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2704Y1 - 자수장치 - Google Patents

자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2704Y1
KR200202704Y1 KR2020000010774U KR20000010774U KR200202704Y1 KR 200202704 Y1 KR200202704 Y1 KR 200202704Y1 KR 2020000010774 U KR2020000010774 U KR 2020000010774U KR 20000010774 U KR20000010774 U KR 20000010774U KR 200202704 Y1 KR200202704 Y1 KR 2002027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thread
embroidery
needle bar
upper th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07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건
Original Assignee
동양반도체장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반도체장비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반도체장비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107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27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27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27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1/00Devices for guiding, feeding, handling, or treating the threads in embroidering machines; Machine needles; Operating or control mechanisms therefor
    • D05C11/08Thread-tensioning arrangements
    • D05C11/10Guides, e.g. resilient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1/00Devices for guiding, feeding, handling, or treating the threads in embroidering machines; Machine needles; Operating or control mechanisms therefor
    • D05C11/08Thread-tensioning arrangements
    • D05C11/14Stop motions responsive to thread tension or breakage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3/00General types of embroidering machines
    • D05C3/02General types of embroidering machines with vertical nee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중간가이드(544)에 설치되는 보조가이드(550)가, 중간가이드(544)에 고정되는 아이들축(551)과, 아이들축(551)에 고정되어 아이들축(551)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무구동 회전롤러(552)로 이루어져서, 실조임레버에 의해서 윗실(A)이 당겨질 때, 윗실(A)이 마찰에 의해 손상되지 않게 되어 윗실끊김이 방지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수장치{EMBROIDERY MACHINES}
본 고안은 자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조임레버의 상하 회전운동으로 인해서 윗실에 돌발적인 장력이 가해지더라도 윗실의 끊김이 방지되도록 하는 자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자수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자수장치는 니들의 갯수나, 자수유닛의 갯수, 또는 자수를 수행하는 방법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구분되지만, 그 기본적인 작동원리는 대체로 모두 동일하므로,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자수장치의 작동상태를 이하 간략하게 설명한다.
우선, 다양한 색상의 실이 감겨진 다수의 실타레(800)들을 자수유닛(500)이나 왕복이동프레임(400)에 설치된 실타레꽂이에 배치시킨 후, 각각의 실타레(800)에 감겨진 윗실(A)의 선단을 해당 실얽힘방지기구(410)의 실얽힘방지용 가이드(411) → 자수유닛(500)의 장력조절기(511) → 조절노브(530) → 제1가이드(541) 또는 제2가이드(542) → 상부가이드(543)의 가이드부재 → 보조가이드(550) → 실조임레버(570) → 중간가이드(544)의 가이드부재(544a ; 도 4 참조) → 하부가이드(545)의 가이드부재 → 니들(561) 순으로 개별적으로 끼워넣고,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설치되어진 후크베이스(도시안됨)에 밑실(도시안됨)을 끼워넣는다.
이후, 원단고정판(600)에 원단(700)을 편평하게 얹어서 고정하고, 원단고정판(600)을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원단고정판 이동장치(300)에 고정한 상태에서, 본체(100)에 구비된 제어반(200)을 조작하여 자수장치를 동작시키면, 제어반(200)에 입력된 동작제어신호에 의해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이 자동으로 제어되어 자수작업이 수행된다. 상기 원단고정판 이동장치(300)는 X축(횡방향)과 Y축(종방향)을 따라서 평면적으로 이동제어되어서 원단고정판(600)에 고정된 원단(700)이 자수포인트(후크베이스 설치위치)에 적절하게 위치되도록 하고, 또한 자수유닛(500)들이 설치되어진 왕복이동프레임(400)은 X축과 평행한 이동축(120)을 따라서 좌우방향으로 왕복이동제어되어서 해당 니들(561)이 자수포인트에 적절하게 위치되도록, 즉 해당 색상의 윗실이 적절하게 원단(700)에 자수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자수유닛(500)과 후크베이스에 의한 자수동작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해 보면, 구동수단(도시안됨)의 동력이 니들바아(560)와 실조임레버(570)에 개별적으로 가해지면, 니들바아(560)가 상사점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수직이동되면서, 니들바아(560)의 이동시간보다 지연된 상태로 실조임레버(570)가 회전축(571)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도 3상에서)으로 회전되어 상사점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이동되는데, 실조임레버(570)의 이동시점은 니들바아(560)의 이동시점보다 지연된다. 이와 동시에, 자수포인트에 위치된 후크베이스는 별도의 구동수단(도시안됨)에 의해서 니들바아(560)와 상응하게 구동된다.
상기 니들바아(560)에 고정된 니들(561)이 원단(700)을 관통하도록, 상기 니들바아(560)가 하사점까지 내려진 후에 니들바아(560)의 이동방향이 전환되어 하사점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이동을 시작하면, 후크베이스의 로터리후크가 니들(561)에 끼워진 윗실(A)을 잡아끌게 되고, 이후 실조임레버(570)가 하사점까지 내려지면서 니들(561)이 원단(700)을 빠져나온 후, 실조임레버(570)의 이동방향이 전환되어 하사점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이동을 시작한다.
이후, 상기 실조임레버(570)가 상사점에 도달되면, 후크베이스의 로터리후크에 의해서 잡아끌려진 윗실(A)이 후크베이스의 밑실과 교차되면서 맞물려서 스티취(Stitch)가 형성된다.
한편, 실조임레버(570)가 상방향으로의 소정 이동시점부터 상사점에 도달되는 동안, 실타레(800)에서부터 실조임레버(570)까지의 윗실(A)이 적절한 장력으로 잡아당겨지게 되는데, 당겨지는 윗실(A)의 길이는 스티취(Stitch) 간격에 따라서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약 10mm가 통상적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가이드(544)에 설치되는 보조가이드(550)가 가이드구멍(559a)이 형성된 'ㅡ'자단면형태의 가이드플레이트(559)로 되어 있어서, 실조임레버(570)에 의해 윗실(A)이 당겨질 때, 가이드플레이트(559)와 이에 접하게 되는 윗실(A) 사이에 간섭(마찰)이 크게 발생되어, 실조임레버(570)에 의해 당겨져서 가이드플레이트(559)의 가이드구멍(559a)을 통과한 윗실(A)이 손상되므로, 이 부분이 장력을 이기지 못하고 끊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자수작업중에 윗실(A)이 끊어지게 되면, 자수장치의 모든 동작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끊어진 윗실(A)의 앞부분을 제거하고, 끊어진 윗실(A)의 뒷부분을 실조임레버(570) → 중간가이드(544)의 가이드부재(544a) → 하부가이드(545)의 가이드부재 → 니들(561) 순으로 다시 끼워넣은 후, 자수장치를 재가동시켜야 하므로, 생산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초래되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실조임레버의 상하 회전운동으로 인해서 윗실에 돌발적인 장력이 가해지더라도 윗실의 끊김이 방지되도록 하는 자수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자수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자수장치의 자수유닛을 확대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자수유닛의 우측면도,
도 4는 도 3에 표기된 X부의 요부를 확대한 부분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수장치의 자수유닛을 도시한 정면도로서, 도 2에 대한 대응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자수유닛의 우측면도,
도 7은 도 6에 표기된 Y부의 요부를 확대한 부분단면도로서, 도 4에 대한 대응도,
도 8은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자수유닛의 주요부분을 확대도시한 사시도이다.
100 ; 본체, 110 ; 베이스 플레이트,
120 ; 이동축, 200 ; 제어반,
300 ; 원단고정판 이동장치, 400 ; 왕복이동프레임,
410 ; 실얽힘방지기구, 411 ; 실얽힘방지용 가이드,
500 ; 자수유닛, 510 ; 자수유닛베이스,
511 ; 장력조절기, 511a ; 핸들,
520 ; 니들바아 고정블록, 530 ; 조절노브,
541 ; 제1가이드, 542 ; 제2가이드,
543 ; 상부가이드, 544 ; 중간가이드,
544a ; 가이드부재, 545 ; 하부가이드,
550 ; 보조가이드, 551 ; 아이들축,
552 ; 무구동 회전롤러, 553 ; 스페이서,
554 ; 롤러고정용 링, 560 ; 니들바아,
561 ; 니들, 570 ; 실조임레버,
570a ; 구멍, 571 ; 회전축,
600 ; 원단고정판, 700 ; 원단,
800 ; 실타레.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하단에 니들이 구비된 니들바아가 자수유닛의 니들바아 고정블록에 수직방향으로 왕복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실조임레버가 니들바아의 상부위치에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자수유닛에 구비되며, 또한 니들바아 고정블록의 상부와 중간부분 및 하부에는 상부가이드와 중간가이드 및 하부가이드가 각각 설치되고, 보조가이드가 중간가이드에 설치되되, 가이드구멍이 형성된 실조임레버의 자유단이 상부가이드와 중간가이드 사이의 위치에서 니들바아 고정블록을 관통하면서 왕복회동되도록 배치되어, 상부가이드 → 보조가이드 → 실조임레버 → 중간가이드 → 하부가이드 → 니들 순으로 윗실이 끼워지도록 된 자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조가이드는, 중간가이드에 고정되는 아이들축과, 아이들축에 고정되어 아이들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무구동 회전롤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고안을 도시한 것으로서, 종래 기술을 도시한 도 1 내지 도 4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5 및 도 6에 의하면, 자수유닛(500)의 윗부분을 이루는 자수유닛베이스(510)의 상부에는 장력조절기(511)가 설치되고, 장력조절기(511) 설치위치보다 아래부분에 위치된 자수유닛베이스(510)에는 조절노브(530)가 서로 등간격을 이루면서 상·하 2열로 설치되되, 윗쪽의 제1열에 배치되는 조절노브(530)와 아래쪽의 제2열에 배치되는 조절노브(530)가 수직방향으로 상호 엇갈리도록 배치되며, 한 쌍을 이루는 제1가이드(541)와 제2가이드(542)는 제1열을 이루는 조절노브(530)와 제2열을 이루는 조절노브(530)에 서로 대응되도록 이들 제1·2열 조절노브(530)의 아래쪽에 각각 설치된다.
또한, 하단에 니들(561)이 구비된 니들바아(560)가 자수유닛(500)의 니들바아 고정블록(520)에 수직방향으로 왕복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실조임레버(570)가 니들바아(560)의 상부위치에서 회전축(571)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자수유닛(500)에 구비된다. 상기 니들바아 고정블록(520)의 상부와 중간부분 및 하부에는 상부가이드(543)와 중간가이드(544) 및 하부가이드(545)가 각각 설치되고, 보조가이드(550)가 중간가이드(544)에 설치되되, 가이드구멍(570a)이 형성된 실조임레버(570)의 자유단이 상부가이드(543)와 중간가이드(544) 사이의 위치에서 니들바아 고정블록(520)을 관통하면서 왕복회동되도록 배치된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보조가이드(550)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가이드(544)에 고정되는 아이들축(551)과, 아이들축(551)에 고정되어 아이들축(551)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무구동 회전롤러(552)로 이루어진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는데, 이와 같이 아이들축(551)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무구동 회전롤러(552)를 보조가이드(550)로 이용하면, 종래 실조임레버의 상하 회전운동시에 빈번하게 발생되는 윗실(A)의 끊김이 방지된다.
상기 보조가이드(550)에 의해서 실끊김이 방지되는 이유를 설명해 보면, 각각의 실타레(800 ; 도 1 참조)에 감겨진 윗실(A)의 선단이 해당 실얽힘방지기구(410 ; 도 1 참조)의 실얽힘방지용 가이드(411) → 자수유닛(500)의 장력조절기(511) → 조절노브(530) → 제1가이드(541) 또는 제2가이드(542) → 상부가이드(543)의 가이드부재 → 무구동 회전롤러(552) → 실조임레버(570) → 중간가이드(544)의 가이드부재(544a) → 하부가이드(545)의 가이드부재 → 니들(561) 순으로 개별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실조임레버(570)가 상방향으로의 소정 이동시점부터 상사점에 도달될 때까지 윗실(A)을 잡아당기게 되면, 잡아당겨지는 윗실(A)에 장력이 가해지게 되므로, 무구동 회전롤러(552)에 윗실(A)이 소정 압력으로 눌려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소정 길이만큼 실조임레버(570)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무구동 회전롤러(552)는 윗실(A)과 접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윗실(A)의 이동길이에 상응하게 회전하게 된다. 이때 윗실(A)은 단지 장력에 의해서 무구동 회전롤러(552)에 눌려질 뿐이므로, 윗실(A)이 무구동 회전롤러(552)에 마찰되어 손상되는 일은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실조임레버(570)에 의해서 윗실(A)이 당겨질 때, 윗실(A)이 마찰에 의해 손상되어서 가해진 장력을 이기지 못하여 끊어지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구동 회전롤러(552)와 중간가이드(544) 사이에 배치되도록 아이들축(551)에 스페이서(553)를 끼워넣을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이 스페이서(553)를 끼워넣으면, 무구동 회전롤러(552)와 중간가이드(544)가 상호 간섭되지 않게 되므로, 간섭에 의한 직접적인 제품손상이 억제되고, 무구동 회전롤러(552)의 회전이 보다 원활하게 수행된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자수유닛의 주요부분을 확대도시한 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해 보면, 보조가이드(550)와 실조임레버(570) 및 중간가이드(544)에 윗실(A)이 끼워진 상태를 보다 명확히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중간가이드에 설치되는 보조가이드가 중간가이드에 고정되는 아이들축과, 아이들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무구동 회전롤러로 이루어져서, 실조임레버에 의해서 윗실이 당겨질 때, 윗실이 마찰에 의해 손상되지 않게 되어 윗실끊김이 방지된다.
따라서, 윗실끊김에 의한 생산성의 저하가 방지되고, 보수/유지가 편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하단에 니들(561)이 구비된 니들바아(560)가 자수유닛(500)의 니들바아 고정블록(520)에 수직방향으로 왕복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실조임레버(570)가 니들바아(560)의 상부위치에서 회전축(571)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자수유닛(500)에 구비되며, 또한 니들바아 고정블록(520)의 상부와 중간부분 및 하부에는 상부가이드(543)와 중간가이드(544) 및 하부가이드(545)가 각각 설치되고, 보조가이드(550)가 중간가이드(544)에 설치되되, 가이드구멍(570a)이 형성된 실조임레버(570)의 자유단이 상부가이드(543)와 중간가이드(544) 사이의 위치에서 니들바아 고정블록(520)을 관통하면서 왕복회동되도록 배치되어, 상부가이드(543) → 보조가이드(550) → 실조임레버(570) → 중간가이드(544) → 하부가이드(545) → 니들(561) 순으로 윗실(A)이 끼워지도록 된 자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조가이드(550)는, 중간가이드(544)에 고정되는 아이들축(551)과, 아이들축(551)에 고정되어 아이들축(551)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무구동 회전롤러(55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축(551)에 스페이서(553)가 끼워져서 무구동 회전롤러(552)와 중간가이드(544) 사이에 배치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장치.
KR2020000010774U 2000-04-17 2000-04-17 자수장치 KR2002027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0774U KR200202704Y1 (ko) 2000-04-17 2000-04-17 자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0774U KR200202704Y1 (ko) 2000-04-17 2000-04-17 자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2704Y1 true KR200202704Y1 (ko) 2000-11-15

Family

ID=19652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0774U KR200202704Y1 (ko) 2000-04-17 2000-04-17 자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270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9352B1 (ko) 2003-05-17 2006-10-27 (주) 인브로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9352B1 (ko) 2003-05-17 2006-10-27 (주) 인브로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09433A (en) Automatic stop device for multineedle sewing machines
KR200202704Y1 (ko) 자수장치
US5732640A (en) Looper thread take-up apparatus
KR100351576B1 (ko) 복수 바늘의 이중 체인 스티치 재봉틀
JP3829205B2 (ja) 刺繍ミシンの上糸供給構造及び上糸供給方法
JPH0835162A (ja) シャトル式刺しゅう機で刺しゅうする方法と装置
KR200202784Y1 (ko) 자수장치
JPH0681478U (ja) 多針刺繍ミシン
JP4920954B2 (ja) 多針ミシン
JPH0646676U (ja) 多針式刺繍ミシン
JPH02130Y2 (ko)
JP2576546Y2 (ja) 多針ミシンにおける上糸案内装置
JP3498480B2 (ja) 糸繰り装置付ミシン
JP2000008265A (ja) 多針式ミシンの糸絡み防止装置
KR20160105302A (ko) 자수기
JP3593606B2 (ja) 糸繰り装置付ミシン
KR200229153Y1 (ko) 자수기의 장식사공급장치
JP2001200465A (ja) タフトミシン
KR200231907Y1 (ko) 자수기의 고속 코딩기구
KR20220151846A (ko) 자수기용 실 장력 조절 장치
KR101974869B1 (ko) 윗실 제어를 위한 재봉기
US4308812A (en) Embroidery machine having improved thread supply system
JP2002355464A (ja) ミシンの自動糸調子装置
JP2001293269A (ja) 鳩目穴かがりミシンの上糸案内装置
JP2008274474A (ja) 弾性糸の給糸機能を備える編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0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