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6868B1 - 혈압계용 커프 및 이것을 구비한 혈압계 - Google Patents

혈압계용 커프 및 이것을 구비한 혈압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6868B1
KR100966868B1 KR1020087017332A KR20087017332A KR100966868B1 KR 100966868 B1 KR100966868 B1 KR 100966868B1 KR 1020087017332 A KR1020087017332 A KR 1020087017332A KR 20087017332 A KR20087017332 A KR 20087017332A KR 100966868 B1 KR100966868 B1 KR 100966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blood pressure
cover member
cuff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7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7687A (ko
Inventor
히로미치 가로
Original Assignee
오므론 헬스캐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헬스캐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헬스캐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7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7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6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6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61B5/022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by applying pressure to close blood vessels, e.g. against the skin; Ophthalmodynam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61B5/022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by applying pressure to close blood vessels, e.g. against the skin; Ophthalmodynamometers
    • A61B5/02233Occlud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61B5/022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by applying pressure to close blood vessels, e.g. against the skin; Ophthalmodynamometers
    • A61B5/0225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by applying pressure to close blood vessels, e.g. against the skin; Ophthalmodynamometers the pressure being controlled by electric signals, e.g. derived from Korotkoff s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1Wristwatch-typ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06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specially shaped apparatus hou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43Modula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61B5/02141Details of apparatus construction, e.g. pump units or housings therefor, cuff pressurising systems, arrangements of fluid conduits or circuits

Abstract

혈압계용 커프(130)는, 공기 주머니 및 만곡 탄성판으로서의 컬러를 내포하는 주머니형 커버체를 구비한다. 주머니형 커버체는, 장착상태에서 생체측에 위치하는 내측 커버 부재(141)와, 장착상태에서 생체측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외측 커버 부재(142)를 겹쳐 그 둘레 가장자리를 봉합함으로써 형성된다. 주머니형 커버체에 내포된 컬러는, 비측정 부위에 피트되도록 그 와인딩 방향으로의 곡률이 큰 부위와 곡률이 작은 부위를 포함하고, 컬러의 곡률이 큰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의 내측 커버 부재(141)는, 공기 주머니가 팽창하지 않은 상태에서 그 폭방향으로 인장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주머니형 커버체에 주름이 잘 발생하지 않는 혈압계용 커프로 할 수 있다.
혈압계용 커프

Description

혈압계용 커프 및 이것을 구비한 혈압계{BLOOD PRESSURE METER CUFF AND BLOOD PRESSURE METER WITH THE SAME}
본 발명은, 혈압 측정시에 손목이나 상완 등의 생체의 피측정 부위에 감아 사용하는 혈압계용 커프 및 이것을 구비한 혈압계에 관한 것이다.
통상, 혈압치의 측정시에는, 생체 내부에 위치하는 동맥을 압박하기 위한 유체 주머니를 내포하는 커프를 생체의 체표면에 감고, 감은 유체 주머니를 가압ㆍ감압함으로써 동맥내에 발생하는 동맥압 맥파를 검출하고, 이에 의해 혈압치의 측정이 행해진다. 여기서, 커프란, 내강(內腔)을 갖는 띠형상의 구조물로서, 생체의 일부에 감을 수 있는 것을 의미하고, 기체나 액체 등의 유체를 내강에 주입함으로써 팔다리의 동맥압 측정에 이용되는 것을 가리킨다. 따라서, 커프는, 유체 주머니와 이 유체 주머니를 생체에 감기 위한 권취 부재를 포함한 개념을 나타내는 말이며, 특히 손목이나 상완에 감겨 장착되는 커프는, 완대(腕帶) 또는 맨세트(manchette)라 불리는 경우도 있다.
혈압계용 커프에는, 유체 주머니로서의 공기 주머니를 내포하는 주머니형 커버체가 형성된다. 이 주머니형 커버체는, 통상 내측 커버 부재 및 외측 커버 부재의 2장의 시트형 부재를 겹쳐, 그 둘레 가장자리를 결합함으로써 주머니형으로 형 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혈압계용 커프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공개 평 9-117419 호 공보(특허문헌 1)나 일본 특허공개 평 9-238910 호 공보(특허문헌 2) 등에 개시되어 있다.
한편, 최근의 혈압계용 커프에서는, 피험자에 의한 장착 작업의 용이화를 도모하기 위해, 또한 장착후의 공기 주머니의 가압시에 공기 주머니가 생체측으로 원활하게 팽창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주머니형 커버체의 내부이며 공기 주머니의 외측에 가요성 부재인 컬러(curler)를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다(예를 들어, 상기 특허문헌 1 및 2 또는 일본 특허공개 2002-209858 호 공보(특허문헌 3) 등 참조). 이 컬러로는, 예를 들어 수지제의 판형부재를 고리형상으로 돌려감는 것에 의해 직경방향으로 탄성 변형가능하게 구성된 것이 사용된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평 9-117419 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공개 평 9-238910 호 공보
특허문헌 3 : 일본 특허공개 2002-209858 호 공보
일반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은 주머니형 커버체 및 컬러를 갖는 혈압계용 커프는, 대략 직사각형의 내측 커버 부재와, 이 내측 커버 부재와 외형이 거의 일치하는 대략 직사각형의 외측 커버 부재를 겹쳐, 그 단부 둘레 가장자리를 각각 내측 커버 부재 및 외측 커버 부재의 단변을 따라 평행하게 결합함으로써 주머니형 커버체가 형성되고, 그 후 이 주머니형 커버체의 내부에 컬러 및 공기 주머니가 삽입됨으로써 제작된다. 그 때문에, 주머니형 커버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의 폭방향으로의 형상은, 주머니형 커버체의 길이방향으로 균일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제작된 혈압계용 커프에 있어서는, 피측정 부위에 장착된 상태에서, 내측 커버 부재에 주름이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이 주름은, 공기 주머니의 팽창을 방해하지 않도록 외측 커버 부재에 대해 내측 커버 부재를 고신축성의 재료로 형성하고, 또한 이것을 생체에 감기 위해 고리형상으로 권취한 구성으로 하기 위해 생기는 것이다. 특히, 생체에 피트되도록 컬러에 곡률이 큰 부위와 작은 부위가 형성된 혈압계용 커프에 있어서는, 컬러의 곡률이 큰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의 내측 커버 부재에 주름이 집중적으로 발생한다.
도 13은 종래의 일반적인 손목식 혈압계의 사시도이며, 도 14는 도 13에 나타내는 손목식 혈압계의 혈압계용 커프를 손목에 감은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예를 들어,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반적인 손목식 혈압계(100B)에서는, 편평한 형상의 손목(1)에 혈압계용 커프(130)가 피트되도록, 컬러(160)가 그 권취 방향으로의 곡률이 큰 부위와 곡률이 작은 부위를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이에 따라 혈압계용 커프(130)도 그 와인딩 방향으로의 곡률이 큰 부위와 곡률이 작은 부위를 포함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손목(1)에 혈압계용 커프(130)를 장착시킨 상태에서, 손목(1)의 양측부(요골(2)의 척골(3)측과는 반대측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의 손목(1)의 표면부 및 척골(3)의 요골(2)과는 반대측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의 손목(1)의 표면부)를 따라 배치되게 되는 부분의 혈압계용 커프(130)의 곡률이, 손목(1)의 양측부가 아닌 부분[손목(1)의 손바닥측에 연속되는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의 손목(1)의 표면부 및 손목(1)의 손등측에 연속되는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의 손목(1)의 표면부]을 따라 배치되게 되는 부분의 혈압계용 커프(130)의 곡률보다 큰 곡률이 된다. 그 때문에,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곡률이 큰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의 내측 커버 부재(141)에 주름(W)이 집중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내측 커버 부재(141)에 주름(W)이 발생한 경우에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부분의 근방에서 공기 주머니(150)가 충분히 팽창할 수 없고, 결과적으로 동맥(4, 5)에 대해 가해지는 압박력이 불균일해져 혈압치의 측정 정밀도가 저하된다는 악영향을 초래한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생체에 피트되도록 컬러(160)에 곡률이 큰 부위와 작은 부위가 형성된 혈압계용 커프(130)에 있어서는, 컬러(160)의 곡률이 큰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의 내측 커버 부재(141)에 주름(W)이 집중되어, 이 부분에서 압박력 부족이 발생하는 것이 우려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주머니형 커버체에 주름이 잘 발생하지 않는 혈압계용 커프를 실현함으로써, 고정밀도로 혈압치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한 혈압계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기초하는 혈압계용 커프는, 유체가 출입함으로써 팽창 수축하는 유체 주머니와, 상기 유체 주머니가 생체에 감겨진 상태에서 상기 유체 주머니의 외측에 위치하고, 고리형상으로 돌려감겨짐으로써 직경방향으로 탄성 변형가능하게 구성된 가요성 부재와, 상기 유체 주머니 및 상기 가요성 부재를 내포하고, 그 폭방향이 생체의 축방향과 대략 평행해지도록 생체에 장착되는 주머니형 커버체를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주머니형 커버체는, 그 주머니형 커버체가 생체에 감겨진 상태에서 생체측에 위치하는 내측벽부와, 그 주머니형 커버체가 생체에 감겨진 상태에서 생체측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외측벽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요성 부재는, 그 혈압계용 커프가 생체에 피트되도록, 그 권취 방향으로의 곡률이 큰 부위와 곡률이 작은 부위를 포함한다. 본 혈압계 커프에 있어서는, 상기 가요성 부재의 곡률이 큰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의 상기 내측벽부가, 상기 유체 주머니가 수축된 상태에서 상기 폭방향으로 인장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가요성 부재의 곡률이 큰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의 주머니형 커버체의 내측벽부에 주름이 발생하는 만큼의 이완이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이 부분에서의 주름의 발생이 미연에 방지되어, 유체 주머니의 팽창시에 동맥에 대한 압박력이 전체 영역에 걸쳐 균일화된 혈압계용 커프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가요성 부재의 곡률이 작은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의 주머니형 커버체의 내측벽부가 폭방향과 직교하는 길이방향으로 인장된 상태가 되므로, 이 부분에서의 주름의 발생도 동시에 방지되게 되어, 유체 주머니의 팽창시에 동맥에 대한 압박력이 전체 영역에 걸쳐 균일화된 혈압계용 커프로 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기초하는 혈압계용 커프에 있어서는, 상기 유체 주머니가 수축된 상태에서, 상기 가요성 부재의 곡률이 작은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의 상기 내측벽부가, 상기 폭방향으로 이완된 상태로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기초하는 혈압계용 커프에 있어서는, 상기 유체 주머니가 수축된 상태에서, 상기 가요성 부재의 곡률이 큰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의 상기 내측벽부가, 상기 가요성 부재의 곡률이 작은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의 상기 내측벽부보다, 상기 폭방향으로 더 인장된 상태로 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가요성 부재의 곡률이 작은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의 주머니형 커버체의 내측벽부에 관해서는, 가요성 부재의 곡률이 큰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의 주머니형 커버체의 내측벽부와는 달리, 폭방향으로 이완된 상태로 되어 있어도 되고, 가요성 부재의 곡률이 큰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의 주머니형 커버체의 내측벽부와 마찬가지로, 폭방향으로 인장된 상태로 되어 있어도 된다. 가요성 부재의 곡률이 작은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의 주머니형 커버체의 내측벽부가 폭방향으로 이완된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주머니형 커버체로의 유체 주머니 및 가요성 부재의 삽입이 용이해져, 혈압계용 커프의 제작이 용이해진다. 이에 비해, 가요성 부재의 곡률이 작은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의 주머니형 커버체의 내측벽부가 폭방향으로 인장된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부분에서도 주름이 발생하는 만큼의 이완이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유체 주머니의 팽창시에 동맥에 대한 압박력이 전체 영역에 걸쳐 더욱 균일화된 혈압계용 커프로 할 수 있다.
그러나, 가요성 부재의 곡률이 작은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의 주머니형 커버체의 내측벽부는, 가요성 부재의 곡률이 큰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의 주머니형 커버체의 내측벽부에 비해 원래 주름이 잘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가요성 부재의 곡률이 큰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의 주머니형 커버체의 내측벽부에 가해지고 있는 폭방향에서의 인장력보다, 가요성 부재의 곡률이 작은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에서의 주머니형 커버체의 내측벽부에 가해지고 있는 폭방향으로의 인장력은 작아도 된다. 또한, 혈압계용 커프의 전체 영역에 걸쳐 내측벽부가 인장된 상태로 한 경우에는, 측정시에 공기 주머니가 팽창하는 것을 저해할 우려도 있고, 이 점 때문에도 가요성 부재의 곡률이 작은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에서의 주머니형 커버체의 내측벽부에 가해지고 있는 폭방향에서의 인장력은 작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에 기초하는 혈압계용 커프에 있어서는, 상기 내측벽부가 상기 외측벽부보다 신축성이 풍부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생체방향으로의 유체 주머니의 팽창이 주머니형 커버체의 내측벽부에 의해 저해되는 일이 없어지므로, 유체 주머니의 팽창시에 동맥에 대한 압박력이 전체 영역에 걸쳐 더욱 균일화된 혈압계용 커프로 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기초하는 혈압계용 커프에 있어서는, 상기 주머니형 커버체가 상기 내측벽부를 형성하는 내측 커버 부재와 상기 외측벽부를 형성하는 외측 커버 부재를 겹쳐, 그 둘레 가장자리를 결합함으로써 주머니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가요성 부재의 곡률이 큰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에서의, 상기 내측 커버 부재와 상기 외측 커버 부재의 상기 폭방향으로의 결합 간격을, 상기 가요성 부재의 곡률이 작은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에서의, 상기 내측 커버 부재와 상기 외측 커버 부재의 상기 폭방향으로의 결합 간격보다 작게 형성하고, 상기 주머니형 커버체에 상기 유체 주머니 및 상기 가요성 부재가 삽입되기 전의 상태에서, 상기 가요성 부재의 곡률이 큰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에서의, 상기 내측 커버 부재와 상기 외측 커버 부재의 상기 폭방향에서의 결합 간격을, 상기 가요성 부재의 폭보다 작게 함으로써, 상기 주머니형 커버체에 상기 유체 주머니 및 상기 가요성 부재가 삽입된 후의 상태이며 또한 상기 유체 주머니가 수축된 상태에서, 상기 가요성 부재의 곡률이 큰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의 상기 내측 커버 부재가 상기 폭방향으로 인장된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기초하는 혈압계용 커프에 있어서는, 상기 주머니형 커버체가 상기 내측벽부를 형성하는 내측 커버 부재와 상기 외측벽부를 형성하는 외측 커버 부재를 겹쳐, 그 둘레 가장자리를 결합함으로써 주머니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가요성 부재의 곡률이 큰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의 상기 내측 커버 부재가 인장된 상태로 되고, 이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내측 커버 부재가 상기 외측 커버 부재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유체 주머니가 수축된 상태에서, 상기 가요성 부재의 곡률이 큰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의 상기 내측 커버 부재가 상기 폭방향으로 인장된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기초하는 혈압계용 커프에 있어서는, 상기 주머니형 커버체가 상기 내측벽부를 형성하는 내측 커버 부재와 상기 외측벽부를 형성하는 외측 커버 부재를 겹쳐, 그 둘레 가장자리를 결합함으로써 주머니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가요성 부재의 곡률이 큰 부위에서의 상기 가요성 부재의 폭을, 상기 가요성 부재의 곡률이 작은 부위에서의 상기 가요성 부재의 폭보다 크게 형성하고, 상기 주머니형 커버체에 상기 유체 주머니 및 상기 가요성 부재가 삽입되기 전의 상태에서, 상기 가요성 부재의 곡률이 큰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에서의, 상기 내측 커버 부재와 상기 외측 커버 부재의 상기 폭방향으로의 결합 간격을, 상기 가요성 부재의 곡률이 큰 부위에서의 상기 가요성 부재의 폭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주머니형 커버체에 상기 유체 주머니 및 상기 가요성 부재가 삽입된 후의 상태이며 또한 상기 유체 주머니가 수축된 상태에서, 상기 가요성 부재의 곡률이 큰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의 상기 내측 커버 부재는 상기 폭방향으로 인장된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상의 어느 하나의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매우 간편하게, 유체 주머니가 수축된 상태에서 가요성 부재의 곡률이 큰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의 내측벽부가 폭방향으로 인장된 상태를 실현할 수 있으므로, 동맥에 대한 압박력이 전체 영역에 걸쳐 균일화된 혈압계용 커프를 저가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본 발명에 기초하는 혈압계용 커프에 있어서는, 상기 내측 커버 부재와 상기 외측 커버 부재의 결합이, 봉합 또는/및 용착에 의해 행해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주머니형 커버체를 용이하게 제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기초하는 혈압계는, 상술한 어느 하나의 혈압계용 커프와, 상기 유체 주머니를 팽창 수축시키는 팽창 수축 기구와, 상기 유체 주머니내의 압력을 검지하는 압력 검지부와, 상기 압력 검지부에 의해 검지된 압력 정보에 기초하여 혈압치를 산출하는 혈압치 산출부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주머니형 커버체의 내측벽부에 주름이 잘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유체 주머니의 팽창시에 동맥에 대한 압박력이 전체 영역에 걸쳐 균일화된 혈압계용 커프로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이러한 혈압계용 커프를 구비한 혈압계로 함으로써 고정밀도의 혈압치 측정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머니형 커버체에 주름이 잘 발생하지 않는 혈압계용 커프로 할 수 있기 때문에, 고정밀도로 혈압치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혈압계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혈압계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혈압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혈압계의 혈압 측정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혈압계용 커프의 컬러의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혈압계용 커프의 컬러의 형상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혈압계용 커프의 내측 커버 부재의 인장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 외관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혈압계용 커프의 내측 커버 부재의 인장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혈압계용 커프를 전개시키고 생체에 장착되는 면측에서 본 경우의 모식 전개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혈압계용 커프의 내측 커버 부재의 인장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혈압계용 커프를 전개시키고 생체에 장착되는 면측에서 본 경우의 모식 측면도이다.
도 9는 실시예 1에 따른 혈압계용 커프의 주머니형 커버체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봉합후의 주머니형 커버체를 생체에 장착되는 면측에서 본 경우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실시예 2에 따른 혈압계용 커프의 주머니형 커버체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용착후의 주머니형 커버체를 생체에 장착되는 면측에서 본 경우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실시예 3에 따른 혈압계용 커프의 주머니형 커버체의 봉합시의 도면이고, 주머니형 커버체를 생체에 장착되는 면측에서 본 경우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실시예 4에 따른 혈압계용 커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혈압계용 커프를 전개시키고 생체에 장착되는 면측에서 본 경우의 모식 전개도이다.
도 13은 종래의 일반적인 손목식 혈압계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나타내는 손목식 혈압계의 혈압계용 커프를 손목에 감은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손목 2 : 요골
3 : 척골 4, 5 : 동맥
100A, 100B : 혈압계 110 : 장치 본체
111 : 표시부 112 : 조작부
114 : 메모리부 115 : 전원부
120 : 배관 121 : 혈압 측정용 에어계 컴포넌트
122 : 압력 센서 123 : 펌프
124 : 밸브 125 : 발진 회로
126 : 펌프 구동 회로 127 : 밸브 구동 회로
130 : 혈압계용 커프 140, 140A∼140D : 주머니형 커버체
141 : 내측 커버 부재 142 : 외측 커버 부재
142a : 되접음부 145 : 봉합부
146 : 함몰부 147 : 용착부
150 : 공기 주머니 151 : 내측 수지 시트
152 : 외측 수지 시트 154 : 팽창 수축 공간
160 : 컬러 161a, 161b : 고정 갈고리부
162 : 구멍 164 : 돌출부
165, 166 : 면 패스너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혈압계로서 손목식 혈압계를 예시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혈압계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의 혈압계(100A)는, 장치 본체(110)와 커프(130)를 구비한다. 장치 본체(110)의 표면에는, 표시부(111)와 조작부(112)가 배치되어 있고, 이 장치 본체(110)에 상술한 커프(130)가 부착되어 있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서의 혈압계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의 혈압계용 커프(130)는, 천 등으로 이루어진 주머니형 커버체(140)와, 이 주머니형 커버체(140)의 내부에 배치된 유체 주머니로서의 공기 주머니(150)와, 주머니형 커버체(140)의 내부에 배치되고, 장착상태에서 공기 주머니(150)의 외측에 위치하는 컬러(160)를 주로 구비한다. 이들 주머니형 커버체(140), 공기 주머니(150) 및 컬러(160)는, 혈압계용 커프(130)의 권취 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여 연장되어 있다. 즉, 피측정 부위인 손목에 대한 혈압계용 커프(130)의 장착상태에서는, 주머니형 커버체(14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인 폭방향이, 손목의 축방향(동맥의 연신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게 된다.
주머니형 커버체(140)는, 장착상태에서 생체측에 위치하는 내측벽부를 구성하는 내측 커버 부재(141)와, 장착상태에서 생체측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외측벽부를 구성하는 외측 커버 부재(142)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 내측 커버 부재(141)와 외측 커버 부재(142)를 겹쳐 그 둘레 가장자리를 결합함으로써 주머니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주머니형 커버체(140)의 내측 커버 부재(141)는 바람직하게는 신축성이 우수한 부재로 구성되고, 주머니형 커버체(140)의 외측 커버 부재(142)는 바람직하게는 신축성이 부족한 부재로 구성된다.
주머니형 커버체(140)의 길이방향의 한쪽 끝의 내주면에는 면 패스너(165)가 형성되고 있고, 주머니형 커버체(140)의 길이방향의 다른쪽 끝의 외주면에는 상기 면 패스너(165)와 걸어맞추는 면 패스너(166)가 접착되어 있다. 이들 면 패스너(165, 166)는, 손목에 커프(130)를 장착한 상태에서, 혈압계(100A)를 손목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부재이다. 외측 커버 부재(142)의 면 패스너(165)가 접착되지 않은 쪽의 단부는 그 선단이 내측을 향해 되접어져 있고, 이 되접음부(142a)와 되접음부(142a)의 근방의 외측 커버 부재(142)에 의해 내측 커버 부재(141)의 한쪽 끝이 사이에 끼워져 있다.
공기 주머니(150)는, 수지 시트를 사용하여 형성된 주머니형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공기 주머니(150)는, 혈압계용 커프(130)를 손목에 감은 상태에서 손목측에 위치하는 내측 수지 시트(151)와, 손목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외측 수지 시트(152)를 겹쳐, 그 둘레 가장자리를 용착함으로써 주머니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팽창 수축 공간(154)을 갖고 있다. 팽창 수축 공간(154)은, 후술하는 장치 본체(110)의 혈압 측정용 에어계 컴포넌트(121)와 배관(120)을 통해 접속된다(도 3 참조).
공기 주머니(150)를 구성하는 내측 수지 시트(151) 및 외측 수지 시트(152)의 재질로는, 신축성이 풍부하고 용착후에 팽창 수축 공간(154)으로부터의 공기 누출이 없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이용가능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내측 수지 시트(151) 및 외측 수지 시트(152)의 최적의 재질로는,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EVA), 연질 염화비닐(PVC), 폴리우레탄(PU), 생고무 등을 들 수 있다.
공기 주머니(150)의 외측에는, 고리형상으로 돌려감겨짐으로써 직경방향으로 탄성 변형가능하게 구성된 가요성 부재(만곡 탄성판)인 컬러(160)가 배치되어 있 다. 컬러(160)는, 공기 주머니(150)의 외주면에 도시하지 않은 양면 테이프 등의 접착부재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이 컬러(160)는, 자신의 고리형태를 유지함으로써 손목을 따라 구성되어 있고, 피험자 자신에 의해 커프(130)를 손목에 장착하기 쉽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 컬러(160)는 충분한 탄성력을 발현하도록,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등의 수지부재로 형성된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서의 혈압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 본체(110)는, 상술한 공기 주머니(150)에 배관(120)을 통해 공기를 공급 또는 배출하기 위한 혈압 측정용 에어계 컴포넌트(121)와, 혈압 측정용 에어계 컴포넌트(121)와 관련하여 형성되는 발진 회로(125), 펌프 구동 회로(126) 및 밸브 구동 회로(127)를 포함한다. 이들 각 구성요소는, 공기 주머니(150)를 팽창 수축시키기 위한 팽창 수축 기구로서 기능한다.
또, 장치 본체(110)는, 각 부를 집중적으로 제어 및 감시하기 위한 CPU(Central Processing Unit; 113)와, CPU(113)에 소정의 동작을 시키는 프로그램이나 측정된 혈압치 등의 각종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부(114)와, 혈압 측정 결과를 포함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11)와, 측정을 위한 각종 지시를 입력하기 위해 조작되는 조작부(112)와, 조작부(112)로부터의 전원 ON의 지시에 의해 CPU(113)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115)를 포함한다. CPU(113)는, 혈압치를 산출하기 위한 혈압치 산출부로서도 기능한다.
혈압 측정용 에어계 컴포넌트(121)은, 공기 주머니(150)내의 압력(이하, 「커프압」이라 한다)에 의해 출력값이 변화되는 압력 센서(122)와, 공기 주머 니(150)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펌프(123)와, 공기 주머니(150)에 공기를 도입 또는 공기 주머니(150)로부터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개폐되는 밸브(124)를 갖는다. 압력 센서(122)는, 커프압을 검지하기 위한 압력 검지부로서 기능한다. 발진 회로(125)는, 압력 센서(122)의 출력값에 따른 발진 주파수의 신호를 CPU(113)에 출력한다. 펌프 구동 회로(126)는, 펌프(123)의 구동을 CPU(113)로부터 주어지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한다. 밸브 구동 회로(127)는, 밸브(124)의 개폐 제어를 CPU(113)로부터 주어지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행한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서의 혈압계의 혈압 측정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 흐름도에 따른 프로그램은, 메모리부(114)에 미리 기억되어, CPU(113)가 메모리부(114)로부터 이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혈압 측정 처리가 행해진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험자가 혈압계(100A)의 조작부(112)의 조작 버튼을 조작하여 전원을 온으로 하면, 혈압계(100A)의 초기화가 이루어진다(단계 S101). 다음으로, CPU(113)는, 측정 가능 상태가 되면 펌프(123)를 구동 개시하고, 공기 주머니(150)의 커프압을 서서히 상승시킨다(단계 S102). 서서히 가압하는 과정에서, 혈압 측정을 위한 소정의 레벨까지 커프압이 도달하면 CPU(113)는 펌프(123)를 정지시킨 다음, 닫혀 있던 밸브(124)를 서서히 열어 공기 주머니(150)의 공기를 서서히 배기시켜 커프압을 서서히 감압시킨다(단계 S103).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프압의 미속 감압 과정에서 혈압을 측정한다.
다음으로, CPU(113)는 공지의 순서로 혈압(최고 혈압치, 최저 혈압치)을 산 출한다(단계 S104). 구체적으로는, 커프압이 서서히 감압되는 과정에서, CPU(113)는 발진 회로(125)로부터 얻어지는 발진 주파수에 기초하여 맥파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된 맥파 정보에 의해 혈압치를 산출한다. 단계 S104에서 혈압치가 산출되면, 산출된 혈압치를 표시부(111)에 표시한다(단계 S105). 이상에서 설명한 측정 방식은, 공기 주머니의 감압시에 맥파를 검출하는 소위 감압 측정 방식에 기초한 것이지만, 공기 주머니의 가압시에 맥파를 검출하는 소위 가압 측정 방식을 채택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혈압계용 커프(130)에 있어서는, 장착상태에서 혈압계용 커프(130)가 손목에 간극없이 피트되도록 컬러(160)의 형상이 설계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실시형태에서의 혈압계용 커프의 컬러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컬러의 사시도, 도 6은 컬러의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컬러(160)의 구체적 형상에 관해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컬러(160)는 만곡형상을 갖는 판형상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장착시에는 그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에, 컬러(160)의 둘레방향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틈을 통해 손목이 삽입된다. 컬러(160)는, 예를 들어 수지 재료를 사용한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고, 그 외주면의 소정 위치에 장치 본체(110)에 컬러(16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갈고리부(161a, 161b)가 형성되어 있다. 또, 컬러(160)의 외주면의 소정 위치에는, 상술한 배관(120)이 삽입 관통되는 구멍(162)이 별도로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컬러(160)는 편평한 형상의 손목에 피트되도록, 그 권취 방향으로의 다른 부위보다 곡률이 큰 부위(도면 중에서 부호 R1 및 R2로 나타내는 부위)를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혈압계용 커프(130)에 있어서는, 도 6 중에서 부호 R1로 나타내는 컬러(160)의 부위가, 손목에 대한 장착상태에서 손목의 요골측의 측부에 대어지는 부위이며, 도 6 중에서 R2로 나타내는 컬러(160)의 부위가, 손목에 대한 장착상태에서 손목의 척골측의 측부에 대어지는 부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혈압계용 커프(130) 및 이것을 구비하는 혈압계(100A)에 있어서는, 상술한 컬러(160)의 형상에 맞춰, 주머니형 커버체(140)의 내측벽부를 구성하는 내측 커버 부재(141)가 인장된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7 및 도 8a는, 본 실시형태에서의 혈압계용 커프의 내측 커버 부재의 인장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중, 도 7은 혈압계를 경사 방향에서 본 외관도이다. 또, 도 8a는 혈압계용 커프를 전개시켜 생체에 장착되는 면측에서 본 경우의 모식 전개도이다. 또, 도 8b는 혈압계용 커프를 전개시킨 경우의 모식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주머니형 커버체(140)의 내측 커버 부재(141)의 인장 상태에 관해 설명한다.
도 7,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의 혈압계용 커프(130) 및 이것을 구비하는 혈압계(100A)에 있어서는, 공기 주머니(150)가 수축된 상태(비측정 상태)에서, 주머니형 커버체(140)의 내측벽부를 구성하는 신축성이 우수한 내측 커버 부재(141)의, 컬러(160)의 곡률이 큰 부위 R1, R2에 대응하는 부분이, 주머니형 커버체(140)의 폭방향(도 8a 중에서 화살표 X방향으로 나타내는 방향)에서 인장된 상태로 되어 있다. 즉, 도 7 및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컬 러(160)의 부위 R1에 대응하는 부분에서는, 내측 커버 부재(141)에 폭방향에서의 외측을 향해 화살표 A1, A2방향으로 장력이 부여되어 있고, 컬러(160)의 부위 R2에 대응하는 부분에서는, 내측 커버 부재(141)에 폭방향에서의 외측을 향해 화살표 A3, A4방향으로 장력이 부여되어 있다.
한편, 컬러(160)의 곡률이 작은 부위(도 8a에서 부호 S로 나타내는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의 내측 커버 부재(141)는, 폭방향에서 이완된 상태로 되어 있거나, 컬러(160)의 곡률이 큰 부위 R1, R2에 대응하는 부분의 내측 커버 부재(141)와 마찬가지로 폭방향에서 인장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것은, 컬러(160)의 곡률이 작은 부위 S에 대응하는 부분의 내측 커버 부재(141)는, 컬러(160)의 곡률이 큰 부위 R1, R2에 대응하는 부분의 내측 커버 부재(141)에 비해 원래 주름이 잘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혈압계용 커프(130)의 전체 영역에 걸쳐 내측 커버 부재(141)가 인장된 상태로 된 경우에는, 측정시에 공기 주머니(150)가 팽창되는 것이 저해될 우려도 있기 때문이다.
컬러(160)의 곡률이 작은 부위 S에 대응하는 부분의 내측 커버 부재(141)의 폭방향에서의 중앙부에서는, 내측 커버 부재(141)의 길이방향, 즉 도면 중에 나타내는 화살표 B1, B2, B3, B4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장력이 작용하고 있다. 이것은, 천 등의 재료의 일반적인 성질로서, 그 재료가 장력이 부여된 방향인 인장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줄어들고자 하는 성질에 기초하여 발현하는 장력이다.
이상의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컬러(160)의 곡률이 큰 부위 R1, R2에 대응하는 부분의 주머니형 커버체(140)의 내측 커버 부재(141)에 주름이 발생하는 만큼의 이완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 때문에, 이 부분에서의 주름의 발생이 미연에 방지되어, 공기 주머니(150)의 팽창 상태(측정 상태)에서 동맥에 대한 압박력이 전체 영역에 걸쳐 균일화된다. 또한, 컬러(160)의 곡률이 작은 부위 S에 대응하는 부분의 주머니형 커버체(140)의 내측 커버 부재(141)가, 상기 폭방향과 직교하는 길이방향에서 인장된 상태가 되므로, 이 부분에서의 주름의 발생도 동시에 방지된다. 따라서, 공기 주머니(150)의 팽창 상태에서 동맥에 대한 압박력이 전체 영역에 걸쳐 더욱 균일화된다. 따라서, 이러한 혈압계용 커프(130)를 구비한 혈압계(100A)로 함으로써, 고정밀도의 혈압치 측정이 가능해진다.
상기 구성의 혈압계용 커프(130)를 실제로 제작하기 위해서는, 주머니형 커버체(140)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의 폭방향에서의 크기와, 주머니형 커버체(140)에 내포되는 컬러(160)의 폭방향에서의 크기를 적절하게 조절하고, 상기 공간의 폭방향에서의 크기와 컬러(160)의 폭방향에서의 크기의 상대적인 관계를, 혈압계용 커프(130)의 길이방향에서 똑같지 않게 함으로써 실현가능하다. 구체적인 제작방법으로는 여러가지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여러가지로 생각할 수 있는 상기 구성의 혈압계용 커프의 제작방법에 관해, 몇가지 실시예로서 예시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9는, 실시예 1에 따른 혈압계용 커프의 주머니형 커버체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봉합후의 주머니형 커버체를 생체에 장착되는 면측에서 본 경우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혈압계용 커프의 주머니형 커버체(140A)에 있어서는, 내측 커버 부재(141)와 외측 커버 부재(142)의 결합을 봉합에 의해 실시하고 있다. 도 9에서는, 공기 주머니(150) 및 컬러(160)를 주머니형 커버체(140A)의 내부에 삽입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주머니형 커버체(140A)에서는, 내측 커버 부재(141)와 외측 커버 부재(142)가 겹쳐 이루어진 주머니형 커버체(140A)의 단변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내측으로 들어간 위치에 봉합부(145)가 형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주머니형 커버체(140A)가 주머니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주머니형 커버체(140A)에 있어서는, 컬러(160)의 곡률이 큰 부위 R1, R2에 대응하는 부분에서의, 내측 커버 부재(141)와 외측 커버 부재(142)의 폭방향에서의 봉합 간격 L1, L2를, 컬러(160)의 곡률이 작은 부위 S에 대응하는 부분에서의, 내측 커버 부재(141)와 외측 커버 부재(142)의 폭방향에서의 봉합 간격 L보다 작게 형성하고, 주머니형 커버체(140A)에 공기 주머니(150) 및 컬러(160)가 삽입되기 전의 상태에서, 컬러(160)의 곡률이 큰 부위 R1, R2에 대응하는 부분에서의, 내측 커버 부재(141)와 외측 커버 부재(142)의 폭방향에서의 봉합 간격 L1, L2를, 컬러의 폭 Lc보다 작게 하고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주머니형 커버체(140A)에서는, 컬러(160)의 곡률이 큰 부위 R1, R2에 대응하는 부분의, 내측 커버 부재(141)와 외측 커버 부재(142)의 폭방향에서의 봉합 간격 L1, L2를 다른 부분보다 작게 하기 위해, 컬러(160)의 곡률이 큰 부위 R1, R2에 대응하는 부분의 주머니형 커버체(140A)의 단변을 내측으로 좁혀 함몰부(146)를 형성하고 있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주머니형 커버체(140A)에 공기 주머니(150) 및 컬러(160)를 삽입함으로써, 컬러(160)의 곡률이 큰 부위 R1, R2에 대응하는 부분의 내측 커버 부재(141)를 폭방향에서 인장된 상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매우 간편하게,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인장 상태에 있는 내측 커버 부재(141)를 구비한 혈압계용 커프(130)를 제작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10은, 실시예 2에 따른 혈압계용 커프의 주머니형 커버체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용착후의 주머니형 커버체를 생체에 장착되는 면측에서 본 경우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혈압계용 커프의 주머니형 커버체(140B)에 있어서는, 내측 커버 부재(141)와 외측 커버 부재(142)의 결합을 용착에 의해 실시하고 있다. 도 10에서는, 공기 주머니(150) 및 컬러(160)를 주머니형 커버체(140B)의 내부에 삽입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주머니형 커버체(140B)에서는, 내측 커버 부재(141)와 외측 커버 부재(142)가 겹쳐 이루어진 주머니형 커버체(140B)의 단변으로 부터의 소정의 거리만큼을 용착분으로 한 용착부(147)가 형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주머니형 커버체(140B)가 주머니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주머니형 커버체(140B)에 있어서는, 컬러(160)의 곡률이 큰 부위 R1, R2에 대응하는 부분에서의, 내측 커버 부재(141)와 외측 커버 부재(142)의 폭방향에서의 용착 간격 L1, L2를, 컬러(160)의 곡률이 작은 부위 S에 대응하는 부분에서의, 내측 커버 부재(141)와 외측 커버 부재(142)의 폭방향에서의 용착 간격 L보다 작게 형성하고, 주머니형 커버체(140B)에 공기 주머니(150) 및 컬러(160)가 삽입되기 전의 상태에서, 컬러(160)의 곡률이 큰 부위 R1, R2에 대응하는 부분에서의, 내측 커버 부재(141)와 외측 커버 부재(142)의 폭방향에서의 용착 간격 L1, L2를, 컬러의 폭 Lc보다 작게 하고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주머니형 커버체(140B)에서는, 컬러(160)의 곡률이 큰 부위 R1, R2에 대응하는 부분에서의, 내측 커버 부재(141)와 외측 커버 부재(142)의 폭방향에서의 용착 간격을 다른 부분보다 작게 하기 위해, 컬러(160)의 곡률이 큰 부위 R1, R2에 대응하는 부분의 주머니형 커버체(140B)의 단변으로부터의 용착분을 부호 147a로 표시하는 부분에서 다른 용착부(147)보다 폭을 넓게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도, 상술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주머니형 커버체(140B)에 공기 주머니(150) 및 컬러(160)를 삽입함으로써, 컬러(160)의 곡률이 큰 부위 R1, R2에 대응하는 부분의 내측 커버 부재(141)를 폭방향으로 인장된 상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매우 간편하게,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인장 상태에 있는 내측 커버 부재(141)를 구비한 혈압계용 커프(130)를 제작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11은, 실시예 3에 따른 혈압계용 커프의 주머니형 커버체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봉합시의 주머니형 커버체를 생체에 장착되는 면측에서 본 경우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혈압계용 커프의 주머니형 커버체(140C)에 있어서는, 내측 커버 부재(141)와 외측 커버 부재(142)의 결합을 봉합에 의해 실시하고 있다. 도 11에서는, 공기 주머니(150) 및 컬러(160)를 주머니형 커버체(140C)의 내부에 삽입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주머니형 커버체(140C)에 있어서는, 내측 커버 부재(141)의 컬러(160)의 곡률이 큰 부위 R1, R2에 대응하는 부분 141a를 도면 중 화살표 C1, C2, C3, C4방향을 향해 각각 인장된 상태로 하고, 이 상태를 유지하면서 내측 커버 부재(141)를 외측 커버 부재(142)에 봉합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컬러(160)의 곡률이 큰 부위 R1, R2에 대응하는 부분의 내측 커버 부재(141)를 폭방향에서 인장된 상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매우 간편하게,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인장 상태에 있는 내측 커버 부재(141)를 구비한 혈압계용 커프(130)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혈압계용 커프에 있어서는, 컬러(160)를 삽입하는지 아닌지에 관계없이, 컬러(160)의 곡률이 큰 부위 R1, R2에 대응하는 부분의 내측 커버 부재(141)가 폭방향으로 인장된 상태로 할 수 있다.
(실시예 4)
도 12는, 실시예 4에 따른 혈압계용 커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혈압계용 커프를 전개시킨 상태를 생체에 장착되는 면측에서 본 경우의 모식 전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혈압계용 커프의 주머니형 커버체(140D)에 있어서는, 내측 커버 부재(141)와 외측 커버 부재(142)의 결합을 봉합에 의해 실시한다. 도 12에서는, 공기 주머니(150) 및 컬러(160)를 주머니형 커버체(140D)의 내부에 삽입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주머니형 커버체(140D)에 있어 서는, 컬러(160)의 곡률이 큰 부위 R1, R2의 폭방향에서의 단변으로부터 폭방향의 외측을 향해 돌출부(164)를 형성하고, 이에 의해 컬러(160)의 곡률이 큰 부위 R1, R2에서의 컬러(160)의 폭 Lp1, Lp2를, 컬러(160)의 곡률이 작은 부위 S에서의 컬러(160)의 폭 Lc보다 크게 형성하고, 주머니형 커버체(140D)에 공기 주머니(150) 및 컬러(160)를 삽입하기 전의 상태에서, 컬러(160)의 곡률이 큰 부위 R1, R2에 대응하는 부분에서의, 내측 커버 부재(141)와 외측 커버 부재(142)의 폭방향에서의 봉합 간격을, 컬러(160)의 곡률이 큰 부위 R1, R2에서의 컬러(160)의 폭 Lp1, Lp2보다 작게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도, 상술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주머니형 커버체(140D)에 공기 주머니(150) 및 컬러(160)를 삽입함으로써, 컬러(160)의 곡률이 큰 부위 R1, R2에 대응하는 부분의 내측 커버 부재(141)를 폭방향으로 인장된 상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매우 간편하게,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인장 상태에 있는 내측 커버 부재(141)를 구비한 혈압계용 커프(130)를 제작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실시형태의 혈압계용 커프에 있어서는, 내측 커버 부재를 외측 커버 부재에 대해 고신축성의 천으로 구성한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특별히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내측 커버 부재와 외측 커버 부재를 동종의 재료로 구성해도 된다. 그러나, 통상은 내측에 고신축성의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내측 커버 부재로는, 예를 들어 니트, 부직포, 발포 시트 등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외측 커버 부재로는, 예를 들어 폴리염화비닐(PVC)과 직포의 적층체 등이 이용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혈압계용 커프에 있어서는, 내측 커버 부재와 외측 커버 부재가 봉합 또는 용착에 의해 결합된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했지만, 이들 모두를 실시하도록 해도 되고, 이들 이외에도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함으로써 이들 내측 커버 부재와 외측 커버 부재를 결합해도 되고, 클립 등의 유지 부재를 사용하여 결합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피측정 부위로서 손목을 상정한 손목식 혈압계에 사용되는 혈압계용 커프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했지만, 상완식이나 손가락식 등 어떠한 형식의 혈압계용 커프에 관해서도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이번에 개시한 상기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로서, 제한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 획정되고, 또 청구범위의 기재와 균등의 의미 및 범위내에서의 모든 변경을 포함하는 것이다.

Claims (11)

  1. 유체가 출입함으로써 팽창 수축하는 유체 주머니와,
    상기 유체 주머니가 생체에 감겨진 상태에서 상기 유체 주머니의 외측에 위치하고, 고리형상으로 권취됨으로써 직경방향으로 탄성 변형가능하게 구성된 가요성 부재와,
    상기 유체 주머니 및 상기 가요성 부재를 내포하고, 그 폭방향이 생체의 축방향과 대략 평행해지도록 생체에 장착되는 주머니형 커버체를 구비하고,
    상기 주머니형 커버체는, 그 주머니형 커버체가 생체에 감겨진 상태에서 생체측에 위치하는 내측벽부와, 그 주머니형 커버체가 생체에 감겨진 상태에서 생체측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외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부재는, 그 혈압계용 커프가 생체에 피트되도록, 그 권취 방향으로의 곡률이 큰 부위와 곡률이 작은 부위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유체 주머니가 수축된 상태에서, 상기 가요성 부재의 곡률이 큰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의 상기 내측벽부는, 상기 폭방향으로 인장된 상태로 되어 있는 혈압계용 커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주머니가 수축된 상태에서, 상기 가요성 부재의 곡률이 작은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의 상기 내측벽부는, 상기 폭방향으로 이완된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인 혈압계용 커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주머니가 수축된 상태에서, 상기 가요성 부재의 곡률이 큰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의 상기 내측벽부는, 상기 가요성 부재의 곡률이 작은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의 상기 내측벽부보다, 상기 폭방향으로 더 인장된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인 혈압계용 커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벽부는 상기 외측벽부보다 신축성이 풍부한 것인 혈압계용 커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머니형 커버체는, 상기 내측벽부를 형성하는 내측 커버 부재와 상기 외측벽부를 형성하는 외측 커버 부재를 겹쳐, 그 둘레 가장자리를 결합함으로써 주머니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요성 부재의 곡률이 큰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에서의, 상기 내측 커버 부재와 상기 외측 커버 부재의 상기 폭방향으로의 결합 간격을, 상기 가요성 부재의 곡률이 작은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에서의, 상기 내측 커버 부재와 상기 외측 커버 부재의 상기 폭방향으로의 결합 간격보다 작게 형성하고, 상기 주머니형 커버체에 상기 유체 주머니 및 상기 가요성 부재가 삽입되기 전의 상태에서, 상기 가요성 부재의 곡률이 큰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에서의, 상기 내측 커버 부재와 상기 외측 커버 부재의 상기 폭방향으로의 결합 간격을, 상기 가요성 부재의 폭보다 작게 함으로써, 상기 주머니형 커버체에 상기 유체 주머니 및 상기 가요성 부재가 삽입된 후의 상태이며 또한 상기 유체 주머니가 수축된 상태에서, 상기 가요성 부재의 곡률이 큰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의 상기 내측 커버 부재는, 상기 폭방향으로 인장된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인 혈압계용 커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커버 부재와 상기 외측 커버 부재의 결합은, 봉합 또는 용착 중 하나 이상에 의해 행해지고 있는 것인 혈압계용 커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머니형 커버체는, 상기 내측벽부를 형성하는 내측 커버 부재와 상기 외측벽부를 형성하는 외측 커버 부재를 겹쳐, 그 둘레 가장자리를 결합함으로써 주머니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요성 부재의 곡률이 큰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의 상기 내측 커버 부재는 인장된 상태로 되고, 이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내측 커버 부재가 상기 외측 커버 부재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유체 주머니가 수축된 상태에서, 상기 가요성 부재의 곡률이 큰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의 상기 내측 커버 부재는, 상기 폭방향으로 인장된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인 혈압계용 커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커버 부재와 상기 외측 커버 부재의 결합은, 봉합 또는 용착 중 하나 이상에 의해 행해지고 있는 것인 혈압계용 커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머니형 커버체는, 상기 내측벽부를 형성하는 내측 커버 부재와 상기 외측벽부를 형성하는 외측 커버 부재를 겹쳐, 그 둘레 가장자리를 결합함으로써 주머니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요성 부재의 곡률이 큰 부위에서의 상기 가요성 부재의 폭을, 상기 가요성 부재의 곡률이 작은 부위에서의 상기 가요성 부재의 폭보다 크게 형성하고, 상기 주머니형 커버체에 상기 유체 주머니 및 상기 가요성 부재가 삽입되기 전의 상태에서, 상기 가요성 부재의 곡률이 큰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에서의, 상기 내측 커버 부재와 상기 외측 커버 부재의 상기 폭방향으로의 결합 간격을, 상기 가요성 부재의 곡률이 큰 부위에서의 상기 가요성 부재의 폭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주머니형 커버체에 상기 유체 주머니 및 상기 가요성 부재가 삽입된 후의 상태이며 또한 상기 유체 주머니가 수축된 상태에서, 상기 가요성 부재의 곡률이 큰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의 상기 내측 커버 부재는, 상기 폭방향으로 인장된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인 혈압계용 커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커버 부재와 상기 외측 커버 부재의 결합은, 봉합 또는 용착 중 하나 이상에 의해 행해지고 있는 것인 혈압계용 커프.
  11. 제1항에 기재된 혈압계용 커프와,
    상기 유체 주머니를 팽창 수축시키는 팽창 수축 기구와,
    상기 유체 주머니내의 압력을 검지하는 압력 검지부와,
    상기 압력 검지부에 의해 검지된 압력 정보에 기초하여 혈압치를 산출하는 혈압치 산출부
    를 구비한 혈압계.
KR1020087017332A 2005-12-27 2006-11-10 혈압계용 커프 및 이것을 구비한 혈압계 KR1009668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75425 2005-12-27
JP2005375425A JP4665757B2 (ja) 2005-12-27 2005-12-27 血圧計用カフおよびこれを備えた血圧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7687A KR20080077687A (ko) 2008-08-25
KR100966868B1 true KR100966868B1 (ko) 2010-06-29

Family

ID=38217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7332A KR100966868B1 (ko) 2005-12-27 2006-11-10 혈압계용 커프 및 이것을 구비한 혈압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777864B2 (ko)
EP (1) EP1970002B1 (ko)
JP (1) JP4665757B2 (ko)
KR (1) KR100966868B1 (ko)
CN (1) CN101346100B (ko)
RU (1) RU2384293C1 (ko)
TW (1) TWI380799B (ko)
WO (1) WO20070745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65757B2 (ja) 2005-12-27 2011-04-06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血圧計用カフおよびこれを備えた血圧計
US20100168527A1 (en) * 2008-12-30 2010-07-01 Zumo Lawrence A Multiuse, multipurpose, detachable, wrap-around, velcro secured seat belt attachment (EZE-FLAP)
JP5257162B2 (ja) * 2009-03-12 2013-08-07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血圧情報測定装置用カフおよびこれを備えた血圧情報測定装置
JP5487963B2 (ja) 2009-12-29 2014-05-14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血圧情報測定装置用カフおよびこれを備えた血圧情報測定装置
JP5499833B2 (ja) * 2010-03-30 2014-05-21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血圧情報測定装置用カフおよびこれを備えた血圧情報測定装置
EP2677925A4 (en) * 2011-02-27 2015-08-12 Eitan Mardiks APPARATUS AND METHOD FOR REAL-TIME MEASUREMENT OF THE CHANGE IN THE VOLUME OF BREAST AND OTHER INSTITUTIONS
US9532722B2 (en) 2011-06-21 2017-01-03 Masimo Corporation Patient monitoring system
US9986919B2 (en) 2011-06-21 2018-06-05 Masimo Corporation Patient monitoring system
TW201325549A (zh) * 2011-12-23 2013-07-01 Ind Tech Res Inst 壓脈袋裝置
JP2013158415A (ja) * 2012-02-02 2013-08-19 Omushii:Kk 血圧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および血圧測定装置
WO2014121805A1 (en) * 2013-02-08 2014-08-14 Up-Med Gmbh Blood pressure measuring system comprising a kinking-proof shell
WO2015020911A2 (en) 2013-08-05 2015-02-12 Cercacor Laboratories, Inc. Blood pressure monitor with valve-chamber assembly
JP6225705B2 (ja) * 2013-12-27 2017-11-08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血圧測定用カフおよびそれを備えた血圧計
TWI549652B (zh) * 2015-12-25 2016-09-21 信泰光學(深圳)有限公司 旋轉筒裝置
JP6610433B2 (ja) 2016-05-27 2019-11-27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センサアセンブリ
JP6693274B2 (ja) * 2016-05-27 2020-05-13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血圧測定用カフおよび血圧計
JP2018102744A (ja) 2016-12-27 2018-07-05 オムロン株式会社 袋状構造体、カフ及び血圧計
JP6761338B2 (ja) * 2016-12-28 2020-09-23 オムロン株式会社 血圧計および血圧測定方法並びに機器
JP6772057B2 (ja) * 2016-12-28 2020-10-21 オムロン株式会社 血圧計および血圧測定方法並びに機器
JP6830353B2 (ja) * 2016-12-28 2021-02-17 オムロン株式会社 血圧計および血圧測定方法並びに機器
JP6896611B2 (ja) 2017-12-28 2021-06-30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血圧測定装置
JP6976841B2 (ja) * 2017-12-28 2021-12-08 オムロン株式会社 血圧測定装置
JP6896610B2 (ja) 2017-12-28 2021-06-30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血圧測定装置
JP6896609B2 (ja) 2017-12-28 2021-06-30 オムロン株式会社 血圧測定装置
JP7019425B2 (ja) * 2018-01-15 2022-02-15 オムロン株式会社 血圧測定装置及び血圧測定装置の製造方法
JP7091910B2 (ja) * 2018-07-20 2022-06-28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血圧測定装置及びカフユニット
JP7154949B2 (ja) * 2018-10-30 2022-10-18 オムロン株式会社 血圧測定装置
JP7237576B2 (ja) 2018-12-27 2023-03-13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血圧測定装置
WO2020185374A1 (en) * 2019-03-08 2020-09-17 Johnson Angelica Raquel Blood pressure cuff having improved comfort and safety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same
USD889661S1 (en) * 2019-03-11 2020-07-07 Omron Healthcare Co., Ltd. Cover for Sphygmomanometer
JP6751462B1 (ja) * 2019-07-24 2020-09-02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血圧計用カフ
WO2022024699A1 (ja) * 2020-07-27 2022-02-03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血圧測定用カフ
KR102379668B1 (ko) * 2021-07-19 2022-03-29 주식회사 필리 혈압 측정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2440A (ja) * 1989-08-28 1991-04-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血圧計の阻血袋
JP3164114B2 (ja) * 1998-01-13 2001-05-08 オムロン株式会社 手首用血圧計
JP2002209858A (ja) 2001-01-23 2002-07-30 Omron Corp 血圧計の腕帯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20846A (en) 1962-09-12 1964-02-11 Daniel A Fletcher Pneumatic tourniquet
JPS581285Y2 (ja) * 1978-12-11 1983-01-11 富士電機株式会社 しわ防止用クツシヨン付きカフ
JPS5587204A (en) 1978-12-26 1980-07-01 Komatsu Ltd Sequential controller
JPH01112804A (ja) 1987-10-26 1989-05-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可変抵抗回路
JPH0510803Y2 (ko) * 1988-01-25 1993-03-17
JPH03164114A (ja) 1990-07-18 1991-07-16 Yasuhiro Nasuno 植物の茎の誘引線に対する結束具
US5511552A (en) * 1994-09-02 1996-04-30 Cas Medical Systems, Inc. Disposable blood pressure cuff
WO1996022050A1 (fr) * 1995-01-17 1996-07-25 Colin Corporation Moniteur de pression sanguine
JP3491412B2 (ja) * 1995-10-26 2004-01-26 松下電工株式会社 血圧計のカフ帯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117418A (ja) * 1995-10-26 1997-05-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血圧計のカフ帯
JPH09238910A (ja) 1996-03-08 1997-09-16 Citizen Watch Co Ltd 手首血圧計のカフ
US6336901B1 (en) * 1998-04-27 2002-01-08 Omron Corporation Sphygmomanometer cuff achieving precise measurement of blood pressure
RU2150300C1 (ru) 1998-08-10 2000-06-10 Первак Владимир Анатольевич Эндотрахеальная трубка
JP3671746B2 (ja) * 1999-06-11 2005-07-13 松下電工株式会社 血圧計
US6997878B2 (en) 2001-01-23 2006-02-14 Omron Corporation Cuff for blood pressure monitor
JP4534583B2 (ja) * 2004-05-07 2010-09-01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血圧計用カフ
RU2366357C2 (ru) 2004-12-06 2009-09-10 ООО "ПКТИтрансстрой" Манжета сфигмоманометра, пресс-форма для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JP4665757B2 (ja) 2005-12-27 2011-04-06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血圧計用カフおよびこれを備えた血圧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2440A (ja) * 1989-08-28 1991-04-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血圧計の阻血袋
JP3164114B2 (ja) * 1998-01-13 2001-05-08 オムロン株式会社 手首用血圧計
JP2002209858A (ja) 2001-01-23 2002-07-30 Omron Corp 血圧計の腕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384293C1 (ru) 2010-03-20
JP2007175185A (ja) 2007-07-12
TW200730132A (en) 2007-08-16
US8777864B2 (en) 2014-07-15
RU2008130886A (ru) 2010-02-10
WO2007074589A1 (ja) 2007-07-05
EP1970002A4 (en) 2011-09-21
TWI380799B (zh) 2013-01-01
EP1970002A1 (en) 2008-09-17
EP1970002B1 (en) 2012-10-24
CN101346100B (zh) 2011-04-20
KR20080077687A (ko) 2008-08-25
CN101346100A (zh) 2009-01-14
JP4665757B2 (ja) 2011-04-06
US20090234381A1 (en) 2009-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6868B1 (ko) 혈압계용 커프 및 이것을 구비한 혈압계
US9186074B2 (en) Sphygmomanometer cuff and sphygmomanometer
JP2006218178A (ja) 血圧計用カフおよび血圧計
US20100137725A1 (en) Sphygmomanometer cuff and sphygmomanometer
JP4742576B2 (ja) 血圧計用カフおよびこれを備えた血圧計
US20060178584A1 (en) Cuff for blood pressure moni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blood pressure monitor
RU2325106C2 (ru) Манжета аппарата для измерения артериального давления и аппарат для измерения артериального давления
JP5251447B2 (ja) 血圧情報測定装置用カフおよびこれを備えた血圧情報測定装置
JP2007275483A (ja) 血圧計用カフ
JP2007275484A (ja) 血圧計用カフ
JP5487963B2 (ja) 血圧情報測定装置用カフおよびこれを備えた血圧情報測定装置
JP5470126B2 (ja) 電子血圧計
JP3168376U (ja) 血圧情報測定装置用カフおよびこれを備えた血圧情報測定装置
JP5517689B2 (ja) 電子血圧計
JP5475518B2 (ja) 電子血圧計
JP6139871B2 (ja) 血圧計用カフ
JP2011200323A (ja) 電子血圧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