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5814B1 -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5814B1
KR100915814B1 KR1020070090813A KR20070090813A KR100915814B1 KR 100915814 B1 KR100915814 B1 KR 100915814B1 KR 1020070090813 A KR1020070090813 A KR 1020070090813A KR 20070090813 A KR20070090813 A KR 20070090813A KR 100915814 B1 KR100915814 B1 KR 100915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signal
nmos transistor
control signal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0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5735A (ko
Inventor
최해랑
박근우
김용주
송희웅
오익수
김형수
황태진
이지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70090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5814B1/ko
Priority to US12/169,568 priority patent/US7808841B2/en
Publication of KR20090025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5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5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5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51Data output circuits, e.g. read-out amplifiers, data output buffers, data output registers, data out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2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auxiliary circuits, e.g. defective refresh counters
    • G11C29/028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auxiliary circuits, e.g. defective refresh counters with adaption or trimming of paramet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4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memory elements, e.g. cell constructio details, timing of test signals
    • G11C29/08Functional testing, e.g. testing during refresh, power-on self testing [POST] or distributed testing
    • G11C29/12Built-in arrangements for testing, e.g. built-in self testing [BIST] or interconnection details
    • G11C29/1201Built-in arrangements for testing, e.g. built-in self testing [BIST] or interconnection details comprising I/O circuitr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4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memory elements, e.g. cell constructio details, timing of test signals
    • G11C29/50Marginal testing, e.g. race, voltage or current tes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51Data output circuits, e.g. read-out amplifiers, data output buffers, data output registers, data out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57Data output buffers, e.g. comprising level conversion circuits, circuits for adapting load

Landscapes

  • For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Logic Circuits (AREA)
  • Dram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 제어회로로서, 테스트 신호를 각각 입력받고, 퓨즈 커팅 여부에 따라 드라이버 유닛 제어 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복수의 제어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드라이버 유닛 제어신호 생성부; 제 1 데이터 신호를 공통으로 입력받고, 상기 드라이버 유닛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각각의 활성화 여부가 제어되어, 상기 제 1 데이터 신호를 드라이빙하여 공통 노드로 출력하는 복수의 드라이버 유닛을 구비하는 제 1 드라이버; 상기 드라이버 유닛 제어신호와 인에이블 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제 1 드라이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조합부; 및 제 2 데이터 신호를 공통으로 입력받고, 상기 제 1 드라이버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각각의 활성화 여부가 제어되어, 상기 제 2 데이터 신호를 드라이빙하여 상기 공통 노드로 출력하는 상기 복수의 제 1 드라이버를 구비하는 제 2 드라이버를 포함한다.
출력 드라이버, 4 PAM

Description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 제어회로{Circuit for Controlling Data Output Driver of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고속 신호의 주파수가 증가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시스템을 동작시키는 내부 칩(Chip) 뿐만 아니라 칩과 칩을 연결하는 PCB 상에서의 인터커넥션(Interconnection)에서도 고속 신호가 전송되고 있다. 그러나,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고속화 될수록 주파수 특성이 나빠지게 되어 이를 보상하기 위한 것이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고속 신호 전송에서 발생하는 주파수 손실을 보상하기 위하여 프리 엠파시스 회로를 통한 균등화(Equalization)를 수행한다. 여기서, 균등화(Equalization)라 함은, 고주파와 저주파를 조정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종래의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 제어회로의 회로도를 나타낸 것이다.
종래의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 제어회로는 입력에 따라 출력 전압 레벨을 다르게 생성할 수 있는 구조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는 제 1 출력 드라이버(100)와 제 2 출력 드라이버(200)를 포함한다. 제 1 출력 드라이버(100)는 상기 제 1 출력 드라이버(100)를 활성화 시키기 위한 제 1 NMOS 트랜지스터(N1), 차동 신호(Data0,Data0_B)를 입력받는 제 2 및 제 3 NMOS 트랜지스터(N2,N3), 및 제 1 및 제 2 저항(R1,R2)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NMOS 트랜지스터(N1)는 바이어스 전압(Vbias)을 입력받는 게이트, 접지전압(VSS)단과 연결된 소오스, 및 제 1 노드(S1)와 연결된 드레인을 포함한다. 제 2 NMOS 트랜지스터(N2)는 제 1 데이터 신호(Data0)를 입력받는 게이트, 상기 제 1 노드(S1)와 연결된 소오스, 및 제 2 노드(S2)와 연결된 드레인을 포함한다. 제 3 NMOS 트랜지스터(N3)는 반전된 제 1 데이터 신호(Data0_B)를 입력받는 게이트, 상기 제 1 노드(S1)와 연결된 소오스, 및 제 3 노드(S3)와 연결된 드레인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저항(R1)은 전원전압(VDD)단과 제 2 노드(S2)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저항(R2)은 전원전압(VDD)단과 제 3 노드(S3) 사이에 연결된다.
제 2 출력 드라이버(200)는 상기 제 2 출력 드라이버(200)를 활성화 시키기 위한 제 4 NMOS 트랜지스터(N4), 차동 신호(Data1,Data1_B)를 입력받는 제 5 및 제 6 NMOS 트랜지스터(N5,N6)를 포함한다. 상기 제 4 NMOS 트랜지스터(N4)는 바이어스 전압(Vbias)을 입력받는 게이트, 접지전압(VSS)단과 연결된 소오스, 및 제 4 노드(S4)와 연결된 드레인을 포함한다. 제 5 NMOS 트랜지스터(N5)는 제 2 데이터 신호(Data1)를 입력받는 게이트, 상기 제 4 노드(S4)와 연결된 소오스, 및 제 2 노드(S2)와 연결된 드레인을 포함한다. 상기 제 6 NMOS 트랜지스터(N6)는 반전된 제 2 데이터 신호(Data1_B)를 입력받는 게이트, 상기 제 4 노드(S4)와 연결된 소오스, 및 제 3 노드(S3)와 연결된 드레인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노드(S2)에는 반전된 출력 신호(OUTB)가 출력되고, 상기 제 3 노드(S3)에는 출력 신호(OUT)가 출력된다.
여기서, 바이어스 전압(Vbias)이라 함은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는 정전압 회로에서 정상 동작을 하게끔 인가되는 전압을 말한다.
종래의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 제어회로는 크기가 서로 다른 전류를 생성하고, 스위칭 하기 위해서 상기 제 1 출력 드라이버(100)의 제 1 내지 제 3 NMOS 트랜지스터(N1~N3)의 사이즈를 상기 제 2 출력 드라이버(200)의 제 4 내지 제 6 NMOS 트랜지스터(N4~N6)의 사이즈와 달리하여 구현하였다.
종래의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 제어회로는 상기 제 1 출력 드라이버(100)에 흐르는 전류를 'I'라 하고, 상기 제 2 출력 드라이버(200)에 흐르는 전류를 'nI'라 가정한다.
상기 종래의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 제어회로는 상기 제 1 데이터 신호(Data0)와 상기 제 2 데이터 신호(Data1)가 '로우'레벨인 경우, 제 3 NMOS 트랜지스터(N3)와 상기 제 6 NMOS 트랜지스터(N6)를 턴온시킨다. 상기 제 3 노드(S3)의 전류는 상기 제 1 출력 드라이버(100)에 상기 제 3 NMOS 트랜지스터(N3)를 통해 'I'가 배출되고, 상기 제 2 출력 드라이버(200)에 상기 제 6 NMOS 트랜지스터(N6)를 통해 'nI'가 동시에 배출된다.
상기 제 1 데이터 신호(Data0)가 '하이'레벨이고, 상기 제 2 데이터 신호(Data1)가 '로우'레벨인 경우, 상기 제 2 NMOS 트랜지스터(N2)와 상기 제 6 NMOS 트랜지스터(N6)는 턴온된다. 상기 제 2 노드(S2)의 전류는 상기 제 1 출력 드라이버(100)에 상기 제 2 NMOS 트랜지스터(N2)를 통해 'I'가 배출되고, 상기 제 3 노드(S3)의 전류는 상기 제 2 출력 드라이버(200)에 상기 제 6 NMOS 트랜지스터(N6)를 통해 'nI'가 배출된다.
상기 제 1 데이터 신호(Data0)가 '로우'레벨이고, 상기 제 2 데이터 신호(Data1)가 '하이'레벨인 경우, 상기 제 3 NMOS 트랜지스터(N3)와 상기 제 5 NMOS 트랜지스터(N5)는 턴온된다. 상기 제 2 노드(S2)의 전류는 상기 제 2 출력 드라이버(200)에 상기 제 5 NMOS 트랜지스터(N5)를 통해 'nI'가 배출되고, 상기 제 3 노드(S3)의 전류는 상기 제 1 출력 드라이버(100)에 상기 제 3 NMOS 트랜지스터(N3)를 통해 'I'가 배출된다.
상기 제 1 데이터 신호(Data0)가 '하이'레벨이고, 상기 제 2 데이터 신호(Data1)가 '하이'레벨인 경우, 상기 제 2 NMOS 트랜지스터(N2)와 상기 제 5 NMOS 트랜지스터(N5)는 턴온된다. 상기 제 2 노드(S2)의 전류는 상기 제 1 출력 드라이버(100)에 상기 제 2 NMOS 트랜지스터(N2)를 통해 'I'가 배출되고, 상기 제 2 출력 드라이버(200)에 상기 제 5 NMOS 트랜지스터(N5)를 통해 'nI'가 배출된다.
상기 네 가지의 경우에 있어 출력 신호(OUT,OUTB)의 차(예를 들어, OUTB-OUT)를 이용한다면 네 가지의 논리 로직을 표현할 수 있으며, 이러한 논리 표현 방식을 4 PAM(Phase Amplifier Modulation)이라 한다.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 제어회로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NMOS 트랜지스터(N1~N3)의 사이즈와 상기 제 4 내지 6 NMOS 트랜지스 터(N4~N6)의 사이즈가 동일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제 2 NMOS 트랜지스터(N2)[또는 제 3 NMOS 트랜지스터(N3)]를 스위칭 할 때와 상기 5 NMOS 트랜지스터(N5)[또는 제 6 NMOS 트랜지스터(N6)]를 스위칭 할 때의 주파수 특성이 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출력 신호(OUT,OUTB)의 전위 레벨을 가변 시키기 위해서는 제 1 및 제 4 NMOS 트랜지스터(N1,N4)의 게이트 전압을 바꾸어 전류를 제어하게 된다. 그러나, 전류를 바꾸어도, 상기 제 1 출력 드라이버(100)의 제 2 및 제 3 NMOS 트랜지스터(N2,N3), 상기 제 2 출력 드라이버(200)의 제 5 및 제 6 NMOS 트랜지스터(N5,N6)의 사이즈는 고정되어 있으므로 비선형적으로 주파수 특성이 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 제어회로로서, 출력 전압의 가변 범위를 확장하여, 주파수 특성 변화를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 제어회로로서, 테스트 신호를 각각 입력받고, 퓨즈 커팅 여부에 따라 드라이버 유닛 제어 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복수의 제어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드라이버 유닛 제어신호 생성부; 제 1 데이터 신호를 공통으로 입력받고, 상기 드라이버 유닛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각각의 활성화 여부가 제어되어, 상기 제 1 데이터 신호를 드라이빙하여 공통 노드로 출력하는 복수의 드라이버 유닛을 구비하는 제 1 드라이버; 상기 드라이버 유닛 제어신호와 인에이블 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제 1 드라이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조합부; 및 제 2 데이터 신호를 공통으로 입력받고, 상기 제 1 드라이버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각각의 활성화 여부가 제어되어, 상기 제 2 데이터 신호를 드라이빙하여 상기 공통 노드로 출력하는 상기 복수의 제 1 드라이버를 구비하는 제 2 드라이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출력 드라이버 제어회로는 출력 전압을 선형적으로 조절하여 주파수 특성 변화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 제어회로의 블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 제어회로는 테스트 신호(TM<0:k>)를 각각 입력받고, 퓨즈 커팅 여부에 따라 드라이버 유닛 제어신호(CTRL<0:k>)를 각각 출력하는 복수의 제어신호 생성부(310_1:310_k)를 구비하는 드라이버 유닛 제어신호 생성부(300), 차동 신호인 제 1 데이터 신호(Data0,Data0_B)를 공통으로 입력받고, 상기 드라이버 유닛 제어 신호(CTRL<0:k>)에 응답하여 각각의 활성화 여부가 제어되어 상기 제 1 데이터 신호(Data0,Data0_B)를 드라이빙하여 상기 공통 노드(Node1,Node2)로 출력하는 복수의 드라이버 유닛(410_1:410_k)을 구비하는 제 1 드라이버(400), 인에이블 신호(EN)와 상기 드라이버 유닛 제어신호(CTRL<0:k>)를 논리 조합하여 제 1 드라이버 제어신호(DRV1_CTRL<0:k>)를 각각 출력하는 신호 조합부(500), 및 차동 신호인 제 2 데이터 신호(Data1,Data1_B)를 입력받고, 상기 제 1 드라이버 제어 신호(DRV1_CTRL<0:k>)에 응답하여 각각의 활성화 여부가 제어되어 상기 제 2 데이터 신호(Data0,Data0_B)를 드라이빙하여 상기 공통 노드(Node1,Node2)로 출력하는 상기 복수 개의 제 1 드라이버(400_1:400_n)를 구비하는 제 2 드라이버(600)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드라이버(600)는 상기 제 1 드라이버(400)를 'n'개 구비한 형태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제어신호 생성부의 회로도를 나타낸 것이다.
드라이버 유닛 제어신호 생성부(300)는 테스트 신호(TM<0:k>)를 각각 입력받고, 퓨즈 커팅 여부에 따라 드라이버 유닛 제어 신호(CTRL<0:k>)를 각각 출력하는 복수의 제어 신호 생성부(310_1:310:k)를 구비하지만, 예를 들어, 제 1 테스트 신호(TM<0>)를 입력받아 제 1 드라이버 유닛 제어 신호(CTRL<0>)를 생성하는 상기 제 1 제어 신호 생성부(310_1)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제어 신호 생성부(310_1)는 제 1 PMOS 트랜지스터(P1), 및 제 1 퓨즈(F1)를 구비한다. 제 1 PMOS 트랜지스터(P1)는 제 1 테스트 신호(TM<0>)를 입력받는 게이트, 전원전압(VDD)단과 연결된 드레인, 및 제 1 퓨즈(F1)와 연결된 소오스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퓨즈(F1)는 상기 제 1 PMOS 트랜지스터(P1)와 상기 접지전압(VSS)단 사이에 연결된다.
테스트 동작 시, 제 1 테스트 신호(TM<0>)가 '하이'레벨이면, 상기 제 1 PMOS 트랜지스터(P1)는 턴오프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드라이버 유닛 제어 신호(CTRL<0>)는 '하이'레벨이 된다. 상기 제 1 테스트 신호(TM<0>)가 '로우'레벨이면, 상기 제 1 PMOS 트랜지스터(P1)는 턴온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드라이버 유닛 제어 신호(CTRL<0>)는 '로우'레벨이 된다.
노멀 동작 시, 상기 제 1 테스트 신호(TM<0>)는 접지전압(VSS)단과 연결된다. 상기 제 1 드라이버 유닛 제어 신호(CTRL<0>)는 디폴트 값이 '로우'레벨이 된다. 이때, 상기 제 1 드라이버 유닛 제어 신호(CTRL<0>)를 '하이'레벨로 변환하려면, 상기 제 1 퓨즈(F1)를 커팅하여, 전류가 접지전압(VSS)단으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따라서, 상기 제 1 제어 신호 생성부(310_1)는 상기 제 1 드라이버 유닛 제어 신호(CTRL<0>)의 디폴트 값이 '로우'레벨이 되며, 상기 제 1 퓨즈(F1)를 커팅함으로써 '하이'레벨의 상기 제 1 드라이버 유닛 제어 신호(CTRL<0>)를 출력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드라이버 유닛의 회로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제 1 드라이버(400)는 복수의 드라이버 유닛(410_1:410_k)을 구비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어, 상기 제 1 데이터 신호(Data0,Data0_B)와 제 1 드라이버 유닛 제어 신호(CTRL<0>)를 입력받아 출력 신호(OUT,OUTB)를 출력하는 제 1 드라이버 유닛(410_1)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드라이버 유닛(410_1)은 상기 제 1 드라이버 유닛(410_1)을 활성화 하기 위한 제 6 및 제 7 NMOS 트랜지스터(N6,N7), 차동 신호(Data0,Data)_B)를 입력받는 제 8 및 제 9 NMOS 트랜지스터(N8,N9), 및 제 3 저항(R3) 및 제 4 저항(R4)을 포함한다.
상기 제 6 NMOS 트랜지스터(N6)는 바이어스 전압(Vbias)을 입력받는 게이트, 접지전압(VSS)단과 연결된 소오스, 및 드레인을 포함한다. 제 7 NMOS 트랜지스터(N7)는 제 1 드라이버 유닛 제어 신호(CTRL<0>)를 입력받는 게이트, 상기 제 6 NMOS 트랜지스터(N6)의 드레인과 연결된 소오스, 및 제 5 노드(S5)와 연결된 드레인을 포함한다. 제 8 NMOS 트랜지스터(N8)는 제 1 데이터 신호(Data0)를 게이트가 입력받고, 상기 제 5 노드(S5)와 연결된 소오스, 및 제 6 노드(S6)와 연결된 드레인을 포함한다. 제 9 NMOS 트랜지스터(N9)는 반전된 제 1 데이터 신호(Data0_B)를 입력받는 게이트, 상기 제 5 노드(S5)와 연결된 소오스, 및 제 7 노드(S7)와 연결된 드레인을 포함한다. 제 3 저항(R3)은 전원전압(VDD)단과 상기 제 6 노드(S6)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 4 저항(R4)은 전원전압(VDD)단과 상기 제 7 노드(S7) 사이에 연결된다. 상기 제 6 노드(S6)에서 반전된 출력 신호(OUTB)를 출력하고, 상기 제 7 노드(S7)에서 출력 신호(OUT)를 출력한다.
여기서, 바이어스 전압(Vbias)이라 함은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는 정전압 회로에서 정상 동작을 하게끔 인가되는 전압을 말한다.
상기 바이어스 전압(Vbias)은 상기 제 6 NNMOS 트랜지스터(N6)를 턴온시키고, 상기 제 1 드라이버 유닛 제어 신호(CTRL<0>)는 상기 제 1 드라이버 유닛(410_1)의 활성화 여부를 제어한다. 상기 제 1 드라이버 유닛 제어 신호(CTRL<0>)가 '로우'레벨인 경우, 상기 제 7 NMOS 트랜지스터(N7)는 턴 오프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드라이버 유닛(410_1)은 비활성화 된다. 상기 제 1 드라이버 유닛 제어 신호(CTRL<0>)가 '하이'레벨인 경우, 상기 제 7 NMOS 트랜지스터(N7)는 턴 온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드라이버 유닛(410_1)은 활성화 되어 상기 제 1 데이터 신호(Data0,Data0_B)를 드라이빙하여 출력 신호(OUT,OUTB)를 공통 노드(Node1,Node2)로 출력한다. 이와 같이, 주파수 특성에 맞는 전압을 선형적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복수의 드라이버 유닛(410_1:410_k)의 활성화 여부를 각각의 드라이버 유닛 제어 신호(CTRL<0:k>)로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 1 드라이버 유닛(410_1)이 활성화 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데이터 신호(Data0, Data0_B)의 레벨에 따라 접지전압(VSS)단으로 배출되는 전류를 'I'라 가정한다. 상기 제 1 데이터 신호(Data0)의 전위 레벨이 상기 반전된 제 1 데이터 신호(Data0_B)보다 높을 경우, 상기 제 8 NMOS 트랜지스터(N8)는 턴온되고, 상기 제 9 NMOS 트랜지스터(N9)는 턴오프된다. 상기 제 6 노드(S6)의 전류는 상기 제 8 NMOS 트랜지스터(N8)를 통해 'I'가 배출된다.
상기 제 1 데이터 신호(Data0)의 전위 레벨이 상기 반전된 제 1 데이터 신호(Data0_B)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 8 NMOS 트랜지스터(N8)는 턴오프되고, 상기 제 9 NMOS 트랜지스터(N9)는 턴온된다. 상기 제 6 노드(S6)의 전류는 상기 제 8 NMOS 트랜지스터(N8)에 의해 전류의 배출이 차단된다.
상기 제 1 드라이버(400)는 제 1 데이터 신호(Data0,Data0_B)를 공통으로 입력받고, 각각 드라이버 유닛 제어 신호(CTRL<0:k>)를 입력받는 복수의 드라이버 유닛(410_1:410_k)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드라이버 유닛 제어 신호(CTRL<0:k>)에 각각 응답하여 활성화 되는 상기 복수의 드라이버(410_1:410_k)는 상기 출력 신호(OUT,OUTB)의 전위 레벨을 결정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즉,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 제어회로는 상기 드라이버 유닛(410_1:410_k)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흐르는 전류량의 가변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드라이버 유닛(410_1:410_k)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상기 전류량의 가변 범위가 'I ~ kI' 가 된다. 상기 복수의 드라이버(410_1:410_k)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전류량의 가변 범위가 확장되어, 상기 출력 신호(OUT,OUTB)의 전위 레벨을 선형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드라이버(600)는 제 2 데이터 신호(Data1,Data1_B)를 공통으로 입력받고, 각각 제 1 드라이버 제어신호(DRV1_CTRL<0:n>)를 입력받는 복수의 상기 제 1 드라이버(400)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드라이버(400)의 전류량의 가변 범위가'I ~ kI'이다. 상기 제 2 드라이버(600)는 상기와 같은 전류 량의 가변 범위를 가지는 상기 제 1 드라이 버(400)를 'n'개만큼 보유하므로, 상기 제 2 드라이버(600)의 전류량의 가변 범위는 'kI ~ nkI'가 된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한 신호 조합부의 회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신호 조합부(500)는 상기 인에이블 신호(EN)를 공통으로 입력받고, 드라이버 유닛 제어 신호(CTRL<0:k>)를 각각 입력받아 제 1 드라이버 제어신호(DRV1_CTRL<0:k>)를 각각 출력한다.
상기 신호 조합부(500)는 상기 제 2 드라이버(600)를 인에이블 시키기 위한 인에이블 신호(EN)를 각각 공통으로 입력받고. 드라이버 유닛 제어신호(CTRL<0:k>)를 각각 입력받는 복수의 낸드 게이트(ND0~NDk), 및 상기 복수의 낸드 게이트(ND0~NDk)의 출력 신호를 반전시켜 제 1 드라이버 제어 신호(DRV1_CTRL<0:k>)를 출력하는 복수의 인버터(IV0~IVk)를 포함한다.
상기 신호 조합부(500)는 낸드 게이트(ND0~NDk)와 인버터(IV0~IVk)로 각각 구성된 복수의 조합부(500_1:500:k)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조합부(500_1)를 설명하면, 상기 제 1 조합부(500_1)는 상기 인에이블 신호(EN)와 제 1 드라이버 유닛 제어 신호(CTRL<0>)를 입력받는 제 1 낸드 게이트(ND0), 및 상기 제 1 낸드 게이트(ND0)의 출력을 입력받아 제 1 드라이버 제어 신호(DRV1_CTRL<0>)를 출력하는 제 1 인버터(IV1)를 포함한다.
상기 인에이블 신호(EN)가 인에이블 되고, 상기 제 1 드라이버 유닛 제어 신호(CTRL<0>)가 인에이블 되면, 상기 제 1 드라이버 제어 신호(DRV1_CTRL<0>)는 인에이블 된다. 반면, 상기 제 1 드라이버 유닛 제어 신호(CTRL<0>)가 디스에이블 되 면, 상기 제 1 드라이버 제어 유닛(DRV1_CTRL<0>) 또한 디스에이블 된다.
상기 신호 조합부(500)는 인에이블 신호(EN)가 '로우'레벨인 경우, 상기 드라이버 유닛 제어 신호(CTRL<0:k>)의 값에 상관없이 상기 제 1 드라이버 제어신호(DRV1_CTRL<0:k>)는 디스에이블 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드라이버(600)는 비활성화 된다. 상기 인에이블 신호(EN)가 '하이'레벨로 인에이블 된 경우, 상기 드라이버 유닛 제어 신호(CTRL<0:k>)의 인에이블 여부에 따라 상기 제 1 드라이버 제어신호(DRV1_CTRL<0:k>)의 인에이블 여부가 결정된다.
종래의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 제어회로는 제 1 출력 드라이버(100)와 제 2 출력 드라이버(200)를 구비하고, 출력 전압(이하, 전위 레벨)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출력 드라이버(200)를 활성화 시키기 위한 4 MOS 트랜지스터(N4)의 게이트 전압을 조절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서는 전류의 가변 범위가 작고, 상기 제 2 출력 드라이버(200)에 흐르는 전류량을 선형적으로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출력 전압을 선형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드라이버 유닛(410_1:410_k)을 복수 개 구비하고, 드라이버 유닛 제어 신호(CTRL<0:k>)를 사용하여 출력 신호(OUT,OUTB)를 제어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복수의 드라이버 유닛(410_1:410_k)을 복수 개 구비하여 출력 전압의 가변 범위를 확장할 수 있고, 원하는 출력 전압을 선형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복수의 드라이버 유닛(410_1:410_k) 중 3개의 드라이버 유닛[예를 들어, 410_1,410_2,410_3)]이 활성화 되었다고 가정하면, 상기 제 1 드라이버(400)에 흐르는 전류 량은 '3I'가 된다. 또한, 제 2 드라이버(600)의 상기 제 1 드라이버(400_1:400_n)가 5개가 활성화 되었다고 가정하면, 상기 제 2 드라이버(600)에 흐르는 전류 량은 '15I'가 된다. 즉, 상기 제 1 드라이버(400)에 흐르는 전류 량이 'I'라면 상기 제 2 드라이버(600)에 흐르는 전류 량은 'nI'가 되고, 상기 제 1 드라이버(400)에 흐르는 전류 량이 'kI'라면, 상기 제 2 드라이버(600)에 흐르는 전류 량은 'nkI'가 된다. 상기와 같이 제 1 드라이버(400) 및 제 2 드라이버(600)에 흐르는 전류 량을 선형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그 가변 범위 또한 확장할 수 있다.
또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 제어회로는 동일한 전류와 동일한 크기의 MOS 트랜지스터를 이용함으로써, 출력 전압에 따른 주파수 특성이 변하지 않아 주파수 특성이 변하는 문제를 방지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 제어회로의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 제어회로의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제어 신호 생성부의 회로도,
도 4는 도 2에 도시한 드라이버 유닛의 회로도, 및
도 5는 도 2에 도시한 신호 조합부의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 1 출력 드라이버 200 : 제 2 출력 드라이버
300 : 드라이버 유닛 제어신호 생성부 310_1 : 제어 신호 생성부
400 : 제 1 드라이버 410_1 : 드라이버 유닛
500 : 신호 조합부 600 : 제 2 드라이버

Claims (4)

  1. 테스트 신호를 각각 입력받고, 퓨즈 커팅 여부에 따라 드라이버 유닛 제어 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복수의 제어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드라이버 유닛 제어신호 생성부;
    제 1 데이터 신호를 공통으로 입력받고, 상기 드라이버 유닛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각각의 활성화 여부가 제어되어, 상기 제 1 데이터 신호를 드라이빙하여 공통 노드로 출력하는 복수의 드라이버 유닛을 구비하는 제 1 드라이버;
    상기 드라이버 유닛 제어신호와 인에이블 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제 1 드라이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조합부; 및
    제 2 데이터 신호를 공통으로 입력받고, 상기 제 1 드라이버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각각의 활성화 여부가 제어되어, 상기 제 2 데이터 신호를 드라이빙하여 상기 공통 노드로 출력하는 상기 복수의 제 1 드라이버를 구비하는 제 2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 제어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 신호는 서로 위상이 반대인 한 쌍의 차동신호인 제 1 입력 신호와 제 2 입력 신호이고,
    상기 복수의 드라이버 유닛 각각은,
    게이트가 상기 제 1 입력 신호를 입력받고, 드레인이 전원단과 연결되며, 소오스가 제 1 노드와 연결된 제 1 NMOS 트랜지스터,
    게이트가 상기 제 2 입력 신호를 입력받고, 드레인이 전원단과 연결되며, 소오스가 상기 제 1 노드와 연결된 제 2 NMOS 트랜지스터,
    게이트가 바이어스 전압을 입력받고, 소오스가 접지단과 연결된 제 3 NMOS 트랜지스터,
    게이트가 상기 제어 신호를 입력받고, 드레인이 상기 제 1 노드와 연결되며, 소오스가 상기 제 3 N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과 연결된 제 4 NMOS 트랜지스터,
    전원단과 상기 제 1 N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사이에 연결된 제 1 저항, 및
    전원단과 상기 제 2 N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사이에 연결된 제 2 저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 제어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드라이버는,
    상기 제 2 데이터 신호는 서로 위상이 반대인 한 쌍의 제 1 입력신호 및 제 2 입력신호이고,
    상기 제 2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의 복수의 드라이버 각각은,
    게이트가 상기 제 1 입력 신호를 입력받고, 드레인이 전원단과 연결되며, 소오스가 제 1 노드와 연결된 제 1 NMOS 트랜지스터,
    게이트가 상기 제 2 입력 신호를 입력받고, 드레인이 전원단과 연결되며, 소오스가 상기 제 1 노드와 연결된 제 2 NMOS 트랜지스터,
    게이트가 바이어스 전압을 입력받고, 소오스가 접지단과 연결된 제 3 NMOS 트랜지스터,
    게이트가 상기 드라이버 제어 신호를 입력받고, 드레인이 상기 제 1 노드와 연결되고, 소오스가 상기 제 3 N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과 연결된 제 4 NMOS 트랜지스터,
    전원단과 상기 제 1 N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사이에 연결된 제 1 저항, 및
    전원단과 상기 제 2 N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사이에 연결된 제 2 저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 제어회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어 신호 생성부 각각은,
    게이트가 상기 테스트 신호를 입력받고, 소오스가 전원단과 연결되며, 드레인이 접지단과 연결된 제 1 PMOS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1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과 접지단 사이에 연결된 퓨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 제어회로.
KR1020070090813A 2007-09-07 2007-09-07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 제어회로 KR100915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0813A KR100915814B1 (ko) 2007-09-07 2007-09-07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 제어회로
US12/169,568 US7808841B2 (en) 2007-09-07 2008-07-08 Data output circuit for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0813A KR100915814B1 (ko) 2007-09-07 2007-09-07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5735A KR20090025735A (ko) 2009-03-11
KR100915814B1 true KR100915814B1 (ko) 2009-09-07

Family

ID=40431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0813A KR100915814B1 (ko) 2007-09-07 2007-09-07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 제어회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808841B2 (ko)
KR (1) KR1009158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739B1 (ko) * 2008-11-17 2011-06-2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집적회로
US9225565B2 (en) 2012-03-20 2015-12-29 Intel Deutschland Gmbh Device for generating a vector-modulated output signal and method for generating a vector-modulated output signal
KR102016727B1 (ko) * 2013-04-24 2019-09-02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외부전압 제어 방법
KR20180113113A (ko) * 2017-04-05 2018-10-15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테스트 패드를 구비한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US10530617B2 (en) * 2017-08-07 2020-01-07 Micron Technology, Inc. Programmable channel equalization for multi-level signaling
US10447512B2 (en) 2017-08-07 2019-10-15 Micron Technology, Inc. Channel equalization for multi-level signaling
US10277435B2 (en) 2017-08-07 2019-04-30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to vertically align multi-level cells
KR20190103593A (ko) 2018-02-28 2019-09-05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장치 및 반도체시스템
KR20220028694A (ko) 2020-08-31 2022-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레벨 신호 수신기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7319A (ko) * 1997-02-03 1998-10-15 김광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출력 구동회로
KR20070036473A (ko) * 2005-09-29 2007-04-0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5851A (en) * 1997-12-09 1999-08-31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urrent source apparatus with bias switches
KR19990048862A (ko) 1997-12-11 1999-07-05 김영환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감지 증폭기
KR100292625B1 (ko) * 1998-06-29 2001-07-12 박종섭 고속인터페이스장치
US6211698B1 (en) * 1999-06-29 2001-04-03 Hyundai Electronics Industries Co., Ltd. High speed interface apparatus
US7269212B1 (en) * 2000-09-05 2007-09-11 Rambus Inc. Low-latency equalization in multi-level, multi-line communication systems
US7124221B1 (en) * 1999-10-19 2006-10-17 Rambus Inc. Low latency multi-level communication interface
US7072415B2 (en) * 1999-10-19 2006-07-04 Rambu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multi-level reference voltage in systems using equalization or crosstalk cancellation
US6710617B2 (en) * 2002-01-10 2004-03-23 Agilent Technologies, Inc. Variable slew rate control for open drain bus
JP4086193B2 (ja) * 2003-02-18 2008-05-14 三星電子株式会社 オープンドレイン出力バッファ
US7308058B2 (en) * 2003-10-27 2007-12-11 Rambus Inc. Transparent multi-mode PAM interface
JP3900147B2 (ja) * 2003-12-10 2007-04-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演算増幅回路、駆動回路及び位相余裕の調整方法
US7365570B2 (en) * 2005-05-25 2008-04-29 Micron Technology, Inc. Pseudo-differential output driver with high immunity to noise and jitter
JP4255082B2 (ja) * 2005-06-27 2009-04-15 富士通マイクロ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電圧供給回路および半導体メモリ
US7577050B2 (en) * 2005-09-29 2009-08-18 Hynix Semiconductor, Inc. Semiconductor memory device for measuring internal voltage
KR20090074427A (ko) * 2008-01-02 2009-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출력 버퍼 회로 및 그것을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KR100930409B1 (ko) * 2008-03-11 2009-12-0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내부 전압 생성 회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7319A (ko) * 1997-02-03 1998-10-15 김광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출력 구동회로
KR20070036473A (ko) * 2005-09-29 2007-04-0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67278A1 (en) 2009-03-12
US7808841B2 (en) 2010-10-05
KR20090025735A (ko) 2009-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5814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출력 드라이버 제어회로
US7701262B2 (en) Transmission line drivers and serial interface data transmission devices including the same
JP5135477B2 (ja) プリエンファシス回路及びこれを備えた差動電流信号伝送システム
KR19990042470A (ko) 전력소비 억제회로
KR20100107006A (ko) 저전압 애플리케이션들에서 멀티모드 출력 구성을 가지는 셀프-바이어싱 차동 시그널링 회로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560942B1 (ko) Pvt 변화에 무관하게 안정적으로 동작하는 파워-업검출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US772863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process, voltage, and temperature variation tolerant semiconductor device
KR100933677B1 (ko) 반도체 소자
JP5806972B2 (ja) 出力ドライバ回路
KR100951668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버퍼
KR20120121707A (ko) 반도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시스템
US7154318B2 (en) Input/output block with programmable hysteresis
JP5487131B2 (ja) 差動出力バッファ
KR100904426B1 (ko) 내부 전압 생성 회로
KR20090017086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프리 엠파시스 제어회로
JP2012105135A (ja) 差動出力回路
KR100878309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JP2010041062A (ja) レベルシフト回路
JP5385711B2 (ja) データ通信回路、送信機器、受信機器、送受信システム
WO2008028012A1 (en) Junction field effect transistor input buffer level shifting circuit
KR100780769B1 (ko) 듀얼 패스 레벨 시프터회로
KR100968442B1 (ko) 저전력 동작모드용 기준전압 발생 장치
US20110169542A1 (en) Delay circuit of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and method for delaying
KR100365425B1 (ko) 정적 전류를 줄이고 고속 동작이 가능한 레퍼런스 신호 발생 회로
CN114598316A (zh) 输出入模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