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3023B1 - 프린터 장치 - Google Patents

프린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3023B1
KR100973023B1 KR1020070132231A KR20070132231A KR100973023B1 KR 100973023 B1 KR100973023 B1 KR 100973023B1 KR 1020070132231 A KR1020070132231 A KR 1020070132231A KR 20070132231 A KR20070132231 A KR 20070132231A KR 100973023 B1 KR100973023 B1 KR 100973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paper
thermal head
platen
platen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2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3285A (ko
Inventor
스미오 와타나베
후미오 사쿠라이
유키히로 모리
Original Assignee
후지쯔 콤포넌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콤포넌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콤포넌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03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3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3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30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41J15/042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for loading rolled-up continuous copy material into printers, e.g. for replacing a used-up paper roll; Point-of-sale printers with openable casings allowing access to the rolled-up continuous cop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2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2Rollers
    • B41J13/025Special roller holding or lifting means, e.g. for temporarily raising one roller of a pair of nipping rollers for inserting prin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36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portability, i.e. hand-held printers or laptop pri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2Platens
    • B41J11/04Roller platens

Landscapes

  • Handling Of Sheet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Handling Of Cut Paper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지 반송(搬送) 방향에서 프린터 장치를 통해 이송되는 용지 상에 데이터를 인쇄하기 위한 그러한 프린터 장치를 제공한다. 이 프린터 장치는 구동 롤러와 종동(從動) 롤러를 포함하는 용지 반송부를 구비하고, 이 구동 롤러와 종동 롤러는 이들 구동 롤러와 종동 롤러가 일체로 가압되어 있는 연동 위치와 이들 구동 롤러와 종동 롤러가 떨어져 있는 연동해제 위치 사이에서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하며, 용지 반송부는 용지 반송 방향에서 데이터가 용지 위에 인쇄되는 위치로부터 하류측에 위치하고, 구동 롤러와 종동 롤러는 연동 위치에 있을 때 용지를 구동 롤러와 종동 롤러 사이에 가압식으로 삽입시키도록 동작한다.

Description

프린터 장치{PRINTER APPARATU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프린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1 모듈에 제2 모듈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휴대용 서멀 프린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휴대용 서멀 프린터를 사용하여, 예컨대 바코드와 검침 전표를 인쇄하는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일반 프린터에 비교해 보면, 바코드와 검침 전표는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로 판독되기 때문에 용지의 전송 방향에 관하여 높은 인쇄 정밀도가 요구된다.
종래의 클램쉘 타입의 휴대용 서멀 프린터의 경우에는 프린터의 커버를 열었을 때, 고무로 만든 플래튼 롤러가 용지가 물려 있는 상태에서 서멀 헤드에 대해서 가압된다. 플래튼 롤러는 모터에 의해서 회전되고, 용지는 플래튼 롤러의 마찰력에 의해서 공급된다. 종래 예가 일본 특허 공개 2002-120389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플래튼 롤러는 서멀 헤드에 가압하기 때문에, 플래튼 롤러는 일반적으로 고무로 만들어진다. 고무 플래튼 롤러를 이용하는 경우에 초기 단계에서는 만족할만한 성능을 얻을 수 있지만, 이러한 성능은 발열에 의한 팽창수축, 시간이 지남에 따른 성능 저하, 마모 등과 같은 요인에 의해서 유지하기가 어렵다.
본 발명의 일반적인 목적은 관련 기술의 한계 및 단점에 따른 하나 이상의 문제를 실질적으로 제거하는 프린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은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에서 개시될 것이며, 부분적으로는 상세한 설명과 첨부 도면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고, 또한 상세한 설명에서 개시하는 교시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 및 다른 특징과 이점은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한 설명에서 충분하고 명료하며 명확하고 정확한 용어로 특히 설명된 프린터에 의해서 실현되고 획득될 것이다.
이들 이점 및 다른 이점을 달성하기 위해서,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구체화되고 폭넓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프린터 장치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프린터 장치는 용지 반송 방향에서 상기 프린터 장치를 통해 이송되는 용지 상에 데이터를 인쇄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프린터 장치는 구동 롤러와 종동(從動) 롤러를 포함하는 용지 반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롤러와 상기 종동 롤러는 이들 구동 롤러와 종동 롤러가 일체로 가압되어 있는 연동 위치와 이들 구동 롤러와 종동 롤러가 떨어져 있는 연동해제 위치 사이에서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하며; 상기 용지 반송부는 상기 용지 반송 방향에서 상기 데이터가 상기 용지 위에 인쇄되는 위치로부터 하류측에 위치하고; 상기 구동 롤러와 상기 종동 롤러는 상기 연동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용지를 상기 구동 롤러와 상기 종동 롤러 사이에 가압식으로 삽입시키도록 동작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 롤러는 표면에 복수 개의 미소 돌기를 구비하는 롤러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이 때, 상기 미소 돌기는 상기 용지가 상기 구동 롤러와 상기 종동 롤러 사이에 가압식으로 삽입되어 있을 때 상기 용지 안으로 파고 들어가도록 돌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 롤러는 양단측에 배치되는 롤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 롤러는 중앙에 배치되는 롤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 롤러는 실질적으로 전체면에 걸쳐서 배치되는 롤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린터 장치는 상기 데이터를 상기 용지 위에 인쇄하기 위한 인쇄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때, 상기 인쇄부는 상기 용지 반송부의 상류측에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프린터 장치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프린터 장치는 용지 반송 방향에서 상기 프린터 장치를 통해 이송되는 용지 상에 데이터를 인쇄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프린터 장치는 서멀 헤드와; 플래튼 롤러와; 구동 롤러와 종동 롤러를 포함하는 용지 반송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롤러와 상기 종동 롤러는 이들 구동 롤러와 종동 롤러가 일체로 가압되어 있는 연동 위치와 이들 구동 롤러와 종동 롤러가 떨어져 있는 연동해제 위치 사이에서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하며; 상기 서멀 헤드와 상기 플래튼 롤러는 이들 서멀 헤드와 플래튼 롤러가 일체로 가압되어 있는 연동 위치와 이들 서멀 헤드와 플래튼 롤러가 떨어져 있는 연동해제 위치 사이에서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용지 반송부는 상기 용지 반송 방향에서 상기 서멀 헤드로부터 하류측에 위치하며; 상기 구동 롤러와 상기 종동 롤러는 상기 연동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용지를 상기 구동 롤러와 상기 종동 롤러 사이에 가압식으로 삽입시키도록 동작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래튼 롤러는 회전에 의해서 상기 용지의 선단을 반송시킬 수 있고, 상기 구동 롤러와 상기 종동 롤러는 상기 플래튼 롤러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서멀 헤드로부터 이송되는 상기 용지의 선단이 상기 구동 롤러와 상기 종동 롤러 사이에 수입되도록 상기 용지 반송부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용지 반송부는 상기 반송된 용지가 상기 용지 반송부에 전송될 때 상기 반송된 용지를 이송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린터 장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서 가동되는 기어 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때, 상기 기어 기구는 상기 구동 롤러와 상기 플래튼 롤러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 롤러와 상기 플래튼 롤러를 동일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 롤러의 외주 속도는 상기 플래튼 롤러의 외주 속도보다 빠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린터 장치는, 상기 용지를 상기 용지 반송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플래튼 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해서, 상기 기어 기구의 회전운동을 상기 플래튼 롤러에 전달하는 일방향 클러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린터 장치는 상기 구동 롤러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구동 롤러의 단에 배치된 기어와; 상기 구동 롤러의 단에 배치되는 요동 아암 부재로서, 상기 구동 롤러의 회전과 동일한 방향에서 피벗운동하는 제1 아암부와 제2 아암부를 포함하는 것인 상기 요동 아암 부재와; 상기 제1 아암부와 상기 제2 아암부에 각각 배치되는 제1 기어 및 제2 기어로서, 상기 구동 롤러의 단에 배치된 상기 기어와 연동하는 것인 상기 제1 기어 및 제2 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요동 아암 부재는 상기 아암부의 기어가 상기 구동 롤러의 단에 배치된 기어와 연동하도록 상기 구동 롤러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 롤러와 상기 플래튼 롤러는 제1 모듈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종동 롤러와 상기 서멀 헤드는 제2 모듈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모듈과 상기 제2 모듈은, 서로 결합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구동 롤러와 상기 종동 롤러가 일체로 가압되고 상기 플래튼 롤러와 상기 서멀 헤드도 일체로 가압되며 서로 분리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구동 롤러와 상기 종동 롤러가 떨어져 있고 상기 플래튼 롤러와 상기 서멀 헤드도 떨어져 있도록,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종동 롤러와 상기 플래튼 롤러는 제1 모듈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구동 롤러와 상기 서멀 헤드는 제2 모듈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모듈과 상기 제2 모듈은, 서로 결합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구동 롤러와 상기 종동 롤러가 일체로 가압되고 상기 플래튼 롤러와 상기 서멀 헤드도 일체로 가압되며 서로 분리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구동 롤러와 상기 종동 롤러가 떨어져 있고 상기 플래튼 롤러와 상기 서멀 헤드도 떨어져 있도록,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프린터 장치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프린터 장치는 용지 반송 방향에서 상기 프린터 장치를 통해 이송되는 용지 상에 데이터를 인쇄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프린터 장치는 서멀 헤드에 대해서 가압하는 비회전 플래튼과; 상기 용지 반송 방향에서 상기 서멀 헤드로부터 상류측에 위치하는 상류측 용지 반송부와; 상기 용지 반송 방향에서 상기 서멀 헤드로부터 하류측에 위치하는 하류측 용지 반송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류측 용지 반송부는 구동 롤러와 종동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롤러와 상기 종동 롤러는 이들 구동 롤러와 종동 롤러가 일체로 가압되어 있는 연동 위치와 이들 구동 롤러와 종동 롤러가 떨어져 있는 연동해제 위치 사이에서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하고; 상기 구동 롤러와 상기 종동 롤러는 상기 연동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용지를 상기 구동 롤러와 상기 종동 롤러 사이에 가압식으로 삽입시키도록 동작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또 다른 특수한 목적은 예컨대, 고무 플래튼 롤러가 접하는 서멀 헤드의 일부의 구조를 변경해야 하는 일 없이 용지 반송 방향의 인쇄 정밀도를 개선하는 클램쉘 타입의 휴대형 프린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추가 특징은 첨부 도면과 연계하여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읽으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 장치는 더욱 정교한 용지 반송 정밀도를 제공할 수 있고, 따라서 예컨대 클래튼 롤러를 이용하여 용지를 반송하는 종래의 휴대형 프린터 장치에 비해서 더욱 정교한 인쇄 정밀도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서멀 프린터(1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서멀 프린터(10)는 라인 인쇄 타입의 프린터이며, 또한, 클램쉘 타입이다. X1-X2는 서멀 프린터(10)의 길이방향을 나타내고, Y1-Y2는 서멀 프린터(10)의 폭방향을 나타내며, Z1-Z2는 서멀 프린터(10)의 높이방향을 나타낸다. A1은 용지의 반송 방향을 나타내고, A2는 용지 반송 방향의 역방향을 나타낸다.
서멀 프린터(10)는 휴대 단말 기기(20)에 조립되어 있다. 휴대 단말 기기(20)는 케이싱(21)과, 케이싱(21)의 X1측의 축방향 부재(22)에 의해서 지지되는 개폐 가능한 커버(23)를 구비한다. 케이싱(21)의 X1측에는 롤지(roll紙) 수용부(25)가 배치되어 있다.
서멀 프린터(10)는 구동 롤러의 역할을 하는 그립 롤러(40)와 종동(從動) 롤러의 역할을 하는 가압 롤러(64)를 포함하는 용지 메인 반송부(12)를 구비한다. 용지 메인 반송부(12)는 서멀 헤드(61)와 플래튼 롤러(31)로 이루어지는 용지 서브 반송부보다도 용지의 반송 방향(A1)에서 하류측의 위치해 있다.
부호 30은 케이싱(21) 내에 조립되어 있는 제1 모듈을 나타낸다. 부호 60은 커버(23) 내에 조립되어 있는 제2 모듈을 나타낸다. 커버(23)가 열려 있을 때에는 제2 모듈(60)은 제1 모듈(30)로부터 떨어져 있다. 즉, 분리되어 있다. 커버(23)가 닫히고 록크되어 있을 때에는 제2 모듈(60)은 제1 모듈(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모듈(30)은 고무제의 플래튼 롤러(31)와, 그립 롤러(40)와, 펄스 모터(50)와, 감속 기어열(51)과, 반사식 센서와 같은 제1 및 제2 용지 검출 센서(32, 33)를 포함하며, 이들 구성요소는 프레임(도시되지 않음)에 지지되어 있다. A1 방향에서 제2 용지 검출 센서(33), 플래튼 롤러(31), 제1 용지 검출 센서(32), 그립 롤러(40)의 순서로 배열되어 있다.
그립 롤러(40)는 플래튼 롤러(31)보다 용지의 반송 방향(A1)에서 더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립 롤러(40)는 금속 재료로 제작되며, 롤링에 의해서 제조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 롤러부(42, 43)는 그립 롤러(40)의 샤프트(41) 양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그립 롤러부(42, 43)는 용지(81) 중에서 인쇄가 행해지는 영역의 개개의 외측 부분, 즉 용지(81)의 양변의 가장자리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립 롤러부(42, 43)는 샤프트(41)보다도 직경 Dg가 크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 롤러부(42, 43)는 표면에 무수한 미소 돌기(44)를 구비하고 있다. 그립 롤러부(42, 43)는 선단이 뾰족한 스파이크 형상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미소 돌기(44)의 높이 h는 약 0.04 ㎜이고, 인쇄가 행해지는 용지(81)의 두께 t(도 4)보다 낮다.
감속 기어열(51)은 펄스 모터(50)의 샤프트 상에 있는 기어(52)와, 2단 기어(53)와, 2단 기어(54)와, 플래튼 롤러(31)의 단(端)에 있는 기어(55)와, 그립 롤러(40)의 단에 있는 기어(56)를 포함한다. 2단 기어(54)는 기어(55, 56)과 연동한다.
플래튼 롤러(31), 그립 롤러(40), 펄스 모터(50) 및 감속 기어열(51)은, 그립 롤러부(42, 43)의 외주 속도 Vg가 용지 반송 속도 V와 일치하는 조건하에서 펄스 모터(50)가 구동될 때, 플래튼 롤러(31)가 그립 롤러(4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고, 또, 그립 롤러부(42, 43)의 외주 속도 Vg가 플래튼 롤러(31)의 외주 속도 Vp보다도 약간 빠르도록(예컨대 0.1% 정도 빠르도록), 즉 Vg>Vp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Vg>Vp의 관계를 만족하기 위해서, 그립 롤러부(42, 43)의 직경 Dg는 플래튼 롤러(31)의 직경 Dp보다도 약간 크다(예컨대 0.1% 정도 크다)(도 2).
펄스 모터(50) 및 제1 용지 검출 센서(32) 및 제2 용지 검출 센서(33)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마이크로컴퓨터인 제어 회로(7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2 모듈(60)은 서멀 헤드(61)가 고정되어 있는 서멀 헤드 지지판 부재(62), 판스프링 부재(63), 가압 롤러(64) 및 컷터날(68)을 포함하고, 이들 구성요소는 프레임(도시되지 않음)에 지지되어 있다.
서멀 헤드(61)는 Y1-Y2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는 발열부(61a)를 구비한다. 서멀 헤드 지지판 부재(62)는 그의 X1측의 단부에 지지된다. 판스프링 부재(63)는 서멀 헤드(61)를 대략 Z2 방향으로 바이어스시킨다. 가압 롤러(64)는 샤프트(64a)의 양단측에 배치된 고무제(예시적인 실시예)의 가압 롤러부(64b, 64c)를 구비한다. 스프링 부재(65, 66)는 샤프트(64a)의 양단을 대략 Z2 방향으로 바이어스시킨다. 용지의 반송 방향 A1에서 서멀 헤드(61), 가압 롤러(64), 컷터날(68)의 순서로 배열되어 있다.
플래튼 롤러(31), 그립 롤러(40), 서멀 헤드(61) 및 가압 롤러(64)는 제2 모듈(60)이 제1 모듈(30)과 결합된 때에 서멀 헤드(61)의 발열부(61a)가 플래튼 롤러(31)와 만나고, 가압 롤러부(64b, 64c)가 그립 롤러부(42, 43)와 만나도록 배치되어 있다.
용지(81)는, 용지 메인 반송부(12)에 용지(81)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용지 서브 반송부(11)에 의해서 급지(給紙)되고, 용지 메인 반송부(12)에 용지(81)가 삽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용지 메인 반송부(12)에 의해서 급지된다. 용지 메인 반송부(12)에서는 그립 롤러부(42, 43)의 미소 돌기(44)가 용지(81)의 하면에 파고 들어가서 용지(81)에 반송력을 부여한다. 따라서, 용지는 고정밀도로 반송될 수 있고, 이 반송되는 용지 상에서의 인쇄는 우수한 정밀도로 수행될 수 있으며, 용지는 미끄러지는 일 없이 수행될 수 있다.
다음에, 서멀 프린터(10)의 예시적인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5의 A 내지 H를 참조하되 도 5의 A를 먼저 참조하면, 우선, 용지(81)가 세트된다(단계 S90). 여기에서는 조작자가 커버(23)를 열고, 감열지 롤(80)을 롤지 수용부(25) 내에 수용한 상태에서 용지(81)를 잡아 빼낸 후, 커버(23)를 닫는다. 이것에 의해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81)는 서멀 헤드(61)와 [서멀 헤드(61)의 발열부(61a)를 거쳐서] 이 서멀 헤드(61)에 가압하는 플래튼 롤러(31) 와의 사이에 있는 용지 서브 반송부(11)에서, 그리고 가압 롤러(64)와 [이 가압 롤러(64)의 가압 롤러부(64b, 64c)를 거쳐서] 이 가압 롤러(64)에 가압하는 그립 롤러(40)와의 사이에 있는 용지 메인 반송부(12)[용지 반송 방향 A1에 대해서 용지 서브 반송부(11)의 하류측에 있음]에서 개재(介在)한 상태가 된다.
용지 메인 반송부(12)는 용지(81)의 선단부(81a)가 그립 롤러(40)와 가압 롤러(64) 사이에서 만나는 부분에 수입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커버(23)가 닫힌 상태에서 제1 용지 검출 센서(32)가 용지(81)를 검출한 후에는, 예컨대, 서멀 프린터(10)는 제어 회로(70)에 의해서 더 제어되면서 동작을 계속한다.
이어서, 단계 S91에서, 인쇄 명령에 응답하여 용지 위치가 검출된다. 우선,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펄스 모터(50)(도 1 및 도 2)는 역으로 구동되고, 플래튼 롤러(31) 및 그립 롤러(4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그 결과, 용지(81)가 A2 방향으로 역방향 이동된다.
도 5의 C 및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81)는 선단부(81a)가 그립 롤러부(42, 43)로부터 벗어나도록 역방향으로 이동된다. 용지(81)는 제1 용지 검출 센서(32)가 선단부(81a)를 검출하여 OFF 상태로 전환될 때까지 역방향으로 이동된다. 그 결과, 용지(81)의 선단부(81a) 위치가 획득되고, 이 용지 위치 획득 절차는 완료된다.
이어서, 인쇄 절차가 개시된다(단계 S92). 펄스 모터(50)는 정방향으로 구동되고 플래튼 롤러(31) 및 그립 롤러(4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용지(81)가 A1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1 용지 검출 센서(32)가 ON 상태로 전환된 후에는 서멀 헤드(61)가 작동되어 용지(81)에 인쇄가 개시된다.
용지(81)의 선단부(81a)가 (도 5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 롤러부(42, 43)와 가압 롤러부(64b, 64c) 사이에 삽입된 후에는, 그립 롤러부(42, 43)와 가압 롤러부(64b, 64c)는 플래튼 롤러(31)와 함께, 용지(81)를 A1 방향으로 반송시킨다. 따라서, 용지(81)는 용지 서브 반송부(11)로부터 용지 메인 반송부(12)로 원활하게 전달되고 용지 메인 반송부(12)에 의해 계속해서 더 반송된다. 부호 82는 예컨대 인쇄가 수행된 영역을 나타낸다.
여기서, 용지(81)는 용지 서브 반송부(11)에서는 고무제의 플래튼 롤러(31)와 만나는(접하는) 상태에 있는데 반해서, 용지 메인 반송부(12)에서는 미소 돌기(44)가 용지(81)의 하면에 파고 들어있다. 그 결과, 용지 메인 반송부(12)에서 용지(81)에 가해진 반송력(搬送力)은 용지 서브 반송부(11)에서 가해진 반송력에 비해 크다. 따라서, 용지 메인 반송부(12)는 그립 롤러부(42, 43)의 외주 속도 Vg에 대응하는 소정의 속력으로 용지(81)를 반송한다. 그립 롤러부(42, 43)의 미소 돌기(44)는 용지(81)의 하면에 파고 들어가 있기 때문에, 용지(81)와 그립 롤러부(42, 43) 사이에는 미끄러짐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용지(81)는 고정밀도로 반송될 수 있다. 그 결과, 인쇄는 더욱 높은 정밀도로 수행될 수 있다. Vg>Vp의 관계에 있으므로, 용지(81)의 미세한 미끄러짐이 플래튼 롤러(31)에서 발생할 수도 있다는 점을 유념하여야 한다.
급지된 용지(81)가 용지 서브 반송부(11)로부터 빠져나올 때까지, 그립 롤 러(40)는 회전을 계속할 것이고, 용지 메인 반송부(12)는 용지(81)를 반송할 수 있는 상태에 있을 것이다. 따라서, 용지 서브 반송부(11)에서의 용지(81) 반송에서 용지 메인 반송부(12)에서의 용지(81) 반송으로의 이행이 부드럽게 행해질 수 있다.
인쇄 절차 종료 명령이 있은 후에, 펄스 모터(50)는 소정수의 스텝 이동을 수행하고 나서 정지하게 된다. 인쇄가 종료되는 용지(81)의 부분은 컷터날(68)을 조금 넘어서 A1 방향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 5의 G는 이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어서, 용지(81)의 인쇄된 부분(82)을 절단하는 절차가 단계 S93에서 행해진다. 조작자는 휴대 단말 기기(20)의 밖으로 송출되어 나온 인쇄된 용지(82)를 빼내고, 도 5의 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컷터날(68)이 이 인쇄된 용지(82)를 절단한다.
다른 인쇄 명령이 전송되면, 전술한 동작이 동일하게 수행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그립 롤러부(42, 43)는 금속 재료로 제작되고, 따라서 고무제의 롤러에 비해 치수 정밀도가 양호하고 마모도 적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 롤러부(42, 43)의 미소 돌기(44)는 용지(81)의 하면에 파고 들어가기 때문에, 온도 및/또는 습도 등의 요인에 상관없이, 그립 롤러부(42, 43)와 용지(81) 사이에는 미끄러짐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서멀 프린터(10)는 장기간에 걸쳐서 높은 정밀도의 용지 반송 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용지 반송 방향의 인쇄 정밀도는 장기간에 걸쳐서 높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서멀 프린터는 예컨대 바코드와 검침 전표를 만족할만하게 인쇄해 낼 수 있다.
도 6에, 플래튼 롤러(31)는 용지 반송로의 중심선 XA에 직교하는 선 YA에 대 해서 작은 각도 θ로 경사시켜서 배치되어 있고, 또 용지 가이드 부재(75)는 Y2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플래튼 롤러(31)를 경사지게 함으로써, 반송되는 용지(81)는 Y2 방향으로 기울어지고, 이 반송되는 용지(81)의 (Y2측의) 가장자리부(81b)는 용지 가이드 부재(75)에 의해서 안내되어 이 반송되는 용지(81)가 사행(斜行)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어 회로(70)는 사용하는 용지의 종류에 따라서 서멀 프린터(10)의 동작을 다르게 제어한다.
천공 눈금(83)이 들어있는 연속 용지(81A)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펄스 모터(50)가 소정수의 스텝 동안 역방향 동작을 하고, 이어서 플래튼 롤러(31)가 도 5의 G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동작한 후에, 그 후에 도 7a에 도시된 방식으로 정지되게 된다.
펄스 모터(50)의 역전(역방향) 동작과 후속하는 플래튼 롤러(31)의 시계 방향 동작에서는 연속 용지(81A)가 A2 방향으로 반송된다. 펄스 모터(50)의 역전 동작이 정지되면, 연속 용지(81A)의 천공 눈금(83)이 그립 롤러(40)와 플래튼 롤러(31) 사이에 위치하고, 인쇄된 부분(82) 중에서 A2측의 인쇄된 부분(82)의 단의 근방에 있는 부분이 그립 롤러(40)와 가압 롤러(64)에 의해서 클램프되어 지지된다.
예컨대 조작자가 인쇄된 부분(82)을 A1 방향으로 잡아당겨서, 천공 눈금(83)을 따라 연속 용지(81A)를 떼어 내고(절단하고), 인쇄된 부분(82)을 클램프되어 있는 위치로부터 끌어낸다. 이어서, 다른 인쇄 절차는 제1 용지 검출 센서(32)를 이 용하여 용지 위치 획득을 행하고 나서 개시된다.
절단된 형태의 용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도 8a 및 도 8b), 제2 용지 검출 센서(33)가 절단형 용지(81B)의 종단부(81Bc)를 검출한다. 소정량의 인쇄를 수행한 후에 인쇄 작업을 완료한다. 도 8a에는 이 동작이 도시되어 있다. 절단형 용지(81B)의 인쇄가 완료되면 인쇄된 부분(82) 중에서 2측으로 인쇄된 부분(82)의 단의 근방에 있는 일 부분이 그립 롤러(40)와 가압 롤러(64)에 의해서 클램프되어 지지된다.
예컨대, 조작자가 인쇄된 부분(82)을 A1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인쇄된 부분(82)이 클램프되어 있는 위치로부터 뽑아내어 추출된다.
여기서, 상기 구성의 서멀 프린터(10)의 변형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서멀 프린터(10)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9에서는 플래튼 롤러(31)의 단부에 배치된 기어(55)에, 일방향 클러치(76)가 조립되어 있다. 일방향 클러치(76)는 기어(55)의 반시계 방향의 회전을 플래튼 롤러(31)에 전달하도록 동작한다. 플래튼 롤러(31)가 구동부로서의 역할을 하는 형태에서 보면, 이 일방향 클러치(76)는 플래튼 롤러(31)의 반시계 방향의 회전은 기어(55)에 전달되지 않도록 동작한다.
일방향 클러치(76)에 의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플래튼 롤러(31)는 용지(81)의 단부를 용지 서브 반송부(11)로부터 A1 방향으로 반송시킨다. 용지(81)의 단부가 용지 메인 반송부(12)의 그립 롤러(40)와 가압 롤러(64) 사이에 수입되면 용지(81)는 용지 메인 반송부(12)에서 용지 서브 반송부(11)보다 고속으로 반송 된다. 따라서, 이제 용지(81)에 의해서 수직으로 당겨지는 플래튼 롤러(31)는 고속으로 회전되고, 이것에 의해서, 플래튼 롤러(31)의 회전 속력은 펄스 모터(50)에 의한 기어(55)의 회전 속력을 상회한다. 따라서, 일방향 클러치(76)가 기어(55)로부터 플래튼 롤러(31)로 더 이상 회전을 전달하지 않는 상태로 되며, 따라서 플래튼 롤러(31)는 기어(55)와는 별개로, 즉 반송되는 용지(81)의 움직임에 따라서 회전되게 된다. 그 결과, 용지(81)와 플래튼 롤러(31) 사이에 미끄러짐은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A1 방향으로 반송되는 용지(81)에 작용하는 제동력은 경감될 수 있고, 용지(81)의 반송 정밀도가 개선될 수 있다.
또한, 프린터의 사용 기간이 길어지면, 플래튼 롤러(31)가 마모하여 그의 직경이 감소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반송되는 용지(81)의 움직임에 따라서 회전하는 플래튼 롤러(31)의 회전 속력은 증가하고, 플래튼 롤러(31)의 회전 속력과 [펄스 모터(50)에 의해서 회전되는] 기어(55)의 회전 속력과의 차는 더 커진다. 이 상황에서는, 일방향 클러치(76)가 기어(55)에서 플래튼 롤러(31)로 회전을 전달하지 않고 회전을 전달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며, 따라서 플래튼 롤러(31)는 기어(55)와는 별개로 회전된다.
도 10은 서멀 프린터(10)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 예에서 플래튼 롤러(31A)는 경도(硬度)가 예컨대 플래튼 롤러(31)보다 비교적 낮은 고무 재료로 형성된다. 이 변형예에서, 플래튼 롤러(31A)는 경도가 비교적 낮은 고무 재료로 형성되기 때문에, 예컨대 전술한 것보다 낮은 서멀 헤드(61)의 가압력으로도 충분할 것이다. 따라서, 합성 수지제의 커버(23)의 일부를 이용하여 형성한 판스프링 부재(24)에 의해서 서멀 헤드(61)를 바이어스시킨다. 이 경우, 독립된 부품인 판스프링 부재는 불필요하다.
[제2 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서멀 프린터(10A)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서멀 프린터(10A)는 도 2에 도시된 용지 서브 반송부(11)가 용지 서브 반송부(11A-1)와 용지 인쇄부(11A-2)로 분할된 구조를 가진다.
용지 반송 방향 A1에서 용지 서브 반송부(11A-1), 용지 인쇄부(11A-2), 용지 메인 반송부(12)의 순서로 배열되어 있다.
제1 모듈(30A)은 플래튼 롤러(31A)와, 그립 롤러(40)와, 펄스 모터(50)와, 감속 기어열(51A)과, (예컨대, 반사식의) 제1 용지 검출 센서(32) 및 제2 용지 검출 센서(33)를 포함하고, 이들 구성요소는 프레임(도시되지 않음)에 지지되어 있다. A1 방향에서 제2 용지 검출 센서(33), 플래튼 롤러(31), 평판형 플래튼(90), 제1 용지 검출 센서(32), 그립 롤러(40)의 순서로 배열되어 있다. 감속 기어열(51A)은 도 2에 도시된 감속 기어열(51)에 기어(57, 58)가 추가되어 있는 구조를 가진다.
제2 모듈(60A)은 서멀 헤드(61)가 고정되어 있는 서멀 헤드 지지판 부재(62), 판스프링 부재(63), 가압 롤러(64), 컷터날(68), 가압 롤러(91)를 포함하고, 이들 구성요소는 프레임(도시되지 않음)에 지지되어 있다.
용지 서브 반송부(11A-1)는 플래튼 롤러(31)와 가압 롤러(91)로 이루어진다. 용지 인쇄부(11A-2)는 서멀 헤드(61)와 평판형 플래튼(90)으로 이루어진다.
플래튼(90)이 평판형이기 때문에, 서멀 헤드(61)와 평판형 플래튼(90) 사이에는 엄격한 위치 정밀도가 필요치 않다.
용지 서브 반송부(11A-1) 및 용지 메인 반송부(12)는 서멀 프린터(10)에 대해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게 동작한다.
[제3 실시예]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서멀 프린터(10B)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서멀 프린터(10B)는 도 1에 도시된 감속 기어열(51) 대신에 요동 기어 기구(100)를 적용한 구조를 가진다.
요동 기어 기구(100)는 그립 롤러(40)의 축에 고정되어 있는 기어(101)와, 그립 롤러(40)의 축이 요동을 위한 그의 중심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인 요동 가능한 V자 형상의 요동 아암 부재(102)(빗금친 어두운색의 부분)와, 이 요동 아암 부재(102)의 각 아암부(102a, 102b)에 지지되어 있고, 또한 기어(101)와 연동되어 있는 기어(103, 104)를 포함한다. 요동 아암 부재(102)와 그립 롤러(40) 사이에는 활주 클러치(도시되지 않음)가 마련되어 있다. 그립 롤러(40)가 회전함으로써, 요동 아암 부재(102)는 기어들이 그립 롤러(40)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동될 때까지 활주 클러치의 마찰력에 의해서 회전된다.
펄스 모터(50B)는 감속 기어열(51B)을 거쳐서 그립 롤러(40)를 회전시킨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펄스 모터(50B)가 정방향(즉,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그립 롤러(40)는 감속 기어열(51B)을 거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요동 아암 부재(102)도 역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어서, 요동 아암 부 재(102)에 의해서 가동되는 기어(103)가 플래튼 롤러(31)의 단에 위치한 기어(55)와 연동하여 플래튼 롤러(3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펄스 모터(50)가 역방향(즉,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감속 기어열(51B)을 거쳐서 그립 롤러(4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요동 아암 부재(102)도 역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어서, 요동 아암 부재(102)에 의해서 가동되는 기어(104)가 기어(55)와 연동하여 플래튼 롤러(3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제4 실시예]
제4 실시예 내지 제9 실시예에서 후술되는 서멀 프린터는, 서멀 헤드(61)의 발열부(61a)가 용지(81)를 가압하는 위치와, 용지(81)가 그립 롤러(40)와 가압 롤러(64)에 의해서 개재되는 위치 사이의 거리 L을 짧게 하도록 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서멀 프린터(10C)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제1 모듈(30C)은 플래튼 롤러(31)와 그립 롤러(40)를 포함한다. 제2 모듈(60C)은 서멀 헤드(61), 서멀 헤드 지지판 부재(62), 가압 롤러(64)를 포함한다.
그립 롤러(40)는 그립 롤러(40)와 플래튼 롤러(31)가 상이한 레벨에 위치하도록 플래튼 롤러(31)보다도 낮게 그리고 플래튼 롤러(31)에 근접하게 배치된다. 그립 롤러(40)와 접하는 가압 롤러(64)는 서멀 헤드(61)보다도 낮게 배치되고, 플래튼 롤러(31)에 대해서는 떨어져 있다. 따라서, 거리 L은 짧다.
[제5 실시예]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서멀 프린터(10D)를 개략적으로 도시 하고 있다. 제1 모듈(30D)은 플래튼 롤러(31)와 그립 롤러(40)를 포함한다. 제2 모듈(60D)은 서멀 헤드(61), 서멀 헤드 지지판 부재(62D), 가압 롤러(64)를 포함한다.
서멀 헤드 지지판 부재(62D)는 (A1측으로) 단부의 상면측에 형성된 절결부(62Da)를 가진다. 가압 롤러(64)의 일부는 절결부(62Da) 내에 들어가고, 플래튼 롤러(31)에 접근하게 배치된다. 그립 롤러(40)는 가압 롤러(64)에 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거리 L은 짧다.
[제6 실시예]
도 1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서멀 프린터(10E)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서멀 프린터(10E)는 상기한 서멀 프린터(10D)의 가압 롤러(64)와 그립 롤러(40)의 위치가 바뀐 구조를 가진다. 제1 모듈(30E)은 플래튼 롤러(31)와 가압 롤러(64)를 포함한다. 제2 모듈(60E)은 서멀 헤드(61), 서멀 헤드 지지판 부재(62D), 그립 롤러(40)를 포함한다.
그립 롤러(40)의 일부는 절결부(62Ea) 내에 들어가고 플래튼 롤러(31)에 근접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거리 L은 짧다.
[제7 실시예]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서멀 프린터(10F)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제1 모듈(30F)은 플래튼 롤러(31)와 그립 롤러(40)를 포함한다. 제2 모듈(60F)은 서멀 헤드(61), 서멀 헤드 지지판 부재(62), 가압 롤러(64)를 포함한다.
그립 롤러(40)와 플래튼 롤러(31)는 플래튼 롤러(31)의 일부가 그립 롤러부(42)와 그립 롤러부(43) 사이에 넣어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거리 L은 짧다.
[제8 실시예]
도 17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서멀 프린터(10G)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제1 모듈(30G)은 플래튼 롤러(31)를 포함한다. 제2 모듈(60G)는 서멀 헤드(61), 서멀 헤드 지지판 부재(62G), 그립 롤러(40)를 포함한다. 서멀 프린터(10G)에는 가압 롤러(64)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제2 모듈(60G)의 일부로서의 역할을 하는 그립 롤러(40)는 서멀 헤드(61)와 동일한 측에 배치된다. 서멀 헤드(61)를 가압하는 플래튼 롤러(31)는 그의 일부가 서멀 헤드(61)의 단((A1측의 단)에 비해 A1측으로 더 나와 있다. 그립 롤러(40)는 플래튼 롤러(31) 중 서멀 헤드(61)의 A1측의 단보다 더 나온 부분을 가압한다. 용지(81)는 플래튼 롤러(31)의 외주면 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거리 L은 짧다. 이 실시예에서는 용지 메인 반송부(12)가 그립 롤러(40)와 플래튼 롤러(31)로 구성된다.
[제9 실시예]
도 18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서멀 프린터(10H)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제1 모듈(30H)은 플래튼 롤러(31)와 가압 롤러(64)를 포함한다. 제2 모듈(60H)은 서멀 헤드(61), 서멀 헤드 지지판 부재(62H), 그립 롤러(40)를 포함한다.
서멀 프린터(10H)는 도 17에 도시된 서멀 프린터(10G)에 가압 롤러(64)가 추 가되어 있는 구조를 가진다. 제1 모듈(30H)의 일부로서의 역할을 하는 가압 롤러(64)는 플래튼 롤러(31)와 동일한 측에 배치된다. 가압 롤러(64)는 그립 롤러(40)의 하측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그립 롤러(40)는 플래튼 롤러(31)로부터는 떨어져 있다. 따라서, 거리 L은 짧다.
도 19a 및 도 19b는 그립 롤러(40)의 다른 예시적인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9a는 그립 롤러(40I)를 도시하고 있고, 이 도 19a에서는 그립 롤러부(42I)가 그립 롤러(40I)의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다.
도 19b는 그립 롤러(40J)를 도시하고 있고, 이 도 19b에서는 그립 롤러부(42J)가 그립 롤러(40J)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그립 롤러부(42I, 42J)는 예컨대 금형을 이용하거나 페인트 기술을 적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 장치는 더욱 정교한 용지 반송 정밀도를 제공할 수 있고, 따라서 예컨대 클래튼 롤러를 이용하여 용지를 반송하는 종래의 휴대형 프린터 장치에 비해서 더욱 정교한 인쇄 정밀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들에 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다양한 변형예와 수정예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출원은 일본 특허청에 2003년 10월 29일자로 출원되고 본 명세서에 전체 내용이 참고로 인용되어 있는 일본 우선권 출원 제2003-369318호에 기초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서멀 프린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서멀 프린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립 롤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지 메인 반송부를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5의 A 내지 H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멀 프린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지 사행(斜行) 반송 방지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천공 눈금이 있는 연속 용지를 인쇄 및 반송(搬送)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절단된 용지를 인쇄 및 반송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서멀 프린터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의 서멀 프린터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서멀 프린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서멀 프린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서멀 프린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서멀 프린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서멀 프린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서멀 프린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서멀 프린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서멀 프린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a 및 도 1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립 롤러의 변형예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에 사용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10A∼10F: 서멀 프린터 11: 용지 서브 반송(搬送)부
12: 용지 메인 반송부 20: 휴대 단말 기기
21: 케이싱 23: 커버
30: 제1 모듈 31: 플래튼 롤러(platen roller)
40: 그립 롤러 42, 43: 그립 롤러부
44: 미소 돌기 50: 펄스 모터
51: 감속 기어열(列) 60: 제2 모듈
61: 서멀 헤드(thermal head)

Claims (11)

  1. 프린터 장치로서, 이 프린터 장치를 통해 용지 반송 방향으로 이송되는 용지 상에 데이터를 인쇄하기 위한 상기 프린터 장치는,
    서멀 헤드와;
    플래튼 롤러와;
    구동 롤러와 종동 롤러를 포함하는 용지 반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롤러와 상기 종동 롤러는 이들 구동 롤러와 종동 롤러가 일체로 가압되어 있는 연동 위치와 이들 구동 롤러와 종동 롤러가 떨어져 있는 연동해제 위치 사이에서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하며,
    상기 서멀 헤드와 상기 플래튼 롤러는 이들 서멀 헤드와 플래튼 롤러가 일체로 가압되어 있는 연동 위치와 이들 서멀 헤드와 플래튼 롤러가 떨어져 있는 연동해제 위치 사이에서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용지 반송부는 상기 용지 반송 방향에서 상기 서멀 헤드로부터 하류측에 위치하며,
    상기 구동 롤러와 상기 종동 롤러는 상기 연동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용지를 상기 구동 롤러와 상기 종동 롤러 사이에 가압식으로 삽입시키도록 동작하고,
    상기 구동 롤러는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플래튼 롤러는 회전에 의해서 상기 용지의 선단을 반송시키고, 상기 구동 롤러와 상기 종동 롤러는 상기 플래튼 롤러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서멀 헤드로 부터 이송되는 상기 용지의 선단이 상기 구동 롤러와 상기 종동 롤러 사이에 수납되도록 상기 용지 반송부 내에 배치되며, 상기 용지 반송부는 상기 반송된 용지가 상기 용지 반송부에 전송될 때 상기 반송된 용지를 이송시키는 것인 프린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롤러는 표면에 복수 개의 미소 돌기를 구비하는 롤러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소 돌기는 상기 용지가 상기 구동 롤러와 상기 종동 롤러 사이에 가압식으로 삽입되어 있을 때 상기 용지 안으로 파고 들어가도록 돌출한 것인 프린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롤러는 양단측에 배치되는 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인 프린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롤러는 중앙에 배치되는 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인 프린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롤러는 전체면에 걸쳐서 배치되는 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인 프린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터 장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서 가동되는 기어 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어 기구는 상기 구동 롤러와 상기 플래튼 롤러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 롤러와 상기 플래튼 롤러를 동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인 프린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롤러의 외주 속도는 상기 플래튼 롤러의 외주 속도보다 빠른 것인 프린터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터 장치는, 상기 용지를 상기 용지 반송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플래튼 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해서, 상기 기어 기구의 회전운동을 상기 플래튼 롤러에 전달하는 일방향 클러치를 더 포함하는 것인 프린터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롤러와 상기 플래튼 롤러는 제1 모듈을 형성하고,
    상기 종동 롤러와 상기 서멀 헤드는 제2 모듈을 형성하며,
    상기 제1 모듈과 상기 제2 모듈은, 서로 결합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구동 롤러와 상기 종동 롤러가 일체로 가압되고 상기 플래튼 롤러와 상기 서멀 헤드도 일체로 가압되며 서로 분리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구동 롤러와 상기 종동 롤러가 떨어져 있고 상기 플래튼 롤러와 상기 서멀 헤드도 떨어져 있도록,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인 프린터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 롤러와 상기 플래튼 롤러는 제1 모듈을 형성하고,
    상기 구동 롤러와 상기 서멀 헤드는 제2 모듈을 형성하며,
    상기 제1 모듈과 상기 제2 모듈은, 서로 결합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구동 롤러와 상기 종동 롤러가 일체로 가압되고 상기 플래튼 롤러와 상기 서멀 헤드도 일체로 가압되며 서로 분리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구동 롤러와 상기 종동 롤러가 떨어져 있고 상기 플래튼 롤러와 상기 서멀 헤드도 떨어져 있도록,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인 프린터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롤러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구동 롤러의 단에 배치된 기어와;
    상기 구동 롤러의 단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 롤러의 회전과 동일한 방향에서 피벗운동하는 제1 아암부와 제2 아암부를 포함하는 것인 요동 아암 부재; 및
    상기 제1 아암부와 상기 제2 아암부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구동 롤러의 단에 배치된 상기 기어와 연동하는 것인 제1 기어 및 제2 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요동 아암 부재는 상기 아암부의 기어가 상기 구동 롤러의 단에 배치된 기어와 연동하도록 상기 구동 롤러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는 것인 프린터 장치.
KR1020070132231A 2003-10-29 2007-12-17 프린터 장치 KR1009730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69318A JP4394923B2 (ja) 2003-10-29 2003-10-29 プリンタ
JPJP-P-2003-00369318 2003-10-29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9820A Division KR20060058073A (ko) 2003-10-29 2006-05-03 프린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285A KR20080003285A (ko) 2008-01-07
KR100973023B1 true KR100973023B1 (ko) 2010-07-30

Family

ID=34420176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4482A KR20050040686A (ko) 2003-10-29 2004-05-14 프린터 장치
KR1020060039820A KR20060058073A (ko) 2003-10-29 2006-05-03 프린터 장치
KR1020070132231A KR100973023B1 (ko) 2003-10-29 2007-12-17 프린터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4482A KR20050040686A (ko) 2003-10-29 2004-05-14 프린터 장치
KR1020060039820A KR20060058073A (ko) 2003-10-29 2006-05-03 프린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213986B2 (ko)
EP (1) EP1527889B1 (ko)
JP (1) JP4394923B2 (ko)
KR (3) KR20050040686A (ko)
CN (1) CN100354138C (ko)
DE (1) DE602004022001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28747B2 (ja) * 2004-10-27 2011-02-09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サーマルプリンタユニット
JP4415911B2 (ja) * 2005-07-25 2010-02-1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用紙排出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891893B2 (en) 2006-06-29 2011-02-22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Printing apparatus including plural printheads and a drive mechanism for the platen rollers
JP2008030355A (ja) * 2006-07-31 2008-02-14 Funai Electric Co Ltd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用紙送り機構
CN101434151B (zh) * 2007-11-13 2010-10-13 旭丽电子(广州)有限公司 热升华打印机
JP2011207144A (ja) * 2010-03-30 2011-10-20 Sharp Corp サーマルプリンタ
JP5720223B2 (ja) * 2010-12-14 2015-05-20 シンフォニア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サーマルプリンタ
CN105480759B (zh) * 2016-01-11 2017-11-07 管敏富 一种圆网印花机的送布装置
US10059126B2 (en) * 2016-04-25 2018-08-28 Seiko Instruments Inc. Thermal printer and portable terminal
KR101979619B1 (ko) * 2016-07-21 2019-05-17 디에스글로벌(주) 포토 프린터
WO2019088556A1 (ko) * 2017-10-31 2019-05-09 디에스글로벌 (주) 포토 프린터
JP7300339B2 (ja) * 2019-07-31 2023-06-29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サーマルプリン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9111A (ko) * 1995-01-13 1996-08-17 스즈키 아끼오 프린터
JP2001096823A (ja) * 1999-07-27 2001-04-10 F & F:Kk プリンタアセンブリおよびプリンタ
KR20010049635A (ko) * 1999-07-01 2001-06-15 이토가 미찌야 용지 이송 장치
KR20030081100A (ko) * 2002-04-09 2003-10-17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유기 발광소자 및 유기 발광소자 페키지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5375A (ja) * 1988-11-28 1990-06-04 Sony Corp サーマルプリンタ
JPH06246943A (ja) 1993-02-26 1994-09-06 Murata Mach Ltd 画像記録装置
JP2691686B2 (ja) 1993-03-19 1997-12-17 富士通株式会社 連続用紙を用いる像形成装置
JP2826069B2 (ja) * 1993-06-02 1998-11-18 東北リコー株式会社 製版印刷装置
JP3437319B2 (ja) * 1994-04-05 2003-08-18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画像形成方法
JPH07300257A (ja) 1994-04-28 1995-11-1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5818487A (en) 1995-04-07 1998-10-06 Oki Data Corporation Ink jet printer
JP3617146B2 (ja) 1995-09-27 2005-02-0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印刷装置
DE59605247D1 (de) 1996-03-07 2000-06-21 Esselte Nv Mittel zur Detektion einer Kassette in einem Banddruckgerät
KR0174229B1 (ko) 1996-03-08 1999-05-15 김광호 잉크젯 프린터의 용지배출장치
JP3644152B2 (ja) 1996-09-26 2005-04-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テープ印字装置
JP3763641B2 (ja) 1997-07-02 2006-04-05 富士通株式会社 ページ捲り装置
EP1072424A3 (en) 1999-07-27 2001-04-18 F & F Limited Printer assembly and printer
JP3760976B2 (ja) * 1999-10-06 2006-03-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媒体排出装置及び排出用駆動ローラ並びに記録装置
JP3748357B2 (ja) * 2000-03-17 2006-02-22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用紙排出装置
JP4675469B2 (ja) 2000-08-08 2011-04-20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サーマルプリンタユニット及びサーマルプリンタ装置
US6619796B2 (en) 2001-10-30 2003-09-1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tarwheel actuation timing for print media transport system and method
JP2003237160A (ja) 2002-02-20 2003-08-27 Tohoku Ricoh Co Ltd 記録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9111A (ko) * 1995-01-13 1996-08-17 스즈키 아끼오 프린터
KR20010049635A (ko) * 1999-07-01 2001-06-15 이토가 미찌야 용지 이송 장치
JP2001096823A (ja) * 1999-07-27 2001-04-10 F & F:Kk プリンタアセンブリおよびプリンタ
KR20030081100A (ko) * 2002-04-09 2003-10-17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유기 발광소자 및 유기 발광소자 페키지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미국특허 제2003-0081100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394923B2 (ja) 2010-01-06
DE602004022001D1 (de) 2009-08-27
KR20080003285A (ko) 2008-01-07
US20050095047A1 (en) 2005-05-05
CN100354138C (zh) 2007-12-12
EP1527889B1 (en) 2009-07-15
EP1527889A1 (en) 2005-05-04
KR20060058073A (ko) 2006-05-29
CN1611366A (zh) 2005-05-04
US7213986B2 (en) 2007-05-08
JP2005132550A (ja) 2005-05-26
KR20050040686A (ko) 2005-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3023B1 (ko) 프린터 장치
EP0609560B1 (en) Sheet convey apparatus
EP1872955B1 (en) Printing apparatus
US8205956B2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EP2420387B1 (en) Print head, printer, and control method of printer
JPH10505554A (ja) 高解像度のドナー/ダイレクト組み合わせ型サーマルプリンタ
US7173643B2 (en) Printing apparatus
JPH10250181A (ja) 画像記録装置
JP4321331B2 (ja) テープ印刷装置
KR101759404B1 (ko) 기록지 커팅 장치 및 인쇄 장치
KR100622363B1 (ko) 매체 반송 기구, 매체 반송 장치 및 매체 반송 방법
JPH1111750A (ja) ロール紙の自動給紙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プリンタ
US11007799B2 (en) Cutter unit selectively performing one of full-cutting and half-cutting, and printer including the same
JP2005225660A (ja) ラベルプリンタ
KR101977197B1 (ko) 인쇄 장치
JP2002265089A (ja) 搬送従動ローラ取付装置
JP6153784B2 (ja) プリンタ
JP3867759B2 (ja) ロール紙の判別装置
JP3686532B2 (ja) 孔版印刷装置
JP3131827B2 (ja) 板状媒体の記録装置
JP4409599B2 (ja) カード印刷装置
KR101832298B1 (ko) 기록지 커팅 장치 및 인쇄 장치
JP2001019247A (ja) ロール状のウエッブの弛み除去装置
KR20190049677A (ko) 인쇄 장치
JP2002002056A (ja) プリン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1008

Effective date: 2010053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