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3781B1 - 척킹 장치를 구비한 모터 및 이 모터를 탑재한 디스크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척킹 장치를 구비한 모터 및 이 모터를 탑재한 디스크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3781B1
KR100943781B1 KR1020080024562A KR20080024562A KR100943781B1 KR 100943781 B1 KR100943781 B1 KR 100943781B1 KR 1020080024562 A KR1020080024562 A KR 1020080024562A KR 20080024562 A KR20080024562 A KR 20080024562A KR 100943781 B1 KR100943781 B1 KR 100943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k
motor
circumferential direction
contact
claw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4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5718A (ko
Inventor
히토시 다카키
유스케 이와이
사토루 구라모토
다츠야 다타라
Original Assignee
니혼 덴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덴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덴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85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5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3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3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11B17/0284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by clamp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Landscapes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크를 척킹 장치에 장착하기 쉽고 또한 맞붙임 디스크와 같은 두께가 큰 디스크에 대해서도 충분한 유지력을 발휘할 수 있는 척킹 장치를 구비한 모터 및 이 모터를 탑재한 디스크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모터는, 발톱 부재(42)의 발톱부(421)에 형성된 디스크 유지면(4213)의 둘레방향의 중앙에는 오목형상으로 되는 슬라이딩부(4214)가 형성된다. 그리고, 슬라이딩부(4214)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슬라이딩부(4214)를 슬라이딩시키는 것에 의해서, 발톱 부재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받이부(414)가 형성된다. 디스크 유지면(4213)은 슬라이딩부(4214)보다 선단부(4212)측에 있어서, 발톱부(421)의 둘레방향의 폭에 걸쳐 연속해서 형성된다.

Description

척킹 장치를 구비한 모터 및 이 모터를 탑재한 디스크 구동 장치{MOTOR WITH A CHUCKING DEVICE AND DISK DRIVE APPARATUS EQUIPPED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원반형상의 디스크를 착탈 가능하게 하는 척킹 장치를 구비한 모터 및 이 모터를 탑재한 디스크 구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척킹 장치의 디스크의 유지력 향상 및 디스크 장착력 저감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CD 등의 광디스크(이하, 단지 디스크라 함)를 착탈 가능하게 하는 장치로서, 척킹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척킹 장치는 모터의 상부에 부착되며, 모터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는 것에 의해서, 디스크를 회전시키고 있다.
최근, 디스크 구동 장치의 박형화에 수반해서, 척킹 장치를 구비한 모터의 박형화가 필수로 되고 있다. 이러한 형태의 모터에서는 척킹 장치의 두께가 큰 비율을 차지하기 때문에, 척킹 장치의 박형화는 디스크 구동 장치의 박형화에 큰 효과가 있다.
종래의 박형화를 실현한 척킹 장치로서, 특허문헌 1과 같이, 디스크를 유지하는 발톱 부재에 있어서, 디스크와 접촉하는 디스크 유지면과, 디스크 유지면의 둘레방향의 양 측부에 형성된 발톱 부재의 직경방향 내측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하향 가이드면을 구비하는 것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5-251298호
또 최근, 디스크에 기록하는 정보량의 증대에 수반해서, 2개의 디스크 기판을 붙여서 형성된 DVD 등의 맞붙임 디스크(laminated disk) 사용이 많아지고 있다. 맞붙임 디스크는 디스크의 두께가 크기 때문에, 박형의 척킹 장치에서는 충분히 디스크를 유지하는 힘(이하, 유지력)을 얻을 수 없었다. 특히, 특허문헌 1과 같은 발톱 부재의 구성에서는 하향 가이드면이 디스크 유지면의 양 측부에 있기 때문에, 디스크 유지면의 둘레방향의 폭을 확보할 수 없다. 따라서, 특허문헌 1과 같은 척킹 장치는 두께가 큰 디스크에 대해 충분한 유지력을 얻을 수 없었다.
또한, 유지력을 얻기 위해, 코일 스프링의 스프링력을 강화하는 방법이 고려된다. 그러나, 스프링력을 강화한 경우, 디스크를 척킹 장치에 장착할 때에, 발톱 부재가 직경방향 내측으로 잘 이동하지 않게 되어 버린다. 그 결과, 디스크의 장착력의 증가를 초래해 버리는 문제가 발생해 버린다.
또한, 디스크 구동 장치의 박형화에 수반해서, 모터를 트래버스(traverse)하기 위한 이동 거리가 적어지기 때문에, 디스크를 척킹 장치에 장착시키는 힘은 낮아져 버린다. 그 때문에, 척킹 장치는 디스크를 장착하기 쉬운 구조인 것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디스크를 척킹 장치에 장착하기 쉽고, 또한 맞붙임 디스크와 같은 두께가 큰 디스크에 대해서도 충분한 유지력을 발휘할 수 있는 척킹 장치를 구비한 모터 및 이 모터를 탑재한 디스크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의하면, 중심 개구부를 갖는 원반형상의 디스크를 착탈 가능하게 하는 척킹 장치를 구비한 모터로서, 소정의 중심축의 주위를 회전하는 로터 마그네트와, 상기 로터 마그네트를 유지하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로부터 상기 중심축을 향해 연장하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디스크의 하면이 맞닿는 탑재부를 갖는 로터 홀더를 갖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를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축받이 부재와, 상기 로터 마그네트에 대향하는 스테이터를 갖는 고정체를 구비하고, 상기 척킹 장치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회전체의 축방향 상측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한 원통부 및 상기 원통부의 축방향 상측을 덮는 덮개부를 갖고, 상기 디스크의 상기 중심 개구부가 맞물리는 센터 케이스와; 상기 센터 케이스에 수용되는 탄성 부재와, 상기 탄성 부재의 직경방향 외측에 맞닿고, 상기 디스크를 유지하는 발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발톱 부재는 선단부와; 상기 선단부보다 축방향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크를 유지하는 디스크 유지면을 갖고, 상기 디스크 유지면의 둘레방향의 중앙부에는 오목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톱 부재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딩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상기 슬라이딩부와 접촉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발톱 부재를 받는 받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디스크가 삽입될 때에 상기 받이부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따르면, 슬라이딩부를 디스크 유지면의 대략 중앙부에 오목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발톱 부재의 축방향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척킹 장치의 축방향 높이를 낮게 할 수 있고, 모터의 박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디스크 유지면의 양 측부에 슬라이딩부를 마련할 필요가 없으므로, 발톱 부재의 둘레방향의 폭을 좁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척킹 장치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디스크 유지면의 양 측부에 슬라이딩부를 마련하는 구조와, 둘레방향의 폭이 동일한 경우, 디스크 유지면의 둘레방향의 폭을 더욱 크게 마련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크의 유지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부를 디스크 유지면의 대략 중앙부에 오목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받이부와 슬라이딩부의 접촉 위치를 축방향으로 높은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크를 척킹 장치에 장착할 때에 발톱 부재 자체가 축방향 하측으로 지나치게 내려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발톱 부재의 선단부의 축방향의 위치를 상측에 배치할 수 있다. 그 결과, DVD 등의 2개의 디스크 기판을 맞붙여서 형성되는 맞붙임 디스크를 척킹 장치에 장착할 때에, 디스크 기판의 맞붙임 부분, 즉 디스크 기판의 사이에 발톱 부재의 선단부가 배치되어 버리는 현상인 하프 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부와 받이부의 접촉 위치를 높은 위치에 형성할 수 있는 것에 의해, 이 접촉 위치로부터 발톱 부재의 선단부까지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디스크를 장착할 때의 발톱 부재의 선단부의 축방향 하측으로 회전운동하는 움직임을 크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발톱 부재를 축방향 하측으로 크게 경사시킬 수 있으므로, 디스크를 장착시킬 때의 힘이 저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관련되고, 상기 발톱 부재의 둘레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있어서의 상기 선단부와 상기 슬라이딩부의 직경방향의 사이에는 디스크 유지면이 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따르면, 디스크 유지면을 오목부보다 선단측에서 둘레방향으로 연속시키는 것에 의해, 두께가 큰 디스크에 대해서도 높은 유지력을 유지할 수 있다. 즉, 두께가 작은 디스크에 대해서는 발톱 부재의 디스크 유지면의 하측에서 디스크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발톱 부재의 선단부는 디스크의 중심 개구부의 내주가장자리에서 크게 직경방향 외측까지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두께가 큰 디스크에서는 디스크 유지면의 상측에서 유지하므로, 발톱 부재의 선단부는 디스크의 두께가 큰 경우일수록, 디스크의 중심 개구부의 내주가장자리에서 크게 직경방향 외측까지 위치할 수 없다. 그 때문에, 디스크를 유지하는 힘은 저하해 버린다. 여기서, 디스크 유지면의 오목부보다 선단부측을 둘레방향으로 연속된 형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두께가 큰 디스크에 대해서는 디스크 유지면의 둘레방향에 접촉시키는 면적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디스크의 빠짐에 대한 억제력이 커진다. 따라서, 높은 유지력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의하면,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중의 어느 한 항에 관련되고, 상기 슬라이딩부 및 상기 받이부의 접촉 부분은 서로 둘레방향으로 기울기가 없는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따르면, 슬라이딩부 및 받이부의 접촉 부분이 서로 둘레방향에 기울기가 없는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에 의해, 발톱 부재가 둘레방향으로 기운 상태에서 디스크를 유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크를 척킹 장치에 장착할 때의 발톱 부재의 덜컹거림을 억제한 척킹 장치 및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의하면, 청구항 3에 관련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에 있어서의 상기 받이부와 접촉하는 평면의 둘레방향의 폭의 크기는 상기 받이부에 있어서의 상기 슬라이딩부와 접촉하는 평면의 둘레방향의 폭의 크기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따르면, 슬라이딩부에 있어서의 받이부와 접촉하는 평면의 둘레방향의 폭의 크기가 받이부에 있어서의 슬라이딩부와 접촉하는 평면의 둘레방향의 폭의 크기보다 큰 것에 의해, 받이부와 디스크 유지면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의 어느 한 항에 관련되고, 상기 디스크 유지면과 상기 중심축이 이루는 예각의 크기는 상기 슬라이딩부와 상기 중심축이 이루는 예각의 크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따르면, 디스크 유지면과 중심축이 이루는 예각의 크기가 슬라이딩부와 중심축이 이루는 예각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에 의해서, 슬라이딩부를 따른 안정된 발톱 부재의 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척킹 장치에 디스크를 반복해서 장착했다고 해도, 척킹 장치는 안정된 디스크의 유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신뢰성이 높은 척킹 장치를 구비한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의하면, 청구항 5에 관련되고, 상기 발톱 부재는 사출 성형에 의해서 형성되고, 상기 디스크 유지면보다 축방향 하측에는 상기 디스크 유지면과 연속된 상기 디스크와는 접촉하지 않는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와 상기 중심축이 이루는 예각의 크기는 상기 슬라이딩부와 상기 중심축이 이루는 예각의 크기와 대략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따르면, 경사부와 중심축이 이루는 예각의 크기와 슬라이딩부와 중심축이 이루는 예각의 크기가 대략 동일한 것에 의해서, 사출 성형에 있어서의 금형의 이형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금형의 형상을 간소화할 수 있는 것에 의해, 금형비를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7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의 어느 한 항에 관련되고, 상기 디스크 유지면에 있어서의 상기 슬라이딩부를 사이에 둔 부위는 상기 선단부를 향해 둘레방향의 폭이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7에 따르면, 디스크 유지면의 둘레방향의 폭이 커지는 것에 의해서, 디스크에 가해지는 압압력을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크가 속도변화를 수반해서 회전할 때의 디스크 탑재면에 대한 디스크의 둘레방향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8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의 어느 한 항에 관련되고, 상기 선단부는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선단부의 곡면은 반경이 대략 0.25㎜∼대략 0.30㎜인 원호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8에 따르면, 선단부의 크기를 반경이 대략 0.25㎜∼대략 0.30㎜인 원호형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발톱 부재가 디스크 기판과 디스크 기판의 사이에 배치되어 버리는 하프 척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발톱 부재를 축방향으로 작게 해도, 상기 범위로 선단부를 설정 하는 것에 의해서, 디스크 유지면의 크기도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디스크 압압력을 확보하면서도, 하프 척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9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모터를 탑재한 디스크 구동 장치로서, 상기 디스크를 광학적으로 기록 재생하는 광픽업 기구와, 상기 광픽업 기구를 상기 디스크의 직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이동 기구와, 상기 모터를 부착하는 섀시를 구비하고, 상기 섀시에는 개구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광픽업 기구는 상기 개구 구멍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9에 따르면, 박형화를 달성하면서도, 신뢰성이 높은 디스크 구동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크를 척킹 장치에 장착하기 쉽고 또한 맞붙임 디스크와 같은 두께가 큰 디스크에 대해서도 충분한 유지력을 발휘할 수 있는 척킹 장치를 구비한 모터 및 이 모터를 탑재한 디스크 구동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모터의 전체 구조>
본 발명의 모터의 실시예의 일 형태에 대해, 도 1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모터를 축방향으로 절단한 모식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모터(10)는 소정의 중심축 J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체(20)와, 회전체(20)를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고정체(30)와, 회전체(20)의 축방향 상측에 배치되고 중심 개구부를 갖는 디스크(도시 생략)를 착탈 가능하게 하는 척킹 장치(40)로 구성된다.
우선, 회전체(20)에 대해 설명한다.
회전체(20)는 중심축 J1과 동축에 배치되는 대략 원주형상의 샤프트(21)와, 샤프트(21)의 축방향 상부에 고정되는 로터 홀더(22)와, 로터 홀더(22)에 고정되는 원환형상의 로터 마그네트(23)를 구비한다.
로터 홀더(22)는 자성체의 박판의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성형된다. 그리고 로터 홀더(22)는 샤프트(21)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내주면을 갖는 원통형상의 샤프트 고정부(221)와, 샤프트 고정부(221)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덮개부(222)와, 덮개부(222)의 외주 가장자리에서 축방향 하측으로 연장하는 원통형상의 원통부(223)를 갖는다. 원통부(223)의 내주면에는 로터 마그네트(23)가 접착제에 의해서 고정된다.
덮개부(222)에 있어서의 중앙부에는 중심축 J1과 대략 동축으로 되고, 축방향 상측에 오목형상으로 되는 중앙 돌기부(2221)가 형성된다. 중앙 돌기부(2221)의 하단부의 직경방향 외측에는 직경방향 내측을 향해 연장하는 복수의 돌기(241)(본 실시예에서는 3개)를 가진 빠짐 방지 부재(24)가 고정되어 있다.
다음에, 고정부(30)에 대해 설명한다.
고정부(30)는 샤프트(21)를 직경방향으로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슬리브(31)와, 슬리브(31)를 유지하는 중공구멍을 갖는 베어링 부쉬(32)와, 베어링 부쉬(32)의 중공구멍의 축방향 하측을 덮는 플레이트(33)와, 플레이트(33)의 상면에 배치되고 샤프트(21)의 하단면과 슬라이딩하는 것에 의해서, 샤프트(21)를 축방향으로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스러스트 플레이트(34)와, 베어링 부쉬(32)의 외측에 고정되는 스테이터(35)와, 스테이터(35)의 하측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36)과, 회로 기판(36)의 하면과 맞닿는 상면을 갖고 베어링 부쉬(32)에 고정되는 부착판(37)을 구비한다.
슬리브(31)는 함유(含油) 소결 금속으로 구성되고, 샤프트(21)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축받이면으로 이루어진 내주면을 갖는 대략 원통형상이다. 슬리브(31)의 외주면은 베어링 부쉬(32)의 중공구멍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있다.
베어링 부쉬(32)는 슬리브(31)를 고정시키는 원통부(321)와, 원통부(321)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하고, 스테이터(35)를 고정시키는 스테이터 고정부(322)를 갖는다. 또한, 베어링 부쉬(32)의 하면에는 플레이트(33)를 코킹에 의해서 고정시키는 내측 돌기부(323)와, 내측 돌기부(323)보다 직경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부착판(37)을 코킹에 의해 고정시키는 외측 돌기부(324)를 갖는다. 또한, 원통부(321)의 상단부에는 직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갈고리부(3211)가 형성된다. 여기서, 빠짐 방지 부재(24)의 돌기(241)는 갈고리부(3211)의 축방향 하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돌기(241)의 내주 가장자리는 갈고리부(3211)의 외주 가장자리보다 직경방향 내측에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회전체(20)가 축방향 상측으로 이동하려고 해도, 돌기(241)의 상면이 갈고리부(3211)의 하면과 접촉하는 것에 의해서, 그 이동을 규제한다.
빠짐 방지 부재(24)와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베어링 부쉬(32)의 상면에는 로터 홀더(22)를 축방향 하측으로 흡인하는 원환형상의 흡인 마그네트(25)가 배치된다.
스테이터(35)는 베어링 부쉬(32)의 스테이터 고정부(322)에 접착제를 거쳐서 고정된다. 스테이터(35)는 박판의 자성강판을 축방향으로 복수 적층하여 형성되는 스테이터 코어(351)와, 스테이터 코어(351)에 도전선을 감아 형성되는 코일(352)을 구비한다. 그리고, 스테이터 코어(351)는 원환형상의 코어백부(3511)와, 코어백부(3511)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복수 연장되는 톱니부(3512)로 구성된다. 도전선은 톱니부(3512)의 각각에 복수층 감는 것에 의해서, 코일(352)을 형성한다.
도시하지 않은 외부전원으로부터 코일(352)에 전류를 통류하는 것에 의해, 코일(352)과 로터 마그네트(23)의 사이에 회전 자계가 형성되고, 회전체(20)는 중심축 J1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토크에 의해서 소정의 둘레방향으로 회전한다.
<척킹 장치의 전체 구조>
다음에 본 발명의 척킹 장치(40)에 대해, 도 2 내지 도 14를 이용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척킹 장치(40)의 주위의 확대도이다. 도 3은 척킹 장치(40)를 상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은 척킹 장치(40)의 센터 케이스(41)를 나타내고, 도 4는 센터 케이스(41)를 축방향으로 절단한 모식 단면도이며, 도 5는 센터 케이스(41)를 상측에서 본 평면도이고, 도 6은 센터 케이스(41)를 하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또한, 도 7 및 도 8은 척킹 장치(40)의 받이부(4141) 주변을 확대한 도면을 나타내고, 도 7은 도 4의 받이부(4141) 주변을 확대한 확대도이며, 도 8은 받이부(4141)를 정면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4는 척킹 장치(40)의 발톱 부재(42)를 나타내고, 도 9는 발톱 부재(42)의 사시도이며, 도 10은 발톱 부재(42)를 정면에서 본 평면도이고, 도 11은 발톱 부재(42)를 상면에서 본 평면도이며, 도 12는 발톱 부재(42)를 하면에서 본 평면도이고, 도 13은 발톱 부재(42)를 후면에서 본 평면도이다. 또한, 도 14는 발톱 부재(42)를 축방향으로 절단한 모식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척킹 장치(40)는 중심축 J1과 동심으로 배치되는 대략 원반형상의 센터 케이스(41)와, 센터 케이스(41)로부터 돌출된 직경방향으로 이동 자유로운 복수의 발톱 부재(42)(본 실시예에서는 3개)와, 센터 케이스(41) 내에 수용되고, 각 발톱 부재(42)를 직경방향 외측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 부재(43)(본 실시예에서는 코일 스프링)와, 센터 케이스(41)보다 직경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도시하지 않은 디스크의 하면과 접촉하는 디스크 탑재부(44)를 구비한다.
도 2를 참조하여, 로터 홀더(22)의 중앙 돌기부(2221)에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 내측 원통부(2221a)와, 내측 원통부(2221a)와 샤프트 고정부(221)를 연결하는 내측 덮개부(2221b)를 구비한다. 내측 덮개부(2221b)의 내주 가장자리는 샤프트 고정부(221)와 접속된다.
후술하는 센터 케이스(41)의 베이스부(411)의 내주면은 샤프트 고정부(221)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것에 의해서 고정된다. 또한, 베이스부(411)의 하면은 내측 덮개부(2221b)의 상면과는 접촉하지 않는다(즉, 베이스부(411)의 하면과 내측 덮개부(2221b)의 상면은 축방향으로 미소 간극이 형성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센터 케이스(41)의 원통부(414)의 하면과 덮개부(222)의 상면과도 접촉하지 않는다(즉, 원통부(414)의 하면과 덮개부(222)의 상면은 축방향으로 미소 간극이 형성된다). 이 구조에 의해, 센터 케이스(41)는 로터 홀더(22)에 대해, 베이스부(411)의 하면의 평행도 및 원통부(414)의 하면의 평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일 없이, 고정밀도로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센터 케이스(41)에 마련된 받이부(4141)의 축방향 및 직경방향의 위치를 정밀도 좋게 결정할 수 있으므로, 발톱 부재(42)의 이동에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센터 케이스(41)는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수지재료를 사출 성형하여 일체적으로 성형된다. 그리고 센터 케이스(41)는 샤프트 고정부(221)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내주면을 갖는 베이스부(411)와, 베이스부(411)의 축방향 상측에 형성되고, 베이스부(411)의 외주면에서 직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덮개부(412)와, 덮개부(412)의 외주 가장자리에서 직경방향 외측을 향해 축방향 하측으로 경사진 안내부(413)와, 안내부(413)의 외주 가장자리에서 축방향 하측을 향해 연장되는 원통부(414)와, 발톱 부재(42)에 대해 180도 이간되어 각각 형성되는 정렬발톱(aligning claw)(415)(본 실시예에서는 3개)을 구비한다.
베이스부(411)의 하면은 원통부(414)의 하면보다 축방향 상측에 형성된다. 또한, 원통부(414)의 상단부보다 축방향 하측에 형성된다. 베이스부(411)의 외주면에는 둘레방향으로 대략 120도의 간격으로 이간되어 형성된 접촉부(4111)가 형성된다. 이 접촉부(4111)는 탄성 부재(43)의 직경방향내측의 단(端)과 접촉한다. 또 접촉부(4111)의 하면은 베이스부(411)의 하면보다 축방향 하측, 또한 원통부(414)의 하면보다 축방향 상측에까지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탄성 부재(43)의 직경방향 내측의 단의 전체를 후술하는 접촉면(4111a)의 일면에서 접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탄성 부재(43)의 직경방향 내측의 배치 정밀도는 접촉면(4111a)의 면정밀도에만 의존한다. 따라서, 탄성 부재(43)의 직경방향 내측의 배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접촉부(4111)의 하면이 원통부(414)의 하면보다 축방향 상측에 형성되는 것에 의해서, 로터 홀더(22)의 덮개부(222)의 상면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로터 홀더(22)에 대해 정밀도 좋게 센터 케이스(41)를 배치시킬 수 있다.
접촉부(4111)의 외면에는 탄성 부재(43)의 배치 방향에 대해 대략 수직인 평면으로 형성되는 접촉면(4111a)이 형성된다. 그리고 접촉면(4111a)의 중앙에는 직경방향 외측을 향해 연장하는 대략 원주형상의 돌기부(4111b)가 형성된다. 접촉부(4111)의 내면은 로터 홀더(22)의 중앙 돌기부(2221)의 내측 원통부(2221a)와의 접촉을 피하기 위해 내측 원통부(2221a)의 외주면을 따른 원주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접촉부(4111)의 내면에는 직경방향 내측을 향해 축방향 상측(덮개부(412)측)으로 경사진 경사부(4111c)가 형성된다. 이 경사부(4111c)에 의해서, 접촉부(4111)에 직경방향의 두께를 갖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접촉부(4111)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접촉면(4111a)의 직경방향의 위치를 더욱 로터 홀더(22)의 중앙 돌기부(2221)의 내측 원통부(2221a)의 외주면에 근접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접촉면(4111a)과 센터 케이스(41)의 원통부(414)의 직경방향의 거리를 크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발톱 부재(42) 및 탄성 부재(43)의 배치 스페이스를 크게 할 수 있으므로, 발톱 부재(42)의 직경방향 내측으로의 움직임의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탄성 부재(43)의 직경방향의 움직임의 설계의 자유도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411)의 외면으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하고, 원통부(414)(또는 안내부(413))의 내주면과 접속하는 연결부(416)가 형성된다. 이 연결부(416)는 덮개부(412)의 하면과도 접속된다. 그리고 연결부(416)는 접촉부(4111)의 둘레방향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또 접촉부(4111)의 둘레방향의 양측에 형성된 연결부(416)는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형성된다. 이 연결부(416)의 하면의 축방향의 위치는 원통부(414)의 하면보다 축방향 상측으로 되도록 형성된다.
접촉부(4111)와 연결부(416)는 둘레방향에 간극을 갖는다. 그리고 접촉부(4111)와 연결부(416)의 간극은 접촉면(4111a)으로부터 직경방향 내측으로 되도록 형성된다. 즉, 직경방향 내측을 향해 움푹 패이는 오목부(4161)(접촉 회피부)가 형성된다.
덮개부(412)에는 발톱 부재(42)가 돌출 자유롭게 수용되는 위치 및 정렬발톱(415)이 형성되는 위치에 각각 개구부(4121, 4122)가 형성된다.
개구부(4121)는 안내부(413) 및 원통부(414)의 축방향 상측의 일부까지 형성된다. 그리고 안내부(413)의 상부에서 축방향 하측에 걸쳐, 개구부(4121)의 둘레방향의 폭이 넓어지는 광폭부(4121a)가 형성된다. 그리고, 안내부(413)에 있어서의 개구부(4121)로부터 광폭부(4121a)가 형성되는 연결부에는 축방향 상측을 향해 둘레방향의 폭이 좁아지는 경사부(4121b)가 형성된다. 이 경사부(4121b)에 의해서, 사출 성형의 금형의 이형시에 발생하는 버르(burr)를 막을 수 있다. 특히, 박형의 디스크 구동 장치인 경우, 척킹 장치(40)의 덮개면(412)의 상면과 이동하는 디스크의 하면의 축방향의 간극은 0.1㎜ 정도, 혹은 그 이하의 크기 밖에 없다. 따라서, 버르가 축방향 상측을 향해 발생한 경우, 디스크의 하면에 손상을 줄 가능성이 있다. 그 결과, 디스크의 기록 재생의 에러가 발생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경사부(4121b)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 축방향 상측에의 버르의 발생을 막으므로, 디스크의 하면을 손상시키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그 결과, 디스크를 척킹 장치로 이동시킬 때에 디스크가 손상되는 일이 없는 신뢰성이 높은 척킹 장치를 구비한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개구부(4122)는 정렬발톱(415)의 둘레방향의 양측을 사이로 두고 형성된다. 그리고 개구부(4122)는 안내부(413) 및 원통부(414)의 전체를 둘레방향으로 동일한 폭으로 개구하고 있다.
또한, 덮개부(412)에는 사출 성형시의 수지재료가 유입되는 위치인 게이트부(4123)가 3점 형성된다. 게이트부(4123)는 각각 원통 오목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원통 오목형상으로 돌기(4123a)가 형성된다. 이 돌기(4123a)는 덮개부(412)의 상면보다 축방향 하측으로 되도록 형성된다. 이 게이트부(4123)는 로터 홀더(22)의 중앙 돌기부(2221)의 내측 원통부(2221a)보다 직경방향 외측에 형성된다. 또 게이트부(4123)의 하면은 베이스부(411)의 하면보다 축방향 하측까지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게이트부(4123)의 원통오목형상의 깊이의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돌기(4123a)가 덮개부(412)의 상면보다 축방향 상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바와 같은 금형 설계를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게이트부(4123)의 상면측의 일부는 베이스부(411)와 직경방향으로 중첩되어도 좋다.
덮개부(412)에 있어서의 접촉면(4111a)의 돌기부(4111b)가 형성되는 위치에는 돌기부(4111b)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구 구멍(4124)이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축방향의 금형의 이형에 의해서, 돌기부(4111b)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정렬발톱(415)은 덮개부(412)의 개구 구멍(4122)으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 1 아암부(4151)와, 안내부(413)의 경사를 따라 연장되는 제 2 아암부(4152)와, 원통부(414)보다 직경방향 외측에 배치하고, 디스크의 중심 개구부(도시 생략)와 접촉하는 제 3 아암부(4153)로 구성된다. 이 제 3 아암부(4153)는 중심 개구부를 접촉하는 것에 의해서, 척킹 장치(40)의 중심과 디스크의 중심 개구부의 중심을 정렬하는 역할을 한다.
원통부(414)의 개구부(4121)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발톱 부재(42)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받이부(4141)가 형성된다. 받이부(4141)는 내주측에 직경방향 내측을 향해 축방향 하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4141a)이 형성된다.이 경사면(4141a)은 둘레방향으로 기울기가 없는 평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이 경사면(4141a)의 바깥가장자리(즉, 경사면(4141a)의 상단)에 접속하도록 곡면부(4141b)가 형성된다. 이 곡면부(4141b)는 받이부(4141)의 정상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곡면부(4141b)는 받이부(4141)에 있어서의 외주측, 즉 원통부(414)의 외주면과 접속한다. 이 경사면(4141a) 및 곡면부(4141b)에는 경면 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그리고 경사면(4141a) 및 곡면부(4141b)의 면조도(면거칠음도)는 Ry로서, 약 0.8㎛이다. 이것에 의해, 발톱 부재(42)의 직경방향 내측으로의 이동을 원활하게 가이드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크를 장착할 때의 힘(디스크 장착력)을 저감할 수 있다.
받이부(4141)는 둘레방향의 중앙에 스트레이트부(4141c)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 스트레이트부(4141c)의 둘레방향의 양측에는 스트레이트부(4141c)로부터 둘레방향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둘레방향 곡면부(4141d)가 형성된다.
또 받이부(4141)로부터 둘레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연결부(4142)가 형성된다. 이 연결부(4142)는 원통부(414)와 접속된다. 연결부(4142)의 상면은 직경방향 내측을 향해 축방향 하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된다(도 7 및 도 8 중의 점선부분). 연결부(4142)는 스탠바이 상태에 있어서, 후술하는 발톱 부재(42)의 발톱부측 경사면(4215)과 접촉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경사각도를 극력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경사각도는 중심축 J1에 대해 수직인 평면과 경사면을 연결한 예각이다. 이 경사각도를 작게 형성하는 것에 의해, 연결부(4142)의 내주면의 축방향의 위치를 높게 할 수 있다. 즉, 연결부(4142)의 내주면의 축방향의 폭을 크게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연결부(4142)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후술하는 받이부(441)의 평면부(4143a)에 발톱 부재(42)의 발톱부측 스토퍼(4216)가 반복 접촉했다고 해도, 받이부(4141) 및 연결부(4142)에 소성변형이 생기지 않는 신뢰성이 높은 척킹 장치를 구비한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개구부(4121)가 형성되는 둘레방향위치에 있어서의 원통부(414)의 내주면에는 받이부(4141) 및 연결부(4142)의 내주면을 형성하는 제 1 오목부(4143)와, 제 1 오목부(4143)의 둘레방향의 양 측부에 형성되는 제 2 오목부(4144)가 형성된다.
제 1 오목부(4143)에는 둘레방향의 중앙에 직경방향에 대해 수직인 평면인 평면부(4143a)와, 평면부(4143a)의 둘레방향의 양 측부에 원통부(414)의 내주면과 동일한 곡률인 곡면부(4143b)가 형성된다. 이 평면부(4141e)는 후술하는 발톱 부재(42)의 발톱측 스토퍼(4216)가 접촉한다. 또한 이 평면부(4141e)의 둘레방향의 폭은 받이부(4141)의 둘레방향의 폭과 대략 동일하다.
또한, 제 1 오목부(4143)의 둘레방향의 폭은 후술하는 발톱 부재(42)의 발톱부(421)의 둘레방향의 폭과 대략 동일하다. 이것에 의해, 발톱 부재(42)의 둘레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제 1 오목부(4143)가 원통부(414)의 내주면보다도 직경방향 외측까지 형성되는 것에 의해, 발톱 부재(42)가 직경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를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발톱 부재(42)의 직경방향으로의 이동의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 2 오목부(4144)는 제 1 오목부(4143)보다 직경방향 내측 또한, 원통부(414)의 내주면보다 직경방향 외측에 형성된다. 제 2 오목부(4144)의 둘레방향의 폭은 후술하는 발톱 부재(42)의 날개부(422)의 측부 연장부(4222)의 둘레방향의 폭과 대략 동일하다. 이것에 의해, 측부 연장부(4222)는 원통부(414)의 내주면보다 직경방향 외측까지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발톱 부재(42)의 직경방향으로의 이동의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원통부(414)의 직경방향의 두께를 크게 취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원통부(414)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것은 특히, 박형이 필요하게 되는 척킹 장치에 바람직하다. 직경 원통부(414)의 외주면의 하단부를 포함하는 하부에는 직경방향으로 외경을 축소하는 축경(縮徑)부(4145)가 형성된다. 이 축경부(4145)에 의해, 센터 케이스(41)를 사출 성형으로 성형할 때에, 금형의 축방향의 이형에 의한 축방향 하측으로의 버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원통부(414)의 하면과 덮개면(222)의 상면의 접촉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센터 케이스(41)를 로터 홀더(22)에 대해 고정밀도로 부착할 수 있다.
삭제
도 9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발톱 부재(42)에 대해 설명한다. 발톱 부재(42)는 폴리아세탈 등의 수지재료를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발톱 부재(42)는 디스크를 유지하는 디스크 유지면(4213)을 갖는 발톱부(421)와, 발톱부(421)에서 직경방향 내측으로 연장하는 날개부(422)로 구성된다.
발톱부(421)는, 발톱 부재(42) 중에 있어서, 디스크가 척킹 장치(40)에 장착될 때에 가장 처음으로 맞닿는 안내부(4211)와, 안내부(4211)의 외주가장자리에서 직경방향 외측을 향해 볼록하게 되는 곡면형상의 선단부(4212)와, 선단부(4212)와 접속되고 직경방향 내측을 향해 축방향 하측으로 경사지는 디스크 유지면(4213)과, 디스크 유지면(4213)의 둘레방향의 중앙부에 오목형상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딩부(4214)와, 디스크 유지면(4213)과 접속되고 디스크 유지면(4213)보다 하측에 형성되는 발톱부 경사면(4215)을 구비한다.
안내부(4211)는 센터 케이스(41)의 덮개부(412)의 상면과 대략 평행한 평면으로 형성된다. 또 안내부(4211)의 둘레방향의 폭은 디스크 유지면(4213)의 둘레방향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 안내부(4211)의 둘레방향의 양 측부에는 센터 케이스(41)의 덮개부(412)의 하면과 접촉하는 상향 맞닿음면(4211a)이 각각 형성된다. 이 안내부(4211)는 상측 맞닿음면(4211a)에서 축방향 상측에까지 형성된다(상부 돌출부). 그리고 안내부(4211)는 센터 케이스(41)의 덮개부(412)의 상면의 축방향 위치와 대략 동일하다. 또 안내부(4211)는 덮개부(412)의 판두께의 범위 내에서 축방향의 높이를 낮게 해도 좋다. 덮개부(412)보다 안내부(4211)가 축방향 상측에 배치되어 버리면, 도시하지 않은 디스크가 센터 케이스(41)의 상면을 근접해서 이동할 때에, 안내부(4211)와 접촉해 버릴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안내부(4211)가 덮개부(412)의 상면의 축방향 위치와 대략 동일, 혹은 덮개부(412)의 판두께의 범위 내에 있어서 안내부(412)의 축방향 높이를 낮게 하는 것에 의해서, 디스크가 센터 케이스의 상면을 직경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안내부(4211)와 접촉하는 일이 없는 신뢰성이 높은 모터 및 디스크 구동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박형의 디스크 구동 장치에는 바람직하다. 이 상향 맞닿음면(4211a)의 직경방향의 길이는 안내부(4211)의 직경방향의 길이와 대략 동일하다. 상측 맞닿음면(4211a)의 외주 가장자리에는 선단부(4212)보다 반경이 작은 곡면으로 형성되는 선단 측부(4212a)가 형성된다. 이 선단 측부(4212a)와 선단부(4212)는 발톱 부재(42)를 상측에서 본 평면에 있어서 둘레방향에 동일한 곡률의 크기로 형성된다.
선단부(4212)는 안내부(4211)의 둘레방향의 폭과 대략 동일한 둘레방향의 폭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선단부(4212)는 발톱 부재(42)를 축방향으로 절단한 단면형상에 있어서, 반경 0.25㎜∼0.30㎜의 원호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크 유지면(4213)은 디스크가 디스크 탑재부(44)에 탑재된 상태에 있어서, 디스크의 중심 개구부의 상단 가장자리를 누르는 것에 의해, 디스크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디스크 유지면(4213)의 상부는 발톱부(421)의 둘레방향 전체에 형성된다. 그리고 이 상부보다 하측에는 중앙부분에 스트레이트부(4213b)를 갖는 대략 곡면형상의 오목부(4213a)가 형성된다. 그리고 디스크 유지면(4213)은 오목부(4213a)를 둘레방향으로 사이에 두는 바와 같이 형성된다. 따라서, 디스크 유지면(4213)은 정면에서 본 평면도에 있어서, 역U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 디스크 유지면(4213)의 오목부(4213a)를 사이에 두는 면의 부위는 선단부(4212)를 향함에 따라, 오목부(4213a)의 둘레방향의 폭을 작게 하는 방향으로 넓어지는 것에 의해서, 디스크 유지면(4213)의 면적을 크게 형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디스크의 중심 개구부와 접촉하는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크의 중심 개구부에 가해지는 압력이 저감되므로, 디스크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높은 정밀도의 디스크의 정렬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디스크 유지면(4213)의 디스크의 중심 개구부와 접촉하는 면적이 커지면, 디스크가 상측으로 이동하려고 하는 힘에 대한 대항력이 강해진다. 따라서, 디스크가 회전 구동 중에, 외부충격 등에 의해서 디스크가 기울어졌다고 해도, 발톱 부재(42)의 디스크 유지면(4213)의 디스크의 이동에 대한 대항력이 크기 때문에, 디스크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오목부(4213a)는 디스크 유지면(4213)으로부터 둘레방향으로 곡면으로 연속된 제 1 구부림부(4213c)와, 스트레이트부(4213b)를 향해 경사지는 경사부(4213d)와, 경사부(4213d)와 스트레이트부(4213b)를 둘레방향으로 곡면으로 연속된 제 2 구부림부(4213e)로 구성된다. 또 스트레이트부(4213b)에는 직경방향 내측을 향해 축방향 하측으로 경사지는 둘레방향으로 기울기가 없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또한 이 스트레이트부(4213b)의 둘레방향의 폭은 받이부(4141)의 스트레이트부(4141c)의 둘레방향의 폭보다 커지도록 형성된다. 또 오목부(4213a)의 제 2 구부림부(4213e) 및 경사부(4213d)는 받이부(4141)의 둘레방향 곡면부(4141d)보다 완만하게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받이부(4141)의 스트레이트부(4141c)와 발톱 부재(42)의 오목부(4213a)의 스트레이트부(4213b)와 이외의 받이부(4141) 및 발톱 부재(42)의 접촉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발톱 부재(42)가 직경방향 내측으로 이동할 때에, 다른 부위가 서로 접촉해 버리면, 발톱 부재(42)의 이동의 방해로 되어, 디스크 장착력이 향상되어 버린다. 그러나, 발톱 부재(42) 및 받이부(4141)의 다른 부위가 서로 접촉하는 것을 막는 것에 의해, 발톱 부재(42)의 직경방향내측으로의 이동을 더욱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크 장착력을 저감할 수 있다.
오목부(4213a)의 직경방향 내측에는 센터 케이스(41)의 원통부(414)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것에 의해서, 발톱 부재(42)의 직경방향 외측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발톱측 스토퍼(4216)를 또한 구비한다. 발톱측 스토퍼(4216)는 축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평면 및 직경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하는 평면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발톱측 스토퍼(4216)는 오목부(4213a)의 둘레방향의 사이에 마련된다. 또 발톱측 스토퍼(4216)의 둘레방향의 폭은 오목부(4213a)에 형성된 스트레이트부(4213b)의 둘레방향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발톱 부재(42)를 둘레방향으로 어긋나는 일 없이, 안정된 발톱 부재(42)의 유지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발톱측 스토퍼(4216)의 둘레방향의 양측은 발톱측 스토퍼(4216)에서 둘레방향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감에 따라, 직경방향 내측으로 경사지는 둘레방향 경사부(4216a)가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발톱측 스토퍼(4216) 이외의 부위는 센터 케이스(41)의 원통부(414)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일이 없어진다. 따라서, 발톱 부재(42)의 발톱측 스토퍼(4216) 이외의 부위가 센터케이스(41)와 접촉하는 것에 의해서, 발톱 부재(42)가 둘레방향으로 기우는 것을 막을 수 있으므로, 더욱 안정된 발톱 부재(42)의 유지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발톱측 스토퍼(4216)의 둘레방향의 폭은 센터 케이스(41)의 원통부(414)의 내주면에 형성된 평면부(4143a)의 둘레방향의 폭보다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이 구성에 의해, 또한 발톱측 스토퍼(4216)와 평면부(4143a) 만으로 접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더욱 안정된 발톱 부재(42)의 유지를 실현할 수 있다.
발톱부(421)의 후면에는 탄성 부재(43)의 직경방향 외측의 단과 접촉하는 발톱부측 접촉면(4217)이 형성된다. 이 발톱부측 접촉면(4217)에는 탄성 부재(43)와 걸어 맞추는 직경방향 내측을 향하는 대략 원추형상의 돌기부(4217a)가 형성된다. 이 돌기부(4217a)에 탄성 부재(43)는 걸어 맞추어진다(즉, 탄성 부재(43)인 코일 스프링 내에 돌기부(4217a)가 삽입 통과된다). 또 돌기부(4217a)와 접촉면(4217)의 연결부, 즉 돌기부(4217a)의 근원의 주위의 면은 원환 형상이고 또한 직경방향 외측을 향해 그 내경을 직경 확대하는 원환 경사면(4217b)이 형성된다. 이 원환 경사면(4217b)에 탄성 부재(43)가 접촉한다. 또 원환 경사면(4217b)은 안내부(4211)의 내면부(4211b)보다 직경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즉, 안내부(4211)의 내면부(4211b)와 돌기부(4217a)의 축방향의 사이에 단면형상에 있어서 오목부(4217c)가 형성된다. 오목부(4217c)에 배치된 탄성 부재(43)와 내면부(4211b)의 축방향의 간극의 크기는 탄성 부재(43)와 돌기부(4217a)의 축방향의 간극의 크기보다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탄성 부재(43)와 돌기부(4217a)의 걸어맞춤의 덜컹거림에 의한 축방향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탄성 부재(43)가 발톱 부재(42)에 대해 일정한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다. 그 결과, 발톱 부재(42)의 안정된 이동을 실현할 수 있다. 또 내면부(4211b)의 하면(탄성 부재(43)와의 축방향의 대향면)은 직경방향 내측을 향해 오목부(4217c)의 축방향의 간극의 크기가 커지도록 경사지는 경사부(4211c)가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탄성 부재(43)와의 경사부(4211c)의 축방향의 간극을 작게 했다고 해도, 탄성 부재(43)를 오목부(4217c)에 쉽게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오목부(4217c)의 축방향의 간극을 작게 해도, 탄성 부재(43)와 발톱부측 접촉면(4217)을 양호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발톱 부재(42)의 안정된 이동을 실현할 수 있다.
날개부(422)는 발톱부측 접촉면(4217)의 둘레방향의 양측에 형성되는 베이스부(4221)와, 베이스부(4221)의 직경방향 내측의 각각의 둘레방향의 측부에 형성되는 측부 연장부(4222)로 구성된다.
베이스부(4221)는 상향 맞닿음면(4211a)의 둘레방향의 폭과 대략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된다. 베이스부(4221)의 상면(4223)은 직경방향 내측을 향해 축방향 하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이 상면(4223)의 경사각도는 발톱부(421)의 발톱측 경사면(4215)의 경사각도와 대략 동일하다. 따라서, 사출 성형시의 금형의 이형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베이스부(4221)의 탄성 부재(43)와 둘레방향으로 대향하는 각각의 내면(4224)은 직경방향 내측을 향해 서로의 내면(4224)의 둘레방향의 간극을 크게 하는 방향으로 경사진다(본 실시예에서는 경사각 θ는 5도 : 경사각 θ는 내면(4224)과 직경방향을 연결한 예각을 말한다). 이것에 의해, 대향하는 내면(4224)의 가장 둘레방향의 폭이 작은 부분(즉, 발톱부측 접촉면(4217)과 접속하는 부분)은 탄성 부재(43)의 외경의 크기와 대략 동일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탄성 부재(43)의 둘레방향의 덜컹거림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발톱 부재(42)의 더욱 안정된 이동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내면(4224)은 경사져 있으므로, 베이스부(4221)의 직경방향 내측에서는 서로 대향하는 내면(4224)의 둘레방향의 간극의 크기는 탄성 부재(43)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탄성 부재(43)를 베이스부(4221)의 내면(4224) 사이에 삽입 통과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그 결과, 척킹 장치의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내면(4224)에 경사각이 마련되는 것에 의해, 사출 성형시의 금형의 이형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측부 연장부(4222)는 베이스부(4221)로부터 직경방향 내측까지 연장된다. 그리고 측부 연장부(4222)의 직경방향 외측의 면은 둘레방향의 베이스부(4221)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직경방향 내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이 측부 연장부(4222)의 경사면은 센터 케이스(41)의 제 2 오목부(4144)의 내주면과 직경방향으로 대향한다. 그리고 측부 연장부(4222)에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에 의해서, 제 2 오목부(4144)의 내주면과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발톱 부재(42)는 직경방향 외측으로의 이동의 제한 때문에 발톱부측 스토퍼(4216)와 센터 케이스(41)의 제 1 오목부(4143)의 평면부(4143a)의 접촉 이외는 접촉하지 않는다. 그 결과, 발톱 부재(42)를 스탠바이 상태에 있어서, 둘레방향의 위치를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측부 연장부(4222)는 센터 케이스(41)의 접촉부(4111)와 연결부(416)의 둘레방향의 사이에 형성되는 오목부(4161)와 둘레방향으로 대향하고 있다. 따라서, 측부 연장부(4222)는 접촉면(4111a)보다 직경방향 내측까지 이동할 수 있다. 그 결과, 발톱 부재(42)의 직경방향 내측으로의 이동 거리를 크게 할 수 있고, 발톱 부재(42)의 직경방향으로의 이동의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날개부(422)의 직경방향의 길이의 설계의 자유도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오목부(4161)는 측부 연장부(4222)와 둘레방향으로 대향하기 때문에, 접촉부(4111)의 둘레방향의 폭을 크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접촉부(4111)는 내주면이 로터 홀더(22)의 내측 원통부(2221a)의 외주면을 따르는 곡면으로 형성되고, 또한 접촉면(4111a)은 직경방향에 대해 수직인 평면이다. 따라서, 접촉부(4111)는 접촉부(4111)의 둘레방향의 단을 향해 직경방향의 두께가 서서히 커지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접촉부(4111)의 둘레방향의 폭이 크게 형성되는 것에 의해, 접촉부(4111)의 둘레방향의 단의 직경방향의 두께가 커지므로, 접촉부(4111)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접촉부(4111)는 항상 탄성 부재(43)의 직경방향 내측으로의 힘이 가해지고 또한 발톱 부재(42)의 직경방향의 이동에 의한 탄성 부재(43)의 힘의 변동이 가해지기 때문에, 강도가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접촉부(4111)와 같은 둘레방향으로 폭이 넓은 구조가 바람직하다.
또한, 측부 연장부(4222)의 탄성 부재(43)와 둘레방향으로 대향하는 내면(4222a)에는 직경방향 내측을 향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된다(본 실시예에서는 경사각이 대략 5도 : 경사각은 직경방향과 내면(4222a)을 연결한 예각으로 결정된다).
또한, 측부 연장부(4222)의 상면은 베이스부(4221)의 상면(4223)의 경사각과 동일한 경사각을 갖는다.
베이스부(4221) 및 측부 연장부(4222)의 하면은 대략 구면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발톱 부재(42)는 로터 홀더(22)의 덮개부(222)의 상면과 2점에서 접촉하고 있다. 이 하면의 스탠바이 상태에 있어서의 제 1 접촉부(4225)(도 15 참조)의 둘레방향의 위치는 각 날개부(422)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접촉부(4225)로부터 각각 둘레방향으로 멀어지는 방향에 대해, 하면은 축방향 상측에 형성된다(즉, 덮개부(22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형성된다). 또 제 1 접촉부(4225)의 직경방향의 위치는 발톱부(421)보다 직경방향 내측으로 되도록 형성된다.
<스탠바이 상태>
다음에 척킹 장치(40)의 스탠바이 상태에 대해 도 1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척킹 장치(40)의 스탠바이 상태를 나타낸 축방향으로 절단한 모식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15에 있어서, 탄성 부재(43)는 생략한다.
도 15를 참조하여, 발톱 부재(42)는 발톱부(421)의 슬라이딩부(4214) 및 받이부(4141)와, 상향 맞닿음면(4211a) 및 덮개부(412)의 하면과, 날개부(422)의 제 1 접촉부(4225) 및 덮개부(222)의 상면과, 발톱부측 스토퍼(4216) 및 받이부(4141)의 평면부(4143a)가 접촉된 상태에서 정지(靜止)하고 있다. 발톱 부재(42)는 이들 접촉에 의해, 자세가 유지되어 있다.
또한, 스탠바이 상태에 있어서, 발톱 부재(42)의 발톱부측 경사면(4215)과, 받이부(4141) 및 원통부(414)를 연결하는 연결부(4142)(도 15 중의 점선)의 상면은 가장 근접한다. 연결부(4142)의 상면에 형성된 경사면은 이 스탠바이 상태에 있어서, 발톱부측 경사면(4215)과 접촉하지 않을 정도로 내주가장자리 및 외주가장자리를 축방향 상측에 마련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연결부(4142)의 축방향의 높이를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연결부(4142)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스탠바이 상태에 있어서, 안내부(4211)의 축방향의 높이는 센터 케이스(41)의 덮개부(412)의 상면의 축방향의 높이와 대략 동일, 혹은 축방향 하측에 위치한다. 이 구조에 의해, 디스크가 척킹 장치(40)의 덮개부(412)의 상면을 근접해서 이동했을 때에, 발톱 부재(42)의 안내부(4211)가 디스크의 하면과 접촉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디스크 장착에 의한 발톱 부재(42)의 동작>
다음에 척킹 장치(40)에 디스크 D1을 장착했을 때의 발톱 부재(42)의 동작에 대해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6은 디스크 D1이 발톱 부재(42)에 접촉하기 시작한 상태를 나타낸 모식 단면도이다. 도 17은 발톱 부재(42)가 가장 직경방향 내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모식 단면도이다. 도 18은 발톱 부재(42)가 디스크 D1을 유지한 상태를 나타낸 모식 단면도이다. 여기서 디스크 D1은 2개의 디스크 기판을 맞붙여서 형성된 원반형상이다.
도 16을 참조하여, 디스크 D1의 중심 개구부 D1a의 하단부는 발톱 부재(42)의 안내부(4211)의 상면과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발톱 부재(42)는 디스크 D1로부터 축방향 하측으로의 힘이 가해진다. 여기서, 상향 맞닿음면(4211a)의 직경방향의 안가장자리와 덮개부(412)의 하면의 접촉점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발톱 부재(42)의 선단부(4212)는 축방향 하측으로 회전한다. 또 발톱 부재(42)는 회전과 동시에, 슬라이딩부(4214)가 받이부(4141)의 상면을 슬라이딩하는 것에 의해서 직경방향 내측으로 이동한다.
도 17을 참조하여, 디스크 D1을 도 16의 상태에서 더욱 축방향 하측으로 이동하면, 디스크 D1의 중심 개구부 D1a의 내주면과 발톱 부재(42)의 선단부(4212)가 접촉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발톱 부재(42)의 선단부(4212)가 축방향의 가장 하측으로 이동하고 있다. 그리고 발톱 부재(42)의 측부 연장부(4222)는 직경방향의 가장 내측으로 이동하고 있다. 또 측부 연장부(4222)의 직경방향의 위치는 센터 케이스(41)의 접촉면(4111a)의 직경방향의 위치보다도 직경방향 내측까지 이동하고 있다. 즉, 측부 연장부(4222)의 일부는 오목부(4161) 내에 수용된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날개부(422)의 하면은 덮개부(222)의 상면과 제 1 접촉부(4225)보다 직경방향 외측의 위치에 있어서 접촉하고 있다. 또한, 날개부(422)의 하면은 대략 구면형상이기 때문에, 덮개부(222)의 상면과 점접촉된다. 따라서, 날개부(422)와 덮개부(222)의 접촉 면적이 작아지므로, 발톱 부재(42)와 덮개부(222)의 사이의 마찰력이 작아진다. 그 결과, 발톱 부재(42)의 직경방향 내측으로의 이동을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크 D1의 척킹 장치(40)에의 디스크 장착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받이부(4141)의 곡면부(4141b)에 발톱 부재(42)의 슬라이딩부(4214)가 슬라이딩하는 것에 의해서, 발톱 부재(42)가 직경방향 내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슬라이딩부(4214)와 받이부(4141)는 선접촉에 의해서 슬라이딩한다. 그 결과, 슬라이딩부(4214)와 받이부(4141)의 마찰력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발톱 부재(42)의 직경방향 내측으로의 이동을 더욱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크 D1의 척킹 장치(40)에의 디스크 장착력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여, 디스크 D1의 하면이 디스크 탑재부(44)의 상면에 탑재된 상태에 있어서, 발톱 부재(42)는 도 17의 상태에서 선단부(4212)가 축방향 상측으로 이동한다. 또한, 발톱 부재(42)는 직경방향 외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발톱 부재(42)는 디스크 D1의 중심 개구부 D1a의 상단 가장자리에 디스크 유지면(4213)이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발톱 부재(42)는 디스크 D1을 유지한다.
도 18의 상태에서는 디스크 유지면(4213)에 있어서의 오목부(4213a)보다 선단측의 부위에서 디스크 D1의 중심 개구부 D1a의 상단 가장자리와 접촉한다. 즉, 디스크 유지면(4213)의 둘레방향으로 연속된 부위에서 중심 개구부 D1a의 상단 가장자리와 접촉한다. 따라서, 중심 개구부 D1a와 접촉하는 디스크 유지면(4213)의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크 유지면(4213)이 중심 개구부 D1a에 주는 압력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디스크 D1의 디스크 유지면(4213)에 의한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척킹 장치(40)와 디스크 D1의 정렬의 고정밀도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디스크 D1이 회전하고 있을 때에, 외부충격 등에 의해서 디스크 D1이 기우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졌다고 해도, 디스크 유지면(4213)과 접촉하는 면적이 크므로, 디스크 D1이 척킹 장치(40)로부터 잘 어긋나지 않는다. 이것은 디스크 유지면(4213)과 중심 개구부 D1a가 접촉하는 면적이 크기 때문에, 디스크 유지면(4213)에 대한 중심 개구부 D1a가 축방향 상측으로 이동할 때의 마찰력을 크게 하는 것에 기인하고 있다. 따라서, 디스크가 척킹 장치에 대해, 디스크의 회전 중에 어긋나는 일이 없는 신뢰성이 높은 척킹 장치를 구비한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얇은 디스크에 있어서의 발톱 부재(42)의 동작>
다음에, 디스크 D1보다 축방향의 두께가 얇은 디스크 D2를 척킹 장치(40)에 탑재한 경우의 발톱 부재(42)에 대해, 도 1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디스크 D2가 디스크 탑재부(44)에 탑재된 상태를 나타내는 축방향으로 절단한 모식 반단면도이다.
도 19를 참조하여, 발톱 부재(42)는 디스크 D1이 디스크 탑재부(44)에 탑재된 경우에 비해, 직경방향 외측으로 이동한다. 이것은 디스크 D1에 비해, 디스크 D2의 중심 개구부 D2a의 상단 가장자리의 축방향의 위치가 하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디스크 유지면(4213)이 접촉하는 위치가 더욱 하측으로 이동한 것에 기인한다. 디스크 유지면(4213)은 축방향 하측을 향해 직경방향 내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디스크 D2와 같이 축방향의 두께가 얇은 경우, 디스크 유지면(4213)에 있어서의 디스크 D2과의 접촉점은 디스크 D1의 경우의 디스크 유지면(4213)의 접촉점에 비해 직경방향 내측으로 된다. 따라서, 디스크 유지면(4213)과 디스크 D2의 접촉점은 디스크 유지면(4213)에 있어서의 오목부(4213a)를 사이에 두는 부분의 면으로 유지된다.
선단부(4212)는 디스크 D1의 경우에 비해, 중심 개구부 D2a에 대해 더욱 직경방향 외측에 위치한다. 이것에 의해, 디스크 D2는 척킹 장치(40)로부터 어긋나기 위해서는 디스크 D1의 경우에 비해, 발톱 부재(42)를 직경방향으로 움직이는 거리가 크다. 따라서, 디스크 D2는 디스크 D1의 경우에 비해, 척킹 장치(40)로부터 잘 어긋나지 않는다.
<디스크 구동 장치>
다음에 본 발명의 모터를 탑재한 디스크 구동 장치의 실시예의 일 형태에 대해 도 2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디스크 구동 장치를 축방향으로 절단한 모식 단면도이다.
도 20을 참조하여, 디스크 구동 장치(50)는 중심에 개구 구멍(61)을 가진 원반형상의 디스크(60)의 개구 구멍(61)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서 디스크(60)의 회전 중심과 동축으로 정렬되고, 디스크(60)를 회전시키는 스핀들 모터(51)와, 디스크(60)에 레이저를 방사하는 것에 의해서 디스크의 정보의 기록 재생을 실행하는 광픽업 기구(52)와, 이 광픽업 기구(52)를 디스크(60)의 회전 직경방향으로 이동을 실행하는 기어 기구(53)와, 이들을 수용하는 하우징(54)을 구비한다.
스핀들 모터(51) 및 광픽업 기구(52)는 섀시(55)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이 섀시(55)가 적어도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서, 스핀들 모터(51)의 척킹 장치에 디스크(60)의 개구 구멍(61)이 장착된다. 또 섀시(55)에는 개구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개구 구멍의 내부에 광픽업 기구(52)는 배치된다.
기어 기구(53)는 출력축에 기어를 갖는 모터(531)와, 이 모터(531)의 회전 토크를 전달받는 피전달측 기어(532)를 구비한다.
또한, 하우징(54)에는 디스크(60)의 이동과 기어 기구(53)를 나누는 박판으로 형성된 경계판(541)이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54)에는 디스크(60)의 삽입 및 꺼냄을 실행하는 개구 구멍(542)이 형성되어 있다.
광픽업 기구(52)는 레이저를 방사하는 기록 재생부(521)와, 이 기록 재생부(521)의 디스크(60)의 회전 직경방향으로의 이동 방향과는 수직으로 마련되고, 기록 재생부(521)의 이동을 실행하는 이동부(522)를 구비한다. 이 이동부(522)는 피전달측 기어(532)와 맞물리는 맞물림부(522a)를 갖는다. 그리고 기록 재생부(521)에는 이동부(522)와 맞물리는 것에 의해서 직경방향으로 이동한다.
모터(531)에 부착된 기어부(531a)와 피전달측 기어(532)가 맞물리는 것에 의해서 피전달측 기어(532)는 회전하고, 피전달측 기어(532)가 이동부(522)의 맞물림부(522a)와 맞물리는 것에 의해서 이동부(522)가 회전 직경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이 이동부(522)의 이동에 의해서 기록 재생부(521)는 회전 직경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디스크 구동 장치(50)의 스핀들 모터(51)에 본 발명의 모터(10)를 적용하는 것에 의해서, 디스크(60)의 회전중에 디스크(60)가 척킹 장치(40)로부터 어긋나는 일이 없는 신뢰성이 높은 디스크 구동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스핀들 모터(51)에 디스크(60)를 탑재했다고 해도, 기록 재생 에러를 막는 신뢰성이 높은 디스크 구동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의 범위에 있어서 각종 변형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모터의 실시예의 일 형태를 나타낸 축방향으로 절단한 모식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척킹 장치 부근의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척킹 장치를 상측에서 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센터 케이스를 축방향으로 절단한 모식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센터 케이스를 상측에서 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센터 케이스를 하측에서 본 평면도.
도 7은 도 4에 있어서의 받이부 주변의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센터 케이스의 받이부 주변을 직경방향에서 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발톱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발톱 부재를 정면에서 본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발톱 부재를 상측에서 본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발톱 부재를 하측에서 본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발톱 부재를 후측에서 본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발톱 부재를 축방향으로 절단한 모식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척킹 장치의 스탠바이 상태를 나타낸 축방향으로 절단한 모식 반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척킹 장치의 디스크가 탑재될 때의 상태를 나타낸 축방향으로 절단한 모식 반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척킹 장치의 디스크가 탑재될 때의 상태를 나타낸 축방향으로 절단한 모식 반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척킹 장치의 디스크가 탑재된 상태를 나타낸 축방향으로 절단한 모식 반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척킹 장치의 두께의 얇은 디스크가 탑재된 상태를 나타낸 축방향으로 절단한 모식 반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디스크 구동 장치를 나타낸 축방향으로 절단한 모식 반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모터 20 회전체
22 로터 홀더 222 덮개부
223 원통부 23 로터 마그네트
30 고정체 31 슬리브(축받이 부재)
35 스테이터 40 척킹 장치
41 센터 케이스 414 받이부
42 발톱 부재 4212 선단부
4213 디스크 유지면 4214 슬라이딩부
4215 경사부 44 탑재부(디스크 탑재부)
50 디스크 구동 장치 52 광픽업 기구
53 이동 기구 55 섀시

Claims (9)

  1. 중심 개구부를 갖는 원반형상의 디스크를 착탈 가능하게 하는 척킹 장치를 구비한 모터로서,
    소정의 중심축의 주위를 회전하는 로터 마그네트와, 상기 로터 마그네트를 유지하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로부터 상기 중심축을 향해 연장하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디스크의 하면이 맞닿는 탑재부를 갖는 로터 홀더를 갖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를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축받이 부재와, 상기 로터 마그네트에 대향하는 스테이터를 갖는 고정체를 구비하고,
    상기 척킹 장치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회전체의 축방향 상측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한 원통부 및 상기 원통부의 축방향 상측을 덮는 덮개부를 갖고, 상기 디스크의 상기 중심 개구부가 맞물리는 센터 케이스와,
    상기 센터 케이스에 수용되는 탄성 부재와,
    상기 탄성 부재의 직경방향 외측에 맞닿고, 상기 디스크를 유지하는 발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발톱 부재는,
    선단부와,
    상기 선단부보다 축방향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크를 유지하는 디스크 유지면을 갖고,
    상기 디스크 유지면의 둘레방향의 중앙부에는 오목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톱 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딩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상기 슬라이딩부와 접촉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발톱 부재를 받는 받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디스크가 삽입될 때에 상기 받이부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톱 부재의 둘레방향의 중앙부에 있어서의 상기 선단부와 상기 슬라이딩부의 직경방향의 사이에는 디스크 유지면이 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 및 상기 받이부의 접촉 부분은 서로 둘레방향으로 기울기가 없는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에 있어서의 상기 받이부와 접촉하는 평면의 둘레방향의 폭의 크기는 상기 받이부에 있어서의 상기 슬라이딩부와 접촉하는 평면의 둘레방향의 폭의 크기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유지면과 상기 중심축이 이루는 예각의 크기는 상기 슬라이딩부와 상기 중심축이 이루는 예각의 크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발톱 부재는 사출 성형에 의해서 형성되고,
    상기 디스크 유지면보다 축방향 하측에는 상기 디스크 유지면과 연속된 상기 디스크와는 접촉하지 않는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와 상기 중심축이 이루는 예각의 크기는 상기 슬라이딩부와 상기 중심축이 이루는 예각의 크기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유지면에 있어서의 상기 슬라이딩부를 사이에 둔 부위는 상기 선단부를 향해 둘레방향의 폭이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는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선단부의 곡면은 반경이 0.25㎜ 내지 0.30㎜의 원호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모터를 탑재한 디스크 구동 장치로서,
    상기 디스크를 광학적으로 기록 재생하는 광픽업 기구와,
    상기 광픽업 기구를 상기 디스크의 직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이동 기구와,
    상기 모터를 부착하는 섀시를 구비하고,
    상기 섀시에는 개구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광픽업 기구는 상기 개구 구멍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구동 장치.
KR1020080024562A 2007-03-19 2008-03-17 척킹 장치를 구비한 모터 및 이 모터를 탑재한 디스크 구동 장치 KR1009437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070647 2007-03-19
JP2007070647A JP5092476B2 (ja) 2007-03-19 2007-03-19 チャッキング装置を備えたモータ、およびこのモータを搭載したディスク駆動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5718A KR20080085718A (ko) 2008-09-24
KR100943781B1 true KR100943781B1 (ko) 2010-02-23

Family

ID=39907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4562A KR100943781B1 (ko) 2007-03-19 2008-03-17 척킹 장치를 구비한 모터 및 이 모터를 탑재한 디스크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900223B2 (ko)
JP (1) JP5092476B2 (ko)
KR (1) KR100943781B1 (ko)
CN (1) CN10127170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46208B2 (ja) * 2006-06-29 2012-06-06 日本電産株式会社 記録媒体の保持装置とそれを用いたモータユニット
JP4534256B2 (ja) * 2006-11-16 2010-09-01 日本電産株式会社 チャッキング装置、ブラシレスモータ及びディスク駆動装置
JP2008210421A (ja) * 2007-02-23 2008-09-11 Nippon Densan Corp チャッキング装置を備えたモータ、およびこのモータを搭載したディスク駆動装置
JP5076573B2 (ja) * 2007-03-19 2012-11-21 日本電産株式会社 チャッキング装置を備えたモータ、およびこのモータを搭載したディスク駆動装置
JP4978257B2 (ja) * 2007-03-19 2012-07-18 日本電産株式会社 チャッキング装置を備えたモータ、およびこのモータを搭載したディスク駆動装置
JP4992497B2 (ja) * 2007-03-19 2012-08-08 日本電産株式会社 チャッキング装置を備えたモータ、およびこのモータを搭載したディスク駆動装置
KR100977205B1 (ko) * 2008-11-14 2010-08-23 삼성전기주식회사 모터 및 이를 구비한 디스크 드라이버
US8117632B2 (en) * 2008-12-10 2012-02-14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huck pin and disk chucking device having the same
KR100971302B1 (ko) * 2008-12-15 2010-07-20 삼성전기주식회사 디스크 척킹 장치
KR101107874B1 (ko) * 2009-03-02 2012-01-25 니혼 덴산 가부시키가이샤 척킹 장치, 모터 유닛 및 디스크 구동 장치
KR20100110983A (ko) * 2009-04-06 2010-10-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스핀들 모터의 클램핑 장치
CN102136286B (zh) * 2010-01-27 2013-11-0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光盘固定装置
US8132197B2 (en) 2010-04-17 2012-03-06 Apple Inc. Mounting objects on a turntable
CN107097250B (zh) * 2017-05-19 2023-03-14 中国科学院合肥物质科学研究院 一种应用于球状物体的柔性机械手爪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1298A (ja) * 2004-03-04 2005-09-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チャッキング装置
KR20050095085A (ko) * 2004-03-25 2005-09-29 삼성전기주식회사 디스크드라이브의 디스크 척킹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84002B2 (ja) * 1992-01-24 2003-03-10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テーブル及び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KR930003031A (ko) * 1991-07-20 1993-02-23 강진구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구동장치
US5426548A (en) 1992-02-29 1995-06-20 Nippon Densan Corporation Disk clamping assembly for a low profile disk drive apparatus
JP3123283B2 (ja) 1993-01-29 2001-01-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スク駆動装置
US5774445A (en) * 1993-08-09 1998-06-30 Funai Electric Co., Ltd. Disc clamp mechanism having radial disposed disc pressing elements
JPH1080119A (ja) 1996-09-05 1998-03-24 Sankyo Seiki Mfg Co Ltd スピンドルモータ
US6041033A (en) * 1996-12-18 2000-03-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k holding device
JPH1173722A (ja) 1997-07-04 1999-03-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スク保持装置
JPH1155900A (ja) 1997-07-30 1999-02-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ピンドルモータ
JPH1166718A (ja) * 1997-08-13 1999-03-09 Sony Corp 円板状記録媒体用ターンテーブル
JPH11262214A (ja) 1998-03-11 1999-09-24 Nippon Seiko Kk スピンドルモータ
US6222818B1 (en) 1998-03-18 2001-04-24 Kabushiki Kaisha Sankyo Seiki Seisakusho Disc chucking mechanism
JPH11296942A (ja) * 1998-04-09 1999-10-29 Sony Corp ディスクのチャック装置
JP3640818B2 (ja) 1998-11-30 2005-04-20 株式会社三協精機製作所 小型モータ
TW448419B (en) 1999-05-24 2001-08-01 Ind Tech Res Inst Disk clamping mechanism
JP2000339802A (ja) * 1999-05-27 2000-1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スク保持装置
JP2001101738A (ja) * 1999-09-28 2001-04-13 Hitachi Ltd ディスクチャッキング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
JP2001286113A (ja) 2000-03-30 2001-10-12 Hitachi Ltd ディスク装置
JP2001339896A (ja) 2000-05-30 2001-12-07 Mitsumi Electric Co Ltd スピンドルモ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176742A (ja) 2000-12-08 2002-06-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モータのロータ抜け止め機構およびロータ抜け止め機構を具備したモータの組立方法
JP2002190149A (ja) 2000-12-20 2002-07-05 Sankyo Seiki Mfg Co Ltd ディスククランプ装置
US6756711B2 (en) 2000-12-27 2004-06-29 Asmo Co., Ltd. Motor having control circuit board for controlling its rotation
KR100573252B1 (ko) * 2001-01-10 2006-04-25 티아크 가부시키가이샤 디스크클램프장치
JP2002312999A (ja) * 2001-04-16 2002-10-25 Mitsumi Electric Co Ltd ディスク装置
JP2003045105A (ja) 2001-08-02 2003-02-14 Canon Inc スピンドルモータ
JP3813485B2 (ja) 2001-10-16 2006-08-23 三洋電機株式会社 回転テーブル装置
US6806601B2 (en) 2002-03-20 2004-10-19 Nidec Corporation Brushless motor and disk drive including the same
JP2004171706A (ja) * 2002-11-21 2004-06-17 Jianzhun Electric Mach Ind Co Ltd ディスクキャリアのクランパ構造
US6957443B2 (en) * 2002-11-27 2005-10-18 Sunonwealth Electric Machine Industry Co., Ltd. Holding device for an optical disk drive
JP4035436B2 (ja) * 2002-12-20 2008-01-23 日本電産株式会社 記録ディスクチャッキング機構及びそれを備えた記録ディスク駆動モータ
JP3822609B2 (ja) 2004-03-04 2006-09-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チャッキング装置
JP3889009B2 (ja) 2004-03-04 2007-03-0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チャッキング装置
JP3822608B2 (ja) 2004-03-04 2006-09-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チャッキング装置
JP2005251304A (ja) 2004-03-04 2005-09-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チャッキング装置
WO2005086154A1 (ja) 2004-03-04 2005-09-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チャッキング装置
US7480927B2 (en) 2004-03-04 2009-01-20 Panasonic Corporation Chucking apparatus
JP2005251303A (ja) 2004-03-04 2005-09-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チャッキング装置
JP3822611B2 (ja) 2004-03-04 2006-09-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チャッキング装置
JP3822610B2 (ja) 2004-03-04 2006-09-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チャッキング装置
JP3851908B2 (ja) 2004-03-04 2006-11-2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チャッキング装置
WO2005086155A1 (ja) 2004-03-04 2005-09-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チャッキング装置
JP2005253239A (ja) 2004-03-05 2005-09-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スク装置
JP4596308B2 (ja) 2004-06-08 2010-12-08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
JP4113522B2 (ja) 2004-08-04 2008-07-09 日本電産株式会社 記録ディスク駆動用モータ及びこの記録ディスク駆動用モータを用いた記録ディスク駆動装置
KR100593924B1 (ko) 2004-09-01 2006-06-30 삼성전기주식회사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척킹장치
JP4481916B2 (ja) * 2004-10-20 2010-06-16 日本電産株式会社 チャッキング装置およびこのチャッキング装置を搭載した記録ディスク駆動用モータ
JP2006196139A (ja) 2004-12-15 2006-07-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スク駆動装置
JP2007166799A (ja) 2005-12-14 2007-06-28 Nippon Densan Corp インナーロータ型ブラシレスモータ
KR100733246B1 (ko) 2006-06-27 2007-06-28 삼성전기주식회사 턴테이블조립체
JP4946208B2 (ja) 2006-06-29 2012-06-06 日本電産株式会社 記録媒体の保持装置とそれを用いたモータユニット
JP5076573B2 (ja) * 2007-03-19 2012-11-21 日本電産株式会社 チャッキング装置を備えたモータ、およびこのモータを搭載したディスク駆動装置
JP4978257B2 (ja) 2007-03-19 2012-07-18 日本電産株式会社 チャッキング装置を備えたモータ、およびこのモータを搭載したディスク駆動装置
JP4992497B2 (ja) * 2007-03-19 2012-08-08 日本電産株式会社 チャッキング装置を備えたモータ、およびこのモータを搭載したディスク駆動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1298A (ja) * 2004-03-04 2005-09-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チャッキング装置
KR20050095085A (ko) * 2004-03-25 2005-09-29 삼성전기주식회사 디스크드라이브의 디스크 척킹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092476B2 (ja) 2012-12-05
US7900223B2 (en) 2011-03-01
JP2008234733A (ja) 2008-10-02
CN101271709A (zh) 2008-09-24
US20090241140A1 (en) 2009-09-24
KR20080085718A (ko) 2008-09-24
CN101271709B (zh) 2010-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3781B1 (ko) 척킹 장치를 구비한 모터 및 이 모터를 탑재한 디스크 구동 장치
KR100949208B1 (ko) 척킹 장치를 구비한 모터 및 이 모터를 탑재한 디스크 구동 장치
KR20080085719A (ko) 척킹장치를 구비한 모터 및 이 모터를 탑재한 디스크구동장치
KR20080085720A (ko) 척킹장치를 구비한 모터 및 이 모터를 탑재한 디스크구동장치
KR100934060B1 (ko) 척킹 장치, 척킹 장치를 탑재한 브러시리스 모터 및 브러시리스 모터를 탑재한 디스크 구동 장치
KR100998778B1 (ko) 척킹장치 및 이 척킹장치를 탑재한 브러시리스 모터 및 디스크 구동 장치
KR100934062B1 (ko) 척킹 장치, 척킹 장치를 탑재한 브러시리스모터 및 브러시리스 모터를 탑재한 디스크 구동 장치
KR100934061B1 (ko) 척킹 장치, 척킹 장치를 탑재한 브러시리스 모터 및 브러시리스 모터를 탑재한 디스크 구동 장치
JP4872505B2 (ja) チャッキング装置、このチャッキング装置を搭載したブラシレスモータ、およびディスク駆動装置
KR100934052B1 (ko) 척킹 기구, 무브러시 모터 및 디스크 구동 장치
JP2008047263A (ja) チャッキング装置、このチャッキング装置を搭載したモータおよびディスク駆動装置
JP2008210421A (ja) チャッキング装置を備えたモータ、およびこのモータを搭載したディスク駆動装置
JP5575389B2 (ja) ディスク回転用モータ
JP2001273695A (ja) ディスクチャッキング機構及びそれを備えたディスク駆動装置
JP5578346B2 (ja) チャッキング装置、ブラシレスモータおよびディスク駆動装置、並びに、チャッキング装置の製造方法
JP2005302098A (ja) ディスククラン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