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2510B1 - 자동적인 주파수 동조를 구비한 위상 고정 루프 - Google Patents

자동적인 주파수 동조를 구비한 위상 고정 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2510B1
KR101012510B1 KR1020047021478A KR20047021478A KR101012510B1 KR 101012510 B1 KR101012510 B1 KR 101012510B1 KR 1020047021478 A KR1020047021478 A KR 1020047021478A KR 20047021478 A KR20047021478 A KR 20047021478A KR 101012510 B1 KR101012510 B1 KR 101012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led oscillator
operating
voltage controlled
voltag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21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0983A (ko
Inventor
자에흐네롤프
크루거울프람
리에델토르스텐
Original Assignee
어드밴스드 마이크로 디바이시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드밴스드 마이크로 디바이시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어드밴스드 마이크로 디바이시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claimed from PCT/US2003/020808 external-priority patent/WO2004004126A1/en
Publication of KR20050010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0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2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2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99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controlled oscillator of the loop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10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for assuring initial synchronisation or for broadening the capture range
    • H03L7/101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for assuring initial synchronisation or for broadening the capture range using an additional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led loop oscillator derived from a signal generated in the loop
    • H03L7/102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for assuring initial synchronisation or for broadening the capture range using an additional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led loop oscillator derived from a signal generated in the loop the additional signal being directly applied to the controlled loop oscillator
    • H03L7/103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for assuring initial synchronisation or for broadening the capture range using an additional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led loop oscillator derived from a signal generated in the loop the additional signal being directly applied to the controlled loop oscillator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 digital signal

Landscapes

  • Stabilization Of Oscillater, Synchronisation, Frequency Synthesizers (AREA)

Abstract

전압 제어 발진기(4)의 적당한 동작 모드(Q)를 자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PLL 주파수 합성기가 제공된다.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4)는 다수의 동작 모드들에서 동작가능한 바, 상기 동작 모드들 각각은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의 다른 동작 주파수 범위를 정의한다. 적당한 동작 모드는 상기 PLL 주파수 합성기의 위상/주파수 검출기(1)에 의하여 검출된 에러 신호에 근거하여 선택된다. 윈도우 비교기(13)는 상기 에러 신호가 에러 전압의 상한 및 하한을 초과 또는 이하에 있는 경우 인접한 동작 모드들로 스위칭하는데 사용된다.

Description

자동적인 주파수 동조를 구비한 위상 고정 루프{PHASE-LOCKED LOOP WITH AUTOMATIC FREQUENCY TUNING}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선택된 동작 모드의 자동 조절을 구비한 위상 고정 루프 주파수 합성기에 관한 것이다.
위상 고정 루프(PLL: phase locked loop) 주파수 합성기는 입력 신호에 관련된 일정한 위상을 가지는 특정 주파수의 출력 신호를 발생하는 회로이다. PLL 주파수 합성기의 일반적인 구성이 도 1의 블럭도에 예시된다. 상기 PLL 주파수 합성기는 위상/주파수 검출기(PFD)(1), 저역 필터(3) 및 전압 제어 발진기(VCO)(4)로 구성된다. 입력 신호(FIN)가 상기 위상/주파수 검출기(PFD)(1)에 공급되고, 상기 VCO(4)의 출력 신호(FOUT)가 상기 위상/주파수 검출기(PFD)(1)에 피드백된다. 상기 위상/주파수 검출기(PFD)(1)는 상기 입력 신호(FIN)의 위상을 상기 출력 신호(FOUT)의 위상과 비교한다. 두 신호들이 서로 다른 경우, 상기 위상/주파수 검출기(PFD)(1)는 상기 차이의 크기를 표시하는 에러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에러 신호는 상기 위상/주파수 검출기(PFD)(1)로의 두 개의 입력 신호들(FIN, FOUT)의 주파수들이 결국 매치되도록 상기 VCO(4)를 제어한다. 상기 VCO의 출력 신호(FOUT)는 상기 위상 차이가 특정한 에러 값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상기 입력 신호(FIN)의 위상에 결합될 것이다.
상기 VCO의 출력 신호(FOUT)의 원하는 주파수는 상기 입력 신호(FIN)의 주파수이다. 상기 출력 신호(FOUT)의 출력 주파수는 피드백 분주기(5)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입력 신호(FIN)의 다중 주파수가 될 수 있다. 상술한 PLL 주파수 합성기는 N=1의 분주 값을 사용하는 특정한 경우를 나타낸다.
상기 위상 고정 루프에서 피드백 경로의 영향 때문에, 상기 VCO 출력 신호(FOUT)는 상기 입력 신호(FIN)에 대하여 고정된 위상 관계를 가질 것이다. 상기 입력 및 출력 신호들의 위상들은 최소 위상 오프셋에 동기이다.
많은 경우에서, 전하 펌프(2)는 상기 위상/주파수 검출기(PFD)(1)로부터 출력된 에러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VCO(4)에 대한 동조 전압(tuning voltage)을 생성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전하 펌프와 상기 VCO(4) 사이에 접속된 루프 필터(3)는 상기 VCO 동조 전압으로부터 고주파수 성분들을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낮은 노이즈 PLL 응용들에 대하여, 상기 VCO 주파수 제어 특성의 루프 이득은 결정 파라미터들 중 하나이다. 낮은 VCO 위상 노이즈를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PLL 주파수 합성기는 상대적으로 낮은 이득을 가져야한다. 상기 위상 노이즈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VCO들은 다수의 동작 주파수 범위 상에 전체 동작 주파수 범위를 분산시키는 것으로 종종 설계된다. 그러한 VCO는 상대적으로 작은 VCO 이득 및 상대적으로 작은 범위의 입력 전압들을 사용하는 넓은 대역의 출력 주파수들에 걸쳐서 신뢰가능하게 동작할 수 있다. 상기 VCO는 특정한 동작 곡선을 사용하여 다수의 동작 모드들 중 하나에서 동작하여, 상기 VCO 입력 전압에 응답하여 출력 주파수를 발생한다. 원하는 PLL 동작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VCO의 동작 곡선은 상기 원하는 PLL 출력 주파수에 인접하는 동작 모드의 중심 주파수로 선택되어야한다.
VCO의 동작 곡선들의 가능한 세트가 도 3에 예시된다. 상기 동작 곡선들 각각은 낮은 이득을 가지고, VMIN에서 VMAX까지의 범위인 같은 범위의 입력 전압들에 의하여 동작된다. 상기 동작 곡선들(S)중 하나는 상기 VCO에 가해진 특정한 디지털 제어 워드에 의하여 한번에 선택된다.
기존에, 적당한 중심 주파수를 구비하는 동작 곡선이 상기 PLL이 파워업되는 경우 선택된다. 정규 PLL 동작 동안, 상기 루프 필터 전압이 상기 VCO에 인가된다.
적당한 동작 곡선의 자동적 선택 절차 동안, 상기 루프 필터 전압이 아닌 기준 전압(VREF)이 상기 VCO 입력부에 인가된다. 상기 기준 전압(VREF)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VCO이 동작하도록 지정되는 입력 전압 범위의 명목상 중심이다. 대응하는 PLL 주파수 합성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 2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스위치들(7 및 8)은 적절히 개폐된다.
상기 동작 곡선은 자체-교정 회로(6)로부터 공급되는 제어 워드에 의하여 선택된다. 상기 자체-교정 회로(6)는 상기 PLL 입력 신호(FIN) 및 상기 PLL 피드백 신호(FOUT)를 수신한다. 상기 자체-교정 회로(6)는 주파수 검출기(9), 디지털 누산기(10) 및 상태 머신(11)을 포함한다. 이러한 회로는 상기 VCO(4)에 코드 워드를 제공함으로써 적당한 동작 곡선을 선택하기 위하여 파워업 동안에만 동작한다.
자체-교정 동안, 상기 VCO에 가해지는 상기 디지털 제어 워드는, 주파수 검출기(9)의 측정 결과가 상기 VCO의 원하는 최적의 동작 모드가 선택되었음을 표시할 때까지, 상기 디지털 제어 워드를 차분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결정된다. 그러한 위상 고정 루프 기반 주파수 합성기는 2000년 10월 10일 IEEE Journal of Solid-State Circuits vol. 35의 "A CMOS self-calibrating frequency synthesizer"에서 W. B. Wilson 등에 설명되어 있다.
PLL 주파수 합성기는, 특히 특정한 VCO들에서, 여전히 많은 문제점들을 가진다. 한 문제점은 적당한 주파수 범위의 자동적인 선택이 단지 전원투입시(power up)에서만 가능하다는 점이다. 동작 동안 원하는 출력 주파수의 임의의 변화 또는 큰 드리프트 또는 온도 편차의 임의의 보상은 상기 주파수 합성 동작을 중단하지 않고는 불가능할 것이다.
원하는 출력 주파수에 적당한 동작 범위에 자동적인 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향상된 PLL 주파수 합성기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PLL 주파수 합성기는 전압 제어 발진기, 위상/주파수 검출기 및 동작 모드 결정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는, 각기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의 서로다른 동작 주파수 범위를 정의하는 다수의 동작 모드들에서 동작가능하다. 상기 위상/주파수 검출기는 주파수 입력 신호 및 PLL 피드백 신호에 근거하여 에러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동작 모드 결정 유닛은 상기 검출된 에러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의 동작 모드들 중 하나를 결정한다. 상기 동작 모드 결정 유닛은 에러 전압의 상한 및 하한들을 정의하는 윈도우 비교기를 포함하는바, 이는 에러 전압이 상기 정의된 상한을 초과하거나 또는 상기 정의된 하한보다 아래인 경우, 인접한 동작 모드들로 스위칭하기 위함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동작 주파수 범위는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의 동조 전압의 선형이고 사용가능한 작동 범위(linear and usable working range)에 의하여 결정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윈도우 비교기는 상기 에러 전압의 상한 및 하한을 모니터하기 위하여 두 개의 비교기들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동작 모드 결정 유닛은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에 공급되는 디지털 제어 워드를 생성함으로써 특정한 동작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업/다운 카운터를 또한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업/다운 카운터는 비교기 출력에 근거하여 상기 디지털 제어 워드를 증분 또는 감분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동작 모드 결정 유닛은 상기 동작 모드 결정 유닛의 동작이 보류 상태에서 외부 입력 신호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PLL 주파수 합성기에서 전압 제어 발진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는 각기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의 서로 다른 동작 주파수 범위를 정의하는 다수의 동작 모드들에서 동작가능하다. 상기 방법은 주파수 입력 신호와 PLL 피드백 신호 사이의 에러 신호에 근거한 전압 제어 발진기들의 동작 모드들 중 하나를 결정한다. 이러한 결정 단계는 상기 에러 신호가 전압의 상한을 초과하거나 또는 하한의 미만인 경우 현재의 동작 모드를 인접한 동작 모드들로 스위칭하기 위하여, 상기 에러 전압의 소정의 상한 및 하한들과 상기 에러 신호를 비교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인접한 동작 모드들의 상기 동작 주파수 범위는 개별적인 주파수 범위의 소정의 범위만큼 중첩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중첩은 상기 동작 주파수 범위의 약 반에 대응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동작 주파수 범위는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의 동조 전압의 선형이고 사용가능한 작동 범위에 의하여 결정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동작 모드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디지털 제어 워드는 상기 에러 신호가 상기 에러 전압의 상한을 초과하거나 또는 상기 에러 전압의 하한 미만인 경우 증분 또는 감분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에러 전압을 상한 및 하한의 에러 전압들과 비교한 결과로 인접한 동작 범위에 스위칭하기 위한 스위칭 신호는 소정의 시간 주기 만큼 지연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인접한 동작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지연된 스위칭 신호는 후속하는 비교 결과가 소정의 지연 주기 동안 현재 동작 모드를 유지하는 것을 표시하는 경우 삭제된다.
다른 실시예들은 종속항들의 주제이다.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원리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본 명세서에 통합되고 본 명세서의 일부가 된다. 상기 도면들은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어서는 안되고, 단지 본 발명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사용되는지를 예시적으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이라고 이해되어야 한다. 또다른 특성들 및 장점들이 첨부된 도면들에서 예시되는 바와 같이, 첨부된 도면과 본 발명의 보다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기존의 전하 펌프 위상 고정 루프의 블럭도를 예시한다.
도 2는 전하 펌프를 포함하는 자체-교정(self-calibrating) 위상 고정 루프의 블럭도를 예시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위상 고정 루프의 전압 제어 발진기에 대한 가능한 동작 곡선들의 세트를 도시한다.
도 4는 적당한 발진기 동작 곡선을 자동적으로 선택하는 전하 펌프 위상 고정 루프의 실시예의 블럭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적당한 발진기 동작 곡선의 자동적인 선택을 구비한 전하 펌프 위상 고정 루프의 보다 상세한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전하 펌프 위상 고정 루프를 가지고 사용하기 위한 루프 필터의 예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동작 모드 결정 유닛에서 사용하기 위한 윈 도우 비교기의 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도면을 참고로 설명될 것이고, 여기서 유사한 요소들 및 구성들은 유사한 참조 번호들로 표시된다.
도 4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전하 펌프 위상 고정 루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구성에서, 상기 위상/주파수 검출기(1), 전하 펌프(2), 루프 필터(3), 전압 제어 발진기(4), 및 PLL 피드백 분주기(5)는 도 2에 도시된 전하 펌프 위상 고정 루프의 대응하는 구성성분과 일반적으로 유사하다. 또한, 도 4의 위상 고정 루프는 상기 위상 고정 루프 주파수 합성기로 하여금 전원투입시(파워업) 동안 또는 동작 동안에 자동적으로 적당한 동작 곡선을 선택하도록 인에이블하는 동작 모드 결정 유닛(12)을 포함한다. 루프 필터(3)는, 상기 동작 모드 결정 유닛(12)에 공급되는 제어 신호를 제공한다는 점만 제외하고는, 도 2에 도시된 루프 필터(3)에 유사하다. 상기 동작 모드 결정 유닛은 상기 VCO(4)의 동작 곡선들 중 하나를 결정하는 제어 워드를 출력한다.
상기 동작 모드 결정 유닛(12)은 윈도우 비교기(13) 및 업/다운 카운터(14)를 포함한다. 윈도우 비교기(13)는 상기 VCO 동조 전압, 즉 에러 신호를 모니터하고, 상기 업/다운 카운터(14)로 하여금 업 또는 다운 신호에 의한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디지털 워드를 증분 또는 감분하도록 지시한다. 상기 업/다운 카운터(14)의 출력은 상기 VCO의 동작 범위를 원하는 출력 주파수로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VCO(14)의 동작 모드(S)를 인접하는 동작 모드로 스위칭한다.
상기 동작 모드 결정 유닛(12)의 실시예의 특정한 한 구성이 도 5에 도시된다. 도 5에 도시된 위상 고정 루프에서, 위상/주파수 검출기(1), 전하 펌프(2), 루프 필터(3), 전압 제어 발진기(4) 및 피드백 분주기(5)는 도 4에 도시된 위상 고정 루프의 대응하는 구성성분들과 유사하다. 도 5의 실시예는 상기 동작 모드 결정 유닛(12)의 구성에서 도 4의 위상 고정 루프와 다르다. 상기 동작 모드 결정 유닛(12)의 구성에서, 윈도우 비교기(13) 및 업/다운 카운터(14)는, 그 사이에 지연 카운터(15)가 접속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4에서 도시된 것과 유사하다. 상기 지연 카운터(15)는 스위칭 신호, 즉 상기 윈도우 비교기로부터 인접한 동작모드로의 스위칭과 상기 업/다운 카운터(14)에 의하여 유도된 인접한 동작 모드로의 스위칭 동작 사이에 지연을 발생함으로써, 상기 VCO의 안정적인 동작을 생성하는 작용을 한다.
지연 카운터(15)는 상기 업 또는 다운 스위칭 신호를 상기 업/다운 카운터(14)로 전송하기 전에, 소정 수의 클록들을 카운트함으로써 그러한 지연을 계산한다. 바람직하게는, 지연 카운터(15)는 클록 신호로서 상기 입력 신호(FIN)를 사용한다. 당업자는 임의의 다른 클록 신호가 같은 효과를 나타내도록, 즉 소정의 지연을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인접한 동작 범위로 스위칭하는 명령이 현재 지연되고, 그리고 상기 지연 주기동안, 상기 스위칭 명령이 윈도우 비교기(13)의 후속 출력에 의하여 무효화되는 경우, 지연 카운터(15)는 리셋되는 바, 이는 상기 업/다운 카운터(14)로 전송될 것을 기다리는 스위칭 명령이 삭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인접하는 동작 모드들 사이의 짧은 시간의 스위칭이 회피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인 VCO 동작이 가능해진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업/다운 카운터(14)의 동작은 외부 "디스에이블" 신호에 의하여 보류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VCO 동조 전압, 즉 전하 펌프(2)에 의하여 제공되는 에러 신호는 상기 동작 모드 결정 유닛(12)에 공급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동작 모드 결정 유닛에 공급되는 신호는 상기 VCO 동조 전압을 저역 필터링하기 위하여 상기 루프 필터(3) 내에서부터 유도된다. 상기 동작 모드 결정 유닛에 공급된 입력 신호를 저역 필터링함으로써, 상기 스위칭 동작들은 평활화(smoothing)되어 보다 안정적인 VCO 동작이 된다.
도 6은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위상 고정 루프 주파수 합성기에서 사용될 수 있는 루프 필터(3)의 예가 도시된다. 특히, 루프 필터(3)는 한 쌍의 커패시터들(16 및 17) 및 저항기(18)를 포함한다. 상기 윈도우 비교기(13)는 저항기(18)와 커패시터(17) 사이에 접속된 입력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동작 모드 결정 유닛은 평활화된(smoothed) 입력 신호를 수신한다. 당업자들은 상기 동작 모드 결정 유닛 입력을 평활화하는 임의의 다른 수단이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윈도우 비교기(13)의 실시예의 특정한 예가 도 7에 도시된다. 상기 VCO 동조 전압이 소정의 전압 세팅들 위로 또는 아래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VCO 동조 전압을 모니터하고 디지털적으로 업/다운 카운터(14)를 제어하는 것이 상기 윈도우 비교기의 목적이다. 상기 전압 "윈도우"는 다른 저항기 값들을 사용하여 조정될 수 있다. 도 7의 비교기는 전압 분주기를 생성하는 저항기들(R1, R2, 및 R3)로 구성된다. 상기 전압 분주기는 상기 전압 "윈도우"의 상한 전압 및 하한 전압들을 정의한다. R2의 저항 값을 감소시킴으로써, 윈도우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보다 큰 R2의 값들은 상기 윈도우 크기를 증가시킬 것이다. 이러한 소정의 전압들은 비교기들(C1 및 C2)에 각기 접속된다. 이러한 비교기들 각각은 상기 수신된 VCO 동조 전압을 소정의 전압들 중 하나에 비교하고, 상기 업/다운 카운터(14)에 "보다 높은" 또는 "보다 낮은" 결과를 출력하는 바, 여기서 이러한 비교 결과들은 상술한 바와같이 지연 카운터(15)를 통해 전달될 수도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상기 VCO의 동작은 저 노이즈 PLL 주파수 합성기에서 원하는 출력 전압으로 자동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적당한 동작 모드는 상기 VCO 동조 전압에 근거한 동작동안 자동적으로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구성된 물리적인 실시예들의 측면에서 본 발명이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들에게는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남이 없이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내에서 상술한 가르침들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들, 변화들, 그리고 발전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이 명백할 것이다. 또한 당업자들에게 공지된 분야는, 이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을 불필요하게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하여 본 장에서 설명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정한 예시된 실시예들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고, 단지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에 의하여서만 제한된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Claims (12)

  1. PLL 주파수 합성기로서,
    전압 제어 발진기의 상이한 동작 주파수 범위를 각각 정의하는 다수의 동작 모드들에서 동작가능한 전압 제어 발진기와;
    주파수 입력 신호 및 PLL 피드백 신호에 근거하여 에러 신호를 발생하는 위상/주파수 검출기와; 그리고
    상기 에러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의 동작 모드들 중 하나를 결정하는 동작 모드 결정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동작 모드 결정 유닛은 인접한 동작 모드들로 스위칭하기 위해 에러 전압의 상한 및 하한을 정의하는 윈도우 비교기를 포함하며,
    상기 동작 모드 결정 유닛은, 상기 윈도우 비교기로부터 출력되는 스위칭 신호를 소정 수의 클록 사이클만큼 지연시킴으로써 인접한 동작 모드들 사이의 스위칭을 지연시키는 지연 카운터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지연 카운터의 카운트 값은 상기 윈도우 비교기 출력이 현재 동작 모드를 적용된 지연 주기 내에서 유지하는 것을 표시하는 경우 리셋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L 주파수 합성기.
  2. 제 1항에 있어서,
    인접한 동작 모드들의 동작 주파수 범위는 각 동작 주파수 범위의 소정 부분만큼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L 주파수 합성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되는 소정 부분은 상기 동작 주파수 범위의 절반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L 주파수 합성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카운터의 카운트 값은 신규 동작 모드로 스위칭한 후에 리셋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L 주파수 합성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된 스위칭 신호는 업/다운 카운터에 공급되어, 그 출력은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의 동작 모드를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L 주파수 합성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의 동조 전압은 상기 동작 모드 결정 유닛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L 주파수 합성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의 상기 동조 전압을 필터링하는 루프 필터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동작 모드 결정 유닛에 공급되는 신호는 상기 루프 필터 내에서부터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L 주파수 합성기.
  8. PLL 주파수 합성기에서 전압 제어 발진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는 전압 제어 발진기의 상이한 동작 주파수 범위를 각각 정의하는 다수의 동작 모드들에서 동작가능하며, 상기 방법은,
    주파수 입력 신호와 PLL 피드백 신호에 근거하여 에러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에러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의 동작 모드들 중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 단계는 상기 에러 신호가 에러 전압의 상한을 초과하거나 또는 에러 전압의 하한 미만인 경우 인접한 동작 모드들로 스위칭하기 위하여, 상기 에러 전압의 상한 및 하한과 상기 에러 신호를 비교하며-; 및
    스위칭 신호를 소정 시간 주기만큼 지연시키는 단계 -상기 스위칭 신호는 인접한 동작 모드들로 스위칭하기 위한 것이며, 인접한 동작 모드들의 동작 주파수 범위는 각 동작 주파수 범위의 소정 부분만큼 중첩됨-
    를 포함하는 PLL 주파수 합성기에서 전압 제어 발진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되는 소정 부분은 상기 동작 주파수 범위의 절반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L 주파수 합성기에서 전압 제어 발진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주파수 범위는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의 동조 전압의 선형이고 사용가능한 작동 범위(linear and usable working range)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L 주파수 합성기에서 전압 제어 발진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 신호가 상기 에러 전압의 상한을 초과하거나 또는 상기 에러 전압의 하한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동작 모드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디지털 제어 워드가 증가 또는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L 주파수 합성기에서 전압 제어 발진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인접한 동작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상기 지연된 스위칭 신호는,
    후속 비교결과가 소정의 지연 주기 동안 현재 동작 모드를 유지하는 것을 표시하는 경우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L 주파수 합성기에서 전압 제어 발진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KR1020047021478A 2002-06-28 2003-06-24 자동적인 주파수 동조를 구비한 위상 고정 루프 KR1010125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29130A DE10229130B3 (de) 2002-06-28 2002-06-28 PLL mit Automatischer Frequenzeinstellung
DE10229130.6 2002-06-28
US10/361,086 US6747519B2 (en) 2002-06-28 2003-02-07 Phase-locked loop with automatic frequency tuning
US10/361,086 2003-02-07
PCT/US2003/020808 WO2004004126A1 (en) 2002-06-28 2003-06-24 Phase-locked loop with automatic frequency tun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0983A KR20050010983A (ko) 2005-01-28
KR101012510B1 true KR101012510B1 (ko) 2011-02-08

Family

ID=29761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21478A KR101012510B1 (ko) 2002-06-28 2003-06-24 자동적인 주파수 동조를 구비한 위상 고정 루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747519B2 (ko)
KR (1) KR101012510B1 (ko)
DE (1) DE10229130B3 (ko)
TW (1) TWI32742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73670B1 (en) * 2002-10-04 2005-03-29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Automatic pre-scaler control for a phase-locked loop
US7023285B2 (en) * 2003-07-15 2006-04-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elf-calibrating controllable oscillator
US6998924B1 (en) * 2003-09-11 2006-02-14 Rockwell Collins, Inc. Self-calib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ynthesizers
US7263152B2 (en) * 2003-11-18 2007-08-28 Analog Devices, Inc. Phase-locked loop structures with enhanced signal stability
US6949981B2 (en) * 2004-02-18 2005-09-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ynamic threshold for VCO calibration
JP2005311945A (ja) * 2004-04-26 2005-11-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Pll回路、無線通信装置及び発振周波数制御方法
US7453968B2 (en) * 2004-05-18 2008-11-18 Altera Corporation Dynamic phase alignment methods and apparatus
US7432749B1 (en) * 2004-06-23 2008-10-07 Cypress Semiconductor Corp. Circuit and method for improving frequency range in a phase locked loop
TWI241069B (en) * 2004-11-12 2005-10-01 Ind Tech Res Inst Automatically calibrated frequency-synthesis apparatus
TWI303927B (en) 2004-11-15 2008-12-01 Via Tech Inc Phase lock loop and control method thereof
DE102004057186B4 (de) * 2004-11-26 2007-10-31 Texas Instruments Deutschland Gmbh PLL-Schaltung mit einem spannungsgesteuerten Oszillator
KR100810501B1 (ko) * 2005-12-08 2008-03-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대역 다중모드 주파수 합성기 및 가변 분주기
KR100715154B1 (ko) * 2005-12-21 2007-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락킹속도가 향상되는 락킹루프회로 및 이를 이용한클락락킹방법
KR100738360B1 (ko) 2006-05-11 2007-07-12 한국과학기술원 고속 개루프 자동 주파수 보정 회로를 가지는 위상 고정루프
KR100851568B1 (ko) * 2006-08-07 2008-08-12 (주)카이로넷 전압제어발진기의 동작채널 튜닝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위상동기루프
KR100824791B1 (ko) * 2006-08-18 2008-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클록 체배기 및 클록 체배 방법
US7746179B1 (en) * 2006-09-13 2010-06-29 Rf Micro Devic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frequency generating element
KR100847686B1 (ko) * 2006-10-12 2008-07-23 (주)에프씨아이 연속적 뱅크 보정장치를 구비하는 pll 및 pll의 언록방지 방법
WO2008067645A1 (en) * 2006-12-04 2008-06-12 Its Electronics Inc. Floating dc-offset circuit for phase detector
KR100827613B1 (ko) 2007-05-04 2008-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마이크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9105651A (ja) * 2007-10-23 2009-05-14 Panasonic Corp Pll回路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US8044726B2 (en) * 2009-03-17 2011-10-2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self testing a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KR101231743B1 (ko) * 2009-04-24 2013-02-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락 검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주파수 합성기
US7928812B2 (en) * 2009-06-04 2011-04-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ed tuning in wide range multi-band VCO with internal reset concept
TWI470937B (zh) * 2009-09-04 2015-01-21 Mstar Semiconductor Inc 鎖相迴路之頻率校正裝置及頻率校正方法
US8237513B2 (en) * 2010-06-23 2012-08-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hase locked loop with startup oscillator and primary oscillator
DE102010055504A1 (de) 2010-12-22 2012-06-28 Atmel Automotive Gmbh Sende-Empfangs-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Sende-Empfangsvorrichtung
US8664934B2 (en) * 2012-01-27 2014-03-04 Covidien Lp System and method for verifying the operating frequency of digital control circuitry
GB2498946A (en) * 2012-01-31 2013-08-07 Texas Instruments Ltd Fast start-up circuit for phase locked loop (PLL)
CN103066996A (zh) * 2012-12-20 2013-04-24 上海宏力半导体制造有限公司 振荡器及其自校准方法
JP2014230029A (ja) * 2013-05-21 2014-12-08 日本電波工業株式会社 発振装置
CN104242925B (zh) * 2013-06-18 2017-05-17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频率产生装置、方法与设备
JP2017140109A (ja) * 2016-02-08 2017-08-17 テルモ株式会社 治療方法および医療用装置
EP3641135B1 (en) * 2018-10-17 2022-08-03 NXP USA, Inc. Frequency drift detector, communication unit and method theref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96556B1 (en) * 2002-01-15 2002-12-17 Motorola, Inc. Step-down clock control and method for improving convergence for a digitally controlled self-calibrating VCO
US6552618B2 (en) * 2000-12-13 2003-04-22 Agere Systems Inc. VCO gain self-calibration for low voltage phase lock-loop appl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20478B (en) 1982-04-22 1985-10-16 Standard Telephones Cables Ltd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US5383922A (en) * 1993-03-15 1995-01-24 Medtronic, Inc. RF lead fixation and implantable lead
US5382922A (en) * 1993-12-23 1995-01-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alib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setting PLL gain characteristics and center frequency
JP2000004156A (ja) 1998-06-12 2000-01-07 Mitsubishi Electric Corp Vco特性自動可変pll回路
JP2001339298A (ja) * 2000-05-29 2001-12-07 Nec Microsystems Ltd Pll回路およびその制御方法
DE10056294A1 (de) * 2000-11-14 2002-05-29 Infineon Technologies Ag Oszillatorschaltu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52618B2 (en) * 2000-12-13 2003-04-22 Agere Systems Inc. VCO gain self-calibration for low voltage phase lock-loop applications
US6496556B1 (en) * 2002-01-15 2002-12-17 Motorola, Inc. Step-down clock control and method for improving convergence for a digitally controlled self-calibrating VC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000956A1 (en) 2004-01-01
US6747519B2 (en) 2004-06-08
TWI327422B (en) 2010-07-11
TW200401507A (en) 2004-01-16
DE10229130B3 (de) 2004-02-05
KR20050010983A (ko) 2005-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2510B1 (ko) 자동적인 주파수 동조를 구비한 위상 고정 루프
US7019569B2 (en) Method of implementing multi-transfer curve phase lock loop
US6704381B1 (en) Frequency acquisition rate control in phase lock loop circuits
EP1518325A1 (en) Phase-locked loop with automatic frequency tuning
US6888413B1 (en) Frequency synthesizer using a VCO having a controllable operating point, and calibration and tuning thereof
US6229399B1 (en) Multiple frequency band synthesizer using a single voltage control oscillator
US718037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hybrid phase lock loop frequency synthesizer
US5955928A (en) Automatically adjusting the dynamic range of the VCO in a PLL at start-up for optimal operating point
KR101622542B1 (ko) 전하 펌프 전류 변조를 사용하여 폐 루프 곡선 검색을 실행하는 다중-곡선 vco를 갖는 pll 주파수 합성기
KR101082724B1 (ko) 2π 슬립 검출을 이용하여 위상 동기 루프(PLL)합성기를 거칠게 동조시키는 시스템 및 방법
JPH1070458A (ja) 自動ロック回路
US6351164B1 (en) PLL circuit
EP0583804B1 (en) A phase locked loop circuit
KR101622927B1 (ko) 폐루프 곡선 검색을 구현하는 다중-곡선 vco를 갖는 pll 주파수 합성기
WO2018000530A1 (zh) 锁相环路中压控振荡器的校准系统及方法
JP4033154B2 (ja) フラクショナルn周波数シンセサイザ装置
US20070241825A1 (en) Phase Locked Loop Circuit
US7116178B2 (en) Voltage-controlled oscillator with gain proportional to operating frequency
US9831766B2 (en) Charge pump and associated phase-locked loop and clock and data recovery
JP2004080624A (ja) 周波数シンセサイザ
US7109763B1 (en) Phase locked loop operable over a wide frequency range
KR100499276B1 (ko) 빠른 락시간을 가지는 디글리치 회로를 사용한 적응대역폭 위상 고정 루프
US7129791B2 (en) Circuit and method for faster frequency switching in a phase locked loop
JP2007281895A (ja) 周波数シンセサイザ
JPH11103250A (ja) Pll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