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4165B1 - 간격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회전형 퀵커플러 - Google Patents

간격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회전형 퀵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4165B1
KR102184165B1 KR1020190081572A KR20190081572A KR102184165B1 KR 102184165 B1 KR102184165 B1 KR 102184165B1 KR 1020190081572 A KR1020190081572 A KR 1020190081572A KR 20190081572 A KR20190081572 A KR 20190081572A KR 102184165 B1 KR102184165 B1 KR 102184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wer transmission
transmission unit
block
wear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1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케이
Priority to KR1020190081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41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4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4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13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with means for absorbing any play therebetwee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77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allowing movement, e.g. rotation or translation, of the tool around or along another axis as the movement implied by the boom or arms, e.g. for tilting buckets
    • E02F3/3681Rot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삭기의 암대에 설치되고 연결대 및 연결플레이트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연결플레이트에 설치되고 동력의 진행방향을 변환시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상기 동력전달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동력전달부에 설치되고 어태치먼트가 결합되는 고정후크가 구비되는 회전블록; 상기 동력전달부와 상기 회전블록이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모방지부; 및 상기 마모방지부가 마모되어 상기 동력전달부와 상기 회전블록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면 상기 마모방지부를 가압하여 상기 동력전달부 또는 상기 회전블록에 밀착시키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간격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회전형 퀵커플러 {SPACING REGULATOR AND ROTATIONAL QUICK COUPLER WITH IT}
본 발명은 간격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회전형 퀵커플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와 회전블록을 360도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고, 작업 중에 발생되는 하중에 의해 본체와 회전블록이 이격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회전블록의 회전운동에 의해 본체와 회전블록의 접촉부위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본체와 회전블록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베어링의 교체주기를 연장시킬 수 있는 간격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회전형 퀵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 등의 건설, 토목용 중장비에서는 브레이커, 버킷, 크러셔 등의 작업기구를 이용하여 땅을 파거나 땅에서 파낸 흙을 처리하거나 암석 등을 파쇄하는 등의 작업을 행하게 되며, 이들 작업기구들은 작업의 내용에 따라 교체하여 사용하게 된다.
종래에 작업기구를 결합하기 위한 장치는, 굴삭기의 암대 선단에 한 쌍의 결합핀으로 커플러가 결합되고, 커플러 일측에는 고정훅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가동훅이 회동 가능케 결합되며, 가동훅은 커플러 내에 장착된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회동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고정훅 및 가동훅에는 작업기구의 상측에 형성된 고정핀이 삽입되어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암대의 선단에 결합된 커플러를 작업기구의 상측에 근접시키고 고정훅에는 고정핀을 삽입시키고 타측의 가동훅에는 다른 고정핀을 결합시키게 되는데, 가동훅은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개폐작동되어 내부에 고정핀이 결합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가동훅을 작동시키는 수단으로 유압의 작용에 의해 작동하는 실린더에 의해 이루어짐으로써 운전석에서 작업기구를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편리함은 있으나 커플러의 내측에 실린더로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유압 라인이 필요하게 됨으로써 장치가 복잡해지고 코스트가 상승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내재되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굴삭기용 퀵커플러가 개발되었으며, 종래기술에 따른 굴삭기용 퀵커플러의 가동훅은 간격을 두고 설치된 지지판에 결합된 힌지핀에 결합된 힌지부를 포함하고, 가동훅의 배면 측에는 안전핀이 삽입 설치되고, 전면 측에는 가동훅의 전면에 결합된 보스에 로킹판을 관통하여 로킹볼트가 분리 가능하게 체결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18331호(2009년 11월 18일 공개, 발명의 명칭 : 굴삭기용 퀵커플러)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퀵커플러는, 암대에 연결되는 본체와 어태치먼트에 연결되는 블록이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굴삭기의 작동에 따라 변경되는 암대의 각도에 의해 작업 반경이 결정되므로 다양한 방향으로 어태치먼트를 이동시키면서 작업을 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퀵커플러는, 어태치먼트의 작업 반경을 넓히기 위해 퀵커플러와 블록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경우에 어태치먼트의 무게와, 굴삭기의 작업 중에 발생되는 하중에 의해 본체와 회전블록 사이의 간격이 발생될 수 있고, 회전블록의 회전운동에 의해 본체와 회전블록 사이의 접촉부위가 마모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본체와 회전블록을 360도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고, 작업 중에 발생되는 하중에 의해 본체와 회전블록이 이격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회전블록의 회전운동에 의해 본체와 회전블록의 접촉부위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본체와 회전블록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베어링의 교체주기를 연장시킬 수 있는 간격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회전형 퀵커플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굴삭기의 암대에 설치되고 연결대 및 연결플레이트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연결플레이트에 설치되고 동력의 진행방향을 변환시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상기 동력전달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동력전달부에 설치되고 어태치먼트가 결합되는 고정후크가 구비되는 회전블록; 상기 동력전달부와 상기 회전블록이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모방지부; 및 상기 마모방지부가 마모되어 상기 동력전달부와 상기 회전블록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면 상기 마모방지부를 가압하여 상기 동력전달부 또는 상기 회전블록에 밀착시키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마모방지부는, 상기 본체와 상기 회전블록 사이에 슬립 가능하게 개재되는 베어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베어링부재는, 구리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마모방지부를 상기 본체 또는 상기 회전블록 측으로 가압하는 상태를 유지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마모방지부를 가압할 때에 복수 개의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력을 균등하에 분배하여 상기 마모방지부에 전달하는 균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굴삭기의 암대에 설치되고 연결대 및 연결플레이트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연결플레이트에 설치되고 동력의 진행방향을 변환시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상기 동력전달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동력전달부에 설치되고 어태치먼트가 결합되는 고정후크가 구비되는 회전블록; 상기 동력전달부와 상기 회전블록이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모방지부; 및 상기 마모방지부가 마모되어 상기 동력전달부와 상기 회전블록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면 상기 마모방지부를 가압하여 상기 동력전달부 또는 상기 회전블록에 밀착시키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간격 조절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간격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회전형 퀵커플러는, 본체와 회전블록 사이의 접촉부위에 본체와 회전블록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고, 본체와 회전블록 사이에 슬립 가능하게 구비되는 마모방지부가 구비되므로 회전블록의 회전운동에 의해 본체와 회전블록 사이의 접촉부위가 마모되면서 본체와 회전블록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거나 변형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간격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회전형 커플러는, 본체와 회전블록이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모방지부가 마모되어 본체와 회전블록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면 마모방지부를 가압하여 본체 또는 회전블록 측으로 가압하면서 마모방지부와 본체 또는 회전블록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간격조절장치가 구비되므로 마모방지부의 교체주기를 연장시킬 수 있어 회전형 퀵커플러의 유지 보수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격 조절장치를 구비하는 회전형 퀵커플러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격 조절장치를 구비하는 회전형 퀵커플러가 도시된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퀵커플러의 간격 조절장치가 도시된 절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간격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퀵커플러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격 조절장치를 구비하는 회전형 퀵커플러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격 조절장치를 구비하는 회전형 퀵커플러가 도시된 분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퀵커플러의 간격 조절장치가 도시된 절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퀵커플러는, 굴삭기의 암대에 설치되고 연결대(12) 및 연결플레이트(14)가 구비되는 본체(10)와, 연결플레이트(14)에 설치되고 동력의 진행방향을 변환시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70)와, 동력전달부(70)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56)와, 동력전달부(70)에 설치되고 어태치먼트가 결합되는 고정후크(32)가 구비되는 회전블록(30)과, 동력전달부(70)와 회전블록(30)이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모방지부(90)와, 마모방지부(90)가 마모되어 동력전달부(70)와 회전블록(30)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면 마모방지부(90)를 가압하여 동력전달부(70) 또는 회전블록(30)에 밀착시키는 가압부재(102)를 포함한다.
따라서 굴삭기의 작동이 개시되면 암대를 구동시켜 어태치먼트를 작업 대상물 측으로 근접시키고, 암대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어태치먼트가 구동되어 터파기, 드릴링작업 등의 공정이 이루어지며, 이때, 어태치먼트의 방향 회전이 요구되는 순간에는 구동부(56)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이 동력전달부(70)를 통해 회전블록(30)에 전달되어 회전블록(30)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어태치먼트의 방향을 변경하면서 굴삭기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회전운동이 장기간 동안 반복되면 동력전달부(70)와 회전블록(30) 사이에 개재되는 마모방지부(90)가 마찰에 의해 마모되므로 동력전달부(70)와 회전블록(3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는데, 이때, 작업자가 가압부재(102)를 마모방지부(90) 측으로 이동시키면 가압부재(102)가 마모방지부(90)를 동력전달부(70) 또는 회전블록(30) 측으로 가압하면서 마모방지부(90)와 동력전달부(70) 또는 회전블록(30) 사이의 간격을 좁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마모방지부(90)와 동력전달부(70) 또는 회전블록(30) 사이의 간격을 좁히면 동력전달부(70)와 회전블록(30) 사이에 개재되는 마모방지부(90)의 부피가 증가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되므로 결론적으로 동력전달부(70)와 회전블록(30) 사이의 간격이 매워지면서 마모방지부(90)의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하고, 동력전달부(70)와 회전블록(30)이 직접 마찰되면서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동력전달부(70)는, 회전플레이트(36)에 설치되는 기어부재(74)와, 구동부(56)의 동력을 기어부재(74)에 전달하도록 기어부재(74)에 기어연결되며 연결플레이트(14)에 설치되는 기어샤프트(76)를 포함하고, 기어부재(74)와 기어샤프트(76)는 웜기어 방식으로 기어연결되므로 본체(10)에 설치되는 구동부(56)의 동력이 기어샤프트(76) 및 기어부재(74)에 전달되면서 동력의 전달방향이 변환되어 기어부재(74) 및 회전블록(30)에 전달된다.
기어부재(74)는 회전블록(30)의 상면에 해당되는 회전플레이트(36)에 다수 개의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고, 기어부재(74)의 중앙부에는 홀부가 형성되어 연결플레이트(14)에 설치되는 고정블록(82)이 기어부재(74)의 중앙부에 삽입되고, 고정블록(82)의 외벽을 감싸고 회전플레이트(36)에 설치되는 구동블록(84)이 기어부재(74)와 연결된다.
고정블록(82), 구동블록(84), 기어부재(74) 및 기어샤프트(76)는, 케이스(72) 내부에 설치되고, 케이스(70)의 외벽은 커버부재(72b)에 의해 감싸지게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동력전달부(70)를 통과하여 구동실린더(54)에 유압을 제공하고, 회전블록(30)이 회전될 때에 유압라인이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압연결부(80)를 더 포함하므로 회전블록(30)에 설치되는 구동실린더(54)에 유압연결부(80)를 통해 작동유체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유압연결부(80)는, 회전블록(30)이 360도 회전되어도 다수 개의 유압라인이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구동실린더(54)에 공급되는 유압이 유실되거나 유압라인이 꼬이지 않으면서 회전블록(30) 및 어태치먼트를 360도 회전시키면서 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어태치먼트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유압연결부(80)에 구비되는 별도의 유로를 통해 어태치먼트에 유압을 공급하면서 어태치먼트를 회전시키는 작동을 행할 수 있게 된다.
기어부재(74)는 회전블록(30)의 상면에 해당되는 회전플레이트(36)에 다수 개의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고, 기어부재(74)의 중앙부에는 홀부가 형성되어 연결플레이트(14)에 설치되는 고정블록(82)이 기어부재(74)의 중앙부에 삽입되고, 고정블록(82)의 외벽을 감싸는 구동블록(84)이 설치되어 회전플레이트(36)에 연결되고, 기어부재(74)는 구동블록(84)에 연결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동력전달부(70)와 회전플레이트(36)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에 의해 기어부재(74) 및 회전플레이트(36)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모방지부(90)를 더 포함하므로 회전플레이트(36) 및 기어부재(74)가 마모에 의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마모방지부(90)는, 동력전달부(70)와 회전블록(30) 사이에 슬립 가능하게 개재되는 베어링부재(92)를 포함하고, 베어링부재(92)는, 구리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 회전블록(30)이 고정블록(82)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에 케이스(72)와 회전플레이트(36)가 마찰될 수 있는데, 케이스(72)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98)와 회전플레이트(36)에 구비되는 오목홈부(94) 사이의 간격에 베어링부재(92)가 개재되어 케이스(72)와 회전플레이트(36)가 직접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베어링부재(92)는 연성재질의 구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 돌출부(98) 또는 오목홈부(94)가 베어링부재(92)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회전블록(30)의 회전운동에 의해 케이스(72) 또는 회전플레이트(36)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회전블록(30)의 회전운동이 장기간 반복되면 베어링부재(92)가 마모되어 두께가 얇아지게 되는데, 이때, 작업자는 가압부재(102)를 조작하여 베어링부재(92)를 돌출부(98) 측으로 가압하면 베어링부재(92)가 돌출부(98)에 가압되면서 돌출부(98)와 오목홈부(94)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게 되므로 케이스(72)와 회전플레이트(36)가 직접 마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가압부재(102)는 회전플레이트(36) 저면으로부터 상면까지 관통되는 홀부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무두볼트를 포함하므로 작업자가 공구를 사용하여 가압부재(102)를 회전시키면 가압부재(102)가 회전플레이트(36)의 상면으로 돌출되면서 베어링부재(92)를 케이스(72) 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가압부재(102)가 마모방지부(90)를 본체(10) 또는 회전블록(30) 측으로 가압하는 상태를 유지시키는 고정부재(104)를 더 포함하므로 가압부재(102)가 회전플레이트(36) 상면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고정부재(104)는 무두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부재를 포함한다.
너트부재는 상면이 회전플레이트(36)의 저면에 고정되고, 너트부재를 통해 회전플레이트(36)의 홀부에 삽입되는 무두볼트는 너트부재와 볼트결합되므로 작업자가 무트볼트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면 너트부재에 볼트결합되는 무두볼트가 회전되면서 너트부재 및 홀부를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여 회전플레이트(36) 상측으로 돌출되거나 회전플레이트(36) 내측으로 삽입되는 작동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복수 개의 가압부재(102)가 마모방지부(90)를 가압할 때에 복수 개의 가압부재(102)의 가압력을 균등하에 분배하여 마모방지부(90)에 전달하는 균압부재(106)를 더 포함하므로 원형의 띠 모양으로 형성되는 돌출부(98)와 오목홈부(94)에 다수 개의 가압부재(102)가 설치되고, 다수 개의 가압부재(102)의 가압력을 분산시켜 원형 띠 모양의 베어링부재(92)에 균등한 압력으로 전달하게 된다.
균압부재(104)는 베어링부재(92)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원형 띠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내마모강 재질로 이루어지는 원형 띠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따라서 베어링부재(92)가 가압부재(102)와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고, 다수 개의 가압부재(102)에 의한 가압력이 균압부재(106)에 전달된 후에 원형의 띠 모양으로 분산되어 동일한 형상의 베어링부재(92) 전체에 걸쳐 균등한 압력으로 전달되면서 베어링부재(92)를 돌출부(98) 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가압부재(102)가 내마모링부재를 가압하여 내마모링부재가 베어링부재(92)를 가압하게 되므로 가압부재(102)의 가압력에 의해 베어링부재(92)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퀵커플러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굴삭기 암대에 본체(10)를 연결한 후에 가동후크(52)를 개방 및 폐쇄시키면서 어태치먼트를 회전블록(30)에 연결하여 유압연결부(80)를 통해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어태치먼트 및 회전블록(30)을 회전시키면서 굴삭기를 이용한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회전블록의 회전운동이 장기간 반복되면 케이스(72)와 회전플레이트(36) 사이에 개재되는 베어링부재(92)가 마모되어 두께가 얇아지면서 케이스(72)와 회전플레이트(82)가 직접 마찰될 수 있는데, 이때, 작업자가 가압부재(102)를 공구로 회전시키면서 회전플레이트(36) 상측으로 돌출시키면 다수 개의 가압부재(102)가 균등부재(106)를 가압하고, 균등부재(106)가 베어링부재(106)를 가압하여 케이스(72)의 돌출부(98)에 베어링부재(92)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베어링부재(92)가 돌출부(98)에 밀착되어 케이스(72)와 회전플레이트(36)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므로 동력전달부(70)와 회전블록(30)이 마찰되면서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동력전달부(70)와 회전블록(30)을 분리하여 베어링부재(92)를 교체하는 작업이 생략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동력전달부(70)와 회전블록(30)을 분리하지 않고 가압부재(102)를 회전시키는 간단한 작업에 의해 베어링부재(92) 교체 주기를 늘일 수 있게 되므로 회전형 퀵커플러의 유지 보수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본체와 회전블록을 360도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고, 작업 중에 발생되는 하중에 의해 본체와 회전블록이 이격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회전블록의 회전운동에 의해 본체와 회전블록의 접촉부위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본체와 회전블록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베어링의 교체주기를 연장시킬 수 있는 간격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회전형 퀵커플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간격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퀵커플러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간격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퀵커플러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간격 조절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본체 12 : 연결대
14 : 연결플레이트 16 : 통과홀부
30 : 회전블록 32 : 고정후크
34 : 회전축 36 : 회전플레이트
38 : 관통홀부 52 : 가동후크
54 : 구동실린더 56 : 구동부
70 : 동력전달부 72 : 케이스
72a : 커버부재 74 : 기어부재
76 : 기어샤프트 80 : 유압연결부
82 : 고정블록 84 : 구동블록
86 : 제1배관 88 : 제2배관
90 : 마모방지부 92 : 베어링부재
94 : 오목홈부 96 : 슬립부재
100 : 간격 조절장치 102 : 가압부재
104 : 고정부재 106 : 균압부재
110 : 고정연결부 112 : 고정블록
114 : 체결부재 116 : 간섭홈부
118 : 삽입홀부

Claims (6)

  1. 굴삭기의 암대에 설치되고 연결대 및 연결플레이트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연결플레이트에 설치되고 동력의 진행방향을 변환시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상기 동력전달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동력전달부에 설치되고 어태치먼트가 결합되는 고정후크가 구비되는 회전블록;
    상기 동력전달부와 상기 회전블록이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모방지부; 및
    상기 마모방지부가 마모되어 상기 동력전달부와 상기 회전블록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면 상기 마모방지부를 가압하여 상기 동력전달부 또는 상기 회전블록에 밀착시키는 가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마모방지부는, 상기 본체와 상기 회전블록 사이에 슬립 가능하게 개재되는 베어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마모방지부를 상기 본체 또는 상기 회전블록 측으로 가압하는 상태를 유지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재(102)는 상기 회전블록의 회전플레이트(36) 저면으로부터 상면까지 관통되는 홀부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무두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무두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너트부재는 상면이 상기 회전플레이트(36)의 저면에 고정되고, 상기 너트부재를 통해 상기 회전플레이트(36)의 홀부에 삽입되는 상기 무두볼트는 상기 너트부재와 볼트결합되므로 작업자가 상기 무두볼트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면 상기 너트부재에 볼트결합되는 상기 무두볼트가 회전되면서 상기 너트부재 및 홀부를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여 상기 회전플레이트(36) 상측으로 돌출되거나 상기 회전플레이트(36) 내측으로 삽입되는 작동을 진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 조절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부재는, 구리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 조절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마모방지부를 가압할 때에 복수 개의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력을 균등하에 분배하여 상기 마모방지부에 전달하는 균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 조절장치.
  6. 굴삭기의 암대에 설치되고 연결대 및 연결플레이트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연결플레이트에 설치되고 동력의 진행방향을 변환시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상기 동력전달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동력전달부에 설치되고 어태치먼트가 결합되는 고정후크가 구비되는 회전블록;
    상기 동력전달부와 상기 회전블록이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모방지부; 및
    상기 마모방지부가 마모되어 상기 동력전달부와 상기 회전블록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면 상기 마모방지부를 가압하여 상기 동력전달부 또는 상기 회전블록에 밀착시키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간격 조절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마모방지부는, 상기 본체와 상기 회전블록 사이에 슬립 가능하게 개재되는 베어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마모방지부를 상기 본체 또는 상기 회전블록 측으로 가압하는 상태를 유지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재(102)는 상기 회전블록의 회전플레이트(36) 저면으로부터 상면까지 관통되는 홀부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무두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무두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너트부재는 상면이 상기 회전플레이트(36)의 저면에 고정되고, 상기 너트부재를 통해 상기 회전플레이트(36)의 홀부에 삽입되는 상기 무두볼트는 상기 너트부재와 볼트결합되므로 작업자가 상기 무두볼트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면 상기 너트부재에 볼트결합되는 상기 무두볼트가 회전되면서 상기 너트부재 및 홀부를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여 상기 회전플레이트(36) 상측으로 돌출되거나 상기 회전플레이트(36) 내측으로 삽입되는 작동을 진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커플러.
KR1020190081572A 2019-07-05 2019-07-05 간격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회전형 퀵커플러 KR102184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572A KR102184165B1 (ko) 2019-07-05 2019-07-05 간격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회전형 퀵커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572A KR102184165B1 (ko) 2019-07-05 2019-07-05 간격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회전형 퀵커플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4165B1 true KR102184165B1 (ko) 2020-11-27

Family

ID=73641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1572A KR102184165B1 (ko) 2019-07-05 2019-07-05 간격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회전형 퀵커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4165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1292B1 (ko) * 2020-11-23 2021-07-23 (주)효성테크 마모보상장치를 갖는 굴착기용 회전커플러
KR102354497B1 (ko) * 2021-06-29 2022-01-21 주식회사 뉴제이케이 회전형 퀵커플러용 유격조절장치
KR20220022166A (ko) * 2020-08-18 2022-02-25 양승훈 틸팅보강체가 구비된 개량형 선회드라이브
KR102372171B1 (ko) * 2021-03-15 2022-03-08 민병규 건설장비의 부착장치용 회전장치
KR102383152B1 (ko) * 2021-11-30 2022-04-08 주식회사 뉴제이케이 회전형 퀵커플러용 간극조절장치
KR102383153B1 (ko) * 2021-11-30 2022-04-08 주식회사 제이케이 회전형 퀵커플러용 낙하방지장치
KR102425356B1 (ko) * 2021-12-23 2022-07-27 주식회사 뉴제이케이 퀵커플러용 고정블록 회전방지장치
KR20220124364A (ko) * 2021-03-03 2022-09-14 주식회사 경원테크 회전 링크
KR20230032114A (ko) * 2021-08-30 2023-03-07 주식회사 경원테크 회전 전용 링크
KR20230032115A (ko) * 2021-08-30 2023-03-07 주식회사 경원테크 회전 전용 커플러
SE2230078A1 (en) * 2022-03-18 2023-09-19 Limako Teknik Ab Attachment Module, Excavator Arm, Excavator, and Method of Rotating a Tool relative to Excavator Arm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1824B1 (ko) * 1996-06-27 1999-04-15 배순훈 균일한 가압구조를 갖는 요오크 플레이트 누름장치
KR200254713Y1 (ko) * 2001-08-18 2001-11-24 강성준 트랙터와 작업장치 사이에 설치되는 동력전달클러치
KR101196876B1 (ko) * 2012-02-08 2012-11-02 주식회사 제이케이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회전 제어장치
KR101783958B1 (ko) * 2016-10-21 2017-10-10 주식회사 제이케이 회전형 퀵커플러
KR101928795B1 (ko) * 2018-10-26 2018-12-13 유한회사 대한중공업 굴삭기용 회전링크
KR101957105B1 (ko) * 2018-09-20 2019-06-24 (주)렉셀코리아 굴삭기 아암용 회전 링크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1824B1 (ko) * 1996-06-27 1999-04-15 배순훈 균일한 가압구조를 갖는 요오크 플레이트 누름장치
KR200254713Y1 (ko) * 2001-08-18 2001-11-24 강성준 트랙터와 작업장치 사이에 설치되는 동력전달클러치
KR101196876B1 (ko) * 2012-02-08 2012-11-02 주식회사 제이케이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회전 제어장치
KR101783958B1 (ko) * 2016-10-21 2017-10-10 주식회사 제이케이 회전형 퀵커플러
KR101957105B1 (ko) * 2018-09-20 2019-06-24 (주)렉셀코리아 굴삭기 아암용 회전 링크 시스템
KR101928795B1 (ko) * 2018-10-26 2018-12-13 유한회사 대한중공업 굴삭기용 회전링크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2166A (ko) * 2020-08-18 2022-02-25 양승훈 틸팅보강체가 구비된 개량형 선회드라이브
KR102381889B1 (ko) 2020-08-18 2022-03-31 양승훈 틸팅보강체가 구비된 개량형 선회드라이브
KR102281292B1 (ko) * 2020-11-23 2021-07-23 (주)효성테크 마모보상장치를 갖는 굴착기용 회전커플러
KR20220124364A (ko) * 2021-03-03 2022-09-14 주식회사 경원테크 회전 링크
KR102487706B1 (ko) * 2021-03-03 2023-01-12 주식회사 경원테크 회전 링크
KR102372171B1 (ko) * 2021-03-15 2022-03-08 민병규 건설장비의 부착장치용 회전장치
KR102354497B1 (ko) * 2021-06-29 2022-01-21 주식회사 뉴제이케이 회전형 퀵커플러용 유격조절장치
KR20230032114A (ko) * 2021-08-30 2023-03-07 주식회사 경원테크 회전 전용 링크
KR20230032115A (ko) * 2021-08-30 2023-03-07 주식회사 경원테크 회전 전용 커플러
KR102538761B1 (ko) * 2021-08-30 2023-06-12 주식회사 경원테크 회전 전용 커플러
KR102659661B1 (ko) * 2021-08-30 2024-05-03 주식회사 경원테크 회전 전용 링크
KR102383153B1 (ko) * 2021-11-30 2022-04-08 주식회사 제이케이 회전형 퀵커플러용 낙하방지장치
KR102383152B1 (ko) * 2021-11-30 2022-04-08 주식회사 뉴제이케이 회전형 퀵커플러용 간극조절장치
KR102425356B1 (ko) * 2021-12-23 2022-07-27 주식회사 뉴제이케이 퀵커플러용 고정블록 회전방지장치
SE2230078A1 (en) * 2022-03-18 2023-09-19 Limako Teknik Ab Attachment Module, Excavator Arm, Excavator, and Method of Rotating a Tool relative to Excavator Ar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4165B1 (ko) 간격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회전형 퀵커플러
KR102184166B1 (ko) 간격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틸트형 회전 퀵커플러
KR101783958B1 (ko) 회전형 퀵커플러
KR102227205B1 (ko) 배관 인입부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회전형 퀵커플러
US5494396A (en) Coupling device for a work implement
US3082043A (en) Track adjusting system
CA2236390C (en) A grinder mixer assembly
US20150053450A1 (en) Stator for a hydraulic work tool assembly
KR102281292B1 (ko) 마모보상장치를 갖는 굴착기용 회전커플러
KR102558578B1 (ko) 굴삭기용 틸트 로테이터장치
KR102416375B1 (ko) 회전식 퀵 커플러용 충격완충장치
US3247986A (en) Tool connection units for earth working machinery
AU2014250847A1 (en) Coil tube injector system
US3481640A (en) Means for orientating the earth working implement of a mechanical earth working machine
US4161990A (en) Rock drilling apparatus
KR102338301B1 (ko) 퀵 체인지 유압 커플링블록용 덮개개폐장치
KR102354497B1 (ko) 회전형 퀵커플러용 유격조절장치
KR102383152B1 (ko) 회전형 퀵커플러용 간극조절장치
KR102383153B1 (ko) 회전형 퀵커플러용 낙하방지장치
CA3075828A1 (en) Support system for hoist system
CA3121571A1 (en) Plate between ring assemblies of a ring seal system
WO2008130403A1 (en) Remotely adjustable wear pad for an extendable boom
US20190321926A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applying torque
KR102403764B1 (ko) 퀵 체인지 오일퀵장치의 결합구조체
KR102338302B1 (ko) 퀵 체인지 수직타입 오일퀵 커플링용 덮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