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4713Y1 - 트랙터와 작업장치 사이에 설치되는 동력전달클러치 - Google Patents

트랙터와 작업장치 사이에 설치되는 동력전달클러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4713Y1
KR200254713Y1 KR2020010025026U KR20010025026U KR200254713Y1 KR 200254713 Y1 KR200254713 Y1 KR 200254713Y1 KR 2020010025026 U KR2020010025026 U KR 2020010025026U KR 20010025026 U KR20010025026 U KR 20010025026U KR 200254713 Y1 KR200254713 Y1 KR 2002547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ransmission
power
tractor
work device
clu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50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준
Original Assignee
강성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준 filed Critical 강성준
Priority to KR20200100250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47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47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4713Y1/ko

Links

Landscapes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트랙터에 장착되는 각종 작업장치용 동력전달클러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랙터의 후방에 결합된 작업장치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취출축(10)의 선단부와 결합되는 유니버셜죠인트(15)가 구비된 동력전달판(40)과, 동력전달판 (40)의 후면에 결합되고 중앙에 관통공(46)이 형성된 고정판(41)과, 상기 동력전달판(40)과 고정판(41)의 사이에 설치되고 작업장치의 동력입력축(60) 선단부가 일측에 결합되는 원판형의 플라이휘일(25)과, 상기 플라이휘일(25)의 전·후면과 동력전달판 (40) 및 고정판(41)의 내면 사이에 끼움 설치되는 중공타입의 원판형 클러치디스크 (30)(31)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트랙터의 작업장치용 동력전달클러치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디스크(30)(31)는 트랙터에 결합된 작업장치(W)에 과부하가 걸리는 경우 동력취출축(10)의 회전력이 작업장치에 무리하게 전달되지 않도록 플라이휘일(25)의 양면에서 슬립현상을 유도하는 구리합금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동력전달판(40)의 중심부에는 클러치디스크(30)(31)의 슬립현상시 발생되는 마찰열이 방출되는 방열공(45)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방열공(45)의 내주연에는 베어링(47)이 끼움 결합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트랙터와 작업장치 사이에 설치되는 동력전달클러치{A POWER TRANSMISSION CLUTCH FOR WORKING DEVICES OF TRACTOR}
본 고안은 트랙터와 각종 작업장치 사이에 설치되는 동력전달클러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랙터의 후방에 결합되는 로터리 등 각종 작업장치에 트랙터의 동력 전달시 작업기구에 과부하가 걸려 작업장치의 회전이 원할히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트랙터에서 인출된 동력이 무리하게 작업장치에 전달되지 않도록 슬립과 마모현상이 동시에 발생되는 구리합금재의 클러치디스크가 구비된 트랙터와 작업장치 사이에 설치되는 동력전달클러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트랙터와 트랙터의 후방에 결합되는 작업장치 사이에는 트랙터의 동력을 후방에 결합된 작업장치에 전달하기 위해 트랙터의 동력을 인출하는 동력취출축이 구비되며, 이 동력취출축의 후단부에는 유니버셜죠인트에 의해 결합되는 클러치가 구비되고, 이 클러치의 후단부에는 작업장치의 동력입력축이 결합됨으로써 트랙터의 동력이 작업장치에 전달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트랙터와 작업장치간의 동력전달구조에 이용되는 클러치는 동력취출축에 결합되는 유니버셜죠인트가 외면에 구비되며 테두리부위에 끼움공이 관통 형성된 동력전달판과, 고정볼트와 고정너트 및 텐션스프링에 의해 상기 동력전달판의 이면에 결합되도록 테두리부위에 다수개의 끼움공이 형성된 고정판과, 상호 결합되는 동력전달판과 고정판 사이에 끼움 설치되며 작업장치의 동력입력축이 끼워지도록 허브가 구비된 플라이휘일과, 이 플라이휘일의 전·후면과 상기 고정판과 동력전달판의 내면 사이에 설치되어 고정판과 동력전달판의 회전력을 플라이휘일에 전달하여 동력입력축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매개체로 한쌍의 클러치디스크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클러치는 통상 다른 동력전달장치나 엔진과 변속기 사이에 설치된 클러치가 동력의 단속과 전달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과는 달리 동력취출축과 동력입력축 사이의 결합상태를 항상 유지시켜 트랙터의 동력을 단순히 전달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에 반해, 트랙터의 메인동력이 작업장치에 전달되는 중간에서 별도의 동력의 단속기능이 없이 사용된다.
따라서, 이런 종래의 클러치에는 작업장치에 과부하가 걸려 작업기구의 정상적인 동작이 방해받고 있는 상태에서 메인동력이 계속 전달됨으로 인해 작업장치에 구비된 작업기구나 작업장치의 동력전달계통에 부하가 걸려 작업장치의 손상을 가져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고정판과 동력전달판 사이에 끼움 결합되는 플라이휘일의 전·후면에 소정의 두께를 갖는 클러치디스크가 구비되도록 하여 동력입축에 결합된 플라이휘일과 플라이휘일의 외측에서 플라이휘일에 동력을 전달하는 고정판과 동력전달판 사이에서 슬립과 마모현상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클러치에 사용되는 클러치디스크는 석면재질로 이루어져 있었기 때문에 플라이휘일과 동력취출축 사이에 발생되는 강제 비틀림력이 발생되는경우 고회전력에 의한 마찰력으로 고열이 발생되어 클러치디스크가 소손(燒損)되거나 파손되는 일이 비일비재하였으며, 특히 클러치디스크의 파손으로 동력취출축의 동력이 동력입력축에 그대로 전달됨으로 인해서 동력입력축에 연속해서 설치된 작업장치의 동력전달계통과 작업기구에 무리한 동력이 전달되어 각부의 파손 및 고장을 초래함으로써 작업에 지장을 줌은 물론 고장난 작업장치를 수리하는데 경제적으로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작업장치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이를 수리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농작물재배의 적절한 시기를 놓치는 경우 경작자에게 미치는 경제적 손실은 이루 말할 수 없었다.
다시말해, 트랙터의 메인동력을 인출하여 전달하는 동력취출축과 작업장치의 동력입력축 사이에 설치된 클러치에서 지하에 매립된 방해물에 의해 작업장치에 무리한 부하가 걸려 동력취출축의 동력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은 상황이 발생하게 되더라도 종래 클러치의 경우는 작업자에게 이를 감지시킬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았고, 작업장치에 과부하가 걸리는 경우 클러치 자체에서 동력취출축의 동력을 어느정도 차단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지 못했기 때문에 두께가 얇은 석면재질의 클러치디스크가 장착된 경우 동력취출축의 동력이 계속해서 작업장치에 전달됨으로 인해 석면재질의 클러치디스크가 소손 및 파손되어 작업장치에 커다란 손상을 가져오는 것은 당연시 되었다.
이와 같이 트랙터의 동력을 인출받아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장치에 무리한 동력이 계속 전달되어 작업장치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원되었으나, 트랙터를 사용하는 수요층이 농민들로 한정되어 있었기 때문에 이를 개선할 수 있는 기술력이 부족하였고, 장비를 제조하는 업체들도 극히 영세한 소수업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현장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이 제조업체에 전달되어 개선되거나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여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함으로 인해 여러가지 불편함과 문제점을 계속 감수하면서 트랙터의 작업장치를 이용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작업장치에 부하가 걸려 동력전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클러치에서 자연적인 이상신호가 발생됨과 동시에 소정의 슬립현상이 발생되어 무리한 동력전달로 작업장치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트랙터와 작업장치 사이에 설치되는 동력전달클러치를 제공하고자 하는제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작업장치의 작업기구에 부하가 걸린상태에서 동력취출축의 동력이 계속 전달됨으로 인해 작업기구가 파손되어 이를 수리하는데 소요되는 경제적 비용의 손실과, 작업장치의 수리로 인한 작업일정의 차질로 경작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트랙터와 작업장치 사이에 설치되는 동력전달클러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트랙터와 작업장치 사이에 설치되는 동력전달클러치는 트랙터의 후방에 결합된 작업장치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취출축의 선단부와 결합되는 유니버셜죠인트가 구비된 동력전달판과, 동력전달판의 후면에 결합되고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동력전달판과 고정판의 사이에 설치되고 작업장치의 동력입력축 선단부가 일측에 결합되는 원판형의 플라이휘일과, 상기 플라이휘일의 전·후면과 동력전달판 및 고정판의 내면 사이에 끼움 설치되는 중공타입의 원판형 클러치디스크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트랙터의 작업장치용 동력전달클러치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디스크는 트랙터에 결합된 작업장치에 과부하가 걸리는 경우 동력취출축의 회전력이 작업장치에 무리하게 전달되지 않도록 플라이휘일의 양면에서 슬립현상을 유도하는 구리합금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동력전달판의 중심부에는 클러치디스크의 슬립현상시 발생되는 마찰열이 방출되는 방열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방열공의 외주연에는 베어링이 끼움 결합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플라이휘일의 전·후면 중심부에는 클러치디스크의 내주연이 걸려 회전중심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소정 크기의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고, 작업장치의 동력입력축이 결합되는 허브가 형성된 배면에는 상기 동력전달판의 방열공 외주연에 끼움 결합된 베어링의 내측으로 관통 설치되는 끼움돌부가 형성되어 있는 특징적인 형상을 갖는다.
특히, 상기 구리합금재의 클러치디스크는 구리(Cu)와 주석(Sn)을 주성분으로 하는 청동주물로 제작되어 이루어지거나, 또는 구리(Cu)와 아연 (Zn)을 주성분으로 하는 황동주물로 제작되어 이루어지는 특징을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클러치가 동력취출축에 결합된 상태도,
도 2는 도 1의 클러치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클러치에 적용된 플라이휘일의 전·후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클러치의 결합상태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클러치가 트랙터와 작업장치 사이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 및 일부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 동력취출축 20 : 클러치
25 : 플라이휘일 27 : 허브
28 : 끼움돌부 29a, 29b : 걸림턱
30, 31 : 클러치디스크 40 : 동력전달판
41 : 고정판 45 : 방열공
47 : 베어링 50 : 고정볼트
52 : 텐션스프링 T : 트랙터
W : 작업장치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트랙터의 동력을 인출하여 트랙터의 후방에 결합된 작업장치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취출축(10)에 본 고안에 따른 클러치(20)가 취부되어 있는 결합상태도이고, 도 2는 상기 동력취출축(10)과 트랙터(T)의 후방에 결합되는 작업장치(W)에 결합된 동력입력축(60)의 일부 및 클러치(2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클러치(20)는 상기 동력취출축 (10)의 선단부에 결합되는 유니버셜죠인트(15)가 전면에 구비된 원판형의 동력전달판(40)과, 상기 동력전달판(40)의 후면에서 고정볼트(50)와 텐션스프링(52) 및 고정너트(53)에 의해 동력전달판(40)과 일체로 결합되는 중공형의 원판형 고정판(41)과, 상기 동력전달판(40)과 고정판(41) 사이에 설치되고 작업장치(W)에 결합된 동력입력축(60)의 선단부와 결합되는 허브(27)가 후면 중앙부에 돌출 형성된 원판형의 플라이휘일(25)과, 상기 플라이휘일(25)의 전·후면에서 동력전달판(40)과 고정판(41)의 내면에 설치되는 한쌍의 클러치디스크(30)(31)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를 다시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동력전달판(40)은 트랙터(T)의 메인동력을 인출하여 트랙터(T)의 후방에 결합되는 작업장치(W)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취출축(10)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노면의 굴곡여부에 관계없이 원할한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전면 중앙부에는 유니버셜죠인트(15)가 구비되고, 평탄한 배면 중심부에는 소정 크기의 방열공(45)이 관통 형성되고, 테두리부위에는 원주방향으로 다수개의 끼움공(43)이 일정간격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방열공(45)의 외주연으로 끼움 결합되는 베어링(47)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판(41)은 동력전달판(40)의 배면에 결합되도록 고정볼트(50)가 관통되는 끼움공(42)이 원주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고, 중심부에는 소정크기의 관통공(46)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플라이휘일(25)은 작업장치(W)에 결합된 동력입력축(60)이 끼움 결합되는 허브(27)가 후면 돌출형성되고, 허브(27)가 형성된 배면에는 상기 동력전달판(40)의 방열공(45) 외주연에 끼움 결합된 베어링(47)의 내측으로 관통 설치되는 끼움돌부(28)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허브(27)와 끼움돌부(28)가 형성된 외측으로 플라이휘일(25)의 전·후면에서 소정의 높이로 돌출된 걸림턱(29a) (29b)이 각각 형성되어 플라이휘일(25)의 전·후면과 상기 고정판(41) 및 동력전달판(40)의 내면 사이에 설치되는 클러치디스크(30)(31)의 내주연이 걸려 회전중심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도 3의 배면사시도에 상기 끼움돌부(28)와 걸림턱(29b)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 플라이휘일(25)의 전·후면과 동력전달판(40) 및 고정판(41)의 내면 사이에 끼움 설치되는 클러치디스크(30)(31)는 통상의 석면재질의 클러치디스크보다 그 두께가 훨씬 두꺼운 구리합금재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특징을 갖는다.
특히, 상기 구리합금재의 클러치디스크(30)(31)는 구리(Cu)와 주석(Sn)을 주성분으로 하는 청동주물이나, 구리(Cu)와 아연(Zn)을 주성분으로 하는 황동주물중 어느하나로 제작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청동주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한국공업규격 KS D 6002의 1종 내지 6종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황동주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한국공업규격 KS D 6001의 1종 내지 3종으로 제작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클러치(20)는 동력전달판(40)과 고정판(41)의 사이에 결합되는 플라이휘일(20)의 전·후면으로 한쌍의 클러치디스크(30)(31)가 위치되어 고정판(41)과 동력전달판(40)의 테두리부위에 형성된 끼움공(42)(43)에 고정볼트(50)가 관통설치되고, 고정볼트(50)의 선단에 텐션스프링(52)과 고정너트(53)가 결합되어 일체로 조립 완성되는 것으로, 도 4에 이들의 결합상태 단면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조립이 완료된 클러치(20)는 동력취출축(10)의 후단부에 유니버셜죠인트(15)의 일단이 결합되고, 클러치(20)의 후방으로 고정판(41)의 관통공(46)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된 플라이휘일(25)의 허브(27) 내측으로 작업장치(W)의 동력입력축(60)이 끼움 결합되어 트랙터(T)와 작업장치(W) 및 클러치(20)가 상호 일체로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 및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클러치(20)의 동작관계를 도 3의 사용상태를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즉, 트랙터(T)의 동력인출부에 결합된 동력취출축(10)의 후단부에서 유니버셜죠인트(15)로 결합된 클러치(20)의 동력전달판(40)과, 이 동력전달판(40)에 고정볼트(50)로 결합된 고정판(41)이 트랙터(T)에서 인출된 동력에 의해 회전하게 되고, 고정볼트(50)에 의해 결합된 동력전달판(40)과 고정판(41)의 사이에서 전·후면의 한쌍의 클러치디스크(30)(31)에 밀착 결합된 플라이휘일(25)이 상기 고정판(41)과 동력전달판(4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을 하게되며, 플라이휘일(25)의 회전으로 플라이휘일(25)의 허브(27)에 결합된 작업장치(W)의 동력입력축(60)이 회전되고, 상기 동력입력축(60)의 회전력은 작업장치(W)에 별도로 구비된 동력전달계통을 거쳐 최종적으로 로터리등 작업기구에 동력을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계통으로 트랙터(T)의 동력이 작업장치(W)의 최종 작업기구에 전달되어 작업기구가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때 통상 트랙터(T)에 견인되면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장치(W)는 경작지에 작물을 심기 위해 토양을 파거나, 고랑을 만들거나, 고랑의 복토작업을 수행하거나, 토양을 잘게 부수는 로터리작업 등을 수행한다.
작업장치(W)를 이용한 작업수행시 작업자가 감지할 수 있는 별도의 작업방해수단(지상의 장애물)이 있는 경우 작업자는 운전석 근처에 구비된 동력인출레바(도시아됨)의 동작으로 동력취출축(10)의 회전력을 제어하여 작업장치(W)에 동력을 전달하거나, 차단시킬 수 있으나, 별도의 작업방해수단(지상의 장애물)이 없는 정상적인 작업 수행시에는 트랙터(T)에 연결된 작업장치(W)에 계속적으로 동력전달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때 작업자가 감지를 못하는 지하에 매립된 큰 돌이나 기타 장애물이 있는 경우 작업장치(W)의 작업기구에 부하가 걸리면서 작업기구의 회전이 일시 멈춰지거나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작업장치(W)의 동력인출축(60)에 연결된 플라이휘일(25)에 정지력이 발생됨과 동시에 플라이휘일(25)의 외측에 결합된 고정판(41)과 동력전달판(40)은 계속 회전상태를 유지할려고 하는 상태가 되어 클러치디스크(30)(31) 부위에 무리가 생긴다.
즉, 종래 클러치의 경우 트랙터의 동력으로 회전되는 동력취출축(10)에 연결된 동력전달판 및 고정판의 회전력과 작업장치의 동력입력축에 연결된 플라이휘일의 정지력 사이에 순간적으로 큰 비틀림력이 발생되면서 플라이휘일의 전·후면에 구비된 석면재질의 클러치디스크가 마찰열에 의해 소손(燒損)되거나 깨지는 현상이 발생되고, 클러치디스크가 소손되면서 작업장치에는 트랙터의 동력이 그대로 전달됨으로 인해 칼날 등 이 장애물에 부딪혀 작업기구가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되었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른 클러치(20)는 작업자가 미처 감지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지하의 작업방해물에 의해 작업장치(W)의 작업기구에 부하가 걸려 정지력이 발생되는 플라이휘일(25)과 동력취출축(10)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판 (40)과 고정판(41) 사이에 비틀림력이 발생되는 경우, 플라이휘일(25)의 전·후면에 구비된 구리합금재의 클러치디스크(30)(31)에 의해 고정판(41) 및 동력전달판(40)과 플라이휘일(25) 사이에서 슬립현상이 발생됨과 동시에 클러치디스크(30)(31)의 접촉면에서 마모가 발생되면서 작업장치의 동력입력축에 연결된 플라이휘일(25)이 정지되더라도 동력취출축(10)에 연결된 동력전달판(40)과 고정판(41)은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어 정지력이 작용하는 작업장치에 무리한 부하가 걸리지 않아 작업장치의 로터리축이나 칼날 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플라이휘일(25)의 전·후면에 설치된 구리합금재의 클러치디스크 (30)(31)는 동력전달판(40)과 고정판(41)의 회전력과 플라이휘일(25)의 정지력이작용하는 비틀림력에 의해 슬립 및 마모시 “끽”하는 자연적인 마찰음을 발생시켜 작업자에게 작업장치의 동력전달계통에 문제가 있음을 인식시키고, 작업자는 곧바로 작업장치로 전달되는 동력을 끊어서 작업장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장치의 작업기구나 동력전달계통이 부하가 걸린상태에서 계속 동력이 전달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작업장치의 수명을 연장하고, 고장발생으로 인한 작업손실의 방지와 부품 및 수리비 등을 부담하여야 하는 경제적인 비용손실을 줄일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클러치디스크(30)(31)는 작업장치(W)에 큰 부하가 걸려 동력취출축(10)의 회전력과 동력입력축(60)의 정지력에 의해 플라이휘일(25)과 고정판(41) 및 동력전달판(40) 사이의 비틀림력 작용시 고정판(41)과 동력전달판 (40)의 강도보다 약한 구리합금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디스크의 표면이 마모와 슬립이 병행되면서 회전이 이루어져 정지력이 작용하고 있는 작업장치에 무리한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게 되어 클러치의 주요부품과 작업장치의 동력전달계통에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마모로 인해 클러치디스크(30)(31)의 두께가 감소한 경우 클러치디스크는 플라이휘일의 전·후면에 형성된 걸림턱(29a)(29b)의 외주연에 결쳐져 끼움 결합되기 때문에 회전중심부가 고정되어 어느 일측으로 편심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플라이휘일(25)의 전면에 구비된 끼움돌부(28)가 동력전달판(40)의 방열공(45) 외주연에 끼움 설치된 베어링(47) 내측으로 끼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플라이휘일(25)의 원할한 회전과 클러치디스크(30)(31)의 균일한 마모를유도할 수 있도록 하며, 동력전달판(40)의 중심부에 방열공(45)이 형성되어 클러치디스크(30)(31)의 표면에서 발생하는 마찰열을 신속히 냉각시켜 고열 발생에 따른 클러치디스크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트랙터와 작업장치 사이에 설치되는 동력전달용 클러치는 트랙터에 작업장치를 연결하여 작업하는 경우 작업기구에 부하가 걸려 작업장치으 동력전달계통이나 동력입력축의 회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무리하게 메인동력이 지속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클러치의 파손이나 작업장치의 동력전달계통 및 작업기구에 손상이 발생되는 최소화하여 작업장치의 수명을 연장하고 작업장치의 고장으로 인한 작업손실을 방지하며, 고장수리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절감하여 작업자의 편의와 노동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3)

  1. 트랙터의 후방에 결합된 작업장치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취출축(10)의 선단부와 결합되는 유니버셜죠인트(15)가 구비된 동력전달판(40)과, 동력전달판(40)의 후면에 결합되고 중앙에 관통공(46)이 형성된 고정판(41)과, 상기 동력전달판(40)과 고정판(41)의 사이에 설치되고 작업장치의 동력입력축(60) 선단부가 일측에 결합되는 원판형의 플라이휘일(25)과, 상기 플라이휘일(25)의 전·후면과 동력전달판 (40) 및 고정판(41)의 내면 사이에 끼움 설치되는 중공타입의 원판형 클러치디스크 (30)(31)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트랙터와 작업장치 사이에 설치되는 동력전달클러치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디스크(30)(31)는 트랙터에 결합된 작업장치(W)에 과부하가 걸리는 경우 동력취출축(10)의 회전력이 작업장치에 무리하게 전달되지 않도록 플라이휘일(25)의 양면에서 슬립현상을 유도하는 구리합금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동력전달판(40)의 중심부에는 클러치디스크(30)(31)의 슬립현상시 발생되는 마찰열이 방출되는 방열공(45)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방열공(45)의 내주연에는 베어링(47)이 끼움 결합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와 작업장치 사이에 설치되는 동력전달클러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이휘일(25)의 전·후면 중심부에는 클러치디스크(30)(31)의 내주연이 걸려 회전중심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소정 크기의 걸림턱(29a) (29b)이 돌출 형성되고, 작업장치의 동력입력축(60)이 결합되는 허브(27)가 형성된 배면에는 상기 동력전달판(40)의 방열공(45) 내주연에 끼움 결합된 베어링(47)의 내측으로 끼움 설치되는 끼움돌부(28)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와 작업장치 사이에 설치되는 동력전달클러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리합금재의 클러치디스크(30)(31)는 구리(Cu)와 주석(Sn)을 주성분으로 하는 청동주물 또는 구리(Cu)와 아연(Zn)을 주성분으로 하는 황동주물중 어느 하나로 제작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와 작업장치 사이에 설치되는동력전달클러치.
KR2020010025026U 2001-08-18 2001-08-18 트랙터와 작업장치 사이에 설치되는 동력전달클러치 KR2002547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026U KR200254713Y1 (ko) 2001-08-18 2001-08-18 트랙터와 작업장치 사이에 설치되는 동력전달클러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026U KR200254713Y1 (ko) 2001-08-18 2001-08-18 트랙터와 작업장치 사이에 설치되는 동력전달클러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4713Y1 true KR200254713Y1 (ko) 2001-11-24

Family

ID=73082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5026U KR200254713Y1 (ko) 2001-08-18 2001-08-18 트랙터와 작업장치 사이에 설치되는 동력전달클러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471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4463B1 (ko) 2014-07-22 2016-03-17 이병래 속선 와이어 케이블 연결장치
KR101695425B1 (ko) * 2016-06-16 2017-01-11 김준환 농기계용 조인트장치
KR102184165B1 (ko) * 2019-07-05 2020-11-27 주식회사 제이케이 간격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회전형 퀵커플러
KR102253965B1 (ko) * 2020-11-24 2021-05-20 주식회사 고려농기 농기계용 볼 클러치 조인트 어셈블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4463B1 (ko) 2014-07-22 2016-03-17 이병래 속선 와이어 케이블 연결장치
KR101695425B1 (ko) * 2016-06-16 2017-01-11 김준환 농기계용 조인트장치
KR102184165B1 (ko) * 2019-07-05 2020-11-27 주식회사 제이케이 간격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회전형 퀵커플러
KR102253965B1 (ko) * 2020-11-24 2021-05-20 주식회사 고려농기 농기계용 볼 클러치 조인트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76442A (en) Flywheel slip clutch
US4468206A (en) Torque-limiting clutch
US1828370A (en) Slip clutch
KR200254713Y1 (ko) 트랙터와 작업장치 사이에 설치되는 동력전달클러치
JPH08219207A (ja) クラッチ/ブレーキ・アセンブリ
US5570765A (en) Clutch/brake assembly
US4226312A (en) Clutch and brake mechanism
CA1220732A (en) Clutch mechanism
CA2324739C (en) Agricultural implement, in particular a mowing machine
US6464055B1 (en) Blade brake and clutch
GB2411939A (en) Power take off coupling with limited free rotation
US4804047A (en) Rotary mower and tilling device
EP0171966A1 (en) Overload clutch
US20020027054A1 (en) Friction member for a brake and clutch
US2940283A (en) Slip clutch
US6705442B1 (en) Multiple disk clutch/brake assembly
US4290512A (en) Clutch and brake mechanism
CA2451480C (en) Pto shaft brake
KR20080008688A (ko) 로터베이터 조인트장치
US3320772A (en) Clutch device
CN105889361A (zh) 农业微耕机自动离合器
KR102253965B1 (ko) 농기계용 볼 클러치 조인트 어셈블리
JP3041459B2 (ja) 摩擦クラッチ用アダプタ・クリップ
US20010025757A1 (en) Clutch for blade engagement
JPS624601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