축방향 단부들 중 하나의 단부에서 관형 편물의 자동화된 폐쇄(closing)를 위한 봉제 또는 루핑 작업용 헤드에 있어서, 대응 작동 경로들을 따라 이동되고, 봉제 체인 스티치를 형성함에 있어서 서로 협동할 수 있는 한 쌍의 봉제 부재, 및 상기 봉제 체인 스티치를 절단하기 위해 작동될 수 있는 절단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절단 부재는, 상기 한 쌍의 봉제 부재의 상기 경로들의 교차점 또는 상기 봉제 체인 스티치가 형성되는 지점 근처에서 상기 봉제 체인 스티치와 맞물릴 수 있는, 봉제 또는 루핑 작업용 헤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에서 비제한적 예로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의 바람직하지만 배타적이 아닌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봉제 또는 루핑 작업용 헤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절단 부재가 정지 위치에 있는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봉제 또는 루핑 작업용 헤드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3은, 절단 부재가 정지 위치에 있는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봉제 또는 루핑 작업용 헤드의 부분 단면 평면도이다.
도 4는, 절단 부재가 작동의 중간 위치에 있는 상태의, 절단 부재에 관련된 도 2의 상세도이다.
도 5는, 절단 부재가 절단 위치에 있는 상태의, 도 4와 동일한 상세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봉제 또는 루핑 작업용 헤드의 정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대체로 도면부호 1로 표시된 본 발명에 따른 봉제 또는 루핑 작업용 헤드는, 자체적으로 공지된 방식으로, 대응 작동 경로를 따라 서로에 대해 동기화된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고, 도 4 및 도 6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봉제 체인 스티치(30)를 형성함에 있어 서로 협동하는 한 쌍의 봉제 부재를 포함한다. 제공될 봉제의 유형에 따라, 그러한 쌍의 부재는 2개의 바늘에 의해, 또는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바늘(2) 및 코바늘뜨게(3)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면, 바늘(2)은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며, 바늘의 팁 근처에 아이(eye)가 구비되며, 바늘(2)에 실이 꿰어진다. 바늘(2)은, 팁에 대해 반대쪽에 놓이는 단부에 의해, 자체 축 주위로 진동 이동될 수 있는 샤프트(4)에 고정된다. 코바늘뜨게(3) 역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며, 코바늘뜨게(3)의 팁 근처에 아이가 구비되며, 코바늘뜨게(3)에 실이 꿰어진다. 코바늘뜨게(3)는, 팁에 대해 반대쪽에 놓이는 단부에 의해, 자체 축 주위로 진동 이동될 수 있는 샤프트(5)에 고정되며, 코바늘뜨게(3)는, 바늘(2)의 이동과 코바늘뜨게(3)의 이동이 서로에 대해 동기화되도록, 샤프트(4)에 동적으로 연결된다.
실제로, 바늘(2)은, 제1 작동 평면 상에 배치되는 경로를 따라 작동되며, 코바늘뜨게(3)는, 제1 작동 평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인 제2 작동 평면 상에 배치되는 경로를 따라 작동된다. 이들 2개의 경로는 서로 교차되고, 봉제 체인 스티치(30)의 형성은 이러한 교차점 근처에서 시작된다.
그러한 교차점 근처에서, 자체적으로 공지된 방식으로, 창(spear) 부재 또는 후크(6)는 봉제 체인 스티치(30)를 지지하기 위해 구비되며, 후크(6)는 그 팁(6a)이, 봉제 또는 루핑되는 편물의, 화살표(40)로 표시된 전진 방향을 따라 향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바늘(2)은 이동시에 후크(6)의 한 쪽을 통과하며, 바늘(2)은, 화살표(40)에 의해 표시된 방향에 대해 평행하거나 접선이고, 이하에서 더욱 명백하게 되듯이, 후크(6)의 팁(6a)의 방향과 매칭되는 경로를 따라 전진하도록 이루어지는 편물과 주기적으로 결합되도록 디자인된다. 코바늘뜨게(3)는 이동시에 바늘(2)에 대해 반대쪽에 놓이는 후크(6)의 쪽을 통과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봉제 체인 스티치(30)는 후크(6) 주위에 형성되며, 존재할 경우에는 편물과 결합된 상태로 존재한다. 편물의 전진으로 인해, 봉제 체인 스티치(30)는 후크(6)의 팁(6a)으로부터 점진적으로 분리된다.
본 발명에 따라, 봉제 또는 루핑 작업용 헤드는, 한 쌍의 봉제 부재(2, 3)의 경로의 교차점 근처에서, 즉 바늘(2) 및 코바늘뜨게(3)의 경로의 교차점 근처에서, 또는 봉제 체인 스티치(30)의 형성점 근처에서, 봉제 체인 스티치(30)와 맞물리기에 적합한 절단 부재(1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절단 부재(10)는, 봉제 체인 스티치(30)의 형성점으로부터, 실질적으로 3 mm와 15 mm 사이의 거리에서 봉제 체인 스티치(30)와 맞물릴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절단 부재(10)는 후크(6)의 팁(6a) 근처에서 봉제 체인 스티치(30)와 맞물릴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절단 부재는 가위 형상을 가지며, 후크(6)의 팁(6a)이 향하는 방향(40)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인 절단 평면(31) 상에서 작용한다.
절단 평면(31)은 바람직하게 후크(6)의 팁(6a)과 대면하고, 팁(6a)으로부터 1 mm와 10 mm 사이의 거리에 배치된다.
실제로, 후크(6)는 그 팁(6a)이, 바늘(2)의 작동 평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인 방향을 향하며, 절단 평면(31), 즉 가위 형상의 절단 부재(10)가 개방 및 폐쇄되는 평면은 실질적으로 바늘(2)의 작동 평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절단 부재(10)는 실질적으로, 상보적 블레이드(12)를 정의하는 제1 암(11), 및 상보적 블레이드(12)와 대면하는 블레이드(14)를 정의하며 제1 암(11)에 의해 지지되는 제2 암(13)으로 구성된다. 제1 암(11) 및 제2 암(13)은, 가위의 팁에 대해 반대쪽 단부를 구성하는, 암들의 길이방향 단부들 중 하나의 단부 근처에서 서로에 대해 피봇축(15) 주위로 피봇된다. 제2 암(13)은, 가위를 개방 및 폐쇄시키기 위해, 위에서 "절단 평면"으로 정의된 평면상에서, 피봇축(15) 주위로 제1 암(11)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제1 암(11)은, 봉제 동안에 편물의 전진 방향 또는 방향(40)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인 미끄럼 방향(16)을 따라 미끄러질 수 있도록, 여기에서 고려되고 있는 봉제 또는 루핑 작업용 헤드의 지지 구조물(18)과 관련되는 지지 블럭(17)에 의해 지지된다. 봉제 또는 루핑 작업용 헤드는, 정지 위치로부터 절단 위치로, 미끄럼 방향(16)을 따른 절단 부재(10)의 제어된 이동을 수행하기 위한 제1 작동 수단을 포함하며, 정지 위치에서,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 부재(10)는 그 개방 팁이, 후크(6)의 팁(6a)을 연장시키는 가상선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되고, 절단 위치에서, 특히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 부재(10)는 그 팁이, 후크(6)의 팁(6a)을 연장시키는 가상선과 교차된다.
그러한 제1 작동 수단은 유체 작동 실린더(19)를 포함하며, 유체 작동 실린더(19)의 본체는 봉제 또는 루핑 작업용 헤드의 지지 구조물(18)에 연결되고, 미끄럼 방향(16)에 대해 평행하게 향한 피스톤의 스템에 의해, 가위의 팁을 구성하는 단부에 대해 반대쪽에 놓이는 제1 암(11)의 단부에 작용한다. 유체 작동 실린더(19)의 피스톤의 작용은, 유체 작동 실린더(19)의 피스톤의 작용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피스톤(21)에 의해 제1 암(11)에 작용하는 스프링(20)에 의해 구성되는 탄성 복귀 수단의 작용에 의해 대항된다.
편리하게, 제2 작동 수단이 구비되며, 제2 작동 수단은, 지지 블럭(17)에 대해 미끄럼 방향(16)을 따른 제1 암(11)의 이동의 결과로, 절단 부재(10)의 제2 암(13)을 피봇축(15) 주위로 제1 암(11)에 대해 회전시키기 위해 절단 부재(10)의 제2 암(13)에 작용한다. 그러한 제2 작동 수단은 하나 이상의 캠형 프로파일을 포함하며, 캠형 프로파일은 지지 블럭(17)에 조인트식으로 연결되며, 캠 종동자(cam follower)로서 구비되는 제2 암(13)의 대응 부분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작동 수단은, 지지 블럭(17) 내에 형성되는 상부 캠형 프로파일(22)과 하부 캠형 프로파일(23)을 포함하고, 상부 캠형 프로파일(22)과 하부 캠형 프로파일(23)은 제2 암(13)의 양쪽과 대면하며, 제2 암(13)은, 상부 캠형 프로파일(22)과 결합될 수 있는 상부 부분(24), 및 하부 캠형 프로파일(23)과 결합될 수 있는 하부 부분(25)을 구비한다. 실제로, 미끄럼 방향(16)을 따른 제1 암(11)의 병진 이동 동안에, 정지 위치로부터 절단 위치로의 절단 부재(10)의 통과 동안에, 상부 부분(24)은 상부 캠형 프로파일(22)과 결합되고, 상부 캠형 프로파일(22)은, 이러한 병진 이동의 종료 근처에서, 가위를 폐쇄시키도록 제2 암(13)을 피봇축(15) 주위로 제1 암(11)에 대해 회전시키며, 미끄럼 방향(16)을 따른 제1 암(11)의 반대방향 병진 이동 동안에, 하부 부분(25)은 하부 캠형 프로파일(23)과 결합되고, 하부 캠형 프로파일(23)은, 가위를 재개방시키도록 제2 암(13)을 반대방향으로 피봇축(15) 주위로 제1 암(11)에 대해 회전시킨다.
편리하게, 본 발명에 따른 봉제 또는 루핑 작업용 헤드는 절단 부재(10)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그러한 수단은, 절단 부재(10)의 정지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하며, 그러한 센서는 단순히, 절단 부재(10)가 정지 위치에 있을 때 제1 암(11)의 전기 전도 영역(27)에 의해 접촉될 수 있는 전기 전도 재료로 이루어지는 플레이트(26)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실제로, 플레이트(26)와 제1 암(11)의 전기 전도 영역(27)은, 이들 2개의 부재의 접촉에 의해 폐쇄되는 전기 제어 회로를 따라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봉제 또는 루핑 작업용 헤드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봉제 또는 루핑될 편물은, 자체적으로 공지된 방식으로, 간결성을 위해 도시되지 않았고 복수의 상호 균일하게 이격되는 스파이크가 구비되는 적절하게 구비되는 지지 부재에 장착되어, 그러한 스파이크 각각은, 봉제 또는 루핑에 의해 결합될 한 쌍의 편물의 루프를 운반한다. 그러면, 봉제 또는 루핑 작업용 헤드(1)는, 코바늘뜨게(3)에 대해 반대쪽에 놓이는 후크(6)의 측부에 지지 부재가 인접하도록, 지지 부재에 대해 위치된다. 다음에는, 편물이 배치되는 지지 부재는, 후크(6)의 팁(6a)의 방향에 의해 식별되는 방향(40)에 대해 평행하거나 그에 대해 접선인 전진 경로를 따라, 바늘(2)과 코바늘뜨게(3)의 작동 속도와 상관되는 전진 속도로 이동되어, 각각의 순간에, 바늘(2)은 지지 부재의 스파이크 중 하나와 결합되어, 그러한 스파이크에 배치되는 2개의 편물의 루프를 결합시킨다. 바늘(2)과 코바늘뜨게(3)의 결 합된 작동 및 후크(6)의 존재로 인해, 편물과 결합되고 후크(6) 주위에 감기는 봉제 체인 스티치(30)가 형성된다. 후크(6)의 존재는, 편물의 루프가 없을 때에도 봉제 체인 스티치(30)의 형성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편물의 전진 경로를 따라 편물이 점진적으로 전진되면, 봉제 체인 스티치(30)는 후크(6)로부터 점진적으로 분리된다.
봉제 또는 루핑 작동 동안에, 절단 부재(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 위치에 유지된다.
봉제 또는 루핑 작동의 종료시에, 유체 작동 실린더(19)는 작동되고, 절단 부재(10)를 정지 위치로부터 절단 위치로 이동시키며, 동시에 가위를 봉제 체인 스티치(30)를 향해 전진시키고 가위를 폐쇄시키는데, 이러한 방식으로 봉제 체인 스티치(30)의 절단이 달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 암(11)의 전진 이동 동안에, 제2 암(13)의 상부 부분(24)은 상부 캠형 프로파일(22)과 결합되어, 가위를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제2 암(13)을 제1 암(11)에 대해 회전시킨다. 이러한 회전은 하부 캠형 프로파일(23)이 존재함으로써 가능하다.
유체 작동 실린더(19)가 정지되면, 스프링의 탄성 반작용의 결과로, 절단 부재(10)가 정지 위치로 복귀되고, 제2 암(13)의 하부 부분(25)이 하부 캠형 프로파일(23)과 결합하는 결과로, 가위가 개방된다. 이러한 경우에, 개방을 위해 제2 암(13)이 축(15) 주위로 제1 암(11)에 대해 회전되는 것은 상부 캠형 프로파일(22)이 존재함으로써 가능하다.
절단 부재(10)는, 봉제 체인 스티치(30)가 형성되는 지점에 매우 근접하는 영역에서 봉제 체인 스티치(30)를 절단하고, 따라서 체인 스티치(30)의 초과 부분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봉제 또는 루핑되는 편물의 지지 부재의 행정은 편물의 연장부와 같거나 단지 약간만 길 수 있다.
실제로, 본 발명에 따른 봉제 또는 루핑 작업용 헤드는 의도한 목표를 완전히 달성하는데, 그것은 봉제 또는 루핑 작업용 헤드가 봉제 또는 루핑 작동을 가속시키고, 봉제를 수행하는 데에 필요한 실의 양을 감소시키기 때문이라는 것이 알려졌다.
본 발명에 따른 봉제 또는 루핑 작업용 헤드는, 특히 관형 편물의 축방향 단부들 중 하나의 단부에서의 관형 편물의 자동화된 폐쇄를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고려되었지만, 바람직하게, 직선적 지지 부재, 환형 부재 또는 반환형 부재에 장착되는 봉제 또는 루핑 편물을 위한 다른 작동에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고안된 봉제 또는 루핑 작업용 헤드는 여러 가지로 수정 및 변경될 수 있으며, 그러한 모든 수정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있고, 모든 상세사항은 다른 기술적으로 균등한 부재로 더욱 대치될 수 있다.
실제로, 사용된 재료 및 크기는 요구사항 및 기술 수준에 따라 어떠한 것도 될 수 있다.
본 출원이 우선권을 주장하는 이탈리아 특허출원 번호 MI2008A001006의 내용은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임의의 청구항에서 언급되는 기술적 면모(features)에 도면부호가 뒤따르는 경우에, 그러한 도면부호는 단지 청구범위의 이해도를 증가시키는 목적으로만 포함되었고, 따라서, 그러한 도면부호는 그러한 도면부호에 의해 예로서 식별되는 각각의 부재의 해석에 어떠한 제한적 효과도 가지지 않는다.
2, 3: 봉제 부재
6: 후크
10: 절단 부재
30: 봉제 체인 스티치

Claims (14)

  1. 관형 편물의 축방향 단부들 중 하나의 단부를 자동식 폐쇄(automated closing)하기 위한 봉제 또는 루핑 작업용 헤드에 있어서,
    각각의 대응 작동 경로들을 따라 이동되고, 봉제 체인 스티치(30)를 형성함에 있어서 서로 협동할 수 있는 한 쌍의 봉제 부재(2, 3), 및
    상기 봉제 체인 스티치(30)를 절단하기 위해 작동될 수 있는 절단 부재(10)
    를 포함하며,
    상기 절단 부재(10)는, 봉제 체인 스티치(30)가 형성되는 지점으로부터 3 mm와 15 mm 사이의 거리에서 상기 봉제 체인 스티치(30)와 맞물릴 수 있으며,
    상기 봉제 부재는, 상기 봉제 체인 스티치(30)를 형성하도록 교차하는 상기 대응 작동 경로를 따라 이동될 수 있는 바늘(2) 및 코바늘뜨게(crochet)(3)를 포함하며,
    형성 중인 봉제 체인 스티치(3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후크(6)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 후크(6)는 상기 작동 경로의 상기 교차점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 후크(6)는, 상기 후크(6)의 팁(6a)이 봉제 또는 루핑되고 있는 상기 편물의 전진 방향(40)을 향하고 있고,
    상기 절단 부재(10)는 상기 봉제 체인 스티치(30)의 상기 지지 후크(6)의 상기 팁(6a)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봉제 체인 스티치(30)와 맞물릴 수 있는,
    봉제 또는 루핑 작업용 헤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부재(10)는 가위 형상인, 봉제 또는 루핑 작업용 헤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부재(10)는 가위 형상이며, 상기 봉제 체인 스티치(30)의 상기 지지 후크(6)의 상기 팁(6a)의 방향인 상기 전진 방향(40)에 대해 직각인 절단 평면(31)에서 작동하는, 봉제 또는 루핑 작업용 헤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평면(31)은 상기 봉제 체인 스티치(30)를 지지하기 위한 상기 지지 후크(6)의 상기 팁(6a)과 대면하고 있는, 봉제 또는 루핑 작업용 헤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평면(31)은, 상기 봉제 체인 스티치(30)의 상기 지지 후크(6)의 상기 팁(6a)으로부터 1 mm와 10 mm 사이의 거리에 배치되어 있는, 봉제 또는 루핑 작업용 헤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2)은, 봉제되고 있는 상기 편물의 전진 방향(40)에 대해 직각인 제1 작동 평면에서 상기 대응 작동 경로를 따라 이동되고, 상기 편물과 주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코바늘뜨게(3)는, 상기 제1 작동 평면에 대해 직각인 제2 작동 평면에서 상기 대응 작동 경로를 따라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절단 평면(31)은 상기 제1 작동 평면에 대해 평행한,
    봉제 또는 루핑 작업용 헤드.
  7. 제3항에 있어서,
    가위형 상기 절단 부재(10)는, 상보적 블레이드(12)를 형성하는 제1 암(11), 및 상기 상보적 블레이드(12)와 대면하는 블레이드(14)를 형성하는 제2 암(13)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 암(11) 및 상기 제2 암(13)은, 상기 가위의 팁의 반대쪽에 위한 상기 가위의 단부를 형성하는 길이방향 단부들 중 하나의 단부 근처에서 서로에 대해 피봇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암(11)은, 상기 가위를 개방 및 폐쇄시키기 위해 상기 절단 평면(31)에서 대응 피봇축(15) 주위로 상기 제2 암(13)에 대해 회전될 수 있는,
    봉제 또는 루핑 작업용 헤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암(11)은, 봉제 과정에서 상기 편물의 전진 방향(40)에 대해 직각인 미끄럼 방향(16)을 따라 미끄러질 수 있도록, 상기 봉제 또는 루핑 작업용 헤드의 지지 구조물(18)과 관련되어 있는 지지 블럭(17)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상기 봉제 또는 루핑 작업용 헤드는, 정지 위치로부터 절단 위치로, 미끄럼 방향(16)을 따른 상기 절단 부재(10)의 통과를 위한 제어된 이동을 위해 상기 제1 암(11)을 작동시키기 위한 제1 작동 수단(19)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정지 위치에서, 상기 절단 부재(10)는 그 개방 팁이, 상기 봉제 체인 스티치(30)의 상기 지지 후크(6)의 팁(6a)을 연장시키는 가상선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절단 위치에서, 상기 절단 부재는 그 팁이, 상기 봉제 체인 스티치(30)의 상기 지지 후크(6)의 팁(6a)을 연장시키는 상기 가상선과 교차되는,
    봉제 또는 루핑 작업용 헤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봉제 또는 루핑 작업용 헤드는 제2 작동 수단(22, 23)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작동 수단(22, 23)은, 상기 지지 블럭(17)에 대해 상기 미끄럼 방향(16)을 따른 상기 제1 암(11)의 이동의 결과로, 상기 절단 부재(10)의 상기 제2 암(13)을 상기 피봇축(15) 주위로 상기 제1 암(11)에 대해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절단 부재(10)의 상기 제2 암(13)에 작용하는,
    봉제 또는 루핑 작업용 헤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작동 수단은 하나 이상의 캠형 프로파일(22, 23)을 포함하며,
    상기 캠형 프로파일(22, 23)은 상기 지지 블럭(17)에 조인트식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 블럭(17)에 대해 상기 미끄럼 방향(16)을 따른 상기 제1 암(11)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절단 부재(10)의 상기 제2 암(13)의 부분과 결합될 수 있는,
    봉제 또는 루핑 작업용 헤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작동 수단은 유체 작동 실린더(19)를 포함하며,
    상기 유체 작동 실린더(19)는, 탄성 복귀 수단(20)의 작용에 대항하여 상기 정지 위치로부터 상기 절단 위치로 미끄럼 작동 방향인 상기 미끄럼 방향(16)을 따른 상기 절단 부재(10)의 상기 제1 암(11)의 이동을 위해, 상기 절단 부재(10)의 상기 제1 암(11)에 작용하는,
    봉제 또는 루핑 작업용 헤드.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봉제 또는 루핑 작업용 헤드는, 상기 절단 부재(10)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26, 27)을 더 포함하는, 봉제 또는 루핑 작업용 헤드.
  13. 삭제
  14. 삭제
KR1020107027780A 2008-05-30 2009-03-17 특히 관형 편물의 축방향 단부에서 관형 편물의 자동화된 폐쇄를 위한 봉제 또는 루핑 작업용 헤드 KR1016185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001006A ITMI20081006A1 (it) 2008-05-30 2008-05-30 Testa di cucitura o di rimagliatura, particolarmente per la chiusura automatizzata di manufatti tubolari a maglia in corrispondenza di una loro estremita' assiale.
ITMI2008A001006 2008-05-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8274A KR20110028274A (ko) 2011-03-17
KR101618581B1 true KR101618581B1 (ko) 2016-05-09

Family

ID=40302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7780A KR101618581B1 (ko) 2008-05-30 2009-03-17 특히 관형 편물의 축방향 단부에서 관형 편물의 자동화된 폐쇄를 위한 봉제 또는 루핑 작업용 헤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631751B2 (ko)
EP (1) EP2300653B1 (ko)
JP (1) JP5462867B2 (ko)
KR (1) KR101618581B1 (ko)
CN (1) CN102046873B (ko)
ES (1) ES2499396T3 (ko)
HK (1) HK1152355A1 (ko)
HR (1) HRP20141021T1 (ko)
IT (1) ITMI20081006A1 (ko)
PL (1) PL2300653T3 (ko)
WO (1) WO20091440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130050A1 (it) * 2013-01-16 2014-07-17 Lonati Spa Procedimento per attuare la chiusura automatizzata di un'estremita' assiale di un manufatto tubolare e il suo scarico in assetto a rovescio ed apparecchiatura per la sua esecuzione.
ITMI20130296A1 (it) 2013-02-28 2014-08-29 Lonati Spa Procedimento per attuare la chiusura automatizzata di un'estremita' assiale di un manufatto tubolare e il suo scarico in assetto a rovescio ed apparecchiatura per la sua esecuzione.
ITUA20162241A1 (it) * 2016-04-01 2017-10-01 Staeubli Italia S P A Dispositivo di rimagliatura e macchina comprendente detto dispositivo
IT201700081389A1 (it) * 2017-07-18 2019-01-18 Complett K&S S R L Macchina cucitrice per cuciture decorative e funzionali
TWI749282B (zh) * 2018-01-18 2021-12-11 大康織機股份有限公司 縫合管狀針織物開口端之縫紉機及其編織方法
CN108360150A (zh) * 2018-04-19 2018-08-03 浙江叶晓针织机械有限公司 袜头缝合装置
CN108978060B (zh) * 2018-09-28 2024-02-20 浙江越发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成形袜机袜子缝头处的剪刀装置
TWI722404B (zh) * 2019-03-28 2021-03-21 大康織機股份有限公司 管狀針織物件的縫合剪切裝置及其使用方法
IT201900009615A1 (it) 2019-06-20 2020-12-20 Santoni & C Spa Dispositivo rovesciatore di manufatti tubolari a maglia e metodo per il rovesciamento di un manufatto tubolare a maglia
IT201900012417A1 (it) 2019-07-19 2021-01-19 Da Kong Entpr Co Ltd Dispositivo di cucitura o di rimagliatura per la chiusura di un manufatto tubolare a maglia
TW202104710A (zh) * 2019-07-30 2021-02-01 大康織機股份有限公司 管狀針織物件的縫合剪切裝置
IT201900017141A1 (it) 2019-09-24 2021-03-24 Da Kong Entpr Co Ltd Dispositivo di cucitura o di rimagliatura per la chiusura di un manufatto tubolare a maglia
CN218666636U (zh) * 2022-10-24 2023-03-21 浙江博睿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剪线装置以及自动缝合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5976A (ja) * 2002-08-01 2004-03-04 Lonati Spa 特に靴下類の爪先部又は筒状製品全般の軸方向端部の縫合を行う縫製方法、及びこの縫製方法を実施す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79059A (en) * 1948-11-12 1951-12-18 Vanadia Frank Sewing machine with chain stitch cutter
US2787231A (en) * 1955-11-15 1957-04-02 Floyd R Shoaf Stitching severing device for seaming machines
US2997009A (en) * 1958-03-12 1961-08-22 Lees & Sons Co James Tufting machine clamp cutter
NL237072A (ko) * 1958-03-14
DE1303137B (ko) * 1960-09-22 1971-05-06
US3252438A (en) * 1964-12-03 1966-05-24 Lu Ann Corp Cutting attachment for a sewing machine
GB1361858A (en) * 1971-06-27 1974-07-30 Singer Co Thread-cutting mechanism for sewing machines
IT1017974B (it) * 1974-08-07 1977-08-10 Rockwell Rimoldi Spa Dispositivo tagliafilo per filo di copertura di una macchina per cucire
US4020775A (en) * 1975-07-21 1977-05-03 Hanes Corporation Toe closing machine and method for panty hose
IT1124508B (it) * 1979-12-24 1986-05-07 Solis Srl Dispositivo per rifilare il bordo non cucito di un manufatto tubolare proma della cucitura di un tassello pecialmente in macchina per applica e un tassello a calzamutanda per signora
US4523535A (en) * 1984-07-30 1985-06-18 James Blackburn Stitch chain cutter for sewing machines
JPH05269284A (ja) * 1992-03-24 1993-10-19 Juki Corp ミシンの糸切り装置
JP3940220B2 (ja) * 1998-05-27 2007-07-04 Juki株式会社 ミシンの制御装置、および、ボタン穴かがりミシンの制御装置
JP2007068829A (ja) * 2005-09-08 2007-03-22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ミシンにおける切断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5976A (ja) * 2002-08-01 2004-03-04 Lonati Spa 特に靴下類の爪先部又は筒状製品全般の軸方向端部の縫合を行う縫製方法、及びこの縫製方法を実施す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00653B1 (en) 2014-07-30
US20110073028A1 (en) 2011-03-31
HK1152355A1 (en) 2012-02-24
CN102046873B (zh) 2014-04-30
JP5462867B2 (ja) 2014-04-02
PL2300653T3 (pl) 2015-01-30
WO2009144049A1 (en) 2009-12-03
ES2499396T3 (es) 2014-09-29
EP2300653A1 (en) 2011-03-30
JP2011521685A (ja) 2011-07-28
US8631751B2 (en) 2014-01-21
HRP20141021T1 (hr) 2014-12-19
KR20110028274A (ko) 2011-03-17
ITMI20081006A1 (it) 2009-11-30
CN102046873A (zh) 201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8581B1 (ko) 특히 관형 편물의 축방향 단부에서 관형 편물의 자동화된 폐쇄를 위한 봉제 또는 루핑 작업용 헤드
US7207194B2 (en) Weft knitting machine with movable yarn guide member
KR20080045071A (ko) 재봉기
KR102512372B1 (ko) 엮음 편직용 방적사 핑거를 가지는, 특히 이중 실린더 타입의 원형 양말류 편물기
EP3374554B1 (en) Method for preparing a tubular article, such as a sock or the like, for automated pickup at the end of its forming on a double cylinder circular machine with at least one feed or drop, and double cylinder circular machine for the execution thereof
TWI749282B (zh) 縫合管狀針織物開口端之縫紉機及其編織方法
KR200490925Y1 (ko) 장갑 편성기
KR0165631B1 (ko) 양말류의 편직물의 초기단부를 폐쇄하는 장치
WO2005028726A1 (ja) 横編機の端糸処理装置および方法
CZ295179B6 (cs) Způsob a mechanismus pro uzavírání špičky punčochy, podkolenky nebo ponožky na okrouhlém pletacím stroji
EP1812636B1 (en) Automatic sewing device for hosiery knitting machines
TWI444514B (zh) Striped tissue braiding device and weaving method for yarn feeder of circular knitting machine
KR910003189A (ko) 환편기에서의 급사절환 장치
KR101106728B1 (ko) 환편기의 파일편성장치
US3119360A (en) Machine for joining knitted fabrics
US4393799A (en) Attachment of knitted fabric strip to a piece of fabric
EP395351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tubular knitted articles with a closed toe
CN109853125A (zh) 一种缝合装置中的剪线装置
CZ2001428A3 (cs) Zařízení a způsob automatického podávání špičky ponožky do šicího stroje a ponožka
JPH0586561A (ja) 横編機における筒状編地の編成方法及びその装置
WO2022191204A1 (ja) 横編機によるパンチレース編地の編成方法
KR101555901B1 (ko) 환형 편물기용 루프 절단 장치
MXPA02002726A (es) Metodo y dispositivo para coser mecanicamente una costura de punto de cadeneta doble.
CZ20023715A3 (en) Method for closing toes in knitting machine
CZ20023028A3 (en) Device for closing toes in knitt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