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2470A - 전력소비 억제회로 - Google Patents

전력소비 억제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2470A
KR19990042470A KR1019970063285A KR19970063285A KR19990042470A KR 19990042470 A KR19990042470 A KR 19990042470A KR 1019970063285 A KR1019970063285 A KR 1019970063285A KR 19970063285 A KR19970063285 A KR 19970063285A KR 19990042470 A KR19990042470 A KR 19990042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terminal
mode
voltage terminal
voltage dr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3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9643B1 (ko
Inventor
손주혁
나해영
Original Assignee
구본준
엘지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본준, 엘지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본준
Priority to KR1019970063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9643B1/ko
Priority to US09/154,172 priority patent/US6049245A/en
Priority to JP10328998A priority patent/JPH11261400A/ja
Publication of KR19990042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2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9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96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G11C5/147Voltage reference generators, voltage or current regulators; Internally lowered supply levels; Compensation for voltage drop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소비 억제회로에 관한 것으로, 활성화 신호에 의해 온·오프 제어되는 제 1 스위칭 소자가 제 1 동작전압 단자와 제 2 동작전압 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전류 경로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제 1 활성화 신호의 반전된 논리값을 갖는 제 2 활성화 신호에 의해 온·오프 제어되는 제 2 스위칭 소자는 제 3 동작전압 단자와 제 4 동작전압 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전류 경로를 형성하며, 상기 제 2 동작전압과 상기 제 4 동작전압 가운데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신호전달 게이트 로직이 상기 제 2 동작전압 단자와 상기 제 4 동작전압 단자 사이에 연결되고, 소정의 턴 온 저항값을 가지며, 스탠바이 모드와 슬립 모드에 따라 제 1 제어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는 제 1 전압강하 수단이 상기 제 1 동작전압 단자와 상기 제 2 동작전압 단자 사이에 연결되며, 소정의 턴 온 저항값을 가지며, 스탠바이 모드와 슬립 모드에 따라 제 2 제어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는 제 2 전압강하 수단이 상기 제 3 동작전압 단자와 상기 제 4 동작전압 단자에 연결되어 전류 경로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져서, 회로의 동작모드를 활성화 모드와 스탠바이 모드, 슬립 모드로 구분하고 각 모드에 따라 공급전압의 크기를 차별화할 수 있는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각 모드에 따른 양호한 전력소비 억제력과 스탠바이 모드에서 활성화 모드로 복귀할 때의 빠른 동작속도를 모두 만족하는 전력소비 억제회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력소비 억제회로
본 발명은 전력소비 억제회로에 관한 것으로, 동작모드에 따라 공급전압의 크기를 변화시켜서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억제하도록 하는 전력소비 억제회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동작모드를 활성화 모드와 스탠바이 모드, 슬립 모드로 구분하고 각 모드에 따라 공급전압의 크기를 차별화 함으로써, 각 모드에 따른 양호한 전력소비 억제력과 스탠바이 모드에서 활성화 모드로 전환할 때의 빠른 동작속도를 모두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한 전력소비 억제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집적회로 등에서는 외부로부터의 조작 또는 조작에 따른 제어신호가 발생하는지를 판단하여 그 상태에 따라 공급전압의 크기를 제어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억제한다. 즉, 외부로부터 일정시간 동안 제어신호가 입력되지 않게되면 이를 검출하여 회로를 스탠바이 모드(standby mode)로 전환하고, 공급전압을 다소 낮추어 공급한다. 이와 같은 스탠바이 모드의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제어신호의 발생이 검출되면 정상적인 레벨의 전압을 공급함으로써 회로를 정상적으로 동작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일반적인 활성화 모드와 스탠바이 모드에 따라 공급 전압의 크기를 적절하게 제어하는 종래의 전력소비 억제회로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원전압(VDD) 단자와 접지전압(VSS) 단자에 저항(R1)(R2)이 각각 연결되는데, 이 저항(R1)(R2)을 통하여 국부전원전압(VDD_L)과 국부접지전압(VSS_L)을 각각 발생시킨다. 스위칭 소자인 피모스 트랜지스터(Q1)와 엔모스 트랜지스터(Q4)가 각각 저항(R1)(R2)과 병렬로 연결된다. 피모스 트랜지스터(Q1)는 반전된 활성화신호(/ACT)에 의해 제어되는데, 반전된 활성화신호(/ACT)가 로우 레벨일 때 턴 온되어 전원전압(VDD) 단자와 국부전원전압(VDD_L) 단자를 단락시킨다. 엔모스 트랜지스터(Q4)는 활성화신호(ACT)에 의해 제어되는데, 활성화신호(ACT)가 하이 레벨일 때 턴 온되어 접지전압(VSS) 단자와 국부접지전압(VSS_L) 단자를 단락시킨다.
국부전원전압(VDD_L) 단자와 국부접지전압(VSS_L) 단자 사이에는 피모스 트랜지스터(Q2)와 엔모스 트랜지스터(Q3)로 구성된 시모스 인버터가 연결되어 있다. 이 시모스 인버터를 구성하는 피모스 트랜지스터(Q2)와 엔모스 트랜지스터(Q3)는 고속동작을 구현하기 위하여 다른 모스 트랜지스터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임계전압(threshold voltage, Vt)을 갖도록 설계된다.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은 종래의 전력소비 억제회로는 실제로 도 2의 회로도와 같이 구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종래의 전력소비 억제회로에서 전압강하 수단을 모스 트랜지스터로 구현한 전력소비 억제회로이다.
도 2에 나타낸 전력소비 억제회로가 도 1과 다른 점은 전압강하 수단을 모스 트랜지스터로 구현한 것이다. 즉, 전원전압(VDD) 단자와 접지전압(VSS) 단자에 엔모스 트랜지스터(Q5)와 피모스 트랜지스터(Q6)를 연결하고, 게이트와 소스를 단락시켜서 각각 소정의 저항값을 갖는 저항소자로서 동작하도록 한 것이다.
전원전압(VDD)과 국부전원전압(VDD_L)은 저항소자인 엔모스 트랜지스터(Q5)의 임계전압(Vtn) 만큼의 전압차를 갖는다. 즉 VDD_L=VDD-Vtn이 되는 것이다. 접지전압(VSS)과 국부접지전압(VSS_L) 역시 저항소자인 피모스 트랜지스터(Q6)의 임계전압(Vtp) 만큼의 전압차를 갖는다. 즉 VSS_L=VSS+Vtp가 된다.
활성화 모드에서는 활성화신호(ACT)가 하이 레벨로 되고 반전된 활성화신호(/ACT)는 로우 레벨로 되어 스위칭 소자인 피모스 트랜지스터(Q1)를 턴 온시킨다. 따라서 이때의 국부접지전압(VSS_L)은 전원전압(VDD)과 같아진다(단, 피모스 트랜지스터 Q1의 임계전압 Vtp에 따른 전압강하를 고려하지 않을 때). 또한 하이 레벨의 활성화신호(ACT)에 의해 엔모스 트랜지스터(Q4) 역시 턴 온되어 국부접지전압(VSS_L)은 접지전압(VSS)과 같아진다(엔모스 트랜지스터 Q4의 임계전압 Vtn에 따른 전압강하를 고려하지 않을 때). 따라서 활성화신호(ACT)가 하이 레벨로 되면 저항소자인 엔모스 트랜지스터(Q5)와 피모스 트랜지스터(Q6)는 국부전원전압(VDD_L)과 국부접지전압(VSS_L)의 변화에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못한다. 이 상태에서 시모스 인버터는 입력신호(IN)의 논리값에 따라 전원전압(VDD) 또는 접지전압(VSS) 레벨의 출력신호(OUT)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스탠바이 모드에서는 활성화신호(ACT)가 로우 레벨로 되고 반전된 활성화신호(/ACT)는 하이 레벨이 된다. 이 두 신호는 스위칭 소자인 피모스 트랜지스터(Q1)와 엔모스 트랜지스터(Q4)를 각각 턴 오프시킨다. 따라서 전원전압(VDD) 단자와 국부전원전압(VDD_L) 단자 사이에는 단지 저항소자인 엔모스 트랜지스터(Q5)에 의해 전류 경로가 형성되고, 접지전압(VSS) 단자와 국부접지전압(VSS_L) 단자 사이에도 단지 저항소자인 피모스 트랜지스터(Q6)에 의한 전류 경로가 형성된다. 이와같은 스탠바이 모드에서 시모스 인버터는 입력신호(IN)의 논리값에 따라 국부전원전압(VDD_L) 또는 국부접지전압(VSS_L) 레벨의 출력신호(OUT)를 발생시킨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전력소비 억제회로에서, 저항소자인 엔모스 트랜지스터(Q5)와 피모스 트랜지스터(Q6)의 임계전압(Vtn)(Vtp)은 목적하는 전력소비 억제력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만약 전력소비 억제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임계전압(Vtn)(Vtp)을 크게 형성하여 국부전원전압(VDD_L)을 크게 낮추면 된다. 그러나 임계전압(Vtn)(Vtp)의 크기를 너무 크게 형성하면 스탠바이 모드에서 활성화모드로 전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매우 길어진다.
따라서 저항소자를 구현하기 위한 엔모스 트랜지스터(Q5)와 피모스 트랜지스터(Q6)의 임계전압(Vtn)(Vtp)을 충분히 크게 형성하지 못하게 되어 매우 양호한 전력소비 억제력은 기대할 수 없다. 만약 전력소비 억제력만을 고려하여 임계전압(Vtn)(Vtp)을 크게 형성하면 스탠바이 모드에서 활성화모드로 전환하는데 매우 오랜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이때에는 빠른 동작속도를 기대할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양호한 전력소비 억제력과 양호한 동작속도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여 그에 부합하는 임계전압(Vtn)(Vtp)을 설정하는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회로의 동작모드를 활성화 모드와 스탠바이 모드, 슬립 모드로 구분하고 각 모드에 따라 공급전압의 크기를 차별화할 수 있는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각 모드에 따른 양호한 전력소비 억제력과 스탠바이 모드에서 활성화 모드로 복귀할 때의 빠른 동작속도를 모두 만족하는 전력소비 억제회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력소비 억제회로를 나타낸 회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종래의 전력소비 억제회로에서 전압강하 수단을 모스 트랜지스터로 구현한 전력소비 억제회로를 나타낸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소비 억제회로를 나타낸 회로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전력소비 억제회로의 제어수단의 구성예를 나타낸 회로도.
도 5는 도 3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전력소비 억제회로의 전압강하 수단의 또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회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Q1∼Q20 : 모스 트랜지스터 R1, R2 : 저항
S1, S2 : 동작모드 제어부 SB : 스탠바이 모드
SLP : 슬립모드
이와 같은 목적의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활성화 신호에 의해 온·오프 제어되는 제 1 스위칭 소자가 제 1 동작전압 단자와 제 2 동작전압 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전류 경로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 1 활성화 신호의 반전된 논리값을 갖는 제 2 활성화 신호에 의해 온·오프 제어되는 제 2 스위칭 소자는 제 3 동작전압 단자와 제 4 동작전압 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전류 경로를 형성한다. 상기 제 2 동작전압과 상기 제 4 동작전압 가운데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신호전달 게이트 로직이 상기 제 2 동작전압 단자와 상기 제 4 동작전압 단자 사이에 연결된다. 소정의 턴 온 저항값을 가지며, 스탠바이 모드와 슬립 모드에 따라 제 1 제어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는 제 1 전압강하 수단이 상기 제 1 동작전압 단자와 상기 제 2 동작전압 단자 사이에 연결된다. 소정의 턴 온 저항값을 가지며, 스탠바이 모드와 슬립 모드에 따라 제 2 제어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는 제 2 전압강하 수단이 상기 제 3 동작전압 단자와 상기 제 4 동작전압 단자에 연결되어 전류 경로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소비 억제회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원전압(VDD) 단자와 국부전원전압(VDD_L) 단자는 제 1 스위칭 소자인 피모스 트랜지스터(Q11)를 통하여 상호 연결된다. 피모스 트랜지스터(Q11)의 게이트는 반전된 활성화 신호(/ACT)에 의해 제어된다.
활성화 신호(ACT)는 부하(load)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때 발생하는 신호이다. 만약 활성화 신호(ACT)가 하이 레벨이면 반전된 활성화 신호(/ACT)는 로우 레벨이 되어 피모스 트랜지스터(Q11)를 턴 온시킨다. 이때 전원전압(VDD) 단자와 국부전원전압(VDD_L) 단자가 단락되어 두 지점의 전위는 같아진다. 그러나 활성화 신호(ACT)가 로우 레벨이어서 반전된 활성화 신호(/ACT)가 하이 레벨인 경우에는 피모스 트랜지스터(Q11)가 턴 오프되어 전원전압(VDD) 단자와 국부전원전압(VDD_L) 단자 사이가 개방된다.
전원전압(VDD) 단자와 국부전원전압(VDD_L) 단자 사이에는 제 1 전압강하 수단인 엔모스 트랜지스터(Q15)가 피모스 트랜지스터(Q11)와 병렬로 연결된다. 엔모스 트랜지스터(Q15)의 게이트는 제 1 제어수단인 동작모드 제어부(S1)의 출력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동작모드 제어부(S1)는, 스탠바이 모드(SB)에서는 전원전압(VDD)에 의한 하이 레벨의 출력신호를 발생시키고, 슬립 모드(SLP)에서는 접지전압(VSS)에 의한 로우 레벨의 출력신호를 발생시켜서 엔모스 트랜지스터(Q15)의 게이트를 제어한다. 따라서 엔모스 트랜지스터(Q15)는 스탠바이 모드(SB)일 때 턴 온되고 슬립 모드일 때 턴 오프된다.
따라서 전원전압(VDD) 단자와 국부전원전압(VDD_L) 단자 사이가 개방된 스탠바이 모드에서는 국부전원전압(VDD_L)이 전압강하수단인 엔모스 트랜지스터(Q15)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결정된다. 이러한 엔모스 트랜지스터(Q15)는 스탠바이 모드(SB)와 슬립 모드(SLP)의 두 가지 제어모드를 갖는다. 스탠바이 모드(SB)에서는 엔모스 트랜지스터(Q15)가 턴 온되어 국부전원전압(VDD_L)은 VDD-Vtn으로 된다. 슬립 모드(SLP)에서는 엔모스 트랜지스터(Q15)가 턴 오프되어 전원전압(VDD) 단자와 국부전원전압(VDD_L) 단자 사이가 개방된다. 그러나 엔모스 트랜지스터(Q15)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활성화 모드로 전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짧게하기 위하여 비교적 큰 임계전압(Vtn)(Vtp)을 갖기 때문에 이에 따른 누설 전류의 영향을 배제할 수 없지만 스탠바이 모드에서 엔모스 트랜지스터(Q15)가 턴 온되었을 때 공급되는 전류와 비교하면 그 양은 극히 적은 것이다.
접지전압(VSS) 단자와 국부접지전압(VSS_L) 단자 사이에는 제 2 스위칭 소자인 엔모스 트랜지스터(Q14)와 제 2 전압강하수단인 피모스 트랜지스터(Q16)가 병렬 연결된다. 엔모스 트랜지스터(Q14)의 게이트는 활성화 신호(ACT)에 의해 제어된다.
만약 활성화 신호(ACT)가 하이 레벨이면 엔모스 트랜지스터(Q14)는 턴 온된다. 따라서 접지전압(VSS) 단자와 국부접지전압(VSS_L) 단자가 단락되어 두 지점의 전위는 같아진다. 그러나 활성화 신호(ACT)가 로우 레벨이면(즉, 스탠바이 모드이면) 엔모스 트랜지스터(Q14)는 턴 오프되어 접지전압(VSS) 단자와 국부접지전압(VSS_L) 단자 사이가 개방된다.
피모스 트랜지스터(Q16)의 게이트는 제 2 제어수단인 동작모드 제어부(S2)의 출력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동작모드 제어부(S2)는, 스탠바이 모드(SB)에서는 접지전압(VSS)에 의한 로우 레벨의 출력신호를 발생시키고, 슬립 모드(SLP)에서는 전원전압(VDD)에 의한 하이 레벨의 출력신호를 발생시켜서 피모스 트랜지스터(Q16)의 게이트를 제어한다. 따라서 피모스 트랜지스터(Q16)는 스탠바이 모드(SB)일 때 턴 온되고 슬립 모드일 때 턴 오프된다.
따라서 접지전압(VSS) 단자와 국부접지전압(VSS_L) 단자 사이가 개방된 스탠바이 모드에서는 국부접지전압(VSS_L)이 전압강하수단인 피모스 트랜지스터(Q16)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결정된다. 이러한 피모스 트랜지스터(Q16) 역시 스탠바이 모드(SB)와 슬립 모드(SLP)의 두 가지 제어모드를 갖는다. 스탠바이 모드(SB)에서는 피모스 트랜지스터(Q16)가 턴 온되어 국부접지전압(VSS_L)은 VSS+Vtp로 된다. 슬립 모드(SLP)에서는 피모스 트랜지스터(Q16)가 턴 오프되어 접지전압(VSS) 단자와 국부접지전압(VSS_L) 단자 사이가 개방된다. 따라서 엔모스 트랜지스터(Q14)와 피모스 트랜지스터(Q16)의 누설 전류를 고려하지 않는다면, 접지전압(VSS) 단자와 국부접지전압(VSS_L) 단자 사이에 전류의 흐름은 발생하지 않는다.
국부전원전압(VDD_L) 단자와 국부접지전압(VSS_L) 단자 사이에는 신호전달 게이트 로직인 시모스 인버터가 연결된다. 이 시모스 인버터는 피모스 트랜지스터(Q12)와 엔모스 트랜지스터(Q13)가 직렬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시모스 인버터를 구성하는 각 트랜지스터의 각각의 게이트는 입력신호(IN)에 의해 제어되어 출력신호(OUT)를 발생시킨다. 이때 발생하는 출력 신호(OUT)의 전압 레벨은 활성화 모드와 스탠바이 모드, 슬립 모드에 따라 그 크기가 달라진다.
활성화 모드에서는 정상적인 전원전압(VDD) 또는 접지전압(VSS)의 출력신호(OUT)가 발생한다. 그러나 스탠바이 모드에서는 전압강하수단인 엔모스 트랜지스터(Q15)와 피모스 트랜지스터(Q16)의 작용에 의해 VDD-Vtn과 VSS+Vtp가 각각 하이 레벨과 로우 레벨의 출력신호(OUT)가 된다. 슬립 모드에서의 국부전원전압(VDD_L)과 국부접지전압(VSS_L)은 턴 오프된 엔모스 트랜지스터(Q14)(Q15) 및 피모스 트랜지스터(Q11)(Q16)에 의해 하이 임피던스 상태로 되어 전력소비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도 4는 제 1 내지 제 2 제어수단인 동작모드 제어부의 구성예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먼저 도 4(a)는 제 1 전압강하 수단인 엔모스 트랜지스터(Q15)를 스탠바이 모드와 슬립모드에 따라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동작모드 제어부(S1)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피모스 트랜지스터(Q17)와 엔모스 트랜지스터(Q18)의 각각의 드레인이 상호 연결되어 출력단을 형성한다. 피모스 트랜지스터(Q17)의 소스는 전원전압(VDD) 단자에 연결되고, 엔모스 트랜지스터(Q18)의 소스는 접지전압(VSS) 단자에 연결된다. 피모스 트랜지스터(Q17)와 엔모스 트랜지스터(Q18)의 각각의 게이트는 반전된 스탠바이 신호(/SB) 또는 슬립 신호(SLP)에 의해 제어되는데 실제로 두 신호는 같은 논리값의 신호이다.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되어 스탠바이 신호(SB)가 하이 레벨로 되면(이때 슬립 신호 SLP는 로우레벨이다) 반전된 스탠바이 신호(/SB)는 로우 레벨이 되어 엔모스 트랜지스터(Q18)는 턴 오프되고, 피모스 트랜지스터(Q17)는 턴 온된다. 따라서 전압강하 수단인 엔모스 트랜지스터(Q15)는 하이 레벨의 전원전압(VDD)에 의해 턴 온된다. 슬립 모드로 전환된 경우에는 슬립 신호(SLP)가 하이 레벨로 되어(이때 스탠바이 신호 SB는 로우레벨이다) 피모스 트랜지스터(Q17)는 턴 오프되고, 엔모스 트랜지스터(Q18)는 턴 온되어 전압강하 수단인 엔모스 트랜지스터(Q15)는 로우 레벨의 접지전압(VSS)에 의해 턴 오프된다.
도 4(b)는 제 2 전압강하 수단인 피모스 트랜지스터(Q16)를 스탠바이 모드와 슬립모드에 따라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동작모드 제어부(S2)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피모스 트랜지스터(Q19)와 엔모스 트랜지스터(Q20)의 각각의 드레인이 상호 연결되어 출력단을 형성한다. 피모스 트랜지스터(Q19)의 소스는 전원전압(VDD) 단자에 연결되고, 엔모스 트랜지스터(Q20)의 소스는 접지전압(VSS) 단자에 연결된다. 피모스 트랜지스터(Q19)와 엔모스 트랜지스터(Q20)의 각각의 게이트는 스탠바이 신호(SB) 또는 반전된 슬립 신호(SLP)에 의해 제어되는데 실제로 두 신호는 같은 논리값의 신호이다.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되어 스탠바이 신호(SB)가 하이 레벨로 되면(이때 슬립 신호 SLP는 로우레벨이다) 피모스 트랜지스터(Q19)는 턴 오프되고, 엔모스 트랜지스터(Q20)는 턴 온된다. 따라서 전압강하 수단인 피모스 트랜지스터(Q16)는 로우 레벨의 접지전압(VSS)에 의해 턴 온된다. 슬립 모드로 전환된 경우에는 슬립 신호(SLP)가 하이 레벨로 되어(이때 스탠바이 신호 SB는 로우레벨이다) 반전된 슬립 신호(/SLP)는 로우 레벨이 되어 엔모스 트랜지스터(Q20)는 턴 오프되고, 피모스 트랜지스터(Q19)는 턴 온되어 전압강하 수단인 피모스 트랜지스터(Q16)는 하이 레벨의 전원전압(VDD)에 의해 턴 오프된다.
이와 같은 동작모드 제어부(S1)(S2)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소정의 전압강하를 발생시키는 전압강하 수단(Q15)(Q16)의 구성을 달리하여 전압강하되는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소비 억제회로의 또 다른 전압강하 수단의 구성예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5(a)는 전원전압(VDD)을 전압강하시켜 국부전원전압(VDD_L)을 발생시키기 위한 전압강하 수단의 구성예를 나타낸 것이다. 전원전압(VDD) 단자와 국부전원전압(VDD_L) 단자 사이에 세 개의 엔모스 트랜지스터(Q15)(Q21)(Q22)가 직렬 연결된다. 두 개의 엔모스 트랜지스터(Q21)(Q22)는 게이트와 드레인이 상호 연결되어 있다. 또 다른 엔모스 트랜지스터(Q15)는 동작모드 제어부(S1)에 의해 온·오프 제어되며, 엔모스 트랜지스터(Q15)가 턴 온되면 국부전원전압(VDD_L)은 VDD_L=VDD-3Vtn이 된다. 이와 같이 직렬 연결되는 엔모스 트랜지스터의 수에 따라 국부전원전압(VDD_L)의 크기가 결정되는 것이다.
도 5(b)는 접지전압(VSS)을 전압강하(실제로는 승압이 된다)시켜 국부접지전압(VSS_L)을 발생시키기 위한 전압강하 수단의 구성예를 나타낸 것이다. 전원전압(VSS) 단자와 국부접지전압(VSS_L) 단자 사이에 세 개의 피모스 트랜지스터(Q16)(Q23)(Q24)가 직렬 연결된다. 두 개의 엔모스 트랜지스터(Q23)(Q24)는 게이트와 드레인이 상호 연결되어 있다. 또 다른 피모스 트랜지스터(Q16)는 동작모드 제어부(S2)에 의해 온·오프 제어된다. 피모스 트랜지스터(Q16)가 턴 온되면 국부접지전압(VSS_L)은 VSS_L=VSS+3Vtp이 된다. 이와 같이 직렬 연결되는 피모스 트랜지스터의 수에 따라 국부접지전압(VSS_L)의 크기가 결정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활성화 모드가 진행중인 상태(ACT가 하이레벨)에서 일정시간동안 외부 조작 또는 소정의 제어신호가 발생하지 않으면 활성화 신호(ACT)가 로우 레벨로 되어 스탠바이 모드 또는 슬립모드로 전환된다. 활성화 모드에서는 곧바로 슬립모드로 전환되지는 않고 먼저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된다. 스탠바이 모드는 외부 조작이나 제어신호가 발생하지 않는 시간이 비교적 단기간일 때 진행되는 동작모드이다. 따라서 이 모드에서는 활성화 모드로 전환될 확률이 매우 높기 때문에 전압강하수단의 임계전압을 비교적 낮게 형성하여 활성화 모드로 전환되는 속도를 빠르게 한다. 즉 전력소비 억제력이 충분하지 못한 대신 동작속도의 손실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만약 이와같은 스탠바이 모드가 일정시간(비교적 장시간) 이상 지속되면 활성화 모드로 전환될 확률이 매우 낮은 것으로 판단하여 동작모드를 슬립모드로 전환한다. 슬립모드로 전환하게 되면 스위칭 소자와 전압강하수단이 모두 턴 오프된다. 따라서 차후 활성화 모드로 전환할 때 다소 긴 시간이 소요되긴 하지만 전력소비는 거의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동작속도의 손실을 감수하는 대신 전력소비 억제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회로의 동작모드를 활성화 모드와 스탠바이 모드, 슬립 모드로 구분하고 각 모드에 따라 공급전압의 크기를 차별화할 수 있는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각 동작 모드에 따른 양호한 전력소비 억제력과 스탠바이 모드에서 활성화 모드로 복귀할 때의 빠른 동작속도를 모두 만족하는 전력소비 억제회로를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의 발명을 통하여 구현하였다. 특히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5의 발명을 통하여 스탠바이 모드와 슬립 모드에 따라 국부전원전압의 레벨을 제어하도록 하였으며,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9의 발명을 통하여 스탠바이 모드와 슬립 모드에 따라 국부접지전압의 레벨을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각 동작 모드에 따른 양호한 전력소비 억제력과 스탠바이 모드에서 활성화 모드로 복귀할 때의 빠른 동작속도를 충실히 구현한 것이다.

Claims (9)

  1. 전력소비 억제회로에 있어서,
    제 1 동작전압 단자와 제 2 동작전압 단자 사이에 전류 경로를 형성하며, 활성화 신호에 의해 온·오프 제어되는 제 1 스위칭 소자와;
    제 3 동작전압 단자와 제 4 동작전압 단자 사이에 전류 경로를 형성하며, 상기 제 1 활성화 신호의 반전된 논리값을 갖는 제 2 활성화 신호에 의해 온·오프 제어되는 제 2 스위칭 소자와;
    상기 제 2 동작전압 단자와 상기 제 4 동작전압 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 2 동작전압과 상기 제 4 동작전압 가운데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신호전달 게이트 로직과;
    소정의 턴 온 저항값을 가지며, 상기 제 1 동작전압 단자와 상기 제 2 동작전압 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제 1 동작 모드와 제 2 동작 모드에 따라 제 1 제어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는 제 1 전압강하 수단과;
    소정의 턴 온 저항값을 가지며, 상기 제 3 동작전압 단자와 상기 제 4 동작전압 단자에 연결되어 전류 경로를 형성하고, 제 1 동작 모드와 제 2 동작 모드에 따라 제 2 제어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는 제 2 전압강하 수단을 포함하는 전력소비 억제회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수단은 상기 제 1 동작 모드일 때 상기 제 1 전압강하 수단에 상기 제 1 동작전압을 공급하여 활성화시키고, 상기 제 2 동작모드일때 상기 제 1 전압강하 수단에 상기 제 3 동작전압을 공급하여 비활성화시키는 것이 특징인 전력소비 억제회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압강하 수단은 상기 제 1 동작전압 단자와 상기 제 2 동작전압 단자 사이에 드레인과 소스가 연결된 제 1 엔모스 트랜지스터인 것이 특징인 전력소비 억제회로.
  4. 청구항 1과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압강하 수단이 활성화되었을 때의 상기 제 2 동작전압은 상기 제 1 동작전압이 상기 제 1 전압강하 수단의 임계전압만큼 전압강하되는 것이 특징인 전력소비 억제회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수단은,
    제 1 동작모드 제어신호에 의해 온·오프 제어되며, 턴 온되었을 때 상기 제 1 동작전압을 출력하여 상기 제 1 전압강하 수단을 활성화시키는 제 1 피모스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 동작모드 제어신호에 의해 온·오프 제어되며, 턴 온되면 상기 제 3 동작전압을 출력하여 상기 제 1 전압강하 수단을 비활성화시키는 제 2 엔모스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력소비 억제회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어수단은 상기 제 1 동작 모드일 때 상기 제 2 전압강하 수단에 상기 제 3 동작전압을 공급하여 활성화시키고, 상기 제 2 동작모드일때 상기 제 2 전압강하 수단에 상기 제 1 동작전압을 공급하여 비활성화시키는 것이 특징인 전력소비 억제회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압강하 수단은 상기 제 3 동작전압 단자와 상기 제 4 동작전압 단자 사이에 드레인과 소스가 연결된 제 2 피모스 트랜지스터인 것이 특징인 전력소비 억제회로.
  8. 청구항 1과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압강하 수단이 활성화되었을 때의 상기 제 4 동작전압은 상기 제 3 동작전압이 상기 제 2 전압강하 수단의 임계전압만큼 전압강하된 것이 특징인 전력소비 억제회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어수단은,
    상기 제 1 동작모드 제어신호의 반전된 논리값을 갖는 제 2 동작모드 제어신호에 의해 온·오프 제어되며, 턴 온되었을 때 상기 제 4 동작전압을 출력하여 상기 제 2 전압강하 수단을 활성화시키는 제 3 엔모스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2 동작모드 제어신호에 의해 온·오프 제어되며, 턴 온되었을 때 상기 제 3 동작전압을 출력하여 상기 제 2 전압강하 수단을 비활성화시키는 제 3 피모스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력소비 억제회로.
KR1019970063285A 1997-11-27 1997-11-27 전력소비 억제회로 KR100269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3285A KR100269643B1 (ko) 1997-11-27 1997-11-27 전력소비 억제회로
US09/154,172 US6049245A (en) 1997-11-27 1998-09-16 Power reduction circuit
JP10328998A JPH11261400A (ja) 1997-11-27 1998-11-19 電力消費抑止回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3285A KR100269643B1 (ko) 1997-11-27 1997-11-27 전력소비 억제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2470A true KR19990042470A (ko) 1999-06-15
KR100269643B1 KR100269643B1 (ko) 2000-10-16

Family

ID=19525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3285A KR100269643B1 (ko) 1997-11-27 1997-11-27 전력소비 억제회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049245A (ko)
JP (1) JPH11261400A (ko)
KR (1) KR1002696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6930B1 (ko) * 2020-09-25 2021-12-08 화인칩스 주식회사 대기누설전류 저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0062B2 (ja) * 1998-04-06 2000-08-21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
JP4390305B2 (ja) * 1999-01-04 2009-12-24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半導体装置
US6166985A (en) * 1999-04-30 2000-12-26 Intel Corporation Integrated circuit low leakage power circuitry for use with an advanced CMOS process
JP3439412B2 (ja) 1999-09-17 2003-08-25 Nec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集積回路装置、電子回路機器、回路製造方法
US6333671B1 (en) * 1999-11-03 2001-12-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leep mode VDD detune for power reduction
JP2002197867A (ja) * 2000-12-28 2002-07-12 Nec Corp 半導体装置
DE10120790A1 (de) * 2001-04-27 2002-11-21 Infineon Technologies Ag Schaltungsanordnung zur Verringerung der Versorgungsspannung eines Schaltungsteils sowie Verfahren zum Aktivieren eines Schaltungsteils
US6946901B2 (en) * 2001-05-22 2005-09-20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Low-power high-performance integrated circuit and related methods
US6759873B2 (en) 2001-05-22 2004-07-06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Reverse biasing logic circuit
US6518826B2 (en) * 2001-06-28 2003-02-11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leakage control
US6552596B2 (en) * 2001-08-10 2003-04-22 Micron Technology, Inc. Current saving mode for input buffers
JP2003110022A (ja) * 2001-09-28 2003-04-11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集積回路
KR100542398B1 (ko) * 2001-12-04 2006-01-1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전압 공급 회로
KR100964266B1 (ko) * 2002-03-27 2010-06-16 더 리전트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캘리포니아 저전력 고성능의 메모리셀 및 관련방법
US6801061B2 (en) * 2002-08-29 2004-10-05 Micron Technology, Inc. Reduced current input buffer circuit
JP3681063B2 (ja) * 2002-10-04 2005-08-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バイアス電位発生回路
JP2004186666A (ja) * 2002-10-09 2004-07-02 Fujitsu Ltd 半導体集積回路装置
JP4122954B2 (ja) * 2002-12-06 2008-07-23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
US7053692B2 (en) * 2002-12-19 2006-05-30 United Memories, Inc. Powergate control using boosted and negative voltages
JP4388274B2 (ja) * 2002-12-24 2009-12-24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半導体記憶装置
US6977519B2 (en) * 2003-05-14 2005-12-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gital logic with reduced leakage
US7170327B2 (en) * 2003-06-27 2007-01-30 Inte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ata retention with reduced leakage current
US7372765B2 (en) * 2003-09-04 2008-05-13 United Memories, Inc. Power-gating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US7248522B2 (en) * 2003-09-04 2007-07-24 United Memories, Inc. Sense amplifier power-gating technique for integrated circuit memory devices and those devices incorporating embedded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US7359277B2 (en) * 2003-09-04 2008-04-15 United Memories, Inc. High speed power-gating technique f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incorporating a sleep mode of operation
JP4435553B2 (ja) * 2003-12-12 2010-03-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半導体装置
JP4496069B2 (ja) * 2004-12-20 2010-07-07 株式会社東芝 Mos型半導体集積回路装置
US7259986B2 (en) * 2005-03-25 2007-08-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ircuits and methods for providing low voltage, high performance register files
JP4261507B2 (ja) * 2005-03-31 2009-04-30 富士通マイクロ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クロックネットワークの消費電力低減回路
US7274217B2 (en) * 2005-04-07 2007-09-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igh performance PFET header in hybrid orientation technology for leakage reduction in digital CMOS VLSI designs
US7262631B2 (en) * 2005-04-11 2007-08-28 Arm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voltage level
US20070152745A1 (en) * 2005-12-30 2007-07-05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leakage current of an integrated circuit
JP4911988B2 (ja) * 2006-02-24 2012-04-04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
US7385435B2 (en) * 2006-06-29 2008-06-10 Intel Corporation Programmable power gating circuit
JP4199793B2 (ja) * 2006-09-13 2008-12-17 エルピーダメモリ株式会社 半導体装置
JP2008098353A (ja) * 2006-10-11 2008-04-24 Nec Electronics Corp 半導体集積回路
US7863971B1 (en) * 2006-11-27 2011-01-04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Configurable power controller
US7671663B2 (en) * 2006-12-12 2010-03-0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Tunable voltage controller for a sub-circuit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TWI373753B (en) * 2007-03-26 2012-10-01 Himax Tech Ltd Driving circuit
WO2009019788A1 (ja) * 2007-08-09 2009-02-12 Fujitsu Limited 半導体集積回路
JP4737646B2 (ja) * 2007-11-12 2011-08-03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装置
US7619440B2 (en) * 2008-01-30 2009-11-17 Freescale Semiconductor, Inc. Circuit having logic state retention during power-down and method therefor
DE102008053533A1 (de) * 2008-10-28 2010-04-29 Atmel Automotive Gmbh Schaltung, Verfahren zur Steuerung und Verwendung einer Schaltung für einen Ruhemodus und einen Betriebsmodus
US7969219B2 (en) * 2008-11-26 2011-06-2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Wide range delay cell
JP5575405B2 (ja) * 2009-01-22 2014-08-20 ピーエスフォー ルクスコ エスエイアールエル 半導体装置
US8406075B2 (en) * 2009-04-03 2013-03-26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Ultra-low leakage memory architecture
US8717093B2 (en) * 2010-01-08 2014-05-06 Mindspeed Technologies, Inc. System on chip power management through package configuration
KR20120090513A (ko) * 2011-02-08 2012-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파워 게이팅 반도체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JP5116127B2 (ja) * 2011-03-28 2013-01-09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
US9766827B1 (en) * 2016-05-10 2017-09-19 Intel Corporation Apparatus for data retention and supply noise mitigation using clamps
US10262985B2 (en) * 2016-05-10 2019-04-16 Perceptia Ip Pty Ltd Circuits and methods for lowering leakage in ultra-low-power MOS integrated circuits
US11082044B2 (en) * 2019-04-12 2021-08-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grated circuit including power gating cell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4134B1 (ko) * 1991-11-08 2000-04-15 나시모토 류우조오 대기시 전류저감회로를 가진 반도체 집적회로
US5583457A (en) * 1992-04-14 1996-12-10 Hitachi, Lt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having power reduction mechanism
US5614847A (en) * 1992-04-14 1997-03-25 Hitachi, Lt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having power reduction mechanism
EP0739097B1 (en) * 1995-04-21 2004-04-07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MOSFET circuit and CMOS logic circuit using the same
JP2931776B2 (ja) * 1995-08-21 1999-08-09 三菱電機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6930B1 (ko) * 2020-09-25 2021-12-08 화인칩스 주식회사 대기누설전류 저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049245A (en) 2000-04-11
JPH11261400A (ja) 1999-09-24
KR100269643B1 (ko) 2000-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42470A (ko) 전력소비 억제회로
KR940008718B1 (ko) 직류 전류를 제거한 데이타 출력버퍼
US6593795B2 (en) Level adjustment circuit and data output circuit thereof
US5939937A (en) Constant current CMOS output driver circuit with dual gate transistor devices
KR100186344B1 (ko) 히스테리시스 입력버퍼
JP4169288B2 (ja) 低出力装置用電源投入検出回路
KR19990044240A (ko) 공유 중간 노드를 내장한 출력버퍼
US5345121A (en) Differential amplification circuit
US4963774A (en) Intermediate potential setting circuit
US5610542A (en) Power-up detection circuit
US5777505A (en) Low-power crosspoint switch
US5594374A (en) Data output buffer
KR100344865B1 (ko) 센스증폭기
US5767696A (en) Tri-state devices having exclusive gate output control
KR960702698A (ko) 전자 회로(CMOS input with Vcc compensated dynamic threshold)
US7154318B2 (en) Input/output block with programmable hysteresis
US6084455A (en) High-speed CMOS latch
KR100432573B1 (ko) 임피던스 조절이 가능한 출력 구동 회로를 갖는 반도체 장치
KR100569559B1 (ko) 씨모스 출력 버퍼회로
KR960001790B1 (ko) 데이타 출력버퍼
KR100205094B1 (ko) 반도체 소자의 출력버퍼 회로
KR100365425B1 (ko) 정적 전류를 줄이고 고속 동작이 가능한 레퍼런스 신호 발생 회로
KR20020001634A (ko) 출력버퍼회로
KR200358149Y1 (ko) 데이타입출력버퍼
KR100253648B1 (ko) 반도체메모리장치의입출력구동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7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