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9307B1 - 기록 재료 및 인쇄물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기록 재료 및 인쇄물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9307B1
KR101009307B1 KR1020087015150A KR20087015150A KR101009307B1 KR 101009307 B1 KR101009307 B1 KR 101009307B1 KR 1020087015150 A KR1020087015150 A KR 1020087015150A KR 20087015150 A KR20087015150 A KR 20087015150A KR 101009307 B1 KR101009307 B1 KR 101009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ink receiving
plastic layer
receiving layer
record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5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3757A (ko
Inventor
시게키 니시무라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3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3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9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9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025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by transferring ink from the master sheet
    • B41M5/0256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by transferring ink from the master sheet the transferable ink pattern being obtained by means of a computer driven printer, e.g. an ink jet or laser printer, or by electrograph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02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multilay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6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 B44C1/165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for decalcomanias; sheet material therefor
    • B44C1/17Dr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02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multilayer materials
    • B41M5/506Intermediat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41M5/5263Macromolecula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7/00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 B41M7/0027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using protective coatings or layers by lamination or by fusion of the coatings or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7/00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 B41M7/0045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using protective coatings or film forming compositions cured by mechanical wave energy, e.g. ultrasonics, cured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or waves, e.g. ultraviolet radiation, electron beams, or cured by magnetic or electric fields, e.g. electric discharge, plasm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k Jet Recording Methods And Recording Media Thereof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Ink Jet (AREA)
  • Decoration By Transfer Pictures (AREA)

Abstract

지지체 상에, 순서대로 플라스틱층과 잉크 수용층을 적층하고, 지지체와 플라스틱층은 박리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기판에 PVC 이외의 수지를 사용하여 잉크젯 등의 인쇄를 한 경우에도, 고화질의 인쇄가 가능하고, 내흠집성, 개찬 방지성이 우수한 기록 재료, 그리고 그것을 사용한 인쇄물, 및 카드의, 용이하고 또한 생산성이 높은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Figure R1020087015150
기록 재료, 인쇄물, 지지체, 플라스틱층, 잉크 수용층

Description

기록 재료 및 인쇄물의 제조 방법{RECORDING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PRINTED MATTER}
기술분야
본 발명은, 기록 재료, 및 그것을 사용한 인쇄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일반적으로, 크레디트 카드나, ID 카드 등의 화상 기록체는 실크 인쇄, 오프셋 인쇄와 사진의 조합 등에 의해 제조되어 왔다. 그리고, 최근, 그 화상 기록체는,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이하 「PVC」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기판 등에 승화 인쇄를 실시하여 간단하고 또한 짧은 납기에 제조하도록 되어 왔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에는, 폴리염화비닐 등으로 이루어지는 수용층에 승화 인쇄를 하고, 표층에 자외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층을 갖는 카드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7-032774 호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승화 인쇄 방식은 고가의 제조 설비를 필요로 하고, 또한 인쇄면의 내흠집성이 약하여 표면을 보호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최근, 환경 보호의 관점에서 카드에 사용되는 기판이 PVC 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이하 「PET」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등으로 변화되고 있지만, PVC 기판에 비해 PET 기판은 승화 인쇄가 곤란하고, PVC 기판만큼의 고화질의 인쇄를 할 수 없는 것이 현상황이다.
또한, 잉크젯 방식에 의해 인쇄를 실시한 후, 인쇄물을 카드에 접착시키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지만, 접착제 등을 개재한 접착이 필요하고, 또한, 카드 형상을 따른 인쇄물의 절단 공정이 필요하다. 나아가서는, 유통 단계에 있어서 실제로 사용될 것을 전제로 한 경우에는, 표면을 보호하는 층이 필요하다. 따라서, 잉크젯 방식을 채용한 경우에는, 종래의 기술에서는 복잡한 공정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또한 생산성의 면에서 만족스런 기록 재료를 얻지 못하였다.
그래서 본 발명은, 잉크젯 등의 인쇄를 채용한 경우에도, 고화질의 인쇄가 가능하고, 내흠집성이 우수한 기록 재료, 그리고 그것을 사용한 인쇄물의, 용이하고 또한 생산성이 높은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첨부 도면의 참조 부호를 괄호를 쳐서 부가 기재하는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이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본 발명은, 지지체 (3) 및 그 지지체 (3) 상에 순서대로 적층된 플라스틱층 (2) 과 잉크 수용층 (1) 을 구비하고, 지지체 (3) 와 플라스틱층 (2) 이 박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기록 재료 (10) 이다.
이 발명에 의하면, 지지체 (3), 플라스틱층 (2), 및 잉크 수용층 (1) 의 3 층에 의해 구성되는 기록 재료 (10) 의 가장 바깥층에 잉크 수용층 (1) 이 존재한다. 잉크 수용층 (1) 은 특히 잉크를 잘 흡착시키기 때문에, 잉크 수용층 (1) 면에 잉크로 기록함으로써 선명한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록 재료 (10) 에 있어서는, 지지체 (3) 와 플라스틱층 (2) 사이의 접착 강도 A 가, 플라스틱층 (2) 과 잉크 수용층 (1) 사이의 접착 강도 B 보다 작다 (접착 강도 A < 접착 강도 B). 이 때문에, 기록 재료 (10) 로부터, 혹은 기판 (4) 에 기록 재료 (10) 를 융착시킨 인쇄물 (100) 로부터, 지지체 (3) 만을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게다가, 기록 재료 (10) 는, 잉크 수용층 (1) 과 지지체 (3) 사이에 플라스틱층 (2) 을 갖고 있기 때문에, 기록 재료 (10) 로부터 지지체 (3) 를 박리한 후, 플라스틱층 (2) 은 기록층인 잉크 수용층 (1) 의 표면 보호층으로서 기능하여, 내흠집성, 또한 개찬 방지성도 얻을 수 있다.
제 1 본 발명에 있어서, 잉크 수용층 (1) 을 구성하는 수지의 융점은 40℃ 이상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잉크 수용층 (1) 을 구성하는 수지는 저융점이기 때문에, 기록면이기도 한 잉크 수용층 (1) 면에 기판 (4) 을 중첩시켜 열을 가함으로써,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용이하게 기판 (4) 에 상기 기록 재료를 융착시킬 수 있다.
제 1 본 발명에 있어서, 플라스틱층 (2) 과 잉크 수용층 (1) 의 적층부 (5) 의 두께는 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플라스틱층 (2) 과 잉크 수용층 (1) 의 적층부 (5) 가 매우 얇기 때문에, 기록 재료 (10) 의 잉크 수용층 (1) 측에 기판 (4) 을 융착시키고, 잉크 수용층 (1) 과 플라스틱층 (2) 을 지지체 (3) 측으로부터 박리할 때에, 이들 층 (잉크 수용층 및 플라스틱층) 을 기판 (4) 의 형상을 따라 커트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플라스틱층 (2) 과 잉크 수용층 (1) 을 박리시키려고 해도, 양 층이 형성하는 적층부 (5) 는 두께가 25㎛ 밖에 안되기 때문에, 박리하는 것은 사실상 곤란하다. 만일 온도를 올려 접착 강도를 약하게 하여, 층간을 파괴하려고 한 경우에도, 적층부 (5) 는 점성이 약하고 박층이기 때문에, 박리시의 가열, 냉각에 의해 층이 팽창, 수축되어 화상의 재현성은 얻어지지 않는다. 이렇게 하여, 플라스틱층 (2) 과 잉크 수용층 (1) 의 적층부 (5) 의 개찬 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제 1 본 발명에 있어서, 플라스틱층 (2) 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단일 수지 또는 2 종 이상의 블렌드 수지, 혹은, 자외선 경화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PMMA,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를 PMA, 폴리스티렌을 PS, 폴리카보네이트를 P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PET 라고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이 구성에서는, 기록 재료 (10) 로부터 지지체 (3) 를 박리한 후에 표면 보호층으로서 기능하는 플라스틱층 (2) 의 투명성을 높일 수 있고, 그것에 의해 플라스틱층 (2) 아래에 있는 기록면인 잉크 수용층 (1) 의 화상을 보기 쉽게 할 수 있 다. 또한, 이들 수지 재료는 비교적 높은 경도를 갖고 있어, 표면 보호층으로서의 기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지지층 (3) 으로서 폴리에틸렌 (이하에 있어서 「PE」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폴리프로필렌 (이하에 있어서 「PP」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등을 사용한 경우에 박리가 용이하다.
제 1 본 발명에 있어서, 플라스틱층 (2) 은, PMMA 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PMMA 는 비교적 높은 경도와, 갈라지기 쉬운 점을 함께 갖고 있기 때문에, 잉크 수용층 (1) 과 플라스틱층 (2) 을 지지체 (3) 측으로부터 박리할 때에, 이들 층 (잉크 수용층 및 플라스틱층) 을 기판 (4) 의 형상을 따라 커트하는 것이 한층 용이해진다.
제 1 본 발명에 있어서, 플라스틱층 (2) 에 무기 충전제 또는 유기계 미립자 (21) 가, 그 플라스틱층 (2) 전체의 질량을 기준 (100 질량부) 으로 하여, 2 질량부 이상 50 질량부 이하 첨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플라스틱층 (2) 에 무기 충전제 또는 유기계 미립자 (21) 를 첨가함으로써, 플라스틱층 (2) 의 가요성을 저하시키고, 파괴점을 다수 형성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이렇게 하여, 기판 (4) 을 기록 재료 (10) 에 융착시킨 후, 기판 (4) 의 형상을 따라 플라스틱층 (2) 을 커트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층 (2) 이 소정 형상으로 커트되면, 플라스틱층 (2) 과 적층 일체화되어 있는 잉크 수용층 (1) 도 동일한 형상으로 용이하게 커트된다.
플라스틱층 (2) 에 첨가하는 상기 무기 충전제 (21) 는 실리카인 것이 바람 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무기 충전제로서 사용되고 있는 실리카는 투명하고, 표면 보호층으로서의 플라스틱층을 통과하여 잉크 수용층에 인쇄된 화상을 선명한 상태인 채로 관찰할 수 있게 된다.
제 1 본 발명에 있어서, 잉크 수용층 (1) 은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수지를 주된 성분으로 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44461157-pct00001
(1)
일반식 (1) 에 있어서, X1 은 활성 수소기를 2 개 이상 갖는 유기 화합물의 잔기이고, R1 은 디카르복실산류 화합물 잔기 또는 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잔기이며, A1 은 하기 일반식 (2) 에 의해 나타낸다.
[화학식 2]
Figure 112008044461157-pct00002
(2)
일반식 (2) 에 있어서, Z 는 탄소수 1 이상의 탄화수소기이고, a, b 및 c 는 각각 1 이상의 정수이며, a, b, c 로부터 계산되는 중량비, {44(a+c)/(탄소수 3 이상의 α-올레핀옥사이드의 분자량)×b} 는, 80/20 이상 94/6 이하이다.
상기의 「주된 성분으로 하여」란,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수지가, 잉 크 수용층 (1) 전체의 질량을 기준 (100 질량%) 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8 질량% 이상 함유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 구성에서는, 상기 일반식 (1) 의 수지를 주된 성분으로 하여 형성된 잉크 수용층 (1) 은, 기판 (4) 으로서 PET 를 사용한 경우에, 그 기판 (4) 과의 열융착이 용이하다. 또한, 본 구성의 잉크 수용층 (1) 은, 수 미크론 두께의 필름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고, 동일한 정도의 두께로 형성되는 플라스틱층 (2) 과 함께, 개찬 방지성, 및 기판 형상을 따른 커트 용이성을 구비한 기록 재료로 할 수 있다.
제 1 본 발명에 있어서, 잉크 수용층 (1) 에 대한 인쇄 방법은, 잉크 수용층 (1) 에 영향이 없는 방법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인쇄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잉크젯 방식, 열전사 방식, 레이저 노광 열 현상 전사 방식, 레이저나 LED 에 의한 전자 사진 방식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잉크 수용층 (1) 에 대한 인쇄 방법으로는 잉크젯 방식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기록 재료 (10) 상에, 저렴하게 고화질의 화상을 얻을 수 있다.
제 2 본 발명은, 제 1 본 발명의 기록 재료 (10) 의 잉크 수용층 (1) 에 인쇄면을 형성하는 공정과, 인쇄면에 소정 형상의 기판 (4) 을 접착시키는 공정과, 플라스틱층 (2) 을 기판의 소정 형상을 따라 파괴하면서, 기판 (4) 과 잉크 수용층 (1) 과 플라스틱층 (2) 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지지체 (3) 로부터 박리하는 공정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인쇄물 (100) 의 제조 방법이다.
제 2 본 발명에 의하면, 기판 (4) 의 형상을 따라, 잉크 수용층 (1) 및 플라스틱층 (2) 을 용이하게 커트하고, 지지체 (3) 로부터 박리할 수 있고, 내흠집성, 개찬 방지성이 우수한 인쇄물 (100) 을 형성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 은, 기록 재료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 는, 인쇄물의 제조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플라스틱 카드의 제조 공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 : 잉크 수용층
2 : 플라스틱층
3 : 지지체
4 : (카드) 기판
21 : 무기 충전제 또는 유기계 미립자
10 : 기록 재료
100 : 인쇄물 (적층체)
200 : (플라스틱) 카드
500 : 플라스틱 카드 제조 장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록 재료 (10) 는, 지지체 (3) 와, 그 지지체 (3) 상에 적층된 플라스틱층 (2) 과, 잉크 수용층 (1) 을 구비하여 구성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플라스틱층 (2) 과 잉크 수용층 (1) 이 적층된 부분을 적층부 (5) 라고 한다. 또한, 이후에 설명하는 「인쇄물 (적층체)」(100) 은, 이 「적층부」(5) 의 잉크 수용층 (1) 측에 (카드) 기판 (4) 을 융착시킨 것이다.
<지지체 (3)>
지지체 (3) 에 사용되는 재료로는, 플랫성이 높고 도포에 적합한 표면을 갖는 것으로서, 또한 플라스틱층 (2) 으로부터 박리할 때에, 그 플라스틱층 (2) 을 손상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지체 (3) 에 사용되는 재료로서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 (PE), 폴리프로필렌 (PP), 에틸렌비닐아세트산 공중합체 (EVA), 이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산 변성 폴리올레핀, 신디오택틱폴리스티렌 등의 수지를 들 수 있다. 이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는, 실리콘 도포나 불소 가공에 의해 표면에 이형성을 부여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수지는 가요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인접하는 플라스틱층 (2) 과의 박리시에, 접어 구부리도록 하여 롤 등에 권취하는 것이 가능하여, 박리 공정을 단순하고 또한 용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들 재료 중에서도, 박리성이나 재료 비용, 입수성의 관점에서, 폴리에틸렌 (PE) 또는 폴리프로필렌 (PP) 이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또한 접착력의 컨트롤이라는 관점에서는, 산 변성 폴리올레핀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지지체 (3) 의 두께는, 하한이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보다 바람직 하게는 50㎛ 이상이고, 상한이 바람직하게는 25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이다. 지지체 (3) 의 두께가 지나치게 얇으면, 소정의 강성을 유지할 수 없어 제조 공정에 있어서 휘어짐이 발생하거나, 롤 등의 권취의 텐션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여, 인쇄되는 화상이 변형되거나 하는 경우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지지체 (3) 의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우면, 롤에 코일상으로 권취하였을 때에 불필요하게 부피가 커진다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플라스틱층 (2)>
플라스틱층 (2) 에 사용되는 수지에 요구되는 물리적 성질로는, 후에 지지층 (3) 으로부터 박리되었을 때에 표면 보호층으로서의 기능이 요구되므로, 소정치 이상의 경도나 융점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융점은 실용성을 고려하면 8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플라스틱층 (2) 을 구성하는 재료로는, 지지체 (3) 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고, 투명성이 높은 수지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MMA),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 (PMA), 폴리스티렌 (PS), 폴리카보네이트 (P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또는 이들의 블렌드 수지나, 자외선 경화성 수지, 전자선 경화성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비교적 높은 경도와 갈라지기 쉽다는 성질을 함께 갖고 있다는 점에서, 자외선 경화 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경화 수지, 전자선 경화성 수지로는, 예를 들어,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에폭시아크릴레이트 등의 올리고머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에 각종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그 밖의 첨가제 등을 적절히 혼합하여, 취급성, 작업성, 경화성 등을 조정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벤조인계, 아세토페논계, 티오크산톤계, 퍼옥사이드계 등의 광중합 개시제를 적당량 첨가하여 경화 중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라스틱층 (2) 은, 무기 충전제 또는 유기계 미립자 (21) (도 1 참조) 를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함유량은 플라스틱층 전체를 기준 (100 질량부) 으로 하여 하한이 2 질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5 질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 질량부 이상이고, 상한이 50 질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30 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질량부 이하이다. 플라스틱층 (2) 에 무기 충전제 또는 유기계 미립자 (21) 를 상기 범위에서 함유시킴으로써, 기록 재료 (10) 와 카드 기판 (4) 을 융착시키고, 그곳에서부터 지지체 (3) 를 박리시킬 때에, 플라스틱층 (2) 에 파괴점을 형성하여, 기판 (4) 측에 전착되는 플라스틱층 (2) 의 형상을 기판 (4) 의 외형을 따른 것으로 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무기 충전제 또는 유기계 미립자 (21) 의 함유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충전의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 또한 무기 충전제 또는 유기계 미립자 (21) 의 함유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플라스틱층 (2) 의 기계적 성질이 취약해져, 표면 보호층으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완수하는 것이 곤란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플라스틱층 (2) 에 함유되는 유기계 미립자 (21) 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마이크로파우더 등의 함불소 수지 폴리머의 미립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무기 충전제 (21) 로는, 파괴점을 형성한다는 관점에서는, 실리카, 산화티탄, 탤크, 유리 비드, 세라믹스 분말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플라스틱층 (2) 의 투명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무색 투명, 또한 플라스틱층에 사용되는 수지와 굴절률이 가까운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잉크 수용층 (1) 을 침투시켜 플라스틱층 (2) 에 이른 인쇄용 잉크를 흡착시키기 위하여 다공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무기 충전제 (21) 로는, 상기 중에서도 실리카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잉크 수용층 (1)>
잉크 수용층 (1) 을 구성하는 수지의 주된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대표적으로는, 폴리알킬렌옥사이드, 수용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수용성 폴리우레탄 수지, 셀룰로오스계 화합물, 및 이들의 변성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한, 융착시의 접착력을 유지할 수 있는 범위에서, 폴리아세트산비닐 (PVA), 폴리비닐피롤리돈 (PVP) 등을 블렌드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주된 성분의 수지가 접착력을 유지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주된 성분은, 잉크 수용층 (1) 전체의 질량을 기준 (100 질량%) 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8 질량% 이상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잉크 수용층 (1) 에 사용되는 수지는, 잉크 수용층 (1) 이 기판 (4) 에 용이하게 열융착될 수 있도록, 융점이 100℃ 이하인 것이 필요하다. 또한, 사용시에 있어서의 잉크 수용층 (1) 의 내열성, 화상의 보존성을 고려하여, 융점은 4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잉크 수용층 (1) 을 구성하는 수지의 주된 성분으로는, 생산성이 우수한 압출법 등의 건식 방법에 의해 필름화할 수 있는 흡수성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은 흡수성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옥사이드가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반복 단위로 구성되는 친수성의 열가소성 수지를, 잉크 수용층 (1) 을 구성하는 주된 성분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3]
Figure 112008044461157-pct00003
(1)
일반식 (1) 에 있어서, X1 은 활성 수소기를 2 개 이상 갖는 유기 화합물의 잔기이고,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비스페놀 A, 아닐린프로필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R1 은 디카르복실산류 화합물 잔기 또는 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잔기이고, 디카르복실산류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고리형 디카르복실산 화합물 또는 직쇄상 디카르복실산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디카르복실산,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디카르복실산의 저급 알킬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상기 디카르복실산으로는, 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말론산, 숙신산, 세바스산, 말레산, 푸마르산, 아디프산, 이타콘산을 들 수 있다. 상기 디 카르복실산 무수물로는, 상기 각종 디카르복실산의 무수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카르복실산의 저급 알킬에스테르로는, 상기 각종 디카르복실산의 메틸에스테르, 디메틸에스테르, 에틸에스테르, 디에틸에스테르, 프로필에스테르, 디프로필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2 ∼ 36 의 직쇄상 디카르복실산 및 그 저급 알킬에스테르를 들 수 있고, 1,10-데카메틸렌디카르복실산, 1,14-테트라데카메틸렌디카르복실산, 1,18-옥타데카메틸렌디카르복실산, 1,32-도트리아콘탄메틸렌디카르복실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저급 알킬에스테르로는, 이들 디카르복실산의 메틸에스테르, 에틸에스테르, 프로필에스테르, 디프로필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혹은 2 종 이상 함께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반응의 용이성이라는 관점에서, 상기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및 디카르복실산의 저급 알킬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비스시클로헥실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A1 은 일반식 (2) 에 의해 나타낸다.
[화학식 4]
Figure 112008044461157-pct00004
(2)
일반식 (2) 에 있어서, Z 는 탄소수 1 이상의 탄화수소기이고,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수지 조성물에 소수성을 부여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며, 예를 들어, 바람직한 것으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등의 알킬기를 들 수 있다. a, b 및 c 는 각각 1 이상의 정수이고, a, b, c 로부터 계산되는 질량비, {44(a+c)/(탄소수 3 이상의 α-올레핀옥사이드의 분자량)×b} 는, 80/20 이상 94/6 이하이다. 80/20 보다 작으면 친수성이 저하되어, 잉크 흡수성, 인쇄 적성에서 열등한 것이 된다. 한편, 94/6 을 초과하면, 잉크의 번짐 내수성 등의 면에서 열등한 것이 된다. a, b, c 의 비율을 상기 서술한 범위 내로 함으로써, 친수성을 잃지 않고, 또한 물에 대하여 불용화할 수 있다.
이러한 열가소성 수지는, 에틸렌글리콜에 에틸렌옥사이드를 부가 중합한 후, 알킬렌옥사이드를 부가 중합하고, 또한 에틸렌옥사이드를 부가 중합하여 생성한 폴리알킬렌옥사이드에 디카르복실산 화합물 또는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반응시켜 생성할 수 있다.
<각 층에 대한 임의 첨가 성분>
본 발명의 기록 재료 (10) 에 있어서는, 잉크의 번짐 특성이나 정착성을 개량하는 목적 등에 의해, 카티온성 폴리머를 함유시킬 수 있다. 카티온성 폴리머가 첨가되는 층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잉크 수용층 (1) 및 플라스틱층 (2) 의 어느 1 층, 또는 양 층에 함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록 재료 (10) 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카티온성 폴리머로는, 예를 들어, 폴리알릴아민염산염, 폴리알킬아미노아크릴레이트 등, 제 4 급화된 아미노기를 갖는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 등의 고분자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 고분자 화합물은, 융점 (Tm) 이 60℃ ∼ 200℃ 의 범위이고, 분자량이 1000 ∼ 10 만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카티온성 폴리머의 함유량은, 그것을 첨가하는 층 전체의 질량을 기준 (100 질량%) 으로 하여 약 5 ∼ 50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카티온성 폴리머의 함유량이 5 질량% 이상이면, 잉크의 번짐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잉크 수용층 (1), 플라스틱층 (2) 에, 산화 방지제, 자외선 방지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추가로 함유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융 압출시의 열 열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수지 조성물 중에 산화 방지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또한, 열안정성 향상을 위하여 첨가하는 산화 방지제의 양으로는, 그것을 첨가하는 층 전체의 질량을 기준 (100 질량%) 으로 하여 0.3 ∼ 1.5 질량% 정도가 적당하다.
<각 층의 두께>
본 발명의 잉크 수용층 (1) 과 플라스틱층 (2) 의 적층부 (5) 의 두께는, 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5㎛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2㎛ 이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잉크 수용층 (1) 의 두께는, 하한이 바람직하게는 5㎛ 이상이고,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14㎛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또한, 플라스틱층 (2) 의 두께는, 하한이 바람직하게는 1㎛ 이상, 상한이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잉크 수용층 (1) 과, 플라스틱층 (2) 사이의 두께 비는, 기판 (4) 과의 융착 후에 실시되는 커트를 고려하면, 커트의 용이함 면에서, 1 : 0.5 ∼ 1 : 1.5 (잉크 수용층 (1) : 플라스틱층 (2)) 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잉크 수용층 (1) 의 두께가 지나치게 얇으면, 인쇄시에 잉크를 충분히 흡수할 수 없기 때문에, 선명한 화상을 얻는 것이 곤란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잉크 수용층 (1) 의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우면, 카드 기판의 형상을 따라 커트되기 어려워져, 역시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플라스틱층 (2) 의 두께가 지나치게 얇으면, 무기 충전제나 유기계 미립자 (21) 를 혼입시키는 것이 곤란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플라스틱층 (2) 의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우면, 카드 기판 (4) 의 형상을 따라 커트되기 어려워져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잉크 수용층 (1) 및 플라스틱층 (2) 의 합계 두께가 25㎛ 를 초과하면, 적층부 (5) 의 파괴 강도가 높고, 개찬이 용이해지고, 커트도 용이하지 않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적층부 (5) 및 각 층의 두께를 상기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개찬 방지성이 향상되고, 카드 제조시의 생산이 용이한 것으로 된다.
<제조 방법-1 : 인쇄물 (적층체) (100)>
본 발명의 기록 재료 (10) 는, 지지체 (3) 에 플라스틱층 (2) 및 잉크 수용층 (1) 을 적층함으로써 제조된다. 적층 방법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어 지지체 (3) 가 수지인 경우, 잉크 수용층 (1) 이 되는 수지, 플라스틱층 (2) 이 되는 수지 및 지지체 (3) 가 되는 수지를 각각 배합하거나, 혹은 필요에 따라 펠릿상으로 한 것을, T 다이 압출기에 탑재하여 용융시켜 공압출하고, 냉각 롤, 수냉 또는 공냉 등으로 냉각 고화시켜, 본 발명의 기록 재료 (10) 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기록 재료 (10) 는, 플라스틱층 (2) 이 되는 수지와 잉크 수용층 (1) 이 되는 수지를, 미리 제조한 지지체 (3) 에 T 다이로부터 직접 압출하여 형성해도 되고, 또는 압출에 의해 각 층의 필름을 형성한 후, 순차로 라미네이트하여 형성해도 된다. 플라스틱층 (2) 이 자외선 경화성 수지인 경우에는, 미리 필름상으로 형성한 잉크 수용층 (1) 혹은 지지체 (3) 에, 자외선 경화 수지를 그라비아 코팅 등으로 코팅하고, 자외선 조사하여 경화시킨 후, 나머지 층을 그 위에 라미네이트함으로써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기록 재료 (10) 를 사용한 인쇄물 (적층체) (100) 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기록 재료 (10) 에는, 도 2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잉크 수용층 (1) 의 상면에 화상 등을 인쇄할 수 있다. 인쇄 방법은, 잉크 수용층에 영향이 없는 방법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잉크젯 방식, 열전사 방식, 레이저 노광 열 현상 전사 방식, 레이저나 LED 에 의한 전자 사진 방식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열전사 방식, 레이저 노광 열 현상 전사 방식, 레이저나 LED 에 의한 전자 사진 방식에 있어서는, 잉크 수용층에 배접 (背接) 하는 롤이 고온이 되지 않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중에서도 인쇄 방법으로는, 수계 잉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잉크젯 방식을 채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기록 재료 (10) 는, 잉크 수용층 (1) 의 상면에 기록을 실시한 후, 도 2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잉크 수용층 (1) 의 상면에 기판 (4) 을 탑재하여, 열융착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기판 (4) 으로는, 잉크 수용층 (1) 을 형성하는 수지가 열융착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어, PET, 생분해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생분해 수지로는, 예를 들어, 3-히드록시부티르산·3-히드록시발레르산 공중합체 등의 미생물 산생 폴리에스테르나, 전분과 폴리비닐알코올의 복합 수지, 폴리락트산 또는 락트산과 옥시카르복실산의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폴리카프로락톤 등의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판 (4) 으로는, 융착 가능하도록 표면 처리를 한 종이, 금속판, 세라믹판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중에서도, 본 발명에 있어서의 기판 (4) 으로는, 입수제, 비용, 가공의 용이성, 및 흡수성 수지에 대한 열융착성이 용이하다는 관점에서, PET 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기판 (4) 의 크기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명함 사이즈 정도의 것부터 B3 판 이상 크기의 것까지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열융착 방법은, 구체적으로는 프레스 방식, 열 롤에 의한 닙 방식, 열풍 압착 방식 등을 들 수 있다.
열융착을 실시한 후, 기판 (4) 에 기록 재료 (10) 로부터 박리하는 응력을 가함으로써, 도 2 의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체층 (3) 이 박리됨과 동시에, 플라스틱층 (2) 이 기판 (4) 의 형상을 따라 갈라지고, 그것에 따라서 잉크 수용층 (1) 도 동 형상으로 갈라져, 기판 (4) 에 융착된 잉크 수용층 (1) 과 플라스틱층 (2) 이 기판 (4) 측으로 분리된다. 이 공정에 의해, 기판 (4) 상에 순서대로 잉크 수용층 (1) 과 플라스틱층 (2) 이 적층된 형상으로 인쇄물 (적층체) (100) 이 제조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플라스틱층 (2) 에 소정의 무기 충전재 또는 유기계 미립자가 소정량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플라스틱층 (2) 이 기판 (4) 의 형상을 따라 갈라지기 쉽고, 또한, 갈라졌을 때의 버 (burr) 의 발생이 억제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록 재료 (10) 를 임의의 형태로 하프 커트 (적층부 (5) 만 커트하고 지지체층 (3) 은 커트하지 않는다) 하여, 그 부분을 기판 (4) 에 열융착, 박리하면, 기판 (4) 상에는 하프 커트하여 융착시킨 부분에만 인쇄층, 보호층이 형성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나머지 부분에, 실크 인쇄나 자기 테이프 부착 등의 다른 가공이 가능한 인쇄물 (적층체) (100) 을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형태의 플라스틱층 (2) 을 사용함으로써, 하프 커트를 형성하지 않아도, 기판 (4) 의 형상을 따라 플라스틱층 (2) 이 갈라져 소정 형상의 인쇄물 (100) 을 형성할 수 있다.
<제조 방법-2 : 플라스틱 카드 (200)>
도 3 은 본 발명의 기록 재료 (10) 를 사용한 플라스틱 카드 (200) 의 제조 장치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플라스틱 카드 (200) 의 제조 장치 (500) 는, 미리 기록 재료 (10) 를 길이 방향으로 코일 상에 권취한 기록 재료 롤 (31) 과, 기록 재료 롤 (31) 로부터 풀려나온 기록 재료 (10) 의 잉크 수용층 (1) 측에 소정의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 수단 (32) 과, 화상이 인쇄된 잉크 수용층 (1) 의 상면에 카드 기판 (4) 을 배치하는 카드 기판 배치 수단 (도시 생략) 과, 잉크 수용층 (1) 상에 배치된 카드 기판 (4)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라스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과 잉크 수용층 (1) 을 열융착시키는 열융착 수단 (33) 과, 열융착되어 일체가 된 기록 재료 (10) 와 카드 기판 (4) 으로부터 지지체 (3) 를 박리하는 박리 수단 (34) 과, 박리된 지지체 (3) 를 권취하는 권취 릴 (35) 을 구비하고 있다.
도 3 의 플라스틱 카드 (200) 의 제조 장치 (500) 에 의하면, 기록 재료 (10) 를 순차로 송출함으로써, 기록 재료 (10) 의 잉크 수용층 (1) 의 외면에 인쇄를 하는 공정과, 인쇄한 잉크 수용층 (1) 의 면에 카드 기판 (4) 을 열융착시키는 공정을 인라인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융착에 의해 기판 (4) 과 일체가 된 기록 재료 (10) 를,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드 기판 (4) 의 평면에 대하여 상이한 방향으로 굽힘으로써, 카드 기판 (4) 의 강성에 의해 기록 재료 (10) 로부터 지지체 (3) 를 박리함과 함께, 기록 재료 (10) 를 구성하는 3 층 중, 잉크 수용층 (1) 및 플라스틱층 (2) 을 카드 기재 (4) 의 형상을 따라 박리할 수 있다. 따라서, 다이 커트 등에 의해 커트단의 커트를 할 필요가 없다. 이와 같이, 도 3 에 나타낸 플라스틱 카드 (200) 의 제조 장치 (500) 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기록 재료 (10) 와, 카드 기판 (4) 에 의해, 간편하고 또한 연속적으로, 화상을 기록 한 플라스틱 카드 (200) 를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되는 플라스틱 카드 (200) 의 용도로서 ID 카드, 크레디트 카드, 데빗 카드, 디포지트 카드, 포인트 카드, 각종 회원증, 정기권, 의료 기관에서의 진찰권, 사원 식당에서의 구입권 등의 카드류, 책받침, 자, 삼각자 등의 문구, 제품 일람표, 프랜차이즈형 레스토랑의 메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원하는 바에 따라, 기판 (4) 의 내부, 또는 이면측에 자기 기록부나, IC 칩 등을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
<평가용 시료의 제조>
(실시예 1)
에틸렌글리콜에 에틸렌옥사이드를 부가 중합한 후, 부틸렌옥사이드를 부가 중합하고, 또한 에틸렌옥사이드를 부가 중합하여 얻은 폴리알킬렌옥사이드에 옥타데칸-1,18-디카르복실산메틸을 첨가하여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중량 평균 분자량 15 만의 시료 100 질량부에 대하여, 열안정제로서 토코페놀 (BASF 사 제조 UVINUL2000AO) 을 1 질량부 첨가하여, 잉크 수용층이 되는 시료 A 를 얻었다. 시료 A 의 융점은 65℃ 이었다.
다음으로, 아크릴 수지 (쿠라레사 제조 GR-F) 100 질량부에 실리카 10 질량부를 첨가하여, 2 축 압출기에 의해 콤파운드하고, 펠릿화하여 플라스틱층이 되는 시료 B 를 얻었다.
상기에 따라 얻은 시료 A, 시료 B, 및 지지체가 되는 폴리스티렌 수지 (A&M 스티렌사 제조 HF77) 를 멀티매니폴드다이를 사용하여 용융 공압출 성형으로 필름화하여 기록 재료를 얻었다. 각 층의 두께는, 잉크 수용층 (시료 A) 이 5㎛, 플라스틱층 (시료 B) 이 5㎛, 지지체 (폴리스티렌 수지) 가 30㎛ 이었다.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한 기록 재료의 잉크 수용층 측에 휴렛 팩커드사 제조 데스크젯 1120C 로 300dpi 의 화상 데이터 (가공 (架空) 의 이름, ID 번호, 주소, 얼굴 사진) 를 경면 인쇄하였다. 그리고 형성한 인쇄면에 5㎝×10㎝ 의 백색 PET 카드 기판을 탑재하여, 80℃, 3m/분으로 열 라미네이트를 실시하고, 지지체를 박리하여 플라스틱 카드를 제조하였다. 또한, 실시예 1 의 기록 재료에 대하여, 휴렛 팩커드사 제조 인디고 4050 (액체 토너형 전자 사진 인쇄 방식) 을 사용하여 인쇄를 실시하고, 동일한 방법에 의해 플라스틱 카드를 제조하였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동일한 평가가 얻어졌다.
(실시예 2)
각 층의 두께를, 잉크 수용층 (시료 A) 이 10㎛, 플라스틱층 (시료 B) 이 10㎛, 지지체 (폴리스티렌 수지) 가 30㎛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지지체가 되는 이형 PET (테이진 듀퐁 제조 퓨렉스) 50㎛ 에, 자외선 경화 수지의 하드 코트액 (자외선 경화 수지 (니혼 카야쿠사 제조 KAYARAD D-310) 50 질량부, 광중합 개시제 (치바 스페셜리티 케미컬즈사 제조 이르가큐어 184) 3 질량부, 용제 (2-프로판올) 50 질량부로 이루어진다) 를 고형분 5㎛ 가 되도록 그라비 아 코팅하였다 (시료 C).
실시예 1 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흡수성 수지 (시료 A) 를, 매니폴드다이를 사용하여 용융 압출 성형으로 필름화함과 동시에, 용융 상태에서 시료 C 의 하드 코트면에 라미네이트하는 압출 라미네이트를 실시하였다. 각 층의 두께는, 잉크 수용층 (시료 A) 이 5㎛, 플라스틱층 (시료 C) 이 5㎛, 지지체 (이형 PET) 가 50㎛ 이었다.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한 기록 재료에 휴렛 팩커드사 제조 데스크젯 1120C 로 300dpi 의 화상 데이터 (가공의 이름, ID 번호, 주소, 얼굴 사진) 를 경면 인쇄하였다. 인쇄면에 5㎝×10㎝ 의 백색 PET 카드 기판을 탑재하여, 열 라미네이트를 실시하고, 지지체를 박리하여 플라스틱 카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 에 있어서, 폴리스티렌 수지 (A&M 스티렌사 제조 HF77) 100 질량부에 실리카 10 질량부를 첨가하여 2 축 압출기에 의해 콤파운드하고, 펠릿화한 것을 플라스틱층의 시료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기록 재료 및 플라스틱 카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승화 전사 인쇄기 (니스카사 제조 PR5200) 를 사용하여, 실시예 3 에서 인쇄한 것과 동일한 화상 데이터를 PVC 카드 기판에 승화 인쇄하였다. 한편, 그 승화 인쇄에서는 실시예 1, 2 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백색 PET 카드 기판에는 인쇄할 수 없었다.
(비교예 2)
픽토리코사 제조의 잉크젯 미디어 (투명) 에, 실시예 3 에서 인쇄한 것과 동일한 화상 데이터를 경면 인쇄하고, 접착제 (스미토모 화학사 제조 본드퍼스트 7M) 를 인쇄면에 도포하여, 실시예 1, 2 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백색 PET 카드 기판에 부착시켰다.
(비교예 3)
지지체인 38㎛ PET 필름 (토요보, 에스테르 필름 E5100) 의 코로나 처리면에, 플라스틱층으로서 아크릴 수지 (미츠비시 레이온 아크릴 수지, 다이아날 FR-4867) 를, 5㎛ 의 두께가 되도록 닥터 바로 도포하고, 온도 110℃ 에서 건조시켰다. 그리고, 실시예 1 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흡수성 수지 (시료 A) 를, 매니폴드다이로 용융 압출 성형으로 필름화함과 동시에, 용융 상태에서 상기 플라스틱층 상에 라미네이트하는 압출 라미네이트를 실시하여, 두께 25㎛ 의 잉크 수용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이 잉크 수용층 상에, 휴렛 팩커드사 제조 데스크젯 1120C 로 300dpi 의 화상 데이터 (가공의 이름·ID 번호·주소·얼굴 사진) 를 경면 인쇄하였다. 인쇄면에 5㎝×10㎝ 의 백색 PET 카드 기재를 탑재하여, 80℃, 3m/분으로 열 라미네이트를 실시하고, 지지체를 박리하여 플라스틱 카드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카드의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카드를, 이하의 평가 항목에 의해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정리하여 표 1 에 나타낸다.
(1) 화상 품질
백색 카드 상에 형성된 화상을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 : 도트의 번짐이나 흐릿함이 없어 선명하다.
× : 도트의 번짐이나 흐릿함이 있어 불선명하다.
(2) 개찬성
화상이 형성된 카드를 오븐에 넣고, 100℃ 분위기하에서 표면 보호층을 박리하였다. 비교예 1 에 있어서는 한번 더 화상을 상면에 승화 전사로 인쇄하였다.
(3) 외관
카드 표면에서 육안으로 발색성, 카드의 에어 삽입 등의 문제를 관찰하였다.
(4) 제조시의 작업성
카드를 제조하는 공정에 있어서의 작업성의 간편성을 기록하였다.
(5) 내흠집성 (스크래치 시험법)
손가락의 손톱으로 강하게 긁었을 때에,
○ : 전혀 긁은 자국이 생기지 않는다.
△ : 긁은 자국으로서 약간 패임이 확인된다.
× : 긁은 자국으로서 내부가 희거나 또는 작은 요철이 발생한 패임이 확인된다.
(6) 전사의 상황
전사의 상황에 대하여, 육안 및 손가락으로 긁는 것 등에 의해 종합적으로 평가하였다.
<3> 평가 결과
Figure 112008044461157-pct00005
본 발명의 실시예 1 ∼ 4 에 있어서는, 어느 평가 항목에서도 대체로 양호한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실시예 2 에 있어서는, 잉크 수용층과 플라스틱층의 적층부가 어느 정도의 두께를 갖고 있기 때문에, 개찬성의 평가가 약간 열등하였다. 또한, 실시예 1, 2, 및 4 에 있어서는, 플라스틱층으로서 아크릴 수지 또는 폴리스티렌 수지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실시예 3 에 있어서의 자외선 효과 수지를 사용한 경우와 비교해 내흠집성이 약간 열등하였다. 또한, 실시예 3 에 있어서는, 플라스틱층에 무기 충전제 등이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플라스틱층 자체가 갈라지기 쉬운 성질을 갖고 있기 때문에, 지지체 박리시에 버가 발생하지 않았다.
비교예 1 에 있어서는, PVC 카드 기판의 표면에 승화 인쇄를 실시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내흠집성이 열등함과 함께, 표면에 다시 승화 인쇄를 실시함으로써 용이하게 개찬할 수 있었다. 또한, 기판이 PVC 이기 때문에, 환경 보호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형태였다.
비교예 2 에 있어서는, 종래의 잉크젯 미디어에 인쇄를 실시한 형태이기 때문에, 기판으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고, 개찬도 용이하였다. 또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기판과 부착시켜 제조하고 있기 때문에, 표면에서 보면 기판의 백색이 접착층을 개재시킴으로써 선명하지 않아, 화상의 시인성이 열등하였다. 또한, 접착제를 도포한 미디어를 기판에 부착시킬 때의 위치 결정이 곤란하여, 작업성이 열등하였다.
비교예 3 에 있어서는, 잉크 수용층이 두꺼운 점 및 플라스틱층에 무기 충전제 또는 유기계 미립자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점에서, 지지체를 박리할 때에, 플라스틱층 및 잉크 수용층이 카드 기재의 형상으로 갈라지기 어렵고, 이 때문에, 카드 주위부에 버가 발생함과 함께, 잉크 수용층과 카드 기재 사이에 박리가 발생하였다.
이상, 현시점에서, 가장 실천적이고, 또한, 바람직하다고 생각되는 실시형태 및 실시예에 관련지어 본 발명을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은, 본원 명세서 중에 개시된 실시형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의 범위 및 명세서 전체로부터 판독되는 발명의 요지 혹은 사상에 반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하고, 그러한 변경을 수반하는 기록 재료, 그리고 그것을 사용한 인쇄물의 제조 방법도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9)

  1.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 상에 순서대로 적층된 플라스틱층과 잉크 수용층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체와 상기 플라스틱층이 박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플라스틱층과 상기 잉크 수용층의 적층부의 두께가 25㎛ 이하이고, 상기 플라스틱층에 무기 충전제 또는 유기계 미립자가, 상기 플라스틱층 전체를 100 질량부로 하여 2 질량부 이상 50 질량부 이하 첨가되어 있는 기록 재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수용층을 구성하는 수지의 융점이 40℃ 이상 1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층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단일 수지 또는 2 종 이상의 블렌드 수지, 혹은, 자외선 경화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료.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층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료.
  5. 삭제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충전제가 실리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료.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수용층이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수지를 주된 성분으로 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료.
    [화학식 1]
    Figure 112008044590880-pct00006
    (1)
    [일반식 (1) 에 있어서, X1 은 활성 수소기를 2 개 이상 갖는 유기 화합물의 잔기이고, R1 은 디카르복실산류 화합물 잔기 또는 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잔기이며, A1 은 하기 일반식 (2) 에 의해 나타낸다.
    [화학식 2]
    Figure 112008044590880-pct00007
    (2)
    일반식 (2) 에 있어서, Z 는 탄소수 1 이상의 탄화수소기이고, a, b 및 c 는 각각 1 이상의 정수이며, a, b, c 로부터 계산되는 중량비, {44(a+c)/(탄소수 3 이상의 α-올레핀옥사이드의 분자량)×b} 는, 80/20 이상 94/6 이하이다]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기록 방법이 잉크젯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료.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기록 재료의 상기 잉크 수용층에 인쇄면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인쇄면에 소정 형상의 기판을 접착시키는 공정과,
    상기 플라스틱층을 상기 기판의 소정 형상을 따라 파괴하면서, 상기 기판, 상기 잉크 수용층 및 상기 플라스틱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상기 지지체로부터 박리하는 공정을 구비한 인쇄물의 제조 방법.
KR1020087015150A 2005-12-02 2006-12-01 기록 재료 및 인쇄물의 제조 방법 KR1010093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49943 2005-12-02
JPJP-P-2005-00349943 2005-12-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3757A KR20080073757A (ko) 2008-08-11
KR101009307B1 true KR101009307B1 (ko) 2011-01-18

Family

ID=38092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5150A KR101009307B1 (ko) 2005-12-02 2006-12-01 기록 재료 및 인쇄물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90242114A1 (ko)
JP (1) JPWO2007063995A1 (ko)
KR (1) KR101009307B1 (ko)
CN (1) CN101316717B (ko)
WO (1) WO200706399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5523A3 (en) * 2016-11-02 2018-06-14 Entrust Datacard Corporation Active card cooling in a card processing machin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51435B2 (en) * 2004-08-19 2011-05-31 Mitsubishi Plastics, Inc. Inkjet recording material
GB0600576D0 (en) * 2006-01-12 2006-02-22 Ici Plc Thermal transfer printing
JP5586091B2 (ja) * 2010-06-25 2014-09-10 フジコピアン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加飾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5611732B2 (ja) * 2010-09-09 2014-10-22 フジコピアン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加飾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ITMI20102479A1 (it) * 2010-12-30 2012-07-01 Telecom Italia Spa Ink-jet printer for printing on cards
CN102774153A (zh) * 2011-05-10 2012-11-14 上海协承昌化工有限公司 Pvc基材表面图案层的形成工艺
US8974879B2 (en) * 2012-06-01 2015-03-10 Fuji Xerox Co., Ltd. Image transfer sheet and image recording material
JP6146569B2 (ja) 2013-09-05 2017-06-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加飾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成形品
US10252557B2 (en) * 2014-10-24 2019-04-09 Canon Finetech Nisca Inc. Transfer material, image support with coloring material-receiving layer and recorded matter, and manufacturing methods and manufacturing apparatus for the same
US10071566B2 (en) 2015-04-03 2018-09-11 Canon Finetech Nisca Inc. Transfer material, recorded matter, method of manufacturing recorded matter, image-recording apparatu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recorded matter
DE102019217560A1 (de) * 2019-11-14 2021-05-20 Loparex Germany Gmbh & Co. Kg Transferfolie zum Übertragen von Beschichtungsmaterialien auf Bautei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70497A (ja) * 2001-06-15 2002-12-24 Daicel Chem Ind Ltd 転写シート
JP2004226772A (ja) * 2003-01-24 2004-08-12 Mitsubishi Plastics Ind Ltd 易破断性記録材および易破断性積層体とその形成方法
JP2005173231A (ja) * 2003-12-11 2005-06-30 Canon Inc 電子写真用再転写材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774A (ja) * 1993-07-20 1995-02-03 Konica Corp 画像記録体および認証識別カード
US6139672A (en) * 1997-05-30 2000-10-3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transfer medium for ink-jet recording and image-transfer printing process
JP4270698B2 (ja) * 1999-12-24 2009-06-0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耐水蒸気性を有する転写シート
JP2002052807A (ja) * 2000-08-07 2002-02-19 Mitsubishi Plastics Ind Ltd インクジェット用記録材
JP4264484B2 (ja) * 2004-04-06 2009-05-20 フジコピアン株式会社 成形品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70497A (ja) * 2001-06-15 2002-12-24 Daicel Chem Ind Ltd 転写シート
JP2004226772A (ja) * 2003-01-24 2004-08-12 Mitsubishi Plastics Ind Ltd 易破断性記録材および易破断性積層体とその形成方法
JP2005173231A (ja) * 2003-12-11 2005-06-30 Canon Inc 電子写真用再転写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5523A3 (en) * 2016-11-02 2018-06-14 Entrust Datacard Corporation Active card cooling in a card processing machine
US11084279B2 (en) 2016-11-02 2021-08-10 Entrust Corporation Active card cooling in a card processing machine
US11858254B2 (en) 2016-11-02 2024-01-02 Entrust Corporation Active card cooling in a card process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63995A1 (ja) 2007-06-07
JPWO2007063995A1 (ja) 2009-05-07
CN101316717A (zh) 2008-12-03
KR20080073757A (ko) 2008-08-11
US20090242114A1 (en) 2009-10-01
CN101316717B (zh) 2011-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9307B1 (ko) 기록 재료 및 인쇄물의 제조 방법
WO2006035805A1 (ja) 保護層熱転写フィルムおよび印画物
WO2006118255A1 (ja) 熱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それを用いたicカードまたはicタグの製造方法、及びicカードまたはicタグ
JP3925736B2 (ja) Icカードまたはicタグ用熱接着性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それを用いたicカードまたはicタグの製造方法、及びicカードまたはicタグ
JP3925735B2 (ja) Icカードまたはicタグ、及びその製造方法
JP4657868B2 (ja) 保護層熱転写フィルムおよび印画物
JP4370896B2 (ja) 画像保護用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記録物の製造方法
JP2008188864A (ja) 中間転写記録媒体、及び画像形成方法
JP3968667B2 (ja) Icカードまたはicタグ用熱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WO2006035774A1 (ja) 保護層熱転写フィルムおよび印画物
JP4489679B2 (ja) 保護層熱転写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物
JP6614392B1 (ja) 熱転写シート、離型層用塗工液、及び熱転写シートの製造方法
JPWO2007007547A1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材料およびそれを用いたディスプレー材料
JP4700463B2 (ja) 保護層熱転写フィルムおよび印画物
JP3790220B2 (ja) 熱転写型画像保護シート、保護層形成方法、ならびにその方法によって得られる記録物
JP5370516B2 (ja) 中間転写媒体
JP4978155B2 (ja) Icカードまたはicタグの製造方法
WO2004024459A1 (ja) 溶融熱転写記録用紙
JP4133189B2 (ja) 保護層転写媒体
JP6884011B2 (ja) 熱転写受像シート
JP2008087276A (ja) 表示材製作用キット
JP6716842B2 (ja) 熱転写受像シート及び熱転写受像用シート
JP2000017238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シート
JP2004216570A (ja) 記録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0006552A (ja) 記録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