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8631B1 - 스피닝 릴의 레버 브레이크 기구 - Google Patents

스피닝 릴의 레버 브레이크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8631B1
KR100978631B1 KR1020030053028A KR20030053028A KR100978631B1 KR 100978631 B1 KR100978631 B1 KR 100978631B1 KR 1020030053028 A KR1020030053028 A KR 1020030053028A KR 20030053028 A KR20030053028 A KR 20030053028A KR 100978631 B1 KR100978631 B1 KR 100978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ing
sounding
state
lever
r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3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2568A (ko
Inventor
이쿠타타케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40012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2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8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8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27Brake devices for reels with pick-up, i.e. for reels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Looms (AREA)

Abstract

[과제] 소정 제동 상태와 제동 해제 상태로 전환이 가능한 스피닝 릴에 있어서, 제동 해제 상태와 소정 제동 상태간의 전환시 어느 상태인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 수단] 스피닝 릴의 발음 장치(65)는, 릴 본체에 회전이 가능하게 장착되고 낚싯줄을 스풀에 권취하는 로터의 낚싯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소정 제동 상태와 제동 해제 상태간에 전환이 가능한 스피닝 릴에 설치되어, 로터의 낚싯줄 방출 방향의 회전에 의하여 발음하는 장치로서, 발음 기구(70)과, 제2 레버 부재(27)을 구비하고 있다. 발음 기구(70)은 로터가 낚싯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1 발음 상태와, 제1 발음 상태와 식별 가능한 제2 발음 상태에서 발음 가능한 것이다. 제2 레버 부재(27)은 제동 해제 상태와 소정 제동 상태에서 발음 기구(70)을 제1 발음 상태와 제2 발음 상태로 전환하는 것이다.
로터(rotor), 요철부, 토션(torsion) 스프링, 코일 스프링, 레버 브레이크 기구

Description

스피닝 릴의 레버 브레이크 기구{LEVER BRAKE MECHANISM OF SPINNING REEL}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피닝 릴의 측면 단면도.
도 2는 상기 스피닝 릴의 제동부 단면 확대도.
도 3은 도 1의 III-III 단면도.
도 4는 제동 레버 및 보조 레버의 선단 부분 평면도.
도 5는 제동 해제 상태의 각 레버와 제동 원통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 모식도.
도 6은 소정 제동 상태의 각 레버와 제동 원통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 모식도.
도 7은 제동 상태에 있어서의 각 레버와 제동 원통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 모식도.
도 8(a)는 제동 해제 상태에서의 제2 레버 부재의 동작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8(b)는 소정 제동 상태에서의 제2 레버 부재의 동작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9는 발음 기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10은 도 9의 X-X단면도.
도 11(a)는 도 8(a)의 다른 실시예에 상당하는 도.
도 11(b)는 도 8(b)의 다른 실시예에 상당하는 도.
<도면의 주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릴 본체 2a: 릴 몸틀
3: 로터 6: 레버 브레이크 기구
16: 제동부 17: 제동 레버
21: 소정 제동부 27: 제2 레버 부재
65: 발음 장치 70, 170: 발음 기구
71: 제1 발음부 72: 제2 발음부
81: 요철부 81a: 요철
82, 92: 제 1 및 제2 장착부 83, 93: 제 1 및 제2 발음부
87, 95: 제 1 및 제2 발음 조(爪) 88: 토션 스프링
96: 코일 스프링
본 발명은 발음 장치 특히, 릴 본체에 회전이 가능하게 장착되고 낚싯줄을 스풀에 권취하는 로터의 낚싯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소정 제동 상태와 제동 해제 상태간에 전환 가능하고, 로터의 낚싯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제동하는 스피닝 릴의 레버 브레이크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갯바위 낚시를 하는 경우, 제동 레버에 의하여 로터의 낚싯줄 방출 방향의 회전 (역회전)이 제동되는 로터 제동 기구를 가지는 레버 브레이크형 스 피닝 릴이 자주 사용된다. 레버 브레이크형 스피닝 릴은 로터를 장력에 의해 역회전시켜 물고기와 간단하게 릴링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종래의 레버 브레이크형 스피닝 릴에 있어서, 로터의 역회전을 소정 제동 상태와 제동 해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는 스피닝 릴이 일본 특개평 9-140303호 공보나 일본 특개평 10-276635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전자의 공보에 개시된 스피닝 릴은 로터의 역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동 부재와, 제동 부재에 선단이 접촉하여 제동력을 조정 가능하게 하는 제동 레버와, 제동 레버를 제동 부재에 접하는 소정 제동 위치와 이반하는 제동 해제 위치로 전환하는 전환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제동 레버는 릴 본체에 낚싯대 장착부에 접리(接離)하는 방향으로 요동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어 낚싯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조작하면, 선단이 제동 부재를 밀어 눌러 제동력이 서서히 강해진다.
전자의 스피닝 릴에서는 전환 부재에 의하여 제동 레버를 소정 제동 위치로 전환하면 로터는 소정 제동 상태로 유지된다.
후자의 공보에 개시된 스피닝 릴은 로터의 역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동 부재와, 제동 부재에 접하는 것이 가능하게 요동하고 또한 접하는 방향으로 압박된 소정 제동 부재와, 소정 제동 부재를 제동 부재에 접하는 소정 제동 위치와 제동 부재로부터 이반하는 제동 해제 위치간에 전환하는 전환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제동 위치에 있는 소정 제동 부재는 제동 레버의 조작시에 제동 부재로부터 이반하고 비조작시에는 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후자의 스피닝 릴에서는 소정 제동 부재가 제동 부재에 접하고 있는 상태에 서 제동 레버를 낚싯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조작하면, 일단 소정 제동력이 해제되어 로터가 제동 해제 상태가 되며, 한번 더 조작하면 조작력에 따라 로터가 제동 된다. 또한, 제동 레버로부터 손을 떼어 아무것도 조작하지 않으면, 소정 제동 부재가 제동 부재에 접하여 소정 제동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전환 부재에 의해 소정 제동 부재를 제동 해제 위치로 강제적으로 전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것에 의하여, 양자의 스피닝 릴에서는 소정 제동 상태에서 채비의 자중에 의하여 낚싯줄이 계속 방출되지 않게 되어 낚시터에서의 이동이 쉬워진다. 또한, 이 상태에서 채비에 물고기가 걸려 급격한 부하가 낚싯줄에 작용해도, 로터의 역회전이 금지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낚싯줄이 끊어지지 않는다.
전환 부재로 소정 제동 부재나 제동 조작 부재를 소정 제동 위치와 제동 해제 위치간에 전환하는 것이 가능한 상기 종래의 스피닝 릴의 경우, 어떤 상태인지를 전환 부재의 상태를 보지 않으면 판단하기 어렵다. 그러나, 전환 부재의 조작 양이 미세한 경우나 낚시를 하고 있을 때 살펴서 판단하기 어려운 위치에 전환 부재가 위치한 경우에는 전환 부재로는 판단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소정 제동 상태와 제동 해제 상태간의 전환이 가능한 스피닝 릴에 있어서, 제동 해제 상태와 소정 제동 상태간에 전환이 되었을 때 어느 상태에 있는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발명 1에 따른 스피닝 릴의 레버 브레이크 기구는 낚싯대에 장착되는 장착부를 가지는 릴 본체와, 릴 본체의 앞부분에 제1 축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터와, 로터의 앞부분에 배치된 낚싯줄을 권취하는 스풀을 구비한 스피닝 릴의 로터의 낚싯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제동하는 레버 브레이크 기구이고, 제동부와 제동 레버와 보조 레버와 소정 제동부와 발음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제동부는 로터의 낚싯줄 방출 방향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동 부재를 가진다. 제동 레버는, 제동부의 제동력을 조정 조작하기 위하여 릴 본체에 장착부와 접리하도록 제1 축과 엇갈리는 제2 축 주위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것이다. 보조 레버는, 제동부를 소정 제동 상태로 조작하기 위하여 릴 본체에 제2 축 주위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제1 레버 부재와, 제1 레버 부재에 장착된 조작 부재를 가지는 것이다. 소정 제동부는, 보조 레버의 제1 레버 부재의 동작에 연동하여 요동하도록 설치된 제2 레버 부재를 가지고, 보조 레버에 의하여 로터의 낚싯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소정 제동 상태와 제동 해제 상태간에 전환 가능한 것이다. 발음 장치는, 로터의 낚싯줄 방출 방향의 회전에 의하여 발음하는 것이다. 발음 장치는, 로터가 낚싯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 제1 발음 상태와 제1 발음 상태와 식별 가능한 제2 발음 상태로 발음 가능한 발음 수단과, 제동 해제 상태와 소정 제동 상태에서 발음 수단을 제 1 발음 상태와 제2 발음 상태간에 전환하는 전환 수단을 가지고, 전환 수단은 소정 제동부의 제2 레버 부재이다.
이 레버 브레이크 기구에서는, 로터가 낚싯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동 해제 상태시에는 전환 수단에 의하여 발음 수단이 전환되어 제1 발음 상태로 발음하고, 소정 제동 상태시에는 제1 발음 상태와 식별 가능한 제2 발음 상태로 발음한다. 여기에서는, 제동 해제 상태와 소정 제동 상태를 식별 가능한 다른 발음 상태로 발음하므로 로터가 낚싯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 소리에 의하여 제동 해제 상태인지 소정 제동 상태인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발명 2에 따른 스피닝 릴의 레버 브레이크 기구는, 낚싯대에 장착되는 장착부를 가지는 릴 본체와, 릴 본체의 앞부분에 제1 축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터와, 로터의 앞부분에 배치된 낚싯줄을 권취하는 스풀을 구비한 스피닝 릴의 로터의 낚싯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제동하는 레버 브레이크 기구이고, 제동부와, 제동 레버와, 소정 제동부와, 발음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제동부는, 로터의 낚싯줄 방출 방향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동 부재를 가진다. 제동 레버는, 제동부의 제동력을 조정 조작하기 위하여 릴 본체에 장착부와 접리하도록 제1 축과 엇갈리는 제2 축 주위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것이다. 소정 제동부는, 제동 레버의 동작에 연동하여 요동하도록 설치된 제2 레버 부재를 가지고, 제동 레버에 의하여 로터의 낚싯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소정 제동 상태와 제동 해제 상태간에 전환 가능한 것이다. 발음 장치는, 로터의 낚싯줄 방출 방향의 회전에 의하여 발음하는 것이다. 발음 장치는, 로터가 낚싯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 제1 발음 상태와 제 1 발음 상태와 식별 가능한 제2 발음 상태로 발음 가능한 발음 수단과, 제동 해제 상태와 소정 제동 상태에서 발음 수단을 제1 발음 상태와 제2 발음 상태간에 전환하는 전환 수단을 가지고, 전환 수단은 소정 제동부의 제2 레버 부재이다.
이 레버 브레이크 기구에서는, 로터가 낚싯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동 해제 상태시에는 전환 수단에 의하여 발음 수단이 전환되어 제1 발음 상태로 발음하고, 소정 제동 상태시에는 제1 발음 상태와 식별 가능한 제2 발음 상태로 발음한다. 여기에서는, 제동 해제 상태와 소정 제동 상태를 식별 가능한 다른 발음 상태로 발음하므로 로터가 낚싯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 소리에 의하여 제동 해제 상태인지 소정 제동 상태인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삭제
발명 3에 따른 스피닝 릴의 레버 브레이크 기구는, 발명 1 또는 발명 2에 기재된 기구에 있어서, 발음 수단은, 로터가 낚싯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 상시 발음하는 제1 발음 수단과, 로터가 소정 제동 상태에서 낚싯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 발음하는 제2 발음 수단을 가지며, 전환 수단은 소정 제동 상태일 때에 제2 발음 수단을 발음 가능 상태로 하고, 제동 해제 상태일 때 발음 불가능 상태로 한다. 이 경우에는 로터가 낚싯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면 소정 제동 상태인지 아닌지에 관계없이 제1 발음 수단이 발음한다. 그리고, 소정 제동 상태일 때에는 제2 발음 수단이 발음 가능한 상태가 되어 제2 발음 수단이 발음한다. 여기에서는, 제동 해제 상태일 때에는 로터의 낚싯줄 방출 방향의 회전에 의하여 제1 발음 수단만이 발음하여 제1 발음 상태가 되고, 소정 제동 상태 때에는 2개의 발음 수단이 발음하여 제2 발음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제동 해제 상태와 소정 제동 상태에서 음량이 변화하고, 2개의 상태 중 어느쪽에 있는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2개의 발음 수단에서 음색이 다른 경우에는, 2개의 상태가 음량이 더해져 음색도 변화한다.
발명 4에 따른 스피닝 릴의 레버 브레이크 기구는, 발명 3에 기재된 기구에 있어서, 제2 발음 수단은 제1 발음 수단과 다른 음량 또는 음색으로 발음한다. 이 경우에는, 제2 발음 수단이 제1 발음 수단과 다른 음량 또는 음색으로 발음하기 때문에, 두개의 발음 상태를 한층 더 식별하기 쉬워진다.
발명 5에 따른 스피닝 릴의 레버 브레이크 기구는, 발명 3에 기재된 기구에 있어서, 제1 발음 수단은 제동 부재에 상시 접촉하여 발음하고, 제2 발음 수단은 소정 제동 상태일 때에 제동 부재에 접촉하여 발음한다. 이 경우에는, 양쪽 발음 수단이 제동 부재에 접촉하여 발음하기 때문에, 로터의 낚싯줄 방출 방향의 회전에만 발음하는 발음 수단을 간단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발명 6에 따른 스피닝 릴의 레버 브레이크 기구는, 발명 5에 기재된 기구에 있어서, 제2 발음 수단은, 제동 부재에 접촉하는 접촉 위치와 이반하는 이반 위치간에 이동이 가능하고 접촉 위치에 있을 때에 로터의 낚싯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소정 제동 상태로 하는 소정 제동부에 적어도 일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소정 제동부에 제2 발음 수단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2 발음 수단을 제동 해제 상태시에 발음이 불가능하게 전환하는 전환 수단을 소정 제동부와 겸용할 수 있다.
발명 7에 따른 스피닝 릴의 레버 브레이크 기구는, 발명 1 또는 발명 2에 기재된 기구에 있어서, 발음 수단은, 로터가 제동 해제 상태에서 낚싯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 발음하는 제1 발음 수단과, 로터가 소정 제동 상태에서 낚싯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 제1 발음 수단과 다른 음색 또는 음량으로 발음하는 제2 발음 수단을 가지고, 전환 수단은, 제동 해제 상태시에 제1 발음 수단을 발음 가능하게 함과 함께 제2 발음 수단을 발음 불가능하게 하고, 소정 제동 상태 때에 제2 발음 수단을 발음 가능하게 하는 것과 함께 제1 발음 수단을 발음 불가능하게 한다. 이 경우에는, 로터가 낚싯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동 해제 상태시에는 제1 발음 수단이 발음 가능한 상태로 되고, 또한 제2 발음 수단이 발음 불가능한 상태가 되므로 제1 발음 수단이 발음하여 제1 발음 상태가 된다. 그리고, 소정 제동 상태시에는 제1 발음 수단이 발음 불가능한 상태가 되고, 제2 발음 수단이 발음 가능한 상태가 되므로 제2 발음 수단이 제1 발음 상태와 다른 음색 또는 음량으로 발음하여 제2 발음 상태가 된다. 여기에서는, 제동 해제 상태시에는 로터의 낚싯줄 방출 방향의 회전에 의해 제1 발음 수단만이 발음하여 제1 발음 상태가 되고, 소정 제동 상태시에는 제2 발음 수단이 발음하여 제2 발음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제동 해제 상태와 소정 제동 상태에서 음량 또는 음색이 변화하여 2개의 상태 중 어느쪽에 있는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발명 8에 따른 스피닝 릴의 레버 브레이크 기구는, 발명 7에 기재된 기구에 있어서, 제1 발음 수단은 제동 해제 상태일 때 제동 부재에 접촉하여 발음하고, 제2 발음 수단은 소정 제동 상태일 때 제동 부재에 접촉하여 발음한다. 이 경우에는, 발음 수단이 제동 부재에 접촉하여 발음하므로 로터의 낚싯줄 방출 방향의 회전에만 발음하는 발음 수단을 간단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발명 9에 따른 스피닝 릴의 레버 브레이크 기구는, 발명 8에 기재된 기구에 있어서, 제2 발음 수단은, 제동 부재에 접촉하는 접촉 위치와 이반하는 이반 위치간에 이동이 가능하고 접촉 위치에 있을 때 로터의 낚싯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소정 제동 상태로 하는 소정 제동부에 적어도 일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소정 제동부에 제2 발음 수단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2 발음 수단을 제동 해제 상태시에 발음 불가능하게 전환하는 전환 수단의 일부의 기능을 소정 제동부와 겸용할 수 있다.
발명 10에 따른 스피닝 릴의 레버 브레이크 기구는, 발명 9에 기재된 기구에 있어서, 소정 제동부는, 소정 제동 상태일 때 제1 발음 수단을 발음 불가능하게 계지(係止)하는 계지 수단을 가진다. 이 경우에는, 제2 발음 수단을 전환 가능한 소정 제동부로 제1 발음 수단도 전환할 수 있어, 소정 제동부로 전환 수단의 모든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발명 11에 따른 스피닝 릴의 레버 브레이크 기구는, 발명 5에 기재된 기구에 있어서, 제1 발음 수단은, 제동 부재에 설치되어 회전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1 요철부와, 제1 요철부에 탄성적으로 접촉 가능하게 릴 본체에 설치된 제1 발음부를 가진다. 이 경우에는, 제1 요철부에 탄성적으로 접촉 가능한 제1 발음부가 제1 요철부에 접촉해서 진동하여 발음한다. 여기에서는, 간소한 구성으로 제1 발음 수단을 실현할 수 있다.
발명 12에 따른 스피닝 릴의 레버 브레이크 기구는, 발명 11에 기재된 기구에 있어서, 제2 발음 수단은, 제동 부재에 설치되어 회전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2 요철부와, 제2 요철부에 탄성적으로 접촉 가능하게 릴 본체에 설치된 제2 발음부를 가진다. 이 경우에는, 제2 요철부에 탄성적으로 접촉 가능한 제2 발음부가 제2 요철부에 접촉해서 진동하여 발음한다. 여기에서는, 간소한 구성으로 제2 발음 수단을 실현할 수 있다.
발명 13에 따른 스피닝 릴의 레버 브레이크 기구는, 발명 12에 기재된 기구에 있어서, 제1 발음부는 제1 요철부에 접리가 가능하게 릴 본체에 설치된 제1 발음 부재와, 제1 발음 부재를 제1 요철부로 향하여 압박하는 제1 압박 부재를 가지며, 제2 발음부는 제2 요철부에 접리가 가능하게 소정 제동부에 설치된 제2 발음 부재와 ,제2 발음 부재를 제2 요철부로 향하여 압박하는 제2 압박 부재를 가진다. 이 경우에는, 제1 및 제2 발음부에서는 제1 및 제2 요철부를 향하여 압박된 제1 및 제2 발음 부재가 각각 진동하여 발음한다. 여기에서는, 압박 부재와 발음 부재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경쾌하고 소리가 좋은 클릭음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발명 14에 따른 스피닝 릴의 레버 브레이크 기구는, 발명 12에 기재된 기구에 있어서, 제1 요철부와 제2 요철부는 제동 부재의 같은 위치에 형성된 동일한 요철부이다. 이 경우에는 2개의 요철부를 겸용할 수 있으므로, 양쪽 발음 수단의 구성이 한층 더 간소하게 된다.
발명 15에 따른 스피닝 릴의 레버 브레이크 기구는, 발명 12에 기재된 기구에 있어서, 제동 부재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부재이고, 제1 및 제2 요철부는 제동 부재의 통 형상 부분의 내주면에 톱니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톱니 모양으로 형성된 요철부에 의하여 연속한 소리를 용이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
<실시예>
〔전체 구성〕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피닝 릴은, 낚싯대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제1 축(X) 주위에 낚싯줄을 권취하는 레버 브레이크형 스피닝 릴로서, 핸들(1)을 구비한 릴 본체(2)와, 릴 본체(2)의 앞부분에 제1 축(X) 주위에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된 로터(3)과, 로터(3)의 앞부분에 배치된 낚싯줄을 권취하는 스풀(4)를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2)는 예를 들면, 합성 수지제이다. 릴 본체(2)는 낚싯대에 장착하는 전후로 긴 장착부(2c)와, 장착부(2c)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 릴 몸틀(2a)와, 장착부(2c)와 릴 몸틀(2a)를 연결하는 다리부(2b)를 가지고 있다. 릴 몸틀(2a)는 내부에 기구 장착 공간을 가지고 있고, 그 측부는 개구(開口)되어 있다. 이 개구 부분은 덮개 부재(2d) (도 3)에 의해 덮혀져 있다. 릴 몸틀(2a)의 앞부분에는 취부(取付) 플랜지가 부착된 금속제 통 모양의 취부 부재(2e)가 장착되어 있다.
릴 몸틀(2a)의 내부에는 로터(3)을 회전시키기 위한 로터 구동 기구(5)와, 로터(3)의 낚싯줄 방출 방향의 회전 (역회전)을 제동하기 위한 레버 브레이크 기구(6)과, 스풀 축(8)을 통하여 스풀(4)를 전후로 왕복 이동시키는 오실레이팅 기구(20)이 설치되어 있다.
로터(3)은 예를 들면, 합성 수지 또는 금속제이고, 릴 본체(2)에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로터(3)은 원통부(3a)와, 원통부(3a)의 측방에 서로 대향하여 설치된 제1 암부(3b) 및 제2 암부(3c)를 가지고 있다. 또한, 원통부(3a)의 전벽(3d) 측의 내주면에는 단방향 클러치(32) (후술)를 구성하는 톱니 모양의 역회전 금지 요철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원통부(3a)의 전벽(3d)의 중앙부에는 관통공(3e) (도 2)를 가지는 돌기부(3f) (도 2)가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공(3e)에 스풀 축(8) 및 피니언 기어(12) (후술)가 관통하고 있다. 제1 암부(3b)의 선단과 제2 암부(3c)의 선단부에는 요동이 가능하게 베일 암(9)이 설치되어 있다. 이 베일 암(9)에 의하여 낚싯줄이 스풀(4)로 안내된다.
스풀(4)는 예를 들면, 합성 수지와 금속을 복합한 하이브리드형의 것이다. 스풀(4)는 로터(3)의 제1 암부(3b)와 제2 암부(3c)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스풀 축(8)의 선단에 원터치 탈착 기구(53)을 통하여 탈착이 가능하고 또한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스풀(4)는 권사 몸통부(7a)를 가지는 스풀 본체(7)과, 권사 몸통부(7a)의 앞단부에 취부된 큰 직경의 앞 플랜지부(51)과, 앞 플랜지부(51)을 스풀 본체(7)에 고정하기 위한 앞 플랜지 고정 부재(52)를 가지고 있다. 스풀 본체(7)은 외주에 낚싯줄이 감겨지는 통 모양의 권사 몸통부(7a)와, 권사 몸통부(7a)의 후단부에 일체로 성형된 큰 직경의 통 모양 스커트부(7b)와, 권사 몸통부(7a)의 내주 측에 취부된 내통 부재(7c)를 가지고 있다.
권사 몸통부(7a) 및 스커트부(7b)는 알루미늄 합금, 스텐레스 합금, 티탄 합금, 마그네슘 합금 등의 금속 박판을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일체로 성형하여 얻은 크고 작은 2단의 통 모양 부재이다.
로터 구동 기구(5)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1)이 고정된 핸들 축(10)과 함께 회전하는 마스터 기어(11)과, 그 마스터 기어(11)에 서로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12)를 가지고 있다. 핸들 축(10)은 릴 본체(2)에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12)는 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앞부분(12a)는 로터(3)의 관통공(3e)를 관통하여 스풀(4) 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앞부분(12a)에서, 로터(3)은 너트(13)에 의해 피니언 기어(12)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12)는 앞부분과 중간부에서 베어링(14a, 14b)에 의하여 릴 본체(2)에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앞부분의 베어링(14a)는 릴 본체(2)를 구성하는 취부 부재(2e)의 내주면에 장착되어 있다. 너트(13)은 리테이너(36)에 의하여 느슨해지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리테이너(36)는 전벽(3d)에 형성된 나사 구멍에 나사 고정된 작은 수나사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오실레이팅 기구(20)은 감속 기어식이고, 핸들 축(10)에 일체로 형성된 구동 기어(20a)와, 릴 몸틀(2a)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캠 부착 구동 기어(20b)와, 캠 부착 구동 기어(20b)의 회전에 의하여 전후로 이동하는 슬라이더(20c)를 가지고 있다. 슬라이더(20c)에 스풀 축(8)의 후단부가 회전 불가능하고 또한 축 방향 이동이 불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다.
〔레버 브레이크 기구의 구성〕
레버 브레이크 기구(6)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동부(16)과, 제동부(16)의 제동력을 조정 조작하기 위한 제동 레버(17)과, 제동부(16)을 소정 제동 상태로 조작하기 위한 보조 레버(18)과, 제동 레버(17)을 장착부(2c)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압박하는 코일 스프링(19)와, 보조 레버(18)에 의하여 소정 제동 상태와 제동 해제 상태간에 전환이 가능한 소정 제동부(21) (도 3)과, 로터(3)의 역회전에 의하여 발음하는 발음 장치(65) (도 3)를 가지고 있다.
〔제동부의 구성〕
제동부(16)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동 레버(17)의 선단이 압접되어 제동되는 제동부 본체(31)과, 제동부 본체(31)을 로터(3)의 낚싯줄 방출 방향의 회전에만 연동하여 회전시키는 조식(爪式)의 단방향 클러치(32)를 가지고 있다.
제동부 본체(31)은 로터(3)의 내주 측에 로터(3)과 동심(同心)으로 배치된 제동 부재(40)과, 제동 부재(40)의 내주면에 고정된 제동 원통(41)을 가지고 있다.
제동 부재(4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부(3a)의 내주측에 동심으로 배치되는 외통부(40a)와, 외통부(40a)의 내주측에 배치된 내통부(40b)와, 외통부(40a)와 내통부(40b)를 연결하는 원판부(40c)를 가지는 이중 통 형상의 부재이다. 외통부(40a)의 릴 본체(2)에 가까운 후단부의 내주면에는, 후술하는 발음 기구(70)을 구성하는 톱니 모양의 요철부(81)이 형성되어 있다. 내통부(40b)는 취 부 부재(2e)의 외주면에 장착된 베어링(14c)에 의하여 취부 부재(2e)에 회전이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동 원통(41)은 외통부(40a)의 내주면으로부터 원판부(40c)에 걸쳐 장착된 중심 구멍을 가지는 금속제의 바닥이 있는 통 모양의 부재이고, 원판부(40c)에 나사 고정되어 있다. 이 제동 원통(41)의 내주면에 제동 레버(17)의 선단이 접하여 제동 부재(40)을 제동한다. 제동 원통(41)의 후단부는 요철부(81)의 형성 부분보다 앞쪽까지 연장되어 있다.
단방향 클러치(32)는 조식으로서, 로터(3)의 원통부(3a)의 내주측면에 형성된 톱니 형상의 역회전 금지 요철부(42)와, 원판부(40c)에 요동이 가능하게 장착되고 선단이 역회전 금지 요철부(42)에 접촉 가능한 클러치 조쇠(43)과, 클러치 조쇠(43)을 선단이 역회전 금지 요철부(42)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압박하는 토션(torsion) 스프링(44)를 가지고 있다. 단방향 클러치(32)는, 상술한 바와 같이 로터(3)의 낚싯줄 방출 방향의 회전에만 연동하여 제동 부재(40)을 회전시킨다.
〔제동 레버의 구성〕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동 레버(17)은 제1 축(X)와 어긋나는 제2 축(Y) 방향으로 릴 본체(2)에 장착된 지지축(33)에 의하여 릴 본체(2)에 제2 축(Y) 주위에 요동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지지축(33)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붙이 축 부재이고, 덮개 부재(2d) 측으로부터 삽입된 나사에 의해 릴 본체(2)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동 레버(17)은 코일 스프링(19)에 의해 장착부(2c)와 이반하는 방향으로 압박되어 있다. 제동 레버(17)은 도 5에 도시한 제동 해제 위치와, 제동 해제 위치보다 장착부(2c)에 접근하는 도 7에 도시한 제동 위치와의 사이에서 요동이 가능하게 릴 본체(2)에 취부되어 있다.
제동 레버(17)은 지지축(33)에 의한 지지 부분에서 만곡하여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동 조작부(17a)와, 지지 부분에서 만곡하여 비스듬히 앞쪽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동 작용부(17b)와, 제동 작용부(17b)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 제동 슈(34)를 가지고 있다.
제동 조작부(17a)는 지지 부분으로부터 장착부(2c)를 따라 베일 암(9)의 바깥쪽 부근까지 전방으로 연장된 후, 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향해 연장되어, 한층 더 선단이 전방으로 향하여 만곡한 형상이다. 이 만곡 부분부터 전방이 낚싯대를 잡는 손의 집게 손가락으로 조작 가능한 제1 조작부(17c)로 되어 있다. 제1 조작부(17c)는, 제동 레버(17)의 요동에 의하여 도 1에 도시한 제1 위치로부터 장착부(2c)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제동 조작부(17a)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리부(2b)로부터 전방 부분에 걸쳐 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부분까지 폭이 커지고 있고, 그 광폭 부분(17h)에는 장착부(2c)를 향하여 대략 직사각형의 개구(17e)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17e)로부터 후술하는 보조 레버(18)의 조작 부재(26)이 장착부(2c)를 향하여 윗쪽에 노출되어 있다. 또한, 광폭 부분(17h)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노치(notch)부(17g)가 형성되어 있다. 이 노치부(17g)를 관통하여 전방을 향해 조작 부재(26)이 돌출하여 있다. 이 노치부(17g)의 개구 부분에는 제동 레버(17)과 보조 레버(18)의 간극으로부터 낚싯줄이 침입하여 실타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판 모양의 폐색판(35)가 작은 수나사로 고정되어 있다.
제동 작용부(17b)의 선단은 제동 원통(41)의 내주 측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선단에 제동 원통(41)의 내주면에 접촉 가능한 제동 슈(34)가 탈착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다. 제동 슈(34)는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계 합성 수지나 폴리아세탈 등의 탄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제이고, 제동 레버(17)의 요동에 의하여 제동 원통(41)을 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밀어 누른다.
제동 레버(17)은 아무것도 조작되지 않으면 코일 스프링(19)에 의해 압박되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동 해제 위치에 배치되어 제동 슈(34)가 폐색판(35)으로부터 이반하고 있다.
코일 스프링(19)는 제동 레버(17)의 제동 조작부(17a)와 릴 본체(2)의 다리부(2b)의 사이에 압축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19)는 제동 레버(17)을 제동 해제 측으로 향하여 도 1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압박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제동 레버(17)에서 손을 떼면 로터(3)은 제동 해제 상태가 된다.
〔보조 레버의 구성〕
보조 레버(18)은 소정 제동부(21)에 의하여 로터(3)을 도 5에 도시한 제동 해제 상태와 도 6에 도시한 소정 제동 상태로 전환 조작을 행하기 위한 것이다. 보조 레버(18)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조작부(26a) (후술)가 장착부(2c)에 접근한 제2 위치에 배치되는 제동 해제 위치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조작부(26a)가 장착부(2c)로부터 이반한 제3 위치에 배치되는 소정 제동 위치와의 사이에서 요동한다. 보조 레버(18)은,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축(33)에 제2 축(Y) 주위에 요동이 가능하게 릴 본체(2)에 지지된 판 형상의 제1 레버 부재(25)와, 제1 레버 부재(25)에 장착된 조작 부재(26)을 가지고 있다.
제1 레버 부재(25)는 제동 레버(17)의 도 5의 앞쪽 측면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제1 레버 부재(25)는 지지 부분으로부터 제동 레버(17)을 따라 위쪽 전방 및 앞쪽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위쪽 전방으로 연장된 선단에는 나사(29)에 의해 조작 부재(26)이 고정되어 있다. 제1 레버 부재(25)의 선단은 제동 레버(17)의 제동 조작부(17a)의 광폭 부분(17h)의 개구(17e)내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지지 부분보다 비스듬히 앞쪽 하방으로 연장된 제1 레버 부재(25)의 기단(基端)은 제동부(16)의 지름 방향 바깥쪽 또는 후방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1 레버 부재(25)의 기단에는 소정 제동부(21)의 제2 레버 부재(27)의 선단이 계지되는 직사각형의 계지 노치부(25c) (도 2)가 형성되어 있다. 계지 노치부(25c)는 제2 레버 부재(27)의 선단부의 횡단 면적보다 큰 면적의 기단 측에 개구하는 직사각형의 노치이다.
조작 부재(26)은 선단에 제2 조작부(26a)를 가지고 있다. 제2 조작부(26a)는 장착부(2c)로부터 이반하는 측에 제1 조작부(17c)와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제2 조작부(26a)는 낚싯대를 잡는 손의 집게 손가락으로 밀어 넣는 조작이 가능하다. 제1 조작부(17c)와 제2 조작부(26a)는 같은 손가락에 의한, 당겨 넣는 조작과 밀어 넣는 조작이 가능하다. 제2 조작부(26a)는 보조 레버(18)의 요동에 의하여 도 1 및 도 5에 도시한 제2 위치와 도 6에 도시한 제3 위치에 배치된다.
조작 부재(26)은 개구(17e)의 하부로부터 노치부(17g) 및 폐색판(35)으로 둘러싸인 공간을 관통하여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연장된 선단에 제2 조작부(26a)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2 조작부(26a)가 노치부(17g) 및 폐색판(35)으로 둘러싸인 공간을 관통하여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제2 조작부(26a)의 주위 특히, 베일 암(9)에 근접하는 부분이 공간에 의하여 둘러싸인다. 이 때문에, 낚싯줄이 느슨해지는 것에 의하여 이 부분에 접촉해도 조작 부재(26)과 제동 레버(17)의 간극에 낚싯줄의 씹혀 들어가기가 어려워진다. 또한, 노치부(17g)를 폐색판(35)로 막고 있기 때문에 조작 부재(26)을 취부한 후에 폐색판(35)를 취부해서 공간을 막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조작 부재(26)을 취부하는 것이 쉬워진다.
또한, 보조 레버(18)이 소정 제동 위치에 배치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조작부(26a)의 아래쪽 면은 제동 조작부(17a)의 폐색판(35)에 거의 접촉한다. 이것에 의하여, 보조 레버(18)은 소정 제동 위치에 있을 때, 제동 레버(17)의 장착부(2c)에 접근하는 방향의 요동에 연동하여 제동 해제 위치로 요동한다.
〔소정 제동부의 구성〕
소정 제동부(21)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레버 부재(25)와 연동하여 요동하는 제2 레버 부재(27)과, 제2 레버 부재(27)을 제동 해제 위치와 제1 소정 제동 위치로 유지하는 토글 스프링(28)을 가지고 있다. 제2 레버 부재(27)은, 도 3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릴 본체(2)의 앞부분에 스풀 축(8)과 평행한 요동 축(27a) 주위에 요동이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2 레버 부재(27)의 기단으로부터 요동 중심까지의 거리는, 선단으로부터 요동 중심까지의 거리보다 2배 이상 길다. 제2 레버 부재(27)의 선단은 계지 노치부(25c)에 계지되어 있고, 제2 레버 부재(27)은 제1 레버 부재(25)와 연동하여 제동 해제 위치 (도 8(a))와 소정 제동 위치 (도 8(b))의 사이에서 요동한다.
여기서, 제동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제2 레버 부재(27)의 기단은 토글 스프링(28)에 의하여 압박되어 계지 노치부(25c)의 표면에 접촉하고, 소정 제동 위치에 있을 때 아래쪽 면에 접촉한다. 제2 레버 부재(27)의 도중에는, 선단이 제동 원통(41)의 내주 측에 배치된 규제 슈(39)가 탈착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규제 슈(39)는 제2 레버 부재(27)의 도중에 구부러져 일체로 형성된 장착부(27c)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2 레버 부재(27)은 규제 슈(39)의 장착 부분으로부터 한층 더 만곡하여 연장되어 있고, 연장된 기단에 토글 스프링(28)이 장착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제2 위치에 있는 제2 조작부(26a)를 밀어 넣어 조작하여 제3 위치에 배치하고, 제1 레버 부재(25)를 도 5에 도시한 제동 해제 위치로부터 도 6에 도시한 제1 소정 제동 위치 측으로 요동시키면, 그것에 연동하여 제2 레버 부재(27)도 제동 해제 위치로부터 소정 제동 위치로 요동한다. 이 결과, 규제 슈(39)가 제동 원통(41)을 밀어 눌러 로터(3)의 낚싯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소정 제동 상태로 제동한다.
토글 스프링(28)은, 도 3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레버 부재(27)을 압박하여 제 2 조작부(26a)를 제2 위치와 제3 위치로 배분하여 압박하고, 그 자세를 유지시킬 수 있다. 토글 스프링(28)은 제2 레버 부재(27)의 기단에 장착된 토 션 코일 스프링이다. 토글 스프링(28)은 한쪽 단이 제2 레버 부재(27)의 기단에 계지되고, 다른쪽 단이 릴 몸틀(2a)의 앞단면에 계지되어 있다. 토글 스프링(28)은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레버 부재(27)가 제동 해제 위치에 배치되면, 제2 레버 부재(27)을 도 8(a)에서 시계 방향으로 압박하고, 소정 제동 위치에 배치되면 도 8(b)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압박한다. 이것에 의하여, 제2 레버 부재(27)이 제동 해제 위치와 소정 제동 위치로 유지되고, 나아가 제1 레버 부재(25)가 제동 해제 위치와 소정 제동 위치로 유지된다.
여기에서는, 제2 레버 부재(27)의 기단으로부터 요동 중심까지의 거리가 선단으로부터 요동 중심까지의 거리보다 2배 이상 길기 때문에, 제1 레버 부재(25)가 요동하면, 그 요동이 제2 레버 부재(27)의 기단 측에서 2배 이상의 요동 거리가 되어 나타나, 토글 스프링(28)이 용이하게 반전 가능하게 된다.
〔발음 장치의 구성〕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음 장치(65)는, 로터(3)이 낚싯줄 방출 방향의 회전에 의하여 발음하는 장치이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음 기구(70) (발음 수단의 일례)과 전환 수단으로서의 소정 제동부(21)의 제2 레버 부재(27)을 구비하고 있다. 발음 기구(70)은 로터(3)이 제동 해제 상태에서 낚싯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 제1 발음 상태로 발음하고, 소정 제동 상태에서 낚싯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 제1 발음 상태와 식별 가능한 제2 발음 상태로 발음하는 기구이며, 제동 해제 상태와 소정 제동 상태의 구별을 용이하게 판별하기 위한 기구이다. 발음 기구(70)은, 도 3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 제동부(21)의 제2 레버 부재(27)에 의하여 2개의 발음 상태로 전환된다. 발음 기구(70)은 로터(3)이 낚싯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시 발음하는 제1 발음부(71)과, 로터(3)이 소정 제동 상태시에만 발음하는 제2 발음부(72)를 가지고 있다. 여기에서는, 제동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제1 발음 상태일 때에는 제1 발음부(71)만이 발음하고, 소정 제동 상태를 나타내는 제2 발음 상태일 때에는 양쪽 발음부(71, 72)가 발음하여 제1 발음 상태보다 큰 음량으로 발음한다.
제1 발음부(71)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동 부재(40)의 후단 주면에 회전 방향을 따라 설치된 요철부(81)과, 릴 본체(2)의 앞부분에 설치된 제1 장착부(82)와, 제1 장착부(82)에 설치되어 요철부(81)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제1 발음부(83)을 가지고 있다.
요철부(81)은 제동 부재(40)의 후단 내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톱니 형상의 요철(81a)를 가지고 있다.
제1 장착부(82)는 릴 몸틀(2a)의 앞부분에서 전방에 일체로 돌출하는 장착 돌기(85)와, 스풀 축(8)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장착 돌기(85)의 선단에 나사 고정된 장착 나사(86)을 가지고 있다. 장착 나사(86)은 제1 발음부(83)을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나사 축이다. 장착 나사(86)은 공구를 계지하기 위한 머리부(86a)와, 제1 발음부(83)을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머리부(86a)보다 작은 소경의 지지부(86b)와, 장착 돌기(85)에 나사 박힘된 나사부(86c)를 가지고 있다.
제1 발음부(83)은 제1 장착부(82)의 장착 나사(86)에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장착된 제1 발음 조(爪)(87)과, 제1 발음 조(87)을 요철부(81)로 향하여 압박하는 토션 스프링(88)을 가지고 있다. 제1 발음 조(87)은, 예를 들어, 선단이 예각으로 뾰족한 판 모양의 부재이고, 요철부(81)에 접촉 가능하게 선단에 형성된 조부(87a)와, 장착 나사(86)으로 지지되도록 형성된 회전운동 지지부(87b)를 가지고 있다. 조부(87a)는, 예를 들어, 판재를 예각으로 절단하여 형성되어 있고, 선단이 요철부(81) 안으로 들어가 배치되어 있다.
토션 스프링(88)은 한쪽 단이 릴 본체(2)에 돌출하여 형성된 계지부(2f)에 계지되고, 다른쪽 단이 조부(爪部)(87a)의 측부에 계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제1 발음 조(87)의 조부(87a)가 항상 요철부(81)을 향하여 압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제1 발음부(71)에서는 제동 부재(40)이 단방향 클러치(32)를 통하여 낚싯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면 발음하는 것과 함께, 제동 부재(40)의 낚싯줄 권취 방향의 회전에 대해서는 회전을 저지한다. 다만, 통상적으로 제동 부재(40)은 단방향 클러치(32)에 의하여 낚싯줄 권취 방향의 회전은 로터(3)으로부터 전달되지 않는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발음부(72)는 제동 부재(40)에 형성된 요철부(81)과, 제2 장착부(92)와, 제2 장착부(92)에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장착된 제2 발음부(93)을 구비하고 있다.
제2 장착부(92)는 제2 레버 부재(27)의 도중에 제동 부재(40)에 근접하는 위치까지 돌출하여 형성된 축 형상의 부재이고, 제동 부재(40)와의 접촉 부분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제2 발음부(93)은 제2 장착부(92)에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장착된 제2 발음 조(95)와, 제2 발음 조(95)를 요철부(81)을 향하여 압박하는 코일 스프링(96)을 가지고 있다. 제2 발음 조(95)의 선단은 부리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2 레버 부재(27)가 제동 해제 상태일 때 요철부(81)에 접촉하지 않고, 소정 제동 상태일 때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96)은 한쪽 단이 제2 발음 조(95)에 계지되고, 다른쪽 단이 제2 레버 부재(27)에 형성된 스프링 계지부(27b)에 계지되어 있다.
이 제2 발음부(72)에서는 제2 레버 부재(27)의 규제 슈(39)가 제동 원통(41)에 접촉한 소정 제동 상태일 때에만 발음하기 때문에, 소정 제동 상태인지 제동 해제 상태인지를 순간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2 발음 조(95)가 제1 발음 조(87)와 다른 형상인 것과 함께, 압박 부재의 구조가 제1 발음부(71)와 다른 구조이기 때문에, 제2 발음부(72)는 제1 발음부(71)와 다른 음량 및 음색이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발음 장치(65)에서는, 제2 레버 부재(27)이 제동 해제 상태일 때에는 로터(3)이 역회전하면 제1 발음부(71)만이 발음한다. 이 상태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발음 상태이다. 그리고, 제2 레버 부재(27)이 소정 제동 상태일 때, 제1 발음부(71)과 제2 발음부(72)가 함께 발음한다. 이 상태가 제2 발음 상태이다. 이 때문에, 보조 레버(18)을 조작하여 규제 슈(39)가 제동 원통(41)에 접촉하는 소정 제동시와 제동 해제시에서 다른 음량 및 음색으로 발음하기 때문에 어느 쪽 상태에 있더라도 물고기의 입질을 확실히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보조 레버(18)의 움직임이 미세하더라도, 소정 제동 상태인지 제동 해제 상태인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릴의 동작 및 조작〕
캐스팅시에는 베일 암(9)를 낚싯줄 개방 자세 측으로 이동하고, 낚싯대를 내려 뜨리는 것에 의하여, 스풀(4)의 외주로부터 낚싯줄이 방출된다. 낚싯줄 권취시에는 핸들(1)을 낚싯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베일 암(9)이 도시하지 않은 되돌림 기구에 의하여 낚싯줄 권취 자세로 되돌아온다. 핸들(1)의 회전력은 핸들축(10), 마스터 기어(11)을 통하여 피니언 기어(12)로 전달된다. 피니언 기어(12)로 전달된 회전력은 피니언 기어의 앞부분(12a)를 통하여 로터(3)으로 전달된다. 이때 로터(3)은 낚싯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단방향 클러치(32)의 작용에 의하여 이 회전력은 제동 부재(40)에는 전달되지 않는다. 피니언 기어(12)가 회전하면 스풀 축(8)이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제동 레버(17)을 아무것도 조작하지 않으면, 제동 레버(17)은 코일 스프링(19)에 의하여 밀어 눌리게 되어 제동 해제 위치 측에 배치된다. 이 때, 보조 레버(18)의 제2 조작부(26a)가 제2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면, 도 5 및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동 슈(34) 및 규제 슈(39)가 제동 원통(41)으로부터 이반하고, 로터(3)은 제동 해제 상태가 된다. 이 상태로 로터(3)이 낚싯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면, 발음 기구(70)의 제1 발음부(71)만이 발음하여, 낚시꾼에게 그것을 알린다.
로터(3)을 역회전시켜 물고기와 릴링할 때에는, 제동 레버(17)의 제1 조작부(17c)를 예를 들면, 집게 손가락에 의하여 장착부(2c) 측으로 끌어 당기는 조작으로 제동력을 조정한다.
낚싯줄이 물고기에 의해 끌려 로터(3)이 낚싯줄 방출 방향으로 역회전하면, 그 회전력이 단방향 클러치(32)를 통하여 제동 부재(40)으로 전달되고, 또한 제동 원통(41)로 전달된다. 이 결과, 제동 원통(41)이 로터(3)과 일체로 회전한다. 제동 레버(17)의 제1 조작부(17c)를 장착부(2c)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끌어 들이는 조작을 하면, 예를 들어, 제2 레버 부재(27)가 소정 제동 위치에 있어도,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색판(35)가 조작 부재(26)의 제2 조작부(26a)를 장착부(2c)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밀어 누르고, 보조 레버(18)이 제동 레버(17)에 연동하여 소정 제동 위치로부터 제동 해제 위치 측으로 요동하여, 제2 레버 부재(27)가 제동 해제 위치 측으로 요동한다. 이 결과, 소정 제동부(21)에 의한 소정 제동 상태가 일단 해제된다. 이 때에, 토글 스프링(28)이 제2 레버 부재(27)의 요동에 의해 반전하고, 제2 레버 부재(27)가 제동 해제 위치 측으로 압박되어 제1 레버 부재(25)가 제동 해제 위치 측에서 유지된다 (도 8(a)).
이 상태에서 나아가, 제동 레버(17)을 장착부(2c)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조작하면, 제동 레버(17)의 제동 슈(34)가 제동 원통(41) 내주면을 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강하게 밀어 누른다. 이 제동력은 제동 레버(17)에 가해지는 힘을 가감하는 것에 의해 조정할 수 있고, 로터(3)의 역회전 양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이 결과, 제동 레버(17)의 조작력에 따라 제동력이 로터(3)에 부여된다. 이와 같이, 소정 제동 상태의 해제를 잊어도, 제동 레버(17)을 끌어 당기는 조작만으로 소정 제동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이 로터의 역회전시에는 제동 원통(41)이 회전하고, 그 회전에 의하여 발음 기구(70)의 제1 발음부(71)가 발음한다. 즉, 제동 원통(41)이 회전하면, 제동 원통(41)에 형성된 요철부(81)에 접촉하는 제1 발음 조(87)가 진동하고, 그 진동에 의하여 제동 원통(41)이 발음한다. 이와 같이, 제동 해제 상태에 있더라도 로터(3)이 낚싯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면 발음하기 때문에, 로터(3)이 낚싯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것을 낚시꾼이 확실히 인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입질이나 불의의 제동 레버(17)의 조작으로 로터(3)이 낚싯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해도, 입질를 놓치거나 채비의 자중에 의하여 낚싯줄이 계속 방출되거나 하는 로터의 역회전 (낚싯줄 방출 방향의 회전)에 따른 불편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낚시터를 이동하기 위해서나, 릴을 수납하기 위해서 제동 해제 상태로부터 소정 제동 상태로 하고 싶은 경우는, 제1 조작부(17c)로부터 손을 뗀 상태로 보조 레버(18)의 제2 조작부(26a)를 장착부(2c)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밀어 넣는 조작을 한다. 그렇게 하면, 도 6 및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 레버(18)이 제동 해제 위치로부터 소정 제동 위치로 요동하고, 제2 레버 부재(27)이 제동 해제 위치로부터 소정 제동 위치로 요동하여, 토글 스프링(28)에 의하여 그 위치에서 유지된다. 이 소정 제동 위치에서는 제2 조작부(26a)의 아래쪽 면이 폐색판(35)로 거의 접촉한다. 또한, 소정 제동 상태에서는 제2 발음부(72)가 발음 가능한 상태가 되어, 로터(3)이 역회전하면 발음한다. 이 때문에, 발음 기구(70)의 2개의 발음부(71, 72)가 함께 발음하게 되어, 제1 발음부(71)만이 발음하는 제동 해제 상태와는 다른 음량으로 발음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낚시터를 이동하는 중에 채비가 무엇인가에 걸려 낚싯줄이 잘못되어 풀릴 때에는 소정 제동 상태에서 로터(3)이 역회전 하고 있는 것을 낚시꾼은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어, 낚싯줄의 불필요한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채비의 늘어뜨린 길이를 변경하기 위해서나, 물고기에 입질이 있었을 때에 물고기가 채비를 확실하게 물게 하기 위해서, 로터(3)을 소정 제동 상태로부터 제동 해제 상태로 하고 싶은 경우에는, 제동 레버(17)을 장착부(2c)에 약간 접근하는 방향으로 조작하면 된다. 그렇게 하면, 상술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동 레버(17)에 의해 제2 조작부(26a)가 밀어 눌리게 되어 보조 레버(18)이 제동 해제 위치 측으로 요동한다. 이 결과, 제2 레버 부재(27)이 제동 해제 위치로 요동하여 제1 또는 제2 소정 제동 상태가 일단 해제된다. 물론, 제2 조작부(26a)를 끌어 당기는 조작을 하여도 소정 제동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소정 제동부(21)에 의하여 소정 제동 상태에 있을 때, 오조작에 의해 제동 레버(17)을 장착부(2c)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조작하여 제동 해제 상태로 하여 채비의 자중에 의해 로터(3)이 역회전 해도 로터(3)의 역회전에 의하여 발음 기구(70)의 제1 발음부(71)이 발음한다. 이것에 의하여, 낚시꾼은 순간에 제동 해제 상태에 있는 로터(3)의 역회전을 인식할 수 있고, 보조 레버(18)을 밀어 누르는 등의 조작에 의해 오조작에 대처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소정 제동 상태와 제동 해제 상태에서 로터(3)의 역회전에 따라 다른 발음 상태로 발음하는 발음 장치(65)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어느 상태에서 로터(3)이 낚싯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지를 낚시꾼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입질이나 불의의 제동 조작 부재의 조작이나 채비의 걸림 등으로 로터(3)이 낚싯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해도, 입질을 놓치거나, 채비의 자중에 의해 낚싯줄이 계속 풀려 버리거나, 무엇인가에 걸려 낚싯줄이 계속 방출되는 로터(3)의 역회전 (낚싯줄 방출 방향의 회전)에 따른 불편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다른 실시예>
(a)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동 레버(17)과 보조 레버(18)에 의하여 제동 조작과 소정 제동 조작을 실시하였지만, 보조 레버 없이 제동 레버를 소정 제동 위치와 제동 해제 위치로 전환하는 전환 부재를 가지는 레버 브레이크형 스피닝 릴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제동 레버(17)을 제2 레버 부재(27)에 연결하여 제2 레버 부재(27)을 제동 레버(17)에 의해 직접 요동시키는 레버 브레이크형 스피닝 릴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발음부(71)을 상시 발음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발음부(171)을 제동 해제 상태일 때에만 발음하도록 발음 기구(170)을 구성해도 무방하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2 레버 부재(127)의 선단에 제1 발음부(171)의 발음 조(187)를 계지할 수 있는 계지부(127e)가 발음 조(187)을 향하여 연장되고 있다. 제2 레버 부재(127)이 소정 제동 위치로 요동했을 때, 계지부(127e)에 의하여 발음 조(187)은 강제적으로 요철부(81)로부터 이반하는 위치로 회전운동 하여, 요철부(81)에 접촉할 수 없게 된다. 이것에 의해, 소정 제동 상태가 되면 제1 발음부(171)은 발음이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제1 발음부(171)과 제2 발음부(172)를 다른 음량 또는 음색으로 할 필요가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발음 조(187)과 발음 조(195)의 형상 및 압박 부재의 압박력을 바꾸는 것으로 다른 음색 또는 음량이 나오도록 되어 있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2개의 발음부를 회전운동 하는 발음 조와 발음 부재를 압박하는 압박 부재로 구성하였지만, 탄성을 가지는 선단이 요철부에 접촉 가능한 발음편만으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발음부를 구성하여 그것을 장착부에 계지하도록 해도 무방하다. 또한, 발음편의 장착 위치는 상기 실시예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릴 본체(2) 및 제2 레버 부재(27), 릴 본체(2) 또는 제2 레버 부재(27)이면 무방하다.
(d)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발음 상태와 제2 발음 상태를 제2 레버 부재(27)에 의하여 전환하였지만, 보조 레버에 의해 동작하는 다른 전환 기구를 설치해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동 해제 상태와 소정 제동 상태가 식별 가능한 다른 발음 상태로 발음하므로, 로터가 낚싯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 소리에 의하여 제동 해제 상태인지 소정 제동 상태인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Claims (15)

  1. 낚싯대에 장착되는 장착부를 가지는 릴 본체와, 상기 릴 본체의 앞부분에 제1 축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터와, 상기 로터의 앞부분에 배치된 낚싯줄을 권취하는 스풀을 구비한 스피닝 릴의 상기 로터의 낚싯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제동하는 레버 브레이크 기구이고,
    상기 로터의 낚싯줄 방출 방향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동 부재를 가지는 제동부와,
    상기 제동부의 제동력을 조정 조작하기 위하여 상기 릴 본체에 상기 장착부와 접리(接離)하도록 상기 제1 축과 엇갈리는 제2 축 주위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제동 레버와,
    상기 제동부를 소정 제동 상태로 조작하기 위하여 상기 릴 본체에 상기 제2 축 주위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제1 레버 부재와, 상기 제1 레버 부재에 장착된 조작 부재를 가지는 보조 레버와,
    상기 보조 레버의 상기 제1 레버 부재의 동작에 연동하여 요동하도록 설치된 제2 레버 부재를 가지고, 상기 보조 레버에 의하여 상기 로터의 낚싯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소정 제동 상태와 제동 해제 상태간에 전환 가능한 소정 제동부와,
    상기 로터의 낚싯줄 방출 방향의 회전에 의하여 발음하는 발음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발음 장치는,
    상기 로터가 낚싯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 제1 발음 상태와 상기 제 1 발음 상태와 식별 가능한 제2 발음 상태로 발음 가능한 발음 수단과,
    상기 제동 해제 상태와 상기 소정 제동 상태에서 상기 발음 수단을 상기 제 1 발음 상태와 상기 제 2 발음 상태간에 전환하는 전환 수단을 가지고,
    상기 전환 수단은 상기 소정 제동부의 제2 레버 부재인, 스피닝 릴의 레버 브레이크 기구.
  2. 낚싯대에 장착되는 장착부를 가지는 릴 본체와, 상기 릴 본체의 앞부분에 제1 축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터와, 상기 로터의 앞부분에 배치된 낚싯줄을 권취하는 스풀을 구비한 스피닝 릴의 상기 로터의 낚싯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제동하는 레버 브레이크 기구이고,
    상기 로터의 낚싯줄 방출 방향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동 부재를 가지는 제동부와,
    상기 제동부의 제동력을 조정 조작하기 위하여 상기 릴 본체에 상기 장착부와 접리하도록 상기 제1 축과 엇갈리는 제2 축 주위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제동 레버와,
    상기 제동 레버에 연동하여 요동하도록 설치된 제2 레버 부재를 가지고, 상기 제동 레버에 의하여 상기 로터의 낚싯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소정 제동 상태와 제동 해제 상태간에 전환 가능한 소정 제동부와,
    상기 로터의 낚싯줄 방출 방향의 회전에 의하여 발음하는 발음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발음 장치는,
    상기 로터가 낚싯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 제1 발음 상태와 상기 제 1 발음 상태와 식별 가능한 제2 발음 상태로 발음 가능한 발음 수단과,
    상기 제동 해제 상태와 상기 소정 제동 상태에서 상기 발음 수단을 상기 제 1 발음 상태와 상기 제2 발음 상태간에 전환하는 전환 수단을 가지고,
    상기 전환 수단은 상기 소정 제동부의 제2 레버 부재인, 스피닝 릴의 레버 브레이크 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음 수단은,
    상기 로터가 낚싯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 상시 발음하는 제1 발음 수단과,
    상기 로터가 상기 소정 제동 상태에서 낚싯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 발음하는 제2 발음 수단을 가지며,
    상기 전환 수단은 상기 소정 제동 상태일 때에 상기 제2 발음 수단을 발음 가능 상태로 하고, 상기 제동 해제 상태일 때에 발음 불가능 상태로 하는, 스피닝 릴의 레버 브레이크 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발음 수단은 상기 제1 발음 수단과 다른 음량 또는 음색으로 발음하는, 스피닝 릴의 레버 브레이크 기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음 수단은 상기 제동 부재에 상시 접촉하여 발음하고, 상기 제2 발음 수단은 상기 소정 제동 상태일 때에 상기 제동 부재에 접촉하여 발음하는, 스피닝 릴의 레버 브레이크 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발음 수단은, 상기 제동 부재에 접촉하는 접촉 위치와 이반하는 이반 위치간에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접촉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로터의 낚싯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소정 제동 상태로 하는 상기 소정 제동부에 적어도 일부가 설치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레버 브레이크 기구.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음 수단은,
    상기 로터가 상기 제동 해제 상태로 또한 낚싯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 발음하는 제1 발음 수단과,
    상기 로터가 상기 소정 제동 상태로 또한 낚싯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였을때 상기 제1 발음 수단과 다른 음색 또는 음량으로 발음하는 제2 발음 수단을 가지며,
    상기 전환 수단은, 상기 제동 해제 상태일 때 상기 제1 발음 수단을 발음 가능하게 하는 것과 함께 상기 제2 발음 수단을 발음 불가능하게 하고, 상기 소정 제동 상태일 때에 상기 제2 발음 수단을 발음 가능하게 하는 것과 함께 상기 제1 발음 수단을 발음 불가능하게 하는, 스피닝 릴의 레버 브레이크 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음 수단은 상기 제동 해제 상태일 때 상기 제동 부재에 접촉하여 발음하고, 상기 제2 발음 수단은 상기 소정 제동 상태일 때 상기 제동 부재에 접촉하여 발음하는, 스피닝 릴의 레버 브레이크 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발음 수단은, 상기 제동 부재에 접촉하는 접촉 위치와 이반(離反)하는 이반 위치간에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접촉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로터의 낚싯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소정 제동 상태로 하는 상기 소정 제동부에 적어도 일부가 설치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레버 브레이크 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제동부는, 상기 소정 제동 상태일 때 상기 제1 발음 수단을 발음 불가능하게 계지(係止)하는 계지 수단을 가지는, 스피닝 릴의 레버 브레이크 기구.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음 수단은,
    상기 제동 부재에 설치되어 회전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1 요철부와,
    상기 제1 요철부에 탄성적으로 접촉 가능하게 상기 릴 본체에 설치된 제1 발음부를 가지는, 스피닝 릴의 레버 브레이크 기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발음 수단은,
    상기 제동 부재에 설치되어 회전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제2 요철부와,
    상기 소정 제동부가 상기 접촉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 요철부에 탄성적으로 접촉 가능하게 상기 소정 제동부에 설치된 제2 발음부를 가지는, 스피닝 릴의 레버 브레이크 기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음부는 상기 제1 요철부에 접리가 가능하게 상기 릴 본체에 설치된 제1 발음 부재와, 상기 제1 발음 부재를 상기 제1 요철부로 향하여 압박하는 제1 압박 부재를 가지며,
    상기 제2 발음부는 상기 제2 요철부에 접리가 가능하게 상기 소정 제동부에 설치된 제2 발음 부재와, 상기 제2 발음 부재를 상기 제2 요철부로 향하여 압박하는 제2 압박 부재를 가지는, 스피닝 릴의 레버 브레이크 기구.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철부와 상기 제2 요철부는 상기 제동 부재의 같은 위치에 형성된 동일한 요철부인, 스피닝 릴의 레버 브레이크 기구.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부재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부재이고,
    상기 제1 및 제2 요철부는 상기 제동 부재의 통 형상 부분의 내주면에 톱니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레버 브레이크 기구.
KR1020030053028A 2002-07-31 2003-07-31 스피닝 릴의 레버 브레이크 기구 KR1009786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24088 2002-07-31
JP2002224088A JP4006292B2 (ja) 2002-07-31 2002-07-31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レバーブレーキ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2568A KR20040012568A (ko) 2004-02-11
KR100978631B1 true KR100978631B1 (ko) 2010-08-27

Family

ID=31943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3028A KR100978631B1 (ko) 2002-07-31 2003-07-31 스피닝 릴의 레버 브레이크 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006292B2 (ko)
KR (1) KR100978631B1 (ko)
CN (1) CN100345481C (ko)
TW (1) TWI26660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0358A (ja) * 2005-02-28 2006-09-07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
JP4863891B2 (ja) * 2007-01-23 2012-01-25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2009065933A (ja) * 2007-09-14 2009-04-02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
JP5258688B2 (ja) * 2009-07-14 2013-08-07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発音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5748U (ko) 1978-06-30 1980-01-16
JPS5556585U (ko) 1978-10-12 1980-04-17
JPS59105870U (ja) 1982-12-29 1984-07-17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ル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7602A (en) * 1990-03-16 1991-04-16 Abu Garcia Produktion Ab Click mechanism in a fishing reel
JPH0928245A (ja) * 1995-07-20 1997-02-04 Ryobi Ltd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3569372B2 (ja) * 1996-01-11 2004-09-22 株式会社シマノ 釣用リールの発音機構
JPH10290651A (ja) * 1997-04-18 1998-11-04 Ryobi Ltd 魚釣り用リールの回転制動装置
CN2341399Y (zh) * 1998-11-03 1999-10-06 宁波北仑海伯精密机械制造有限公司 渔线轮调力装置
JP3668398B2 (ja) * 1999-10-20 2005-07-06 株式会社 上州屋 魚釣り用リールの回転制動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5748U (ko) 1978-06-30 1980-01-16
JPS5556585U (ko) 1978-10-12 1980-04-17
JPS59105870U (ja) 1982-12-29 1984-07-17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408346A (en) 2004-06-01
TWI266609B (en) 2006-11-21
CN1481676A (zh) 2004-03-17
CN100345481C (zh) 2007-10-31
JP4006292B2 (ja) 2007-11-14
JP2004057164A (ja) 2004-02-26
KR20040012568A (ko) 2004-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77672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EP1859678B1 (en) Drag device for spinning reel
KR100978631B1 (ko) 스피닝 릴의 레버 브레이크 기구
JP2007312703A5 (ko)
EP1516531A2 (en) Rotor for spinning reel
KR100877308B1 (ko) 스피닝 릴
JP3947383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KR100950203B1 (ko) 스피닝 릴의 동작 장치
JP4451734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JP2004305118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発音装置
JP2001128595A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4462754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4785305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3088280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2011041560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JP2001128599A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4221240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ベール反転装置
KR101004379B1 (ko) 스피닝 릴의 로터 회전 규제 장치
JP2003158965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操作装置
JP2002084935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操作部
JP2002306034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KR20030007142A (ko) 스피닝 릴의 로터 규제 장치
JP2011050352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2001028982A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1103891A (ja) スピニングリ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