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5302A - 자수기 - Google Patents

자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5302A
KR20160105302A KR1020160018295A KR20160018295A KR20160105302A KR 20160105302 A KR20160105302 A KR 20160105302A KR 1020160018295 A KR1020160018295 A KR 1020160018295A KR 20160018295 A KR20160018295 A KR 20160018295A KR 20160105302 A KR20160105302 A KR 201601053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thread
thread
embroidery
torsion spr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8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지 구사카베
Original Assignee
갼다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갼다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갼다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05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53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1/00Devices for guiding, feeding, handling, or treating the threads in embroidering machines; Machine needles; Operating or control mechanisms therefor
    • D05C11/08Thread-tension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47/00Needle-thread tensioning devices; Applications of tensometers
    • D05B47/04Automatically-controlled tensio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자수기에 있어서, 간소한 구성으로 윗실의 느슨함을 억제한다.
자수기는, 윗실(30)이 삽입되는 자수 바늘과, 상하 요동하여 윗실(30)을 끌어올리는 실채기(22)를 구비하고, 실채기(22)는, 좌우 한 쌍의 플레이트인 좌측 플레이트(22b) 및 우측 플레이트(22c)와, 윗실(30)을 끌어올리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토션 스프링(22d)]을 갖고, 상하 요동의 상방측으로의 동작과 가압 수단[토션 스프링(22d)]에 의한 가압에 의해 윗실(30)을 끌어올리고, 좌측 플레이트(22b) 및 우측 플레이트(22c)에는, 윗실(30)이 삽입되는 삽입 구멍(22b-1, 22c-1)이 형성되고, 가압 수단[토션 스프링(22d)]은, 윗실(30)을, 좌측 플레이트(22b) 및 우측 플레이트(22c) 중 한쪽의 삽입 구멍(22b)에 삽입되는 부분(30-2)과, 다른 쪽의 삽입 구멍(22c)에 삽입되는 부분(30-3)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 있어서, 끌어올리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Description

자수기{EMBROIDERING MACHINE}
본 발명은, 상하 요동하여 윗실을 끌어올리는 실채기를 구비하는 자수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수기의 윗실의 실길 경로는, 복수의 텐션 부여부, 실 끊김 검출을 위한 디스크, 복수의 되꺾음 부분, 토션 스프링, 실이 통과되는 실채기 구멍 등, 많은 개소에 둘러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자수 시의 윗실의 흐름 방식은, 윗실대로부터 텐션 부여부까지의 영역은, 자수 소비분을 공급하는 것을 반복한다. 텐션 부여부로부터 자수 바늘의 바늘끝측에 대해서는, 실채기의 상하 동작에 의해 긴 실이 하방 셔틀부측에 공급되어, 셔틀부를 넘어간 후, 불필요한 윗실이 실채기에서 회수된다. 이것은 윗실과 밑실을 얽히게 하기 위해 필요한 동작이다.
이 실채기 동작 시, 윗실이 불규칙하게 요동쳐서, 매우 느슨해진다. 다종다양한 윗실이 존재하기 때문에, 윗실의 종류에 따라서도 거동이 변화되어, 느슨함이 발생한다. 또한, 자수 조건에 따라 하방 셔틀부측으로부터 윗실이 인입되는지 여부가 바뀌고, 특히 인입되지 않은 경우에는, 실채기 주변에서 윗실이 매우 느슨해져, 실채기 자체에 대한 실 얽힘이 발생하기 쉬운 상태로 된다. 특히 윗실이 상측 방향으로 느슨해진 경우에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 얽힘이 발생하면, 과대한 텐션이 발생하거나, 이에 따라 실 끊김의 빈도가 높아지거나 한다. 따라서, 돌발적인 자수 품질의 악화나 자수기의 가동률의 저하를 초래한다.
윗실의 느슨함을 억제할 수 있는 자수기로서는, 상하 요동하는 실채기에, 윗실을 상방으로 가압하는 토션 스프링과, 윗실을 가이드하는 전후 2개의 가이드 롤러가 배치된 자수기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15-84호 공보
그러나, 토션 스프링 및 전후 2개의 가이드 롤러가 실채기에 배치된 상기의 자수기는, 가이드 롤러가 2개 배치됨으로써, 부품 개수가 증가함과 함께 구조가 복잡해진다. 또한, 상기의 자수기에서는, 2개의 가이드 롤러가 실채기에서 되꺾인 전후의 윗실을 가이드하는데, 윗실은, 가이드 롤러에 대하여 외주면의 일부에 접촉할 뿐이므로, 가이드 롤러에 따라서는 느슨함을 억제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소한 구성으로 윗실의 느슨함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는 자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자수기는, 윗실이 삽입되는 자수 바늘과, 상하 요동하여 상기 윗실을 끌어올리는 실채기를 구비하고, 상기 실채기는 좌우 한 쌍의 플레이트와, 상기 윗실을 끌어올리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을 갖고, 상하 요동의 상방측으로의 동작과 상기 가압 수단에 의한 가압에 의해 상기 윗실을 끌어올리고, 상기 좌우 한 쌍의 플레이트에는, 상기 윗실이 삽입되는 삽입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 수단은, 상기 윗실을, 상기 좌우 한 쌍의 플레이트 중 한쪽의 상기 삽입 구멍에 삽입되는 부분과, 다른 쪽의 상기 삽입 구멍에 삽입되는 부분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 있어서, 상기 끌어올리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또한, 상기 자수기에 있어서, 상기 삽입 구멍은, 상기 좌우 한 쌍의 플레이트 후방으로부터 상기 윗실을 삽입 가능하게 절결되어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상기 자수기에 있어서, 상기 가압 수단은, 권취 부분부터 자유단부인 선단을 향하여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 사이에 후방으로부터 진입하여 상기 윗실을 걸 수 있는 토션 스프링이면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소한 구성으로 윗실의 느슨함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자수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자수기의 자수기 헤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자수기의, 실길 커버를 벗긴 상태의 자수기 헤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부의 확대도.
도 5는 도 4의 B부의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자수기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자수기(1)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자수기(1)는, 재봉틀 테이블(2)과, 이 재봉틀 테이블(2)의 중앙부에 크게 펼쳐진 자수 프레임(3)을 구비하고 있다.
자수 프레임(3)의 하측에는, 복수(도 1의 예에서는 4개)의 하방 셔틀부(4)가 설치되어 있다. 자수 프레임(3)은, 자수 대상(예를 들어 천)을 팽팽하게 마련한 후, 자수 지시서의 프로그램에 따라서 전후 좌우로 자유롭게 이동한다.
하방 셔틀부(4)에 대응하는 상방의 위치에는, 복수(도 1의 예에서는 4개)의 후술하는 자수기 헤드(20)가 배치되어 있다. 이 자수기 헤드(20)는, 재봉틀 아암(6)의 레일 안내 보유 지지부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자수기 헤드(20)의 구조가 도 2 및 도 3과 상이하게 도시되어 있지만, 자수기 헤드(20)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서 후술한다.
자수기(1)의 재봉틀 테이블(2)에는, 문형 프레임이 배치되어 있다. 이 문형 프레임은, 재봉틀 테이블(2)의 좌우 양단부에 설치된 기립 설치부[7(7a, 7b)]와, 이들 2개의 기립 설치부(7)를 연결하는 교량부(8)를 갖는다.
4개의 재봉틀 아암(6)은, 각각 고정부에 의해, 문형 프레임의 교량부(8)에 고정되어 있다. 이들 4개의 재봉틀 아암(6)에는, 1개의 주축(9)이 삽입 관통되어 있다.
주축(9)은 일단부(도 1에서는 좌측 방향의 단부)가 문형 프레임의 한쪽(도 1에서는 좌측 방향)의 기립 설치부[7(7b)]에 축 지지되어 있다. 축 지지된 주축(9)의 일단부에는, 도 1에서는 기립 설치부(7b)의 내부에 가려져 보이지 않지만, 풀리가 고정 설치되어, 도시를 생략한 모터의 풀리와의 사이에 벨트가 걸쳐져 있다. 이 모터에 의해 주축(9)은 회전 구동된다.
또한, 문형 프레임의 교량부(8)의 재봉틀 아암(6)이 고정되어 있는 면과 동일면에, 자수기 헤드(20)의 복수의 자수 바늘을 택일하는 컬러 체인지부(11)가 배치되어 있다. 이 컬러 체인지부(11)는, 4개의 자수기 헤드(20)를 삽입 관통하고 있는 컬러 체인지 축(12)의 축 방향의 이동을 제어하고 있다.
또한, 문형 프레임의 교량부(8)의 상면에는, 4개 배열된 자수기 헤드(20)의 배열 폭과 거의 대응하는 길이 방향의 길이를 갖는 윗실대(13)가 배치되어 있다. 이 윗실대(13)는, 평판 형상의 관 적재대(14)와 막대 형상의 실 통과부(15)를 갖는다.
관 적재대(14)에는, 특별히 도시하지는 않지만, 지관(紙管) 등의 관(管)에 감긴 자수에 사용되는 각 색의 윗실이 적재된다. 관으로부터 당겨내어진 실은, 실 통과부(15)에 걸쳐진 후, 더 당겨내어져, 자수기 헤드(20)에 공급된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자수기 헤드(2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실채기 커버(23)를 벗긴 상태의 자수기 헤드(2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자수기 헤드(20)는, 고정 텐션 부여부(21)와, 실채기(22)와, 실길 커버(23)와, 디지털 가변 텐션 부여부(24)와, 실 끊김 검출 디스크(25)와, 윗실 로크부(26)와, 자수 바늘(27)과, 천 누르개(28)를, 예를 들어 9세트의 각각에 구비한다. 또한, 자수기 헤드(20)는, 정면 상부에 설치된 표시부(29)를 구비한다. 또한, 표시부(29)의 우측에는, 설정 조작부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 텐션 부여부(21)는, 도 1에 도시하는 실 통과부(15)로부터 자수기 헤드(20)에 공급되는 윗실(30)(도 3에 2개만 도시)에 일정한 텐션을 부여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길 커버(23)는, 각 실채기(22)의 하방 우측에 있어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돌출 부분의 전단부에 있어서 직각으로 좌측 방향으로 절곡된 판 형상을 나타내고, 실채기(22)의 하방에 있어서 윗실(30)의 실길을 덮는다.
도 2 및 도 3, 및 도 3의 A부의 확대도인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디지털 가변 텐션 부여부(24)는, 실채기(22)보다도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디지털 가변 텐션 부여부(24)는, 예를 들어 전자 솔레노이드에 의해 윗실(30)을 끼움 지지하는 끼움 지지력을 조정함으로써, 윗실(30)에 가변의 텐션을 부여한다.
여기서, 윗실(30) 중, 디지털 가변 텐션 부여부(24)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하는 윗실대(13) 및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고정 텐션 부여부(21)로부터, 후술하는 실 끊김 검출 디스크(25)에서 상방으로 되꺾일 때까지의 부분(30-1) 및, 실 끊김 검출 디스크(25)에서 상방으로 되꺾이고 나서 후술하는 실채기(22)까지의 부분(30-2)의 2군데에서 윗실(30)이 통과된다. 이에 의해, 디지털 가변 텐션 부여부(24)는, 고정 텐션 부여부(21)에 의해 일정한 텐션이 부여된 윗실(30)에 대하여, 가변의 텐션을 더 부여한다. 또한, 윗실(30)에는, 상술한 실길 경로에 있어서의 굴곡이나 마찰 등에 의해서도 텐션이 부여된다. 또한, 윗실(30)은, 실채기(22)로부터 자수 바늘(27)까지의 부분(30-3)에서는, 디지털 가변 텐션부(24)를 통하지 않는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실 끊김 검출 디스크(25)는, 윗실(30)을 권취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윗실(30)을 고정 텐션 부여부(21)측으로부터 실채기(22)측으로 상방으로 되꺾는다. 실 끊김 검출 디스크(25)는, 예를 들어 광학식 센서를 사용하여 윗실(30)의 실 끊김을 검출한다.
윗실 로크부(26)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를 취하고, 폐쇄 위치에 있어서 윗실(28)을 고정한다.
자수 바늘(27)에는, 윗실(30)이 삽입된다. 또한, 자수 바늘(27)은, 천 누르개(28)에 의해 보유 지지되는 자수 대상을 관통하도록 상하 이동한다.
표시부(29)는,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이며, 자수기 헤드(20)의 각종 상태를 표시한다.
도 4의 B부의 확대도인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채기(22)는, 아암부(22a)와, 좌우 한 쌍의 플레이트인 좌측 플레이트(22b) 및 우측 플레이트(22c)와, 가압 수단의 일례인 토션 스프링(22d)과, 가압량 규제부(22e)와, 토션 스프링 지지점 축(22f)을 갖는다. 실채기(22)는, 기본 동작인 상하 요동 동작 중 상방측으로의 동작과, 토션 스프링(22d)에 의한 가압에 의해 윗실(30)을 끌어올린다.
아암부(22a)는, 예를 들어 좌측 플레이트(22b)와 일체로 형성되고, 도시하지 않은 아암 지지 축에 의해 지지되며, 이 아암 지지 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한다.
우측 플레이트(22c)는, 아암부(22a) 중 아암 지지축측과는 반대측인 선단의 우측에 고정되어 있다. 좌측 플레이트(22b) 및 우측 플레이트(22c)는, 상하 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갖는 판 형상을 나타내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좌측 플레이트(22b) 및 우측 플레이트(22c)의 두께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경량화의 관점에서는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좌측 플레이트(22b) 및 우측 플레이트(22c)의 좌우는, 9개의 자수 바늘(27)의 배열 방향이다.
좌측 플레이트(22b) 및 우측 플레이트(22c)에는, 좌우로 관통해 윗실(30)이 삽입되는 삽입 구멍(22b-1, 22c-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삽입 구멍(22b-1, 22c-1)은, 좌측 플레이트(22b) 및 우측 플레이트(22c)의 후방으로부터 윗실(30)을 삽입 가능하게 절결되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좌측 플레이트(22b) 및 우측 플레이트(22c)의 후방은, 아암 지지축측을 후방으로 하고, 좌측 플레이트(22b) 및 우측 플레이트(22c)측을 전방으로 했을 경우의 후방이다. 또한, 좌측 플레이트(22b) 및 우측 플레이트(22c)에는, 경량화를 위해서, 삽입 구멍(22b-1, 22c-1) 이외에도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좌측 플레이트(22b)의 삽입 구멍(22b-1)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실 끊김 검출 디스크(25)에서 상방으로 되꺾이고 나서 실채기(22)까지의 부분의 윗실(30-2)이 삽입된다. 또한, 우측 플레이트(22c)의 삽입 구멍(22c-1)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실채기(22)로부터 자수 바늘(27)까지의 부분의 윗실(30-3)이 삽입된다.
토션 스프링(22d)은, 윗실(30)을 끌어올리는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배치되어, 윗실(30)의 텐션의 급격한 변동을 완화한다. 토션 스프링(22d)은, 권취 부분인 토션 스프링 지지점 축(22f)으로부터 자유단부인 선단(22d-2)을 향하여 좌측 플레이트(22b)와 우측 플레이트(22c)와의 사이에 후방으로부터 진입한다. 토션 스프링(22)은, 이 진입 부분에 있어서, 고리 형상의 실 통과부(22d-1)를 형성하여 선단(22d-2)에 걸쳐서 상방으로 연장된다.
토션 스프링(22d)은, 윗실(30)을 좌측 플레이트(22b)의 삽입 구멍(22b-1)에 삽입되는 부분(30-2)과, 우측 플레이트(22c)의 삽입 구멍(22c-1)에 삽입되는 부분(30-3)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 즉 실 통과부(22d-1)에 통과되는 부분에 있어서, 윗실(30)을 끌어올리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가압량 규제부(22e)는, 예를 들어 선상 부재로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갖는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을 나타낸다. 가압량 규제부(22e)의 내부에는, 아암부(22a) 및 토션 스프링(22d)이 삽입되어 있다. 가압량 규제부(22e)는, 아암부(22a)에 대한 고정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토션 스프링(22d)의 선단(22d-2)측의 상방으로의 이동량을 규제한다. 이에 의해, 토션 스프링(22d)에 의한 윗실(30)에 대한 가압량이 조정된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 있어서, 자수기(1)나 자수기 헤드(20)의 구성은,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자수기 헤드(20)를 1개만 배치하거나, 고정 텐션 부여부(21), 디지털 가변 텐션 부여부(24), 실 끊김 검출 디스크(25) 등의 배치 위치나 구성을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 또한, 실채기(22)의 구성도, 가압 수단의 일례로서, 토션 스프링 이외의 탄성체를 사용하거나, 삽입 구멍(22b-1, 22c-1)을, 예를 들어 원형의 구멍으로 하거나 하는 등,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의 자수기(1)에서는, 실채기(22)는, 좌우 한 쌍의 플레이트인 좌측 플레이트(22b) 및 우측 플레이트(22c)와, 윗실(30)을 끌어올리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의 일례인 토션 스프링(22d)을 갖고, 상하 요동하는 상방측으로의 동작과 토션 스프링(22d)에 의한 가압에 의해 윗실(30)을 끌어올린다. 또한, 좌측 플레이트(22b) 및 우측 플레이트(22c)에는, 윗실(30)이 삽입되는 삽입 구멍(22b-1, 22c-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토션 스프링(22d)은, 윗실(30)을 좌측 플레이트(22b) 및 우측 플레이트(22c) 중 한쪽의 삽입 구멍(22b-1)에 삽입되는 부분(30-2)과, 다른 쪽의 삽입 구멍(22c-1)에 삽입되는 부분(30-3)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 있어서, 끌어올리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그로 인해, 토션 스프링(22d)이 윗실(30)을 끌어올림으로써 윗실(30)이 토션 스프링(22d)을 사이에 둔 양측에서 하방을 향하도록 규제된다. 이에 의해, 윗실(30)의 느슨함이 억제된다. 나아가, 좌측 플레이트(22b) 및 우측 플레이트(22c)의 삽입 구멍(22b-1, 22c-1)이 윗실(30)을 보유 지지함으로써도, 윗실(30)의 느슨함이 억제된다. 또한, 좌측 플레이트(22b) 및 우측 플레이트(22c)의 삽입 구멍(22b-1, 22c-1)이 윗실(30)을 보유 지지하기 때문에, 실채기(22)에 별도의 부재를 배치하지 않고, 윗실(30)을 가이드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실채기(22)의 구성, 나아가서는 자수기(1)의 구성이 간소화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간소한 구성으로 윗실(30)의 느슨함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좌측 플레이트(22b) 및 우측 플레이트(22c)의 삽입 구멍(22b-1, 22c-1)은, 좌측 플레이트(22b) 및 우측 플레이트(22c)의 후방으로부터 윗실(30)을 삽입 가능하게 절결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좌측 플레이트(22b) 및 우측 플레이트(22c)의 삽입 구멍(22b-1, 22c-1)에 윗실(30)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압 수단의 일례로서, 권취 부분인 토션 스프링 지지 축(22f)으로부터 자유단부인 선단(22d-2)을 향하여 좌측 플레이트(22b)와 우측 플레이트(22c)와의 사이에 후방으로부터 진입하여 윗실(30)을 걸 수 있는 토션 스프링(22d)이 사용되고 있다. 그로 인해, 토션 스프링(22d)을 좌측 플레이트(22b) 및 우측 플레이트(22c)의 사이에 진입시킨다는 간소한 구성으로, 윗실(30)의 느슨함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1: 자수기
2: 재봉틀 테이블
3: 자수 프레임
4: 하방 셔틀부
6: 재봉틀 아암
7(7a, 7b): 기립 설치부
8: 교량부
9: 주축
11: 컬러 체인지부
12: 컬러 체인지 축
13: 윗실대
14: 관 적재대
15: 실 통과부
20: 자수기 헤드
21: 고정 텐션 부여부
22: 실채기
22a: 아암부
22b: 좌측 플레이트
22b-1: 삽입 구멍
22c: 우측 플레이트
22c-1: 삽입 구멍
22d: 토션 스프링(가압 수단)
22d-1: 실 통과부
22d-2: 선단
22e: 가압량 규제부
22f: 토션 스프링 지지점 축
23: 실길 커버
24: 디지털 가변 텐션 부여부
25: 실 끊김 검출 디스크
26: 윗실 로크부
27: 자수 바늘
28: 천 누르개
29: 표시부
30: 윗실

Claims (3)

  1. 윗실이 삽입되는 자수 바늘과,
    상하 요동하여 상기 윗실을 끌어올리는 실채기를 구비하고,
    상기 실채기는, 좌우 한 쌍의 플레이트와, 상기 윗실을 끌어올리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을 갖고, 상하 요동의 상방측으로의 동작과 상기 가압 수단에 의한 가압에 의해 상기 윗실을 끌어올리고,
    상기 좌우 한 쌍의 플레이트에는, 상기 윗실이 삽입되는 삽입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 수단은, 상기 윗실을, 상기 좌우 한 쌍의 플레이트 중 한쪽의 상기 삽입 구멍에 삽입되는 부분과, 다른 쪽의 상기 삽입 구멍에 삽입되는 부분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 있어서, 상기 끌어올리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구멍은, 상기 좌우 한 쌍의 플레이트의 후방으로부터 상기 윗실을 삽입 가능하게 절결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수단은, 권취 부분부터 자유단부인 선단을 향하여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 사이에 후방으로부터 진입하여 상기 윗실을 걸 수 있는 토션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기.
KR1020160018295A 2015-02-27 2016-02-17 자수기 KR201601053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37987 2015-02-27
JP2015037987A JP2016158707A (ja) 2015-02-27 2015-02-27 刺繍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5302A true KR20160105302A (ko) 2016-09-06

Family

ID=56840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8295A KR20160105302A (ko) 2015-02-27 2016-02-17 자수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6158707A (ko)
KR (1) KR20160105302A (ko)
CN (1) CN10592620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74587B (zh) * 2021-09-03 2022-11-11 浙江越隆缝制设备有限公司 一种刺绣机的走线单元、走线机构及刺绣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00084A (ja) 2013-06-13 2015-01-05 Candart株式会社 刺繍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00084A (ja) 2013-06-13 2015-01-05 Candart株式会社 刺繍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926200A (zh) 2016-09-07
JP2016158707A (ja) 2016-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11986B2 (ja) 多針刺繍ミシンの上糸送り装置
US8863677B2 (en) Multi-needle sewing machine
US8893631B2 (en) Multi-needle sewing machine
JP2005137515A (ja) 刺繍機
KR20060080873A (ko) 재봉기
KR20160105302A (ko) 자수기
KR20140145544A (ko) 자수기
JP2004222919A (ja) ミシン
KR20140145545A (ko) 자수기
JP2016063957A (ja) ミシンおよび糸立装置
KR200437917Y1 (ko) 자수기의 장력 조절 장치
JP2004308082A (ja) ミシンのコード案内装置
JP2010088713A (ja) ミシンの糸調子装置
ITTO940846A1 (it) Sistema e procedimento per il controllo di un filo per ago in una mac- china per cucire.
JP4860145B2 (ja) ミシンの糸案内
JPH02221447A (ja) 直線編機における圧力及び糸消費の自己制御‐自動調節装置
KR200202704Y1 (ko) 자수장치
KR20130052460A (ko) 자수기의 실장력 조절장치
KR101465484B1 (ko) 편직기의 실 장력 조절 및 유지구
JP3990491B2 (ja) ミシンの糸調子器
JPS598694Y2 (ja) 糸巻きを使用するミシンの糸案内
JP2022011424A (ja) ミシンと糸張力検知装置
JP2004229794A (ja) ミシンの糸繰り出し装置
JP2002355464A (ja) ミシンの自動糸調子装置
JP2004261413A (ja) ミシ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