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8858B1 - 고혈당 개선용 음식품 - Google Patents

고혈당 개선용 음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8858B1
KR100998858B1 KR1020077013583A KR20077013583A KR100998858B1 KR 100998858 B1 KR100998858 B1 KR 100998858B1 KR 1020077013583 A KR1020077013583 A KR 1020077013583A KR 20077013583 A KR20077013583 A KR 20077013583A KR 100998858 B1 KR100998858 B1 KR 100998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food
formula
present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3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6279A (ko
Inventor
류이치 히구치
마사노리 이나가키
히로토시 하야사와
무네오 야마다
미유키 다나카
에리코 미사와
노리코 와키모토
요스케 이토
Original Assignee
모리나가 뉴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나가 뉴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나가 뉴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86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6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8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8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6Aloeaceae (Aloe family), e.g. aloe ver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23L33/11Plant sterols or derivatives thereof, e.g. phytoster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75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hree or more carbon atoms, e.g. cholane, cholestane, ergosterol, sitoste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kidne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JSTEROIDS
    • C07J9/00Normal steroids containing carbon, hydrogen, halogen or oxygen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more than two carbon atoms, e.g. cholane, cholestane, coprosta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iabet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Neuro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besity (AREA)
  • Hemat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4-메틸콜레스트-7-엔-3-올, 4-메틸에르고스트-7-엔-3-올 및 4-메틸스티그마스트-7-엔-3-올 등의 고혈당 개선작용 및 헤모글로빈 A1c 값 저하작용을 갖는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고혈당 개선용 의약 또는 음식품에 관한 것이다.
4-메틸콜레스트-7-엔-3-올, 4-메틸에르고스트-7-엔-3-올 및 4-메틸스티그마스트-7-엔-3-올, 고혈당 개선, 헤모글로빈 A1c 값

Description

고혈당 개선용 음식품{Foods and drinks for ameliorating hyperglycemia}
도 1은 본 발명의 화합물을 투여한 마우스의 통상 혈당치의 경시적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투여한 마우스의 공복시 혈당치의 경시적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저혈당을 일으키지 않고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으며, 헤모글로빈 A1c 값을 저하시키는 장기 혈당치 조절 작용을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고혈당 개선용 의약 또는 음식품에 관한 것이다.
헤모글로빈 A1c는 글루코스와 헤모글로빈의 결합물로, 당 농도에 의존하여 고혈당의 정도에 따라 증가하며, 한번 생성된 헤모글로빈 A1c는 적혈구 수명(120일)이 끝날 때까지 소멸되지 않기 때문에, 과거 장기간의 혈당 조절 상태를 반영한다[참조: 일본 임상, 통권 제748호, 제1권, 제615 ∼ 617페이지, 1999년]. 헤모글로빈 A1c는 1996년부터 노인건강법 기본 건강심사의 선택검사에 채용되고 있으며, 1999년의 당뇨병 신진단 기준에서는 당뇨병의 보조적인 진단 지표로서 채용되고 있는 점에서 임상적으로 큰 의의가 있는 지표라고 생각된다[참조: 일본 임상, 통권 제808호, 제2권, 제405 ∼ 409페이지, 2002년].
고혈당 상태가 지속되면, 글루코스 특이적 인슐린 분비 부전과 인슐린 저항성이 확인되고, 고혈당을 보다 악화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참조: 야자키 요시오·무라마쓰 마사히로 감수, 「당뇨병의 최전선」, 제126 ∼ 139페이지, 요도사, 1997년]. 고혈당 상태로부터 당뇨병의 발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혈당치 조절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헤모글로빈 A1c 값의 상승을 억제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전당뇨병(당뇨병으로 의심되는 상태)에 있어서 혈당치를 조절하기 위해, 식사요법이나 운동이 추진되고 있다. 식후의 혈당치 상승을 억제하기 위한 기능성 식품(특정 보건용 식품)에는 다양한 것이 이미 판매되고 있지만, 모두 일과성의 혈당치 상승 억제 효과에 불과하다. 따라서, 장기간에 걸친 혈당치의 조절까지는 기대할 수 없을 뿐 아니라, 헤모글로빈 A1c 저하 작용 물질의 개발이 갈망되고 있다.
또한, 현재 당뇨병 치료약으로서는 α-글루코시다제 억제제, 인슐린 분비 촉진제로서 설포닐우레아 약제, 또는 인슐린 저항성 개선약으로서 티아졸리딘 유도체 등이 의약품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의 약효는 만족할 만한 것은 아니며, 또한 혈당이 급격히 내려감으로써 혼수상태를 일으키는 부작용 등의 문제도 많다.
이상의 상황으로부터, 저혈당을 일으키지 않고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으며, 헤모글로빈 A1c 값을 저하시키는 장기 혈당치 조절 작용을 갖는 약제가 갈망되고 있다.
종래, 선행 기술 문헌에는 혈당치의 상승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바나바에 유래하는 성분을 포함하는 혈당치 상승 억제제[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3-095941호], 맥류 발효물의 농축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혈당치 상승 억제제[참조: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2-371003호] 등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트리테르펜 배당체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기술로서는, 예를 들면, 김네마 이노도럼(Gymnema inodorum)으로부터 추출된 배당체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당뇨병 예방제[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05-247086호], 바나바로부터 추출된 코로솔산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대사 개선방법 및 이를 위한 조성물[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2-205949호], 리파제 억제제[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09-040689호], 면역 억제 활성을 갖는 트리테르펜 유도체[참조: 일본 국제공개특허공보 제(평)11-511482호]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라노스탄 골격 또는 3,4-세코라노스탄 골격을 갖는 화합물에 의한 인슐린 작용 증강 활성[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10-330266호]은, 췌장 질환에 대한 효과는 불명확하지만, 지방 세포의 분화 조절에 있어서의 인슐린의 작용을 증강시키는 것으로서 기재되어 있다.
또한, 스테로이드 기본 골격 부분에 이중 결합을 포함하지 않는 24-알킬콜레스텐-3-온 및 24-알킬콜레스탄-3-온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이 혈당 강하제로서 기재되어 있다[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3-048837호].
그런데, 원료 페놀(4-메틸콜레스트-7-엔-3-올의 입체 이성체의 일종)은 식물에서 스쿠알란으로부터 출발하는 생합성 경로의 중간체인 것이 공지되어 있다[참조: 생물화학 실험법, 24권, 지방 지질대사 실험법, 174페이지, 야마다 아키히로저, 학회 출판센터, 1989년]. 그러나, 이 화합물에서의 선행기술에 관해서는 원료 페놀의 생합성계에 관한 것 뿐이며[참조: Chem. Pharm. Bull., 제624 ∼ 626페이지, 1993년], 이의 용도에 관해서는 완전히 미지의 것이다.
백합과 알로에속은, 알로에베라(Aloe barbadensis Miller) 또는 키다치 알로에(Aloe arborescen Miller var. natalensis Berger) 등을 포함하는 식물군으로, 다양한 효능이 있는 것이 경험적으로 공지되어 있으며, 알로에속 식물의 용도에 관한 선행 기술 문헌에는 면역 개질성 다당류[참조: 일본 국제공개특허공보 제2001-520019호], 알로에 추출물의 부탄올 분획 또는 알로인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 억제 개선제[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08-208495호], HSP60 패밀리에 속하는 단백질의 알로인 유도체 포함 합성 억제제[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10-12057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10-04560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10-036271호], 알로에 엽피 유래의 렉틴 활성 단백질[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09-059298호] 등이 기재되어 있다.
알로에속 식물의 혈당치 개선에 관한 선행 기술 문헌에는 미국에서의 임상시험[참조: Phytomedicine, 제3권, 제245 ∼ 248페이지, 1996년], 동물에서의 혈당치 강하 작용[참조: Phytotherapy Research, 제15권, 제157 ∼ 161페이지, 2001년; Phytotherapy Research, 제7권, 제37 ∼ 42페이지, 1993년], 알로에속 식물 중의 다당류[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소)60-214741호]가 기재되어 있지만, 이러한 선행 기술에서는 알로에속 식물의 혈당치 강하 작용 성분은 다당류 또는 당단백질로 예측되고 있다. 또한, 알로에 베라 압착액 및 당해 압착액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혈당치 강하제[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3-286185호]에서는 FT-IR 차트에서 에스테르 그룹 특유의 피크가 활성과 상관되며, 유효 성분은 다당류, 아미노산, 말산 등이며, 또한 시판중인 알로에 베라 겔 분말, 알로에 베라 겔 액 또는 알로에 베라 겔 추출액에서는 상기 유효 성분이 손상되어 있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이외에도, 알로에 다당류에 있어서의 혈당치 강하 작용[참조: 미국 특허 제4598069호 명세서], 알로에에 포함되는 7-하이드록시크로몬(hydroxychromone)의 항산화 작용[참조: 미국 특허출원공개 제2003/0207818호 명세서]이 각각 기재되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저혈당을 일으키지 않고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으며, 또한 헤모글로빈 A1c 값을 저하시키는 장기 혈당치 조절 작용을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고혈당 개선용 의약 또는 음식품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 등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려고 예의 연구한 결과, 식물에 폭넓게 포함되어 있는 원료 페놀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 저혈당을 일으키지 않고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으며, 또한 헤모글로빈 A1c 값을 저하시키는 장기 혈당치 조절 작용을 갖는다는 것을 밝혀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발견에 근거하여 완성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고혈당 개선용 의약 또는 음식품을 제공한다.
Figure 112007043517797-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탄소수 5 내지 16의 직쇄 또는 측쇄의 탄화수소 그룹으로서, 이중결합을 전혀 포함하지 않거나 1개 또는 2개 포함할 수 있고, 하이드록실 그룹 및/또는 카보닐 그룹을 포함할 수 있고,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 그룹 또는 탄소수 1 내지 3의 치환된 알킬 그룹이며,
R4는 환을 구성하는 탄소원자와 함께 C=O를 형성하거나, -OH 또는 -OCOCH3이다.
R2 및 R3 중의 하나가 수소원자이며, 다른 하나가 메틸 그룹이며, R4가 하이드록실 그룹인 것을 바람직한 형태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의약 또는 음식품은 상기 R1이 하기 화학식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바람직한 양태로 하고 있다:
-CH2-CH2-CH(-CH2-CH3)-CH(CH3)2
-CH2-CH2-CH=C(CH3)2
-CH2-CH=C(CH3)-CH(CH3)2
-CH2-CH2-C(=CH-CH3)-CH(CH3)2
-CH2-CH2-CH(Ra)=C(CH3)Rb
삭제
(여기서, Ra 및 Rb는 -H,-OH 또는 -CH3이다)
-CH2-CH2-CH(Rc)-CH(CH3)Rd
삭제
(여기서, Rc 및 Rd는 -H, -OH 또는 -CH3이다)
또한, 상기 의약 또는 음식품은 상기 화합물이 4-메틸콜레스트-7-엔-3-올, 4-메틸에르고스트-7-엔-3-올 및 4-메틸스티그마스트-7-엔-3-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바람직한 양태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의약은 상기 화합물을 건조 질량으로 0.001 내지 10질량% 포함하는 것을 바람직한 양태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음식품은 상기 화합물을 건조 질량으로 0.0001 내지 1질량% 포함하는 것을 바람직한 양태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식물의 유기 용매 추출물 또는 열수 추출물, 또는 이들의 분획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화합물을 건조 질량으로 O.001 내지 10질량% 포함하는 조성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고혈당 개선용 의약 또는 상기 화합물을 건조 질량으로 O.0001 내지 1질량% 포함하는 조성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고혈당 개선용 음식품을 각각 제공한다.
상기 의약 또는 음식품은 상기 식물이 백합과 식물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백합과 식물이 알로에속으로 분류되는 식물인 것을 특히 바람직한 양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고혈당 개선 작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고혈당 개선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라는 표시를 부착한 상기 음식품을 제공한다.
이하, 상기 의약 또는 음식품을 총칭하여 「본 발명의 의약 또는 음식품」이라고 한다.
본 발명은 또한, 고혈당 개선용 의약의 제조에 있어서의,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도는 상기 화합물을 건조 질량으로 0.001 내지 10질량% 이상 포함하는 것을 바람직한 양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고혈당을 개선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고혈당을 개선하고자 하는 대상에 투여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조성물이 상기 화합물을 건조 질량으로 O.O01 내지 10질량% 이상 포함하는 것을 바람직한 양태로 하고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하기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 또는 음식품의 한 가지 형태는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로서 고혈당 개선 작용 및 헤모글로빈 A1c 저하 작용을 갖는 화합물(이하, 「본 발명의 화합물」이라고 한다)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의약 또는 음식품의 다른 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식물의 유기 용매 추출물 또는 열수 추출물, 또는 이들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한다.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탄소수 5 내지 16의 직쇄 또는 측쇄의 탄화수소 그룹으로서, 이중결합을 전혀 포함하지 않거나 1개 또는 2개 포함할 수 있으며,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 그룹 또는 탄소수 1 내지 3의 치환된 알킬 그룹이고, R4는 환을 구성하는 탄소원자와 함께 C=O를 형성하거나, -OH 또는 -OCOCH3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 그룹으로서는 메틸 그룹, 에틸 그룹 등이 바람직하며, 메틸 그룹이 특히 바람직하다.
R1은 하기 화학식의 그룹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i) -CH2-CH2-CH(-CH2-CH3)-CH(CH3)2
(ii) -CH2-CH2-CH=C(CH3)2
(iii) -CH2-CH=C(CH3)-CH(CH3)2
(iv) -CH2-CH2-C(=CH-CH3)-CH(CH3)2
(v) -CH2-CH2-CH(Ra)=C(CH3)Rb
삭제
(여기서, Ra 및 Rb는 -H, -OH 또는 -CH3이다)
(vi) -CH2-CH2-CH(Rc)-CH(CH3)Rd
삭제
(여기서, Rc 및 Rd는 -H, -OH 또는 -CH3이다)
또한, R2 및 R3 중의 하나는 수소원자이고, 다른 하나는 메틸 그룹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R4는 하이드록실 그룹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합물로서 가장 바람직한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의 4-메틸콜레스트-7-엔-3-올[화학식 2], 4-메틸에르고스트-7-엔-3-올[화학식 3] 및 4-메틸스티그마스트-7-엔-3-올[화학식 4]이다.
Figure 112007043517797-pat00002
Figure 112007043517797-pat00003
Figure 112007043517797-pat00004
즉, 4-메틸콜레스트-7-엔-3-올은 R2 및 R3 중의 하나가 수소원자이고, 다른 하나가 메틸 그룹이며, R4가 하이드록실 그룹이고, R1이 상기 화학식(vi)의 그룹(여기서, Rc는 -H이고, Rd는 -CH3이다)인,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이다. 4-메틸에르고스트-7-엔-3-올은 R2 및 R3 중의 하나가 수소원자이고, 다른 하나가 메틸 그룹이며, R4가 하이드록실 그룹이고, R1이 상기 화학식(vi)의 그룹(여기서, Rc 및 Rd는 함께 -CH3이다)인,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이다. 또한, 4-메틸스티그마스트-7-엔-3-올은 R2 및 R3 중의 하나가 수소원자이고, 다른 하나가 메틸 그룹이며, R4가 하이드록실 그룹이고, R1이 상기 화학식(i)의 그룹인,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의약 또는 음식품은 상기 화합물 1종류를 단독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임의의 2종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원료 페놀이 식물에 포함되어 있는 것은 공지되어 있으며, 공지된 원료 페놀의 제조방법에 준해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참조: 생물화학 실험법, 24권, 지방 지질대사 실험법, 야마다 아키히로저, 학회 출판센터, 제174페이지, 1989년]. 본 발명의 화합물은, 예를 들면, 동 화합물을 포함하는 식물로부터 유기 용매 추출법 또는 열수 추출법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추출하고, 수득된 추출물을 정제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화합물은 정제된 것일 수 있지만, 동 화합물을 유효량 포함하는 한, 식물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등의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식물로서는 백합과에 속하는 식물을 들 수 있다. 백합과에 속하는 식물로서는 알로에속 또는 알리움속에 속하는 식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알로에속 식물로서는 알로에베라(Aloe barbadensis Miller), 알로에 페록스 밀러(Aloe ferox Miller), 알로에 아프리카나 밀러(Aloe africana Miller), 키다치 알로에(Aloe arborescen Miller var. natalensis Berger), 알로에 스피카타 베이커(Aloe spicata Baker)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는 상기 식물 전체를 사용할 수 있지만, 엽육(葉肉)(투명 겔 부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식물 또는 이의 일부를 바람직하게는 균질기 등을 사용하여 파쇄하여 액상화하며, 유기 용매 또는 열수로 추출한다. 유기 용매로서는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의 알콜; 메틸 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프로필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등의 에스테르; 아세톤, 메틸 이소부틸 케톤 등의 케톤; 디에틸 에테르, 석유 에테르 등의 에테르; 헥산, 사이클로헥산, 톨루엔, 벤젠 등의 탄화수소; 사염화탄소,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 피리딘 등의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 에틸렌 글리콜 등의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의 폴리알콜; 아세토니트릴 등의 니트릴 용매 및 이들 용매의 혼합액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용매는 무수 또는 함수 상태일 수 있다. 이러한 용매 중에서는, 특히 에틸 아세테이트/부탄올 혼합액(3:1), 또는 클로로포름/메탄올 혼합액(2:1)이 바람직하다.
추출 방법으로서는 통상의 식물 성분의 추출에 사용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신선한 식물 또는 건조 식물 1질량부에 대하여 유기 용매 1 내지 300질량부를 사용하여 교반 또는 진탕하면서, 용매의 비점 이하의 온도로 가열 환류하거나, 상온에서 초음파 추출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추출액은 여과 또는 원심 분리 등의 적당한 방법에 따라 불용물을 분리하여 조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추출물은 각종 크로마토그래피, 예를 들면, 순상 또는 역상의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할 수 있다. 순상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있어서는, 용출 용매로서 클로로포름/메탄올 혼합액의 구배를 사용하면, 클로로포름:메탄올= 25:1 정도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이 용출된다. 또한, 역상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있어서는, 용출 용매로서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혼합액(4:1)을 사용하면, 본 발명의 화합물은 초기 단계에서 분획으로서 용출된다.
수득된 분획은 다시 HPLC 등으로 정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화합물은 화학적 합성법, 또는 미생물 또는 효소 등을 이용한 생물학적 방법 또는 효소적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수득되는 화합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은, 예를 들면, 질량 스펙트럼법(MS) 및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법(NMR) 등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헤모글로빈 A1c 값을 저하시키는 작용을 하며, 그 결과, 장기간 혈당치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고혈당 개선제의 유효 성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알로에 베라의 엽피에는 완화 작용을 갖는 바르바로인이나 알로에에모딘이 포함되어 있어, 완화 작용이 기대되지 않는 의약 또는 음식품으로서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이러한 성분을 포함하고 있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알로에 베라의 엽육 또는 이의 파쇄물도 고혈당 개선제의 유효 성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그대로 본 발명의 의약 또는 음식품의 유효 성분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식물의 유기 용매 추출물 또는 열수 추출물, 또는 이들의 분획물(이하, 「추출물 등」이라고 한다)을 의약 또는 음식품의 유효 성분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의약에 포함시키는 상기 추출물 등은 본 발명의 화합물을 건조 질량으로 O.001 내지 10질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O.01 내지 1질량%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05 내지 1질량%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음식품에 포함시키는 추출물 등은 본 발명의 화합물을 건조 질량으로 0.0001 내지 1질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01 내지 1질량%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005 내지 1질량%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물 등은 본 발명의 화합물을 2종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 등은 용액일 수도 있으며, 통상의 방법으로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시켜 분말로서 보존 내지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의약은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추출물 등의 조성물을 그대로, 또는 이들을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조합하여 경구적 또는 비경구적으로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 동물에게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의약에 있어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의약에 허용되는 염일 수 있다. 의약에 허용되는 염으로서, 금속염(무기염)과 유기염 둘 다 포함되며, 이들의 리스트는 문헌[참조: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제17판, 제1418페이지, 1985년]에 기재되어 있는 것이 예시된다. 구체적으로는 염산염, 황산염, 인산염, 이인산염 및 브롬화수소산염 등의 무기산염이나, 말산염, 말레산염, 푸마르산염, 타르타르산염, 석신산염, 시트르산염, 아세트산염, 락트산염, 메탄설폰산염, p-톨루엔설폰산염, 파모산염, 살리실산염 및 스테아르산염 등의 유기산염이 비한정적으로 포함된다. 또한, 나트륨, 칼륨, 칼슘, 마그네슘, 알루미늄 등의 금속과의 염, 라이신 등의 아미노산과의 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의약상 허용되는 염의 수화물 등의 용매화물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약제 의약의 제제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치료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정제, 환제, 산제, 액제, 현탁제, 유제, 과립제, 캡슐제, 시럽제, 좌제, 주사제, 연고제, 첩부제, 점안제, 점비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제제화에 있어서는, 제제 담체로서 통상의 고혈당 개선용 의약에 범용되는 부형제, 결합제, 붕괴제, 활택제, 안정제, 가미가취제, 희석제, 계면활성제, 주사제용 용제 등의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한,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과, 다른 고혈당 개선 작용을 갖는 약제를 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에 포함되는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양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적절하게 선택하면 양호하지만,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화합물의 양으로서, 제제 중에 0.001 내지 10질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질량%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은 고혈당 상태에 의해 야기되는 질환, 예를 들면, 당뇨병 및 전당뇨병(당뇨병으로서 의심되는 상태)의 치료 또는 예방에 유용하다. 특히, 고혈당 상태로부터 당뇨병의 발병을 예방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의약은 고혈당 상태에 기인하는 각종 질병·합병증 등의 치료 또는 예방하고, 이들 질병·합병증 등의 위험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고혈당 상태에 기인하는 각종 질병·합병증으로서는 당뇨병성 망막증, 당뇨병성 신장염, 당뇨병성 신경장애, 당뇨병성 괴저, 당뇨병에 기인하는 뇌졸중, 당뇨병에 기인하는 심근경색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고혈당 상태란 정상 영역 이외의 상태이며, 정상 영역이란, 일반적으로는 공복시 혈당치는 110mg/dl 이하로, 75g의 당 부하 후 1시간째의 혈당치는 160mg/dl 이하로, 2시간째의 혈당치는 120mg/dl 이하로 규정되어 있는 상태이다[참조: 일본 임상, 통권 제806호, 제1권, 제28 ∼ 35페이지, 2002년]. 또한, 본 발명의 의약은 헤모글로빈 A1c 값이 건강한 사람의 값보다 높은 상태, 예를 들면, 헤모글로빈 A1c 값이 5.8% 이상인 환자에 대한 치료에 적합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의약의 투여 시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대상이 되는 질환의 치료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투여 시기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투여 형태는 제제 형태, 환자의 연령, 성별, 기타 조건, 환자의 증상 정도 등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다.
본 발명의 의약의 유효 성분의 투여량은 용법, 환자의 연령, 성별, 질환의 정도, 기타 조건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한다. 통상적으로 유효 성분으로서의 본 발명의 화합물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50mg/kg/일,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mg/kg/일 범위의 양을 목표로 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조성물의 건조 중량으로서 바람직하게는 O.1 내지 100Omg/kg/일,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0mg/kg/일이 되는 양을 목표로 할 수 있다. 어느 경우라도 1일 1회 또는 복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추출물 등은 음식품(음료 또는 식품)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음식품으로서는 상기 유효 성분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고 경구 섭취할 수 있는 것이면 형태나 성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유효 성분을 포함시키는 것 이외에는 통상적으로 음식품에 사용되는 원료를 사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식품 중에 포함되는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추출물 등의 양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적절하게 선택하면 되지만,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화합물의 양으로서, 음식품 중에 0.0001 내지 1질량%,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1질량%로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음식품의 용도로서는 고혈당 개선 효과를 이용하는 각종 용도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혈당치가 염려되기 시작하는 사람에게 적합한 음식품, 당뇨병 등의 생활 습관병의 위험 요인의 감소·제거에 유용한 음식품 등의 용도를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음식품에서 「고혈당 개선」이란 고혈당에 기인하여 유도되는 각종 건강에 대한 해를 개선하거나 예방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으며, 「고혈당 예방」, 「혈당치 상승 억제」, 「혈당치 상승 개선」, 「혈당치 상승 예방」, 「고헤모글로빈 A1c 값 개선」 등도 「고혈당 개선」과 동일한 의미로서 본 발명에서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음식품은 고혈당 상태에 의해 야기되는 질환, 예를 들면, 당뇨병 및 전당뇨병(당뇨병으로서 의심되는 상태)의 예방에 유용하다. 특히, 고혈당 상태로부터 당뇨병의 발병을 예방하기 위해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음식품은 고혈당에 기인하는 각종 질병·합병증 등을 예방하고, 이들 질병·합병증 등의 위험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고혈당 상태에 기인하는 각종 질병·합병증으로서는 당뇨병성 망막증, 당뇨병성 신장염, 당뇨병성 신경장애, 당뇨병성 괴저, 당뇨병에 기인하는 뇌졸중, 당뇨병에 기인하는 심근경색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식품은 고혈당 개선을 위해 사용된다는 표시를 부착한 음식품, 예를 들면, 「고혈당 개선용이라고 표시된, 고혈당 개선 효과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음식품」 또는 「고혈당 개선용이라고 표시된,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식품」, 「고혈당 개선용이라고 기재된, 알로에베라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식품」 등으로서 판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추출물 등은 고혈당 개선 작용을 갖는다는 점에서 고혈당 개선의 표시는 혈당 상승을 억제하는 의미도 갖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음식품은 「혈당 상승 억제용」이라고 표시할 수 있다. 즉, 고혈당 개선용의 표시란 이러한 「혈당 상승 억제용」의 표시일 수 있다.
또한, 이상과 같은 표시를 하기 위해 사용하는 문언은 「고혈당 개선용」 또는「혈당 상승 억제용」이라는 문언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문언이라도 고혈당을 개선하거나 혈당치의 상승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문언이면,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이러한 문언으로서는, 예를 들면, 수요자에 대해 고혈당 개선 또는 혈당치 상승 억제의 효과를 인식시키는 다양한 용도에 근거하는 표시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혈당치가 염려되기 시작한 사람에게 적합하다」, 「당뇨병 등의 생활 습관병의 위험 요인(위험도)의 감소·제거에 도움이 된다」등의 표시를 예시할 수 있다.
「표시」란 수요자에게 용도를 알리기 위한 모든 행위를 의미하며, 용도를 상기·유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표시이면, 표시의 목적, 표시의 내용, 표시하는 대상물·매체 등의 여하에 관계없이 전부 본 발명의 「표시」에 해당된다. 그러나, 수요자가 용도를 직접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표현에 의해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음식품에 따른 상품 또는 상품의 포장에 용도를 기재하는 행위, 상품 또는 상품의 포장에 용도를 기재한 것을 양도하며 인도, 양도 또는 인도를 위해 전시하며 수입하는 행위, 상품에 관한 광고, 가격표 또는 거래서류에 용도를 기재하여 전시하거나 반포하며 또는 이들을 내용으로 하는 정보에 용도를 기재하여 전자기적(인터넷 등) 방법에 따라 제공하는 행위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한편, 표시로서는 행정 등에 의해 인가된 표시(예: 행정이 정하는 각종 제도에 기초하여 인가를 받으며, 이러한 인가에 기초한 양태로 하는 표시)인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포장, 용기, 카탈로그, 팜플렛, POP 등의 판매 현장에서의 선전재, 기타 서류 등에 대한 표시가 바람직하다.
또한, 예를 들면, 건강 식품, 기능성 식품, 경장 영양 식품, 특별 용도 식품, 영양 기능 식품, 의약용 부외품 등으로서의 표시를 예시할 수 있으며, 기타 후생노동성에 의해 인가되는 표시, 예를 들면, 특정 보건용 식품, 이와 유사한 제도로써 인가되는 표시를 예시할 수 있다. 후자의 예로서는 특정 보건용 식품으로서의 표시, 조건부 특정 보건용 식품으로서의 표시, 신체의 구조나 기능에 영향을 준다는 표시, 질병 위험도 감소 표시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상세하게 말하면, 건강증진법 시행규칙(2003년 4월 30일 일본 후생노동성령 제86호)에 규정된 특정 보건용 식품으로서의 표시(특히 보건 용도의 표시) 및 이와 유사한 표시를 전형적인 예로서 열거할 수 있다.
[실시예]
다음에 실시예를 기재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제조예 1]
알로에 베라의 엽육(투명 겔 부분) 100kg을 균질기를 사용하여 액상화하며, 여기에 100ℓ의 에틸 아세테이트/부탄올 혼합액(3:1)을 첨가하여 교반한다.
밤새 방치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부탄올 혼합액과 수층을 분액하여, 에틸 아세테이트/부탄올 혼합액을 회수한다. 이러한 에틸 아세테이트/부탄올 혼합액을 감압하에 농축하여 수득된 에틸 아세테이트/부탄올 혼합액 추출물의 중량은 13.5g이다. 실리카 겔 60(머크사제) 400g이 충전된 칼럼에 당해 추출물 13g을 클로로포름/메탄올 혼합액(1:1) 1ml에 용해시킨 용액을 통과시켜 칼럼에 흡착시킨 다음, 클로로포름/메탄올 혼합액(각각 클로로포름:메탄올= 100:1, 25:1, 10:1, 5:1 및 1:1의 혼합비)을 사용하여, 메탄올 농도를 단계적으로 상승시키는 스텝와이즈 그래디언트법(stepwise gradient method)으로 용출시키며, 상기 혼합액의 혼합비마다 용출액을 분획한다. 이들 분획 중에서 클로로포름:메탄올= 25:1로 용출된 분획에 본 발명의 화합물이 존재하는 것을 순상 및 역상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머크사제, 실리카 겔 60F254 및 RP-18F2543)로 확인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정제 물질(조 정제물 1)은 3g이다. 또한, 이때에 수득된 클로로포름:메탄올=10:1 및 1:1로 용출된 분획의 조 정제물 수득량은 각각 1.17g 및 2.27g이다. 이들 분획의 용매를 제거한 후, 각각의 추출물을 클로로포름/메탄올 혼합액(1:1) 1ml에 용해시켜, 실리카겔 60 100g이 충전된 칼럼에 통과시켜 칼럼에 흡착시킨 다음,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혼합액(4:1) 1100ml로 용출한다. 용출 분획을 순차적으로 300ml(분획 A), 300ml(분획 B), 500ml(분획 C)씩 분취(分取)한다. 각각의 분획의 용매를 제거한 후의 수득량은 분획 A: 0.6g, 분획 B: 1.35g, 분획 C: 0.15g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이 분획 A(조 정제물 2)에 농축된 것을 순상 및 역상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로 확인한다. 이러한 조 정제물 2를 다시 코스모실 C18(나카라이테스크사제)를 장착한 HPLC를 사용하여 클로로포름/헥산 혼합액(85:15)으로 분리하여, 화합물 3(4-메틸콜레스트-7-엔-3-올), 화합물 4(4-메틸에르고스트-7-엔-3-올), 화합물 5(4-메틸스티그마스트-7-엔-3-올)를 각각 1.3mg, 1.2mg, 1mg 수득한다. 각각의 화합물의 구조는 MS 및 NMR로 확인한다.
[시험예 1]
본 시험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헤모글로빈 A1c의 저하작용 및 고혈당 상태의 개선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1) 시료의 조제
제조예 1에서 제조한 화합물 3(4-메틸콜레스트-7-엔-3-올), 화합물 4(4-메틸에르고스트-7-엔-3-올), 화합물 5(4-메틸스티그마스트-7-엔-3-올)를 각각 시험 시료 1, 2, 3으로 하였다.
(2) 시험방법
II형 당뇨병 모델 마우스로서 6주령 숫컷 db/db 마우스(니혼클레아가부시키가이샤에서 구입)를 사용하였다. 당해 마우스를 1그룹당 7마리씩 분류하였다. 각 시험 시료를 DMSO에 용해시킨 다음, 생리 식염수로서 각각 1㎍/ml로 조정하였다. 최종 DMSO 농도는 0.2%로 조정하였다. 또한, 시험 시료를 포함하지 않은 용액을 음성 시료로 하였다. 당해 II형 당뇨병 모델 마우스에 각 시험 시료 용액을 1일 1회, 존데를 사용하여 1ml씩 40일 동안 연속 경구투여하였다. 또한, 대조 시료 1로서 β-시토스테롤(타마세이가가쿠가부시키가이샤제)를 각각 모델 마우스에 투여하였다. 공복시 혈당치 및 통상 혈당치는 안트센스 II(바이엘산교가부시키가이샤제)로 경시적으로 측정하였다. 공복시 혈당치는 15시간의 절식 후에 측정하였다. 또한, 투여 개시로부터 35일째에 헤모글로빈 A1c를 DCA 2000(바이엘산교가부시키가이샤제)으로 측정하였다.
(3) 결과(혈당치 및 헤모글로빈 A1c 값)
도 1 및 도 2에 통상적인 혈당치 및 공복시 혈당치의 시험시료 투여 기간중의 경시적 변화를 도시한다. 음성 시료 및 대조 시료 1을 투여한 마우스에서는 통상 혈당치 및 공복시 혈당치 둘 다에서 급격한 혈당치의 상승이 관찰되지만, 시험 시료 1, 2, 3을 각각 연속투여한 마우스에서는 어떤 것에서도 명백하게 혈당치의 상승을 억제하는 효과가 관찰되었다.
또한, 투여 개시로부터 35일째의 헤모글로빈 A1c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기재한다. 음성 시료를 투여할 때의 헤모글로빈 A1c 값과 비교하여, 시험 시료 1 및 시험 시료 2 모두 15 내지 26%라는 현저한 저하를 나타냈다. 이것과 비교하여, 대조 시료 1에서는 0.5% 정도의 저하밖에 보이지 않으며, 대부분의 헤모글로빈 A1c의 저하효과는 보이지 않았다. 또한, 투여 기간중 및 투여후 모두에서 저혈당 상태를 일으킨 예는 한번도 없으며, 체중 및 병리적인 소견으로부터 부작용은 전혀 보이지 않았다.
Figure 112010009218690-pat00012
[시험예 2]
본 시험은 본 발명 화합물의 헤모글로빈 A1c의 저하작용을 임상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당뇨병약과 함께 평가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1) 시료의 조제
제조예 1에서 제조한 화합물 3(4-메틸콜레스트-7-엔-3-올), 화합물 4(4-메틸에르고스트-7-엔-3-올), 화합물 5(4-메틸스티그마스트-7-엔-3-올)를 각각 시험 시료 1, 2, 3으로 하였다.
(2) 시험방법
II형 당뇨병 모델 마우스로서 6주령 숫컷 db/db 마우스(니혼클레아가부시키가이샤에서 구입)를 사용하였다. 당해 마우스를 1그룹당 7마리씩 분류하였다. 각 시험 시료를 DMSO에 용해시킨 다음, 생리 식염수로서 각각 1㎍/ml로 조정하였다. 최종 DMSO 농도는 0.2%로 조정하였다. 또한, 시험 시료를 포함하지 않은 용액을 음성 시료로 하였다. 또한, 대조 시료 2로서, 액토스(ACTOSR)정(다케다야쿠힝고교가부시키가이샤)을 유발로 분쇄하여 생리 식염수에 용해시켜 유효 성분인 피오글리타존 하이드로클로라이드가 7.5㎍/ml로 되도록 조정하였다. 당해 II형 당뇨병 모델 마우스에 1일 1회, 존데를 사용하여 각 시험 시료 용액 및 대조 시료 2 용액 및 음성 시료 용액을 각각 1ml씩 22일 동안 연속 경구투여하였다. 투여 개시로부터 23일째에 헤모글로빈 A1c를 DCA 2000(바이엘산교가부시키가이샤제)으로 측정하였다.
(3) 결과(헤모글로빈 A1c 값)
투여 개시로부터 23일째의 헤모글로빈 A1c의 측정 결과를 표 2에 기재한다. 음성 시료를 투여하였을 때의 헤모글로빈 A1c 값과 비교하여, 시험 시료 1 및 시험 시료 2 모두 약 11%의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저하를 나타냈다. 이것과 비교하여, 대조 시료 2에서는 0.8% 정도의 저하밖에 보이지 않으며 통계학적으로도 유의적인 효과는 얻어지지 않았다. 또한, 투여 기간중 및 투여후 모두 저혈당 상태를 일으킨 예는 한번도 없으며, 체중 및 병리적인 소견으로부터 부작용은 전혀 보이지 않았다.
Figure 112010009218690-pat00013
[시험예 3]
본 시험은 알로에 베라 유래의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 정제물 2의 헤모글로빈 A1c의 저하 작용을 측정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1) 시료의 조제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조 정제물 2(분획 A)를 시험 시료 4로서 사용하며, 분획 B 및 C를 각각 대조 시료 3 및 4로서 사용하였다.
(2) 시험방법
II형 당뇨병 모델 마우스로서 6주령 수컷 db/db 마우스(니혼클레아가부시키가이샤에서 구입)를 사용하였다. 당해 마우스를 1그룹당 7마리씩 분류하였다. 시험 시료 4와 대조 시료 3 및 4를 DMSO에서 용해시킨 다음, 생리 식염수로서 1㎍/ml로 조정하였다. 최종 DMSO 농도는 0.2%로 조정하였다. 또한, 시험 시료를 포함하지 않은 용액을 음성 시료로 하였다. 당해 II형 당뇨병 모델 마우스에 1일 1회, 존데를 사용하여, 시료 용액 4, 대조 시료 3 및 4, 음성 시료를 각각 1ml씩 40일 동안 연속 경구투여하였다. 투여 개시로부터 35일째에 헤모글로빈 A1c를 DCA 2000(바이엘산교가부시키가이샤제)로 측정하였다.
(3) 결과(헤모글로빈 A1c 값)
투여 개시로부터 35일째의 헤모글로빈 A1c의 측정 결과를 표 3에 기재한다. 음성 시료를 투여하였을 때의 헤모글로빈 A1c 값과 비교하여, 시험 시료 4의 연속투여에서는 15%라는 현저한 저하를 볼 수 있었다. 이것과 비교하여, 대조 시료 3 및 4에서는 0.4 내지 0.6% 정도의 저하밖에 보이지 않으며, 대부분의 헤모글로빈 A1c의 저하 효과는 보이지 않았다. 또한, 투여 기간중 및 투여후 모두 저혈당 상태를 일으킨 예는 한번도 없으며, 체중 및 병리적인 소견으로부터 부작용은 전혀 보이지 않았다.
Figure 112010009218690-pat00014
본 발명의 의약 및 음식품은 저혈당을 일으키지 않고 안전하게 투여하거나 섭취할 수 있으며, 또한 헤모글로빈 A1c 값을 저하시키는 장기 혈당치 조절 작용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의약 및 음식품의 유효 성분은 식경험상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으며 입수 용이한 식물, 예를 들면, 알로에 베라(Aloe barbadensis Miller) 등의 백합과 식물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Claims (7)

  1.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고혈당 개선용 음식품.
    화학식 1
    Figure 112010042723261-pat00008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탄소수 5 내지 16의 직쇄 또는 측쇄의 탄화수소 그룹으로서, 이중결합을 포함하지 않거나 1개 또는 2개 포함할 수 있고, 하이드록실 그룹, 카보닐 그룹, 또는 이들 두 그룹을 포함할 수 있고,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 그룹 또는 탄소수 1 내지 3의 치환된 알킬 그룹이며,
    R4는 환을 구성하는 탄소원자와 함께 C=O를 형성하거나, -OH 또는 -OCOCH3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R2 및 R3 중의 하나가 수소원자이며, 다른 하나가 메틸 그룹이며, R4가 하이드록실 그룹인, 고혈당 개선용 음식품.
  3. 제2항에 있어서, R1이 화학식 -CH2-CH2-CH(-CH2-CH3)-CH(CH3)2, -CH2-CH2-CH=C(CH3)2, -CH2-CH=C(CH3)-CH(CH3)2, -CH2-CH2-C(=CH-CH3)-CH(CH3)2, -CH2-CH2-CH(Ra)=C(CH3)Rb(여기서, Ra 및 Rb는 -H, -OH 또는 -CH3이다) 및 -CH2-CH2-CH(Rc)-CH(CH3)Rd(여기서, Rc 및 Rd는 -H, -OH 또는 -CH3이다) 중의 어느 하나인, 고혈당 개선용 음식품.
  4. 제3항에 있어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이 4-메틸콜레스트-7-엔-3-올, 4-메틸에르고스트-7-엔-3-올 및 4-메틸스티그마스트-7-엔-3-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고혈당 개선용 음식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을 건조 질량으로 0.0001 내지 1질량% 포함하는, 고혈당 개선용 음식품.
  6.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알로에속 식물의 유기 용매 추출물 또는 열수 추출물, 또는 이들의 분획물로 이루어지고, 화학식 1의 화합물을 건조 질량으로 0.0001 내지 1질량% 포함하는 조성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고혈당 개선용 음식품.
    화학식 1
    Figure 112010042723261-pat00009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탄소수 5 내지 16의 직쇄 또는 측쇄의 탄화수소 그룹으로서, 이중결합을 포함하지 않거나 1개 또는 2개 포함할 수 있고, 하이드록실 그룹, 카보닐 그룹, 또는 이들 두 그룹을 포함할 수 있고,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 그룹 또는 탄소수 1 내지 3의 치환된 알킬 그룹이며,
    R4는 환을 구성하는 탄소원자와 함께 C=O를 형성하거나, -OH 또는 -OCOCH3이다.
  7. 삭제
KR1020077013583A 2004-03-31 2005-03-30 고혈당 개선용 음식품 KR1009988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03685 2004-03-31
JPJP-P-2004-00103685 2004-03-31
JP2004112109 2004-04-06
JPJP-P-2004-00112109 2004-04-06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5942A Division KR100773261B1 (ko) 2004-03-31 2005-03-30 고혈당 개선용 의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6279A KR20070086279A (ko) 2007-08-27
KR100998858B1 true KR100998858B1 (ko) 2010-12-08

Family

ID=3506350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5942A KR100773261B1 (ko) 2004-03-31 2005-03-30 고혈당 개선용 의약
KR1020077013583A KR100998858B1 (ko) 2004-03-31 2005-03-30 고혈당 개선용 음식품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5942A KR100773261B1 (ko) 2004-03-31 2005-03-30 고혈당 개선용 의약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7754704B2 (ko)
EP (1) EP1731158B1 (ko)
JP (1) JP3905913B2 (ko)
KR (2) KR100773261B1 (ko)
CA (1) CA2548811C (ko)
WO (1) WO20050948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351340C2 (ru) 2005-05-17 2009-04-10 Моринага Милк Индастри Ко., Лтд. Лекарственное средство и пищевой продукт или напиток для улучшения функций поджелудочной железы
CA2611181C (en) * 2005-09-22 2010-11-02 Morinaga Milk Industry Co., Ltd. Agent for inhibiting visceral fat accumulation
AU2006300541B8 (en) * 2005-09-30 2010-07-08 Morinaga Milk Industry Co., Ltd. Agent for improving insulin resistance
WO2007043302A1 (ja) * 2005-09-30 2007-04-19 Morinaga Milk Industry Co., Ltd. インスリン抵抗性改善剤
KR100972952B1 (ko) 2005-09-30 2010-07-30 모리나가 뉴교 가부시키가이샤 인슐린 저항성 개선제
JP4095115B2 (ja) 2005-11-25 2008-06-04 森永乳業株式会社 アロエベラ抽出物、アロエベラ抽出物の製造方法、高血糖改善剤
WO2010058794A1 (ja) * 2008-11-19 2010-05-27 森永乳業株式会社 抗酸化剤
KR101405574B1 (ko) 2008-11-19 2014-06-10 모리나가 뉴교 가부시키가이샤 항산화제
KR101241455B1 (ko) * 2010-09-17 2013-03-11 김길중 혈당 강하용 두부 및 그 제조방법
JP2018530319A (ja) * 2015-09-03 2018-10-18 ナチュラル シールド イスラエル 2016 リミテッドNatural Shield Israel 2016 Ltd 血糖値の制御、肝保護、及び関連する病状の予防及び治療のための組み合わせられた組成物
SG11202009605RA (en) 2018-03-29 2020-10-29 Morinaga Milk Industry Co Ltd Composition for anti-aging
CN109393260A (zh) * 2018-11-09 2019-03-01 洪雅县瓦屋山药业有限公司 改善高血糖及糖尿病人体质的植物饮料及其制备方法
WO2023054477A1 (ja) * 2021-09-28 2023-04-06 森永乳業株式会社 アロエ抽出物の製造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6185A (ja) 2002-03-29 2003-10-07 Daily Foods Kk アロエベラ圧搾液及び該圧搾液を有効成分とする血糖値降下剤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14741A (ja) * 1984-04-05 1985-10-28 Toyo Yakushiyoku Kogyo Kk 血糖降下剤
JPH01312978A (ja) 1988-06-13 1989-12-18 Shiro Kobayashi 飲料用及び添加用食品
JPH05247086A (ja) 1992-01-31 1993-09-24 Kowa Kagaku Kogyo Kk 1−〔3β−(16β,28−ジヒドロキシオレアン−12−エン)オキシ〕−2−O−β−D−グルコース−β−D−グルクロン酸及びその製造方法
JP3685833B2 (ja) 1995-02-06 2005-08-24 日本メナード化粧品株式会社 免疫抑制改善剤
JP3828953B2 (ja) 1995-05-24 2006-10-04 日本製粉株式会社 リパーゼ阻害剤
JP3752000B2 (ja) 1995-08-21 2006-03-08 ユリカ株式会社 アロエ葉皮由来のレクチン活性蛋白質
EP0891347A4 (en) 1995-10-31 1999-04-07 Merck & Co Inc TRITERPENES DERIVATIVES HAVING IMMUNOSUPPRESSIVE ACTIVITY
JP3605924B2 (ja) 1996-02-20 2004-12-22 三菱化学株式会社 食品の臭気マスキング剤および該マスキング剤を用いた食品の臭気マスキング方法
US6168802B1 (en) * 1996-05-31 2001-01-02 The Howard Foundation Compositions containing creatine and aloe vera extract
JP3966922B2 (ja) 1996-07-18 2007-08-29 一丸ファルコス株式会社 線維芽細胞増殖促進剤
JPH1036271A (ja) 1996-07-25 1998-02-10 Kureha Chem Ind Co Ltd Hsp27ファミリーに属するタンパク質のアロイン誘導体含有合成抑制剤
JPH1045604A (ja) 1996-07-30 1998-02-17 Kureha Chem Ind Co Ltd アロイン誘導体含有hsp47合成抑制剤
JPH10120576A (ja) 1996-10-16 1998-05-12 Kureha Chem Ind Co Ltd Hsp60ファミリーに属するタンパク質のアロイン誘導体含有合成抑制剤
JPH10215853A (ja) 1997-02-05 1998-08-18 Tokyo Aroe Kk アロエ酒
JPH10330266A (ja) 1997-06-02 1998-12-15 Kotarou Kanpo Seiyaku Kk インスリン作用増強活性組成物
US6133440A (en) 1997-10-10 2000-10-17 Univera Pharmaceuticals, Inc.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immunomodulatory polysaccharides from aloe
JP4499209B2 (ja) * 1999-05-10 2010-07-07 日本メナード化粧品株式会社 肥満の予防改善剤
WO2002005830A2 (en) * 2000-07-14 2002-01-24 Shantaram Govind Kane Extracts from crassulacean acid metabolism (cam) mechanism plants and uses thereof
FR2811984B1 (fr) 2000-07-19 2004-02-06 Pharmascience Lab Procede de preparation d'un ester de corps gras et son utilisation dans les domaines pharmaceutique, cosmetique ou alimentaire
JP4393717B2 (ja) 2001-01-04 2010-01-06 株式会社ユース・テクノコーポレーション 代謝異常改善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組成物
JP2002241293A (ja) * 2001-02-13 2002-08-28 Ichimaru Pharcos Co Ltd メイラード反応阻害剤
JP2002371003A (ja) 2001-06-15 2002-12-26 Kikkoman Corp 血糖値上昇抑制剤
JP3790686B2 (ja) 2001-08-03 2006-06-28 独立行政法人理化学研究所 血糖降下剤
JP2003095941A (ja) 2001-09-26 2003-04-03 Ito En Ltd 糖質消化酵素阻害剤、血糖値上昇抑制剤、肥満治療予防剤、糖尿病治療予防剤、健康飲食物
US6884783B2 (en) 2002-05-03 2005-04-26 Unigen Pharmaceuticals, Inc. 7-Hydroxy chromones as potent antioxidants
WO2004067009A1 (en) * 2003-01-29 2004-08-12 Dal-Hoon So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r compounds isolated from elfvingia applanata for the prevention and the treatment of diabetes and diabetic complications
ES2398847T3 (es) * 2003-05-31 2013-03-22 Pharmachem Laboratories, Inc. Composición que comprende uno o más fitoesteroles y/o fitoestanoles y glucomanano y usos de la composición para tratar trastornos de lípidos en individuos con y sin diabetes de tipo II
RU2351340C2 (ru) * 2005-05-17 2009-04-10 Моринага Милк Индастри Ко., Лтд. Лекарственное средство и пищевой продукт или напиток для улучшения функций поджелудочной железы
CN101098702B (zh) * 2005-05-17 2010-12-29 森永乳业株式会社 改善胰腺功能的药物和食品或饮料
AU2006300541B8 (en) * 2005-09-30 2010-07-08 Morinaga Milk Industry Co., Ltd. Agent for improving insulin resistance
JP4095115B2 (ja) * 2005-11-25 2008-06-04 森永乳業株式会社 アロエベラ抽出物、アロエベラ抽出物の製造方法、高血糖改善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6185A (ja) 2002-03-29 2003-10-07 Daily Foods Kk アロエベラ圧搾液及び該圧搾液を有効成分とする血糖値降下剤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iabetes Care, Vol.26(4), pp.1277-1294(200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754704B2 (en) 2010-07-13
US20100240632A1 (en) 2010-09-23
EP1731158B1 (en) 2014-10-08
EP1731158A4 (en) 2009-03-18
KR100773261B1 (ko) 2007-11-05
KR20060055550A (ko) 2006-05-23
CA2548811A1 (en) 2005-10-13
JP3905913B2 (ja) 2007-04-18
CA2548811C (en) 2010-02-23
US20070032463A1 (en) 2007-02-08
US8338403B2 (en) 2012-12-25
EP1731158A1 (en) 2006-12-13
JPWO2005094838A1 (ja) 2009-12-24
WO2005094838A1 (ja) 2005-10-13
KR20070086279A (ko) 2007-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8858B1 (ko) 고혈당 개선용 음식품
KR100843508B1 (ko) 고혈당 개선용 의약
KR100972952B1 (ko) 인슐린 저항성 개선제
WO2010058795A1 (ja) 抗酸化剤
KR100967313B1 (ko) 인슐린 저항성 개선제
KR100866274B1 (ko) 췌장 기능 개선을 위한 의약 또는 음식품
KR100743852B1 (ko) 4-메틸에르고스트-7-엔-3-올 골격을 갖는 글리코사이드 및고혈당 개선제
KR101030247B1 (ko) 췌장 기능 개선을 위한 음식품
KR100935813B1 (ko) 내장 지방 축적 억제제
JPWO2010058794A1 (ja) 抗酸化剤
RU2315601C1 (ru) Лекарственное средство и пищевой продукт или напиток для снижения гипергликеми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