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6876B1 -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회전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회전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6876B1
KR101196876B1 KR1020120012910A KR20120012910A KR101196876B1 KR 101196876 B1 KR101196876 B1 KR 101196876B1 KR 1020120012910 A KR1020120012910 A KR 1020120012910A KR 20120012910 A KR20120012910 A KR 20120012910A KR 101196876 B1 KR101196876 B1 KR 101196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iction
support shaft
attachment
rotation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2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케이
Priority to KR1020120012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68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6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6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77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allowing movement, e.g. rotation or translation, of the tool around or along another axis as the movement implied by the boom or arms, e.g. for tilting bu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2Drives for dippers, buckets, dipper-arms or bucket-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5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of metal-cutting or concrete-crushing imp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회전방식의 구조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반자동회전방식을 구현함으로써, 어태치먼트의 구조의 변경을 방지하면서 자동회전방식과 반자동회전방식을 서로 호환할 수 있도록 하는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회전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부바디에 구비되는 회전부재, 이 회전부재와 연결되도록 상부바디에 구비되는 연결부, 이 연결부가 회전부재의 회전에 대하여 저항력을 가지도록 연결부의 작동을 저지하는 저항력 발생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회전 제어장치{APPARATUS SUPPORTING ROTATION OF ATTACHMENT FOR EXCAVATOR}
본 발명은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회전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회전방식의 구조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반자동회전방식을 구현함으로써, 어태치먼트의 구조의 변경을 방지하면서 자동회전방식과 반자동회전방식을 서로 호환할 수 있도록 하는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회전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경시설이나 석축공사시 암석이나 목재 등을 운반하거나 일정한 형태로 배열 또는 적층하고자 할 때, 암석이나 목재의 무게로 인하여 굴삭기와 같은 건설 중장비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건설 중장비 중 굴삭기는 암에 연결되는 어태치먼트 예를 들어 버킷, 브레이커, 크러셔, 집게 등을 연결하여 굴삭 작업 이외에 다른 여러 가지 작업을 다양하게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굴삭기용 어태치먼트 중 집게나 크러셔 등은 사용상의 편의를 위하여 작동을 위한 구동원으로 굴삭기의 유압을 이용하며, 작업물의 위치에 따라 그 일부가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된다.
특히 집게는 사용상의 편의를 위하여 파지부인 집게발이 쌍을 이루도록 설치되고, 중량물의 파지 방향에 따라 집게발을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가 보편화되고 있다. 그래서, 최근에 생산되는 집게는 회전식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회전을 구현하는 방식에 따라 유압모터를 이용한 자동회전방식과 외부의 충격을 이용한 반자동 방식으로 구분된다.
이때, 유압모터를 이용한 자동회전방식의 집게는 그 회전을 위하여 선회 베어링(Slewing Ring Bearing)이 구비되고 이 선회 베어링을 유압모터로 회전하게 된다.
반자동 방식의 집게는 상판과 회전바디를 너트 및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한 후 집게를 다른 구조물에 충돌하여 충격을 가함으로써 집게를 회전하게 된다.
한편, 공급자는 어태치먼트를 구매하는 구매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자동회전방식과 반자동회전방식을 모두 생산하여 재고를 확보하고 있어야 한다.
한편, 이와 같은 종래의 굴삭기용 크러셔로는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4945호,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6739호,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519907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어태치먼트 회전 연결구조는 자동회전방식 또는 반자동방식에 따라 상부바디와 하부바디를 연결하는 회전 지지장치의 구성이 전혀 상이하여 자동회전방식과 반자동회전방식의 회전 지지장치를 서로 호환할 수 없어 구동방식에 따라 회전 지지장치를 각각 제작하여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어태치먼트 회전 연결구조는 반자동회전방식을 채택할 경우 상부바디와 하부바디를 연결하기 위해서 중량체이며 직경이 큰 센터 조인트를 사용하게 되므로, 센터 조인트의 파손시 이를 분해 조립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자동회전방식의 구조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반자동회전방식을 구현함으로써, 어태치먼트의 구조의 변경을 방지하면서 자동회전방식과 반자동회전방식을 서로 호환할 수 있도록 하는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회전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어태치먼트의 자동회전방식 및 반자동회전방식의 회전 지지장치를 하나의 구조로 구현할 수 있으므로, 그 구조가 다른 자동회전방식 및 반자동회전방식의 회전 지지장치를 각각 생산하는 것을 방지하여 재고물량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회전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바디의 회전을 지지하는 저항력 발생부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저항력 발생부의 파손시 유지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회전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바디의 회전을 구속하기 위한 저항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회전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센터 조인트를 통해 상부바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바디에 구비되는 회전부재, 회전부재와 연결되도록 상부바디에 마련되어 회전부재와 연동되는 연결부, 및 연결부와 연결되도록 상부바디 또는 연결부에 결합되며 연결부가 회전부재의 회전력에 대한 저항력을 가지도록 연결부의 작동을 저지하는 저항력 발생부를 포함하는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회전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부재에 연결부와 치합되도록 내면 또는 외면에 기어치가 형성되는 링 기어가 더 포함되고, 저항력 발생부가 마찰을 통해 연결부와 마찰력을 발생하는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회전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부재와 치합되도록 외면에 기어치가 형성되어 저항력 발생부와 결합되는 기어부재를 포함하는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회전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어부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상부바디에 고정되며, 저항력 발생부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재를 포함하는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회전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어부재를 회전부재와 조립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상부바디에 형성되는 설치홀부를 포함하는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회전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바디 또는 연결부에 고정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부가 연결부에 결합되는 지지축 부재 및 이 지지축 부재와 접촉하도록 하우징에 마련되며 지지축 부재와의 마찰을 통해 지지축 부재와 마찰력을 발생하는 마찰력 발생부로 이루어진 저항력 발생부를 포함하는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회전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축 부재와 접촉되어 마찰력을 발생하는 마찰 부재와, 이 마찰 부재와 지지축 부재가 밀착되도록 마찰 부재를 지지축 부재로 밀착하는 가압 조절부재로 이루어진 마찰력 발생부를 포함하는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회전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마찰 부재가 상기 지지축 부재의 외면에 접촉되고, 가압 조절부재가 마찰 부재를 지지축 부재의 직경방향 또는 축방향으로 가압하는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회전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마찰 부재가 지지축 부재의 외주면에 접촉되고, 가압 조절부재가 마찰 부재를 감싸도록 분할 형성되는 한 쌍의 커버부재와, 커버부재가 마찰 부재에 밀착되도록 커버부재에 구비되는 조임부재를 포함하는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회전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마찰 부재가 상기 지지축 부재의 상면에 접촉되고, 가압 조절부재가 마찰 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회전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마찰 부재에 접촉되어 마찰 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와,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탄성부재를 마찰 부재측으로 압축하는 압축블록로 이루어진 탄성 지지부재을 포함하는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회전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회전방식의 구조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반자동회전방식을 구현함으로써, 어태치먼트의 구조의 변경을 방지하면서 자동회전방식과 반자동회전방식을 서로 호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어태치먼트의 자동회전방식 및 반자동회전방식의 회전 지지장치를 하나의 구조로 구현할 수 있으므로, 그 구조가 다른 자동회전방식 및 반자동회전방식의 회전 지지장치를 각각 생산하는 것을 방지하여 재고물량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부바디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지지부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회전지지부의 파손시 분해 및 조립 즉, 유지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 지지장치가 적용되는 굴삭기용 어태치먼트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회전 제어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저항력 발생부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평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회전 제어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저항력 발생부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저항력 발생부의 변형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회전 제어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회전 제어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굴삭기용 어태치먼트(10) 예를 들어 집게, 크러셔 등은 굴삭기의 암에 장착되며, 사용상의 편의를 위하여 회전을 통해 사용되는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굴삭기용 어태치먼트(10)는 굴삭기의 암에 장착되는 상부바디(20)와, 센터 조인트(30)를 통해 상부바디(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집게발이나 커터 등이 결합되는 하부바디(4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굴삭기용 어태치먼트(10)는 하부바디(40)가 센터 조인트(30)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상부바디(20)에서 회전한다.
또한, 굴삭기용 어태치먼트(10)는 하부바디(40)의 회전을 저지함과 동시에 하부바디(40)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특정 한계점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하부바디(40)가 회전하도록 하부바디(40)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 제어장치(100)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어태치먼트의 회전 제어장치(100)는 하부바디(40)에 구비되는 회전부재(110), 이 회전부재(110)와 연결되도록 상부바디에 구비되는 연결부(120), 이 연결부(120)가 회전부재(110)의 회전에 대하여 저항력을 가지도록 연결부(120)의 작동을 저지하는 저항력 발생부(130)를 포함한다.
이러한, 어태치먼트의 회전 제어장치(100)는 하부바디(40)에 힘을 가하여 하부바디(40)를 회전시키는 반자동회전방식을 사용하는 어태치먼트에 적용되며, 저항력 발생부(130)를 유압모터로 교체하면 굴삭기의 유압을 이용하여 하부바디(40)를 회전시키는 자동회전방식으로 용이하게 전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른 어태치먼트의 회전 제어장치(100)는 자동회전방식의 구조를 그대로 사용하여 어태치먼트의 회전방식을 반자동회전방식으로 구현하거나 또는 저항력 발생부(130)를 제거하고 그 자리에 유압모터를 장착하면 어태치먼트의 회전방식을 자동회전방식으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회전 제어장치(100)는 회전부재(110)가 안정되게 회전되도록 상부바디(20)에 회전부재(110)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21)가 구비된다. 이때, 회전부재(110)와 가이드부(21) 사이에는 볼 베어링이 마련되어 회전부재(11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회전부재(110)는 링 형태를 가지며, 연결부(120)와 연결되도록 내면에 기어치(111)가 형성된다. 이러한, 회전부재(110)는 하단부가 용접을 통해 하부바디(40)에 접합되고, 그 접합이 보다 견고하도록 볼트 및 너트를 통해 하부바디(40)에 결합된다.
또한, 회전부재(110)는 외면이 볼 베어링을 통해 상부바디(20)의 가이드부(2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회전부재(110)로는 링 기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연결부(120)는 회전부재(110)와 연결되도록 상부바디(20)에 마련되며, 회전부재(110)와 연동함은 물론 저항력 발생부(120)와의 접촉을 통해 회전부재(110)의 회전을 구속한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연결부(120)는 회전부재(10)와 치합되는 기어부재(121), 이 기어부재(121)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바디(20)에 결합되는 설치부재(123)를 포함한다. 또한, 연결부(120)는 설치부재(123)의 고정과 기어부재(121)의 분해 및 조립을 위한 설치홀부(125)를 더 포함한다.
기어부재(121)는 회전부재(110)의 기어치(111)와 치합되도록 외면에 기어치(121a)가 형성되고, 중앙부가 저항력 발생부(130)와 결합된다. 이러한, 기어부재(121)는 베어링을 통해 설치부재(12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저항력 발생부(130)의 분해 및 조립을 용이하게 하도록 중앙부에 결합홈부(121b)이 형성되고 결합홈부(121b)에 스플라인(Spline)이 형성된다.
설치부재(123)는 설치홀부(125)에 볼트나 나사를 통해 결합되며, 기어부재(121)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설치부재(123)는 저항력 발생부(130)가 볼트를 통해 결합된다. 이러한, 설치부재(123)는 기어부재(121)가 결합된 상태에서 설치홀부(125)에 설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설치부재(123)가 볼트를 통해 상부바디에 결합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용접방식을 통해 상부바디(20)에 고정될 수도 있다.
설치홀부(125)는 설치부재(123)가 안치되어 고정되며, 기어부재(121)의 원활한 분해 및 조립을 위하여 내경이 기어부재(121)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저항력 발생부(130)는 설치부재(123)에 고정되는 하우징(131), 기어부재(121)와 연결되도록 하우징(131)에 설치되는 지지축 부재(133), 이 지지축 부재(133)의 회전을 저지하도록 하우징(131)에 설치되는 마찰력 발생부(135)를 포함한다.
하우징(131)은 볼트를 통해 설치부재(123)에 고정되며, 내부에 지지축 부재(133) 및 마찰력 발생부(135)가 설치된다. 이러한, 하우징(131)은 지지축 부재(133)의 상단부가 베어링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지지축 부재(133)는 상단부 및 하단부가 베어링을 통해 하우징(131) 및 설치부재(125)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부가 마찰력 발생부(135)와 접촉한다. 또한, 지지축 부재(133)는 하단부가 기어부재(121)의 결합홈부(121b)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기어부재(121)와 함께 회전되도록 외면에 스플라인이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축 부재(133)는 마찰력 발생부(135)와의 마찰을 통해 그 회전이 저지되어 기어부재(121)의 회전을 구속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어태치먼트(10)의 하부바디(40)에 특정하중 이상의 힘이 가해져야만 하부바디(40)가 회전되고, 특정하중 이하의 힘에서는 그 회전이 구속된다.
마찰력 발생부(135)는 지지축 부재(133)가 특정하중 이하에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지지축 부재(133)와 접촉하여 마찰력을 발생한다. 이를 위하여, 마찰력 발생부(135)는 하우징(131)에 설치되어 지지축 부재(133)의 외면에 접촉되며, 지지축 부재(133)를 가압함에 따라 지지축 부재(133)와 마찰력이 조절된다.
구체적으로, 마찰력 발생부(135)는 지지축 부재(133)와 접촉되어 마찰력을 발생하는 마찰 부재(137), 마찰 부재(137)를 지지축 부재(133)로 가압하여 마찰 부재(137)의 마찰력을 조절하는 가압 조절부재(139)를 포함한다.
이러한, 마찰력 발생부(135)는 마찰 부재(137)가 지지축 부재(133)의 외면에 접촉되고, 가압 조절부재(139)가 마찰 부재(137)를 지지축 부재(133)의 직경방향으로 가압한다.
마찰 부재(137)는 지지축 부재(133)의 외면을 감싸도록 반원 형태로 형성되며, 지지축 부재(133)에 양측면에 대응되게 접촉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마찰 부재(137)는 엔지니어링 프라스틱 계열인 엠씨 나이론(M.C Nyion: Highnalon Monomer Cast Nylon) 또는 브레이크 패드 재질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가압 조절부재(139)는 마찰 부재(137)를 커버하도록 하우징(131)에 설치되며, 마찰 부재(137)를 지지축 부재(133)로 밀착시킨다.
이를 위하여, 가압 조절부재(139)는 마찰 부재(137)를 감싸도록 분할 형성되는 한 쌍의 커버부재(139a) 및 이 커버부재(139a)를 밀착 또는 이격시키는 조임부재(139b)를 포함한다.
커버부재(139a)는 조임부재(139b)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부(139c)가 각각 형성되고, 어느 하나의 커버부재(139a)에 형성되는 체결홀부(139c)에 탭이 형성된다.
또한, 다른 하나의 커버부재(139a)는 조임부재(139)가 결합되도록 플랜지(139d)가 형성되고, 플랜지(139d)에 체결홀부(139c)가 형성된다.
조임부재(139b)는 커버부재(139a)의 플랜지(139d) 체결홀부(139c)를 관통하여 어느 하나의 커버부재(139a) 체결홀부(139c)에 체결되어 한 쌍의 커버부재(139a)를 상호 근접 또는 이격시켜 마찰 부재(137)와 지지축 부재(133)의 마찰력을 조절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조임부재(139b)로는 장볼트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커버부재(139a)는 마찰 부재(137)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내면에 패드 안착홈부(139e)가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131)은 지지축 부재(133)의 회전에 따라 커버부재(139a)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조임부재(139b)가 관통되는 지지리브(131a)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 제1 실시 예에 따른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회전 제어장치의 작동 및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본 실시 예에 따른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회전 제어장치(100)는 저항력 발생부(130)를 제거하고 그 자리에 유압모터를 설치하여 반자동회전방식을 자동회전방식으로 용이하게 구조 변경할 수 있다.
즉, 자동회전방식에 사용되는 회전부재(110), 연결부(120)의 구조를 전혀 변경하지 않고 연결부(120)에 저항력 발생부(130) 또는 유압모터 중 무엇을 연결하느냐에 따라 어태치먼트(10)를 반자동회전방식 또는 자동회전방식으로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120)에 저항력 발생부(130)를 연결하면 어태치먼트(10)를 반자동회전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고, 연결부(120)에 유압모터를 연결하면 어태치먼트(10)를 자동회전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회전부재(110) 및 연결부(120)의 구조 변경을 방지하면서 어태치먼트(10)의 회전방식을 자동회전방식에서 반자동회전방식으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더하여, 어태치먼트(10)를 회전방식에 따라 각각 제작할 필요 없이 회전방식과 관계 없이 하나의 구조로 제작할 수 있으므로, 고가인 어태치먼트(10)의 재고물량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또한, 지지축 부재(131)와 마찰 부재(137)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회전부재(110)인 링 기어의 회전을 구속하므로, 하부바디(40)의 회전을 보다 효과적으로 구속할 수 있음은 물론 저항력 발생부(130)의 파손을 줄일 수 있다.
더하여, 지지축 부재(131)와 마찰 부재(137)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하부바디(40)의 회전을 구속하므로, 마찰력을 발생하는 저항력 발생부(130)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저항력 발생부(130)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파손시 분해 및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저항력 발생부(130)의 파손시 그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회전 제어장치(100)는 조임부재(139b)의 회전을 통해 지지축 부재(133)와 마찰 부재(137)의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마찰 부재(137) 및 지지축 부재(133)가 마모되어도 마찰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마찰 부재(137) 및 지지축 부재(133)의 마찰력이 너무 클 경우 그 마찰력을 저하시킬 수도 있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회전 제어장치를 설명한다.
제2 실시 예에 따른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회전 제어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제1 실시 예에 따른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회전 제어장치와 동일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그 구체적인 설명한 생략하기로 한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제2 실시 예에 따른 굴삭기용 어태치먼트(10)는 회전부재(110), 연결부(120) 및 저항력 발생부(130)를 포함한다.
연결부(120)는 회전부재(110)에 치합되는 기어부재(121), 이 기어부재(121)를 상부바디(20)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재(123)를 포함한다.
저항력 발생부(130)는 설치부재(123)에 고정되는 하우징(140)과, 기어부재(121)에 결합되도록 하우징(14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축 부재(150) 및 이 지지축 부재(150)를 축방향으로 가압하여 마찰력을 발생하는 마찰력 발생부(160)를 포함한다.
하우징(140)은 지지축 부재(150)의 상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수용되고, 이 지지축 부재(150)의 회전을 구속하기 위한 마찰력 발생부(160)가 내부에 설치된다.
지지축 부재(150)는 하단부가 베어링을 통해 설치부재(12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부에 마찰력 발생부(160)와 접촉되는 드럼부(151)가 돌출 형성된다. 드럼부(151)는 상면 및 하면이 마찰력 발생부(160)와 접촉된다.
또한, 드럼부(151)의 상면에는 마찰력 발생부(160)가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고정핀 부재(153)가 돌출 형성된다.
마찰력 발생부(160)는 드럼부(151)와 접촉되는 마찰 부재(161) 및 이 마찰 부재(161)를 드럼부(151)로 가압하여 마찰 부재(161)와 드럼부(151)의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가압부재(163)를 포함한다.
마찰 부재(161)는 원 판 형태로 형성되며, 중앙부에 고정핀 부재(153)가 삽입되도록 드럼부(151)에 안착된다. 이러한 마찰 부재(161)는 드럼부(151)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구비되며, 드럼부(151)의 상면에 복수개 적층된다.
이때, 마찰 부재(161)의 마찰력이 증가되도록 마찰 부재(161) 사이에는 마찰용 철판(161a)이 더 구비된다.
가압부재(163)는 마찰 부재(161)와 드럼부(151)가 지지축 부재(150)의 축방향으로 밀착됨과 동시에 마찰 부재(161)를 탄성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가압부재(163)는 마찰 부재(161)를 지지축 부재(150)의 축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재(165)와, 이 탄성 지지부재(165)가 설치되도록 하우징(140)에 형성되는 설치홀부(167)를 포함한다. 이때, 설치홀부(167)는 하우징(140)의 상단부에 형성되며, 내부에 탄성 지지부재(165)가 설치된다.
탄성 지지부재(165)는 마찰 부재(161)에 상면에 접촉되어 마찰 부재(161)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165a) 및 이 탄성부재(165a)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압축블록(165b)을 포함한다.
탄성부재(165a)은 설치홀부(167)에 삽입되며 상단이 압축블록(165b)에 접촉되고 하단이 마찰 부재(161)에 접촉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탄성부재(165a)로는 고장력 코일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탄성부재(165a)로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판 스프링 또는 합성고무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압축블록(165b)은 설치홀부(167)에서 승강되어 탄성부재(165a)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홀부(167)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압축블록(165b)의 외면 및 설치홀부(167)의 내면은 각각 탭가공된다. 즉, 압축블록(165b)의 외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설치홀부(167)의 내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된다.
한편, 하우징(140)은 압축블록(165b)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면에 이탈방지부재(141)가 볼트 및 너트를 통해 결합된다. 이탈방지부재(141)는 판 형태로 형성되며, 공구를 이용하여 압축블록(165b)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공구 삽입구멍(141a)이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회전 제어장치(100)는 회전부재(110)로 외면에 기어치가 형성되는 외치기어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마찰력 발생부(16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형태가 변경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마찰력 발생부(160)는 드럼부(151)와 접촉되어 마찰력을 발생하는 마찰부재(161)로 볼 부재(168)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마찰력 발생부(160)는 볼 부재(168)를 안정되게 지지하도록 가이드부재(169)를 포함한다.
볼 부재(168)는 하단부가 드럼부(151)의 상면에 접촉하고, 상단부가 가이드부재(169)에 접촉한다.
가이드부재(169)는 탄성부재(165a)와 볼 부재(168) 사이에 위치하며, 탄성부재(165a)를 통해 볼 부재(168)로 가압된다. 이러한, 가이드부재(169)는 설치홀부(167)의 내부에 위치하며, 볼 부재(168)의 접촉면적이 넓어지도록 볼 부재(168)가 삽입되는 접촉홈부(169a)가 하면에 형성된다. 접촉홈부(169a)는 라운드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드럼부(151)의 상면에도 볼 부재(168)의 접촉면적이 넓어지도록 볼 부재(168)가 삽입되는 접촉홈부(151a)가 라운드 형태로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회전 지지장치 110 : 회전부재
120 : 연결부 121 : 기어부재
123 : 설치부재 125 : 설치홀부
130 : 저항력 발생부 131, 140 : 하우징
133, 150 : 지지축 부재 135, 160 : 마찰력 발생부
137 : 마찰 부재 139 : 가압 조절부재
141 : 이탈방지부재 151 : 드럼부
153 : 고정핀 부재 161 : 마찰 부재
163 : 가압부재 165 : 탄성 지지부재
165a : 탄성부재 165b : 압축블록
167 : 설치홀부 168 : 볼 부재
169 : 가이드부재

Claims (13)

  1. 센터 조인트를 통해 상부바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바디에 구비되어 하부바디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와 연결되도록 상기 상부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부재와 연동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상부바디 또는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부가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력에 대한 저항력을 가지도록 상기 연결부의 작동을 저지하는 저항력 발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연결부와 치합되도록 내면 또는 외면에 기어치가 형성되는 링 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항력 발생부는 마찰을 통해 상기 연결부에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회전 제어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회전부재와 치합되도록 외면에 기어치가 형성되고, 중앙부가 상기 저항력 발생부와 결합되는 기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회전 제어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기어부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상기 상부바디에 고정되며, 상기 저항력 발생부가 고정되는 설치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회전 제어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기어부재를 상기 회전부재와 조립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바디에 형성되는 설치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회전 제어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력 발생부는,
    상기 상부바디 또는 상기 연결부에 고정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부가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는 지지축 부재; 및
    상기 지지축 부재와 접촉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며, 상기 지지축 부재와의 마찰을 통해 상기 지지축 부재와 마찰력을 발생하는 마찰력 발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회전 제어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력 발생부는,
    상기 지지축 부재와 접촉되어 마찰력을 발생하는 마찰 부재; 및
    상기 마찰 부재와 상기 지지축 부재가 밀착되도록 상기 마찰 부재를 상기 지지축 부재로 밀착하는 가압 조절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회전 제어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부재는 상기 지지축 부재의 외면에 접촉되고,
    상기 가압 조절부재는 상기 마찰 부재를 상기 지지축 부재의 직경방향 또는 축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회전 제어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부재는 상기 지지축 부재의 외주면에 접촉되고,
    상기 가압 조절부재는 상기 마찰 부재를 감싸도록 분할 형성되는 한 쌍의 커버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마찰 부재에 밀착되도록 상기 커버부재에 구비되는 조임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회전 제어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부재는 상기 지지축 부재의 상면에 접촉되고,
    상기 가압 조절부재는 상기 마찰 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회전 제어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부재는
    상기 마찰 부재에 접촉되어 상기 마찰 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탄성부재를 상기 마찰 부재측으로 압축하는 압축블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회전 제어장치.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가압 조절부재를 통해 상기 지지축 부재를 축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지지축 부재에 접촉되는 볼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회전 제어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 부재는 상기 볼 부재와의 접촉면적이 넓어지도록 상기 볼 부재가 삽입되는 접촉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회전 제어장치.
KR1020120012910A 2012-02-08 2012-02-08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회전 제어장치 KR101196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910A KR101196876B1 (ko) 2012-02-08 2012-02-08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회전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910A KR101196876B1 (ko) 2012-02-08 2012-02-08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회전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6876B1 true KR101196876B1 (ko) 2012-11-02

Family

ID=47563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2910A KR101196876B1 (ko) 2012-02-08 2012-02-08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회전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687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9368A (ko) 2014-11-18 2016-05-26 임우석 굴삭기용 어태치먼트
KR101988828B1 (ko) 2018-09-19 2019-06-12 김남학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클램핑 장치
KR20200047897A (ko) * 2018-10-26 2020-05-08 한국시설안전공단 구조물의 비파괴 검사용 어태치먼트
KR102184165B1 (ko) * 2019-07-05 2020-11-27 주식회사 제이케이 간격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회전형 퀵커플러
KR102184166B1 (ko) * 2019-09-20 2020-11-27 주식회사 제이케이 간격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틸트형 회전 퀵커플러
KR102281292B1 (ko) * 2020-11-23 2021-07-23 (주)효성테크 마모보상장치를 갖는 굴착기용 회전커플러
KR20230000127U (ko) * 2021-07-07 2023-01-16 주식회사 모트롤 중장비용 선회감속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4379A (ja) 2001-02-26 2002-09-10 Komatsu Ltd 鉄道用把持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4379A (ja) 2001-02-26 2002-09-10 Komatsu Ltd 鉄道用把持装置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9368A (ko) 2014-11-18 2016-05-26 임우석 굴삭기용 어태치먼트
KR101988828B1 (ko) 2018-09-19 2019-06-12 김남학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클램핑 장치
KR20200047897A (ko) * 2018-10-26 2020-05-08 한국시설안전공단 구조물의 비파괴 검사용 어태치먼트
KR102164442B1 (ko) * 2018-10-26 2020-10-13 한국시설안전공단 구조물의 비파괴 검사용 어태치먼트
KR102184165B1 (ko) * 2019-07-05 2020-11-27 주식회사 제이케이 간격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회전형 퀵커플러
KR102184166B1 (ko) * 2019-09-20 2020-11-27 주식회사 제이케이 간격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틸트형 회전 퀵커플러
WO2021054577A1 (ko) * 2019-09-20 2021-03-25 주식회사 제이케이 간격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틸트형 회전 퀵커플러
KR102281292B1 (ko) * 2020-11-23 2021-07-23 (주)효성테크 마모보상장치를 갖는 굴착기용 회전커플러
KR20230000127U (ko) * 2021-07-07 2023-01-16 주식회사 모트롤 중장비용 선회감속기
KR200497160Y1 (ko) 2021-07-07 2023-08-14 주식회사 모트롤 중장비용 선회감속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6876B1 (ko)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회전 제어장치
KR101005608B1 (ko) 재단기의 재단도 높이 조정 장치
CN103538034A (zh) 具有冲击机构的旋转冲击旋拧器
CA2669689A1 (en) Tool for assembly of a piston for a hydraulic cylinder
CN106736432B (zh) 轴承辅助安装装置及轴承安装方法
CN202326799U (zh) 扭矩联轴器
CN101824830A (zh) 铲斗与斗杆的连接机构
CN201722716U (zh) 快换式调整垫片
CN101532300A (zh) 一种回转机构及带有该回转机构的工程机械
KR20080103244A (ko) 크러셔 스윙장치
US10082185B1 (en) Brake mechanism for rotary work table of machine tool
CN203141278U (zh) 一种碗扣式脚手架钢管除锈机的除锈装置
CN206246499U (zh) 挖掘机斗轴免拆轴快速拆装垫片
CN103867558B (zh) 一种铰接装置
CN107226414B (zh) 一种可变阻尼的钢丝绳扭转力释放装置
CN103890456B (zh) 改进的压缩机过转矩保护装置
CN103128638A (zh) 一种碗扣式脚手架钢管除锈机的除锈装置
CN107314052A (zh) 一种刹车离合装置
CN202451661U (zh) 横置弹簧自动补偿制动器
CN202158095U (zh) 一种轴衬套安装结构
CN201971110U (zh) 一种控制把手
KR101757419B1 (ko) 제동력을 상승시킨 재단도 높이조정장치
CN207687174U (zh) 动力机输出轴及电动机
US10578165B2 (en) Coupling
CN210998828U (zh) 一种利用电磁铁预防机械碰撞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