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5608B1 - 재단기의 재단도 높이 조정 장치 - Google Patents

재단기의 재단도 높이 조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5608B1
KR101005608B1 KR1020080134619A KR20080134619A KR101005608B1 KR 101005608 B1 KR101005608 B1 KR 101005608B1 KR 1020080134619 A KR1020080134619 A KR 1020080134619A KR 20080134619 A KR20080134619 A KR 20080134619A KR 101005608 B1 KR101005608 B1 KR 101005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sheath
rod
cutting machine
rod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4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6530A (ko
Inventor
윤옥근
Original Assignee
대중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중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중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4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5608B1/ko
Publication of KR20100076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6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5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5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26D7/2628Mean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26D7/2614Means for mounting the cutting memb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ut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단기의 재단도 높이 조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대량의 종이 원단(120)을 소정의 규격으로 절단하는 재단기의 본체부(M) 좌, 우측에 구성된 기어박스부(70)와 연결된 엑추에이터부(A)의 동작을 통하여 중량의 칼집(10)을 편리하게 상, 하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재단기의 재단도 높이 조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재단도의 고정결착이 이루어지는 칼집(10) 양측으로 상기 칼집(10)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로드스크류(30)의 수나사와 로드하우징(40)의 내경으로 구성된 암나사가 상호 맞물려 감속모터부(80)에 의해 상기 로드하우징(40)의 회전이 이루어져 상기 로드스크류(30)의 상, 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칼집(10) 높이의 자유로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또한 원단(120)의 재단 시 재단도가 무디어지거나 허용범위를 넘어서는 과부하의 발생 시 이를 감지하도록 과부하센서부(180)를 구성해두어, 종래의 재단기에 구성되어 있는 칼집로드축의 주물핸들을 작업자가 직접 돌려 중량물의 칼집(10) 높이를 조정해야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또한 작업자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빌미를 제거함으로써 생산성의 향상과 더불어 기업의 경쟁력을 키우는데 역량을 발휘할 수 있고, 또한 과부하에 따른 기계구성요소들의 손상 없이 안정적인 운전이 가능하도록 발명된 재단기의 재단도 높이 조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재단기, 칼집, 재단도

Description

재단기의 재단도 높이 조정 장치{Cutter height adjustment system}
본 발명은 재단기의 재단도 높이 조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대량의 종이 원단을 소정의 규격으로 절단하는 재단기의 본체부 좌, 우측에 구성된 기어박스부와 연결된 엑추에이터부의 동작을 통하여 중량의 칼집을 편리하게 상, 하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재단기의 재단도 높이 조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재단기의 작동을 살펴보면, 재단기의 본체부에 구성된 테이블에 절단할 원단을 올려놓은 후 재단동작을 실시하면 재단기의 본체 내부에 구성된 유압 실린더의 작동으로 피스톤이 시소 작용을 하는 풀다운 링크의 일측을 위로 올리게 되고 타측이 내려가 상기 링크와 연결되어 있는 승강이 하강하여 재단물을 눌러 잡아주게 된다. 그 후 재단기 본체부의 동력부로부터 작동이 이루어지는 기어박스부의 샤프트와 연결된 크랭크의 회전으로 상기 크랭크와 연결 결착된 재단도를 지지하는 칼집이 아래로 내려와 원단의 절단이 이루어지고 다시 초기 대기상태로 복귀하여 재단이 완성된다.
대량의 원단을 소정의 규격으로 자르는 재단기의 재단도는 원단의 두께 및 재질에 따라 재단도의 기울기를 조정하고 또, 재단도를 교체하여 사용하게 되며 재단도의 교체 작업 시 재단도의 폭에 따라 재단도의 높이를 설정하게 되는데, 종래의 재단기에 구성된 크랭크와 칼집을 연결하는 구성요소들을 살펴보면, 칼집과 연결결착을 위해 암나사를 포함하여 구성된 칼집로드와 상기 칼집의 상하 움직임을 구성하기 위해 수나사를 포함하는 칼집로드축과 상기 칼집로드축를 회전시키기 위한 주물핸들 및 크랭크와 연결되는 조인트 등으로 구성되어 칼집의 상, 하 조절을 위해 사용자가 직접 상기 주물핸들을 돌려 칼집의 위치를 조정하고 있는바, 중량의 칼집을 조정하기란 여간 힘든 일이 아닐 수 없고, 또한 날카로운 재단도가 근접하게 위치하여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재단기의 작동 시 재단도가 무디어지거나 또는 재단물의 고강도로 인하여 시스템의 과부하가 발생할 경우 상기 동력부와 기어박스 등의 파손을 방지하기위해 상기 칼집로드축과 크랭크에 연결된 각각의 조인트를 시어볼트(shear bolt)로 결착 구성하여 시스템의 과부하의 발생 시 상기 시어볼트(shear bolt)가 파손되어 상기 조인트간의 탈착이 이루어져 시스템을 정지 시키도록 구성되어져 이를 복원시키기 위해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또한 시스템복원을 위해 전문인이 필요로 하게 되어 비효율적인 운영의 문제가 제기된다.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일소키 위해, 재단도(20)의 고정결착이 이루어지는 칼집(10) 양측으로 상기 칼집(10)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로드스크류(30)의 수나사와 로드하우징(40)의 내경으로 구성된 암나사가 상호 맞물려 감속모터부(80)에 의해 상기 로드하우징(40)의 회전이 이루어져 상기 로드스크류(30)의 상, 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칼집(10) 높이의 자유로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종래의 재단기에 구성되어있는 칼집로드축의 주물핸들을 작업자가 직접 돌려 중량물의 칼집(10) 높이를 조정해야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또한 날카로운 재단도(20)가 근접하게 위치하여 작업자의 조작의 미숙에 따라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원단(120)의 재단 시 재단도(20)가 무디어지거나 허용범위를 넘어서는 과부하의 발생 시 이를 감지하기 위한 접시스프링부(150)부와 과부하센서부(180)를 구성해두어, 시스템의 과부하 발생 시 이를 검출하여 즉시 시스템을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동력부(미도시)와 기어박스부(70) 등의 기계구성요소들이 손상 없이 안정적으로 운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시스템 복원 또한 접시스프링부(150)부의 탄성으로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과부하에 따른 기계고장으로 인한 시간낭비 및 복원절차를 획기적으로 줄여 생산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재단기의 재단도 높이 조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발명되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체부(M)에 구성된 기어박스부(70)와 크랭크(60)의 구동에 따라 재단도가 작동되는 재단기의 재단도 높이 조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재단도의 고정 결착이 이루어지는 칼집의 양측으로 고정핀(30A)에 의해 일측이 고정되어 지지하며 타측 일단으로 로드하우징(40)에 삽입되어 상, 하 이동되는 로드스크류(30)와, 상기 로드스크류(30)와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로드스크류(30)의 높낮이의 조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로드하우징(40)과, 상기 로드하우징(40)의 일측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하부로 본체부(M)에 구성된 크랭크(60)와 연결되어 구성되는 칼집조인트(50)와, 상기 로드하우징(40)을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칼집조인트(50)의 정면부로 감속모터부(80)가 구성되어 상기 감속모터부(8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칼집의 상하조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엑추에이터부(A)가 구비된 재단기의 재단도 높이 조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로드스크류와 로드하우징(40)은 각각 수나사와 암나사가 구성되어 상기 로드하우징(40)의 회전으로 상기 칼집에 고정된 로드스크류의 상하이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로드하우징(40)의 중앙부로 웜기어(100)를 구성하고, 상기 칼집조인트(50)의 상부 일측으로 감속모터부(80)와 연결 결착된 웜(100A)을 구성하여 상기 감속모터부(80)의 회전에 따라 웜기어(100)를 회전시켜 로드하우징(40)의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로드하우징(4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로드하우징(40)의 일측과 상기 칼집조인트(50)의 내부에 위치한 공간을 통하여 조립된 트러스트베어링(140)과 접시스프링부(150)과 로크너트(170)가 구성되고, 상기 칼집조인트(50)의 측면부로 상기 칼집조인트(50)의 상부에 돌출되는 로드하우징(40)의 단부(200)와 검출로드가 걸치도록 고정 결착된 과부하센서부(180)가 구성되어 재단기의 과부하 시 상기 접시스프링부(150)가 압축되어 상기 칼집조인트(50)의 상부로 밀려나온 단부(200)의 높이 검출하여 시스템을 정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로드하우징(40)에 구성된 웜기어(100)의 기어산의 일측으로 카운터센서부(190)가 구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재단기의 칼집(10)에 결착된 재단도(20)의 교환, 또는 재단도(20)의 기울기 설정 시 상기 칼집(10)을 지지하는 로드스크류(30)의 수나사와 로드하우징(40)의 내경으로 구성된 암나사가 상호 맞물려 감속모터부(80)에 의해 상기 로드하우징(40)의 회전이 이루어져 상기 로드스크류(30)를 상, 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종래의 작업자가 칼집로드축의 주물핸들을 직접 돌려 칼집(10)의 상, 하 높이를 조정해야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날카롭고 육중한 재단도(20)가 근접하게 위치하여 작업자의 조작의 미숙에 따라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원단(120)의 재단 시 재단도(20)가 무디어지거나, 허용범위를 넘어서 는 과부하의 발생 시 이를 감지하기 위한 접시스프링부(150)와 과부하센서부(180)를 통하여 과부하의 검출즉시 시스템을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동력부와 기어박스부(70) 등의 기계구성요소들이 손상 없이 안정적으로 운전이 가능하고, 정지된 시스템 복원은 시스템 복원 전문가의 호출 없이 엑추에이터부(A)에 구성된 접시스프링부(150)부의 탄성으로 간편하게 복원되도록 구성되어 시스템 과부하에 따른 기계고장으로 인한 가동시간낭비 및 복잡한 복원절차를 획기적으로 줄여 생산효율을 극대화함으로써, 생산성의 향상과 더불어 기업의 경쟁력을 키우는데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그 효과가 큰 발명이라 하겠다.
본 발명은 재단기의 재단도 높이 조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대량의 종이 원단(120)을 소정의 규격으로 절단하는 재단기의 본체부(M) 좌, 우측에 구성된 기어박스부(70)와 연결된 엑추에이터부(A)의 동작을 통하여 중량의 칼집(10)을 편리하게 상, 하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재단기의 재단도 높이 조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재단도의 고정결착이 이루어지는 칼집(10) 양측으로 상기 칼집(10)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로드스크류(30)의 수나사와 로드하우징(40)의 내경으로 구성된 암나사가 상호 맞물려 감속모터부(80)에 의해 상기 로드하우징(40)의 회전이 이루어져 상기 로드스크류(30)의 상, 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칼집(10) 높이의 자유로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또한 원단(120)의 재단 시 재단도가 무디어지거나 허용범위를 넘어서는 과부하의 발생 시 이를 감지하도록 과부하센서부(180)를 구성해두어, 종래의 재단기에 구성되어 있는 칼집로드축의 주물핸들을 작업자가 직접 돌려 중량물의 칼집(10) 높이를 조정해야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또한 작업자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빌미를 제거함으로써 생산성의 향상과 더불어 기업의 경쟁력을 키우는데 역량을 발휘할 수 있고, 또한 과부하에 따른 기계구성요소들의 손상 없이 안정적인 운전이 가능하도록 발명된 재단기의 재단도 높이 조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단기의 재단도 높이 조정 장치가 구성된 재단기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재단기의 재단도 높이 조정 장치가 구성된 재단기의 재단 동작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재단기의 재단도 높이 조정 장치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재단기의 재단도 높이 조정 장치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재단기의 재단도 높이 조정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재단기의 재단도 높이 조정 장치에 구성된 과부하센서부의 바람직한 작동의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재단기의 재단도 높이 조정 장치에 구성된 카운터센 서부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로써,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2, 3, 4, 5, 6, 7에 도시된 바를 토대로 본 발명에 따른 재단기의 재단도 높이 조정 장치에 대해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본 발명인 재단기의 재단도 높이 조정 장치가 구비된 재단기를 살펴보면, 원단(120)의 재단을 소정의 규격으로 재단하는 재단도(20)와, 상기 재단도(20)를 지지하고 재단각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칼집(10)과, 상기 칼집(10) 양측 면으로 칼집(10)에 결착된 재단도(20)의 교환을 위해 상기 칼집(10)의 상, 하 이동과 세팅을 위한 미세조정 및 재단기 내부에 구성된 동력부(미도시)를 통해 기어박스부(70)로 전달된 힘을 상기 칼집(10)으로 전달하기 위한 엑추에이터부(A)와 재단기의 정면부로 원단(120)이 안착되어 재단도(20)에 의해 원단(120)의 재단이 이루어지는 테이블(130)로 대분 구성된다.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단기의 재단도 높이 조정 장치가 구비된 재단기는 상기 재단기 본체부(M) 내부로 원단(120)의 재단 시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구성되는 동력부(미도시)와 상기 동력부와 연결되어 원단(120)의 재단 시 충분한 재단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기어박스부(70)가 구성된다.
상기 기어박스부(70)는 감속기가 구성되어 상기 동력부의 동력을 큰 토크를 가지도록 변환하여 원단(120)의 재단 시 1사이클에 절단이 완료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기어박스부(70)의 감속기와 연장된 샤프트로 크랭크(60)가 결착 구성된다.
상기 크랭크(60)는 상기 기어박스부(70)부에 구성된 감속기와 연결된 샤프트의 회전운동을 상, 하 직선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해 구성되고, 본체부(M) 양 측면에 구성된 각각의 기어박스부(70)부와 크랭크(60)는 서로 같은 방향으로 동일하게 회전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크랭크(60)에 연결 구성된 칼집(10)의 상, 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한편, 원단(120)을 재단하기 위해 본체부(M) 정면부에 구성된 테이블(130)의 상부로 원단(120)을 안착시킨 후 재단기의 작동이 이루어지는데, 원단(120)의 직접적인 절단이 이루어지는 재단도(20)는 재단도(20)의 마모와 파손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해 원단(120)의 재질 및 강도에 따라 올바른 재단도(20)로 교환하고 또 재단도(20)의 재단각을 설정하여 재단이 이루어지도록 칼집(10)에 결착되어 구성한다.
상기 칼집(10)은 하부면으로 다수의 체결홈이 구성되어 상기 재단도(20)와 체결도구를 통하여 결착이 이루어져 상기 재단도(20)를 고정 지지하고, 양 측면부로 상기 크랭크(60)와 후술되는 엑추에이터부(A)를 통하여 연결이 되어 크랭크(6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칼집(10)이 상, 하 이동되어 본체부(M)의 테이블(130)에 안착된 원단(120)을 절단하여 재단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도 3과 도 4는 엑추에이터부(A)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을 나타낸 것으로, 상 기 본체부(M)에 구성된 크랭크(60)와 상기 칼집(10)은 상기 엑추에이터부(A)를 통하여 연결 결착되어진다.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크랭크(60)에 크랭크샤프트(60A)와 연결 구성된 칼집조인트(50)는 중앙부에 후술되는 구성요소들이 결합되어 위치하도록 공간이 위치하고 상부로 로드하우징(40)이 삽입되어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관통홀이 구성되며, 상부면의 일측으로 웜(100A)의 고정결착이 이루어지도록 웜브라켓(110A)이 구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칼집조인트(50)의 상부 일측에 결착된 웜(100A)을 회전시키기 위해 감속모터부(80)가 구성되며, 상기 감속모터부(80)는 감속모터 브라켓(90)을 통해 상기 칼집조인트(50)의 정면부에 결착되되, 상기 감속모터부(80)에 내장된 감속기어의 축을 상기 웜(100A)에 연결 결착하여 감속모터부(80)의 회전에 따라 웜(100A)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감속모터부(80)는 상기 웜(100A)과 맞물려 회전하는 로드하우징(40)의 중앙부에 구성된 웜기어(100)를 회전시켜 상기 웜기어(100)가 구성된 로드하우징(40)을 회전시키기 위해 구성되며, 작은 출력의 모터를 이용하여 큰 토크를 내기위해 감속기가 구성된 감속모터부(80)를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로드하우징(40)은 원형 샤프트의 일측으로 외경나사가 구성되고, 타측으로 내경나사를 구성하며 중앙부에 상기 웜(100A)과 맞물려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웜기어(100)가 구성되고, 웜기어(100)의 하부로 단부(200)를 형성한다.
상기 로드하우징(40)은 외경나사가 구성된 일측을 시작으로 칼집조인트(50) 의 관통홀에 삽입되어 구성되는데, 레이디얼베어링(140A)을 로드하우징(40)의 외경에 삽입하여 칼집조인트(50)의 관통홀에 고정 삽입구성하여 상기 로드하우징(40)의 회전 시 원활한 회전과 마찰력의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해 구성된다.
한편, 상기 칼집조인트(50)의 관통홀에 삽입된 로드하우징(40)은 상기 웜(100A)과 로드하우징(40) 중앙부에 구성된 웜기어(100)가 맞물리게 위치하게 되고, 삽입된 로드하우징(40)의 외경나사가 구성된 일측은 상기 칼집조인트(50)의 중앙부에 위치한 공간으로 돌출되어 상기 트러스트베어링(140)과 접시스프링부(150) 및 칼라(160)를 수용하고, 상기 로드하우징(40)의 외경나사와 로크너트(170)를 통하여 고정 결착된다.
상기 트러스트베어링(140)은 삽입된 상기 로드하우징(40)부의 외경나사와 로크너트(170)에 의해 안착된 접시스프링부(150)가 조여지게 되는데 상기 접시스프링부의 탄성에 의해 상기 접시스프링부(150)와 상기 칼집조인트간(50)의 압축력이 발생하므로, 상기 로드하우징(40)부의 회전 시 상기 칼집조인트(50)와 접시스프링부(150)간의 마찰을 줄이고 부드러운 회전을 위해 삽입되며, 상기 칼라(160)는 접시스프링부(150)을 효과적으로 고정하기위해 구성한다.
또한, 상기 칼집(10) 양측으로 고정핀(30A)에 의해 고정되고, 샤프트의 전반적으로 수나사가 구성된 로드스크류(30)가 구성된다. 상기 로드스크류(30)는 상기 로드하우징(40)의 암나사와 같은 크기와 피치를 가지도록 구성하여 일측으로 상기 로드하우징(40)에 조립되어 삽입 구성되고, 타측으로 상기 칼집(10)에 조립되어 삽입되되, 상기 로드스크류(30)의 중심축과 직각으로 관통되고, 상기 칼집(10)과 칼 집(10)을 지지하는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고정핀(30A)으로 고정이 이루어져 상기 칼집의 상, 하 조정 시 상기 고정핀(30A)을 중심으로 여유각을 가지며 회전되도록 구성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칼집조인트(50)에 결착된 감속모터부(80)와 웜(100A)의 회전에 따라 웜(100A)과 맞물려 회전하는 웜기어(100)가 구성된 로드하우징(40)이 회전되며, 상기 로드하우징(40)의 내경에 구성된 암나사와 맞물려 결착된 로드스크류(30)의 수나사부를 통하여 상기 로드하우징(4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로드스크류(30)를 상, 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되, 상기 고정핀(30A)에 의해 상기 로드스크류(30)가 고정되어 상기 로드하우징(4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로드스크류(30)가 같이 회전되지 않고 상, 하 이동만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로드스크류(30)에 고정 결착된 칼집(10)의 높이 조정이 이루어지게 구성된다.
또한, 본체부(M) 양측에 구성된 상기 엑추에이터부(A)를 통하여 양측의 높낮이 조정이 각각 이루어져 상기 칼집(10)에 결착된 재단도(20)의 재단각 설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원단(120)의 재질, 강도에 따라 올바른 재단각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재단도(20)의 교환을 위해 작업자가 칼집로드축의 주물핸들을 직접 돌려 칼집(10)의 상, 하 높이를 조정해야하는 불편함을 해소되며, 이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다.
도 6은 과부하센서부(180)의 작동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써, 상기 엑추에이터부(A)의 구성요소들의 조립이 이루어지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칼집 조인트(50)의 상부로 상기 로드하우징(40)에 구성된 단부(200)가 돌출되는데, 상기 단부(200)의 모서리부위에 리미트스위치 등으로 구성되는 과부하센서부(180)의 검출로드가 상기 단부(200)에 걸치도록 하여 칼집조인트(50)에 고정결착 한다. 상기 과부하센서부(180)는 재단기의 재단 시 원단(120)이 질기거나 강도가 허용치 보다 강하여 시스템의 과부하가 발생하는데, 이를 검출하여 무리한 동작에 따른 재단기의 구성요소들의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칼집조인트(50)의 중앙부에 취부된 접시스프링부(150)은 단위체적당 축적에너지가 코일 스프링에 비하여 매우 크며, 작은 공간에서 짧은 스트로크로 큰 부하 능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칼집(10)에 허용 부하 이상의 과부하가 발생하면 상기 칼집(10)과 연결된 로드스크류(30)와 로드하우징(40)은 중력 반대방향으로 인장력을 받게 되는데, 허용인장력 이상의 인장력이 발생하면 상기 로드하우징(40)의 하단부와 칼집조인트(50)의 중앙부에 취부된 접시스프링부(150)이 압축되어 상기 로드하우징(40)에 구성된 단부(200)가 상부로 돌출되게 되고, 돌출되는 높이의 변화를 상기 과부하센서부(180)가 검출하여 무리한 작동에 따른 기어박스부(70) 및 시스템의 손상이 발생하기 전에 시스템을 멈추도록 구성된다.
또한, 정지된 시스템은 발생한 과부하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접시스프링부(150)의 탄성에 의해 과부하를 받기 전 상태로 간편하게 복원되어, 정지된 시스템의 복원에 따른 가동시간낭비 및 복잡한 복원절차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접시스프링부(150)은 압축력 또는 탄성력에 따라 다수를 겹쳐 사용하여 완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구성을 이룬다.
한편, 재단기의 재단 작업 시 상기 재단도(20)의 마모를 최대한 억제하기 위해 재단도(20)의 미세조정을 실시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드하우징(40)에 구성된 웜기어(100)의 기어산과 수평을 이루도록 카운터센서부(190)를 구성하고 상기 칼집조인트(50)와 연결 결착된 카운터센서브라켓(190A)를 구성하여 고정 결착한다.
상기 카운터센서부(190)는 근접센서 등으로 구성되어 상기 웜(100A)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웜기어(100)의 기어산을 셀 수 있도록 구성되어 최소 1치절씩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감속모터부(80)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엑추에이터부(A)에 고정되어 상, 하 이동되는 칼집(10)의 높이를 미세하게 조정하여 재단각의 설정을 이루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우선 종이 1장을 테이블(130)에 올려놓은 후 조작반을 통하여 여러 번의 미세조정을 거친 후 최소로 종이가 잘려질 때 미세조정이 완료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단기의 재단도 높이 조정 장치가 구성된 재단기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재단기의 재단도 높이 조정 장치가 구성된 재단기의 재단 동작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재단기의 재단도 높이 조정 장치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재단기의 재단도 높이 조정 장치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재단기의 재단도 높이 조정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재단기의 재단도 높이 조정 장치에 구성된 과부하센서부의 바람직한 작동의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재단기의 재단도 높이 조정 장치에 구성된 카운터센서부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주요부호의 설명 ■
10 : 칼집 20 : 재단도
30 : 로드스크류 30A : 고정핀
40 : 로드하우징 50 : 칼집조인트
60 : 크랭크 60A : 크랭크샤프트
70 : 기어박스부 80 : 감속모터부
90 : 감속모터브라켓 100 : 웜기어
100A : 웜 110A : 웜브라켓
120 : 원단 130 : 테이블
140 : 트러스트베어링 140A : 레이디얼베어링
150 : 접시스프링 160 : 칼라
170 : 로크너트 180 : 과부하센서부
190 : 카운터센서부 190A : 카운터센서브라켓
200 : 단부 M : 본체부
A : 엑추에이터부

Claims (5)

  1. 본체부(M)에 구성된 기어박스부(70)와 크랭크(60)의 구동에 따라 재단도가 작동되는 재단기의 재단도 높이 조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재단도의 고정 결착이 이루어지는 칼집의 양측으로 고정되어 지지하며 타측 일단으로 로드하우징(40)에 삽입되어 상, 하 이동되는 로드스크류(30)와,
    상기 로드스크류(30)와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로드스크류(30)의 높낮이의 조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로드하우징(40)과,
    상기 로드하우징(40)의 일측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하부로 본체부(M)에 구성된 크랭크(60)와 연결되어 구성되는 칼집조인트(50)와,
    상기 로드하우징(40)을 회전시키는 감속모터부(80)가 구성되어 상기 감속모터부(8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칼집의 상하조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엑추에이터부(A)가 구비된 재단기의 재단도 높이 조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스크류와 로드하우징(40)은 각각 수나사와 암나사가 구성되어 상기 로드하우징(40)의 회전으로 상기 칼집에 고정된 로드스크류의 상하이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단기의 재단도 높이 조정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하우징(40)의 중앙부로 웜기어(100)를 구성하고,
    상기 칼집조인트(50)의 상부 일측으로 감속모터부(80)와 연결 결착된 웜(100A)을 구성하여 상기 감속모터부(80)의 회전에 따라 웜기어(100)를 회전시켜 로드하우징(40)의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단기의 재단도 높이 조정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하우징(4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로드하우징(40)의 일측과 상기 칼집조인트(50)의 내부에 위치한 공간을 통하여 조립된 트러스트베어링(140)과 접시스프링부(150)과 로크너트(170)가 구성되고,
    상기 칼집조인트(50)의 측면부로 상기 칼집조인트(50)의 상부에 돌출되는 로드하우징(40)의 단부(200)와 검출로드가 걸치도록 고정 결착된 과부하센서부(180)가 구성되어 재단기의 과부하 시 상기 접시스프링부(150)가 압축되어 상기 칼집조인트(50)의 상부로 밀려나온 단부(200)의 높이 검출하여 시스템을 정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단기의 재단도 높이 조정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하우징(40)에 구성된 웜기어(100)의 기어산의 일측으로 카운터센서부(19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단기의 재단도 높이 조정 장치
KR1020080134619A 2008-12-26 2008-12-26 재단기의 재단도 높이 조정 장치 KR101005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4619A KR101005608B1 (ko) 2008-12-26 2008-12-26 재단기의 재단도 높이 조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4619A KR101005608B1 (ko) 2008-12-26 2008-12-26 재단기의 재단도 높이 조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6530A KR20100076530A (ko) 2010-07-06
KR101005608B1 true KR101005608B1 (ko) 2011-01-05

Family

ID=42638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4619A KR101005608B1 (ko) 2008-12-26 2008-12-26 재단기의 재단도 높이 조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56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7419B1 (ko) 2017-05-08 2017-07-13 대중기계 주식회사 제동력을 상승시킨 재단도 높이조정장치
KR20200097052A (ko) * 2019-02-07 2020-08-18 이창훈 필터절곡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82183B (zh) * 2018-04-27 2020-04-17 阜阳市多爱食品有限公司 一种可调节长度的食品加工用剪切装置
CN109514644A (zh) * 2018-12-12 2019-03-26 南京吉隆光纤通信股份有限公司 一种光纤切割刀安装架
CN110834691B (zh) * 2019-12-10 2021-11-23 王盈盈 一种可调式防卡死的报废汽车拆解机
CN110834690B (zh) * 2019-12-10 2021-11-23 王盈盈 一种施压型报废汽车拆卸装置
CN111037636A (zh) * 2019-12-27 2020-04-21 湖南鼎一致远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切刀减速方法及装置
JP2024507021A (ja) 2022-01-28 2024-02-16 寧徳時代新能源科技股▲分▼有限公司 固定刃監視構造及び切断装置
CN216831340U (zh) * 2022-01-28 2022-06-28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定刀监测结构及裁切装置
CN114872089A (zh) * 2022-04-11 2022-08-09 苏州旅游与财经高等职业技术学校 一种用于烹调的面皮切断机构及其使用方法
CN116988299B (zh) * 2023-09-27 2023-12-01 亚洲箱包(丹阳)有限公司 一种可降解箱包生产用面料精确自动裁切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4480A (ja) * 1994-07-04 1996-07-09 Albert Heijn Bv チーズ、野菜、ソーセージなどの製品を薄片に切断するための装置
KR20010009596A (ko) * 1999-07-12 2001-02-05 마이클 디. 오브라이언 인쇄회로기판
KR20030074623A (ko) * 2000-11-21 2003-09-19 스켈레톤 테크놀로지스 에이지 열전도성 재료
KR20040034094A (ko) * 2002-10-21 2004-04-28 주식회사 포스코 전단기의 강판 스트립 유도장치
KR200374623Y1 (ko) 2004-10-28 2005-01-29 이창훈 필터지 절곡기용 절곡 높이 조절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4480A (ja) * 1994-07-04 1996-07-09 Albert Heijn Bv チーズ、野菜、ソーセージなどの製品を薄片に切断するための装置
KR20010009596A (ko) * 1999-07-12 2001-02-05 마이클 디. 오브라이언 인쇄회로기판
KR20030074623A (ko) * 2000-11-21 2003-09-19 스켈레톤 테크놀로지스 에이지 열전도성 재료
KR20040034094A (ko) * 2002-10-21 2004-04-28 주식회사 포스코 전단기의 강판 스트립 유도장치
KR200374623Y1 (ko) 2004-10-28 2005-01-29 이창훈 필터지 절곡기용 절곡 높이 조절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7419B1 (ko) 2017-05-08 2017-07-13 대중기계 주식회사 제동력을 상승시킨 재단도 높이조정장치
KR20200097052A (ko) * 2019-02-07 2020-08-18 이창훈 필터절곡장치
KR102215464B1 (ko) 2019-02-07 2021-02-10 이창훈 필터절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6530A (ko) 2010-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5608B1 (ko) 재단기의 재단도 높이 조정 장치
JP3186426U (ja) プレス機械
CN100499318C (zh) 一种可调家具的驱动装置
KR101196876B1 (ko)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회전 제어장치
CN211361285U (zh) 一种自动化螺栓组装机用定位装置
JP2013000732A (ja) ジョークラッシャ
CN201934611U (zh) 具有过载保护功能的齿轮传动结构
KR100890156B1 (ko) 잭서포트 정리기
KR101757419B1 (ko) 제동력을 상승시킨 재단도 높이조정장치
CN211439085U (zh) 一种用于机械零部件加工的固定装置
CN109980839A (zh) 一种电机转轴保护装置
CN112388570B (zh) 一种断路器操作机构弹簧拆装方法及系统
CN112431916A (zh) 一种高速精密齿轮动力传递装置及其传递方法
CN100525972C (zh) 可调式板簧联轴器用青铜片剪切装置
JP2017196545A (ja) 竪型ローラミル
CN210978411U (zh) 一种切梗丝机及其切梗丝机过渡传动链条张紧机构
CN218534260U (zh) 一种家具生产用夹持装置
CN203066899U (zh) 钢丝绳松紧限位装置
CN216463168U (zh) 一种双联叉机加工用多角度定位装置
CN218134671U (zh) 一种用于剪切弹簧的剪切设备
CN217142965U (zh) 一种用于控制器生产的预压装置
CN215919211U (zh) 一种铝板加工用切割装置
CN218927066U (zh) 一种y轴抱闸系统
CN210099540U (zh) 一种压板压紧定位装置
CN218253084U (zh) 铣刀定位套环的位置调节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