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1160B1 - 식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식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1160B1
KR100941160B1 KR1020090088437A KR20090088437A KR100941160B1 KR 100941160 B1 KR100941160 B1 KR 100941160B1 KR 1020090088437 A KR1020090088437 A KR 1020090088437A KR 20090088437 A KR20090088437 A KR 20090088437A KR 100941160 B1 KR100941160 B1 KR 100941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lt
sikhye
extract
herbal medicine
alkaline ion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8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신규
김진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희매니지먼트컴퍼니
조정원
오건영
김신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희매니지먼트컴퍼니, 조정원, 오건영, 김신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희매니지먼트컴퍼니
Priority to KR1020090088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11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1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1160B1/ko
Priority to JP2010208763A priority patent/JP2011062199A/ja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20Malt products
    • A23L7/25Fermentation of cereal malt or of cereal by mal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23L2/382Other non-alcoholic beverages ferment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5Concentrates of non-alcoholic beverages
    • A23L2/39Dry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알칼리 이온수를 이용하여 한약재 추출액을 준비하고, 상기 한약재 추출액을 이용하여 엿기름 침출액 및 증숙한 곡류를 제조한 후 이를 혼합, 당화함으로써, 식혜의 섭취만으로 한약재의 유효성분을 섭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한약재를 정제수 또는 증류수에 침지하는 단계와, 상기 침지된 한약재에 알칼리 이온수를 가한 후, 80∼95℃의 온도에서 추출하여 한약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분말화된 엿기름을 상기 제조된 한약재 추출액에 침지시키는 단계와, 상기 침지된 엿기름과 상기 엿기름을 침지하기 위해 사용된 한약재 추출액을 함께 분쇄 및 여과하여 엿기름 침출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곡류를 상기 제조된 한약재 추출액에 침지시키는 단계와, 상기 침지된 곡류를 증숙하는 단계와, 상기 엿기름 침출액과 증숙한 곡류를 혼합한 후, 60∼70℃에서 당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식혜, 분말, 당화, 엿기름, 분쇄

Description

식혜의 제조방법 {PREPARATION OF FERMENTED RICE PUNCH}
본 발명은 식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알칼리 이온수를 이용하여 한약재 추출액을 준비하고, 상기 한약재 추출액을 이용하여 엿기름 침출액 및 증숙한 곡류를 제조한 후 이를 혼합, 당화함으로써, 식혜의 섭취만으로 한약재의 유효성분을 섭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식혜는 우리 나라의 전통적인 음료로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다.
먼저 쌀로 밥을 짓거나 증숙한 후 엿기름을 식수로 침출한다. 그리고 상기 침출수와 쌀로 지은 밥을 함께 60~70℃에서 5~7시간 당화한 후, 식감을 좋게 하기 위하여 설탕을 가하거나 생강을 가하여 끓이므로써 식혜의 제조를 완료한다.
그러나 이러한 식혜 제조방법은 엿기름을 식수에 침출하여서 되는 침출수, 즉 당화효소만을 추출하여 이용함으로써, 원래의 엿기름 속에 함유된 미네랄, 식이섬유소, 비타민 등을 충분히 섭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상기 침출수와 함께 쌀만을 혼합하여 당화함으로써, 다양한 영양소의 섭취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선행기술로서, 국내공개특허 제10-2004-0075643호는 암 예방 가능성 한약 식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느름나무 껍질과 치자 분말, 갈근 분말, 뽕잎분말 및 엿기름과 함께 열추출하여 식혜밥을 당화하는 것이고, 국내공개특허 제10-2001-0089859호는 버섯식혜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버섯균을 식혜에 접종하여 끓여서 복용하는 것이며, 국내등록특허 제10-0801574호는 무설탕식혜제조로 야콘즙을 설탕 대신 사용한 것이고, 국내공개특허 제10-2004-0061940호는 상황 버섯 식혜 제조에 관한 것이며, 국내공개특허 제10-2004-0077070호는 기능화시킨 쌀로 취반한 밥과 오미자를 주제로 한 스포츠음료용 식혜제조이며, 국내공개특허 제10-2006-0001130호는 감로식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잎을 다린 물을 식혜제조에 사용한 것이거, 국내공개특허 제10-2005-0060432는 연근 식혜의 제조방법으로 연근을 다려서 그 물로 식혜를 제조한 것이다. 그리고 국내공개특허 제10-2009-0053272호는 심층수를 이용하여 식혜를 제조한 것이며, 국내공개특허 제10-2006-0122380호는 상황버섯추출액을 이용한 것이며, 국내등록특허 제10-0431078호는 식혜농축액 제조 방법으로 엿기름 추출물을 농축하여 식혜를 제조한 것이고, 국내공개특허 제10-2003-0010356호는 젖산균과 효모 균주를 이용한 식혜 제조에 관한 것이고, 국내공개특허 제10-2002-0089213호는 유산균 식혜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시한 것이다. 또한 국내공개특허 제10-2009-0065427호는 식혜 제조 후 인삼, 호박, 복분자를 가하여 익혀서 사용하는 것이고, 국내공개특허 제10-2009-0005690호는 기능성 식혜 제조 방법으로 식혜에 녹차, 오가피를 가하여 끓인 후 프로폴리스를 가한 것이고, 국내공개특허 제10-2008-0107798호는 감초와 당귀 함유 식혜제조이며, 국내등록특허 제10-0722514호는 오가피를 이용한 식혜 제조이고, 국내공개특허 제 10-2006-0034317호는 인삼 무설탕과 식혜제조이고, 국내공개특허 제10-2003-0016195호는 한약재 추출액, 과일 및 호박을 이용한 것이고, 국내공개특허 제10-2003-0046526호는 즉석 식혜 분말과 그 제조방법으로 쌀을 증숙하여 분말화하고 맥아에 드라이아이스를 가하여 냉동하여 분말화 한 후 전분 가루와 맥아 가루에 정제 효소를 가하고 물을 가하여 60℃에서 당화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로서의 특허들은 모두 엿기름으로부터 당화효소만을 추출하여 사용한 것, 즉 엿기름 침출수만을 사용한 것으로, 엿기름의 유효성분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는 것은 물론, 분말 식혜로서의 제조가 어려워 유통에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엿기름을 분말화하여 이용함으로써 엿기름 내의 유효성분(디아스타제, 인벨타아제, 비타민B, 지방, 인지질, 덱스트린, 말토오즈, 글루코오스)을 그대로 섭취할 수 있다.
또한 식혜를 분말로서 제조함으로써, 유통이 용이하며 유효기간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식혜에 한약재 추출액의 유효성분이 포함됨으로써, 식혜의 섭취만으로 한약재의 유효성분을 동시에 섭취할 수 있는 효과를 갖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식혜 제조방법은,
한약재를 정제수 또는 증류수에 침지하는 단계와, 상기 침지된 한약재에 알칼리 이온수를 가한 후, 80∼95℃의 온도에서 추출하여 한약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분말화된 엿기름을 상기 제조된 한약재 추출액에 침지시키는 단계와, 상기 침지된 엿기름과 상기 엿기름을 침지하기 위해 사용된 한약재 추출액을 함께 분쇄 및 여과하여 엿기름 침출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곡류를 상기 제조된 한약재 추출액에 침지시키는 단계와, 상기 침지된 곡류를 증숙하는 단계와, 상기 엿기름 침출액과 증숙한 곡류를 혼합한 후, 60∼70℃에서 당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엿기름 침출액과 증숙한 곡류를 혼합하는 단계시, 이에 상기 침지된 한약재에 알칼리 이온수를 가한 후, 80∼95℃의 온도에서 추출하여 한약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된 한약재 추출액을 추가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당화하는 단계 후, 상기 당화된 당화액에 포도당, 대두단백, 젖산칼슘, 올리고당, 흑설탕, 난소화성 덱스트린, 저분자 알긴산나트륨 및 생강추출물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가하고 90∼100℃에서 가열하여 식혜를 제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조된 식혜를 분말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조된 식혜에 커피 또는 천연 카카오폴리페놀을 추가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한약재 추출액을 준비하는 단계 후,
상기 준비된 한약재 추출액을 감압농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한약재는 감초, 길경, 수삼, 건삼, 홍삼, 구기자, 오미자, 시상자, 토사자, 연근, 산약, 구채, 녹용, 복분자, 하수오, 산수유, 황성, 상심자, 금은화, 은행, 구채자, 구채근, 양파, 결명자, 남과인, 노니, 당귀, 황기, 천궁, 맥 문동, 천문동, 지골피, 계피, 건강, 숙지황, 건지황, 생지황, 생강, 사삼, 진피, 포공영, 유근피, 두충, 매실, 모과, 정향, 회향, 소엽, 상엽 및 생백피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곡류는 쌀, 찹쌀, 보리, 밀, 좁쌀, 옥수수 및 수수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식혜의 섭취만으로 다양한 한약재의 성능를 섭취하는 효과를 갖게 되며, 종래 엿기름 사용량을 1/2 정도로 줄일 수 있어 재료가 절약되는 것이다.
또한 한약재를 여러 가지를 효능별로 선별하여 제품화할 수 있어 소비자들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한약재의 유효물질이 포함된 식혜를 선택할 수 있게 되며, 분말 식혜로의 제조가 가능하여 즉석식혜로서의 활용이 가능하고 식혜의 유통기한을 연장할 수 있는 것이다.
삭제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한약재 추출액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준비한다.
한약재를 엄선한 후, 엄선된 한약재를 정제수 또는 증류수에 침지하여 불순물을 제거한다. 이때 상기 침지시간은 2∼5시간이 바람직한 바, 이는 한약재 표면에 부착된 불순물과 잔류농약 및 유해중금속류를 충분히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정제수 또는 증류수의 양은 제한하지 않는 것으로 한약재가 정제수 또는 증류수에 충분히 침지될 수 있는 정도면 족하다.
침지가 완료되면, 상기 침지된 한약재를 정제수로 깨끗이 세척하는 데, 3∼5회 정도 반복 세척하여 불순물을 깨끗이 제거한다.
세척이 완료되면, 상기 침지, 세척완료된 한약재에 알칼리 이온수를 가한 후, 80∼95℃의 온도에서 3∼5시간 추출하여 한약재 추출액을 준비한다. 이때 상기 추출온도가 80℃ 미만이면 한약재의 유효물질이 충분히 추출될 수 없고, 추출온도가 95℃를 초과하면 과도한 에너지가 소요되어 경제적이지 못하며, 추출시간 역시 3시간 미만이 되면 유효물질의 충분한 추출이 어렵고 5시간을 초과하더라도 더 이상의 유효물질의 추출이 어렵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침지된 한약재에 알칼리 이온수를 가할 시, 상기 알칼리 이온수만을 가할 수도 있으나, 알칼리 이온수에 약간의 당류를 혼합한 후, 상기 당류가 혼합된 알칼리 이온수를 한약재에 가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그 포도당의 혼합비는 알칼리 이온수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당류 5~30중량부가 되도록 한다.
상기 당류를 혼합하는 이유는 용질과 용매관계로 삼투압현상을 이용함으로써, 추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추출대상물인 한약재를 용질로서 설정하고 당류를 함유한 알칼리 이온수를 용매로서 설정하여, 두 물질 사이의 농도차를 구성시킴으로써 삼투압현상을 이용한 추출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사용되는 당류로는 천연감미료 및 당알콜류가 이용될 수 있는 데, 상기 천연감미료란 올리고당, 포도당, 이소말트, 자일리톨, 엿당, 과당, 꿀, 파라티노스, 나한과 추출물, 엿, 사탕, 스테비오사이드, 효소처리 스테비아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당알콜류로서 에리쓰리톨, 이소말트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삼투압현상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당류의 혼합이라고 표현하였으나, 상기 당류가 알칼리 이온수에 충분히 용해된 상태를 말하는 것은 당연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알칼리 이온수를 사용하는 이유는 알칼리 이온수가 용출력이 우수하고 환원력이 강하며 열전도 효과도 좋고, 수용액 중에는 이온화 된 인체에 필요한 미네랄 칼슘(Ca), 마그네슘(Mg), 칼륨(K), 나트륨(Na)이 많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이며, 그 양은 한약재와 1:1∼2중량비 정도가 되도록 투입하는 것이면 족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준비된 한약재 추출액은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이를 여과하고 감압농축(bp20, 40∼60℃)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40∼50 브릭스(Brix)로 엑기스화함으로써, 한약재 추출액의 준비를 완료하는 것이다.
상기의 한약재 추출액은 후공정에서 상기 엿기름과 곡류를 침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은 물론, 엿기름 침출수와 증숙한 곡류의 혼합시에도 추가로 혼합되므로 넉넉히 준비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한약재로는 감초, 길경, 수삼, 건삼, 홍삼, 구기자, 오미자, 시상자, 토사자, 연근, 산약, 구채, 녹용, 복분자, 하수오, 산수유, 황성, 상심자, 금은화, 은행, 구채자, 구채근, 양파, 결명자, 남과인, 노니, 당귀, 황기, 천궁, 맥문동, 천문동, 지골피, 계피, 건강, 숙지황, 건지황, 생지황, 생강, 사삼, 진피, 포공영, 유근피, 두충, 매실, 모과, 정향, 회향, 소엽, 상엽 및 생백피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약재를 2종 이상 사용시 즉, 복합방(複合方)으로는 치료개념보다는 면역기능강화와 자양강장 등에 범용되는 쌍화탕, 사물탕, 총명탕, 경옥고, 녹용대보탕, 십전대보탕, 생맥산 팔물탕, 억수영진고, 육미지황탕 등을 사용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한약재 추출액이 제조되면, 엿기름을 상기 제조된 한약재 추출액에 4∼5시간 침지시킨다. 이때 상기 엿기름은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아닌 100~150mesh 정도로 분말화하여 침지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분말화된 엿기름과 한약재 추출액은 1: 4∼6중량비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를 반드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엿기름을 그대로 사용하지 않고 분말화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엿기름 내에 함유된 각종 미네랄류, 식이섬유소, 비타민류, 미량의 GABA도 함께 섭취할 수 있는 것이며, 재래식 방법에 비해 엿기름의 사용량을 1/2만을 사용하더라 도 충분한 당화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침지가 완료되면, 침지된 엿기름과 상기 엿기름을 침지하기 위해 사용된 한약재 추출액을 함께 분쇄기로 분쇄하고 100∼150mesh로 여과함으로써, 자연 섬유소와 당화 효소가 함유된 엿기름 침출액을 제조한다.
한편, 상기 엿기름 침출액을 제조함과 동시에, 곡류 역시 상기 제조된 한약재 추출액에 10∼15시간 침지시킨다. 이때 상기 곡류와 상기 제조된 한약재 추출액의 혼합비 역시 제한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곡류와 한약제 추출액이 1: 2∼3중량비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침지가 완료되면, 상기 침지된 곡류만을 취하여 이를 증숙한다. 이때 상기 증숙은 증숙기를 이용하여 1∼2시간동안 이루어지는 데, 증류수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알칼리 이온수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별도의 증숙이 아닌 밥을 지어 이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곡류로는 쌀, 찹쌀, 보리, 밀, 좁쌀, 옥수수 및 수수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증숙이 완료되면, 상기 엿기름 침출액과 증숙한 곡류를 혼합한 후, 60∼70℃에서 5∼7시간 당화한다. 이때 상기 엿기름 침출액과 증숙한 곡류의 혼합비는 엿기름 침출액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증숙한 곡류 20∼50중량부 정도로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당화는 일반적으로 이용하는 보온밥통을 활용할 수도 있으며, 별도의 보온기를 이용할 수 있도 있는 것으로 그 방법을 제한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증숙된 곡류의 알갱이가 엿기름 침출액의 표면으로 부상하면 당화가 완료된 것으로 본다.
또한 상기 엿기름 침출액과 증숙한 곡류의 혼합시, 한약재 추출액이 추가로 혼합되는 것이 더 바람직한 바, 상기 한약재 추출액의 혼합비는 엿기름 침출액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80∼120 중량부 정도로 음용자의 취향에 따라 혼합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당화가 완료되면 이를 그대로 식혜로서 섭취할 수도 있으나, 추가적으로 이에 포도당, 대두단백, 젖산칼슘, 올리고당, 흙설탕, 난소화성 덱스트린, 저분자 알긴산나트륨 및 생강 추출물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의 것을 가하고, 90~100℃에서 20~30분간 가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추가 가열공정을 통해 당화가 중지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대두단백질을 첨가하면 혈청 콜레스테롤의 흡수가 억제될 수 있으며, 올리고당을 첨가하면 장내 비피더스균이 증식되어 유해균 생성이 억제됨으로써, 정장효과와 통변을 유도할 수 있게 되고, 젖산칼슘을 첨가하면 칼슘 보충제로서의 역할도 할 수 있고, 난소화성 덱스트린은 당흡수를 억제하고 저분자 알긴산나트륨은 콜레스테롤 흡수를 지연하고 정장작용을 돕는 역할을 한다.
또한 포도당과 흙설탕을 첨가하면 인체의 에너지원을 제공하며 단맛을 가해 식혜의 식감을 좋게 할 수있으며, 생강 추출물 역시 생강 고유의 풍미를 식혜에 제공할 수 있어 식감이 우수해지는 것이다.
상기 포도당, 대두단백, 젖산칼슘, 올리고당, 흙설탕, 난소화성 덱스트린, 저분자 알긴산나트륨 및 생강 추출물의 배합비는 제한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당화된 당화액, 즉 식혜 100중량비를 기준으로 포도당 2∼10중량부, 대두단백 4∼10중량부, 젖산칼슘 0.5∼2중량부, 올리고당 2∼10중량부, 흑설탕 2∼10중량부, 난소화성 덱스트린 4∼6중량부, 저분자 알긴산나트륨 2∼4중량부 및 생강 추출물 1∼4중량부의 범위 내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 선택하여 혼합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제조된 식혜는 분말화하면, 유통이 용이할 뿐 아니라 유통기한이 연장되어 저장이 용이하게 되는 데, 그 분말화방법으로는 냉동건조, 열풍건조 또는 분무건조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분말화된 식혜분말은 질소충진하여 포장하면 개봉 전 최소 10~20개월간은 보관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식혜분말은 냉·온수에 현탁 복용이 가능한 것으로, 기호에 따라 물 100㎖에 20~30g 정도의 분말식혜를 혼합 복용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분말화하지 않은 식혜는 액상으로 이용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조된 식혜에는 커피 또는 천연 카카오폴리페놀이 추가로 혼합되어 포장될 수 있는 데, 커피를 추가 혼합하게 되면 졸음방지 및 피로회복 효과를 갖게되고, 천연 카카오폴리페놀을 추가로 혼합할 경우 항산화기능을 갖는 것은 물론 혈중 콜레스테롤을 낮출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때 상기 커피 또는 천연 카카오폴리페놀의 혼합비는 제한하지 않는 것으로 취향 또는 기능에 따라 적절히 혼합하면 된다.
(실시예)
백복령 64g, 원지 64g, 석창포 64g, 당귀 64g, 홍삼 44g, 진피 44g, 감초를 20g 증류수 550㎖ 중에 4~5시간 침지시킨 후 한약재만 취하여 10% 포도당 알카리 이온수 3500㎖를 가하고 80~90℃에서 4~5시간 추출하였다.
엿기름 100g을 미세분말로 한 후 상기 한약 추출액 500㎖에서 4~5시간 침지 시킨 후, 상기 엿기름이 한약 추출액에 침지된 상태(엿기름과 엿기름의 침지시 사용된 한약 추출액을 함께)로 다시 분쇄기 중에서 분쇄하고 150mesh로 여과하여 자연 섬유소와 당화 효소가 함유된 엿기름 침출액을 제조하였다.
쌀 200g을 한약 추출액 500㎖에서 10~15시간 침지 후 증숙기 중에서 2시간 증숙하고, 상기 엿기름 침출액 500㎖, 한약재 추출액 500ml 및 증숙한 쌀 200g을 잘 혼합한 후 보온 밥통에서 60~70℃로 6시간 당화시켰다.
그리고 상기 당화된 당화액에 포도당 40g, 대두단백 50g, 젖산칼슘 10g, 올리고당 40g, 흑설탕 40g, 난소화성 덱스트린 32g , 저분자 알긴산나트륨 20g 및 생강 추출물 15g을 가하고 90~100℃에서 30분간 가열하여 당화를 중지시킨 후, 이를 냉동건조하여 분말로 제조하였다.
이하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알칼리 이온수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알칼리 이온수는 휴먼워터(Hu-50)(일동제약)를 통과한 물로 PH8.2~8.5의 약알카리 이온수이다.
즉, 전기분해하여 생성된 알칼리 이온수는 염소와 같은 유해물질이 없는 물로 미네랄이 풍부하여 (칼슘, 마그네슘, 칼륨) 물 맛이 좋고 크러스터 (cruster, 물분자 크기)가 작아서 흡수가 빠르며 육각수가 풍부하고 활성수소도 많아서 활성 산소를 제거하여 성인병 예방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알칼리 이온수는 물분자가 작아서 활동성이 강함으로 체내에서 노폐물을 신속히 용해하여 배설이 빠른 것이다.[핵자기공병(NMR, Nucleo Magnetic Resonance)(측정 수치가 작을 수록 물 분자가 작아서 활동성이 강하고 인체에 밸런스를 유지하여주는 활성화된 미네랄이 흡수가 잘 되는 것임)으로 측정한 물의 크라스터 비교 분석에 의하면 알카리 이온수 (54Hz), 생수 (94Hz), 지하수 (105Hz), 증류수 (118Hz), 수돗물 (120Hz)으로 측정된다.] 상기 알칼리 이온수에 녹아 있는 수소는 환원력이 좋아서 활성산소를 제거하여 주는 환원력이 있는 것으로 산화를 억제하고 예방하는 것이다. 또한 알칼리 이온수는 육각수가 풍부한 것인데, 6개의 물분자로 이루어진 가장 안정적인 형태로 알카리 이온수는 인체가 선호하는 육각수가 풍부하여 각종 질병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이다. 수돗물과 알카리 이온수의 수소량을 비교하면 수돗물은 2.3~2.6 PPb이고, 알카리 이온수는 400~1000 PPb로 수돗물의 약 200~500배인 것이다. (PPb : 10억분의 1) 중요 미네랄이 인체에 대한 작용은 칼슘은 체액의 산성화를 막아주고 치아와 골격의 중요 성분이고, 칼륨은 신경과 근육의 정상기능을 유지시켜주고, 마그네슘은 근육의 긴장과 흥분을 억제하고 나트륨은 혈액과 임파액의 항상성을 유지에 도움을 주고, 아연은 성기능과 관련이 있으며 부족하면 발 육 지장과 탈모에 관련이 있는 것이다. 즉, 인체 내부는 PH 7.4의 약알카리 성이며 피부는 PH 4.5~5.6의 약산성을 유지할 때 건강하며 알카리 이온수는 산성식품 위주의 식생활에서 오는 체액의 산성화에 많은 도움을 주는 것이다. 아울러 알칼리 이온수는 활성산소에 약한 뇌세포를 보호할 수 있으며 육각수 비율이 높기 때문에 뇌세포 주위의 물의 구조가 치밀하여져서 신경세포의 손상을 막아 줄 수 있다고 하는 것하며, 전기분해하여 음극에서 얻어지는 알칼리 이온수는 활성산소를 없애는 능력은 갖고 있다는 것을 일본 규슈대학 시라하다교수가 발표한 바 있다.(알카리 이온수는 활성산소를 제거하고 DNA를 산화로부터 보호한다. 1977 국제 생화확회. BBCC)
한편, 세포의 삼투압 현상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식물 세포의 외부 세포막은 셀룰로즈 및 펙틴질로 싸여져 있다. 상기 세포의 세포질은 비교적 얇은 층으로 되며, 상기 세포막 내부에 작은 주머니 상태로 되어있다. 상기 작은 주머니 속에서 세포액이 있어 액포(液泡, Vacuole)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세포 속에는 염류, 당류, 산류와 여러 가지 미지 물질이 용해되어 혼합 형성되어 있는 바, 그 중 염류가 삼투 작용을 관여하는 것이며, 여러 가지 복합 당류와 유기산류가 그 다음으로 관여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당류, 염류, 산류 세 가지 합치면 전삼투가 87∼95%가 되며, 식물세포는 내부로부터 압력을 가하면 다소 긴장된 상태를 유지하고 세포 내부 구조 용액의 용매인 물에는 대체적으로 자유로이 통과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원형질 분해가 일어나면 세포질 세포층이 떨어져나가고 세포질 자체 축 소와 같은 파괴적 작용을 받아서 세포 침해를 받는 데, 당과 같은 다른 물질의 용액에서는 장시간 원형질이 분리되어 저온에서도 원형질의 분리투과성을 높혀 주는 것이다.
아울러 식물생활 현상에서 수분이 들어오고 나가는 데는 내외의 물의 양에 의한 것이 아니고 온도가 관계되는 것인 데, 본 발명은 삼투압 작용을 이용하여 한약재를 알칼리 이온수에 당류를 용해한 용매를 추출용매로 사용하는 것이다.
즉, 추출용매로 사용하는 용매에는 당류가 용해되어 있어 한약재에 증류수를 흡착시킨 것보다는 농도가 높은 용매로 작용하게 되고, 추출하고자 하는 한약재 중 내재(內在)되어 있는 여러 가지 성분이 침지할 때 흡수된 수분에 의하여 세포가 팽윤상태로 되어 당류를 함유한 추출용매와의 농도차이에 의해서 한약재는 삼투압 현상을 일으켜 용출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그 용출 속도는 가열하여 온도를 높이는 것과 당의 농도와 비례되며 한약재 속의 성분은 용매 쪽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일정한 용액에서 나타나는 삼투압은 용액의 농도와 온도에 비례한다는 Gay-Lussac설이 증명하는 데, 한약재의 세포속으로 수분이 흡수된 것이 한약재의 여러 가지 성분과 함께 가열에 의하여 당을 함유하는 용매 쪽으로 한약재 성분이 신속하게 이동되는 것이다. 이때는 당을 함유하는 용매의 농도가 높을수록 용출 효율이 좋은 것이다.
이와 같은 추출 방법은, 추출한 한약재와 당류가 분자결합상태로 어우러진 간편한 방법으로, 경제적이면서도 그 효율이 우수한 추출방법이다.
본 발명의 추출방법은 당류와 한약재가 분자결합상태(분자 화합물)로 어우러 져 있으므로 식품으로의 사용 시, 우수한 흡수율을 갖게 되는 것이며 기대되는 효과 역시 우수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9)

  1. 한약재를 정제수 또는 증류수에 침지하는 단계와,
    상기 침지된 한약재에 알칼리 이온수를 가한 후, 80∼95℃의 온도에서 추출하여 한약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분말화된 엿기름을 상기 제조된 한약재 추출액에 침지시키는 단계와,
    상기 침지된 엿기름과 상기 엿기름을 침지하기 위해 사용된 한약재 추출액을 함께 분쇄 및 여과하여 엿기름 침출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곡류를 상기 제조된 한약재 추출액에 침지시키는 단계와,
    상기 침지된 곡류를 증숙하는 단계와,
    상기 엿기름 침출액과 증숙한 곡류를 혼합한 후, 60∼70℃에서 당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한약재는 감초, 길경, 수삼, 건삼, 홍삼, 구기자, 오미자, 시상자, 토사자, 연근, 산약, 구채, 녹용, 복분자, 하수오, 산수유, 황성, 상심자, 금은화, 은행, 구채자, 구채근, 양파, 결명자, 남과인, 노니, 당귀, 황기, 천궁, 맥문동, 천문동, 지골피, 계피, 건강, 숙지황, 건지황, 생지황, 생강, 사삼, 진피, 포공영, 유근피, 두충, 매실, 모과, 정향, 회향, 소엽, 상엽 및 생백피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것이며,
    상기 곡류는 쌀, 찹쌀, 보리, 밀, 좁쌀, 옥수수 및 수수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식혜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엿기름 침출액과 증숙한 곡류를 혼합하는 단계시, 이에 상기 침지된 한약재에 알칼리 이온수를 가한 후, 80∼95℃의 온도에서 추출하여 한약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된 한약재 추출액을 추가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혜의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당화하는 단계 후,
    상기 당화된 당화액에 포도당, 대두단백, 젖산칼슘, 올리고당, 흑설탕, 난소화성 덱스트린, 저분자 알긴산나트륨 및 생강추출물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가하고 90∼100℃에서 가열하여 식혜를 제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혜의 제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된 식혜를 분말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혜의 제조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침지된 한약재에 알칼리 이온수를 가할 시,
    상기 알칼리 이온수에 당류를 혼합한 후, 상기 당류가 혼합된 알칼리 이온수를 한약재에 가하되,
    상기 당류로는 올리고당, 포도당, 이소말트, 자일리톨, 엿당, 과당, 꿀, 파라티노스, 나한과 추출물, 엿, 사탕, 스테비오사이드, 효소처리 스테비아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것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혜의 제조방법.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된 식혜에 커피 또는 천연 카카오폴리페놀을 추가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혜의 제조방법.
  7.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약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후,
    상기 제조된 한약재 추출액을 감압농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혜의 제조방법.
  8. 삭제
  9. 삭제
KR1020090088437A 2009-09-18 2009-09-18 식혜의 제조방법 KR100941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8437A KR100941160B1 (ko) 2009-09-18 2009-09-18 식혜의 제조방법
JP2010208763A JP2011062199A (ja) 2009-09-18 2010-09-17 甘酒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8437A KR100941160B1 (ko) 2009-09-18 2009-09-18 식혜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1160B1 true KR100941160B1 (ko) 2010-02-10

Family

ID=42083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8437A KR100941160B1 (ko) 2009-09-18 2009-09-18 식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1062199A (ko)
KR (1) KR100941160B1 (ko)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675B1 (ko) 2009-09-28 2012-03-22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차조기 추출액 및 이를 이용한 음료
KR101169750B1 (ko) 2011-12-08 2012-07-30 정지홍 소엽를 포함하는 식품 제조용 복합 추출물, 그 제조방법 및 그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KR101321769B1 (ko) 2010-11-26 2013-10-25 경상북도(농업기술원) 한방 약식혜 제조방법
KR101400293B1 (ko) 2012-12-26 2014-05-28 시흥시 연 식혜 제조방법
KR101422611B1 (ko) 2011-05-04 2014-07-23 장남수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및 건강음료 조성물
KR101479009B1 (ko) 2012-05-11 2015-01-06 김포농식품가공영농조합법인 식혜 프리믹스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56523B1 (ko) 2014-05-30 2015-10-02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커피박 열수 추출물을 이용한 식혜의 제조방법
KR101576399B1 (ko) 2014-11-13 2015-12-10 임순희 탄산 식혜의 제조방법
KR20160114848A (ko) * 2015-03-25 2016-10-06 유이례 자색 고구마 보리 모주 제조방법
KR20180052182A (ko) * 2016-11-10 2018-05-18 성삼섭 발효농축액의 제조방법
KR20200138498A (ko) * 2019-05-30 2020-12-10 권현숙 산사자와 느릅나무를 이용한 식혜의 제조방법
KR102227008B1 (ko) * 2020-11-03 2021-03-15 정선아라리한과농원 영농조합법인 도라지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2281796B1 (ko) * 2020-11-26 2021-07-23 김영숙 보약이 되는 식혜의 제조방법
KR20220054045A (ko) * 2020-10-23 2022-05-02 서정쿠킹 주식회사 후식용 기호성 신규한 타입의 쌀식혜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2398102B1 (ko) * 2022-03-10 2022-05-13 이계수 약초농축액을 포함하는 감자감주
KR20220082142A (ko) * 2020-12-09 2022-06-17 김진화 산양삼청의 제조방법
KR102512314B1 (ko) 2021-11-24 2023-03-20 김진화 액상의 식혜쥬스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액상의 식혜쥬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22892B2 (ja) * 2012-03-13 2017-11-01 淳一 柳渕 電離水素水を用いた抗酸化能力の高い野菜およびその加工方法
CA3158629A1 (en) * 2019-10-24 2021-04-29 Oriental Yeast Co., Ltd. Method for keeping qualities of cooked rice and method for producing cooked r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8217A (ko) * 1997-02-17 1998-10-15 김진칠 간이 식혜제의 제조방법
KR20030016195A (ko) * 2002-12-24 2003-02-26 박선희 한약재 추출액과 과일과 호박을 이용한 기능성 식혜의제조방법
KR20040075643A (ko) * 2003-02-22 2004-08-30 한완석 암예방 기능성 한방 식혜의 제조방법 및 그 식혜
KR20050111059A (ko) * 2004-05-20 2005-11-24 여봉호 황토발효차를 이용한 식혜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9529A (ja) * 1985-07-16 1987-01-28 Yasahiro Morita Ymv霊芝の製造法
KR960040206A (ko) * 1995-05-25 1996-12-17 손경식 갈변방지가 가능한 레토르트 식혜의 제조방법
KR100690506B1 (ko) * 2005-05-27 2007-03-09 에프이엔바이오텍주식회사 현미상황버섯추출물을 이용한 식혜음료제조방법
JP2007244316A (ja) * 2006-03-17 2007-09-27 Infini:Kk プロポリス飲料の製造方法
JP4582809B2 (ja) * 2006-09-29 2010-11-17 株式会社興人 酵母エキスの抽出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8217A (ko) * 1997-02-17 1998-10-15 김진칠 간이 식혜제의 제조방법
KR20030016195A (ko) * 2002-12-24 2003-02-26 박선희 한약재 추출액과 과일과 호박을 이용한 기능성 식혜의제조방법
KR20040075643A (ko) * 2003-02-22 2004-08-30 한완석 암예방 기능성 한방 식혜의 제조방법 및 그 식혜
KR20050111059A (ko) * 2004-05-20 2005-11-24 여봉호 황토발효차를 이용한 식혜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675B1 (ko) 2009-09-28 2012-03-22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차조기 추출액 및 이를 이용한 음료
KR101321769B1 (ko) 2010-11-26 2013-10-25 경상북도(농업기술원) 한방 약식혜 제조방법
KR101422611B1 (ko) 2011-05-04 2014-07-23 장남수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및 건강음료 조성물
KR101169750B1 (ko) 2011-12-08 2012-07-30 정지홍 소엽를 포함하는 식품 제조용 복합 추출물, 그 제조방법 및 그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KR101479009B1 (ko) 2012-05-11 2015-01-06 김포농식품가공영농조합법인 식혜 프리믹스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00293B1 (ko) 2012-12-26 2014-05-28 시흥시 연 식혜 제조방법
KR101556523B1 (ko) 2014-05-30 2015-10-02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커피박 열수 추출물을 이용한 식혜의 제조방법
KR101576399B1 (ko) 2014-11-13 2015-12-10 임순희 탄산 식혜의 제조방법
KR20160114848A (ko) * 2015-03-25 2016-10-06 유이례 자색 고구마 보리 모주 제조방법
KR101709564B1 (ko) 2015-03-25 2017-02-23 유이례 자색 고구마 보리 모주 제조방법
KR20180052182A (ko) * 2016-11-10 2018-05-18 성삼섭 발효농축액의 제조방법
KR101970659B1 (ko) * 2016-11-10 2019-04-19 성삼섭 발효농축액의 제조방법
KR20200138498A (ko) * 2019-05-30 2020-12-10 권현숙 산사자와 느릅나무를 이용한 식혜의 제조방법
KR102214534B1 (ko) * 2019-05-30 2021-02-10 권현숙 산사자와 느릅나무를 이용한 식혜의 제조방법
KR20220054045A (ko) * 2020-10-23 2022-05-02 서정쿠킹 주식회사 후식용 기호성 신규한 타입의 쌀식혜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2591999B1 (ko) * 2020-10-23 2023-10-20 서정쿠킹 주식회사 후식용 쌀식혜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2227008B1 (ko) * 2020-11-03 2021-03-15 정선아라리한과농원 영농조합법인 도라지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2281796B1 (ko) * 2020-11-26 2021-07-23 김영숙 보약이 되는 식혜의 제조방법
KR20220082142A (ko) * 2020-12-09 2022-06-17 김진화 산양삼청의 제조방법
KR102568831B1 (ko) * 2020-12-09 2023-08-21 김진화 산양삼청의 제조방법
KR102512314B1 (ko) 2021-11-24 2023-03-20 김진화 액상의 식혜쥬스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액상의 식혜쥬스
KR102398102B1 (ko) * 2022-03-10 2022-05-13 이계수 약초농축액을 포함하는 감자감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062199A (ja) 2011-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1160B1 (ko) 식혜의 제조방법
CN102106580B (zh) 一种醒酒护肝保健饮料
CN104473249A (zh) 一种松花粉的液体制剂及其制备方法
CN102258708A (zh) 一种养生酒及其制备方法
CN104273629A (zh) 一种蜂蜜醋饮料
CN103478820A (zh) 一种杜仲雄花饮料
CN105558056A (zh) 一种桦褐孔菌奶茶粉及其制备方法
KR20100112215A (ko) 주성분으로 해양심층수, 홍삼 추출물, 대추 엑기스, 천궁 엑기스, 감초엑기스 및 구기자 엑기스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조성물
KR101483255B1 (ko) 총백을 이용한 기능성 한방차 및 그 제조방법
CN102697126A (zh) 银杏复合保健饮料的制造方法
KR101452884B1 (ko) 총백을 이용한 기능성 한방차 및 그 제조방법
CN100369563C (zh) 干菜王饮料及其制作工艺
CN107653173A (zh) 一种祛湿减肥保健醋饮料及其制备方法
CN106578217A (zh) 一种温和型保健凉茶及其加工工艺
CN105524805A (zh) 一种高丽红参猴头菇酒的制备方法
KR101381277B1 (ko) 홍삼을 함유하는 고장초 겔
KR100982434B1 (ko) 당류 수용액을 이용한 천연물의 추출방법, 그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CN113519737A (zh) 一种解酒护肝的多肽饮品及其制备方法
KR20210041387A (ko) 갈화 추출물 및 차전자피 분말을 함유한 숙취해소용 천연차 및 그 제조방법
KR100815333B1 (ko) 한약재를 이용한 건강식품 및 그 제조방법
CN104474406A (zh) 滋阴润肺养生中药酒及制备方法
CN104509612A (zh) 一种以甘蔗为主要原料的茶制品
CN103704693A (zh) 一种清咽润喉组合物
CN104031806A (zh) 一种夏季调和养生酒及其制备方法
CN104789401A (zh) 一种西洋参红葡萄酒的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