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9307B1 - 장갑편직기의 편직사의 절단 마무리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장갑편직기의 편직사의 절단 마무리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9307B1
KR100629307B1 KR1020060061091A KR20060061091A KR100629307B1 KR 100629307 B1 KR100629307 B1 KR 100629307B1 KR 1020060061091 A KR1020060061091 A KR 1020060061091A KR 20060061091 A KR20060061091 A KR 20060061091A KR 100629307 B1 KR100629307 B1 KR 100629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ad
cutting
knitting
bar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1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근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성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성정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성정밀
Priority to KR1020060061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93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9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9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34Devices for cutting knitted fabric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2Arrangements for cutting-out, or shapes of, glove blank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8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glov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48Thread-feed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54Thread guides
    • D04B15/56Thread guide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7/00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 D04B37/02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with weft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9/00Knitting processes, apparatus or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3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7/32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tubular goods
    • D04B7/34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tubular goods glov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10B2501/041Gl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사구로부터 바늘판 위의 편침에 편직실이 공급되어 소지부의 손가락을 편성한 후, 이어서 약지, 중지, 인차지(검지)의 편성에 있어, 편성완료부에서 다음의 편성시작부로 이동시에 대기하고 있던 실절단유도부재가 편성완료부의 편직실을 절단하여 절단된 실이 편성완료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동시에, 분리된 급사구의 실은 실절단유도부재가 물고 다음의 편성시작부에 위치시키며 다시 편성이 행하여지도록 함으로서, 편직실의 절단 및 편성완료부로의 실의 유입이 하나의 실절단유도부재에 의하여 행하도록 되어 별도의 절단실을 유도하는 부품과 또한 다음의 편성시작부로의 편성실을 유도하는 부품의 설치가 필요 없음에 따라서 부품의 간략화로 인하여 생산원가를 저렴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컷팅된 잉여실이 편성시작부의 마무리쪽으로 유입되어 편성되어서 장갑의 경우 소지, 약지, 중지, 인차지(검지) 및 엄지의 마무리부분이나 손가락 갈래부분으로의 컷팅실 또는 잉여실의 노출이 없이 깔끔한 편성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장갑편직기의 편직사의 절단 마무리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바늘판(30)의 위에 바늘판(30)을 따라서 평행하게 설치되어 급사구절단유지바구동모터(110)에 의하여 왕복구동되는 급사구절단유지바(100)에, 승강편유지가이드(310)가 대향하게 형성된 사이에 실을 절단 및 유지하는 실유도승강편(320)이 승강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실절단유도부재(300)가 형성되고, 상기 급사구절단유지바(100)의 배면에 실절단유도부재구동바구동모터(210)에 의하여 왕복구동되는 실절단유도부재구동바(200)에 경사장공(250)이 형성되어 이 경사장 공(250)에 상기 실절단유도부재(300)의 실유도승강편(320)의 돌출핀(322)이 안내 유도되어서, 상기 실절단유도부재구동바(200)의 왕복구동이 상기 실유도승강편(320)을 승강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급사구절단유지바(100)의 실절단유도부재(300)의 승강편유지가이드(310)의 한쪽에 칼날(312)이 형성되고, 다른 한쪽에 실협지면(313)이 형성되어, 상기 실절단유도부재구동바(200)의 왕복구동에 의하여 승강되는 실절단유도부재(300)의 실유도승강편(320)에 형성된 후크면(321)에 안내되는 실이 상기 승강편유지가이드(310)의 칼날(312)에 절단되고, 승강편유지가이드(310)의 실협지면(313)에 협지 유지되어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실절단유도부재(300)의 승강편유지가이드(310)들은 상기 급사구절단유지바(100)의 실처리부품장착시트면(120)에 힌지나사(160)에 의하여 유지되고, 텐션스프링(311)에 의하여 승강편유지가이드(310)의 칼날(312) 및 실협지면(313)쪽으로 부세하게 유지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실절단유도부재(300)의 실유도승강편(320)은 실유도승강편(320)의 돌출핀(322)이 상기 실처리부품장착시트면(120)의 세로슬라이드장공(170)에 관통되어 상기 실절단유도부재구동바(200)의 경사장공(250)에 삽입되어서, 상기 실절단유도부재구동바(200)의 왕복구동이 상기 실유도승강편(320)을 승강하도록 되어 있다.
급사구절단유지바, 실절단유도부재, 승강편유지가이드, 실유도승강편, 실절 단유도부재구동바, 실처리부품장착시트면, 고정유지나사

Description

장갑편직기의 편직사의 절단 마무리 처리장치{Cutting of knitting yarn and finishing apparatus of glove knitting machine}
도 1 은 종래의 장갑편직기의 일부절결 측면도,
도 2a,b,c,d,e 는 종래의 장갑편직기의 편직사의 후크 및 컷팅장치의 측면 및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편직사의 절단 마무리 처리장치가 장착된 장갑편직기의 사시도,
도 4a,b 는 본 발명의 편직사의 절단 마무리 처리장치가 장착된 장갑편직기의 측면도 및 확대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절단유도부재구동바, 급사구절단유지바 및 실절단유도부재의 결합 사시도,
도 6 는 본 발명의 실절단유도부재구동바, 급사구절단유지바 및 실절단유도부재의 분리 사시도,
도 7a,b,c 는 본 발명의 실절단유도부재구동바, 급사구절단유지바 및 실절단유도부재의 요부확대 사시도,
도 8a 는 본 발명의 급사구절단유지바의 정면도,
도 8b 는 본 발명의 실절단유도부재구동바의 정면도,
도 8c 는 본 발명의 실절단유도부재구동바, 급사구절단유지바 및 실절단유도부재의 결합 정면도,
도 9a,b,c 는 본 발명의 실절단유도부재구동바, 급사구절단유지바 및 실절단유도부재의 요부확대 정면도,
도 10a∼l 은 본 발명의 편직 과정예의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급사구절단유지바 110 : 급사구절단유지바구동모터
111 : 래크 112 : 피니언
120 : 실처리부품장착시트면 130 : 가로슬라이드장공
140 : 고정유지나사 150 : 유지편
160 : 힌지나사 170 : 세로슬라이드장공
200 : 실절단유도부재구동바 210 : 실절단유도부재구동바구동모터
211 : 래크 212 : 피니언
220 : 연결바 230 : 안내봉
240 : 나사고정구멍 250 : 경사장공
300 : 실절단유도부재 310 : 승강편유지가이드
311 : 텐션스프링 312 : 칼날
313 : 실협지면 314 : 스프링유지나사
315 : 스프링유지돌기 320 : 실유도승강편
321 : 후크면 322 : 돌출핀
330 : 보호커버 331 : 고정나사
본 발명은 앞, 뒤로 1쌍의 바늘판이 대향하게 형성된 장갑편직기나 양말편직기 등의 편직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급사구로부터 바늘판 위의 편침에 편직실이 공급되어 소지부의 손가락을 편성한 후, 이어서 약지, 중지, 인차지(검지)의 편성에 있어, 편성완료부에서 다음의 편성시작부로 이동시에 대기하고 있던 실절단유도부재가 편성완료부의 편직실을 절단하여 절단된 실이 편성완료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동시에, 분리된 급사구의 실은 실절단유도부재가 물고 다음의 편성시작부에 위치시키며 다시 편성이 행하여지도록 함으로서, 편직실의 절단 및 편성완료부로의 실의 유입이 하나의 실절단유도부재에 의하여 행하도록 되어 별도의 절단실을 유도하는 부품과 또한 다음의 편성시작부로의 편성실을 유도하는 부품의 설치가 필요 없음에 따라서 부품의 간략화로 인하여 생산원가를 저렴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컷팅된 잉여실이 편성시작부의 마무리쪽으로 유입되어 편성되어서 장갑의 경우 소지, 약지, 중지, 인차지(검지) 및 엄지의 마무리부분이나 손가락 갈래부분으로의 컷팅실 또는 잉여실의 노출이 없이 깔끔한 편성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장갑편직기의 편직사의 절단 마무리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갑편직기에서의 장갑의 편직은, 바늘판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급사구로부터 바늘판 위의 각 편성을 담당하는 편성부의 편침에 편직실이 공급되어 새끼손가락부인 소지부위에서부터 시작하여 약지, 중지, 인차지(검지)를 순차 편직하고, 4본동의 편성과 그것에 이어서 손바닥부위를 편직하며, 이어서 엄지손가락부위를 편직한 후, 손의 삽입부위, 고무사 편직 및 X사 편직을 순차적으로 편직하게 된다.
각 손가락은, 손가락 마무리끝단의 편직이 시작하는 쪽으로 하여 기초끝단쪽의 손가락 갈래부를 향하여 적당한 길이의 손가락부가 편성된다.
이 편성을 각 손가락의 편성에 대하여 행하면 손가락 기초끝단부와 다음에 편성하는 손가락의 앞 끝단부 사이에 편직 이동실이 생긴다.
이 때문에 장갑편직에서는, 이들 편직 이동실을 장갑편성 중에 컷팅함과 동시에, 파지하기 위한 이동실 컷팅파지장치와 컷팅한 이동실의 실 끝단부분을 손가락내에 삽입하기 위한 끝단실 삽입장치가 형성되어 있고 장갑편성 후에 있어서의 후 처리가 행하여지도록 하지 않으면 안된다.
도 1 과 같이 편직사의 컷팅장치(1)는 급사구(2)의 아래쪽의 바늘판(3)의 아래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컷팅장치(1)의 이동실 컷팅파지장치 및 끝단실 삽입장치는 구동원(도시생략)으로부터 동력이 전달받아 중간 동력전달에 의하여 구동되는 캠축에 칼 작동용·스티치이동용·루퍼블럭이동용·루퍼작동용·프레샤 캠들이 장착되어 각 구동부를 구동시키게 되는데, 칼구동용 캠에는 캠으로부터 도 2a,b,c,d,e에 나 타낸 바와 같이 캠슬리이브 및 연결로드(도시생략)와 연결되어 요동 구동하는 칼구동연결레버(10)와 후크구동용레버(20)가 각각의 칼구동바(11) 및 후크구동바(21)에 연결된다.
우선, 후크구동용레버(20)가 구동하여 후크구동바(21)가 도 2a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후크구동바(21)에 연결레버(22)와 비틀림스프링(23)으로 연결된 바늘후크(24)가 도 2b와 같이 상승하여 편직실(도시생략)를 바늘후크(24)에 걸고 이어서 후크구동바(21)의 역회전에 의하여 바늘후크(24)가 편직실을 바늘판(도시생략)의 아래쪽으로 끝어내린다.
이어서, 칼구동바(11)가 구동하면, 도 2c,d,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칼구동바(11)에 고정된 회동칼구동레버(12)의 회동하여 회동칼구동레버(12)는 회동칼구동아암(13)을 작동시키어 회동칼날(14)을 회동시킴에 따라서 편직실은 회동칼날(14)의 위쪽에 고정된 실유도판(15)에 안내되어서 회동칼날(14)의 아래에 고정된 고정칼날(16)에 상기 회동칼날(16)이 어긋물림 구동으로 편직실을 컷팅하게 된다.
위와 같이 편직사가 컷팅되면, 이어서 에어공급장치(도시생략)와 튜브(26)로 연결된 에어노즐(25)로부터 에어가 공급되어 컷팅된 컷팅실이 에어에 의하여 편직된 소지로 끌어넣어지도록 하여, 컷팅실의 처리 등의 후처리가 행하여져 다음 편직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면서, 편직 후 컷팅실 등이 장갑의 바깥으로 노출시키는 일이 없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편침이 그대로 침상의 위에 잔류하는 경우에는, 이동하는 끝단실 후크가 바늘과 충돌하고 말아 파손될 염려가 있고, 또한 컷팅칼날의 구동장치에 부 가하여 에어공급원을 설치하고 에어 타이밍에 맞게 작동하도록 하는 등의 부가 설비의 추가로 원가가 고가로 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상기 편직실 및 컷팅사의 처리에 관하여 일본국 특공개소 53-1863호 공보, 특공소 53-1864호 공보에 개시된 방법과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방법 및 장치는 우선 편성한 손가락의 기초끝단부내를 통과하여 이 손가락 이외로의 인출된 편직실부분을, 다음의 손가락을 편성하는 편침의 작용위치 아래의 이빨구멍 사이 간격의 내로 끌어넣고, 이 편직실을 다음의 손가락의 편직 시작쪽의 끝단에 위치시킨 끝단실 후크에 걸은 위에 다음의 손가락의 손가락 앞끝단부분을 편직해 나감과 동시에, 이 손가락 앞끝단부를 1∼수 코스를 편성하는 사이에, 상기 편직실을 먼저 편성한 손가락 바깥의 이 손가락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 컷팅하고, 손가락 앞끝단부의 1∼수 코스를 편성할 때에 상기 끝단실 후크를 이빨구멍 간격의 위쪽위치에 급사구와 함께 먼저 편성한 손가락방향으로 이동되고, 손가락 끝단부에 생긴 손가락 끝단쪽의 실끝단부분을 끝단실 후크에 의하여 유도하여 편성 도중에 있는 장갑내에 삽입시키던가, 또는 급사구에 의하여 공급되는 편직실에 첨가 편직하여 손가락 끝단부에 편입시키도록 하여 장갑의 편성이 완료한 상태로 편직실이 장갑의 바깥으로 노출시키는 일이 없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특공소 53-1863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장치에서는, 손가락 선단부에 생긴 실끝단부분을 끝단실 후크에 의하여 유도하여 편성도중에 있는 손가락내에 삽입시키기 위하여 끝단실 후크의 위치는 급사구의 앞끝단 보다도 아래쪽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 상기 특공소 53-1864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장치에서는, 손가락 끝단부에 생긴 실끝단부분을 급사구에 의하여 공급되는 편직실과 함께 손가락 끝단부로 편직하기 의하여 앞서 설명한 공보와 마찬가지로 급사구의 앞끝단 보다도 아래쪽으로 설정된 끝단실 후크가 이동하는 간격 만큼 급사구의 앞끝단과 같은 높이까지 상승 변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끝단실 후크가 항상 침상 간격의 근접한 위치로 배치되어 있으면, 끝단실 후크가 이동할 때에 끝단실 후크에 편침에 걸림 지지되는 편직코를 걸게 되어서 장갑을 손상하게 된다.
또한, 침상 간격의 바로 위는 편직코 형성을 위한 급사구, 쇄모 등의 편직부재의 오고가는 공간을 이루고 있고, 이 공간 사이에 끝단실 후크가 항상 배치되어 있으면 그들과의 간섭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것은 복수의 급사구가 형성되어 있는 편직기의 경우에 특히 문제가 된다.
또한, 편성중에 파손한 편침이 캐리지의 조작캠에 의하여 초기 위치로 후퇴되지 않고 그대로 침상의 위에 잔류하는 경우에는, 이동하는 끝단실 후크가 바늘과 충돌하고 말아 파손될 염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편직실의 컷팅이 바늘판의 위에서 행하여지도록 하여, 종래와 같이 바늘후크를 이용하여 편직실을 바늘판 아래로 끝어내리는 일이 없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편직실의 파지 및 컷팅 등을 행하는 구동요소들이 편직시에 는 대피하였다가 편직실의 컷팅시에만 편직부위로 이동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컷팅된 컷팅실은 실유도부에 의하여 유도되어 편직된 소지 등의 편직부위내로 유입되도록 하여 편직후 컷팅실이 외부로 노출되는 일이 없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컷팅 후 잉여실은 실절단유도부재가 물고 있다가 편직되는 손가락부위의 선단부로 유입되도록 하여 진행되는 편직에 방해를 주지않고 또한 외부로 노출되는 일이없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바늘판의 위에 바늘판을 따라서 평행하게 설치되어 급사구절단유지바구동모터에 의하여 왕복구동되는 급사구절단유지바에, 승강편유지가이드가 대향하게 형성된 사이에 실을 절단 및 유지하는 실유도승강편이 승강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실절단유도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급사구절단유지바의 배면에 실절단유도부재구동바구동모터에 의하여 왕복구동되는 실절단유도부재구동바에 경사장공이 형성되어 이 경사장공에 상기 실절단유도부재의 실유도승강편의 돌출핀이 안내 유도되어서, 상기 실절단유도부재구동바의 왕복구동이 상기 실유도승강편을 승강가능하도록 됨을 기본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급사구절단유지바의 실절단유도부재의 승강편유지가이드의 한쪽에 칼날이 형성되고, 다른 한쪽에 실협지면이 형성되어, 상기 실절단유도부재구동바의 왕복구동에 의하여 승강되는 실절단유도부재의 실유도승강편에 형성된 후크면에 안내되는 실이 상기 승강편유지가이드의 칼날에 절단되고, 승강편유지가이드의 실협지면에 협지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실절단유도부재의 승강편유지가이드들은 상기 급사구절단유지바의 실처리부품장착시트면에 힌지나사에 의하여 유지되고, 텐션스프링에 의하여 승강편유지가이드의 칼날 및 실협지면쪽으로 부세하게 유지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실절단유도부재의 실유도승강편은 실유도승강편의 돌출핀이 상기 실처리부품장착시트면의 세로슬라이드장공에 관통되어 상기 실절단유도부재구동바의 경사장공에 삽입되어서, 상기 실절단유도부재구동바의 왕복구동이 상기 실유도승강편을 승강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종래의 장갑편직기의 일부절결 측면도이고, 또한 도 2a,b,c,d,e 는 종래의 장갑편직기의 편직사의 후크 및 컷팅장치의 측면 및 평면도이며, 또한 도 3 은 본 발명의 편직사의 절단 마무리 처리장치가 장착된 장갑편직기의 사시도이고, 또한 도 4a,b 는 본 발명의 편직사의 절단 마무리 처리장치가 장착된 장갑편직기의 측면도 및 확대도이며, 또한 도 5 는 본 발명의 실절단유도부재구동바, 급사구절단유지바 및 실절단유도부재의 결합 사시도이며, 또한 도 6 는 본 발명의 실절단유도부재구동바, 급사구절단유지바 및 실절단유도부재의 분리 사시도이고, 또한 도 7a,b,c 는 본 발명의 실절단유도부재구동바, 급사구절단유지바 및 실절단유도부재의 요부확대 사시도이며, 도 8a 는 본 발명의 급사구절단유지바의 정면도이고, 또한 도 8b 는 본 발명의 실절단유도부재구동바의 정면도이며, 또한 도 8c 는 본 발명의 실절단유도부재구동바, 급사구절단유지바 및 실절단유도부재의 결합 정면도이 고, 또한 도 9a,b,c 는 본 발명의 실절단유도부재구동바, 급사구절단유지바 및 실절단유도부재의 요부확대 정면도이며, 또한 도 10a∼l 는 본 발명의 편직예의 개략도이다.
도 3 및 도 4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쪽 지지브라켓의 사이의 바늘판(30)위를 캐리지(40)가 캐리지레일(50)에 안내되어 좌,우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또한 본 발명의 장갑편직기의 편직사의 절단 마무리 처리장치인 급사구절단유지바(100)와 실절단유도부재구동바(200)가 상기 바늘판(30)의 위에 설치된 이송레일(도시생략)에 안내되어 좌,우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또한 급사구절단유지바(100)와 실절단유도부재구동바(200)의 위에 캐리지(40)가 주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장갑편직기의 편직사의 절단 마무리 처리장치는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사구절단유지바(100)가 급사구절단유지바구동모터(110)에 의하여 좌,우구동가능하게 장착되고, 또한 상기 급사구절단유지바(100)에 결합되는 실절단유도부재구동바(200)가 실절단유도부재구동바구동모터(210)에 의하여 좌,우구동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5, 도 8a 및 도 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급사구절단유지바(100)는 판 형상의 로드의 한쪽에 일정길이의 래크(111)가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되어 상기 급사구절단유지바구동모터(110)의 피니언(112)과 이맞물림되어 구동된다. 따라서 급사구절단유지바구동모터(110)가 구동하면 피니언(112)이 상기 래크(111)를 구동시키어 결국 급사구절단유지바(100)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급사 구절단유지바구동모터(110)는 제어부(도시생략)의 제어에 의하여 정,역방향으로 회동가능한 모터이며, 모터브라켓(113)에 의하여 기기본체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급사구절단유지바(100)의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 5 및 도 8b에서 실절단유도부재구동바(200), 연결바(220) 및 실절단유도부재구동바구동모터(210)도 함께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급사구절단유지바(100)에 실절단유도부재구동바(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실절단유도부재구동바구동모터(210)부분이 안내봉(230)에 안내되어 이동하게 된다.
상기 본 발명의 급사구절단유지바(100)에는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절단유도부재(300)가 장착되며, 상기 실절단유도부재(300)는 승강편유지가이드(310)들과 실유도승강편(320) 및 보호커버(330)들로 구성되며, 상기 실절단유도부재(300)는 상기 급사구절단유지바(100)의 실처리부품장착시트면(120)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실처리부품장착시트면(120)의 좌,우 양쪽에는 길이방향으로 가로슬라이드장공(130)들이 뚫려 있으며, 상기 가로슬라이드장공(130)은 상기 실절단유도부재구동바(200)에 체결고정되는 고정유지나사(140)들이 안내되어 있고, 상기 가로슬라이드장공(130)의 폭범위내에서 상기 실절단유도부재구동바(200)가 좌,우구동가능하도록 한다.
즉, 도 6에서 급사구절단유지바(100)의 배면에 설치되는 실절단유도부재구동바(200)에 뚫린 나사고정구멍(240)에 고정유지나사(140)가 체결고정되며, 실절단유도부재구동바(200)의 연결바(220)는 상기 급사구절단유지바(100)의 앞쪽에서 상기 고정유지나사(140)에 의하여 유지 결합되며, 상기 고정유지나사(140)는 상기 도면 의 좌측에 형성된 가로슬라이드장공(130)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조립된다.
도 7a,b,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절단유도부재구동바(200)의 연결바(220)가 급사구절단유지바(100)의 앞쪽에 유지되어서 도 8b와 같이 연결바(220)의 래크(211)부분이 실절단유도부재구동바구동모터(210)의 피니언(212)과 이맞물림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급사구절단유지바(100)의 상기 가로슬라이드장공(130)에 이웃하는 가로슬라이드장공(130)에 급사구절단유지바(100)의 배면에 설치된 실절단유도부재구동바(200)의 2개의 나사고정구멍(240)에 판형상의 유지편(150)을 개재하여 고정유지나사(140)의 나사부가 체결 고정되어, 상기 실절단유도부재구동바(200)에 체결 고정된 고정유지나사(140)의 몸체부가 유지편(150)과 함께 도 7a,b,c와 같이 급사구절단유지바(100)의 가로슬라이드장공(130)에 안내되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한다.
또한, 도 6에서 실처리부품장착시트면(120)의 우측에 형성된 가로슬라이드장공(130)에 급사구절단유지바(100)의 배면에 설치된 실절단유도부재구동바(200)의 나사고정구멍(240)에 고정유지나사(140)의 나사부가 체결 고정되어, 상기 실절단유도부재구동바(200)에 체결 고정된 고정유지나사(140)의 몸체부가 도 7a,b,c와 같이 급사구절단유지바(100)의 가로슬라이드장공(130)에 안내되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급사구절단유지바(100)의 실처리부품장착시트면(120)에는 실절단유도부재(300)가 장착되는데, 승강편유지가이드(310)가 대향하게 장착되고, 또한 상 기 승강편유지가이드(310)의 사이에 실을 절단 및 유지하는 실유도승강편(320)이 승강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승강편유지가이드(310)들은 상기 급사구절단유지바(100)의 실처리부품장착시트면(120)에 힌지나사(160)에 의하여 유지되고, 힌지나사(160)를 중심으로 유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승강편유지가이드(310)들의 사이에 실유도승강편(320)이 장착되고, 또한 상기 승강편유지가이드(310)의 바깥쪽에 텐션스프링(311)에 의하여 승강편유지가이드(310)의 칼날(312) 및 실협지면(313)쪽으로 부세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도 6 및 도 7a,b,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승강편유지가이드(310)의 한쪽은 기초부에 단면이 대략 "v"자 형상의 칼날(312)이 형성되고, 다른 한쪽의 승강편유지가이드(310)에는 상기 대향하는 승강편유지가이드(310)의 칼날(312)과 대응되는 부위에 평면인 실협지면(3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승강편유지가이드(310)의 바깥쪽에 장착되는 텐션스프링(311)은 대략 "ㄷ"자형상으로서, 스프링유지나사(314)들이 실처리부품장착시트면(120)에 체결고정되고, 또한 도 7a 및 도 9a,b,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텐션스프링(311)의 양쪽 바깥쪽에 스프링유지돌기(315)에 의하여 상기 승강편유지가이드(310)의 아래쪽이 상기 실유도승강편(320)의 후크면(321)쪽으로 부세하는 힘이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승강편유지가이드(310)들의 사이에 장착되는 실유도승강편(320)은 아래의 기초부가 대략 "ㄴ"자 형상으로 절곡된 후크면(321)이 형성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 후크면(321)은 실을 걸어서 유도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실유도승강편(320)의 위쪽에 돌출핀(3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돌출핀(322)은 상기 실처리부품장착시트면(120)에 종방향으로 뚫린 세로슬라이드장공(170)에 관통되어 상기 실절단유도부재구동바(200)의 경사장공(250)에 삽입되어서, 상기 실절단유도부재구동바(200)의 왕복구동이 상기 실유도승강편(320)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조립된다.
상기 급사구절단유지바(100)의 실처리부품장착시트면(120)에 장착되는 승강편유지가이드(310) 및 실유도승강편(320)의 보호와 작동의 원활한 안내를 위하여 도 6 및 도 7a,b,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호커버(330)가 고정나사(331)에 의하여 고정된다.
상기 실절단유도부재구동바(200)의 왕복구동에 의하여 승강되는 실절단유도부재(300)의 실유도승강편(320)에 형성된 후크면(321)에 도 9a,b,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내되는 실이 상기 승강편유지가이드(310)의 칼날(312)에 의하여 절단되고, 승강편유지가이드(310)의 실협지면(313)에 협지하여 유지하도록 한다.
다음, 편직사의 컷팅 및 마무리에 관한 작동을 도 7a,b,c, 도 9a,b,c와 도 10a∼도 10l를 기초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a는 소지(60)를 편직하기 위한 준비단계로서, 급사구(2)의 실(70)이 실절단유도부재(300)에 유지된 상태이고, 또한 캐리지(40)는 반대방향인 도면의 우측에 위치한다.
이어서, 도 10b와 같이 급사구절단유지바구동모터(110)의 구동에 의하여 급 사구절단유지바(100)의 실절단유도부재(300)가 실(70)을 끌고 상기 캐리지(40)쪽의 도면의 우측으로 이동으로 이동한다. 또한 상기 실절단유도부재(300)가 위와 같이 위치하면 캐리지(40)는 도 10c와 같이 급사구(2)와 결합하여 편직을 위하여 좌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캐리지(40)는 급사구(2)와 함께 도면의 우측으로 이동하여 도 10d와 같이 편직을 행하게 된다.
상기 상태에서 캐리지(40)가 5회정도 편직을 행하여 소지(60)의 끝단의 둥근부분의 편직을 마치면, 도 10f와 같이 급사구(2)와 캐리지(40)가 도면의 좌측으로 이동하고, 또한 상기 실절단유도부재(300)는 편직된 소지(60)의 중앙부위로 이동하게 된다.
역시, 실절단유도부재(300)의 구동은 도 5에서 급사구절단유지바구동모터(110)가 구동하여 상기 급사구절단유지바구동모터(110)의 피니언(112)이 래크(111)와의 이맞물림 구동으로 이동하게 된다.
다음, 실절단유도부재구동바구동모터(210)가 구동하여 실절단유도부재구동바구동모터(210)의 피니언(212)이 래크(211)와의 이맞물림 구동으로 도 7a,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절단유도부재(300)의 실유도승강편(320)의 돌출핀(322)이 실절단유도부재구동바(200)의 경사장공(250)의 아래쪽으로 밀리고, 또한 실유도승강편(320)의 돌출핀(322)이 상기 급사구절단유지바(100)의 실처리부품장착시트면(120)의 세로슬라이드장공(170)에 의해 아래쪽으로 안내되어, 결국 도 10f와 같이 실유도승강편(320)은 실(70)을 걸은 상태에서 아래쪽으로 약간 이동한다.
이어서 실절단유도부재구동바구동모터(210)가 구동하면 실절단유도부재구동바(200)가 도 7b, 도 9b와 같이 도면의 우측으로 이동하여 실절단유도부재구동바(200)의 경사장공(250)의 위부분에 실유도승강편(320)의 돌출핀(322)이 유도되어, 결국 실유도승강편(320)이 상기 승강편유지가이드(310)들의 사이에서 상향이동하면서 도 9b와 같이 상기 실유도승강편(320)의 후크면(321)에 걸려있는 실(70)이 상기 승강편유지가이드(310)의 한쪽 칼날(312)에 의하여 절단을 행하게 된다. 그리고 실절단유도부재(300)가 우측으로 이동하여 도 10g와 같이 절단된 실(70)은 편직이 완료된 소지(60)내로 유입되게 된다.
상기 실절단유도부재(300)가 우측에 멈춰진 상태에서 40∼50회의 편직에 의하여 소지(60)의 원통부분을 편직하게 된다. 상기 편직이 완료되면 캐리지(40)가 도 10i와 같이 캐리지(40)가 도면의 우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도 10j와 같이 급사구절단유지바구동모터(110)가 구동하여 편직된 소지(60)의 중앙부위로 실절단유도부재(300)를 이동시킨다. 이어서, 실절단유도부재구동바구동모터(210)가 구동하여 실절단유도부재(300)의 실유도승강편(320)을 하향 이동시킨다.
상기 상태에서 캐리지(40)가 좌측으로 이동하며, 상기 실절단유도부재(300)의 실유도승강편(320)의 후크면(321)에 도 10k와 같이 급사구(2)의 실(70)이 걸려지게 된다.
이어서, 실절단유도부재구동바구동모터(210)가 상기의 반대방향으로 구동하여 실절단유도부재(300)의 실유도승강편(320)이 상향 이동하면서, 앞서 설명한 바 와 같이 도 7b, 도 9b의 도면의 우측으로 이동하여 실절단유도부재구동바(200)의 경사장공(250)의 위부분에 실유도승강편(320)의 돌출핀(322)이 유도되어, 결국 실유도승강편(320)이 상기 승강편유지가이드(310)들의 사이에서 상향이동하면서 도 9b와 같이 상기 실유도승강편(320)의 후크면(321)에 걸려있는 실(70)이 상기 승강편유지가이드(310)의 한쪽 칼날(312)에 의하여 절단을 행하게 된다.
상기 절단된 실(70)은 도 10l와 같이 소지(60)의 안쪽으로 위치하게 되어 소지(60)의 편직이 완료되게 되고, 다음 편직을 위하여 실절단유도부재(300)는 다시 도10a와 같이 이동하여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위에서 소지에서 약지의 편직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중지, 인차지(검지) 및 엄지 등의 편직에도 순차 적용되게 되어 마무리부분이나 손가락 갈래부분으로의 컷팅실 또는 잉여실의 노출이 없이 깔끔한 편성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장갑의 편직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양말 등의 편직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급사구로부터 바늘판 위의 편침에 편직실이 공급되어 소지부의 손가락을 편성한 후, 이어서 약지, 중지, 인차지(검지)의 편성에 있어, 편성완료부에서 다음의 편성시작부로 이동시에 대기하고 있던 실절단유도부재가 편성완료부의 편직실을 절단하여 절단된 실이 편성완료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동시에, 분리된 급사구의 실은 실절단유도부재가 물고 다음의 편성시작부에 위치시키며 다시 편성이 행하여지도록 함으로서, 편직실의 절단 및 편성완료부로의 실의 유 입이 하나의 실절단유도부재에 의하여 행하도록 되어 별도의 절단실을 유도하는 부품과 또한 다음의 편성시작부로의 편성실을 유도하는 부품의 설치가 필요 없음에 따라서 부품의 간략화로 인하여 생산원가를 저렴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컷팅된 잉여실이 편성시작부의 마무리쪽으로 유입되어 편성되어서 장갑의 경우 소지, 약지, 중지, 인차지(검지) 및 엄지의 마무리부분이나 손가락 갈래부분으로의 컷팅실 또는 잉여실의 노출이 없이 깔끔한 편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3)

  1. 바늘판(30)의 위에 바늘판(30)을 따라서 평행하게 설치되어 급사구절단유지바구동모터(110)에 의하여 왕복구동되는 급사구절단유지바(100)에, 승강편유지가이드(310)가 대향하게 형성된 사이에 실을 절단 및 유지하는 실유도승강편(320)이 승강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실절단유도부재(300)가 형성되고,
    상기 급사구절단유지바(100)의 배면에 실절단유도부재구동바구동모터(210)에 의하여 왕복구동되는 실절단유도부재구동바(200)에 경사장공(250)이 형성되어 이 경사장공(250)에 상기 실절단유도부재(300)의 실유도승강편(320)의 돌출핀(322)이 안내 유도되어서, 상기 실절단유도부재구동바(200)의 왕복구동이 상기 실유도승강편(320)을 승강가능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편직기의 편직사의 절단 마무리 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사구절단유지바(100)의 실절단유도부재(300)의 승강편유지가이드(310)의 한쪽에 칼날(312)이 형성되고, 다른 한쪽에 실협지면(313)이 형성되어, 상기 실절단유도부재구동바(200)의 왕복구동에 의하여 승강되는 실절단유도부재(300)의 실유도승강편(320)에 형성된 후크면(321)에 안내되는 실이 상기 승강편유지가이드(310)의 칼날(312)에 절단되고, 승강편유지가이드(310)의 실협지면(313)에 협지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편직기의 편직사의 절단 마무리 처리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절단유도부재(300)의 승강편유지가이드(310)들은 상기 급사구절단유지바(100)의 실처리부품장착시트면(120)에 힌지나사(160)에 의하여 유지되고, 텐션스프링(311)에 의하여 승강편유지가이드(310)의 칼날(312) 및 실협지면(313)쪽으로 부세하게 유지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실절단유도부재(300)의 실유도승강편(320)은 실유도승강편(320)의 돌출핀(322)이 상기 실처리부품장착시트면(120)의 세로슬라이드장공(170)에 관통되어 상기 실절단유도부재구동바(200)의 경사장공(250)에 삽입되어서, 상기 실절단유도부재구동바(200)의 왕복구동이 상기 실유도승강편(320)을 승강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편직기의 편직사의 절단 마무리 처리장치.
KR1020060061091A 2006-06-30 2006-06-30 장갑편직기의 편직사의 절단 마무리 처리장치 KR100629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1091A KR100629307B1 (ko) 2006-06-30 2006-06-30 장갑편직기의 편직사의 절단 마무리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1091A KR100629307B1 (ko) 2006-06-30 2006-06-30 장갑편직기의 편직사의 절단 마무리 처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6976U Division KR200411256Y1 (ko) 2005-12-30 2005-12-30 장갑편직기의 편직사의 절단 마무리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9307B1 true KR100629307B1 (ko) 2006-10-02

Family

ID=37622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1091A KR100629307B1 (ko) 2006-06-30 2006-06-30 장갑편직기의 편직사의 절단 마무리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930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94288A (zh) * 2011-03-15 2011-06-15 浙江海森纺机科技有限公司 一种全电脑手套机针板上的橡筋勾刀装置
CN103572486A (zh) * 2013-10-29 2014-02-12 绍兴市强生精机制造有限公司 全电脑手套编织机任一手指换色手套编织法
CN104389103A (zh) * 2014-11-24 2015-03-04 浙江海森纺机科技有限公司 一种电脑手套机叉刀分指传动结构
KR101785927B1 (ko) 2016-04-25 2017-10-16 윤근수 장갑편직기의 루퍼블럭의 구동장치
CN108677375A (zh) * 2018-08-15 2018-10-19 湖北金犁劳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手套编织机专用热熔线自动夹剪
CN110106619A (zh) * 2019-05-31 2019-08-09 绍兴市强生精机制造有限公司 一种用于手套机的凸轮剪纱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94288A (zh) * 2011-03-15 2011-06-15 浙江海森纺机科技有限公司 一种全电脑手套机针板上的橡筋勾刀装置
CN102094288B (zh) * 2011-03-15 2012-10-10 浙江海森纺机科技有限公司 一种全电脑手套机针板上的橡筋勾刀装置
CN103572486A (zh) * 2013-10-29 2014-02-12 绍兴市强生精机制造有限公司 全电脑手套编织机任一手指换色手套编织法
CN104389103A (zh) * 2014-11-24 2015-03-04 浙江海森纺机科技有限公司 一种电脑手套机叉刀分指传动结构
KR101785927B1 (ko) 2016-04-25 2017-10-16 윤근수 장갑편직기의 루퍼블럭의 구동장치
CN108677375A (zh) * 2018-08-15 2018-10-19 湖北金犁劳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手套编织机专用热熔线自动夹剪
CN110106619A (zh) * 2019-05-31 2019-08-09 绍兴市强生精机制造有限公司 一种用于手套机的凸轮剪纱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9307B1 (ko) 장갑편직기의 편직사의 절단 마무리 처리장치
RU2235813C2 (ru) Способ сшивания мыска носк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US6158250A (en) Flat-bed knitting machine and method of knitting
KR101019428B1 (ko) 횡편기의 끝실 처리장치 및 방법
CN107109728B (zh) 用于添纱针织的导纱器的圆形袜类针织机、特别是双筒型针织机
JP2005076155A (ja) 可動糸ガイド部材を備えた横編機
KR20100061447A (ko) 실을 바늘에 공급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구비하는 양말류를 위한 편물기
CN110714267B (zh) 横编机
CN1046002A (zh) 平型针织机的织物起口方法及装置
KR200490925Y1 (ko) 장갑 편성기
KR100457453B1 (ko) 횡편기의 말단 편사 삽입장치
JP2523965B2 (ja) インタ―シヤ方式横編機の糸自動供給装置
KR200411256Y1 (ko) 장갑편직기의 편직사의 절단 마무리 처리장치
KR100924292B1 (ko) 가동싱커장치를 구비하는 횡편기
KR20050106570A (ko) 장갑편직기의 편직사의 컷팅 및 마무리장치
CN201729955U (zh) 具备线圈抑制板的横编机
CN210314701U (zh) 横编机的编织纱保持切断装置
JP2012153990A (ja) 横編機
KR20020068028A (ko)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CN1065301A (zh) 一种起口针
JPH08325901A (ja) 横編機における編糸切断把持装置
ITMI981178A1 (it) Procedimento ed apparecchiatura per l'alimentazione contemporanea di almeno due fili in macchine circolari per maglieria o calzetteria a
JPH07268748A (ja) シンカー退避機構を有する横編機
JPWO2008081579A1 (ja) 横編機の端糸処理装置
KR800000550B1 (ko) 편기에 있어서의 간격을 만들지 않는 종사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