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8028A -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8028A
KR20020068028A KR1020027002083A KR20027002083A KR20020068028A KR 20020068028 A KR20020068028 A KR 20020068028A KR 1020027002083 A KR1020027002083 A KR 1020027002083A KR 20027002083 A KR20027002083 A KR 20027002083A KR 20020068028 A KR20020068028 A KR 200200680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ad
guide tube
guide
supply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2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9528B1 (ko
Inventor
박함규
Original Assignee
(주) 인브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2019990016986U external-priority patent/KR200167993Y1/ko
Priority claimed from KR2020000019257U external-priority patent/KR200209888Y1/ko
Application filed by (주) 인브로 filed Critical (주) 인브로
Publication of KR20020068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8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9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95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1/00Devices for guiding, feeding, handling, or treating the threads in embroidering machines; Machine needles; Operating or control mechanism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87/00Needle- or looper- threading devices
    • D05B87/02Needle- or looper- threading devices with mechanical means for moving thread through needle or looper eye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1/00Devices for guiding, feeding, handling, or treating the threads in embroidering machines; Machine needles; Operating or control mechanisms therefor
    • D05C11/16Arrangements for repeating thread patterns or for changing thr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바늘작업부를 갖는 헤드스템과; 상이한 색상을 갖는 복수의 실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실공급부와; 상기 헤드스템에 마련되며, 상기 실공급부로부터의 실을 수령하는 제1안내관과, 상단부가 상기 제1안내관에 대해 축선방향을 따라 소정의 이격 간격을 가지고 하단부가 상기 바늘작업부에 인접하는 제2안내관을 갖는 안내관조립체와; 상기 실의 공급경로와 평행한 평면내에서 요동하는 요동레버와, 상기 요동레버의 자유단부 영역에 상기 요동레버의 요동방향에 가로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요동레버의 요동운동에 따라 상기 이격 간격을 통해 왕복동하여 상기 실을 긴장 및 이완하는 실걸이부재를 갖는 실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헤드스템을 단일화하면서 실의 공급경로에 곡선경로를 배제할 수 있어 실을 원활히 공급할 수 있는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THREAD FEEDING APPARATUS FOR AN AUTOMATIC EMBROIDERING MACHINE}
자동자수기는 의류나 신발, 라벨 등에 다양한 색상의 실을 이용하여 미리 짜여진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적으로 수를 놓아 소정의 무늬 및 상표 등을 형성하는 자동재봉기의 일종이다.
이러한 자동자수기는 여러 가지 상이한 색상의 윗실을 선택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다수색상의 실을 공급하는 실공급부와, 실공급부로부터 제공되는 색상의 실들에 각각 대응하는 다수의 헤드스템을 가지고 있으며, 그래서, 다두식 자동자수기라 불리기도 한다. 자동자수기의 각 헤드스템에는 상하 왕복운동에 의해 자수작업을 행하는 바늘과, 바늘의 진행방향을 따라 자수 원단을 눌러주는 노루발과, 상하회동에 의해 바늘에 연결된 실을 긴장 및 이완시키는 실채기 등이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다두식 자동자수기는 사용되는 실의 종류에 대응하는 수만큼 헤드스템을 필요로 하며, 각 헤드스템에는 바늘, 노루발, 실채기 및 이들의 구동장치들이 설치되기 때문에, 전반적인 구조가 매우 복잡하다. 또한, 다두식자동자수기에서는, 실의 색상을 변경하고자 할 때, 새로이 선택된 실을 헤드스템의 실채기 및 바늘에 수동으로 결속시켜야 하므로 교체작업이 불편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독일 특허 공개 공보 제196 24 344호에 개시된 자동자수기는 한 셋트의 바늘, 노루발과 실채기가 설치되어 있는 단일의 헤드스템과, 복수 색상의 실을 구비하여 헤드스템에 선택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실공급부를 가지며, 실공급부에서 선택된 실은 흡입노즐에 의해 인출되어 안내관을 통해 바늘을 향해 이송된다.
그런데, 이 자동자수기는 선택된 실을 바늘로 안내하는 안내관이 한 쌍의 수직구간 및 양 수직구간 사이의 수평구간으로 이루어진 이중곡선경로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실의 이동이 원활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평구간 중에는 실채기가 실 공급경로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상시 이격 간격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실이 이격 간격을 통과할 때 외부로 이탈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실공급부 영역을 확대한 부분 확대사시도,
도 3은 도 1의 헤드조립체 영역을 확대한 부분 확대사시도,
도 4는 도 1의 측단면도,
도 5 내지 도 8은 도 1의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의 작동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측단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의 제5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확대 측단면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헤드스템을 단일화하면서 실의 공급경로에 곡선경로를 배제할 수 있어 실을 원활히 공급할 수 있는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공급경로의 이격 간격을 필요에 따라 없앨 수 있도록 하여 공급되는 실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에 있어서, 바늘작업부를 갖는 헤드스템과; 상이한 색상을 갖는 복수의 실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실공급부와; 상기 헤드스템에 마련되며, 상기 실공급부로부터의 실을 수령하는 제1안내관과, 상단부가 상기 제1안내관에 대해 축선방향을 따라 소정의 이격 간격을 가지고 하단부가 상기 바늘작업부에 인접하는 제2안내관을 갖는 안내관조립체와; 상기 실의 공급경로와 평행한 평면내에서 요동하는 요동레버와, 상기 요동레버의 자유단부 영역에 상기 요동레버의 요동방향에 가로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요동레버의 요동운동에 따라 상기 이격 간격을 통해 왕복동하여 상기 실을 긴장 및 이완하는 실걸이부재를 갖는 실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실공급부는, 실을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해서, 상기 헤드스템의 상부에 상기 제1안내관의 축선방향에 가로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며, 상기 실의 말단부가 각각 대기하는 복수의 실대기관로와; 상기 실의 대기상태를 유지 및 해제하는 실대기량조절부와; 상기 실대기관로에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실말단을 상기 제1 및 제2안내관을 통해 이송시키는 실이송노즐로 구성될 수 있다.
각 실대기관로와 제1안내관을 선택적으로 대응시키기 위하여, 상기 실공급부와 상기 헤드스템의 상대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헤드스템을 지지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실공급부를 지지하여 상기 고정프레임상에 설치되며, 상기 실대기관로의 배열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프레임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가동프레임과; 상기 가동프레임을 상기 고정프레임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복수의 실대기관로 중 선택된 하나를 상기 제1안내관과 축선일치시키는 슬라이딩구동부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공급부에는 전면으로부터 상기 각 실대기관로를 향해 하향경사각을 갖도록 관통된 에어공급홀들을 형성하고; 상기 실이송노즐은 상기 헤드스템의 상부영역에 결합되어 상기 실공급부의 이동에 의해 선택된 실대기관로에 상기 에어공급홀을 통하여 공기를 분사하도록 함으로써, 실이송노즐의 수를 절감할 수 있다.
한편, 실의 이송 중 이격 간격을 통해 실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안내관조립체에는, 상기 제1안내관과 상기 제2안내관 중 어느 하나에 동축적으로 배치되는 보조관을 마련하고, 상기 보조관을 승강, 회동 또는 수평이동시켜 상기 제1 및 제2안내관간의 상기 이격 간격을 차단 및 개방시킬 수 있다.
혹은, 이를 위하여 상기 제1안내관과 상기 제2안내관 중 어느 하나를 승강시켜 상기 제1 및 제2안내관간의 상기 이격 간격을 차단 및 개방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실채기는 상기 제1안내관을 사이에 두고 상호 평행하게 요동 운동하는 한 쌍의 상기 요동레버를 가지며, 상기 실걸이부재는 상기 한 쌍의 요동레버의 자유단부영역을 막대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안내관에 대해 동축적으로 상하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파지링과, 상기 실파지링을 승강시키는 링승강구동부를 마련하여 상기 실걸이부재의 하부영역에서도 상기 실을 긴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은, 바늘작업부를 갖는 헤드스템과; 상이한 색상을 갖는 복수의 실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실공급부와; 상기 헤드스템에 마련되어 상기 실공급부로부터의 실을 수령받으며 하단부가 상기 바늘작업부에 인접하는 안내관과, 상기 안내관을 승강시켜 상기 실대기관로에 대해 축선방향을 따라 소정의 이격 간격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안내관승강구동부를 갖는 안내관조립체와; 상기 실의 공급경로와 평행한 평면내에서 요동하는 요동레버와, 상기 요동레버의 자유단부 영역에 상기 요동레버의 요동방향에 가로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요동레버의 요동운동에 따라 상기 이격 간격을 통해 왕복동하여 상기 실을 긴장 및 이완하는 실걸이부재를 갖는 실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공급부는 실을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해서, 상기 헤드스템의 상부에 상기 제1안내관의 축선방향에 가로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며, 상기 실의 말단부가 각각 대기하는 복수의 실대기관로와; 상기 실의 대기상태를 유지 및 해제하는 실대기량조절부와; 상기 실대기관로에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실말단을 상기 제1 및 제2안내관을 통해 이송시키는 실이송노즐로 구성될 수 있다.
각 실대기관로와 제1안내관을 선택적으로 대응시키기 위하여, 상기 실공급부와 상기 헤드스템을 상대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헤드스템을 지지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실공급부를 지지하여 상기 고정프레임상에 설치되며, 상기 실대기관로의 배열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프레임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가동프레임과; 상기 가동프레임을 상기 고정프레임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시켜상기 복수의 실대기관로 중 선택된 하나를 상기 제1안내관과 축선일치시키는 슬라이딩구동부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공급부에는 전면으로부터 상기 각 실대기관로를 향해 하향경사각을 갖도록 관통된 에어공급홀들을 형성하고; 상기 실이송노즐은 상기 헤드스템의 상부영역에 결합되어 상기 실공급부의 이동에 의해 선택된 실대기관로에 상기 에어공급홀을 통하여 공기를 분사하도록 함으로써, 실이송노즐의 수를 절감할 수 있다.
한편, 실의 이송 중 이격 간격을 통해 실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안내관은 상단부가 상기 실대기관로와 이격되도록 상기 헤드스템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주안내관과, 상기 주안내관의 상부에 동축적으로 설치되는 보조안내관을 갖도록 하고; 상기 안내관승강구동부는 상기 보조안내관을 승강시켜 상기 실대기관로와 상기 주안내관간의 상기 이격 간격을 차단 및 개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채기는 상기 제1안내관을 사이에 두고 상호 평행하게 요동 운동하는 한 쌍의 상기 요동레버를 가지며, 상기 실걸이부재는 상기 한 쌍의 요동레버의 자유단부영역을 막대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안내관에 대해 동축적으로 상하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파지링과, 상기 실파지링을 승강시키는 링승강구동부를 마련하여 상기 실걸이부재의 하부영역에서도 상기 실을 긴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공급부 영역을 확대한 부분 확대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헤드조립체 영역을 확대한 부분 확대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측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는, 고정프레임(10)과, 고정프레임(10)에 지지되어 안내레일(4)을 따라 좌우 수평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딩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프레임(20)을 가지며, 가동프레임(20)과 고정프레임(10) 사이에는 가동프레임(20)을 고정프레임(10)에 대해 좌우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딩구동부(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프레임(20)에는 실공급부(30)가 설치되어 있고, 고정프레임(10)의 하단에는 바늘작업부(72)가 설치되어 있는 헤드조립체(70)가 결합되어 있다.
가동프레임(20)에 설치된 실공급부(30)는, 도시않은 복수의 실보빈으로부터 연장된 각 실(5)의 공급장력을 조절하는 실장력유지부(8)와, 실장력유지부(8)를 거친 실(5)의 말단부가 대기하는 실대기블록(40)과, 실장력유지부(8)와 실대기블록(40) 사이에 설치되어 실대기블록(40)에 대기하는 실(5)의 대기량을 조절하는 실대기량조절부(50)와, 실대기블록(40)에 대기하는 실(5)을 이송시키기 위한 실이송노즐(93)로 이루어져 있다.
실대기블록(40)은 가동프레임(20)의 전방에 결합되어 있으며, 이 실대기블록(40)에는 실보빈(미도시)들로부터 연장된 실(5)들의 말단부가 각각 수용 대기하도록 상하 수직방향으로 관통된 복수의 실대기관로(45)가 좌우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열되어 있다. 실대기블록(40)은 가동프레임(20)이 고정프레임(10)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실대기관로(45)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후술할 제1안내관(81)과 축선이 일치되도록 위치시킨다. 그리고, 실대기블록(40)에는 전면으로부터 각 실대기관로(45)의 일영역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관통된 복수의 에어공급홀(95)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실대기관로(45)들은 직선상으로 배열되어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실대기관로를 원호상으로 배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실공급부를 지지하는 가동프레임은 고정프레임에 대해 상대 회동하여 실대기관로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후술할 제1안내관과 축선 일치시킨다.
또한, 일본 특개평6-254277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복수의 실대기관로가 형성되어 있는 실대기블록을 깔때기 형상으로 하고, 실대기블록의 하부에 각 실대기관로로부터 이송되는 실을 후술할 제1안내관으로 안내하는 단일 실안내관로를 형성하여 각 실대기관로에 대기하는 실이 이 실안내관로를 거치도록 함으로써, 실공급부가 슬라이딩 이동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에서도 실들이 선택적으로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실대기량조절부(50)는 실대기블록(40)의 상부에 배치되는 실홀딩부(52)와, 실홀딩부(52)의 후방에 설치되는 복수의 실대기량조절바아(61)를 갖는다.
실홀딩부(52)에는 실대기관로(45)에 대응하는 복수의 실분배구(5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실홀딩부(52)의 전면에는 각 실분배구(55)의 중앙영역을 가로지르도록 실긴장바아(57)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실홀딩부(52)의 전방에는 실분배구(55)의 상부 및 하부 연부에 접근 및 이격되는 한 쌍의 실대기상태유지바아(59a,59b)를 갖는 실홀더(54)가 설치되어 있으며, 실홀딩부(52)의 후방에는 실홀더(54)를 실분배구(55)의 상부 및 하부 연부에 접근 및 이격시키는 도시않은 실홀더구동부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실홀더구동부(미도시)는 유압실린더, 공압실린더 또는 솔레노이드를 이용할 수 있다.
실대기량조절바아(61)는 실홀딩부(52)를 향해 전후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각 실대기량조절바아(61)의 선단부에는 전방 이동시 각 실분배구(55)를 부분적으로 통과하는 실파지홀더(63)가 결합되어 있다.
실파지홀더(63)는 실분배구(55)의 통과시 상부 및 하부가 실긴장바아(57)의 상부 및 하부에 위치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되며, 각 선단부에는 실(5)이 통과되도록 실통과공(65)이 형성되어 있다.
실이송노즐(93)은 헤드조립체(70)의 헤드스템(71) 상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도시않은 에어공급부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실대기블록(40)의 에어공급홀(95)로 공기를 분사한다. 이 실이송노즐(93)은 실공급부(30)의 왕복이동에 의해서 복수의 에어공급홀(95)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며, 실이송노즐(93)로부터 분사되는 공기는 해당 에어공급홀(95)을 통해 후술할 제1안내관(81)과 축선 일치되어 있는 실대기관로(45)로 분사된다. 이에 의해, 실대기관로(45)내에 대기하고 있는 실(5)의 말단부는 후술할 안내관조립체(80)를 통해 바늘작업부(72)에 인접한 영역으로 이송된다.
한편, 헤드조립체(70)는 고정프레임(10)의 전방에 결합되는 헤드스템(71)과, 헤드스템(71)의 하단에 설치되는 바늘작업부(72)와, 실공급부(30)의 실대기관로(45)에 대기하는 실(5)이 바늘작업부(72)로 이송되도록 단일의 실공급경로를 형성하는 안내관조립체(80)를 가지고 있으며, 바늘작업부(72)에 인접한 영역으로 이송된 실(5)의 말단부분을 파지하여 바늘작업부(72)에 마련되어 있는 바늘(75)에 결속시켜주는 실꿰기장치(110)와, 안내관조립체(80)를 통과하는 실(5)의 일부분을 채어 실(5)을 긴장 및 이완시키는 실채기(100)가 마련되어 있다.
헤드스템(71)은 거의 사각틀형상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바늘작업부(72)는 헤드스템(71)의 하단에 상하 왕복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자수작업을 실행하는 단일의 바늘(75)과, 바늘(75)의 자수작업 실행시 바늘(75)의 진행방향을 따라 자수원단을 눌러주는 노루발(73)을 가지고 있다.
안내관조립체(80)는 헤드스템(71)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안내관(81)과, 헤드스템(71)의 하부에 제1안내관(81)과 동일 축선을 이루면서 소정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2안내관(83)과, 승강 구동에 의해 제1안내관(81)과 제2안내관(83)의 이격 간격을 개방 및 차단하는 보조관(85)과, 보조관(85)을 승강시키는 보조관구동부(87)를 갖는다.
제1안내관(81)은 실대기관로(45)에 대기하는 실(5)이 원활히 수령되도록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제2안내관(83)은 그 하단부가 바늘(75)에 인접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보조관(85)은 제2안내관(83)에 비해 비교적 큰 직경을 가지고 제2안내관(83)에 동축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보조관(85)을 승강시키는 보조관구동부(87)는 헤드스템(71)의 일측에 설치되는 에어실린더로 마련되어 있다. 이때, 보조관구동부(87)는 솔레노이드 또는 유압실린더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안내관(81)의 상단부 영역은 실대기관로(45)로부터 하향 이송되는 실(5)을 원활하게 수령 받을 수 있도록 확경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안내관(81)의 하단부는 수령된 실(5)이 제2안내관(83)으로 원활히 이송될 수 있게 보조관(85)의 상단부에 삽입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보조관(85)을 제1안내관(81)에 동축적으로 배치하여 상하 승강시켜서 제1안내관(81)과 제2안내관(83)간의 이격 간격을 개방 및 차단할 수도 있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 제2실시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관(85a)을 제1안내관(81)과 제2안내관(83) 사이에서 축선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여서 제1안내관(81)과 제2안내관(83)간의 이격 간격을 개방 및 차단할 수도 있다. 이때, 보조관구동부(87a)는 왕복 운동하는 유압실린더, 공압실린더 또는 솔레노이드 등을 이용한다.
그리고, 도 11 및 도 12에 제3실시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관(85b)을 제1안내관(81)과 제2안내관(83)의 이격 간격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보조관(85)을 정역회동시키는 회동구동부(87b)를 마련하여 제1안내관(81)과 제2안내관(83)간의 이격 간격을 개방 및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도 13 및 도 14에 제4실시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관(85)을 마련하지 않고 제1안내관(81a)을 승강시켜서 제2안내관(83)과 접촉 및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제1안내관(81a) 및 제2안내관(83)간의 이격 간격을 개방 및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제1안내관(81a)은 승강구동부(87c)에 의한 상승시 그 상단부영역이 실대기관로(45)내에 삽입되고 하단부가 제2안내관(83)의 상단부와 이격된다.
그리고, 제1안내관(81a)은 실(5) 공급을 위한 하강시 그 상단부가 실대기관로(45)의 하단부영역에 삽입된 상태로 걸치도록 위치하게 되며, 하단부는 제2안내관(83)의 상단부에 소정 깊이만큼 삽입된다.
또한, 제1안내관(81a)은 실공급부(30)의 슬라이딩 이동시, 그 상단부가 실대기관로(45)로부터 빠져나와 실대기관로(45)의 하단부와 간섭되지 않고, 하단부가 제2안내관(83)의 상단부에 삽입되도록 하강한다.
여기서, 전술한 각 실시예의 제1안내관(81) 및 제2안내관(83)은 수직방향의 실공급경로를 형성하도록 설명하고 있지만, 보조관(85)의 경로를 제외한 구간에서는 부분적으로 곡선구간을 갖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각 실시예에서 제1안내관 및 제2안내관과, 보조관의 각 단부영역은 후술할 실채기의 요동시 실이 접촉되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드러운 라운드형상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후술할 실채기의 실걸이부재가 통과할 수 있도록 보조관, 또는 안내관을 승강시켜서 실공급경로상의 이격 간격을 개방 및 차단하도록 설명하고 있지만, 실공급경로상의 이격 간격을 실이 이탈되지 않는 범위에서 최소화하고, 실채기의 실걸이부재를 최소화된 이격 간격을 통과할 수 있도록 얇게 형성함으로써, 보조관과 보조관을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 및 안내관을 승강시키는 구성요소를 마련하지 않고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한편, 실꿰기장치(110)는 바늘작업부(72)와 인접한 헤드스템(71)의 하부에 마련되는 루프이송수단(111)과, 루프이송수단(111)에 의해 바늘(75)에 형성된 바늘(75)의 구멍을 향해 전진 및 후퇴하는 루프이송바아(113)와, 거의 마름모 형상을 가지고 루프이송바아(113)의 선단부에 결합되는 탄성체의 루프(115)를 갖는다.
루프(115)는 루프이송바아(113)의 전진시 탄성적으로 바늘(75)의 구멍을 통과하여 제2안내관(83)의 하부에 위치하며, 이송되는 실(5)의 말단부 영역을 수령받게 된다. 그리고, 루프(115)는 루프이송바아(113)의 후퇴시 탄성적으로 바늘(75)의 구멍을 빠져나와서 실(5)의 말단부영역을 바늘(75)의 구멍에 결속시킨다. 여기서, 루프이송수단(111)은 유압실린더, 공압실린더 또는 솔레노이드를 이용할 수 있다.
실채기(100)는 실(5)의 공급경로와 평행한 평면내에서 요동하는 요동레버(103)와, 요동레버(103)의 자유단부에 결합되어 제1안내관(81)과 제2안내관(83) 사이의 이격간격을 통해 왕복운동하여 실(5)을 긴장 및 이완시키는 실걸이부재(105)와, 요동레버(103)를 요동시키는 도시않은 레버구동부를 갖는다.
요동레버(103)는 제1안내관(81)을 사이에 두고 평행하게 한 쌍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실걸이부재(105)는 각 요동레버(103)의 자유단부영역을 막대상으로 연결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요동레버(103)의 요동은 레버구동부(미도시)에 의해 상하 왕복 회동으로 이루어지며, 실걸이부재(105)는 요동레버(103)의 회동에 의해 제1안내관(81)과 제2안내관(83)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 간격을 통해 상하 왕복 회동하면서 실(5)을 긴장 및 이완시키게 된다.
여기서, 실채기(100)의 요동레버(103)는 안내관조립체(80)의 후방 상부로부터 안내관조립체(80)의 전방하부로 왕복 회동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으며, 안내관조립체(80)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전후 왕복운동 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요동레버(103)를 회동시키기 위해 레버구동부(미도시)를 모터, 캠장치 등으로 마련할 수 있으며, 요동레버(103)를 왕복 운동시키기 위해, 레버구동부(미도시)를 유압실린더, 공압실린더 또는 솔레노이드 등으로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전술에서는 요동레버(103)ich를 한 쌍으로 마련하고 있지만, 요동레버(103)를 단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실걸이부재(105)는 외팔보형태로 요동레버(103)의 자유단부에 결합될 수 있으나, 실걸이부재(105)를 L자형상으로 형성하여 실(5)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헤드조립체(70)에는 실채기(100)의 상하 왕복회동시 실(5)을 실걸이부재(105)의 회동반경 하부에서 긴장 시켜주는 보조실걸이(120)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실걸이(120)는 제1안내관(81)에 대해 동축적으로 상하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파지링(125)과, 실파지링(125)을 승강시키는 링승강구동부(121)을 갖는다. 실파지링(125)은 안내관조립체(80)로 실(5)이 이송되기전 상향 이동하여 제1안내관(81)에 동축적으로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안내관조립체(80)를 통해 실(5)이 하향 이송된 후, 실채기(100)가 제1안내관(81)과 제2안내관(83) 사이의 이격 간격에 노출된 실(5)을 채어 올리면, 실파지링(125)이 하향 이동하여 제1안내관(81)의 하단부와 실채기(100)의 실걸이부재(105) 사이영역의 실(5)을 채어 내리게 된다.
이에 의해, 실(5)은 실걸이부재(105)의 회동반경 하부에서 일차적으로 긴장된다. 여기서, 실파지링(125)을 승강시키는 링승강구동부(121)는 유압실린더, 공압실린더 또는 솔레노이드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른 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를 동작시켜 자수작업을 할 때에는, 먼저, 실대기량조절바아(61)를 전방으로 이동시켜서 실파지홀더(63)들의 각 선단부가 실홀딩부(52)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실분배구(55) 및 실긴장바아(57)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위치시킨다.
그런 다음, 복수의 실보빈(미도시)으로부터 복수 색상의 실(5)들을 끌어와 각각 실장력유지부(8)에 결속시킨 후, 각 실(5)의 말단을 상측 실대기상태유지바아(59a)와 실홀딩부(52) 사이를 거쳐 각 실파지홀더(63)의 실통과공(65a)으로 통과시킨다. 이때, 실파지홀더(63)의 실통과공(65) 사이영역의 실(5)은 실긴장바아(57)의 전방에 위치하게 되며, 실홀더(54)는 전방으로 전진되어 있다.
그리고, 각 실파지홀더(63)의 실통과공(65)을 통과한 각 실(5)의 말단부를 하측 실대기상태유지바아(59b)와 실홀딩부(52) 사이를 거쳐 실공급부(30)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실대기관로(45)에 각각 수용 대기시켜서 준비작업을 완료한다.
이 때, 실대기량조절바아(61)는 후방으로 후퇴하며, 실홀더(54)의 상측 실대기상태유지바아(59a)는 실(5)이 후방으로 당겨지도록 실홀딩부(52)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하측 실대기상태유지바아(59b)는 실(5)이 후방으로 당겨지지 않도록 실(5)을 누른 상태로 실홀딩부(52)에 접촉된다. 이에 의해, 각 실(5)의 말단부는 도 5와 같이, 해당 실대기관로(45)에 대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각 실대기관로(45)에 실(5)을 대기시키는 준비작업이 완료되면, 기기의 전원을 온(ON)시킨다. 그러면,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는 가동프레임(20)을 수평 이동시켜서 복수의 실대기관로(45)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제1안내관(81)과 연통되도록 배치시킨다. 이때, 에어공급홀(95) 중 제1안내관(81)과 연통되도록 배치되는 실대기관로(45)에 대응하는 에어공급홀(95)이 실이송노즐(93)과 연결된다.
그리고, 제어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관(85)을 상승시켜서 제1안내관(81) 및 제2안내관(83)을 연결시키는 한편, 실꿰기장치(110)의 루프이송바아를 전진시켜서 루프(115)가 바늘(75)의 구멍을 통과하여 제2안내관(83) 하부에 대기되도록 한다. 또한, 해당 실대기관로(45)에 대응하는 실대기량조절바아(61)를 전진시켜서 실파지홀더(63)를 실분배구(55)로 부분적으로 노출시킴으로써, 대기상태의 실(5)을 이완시킴과 동시에, 실이송노즐(93)로 공기를 분사하게 된다.
그러면, 분사되는 공기는 에어공급홀(95)을 통해 실대기관로(45)로 공급되면서 실대기관로(45)에 대기하는 실(5)의 말단부를 하향 이송시키게 된다. 이에 의해, 실(5)의 말단부는 제1안내관(81)과 보조관(85) 및 제2안내관(83)을 통해 하향 이송된 다음, 제2안내관(83) 하부에서 바늘(75)의 구멍을 통과한 상태로 대기하고 있는 루프(115)에 수령된다.
이때, 실채기(100)의 실걸이부재(105)는 보조관(85)의 후방영역에 대기하고 있으며, 실파지링(125)은 보조관(85) 상부의 제1안내관(81) 하단부 영역에 위치하고 있다.
실(5)이 루프(115)에 수령되도록 이송된 후에 제어부(미도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이송바아(113)를 후퇴시켜서 루프(115)가 바늘(75)의 구멍을 빠져나오도록 함으로써, 실(5)의 말단부가 바늘(75)의 구멍에 끼워지도록 한다.
실(5)의 말단부가 바늘(75)의 구멍에 끼워지고 난 후에 제어부(미도시)는,보조관(85)을 하강시켜서 제1안내관(81)과 제2안내관(83)을 연결 해제시킨다. 그런 다음, 실채기(100)의 요동레버(103)를 전방 상부로 회동시켜서 보조관(85) 후방에 대기하고 있던 실걸이부재(105)가 제1안내관(81)과 제2안내관(83) 사이의 이격 간격에 노출된 실(5)을 채어 올리도록 한다. 실채기(100)에 의해 채어 올려지는 실이 제1안내관(81)의 하단부에 접촉되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안내관(81)의 하단부는 부드러운 라운드형상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5)이 채어 올려지고 난 후에는, 도 8과 같이, 실파지링(125)을 하향 이동시켜서 실걸이부재(105)와 제1안내관(81)의 하단부 사이영역의 실(5)을 채어 내리도록 함으로써, 자수작업의 초기행정을 완료하게 된다.
그리고, 자수작업의 초기행정이 완료되면, 제어부(미도시)는 바늘(75)과 노루발(73)을 작동시켜서 자수작업을 실행하게 된다. 이때, 실채기(100)는 바늘(75)의 동작에 대응하여 반복적으로 상하 왕복회동하면서 실(5)을 긴장 및 이완시키게 된다. 이에 의해, 원할한 자수작업이 이루어진다.
한편, 자수작업의 실행시 실(5)이 끊어지는 경우가 발생하면, 제어부(미도시)는 이를 감지하여 실대기량조절바아(61)를 후방으로 후퇴시킨다. 그러면, 실대기량조절바아(61)의 전방 단부에 결합된 실파지홀더(63)가 단사된 실(5)의 말단부를 끌어당기게 되며, 당겨지는 실(5)의 말단부는 제2안내관(83) 및 제1안내관(81)을 거쳐 실대기관로(45)로 복귀하여 대기하게 된다.
끊어진 실(5)의 말단부가 실대기관로(45)에 복귀하여 대기하게 되면, 제어부(미도시)는 다시 전술한 바와 같이, 실(5)의 공급동작을 재실행하여 자수작업을 계속 실행시키게 된다.
또한, 해당 실(5)의 자수작업이 종료되어 다른 색상의 실(5)로 자수작업을 계속 실행할 때는, 제어부(미도시)가 먼저 작업 완료된 실(5)을 도시않은 실커터로 절단시킨다. 그러면, 작업완료된 실(5)을 이완시키고 있는 실대기량조절바아(61)를 후방으로 후퇴시켜서 이 실(5)을 실대기관로(45)로 복귀시킨다. 그리고, 다음 자수작업의 대상이 되는 실(5)이 대기하고 있는 실대기관로(45)가 제1안내관(81)의 상부에 연결되도록 실공급부(30)를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킨다.
그런 다음, 제어부(미도시)는 다시 전술한 바와 같이, 실(5) 공급 동작을 실행시켜서 자수작업을 계속 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의해, 자수작업 도중 실(5)이 끊어지거나, 다른 색상의 실(5)로 자수작업을 실행할 때, 실공급경로상에 실(5)이 잔류하지 않게 되며, 기계가 정지하지 않고 계속해서 자수작업을 함으로써, 작업능률이 향상된다.
한편,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의 제5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확대 측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는, 안내관조립체 및 실채기를 제외한 일반적인 구성이 전술한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안내관조립체 및 실채기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타 구성요소의 명칭 및 부호는 설명의 편의상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사용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안내관조립체(180)는, 실공급부(30)의 실대기관로(45)에 대기하는 실(5)을 수령 받도록 헤드스템(71)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안내관(181)과, 안내관(181)을 승강시켜 실대기관로(45)에 대해 축선방향의 이격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안내관승강구동부(187)를 구비하고 있다.
안내관(181)은 하단부가 헤드스템(71)의 하부에 설치된 바늘작업부(72)에 인접하도록 연장된 주안내관(183)과, 주안내관(183)의 상부에 동축적으로 배치되는 보조안내관(185)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안내관승강구동부(187)은 보조안내관(185)을 승강시키도록 헤드스템(71)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안내관(181)은 보조관(85)을 갖지 않은 단일의 관으로 형성하여 승강되도록 할 수도 있는데, 이때는, 안내관(181) 상단부와 실대기관로(45)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 간격의 폭이 안내관(181)의 하단부가 바늘작업부(72)로부터 과도하게 이격되지 않는 범위이어야 한다. 이는 안내관(181) 하단부를 통해 인출되는 실(5)의 말단부가 실꿰기장치(110)의 루프(115)에 안정적으로 수령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실채기(200)는, 안내관(181)의 상단부와 실대기관로(45)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 간격을 통해 안내관(181)의 후방 상부로부터 전방 하부를 향해 왕복 회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실채기(200)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요동레버(203)와, 요동레버(203)의 자유단부에 결합되는 실걸이부재(205)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는, 실대기관로(45)에 대기하는 실(5)을 수령받기 위해 보조안내관(185)이 도 15와 같이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실(5)의 말단부가 안내관(181)을 통해 바늘작업부(72)에 인접한 영역으로 이송되고 난 후에는, 도 16과 같이, 보조안내관(185)이 하강하여 안내관(181) 상단부와 실대기관로(45) 사이에 이격 간격을 형성하게 된다. 실채기(200)는 안내관(181)과 실대기관로(45)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 간격을 통해 상하 왕복 회동하면서 실(5)을 긴장 및 이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는 헤드스템을 단일화하여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으며, 실의 공급경로에 곡선경로를 배제할 수 있어 실을 원활히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실공급경로의 이격 간격을 필요에 따라 없앨 수 있도록 하여 공급되는 실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헤드스템을 단일화하면서 실의 공급경로에 곡선경로를 배제할 수 있어 실을 원활히 공급할 수 있는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실공급경로의 이격 간격을 필요에 따라 없앨 수 있도록 하여 공급되는 실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7)

  1.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에 있어서,
    바늘작업부를 갖는 헤드스템과;
    상이한 색상을 갖는 복수의 실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실공급부와;
    상기 헤드스템에 마련되며, 상기 실공급부로부터의 실을 수령하는 제1안내관과, 상단부가 상기 제1안내관에 대해 축선방향을 따라 소정의 이격 간격을 가지고 하단부가 상기 바늘작업부에 인접하는 제2안내관을 갖는 안내관조립체와;
    상기 실의 공급경로와 평행한 평면내에서 요동하는 요동레버와, 상기 요동레버의 자유단부 영역에 상기 요동레버의 요동방향에 가로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요동레버의 요동운동에 따라 상기 이격 간격을 통해 왕복동하여 상기 실을 긴장 및 이완하는 실걸이부재를 갖는 실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공급부는,
    상기 헤드스템의 상부에 상기 제1안내관의 축선방향에 가로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며, 상기 실의 말단부가 각각 대기하는 복수의 실대기관로와;
    상기 실의 대기상태를 유지 및 해제하는 실대기량조절부와;
    상기 실대기관로에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실말단을 상기 제1 및 제2안내관을 통해이송시키는 실이송노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스템을 지지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실공급부를 지지하여 상기 고정프레임상에 설치되며, 상기 실대기관로의 배열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프레임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가동프레임과;
    상기 가동프레임을 상기 고정프레임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복수의 실대기관로 중 선택된 하나를 상기 제1안내관과 축선일치시키는 슬라이딩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공급부에는 전면으로부터 상기 각 실대기관로를 향해 하향경사각을 갖도록 관통된 에어공급홀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실이송노즐은 상기 헤드스템의 상부영역에 결합되어 상기 실공급부의 이동에 의해 선택된 실대기관로에 상기 에어공급홀을 통하여 공기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조립체는,
    상기 제1안내관과 상기 제2안내관 중 어느 하나에 동축적으로 설치되는 보조관과;
    상기 보조관을 승강시켜 상기 제1 및 제2안내관간의 상기 이격 간격을 차단 및 개방시키는 보조관구동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조립체는,
    상기 제1안내관과 상기 제2안내관의 이격 간격 사이에 개재되는 보조관과;
    상기 보조관을 상기 축선방향에 가로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 및 제2안내관간의 상기 이격 간격을 차단 및 개방시키는 보조관구동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조립체는,
    상기 제1안내관과 상기 제2안내관간의 상기 이격 간격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개재되는 보조관과;
    상기 회동보조관을 정역 회동시켜 상기 제1 및 제2안내관간의 상기 이격 간격을 차단 및 개방시키는 회동구동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조립체는,
    상기 제1안내관과 상기 제2안내관 중 어느 하나를 승강시켜 상기 제1 및 제2안내관간의 상기 이격 간격을 차단 및 개방시키는 승강구동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채기는, 상기 제1안내관을 사이에 두고 상호 평행하게 요동 운동하는 한 쌍의 상기 요동레버를 가지며, 상기 실걸이부재는 상기 한 쌍의 요동레버의 자유단부영역을 막대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내관에 대해 동축적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파지링과, 상기 실파지링을 승강시키는 링승강구동부을 가지고 상기 실걸이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실을 긴장시키는 보조실걸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11.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에 있어서,
    바늘작업부를 갖는 헤드스템과;
    상이한 색상을 갖는 복수의 실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실공급부와;
    상기 헤드스템에 마련되어 상기 실공급부로부터의 실을 수령받으며 하단부가 상기 바늘작업부에 인접하는 안내관과, 상기 안내관을 승강시켜 상기 실대기관로에 대해 축선방향을 따라 소정의 이격 간격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안내관승강구동부를 갖는 안내관조립체와;
    상기 실의 공급경로와 평행한 평면내에서 요동하는 요동레버와, 상기 요동레버의 자유단부 영역에 상기 요동레버의 요동방향에 가로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요동레버의 요동운동에 따라 상기 이격 간격을 통해 왕복동하여 상기 실을 긴장 및 이완하는 실걸이부재를 갖는 실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실공급부는,
    상기 헤드스템의 상부에 상기 안내관의 축선방향에 가로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며, 상기 실의 말단부가 각각 대기하는 복수의 실대기관로와;
    상기 실의 대기상태를 유지 및 해제하는 실대기량조절부와;
    상기 실대기관로에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실말단을 상기안내관을 통해 이송시키는 실이송노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스템을 지지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실공급부를 지지하여 상기 고정프레임상에 설치되며, 상기 실대기관로의 배열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프레임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가동프레임과;
    상기 가동프레임을 상기 고정프레임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복수의 실대기관로 중 선택된 하나를 상기 안내관과 축선일치시키는 슬라이딩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실공급부에는 전면으로부터 상기 각 실대기관로를 향해 하향경사각을 갖도록 관통된 에어공급홀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실이송노즐은 상기 헤드스템의 상부영역에 결합되어 상기 실공급부의 이동에 의해 선택된 실대기관로에 상기 에어공급홀을 통하여 공기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은, 상단부가 상기 실대기관로와 이격되도록 상기 헤드스템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주안내관과, 상기 주안내관의 상부에 동축적으로 설치되는 보조안내관을 가지며;
    상기 안내관승강구동부는 상기 보조안내관을 승강시켜 상기 실대기관로와 상기 주안내관간의 상기 이격 간격을 차단 및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실채기는, 상기 안내관을 사이에 두고 상호 평행하게 요동 운동하는 한 쌍의 상기 요동레버를 가지며, 상기 실걸이부재는 상기 한 쌍의 요동레버의 자유단부영역을 막대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내관에 대해 동축적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파지링과, 상기 실파지링을 승강시키는 링승강구동부을 가지고 상기 실걸이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실을 긴장시키는 보조실걸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KR10-2002-7002083A 1999-08-17 2000-08-17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KR1004395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6986 1999-08-17
KR2019990016986U KR200167993Y1 (ko) 1999-08-17 1999-08-17 자수기의 윗실 공급장치
JPJP-P-2000-00002811 2000-04-27
JPJP-U-2000-00002811 2000-04-27
JP2000002811 2000-04-27
KR2020000019257U KR200209888Y1 (ko) 2000-07-05 2000-07-05 자수기의 윗실 공급장치
KR2020000019257 2000-07-05
WOPCT/KR00/00854 2000-08-02
KR0000854 2000-08-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8028A true KR20020068028A (ko) 2002-08-24
KR100439528B1 KR100439528B1 (ko) 2004-07-12

Family

ID=27761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2083A KR100439528B1 (ko) 1999-08-17 2000-08-17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235956B1 (ko)
KR (1) KR100439528B1 (ko)
CN (1) CN1147636C (ko)
AU (1) AU6481400A (ko)
DE (1) DE60033177T2 (ko)
WO (1) WO200101829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78606B2 (en) 2004-06-18 2009-01-20 Inbro Co., Ltd. Sewing machin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13911A1 (en) 2004-06-03 2009-01-15 Inbro Co., Ltd. Thread feeding apparatus for an automatic embroidering machine
KR100790440B1 (ko) 2007-02-28 2008-01-03 파카코리아 주식회사 자수기용 실 공급장치
CN107829231B (zh) * 2017-07-27 2020-06-23 卞亚飞 一种面向工业使用的自动化缝纫穿针方法
CN107841836B (zh) * 2017-07-27 2020-06-23 卞亚飞 一种高效率自动穿线系统
CN110241532A (zh) * 2019-07-12 2019-09-17 拓卡奔马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缝纫机针杆的穿线装置
CN114836910B (zh) * 2022-05-12 2023-07-04 杭州传联花边有限公司 一种高速绣花机的张力控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1746Y2 (ja) * 1982-06-11 1984-09-07 豊 本田 刺しゆう機のボビン立て
JPS5947696U (ja) * 1982-09-20 1984-03-29 宮本 敏男 刺繍ミシンに於ける糸端保持装置
JPS5947697U (ja) * 1982-09-20 1984-03-29 宮本株式会社 刺繍用ミシンに於ける糸端の挾持装置
JPS59184785U (ja) * 1983-05-24 1984-12-08 宮本株式会社 ミシンに於ける糸端の挾持装置
JPH0174296U (ko) * 1987-11-07 1989-05-19
JPH06254277A (ja) * 1993-03-10 1994-09-13 Barudan Co Ltd 多色ミシン
DE19624344A1 (de) * 1996-06-19 1998-01-02 Zsk Stickmasch Gmbh Stickmaschine mit automatischem Fadenwechsl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78606B2 (en) 2004-06-18 2009-01-20 Inbro Co., Ltd. Sew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35956A1 (en) 2002-09-04
CN1147636C (zh) 2004-04-28
KR100439528B1 (ko) 2004-07-12
AU6481400A (en) 2001-04-10
EP1235956A4 (en) 2006-01-11
WO2001018297A1 (en) 2001-03-15
DE60033177T2 (de) 2007-11-08
DE60033177D1 (de) 2007-03-15
CN1377430A (zh) 2002-10-30
EP1235956B1 (en) 200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2255B1 (ko) 실 가공 기계, 특히 실 교환 장치를 가지는 자수 기계
KR100639355B1 (ko)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KR100439528B1 (ko)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US4285289A (en) Embroidering machine
KR20000029458A (ko) 자수용재봉기의실안내장치
JPH08182885A (ja) ミシン
US6325006B1 (en) Thread feeding apparatus for an automatic embroidering machine
KR20210044869A (ko) 코드재를 봉착할 수 있는 미싱 및 코드 컷 장치
KR100639356B1 (ko)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KR100639351B1 (ko)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JP3668457B2 (ja) 自動刺繍機用上糸供給装置
JP2002052288A (ja) 多色刺繍ミシン
KR100639352B1 (ko)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KR100687890B1 (ko) 자수기의 운전방법
JP4150067B2 (ja) 自動刺繍機用糸供給装置
KR100658187B1 (ko) 재봉기계
WO2006112460A1 (ja) 環縫いミシン
KR100766486B1 (ko) 재봉기계
KR20020018801A (ko) 실꿰기장치
CN1168431A (zh) 一种带有纱线操纵装置的机器
JP2001200465A (ja) タフトミシン
JPS6335268B2 (ko)
KR100726408B1 (ko) 체인 스티칭 미싱
JP2002317374A (ja) 環縫いミシン
KR200435708Y1 (ko) 체인 스티칭 미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