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9628B1 -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9628B1
KR101009628B1 KR1020080083186A KR20080083186A KR101009628B1 KR 101009628 B1 KR101009628 B1 KR 101009628B1 KR 1020080083186 A KR1020080083186 A KR 1020080083186A KR 20080083186 A KR20080083186 A KR 20080083186A KR 101009628 B1 KR101009628 B1 KR 101009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electronic device
display
personal comput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3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5422A (ko
Inventor
가츠이치 고토
소노마사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65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5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9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9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20Cool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20Cooling means
    • G06F1/203Cooling means for portable computers, e.g. for lapto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69Detachabl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치의 소형화와 방열 효율의 향상을 양립(兩立)시킬 수 있는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단부에 흡기구와 배기구를 갖는 제 1 하우징과, 제 2 하우징과, 제 1 하우징에 대하여 제 2 하우징을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제 1 하우징에 대하여 제 2 하우징이 열린 상태에 있을 때에, 제 2 하우징이 흡기구와 배기구 사이의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분단(分斷)하도록 구성한다. 제 2 하우징이 제 1 하우징에 대하여 열린 상태에 있을 때에는, 그 제 2 하우징이 흡기구와 배기구 사이의 공간을 분단하기 때문에, 배기된 따뜻한 공기가 전자기기 내로 다시 들어가는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Figure R1020080083186
표시 하우징, 본체 하우징, 본체 유닛, 힌지부, 냉각 기구, 배기구, 흡기구

Description

전자기기{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흡기구와 배기구가 설치된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전자기기에서는, 처리 속도를 더욱 고속화하거나, 탑재되는 기능을 다양화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망(要望)을 실현하기 위해서, 전자기기에 내장되는 전자부품의 고성능화나 고밀도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그 결과 전자기기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이 증가하고 있다. 전자기기의 내부에 열이 모이면 전자부품의 성능이 열화하는 문제가 있어, 전자기기의 내부에서 발생한 열을 효율적으로 방열할 필요가 있다.
전자기기 내의 열을 방열하는 방열 기구로서는, 전자기기의 하우징 내에 공기를 받아들이는 흡기구와, 하우징 내의 열을 배기하는 배기구와, 전자부품에서 발생한 열을 흡수해서 배기구에 열을 전달하는 히트 씽크(heat sink)와, 히트 씽크의 열을 공기에 흡열(吸熱)시켜서 배기구로부터 배기시키는 냉각 팬을 구비한 것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본체 하우징에 대하여 표시 하우징이 개폐 가능하게 연결된 휴대용 전자기기에서, 본체 하우징의 전면 측에 흡기구를 설치하고, 본체 하우징의 배면 측에 배기구를 설치하는 기술에 대해서 기재되어 있 고, 특허문헌 2에는 본체 하우징과 표시 하우징을 연결하고 있는 힌지부 부근에 배기구를 설치하는 기술에 대해서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는 키보드, 표시장치, 본체장치가 개별적으로 설치된 퍼스널 컴퓨터에서, 표시장치의 상면 측에 흡기구를 설치하고, 표시장치의 배면 측에 배기구를 설치하는 기술에 대해서 기재되어 있다. 흡기구에서 받아들인 공기는 통기로를 통하여 흡기구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 배기구까지 도달하고, 히트 씽크에 의해 배기구에 전달된 열을 흡수한다. 또한, 데워진 공기가 냉각 팬에 의해 배기구로부터 배기됨으로써, 전자기기 내의 열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그런데, 최근에는 전자기기의 소형화가 진행되고 있고, 히트 씽크나 냉각 팬 등을 수용하는 스페이스를 좁히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 점에 관하여, 특허문헌 4에는 본체 하우징의 배면 측에 흡기구를 설치하고, 본체 하우징의 일측면 측에 배기구를 설치한 퍼스널 컴퓨터에 대해서 기재되어 있다. 흡기구와 배기구를 가깝게 함으로써, 그들을 연결하도록 연장되는 히트 씽크 등을 콤팩트하게 수용할 수 있고, 장치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 평 04-284519 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공개특허 평 04-290107 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국 공개특허 평 03-118622 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국 공개특허 평 08-263162 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4에 기재된 퍼스널 컴퓨터에서는, 장치의 소형화가 충분하다고는 말할 수 없고, 본래에는 흡기 구멍과 배기 구멍을 하우징의 동일면 내에 설치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한편으로, 흡기 구멍과 배기구를 동일면 내로 가깝게 하려고 하면, 배기 구멍으로부터 배기된 따뜻한 공기가 흡기 구멍으로부터 하우징 내로 다시 들어가 버리기 때문에, 방열 효율이 열화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장치의 소형화와 방열 효율의 향상을 양립시킬 수 있는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전자기기의 기본 형태는,
1 단부에 흡기구와 배기구를 갖는 제 1 하우징과,
제 2 하우징과,
제 1 하우징에 대하여 제 2 하우징을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제 1 하우징에 대하여 제 2 하우징이 열린 상태에 있을 때에, 제 2 하우징이 흡기구와 배기구 사이의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분단하도록 구성한다.
이 전자기기의 기본 형태에서는, 제 1 하우징의 일단부에 흡기구와 배기구가 설치되어 있지만, 제 2 하우징이 제 1 하우징에 대하여 열린 상태에 있을 때에는, 그 제 2 하우징이 흡기구와 배기구 사이의 공간을 분단한다. 따라서, 흡기구로부 터 받아들인 공기가 전자기기 내의 열을 흡수해서 배기구로부터 배출되어도, 흡기구와 배기구가 제 2 하우징에 의해 분단되어 있기 때문에, 배기된 따뜻한 공기가 전자기기 내로 다시 들어가는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통상 제 1 하우징에 대하여 제 2 하우징이 개폐 가능하게 연결된 전자기기에서는, 제 2 하우징을 열어서 사용하는 것이 많기 때문에, 제 2 하우징이 열린 상태에 있을 때에는, 전자기기의 발열량이 많은 것이 일반적이다. 이 전자기기의 기본 형태에 의하면, 특히 전자기기의 사용중에 발생하는 열을 확실하게 방열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전자기기의 기본 형태에 대하여,
상기 흡기구는 1 단부에서 배기구의 상부에 위치한다고 하는 응용 형태가 바람직하다.
흡기구는 전자기기의 바닥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많다. 그러나, 전자기기를 계속해서 사용하면, CPU 등에서 발생한 대량의 열에 의해 전자기기 전체가 따뜻해지고, 전자기기의 바닥 부근에 모인 열이 흡기구로부터 받아들여져서, 방열 효율이 열화되는 문제가 있다.
이 바람직한 응용 형태에 의하면, 흡기구가 배기구보다도 상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자기기의 바닥 부근에 모인 열을 흡기구가 받아들이기 어려워, 전자기기를 계속 사용하여도 방열 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전자기기의 기본 형태에 대하여,
상기 제 1 하우징은 주 처리 회로를 내장하는 전자기기의 본체부이며,
상기 흡기구는 제 1 하우징의 주 처리 회로보다도 상측에, 또한 제 2 하우징 이 닫힌 상태에 있을 때에 노출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는 응용 형태가 적합하다.
랩탑 형의 퍼스널 컴퓨터 등에서는, 통상은 제 1 하우징에 대하여 제 2 하우징을 연 상태에서 퍼스널 컴퓨터가 사용되지만, 제 1 하우징에 대하여 제 2 하우징을 닫은 상태에서도 가동할 수 있고, 제 2 하우징을 연 상태와 마찬가지로 주 처리 회로는 동작하고 발열한다.
이 적합한 응용 형태에 의하면, 제 2 하우징이 닫힌 상태일 경우에도, 흡기구가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발생한 열을 확실하게 방열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전자기기의 기본 형태에 대하여,
상기 흡기구 및 상기 배기구가 설치되는 제 1 하우징의 1 단부는, 제 1 하우징에서 연결부가 설치된 단부(端部) 측이라는 응용 형태가 바람직하다.
제 1 하우징의, 연결부가 부착된 단부 측에, 흡기구 및 배기구가 설치됨으로써, 제 2 하우징에 의해 흡기구와 배기구를 분단하는 구성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전자기기의 기본 형태에 대하여,
상기 제 1 하우징은 주 처리 회로 및 흡기구와 배기구를 이용해서 주 처리 회로를 냉각하는 냉각 팬을 내장하는 전자기기의 본체부이며, 제 2 하우징은 주 처리 회로에 의한 처리 결과를 표시하는 전자기기의 표시부라는 응용 형태가 바람직하다.
주 처리 회로를 갖는 본체부와 표시부와 구비한 전자기기는, 장치의 소형화 와 방열 효율의 향상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기 때문에, 상술한 전자기기의 기본 형태에 의해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전자기기의 기본 형태에 대하여,
상기 제 1 하우징의 상면에 키보드를 갖는다는 응용 형태가 적합하다.
이 적합한 응용 형태에 의하면, 키보드가 설치된 퍼스널 컴퓨터 등에서 발생한 열도 효율적으로 방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자기기의 기본 형태에 의하면, 장치의 소형화와 방열 효율의 향상을 양립시킬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설명한 기본 형태 및 응용 형태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상술한 전자기기의 구체적인 제 1 실시예인 퍼스널 컴퓨터(10)의 외관도이다.
퍼스널 컴퓨터(10)는 본체 유닛(20)과 표시 유닛(30)을 구비하고 있고, 표시 유닛(30)은 힌지부(40)에 의해 본체 유닛(20)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본체 유닛(20)은 본 실시예에서의 본체부의 일례에 해당하고, 표시 유닛(30)은 본 실시예에서의 표시부의 일례에 해당하며, 힌지부(40)는 본 실시예에서의 연결부의 일례에 해당한다. 도 1에는 표시 유닛(30)이 열린 상태의 퍼스널 컴퓨터(10)를 전방으로부터 본 도면을 나타내고 있다.
본체 유닛(20)은 각종 정보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것이고, 본체 하우징(28)의 내부에 CPU나 하드디스크 장치 등이 수용되어 있다. 본체 하우징(28)의 상면에는 키보드(21), 트랙 패드(22), 좌클릭 버튼(23) 및 우클릭 버튼(24) 등이 구비되어 있고, 또한 본체 하우징(28)의 전방에는 손끝을 덧대는 것에 의해 지문 인증을 행하는 지문 센서(25)와, 소형 기록 매체가 장전되는 매체 장전구(26)가 설치되어 있다. 본체 하우징(28)은 본 실시예에서의 제 1 하우징의 일례에 해당한다.
표시 유닛(30)은 본체 유닛(20)에서 실행된 정보처리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고, 표시 하우징(32)의 내부에 박형의 액정 패널이나, 액정 패널용의 제어회로나, 통신용의 안테나 등이 수용되어 있다. 표시 하우징(32)은 전방 커버(32A) 및 후방 커버(32B)(도 2 참조)로 구성되어 있고, 액정 패널은 표시 화면(31)을 앞측으로 하여 전방 커버(32A) 및 후방 커버(32B)에 의해 전후로 끼워져 있다. 표시 하우징(32)은 본 실시예에서의 제 2 하우징의 일례에 해당한다. 또한, 표시 유닛(30)은 각종 전자부품을 액정 패널의 옆쪽이 아닌 뒤측에 배치함으로써, 표시 하우징(32)의 측면 부근까지 표시 화면(31)이 넓어지는 와이드형의 표시장치이다.
도 2는 퍼스널 컴퓨터(10)의 한쪽 면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체 유닛(20)의 일 측면에는 와이어 케이블 부착 잠금(lock)용 시큐리티 슬롯(security slot)(26a), 전원 모듈용 커넥터(26b), 외부 부착 모니터용 커넥터(26c), LAN 케이블용 커넥터(26d), USB용 커넥터(26e, 26f), 오디오 잭용 커넥터(26g), 마이크용 커넥터(26h), 및 헤드폰용 커넥터(26i) 등이 설치되어 있다.
도 3은 퍼스널 컴퓨터(10)의 도 2와는 반대 측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체 유닛(20)의 도 2와는 반대 측의 측면에는, LAN 카드 등의 기능 확장용 확장 카드를 장전하기 위한 확장 카드 장전구(27a), CD나 DVD 등의 광디스크를 장전하기 위한 광디스크 장전구(27b), USB용 커넥터(27c), 및 모뎀용 커넥터(27d)가 설치되어 있다.
이어서, 퍼스널 컴퓨터(10)의 내부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퍼스널 컴퓨터(10)의 내부 구성도이다.
퍼스널 컴퓨터(10)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CPU(101), 하드디스크 장치(103)에 저장된 프로그램이 판독되어 CPU(101)에서의 실행을 위해 전개되는 주메모리(102), 각종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이 보존된 하드디스크 장치(103), 마이크나 스피커 등이 탑재된 오디오 디바이스(104), 외부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 인터페이스(1050, 키보드(21)나 트랙 패드(22) 등을 포함하는 조작자(106), 표시 화면(31) 상에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장치(107), 도 1에도 도시한 지문 센서(25), 소형 기록 매체(61)가 장전되고 장전된 소형 기록 매체(61)를 액세스하는 소형 메모리 드라이브(109), CD-ROM(62)이나 DVD가 장전되고 그 장전된 CD-ROM(62)이나 DVD를 액세스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110), 확장 카드(63)를 사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111), 및 외부장치에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 인터페이스(112) 등이 내장되어 있고, 이들의 각종 요소는 버스(113)를 통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의 퍼스널 컴퓨터(10)는 장치의 소형·경량화, 강도의 향상, 및 조작성의 향상을 양립시키기 위한 각종 고안이 실시되어 있다. 먼저, 퍼 스널 컴퓨터(10)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고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체 유닛(20)에 대하여 표시 유닛(30)을 닫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하우징(32)의 후방 커버(32B)에는, 퍼스널 컴퓨터(10)의 전후 방향에서의 중앙부에 판 부재가 구부려져서 가공된 볼록부(210)가 설치되어 있다. 볼록부(210)는 차의 보닛 구조가 유용(流用)된 것이며, 퍼스널 컴퓨터(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표시 하우징(32)의 양측면 사이에 연장되어 있다. 볼록부(210)는 본 실시예에서의 볼록부의 일례에 해당한다.
후방 커버(32B)에 볼록부(210)가 설치됨으로써, 후방 커버(32B)의 휘어짐이 경감되기 때문에, 표시 하우징(32)의 강도가 향상한다. 이렇게, 본 실시예에 의하면, 얇고 가벼운 재료를 사용하여 고강도의 표시 하우징(32)을 형성할 수 있고, 장치의 경량화와 강도의 향상을 양립할 수 있다. 또한, 볼록부(210)가 표시 하우징(3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양측면 사이를 연결함으로써, 볼록부(210)를 다수 설치하지 않아도 표시 하우징(32)의 강도를 충분히 높일 수 있고, 디자인의 자유도를 유지할 수 있다.
도 6은 표시 유닛(30)을 퍼스널 컴퓨터(1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면에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표시 하우징(32)은 전방 커버(32A)와 후방 커버(32B)로 구성되어 있고, 액정 패널(200)의 표시 화면(31)이 설치된 전면 측의 테두리를 덮는 전면부(201)와, 액정 패널(200)의 배면 측을 덮는 배면부(203)와, 전면부(201)와 배면부(203)를 연결 하는 측면부(202)를 갖고 있다. 액정 패널(200)은 본 실시예에서의 글라스 조립 부품의 일례에 해당하는 동시에, 본 실시예에서의 표시 패널의 일례에 해당한다. 또한, 전면부(201)는 본 실시예에서의 전면부의 일례에 해당하고, 측면부(202)는 본 실시예에서의 측벽부의 일례에 해당하며, 배면부(203)는 본 실시예에서의 배면부의 일례에 해당한다.
배면부(203)의 중앙부는 낙하 등의 충격에 의해 가장 크게 휘어지는 부분이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그 휘어짐이 큰 중앙부에 볼록부(21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표시 하우징(32)의 강도를 효율적으로 높일 수 있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10)에서는 장치를 소형화하기 위해서 액정 패널(200)과 표시 하우징(32) 사이의 틈이 좁아져 있지만, 표시 하우징(32)의 볼록부(210)는 밴딩 가공이 실시되어 있기 때문에, 볼록부(210)의 표면 측과 액정 패널(200)과의 사이에는 틈(S1)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퍼스널 컴퓨터(10)에 큰 충격이 가해져서 표시 하우징(32)이 휘어져도, 그 볼록부(210)가 액정 패널(200)에 충돌하는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틈(S1)에 의해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액정 패널(2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퍼스널 컴퓨터(10)에 의하면, 경량으로 얇은 재료를 사용해서 고강도의 표시 하우징(32)을 형성할 수 있고, 장치의 경량화와 강도의 향상을 양립시킬 수 있다.
이어서, 퍼스널 컴퓨터(10)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2번째 고안에 관하여 설명한다.
퍼스널 컴퓨터(10)는 표시 장치(107)로서 박형의 액정 패널(200)이 사용되고 있고, 또한 표시 하우징(32)과 액정 패널(200) 사이의 틈이 좁아짐으로써, 장치의 소형화와 표시 화면(31)의 대형화의 양립이 도모될 수 있다. 그러나, 액정 패널은 복수 매의 글라스 판 사이에 액정 소자가 밀봉된 것이며, 낙하 등에 의한 충격에 의해 파손되기 쉬운데다가, 표시 화면이 표시 하우징의 측면 부근까지 넓어지는 와이드형의 표시 장치에서는, 낙하의 충격이 흡수되지 않고 직접적으로 액정 패널에 전해지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퍼스널 컴퓨터(10)에는 낙하의 충격에 의해 액정 패널(200)이 파손해버리는 불량을 경감하기 위한 고안이 실시되어 있다.
도 7은 표시 하우징(32) 및 본체 하우징(28)의 치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서는, 본체 하우징(28)의 외형이 파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체 하우징(28)은 힌지부(40)가 부착되는 후방부(211)가 전방부(212)와 평행하고, 동시에 전방부(212)의 폭 w1'이 후방부(211)의 폭 w1보다 좁아서, 상방으로부터 보면 사다리꼴 형상을 갖고 있다. 본체 하우징(28)은 본 실시예에서의 제 1 하우징의 일례에 해당한다. 또한, 후방부(211)는 본 실시예에서의 제 1 변 부분의 일례에 해당하고, 전방부(212)는 본 실시예에서의 제 2 변 부분의 일례에 해당한다.
표시 하우징(32)은 힌지부(40)가 부착되는 후방부(221)의 폭이 본체 하우징(28)의 후방부(211)의 폭 w1과 같고, 전방부(222)의 폭 w2은 후방부(221)의 폭 w1보다 좁다. 또한, 표시 하우징(32)의 전방부(222)는 본체 하우징(28)의, 전방부(222)와 대응하는 부분과 동일 폭 w2로 일치되어 있고, 표시 하우징(32)의 전후 방향의 길이 h1은 본체 하우징(28)의 전후 방향의 길이 h2보다도 짧게 형성되어 있다. 표시 하우징(32)은 본 실시예에서의 제 2 하우징의 일례에 해당한다. 또한, 전방부(222)는 본 실시예에서의 제 3 변 부분의 일례에 해당하고, 후방부(221)는 본 실시예에서의 제 4 변 부분의 일례에 해당하며, 전방부(222)와 후방부(221) 사이의 영역은 본 실시예에서의 측변 부분의 일례에 해당한다.
또한, 표시 하우징(32)에는 전방부(222)의 폭 w2와 같은 폭을 갖는 직사각형 영역(223)이 펼쳐져 있고, 직사각형 영역(223)의 후방에 폭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 부분(224)이 설치되어 있다. 직사각형 영역(223)은 본 실시예에서의 직사각형 영역의 일례에 해당하고, 직사각형 영역(223)의 돌출부(224)보다 전방 부분은 본 실시예에서의 제 1 측변 부분의 일례에 해당하며, 직사각형 영역(223)의 돌출부(224)보다 후방 부분과 돌출부(224)를 합친 것은 본 실시예에서의 제 2 측변 부분의 일례에 해당한다.
도 8은 표시 하우징(32)을 본체 하우징(28)에 대하여 연 상태에서의 돌출부(224) 부근의 확대도이며, 도 9는 표시 하우징(32)의 전방 커버(32A)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하우징(32)은 돌출부(224)가 설치된 측이 힌지부(40)와 연결되어 있고, 돌출부(224)만이 폭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하우징(32)의 후방 커버(32B)에는 도 7에 도시된 직사각형 영역(223) 내에, 후방 커버(32B)와의 사이에 미소한 틈을 두고 리브(225)가 설치되어 있고, 그 리브(225)에 의해 액정 패널(200)이 유지되어 있다. 리브(225) 가 설치됨으로써, 액정 패널(200)을 용이하게 표시 하우징(32) 내에 수용할 수 있고, 제조의 수고를 경감할 수 있다. 리브(225)는 본 실시예에서의 리브의 일례에 해당한다. 또한, 힌지부(40)가 부착되는 측에서는 돌출부(224)가 설치된 정도만큼 표시 하우징(32)과 액정 패널(200) 사이에 상대적으로 큰 틈(S2)이 설치되어 있다.
퍼스널 컴퓨터(10)는 힌지부(40)가 설치된 측으로 중심이 기울고 있기 때문에, 힌지부(40)를 아래로 하여 낙하하는 경우가 많지만, 그 충격이 표시 하우징(32)과 액정 패널(200) 사이의 틈(S2)에 의해 흡수되기 때문에, 액정 패널(200)의 파손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퍼스널 컴퓨터(10)에서는 힌지부(40)가 설치된 측만이 폭넓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장치의 대형화나 중량의 증가를 최소한으로 그치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퍼스널 컴퓨터(10)에서는, 힌지부(40)가 부착된 측에만 표시 하우징(32)과 액정 패널(200) 사이에 큰 틈(S2)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장치의 대형화를 억제해서 액정 패널(2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퍼스널 컴퓨터(10)를 소형화하기 위한 고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7에 설명한 바와 같이, 퍼스널 컴퓨터(10)의 본체 하우징(28)은 힌지부(40)가 부착된 후방부(211)가 전방부(212)보다도 폭이 넓어서, 상방으로부터 보면 사다리꼴 형상을 갖고 있다.
도 10은 본체 하우징(28)의 형상과 겉보기의 인상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의 (a)에는 직방체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의 (b)에는 상면 및 저면이 사다리꼴을 갖고, 도 10의 (a)에 도시된 직방체와 동일 체적의 입체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다리꼴의 단변 측이 앞으로 오도록 입체를 배치하면, 도 10의 (a)에 도시된 동일 체적의 직방체와 비교하여 작게 보이는 경향이 있다.
본 실시예의 퍼스널 컴퓨터(10)에서는 사다리꼴의 장변 측에 힌지부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유저가 사용할 때에는 사다리꼴의 단변 측이 바로 앞으로 오도록 퍼스널 컴퓨터(10)가 배치되는 것이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직방체를 갖는 장치와 비교하여 체적을 바꾸지 않고 겉보기에 작게 보일 수 있다.
도 11은 본체 유닛(20)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11에서는, 본체 하우징(28)의 외형이 파선으로 도시되어 있고, 본체 하우징(28)의 사다리꼴의 단변과 동일 폭을 갖는 직사각형 영역이 일점 파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하우징(28)의 내부에는 도 2에 도시된 전원 모듈용 커넥터(26b)에 접속된 전원 제어회로(331), 외부 부착 모니터용 커넥터(26c)에 접속된 표시 제어회로(332), LAN 케이블용 커넥터(26d)에 접속된 통신 제어회로(333), USB용 커넥터(26e, 26f, 27c)에 접속된 입출력 제어회로(도 11에서는 도시 생략), 오디오 잭용 커넥터(26g), 마이크용 커넥터(26h), 및 헤드폰용 커넥터(26i)에 접속된 오디오 회로(335), 도 3에 도시된 확장 카드 장전구(27a)에 접속된 확장 처리 회로(도 11에서는 도시 생략), 광디스크 장전구(27b)에 접속된 광디스크 드라이브(110), 및 모뎀용 커넥터(27d)에 접속된 데이터 변환 회로(337)에 더하여, 본체 하우징(28) 내에서 발생한 열을 방열하기 위한 냉각 기구(320)나, 충 전지(310)의 각종 전자부품이 수용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된 각종 전자부품은 본 실시예에서의 처리 회로의 일례에 해당하는 동시에, 본 실시예에서의 전자부품의 일례에 해당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하우징(28)의 힌지부(40)가 부착된 내측 모서리에는 앞쪽보다도 공간에 여유가 있기 때문에, 본체 하우징(28)과 힌지부(40) 사이에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공간을 설치할 수 있고, 퍼스널 컴퓨터(10)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각종 전자부품 중, 일부의 데이터 변환 회로(337) 등은 본체 하우징(28)의 일점 파선으로 도시된 직사각형 영역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본체 하우징(28)의 내측 모서리의 빈 공간에 전자부품을 배치함으로써, 본체 하우징(28)의 앞쪽의 폭을 좁힐 수 있고, 퍼스널 컴퓨터(10)를 더 소형으로 보이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체 하우징(28)을 앞쪽의 폭이 좁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본체 하우징(28)을 용량을 증가시켜도 장치를 소형으로 보이게 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1에 도시한 냉각 기구(320)에서의 소형화의 고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체 유닛(20)에 대하여 표시 유닛(30)을 닫은 상태에서의 퍼스널 컴퓨터(10)의 배면도이다.
퍼스널 컴퓨터(10)의 배면에는, 본체 유닛(20)에 도 11에도 도시된 충전지(310)가 끼워져 있고, 냉각 기구(320)의 일부를 이루는 흡기구(412)와 배기 구(411)가 설치되어 있다. 흡기구(412)가 배기구(411)보다도 상측에 설치됨으로써, 퍼스널 컴퓨터(10)의 바닥 부근에 모인 열이 흡기구(412)로부터 받아들여지는 불량을 경감할 수 있고, 퍼스널 컴퓨터(10)를 계속 사용하여도 방열 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3은 본체 유닛(20)의 냉각 기구(320) 부근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각 기구(320)에는 전자부품 상에 위치하여 그들 전자부품으로부터 발생한 열이 열전도되는 판금(431), 판금(431)에 부착되어 판금(431)에 열전도된 열을 배기구(411)까지 유도하는 히트 파이프(432), 히트 파이프(432)에 의해 전달된 열을 공기와 함께 배기시키기 위한 냉각 팬(420) 등이 구비되어 있다. 냉각 팬(420)은 본 실시예에서의 냉각 팬의 일례에 해당한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한 판금(431) 아래에 수용된 전자부품을 나타내는 투과도이다.
히트 파이프(432)는 판금(431) 상에서 CPU나 컨트롤러 등이 탑재된 복수의 처리 회로(433) 상의 위치를 이어서 배기구(411) 부근까지 연장되어 있다.
도 15는 공기의 통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흡기구(412)로부터 받아들여진 공기는 화살표 A로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하우징(28)의 내부로 보내진다. 도 14에 도시한 처리 회로(433)에서 발생한 열은 판금(431)에 열전도되어, 히트 파이프(432)에 의해 배기구(411) 부근으로 전달된다. 냉각 팬(420)에서는 흡기구(412)로부터 받아들여진 공기가 배기구(411)를 향하여 보내지고 있고, 이 공기가 히트 파이프(432)에 의해 전달된 열을 흡수함으로 써, 화살표 B로 도시한 바와 같이, 따뜻한 공기가 배기구(411)로부터 배기된다. 이렇게, 본 실시예의 퍼스널 컴퓨터(10)에 의하면, 흡기구(412)와 배기구(411)가 본체 하우징(28)의 동일면 상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히트 파이프(432)나 냉각 팬(420) 등을 콤팩트하게 수용할 수 있고, 장치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도 16은 본체 유닛(20)에 대하여 표시 유닛(30)을 연 상태에서의 퍼스널 컴퓨터(10)의 전면도이고, 도 17은 본체 유닛(20)에 대하여 표시 유닛(30)을 연 상태에서의 퍼스널 컴퓨터(10)의 배면도이다.
표시 유닛(30)이 열린 상태에서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기구(412)는 표시 유닛(30)보다도 전방에 위치하고 있고,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기구(411)는 표시 유닛(30)보다도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흡기구와 배기구가 하우징의 동일면 상에 설치되어 있을 경우, 배기구로부터 배기된 따뜻한 공기가 다시 흡기구로부터 하우징 내로 들어가 방열 효율이 열화될 우려가 있지만, 본 실시예의 퍼스널 컴퓨터(10)에 의하면, 표시 유닛(30)에 의해 흡기구(412)와 배기구(411) 사이의 공간이 분단되기 때문에, 방열 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유닛(30)이 닫힌 상태에서도, 흡기구(412)는 퍼스널 컴퓨터(10)의 외면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표시 유닛(30)이 닫혀 있어도 흡기구(412)로부터 공기를 받아들일 수 있고, 표시 유닛(30)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의 가동 중에 발생하는 열도 확실하게 본체 하우징(28)의 밖으로 방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퍼스널 컴퓨터(10)에 의하면, 장치의 소형화와 방 열 효율의 향상을 양립시킬 수 있다.
이어서, 퍼스널 컴퓨터(10)의 조작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고안에 관하여 설명한다.
랩탑형 퍼스널 컴퓨터에서는, 퍼스널 컴퓨터를 책상 등에 둔 상태에서 조작할 뿐만 아니라, 퍼스널 컴퓨터를 한쪽 손으로 안아서 조작하는 경우도 행해지고 있다. 본 실시예의 퍼스널 컴퓨터(10)에는 이러한 사용 형태에서도, 표시 유닛(30)을 민첩하고, 용이하게 개폐하기 위한 고안이 이루어져 있다.
도 18은 본체 유닛(20)의 전단(前端) 부근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본체 유닛(20)의 앞측에는 지문 센서(25)와 매체 장전구(26)가 설치되어 있다. 지문 센서(25)에는 손가락을 지문 센서(25)에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25a)가 설치되어 있고, 본체 하우징(28)은 매체 장전구(26)와 가이드(25a)가 설치된 부분이 움푹 들어간 형상을 갖고 있다. 매체 장전구(26) 및 가이드(25a)는 본 실시예에서의 오목부의 일례에 해당하고, 지문 센서(25)는 본 실시예에서의 지문 센서의 일례에 해당하며, 가이드(25a)는 본 실시예에서의 지문 판독 조작 시의 가이드의 일례에 해당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하우징(28)은 전후 방향의 길이 h2가 표시 하우징(32)의 길이 h1보다도 길기 때문에, 표시 하우징(32)을 닫아도 매체 장전구(26)와 가이드(25a)는 퍼스널 컴퓨터(10)의 표면에 노출되는 것이 된다. 본체 하우징(28)의 전방부(212)는 본 실시예에서의 제 1 전단부의 일례에도 해당하며, 후방부(211)는 본 실시예에서의 제 1 후단부의 일례에도 해당한다. 또한, 표시 하 우징(32)의 전방부(222)는 본 실시예에서의 제 2 전단부의 일례에도 해당하며, 후방부(221)는 본 실시예에서의 제 2 후단부의 일례에도 해당한다.
도 19는 표시 유닛(30)을 닫은 상태에서의 퍼스널 컴퓨터(10)의 전단 부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유닛(20)은 표시 유닛(30)보다도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매체 장전구(26) 및 가이드(25a)는 퍼스널 컴퓨터(10)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다. 사용자는 손가락을 매체 장전구(26)나 가이드(25a)에 넣음으로써, 용이하게 표시 유닛(30)을 열 수 있다. 또한, 매체 장전구(26)가 본체 하우징(28)의 전방에 구비됨으로써, 표시 유닛(30)이 닫힌 채로 소형 기록 매체를 장전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지문 센서(25)는 본체 하우징(28)의 전방에 구비됨으로써, 충분히 긴 가이드(25a)를 준비할 수 있어, 지문 인증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 퍼스널 컴퓨터(10)에서의 매체 장전구(26)는 퍼스널 컴퓨터(10)의 전단부 측뿐만 아니라 상부 측도 개방된 구조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10)를 조작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그 상부로부터 소형 기록 매체의 장전 유무를 시인할 수 있다. 이렇게, 매체 장전구(26) 및 지문 센서(25)는 원래 본체 하우징(28)의 전방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의 퍼스널 컴퓨터(10)에 의하면, 누름 버튼 등의 부품을 새롭게 준비하거나, 본체 하우징(28)에 불필요하게 오목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이, 장치의 대형화나 제조 비용의 상승을 억제하고,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10)의 힌지부(40)에도 표시 유닛(30)의 개폐 조작을 쉽 게 하기 위한 고안이 이루어져 있다.
도 20은 힌지부(40)에 이용된 힌지 부품(500)의 확대도이다.
힌지 부품(500)에는 본체 유닛(20)에 부착되는 본체 고정부(510)와, 표시 유닛(30)에 부착되는 표시 고정부(520)와, 표시 고정부(520)를 본체 고정부(510)에 대하여 회동시키기 위한 회전축(521)과, 본체 고정부(510)에 대하여 고정된 고정 캠부(531)와, 회전축(521)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 캠부(532)와, 회전 캠부(532)를 고정 캠부(531)를 향해서 누르는 접시 스프링(belleville spring)(540)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 캠부(531) 및 회전 캠부(532)에는 서로 끼워 맞춰지는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있다.
도 20에는 표시 유닛(30)이 본체 유닛(20)에 대하여 90도로 열린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표시 유닛(30)이 90도 정도로 열린 상태에서는, 회전 캠부(532)의 테이퍼면이 고정 캠부(531)의 테이퍼면에 대하여 완전히 타고 올라가, 회전 캠부(532)의 표시 유닛(30)을 닫는 방향으로의 회전에 락(lock)이 걸려 있다.
도 21은 표시 유닛(30)을 닫는 도중 단계에서의 힌지부(40)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2는 표시 유닛(30)이 본체 유닛(20)에 대하여 닫혔을 때의 힌지부(40)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표시 유닛(30)을 닫기 시작하면, 표시 고정부(520)가 회동하는 것에 의해 회전 캠부(532)가 회전하여 락이 풀린다. 표시 유닛(30)이 소정 각도 이내의 닫힌 상태까지 닫히면, 회전 캠부(532)가 고정 캠부(531)의 테이퍼면을 따라 서로 끼워 맞춰지는 방향으로 미끄러지고, 표시 유닛(30)이 본체 유닛(20)에 대하여 닫히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 표시 유닛(30)이 본체 유닛(20)에 대하여 닫히면,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캠부(532) 및 고정 캠부(531)의 테이퍼면이 서로 끼워 맞춰진다.
이렇게, 퍼스널 컴퓨터(10)에서는 표시 유닛(30)을 소정 정도까지 닫으면, 그 후는 표시 유닛(30)이 닫히는 방향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한손으로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자기기의 구체적인 제 1 실시예의 설명을 마치고, 전자기기의 구체적인 제 2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전자기기의 제 2 실시예는 액정 패널의 배면을 덮는 후방 커버의 형상만이 제 1 실시예와 다르지만, 그 이외는 제 1 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제 1 실시예와 같은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하며, 제 1 실시예와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23은 표시 유닛(30')을 퍼스널 컴퓨터(1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면에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표시 유닛(30')은 후방 커버(32B')로 구성되는 배면부(203') 상에 볼록부(210')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표시 유닛(30')은 밴딩 가공이 아닌 판재 상에 볼록부(210')가 형성되어 있고, 액정 패널(200)과 배면부(203') 사이에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틈(S1)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이렇게, 표시 하우징에 설치되는 볼록부는 밴딩 가공 이외의 방법으로 형성된 것이라도 좋다. 그러나, 밴딩 가공에 의하면, 액정 패널(200)과 배면부(203) 사이에 틈(S1)이 형성됨으로써, 낙하의 충격이 흡수되는 이점이나, 제조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전자기기의 구체적인 제 2 실시예의 설명을 마치고, 전자기기의 구체적인 제 3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전자기기의 제 3 실시예도 액정 패널의 배면을 덮는 배면 커버의 형상만이 제 1 실시예와 다르기 때문에, 제 1 실시예와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24는 표시 하우징(32_3)의 배면 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 하우징(32_3)의 배면 측에, 액정 패널(2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볼록부(210_1)에 더하여, 제 1 볼록부(210_1)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볼록부(210_2)가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액정 패널(2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볼록부(210_1)에 더하여, 제 1 볼록부(210_1)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볼록부(210_2)를 설치함으로써, 표시 하우징(32_3)의 강도를 더 높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에서는 [과제 해결 수단]에서 설명한 전자기기의 일례로서 퍼스널 컴퓨터가 도시되어 있지만, 이 전자기기는 노트북형 컴퓨터, PDA, 게임기, 텔레비전 및 휴대 전화기 등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에서는 표시 패널로서 액정 패널을 예로 했지만, 액정 패널에 한하지 않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나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 그 표시 패널의 종류를 묻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전자기기의 구체적인 제 1 실시예인 퍼스널 컴퓨터의 외관도.
도 2는 퍼스널 컴퓨터의 일측 면측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퍼스널 컴퓨터의 도 2와는 반대 측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퍼스널 컴퓨터의 내부 구성도.
도 5는 본체 유닛에 대하여 표시 유닛을 닫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표시 유닛을 퍼스널 컴퓨터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면에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
도 7은 표시 하우징 및 본체 하우징의 치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표시 하우징을 본체 하우징에 대하여 연 상태에서의 돌출부 부근의 확대도.
도 9는 표시 하우징의 앞측 커버를 떼어낸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체 하우징의 형상과 겉보기 인상과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체 유닛의 내부 구성도.
도 12는 본체 유닛에 대하여 표시 유닛을 닫은 상태에서의 퍼스널 컴퓨터의 배면도.
도 13은 본체 유닛의 냉각 기구 부근의 내부 구성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판금의 아래에 수용된 전자부품을 도시한 투과도.
도 15는 공기의 통로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체 유닛에 대하여 표시 유닛을 연 상태에서의 퍼스널 컴퓨터의 전 면도.
도 17은 본체 유닛에 대하여 표시 유닛을 연 상태에서의 퍼스널 컴퓨터의 배면도.
도 18은 본체 유닛의 전단 부근을 도시한 확대도.
도 19는 표시 유닛을 닫은 상태에서의 퍼스널 컴퓨터의 전단 부근을 도시한 도면.
도 20은 힌지부에 이용된 힌지 부품의 확대도.
도 21은 표시 유닛을 닫는 도중 단계에서의 힌지부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2는 표시 유닛이 표시 유닛에 대하여 닫혔을 때의 힌지부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3은 표시 유닛을 퍼스널 컴퓨터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면에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
도 24는 표시 하우징의 배면 측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퍼스널 컴퓨터 20 : 본체 유닛
21 : 키보드 22 : 트랙 패드
23 : 좌클릭 버튼 24 : 우클릭 버튼
25 : 지문 센서 25a : 가이드
26 : 매체 장전구 26a : 시큐리티 슬롯
26b, 26c, 26d, 26e, 26f, 26g, 26h, 26i, 27c, 27d : 커넥터
27a : 확장 카드 장전구 28 : 본체 하우징
30, 30' : 표시 유닛 31 : 표시 화면
32 : 표시 하우징 32A : 전방 커버
32B : 후방 커버 40 : 힌지부
101 : CPU 102 : 주메모리
103 : 하드디스크 장치 104 : 오디오 디바이스
105 : 입력 인터페이스 106 : 조작자
107 : 표시장치 109 : 소형 메모리 드라이브
110 : 광디스크 드라이브 111 : 통신 인터페이스
112 : 출력 인터페이스 113 : 버스
200 : 액정 패널 201 : 전면부
202 : 측면부 203 : 배면부
210, 210' : 볼록부 211, 221 : 후방부
212, 222 : 전방부 223 : 직사각형 영역
224 : 돌출 부분 225 : 리브
310 : 충전지 320 : 냉각 기구
331 : 전원 제어회로 332 : 표시 제어회로
333 : 통신 제어회로 334 : 입출력 제어회로
335 : 오디오 회로 327 : 데이터 변환 회로
411 : 배기구 412 : 흡기구
420 : 냉각 팬 431 : 판금(板金)
432 : 히트 파이프 433 : 처리 회로

Claims (6)

1 단부(端部)에 흡기구와 배기구를 갖는 제 1 하우징과,
제 2 하우징과,
상기 제 1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제 2 하우징을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제 2 하우징이 열린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제 2 하우징이 상기 흡기구와 상기 배기구 사이의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분단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 1 하우징은 주 처리 회로를 내장하는 해당 전자기기의 본체부이며,
상기 흡기구는 상기 제 1 하우징의 상기 주 처리 회로보다도 상측에서, 또한 상기 제 2 하우징이 닫힌 상태에 있을 때 노출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는 상기 1 단부에서 상기 배기구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삭제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 및 상기 배기구가 설치되는 상기 제 1 하우징의 1 단부는, 상기 제 1 하우징에서 상기 연결부가 설치된 단부 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은 주 처리 회로 및 상기 흡기구와 상기 배기구를 이용해서 상기 주 처리 회로를 냉각하는 냉각 팬을 내장하는 해당 전자기기의 본체부이며,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주 처리 회로에 의한 처리 결과를 표시하는 해당 전자기기의 표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의 상면에 키보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KR1020080083186A 2007-12-17 2008-08-26 전자기기 KR1010096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324640 2007-12-17
JP2007324640A JP4607170B2 (ja) 2007-12-17 2007-12-17 電子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5422A KR20090065422A (ko) 2009-06-22
KR101009628B1 true KR101009628B1 (ko) 2011-01-21

Family

ID=40752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3186A KR101009628B1 (ko) 2007-12-17 2008-08-26 전자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199484B2 (ko)
JP (1) JP4607170B2 (ko)
KR (1) KR101009628B1 (ko)
CN (1) CN10146621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RE49124E1 (en) 2008-02-13 2022-07-05 Arnouse Digital Devices Corp. Mobile data center
US11113228B2 (en) 2008-02-13 2021-09-07 Arnouse Digital Devices Corporation Portable computing system and portable computer for use with same
US10235323B2 (en) * 2008-02-13 2019-03-19 Michael Arnouse Portable computing system and portable computer for use with same
US9141139B2 (en) 2012-04-10 2015-09-22 Arnouse Digital Devices Corp. Mobile data center
WO2011061857A1 (ja) * 2009-11-20 2011-05-26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
JP5435038B2 (ja) * 2009-12-04 2014-03-05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
WO2013019196A1 (en) * 2011-07-29 2013-02-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Heat dissipating case
US10101769B2 (en) 2012-04-10 2018-10-16 Michael Arnouse Mobile data center
US20140139980A1 (en) * 2012-11-21 2014-05-22 Kabushiki Kaisha Toshiba Electronic apparatus
KR102063077B1 (ko) 2013-11-25 2020-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단말기
USD742871S1 (en) * 2014-06-05 2015-11-10 Incipio Technologies, Inc. Computer case
USD755781S1 (en) * 2014-06-05 2016-05-10 Incipio, Llc Computer case
USD798858S1 (en) * 2016-05-30 2017-10-03 Compal Electronics, Inc. Notebook computer
CN107918474A (zh) * 2017-12-23 2018-04-17 广西广付金商贸有限公司 一种用于计算机散热的组合散热装置
CN109840004B (zh) * 2019-03-31 2021-10-22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USD962225S1 (en) * 2020-03-31 2022-08-3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mputer housing edge
USD962226S1 (en) * 2020-04-14 2022-08-3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mputer housing edg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5635A (ja) * 1998-09-29 2000-04-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ノート型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用冷却装置
JP2000223876A (ja) * 1999-01-29 2000-08-11 Toshiba Corp 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69656U (ja) * 1983-04-26 1984-11-13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用情報処理装置
JPH0743621B2 (ja) 1989-09-30 1995-05-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処理装置
US5243549A (en) * 1990-04-11 1993-09-07 Nippon Steel Corporation Portable computer with display in pivotally mounted cover
JPH04284519A (ja) * 1991-03-14 1992-10-09 Fujitsu Ltd 電子機器
JP3000695B2 (ja) * 1991-03-19 2000-01-17 富士通株式会社 携帯用情報処理装置の冷却構造
JP3017837B2 (ja) * 1991-05-31 2000-03-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子機器装置
DE4323455C2 (de) * 1992-07-17 1995-02-16 Toshiba Kawasaki Kk Kompaktes elektronisches Gerät
US5694294A (en) * 1995-01-27 1997-12-02 Hitachi, Ltd. Portable computer with fan moving air from a first space created between a keyboard and a first circuit board and a second space created between the first circuit board and a second circuit board
JP3663706B2 (ja) * 1995-01-27 2005-06-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
JP3178985B2 (ja) * 1995-03-24 2001-06-25 株式会社東芝 携帯形電子機器
JP3382073B2 (ja) * 1995-09-19 2003-03-04 株式会社東芝 携帯形電子機器
JP3251180B2 (ja) * 1996-10-11 2002-01-28 富士通株式会社 ノートブック型コンピュータの放熱構造
JP3377182B2 (ja) * 1999-03-31 2003-02-17 東芝ホームテクノ株式会社 ファンモータ
US6411505B1 (en) * 1999-11-12 2002-06-25 Apple Computer, Inc. Computer housing for a portable computer
JP2001318732A (ja) * 2000-05-09 2001-11-16 Sony Corp 情報処理装置
JP2002032150A (ja) * 2000-05-09 2002-01-31 Sony Corp 情報処理装置
US6577502B1 (en) * 2000-06-28 2003-06-10 Intel Corporation Mobile computer having a housing with openings for cooling
JP2002091614A (ja) * 2000-09-13 2002-03-29 Toshiba Corp 携帯型電子機器
JP3530151B2 (ja) * 2001-06-08 2004-05-24 株式会社東芝 発熱体を内蔵する電子機器およびこの電子機器に用いる冷却装置
JP2003222098A (ja) * 2002-01-29 2003-08-08 Toshiba Corp 遠心送風装置および遠心送風装置を有する電子機器
TWM242991U (en) * 2002-11-15 2004-09-01 Compal Electronics Inc Heat sink device with multi-directional air inlets
US6924978B2 (en) * 2002-12-27 2005-08-02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mputer system ventilation
JP2004302726A (ja) * 2003-03-31 2004-10-28 Hitachi Ltd ノート型液冷pc
JP2004348650A (ja) * 2003-05-26 2004-12-09 Toshiba Corp 電子機器
CN100426187C (zh) * 2003-09-19 2008-10-15 富士通株式会社 电子装置
JP2005107122A (ja) * 2003-09-30 2005-04-21 Toshiba Corp 電子機器
US7106585B2 (en) * 2004-02-11 2006-09-12 Cooler Master Co., Ltd. Holding dock for portable computers
JP4551729B2 (ja) * 2004-09-30 2010-09-29 株式会社東芝 冷却装置および冷却装置を有する電子機器
JP2006156786A (ja) * 2004-11-30 2006-06-15 Toshiba Corp 電子機器
US20070041157A1 (en) * 2005-08-18 2007-02-22 Wang David G Heat dissipation apparatus
US7692634B2 (en) * 2005-10-24 2010-04-06 Fujitsu Limited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JP4847310B2 (ja) * 2006-08-16 2011-12-28 富士通株式会社 演算装置
US7457113B2 (en) * 2006-10-11 2008-11-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enturi bernoulli heat extraction system for laptop computers
JP4745206B2 (ja) * 2006-11-30 2011-08-10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JP4929101B2 (ja) * 2007-08-24 2012-05-09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US7764493B2 (en) * 2008-01-04 2010-07-27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oling electronic devices using airflow divide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5635A (ja) * 1998-09-29 2000-04-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ノート型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用冷却装置
JP2000223876A (ja) * 1999-01-29 2000-08-11 Toshiba Corp 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199484B2 (en) 2012-06-12
CN101466211A (zh) 2009-06-24
JP2009146268A (ja) 2009-07-02
KR20090065422A (ko) 2009-06-22
JP4607170B2 (ja) 2011-01-05
US20090154084A1 (en) 2009-06-18
CN101466211B (zh) 2012-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9628B1 (ko) 전자기기
KR100989085B1 (ko)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KR20090072928A (ko) 전자기기
JP5228467B2 (ja) 電子機器
JP4911152B2 (ja) 電子機器
US9148966B2 (en) Electronic device
US20090154087A1 (en) Display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10067192A (ja) 電子機器
US7137128B2 (en) Portabl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 disk drive device
KR20090072929A (ko) 전자기기
US20090168316A1 (en) Electronic apparatus
US20090154085A1 (en) Electronic apparatus
US20090154081A1 (en) Electronic apparatus
JP4621243B2 (ja) 電子機器
JP4551444B2 (ja) 電子機器
JP2009163290A (ja)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システム
WO2009144823A1 (ja) 電子機器の放熱構造およ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JP5056410B2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