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9351B1 -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9351B1
KR100639351B1 KR1020030018585A KR20030018585A KR100639351B1 KR 100639351 B1 KR100639351 B1 KR 100639351B1 KR 1020030018585 A KR1020030018585 A KR 1020030018585A KR 20030018585 A KR20030018585 A KR 20030018585A KR 100639351 B1 KR100639351 B1 KR 100639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ad
upper thread
air
pip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8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3892A (ko
Inventor
박함규
Original Assignee
(주) 인브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인브로 filed Critical (주) 인브로
Priority to KR1020030018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9351B1/ko
Publication of KR20040083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3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9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9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1/00Devices for guiding, feeding, handling, or treating the threads in embroidering machines; Machine needles; Operating or control mechanisms therefor
    • D05C11/16Arrangements for repeating thread patterns or for changing thr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패로부터 바늘작업부로 윗실을 공급하기 위한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이한 색상을 갖는 상기 복수의 윗실 단부가 각각 수용되어 대기하는 복수의 실대기관과; 상기 복수의 실대기관에 대해 각각 연결되어 공기를 분사하는 복수의 공기분사로와, 상기 복수의 실대기관에 대기된 상기 윗실 중 어느 하나를 이송하도록 상기 복수의 공기분사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갖는 공기공급부와; 상기 실대기관으로부터 이송된 상기 윗실을 안내하도록 상기 복수의 실대기관에 대해 연결된 제1안내관과, 상기 제1안내관으로부터 이송된 상기 윗실을 상기 바늘작업부로 안내하도록 상기 바늘작업부 방향으로 형성된 제2안내관을 갖는 안내관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구조가 간단하며, 공기의 누출을 최소화하여 윗실의 공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THREAD FEEDING APPARATUS FOR AN AUTOMATIC EMBROIDER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실공급부 영역을 확대한 부분 상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실공급부의 실공급블록의 확대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실공급블록의 Ⅳ-Ⅳ 단면도,
도 5는 도 2의 실공급부의 연결관의 상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연결관의 Ⅵ-Ⅵ 단면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의 작동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부분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실공급부 영역을 확대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실공급부 영역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윗실 공급장치 3 : 윗실
5 : 고정프레임 7 : 헤드스템
10 : 실공급부 11 : 실장력유지부
20 : 실대기량조절부 21 : 실홀딩부
22 : 실분배구 24 : 실대기량조절바
25 : 실긴장바 26 : 실홀더
27a,27b : 실대기상태유지바 28 : 실파지홀더
30 : 실공급블록 31 : 실대기관
32 : 실공급관 33 : 실공급관지지부
35 : 공기공급부 36 : 공기분사로
37 : 솔레노이드 39 : 공기공급관
40 : 연결관 43 : 보조공기분사관
45 : 지지관 50 : 안내관조립체
51 : 제1안내관 53 : 제2안내관
55 : 보조관 60 : 실채기
61 : 요동레버 63 : 실걸이부재
70 : 바늘작업부 71 : 바늘
73 : 노루발 80 : 실꽤기장치
83 : 루프이송바 85 : 루프
본 발명은,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윗실 공급구조를 개선한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자수기는 다양한 색상의 실을 이용하여 의류나 신발 라벨 등에 미리 짜여진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적으로 수를 놓아 소정의 무늬 및 상표 등을 형성하는 자동재봉기의 일종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자수기는 복수의 실패로부터 여러 가지 상이한 색상의 윗실을 자수작업이 이루어지는 방향으로 공급하는 실공급부와, 실공급부로부터 윗실들을 공급받아 선택적으로 하나가 자수작업을 수행하는 복수의 바늘작업부와, 각 바늘작업부에 연결된 윗실을 긴장 및 이완시키는 복수의 실채기를 포함한다. 그리고, 각 바늘작업부는 상하 왕복운동에 의해 자수작업을 행하는 바늘과, 바늘의 진행방향을 따라 자수 원단을 눌러주는 노루발을 포함한다. 이에, 이러한 자동자수기는 복수의 바늘작업부 및 복수의 실채기 등을 마련하고 있어 그 구조가 복잡하다.
이에, 최근에는 이러한 자동자수기의 복잡한 구조를 개선한 하나의 바늘작업대를 갖는 싱글니들(Single Needle)용 자동자수기가 개발되어 공개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싱글니들용 자동자수기는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147302호의 자동자수기용 윗실 자동공급장치,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167993호의 자수기의 윗실 공급장치 및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209888호의 자수기의 윗실 공급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싱글니들용 자수기 윗실 공급장치들은, 가이드프레임과, 가이드프레임에 형성된 가이드레일과, 가이드레일에 안내되며 수직방향으로 복수의 실 공급공이 관통된 이송프레임과, 이송프레임이 가이드프레임을 일정한 간격으로 활주함으로써 선택적으로 복수의 실공급공에 수용된 윗실들 중 하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설치된 수직작동관과, 수직작동관으로부터 윗실을 공급받는 고정관과, 고정관의 단부에 마련되어 윗실을 바늘작업부영역으로 이송하기 위해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는 공급노즐 등을 마련하여, 각각의 색상에 부합되는 윗실을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는 복수의 실공급공에 각각 수용된 복수의 윗실들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직작동관에 공급하기 위해서 이송프레임이 가이드프레임에 마련된 가이드레일을 활주해야하므로, 이에 따른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실공급공과 수직작동관 사이의 틈새로 공기의 누출이 심하여 윗실이 잘 이송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며, 공기의 누출을 최소화 하여 윗실의 공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실패로부터 바늘작업부로 윗실을 공급하기 위한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이한 색상을 갖는 상기 복수의 윗실 단부가 각각 수용되어 대기하는 복수의 실대기관과; 상기 복수의 실대기관에 대해 각각 연결되어 공기를 분사하는 복수의 공기분사로와, 상기 복수의 실대기관에 대기된 상기 윗실 중 어느 하나를 이송하도록 상기 복수의 공기분사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갖는 공기공급부와; 상기 실대기관으로부터 이송된 상기 윗실을 안내하도록 상기 복수의 실대기관에 대해 연결된 제1안내관과, 상기 제1안내관으로부터 이송된 상기 윗실을 상기 바늘작업부로 안내하도록 상기 바늘작업부 방향으로 형성된 제2안내관을 갖는 안내관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복수의 공기분사로를 각각 개폐하도록 마련된 복수의 밸브와, 상기 복수의 밸브를 각각 작동시키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실대기관이 마련된 실공급블록을 더 포함하며, 상기 실공급블록에 마련된 상기 복수의 실대기관과 상기 제1안내관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각 실대기관에 대응하여 연결된 복수의 연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공급블록은 상기 각 실대기관에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삽입된 복수의 실공급관을 더 가지며, 상기 각 공기분사로는 상기 각 실공급관의 하단부보다 상측에 위치한 상기 각 실대기관과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연결관과 상기 제1안내관의 연결지점에는 상기 복수의 연결관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이송된 상기 윗실을 상기 제1안내관으로 이송하기 위해 공기를 분사하는 보조공기분사관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연결관과 상기 제1안내관의 연결지점에는 상기 복수의 연결관이 상기 제1안내관으로 연통되게 지지하는 지지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공기분사관은 상기 지지관에 연통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조공기분사관은 상기 복수의 연결관과 같은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연결관의 중앙에 위치하여 지지관에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1)는, 고정프레임(5)과, 고정프레임(5)의 전방에 결합된 헤드스템(7)과, 헤드스템(7)의 전면에 마련된 실공급부(10)와, 헤드스템(7)의 하측에 설치된 바늘작업부(70)와, 실공급부(10)와 바늘작업부(70)사이에 마련되어 실공급부(10)에서 공급되는 윗실(3)을 바늘작업부(70)에 인접한 영역으로 안내하는 안내관조립체(50)와, 안내관조립체(50)에 의해 안내된 윗실(3)을 바늘작업부(70)에 마련된 바늘(71)에 결속시키는 실꿰기장치(80)와, 안내관조립체(50)를 통과하는 윗실(3)의 일부분을 채어 윗실(3)을 긴장 및 이완시키는 실채기(60)를 포함한다.
고정프레임(5)은 지면과 같은 수평면에 안착되거나, 벽면이나 다른 기계장치 등에 결합되어 헤드스템(7) 등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헤드스템(7)은 그 배면이 고정프레임(5)에 결합되며, 그 전면은 실공급부(10)와 안내관조립체(50)와 바늘작업부(70) 및 실꿰기장치(80) 등을 지지하도록 거의 사각판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러한 실공급부(10) 등을 지지할 수 있게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실공급부(10)는 상이한 색상의 윗실(3)을 갖는 복수의 실패(미도시)로부터 공급된 각 윗실(3)의 공급장력을 조절하는 실장력유지부(11)와, 실장력유지부(11)를 통과한 각 윗실(3)의 단부가 바늘작업부(70)로 공급되기 위해 수용되어 대기하는 복수의 연결관(40)과, 실장력유지부(11)와 연결관(40) 사이에 설치되어 윗실(3)의 대기량을 조절하는 실대기량조절부(20)와, 복수의 연결관(40)에 각각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를 이송하기 위한 공기공급부(35)를 포함하다. 그리고, 실공급부(10)는 실대기량조절부(20)와 연결관(40) 사이에 복수의 윗실(3)이 각각 관통가능하게 마련된 복수의 실대기관(31)을 갖는 실공급블록(3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장력유지부(11)는 복수의 실패(미도시)로부터 연장된 각 윗실(3)의 공급장력을 조절하기 위해 다수의 텐션(Tension)(13)을 포함한다.
실대기량조절부(20)는 실장력유지부(11)와 연결관(40) 사이에 설치되나 바람직하게는 실장력유지부(11)와 실공급블록(30) 사이에 설치되어 실대기관(31)이나 연결관(40)에 대기하는 윗실(3)의 대기량을 조절한다. 그리고, 실대기량조절부(20)는 실공급블록(30)의 상부에 배치되는 실홀딩부(21)와, 실홀딩부(21)의 후방에 설치되는 복수의 실대기량조절바(24)를 포함한다.
실홀딩부(21)에는 실대기관(31)에 대응하는 복수의 실분배구(22)가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실홀딩부(21)의 전면에는 각 실분배구(22)의 중앙영역을 좌우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실긴장바(25)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실홀딩부(21)의 전방에는 실분배구(22)의 상부 및 하부 연부에 접근 및 이격되는 한 쌍의 실대기상태유지바(27a,27b)를 갖는 실홀더(26)가 설치되어 있으며, 실홀딩부(21)의 후방에는 실홀더(26)를 실분배구(22)의 상부 및 하부 연부에 접근 및 이격시키는 도시않은 실홀더구동부가 설치되어 있다.
실대기량조절바(24)는 실홀딩부(21)를 향해 전후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각 실대기량조절바(24)의 선단부에는 전방 이동시 각 실분배구(22)를 부분적으로 통과하는 실파지홀더(28)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실대기량조절바(24)는 실홀딩부(21)를 향해 전후 왕복이동 가능하게 도시되지 않은 실대기량조절바구동부와 연결된다. 여기서, 실홀더구동부(미도시) 및 실대기량조절바구동부(미도시)는 유압실린더, 공압실린더 또는 솔레노이드를 이용할 수 있다.
실파지홀더(28)는 실분배구(22)의 통과시 상부 및 하부가 실긴장바(25)의 상부 및 하부에 위치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되며, 각 선단부에는 윗실(3)이 통과되도록 실통과공(29)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관(40)은 실대기량조절바(24) 및 실대기관(31)을 통과한 윗실(3)이 바늘작업부(70) 방향으로 공급되도록, 윗실(3)을 수용 및 대기시킬 수 있게 소정의 길이를 갖는다. 일예로 각 연결관(40)의 길이는 대략 100m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공급블록(30)은 거의 사각 블록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복수의 실대기관(31)이 마련될 수 있게 원통형상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복수의 연결관(40)은 실공급블록(30)에 마련된 복수의 실대기관(31)의 윗실(3)이 토출되는 측에 각각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공급블록(30)의 실대기관(31)은 실공급블록(30)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공급블록(30)은 실대기관(31) 보다 짧으며 실대기관(31)에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삽입되는 복수의 실공급관(32)을 더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공급관(32)은 실대기관(31)에 소정 깊이 삽입되어 실대기관(31)의 상측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실공급블록(30)의 실대기관(31) 상측에는 실공급관(32)이 압입될 수 있도록 내향 돌출된 실공급관지지부(33)가 마련되어 실공급관(32)을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공급부(35)는 복수의 실대기관(31)에 대해 각각 연결되어 공기를 분사하는 복수의 공기분사로(36)와, 복수의 연결관(40)에 대기된 윗실(3) 중 어느 하나를 이송하도록 복수의 공기분사로(36)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한다. 그리고, 공기공급부(35)는 공기분사로(36)에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관(39)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기공급관(39)은 도시되지 않은 압축기와 같은 압축수단에 의해 압축공기를 공급받게 된다.
공기분사로(36)는 복수의 실대기관(31)에 각각 연결되어 공기를 분사할 수 있게 마련된다. 그리고, 공기분사로(36)는 그 일단이 실공급블록(30)에 마련된 복수의 실대기관(31)과 각각 연통되게 마련되며, 그 타단이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관(39)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기분사로(36)의 일단은 복수의 실대기관(31)과 각각 연통되게 마련되는데, 이때 실대기관(31)에 삽입된 실공급관(32)의 하단부보다 상측의 실대기관(31)과 연통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에, 실공급관(32)을 통해 공급되어 실대기관(31)에 대기하는 윗실(3)을 공 기분사로(36)를 통해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연결관(40)으로 하향 분사되면서 실공급관(32)에 위치한 윗실(3)을 연결관(40)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공기분사로(36)가 실공급관(32)의 하단부 보다 상측에 위치하므로 공기분사로(36)를 통해 분사되는 공기가 실공급관(32)방향으로 역류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개폐수단은 복수의 공기분사로(36)를 각각 개폐하기 위해 마련된 복수의 솔레노이드(37)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솔레노이드(37)의 작동은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솔레노이드(37)는 코일로 형성된 고정자(38b)와, 고정자(38b)에 삽입되어 왕복운동하는 가동자(38a)와, 공기공급관(39)과 연통된 제1공급관(38c)과, 공기분사로(36)와 연통된 제2공급관(38d)과, 가동자(38a)의 단부에 설치되어 제1공급관(38c) 및 제2공급관(38d)의 단부를 개폐하는 밸브(38)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각 솔레노이드(37)는 밸브(38)를 작동시켜 공기분사로(36)를 개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개폐수단으로 솔레노이드(37)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복수의 공기분사로(36)를 각각 개폐하도록 다른 형태의 전자밸브를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실공급부(10)는 복수의 연결관(40)과 후술할 안내관조립체(50)의 제1안내관(51)의 연결지점에 복수의 연결관(40)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이송된 윗실(3)을 제1안내관(51)으로 이송하기 위해 공기를 분사하는 보조공기분사관(43)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실공급부(10)는 복수의 연결관(40)과 제1안내관(51)의 연결지점에 복수의 연결관(40)과 제1안내관(51)을 연통되게 지지 하는 지지관(45)을 더 포함하여 보조공기분사관(43)을 지지관(45)에 연통되도록 설치한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공기분사관(43)은 그 일단이 복수의 연결관(40)과 같은 방향으로 지지관(45)에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타단은 압축기(미도시)와 같은 압축수단에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윗실(3)의 진행방향으로 분사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보조공기분사관(43)은 복수의 연결관(40)의 중앙에 위치하여 지지관(45)에 지지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에, 공기분사로(36)를 통해 분사된 공기에 의해 연결관(40)을 통해 지지관(45)에 공급된 윗실(3)을 보조공기분사관(43)의 공기분사에 의해 제1안내관(51) 등을 통해 바늘작업부(70)에 인접한 위치까지 이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조공기분사관(43)의 공기분사에 의해 공기분사로(36)의 공기분사에 의해 이송되는 윗실(3)을 더욱 확실하고 빠르게 바늘작업부(70)에 인접한 영역으로 이송할 수 있다.
안내관조립체(50)는 연결관(40)으로부터 이송된 윗실(3)을 안내하도록 복수의 연결관(40)과 연결된 제1안내관(51)과, 제1안내관(51)으로부터 이송된 윗실(3)을 바늘작업부(70)로 안내하도록 제1안내관(51)의 축선방향을 따라 바늘작업부(70)에 인접한 위치까지 연장된 제2안내관(53)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안내관(51) 및 제2안내관(53) 사이에 소정의 이격간격을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이격간격을 차단할 수 있게 제1안내관(51) 및 제2안내관(53)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승강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제1안내관(51) 및 제2안내관(53) 사이에는 소정의 이격간격을 마련되며, 제1안내관(51) 및 제2안내관(53) 중 어느 하나의 축선을 따라 승강가능하게 마련되어 제1안내관(51) 및 제2안내관(53)의 이격간격을 개방 및 차단하는 보조관을 더 마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내관조립체(50)에는, 일예로 제1안내관(51) 및 제2안내관(53)사이에 소정의 이격간격이 마련되며, 제2안내관(53)에 동축적으로 배치되어 제1안내관(51) 및 제2안내관(53)의 이격간격을 개방 및 차단하도록 승강가능하게 보조관(55)이 마련된다. 또한, 보조관(55)을 승강시키는 보조관구동부(미도시)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보조관구동부(미도시)는 왕복 운동하는 유압실린더, 공압실린더 또는 솔레노이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에, 윗실(3)이 바늘작업부(70) 방향으로 이송되는 경우에는, 보조관(55)이 상승하여 제1안내관(51) 및 제2안내관(53)사이의 이격간격을 차단함으로써, 윗실(3)이 제1안내관(51) 및 제2안내관(53)사이의 이격간격을 용이하게 통과하도록 한다. 그리고, 윗실(3)의 이송이 완료되어 자수작업이 실행되는 경우에는, 실채기(60)가 윗실(3)을 챌 수 있도록 보조관(55)이 하강하여 제1안내관(51) 및 제2안내관(53)사이에 이격간격을 형성하게 된다.
실채기(60)는 윗실(3)의 공급경로와 평행한 평면내에서 요동하는 한 쌍의 요동레버(61)와, 요동레버(61)의 자유단부에 결합되어 제1안내관(51)과 제2안내관(53) 사이의 이격간격을 통해 윗실(3)을 채어 왕복 운동하여 윗실(3)을 긴장 및 이완시키는 실걸이부재(63)와, 요동레버(61)를 요동시키는 레버구동부(미도시)를 갖는다. 그리고, 레버구동부(미도시)는 모터, 캠장치 등을 이용할 수 있 으며, 유압실린더 및 공기압실린더 및 솔레노이드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바늘작업부(70)는 헤드스템(7)의 하단에 상하 왕복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자수작업을 실행하는 바늘(71)과, 바늘(71)이 자수작업을 실행하는 동안 바늘(71)의 진행방향을 따라 자수원단을 눌러주는 노루발(73)과, 바늘(71)을 상하 왕복 이동시키는 바늘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여기서, 바늘구동부(미도시)는 모터, 캠장치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유압실린더 및 공기압실린더 및 솔레노이드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실꿰기장치(80)는 바늘작업부(70)와 인접한 헤드스템(7)의 하부에 마련되는 루프이송수단(미도시)과, 루프이동수단(미도시)에 의해 바늘(71)에 형성된 바늘구멍을 향해 전진 및 후퇴하는 루프이송바(83)와, 거의 마름모 형상을 가지고 루프이송바(83)의 선단부에 결합되는 탄성체의 루프(85)를 갖는다.
루프(85)는 루프이송바(83)가 전진할 때, 탄성적으로 바늘구멍을 통과하여 제2안내관(53)의 하부에 위치하며, 제2안내관(53)을 통해 이송된 윗실(3)의 단부 영역을 수령받게 된다. 그리고, 루프(85)는 루프이송바(83)가 후퇴할 때, 탄성적으로 바늘구멍을 빠져나와서 윗실(3)의 단부영역을 바늘구멍에 결속시킨다. 여기서, 루프이동수단(미도시)은 유압실린더, 공압실린더 또는 솔레노이드를 이용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솔레노이드(37)와 실홀더구동부(미도시) 및 실대기량조절바구동부(미도시)를 제어하며,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수단(미도시)과 보조관구동부(미도시)와 바늘구동부(미도시)와 실채기(60)의 레버구동부(미도시) 및 루프이 동수단(미도시) 등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1)의 작동과정을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복수의 실패(미도시)로부터 다양한 색상의 윗실(3)들을 끌어와 각각 실장력유지부(11)에 결속시킨다. 그리고, 실대기량조절바(24)를 전방으로 이동시켜서 실파지홀더(28)들의 각 선단부가 실홀딩부(21)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실분배구(22) 및 실긴장바(25)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위치시킨다. 그런 후, 각 윗실(3)의 단부를 상측 실대기상태유지바(27a)와 실홀딩부(21) 사이를 거쳐 각 실파지홀더(28)의 실통과공(29)으로 통과시킨다. 이때, 실파지홀더(28)의 실통과공(29) 사이영역의 윗실(3)은 실긴장바(25)의 전방에 위치하게 되며, 실홀더(26)는 전방으로 전진되어 있다.
그리고, 각 실파지홀더(28)의 실통과공(29)을 통과한 각 윗실(3)의 단부를 하측 실대기상태유지바(27b)와 실홀딩부(21) 사이를 거쳐 실공급블록(30)에 마련된 복수의 실공급관(32)을 통해 실대기관(31)에 각각 수용하여 대기시켜서 준비작업을 완료한다.
그리고, 실대기량조절바(24)는 후방으로 후퇴하며, 이때 실홀더(26)의 상측 실대기상태유지바(27a)는 윗실(3)이 후방으로 당겨지도록 실홀딩부(21)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하측 실대기상태유지바(27b)는 윗실(3)이 후방으로 당겨지지 않도록 윗실(3)을 누른 상태로 실홀딩부(21)에 접촉된다. 이에 의해, 각 윗실(3)의 단부는 해당 실대기관(31)에 대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도 7참조).
그리고, 각 실대기관(31)에 윗실(3)을 대기시키는 준비작업이 완료되면, 자수기의 전원을 온(ON)시킨다. 그러면, 제어부(미도시)는 공기공급관(39)을 통해 압축공기를 공기분사로(36)방향으로 공급한다. 그리고, 제어부(미도시)는 보조관(55)을 상승시켜서 제1안내관(51) 및 제2안내관(53)의 이격간격을 차단시키는 한편, 실꿰기장치(80)의 루프이송바(83)를 전진시켜서 루프(85)가 바늘(75)의 구멍을 통과하여 제2안내관(53) 하부에 대기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미도시)는 이송되도록 선택된 윗실(3)에 대응하는 실대기량조절바(24)를 전진시켜서 실파지홀더(28)를 실분배구(22)로 노출시킴으로써, 대기상태의 윗실(3)을 이완시킴과 동시에, 복수의 솔레노이드(37) 중 이송되도록 선택된 윗실(3)에 대응하는 하나만을 개방하여 해당 공기분사로(36)를 통해 실대기관(31)으로 공기를 분사하게 된다. 그러면, 분사되는 공기는 윗실(3)을 연결관(40)을 통해 하향 이송시켜 지지관(45)에 도달하게 한다(도 8참조).
윗실(3)이 지지관(45)에 도달하는 동시에, 제어부(미도시)는 보조공기분사관(43)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지지관(45)으로 공기를 하향 분사함으로써, 연결관(40)을 통해 공급된 윗실(3)을 다시 제1안내관(51)방향으로 하향 이송시킨다. 이에 의해, 윗실(3)의 단부는 제1안내관(51)과 보조관(55) 및 제2안내관(53)을 통해 하향 이송된 다음, 제2안내관(53) 하부에서 바늘(71)의 구멍을 통과한 상태로 대기하고 있는 루프(85)에 수령된다(도 9참조).
그런 후,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루프(85)가 바늘(71)의 구멍을 빠져나오도록 함으로써, 윗실(3)의 단부가 바늘(71)의 구멍에 끼워지도록 한다. 이때, 바늘(71)의 구멍에 끼워진 윗실(3)의 단부 영역의 길이는 실채기(60)의 실걸이부재(63)가 상향 회동하는 구간의 길이보다 길어야 한다. 이는 실채기(60)의 초기 동작시 윗실(3)이 바늘(71)의 구멍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윗실(3)의 단부가 바늘(71)의 구멍에 끼워지고 난 후에 제어부(미도시)는, 보조관(55)을 하강시켜서 제1안내관(51)과 제2안내관(53)을 연결 해제시킨다. 그런 다음, 실채기(60)의 요동레버(61)를 전방 상부로 회동시켜서 보조관(55) 후방에 대기하고 있던 실걸이부재(63)가 제1안내관(51)과 제2안내관(53) 사이의 이격 간격에 노출된 윗실(3)을 채어 올리도록 함으로써, 자수작업의 초기행정을 완료하게 된다(도 10참조).
그리고, 자수작업의 초기행정이 완료되면, 제어부(미도시)는 바늘(71)과 노루발(73)을 작동시켜서 자수작업을 실행하게 된다. 이때, 실채기(60)는 바늘(71)의 동작에 대응하여 반복적으로 상하 왕복회동하면서 윗실(3)을 긴장 및 이완시키게 된다. 이에 의해, 자수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자수작업을 실행할 때 윗실(3)이 끊어지는 경우가 발생하면, 제어부(미도시)는 이를 감지하여 실대기량조절바(24)를 후방으로 후퇴시킨다. 그러면, 실대기량조절바(24)의 전방 단부에 결합된 실파지홀더(28)가 단사된 윗실(3)의 단부를 끌어당기게 되며, 당겨지는 윗실(3)의 단부는 제2안내관(53) 및 제1안내관(51)을 거쳐 연결관(40) 또는 실대기관(31)으로 복귀하여 대기하게 된다. 이때, 연결관(40)의 길이를 충분히 길게 하여 단사된 윗실(3)의 단부가 실공급블록(30)의 실 공급관(32)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각 연결관(40)의 길이를 대략 100mm정도로 설정하였으나, 자수작업의 종류나 윗실 공급장치(1)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각 연결관(40)의 길이를 100mm 보다 길거나 짧게 설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끊어진 윗실(3)의 단부가 연결관(40) 또는 실대기관(31)에 복귀하여 대기하게 되면, 제어부(미도시)는 다시 전술한 바와 같이, 윗실(3)의 공급동작을 재실행하여 자수작업을 계속 실행시키게 된다.
또한, 해당 윗실(3)의 자수작업이 종료되어 다른 색상의 윗실(3)로 교체하여 자수작업을 실행할 때는, 제어부(미도시)가 먼저 작업 완료된 윗실(3)을 도시않은 실커터로 절단시킨다. 그러면, 작업완료된 윗실(3)을 이완시키고 있는 실대기량조절바(24)를 후방으로 후퇴시켜서 이 윗실(3)을 실대기관(31) 등으로 복귀시킨다. 그리고, 제어부(미도시)는 다음 자수작업의 대상이 되는 윗실(3)에 대응하는 실대기량조절바(24)를 전진시켜, 대기상태의 윗실(3)을 이완시킴과 동시에, 복수의 솔레노이드(37) 중 이송되도록 선택된 윗실(3)에 대응하는 하나만을 개방하여 해당 공기분사로(36)를 통해 실대기관(31)으로 공기를 분사하게 된다. 그런 다음, 제어부(미도시)는 다시 전술한 바와 같이, 실 공급 동작을 실행시켜서 자수작업을 계속 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1)는 자수작업 중 윗실(3)이 끊어지거나, 다른 색상의 윗실(3)로 교체하여 자수작업을 실행할 때, 장치가 정지하지 않고 계속해서 자수작업을 실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능 률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종래 복수의 실공급공에 수용된 실들을 선택적으로 바늘작업부에 공급하기 위해 이송프레임이 가이드프레임에 마련된 가이드레일을 활주해야 하는 등의 구조를 마련하지 않아도 되므로 구조가 간단하며, 종래의 실공급공과 실안내관인 수직작동관 사이의 틈새로 공기의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윗실의 이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다. 이러한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의 실공급블록(30), 실공급관(32), 실공급관지지부(33) 및 연결관(40)을 마련하지 않으며, 실대기관(31a)은 연장되어 제1안내관(51)과 연결되도록 구성된다는 것이 제1실시예와의 차이점이다. 그리고, 제2실시예에서의 복수의 공기분사로(36a)는 각각이 복수의 실대기관(31a)에 윗실의 공급방향으로 소정각도 경사지게 연결되며, 각 공기분사로(36a)에는 개폐수단이 장착되어 각 공기분사로(36a)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게 된다.
개폐수단은 각 공기분사로(36a)를 개폐할 수 있도록 복수의 솔레노이드(37a)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복수의 공기분사로(36a)를 각각 개폐하도록 다른 형태의 전자밸브를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실대기관(31a)은 전술한 제1실시예의 연결관(40)과 같이 실대기량조절바(24)를 통과한 윗실(3)이 바늘작업부(70) 방향을 공급되어 수용 및 대기할 수 있게 소정의 길이를 갖는다. 일예로 각 실공급로(40a)의 길이는 대략 100m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나, 자수작업의 종류나 윗실 공급장치(1)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각 실대기관(31a)의 길이를 100mm 보다 길거나 짧게 설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공기공급관(39)을 통해 압축공기를 공기분사로(36a)로 공급하며, 이송되도록 선택된 윗실(3)에 대응하는 솔레노이드(37a)의 작동으로 공기분사로(36a)를 개방하여 해당 공기분사로(36a)를 통해 실대기관(31a)으로 경사지게 공기를 분사하고, 보조공기분사관(43)을 통해 압축공기를 분사함으로써, 실대기관(31a)에 대기 중인 윗실(3)을 제1안내관(51) 및 제2안내관(53)을 통해 바늘작업부(70)의 인접한 위치까지 바로 이송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도 역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실시예의 실공급블록(30), 실공급관(32), 실공급관지지부(33) 및 연결관(40)과 같은 구성을 마련하지 않아도 되므로 구조를 더욱 간단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다. 이러한 제3실시예는 제1 및 제2실시예와 같이 복수의 공기분사로(36)에 각각 장착되는 복수의 개폐수단을 마련하는 대신에, 하나의 개폐수단을 마련하여 복수의 공기분사로(36b)중 하나로 선택적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이 제1 및 제2실시예와의 차이점이다.
개폐수단은 복수의 공기분사로(36b)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방향전환밸브장치(37b)인 것이 바람직하나, 복수의 공기분사로(36b)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다른 형태의 전자밸브장치로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도 역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및 제2실시예와 달리 하나의 밸브장치(37b)만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구조를 더욱 간단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연결관(40)과 제1안내관(51)의 연결지점에 보조공기분사관(43)을 마련하고 있지만, 이러한 보조공기분사관(43)이 마련되지 않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경우, 공기공급관(39)을 통해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더 강하게 공기분사로(36)방향으로 공급함으로써, 실공급블록(30)의 실대기관(31) 또는 연결관(40)에 대기 중인 윗실(3)을 제1안내관(51) 및 제2안내관(53)을 통해 바늘작업부(70)의 인접한 위치까지 바로 이송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 전술한 실시예들에 비해 보조공기분사관과 같은 구성을 마련하지 않아도 되므로 구조를 더욱 간단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윗실(3)의 공급라인을 6개로 구성하고 있지만, 윗실 공급장치의 용도에 따라 이러한 윗실의 공급라인을 6개 보다 더 많거나 작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에서 연결관(40)은 금속성관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플렉시블관(Flexible Tube)이나 플라스틱관 또는 고무재질이나 섬유질 등으로 제작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는 복수의 실대기관과, 복수의 실대기관에 각각 연결되어 공기를 분사하는 복수의 공기분사로 및 이러한 복수의 공기분사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갖는 공기공급부와, 실대기관으로부터 이송된 윗실을 안내하는 안내관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조가 간단하며, 공기의 누출을 최소화 하여 윗실의 공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가 간단하며, 공기의 누출을 최소화 하여 윗실의 공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Claims (7)

  1. 실패로부터 바늘작업부로 윗실을 공급하기 위한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이한 색상을 갖는 상기 복수의 윗실 단부가 각각 수용되어 대기하는 복수의 실대기관과;
    상기 복수의 실대기관에 대해 각각 연결되어 공기를 분사하는 복수의 공기분사로와, 상기 복수의 실대기관에 대기된 상기 윗실 중 어느 하나를 이송하도록 상기 복수의 공기분사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갖는 공기공급부와;
    상기 실대기관으로부터 이송된 상기 윗실을 안내하도록 상기 복수의 실대기관에 대해 연결된 제1안내관과, 상기 제1안내관으로부터 이송된 상기 윗실을 상기 바늘작업부로 안내하도록 상기 바늘작업부 방향으로 형성된 제2안내관을 갖는 안내관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복수의 공기분사로를 각각 개폐하도록 마련된 복수의 밸브와, 상기 복수의 밸브를 각각 작동시키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실대기관이 마련된 실공급블록을 더 포함하며,
    상기 실공급블록에 마련된 상기 복수의 실대기관과 상기 제1안내관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각 실대기관에 대응하여 연결된 복수의 연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공급블록은 상기 각 실대기관에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삽입된 복수의 실공급관을 더 가지며,
    상기 각 공기분사로는 상기 각 실공급관의 하단부보다 상측에 위치한 상기 각 실대기관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결관과 상기 제1안내관의 연결지점에는 상기 복수의 연결관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이송된 상기 윗실을 상기 제1안내관으로 이송하기 위해 공기를 분사하는 보조공기분사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결관과 상기 제1안내관의 연결지점에는 상기 복수의 연결관이 상기 제1안내관으로 연통되게 지지하는 지지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공기분사관은 상기 지지관에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공기분사관은 상기 복수의 연결관과 같은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연결관의 중앙에 위치하여 지지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KR1020030018585A 2003-03-25 2003-03-25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KR100639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8585A KR100639351B1 (ko) 2003-03-25 2003-03-25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8585A KR100639351B1 (ko) 2003-03-25 2003-03-25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3892A KR20040083892A (ko) 2004-10-06
KR100639351B1 true KR100639351B1 (ko) 2006-10-27

Family

ID=37367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8585A KR100639351B1 (ko) 2003-03-25 2003-03-25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93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0440B1 (ko) 2007-02-28 2008-01-03 파카코리아 주식회사 자수기용 실 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7890B1 (ko) * 2004-11-11 2007-02-27 (주) 인브로 자수기의 운전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5764A (ja) 1997-03-03 1998-09-14 Suminoe Textile Co Ltd 自動フックドラグ織機
KR200167993Y1 (ko) 1999-08-17 2000-02-15 박함규 자수기의 윗실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5764A (ja) 1997-03-03 1998-09-14 Suminoe Textile Co Ltd 自動フックドラグ織機
KR200167993Y1 (ko) 1999-08-17 2000-02-15 박함규 자수기의 윗실 공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0440B1 (ko) 2007-02-28 2008-01-03 파카코리아 주식회사 자수기용 실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3892A (ko) 2004-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9355B1 (ko)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KR100222255B1 (ko) 실 가공 기계, 특히 실 교환 장치를 가지는 자수 기계
US10781544B2 (en) Quilting machine
US10260184B2 (en) Quilting machine
EP0394601A1 (en) Adevice for disabling and enabling one or more needles in a quilting machine or a multi-needle embroidery machine
JPH01314775A (ja) タフティング機
US4285289A (en) Embroidering machine
KR100639351B1 (ko)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KR100439528B1 (ko)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US6325006B1 (en) Thread feeding apparatus for an automatic embroidering machine
KR100742366B1 (ko) 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KR100639352B1 (ko)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KR101033076B1 (ko) 재봉틀
JP3668457B2 (ja) 自動刺繍機用上糸供給装置
KR100687888B1 (ko)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JP4150067B2 (ja) 自動刺繍機用糸供給装置
KR100658187B1 (ko) 재봉기계
KR102172994B1 (ko) 이중체인 스티치인 솔기의 풀림 방지장치
KR100687887B1 (ko) 실꿰기장치
JP2006296557A (ja) 環縫いミシン
KR100766486B1 (ko) 재봉기계
CN1168431A (zh) 一种带有纱线操纵装置的机器
KR20020018801A (ko) 실꿰기장치
KR200435708Y1 (ko) 체인 스티칭 미싱
JP2011099170A (ja) 繊維強化複合材料用プリフォームの縫合装置及び縫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