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6854B1 - 건축용 부재 및 건물 - Google Patents

건축용 부재 및 건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6854B1
KR100946854B1 KR1020077006639A KR20077006639A KR100946854B1 KR 100946854 B1 KR100946854 B1 KR 100946854B1 KR 1020077006639 A KR1020077006639 A KR 1020077006639A KR 20077006639 A KR20077006639 A KR 20077006639A KR 100946854 B1 KR100946854 B1 KR 100946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insulating
building
building member
insulating material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6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8183A (ko
Inventor
무네토 야마다
가즈타카 우에카도
아키라 나카노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70038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8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6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6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04B1/803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with vacuum spaces included in the slab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2001/742Use of special materials; Materials having special structures or sha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42Slab shaped vacuum insu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10Insulation, e.g. vacuum or aerogel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고를 들이지 않고서 시공하기 위한 건물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건물은, 다공체인 코어재가 진공으로 봉해진, 평면형상의 단열재(14)와, 판형상의 구조용 면재(12a)를 가지고, 단열재(14)의 평면부와 구조용 면재(12a)의 한쪽 평면이 대향한 상태에서, 단열재(14)와 구조용 면재(12a)가 일체화되어 있는 건축용 부재(12)를 구비하는 건물로서, 또한, 건축용 부재(12) 상에 조합된 나무재(9b)와, 나무재(9b)에 고정된 외벽 마무리재(3)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건축용 부재 및 건물{BUILDING MEMBER AND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용 부재 및 건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구 환경 보호의 관점에서, 가전 제품이나 산업 기기 및 주택 등의 건물 에너지 절약화도 대응해야할 중요한 과제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다양한 단열재의 적용이나 각종 단열 시공법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도 1은, 특허문헌 1에 의해 개시되어 있는 종래의 건물(1)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특허문헌 1에 있어서의 종래의 건물(1)은, 단열재로서 열 전도율이 0.020W/m·K 이하인 경질 폴리우레탄 폼(2)이 외벽 마무리재(3) 및 지붕재(4)의 안쪽 부분에 설치됨으로써, 단열성을 확보하고 있다.
경질 폴리우레탄 폼(2)은 단열 성능이 뛰어나므로, 얇게 하여 시공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시공할 때, 긴 못이나 비스를 필요로 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많이 이용되는 15㎝ 못 등의 시공못을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종래의 단열 시공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종래의 단열 시공 공정에서는, 도 2의 종래의 건물(1)의 외벽부(1a)의 사시 단면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 기초(5) 상의 토대 기둥(6)에 나무축(7)을 끼워넣고, 나무축(7) 에 구조용 면재(8)를 붙이고, 그 위에 복수의 나무재(9a)를 수직 방향에 평행하게 조합한다. 그리고, 각 나무재(9a)의 사이에 경질 폴리우레탄 폼(2)을 배치하고, 경질 폴리우레탄 폼(2) 상에 합판(10)을 붙여, 합판(10) 상에 복수의 나무재(9b)를 수직 방향으로 평행하게 조합하고, 나무재(9b)에 외벽 마무리재(3)를 고정한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2003-278290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
그러나, 종래의 건물(1)의 구성에서는, 경질 폴리우레탄 폼(2)을 잘라 복수의 나무재(9a) 각각의 사이에 채우는 공정을 요하여, 시공에 수고가 든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고려하여, 수고가 들지 않고 건물을 시공하기 위한 건축용 부재 및 수고가 들지 않고 시공되는 건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건축용 부재는, 코어재가 진공으로 밀봉된, 판형상의 단열재와, 판형상의 구조용 면재를 구비하고, 상기 단열재의 한쪽 면과 상기 구조용 면재의 한쪽 면이 대향한 상태에서, 상기 단열재와 상기 구조용 면재가 일체화되어 있다. 본 발명의 건축용 부재를 이용해 건물을 시공하면, 본 발명의 건축용 부재를 소정의 부위에 붙임으로써 단열 시공이 완료되고, 발포 단열재를 잘라 채우는 공정이나 발포 단열재 상에 나무재를 조합하는 공정을 없앨 수 있다. 이 때문에, 전체적으로 나무재의 사용량을 삭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축용 부재는, 복수의 상기 단열재가, 겹치지 않고 2차원형상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상기 구조용 면재와 일체화된 것이어도 된다. 이러한 건축용 부재를 이용해 건물을 시공하면, 현장 시공시에 있어서, 단열재의 코어재 상에 못이나 비스가 박혀도, 다른 단열재의 진공도는 악화하지 않고, 건축용 부재의 전체적으로의 단열 성능의 악화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축용 부재의 상기 단열재는, 복수의 상기 코어재가 겹치지 않고 2차원형상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각 상기 코어재가 독립으로 진공으로 봉해진 것이어도 된다. 이러한 건축용 부재를 이용해 건물을 시공하면, 현장 시공시에 있어서, 단열재 중 어느 하나의 코어재 상에 못이나 비스가 박혀도, 다른 코어재에 있어서의 진공도는 악화하지 않고, 단열재 전체적으로의 단열 성능의 악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못이나 비스가 박혀도 건축용 부재의 전체적으로의 단열 성능의 악화를 억제하기 때문에, 구조용 면재에, 코어재가 하나의 단열재를 복수 설치한 건축용 부재와 비교해, 제조 시에, 구조용 면재에 단열재를 설치하는 작업의 횟수가 적어지는 동시에, 구조용 면재에 단열재를 설치할 때 복수의 코어재의 간격이나 복수의 코어재의 위치 관계를 조절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건축용 부재의 제조가 용이하다.
복수의 상기 코어재의 크기 또는 형상이 다르게 해도 된다. 건축용 부재는, 코어재의 구획으로 유연하게 구부릴 수 있으므로, 코어재의 크기 또는 형상을 다르게 함으로써, 건축용 부재의 구부림에 관한 자유도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단열재는, 상기 코어재를 상하로부터 덮어 진공으로 봉하기 위한 외피재를 가지고, 상기 외피재의 각 상기 코어재를 끼우지 않은 부위의 상측부와 하측부는 상기 코어재의 가장자리까지 결합되어 있다. 외피재의 각 코어재를 끼우지 않은 부위의 상측부와 하측부가 상기 코어재의 가장자리까지 결합하고 있으므로, 단열재의 외주부의 코어재가 없는 필렛(fillet)부(비코어재부)의 폭과 인접하는 코어재와 코어재의 사이의 비코어재부의 폭을 좁힐 수 있어, 단열재 표면에 차지하는 코어재부의 면적 비율이 커져, 단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상기 구조용 면재의 한쪽 면과 대향하는 상기 단열재의 한쪽 면은, 상기 외피재가 상기 코어재와 대향하는 부분과 대향하지 않는 부분에서 요철이 생기지 않아 평활하고, 상기 단열재의 다른쪽 면은, 상기 외피재가 상기 코어재와 대향하는 부분과 대향하지 않는 부분에서 요철이 생겨도 된다. 이 경우, 단열재에 있어서의 구조용 면재와 대향하는 면이 평활하기 때문에, 접착제 등으로 단열재를 구조용 면재에 고정하기 쉽고, 또한 접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단열재에 있어서의 구조용 면재와 대향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은, 외피재가 코어재와 대향하는 부분과 대향하지 않는 부분에서 요철이 생길 수 있으므로, 현장 시공 시에 있어서, 구조용 면재에 단열재측에서 못이나 비스를 박을 때, 요철을 기초로 코어재가 있는 부분의 위에서 박지 않도록 주의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단열재는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구조용 면재와 일체화되어도 된다.
또한, 복수의 상기 단열재는, 상기 코어재가 겹치지 않도록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 단열재의 크기나 수를 조정하면, 건축용 부재 전면에 코어재를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단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때, 적층되어 있는 복수의 상기 단열재 중 적층 방향의 끝에 위치하는 상기 단열재는, 상기 단열재끼리 대향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이, 상기 외피재가 상기 코어재와 대향하는 부분과 대향하지 않는 부분에서 요철이 생기지 않아 평활한 것이어도 되고, 이 경우, 적층되어 있는 복수의 단열재에 있어서의 구조용 면재와 대향하는 면이 평활하므로, 접착제 등으로 단열재를 구조용 면재에 고정하기 쉽고, 또한 접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적층되어 있는 복수의 단열재에 있어서의 반구조용 면재측의 면이 평활하므로, 건축용 부재의 취급이 용이하다.
또한 이 때, 적층되어 있는 복수의 상기 단열재는, 상기 단열재끼리 대향하는 면이, 상기 외피재가 상기 코어재와 대향하는 부분과 대향하지 않는 부분에서 요철이 생겨도 되고, 이 경우, 대향하는 요철이 잘 끼워지도록 하면, 단열재를 설치하는 공간에 있어서의 단열재가 차지하는 비율을 높여, 단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단열재는, 상기 코어재를 상하로부터 덮어 진공으로 봉하기 위한 외피재를 가지고, 상기 외피재는, 상기 코어재의 한쪽 면측에 위치하는, 금속 증착층을 포함하는 제1 라미네이트 필름과, 상기 코어재의 다른쪽 면측에 위치하는, 금속박층을 포함하는 제2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박층과 금속 증착층과의 열 용량이 다르기 때문에, 단열재의 적용시에 일어나는 2매의 라미네이트 필름의 접착면을 통해 발생하는 열 누설(단열재의 고온면에서 저온면으로의 열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코어재가 복수 개 존재하는 경우, 2매의 라미네이트 필름의 접착면이 차지하는 비율이 커, 열 누설의 영향을 방지하는 효과가 커진다.
상기 제1 라미네이트 필름은, 상기 금속 증착층의, 상기 코어재로부터 먼 쪽의 면 상에 설치된 폴리아크릴산계 수지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아크릴산계 수지층은 그 자체가 높은 가스 배리어성을 가지므로, 금속 증착층 상에 폴리아크릴산계 수지층을 설치하면, 각각을 단층으로 사용한 경우의 가스 배리어성에서 예측되는 이상으로 가스 배리어성이 향상된다. 왜냐하면, 금속 증착 단층에서는, 라미네이트 시나 굴곡이 생기는 부위로의 건축용 부재로의 사용시 등에 크랙이 생기기 쉬운데, 폴리아크릴산계 수지로 금속 증착층을 보호함으로써 금속 증착층에 생기는 크랙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구성에 의해 진공 단열재의 단열 성능을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단열재는, 상기 코어재를 상하로부터 덮어 진공으로 봉하기 위한 외피재를 가지고, 상기 외피재는, 상기 코어재의 한쪽 면측에 위치하는, 제1 금속 증착층을 포함하는 제1 라미네이트 필름과, 상기 코어재의 다른쪽 면측에 위치하는, 제2 금속 증착층을 포함하는 제2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라미네이트 필름은, 상기 제1 금속 증착층의, 상기 코어재로부터 먼 쪽의 면 상에 설치된 폴리아크릴산계 수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라미네이트 필름은, 상기 제2 금속 증착층의, 상기 코어재로부터 먼 쪽의 면 상에 설치된 폴리아크릴산계 수지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외피재의 양면이 열 용량이 작은 금속 증착층이므로, 접착면을 통해 발생하는 열 누설을 크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외피재가 가스 배리어성이 높은 폴리아크릴산계 수지층이 설치된 금속 증착층으로 구성되는 라미네이트 필름을 가지므로, 단열재의 단열 성능을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단열재는, 발포계 단열재에 내포되어 있고, 상기 발포계 단열재를 통해 상기 구조용 면재와 일체화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단열재는 노출되지 않으므로, 시공 현장에 있어서의 이물이나, 취급 불량에 의한 단열재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단열 성능은 한층 더 높아져, 건물의 단열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발포계 단열재는, 예를 들면 경질 폴리우레탄 폼이다.
상기 단열재 및 상기 구조용 면재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공을 가지고, 상호 상기 관통공이 겹치는 상태에서, 상기 단열재와 상기 구조용 면재가 일체화되어도 된다. 이러한 건축용 부재를 이용하면, 환기팬 등의 건물 내외를 관통시킬 필요가 있는 설비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용 부재는, 상기 단열재의 외면에 설치된 방수 시트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외부의 수분이 단열재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막아, 코어재의 내압 증가에 의한 단열 성능의 악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용 부재는, 상기 구조용 면재의 외면에 설치된 방습 기밀 시트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특히 겨울철에 있어서, 건물 내의 습기를 많이 포함한 높은 온도의 공기가, 진공 단열재의 외측의 차가운 벽에 접촉해 이슬이 맺히는 것을 막는다.
또한, 본 발명의 건물은, 본 발명의 건축용 부재와, 상기 건축용 부재 상에 조합된 나무재와, 상기 나무재에 고정된 외벽 마무리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건물에는, 본 발명의 건축용 부재가 이용되므로, 본 발명의 건물을 건축할 때, 본 발명의 건축용 부재를 소정의 부위에 붙임으로써 단열 시공이 완료되고, 발포 단열재를 잘라 채우는 공정이나 발포 단열재 상에 나무재를 조합하는 공정을 없앨 수 있다. 이 때문에, 전체적으로 나무재의 사용량을 삭감할 수 있다.
상기 건축용 부재는, 상기 단열재가 상기 나무재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건물에 대한 단열재의 피복율이 커지므로 건물의 단열성이 높아진다.
본 발명의 건물에서, 상기 건축용 부재는, (1) 복수의 상기 단열재가, 겹치지 않고 2차원형상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상기 구조용 면재와 일체화되어 있는 건축용 부재이거나, 또는 (2) 상기 단열재가, 복수의 상기 코어재가 겹치지 않고 2차원형상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각 상기 코어재가 독립적으로 진공으로 봉해진 부재인 건축용 부재여도 되고, 상기 나무재는, 못 또는 비스에 의해 상기 건축용 부재에 조합되어도 된다. 상기와 같은 건축용 부재가 이용되는 경우, 건축용 부재와 나무재와의 사이에 단열재의 코어재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이 존재하므로, 코어재에 못 또는 비스가 박히지 않는다. 가령, 못 또는 비스가 어떠한 코어재를 찔러 넣는다 해도, 다른 코어재의 진공도가 악화하지 않고 건축용 부재 전체적으로의 단열 성능이 확보된다.
또한, 본 발명의 건물은, 상기 단열재의 두께가 다른 복수의 본 발명의 건축용 부재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건물이 시공되는 지역의 기후 조건이나 건물 내에 있어서의 각 방의 용도 등에 따라, 건물의 각 부위에 있어서의 열 손실 계수를 최적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건물은, 상기 단열재의 상기 코어재의 면적율이 다른 복수의 본 발명의 건축용 부재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건물이 시공되는 지역의 기후 조건이나 건물내에 있어서의 각 방의 용도 등에 따라, 단열재에 의한 단열 효과를 최적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 방법은, 본 발명의 건축용 부재를 이용해 건물을 건축하는 건축 방법이다. 이에 따라, 건축할 때, 본 발명의 건축용 부재를 소정의 부위에 붙임으로써 단열 시공이 완료되고, 발포 단열재를 잘라 채우는 공정이나 발포 단열재 상에 나무재를 조합하는 공정을 없앨 수 있다. 이 때문에, 전체적으로 나무재의 사용량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열재는, 코어재 복수 개가 진공으로 봉해진, 시트형상의 단열재로서, 롤 형상으로 감긴 상태로 지지된다. 이에 따라, 단열재를 원하는 사이즈로 절단해도, 절단한 것에 의한 파손(진공도의 악화)의 영향을, 절단한 부분 이외의 부위에 미치지 않도록 하여, 단열재를, 폐기하는 부분을 적게 하여 잘라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열재는, 다공체인 코어재가 진공으로 봉해진, 평면형상의 단열재로서, 표면에 점착층이 설치되고, 상기 점착층 상에 박리지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박리지를 박리하는 것만으로, 소정의 크기의 단열재를, 원하는 부위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열재는, 다공체인 코어재 복수 개가 진공으로 봉해진, 평면형상의 단열재로서, 소정의 간격으로 마크가 설치된다. 마크를 이용하면, 크기를 용이하게 알 수 있으므로, 건물의 시공 현장에서, 작업자는, 원하는 크기의 단열재를 용이하게 잘라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열재는, 원하는 사이즈로 절단되어도, 절단된 것에 의한 파손(진공도의 악화)의 영향을, 절단된 부분 이외의 부위에 미치지 않는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수고를 들이지 않고서 건물을 시공하기 위한 건축용 부재 및 수고를 들이지 않고 시공되는 건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건물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건물의 외벽부의 사시 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건물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건물의 외벽부의 사시 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건물의 외벽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건물에 이용되는 건축용 부재의 외관도이다.
도 7은 도 6의 건축용 부재를 구성하는 진공 단열재의 A-A’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의 건축용 부재의 외관도이다.
도 9는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의 건축용 부재 상에 나무재를 조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실시의 형태 3에 있어서의 건축용 부재의 외관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건축용 부재를 구성하는 진공 단열재의 B-B’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실시의 형태 3에 있어서의 건축용 부재(12) 상에 나무재(9b)를 조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A)는, 진공 단열재(20)의 단부의 필렛부(비코어재부)(21b)의 폭을 설명하기 위한 제1 도면이고, 도 13(B)는, 진공 단열재(20)의 단부의 필렛부(비코어재부)(21b)의 폭을 설명하기 위한 제2 도면이다.
도 14는 실시의 형태 3의 변형예의 건축용 부재의 외관도이다.
도 15는 실시의 형태 3의 변형예의 건축용 부재(1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실시의 형태 4에 있어서의 건축용 부재의 외관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건축용 부재를 구성하는 진공 단열재의 C-C’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실시의 형태 5에 있어서의 건축용 부재의 외관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건축용 부재(12)를 구성하는 경질 폴리우레탄 폼의 D-D’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실시의 형태 6에 있어서의 구조용 면재(12)의 외관도이다.
도 21은 실시의 형태 7에 있어서의 건물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2는 실시의 형태 8에 있어서의 건물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3은 실시의 형태 8에 있어서의 진공 단열재의 평면도이다.
도 24는 실시의 형태 8에 있어서의 진공 단열재의 평면도이다.
도 25는 실시의 형태 8에 있어서의 진공 단열재의 평면도이다.
도 26은 실시의 형태 9에 있어서의 진공 단열재가 곡면을 갖는 벽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7은 실시의 형태 10에 있어서의 롤 형상으로 감긴 상태의 진공 단열재(2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8은 실시의 형태 10에 있어서의 롤 형상으로 감긴 상태의 진공 단열재(2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9는 실시의 형태 10에 있어서의 롤 형상으로 감긴 상태의 진공 단열재(2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3 : 외벽 마무리재 9b : 나무재
11 : 건물 12 : 건축용 부재
12a : 구조용 면재 14, 14A, 14B, 14C : 진공 단열재
15 : 방수 시트 16 : 방습 기밀 시트
17 : 코어재 18 : 외피재
19 : 못
20, 20A, 20B, 20C : 진공 단열재
23 : 금속박층 24 : 금속 증착층
25 : 폴리아크릴산계 수지층
27 : 진공 단열재 28 : 경질 폴리우레탄 폼
29 : 관통공 30 : 진공 단열재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때, 배경 기술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구성물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마찬가지로, 복수의 실시 형태 중의 후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먼저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구성물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의 형태에 의해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의 형태 1)
도 3은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건물(11)의 개략 단면도, 도 4는 건물(11)의 외벽부(11a)의 사시 단면도, 도 5는 건물(11)의 외벽부(11a)의 단면도, 도 6은 건물(11)에 이용되는 건축용 부재(12)의 외관도, 도 7은 도 6의 건축용 부재(12)를 구성하는 진공 단열재(14)의 A-A’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건물(11)은, 건축용 부재(12)가 외벽 마무리재(3) 및 지붕재(4)의 안쪽 부분과 바닥 마무리재(13)의 외측 부분에 설치됨으로써, 단열성을 확보하고 있다.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단열 시공 공정에서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 이, 콘크리트 기초(5) 상의 토대 기둥(6)에 나무축(7)을 끼워넣고, 나무축(7)에 건축용 부재(12)를 붙이고, 그 위에 복수의 나무재(9b)를 수직 방향으로 평행하게 조합하여, 나무재(9b)에 외벽 마무리재(3)를 고정한다.
건축용 부재(12)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부인 판형상의 구조용 면재(12a)와 판형상의 진공 단열재(14)가 일체화되어 있는 건축용 부재이다. 구조용 면재(12a)의 한쪽 면과 진공 단열재(14)의 한쪽 면부가 접착제에 의해 접착됨으로써, 구조용 면재(12a)와 진공 단열재(14)는 일체화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진공 단열재(14)가 나무재(9b)와 대향하도록, 건축용 부재(12)는 나무축(7)에 붙여진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진공 단열재(14)의 면의 크기는, 구조용 면재(12a)의 면의 크기보다 약간 작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진공 단열재(14) 상(건축용 부재(12)와 나무재(9b)와의 사이)에는 방수 시트(15)가 배치되고, 구조용 면재(12a) 상(건축용 부재(12)와 나무축(7)과의 사이)에는 방습 기밀 시트(16)가 배치되어 있다.
진공 단열재(14)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진공 단열재(14)의 면의 크기보다 약간 작은 면을 갖는 1매의 코어재(17)를 구비한다. 진공 단열재(14)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매의 코어재(17)를 가스 배리어성을 갖는 외피재(18)로 피복하고, 진공 봉지함으로써 얻어진다.
코어재(17)의 재료는, 공극율이 높은 것, 바람직하게는 공극율이 80%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공극율이 90% 이상인 것이 적합하고, 공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분체나, 발포체나, 섬유체 등이 있고, 그 사용 용도나 필요 특성에 따라 어떤 하나의 재료가 사용된다.
분체로는, 무기계, 유기계, 및 이들 혼합물이 있고, 공업적으로는 건식 실리카, 습식 실리카, 펄 라이트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발포체로는, 우레탄 폼, 스틸렌 폼, 페놀 폼 등의 연속 기포체를 이용할 수 있다.
섬유체로는, 무기계, 유기계, 및 이들 혼합물이 있는데, 단열 성능의 관점에서 무기계의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계의 섬유로는, 글래스울, 글래스파이버, 알루미나 섬유, 실리카 알루미나 섬유, 실리카 섬유, 록 울 등이 있다.
진공 단열재(14)를 구성하는 외피재(18)는, 적어도 가스 배리어층 및 열 용착층을 갖는 것으로, 가스 배리어층에 대해, 손상이나, 마찰, 구부림, 찔러넣음 등에 의한 핀 홀 발생을 막을 필요가 있는 경우, 보호층이 설치된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한다.
진공 단열재(14)의 열 전도율은, 평균 온도 24℃에서, 0.005W/m·K로, 범용적인 단열재인 경질 우레탄 폼의 5배 정도의 단열 성능을 가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건물(11)은, 구조용 면재(12a)와 진공 단열재(14)가 일체화된 건축용 부재(12)를 나무축(7)에 간단히 붙임으로써 단열 시공이 완료된다. 이에 따라, 종래와 같이 발포 단열재를 잘라 나무재(9a) 사이에 채우는 공정을 없앨 수 있다. 또한, 전체적으로의 나무재의 사용량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단열 성능이 우수한 진공 단열재(14)가 사용되므로, 건 물(11)의 단열성은 높고, 에너지 절약화가 실현된다.
또한, 실시의 형태 1에서는, 도 4에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나무축(7)과 나무재(9b)와의 사이에, 면의 크기가 진공 단열재(14)의 면의 크기보다 약간 작은 1매의 코어재(17)를 갖는 진공 단열재(14)를 구비하는 건축용 부재(12)가 배치된다. 이에 따라, 건물(11)에 대한 진공 단열재(14)의 피복율이 커져 건물(11)의 단열성이 높아진다.
또한, 실시의 형태 1에서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진공 단열재(14) 상에 방수 시트(15)가 배치되므로, 외부의 수분이 진공 단열재(14)의 내부로 침입하는 것이 방지되어, 코어재(17)의 내압 증가에 의한 단열 성능의 악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의 형태 1에서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건축용 부재(12)의 구조용 면재(12a) 상, 즉, 구조용 면재(12a)와 나무축(7)과의 사이에 방습 기밀 시트(16)가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건물(11)의 내부의 습기를 많이 포함한 높은 온도의 공기가 구조용 면재(12a)와 진공 단열재(14)의 경계면에서 이슬이 맺히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닥 아래에 히터가 설치되는 경우, 건축용 부재(12)는, 히터로부터의 방열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히터보다 바깥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의 형태 2)
도 8은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의 건축용 부재(12)의 외관도, 도 9는 건축용 부재(12) 상에 나무재(9b)를 조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의 건물(11)에 사용하는 건축용 부재(12)는, 구조용 면재(12a)와 복수 매의 진공 단열재(14)가 일체화되어 있는 건축용 부재이다. 다시 말하면, 구조용 면재(12a)와, 구조용 면재(12a) 면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면을 갖는 복수 매의 진공 단열재(14)는, 구조용 면재(12a) 상에, 복수 매의 진공 단열재(14)가 서로 겹치지 않고 2차원으로 배치된 상태로 일체화되어 있다.
건축용 부재(12)와 나무재(9b)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진공 단열재(14)의 코어재(17)를 피하도록 못(19)이 박혀짐으로써 고정된다. 못(19)대신에 비스로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9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실시의 형태 1과 마찬가지로, 진공 단열재(14) 상에 방수 시트(15)를 배치시키고, 구조용 면재(12a) 상(건축용 부재(12)와 나무축(7)과의 사이)에 방습 기밀 시트(16)를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진공 단열재(14)의 코어재(17)를 피할 수 있도록 코어재의 위치를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조용 면재(12a)와 복수 매의 진공 단열재(14)가 일체화한 건축용 부재(12)를 건물(11)에 이용하면, 건물(11)의 시공에 있어서, 어떠한 진공 단열재(14)의 코어재(17) 상에 못(19)이 박혀도, 그 이외의 진공 단열재(14)의 진공도는 악화되지 않고, 건축용 부재(12)의 전체적으로의 단열 성능의 악화를 억제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3)
도 10은 실시의 형태 3에 있어서의 건축용 부재(12)의 외관도, 도 11은 도 10의 건축용 부재(12)를 구성하는 진공 단열재(20)의 B-B’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12는 건축용 부재(12) 상에 나무재(9b)를 조합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의 형태 3에 있어서의 건물(11)에 사용하는 건축용 부재(12)는, 구조용 면재(12a)와 진공 단열재(20)가 일체화되어 있는 건축용 부재이다.
진공 단열재(20)는, 겹치지 않고 2차원형상으로 배치된 상태의 복수 개의 동일한 크기의 코어재(17)를, 2매의 외피재(18)에 의해 상하로부터 덮어 진공 봉지함으로써 얻어진다. 진공 단열재(20)에 있어서, 상하 외피재(18)의 사이에 코어재(17)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대기압에서 상하의 외피재(18)가 밀착할 수 있는 부분의 거의 전부가 외피재(18)의 열 용착부(21)로 되어 있고, 각 코어재(17)를 개별로 진공 봉지하고 있다. 열 용착부(21)는, 외피재(18)의 상측부와 하측부가 열에 의해 녹아 결합하는 부위로서, 각 코어재(17)를 독립한 공간에 존재시킨다. 여기서, 「전부」라고 표현하지 않고「거의 전부」라고 표현한 것은, 2매의 외피재(18)의 크기, 형의 미묘한 어긋남이나, 외피재(18)와 열용착 장치와의 크기, 형의 어긋남에 의해서, 진공 단열재(20)의 외주 가장자리의 선단 끝까지, 열 용착할 수 없거나, 일부러 선단 끝까지, 열용착하지 않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고, 또한, 열용착 장치에 있어서의 진공 단열재(20)를 가열 가압하는 부분의 코어재의 형상에 대한 추종성(유연성)에 따라서는, 코어재의 끝까지, 열 용착할 수 없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진공 단열재(20)의 외피재(18)는 라미네이트 구조를 갖고 있고, 코어재(17)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열 용착층(22), 가스 배리어층( 금속 박층(23), 금속 증착층(24) 및 폴리아크릴산계 수지층(25)), 보호층(26)이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열 용착층(22)은, 가열 및 가압됨으로써 외피재(18)의 내부를 진공 봉지하는 것이다. 열 용착층(22)으로서,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쇠사슬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필름 등 및 이들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가스 배리어층은, 외피재(18)의 외표면을 통해 코어재(17)로의 공기의 침입을 막는 것으로, 실시의 형태 3에서는, 코어재(17)의 한쪽면측에 설치된 금속 박층(23)과, 코어재(17)의 다른쪽 면측에 설치된 금속 증착층(24) 및 폴리아크릴산계 수지층(25)이, 가스 배리어층이다. 폴리아크릴산계 수지층(25)은, 금속 증착층(24) 상에 설치되어 있다.
보호층(26)은, 외피재(18)의 외표면에 있어서의 먼지나 쓰레기 등에 의한 손상이나, 마찰, 휘어짐, 나아가 못 등의 막대상 부재의 질러넣음 등에 의한 가스 배리어층에 있어서의 핀 홀의 발생을 막는 것이다. 보호층(26)으로서, 나일론 필름이나 폴리에틸렌텔레프타레이트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진공 단열재(20)의 열 전도율은, 평균 온도 24℃에 있어서, 0.005W/m·K로, 범용적 단열재인 경질 우레탄 폼의 5배 정도의 단열 성능을 가진다.
건축용 부재(12)와 나무재(9b)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진공 단열재(20)의 코어재(17)를 피하도록 못(19)이 박혀짐으로써 고정되어 있다. 즉, 못(19)은 열 용착부(21)에 박히고, 이에 따라, 나무재(9b)는 건축용 부재(12)에 고정된 다. 나무재(9b)는, 못(19) 대신에 비스로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1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실시의 형태 1과 마찬가지로, 진공 단열재(20) 상에 방수 시트(15)를 배치시켜, 구조용 면재(12a) 상(건축용 부재(12)와 나무축(7)과의 사이)에 방습 기밀 시트(16)를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의 형태 3에서는, 복수 개의 코어재(17) 각각이 독립한 공간에 존재한 상태에서 진공 봉지되어 있는 진공 단열재(20)와, 구조용 면재(12a)가 일체화된 건축용 부재(12)가 건물(11)에 이용된다. 이 때문에, 건물(11)의 시공에 있어서, 진공 단열재(20)중 어떠한 코어재(17) 상에 못이나 비스가 박혀도, 다른 코어재(17)에 있어서의 진공도는 악화하지 않고, 진공 단열재(20) 전체적으로의 단열 성능의 악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의 형태 3에서는, 진공 단열재(20)의 외피재(18)의 한쪽 면이 금속 증착층(24)을 갖는 라미네이트 필름이고, 다른쪽 면이 금속 박층(23)을 갖는 라미네이트 필름이고, 금속박층(23)과 금속 증착층(24)의 열 용량이 상이하다. 이 때문에, 진공 단열재(20)의 사용 시에 일어나는 2매의 라미네이트 필름의 접착면을 통해 발생하는 열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3에서는, 진공 단열재(20)가 복수 개의 코어재(17)를 가지므로, 2매의 라미네이트 필름의 접착면이 차지하는 비율이 크고, 금속박층(23)과 금속 증착층(24)의 열 용량이 다르므로, 열 누설의 영향을 방지하는 효과가 커진다.
또한, 실시의 형태 3에서는, 외피재(18)의 금속 증착층(24) 상에 폴리아크릴산계 수지층(25)이 설치되고, 금속 증착층(24) 단층의 경우와 비교하여 가스 배리 어성이 향상되어, 진공 단열재(20)의 단열 성능을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의 형태 3에서는, 진공 단열재(20)의 외피재(18)의 코어재(17)를 끼우지 않은 부분의 전체가 열 용착되어 있다(참조: 열 용착부(21)). 이 때문에, 도 13(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외피재(18)의 코어재(17)를 끼우지 않은 부분의 일부(21x)가 열용착되지 않은 경우의 진공 단열재(20x)의 단부의 필렛부(비코어재부)의 폭(21bx)에 비해, 도 10에 도시하는 진공 단열재(20)의 단부의 필렛부(비코어재부)의 폭(21b)을 좁힐 수 있다. 이에 따라, 진공 단열재(20) 표면에 있어서의 코어재(17)가 차지하는 면적이 커지므로, 진공 단열재(20) 표면의 유효 단열 면적의 비율이 커져, 단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상기의 내용을 더 자세히 설명하기 위해서, 도 13(B)를 도시한다. 도 13(B)는, 도 13(A)와 비교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3(B)를 도시하는 필렛부(비코어재부)의 폭(21b)을, 도 13(A)를 도시하는 필렛부(비코어재부)의 폭(21bx)에 비해서 좁힐 수 있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피재(18)의 코어재(17)를 끼우지 않은 부분의 전체가 열용착되어 있고(참조: 열 용착부(21)), 도 13(A)에 도시하는, 열 용착되지 않은 부분(21x)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그 부분(21x)이 존재하지 않음으로써, 도 13(B)를 도시하는 필렛부(비코어재부)의 폭(21b)을, 도 13(A)을 도시하는 필렛부(비코어재부)의 폭(21bx)에 비해서 좁힐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3(A)에 도시하는 진공 단열재(20x)와 비교해, 진공 단열재(20y) 표면에 있어서의 코어재(17)가 차지하는 면적이 커진다. 이 때문에, 진공 단열재(20y) 표면의 유효 단열 면적의 비율이 커져, 단열 효과를 높일 수 있 다.
또한, 실시의 형태 3에서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코어재(17)의 크기가 동일하다. 그러나,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코어재(17)의 크기는 달라도 된다. 예를 들면, 후에 못(19)이 박혀질 가능성이 있는 영역의 코어재(17)의 크기를 그 영역 이외의 크기보다 작게 한다. 이에 따라, 못(19)이 박혀질 가능성이 있는 영역의 어느 하나의 코어재(17)에 실제로 못(19)이 박혀져도, 그 코어재(17)의 면적은 작기 때문에, 진공 상태를 상실한 부분의 면적은, 복수 개의 코어재(17)의 크기가 동일한 경우보다 작아진다. 환언하면, 진공 상태가 유지되는 코어재(17)의 면적이 커진다. 그 결과, 진공 단열재(20) 전체적으로의 단열성을 높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건축용 부재(12)는, 코어재(17)의 구획으로(열용착부(21)) 구부리는 것이 가능하므로, 코어재(17)의 면적을 작게 해 두면, 구부림의 자유도가 향상된다. 또한, 구부릴 필요가 있는 부위의 코어재(17)의 면적을 작게 하는 동시에, 구부릴 필요가 없는 부위의 코어재(17)의 면적을 크게 해 두면, 건축용 부재(12)는, 특정한 부위에서만 구부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복수 개의 코어재(17)의 형상 및 두께는 달라도 된다.
또한,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건축용 부재(12)는, 구조용 면재(12a) 상에, 진공 단열재(20a)와 진공 단열재(20b)가 적층되어 일체화된 것이어도 된다. 이 때, 진공 단열재(20a) 및 진공 단열재(20b)는, 코어재(17)가 겹치지 않도록,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어재(17)의 크기 및 수 중 하나 또는 양쪽을 조정함으 로써, 1매의 진공 단열재(20)를 이용했을 시의 열용착부(21)의 부분에도 코어재(17)가 위치하도록, 진공 단열재(20a)와 진공 단열재(20b)를 적층한 상태에서 구조용 면재(12a)와 일체화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단열 효과가 향상된다. 또한, 진공 단열재(20)는, 3매 이상 적층한 상태에서 구조용 면재(12a)와 일체화해도 된다.
(실시의 형태 4)
도 16은 실시의 형태 4에 있어서의 건축용 부재(12)의 외관도, 도 17은 도 16의 건축용 부재(12)를 구성하는 진공 단열재(27)의 C-C’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의 형태 4에 있어서의 건물(11)에 사용하는 건축용 부재(12)는, 구조용 면재(12a)와 진공 단열재(27)가 일체화되어 있는 건축용 부재이다.
진공 단열재(27)는, 복수 개의 코어재(17)를 1개의 외피재(18)에 의해 덮어 진공 봉지함으로써 얻어진다. 진공 단열재(27)에 있어서, 코어재(17)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은 모두 외피재(18)의 열용착부(21)로 되어 있고, 각 코어재(17)는 개별로 진공 봉지되어 있다. 열 용착부(21)는, 각 코어재(17)를 독립한 공간에 존재시킨다.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진공 단열재(27)의 외피재(18)는 라미네이트 구조를 가지고, 코어재(17)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열 용착층(22), 가스 배리어층(금속 증착층(24) 및 폴리아크릴산계 수지층(25)), 보호층(26)이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시의 형태 4의 진공 단열재(27)는, 실시의 형태 3의 진공 단열재(20)와 가스 배리어층의 구성 이외는 동일하다.
가스 배리어층은, 외피재(18)의 외표면을 통한 코어재(17)로의 공기의 침입을 막는 것으로, 실시의 형태 4에서, 외피재(18)의 양면의 금속 증착층(24) 및 폴리아크릴산계 수지층(25)이 가스 배리어층이다. 폴리아크릴산계 수지층(25)은, 금속 증착층(24) 상에 설치된다.
진공 단열재(27)의 열 전도율은, 평균 온도 24℃에 있어서, 0.005W/m·K로, 범용적인 단열재인 경질 우레탄 폼의 5배 정도의 단열 성능을 가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의 형태 4에서는, 복수 개의 코어재(17) 각각이 독립한 공간에 존재하여 진공 봉지되어 있는 진공 단열재(27)와, 구조용 면재(12a)가 일체화된 건축용 부재(12)가 건물(11)에 이용된다. 진공 단열재(27)의 외피재(18)의 양면이 열용량이 작은 금속 증착층(24)이므로, 접착면을 통해 발생하는 열 누설을 억제하는 효과가 높고, 진공 단열재(27)의 단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실시의 형태 5)
도 18은 실시의 형태 5에 있어서의 건축용 부재(12)의 외관도, 도 19는 도 18의 건축용 부재(12)를 구성하는 경질 폴리우레탄 폼(28)의 D-D’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의 형태 5에 있어서의 건물(11)에 사용하는 건축용 부재(12)는, 구조용 면재(12a)와 경질 폴리우레탄 폼(28)이 일체화되어 있는 건축용 부재이다.
경질 폴리우레탄 폼(28)은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의 형태 4에 있 어서의 진공 단열재(27)를 내포하도록 우레탄 분자를 발포시킴으로써 생성된다. 또한, 경질 폴리우레탄 폼(28)은, 실시의 형태 1부터 실시의 형태 3의 어느 하나의 진공 단열재를 내포하고 있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의 형태 5에서는, 구조용 면재(12a)와, 실시의 형태 4에서 설명한 진공 단열재(27) 등의 진공 단열재를 내포하는 경질 폴리우레탄 폼(28)이 일체화된 건축용 부재(12)가 건물(11)에 이용된다. 진공 단열재는 노출되지 않으므로, 시공 현장에 있어서의 이물이나, 취급 불량에 의한 진공 단열재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경질 폴리우레탄 폼(28)의 사용에 의해 단열 성능은 한층 더 높아져, 건물(11)의 단열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경질 폴리우레탄 폼(28)의 사용에 의해, 건축용 부재(12)의 구조적 강도가 향상되고, 반송성이나 취급의 작업성이 좋아져, 평면성이 나온다.
경질 폴리우레탄 폼(28)은 발포계 단열재의 일예이다.
(실시의 형태 6)
도 20은 실시의 형태 6에 있어서의 건축용 부재(12)의 외관도이다.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의 형태 6에 있어서의 건물(11)에 사용하는 건축용 부재(12)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공(29)이 형성되는 구조용 면재(12a)와, 동일하게 두께 방향으로 관통공(29)이 형성되는 진공 단열재(30)가, 각각의 관통공(29)이 겹치도록 일체화되어 있다.
또한, 진공 단열재(30)의 구성은, 관통공(29)을 제외하면 먼저 설명한 실시 의 형태의 진공 단열재와 동일하다. 먼저 설명한 실시의 형태의 진공 단열재는, 진공 단열재(20) 또는 진공 단열재(27)여도 되고, 진공 단열재(14)여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의 형태 6에서는, 관통공(29)이 형성되는 건축용 부재(12)가 건물(11)에 이용되므로, 건물(11)의 내측과 외측을 관통시킬 필요가 있는 환기팬 등의 설비를, 단열성을 열화시키지 않고 설치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7)
도 21은 실시의 형태 7에 있어서의 건물(11)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의 형태 7에 있어서의 건물(11)은, 먼저 설명한 실시의 형태와 동일한 구성이고, 벽(31) 및 지붕(32)의 안쪽 부분과, 바닥재(33)의 하측 부분에, 진공 단열재(14)와 구조용 면재(12a)가 일체화한 구성의, 도 6에 도시하는 건축용 부재(12A, 12B, 12C)가 설치되어 있다.
진공 단열재(14)의 두께는, 소정의 단열 효과가 얻어지도록 결정된다.
예를 들면, 건물(11)이 한냉 지역에 위치하면 진공 단열재(14)의 두께는 커진다. 또한, 건물(11)의 부위에 따라 설치되는 진공 단열재(14)의 두께가 다른 경우가 있다. 실시의 형태 7에서, 건축용 부재(12A)의 진공 단열재(14)는 두께 5㎜이고, 건축용 부재(12B)의 진공 단열재(14)는 두께 7㎜이고, 건축용 부재(12C)의 진공 단열재(14)는 두께 3㎜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의 형태 7에서는, 진공 단열재(14)의 두께에 따라서 건물(11)의 단열도를 설계하고 있다. 이 때문에, 건물(11)이 시공되는 지역의 기후 조건이나 건물(11) 내에 있어서의 각 방의 용도 등에 따라, 건물(11)의 각 부위에 있어서의 열 손실 계수를 최적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거주자에게 있어서 쾌적한 건물(11)을 건축할 수 있다.
또한, 건축용 부재(12A, 12B, 12C)는, 진공 단열재(20), 진공 단열재(27), 또는 진공 단열재(30)와 구조용 면재(12a)가 일체화된 건축용 부재여도 된다.
(실시의 형태 8)
도 22는 실시의 형태 8에 있어서의 건물(11)의 개략 단면도, 도 23에서 도 25는 그 건물(11)에 이용되는 진공 단열재의 평면도이다.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의 형태 8에 있어서의 건물(11)은, 먼저 설명한 실시의 형태와 동일한 구성으로, 벽(31) 및 지붕(32)의 안쪽 부분과, 바닥재(33)의 하측 부분에, 복수 개의 코어재(17)로 구성된 진공 단열재(20)와 구조용 면재(12a)가 일체화된 구성의, 도 10에 도시하는 건축용 부재(12D, 12E, 12F)가 설치되어 있다.
진공 단열재(20)의 표면 전체에 대한 코어재(17)가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면적율)은, 소정의 단열 효과가 얻어지도록 결정된다. 면적율은, 코어재(17)의 크기나 열용착부(21)의 면적에 따라 결정되고, 코어재(17)부의 면적율이 클수록 건물(11)의 단열성이 높아진다.
예를 들면, 건물(11)이 한냉 지역에 위치하면 진공 단열재(20)의 표면 전체에 대한 코어재(17)가 차지하는 면적율은 커진다. 또한, 건물(11)의 부위에 따라, 설치되는 진공 단열재(20)의 코어재(17)부의 면적율이 다른 경우가 있다.
도 23은 건축용 부재(12D)의 진공 단열재(20D)를, 도 24는 건축용 부재(12E) 의 진공 단열재(20E)를, 도 25는 건축용 부재(12F)의 진공 단열재(20F)를 각각 나타내고, 코어재(17)부의 면적율은, 각각 91.2%, 93.8%, 80.2% 이다.
또한, 코어재(17)부의 면적율은, 시공 시에 있어서의 못박음 등에 의한 파손의 영향을 고려하여 결정할 필요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의 형태 8에서는, 진공 단열재(20)의 표면 전체에 대한 코어재(17)의 면적율을 고려하여, 건물(11)의 단열도를 설계한다. 이 때문에, 건물(11)이 시공되는 지역의 기후 조건이나 건물 내에 있어서의 각 방의 용도 등에 따라, 진공 단열재(20)의 단열 효과를 최적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거주자에게 있어서 쾌적한 건물(11)을 건축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9)
실시의 형태 3에 있어서, 도 10 및 도 14를 이용해 설명한 진공 단열재(20)는, 복수의 코어재(17)를 1개의 외피재(18)에 의해 덮어 진공 봉지함으로써 얻어진다. 이 때문에, 진공 단열재(20)는, 코어재(17)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 즉 열용착부(21)에서, 용이하게 구부릴 수 있다.
따라서, 진공 단열재(20)는,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돔 구장의 천장 부분 등의 곡면을 가지는 벽(40)에 밀착된 상태에서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도 26은 진공 단열재(20)가 곡면을 갖는 벽(40)에 부착된 경우의, 진공 단열재(20) 및 벽(40)의 단면도이다. 또한, 진공 단열재(20)는, 곡면을 갖는 벽(40)뿐만 아니라, 평면이 아닌 부분에 밀착된 상태로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한, 구조용 면재(12a)가 변형 가능한 것이면, 구조용 면재(12a)와 진공 단 열재(20)가 일체화한 건축용 부재(12)를, 곡면을 갖는 벽 등의 평면이 아닌 부분에 밀착된 상태로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축용 부재(12)는, 욕실에 이용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10)
진공 단열재(20)는,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롤 형상으로 감겨 있어, 원하는 크기로 절단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따라, 진공 단열재(20)를, 폐기할 부분을 적게 하여 잘라낼 수 있다. 진공 단열재(20)는, 도 10 등을 이용해 설명한 바와 같이, 2차원형상으로 겹치지 않고 배치된 상태의 복수 개의 동일한 크기의 코어재(17)를, 1개의 외피재(18)에 의해 상하에서 덮어 진공 봉지함으로써 얻어진 것이다. 따라서, 진공 단열재(20)는, 원하는 사이즈로 절단되어도, 절단된 것에 의한 파손의 영향을, 절단된 부분 이외의 부위에 미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실시의 형태 10의 진공 단열재(20)는, 다양한 크기, 형상으로 잘라낼 수 있다.
또한, 진공 단열재(20)는,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쪽 상면에 점착층(50)이 설치되고, 그 위에 박리지(51)가 형성되고, 그 상태에서 롤 형상으로 감겨 있어도 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박리지(51)를 박리하는 것만으로, 원하는 크기로 절단된 진공 단열재(20)를, 원하는 부위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점착층(50) 및 박리지(51)는, 진공 단열재(20)의 양쪽 면에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진공 단열재(20)는,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30㎝ 간격 등의 소정 간격으로 마크(60)가 붙여져도 된다. 마크(60)를 이용하면, 크기를 용이하게 알 수 있으므로, 건물(11)의 시공 현장에 있어서, 작업자는, 원하는 크기의 진공 단열재(20)를 용이하게 절단하여, 얻을 수 있다. 마크(60)는, 점선 구멍 등이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진공 단열재 및 건축용 부재(12)는, 신축의 건축물에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축물을 리폼할 시에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축용 부재는, 신축이나 리폼에 있어서 건축물을 시공할 때 등에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건물은, 주택용의 건물뿐만 아니라, 상업용의 건물 등에 유용하다.

Claims (26)

  1. 삭제
  2. 삭제
  3. 코어재가 진공으로 봉해진, 판형상의 단열재와,
    판형상의 구조용 면재를 구비하고,
    상기 단열재의 한쪽 면과 상기 구조용 면재의 한쪽 면이 대향한 상태에서, 상기 단열재와 상기 구조용 면재가 일체화되어 있는 건축용 부재로서,
    상기 단열재는, 겹치지 않고 2차원형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상기 코어재를 2매의 외피재로 상하로부터 덮어 각 상기 코어재를 독립적으로 진공으로 봉한 것이고, 상기 외피재의 각 상기 코어재를 끼우지 않은 부위의 상측부와 하측부는 상기 코어재의 가장자리까지 결합되어 있는, 건축용 부재.
  4. 청구항 3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코어재의 크기 또는 형상이 다른 건축용 부재.
  5. 삭제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구조용 면재의 한쪽 면과 대향하는 상기 단열재의 한쪽 면은, 상기 외피재가 상기 코어재와 대향하는 부분과 대향하지 않는 부분에서 요철이 생기지 않아 표면이 평활하고, 상기 단열재의 다른쪽 면은, 상기 외피재가 상기 코어재와 대향하는 부분과 대향하지 않는 부분에서 요철이 생기는 건축용 부재.
  7. 청구항 3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단열재가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구조용 면재와 일체화되어 있는 건축용 부재.
  8. 청구항 7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단열재는, 상기 코어재가 겹치지 않도록 적층되어 있는 건축용 부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적층되어 있는 복수의 상기 단열재 중 적층 방향의 끝에 위치하는 상기 단열재는, 상기 단열재끼리 대향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이, 상기 외피재가 상기 코어재와 대향하는 부분과 대향하지 않는 부분에서 요철이 생기지 않아 표면이 평활한 건축용 부재.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적층되어 있는 복수의 상기 단열재는, 상기 단열재끼리 대향하는 면이, 상기 외피재가 상기 코어재와 대향하는 부분과 대향하지 않는 부분 에서 요철이 생기는 건축용 부재.
  11.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외피재는,
    상기 코어재의 한쪽 면측에 위치하는, 금속 증착층을 포함하는 제1 라미네이트 필름과,
    상기 코어재의 다른쪽 면측에 위치하는, 금속박층을 포함하는 제2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는 건축용 부재.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라미네이트 필름은, 상기 금속 증착층의, 상기 코어재로부터 먼 쪽의 면 상에 설치된 폴리아크릴산계 수지층을 포함하는 건축용 부재.
  13.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외피재는,
    상기 코어재의 한쪽 면측에 위치하는, 제1 금속 증착층을 포함하는 제1 라미네이트 필름과,
    상기 코어재의 다른쪽 면측에 위치하는, 제2 금속 증착층을 포함하는 제2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라미네이트 필름은, 상기 제1 금속 증착층의, 상기 코어재로부터 먼 쪽의 면 상에 설치된 폴리아크릴산계 수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라미네이트 필름은, 상기 제2 금속 증착층의, 상기 코어재로부터 먼 쪽의 면 상에 설치된 폴리아크릴산계 수지층을 포함하는 건축용 부재.
  1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는, 발포계 단열재에 내포되어 있고, 상기 발포계 단열재를 통해 상기 구조용 면재와 일체화되어 있는 건축용 부재.
  1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 및 상기 구조용 면재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공을 가지고,
    상호 상기 관통공이 겹치는 상태에서, 상기 단열재와 상기 구조용 면재는 일체화되어 있는 건축용 부재.
  1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의 외면에 설치된 방수 시트를 또한 구비하는 건축용 부재.
  1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구조용 면재의 외면에 설치된 방습 기밀 시트를 또한 구비하는 건축용 부재.
  18. 청구항 3에 기재된 건축용 부재와,
    상기 건축용 부재의 위에 조합된 나무재와,
    상기 나무재에 고정된 외벽 마무리재를 구비하는 건물.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건축용 부재는, 상기 단열재가 상기 나무재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건물.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건축용 부재는, (1) 복수의 상기 단열재가, 겹치지 않고 2차원형상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상기 구조용 면재와 일체화되어 있는 건축용 부재이거나, 또는 (2) 상기 단열재가, 복수의 상기 코어재가 겹치지 않고 2차원형상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각 상기 코어재가 독립적으로 진공으로 봉해진 부재인 건축용 부재로서,
    상기 나무재는, 못 또는 비스에 의해 상기 건축용 부재에 조합되는 건물.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청구항 3에 기재된 건축용 부재의 제조시 사용되는 단열재로서,
    코어재 복수 개가 진공으로 봉해진 시트형상이며,
    롤 형상으로 감겨 있는 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단열재.
  25. 청구항 3에 기재된 건축용 부재의 제조시 사용되는 단열재로서,
    다공체인 코어재가 진공으로 봉해진 평면형상이며,
    표면에 점착층이 설치되고, 상기 점착층 상에 박리지가 설치되어 있는 단열재.
  26. 청구항 3에 기재된 건축용 부재의 제조시 사용되는 단열재로서,
    다공체인 코어재 복수 개가 진공으로 봉해진 평면형상이며,
    소정의 간격으로 마크가 설치되어 있는 단열재.
KR1020077006639A 2004-10-28 2005-10-24 건축용 부재 및 건물 KR1009468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14824A JP3875248B2 (ja) 2004-10-28 2004-10-28 建物
JPJP-P-2004-00314824 2004-10-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8183A KR20070038183A (ko) 2007-04-09
KR100946854B1 true KR100946854B1 (ko) 2010-03-09

Family

ID=36227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6639A KR100946854B1 (ko) 2004-10-28 2005-10-24 건축용 부재 및 건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805901B2 (ko)
EP (1) EP1818468B1 (ko)
JP (1) JP3875248B2 (ko)
KR (1) KR100946854B1 (ko)
CN (1) CN101048558A (ko)
CA (1) CA2585352C (ko)
WO (1) WO20060465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30703B2 (en) * 2004-06-04 2010-11-09 Nec Corporation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254934B2 (ja) * 2006-07-31 2009-04-15 株式会社ケイエムハウテック 真空断熱材の取り付け構造
JP5523653B2 (ja) * 2006-08-23 2014-06-18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建物の外壁構造および外壁パネル
JP2008095365A (ja) * 2006-10-11 2008-04-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建物
JP4879710B2 (ja) * 2006-11-16 2012-02-22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建物の外壁パネル
JP5543698B2 (ja) * 2008-04-23 2014-07-09 住友不動産株式会社 既存壁の断熱改修工法および既存建物の断熱改修工法
JP5077058B2 (ja) * 2008-05-12 2012-11-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断熱改修壁
WO2010026510A1 (en) * 2008-09-05 2010-03-11 Colbond B.V. Thermal barrier in building structures
DE102009021813A1 (de) * 2009-04-02 2010-10-07 Ewald Dörken Ag Dämmittel zur Herstellung eines Wärmedämmsystems, Wärmedämmsystem sowie Gebäudehülle mit einem Wärmedämmsystem
IE20100784A1 (en) * 2009-12-21 2011-06-22 Kingspan Holdings Irl Ltd An insulating panel
JP5533288B2 (ja) * 2010-06-04 2014-06-25 トヨタ紡織株式会社 断熱内装材の製造方法
SE535033C2 (sv) * 2010-09-14 2012-03-20 Goesta Sundberg Ett byggnadsmaterial innefattande PCM och ett klimathölje
DE102011117144A1 (de) * 2011-10-28 2013-05-02 Stefan Lück Bauelement
CN102587526A (zh) * 2012-01-18 2012-07-18 浙江海天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水泥木丝板与墙体连接结构及施工方法
JP5869928B2 (ja) * 2012-03-19 2016-02-24 パナホーム株式会社 基礎断熱構造
US20150082724A1 (en) * 2013-09-24 2015-03-26 Victor Amend Reinforced insulating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2015215020A (ja) * 2014-05-09 2015-12-03 宇和断熱工業株式会社 複合断熱材及び複合断熱材の製造方法
KR20140114320A (ko) * 2014-08-29 2014-09-26 이봉재 건물의 외벽 마감재
FR3029227B1 (fr) * 2014-11-28 2018-02-16 Saint-Gobain Isover Kit et systeme d'isolation thermique et procede pour son installation
CA3023933C (en) * 2016-05-14 2022-06-14 Firestone Building Products Company, Llc Adhesive-backed composite insulation boards with vacuum-insulated capsules
CN105926825B (zh) * 2016-06-03 2018-11-09 沈阳建筑大学 木结构弧形节点及其加工方法
JP7194428B2 (ja) * 2018-05-07 2022-12-22 株式会社エービーシー商会 エキスパンションジョイント用の断熱帯及びエキスパンションジョイン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703202A (ko) * 1995-03-31 1998-10-15 휴스톤로버트엘 진공 단열재 패널과 일체화된 단열 모듈 패널 및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33190A (en) * 1938-11-07 1941-02-25 Amorosi Raoul Insulating board
US4593596A (en) 1983-06-17 1986-06-10 Gauger Gary L Portable drum set
US4579756A (en) * 1984-08-13 1986-04-01 Edgel Rex D Insulation material with vacuum compartments
US5082335A (en) * 1989-12-18 1992-01-21 Whirlpool Corporation Vacuum insulation system for insulating refrigeration cabinets
JPH0748884A (ja) 1993-08-04 1995-02-21 Achilles Corp 基準線付板状断熱材及び屋根、壁等の断熱施工法
JPH07139690A (ja) 1993-11-22 1995-05-30 Asahi Chem Ind Co Ltd 真空断熱材
JPH08303686A (ja) 1995-04-28 1996-11-22 Mitsubishi Chem Corp 真空断熱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950395A (en) * 1995-06-20 1999-09-14 Sanyo Electric Co., Ltd. Heat insulating structure and production process thereof
US5875599A (en) * 1995-09-25 1999-03-02 Owens-Corning Fiberglas Technology Inc. Modular insulation panels and insulated structures
JPH09111903A (ja) 1995-10-16 1997-04-28 Kubota Corp 断熱パネルの製造方法
JP3145038B2 (ja) 1996-10-07 2001-03-12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形状回復発泡体の施工方法およびこの施工方法に用いる発泡積層体
JPH10131314A (ja) 1996-10-25 1998-05-19 Asahi Corp 断熱防水材
JPH10196000A (ja) 1997-01-10 1998-07-28 Shigekiyo Tsuge 断熱材
JP3271053B2 (ja) 1997-05-14 2002-04-02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建築用断熱材および断熱構造
US5987833A (en) * 1997-06-24 1999-11-23 Owens Corning Fiberglas Technology, Inc. Vacuum packaged batt
JPH1122050A (ja) 1997-07-02 1999-01-26 Reiko Furuyama 断熱パネル
JP2000248653A (ja) 1999-02-26 2000-09-12 Matsushita Refrig Co Ltd 断熱パネル、および断熱パネル付随の梱包材あるいは仕様書、および断熱パネルの取り付け方法
JP2001248286A (ja) 2000-03-02 2001-09-14 Yasukawagumi:Kk 発泡スチロールを使用した内壁材及びそれを使用した自立支援型の介護用建築物
JP3750481B2 (ja) 2000-03-31 2006-03-01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真空断熱材、および断熱パネル
JP2001287291A (ja) 2000-04-10 2001-10-16 Dainippon Printing Co Ltd 断熱材および断熱部材
JP2002065461A (ja) 2000-09-05 2002-03-05 Tiger Vacuum Bottle Co Ltd 電気ポット
US6645598B2 (en) * 2002-01-04 2003-11-11 Robert J. Alderman Cell insulation blanket with phase change material, and method of making
JP3982748B2 (ja) 2002-03-22 2007-09-26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低熱伝導率性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DE10225167B4 (de) * 2002-06-06 2006-11-09 Manuela Skorka-Dittrich Raumhohes Außenwandelement
JP3559035B2 (ja) 2002-12-05 2004-08-25 松下冷機株式会社 真空断熱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真空断熱材を使用した防寒具および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ー
JP4039945B2 (ja) 2002-12-26 2008-01-30 ダウ化工株式会社 建築用パネルおよび建物の断熱構造
JP2004250477A (ja) 2003-02-18 2004-09-09 Fujimori Kogyo Co Ltd コーティング剤およびガスバリア性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703202A (ko) * 1995-03-31 1998-10-15 휴스톤로버트엘 진공 단열재 패널과 일체화된 단열 모듈 패널 및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18468A4 (en) 2014-04-02
CA2585352C (en) 2011-06-14
WO2006046520A1 (ja) 2006-05-04
CA2585352A1 (en) 2006-05-04
KR20070038183A (ko) 2007-04-09
US20070257227A1 (en) 2007-11-08
JP2006125051A (ja) 2006-05-18
CN101048558A (zh) 2007-10-03
EP1818468A1 (en) 2007-08-15
US7805901B2 (en) 2010-10-05
EP1818468B1 (en) 2019-01-09
JP3875248B2 (ja) 2007-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6854B1 (ko) 건축용 부재 및 건물
US6811852B2 (en) Reflective heat insulation
JPH04228740A (ja) 積層状土台ラツプ組立品
JP5077259B2 (ja) 建物と住宅
EP1987208B1 (en) Thermal insulation plate comprising an insulating core and an elevated surface portion, thermally insulated structure of such plate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uch structure
GB2449985A (en) Thermal insulation having securing flaps compensating for variation in coverage
JP2010047902A (ja) 断熱壁とそれを適用した建物および住宅
JP4615489B2 (ja) 断熱施工方法
JP5157119B2 (ja) 建物の壁
JP5077081B2 (ja) 断熱壁とそれを適用した建物および住宅
JP2010007405A (ja) 断熱壁とそれを適用した建物および住宅
JP2003056090A (ja) 複合断熱材
JP2010013839A (ja) 断熱壁
WO2012098728A1 (ja) 真空断熱材及びこれを備えた真空断熱パネル
JP2008095365A (ja) 建物
JP2010071041A (ja) 通気性断熱屋根複合パネル、及び該パネルを用いた木造外張り断熱屋根構造
JP3912590B2 (ja) 断熱気密構造
JP5239389B2 (ja) 断熱壁とそれを適用した住宅
JP5217594B2 (ja) 断熱壁とそれを適用した建物および住宅
JP3862221B2 (ja) 断熱気密構造
JP2010007333A (ja) 断熱壁とそれを適用した建物および住宅
JP2017227101A (ja) システム断熱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5612376B2 (ja) 断熱屋根構造
JPS6232306B2 (ko)
JPH0644818U (ja) 断熱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