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9352B1 -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9352B1
KR100639352B1 KR1020030031401A KR20030031401A KR100639352B1 KR 100639352 B1 KR100639352 B1 KR 100639352B1 KR 1020030031401 A KR1020030031401 A KR 1020030031401A KR 20030031401 A KR20030031401 A KR 20030031401A KR 100639352 B1 KR100639352 B1 KR 100639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ad
upper thread
coupled
guide tube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1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9025A (ko
Inventor
박함규
Original Assignee
(주) 인브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인브로 filed Critical (주) 인브로
Priority to KR1020030031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9352B1/ko
Publication of KR20040099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9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9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9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1/00Devices for guiding, feeding, handling, or treating the threads in embroidering machines; Machine needles; Operating or control mechanisms therefor
    • D05C11/08Thread-tensioning arrangements
    • D05C11/10Guides, e.g. resilient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1/00Devices for guiding, feeding, handling, or treating the threads in embroidering machines; Machine needles; Operating or control mechanisms therefor
    • D05C11/16Arrangements for repeating thread patterns or for changing thr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바늘작업부가 장착된 헤드스템과; 상이한 색상을 갖는 복수의 윗실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실안내로를 갖는 실공급부와; 상기 헤드스템에 마련되며, 상기 실안내로로부터의 윗실을 수령하여 상기 바늘작업부로 안내하도록 상기 실안내로의 축선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마련된 안내관을 갖는 안내관조립체와; 상기 실안내로와 상기 안내관 사이의 이격간격을 윗실의 공급방향의 가로방향으로 통과하여 윗실과 접촉하는 가동체와, 상기 가동체가 윗실과 접촉하여 윗실의 공급경로를 우회시켜 윗실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상기 가동체를 위실의 공급방향의 가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갖는 실장력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구조가 간단하며,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THREAD FEEDING APPARATUS FOR AN AUTOMATIC EMBROIDER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실공급부의 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실장력조절부의 확대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안내관조립체의 확대 사시도,
도 5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의 작동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윗실 공급장치 3 : 윗실
7 : 헤드스템 9 : 실패
10 : 실공급부 11 : 실안내로
20 : 실대기량조절부 21 : 실홀딩부
22 : 실분배구 24 : 실대기량조절바
25 : 실긴장바 26 : 실홀더
27a,27b : 실대기상태유지바 28 : 실파지홀더
30 : 실공급블록 31 : 실대기관
35 : 공기공급부 40 : 연결관
43 : 보조공기분사관 45 : 지지관
50 : 안내관조립체 51 : 안내관
52 : 가동안내관 53 : 제1가동안내관
54 : 제1연결브래킷 55 : 제2가동안내관
56 : 제2연결브래킷 58 : 고정브래킷
59 : 지지브래킷 60 : 실장력조절부
61 : 가동체 63 : 실접촉부
65 : 탄성부재 67 : 연결부재
68 : 걸림부 69 : 회동축
71 : 지지대 72 : 걸림수용부
75 : 실이송부재 76 : 실수용부
78 : 실수용브래킷 80 : 이송수단
81 : 풀리 83 : 벨트
90 : 바늘작업부 91 : 바늘
92 : 바늘지지대 100 : 실채기
101 : 실걸이부 103 : 회동아암
105 : 아암지지브래킷 106 : 링크조립체
110 : 실꽤기장치 113 : 루프이송바
115 : 루프 117 : 루프이송부
본 발명은,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윗실 공급구조를 개선한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자수기는 다양한 색상의 실을 이용하여 의류나 신발 라벨 등에 미리 짜여진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적으로 수를 놓아 소정의 무늬 및 상표 등을 형성하는 자동재봉기의 일종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자수기는 고정프레임의 전방에 마련된 헤드스템과, 헤드스템에 장착되어 복수의 실패로부터 여러 가지 상이한 색상의 윗실을 자수작업이 이루어지는 방향으로 공급하는 윗실 공급장치와, 이렇게 공급된 윗실을 꿰어 자수작업을 수행하는 바늘작업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자동자수기는 윗실 공급장치 및 바늘작업부에 장착된 바늘의 수에 따라 싱글니들(Single Needle)용과 멀티니들(Multi Needle)용으로 분류된다.
싱글니들용 자동자수기는 복수의 실패로부터 여러 가지 상이한 색상의 윗실들 중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를 바늘작업부로 공급하는 윗실 공급장치와, 공급되는 하나의 윗실을 꿰어 자수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나의 바늘을 갖는 바늘작업부를 포함한다.
멀티니들용 자동자수기는 복수의 실패로부터 여러 가지 상이한 색상의 윗실들을 바늘작업부로 공급하는 윗실 공급장치와, 공급되는 복수의 윗실들을 각각 꿰 어 그 중 하나가 자수작업을 수행하도록 복수의 바늘을 갖는 바늘작업부를 포함한다.
이하 명세서에서는 싱글니들용 자동자수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러한 종래의 싱글니들용 자동자수기에 대한 발명이 한국공개특허공보 특2002-0068028호의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자동자수기 윗실 공급장치는, 바늘작업부를 갖는 헤드스템과; 상이한 색상을 갖는 복수의 실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실공급부와; 상기 헤드스템에 마련되며, 상기 실공급부로부터의 실을 수령하는 제1안내관과, 상단부가 상기 제1안내관에 대해 축선방향을 따라 소정의 이격 간격을 가지고 하단부가 상기 바늘작업부에 인접하는 제2안내관을 갖는 안내관조립체와; 상기 실의 공급경로와 평행한 평면내에서 요동하는 요동레버와, 상기 요동레버의 자유단부 영역에 상기 요동레버의 요동방향에 가로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요동레버의 요동운동에 따라 상기 이격 간격을 통해 왕복동하여 상기 실을 긴장 및 이완하는 실걸이부재를 갖는 실채기를 포함하여, 헤드스템을 단일화하면서 실의 공급경로에 곡선경로를 배제할 수 있어 실을 원활히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종래의 자동자수기의 윗실 공급장치는, 헤드스템의 상측에 마련되어 복수의 실패로부터 연장된 각 윗실의 공급장력을 조절하는 실장력유지부를 더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의 실장력유지부는 실패로부터 연장된 복수의 윗실 모두의 공급장력을 조절하도록 마련되어 그 구성이 복잡 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일일이 각 윗실을 실장력유지부에 결합시켜야하므로 작업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며,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에 있어서, 바늘작업부가 장착된 헤드스템과; 상이한 색상을 갖는 복수의 윗실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실안내로를 갖는 실공급부와; 상기 헤드스템에 마련되며, 상기 실안내로로부터의 윗실을 수령하여 상기 바늘작업부로 안내하도록 상기 실안내로의 축선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마련된 안내관을 갖는 안내관조립체와; 상기 실안내로와 상기 안내관 사이의 이격간격을 윗실의 공급방향의 가로방향으로 통과하여 윗실과 접촉하는 가동체와, 상기 가동체가 윗실과 접촉하여 윗실의 공급경로를 우회시켜 윗실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상기 가동체를 위실의 공급방향의 가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갖는 실장력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실장력조절부는 상기 가동체와 접촉하는 윗실의 접촉길이를 증가시키도록 윗실을 상기 가동체 방향으로 이송하는 실이송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장력조절부는, 일측이 상기 가동체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구동부와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더 가지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연결부재를 소정의 탄성력으로 회동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동체는 단면이 원형으로 마련되며, 그 외주면에는 윗실을 수용하여 접촉하도록 형성된 실접촉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장력조절부는 상기 연결부재에 대해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헤드스템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축을 더 가지며, 상기 회동축은 상기 탄성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회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관조립체는 상기 실안내로와 상기 안내관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마련된 가동안내관을 더 가지며, 상기 실안내로 및 상기 안내관가 연결 및 이격되도록 상기 가동안내관을 이송시키는 이송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가동안내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마련된 한 쌍의 풀리와; 상기 한 쌍의 풀리에 결합되며, 상기 가동안내관과 결합되어 상기 가동안내관을 이송하는 벨트와; 상기 풀리를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장력조절부는 상기 연결부재의 타측으로 연장된 걸림부를 더 가지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벨트의 일측과 결합되어 이동가능하게 마련된 지지대에 의해 그 회동이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이송부재는 상기 벨트의 타측과 결합되어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동안내관은 상기 벨트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호 대향되 게 이동하는 제1가동안내관 및 제2가동안내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가동안내관 및 상기 제2가동안내관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에 수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동체는 상기 실안내로 및 상기 제1가동안내관 사이의 이격간격을 통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가동안내관 및 상기 안내관 사이의 이격공간에 위치한 윗실을 채는 실채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채기는, 상기 제2가동안내관을 수용가능하게 관통된 실걸이부와; 일측이 상기 실걸이부에 일체로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헤드스템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아암과; 일측이 상기 회동아암에 대해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벨트에 결합되어 상기 벨트의 이동에 의해 회동아암을 회동시키는 링크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싱글니들용 자동자수기를 일실시예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1)는, 고정프레임(5)과, 고정프레임(5)의 전방에 결합된 헤드스템(7)과, 헤드스템(7)의 전면에 마련된 실공급부(10)와, 헤드스템(7)의 하측에 설치된 바늘작업부(90)와, 실공급부(10)와 바늘작업부(90)사이에 마련되어 실공급부(10)에서 공급되는 윗실(3)을 바늘작업부(90)에 인접한 영역으로 안내하는 안내관조립체(50)와, 실공급부(10) 및 안내관조립체(50) 사이의 이격간격에 위치한 윗실(3)을 채어 윗실(3)의 공급장력을 조절하는 실장력조절부(6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1)는, 안내관조립체(50)에 의해 안내된 윗실(3)을 바늘작업부(90)에 마련된 바늘(91)에 결속시키는 실꿰기장치(110)와, 안내관조립체(50)를 통과하는 윗실(3)의 일부분을 채어 윗실(3)을 긴장 및 이완시키는 실채기(1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프레임(5)은 지면과 같은 수평면에 안착되거나, 벽면이나 다른 기계장치 등에 결합되어 헤드스템(7) 등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헤드스템(7)은 그 배면이 고정프레임(5)에 결합되며, 그 전면은 실공급부(10)와 안내관조립체(50)와 바늘작업부(90) 및 실꿰기장치(110) 등을 지지하도록 거의 사각판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러한 실공급부(10) 등을 지지할 수 있게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실공급부(10)는 상이한 색상을 갖는 복수의 윗실(3)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실안내로(11)를 포함한다. 그리고, 실공급부(10)는 상이한 색상을 갖는 복수의 실패(9)로부터 공급된 각 윗실(3)의 단부가 바늘작업부(90)로 공급되기 위한 복수의 연결관(40)과, 실패(9)와 연결관(40) 사이에 설치되어 윗실(3)의 대기량을 조절하는 실대기량조절부(20)와, 실대기량조절부(20)와 연결관(40) 사이에 복수의 윗실(3)이 각각 수용되어 대기가능하게 마련된 복수의 실대기관(31)을 갖는 실공급블록(30)과, 실공급블록(30)의 실대기관(31)에 각각 연결되어 각 실대기관(31)에 수용된 복수의 윗실(3) 중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를 연결관(40)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공기공급부(35)와, 복수의 연결관(40)과 실안내로(11)의 연결지점에 복수 의 연결관(40)과 실안내로(11)를 연통되게 지지하는 지지관(45)과, 지지관(45)에 결합되어 복수의 연결관(40)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이송된 윗실(3)을 실안내로(11)로 이송하기 위해 공기를 분사하는 보조공기분사관(43)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대기량조절부(20)는 실패(9)와 실공급블록(30) 사이에 설치되어 실공급블록(30)의 실대기관(31)이나 연결관(40)에 대기하는 윗실(3)의 대기량을 조절한다. 그리고, 실대기량조절부(20)는 실공급블록(30)의 상부에 배치되는 실홀딩부(21)와, 실홀딩부(21)의 후방에 설치되는 복수의 실대기량조절바(24)를 포함한다.
실홀딩부(21)에는 실공급블록(30)의 실대기관()에 대응하여 마련된 복수의 실분배구(22)가 형성되며, 실홀딩부(21)의 전면에는 각 실분배구(22)의 중앙영역을 좌우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결합된 실긴장바(25)와, 실분배구(22)의 상부 및 하부 연부에 접근 및 이격되는 한 쌍의 실대기상태유지바(27a,27b)를 갖는 실홀더(26)가 마련된다. 그리고, 실홀딩부(21)의 후방에는 실홀더(26)를 실분배구(22)의 상부 및 하부 연부에 접근 및 이격시키는 실홀더구동부(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실대기량조절바(24)는 실홀딩부(21)를 향해 전후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각 실대기량조절바(24)의 선단부에는 전방 이동시 각 실분배구(22)를 부분적으로 통과하는 실파지홀더(28)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실대기량조절바(24)는 실홀딩부(21)를 향해 전후 왕복이동 가능하게 실대기량조절바구동부(미도시)와 연결된다.
실파지홀더(28)는 실분배구(22)의 통과시 상부 및 하부가 실긴장바(25)의 상 부 및 하부에 위치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되며, 각 선단부에는 윗실(3)이 통과되도록 실통과공(29)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관(40)은 실대기량조절바(24) 및 실공급블록(30)을 통과한 윗실(3)이 바늘작업부(90) 방향으로 공급되도록, 윗실(3)을 수용 및 대기시킬 수 있게 소정의 길이를 갖는다. 일예로 각 연결관(40)의 길이는 대략 100m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공급블록(30)은 거의 사각 블록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복수의 실대기관(31)은 윗실(3)이 공급되는 경로를 따라 관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공급부(35)는 복수의 실대기관(31)에 대해 각각 연결되어 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복수의 실대기관(31)에 대기된 윗실(3) 중 어느 하나를 이송하도록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공기분사관(43)은 그 일단이 복수의 연결관(40)과 같은 방향으로 지지관(45)에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타단은 압축기(미도시)와 같은 압축수단에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윗실(3)의 진행방향으로 분사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보조공기분사관(43)은 복수의 연결관(40)의 중앙에 위치하여 지지관(45)에 지지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에, 공기공급부(35)에 의해 분사된 공기는 복수의 윗실(3) 중 어느 하나를 연결관(40)을 통해 지지관(45)으로 공급하며, 이렇게 공급된 윗실(3)은 보조공기분사관(43)의 공기분사에 의해 실안내로(11) 및 안내관조립체(50)를 통해 바늘작업부(90)에 인접한 위치까지 이송된다.
안내관조립체(50)는 헤드스템(7)에 마련되며, 실공급부(10)의 실안내로(11)로부터의 윗실(3)을 수령하여 바늘작업부(90)로 안내하도록 실안내로(11)의 축선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마련된 안내관(51)을 포함한다. 그리고, 안내관조립체(50)는 실공급부(10)의 실안내로(11)와 안내관(51)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마련된 가동안내관(52)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내관(51)은 윗실(3)을 수용할 수 있게 긴 관형상으로 마련되며, 실안내로(11)로부터 이격되어 바늘작업부(90)에 근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안내관(51)은 헤드스템(7)에 고정브래킷(58)에 의해 일체로 지지된다.
가동안내관(52)은 실안내로(11)와 안내관(51) 사이의 이격공간에 윗실(3)의 공급경로를 따라 설치된다. 그리고, 가동안내관(52)은 후술할 이송수단(80)의 벨트(83)의 일측(83a) 및 타측(83b)에 각각 결합되어 상호 대향되게 이동하는 제1가동안내관(53) 및 제2가동안내관(55)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가동안내관(53)은 실안내로(11)와 제2가동안내관(55)사이에 마련되며, 실안내로(11)의 축선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2가동안내관(55)은 제1가동안내관(53)과 안내관(51)사이에 마련되며, 윗실(3)의 공급경로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가동안내관(53) 및 제2가동안내관(55)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에 수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가동안내관(53)이 제2가동안내관(55)에 수용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제1가동안내관(53) 및 제2가동안내관(55)은 지지브래킷(59)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지지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윗실 공급장치(1)는 실공급부(10)의 실안내로(11) 및 안내관(51)이 연결 및 이격되도록 가동안내관(52)을 이송시키는 이송수단(8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송수단(80)은 가동안내관(5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마련된 한 쌍의 풀리(81)와, 한 쌍의 풀리(81)에 결합되며 가동안내관(52)과 결합되어 가동안내관(52)을 이송하는 벨트(83)와, 풀리(81)를 구동하는 구동모터(미도시)를 포함한다.
풀리(81)는 소정거리 이격되게 헤드스템(7)의 전면에 가동안내관(52)의 길이방향인 상하 방향으로 한 쌍으로 설치된다.
벨트(83)는 한 쌍의 풀리(81)에 장착되어 풀리(81)의 회동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며, 일측(83a)이 제1가동안내관(53)과 제1연결브래킷(54)에 의해 결합되고, 타측(83b)이 제2가동브래킷(55)과 제2연결브래킷(56)에 의해 결합된다. 이에, 벨트(83)가 이동함에 따라 제1가동브래킷(53) 및 제2가동브래킷(55)이 함께 연동되어 실안내로(11) 및 안내관(51)을 연결 및 이격시키게 된다.
구동모터(미도시)는 한 쌍의 풀리(81) 중 하나를 구동하도록 헤드스템(7)의 배면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장력조절부(60)는 실공급부(10)의 실안내로(11)와 안내관(51) 사이의 이격간격을 윗실(3)의 공급방향의 가로방향으로 통과하여 윗실(3)과 접촉하는 가동체(61)와, 가동체(61)가 윗실(3)과 접촉하여 윗실(3)의 공급경로를 우회시켜 윗실(3)의 공급장력을 조절하도록 가동체(61)를 위실(3)의 공급방향의 가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실장력조절부(60)는 가동체(61)와 접촉하는 윗실(3)의 접촉길이를 증가시키도록 윗실(3)을 가동체(61) 방향으로 이송하는 실이송부재(75)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장력조절부(60)는 일측이 가동체(61)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구동부와 결합되는 연결부재(67)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연결부재(67)에 대해 일체로 결합되며 헤드스템(7)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축(69)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동체(61)는 단면이 원형으로 마련되며, 그 외주면에는 윗실(3)을 수용하여 접촉하도록 함몰된 실접촉부(63)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가동체(61)는 그 중심부가 연결부재(67)의 일측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가동체(61)는 실공급부(10)의 실안내로(11)와 제1가동안내관(53) 사이의 이격간격을 윗실(3)의 공급방향의 가로방향으로 통과하여 윗실(3)과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부는 가동체(61)를 위실(3)의 공급방향의 가로방향으로 이동시키며, 가동체(61)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구동부는 연결부재(67)의 타측과 결합되어 연결부재(67)를 소정의 탄성력으로 회동시키는 탄성부재(65)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가동체(61)의 이동을 제한하는 수단으로는 연결부재(67)의 회동을 제한하는 후술할 걸림부(68) 및 지지대(71)인 것이 바람직하나, 가동체(61)의 이동을 제한 할 수 있게 연결부재(67)의 일영역과 접촉하여 연결부재(67)의 회동을 저지하는 걸림수단을 마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탄성부재(65)는 일단이 연결부재(67)에 대해 일체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축(69)에 결합되고, 타단이 헤드스템(7)에 대해 결합된 코일스프링(Coil Spring)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탄성부재(65)는 코일스프링의 권선 수 등을 조절함으로 연결부재(67)를 회동시키는 탄성력을 조절하여 가동체(61)의 실접촉부(63)와 접촉되는 윗실(3)의 공급장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에, 구동부인 탄성부재(65)에 의해 연결부재(67)가 회동가능하게 되며, 연결부재(67)의 회동에 의해 가동체(61)가 실안내로(11)와 안내관(51) 사이의 이격간격을 윗실(3)의 공급방향의 가로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연결부재(67)는 긴 막대 형상으로 일측이 가동체(6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회동축(69)과 일체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연결부재(67)의 타측단부에는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연장된 걸림부(68)가 마련된다.
걸림부(68)는 이송수단(80)과 결합되어 이동가능하게 마련된 지지대(71)에 의해 그 회동이 제한되어 연결부재(67)의 회동을 제한하게 된다.
지지대(71)는 긴 막대 형상으로 이송수단(80)의 벨트(83)의 일측(83a)과 일체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상측단부가 걸림부(68)와 접하여 걸림부(68)의 회동을 제한한다. 그리고, 지지대(71)는 제2연결브래킷(56)에 의해 벨트(83)의 일측(83a)과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대(71)는 걸림부(68)와 접하는 상단에 걸림부(68)를 수용할 수 있도록 걸림수용부(72)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복수의 지지브래킷(59)에 의해 헤드스템(7)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걸림부(68) 및 지지대(71)에 의해 연결부재(67)의 회동을 제한함으로써 가동체(61)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실이송부재(75)는 가동체(61)와 접촉하는 윗실(3)의 접촉길이를 증가시키도록 윗실(3)을 수용하는 실수용부(76)와, 실수용부(76)가 이동가능하게 실수용부(76)에서 연장되어 벨트(83)의 타측(83b)과 결합되는 실수용브래킷(78)을 포함한다.
실수용부(76)는 가동체(61)가 이동하여 윗실(3)과 접촉한 상태에서, 가동체(61)의 실접촉부(63)와 접촉한 윗실(3)의 하부영역을 상측으로 이동하여 가동체(61)의 실접촉부(63)와 접촉하는 윗실(3)의 접촉길이를 증가시킨다.
실채기(100)는 제2가동안내관(55) 및 안내관(51) 사이의 이격공간에 위치한 윗실(3)을 채어 윗실(3)을 긴장 및 이완시킨다. 그리고, 실채기(100)는 제2가동안내관(55)을 수용가능하게 관통된 실걸이부(101)와, 일측이 실걸이부(101)에 일체로 결합되며 타측이 헤드스템(7)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아암(103)과, 일측이 회동아암(103)에 대해 결합되며 타측이 벨트(83)에 결합되어 벨트(83)의 이동에 의해 회동아암(103)을 회동시키는 링크조립체(106)를 포함한다. 그리고, 실채기(100)는 회동아암(103)을 헤드스템(7)에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아암지지브래킷(105)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링크조립체(106)는 일측이 회동아암(103)과 함께 아암지지브래킷(105)에 결 합되어 회동아암(103)을 회동시키며 타측이 제2링크부재(106b)에 결합된 제1링크부재(106a)와, 일측이 제1링크부재(106a)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벨트(83)의 타측(83b)에 결합된 제2링크부재(106b)를 포함한다. 이에, 제2링크부재(106b)가 벨트(83)와 일체로 이동하여 제1링크부재(106a)를 회동시키고, 제1링크부재(106a)의 회동에 의해 회동아암(103)이 회동가능하게 된다.
아암지지브래킷(105)에는 회동아암(103)의 회동에 의해 실걸이부(101)가 윗실(3)을 채며 회동한 상태에서, 바늘작업부(90)의 자수작업에 대응하여 윗실(3)을 긴장 및 이완시키도록 회동아암(103)을 구동하는 아암구동부(미도시)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아암구동부(미도시)는 모터나 캠장치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늘작업부(90)는 헤드스템(7)의 하단에 상하 왕복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자수작업을 실행하는 바늘(71)과, 바늘(71)을 지지하는 바늘지지대(92)와, 바늘(71)이 자수작업을 실행하는 동안 바늘(71)의 진행방향을 따라 자수원단을 눌러주는 노루발(미도시)과, 바늘(71)을 상하 왕복 이동시키는 바늘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여기서, 바늘구동부(미도시)는 모터, 캠장치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유압실린더 및 공기압실린더 및 솔레노이드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실꿰기장치(110)는 바늘작업부(90)와 인접한 헤드스템(7)의 하부에 마련되는 루프이송부(117)와, 루프이송부(117)에 의해 바늘(71)에 형성된 바늘구멍을 향해 전진 및 후퇴하는 루프이송바(113)와, 거의 마름모 형상을 가지고 루프이송바(113)의 선단부에 결합되는 탄성체의 루프(115)를 갖는다.
루프(115)는 루프이송바(113)가 전진할 때, 탄성적으로 바늘(71)의 구멍을 통과하여 안내관(51)의 하단부에 근접하게 위치하며, 안내관(51)을 통해 이송된 윗실(3)의 단부 영역을 수령받게 된다. 그리고, 루프(115)는 루프이송바(113)가 후퇴할 때, 탄성적으로 바늘(71)의 구멍을 빠져나와서 윗실(3)의 단부영역을 바늘구멍에 결속시킨다. 여기서, 루프이송부(117)는 유압실린더, 공압실린더 또는 솔레노이드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1)는 복수의 실패(9)로부터 바늘작업부(90)로 윗실(3)을 공급하기 위해 구동모터(미도시)와 같은 제어대상이 되는 것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미도시)는 실대기량조절바구동부(미도시)과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수단(미도시) 및 구동모터(미도시)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미도시)는 바늘구동부(미도시)와 실채기(60)의 아암구동부(미도시) 및 루프이송부(117) 등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1)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실대기량조절바(24)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실파지홀더(28)들의 각 선단부가 실홀딩부(21)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실분배구(22) 및 실긴장바(25)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한다. 그런 후, 복수의 실패(9)로부터 다양한 색상의 윗실(3) 단부를 상측 실대기상태유지바(27a)와 실홀딩부(21) 사이를 거쳐 각 실파지홀더(28)의 실통과공(29)에 통과시킨다. 이때, 실파지홀더(28)의 실통과공(29) 사이영역의 윗실(3)은 실긴장바(25)의 전방에 위치하게 되며, 실홀더(26)는 전방으로 전진되어 있다.
그리고, 각 실파지홀더(28)의 실통과공(29)을 통과한 각 윗실(3)의 단부를 하측 실대기상태유지바(27b)와 실홀딩부(21) 사이를 거쳐 실공급블록(30)에 마련된 복수의 실대기관(31)에 각각 수용하여 대기시킨다. 그리고, 실대기량조절바(24)는 후방으로 후퇴하며, 이때 실홀더(26)의 상측 실대기상태유지바(27a)는 윗실(3)이 후방으로 당겨지도록 실홀딩부(21)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하측 실대기상태유지바(27b)는 윗실(3)이 후방으로 당겨지지 않도록 윗실(3)을 누른 상태로 실홀딩부(21)에 접촉된다. 이에 의해, 각 윗실(3)의 단부는 해당 실대기관(31)에 대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도 2참조).
그리고, 제1가동안내관(53) 및 제2가동안내관(55)은 실공급부(10)의 실안내로(11) 및 안내관(51) 사이를 연결하도록 함으로써, 윗실(3)을 공급하기 위한 준비작업이 완료된다(도 5참조).
그리고, 자동자수기의 전원을 온(ON)시켜, 공기공급부(35) 및 보조공기분사관(43)에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복수의 윗실(3) 중 선택적으로 하나를 실안내로(11)와 제1 및 제2가동안내관(53,55)과 안내관(11)을 통해 바늘작업부(90)에 근접한 위치로 공급하게 된다. 그러면, 공급된 윗실(3)의 단부는 바늘(91)의 구멍을 통과한 상태로 대기하고 있는 루프(115)에 수령되어 루프(115)가 바늘(91)의 구멍을 빠져나오면, 윗실(3)의 단부가 바늘(91)의 구멍에 끼워지게 된다(도 6참 조). 이때, 바늘(91)의 구멍에 끼워진 윗실(3)의 단부 영역의 길이는 실채기(100)의 실걸이부(101) 및 실장력조절부(60)의 가동체(61)의 이동구간의 길이보다 길어야 하는데, 이는 실채기(100) 및 실장력조절부(60)의 초기 동작시 윗실(3)이 바늘(91)의 구멍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윗실(3)의 단부가 바늘(91)의 구멍에 끼워지고 난 후에 제어부(미도시)는, 벨트(83)의 일측(83a)이 하향으로 이동함고 동시에 벨트(83)의 타측(83b)이 상향으로 이동하도록 이송수단(80)의 구동모터(미도시)를 구동한다. 그러면, 벨트(83)의 일측(83a)과 결합된 제1가동안내관(53)은 하향으로 이동하여 제2가동안내관(55)에 수용됨과 동시에 벨트(83)의 타측(83b)과 결합된 제2가동안내관(55)은 상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벨트(83)의 일측(83a)과 결합된 지지대(71)가 하향으로 이동하여 탄성부재(65)에 의해 가동체(61)가 이동하여 윗실(3)을 실접촉부(63)에 접촉시키며, 벨트(83)의 타측(83b)과 결합된 실이송부재(75)의 실수용부(76)가 상향으로 이동하여 가동체(61)의 실접촉부(63)에 윗실(3)의 접촉길이를 증가시키다. 그리고, 실채기(100)의 실걸이부(101)가 상향으로 회동하여 윗실(3)을 채어 올리게 된다(도 7참조).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자동자수기의 윗실 공급장치(1)는 종래의 자동자수기의 윗실 공급장치와 같이 복수의 윗실의 공급장력을 조절하는 실장력유지부를 사용하지 않고 바늘작업부(90)로 공급되는 선택된 하나의 윗실(3)의 공급장력을 조절하도록 실장력조절부(60)를 마련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며, 종래의 자동자수기의 윗실 공급장치와 같이 사용자가 복수의 윗실을 모두 결합해야 하는 작업을 하지 않아 도 되므로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자동자수기의 윗실 공급장치(1)는 안내관조립체(50)의 제1 및 제2가동안내관(53,55)과 실장력조절부(60) 및 실채기(100)를 이송수단(80)을 이용하여 작동시킴으로써, 개별적인 구동수단을 따로 마련할 필요가 없으므로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가 간단하며,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Claims (14)

  1.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에 있어서,
    바늘작업부가 장착된 헤드스템과;
    상이한 색상을 갖는 복수의 윗실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실안내로를 갖는 실공급부와;
    상기 헤드스템에 마련되며, 상기 실안내로로부터의 윗실을 수령하여 상기 바늘작업부로 안내하도록 상기 실안내로의 축선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마련된 안내관을 갖는 안내관조립체와;
    상기 실안내로와 상기 안내관 사이의 이격간격을 윗실의 공급방향의 가로방향으로 통과하여 윗실과 접촉하는 가동체와, 상기 가동체가 윗실과 접촉하여 윗실의 공급경로를 우회시켜 윗실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상기 가동체를 위실의 공급방향의 가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갖는 실장력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장력조절부는 상기 가동체와 접촉하는 윗실의 접촉길이를 증가시키도록 윗실을 상기 가동체 방향으로 이송하는 실이송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장력조절부는,
    일측이 상기 가동체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구동부와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더 가지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연결부재를 소정의 탄성력으로 회동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체는 단면이 원형으로 마련되며, 그 외주면에는 윗실을 수용하여 접촉하도록 형성된 실접촉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장력조절부는 상기 연결부재에 대해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헤드스템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축을 더 가지며,
    상기 회동축은 상기 탄성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조립체는 상기 실안내로와 상기 안내관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마 련된 가동안내관을 더 가지며,
    상기 실안내로 및 상기 안내관가 연결 및 이격되도록 상기 가동안내관을 이송시키는 이송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가동안내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마련된 한 쌍의 풀리와;
    상기 한 쌍의 풀리에 결합되며, 상기 가동안내관과 결합되어 상기 가동안내관을 이송하는 벨트와;
    상기 풀리를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장력조절부는 상기 연결부재의 타측으로 연장된 걸림부를 더 가지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벨트의 일측과 결합되어 이동가능하게 마련된 지지대에 의해 그 회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실이송부재는 상기 벨트의 타측과 결합되어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것 을 특징을 하는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안내관은 상기 벨트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호 대향되게 이동하는 제1가동안내관 및 제2가동안내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동안내관 및 상기 제2가동안내관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에 수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체는 상기 실안내로 및 상기 제1가동안내관 사이의 이격간격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동안내관 및 상기 안내관 사이의 이격공간에 위치한 윗실을 채는 실채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실채기는,
    상기 제2가동안내관을 수용가능하게 관통된 실걸이부와;
    일측이 상기 실걸이부에 일체로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헤드스템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아암과;
    일측이 상기 회동아암에 대해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벨트에 결합되어 상기 벨트의 이동에 의해 회동아암을 회동시키는 링크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KR1020030031401A 2003-05-17 2003-05-17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KR100639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1401A KR100639352B1 (ko) 2003-05-17 2003-05-17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1401A KR100639352B1 (ko) 2003-05-17 2003-05-17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9025A KR20040099025A (ko) 2004-11-26
KR100639352B1 true KR100639352B1 (ko) 2006-10-27

Family

ID=37376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1401A KR100639352B1 (ko) 2003-05-17 2003-05-17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93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79560B (zh) * 2018-03-15 2023-07-25 田岛刺绣机械(中国)有限公司 一种刺绣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5764A (ja) 1997-03-03 1998-09-14 Suminoe Textile Co Ltd 自動フックドラグ織機
JPH11222763A (ja) 1998-02-06 1999-08-17 Brother Ind Ltd タフティング用ミシン
KR200202704Y1 (ko) 2000-04-17 2000-11-15 동양반도체장비주식회사 자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5764A (ja) 1997-03-03 1998-09-14 Suminoe Textile Co Ltd 自動フックドラグ織機
JPH11222763A (ja) 1998-02-06 1999-08-17 Brother Ind Ltd タフティング用ミシン
KR200202704Y1 (ko) 2000-04-17 2000-11-15 동양반도체장비주식회사 자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9025A (ko) 2004-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9355B1 (ko)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US4285289A (en) Embroidering machine
KR20140106431A (ko) 재봉기
US6325006B1 (en) Thread feeding apparatus for an automatic embroidering machine
KR100639352B1 (ko)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KR100439528B1 (ko)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KR200482460Y1 (ko) 재봉틀 및 이 재봉틀로 솔기의 시작부를 재봉하는 방법
KR100742366B1 (ko) 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WO2020054555A1 (ja) コード材を縫着可能なミシン及びコードカット装置
KR20210044870A (ko) 코드재를 봉착할 수 있는 미싱 및 코드재를 공급하는 장치 그리고 코드 안내체
KR100639351B1 (ko)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KR100639356B1 (ko)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US4934291A (en) Needle thread supply device in two needle sewing machine with one needle pause function
KR100658187B1 (ko) 재봉기계
KR100687888B1 (ko)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JP4094867B2 (ja) ミシン
RU2345184C2 (ru) Гибкая стачечная машина тяжелого режима с множеством головок с автоматическим шпулечным зарядчиком
KR102481545B1 (ko) 정의된 공칭 초과 실 길이를 가지고 섬유 조각 내에서 꿰매어질 솔기의 솔기 시작 바늘 실을 생산하는 방법 및 이러한 유형의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재봉틀
US20020112655A1 (en) Sewing machine for forming running-stitch seams
JP4150067B2 (ja) 自動刺繍機用糸供給装置
US5934212A (en) Two part sewing system for large work pieces
JP4310289B2 (ja) 環縫いミシン
JP3668457B2 (ja) 自動刺繍機用上糸供給装置
JP2004181134A (ja) ミシンの糸繰り出し装置
ES2904508T3 (es) Máquina de coser de punto de cadena con varias aguj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