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5082B1 - 전자 부품 장착용 부품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전자 부품 장착용 부품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5082B1
KR100985082B1 KR1020080066551A KR20080066551A KR100985082B1 KR 100985082 B1 KR100985082 B1 KR 100985082B1 KR 1020080066551 A KR1020080066551 A KR 1020080066551A KR 20080066551 A KR20080066551 A KR 20080066551A KR 100985082 B1 KR100985082 B1 KR 100985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component
base
face
electronic
hd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6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5810A (ko
Inventor
이키 다츠카미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15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5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5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5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8Insulation or absorption of undesired vibrations or sou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58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the mounting of internal components, e.g. disc drive or any other functional modu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9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locking or maintaining the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in a fixed position, e.g. latching mechanism at the edge of the display in a laptop or for the screen protective cover of a PD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06F1/183Internal mounting support structures, e.g. for printed circuit boards, internal connecting means
    • G06F1/187Mounting of fixed and removable disk driv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1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single recording/reproducing device
    • G11B33/123Mounting arrangements of constructional parts onto a chassis
    • G11B33/124Mounting arrangements of constructional parts onto a chassis of the single recording/reproducing device, e.g. disk drive, onto a chas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Mounting Components In General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부품을 캐비닛에 장착하기 위한 전자 부품 장착용 부품 등에 관한 것으로, 진동의 전달을 유효하게 억제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전자 부품의 그 제 1 면을 따라 확장되는 베이스(622)와, 베이스(622)로부터 양 측면 각각을 따르도록 구부러져 양 측면 각각을 따라 확장되는 좌우 한 쌍의 측면 지지부(623)를 가지며, 좌우 한 쌍의 측면 지지부(623) 각각이, 전자 부품의 측면의, 그 전자 부품의 전단면(前端面; 611) 및 후단면(後端面; 612) 중 한쪽의 단면에 근접한 위치에, 측면 지지부(623)를 전자 부품 측면에 나사 고정하기 위한 나사 삽입 통과 구멍을 가지며, 전자 부품의 측면의, 그 전자 부품의 전단면(611) 및 후단면(612) 중 다른 쪽 단면에 근접한 위치에, 측면 지지부(623)와 전자 부품의 측면 사이에 개재하는 쿠션재를 구비하고, 좌우 한 쌍의 측면 지지부 양쪽을 맞춰서, 전자 부품을 2개의 나사에 의한 나사 체결로 고정한다.
CD/DVD 드라이브 유닛, B-CAS 카드, 플랫 케이블, 쿠션재, 진동

Description

전자 부품 장착용 부품 및 전자 기기{ELECTRONIC PART-MOUNTING COMPONENT AND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전자 부품을 캐비닛(cabinet)에 장착하기 위한 전자 부품 장착용 부품 및 그 전자 부품 장착용 부품이 장착된 전자 부품이 탑재된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퍼스널 컴퓨터(이하, PC로 약기함)를 비롯한 전자 기기에는, 다수의 전자 부품이 탑재되어 있고, 그들의 전자 부품 중에는, 그 전자 기기의 캐비닛에 직접적으로 고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전자 부품을 캐비닛에 장착하기 위한 전자 부품 장착용 부품을 그 전자 부품에 고정하고, 그 전자 부품에 고정된 전자 부품 장착용 부품을 캐비닛에 고정한다는 고정 구조가 채용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PC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이하, HDD로 약기함)는, 주위로부터 진동을 받으면 오동작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파손될 우려가 있고, 또한 자체에서도 진동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HDD와 캐비닛 사이에 전자 부품 장착용 부품을 개재시켜서 진동의 전달을 억제하는 구조가 채용되고 있다.
이하에서는, 이 HDD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HDD를 PC 등의 캐비닛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용 부품은, 그 HDD의 상면을 따라 확장되어 실드(shield)로서의 역할을 겸하는 베이스와, 그 베이스로부터 HDD의 양 측면 각각을 따르도록 구부러져서 양 측부 각각을 따라 확장되는 좌우 한 쌍의 측면 지지부를 가지며, 한쪽의 측면 지지부에 대해서, 전측 부근의 위치와 후측 부근의 위치의 2개소, 좌우 합계 4개소에서 나사 고정된다. 또한, 이 장착용 부품은, 상기 베이스로부터 HDD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연장된, 캐비닛 장착용의 플랜지부(flange)를 가지며, 그 캐비닛 장착부가 PC 등의 캐비닛에 고정된다.
상기 구조의 장착용 부품의 경우, 전자 부품에 좌우의 전측 부근의 위치와 후측 부근의 위치의 합계 4개소에서 나사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전자 부품과 전자 부품 장착용 부품 사이의 진동 전달의 억제는, 측면 지지부의 형상에만 의지하고 있어, 진동 전달의 억제가 충분하다고는 말하기 어렵다. 또한, 전자 부품 장착용 부품은 전자 부품에 합계 4개소에서 나사 고정되어 있어, PC 등의 전자 부품에서는 나사가 다용되고 있는 가운데, 나사의 개수를 조금이라도 줄이는 것이 부품 점수 삭감 및 조립 공수 삭감의 관점에서 요망되고 있다.
이러한 사정하에서, 특허문헌 1, 2에는, 구조상의 연구에 의해 진동에 대한 내력(耐力)을 향상시킨 디스크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디스크 장치 자체의 구조상의 연구만으로는, 진동을 완전히 억제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특허문헌 3에는, 비선형의 스프링 특성을 이용해서 진동을 흡수, 감쇠하는 HDD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여기서는 복수매의 판 스프링을 겹치는 등, 복잡한 구조를 가져, 비용상 및 스페이스상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4에는, HDD를 고무 형상의 완충재로 끼우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 경우, 완충재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것 등에 의해 진동의 흡수에 어느 정도 도움이 되지만, 전자 기기 내에 이 HDD를 수납하기 위한 큰 스페이스를 필요로 하며, 또한 실드는 별도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상의 사정은, HDD에 한정되지 않고, 전자 부품을 직접이 아니고 전자 부품 장착용 부품을 개재시켜서 전자 기기에 탑재하는 경우에 거의 공통적인 사정이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2003-16770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허공개 2003-16771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국 특허공개 평9-293370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국 특허공개 2005-38538호 공보
본 발명은, 진동의 전달을 유효하게 억제하는 동시에 나사 부품을 줄인 전자 부품 장착용 부품, 및 그 전자 부품 장착용 부품을 이용하여 전자 부품을 탑재한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전자 부품 장착용 부품은, 커넥터를 갖는 전단면(前端面)과, 후단면(後端面)과, 좌우의 양 측면과, 이들 전단면, 후단면, 및 양 측면으로 구획된 제 1 면 및 제 2 면을 갖는 전자 부품의 그 제 1 면을 따라 확장되는 베이스와,
상기 전자 부품의 전단면 및 후단면 중 한쪽의 단면에 근접한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에 그 전자 부품을 나사 고정하기 위한 나사 삽입 통과 구멍을 가지며,
상기 전자 부품의 전단면 및 후단면 중 다른 쪽 단면에 근접한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와 전자 부품의 측면 사이에 개재하는 제 1 쿠션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 장착용 부품은, 전자 부품의, 그 전자 부품의 전단면 및 후단면 중 한쪽에 근접한 위치에서 나사 고정되고, 다른 쪽에 근접한 위치에서는, 전자 부품과의 사이에 쿠션재를 끼우는 구조이며, 나사는 2개로 충분하고, 또한 좌우 1개소씩에서만 나사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4개의 나사로 나사 고정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전자 부품은 전자 부품 장착용 부품에 대해서 큰 동작이 허용되 고, 따라서 진동이 대폭 억제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기 전자 부품의 양 측면 각각을 따르도록 구부러져 그 양 측면 각각을 따라 확장되는 좌우 한 쌍의 측면 지지부를 가지며, 상기 좌우 한 쌍의 측면 지지부 각각이, 상기 전자 부품의 상기 한쪽 단면에 근접한 위치에 상기 나사 삽입 통과 구멍을 가지며, 상기 좌우 한 쌍의 측면 지지부를 통하여 상기 베이스에 상기 전자 부품이 나사 고정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전자 부품은 제 1 쿠션재 방향으로의 이동이 허용되어, 전자 부품에 대한 진동은 제 1 쿠션재로 흡수되게 된다. 또한, 이 제 1 쿠션재에 의해 전자 부품과 전자 기기 캐비닛 사이의 진동의 전달을 한층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전자 부품 장착용 부품에서, 상기 좌우 한 쌍의 측면 지지부는, 전자 부품의 측면의, 그 전자 부품의 전단면에 근접한 위치에, 상기 나사 삽입 통과 구멍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 장착용 부품은, 전단면에 커넥터를 구비한 전자 부품을 전자 기기에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 커넥터를 갖는 전단면이 진동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고, 전자 부품 측면의 전단측을 나사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 부품 장착용 부품에 있어서, 상기 좌우 한 쌍의 측면 지지부 각각이,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어 그 베이스로부터 전자 부품 측면을 따르도록 구부러진 절곡부(折曲部)와, 상기 베이스로부터는 분리되어 상기 절곡부에 연결되어 전자 부품의 측면을 따라 전단면측으로 연장되는 암(arm)부로 이루어지는 전 단측 측면 지지부와, 전단측 측면 지지부보다도 상기 전자 부품의 후단면 부근의 위치에서 상기 전단측 측면 지지부와는 독립으로 베이스에 연결되고, 그 베이스로부터 전자 부품 측면을 따르도록 구부러져서 그 측면을 따라 확장되는 후단측 측면 지지부와의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나사 삽입 통과 구멍은 전단측 측면 지지부의 암부에 형성되고, 상기 후단측 측면 지지부와 상기 전자 부품 사이에 개재하는 제 2 쿠션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측면 지지부가, 전단측 측면 지지부와 후단측 측면 지지부로 분리되고, 또한 전단측 측면 지지부가 상기의 절곡부와 암부를 가지며, 그 암부가 전자 부품 측면에 나사 고정되는 구조의 경우, 암부도 진동을 억제하기 위한 1종의 완충 부재로서 작용하여, 진동이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또한, 전단측 측면 지지부와 후단측 측면 지지부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전자 부품의 후단측의 진동이 후단측 측면 지지부에 다소 전달되어도, 전단측 측면 지지부에는 전달되기 어려워, 안정성이 증가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 부품 장착용 부품에 있어서, 측면 지지부가 전단측 측면 지지부와 후단측 측면 지지부로 분리된 구조의 경우, 전단측 측면 지지부의 암부는, 전자 부품 측면의 전단면과의 코너부에까지 연장되고, 또한 전단면측으로 구부러져서 그 전단면의 단부를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전자 부품을 한층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 부품 장착용 부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어 그 베이스로부터 전자 부품의 후단면을 따르도록 구부러지고, 또한 역방향으로 구부러져서 상기 베이스와 평행하게 확장되고, 전자 기기 고정용의 나사 삽입 통과 구멍이 형성된 플랜지부(flange)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플랜지부를 이용하여, 전자 부품을, 전자 부품 장착용 부품을 통해서 전자 기기 캐비닛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당해 전자 부품 장착용 부품은, 판금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판 두께를 얇게 해서 소형화, 경량화에 기여하고, 또한 자성체 금속의 경우에 자기 실드를 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 부품 장착용 부품은, 기계 구동부를 갖는 전자 부품을 전자 기기에 장착하기 위한 부품이라도 좋고,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전자 부품 장착용 부품은, 기계 구동부에 의해 기억 매체를 액세스하는 전자 부품을 전자 기기에 장착하기 위한 부품이라도 좋다. 또는, 본 발명의 전자 부품 장착용 부품은, 진동을 발생하는 전자 부품을 전자 기기에 장착하기 위한 부품이라도 좋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 부품 장착용 부품은, HDD 등, 기계 구동부를 가지며, 진동의 발생을 수반하는 전자 부품의 장착용으로서 적합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전자 기기는, 상기 어느 한 형태의 전자 부품 장착용 부품이 장착된 전자 부품이 수납되는, 개구를 갖고 도려낸 형상으로서, 전단에, 전자 부품 전단면의 커넥터와 결합하는 커넥터가 배치된 부품 수납부가 형성된 캐비닛과,
상기 부품 수납부에, 본 발명의 전자 부품 장착용 부품이 장착되어 상기 제 2 면을 부품 수납부의 저면(底面)측을 향해 커넥터끼리를 결합시켜서 수납된 전자 부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 장착용 부품을 사용하여, 전자 부품을 상기와 같이 하여 전자 기기의 부품 수납부에 수납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전자 기기에 있어서, 부품 수납부와 전자 부품 제 2 면 사이에 개재하는 제 3 쿠션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전자 부품 장착용 부품의 측면 지지부 외벽과 부품 수납부의 측벽 사이에 개재하는 제 4 쿠션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전자 기기 캐비닛과, 전자 부품 또는 전자 부품 장착용 부품 사이에 제 3 및 제 4 쿠션재를 배치함으로써 진동의 전달이 한층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 기기는, 연산 처리를 행하는 연산 회로를 내장하여 조작에 따른 지시를 입력하는 키보드를 상면에 구비한 연산 유닛을 가지며, 상기 캐비닛은 이 연산 유닛의 캐비닛이라도 좋고, 또한, 본 발명의 전자 기기는, 상기 연산 유닛에 추가하여, 또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화면을 가지며 연산 유닛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된 표시 유닛을 구비한 것이라도 좋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이하, 노트 PC로 약기함)에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에 의하면, 나사 부품을 줄이고 또한 진동의 전달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전자 기기의 일례인 노트 PC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전체 구성)
도 1, 도 2는 노트 PC의 외관을 나타내며, 각각 다른 방향에서 봤을 때의 개방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그 노트 PC의 폐쇄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이 노트 PC의 폐쇄 상태의 저면측을 본 사시도이다.
이 노트 PC(1)는 본체 유닛(10)과 표시 유닛(2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표시 유닛(20)은 힌지부(30)에 의해, 본체 유닛(10) 위에 중첩된 폐쇄 상태(도 3 참조)와 본체 유닛(10)으로부터 열린 개방 상태(도 1, 도 2 참조)의 사이에서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본체 유닛(10)에는, 그 상면에, 조작에 따른 지시를 입력하는 키보드(11)나, 조작에 따라 후술하는 표시 화면(21) 위의 임의의 포인트를 지시하는 포인팅 디바이스의 1종인 트랙 패드(12)나, 로크(lock)용의 훅크(hook; 221)가 들어가는 걸어맞춤 구멍(13)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본체 유닛(10)의 전면(前面) 좌우에 조금 경사진 상향으로, 내장 스피커로부터의 소리를 외부에 출력하는 방음구(1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본체 유닛(10)의 우측면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 전원 접속용의 전원 입력 단자(15)나 그 외의 복수의 커넥터 등이 배치되어 있고, 좌측면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CD나 DVD 등의 매체가 장전(裝塡)되어 장전된 매체를 드라이브하는 CD/DVD 드라이브 유닛(16)의 표면이 나타나 있다. 또한, 이 좌측면의 CD/DVD 드라이브 유닛(16)에 대해서 두께 방향으로 겹치는 위치에는, 여기에는 도시 생략(후술함)한 B-CAS 카드(BS-Conditional Access Systems Card)가 삽입되는 카드 슬롯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본체 유닛(1O)에는, CPU나 기타 다수의 전자 부품이 내장되어 있어,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여러가지 연산 처리가 행해진다.
또한, 표시 유닛(20)에는, 그 전면에, 표시 패널을 구성하는, 정보 표시용의 표시 화면(21)이 배치되어 있고, 그 표시 화면(21)의 주위가 앞 프레임(26)으로 덮여 있다. 또한, 이 표시 유닛(20)의 전면의, 표시 화면(21)의 상측 테두리보다도 위의 위치에는, 앞 프레임(26)으로부터 로크용의 훅크(221)가 돌출되어 있다. 이 훅크(221)는 이 표시 유닛(20)을 본체 유닛(10) 위에 닫았을 때에 본체 유닛(10)의 상면의 걸어맞춤 구멍(13)에 들어가, 표시 유닛(20)이 본체 유닛(10)으로부터 부주의하게 열리지 않도록 그 걸어맞춤 구멍(13) 내에서 걸린다.
또한, 이 표시 유닛(20)의 상단면(上端面)에는, 로크 해제용의 조작자(222)가 배치되어 있고, 이 조작자(222)를 누르면 훅크(221)가 로크 해제 방향으로 이동하고, 도 3에 나타낸 폐쇄 상태에 있을 때에 이 조작자(222)를 누름으로써 훅크(221)를 걸어맞춤 구멍(13)으로부터 벗겨서, 표시 유닛(20)을 열 수 있다.
또한, 표시 유닛(20)의, 표시 화면(21)의 상측 테두리보다도 위이며, 훅 크(221)의 옆에 늘어서는 위치에는, 후술하는 카메라 모듈의 렌즈가 들여다보이는 촬영 창(23)이 설치되어 있다. 이 촬영 창(23)은 카메라 모듈이 배치되는, 캐비닛에 설치된 구멍의 전면이 투명한 아크릴판 등으로 덮인 구조를 갖고 있다. 또한, 그 촬영 창(23)의 옆에는, 적외선 통신용의 적외선 수신창(2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 유닛(10)의 저면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후에 설명에 필요한 구성 요소로서는, 측면의 카드 슬롯(17)으로부터 넣거나 빼기 가능하게 삽입된 B-CAS 카드(41)를 수용하는 카드 수용부(18) 및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유닛(이하, HDD라고 칭함)이 장전된 HDD 수용부를 덮는 덮개(19)가 배치되어 있다.
(표시 유닛 상부 구조)
도 5는, 표시 유닛 전면의 상부 중앙을 확대해서 나타낸 도면이다.
표시 화면(21)의 상측 테두리보다도 위의 위치에는, 로크용의 훅크(221)가 표시 유닛(20)의 전면에 돌출되어 있고, 상단면에는, 로크 해제용의 조작자(222)가 돌출된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 또한, 표시 유닛(20)의 전면의, 훅크(221)에 인접한 위치에, 후술하는 카메라 모듈의 렌즈가 들여다보이는 촬영 창(2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촬영 창(23)은 투명한 아크릴판 등으로 덮여 있다. 또한, 그 촬영 창(23)의 옆에는, 적외선 수신창(24)도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는, 표시 유닛(20)을 구성하는 앞 프레임을 나사 고정했을 때의 나사 머리를 숨기는 패드(25)가 보이고 있다.
도 6은 표시 화면(21)의 주위를 덮는 앞 프레임을, 그 내벽면측에서 보고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그 앞 프레임(26)의 내벽면의, 상부 중앙을 나타낸 확대도, 도 8은 그 앞 프레임(26)의 외벽면의 상부 중앙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이 앞 프레임(26)은, 그 중앙의 개구(261)로부터 표시 화면(21)을 노출시키도록 하여, 표시 유닛(20)(도 1, 도 2 참조)의, 표시 화면(21)의 주위의 전면을 구성하는 부재이다.
이 앞 프레임의 내벽면의 상부 중앙에는, 훅크(221)(도 8 참조) 및 조작자(222) 외에, 조작자(222)의 조작을 훅크(221)에 전달하는 연결 기구부(223)를 구비한 로크 모듈(22)이 더 구비되어 있다. 이 연결 기구부(223)는, 조작자(222)에대한 조작을 훅크(221)의 걸어맞춤 해제로의 동작으로서 훅크(221)에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이 로크 모듈(22)의 도 7에서의 우측(도 8에서는 좌측이 됨)에는, 촬영 창(23)에 연결되는, 카메라 모듈의 렌즈가 장전되는 렌즈 장전 구멍(262)이 형성되어 있다.
도 9는 앞 프레임의 내벽면의 상부 중앙을 경사 방향에서 본 확대 사시도이다.
이 도 9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로크 모듈(22)을 구성하는 연결 기구부(223)는, 후술하는 기판에 겹치는 면(223a)과 그 면에 수직인 면(223b)에 확장되도록 L자 형상으로 구부러진 금속판(2231)으로 덮여 있다.
이 L자 형상의 금속판(2231)은, 이 연결 기구부(223)의 강도 확보와, 후술하는 기판에 탑재된 발열 전자 부품의 냉각 역할을 겸하고 있다.
도 10은 표시 유닛의 상부 중앙을, 앞 프레임을 제거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에는, 카메라 모듈(271)이 고정되고, 또한 그 카메라 모듈(271)용의 신호 처리 회로를 구성하는 다수의 전자 부품(272)이 탑재된 기판(27)이 배치되어 있다. 이 기판(27) 위의 신호 처리 회로는 커넥터(273)를 통해서 이 기판 외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신호 처리 회로를 구성하는 다수의 전자 부품(272) 중 1개의 전자 부품(272a)은, 동작 중에 상당한 발열을 수반하는 발열 전자 부품이다.
여기서, 도 6에 나타낸 앞 프레임(26)을 부착하면, 카메라 모듈(271)이 렌즈 장전 구멍(262)(도 9 참조)에 삽입되어 촬영 창(23)(도 8 참조)으로 렌즈를 들여다 본 상태가 되고, 또한 기판(27)의, 전자 부품(272)이 탑재된 영역이, 로크 모듈(22)의 연결 기구부(223)에 겹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 때, 도 9에 나타낸 L자 형상의 금속판(223)이, 그 기판(27) 위의 전자 부품(272)에 근접해서 그들의 전자 부품(272)을 덮도록 배치되고, 이것에 의해, 발열 전자 부품(272a)의 방열을 돕고, 또한 그들의 전자 부품(272)에 대한 실드(shield)의 역할을 이루고 있다.
여기서는, 상기와 같이, 연결 기구부(223)와 기판(27)이 두께 방향으로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로크 모듈(22)을 구성하는 훅크(221)와 촬영 창(23)이, 표시 유닛(20)의 상부 중앙의 서로 근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카드 액세스 유닛)
도 11은 본체 유닛(10)의 키보드(11) 등의 상면의 구성 부분을 제거하여, 캐비닛의 저면측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체 유닛(11)을 구성하는 저면측의 캐비닛 내에도 다수의 전자 부품이 탑재 되어 있지만, 여기에는, 그 중 1개의 전자 부품으로서, CD/DVD 드라이브 유닛(51)이 탑재되어 있다.
도 12는, CD/DVD 드라이브 유닛(51)을 제거한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에 나타낸 CD/DVD 드라이브 유닛(51)은, 본체 유닛(10)을 구성하는 캐비닛에 설치된 전자 부품 장전구(101)로부터, CD/DVD 드라이브 유닛 장전부(511)에, 장착 분해 가능하게 장전되는 전자 부품이다. 일단 장전된 CD/DVD 드라이브 유닛(51)은 통상의 사용시에 제거될 일은 없지만, 고장시 등에는, 그 전자 부품 장전구(101)로부터 제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CD/DVD 드라이브 유닛(51)은, 전자 부품 장전구(101)로부터 장전된 상태에서는, 그 CD/DVD 드라이브 유닛(51)이 그 전자 부품 장전구(101)의 개구를 막고 그 CD/DVD 드라이브 유닛(51)의 표면이 본체 유닛(10)의 외형을 규정하는 캐비닛의 일부를 이루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CD/DVD 드라이브 유닛 장전부(511)에는, 실드판(102)이 깔려 있고, 전자 부품 장전구(101)로부터 장전되는 CD/DVD 드라이브 유닛(51)은, 이 실드판(102) 위에 배치된다.
또한, 이 실드판(102) 위에는, 절연성의 시트(103)가 깔려 있고, 점착 테이프(104)로 부착되어 있다.
도 13은 점착 테이프(104)를 벗겨서 시트(103)를 확장한 상태의, CD/DVD 드라이브 유닛 장전부(511)를 나타낸 도면이다.
실드판(102)에는, 개구(102a)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102a)에 들어간 위치에, 카드 액세스 유닛(52)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는, 실드판(101)의 위를 통하여 2매의 회로 기판을 연결하는 플랫 케이블(53)이 연장되어 있다.
시트(103)는 실드판(102)에 고정된 고정부(103a)와, 전자 부품 장전구(101) 부근의 위치에서 되접어 고정부(103a) 위에 확장되는 되접기부(103b)를 가지며, 되접기부(103b)를 되접으면(도 12 참조), 플랫 케이블(53)은 시트(103)의 고정부(103a)와 되접기부(103b)에 끼워진 상태가 되고, 또한 실드판(102)의 개구(102a) 및 카드 액세스 유닛(52)은 되접기부(103b)로 덮인 상태가 된다. 따라서, CD/DVD 드라이브 유닛(51)은, 장전시 및 제거시에, 실드판(102)의 개구부(102a)의 테두리나, 카드 액세스 유닛(52)이나, 플랫 케이블(53)에 걸려서 손상시키거나 단선시키거나 하지 않고, 원활하게 장전 또는 제거를 행할 수 있다.
도 14는 본체 유닛(10)의 저면(底面)의 일부 확대도이다.
여기는, 도 4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 유닛(10)의 캐비닛의 일단면에 형성된 카드 슬롯(17)으로부터 넣거나 빼기 가능하게 삽입된 B-CAS 카드(41)를 캐비닛 내측에 수용하는 카드 수용부(18)가 형성되어 있다.
도 15는 본체 유닛을 구성하는 저면측 캐비닛의, B-CAS 카드가 삽입되는 카드 슬롯의 부분을 저면 방향에서 비스듬히 본 부분 사시도이다.
이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카드 슬롯(17)은, CD/DVD 드라이브 유닛(51)이 장전되는 전자 부픔 장전구(101)(도 12도 참조)에 대해서, 본체 유닛(10)의 두께 방향으로 겹친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카드 수용부(18)는 CD/DVD 드라이브 유닛(51)이 장전되는 CD/DVD 드라이브 유닛 장전부(511)와 겹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도 16은 카드 드라이브 유닛의 접점이 배치된 측의 면(여기서는, 이 면을 내면이라 칭함)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에는, 복수의 접점(521)이 구비되어 있다. 카드 슬롯(17)으로부터 삽입되는 B-CAS 카드(41)에는, 그 B-CAS 카드(41)의 삽입 방향 전단측의, 이들의 접점(521)에 대응하는 개소에 전극(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고, 카드 슬롯(17)으로부터 삽입된 B-CAS 카드(41)는 그 전단측이 위치 결정용의 벽(522)에 맞닿아 정지하고, 그 상태에서 접점(521)이 B-CAS 카드(41)의 전극에 접촉하고, B-CAS 카드(41)는, 이 카드 드라이브 유닛(52)에 의해, 접점(521)을 통해서 액세스된다.
도 13에 나타낸 실드판(102)의 개구(102a)에는 이 카드 드라이브 유닛(52)의, 도 16에 나타낸 내면의 뒤쪽인 배면이 들어가 있다. 이 도 1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카드 드라이브 유닛(52)은, 본체 유닛(10)의 캐비닛 내의, 카드 슬롯(17)으로부터 떨어진 조금 들어간 위치에 고정되어 있고, 카드 슬롯(17)으로부터 삽입되어 온 B-CAS 카드(41)는, 그 선단 부분만이 카드 드라이브 유닛(52)과 겹치는 위치까지 삽입된다.
여기서, 카드 드라이브 유닛(52)은, 카드 슬롯(17)으로부터 떨어진, 들어간 위치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카드 슬롯(17)으로부터 삽입되어 온 B-CAS 카드(41)를 카드 드라이브 유닛(52)을 향해서 바르게 안내할 필요가 있지만, 여기서는, CD/DVD 드라이브(51) 아래에 깔리는 실드판(102)이 카드 안내용으로 단차가 형성되어 있고, 카드 슬롯(17)으로부터 삽입되어 온 B-CAS 카드(41)는, 그 실드판(102) 과, 본체 유닛(10)의 저면측의 캐비닛 카드 수용부(18)의 내벽에 의해, 카드 드라이브 유닛(52)에까지 바르게 안내된다. 여기서는, 이와 같이, 안내를 위한 불필요한 부품을 배치하지 않고, 원래 필요한 실드판(102)을 안내판으로서 사용하여, 그 실드판(102)과, 캐비닛에 의해 안내하기 때문에, 부품 점수의 증대에 의한 대형화나 비용 상승을 수반하지 않고 안내 기능을 실현하고 있다.
또한, 카드 드라이브 유닛(52)은, 도 16에 나타낸 내면이 본체 유닛(10)의 저면측 캐비닛 내면에 직접적으로 대면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통상, 이러한 카드 드라이브 유닛(52)은, 도 16에 나타낸 내면과 협동하여 B-CAS 카드(41)를 둘러싸도록, 이 내면에 대면하는 또 1매의 판 부재가 구비되어 있지만, 여기서는, 그러한 판 부재는 불필요하며, 카드 드라이브 유닛(52)에 삽입되어 온 B-CAS 카드(41)는 카드 드라이브 유닛(52)의, 도 16에 나타낸 내면과, 캐비닛의 내벽면으로 둘러싸이게 된다. 따라서, 여기서는, 그러한 판 부재가 불필요한 만큼 박형화에 기여한다.
또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드판(102)에는 개구(102a)가 형성되어 있고, 카드 드라이브 유닛(52)은 그 배면측이 그 개구(102a)에 들어간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여기서는, 그 실드판(102)의 두께에 대해서도 박형화가 도모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적층 관계가 위로부터 CD/DVD 드라이브, 실드판, 카드 슬롯 유닛, 본체 유닛의 캐비닛 저면이기 때문에, 본체 유닛의 캐비닛 저면과 협동하는 구조예를 나타냈지만, 예를 들면, 이 실시예와는 상하 반대의 적층 관계 를 취하여, 본체 유닛의 캐비닛 상면 부근에 카드 슬롯 유닛이 설치되는 구조의 경우에는, 본체 유닛의 캐비닛 상면과 협동하도록 하면 좋은 것은 물론이다.
(스피커)
도 17은, 본체 유닛(10)의 캐비닛의 내부에 구성된 스피커 유지부의 사시도이다.
이 스피커 유지부(140)는, 도 1∼도 3에 나타낸 내장 스피커로부터의 소리를 외부에 출력하는 방음구(14)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다. 방음구(14)는 본체 유닛(10)의 전면의 좌우에 1개씩, 합계 2개 설치되어 있고, 스피커 유지부(140)도 2개의 방음구(14)의 각각에 대응해서 설치되어 있지만, 좌우의 스피커 유지부는 거의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어, 이 도 17에서는 그 중 한쪽만을 나타내고 있다.
이 스피커 유지부(140)에는, 스피커의 양 측면을 각각 가이드하는 한 쌍의 측면 가이드(141a, 141b)와, 스피커의 하면이 놓이는 대좌(142)와, 스피커의 배면을 지지하는 등받이(143)를 갖는다.
도 18은, 스피커와 그 스피커에 고정된 쿠션재를 나타내며, 스피커의 진동면을 비스듬히 위에서 본 사시도, 도 19는 스피커와 쿠션재를, 진동면과는 뒤쪽인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 20은 스피커와 쿠션재를, 배면측이며 도 19와는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21은 제 1 쿠션재의 사시도이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스피커(55)의 진동면(551)은, 타원형이지만, 이 진동면(551)측의, 진동면(551)의 그 주위를 포함하는 면은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을 이루고 있다.
이 직사각형의 스피커(55)의 좌우 양 측면에는, 도 21에 나타내는 형상의 제 1 쿠션재(56)가 배치되고, 스피커(55)의 하면에는 제 2 쿠션재(57)가 배치되고, 스피커(55)의 배면에는 제 3 쿠션재(58)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도 21에 나타낸, 스피커(55)의 좌우 양 측면에 배치되는 제 1 쿠션재(56)는 스피커(55)의 좌우 측면 각각에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부(561)가 스피커(55)의 상면을 통하여 접속된 1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좌우의 고정부(561)를 별개의 부품으로 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부품 점수의 삭감과 비용의 저감화가 도모되고 있다.
이 제 1 쿠션재(56)의 좌우의 고정부(561)에는, 스피커(55)의 좌우 측면이 각각 끼워넣어지는 삽입부(562)가 형성되어 있고, 스피커(55)의 좌우 측면이 좌우의 삽입부(562)에 끼워넣어짐으로써, 이 제 1 쿠션재(56)가 스피커(55)에 부착된다.
여기서, 이 제 1 쿠션재(56)는 경질 고무 등의 비교적 단단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따라서, 제 1 쿠션재(56)는 스피커(55)의 측면을 삽입부(562)에 끼워넣는 것만으로 스피커(55)에 고정된다.
또한, 도 17에 나타낸, 캐비닛에 설치된 스피커 유지부(140)의 측면 가이드(141a, 141b)는, 제 1 쿠션재(56)를 부착한 상태의 스피커(55)의 측면을 가이드하는 것이며, 제 1 쿠션재(56)는 이 제 1 쿠션재(56)를 부착한 상태의 스피커(55)를 측면 가이드(141a, 141b)에 끼워넣었을 때에 스피커(55)의 진동면(551)이 방음구(14)의 방향에 맞도록, 스피커(55)를 조금 상향의 상태로 유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 제 1 쿠션재(56)는 경질의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 스피커(55)의 자세 유지의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
또한, 스피커(55)의 하면에 배치된 제 2 쿠션재(57)는, 제 1 쿠션재(56)보다도 연질의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쿠션재(56)와 같이, 스피커(55)의 하면에 끼워넣어 고정한다는 고정 방법을 채용할 수 없어, 이 제 2 쿠션재(57)는 스피커(55)의 하면에 부착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이 제 2 쿠션재(57)는 스피커 유지부(140)의 대좌(142)측의 면에도 점착층을 가져, 이 스피커(55)를 스피커 유지부(140)에 배치하면 대좌(142)에도 부착된다. 이 때문에, 조립시에, 스피커 유지부(140)에 일단 배치한 스피커(55)의 누락이 방지되고, 누락된 스피커(55)를 재배치하는 수고 삭감이나 조립 불량 등의 발생 방지가 도모되고 있다.
또한, 스피커(55)의 배면에 배치된 제 3 쿠션재(58)도, 제 1 쿠션재(56)와 비교하여 연질의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스피커(55)의 배면에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는, 상기와 같이, 스피커(55)의 하면과 배면에 연질의 쿠션재(57, 58)가 배치되고, 그 상태에서 스피커 유지부(140)에 배치되어 있어, 스피커(140)의 진동이 본체 유닛(10)의 캐비닛에 전달되는 것이 크게 저감되고 있다. 이 때문에, 이 스피커(140)를 대음량으로 울려도, 본체 유닛(10)의 캐비닛 내에 구비되어 있는, 진동에 민감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유닛 등의 전자 부품에의 영향이 억제된다.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유닛의 장착 구조)
도 22는 본체 유닛 저면에 개구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유닛이 장전되 는 HDD 장전부(150)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 22는 도 4에 나타낸 본체 유닛(10)의 저면에 개구를 가지며 도려낸 형상을 갖는 HDD 장전부(150)를 덮는 덮개(19)를 제거한 상태이다.
여기에는, HDD 유닛(60)이 배치되어 있다. 이 HDD 유닛(60)은, HDD 본체(61)와, 그 HDD 본체(61)를 본체 유닛(10)의 캐비닛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 금속 부재(62)로 이루어진다. 이 HDD 유닛(60)은 장착 금속 부재(62)에 설치된 구멍(621a)을 이용해서 캐비닛에 나사 고정되지만, 이 도 22에서는, 이들 구멍(621a)의 나사를 이미 제거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23은 HDD 유닛을 HDD 본체와 장착 금속 부재로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4는 장착 금속 부재의 내면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 도 23에는, HDD 본체(61)의 하면(615)과, 장착 금속 부재(62)의 베이스의 내면(622a)이 나타나도록 도시되어 있다.
이 HDD 본체(61)는, 전단면(611)과, 후단면(612)과, 좌우의 양 측면(613)과, 이들 전단면(611), 후단면(612), 양 측면(613)으로 구획된 상면(614)(도 23에서는 하향)과 하면(615)(도 23에서는 상향)을 갖는, 편평한 직방체 형상의 전자 부품이다. 여기서, 전단면(611)에는,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넥터(611a)가 구비되어 있다.
HDD 본체(61)는, 그 상면(614)이 장착 금속 부재(62)의 베이스의 내면(622a)과 대면하도록 장착 금속 부재(62)에 배치된다. 이 때, HDD 본체(61)의 상면(614)이 장착 금속 부재(62)의 내면(622a)에 직접 닿지않도록, 장착 금속 부재(62)의 내 면(622)에 쿠션재(631)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이 쿠션재(631)는 장착 금속 부재(62)의 내면(622a)이며, HDD 본체(61)의 상면(614)의, 후단면측에 근접한 부분이 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지만, HDD 본체(61)의 전단면측은, 장착 금속 부재(62)의 나사 삽입 통과 구멍(627)과 HDD 본체(61)의 나사 구멍(616)을 사용하여, HDD 본체(61)의 상면(614)의 전단면(611) 부근의 부분도 장착 금속 부재(62)의 내면(622a)에 직접적으로는 접하지 않도록, 장착 금속 부재(62)가 HDD 본체(61)에 나사 고정된다.
또한, 측면에 관해서도, 장착 금속 부재(62)에는, HDD 본체(61)의 양 측면(613)의 후단면(612) 부근의 위치에 접하는 쿠션재(632)가 배치되어 있다. HDD 본체(61)의 측면(613)의 전단면(612) 부근의 위치에는, 장착 금속 부재(62)가 나사 고정되기 때문에, 쿠션재는 배치되어 있지 않다
또한, 장착 금속 부재(61)의, 쿠션재(632)에 대해서 장착 금속 부재(61)를 사이에 낀 외측에도 쿠션재(633)가 배치되어 있다. 이 외측의 쿠션재(633)는, 이 장착 금속 부재(62)를 HDD 본체(61)에 장착한 상태의 HDD 유닛(60)을 HDD 장전부(150)(도 22 참조)에 장전했을 때의, 그 HDD 장전부(150)의 내벽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도 25, 도 26은 장착 금속 부재가 HDD 본체에 장착된 상태의, 전단면을 각각 우, 좌로 하여 각 한쪽의 측면을 본 상태의 사시도, 도 27은 장착 금속 부재가 HDD 본체에 장착된 상태의, 전체의 구조를 개괄할 수 있는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
이 장착 금속 부재(62)는, 판금 가공에 의해 형성된 것이며, HDD 본체(61)의 상면(614)을 덮도록 확장되는 베이스(622)와, 그 베이스(622)로부터, HDD 본체(61)의 양 측면(613) 각각을 따르도록 구부러져 양 측면(613) 각각을 따라 확장되는 좌우 한 쌍의 측면 지지부(623)를 가지며, 좌우 한 쌍의 측면 지지부(623)는, 모두, 전단측 측면 지지부(623a)와 후단측 측면 지지부(623b)로 나누어져 있다.
이들 중의 전단면측 측면 지지부(623a)는, 베이스(622)에 연결되고, 그 베이스(622)로부터 HDD 본체(61)의 측면(613)을 따르도록 구부러진 절곡(折曲)부(623_1a)와, 베이스(622)로부터는 분리되어 절곡부(623_1a)에 연결되어 HDD 본체(61)의 측면(613)을 따라 전단면(611)측으로 연장되고, HDD 본체(61)의 전단면(611)과의 코너부에까지 연장되고, 또한 전단면(611)측으로 구부러져 전단면(611)의 단부(端部)를 덮는 암부(arm; 623_2a)를 갖는다. 나사 고정용의 나사 삽입 통과 구멍(627)(도 23 참조)은, 이 암부(623_2a)에 설치되어, 그 암부(623_2a)가 나사 부재(42)로 HDD 본체(61)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후단면측 측면 지지부(623b)는 전단면측 측면 지지부(623a)보다도 HDD 본체(61)의 후단면(612) 부근의 위치에서, 전단면측 측면 지지부(623a)와는 독립으로 베이스(622)에 연결되고, 베이스(622)로부터 HDD 본체(61)의 측면(613)을 따르도록 구부러져서 측면(613)을 따라 확장되어 있다. 이 후단면측 측면 지지부(623b)의 내면에 HDD 본체(61)의 측면(613)과의 사이의 완충 작용을 이루는 쿠션재(632)가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 장착 금속 부재(62)는 HDD 본체(61)의 후단면측은 쿠션재(631, 632)로 지지하고, 전단면측만, 좌우 1개소씩 합계 2개소에서 나사 고정되 어 있다. 종래는, 일례로서, HDD 본체(61)의 측면(613)의 후단면측과 전단면측의 양쪽 및 좌우 양쪽의 합계 4개소에서 나사 고정되어 있지만, 여기서는, 전단면측의 2개소에서만 나사 고정되고, 후단면측은 쿠션재(631, 632)로 받고 있기 때문에, HDD 본체(61)와 외부와의 진동의 전달이 유효하게 억제된다. 또한, 여기서는, 나사 고정은, 전단면측 측면 지지부(623a)의 암부(623_2a)에서 행해지고 있어, 이 암부(623_2a)에 의해서도 진동이 흡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장착 금속 부재(62)는 다른 두께 사이즈의 HDD 본체에 공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쿠션재(631)는 점착 시트로 장착 금속 부재(62)에 접착되는 구성을 취하고 있고, 탑재되는 HDD 본체의 두께에 따라 쿠션재(631)를 선택해서 장착 금속 부재(62)에 탑재함으로써, 어떠한 HDD 본체가 선택되어도 HDD 본체를 수평으로 유지하도록 탑재 가능하다.
이 장착 금속 부재(62)의 베이스(622)에는 다수의 구멍(622b)이 설치되어 있지만, 이들의 구멍(622b)은, 이 베이스(622)의 하나의 역할인 자기(磁氣) 실드를 손상하지 않는 레벨로 경량화를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 장착 금속 부재(62)는 베이스(622)에 연결되어 베이스(622)로부터 HDD 본체(61)의 후단면(612)을 따르도록 구부러지고, 또한 반대 방향으로 구부러져 베이스(622)와 평행하게 확장되는 플랜지부(flange)를 갖는다. 이 플랜지부(624)는 이 장착 금속 부재(62)가 HDD 본체(61)에 장착된 상태의 HDD 유닛(60)을, 본체 유닛(10)의 캐비닛에 설치된 HDD 장전부(150)(도 22 참조)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술한 나사 삽입 통과 구멍(621a)이 설치되어 있다.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HDD 장전부(150)의 전단에는 커넥터(151)가 구비되어 있고, HDD 유닛(60)을 HDD 장전부(150)에 장전하는 데 있어서는, HDD 본체(61)의 하면(615)이 HDD 장전부(150)의 저면측을 향하도록 하고, HDD 본체(61) 전단면(611)의 커넥터(611a)(도 27 참조)가 HDD 장전부(150)의 전단의 커넥터(151)에 끼워넣어지고, 장착 금속 부재(62)의 플랜지부(624)에 설치되어 있는 나사 삽입 통과 구멍(612a)이 이용되어 나사 부재로 본체 유닛(10)의 캐비닛에 고정된다.
도 28은, HDD 유닛을 제거한 상태의 HDD 장전부를 나타낸 도면, 도 29는 그 HDD 장전부의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이 HDD 장전부(150)는 본체 유닛의 저면에 개구를 가지며, 내부가 도려내진 형상을 갖는다. 이 HDD 장전부(150)의 전단에는 HDD 유닛(60)의 커넥터(611a)(도 27 참조)와 조합하는 커넥터(151)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이 HDD 장전부(150)의 저면에는, 4개소에 위치 결정 리브(152)의 쌍이 형성되어 있고, HDD 유닛(60)은, HDD 장전부(150)에 장전되었을 때에, 장착 금속 부재(62)의 측면이 이 위치 결정 리브(152)에 의해 위치 규제된다. 위치 결정 리브(152)의 각 쌍에 끼워진 위치에는, 합계 4개의 쿠션재(634)가 배치되어 있다. 이 쿠션재(634)는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 결정 리브(152)의, HDD 본체(61)의 하면(615)과 마주 향하는 부분보다도 부피가 크고, 따라서 HDD 본체(61)는, HDD 장전부(150)에, HDD 본체(61)의 하면(615)이 그들 4개의 쿠션재(634) 위에 실린 상태로 장전된다. HDD 유닛(60)과 HDD 장전부(150)의 측면 사이에는, 장착 금속 부재(62)의 후단면측 측면 지지부(623)의 외벽에 고정된 쿠션재(633)가 배치 된다.
또한, HDD 장전부(150)의 후단 테두리에는 이 HDD 장전부(150)에 HDD 유닛(60)이 장전되었을 때에, 그 HDD 유닛(60)을 구성하는 장착 금속 부재(62)의 플랜지부(624)의 나사 삽입 통과 구멍(621a)을 연통하는 위치에 2개의 나사 구멍(153)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의 나사 삽입 통과 구멍(621a)과 나사 구멍(153)에 의해, HDD 유닛(60)이 본체 유닛(10)의 캐비닛에 나사 부재로 고정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장착 금속 부재(62)는 HDD 본체(61)의 좌우 측면의, 전단면 부근의 위치에서 좌우 각각 1개소씩, 합계 2개소에서만 나사로 고정되고, HDD 본체(61)의 후단면측은, 쿠션재(631, 632)를 통해서 장착 금속 부재(62)에 지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HDD 본체(61)는 장착 금속 부재(62)에 대해서 진동의 허용도가 크다. 이 HDD 본체(61)는 그 내부에서 기억 매체인 하드디스크(HD)가 회전하고 그 회전하는 HD 위를 헤드가 이동해서 액세스한다는, 기계적 진동부를 가지며, 자체에서도 진동을 발생하는 동시에, 외부로부터 진동을 받으면 오동작하기 쉽다. 여기서는, 상기의 구조에 의해 장착 금속 부재(62)에 대한 HDD 본체(61)의 진동의 허용도를 높이고 있기 때문에, 진동의 전달이 대폭 억제된다. 또한, HDD 유닛(60)과 HDD 장전부(150)의 사이에도, HDD 장전부(150) 저면의 4개의 쿠션재(634)와 HDD 유닛(600)의 좌우 측면의 후단측의 2개의 쿠션재(633)가 배치되어, 진동의 허용도가 높아져 있다.
따라서, 이 구성에 의하면, 본체 유닛(10)의 캐비닛과 HDD 본체(61)의 사이에서 기계적인 진동이 전달되기 어려워,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진동에 의한 HDD 본체(61)의 오작동이 억제되고, 또한 HDD 본체(61)의 진동의 다른 부품에의 악영향도 억제된다.
(전자 부품 장착 구조)
도 30은 본체 유닛(10)의 상면을 구성하는 키보드(11)(도 1 참조) 등을 제거하고, 그 아래에 확장되는 실드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실드판(160)은, 판금 가공에 의해 형성된 것이다.
여기서는, 이 실드판(160)을 이용한, 판형상의 전자 부품(70)의 장착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1은 도 30 중, 전자 부품(70)의 부분을 나타낸 확대도, 도 32는 도 31과 동일한 부분을, 전자 부품을 제거하고, 그 전자 부품이 배치되는 부품 배치 영역과 전자 부품을 배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2의 (a)는 전자 부품 배치 영역의 평면도, 도 32의 (b)는 전자 부품의 평면도, 도 32의 (c)는 전자 부품의 정면도이다.
이 전자 부품(70)은, 통신용의 회로가 조립된 전자 부품이며, 도 3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을 갖지만, 두께 방향에는, 도 32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 모듈(73)과, 그 통신 모듈(73)에 고정되어 통신 모듈(73)보다도 넓은 면적의 지지판(74)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지판(70)의 4코너에는, 나사 고정용의 관통 구멍(71)이 형성되어 있고, 통신 모듈(73)로부터는 이 전자 부품(70)의 외부와의 사이의 신호 전달을 담당하는 케이블(72)이 연장되어 있다.
한편, 이 전자 부품(70)이 배치되는 부품 배치 영역(170)에는, 실드판(160)에 개구(161)가 설치되어 있고, 그 개구(161)의 전단 테두리(161a)(도 31, 도 32의 우측의 단 테두리)에는, 그 개구(161) 내에 돌출된 형상의 돌출편(16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 개구(161)의 후단은, 실드판(160)의 일부가 띠 형상으로 연장된 띠 형상부(163)로 구획되고 그 띠 형상부(163)로 개구(161)의 후단 테두리(161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실드판(160)의 띠 형상부(163)는, 본체 유닛(10)(도 1 참조)의 캐비닛의 저면 내벽에 세워 설치한 3개의 보스(boss; 171)에 의해 아래로부터 지지되어 있다. 그들 3개의 보스(171) 중 양측의 보스에는, 그 중앙에 나사 구멍(도시 생략)이 설치되어 있고, 실드판(160)의 띠 형상부(163)의, 그 나사 구멍에 겹치는 부분에 나사 삽입 통과 구멍(163a)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나사 구멍 및 나사 삽입 통과 구멍(163a)은, 이 부품 배치 영역(170)에 전자 부품(70)을 배치했을 때, 그 전자 부품(70)에 설치된 4개의 관통 구멍(71) 중의 후단측에 설치된 2개의 관통 구멍과 겹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 전자 부품(70)의 전단측의 2개의 관통 구멍(71)은 여기서는 이용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실드판(160)에는 개구(161)에 돌출된 돌출편(162)이 형성되어 있지만, 이 돌출편(162)은 전자 부품(70)의 상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단, 이 돌출편(162)이 개구(161) 내에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이 돌출편(162)이 방해가 되어 전자 부품(70)을 위로부터 배치할 수는 없다. 또한, 그 전자 부품(70)의 전단을 돌출편(162)의 아래에 잠입시키도록 옆으로 슬라이드시켜서 배치하려고 하면, 이 전자 부품(70)은 도 32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단 부분 및 후단 부분만 얇고, 중앙 부분은 통신 모듈(73)이 고정되어 두꺼운 형상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 통신 모듈(73)이 실드판(160)의 띠 형상부(163)에 맞닿아 버려, 옆으로 슬라이드시켜서 배치하는 것도 매우 곤란하다. 그래서, 여기서는 이하와 같이 연구되고 있다.
도 33은 부품 배치 영역을 비스듬히 위에서 본 사시도, 도 34는 그 부품 배치 영역의 전단 부분의 확대도이다.
이 부품 배치 영역(170)의 전단 부분에는, 돌출편(162)의 양측에, 캐비닛의 저면 내벽으로부터 세워 설치한 하면 안내 리브(172)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그들 2개의 하면 안내 리브(172)를 사이에 끼우는 위치에, 캐비닛의 저면 내벽으로부터 세워 설치한 측면 안내 리브(173)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하면 안내 리브(172)의 상면은, 지지면(172a)과 경사면(172b)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경사면(172b)을 내려간 위치에는 접촉벽(172c)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면(172b)은, 개구(161)의 전단 테두리(161a)를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한 경사면으로서, 그 전단 테두리(161a)를 향해서 비스듬히 하향으로 삽입되어 온 전자 부품(70)의 전단측 하면을 안내하는 것이다.
또한, 지지면(172a)은, 경사면(171b)보다도 전단 테두리(161a)로부터 떨어진측에, 그 경사면(172b)에 인접해서 형성되어 있고, 그 경사면(172b)에 안내되어 비스듬히 하향으로 삽입되어 온 전자 부품(70)의 후단측을 내려서 전자 부품(70)을 수평으로 했을 때의, 그 전자 부품(70)의 전단측 하면을 지지하는 것이다. 전자 부품(70)이 이 지지면(172a)으로 하면이 지지되어, 수평으로 놓이면, 돌출편(162)에 의해 그 전자 부품(70)의 선단측의 상면이 지지된다.
또한, 접촉벽(172c)은, 경사면(172b)에 안내되어 비스듬히 하향으로 삽입되어 온 전자 부품(70)의 선단의 접촉을 받아서, 그 전자 부품(70)의 전후 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돌출편(162)은 선단이 비스듬히 상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갖고 있어, 이 점도, 전자 부품(70)을 비스듬히 하향으로 삽입할 때의 도움이 되고 있다.
또한, 측면 안내 리브(173)는 개구(161)의 전단 테두리(161a)를 향해서 비스듬히 하향으로 삽입되어 온 전자 부품(70)의 선단측의 좌우 양 측면을 안내하는 것이며, 한 쌍의 측면 안내 리브(173)끼리 서로 평행하게 확장되는 안내벽(173a)과, 그 안내벽(173a)보다도, 개구(161)의 전단 테두리(161a)로부터 떨어진 측에 형성된, 그 전단 테두리(161a)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을 향하여 서로 개방된 도입벽(173b)을 갖는다.
안내벽(173a)은 전자 부품(70)의 측면을 안내하여 전자 부품(70)의 좌우 방향의 위치를 바른 위치로 규제하는 것이며, 도입벽(173b)은 좌우 방향으로 다소 위치가 어긋나서 삽입되어 온 전자 부품(70)의 측면을 안내하여 좌우 방향의 위치를 수정하면서 안내벽(173a)에 넘겨주는 것이다.
도 35는 전자 부품이 부품 배치 영역에 비스듬히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6은 삽입된 전자 부품을 수평으로 놓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전자 부품(70)의 좌우 방향에 대해서는 측면 안내 리브(173)로 위치 규제하면서, 하면 안내 리브(162)의 경사면(162b)에서 비스듬히 하향으로 삽입되어 온 전자 부품(70)을 안내하여 전자 부품(70)의 선단을 세운 벽(162c)에 접촉 시킴으로써, 전후 방향의 위치를 결정하고, 그 후 전자 부품(70)을 수평으로 놓음으로써, 전자 부품(70)의 전단측에 대해서 하면을 하면 안내 리브(172)의 지지면(172a)으로 지지시키는 동시에 상면을 돌출편(162)으로 지지시킨다. 그 상태에서 전자 부품(70)의 후단측의 관통 구멍(71)을 사용하여 캐비닛 저면으로부터 세워 설치한 보스에 나사 고정한다.
이와 같이, 여기서는, 하면 안내 리브(172)를 설치하여 비스듬히 하향으로 삽입되어 온 전자 부품(70)을 안내하는 구성으로 했으므로, 전자 부품(70)을 부품 배치 영역(170)의 바른 위치에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어, 조립성이 향상한다.
이하, 본 발명의 각종 형태를 부기한다.
(부기 1)
커넥터를 갖는 전단면과, 후단면과, 좌우의 양 측면과, 이들 전단면, 후단면, 및 양 측면으로 구획된 제 1 면 및 제 2 면을 갖는 전자 부품의 그 제 1 면을 따라 확장되는 베이스와,
상기 전자 부품의 전단면 및 후단면 중 한쪽의 단면에 근접한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에 그 전자 부품을 나사 고정하기 위한 나사 삽입 통과 구멍을 가지며,
상기 전자 부품의 전단면 및 후단면 중 다른 쪽 단면에 근접한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전자 부품 사이에 개재하는 제 1 쿠션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 장착용 부품.
(부기 2)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기 전자 부품의 양 측면 각각을 따르도록 구부러져 그 양 측면 각각을 따라 확장되는 좌우 한 쌍의 측면 지지부를 가지며,
상기 좌우 한 쌍의 측면 지지부 각각이, 상기 전자 부품의 상기 한쪽 단면에 근접한 위치에 상기 나사 삽입 통과 구멍을 가지며,
상기 좌우 한 쌍의 측면 지지부를 통하여 상기 베이스에 상기 전자 부품이 나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 기재의 전자 부품 장착용 부품.
(부기 3)
상기 좌우 한 쌍의 측면 지지부는, 상기 전자 부품의 측면의, 그 전자 부품의 전단면에 근접한 위치에, 상기 나사 삽입 통과 구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2 기재의 전자 부품 장착용 부품.
(부기 4)
상기 좌우 한 쌍의 측면 지지부 각각이,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어 그 베이스로부터 그 전자 부품 측면을 따르도록 구부러진 절곡부(折曲部)와, 상기 베이스로부터는 분리되어 상기 절곡부에 연결되어 그 전자 부품의 측면을 따라 전단면측으로 연장되는 암부로 이루어지는 전단측 측면 지지부와, 상기 전단측 측면 지지부보다도 상기 전자 부품의 후단면 부근의 위치에서 상기 전단측 측면 지지부와는 독립으로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고, 그 베이스로부터 그 전자 부품 측면을 따르도록 구부러져서 그 측면을 따라 확장되는 후단측 측면 지지부와의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나사 삽입 통과 구멍은 상기 전단측 측면 지지부의 암부에 형성되고, 상기 후단측 측면 지지부와 상기 전자 부품간에 개재하는 제 2 쿠션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3 기재의 전자 부품 장착용 부품.
(부기 5)
상기 전단측 측면 지지부의 암부는, 상기 전자 부품 측면의 전단면과의 코너부에까지 연장되고, 또한 전단면측으로 구부러져서 그 전단면의 단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4 기재의 전자 부품 장착용 부품.
(부기 6)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어 그 베이스로부터 상기 전자 부품의 후단면을 따르도록 구부러지고, 또한 역방향으로 구부러져서 상기 베이스와 평행하게 확장되고, 전자 기기 고정용의 나사 삽입 통과 구멍이 형성된 플랜지부(flange)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3 내지 5 중 어느 한 기재의 전자 부품 장착용 부품.
(부기 7)
상기 전자 부품 장착용 부품은, 판금(板金)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 내지 6 중 어느 한 기재의 전자 부품 장착용 부품.
(부기 8)
당해 전자 부품 장착용 부품은, 기계 구동부를 갖는 전자 부품을 전자 기기에 장착하기 위한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 내지 7 중 어느 한 기재의 전자 부품 장착용 부품.
(부기 9)
당해 전자 부품 장착용 부품은, 기계 구동부에 의해 기억 매체를 액세스하는 전자 부품을 전자 기기에 장착하기 위한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8 기재의 전자 부품 장착용 부품.
(부기 10)
당해 전자 부품 장착용 부품은, 진동을 발생하는 전자 부품을 전자 기기에 장착하기 위한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 내지 7 중 어느 한 기재의 전자 부품 장착용 부품
(부기 11)
부기 1 내지 10 중 어느 한 기재의 전자 부품 장착용 부품이 장착된 전자 부품이 수납되는, 개구를 갖고 도려낸 형상으로서, 전단에, 그 전자 부품 전단면의 커넥터와 결합하는 커넥터가 배치된 부품 수납부가 형성된 캐비닛과,
상기 부품 수납부에, 상기 전자 부품 장착용 부품이 장착되어 상기 제 2 면을 그 부품 수납부의 저면(底面)측을 향해 상기 커넥터끼리를 결합시켜서 수납된 전자 부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부기 12)
상기 부품 수납부와 상기 전자 부품 제 2 면 사이에 개재하는 제 3 쿠션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1 기재의 전자 기기.
(부기 13)
상기 전자 부품 장착용 부품의 측면 지지부 외벽과 상기 부품 수납부의 측벽 사이에 개재하는 제 4 쿠션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1 또는 12 기재의 전자 기기.
(부기 14)
당해 전자 기기가, 연산 처리를 행하는 연산 회로를 내장하여 조작에 따른 지시를 입력하는 키보드를 상면에 구비한 연산 유닛을 가지며, 상기 캐비닛은 그 연산 유닛의 캐비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1 내지 13 중 어느 한 기재의 전자 기기.
(부기 15)
당해 전자 기기가, 상기 연산 유닛에 추가하여, 또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화면을 가지며 그 연산 유닛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된 표시 유닛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1 내지 14 중 어느 한 기재의 전자 기기.
도 1은 노트 PC의 외관을 나타낸 개방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노트 PC의 외관을 나타낸 개방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노트 PC의 폐쇄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노트 PC의 폐쇄 상태의 저면측을 본 사시도.
도 5는 표시 유닛 전면의 상부 중앙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6은 표시 화면의 주위를 덮는 앞 프레임을, 그 내벽면측에서 보고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앞 프레임의 내벽면의, 상부 중앙을 나타낸 확대도.
도 8은 앞 프레임의 외벽면의, 상부 중앙을 나타낸 확대도.
도 9는 앞 프레임의 내벽면의 상부 중앙을 경사 방향에서 본 확대 사시도.
도 10은 표시 유닛의 상부 중앙을 앞 프레임을 제거하여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체 유닛의 키보드 등의 상면의 구성 부분을 제거하여, 캐비닛의 저면측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CD/DVD 드라이브 유닛을 제거한 부분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점착 테이프를 벗겨서 시트를 확장한 상태의, CD/DVD 드라이브 유닛 장전부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체 유닛의 저면의 일부 확대도.
도 15는 본체 유닛을 구성하는 저면측 캐비닛의, B-CAS 카드가 삽입되는 카드 슬롯의 부분을 저면 방향에서 비스듬히 본 부분 사시도.
도 16은 카드 드라이브 유닛의 접점이 배치된 측의 면을 나타낸 도면.
도 17은 본체 유닛의 캐비닛의 내부에 구성된 스피커 유지부의 사시도.
도 18은 스피커와 그 스피커에 고정된 쿠션재를 나타내며, 스피커의 진동면을 비스듬히 위에서 본 사시도.
도 19는 스피커와 쿠션재를, 진동면과는 뒤쪽인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 20은 스피커와 쿠션재를, 배면측이며 도 19와는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21은 제 1 쿠션재의 사시도.
도 22는 본체 유닛 저면에 개구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유닛이 장전되는 HDD 장전부(150)를 나타낸 도면.
도 23은 HDD 유닛을 HDD 본체와 장착 금속 부재로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4는 장착 금속 부재의 내면을 나타낸 평면도.
도 25는 장착 금속 부재가 HDD 본체에 장착된 상태의, 전단면을 우로 하여 한쪽 측면을 본 상태의 사시도.
도 26은 장착 금속 부재가 HDD 본체에 장착된 상태의, 전단면을 각각 좌로 하여 또 한쪽의 측면을 본 상태의 사시도.
도 27은 장착 금속 부재가 HDD 본체에 장착된 상태의, 전체의 구조를 개괄할 수 있는 각도에서 본 사시도.
도 28은 HDD 유닛을 제거한 상태의 HDD 장전부를 나타낸 도면.
도 29는 HDD 장전부의 일부 확대 사시도.
도 30은 본체 유닛의 상면을 구성하는 키보드 등을 제거하여, 그 아래에 확장되는 실드판을 나타낸 도면.
도 31은 도 30 중의 전자 부품의 부분을 나타낸 확대도.
도 32는 도 31과 동일한 부분을, 전자 부품을 제거하여, 그 전자 부품이 배치되는 부품 배치 영역과 전자 부품을 배열하여 나타낸 도면.
도 33은 부품 배치 영역을 비스듬히 위에서 본 사시도.
도 34는 그 부품 배치 영역의 전단 부분의 확대도.
도 35는 전자 부품이 부품 배치 영역에 비스듬히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6은 삽입된 전자 부품을 수평으로 놓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노트 PC 10 : 본체 유닛
11 : 키보드 12 : 트랙 패드
13 : 걸어맞춤 구멍 14 : 방음구
15 : 전원 입력 단자 16 : CD/DVD 드라이브 유닛
17 : 카드 슬롯 18 : 카드 수용부
19 : 덮개 20 : 표시 유닛
21 : 표시 화면 22 : 로크 모듈
23 : 촬영창 24 : 적외선 수신창
25 : 패드 26 : 앞 프레임
27 : 기판 30 : 힌지부
41 : B-CAS 카드 42 : 나사 부재
51 : CD/DVD 드라이브 유닛 52 : 카드 액세스 유닛
53 : 플랫 케이블 55 : 스피커
56 : 제 1 쿠션재 57 : 제 2 쿠션재
58 : 제 3 쿠션재 60 : HDD 유닛
61 : HDD 본체 62 : 장착 금속 부재
70 : 전자 부품 71 : 관통구
72 : 케이블 73 : 통신 모듈
74 : 지지판 101 : 전자 부품 장전구
102 : 실드판 102a : 개구
103 : 절연성 시트 103a : 고정부
103b : 되접기부 104 : 점착 테이프
140 : 스피커 유지부 141a, 141b : 측면 가이드
142 : 대좌 143 :등받이
150 : HDD 장전부 151 : 커넥터
152 : 위치 결정 리브 153 : 나사 구멍
160 : 실드판 161 : 개구
161a : 전단 테두리 161b : 후단 테두리
162 : 돌출편 163 : 띠형상부
163a : 나사 삽입 통과 구멍 170 : 부품 배치 영역
171 : 보스 172 : 하면 안내 리브
172a : 지지면 172b : 경사면
172c : 접촉벽 173 : 측면 안내 리브
173a : 안내벽 173b : 도입벽
216 : 개구 221 : 로크용 훅크
222 : 조작자 223 : 연결 기구부
223a : 기판에 겹치는 면 223b : 수직인 면
2231 : 금속판 262 : 렌즈 장전 구멍
271 : 카메라 모듈 272 : 전자 부품
272a : 발열 전자 부품 273 : 커넥터
511 : CD/DVD 드라이브 유닛 장전부 521 : 접점
522 : 위치 결정용 벽 551 : 진동면
561 : 고정부 562 : 삽입부
611 : 전단면 611a : 커넥터
612 : 후단면 612a : 나사 삽입 통과 구멍
613 : 양 측면 614 : 상면
615 : 하면 616 : 나사 구멍
621a : 나사 삽입 통과 구멍 622 : 베이스
622a : 내면 622b : 구멍
623 : 측면 지지부 623a : 전단측 측면 지지부
623b : 후단측 측면 지지부 623_1a : 절곡부
623_2a : 암부 624 : 플랜지부
627 : 나사 삽입 통과 구멍 631, 632, 633, 634 : 쿠션재

Claims (10)

  1. 커넥터를 갖는 전단면(前端面)과, 후단면(後端面)과, 좌우의 양 측면과, 이들 전단면, 후단면, 및 양 측면으로 구획된 제 1 면 및 제 2 면을 갖는 전자 부품의 그 제 1 면을 따라 확장되는 베이스와,
    상기 전자 부품의 전단면 및 후단면 중 한쪽의 단면에 근접한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에 그 전자 부품을 나사 고정하기 위한 나사 삽입 통과 구멍을 가지며,
    상기 전자 부품의 전단면 및 후단면 중 다른 쪽 단면에 근접한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전자 부품 사이에 개재하는 제 1 쿠션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 장착용 부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기 전자 부품의 양 측면 각각을 따르도록 구부러져 그 양 측면 각각을 따라 확장되는 좌우 한 쌍의 측면 지지부를 가지며,
    상기 좌우 한 쌍의 측면 지지부 각각이, 상기 전자 부품의 상기 한쪽 단면에 근접한 위치에 상기 나사 삽입 통과 구멍을 가지며,
    상기 좌우 한 쌍의 측면 지지부를 통하여 상기 베이스에 상기 전자 부품이 나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 장착용 부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한 쌍의 측면 지지부는, 상기 전자 부품의 측면의, 그 전자 부품의 전단면에 근접한 위치에, 상기 나사 삽입 통과 구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 장착용 부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한 쌍의 측면 지지부 각각이,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어 그 베이스로부터 그 전자 부품 측면을 따르도록 구부러진 절곡부(折曲部)와, 상기 베이스로부터는 분리되어 상기 절곡부에 연결되어 그 전자 부품의 측면을 따라 전단면측으로 연장되는 암(arm)부로 이루어지는 전단측 측면 지지부와, 상기 전단측 측면 지지부보다도 상기 전자 부품의 후단면 부근의 위치에서 상기 전단측 측면 지지부와는 독립으로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고, 그 베이스로부터 그 전자 부품 측면을 따르도록 구부러져서 그 측면을 따라 확장되는 후단측 측면 지지부와의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나사 삽입 통과 구멍은 상기 전단측 측면 지지부의 암부에 형성되고,
    상기 후단측 측면 지지부와 상기 전자 부품 사이에 개재하는 제 2 쿠션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 장착용 부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측 측면 지지부의 암부는, 상기 전자 부품 측면의 전단면과의 코너부에까지 연장되고, 또한 전단면측으로 구부러져서 그 전단면의 단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 장착용 부품.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어 그 베이스로부터 상기 전자 부품의 후단면을 따르도록 구부러지고, 또한 역방향으로 구부러져서 상기 베이스와 평행하게 확장되고, 전자 기기 고정용의 나사 삽입 통과 구멍이 형성된 플랜지부(flange)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 장착용 부품.
  7. 제 1 항에 있어서,
    당해 전자 부품 장착용 부품은, 판금(板金)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 장착용 부품.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 부품 장착용 부품이 장착된 전자 부품이 수납되는, 개구를 갖고 도려낸 형상으로서, 전단에, 그 전자 부품 전단면의 커넥터와 결합하는 커넥터가 배치된 부품 수납부가 형성된 캐비닛과,
    상기 부품 수납부에, 상기 전자 부품 장착용 부품이 장착되어 상기 제 2 면을 그 부품 수납부의 저면(底面)측을 향해 상기 커넥터끼리를 결합시켜서 수납된 전자 부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수납부와 상기 전자 부품의 제 2 면 사이에 개재하는 제 3 쿠션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부품 장착용 부품의 측면 지지부 외벽과 상기 부품 수납부의 측벽 사이에 개재하는 제 4 쿠션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KR1020080066551A 2007-08-09 2008-07-09 전자 부품 장착용 부품 및 전자 기기 KR1009850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08616A JP4847414B2 (ja) 2007-08-09 2007-08-09 電子部品取付用部品および電子機器
JPJP-P-2007-00208616 2007-08-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5810A KR20090015810A (ko) 2009-02-12
KR100985082B1 true KR100985082B1 (ko) 2010-10-04

Family

ID=39870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6551A KR100985082B1 (ko) 2007-08-09 2008-07-09 전자 부품 장착용 부품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8040670B2 (ko)
EP (1) EP2026351A3 (ko)
JP (1) JP4847414B2 (ko)
KR (1) KR100985082B1 (ko)
CN (1) CN10136413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98417B2 (ja) * 2008-09-12 2012-08-15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
JP2010250513A (ja) * 2009-04-14 2010-11-04 Fujitsu Ltd 電子機器
JP2011129191A (ja) * 2009-12-16 2011-06-30 Toshiba Corp 取付金具および電子機器
JP2011138629A (ja) 2009-12-25 2011-07-14 Toshiba Corp 電子機器
JP4783457B2 (ja) * 2009-12-25 2011-09-28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WO2012015040A1 (ja) * 2010-07-30 2012-02-02 京セラ株式会社 電子部品収納用部品、電子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装置
TWI410207B (zh) * 2010-12-31 2013-09-21 Hon Hai Prec Ind Co Ltd 電子設備及其固態硬碟模組
TW201233298A (en) * 2011-01-25 2012-08-01 Hon Hai Prec Ind Co Ltd Fixing structure for power
JP2013077363A (ja) * 2011-09-30 2013-04-25 Fujitsu Ltd 電子ユニットの取付構造および電子機器
JP4908659B2 (ja) * 2011-11-08 2012-04-04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JP5696860B2 (ja) 2013-04-05 2015-04-08 日本電気株式会社 電子デバイスの振動抑制機構
JP6151081B2 (ja) 2013-04-26 2017-06-21 株式会社東芝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CN105608663A (zh) * 2014-11-17 2016-05-25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构图方法及系统
US10096343B1 (en) * 2017-07-26 2018-10-09 Arris Enterprises Llc Shock absorbing bracket assembly for storage media device
TWI822456B (zh) * 2022-11-10 2023-11-11 神雲科技股份有限公司 承載裝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2471A (ja) * 1995-01-31 1996-08-09 Kyocera Corp 情報処理装置
KR20050058091A (ko) * 2003-12-11 2005-06-16 (주)아이맥스 디지털 영상녹화저장장치의 충격보호 메커니즘
KR20060020742A (ko) * 2004-08-28 2006-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 장착구조
JP2006172371A (ja) * 2004-12-20 2006-06-29 Toshiba Corp 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1841A (en) * 1988-06-09 1990-07-17 Darden Julius C Adapter and a removable slide-in cartridge for an information storage system
JPH03134718A (ja) * 1989-10-20 1991-06-07 Toshiba Corp 携帯型電子機器
JP3258198B2 (ja) * 1995-04-28 2002-02-18 株式会社東芝 回路モジュールの冷却装置およびこの冷却装置を有する携帯形電子機器
US6567265B1 (en) * 1995-11-20 2003-05-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pparatus having flexible mounting mechanism
JPH09293370A (ja) 1996-04-26 1997-11-11 Sony Corp 記録再生装置
JPH09297633A (ja) * 1996-05-08 1997-11-18 Toshiba Corp 電子機器
JP3073941B2 (ja) * 1997-09-04 2000-08-07 三菱電機株式会社 ドライブ保持機構
JP4105309B2 (ja) * 1997-11-06 2008-06-25 富士通株式会社 電子装置及び搭載機構
KR100345875B1 (ko) * 1998-09-14 2002-10-25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용컴퓨터
TW412137U (en) * 1999-04-16 2000-11-11 Hon Hai Prec Ind Co Ltd Fastening apparatus for data access medium
US6262888B1 (en) * 1999-06-30 2001-07-17 Dell Usa, L.P. Impact damping system for peripheral device
TW471645U (en) * 2000-02-22 2002-01-01 Hon Hai Prec Ind Co Ltd Fixing device for rotational data accesser base
US20020097556A1 (en) * 2001-01-25 2002-07-25 Jui-Ju Lee Shockproof device of a hard disk drive
JP2002297263A (ja) * 2001-03-30 2002-10-11 Nec Yonezawa Ltd サーバのユニット構造およびハードディスク装置の取付け構造
JP2003016771A (ja) 2001-06-27 2003-01-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端末装置
JP2003016770A (ja) 2001-06-27 2003-01-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スク装置およびその搭載方法
JP3648471B2 (ja) * 2001-09-19 2005-05-18 株式会社東芝 記憶装置固定用ブラケットを備えた電子機器
JP2004152116A (ja) * 2002-10-31 2004-05-27 Toshiba Corp 電子機器
JP4243965B2 (ja) * 2003-03-10 2009-03-2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US20040255313A1 (en) * 2003-06-10 2004-12-16 Kaczeus Steven L. Protecting a data storage device
JP4376567B2 (ja) 2003-07-17 2009-12-02 ポリマテック株式会社 外部記憶装置用緩衝部材
TWM248200U (en) * 2003-11-18 2004-10-21 Hon Hai Prec Ind Co Ltd Mounting assemble for storage bracket
CN1854976A (zh) 2005-04-26 2006-11-01 乐金电子(昆山)电脑有限公司 便携计算机的硬盘驱动器安装结构
KR100669287B1 (ko) * 2005-07-26 2007-01-16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차량용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방진 장치 및 그 조립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2471A (ja) * 1995-01-31 1996-08-09 Kyocera Corp 情報処理装置
KR20050058091A (ko) * 2003-12-11 2005-06-16 (주)아이맥스 디지털 영상녹화저장장치의 충격보호 메커니즘
KR20060020742A (ko) * 2004-08-28 2006-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 장착구조
JP2006172371A (ja) * 2004-12-20 2006-06-29 Toshiba Corp 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40705A1 (en) 2009-02-12
US20110222230A1 (en) 2011-09-15
US8040670B2 (en) 2011-10-18
JP4847414B2 (ja) 2011-12-28
US8427821B2 (en) 2013-04-23
EP2026351A3 (en) 2011-06-29
EP2026351A2 (en) 2009-02-18
JP2009043355A (ja) 2009-02-26
KR20090015810A (ko) 2009-02-12
CN101364133B (zh) 2011-05-11
CN101364133A (zh) 200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5082B1 (ko) 전자 부품 장착용 부품 및 전자 기기
JP4842898B2 (ja) 電子機器
KR100969895B1 (ko) 전자 기기
JP5003343B2 (ja) 電子機器
US7423868B2 (en) Apparatus for mounting storage device, integral unit, and electronic device
KR100644306B1 (ko) 전자 장치
US7164577B2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storage device
WO2013161463A1 (en) Television receiver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07328531A (ja) 電子機器
JP4982473B2 (ja) 電子機器
JP5061782B2 (ja) 電子機器
WO2011024317A1 (ja) 電子機器
WO2011024316A1 (ja) 電子機器
JP5896079B2 (ja) 電子機器、内蔵装置、及び弾性部材
JP2010062913A (ja) 情報処理装置
JP2010282217A (ja) 電子装置
JP2016042259A (ja) 電子機器及び支持部材
KR20080079322A (ko) 전자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