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3153B1 - 회전형 퀵커플러용 낙하방지장치 - Google Patents
회전형 퀵커플러용 낙하방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83153B1 KR102383153B1 KR1020210169256A KR20210169256A KR102383153B1 KR 102383153 B1 KR102383153 B1 KR 102383153B1 KR 1020210169256 A KR1020210169256 A KR 1020210169256A KR 20210169256 A KR20210169256 A KR 20210169256A KR 102383153 B1 KR102383153 B1 KR 10238315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main body
- block
- rotation
- hydraulic conne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5—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with redundant latching means, e.g. for safety purpos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5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with energy coupler, e.g. coupler for hydraulic or electric lines, to provide energy to drive(s) mounted on the tool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5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electrically-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hov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장비의 암대에 연결되고, 연결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연결플레이트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회전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어태치먼트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블록; 상기 연결플레이트와 상기 회전플레이트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어태치먼트 구동에 소요되는 유압 및 상기 어태치먼트 결합 또는 분리에 요구되는 유압을 전달하는 유압연결부; 상기 본체로부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상기 회전블록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연결플레이트와 상기 회전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는 구동부; 및 상기 연결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유압연결부가 분리되어 상기 유압연결부 및 상기 회전블록이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되어 낙하될 때에 상기 유압연결부를 상기 구동부에 안착시켜 상기 회전블록이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회전형 퀵커플러용 낙하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블록의 회전운동이 장기간 지속되어 본체로부터 유압연결부가 분리되어도 유압연결부 및 회전블록이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낙하방지부가 구비되므로 중장비 구동 중에 본체로부터 유압연결부가 분리되어도 유압연결부 및 회전블록이 본체로부터 분리되어 중장비로부터 낙하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회전형 퀵커플러용 낙하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 등의 건설, 토목용 중장비에서는 브레이커, 버킷, 크러셔 등의 작업기구를 이용하여 땅을 파거나 땅에서 파낸 흙을 처리하거나 암석 등을 파쇄하는 등의 작업을 행하게 되며, 이들 작업기구들은 작업의 내용에 따라 교체하여 사용하게 된다.
종래에 작업기구를 결합하기 위한 장치는, 굴삭기의 암대 선단에 한 쌍의 결합핀으로 커플러가 결합되고, 커플러 일측에는 고정후크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가동후크가 회동 가능케 결합되며, 가동후크는 커플러 내에 장착된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회동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고정후크 및 가동후크에는 작업기구의 상측에 형성된 고정핀이 삽입되어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암대의 선단에 결합된 커플러를 작업기구의 상측에 근접시키고 고정후크에는 고정핀을 삽입시키고 타측의 가동후크에는 다른 고정핀을 결합시키게 되는데, 가동후크는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개폐작동되어 내부에 고정핀이 결합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가동후크를 작동시키는 수단으로 유압의 작용에 의해 작동하는 실린더에 의해 이루어짐으로써 운전석에서 작업기구를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편리함은 있으나 커플러의 내측에 상기 실린더로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유압 라인이 필요하게 됨으로써 장치가 복잡해지고 코스트가 상승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내재되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굴삭기용 퀵커플러가 개발되었으며, 종래기술에 따른 굴삭기용 퀵커플러의 가동후크는 간격을 두고 설치된 지지판에 결합된 힌지핀에 결합된 힌지부를 포함하고, 가동후크의 배면 측에는 안전핀이 삽입 설치되고, 전면 측에는 가동후크의 전면에 결합된 보스에 로킹판을 관통하여 로킹볼트가 분리 가능하게 체결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18331호(2009년 11월 18일 공개, 발명의 명칭 : 굴삭기용 퀵커플러)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종래기술에 따른 퀵커플러는, 다양한 작동을 구현하기 위해 암대에 연결되는 본체와, 어태치먼트가 연결되는 블록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형 퀵커플러가 개발되었으나 회전형 퀵커플러는 장기간 회전운동에 의해 본체와 회전블록을 연결하는 유압연결부가 본체로부터 분리되면 본체와 회전블록이 분리되어 중장비 구동 중에 회전블록이 낙하되는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회전블록의 회전운동이 장기간 지속되어 본체로부터 유압연결부가 분리되어도 유압연결부 및 회전블록이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낙하방지부가 구비되므로 중장비 구동 중에 본체로부터 유압연결부가 분리되어도 유압연결부 및 회전블록이 본체로부터 분리되어 중장비로부터 낙하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회전형 퀵커플러용 낙하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중장비의 암대에 연결되고, 연결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연결플레이트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회전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어태치먼트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블록; 상기 연결플레이트와 상기 회전플레이트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어태치먼트 구동에 소요되는 유압 및 상기 어태치먼트 결합 또는 분리에 요구되는 유압을 전달하는 유압연결부; 상기 본체로부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상기 회전블록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연결플레이트와 상기 회전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는 구동부; 및 상기 연결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유압연결부가 분리되어 상기 유압연결부 및 상기 회전블록이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되어 낙하될 때에 상기 유압연결부를 상기 구동부에 안착시켜 상기 회전블록이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유압연결부에 형성되는 단턱부; 및 상기 단턱부에 결합되고, 상기 유압연결부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결합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결합링의 외경은 상기 구동부의 전달기어 홀부 내경과 비교하여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결합링에는 상기 구동부의 체결볼트에 안착되는 걸림턱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결합링의 외벽은 상기 구동부의 전달기어 홀부 내경과 비교하여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전달기어를 상기 회전플레이트에 결합시키는 복수 개의 체결볼트 사이의 간격과 비교하여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유압연결부의 구동블록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외경은, 상기 구동부의 전달기어 홀부의 내경과 비교하여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퀵커플러용 낙하방지장치는, 유압연결부의 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므로 유압연결부가 본체로부터 분리되어도 전달기어의 홀부를 따라 낙하되는 유압연결부가 돌출부에 의해 전달기어에 안착되면서 유압연결부가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유압연결부와 연결되는 회전블록이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중장비 구동 중에 회전블록이 중장비로부터 낙하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퀵커플러용 낙하방지장치는, 유압연결부를 이루는 구동블록의 둘레면에 단턱부가 형성되고, 단턱부에 나사결합되는 결합링에 의해 고정블록의 상단이 측 방향으로 넓어지는 돌출부를 이루므로 유압연결부의 상단에 손쉽게 돌출부를 성형할 수 있어 낙하방지부의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퀵커플러용 낙하방지장치는, 결합링의 외경이 전달기어의 홀부 내경 보다 크고, 전달기어를 회전플레이트에 결합시키는 체결볼트 사이의 간격 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유압연결부가 연결플레이트로부터 분리되어 낙하될 때에 결합링이 체결볼트와 간섭되지 않고 전달기어의 상단에 안착되므로 유압연결부를 연결플레이트에 재결합시키는 수리작업이 진행될 때에 체결볼트의 교체작업이 생략될 수 있어 퀵커플러의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퀵커플러용 낙하방지장치의 결합링에는 체결볼트의 머리부 모서리에 안착되는 걸림턱부가 형성되므로 유압연결부가 연결플레이트로부터 분리되어 낙하될 때에 결합링이 체결볼트 머리부에 안착되면서 체결볼트 머리부가 걸림턱부에 밀착되게 배치되어 유압연결부가 전달기어 내측에서 유동되면서 전달기어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유압연결부의 재설치를 진행하는 수리작업 중에 전달기어의 교체를 생략할 수 있어 퀵커플러 유지 보수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퀵커플러용 낙하방지장치는, 유압연결부가 연결플레이트로부터 분리되어 낙하될 때에 전달기어에 안착되며 유압연결부가 본체로부터 분리되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돌출부가 구동블록과 일체로 형성되므로 구동블록 제작 시에 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구동블록을 제작하면 돌출부 제작 및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낙하방지장치를 구비하는 회전형 퀵커플러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낙하방지장치를 구비하는 회전형 퀵커플러가 도시된 분해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낙하방지장치를 구비하는 회전형 퀵커플러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낙하방지장치를 구비하는 퀵커플러의 낙하방지부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낙하방지장치를 구비하는 퀵커플러의 낙하방지부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낙하방지장치를 구비하는 퀵커플러의 낙하방지부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낙하방지장치를 구비하는 퀵커플러의 낙하방지부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낙하방지장치를 구비하는 회전형 퀵커플러가 도시된 분해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낙하방지장치를 구비하는 회전형 퀵커플러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낙하방지장치를 구비하는 퀵커플러의 낙하방지부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낙하방지장치를 구비하는 퀵커플러의 낙하방지부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낙하방지장치를 구비하는 퀵커플러의 낙하방지부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낙하방지장치를 구비하는 퀵커플러의 낙하방지부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퀵커플러용 낙하방지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낙하방지장치를 구비하는 회전형 퀵커플러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낙하방지장치를 구비하는 회전형 퀵커플러가 도시된 분해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낙하방지장치를 구비하는 회전형 퀵커플러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낙하방지장치를 구비하는 퀵커플러의 낙하방지부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퀵커플러는, 중장비의 암대에 연결되고, 연결플레이트(12)를 구비하는 본체(10)와, 연결플레이트(12)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회전플레이트(32)를 구비하고, 유압연결부(50)에 의해 연결플레이트(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어태치먼트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블록(30)과, 본체(10)로부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블록(30)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도록 연결플레이트(12)와 회전플레이트(32) 사이에 구비되는 구동부(34)와, 구동부(34)의 작동에 의해 회전블록(30)의 회전운동이 진행되는 동안에도 회전블록(30)에 구비되는 가동후크에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연결부(50)와, 장기간 구동에 의해 본체(10)와 회전블록(30) 사이에 간극이 설정치 이상 넓어지는 형성되는 경우에 작업자가 본체(10)와 회전블록(30)을 분해하지 않고 간단한 조작에 의해 본체(10)와 회전블록(30) 사이의 간극을 상쇄시킬 수 있는 간극조절부(70)와, 본체(10)와 회전블록(30) 사이의 간극이 조절된 후에 회전블록(30)의 회전운동의 진동에 의해 간극조절부(70)의 잠금상태가 해제되어 본체(10)와 회전블록(30) 사이의 간극이 다시 넓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풀림방지부(80)와, 회전블록(30)이 구동되는 동안에 유압연결부(50)와 연결플레이트(12)의 연결부위가 파손되어도 유압연결부(50)가 본체(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낙하방지부(90)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구동부(34)의 동력이 회전블록(30)에 전달되면서 회전블록(30)에 연결되는 어태치먼트가 다양한 작동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구동부(34)는, 회전플레이트(32)에 설치되는 전달기어(38)와, 전달기어(38)에 웜기어 방식으로 기어연결되고, 연결플레이트(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기어샤프트(36)와, 기어샤프트(36)에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39)와, 전달기어(38), 기어샤프트(36) 및 모터(39)를 감싸도록 연결플레이트(12)에 설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회전블록(30)의 회전운동이 진행되는 동안에도 회전블록(30)에 구비되는 가동후크에 유압을 제공하도록 유압연결부(50)가 연결플레이트(12)를 관통하여 회전블록(30)에 연결되고, 본 실시예의 유압연결부(50)는, 본체(10)에 설치되고, 유압발생기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이 통과되는 유로를 구비하는 고정블록(52)과, 고정블록(5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고정블록(52)의 유로와 서로 연결되어 통하도록 유로가 형성되어 회전블록(30)에 연결되는 구동블록(54)을 포함한다.
따라서 회전블록(30)이 본체(10)로부터 회전되어도 고정블록(52)으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이 구동블록(54)의 유로를 따라 회전블록(30)에 공급되어 회전블록(30)에 구비되는 가동후크를 구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모터(39) 및 동력전달부(34)의 작동에 의해 본체(10)로부터 회전블록(30)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운동이 장기간 동안 지속되면 연결플레이트(12)와 전달기어(38) 사이에 간극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전달기어(38)와 연결플레이트(12) 사이에 간극이 발생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는 간극조절부(70)가 구비되므로 작업자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연결플레이트(12)와 구동부(34) 사이의 간격을 상쇄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간극조절부(70)는, 연결플레이트(12)로부터 구동부(34) 측으로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하도록 구동부에 설치되는 가압부재(72)와, 가압부재(72)와 연결되고, 가압부재(72)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조작력을 제공하도록 연결플레이트(12)를 관통하여 본체(10) 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조작부재(74)를 포함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조작부재(74)를 조작하여 가압부재(72)를 전달기어 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연결플레이트(12)와 전달기어(38) 사이의 간극이 가압부재(72)에 의해 상쇄되어 본체(10)와 회전블록(30) 사이에 발생되는 간극에 의해 회전블록(30)이 유동되는 오작동 및 회전블록(30) 연결부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가압부재(72)는, 하우징에 나사결합되는 링기어부재를 포함하고, 링기어부재는, 외벽에 제1나사산(72b)이 형성되고, 하우징의 제2나사산(76)에 나사결합되며, 내벽에 조작부재(74)와 기어연결되는 제1기어치(72a)가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조작부재(74)는 제1기어치(72a)에 기어연결되는 제2기어치(74a)를 구비하고, 연결플레이트(12)를 회전 가능하게 관통하는 회전축을 구비하는 피니언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조작부재(74)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피니언부재로 이루어지는 조작부재(74)의 제2기어치(74a)와 제1기어치(72a)에 의해 링기어부재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데, 이때, 링기어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나사산(72b)이 하우징의 제2나사산(76)을 따라 회전되면서 전달기어(38) 측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링기어부재가 전달기어(38)의 상면을 회전플레이트(32) 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링기어부재가 전달기어(38)의 상면을 회전플레이트(32) 측으로 가압하면 전달기어(38)가 회전플레이트(32) 상면에 밀착되면서 전달기어(38)와 회전플레이트(32) 사이의 간극이 좁아지고, 전달기어(38)와 연결플레이트(12) 사이의 간극에 링기어부재 및 하우징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이 충진되면서 연결플레이트(12)와 전달기어(38) 사이의 간극이 상쇄되는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회전블록(30)이 회전되면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조작부재(74)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풀림방지부(80)를 더 포함하므로 조작부재(74)를 조작하여 연결플레이트(12)와 전달기어(38) 사이의 간극을 상쇄시킨 후에 굴삭기의 구동이 진행되면서 회전블록(30)이 회전될 때에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조작부재(74)가 작업자의 의도와 다르게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회전블록(30)의 구동에 의해 조작부재(74)의 조임상태가 해제되면서 가압부재(72)와 전달기어(38)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회전블록(30)의 회전운동에 의해 발생되는 오작동 및 파손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풀림방지부(80)는, 회전축이 구속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구속홈부(84)를 구비하고, 고정홀부(86)가 형성되어 연결플레이트(12)에 안착되는 브래킷(82)과, 고정홀부(86)에 삽입되고 연결플레이트(12)에 결합되어 브래킷(82)을 고정시키는 체결부재(87)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조작부재(74)는 브래킷(82)의 구속홈부(84)에 삽입되어 회전운동이 구속되고, 작업자가 조작부재(74)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체결부재(87)를 브래킷(82)으로부터 해체시켜 분리시킨 후에 브래킷(82)을 조작부재(74)로부터 분리시켜 조작부재(74)의 구속상태를 해제하고, 전동 공구 등을 사용하여 조작부재(74)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가압부재(72)를 이동시키고, 조작이 완료된 후에 브래킷(82)을 조작부재(74)의 상단에 끼운 후에 체결부재(87)를 고정홀부(86)에 삽입하여 연결플레이트(12)에 결합시켜 조작부재(74)를 구속시키게 된다.
조작부재(74)의 상단은 사각기둥 등과 같은 다각형의 단면으로 형성되므로 조작부재(74)의 상단을 구속홈부(84)에 끼우면 조작부재(74)의 상단 외벽이 구속홈부(84) 내벽에 밀착되면서 조작부재(74)의 회전운동을 구속하게 되고, 브래킷(82)의 타단은 체결부재(87)에 의해 고정되므로 브래킷(82)의 구속홈부(84)에 삽입된 조작부재(74)의 회전운동이 구속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체(10)와 회전블록(30)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상쇄시켜도 회전블록(30)의 구동이 장기간 계속 진행되면 유압연결부(50)와 연결플레이트(12) 사이의 연결부위가 파손되면서 회전블록(30)이 본체(10)로부터 분리되어 낙하되는 낙하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는 유압연결부(50)가 연결플레이트(12)로부터 분리되어도 회전블록(30)이 본체(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낙하방지부(90)가 구비되므로 회전블록(30)의 낙하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낙하방지부(90)는, 연결플레이트(12)로부터 유압연결부(50)가 분리되어 유압연결부(50) 및 회전블록(30)이 본체(10)로부터 분리되어 낙하될 때에 유압연결부(50)를 구동부(34)에 안착시켜 회전블록(30)이 본체(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돌출부(92)를 포함한다.
따라서 회전블록(30)이 장기간 구동되어 연결플레이트(12)에 결합되는 고정블록(52)이 연결플레이트(12)와 분리되면 고정블록(52), 구동블록(54) 및 회전블록(30)이 본체(10)로부터 분리되어 중장비의 암대로부터 분리되어 낙하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는, 고정블록(52) 및 구동블록(54)이 분리되어 본체(10) 외측으로 분리될 때에 구동블록(54)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92)가 전달기어(38)의 상단에 안착되면서 구동블록(54)이 전달기어(38) 외측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블록(54)이 연결플레이트(12)로부터 분리되는 파손이 발생되는 경우에 돌출부(92)가 전달기어(38)의 상면에 안착되면서 고정블록(52), 구동블록(54) 및 회전블록(30)이 본체(10)로부터 분리되는 낙하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굴삭기 구동 중에 회전블록(30)이 낙하되면서 발생되는 작업자의 피해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돌출부(92)는, 유압연결부(50)에 형성되는 단턱부(97)와, 단턱부(97)에 결합되고, 유압연결부(5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결합링(94)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고정블록(54) 둘레면 상단에는 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단턱부(97)가 형성되고, 단턱부(97)에 형성되는 제4나사산(96)과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제3나사산(96)이 형성되어 단턱부(97)에 결합되는 결합링(94)이 단턱부(97)에 결합되어 돌출부(92)를 이루게 된다.
결합링(94)의 폭은, 닥턱부(97)의 넓이와 비교하여 넓게 형성되므로 단턱부(97)에 결합링(94)을 체결하면 고정블록(54)의 상단 둘레면 외측으로 링 모양의 돌출부(92)가 형성되고, 돌출부(92)의 외경은 전달기어(38)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홀부의 내경과 비교하여 크게 형성되므로 고정블록(52)이 연결플레이트(12)와 분리되어 유압연결부(50)가 전달기어(38)의 홀부를 따라 하측 방향으로 낙하될 때에 돌출부(92)가 전달기어(38)의 내경에 삽입되지 못하고 전달기어(38)의 상면에 안착되어 구동블록(54), 고정블록(52) 및 회전블록(30)이 본체(10) 외측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돌출부(92)는, 유압연결부(50)를 이루는 구동블록(54)의 둘레면에 단턱부(97)가 형성되고, 단턱부(97)에 나사결합되는 결합링(94)에 의해 고정블록(54)의 상단이 측 방향으로 넓어지는 돌출부(92)를 이루므로 유압연결부(50)의 상단에 손쉽게 돌출부(92)를 성형할 수 있어 낙하방지부(90)의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구동블록(54) 상단 테두리에 단턱부(97)를 가공하고 제4나사산(98)을 성형하면 결합링(94)을 단턱부(97)에 체결하여 돌출부(92)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결합링(94)은, 외경이 전달기어(38)의 홀부 내경 보다 크고, 전달기어(38)를 회전플레이트(32)에 결합시키는 체결볼트(57) 사이의 간격 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유압연결부(50)가 연결플레이트(12)로부터 분리되어 낙하될 때에 결합링(94)이 체결볼트(57)와 간섭되지 않고 전달기어(38)의 상단에 안착되므로 유압연결부(50)를 연결플레이트(12)에 재결합시키는 수리작업이 진행될 때에 체결볼트(57)의 교체작업이 생략될 수 있어 퀵커플러의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미설명 부호 77 및 78은 조작부재(74)의 상단을 연결플레이트(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 제1베어링(77) 및 제2베어링(78)이고, 미설명 부호 79 및 88은, 브래킷(82)과 제1베어링(77) 사이에 개재되는 제1와셔(79)와, 체결부재(87)의 머리부와 브래킷(82) 사이에 개재되는 제2와셔(88)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낙하방지장치를 구비하는 퀵커플러의 낙하방지부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낙하방지장치를 구비하는 퀵커플러의 낙하방지부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낙하방지장치를 구비하는 퀵커플러의 낙하방지부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퀵커플러용 낙하방지장치는, 결합링(94)의 외경이 구동부(34)의 전달기어(38) 홀부 내경과 비교하여 크게 형성되므로 유압연결부(50)가 낙하될 때에 돌출부(92)를 이루는 결합링(94)이 체결볼트(57) 머리부에 안착되어 유압연결부(50) 및 회전블록(30)의 낙하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퀵커플러용 낙하방지장치의 결합링(94)에는 체결볼트(57)의 머리부 모서리에 안착되는 걸림턱부(94a)가 형성되므로 유압연결부(50)가 연결플레이트(12)로부터 분리되어 낙하될 때에 결합링(940이 체결볼트(57) 머리부에 안착되면서 체결볼트(57) 머리부가 걸림턱부(94a)에 밀착되게 배치되어 유압연결부(50)가 전달기어(38) 내측에서 유동되면서 전달기어(38)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유압연결부(50)의 재설치를 진행하는 수리작업 중에 전달기어(38)의 교체를 생략할 수 있어 퀵커플러 유지 보수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퀵커플러용 낙하방지장치의 돌출부(92)는 유압연결부(50)의 구동블록(54)과 일체로 형성되고, 돌출부(92)의 외경은, 구동부(34)의 전달기어(38) 홀부의 내경과 비교하여 크게 형성되므로 구동블록(54) 제작 시에 돌출부(92)가 일체로 형성되는 구동블록(54)을 제작하면 돌출부(92) 제작 및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회전블록의 회전운동이 장기간 지속되어 본체로부터 유압연결부가 분리되어도 유압연결부 및 회전블록이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낙하방지부가 구비되므로 중장비 구동 중에 본체로부터 유압연결부가 분리되어도 유압연결부 및 회전블록이 본체로부터 분리되어 중장비로부터 낙하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회전형 퀵커플러용 낙하방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회전형 퀵커플러용 낙하방지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회전형 퀵커플러용 낙하방지장치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낙하방지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본체 12 : 연결플레이트
30 : 회전블록 32 : 회전플레이트
34 : 동력전달부 36 : 기어샤프트
38 : 전달기어 39 : 모터
50 : 유압연결부 52 : 고정블록
54 : 구동블록 57 : 체결볼트
70 : 간극조절부 72 : 링기어부재
72a : 제1기어치 72b : 제1나사산
74 : 피니언부재 74a : 제2기어치
76 : 제2나사산 77 : 제1베어링
78 : 제2베어링 79 : 제1와셔
80 : 풀림방지부 82 : 브래킷
84 : 구속홈부 86 : 고정홀부
87 : 체결부재 88 : 제2와셔
90 : 낙하방지부 92 : 돌출부
94 : 결합링 96 : 제3나사산
97 : 단턱부 98 : 제4나사산
30 : 회전블록 32 : 회전플레이트
34 : 동력전달부 36 : 기어샤프트
38 : 전달기어 39 : 모터
50 : 유압연결부 52 : 고정블록
54 : 구동블록 57 : 체결볼트
70 : 간극조절부 72 : 링기어부재
72a : 제1기어치 72b : 제1나사산
74 : 피니언부재 74a : 제2기어치
76 : 제2나사산 77 : 제1베어링
78 : 제2베어링 79 : 제1와셔
80 : 풀림방지부 82 : 브래킷
84 : 구속홈부 86 : 고정홀부
87 : 체결부재 88 : 제2와셔
90 : 낙하방지부 92 : 돌출부
94 : 결합링 96 : 제3나사산
97 : 단턱부 98 : 제4나사산
Claims (6)
- 중장비의 암대에 연결되고, 연결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연결플레이트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회전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어태치먼트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블록;
상기 연결플레이트와 상기 회전플레이트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어태치먼트 구동에 소요되는 유압 및 상기 어태치먼트 결합 또는 분리에 요구되는 유압을 전달하는 유압연결부;
상기 본체로부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상기 회전블록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연결플레이트와 상기 회전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는 구동부; 및
상기 연결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유압연결부가 분리되어 상기 유압연결부 및 상기 회전블록이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되어 낙하될 때에 상기 유압연결부를 상기 구동부에 안착시켜 상기 회전블록이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유압연결부에 형성되는 단턱부; 및
상기 단턱부에 결합되고, 상기 유압연결부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결합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퀵커플러용 낙하방지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링의 외경은 상기 구동부의 전달기어 홀부 내경과 비교하여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퀵커플러용 낙하방지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링에는 상기 구동부의 체결볼트에 안착되는 걸림턱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퀵커플러용 낙하방지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링의 외벽은 상기 구동부의 전달기어 홀부 내경과 비교하여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전달기어를 상기 회전플레이트에 결합시키는 복수 개의 체결볼트 사이의 간격과 비교하여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퀵커플러용 낙하방지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69256A KR102383153B1 (ko) | 2021-11-30 | 2021-11-30 | 회전형 퀵커플러용 낙하방지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69256A KR102383153B1 (ko) | 2021-11-30 | 2021-11-30 | 회전형 퀵커플러용 낙하방지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83153B1 true KR102383153B1 (ko) | 2022-04-08 |
Family
ID=81183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69256A KR102383153B1 (ko) | 2021-11-30 | 2021-11-30 | 회전형 퀵커플러용 낙하방지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8315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09616B1 (ko) * | 2024-02-21 | 2024-09-25 | 주식회사 제이케이 | 간극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회전형 퀵커플러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83958B1 (ko) * | 2016-10-21 | 2017-10-10 | 주식회사 제이케이 | 회전형 퀵커플러 |
KR20200133115A (ko) * | 2019-05-17 | 2020-11-26 | 주식회사 에버다임 | 굴삭기용 회전식 퀵커플러 |
KR102184166B1 (ko) * | 2019-09-20 | 2020-11-27 | 주식회사 제이케이 | 간격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틸트형 회전 퀵커플러 |
KR102184165B1 (ko) * | 2019-07-05 | 2020-11-27 | 주식회사 제이케이 | 간격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회전형 퀵커플러 |
KR20210006198A (ko) * | 2019-07-08 | 2021-01-18 | 주식회사 제이케이 | 배관 인입부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회전형 퀵커플러 |
KR102281292B1 (ko) * | 2020-11-23 | 2021-07-23 | (주)효성테크 | 마모보상장치를 갖는 굴착기용 회전커플러 |
-
2021
- 2021-11-30 KR KR1020210169256A patent/KR10238315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83958B1 (ko) * | 2016-10-21 | 2017-10-10 | 주식회사 제이케이 | 회전형 퀵커플러 |
KR20200133115A (ko) * | 2019-05-17 | 2020-11-26 | 주식회사 에버다임 | 굴삭기용 회전식 퀵커플러 |
KR102184165B1 (ko) * | 2019-07-05 | 2020-11-27 | 주식회사 제이케이 | 간격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회전형 퀵커플러 |
KR20210006198A (ko) * | 2019-07-08 | 2021-01-18 | 주식회사 제이케이 | 배관 인입부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회전형 퀵커플러 |
KR102184166B1 (ko) * | 2019-09-20 | 2020-11-27 | 주식회사 제이케이 | 간격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틸트형 회전 퀵커플러 |
KR102281292B1 (ko) * | 2020-11-23 | 2021-07-23 | (주)효성테크 | 마모보상장치를 갖는 굴착기용 회전커플러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09616B1 (ko) * | 2024-02-21 | 2024-09-25 | 주식회사 제이케이 | 간극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회전형 퀵커플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27205B1 (ko) | 배관 인입부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회전형 퀵커플러 | |
KR101783958B1 (ko) | 회전형 퀵커플러 | |
US5431528A (en) | Quick coupling arrangement for excavator buckets and the like | |
KR102184165B1 (ko) | 간격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회전형 퀵커플러 | |
US5494396A (en) | Coupling device for a work implement | |
KR102383153B1 (ko) | 회전형 퀵커플러용 낙하방지장치 | |
EP0608641B1 (en) | Breaking equipment | |
KR102383152B1 (ko) | 회전형 퀵커플러용 간극조절장치 | |
KR102558578B1 (ko) | 굴삭기용 틸트 로테이터장치 | |
US20150053450A1 (en) | Stator for a hydraulic work tool assembly | |
KR102354497B1 (ko) | 회전형 퀵커플러용 유격조절장치 | |
US3481640A (en) | Means for orientating the earth working implement of a mechanical earth working machine | |
US3247986A (en) | Tool connection units for earth working machinery | |
KR102300610B1 (ko) | 회전 변환 멀티 링크 | |
KR200319901Y1 (ko) | 유압파쇄기의 크러셔 죠 간극조정장치 | |
JP3030396B2 (ja) | 掘削機におけるバケット等の作業具の作動装置 | |
KR102425356B1 (ko) | 퀵커플러용 고정블록 회전방지장치 | |
KR102629729B1 (ko) | 굴착기 어태치먼트의 회전 구조체 | |
KR102709616B1 (ko) | 간극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회전형 퀵커플러 | |
KR102467902B1 (ko) | 회전형 퀵커플러용 유압공급장치 | |
WO2020027057A1 (ja) | ショベル | |
CN218258326U (zh) | 操纵台及作业机械 | |
KR102713421B1 (ko) | 중장비용 조향 핸들유닛 | |
KR102674014B1 (ko) | 퀵커플러용 분리방지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
JP3337532B2 (ja) | 作業機具の取付け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