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7670B1 - 가공된 땅콩 종피를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제 - Google Patents

가공된 땅콩 종피를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7670B1
KR100907670B1 KR1020047003046A KR20047003046A KR100907670B1 KR 100907670 B1 KR100907670 B1 KR 100907670B1 KR 1020047003046 A KR1020047003046 A KR 1020047003046A KR 20047003046 A KR20047003046 A KR 20047003046A KR 100907670 B1 KR100907670 B1 KR 100907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symptoms
peanut
allergic diseases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3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9121A (ko
Inventor
아키오 요시하라
오타토미히사
모로타카히로
히로세카오루
Original Assignee
요시하라, 사치코
아키오 요시하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하라, 사치코, 아키오 요시하라 filed Critical 요시하라, 사치코
Publication of KR20040029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9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7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7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5/00Food consisting mainly of nutmeat or seed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2Nasal agents, e.g. deconges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8Bronchodi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14Decongestants or antiallerg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16Otologic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Immu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Toilet Suppli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땅콩 종피의 가공산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질환의 치료제 또는 예방제에 관한 것이다.
땅콩 종피, 알레르기성 질환

Description

가공된 땅콩 종피를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제{REMEDIES OR REVENTIVES FOR POLLINOSIS COMPRISING PROCESSED PEANUT SEED COAT}
본 발명은 땅콩 종피에서 유래된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 제제에 관한 것이다.
꽃가루 과민증은 꽃가루 흡입으로 인한 재채기 또는 지속적인 콧물과 같은 증상을 나타내는데, 그 원인 인자는 아직까지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다. 꽃가루 과민증이 종종 도시 지역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먼지 또는 금속성 미세물질이 관련되어 있다는 가설 또는 기생충의 감소가 주된 원인이라는 가설이 제기되고 있다. 발병 기작과 관련하여 볼 때 꽃가루 과민증은 일종의 아나필락시스 반응이며, 꽃가루 과민증의 발병 과정은 항원과 IgE가 비만 세포(mast cell)에 다리 형태로 결합함으로써 야기되는 면역물질의 방출로 설명된다. 현재 꽃가루 과민증의 의학적 치료 방법으로, 항히스타민제의 의학적 처방이나 경구 면역 억제방법과 같은 것이 있으나, 이러한 방법들은 종국적이지 않다. 일반적으로, 마스크 또는 꽃가루 흡입을 방지하는 기구를 사용하는 방법이 사용되지만, 이러한 방법들은 매우 효과적이지 않다.
꽃가루 과민증,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또는 기관지 천식과 같은 알레르기성 질환을 치료할 목적으로, 스테로이드 제제가 널리 사용된다. 그러나, 이 제제는 부작용 문제가 있기 때문에, 단기간 동안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스테로이드 제제의 사용이 중단되면, 곧 증상의 악화로 이어지며, 몇몇 경우에는 소위 재발 현상이 일어나 증상이 스테로이드 제제를 사용하기 전보다 훨씬 더 악화되기도 한다.
땅콩 종피의 가공산물이 골수세포의 증식 활성, 항HIV 활성 등을 갖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으나(참조: 일본특허공개 제 10-120588호 및 제 11-246431호), 항알레르기 활성과 관련하여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알레르기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인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은 하기의 발명들을 포함한다.
(1) 땅콩 종피의 가공산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 제제.
(2) 상기 (1)에서, 상기 땅콩 종피의 가공산물은 땅콩 종피의 추출물 또는 그 추출물의 가공산물인 알레르기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 제제.
(3) 상기 (2)에서, 상기 땅콩 종피의 추출물은 물로 추출된 것인 알레르기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 제제.
(4) 땅콩 종피에서 유래된 수용성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 제제.
(5) 땅콩 종피에서 유래된 탄소수가 작은 알코올에 가용성인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 제제.
(6) 땅콩 종피에서 유래된 수용성 및 탄소수가 작은 알코올에 가용성인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 제제.
(7)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음식물, 추잉검 또는 음료에 첨가되어 이용되는 알레르기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 제제.
(8)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알레르기성 질환은 꽃가루 과민증,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또는 기관지 천식인 알레르기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 제제.
(9) 땅콩 종피의 가공산물을 포함하는 약제 성분, 음식물, 추잉검 또는 음료를 환자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 방법.
땅콩의 열매는 단단한 과피를 갖고 있으며, 대개 과피 내부에 두 개의 종자가 들어 있으며, 이 종자는 종피에 의해 덮여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종피가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땅콩 종피는 압착(crushing)하거나 작말(pulverization)하는 등의 방법에 의한 가루 산물로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그 가루 산물의 추출물 또는 가공산물로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 용액의 실시예로는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및 이소부탄올과 같은 탄소수가 작은 알코올; 및, 아세톤과 같은 케톤을 포함한다. 그러나, 물, 에탄올 또는 물 및 에탄올의 혼합 용매가 바람직하다.
추출시, 땅콩 종피는 아무런 가공을 하지 않고 사용되거나, 택일적으로 용매와의 더 많은 접촉을 위해 압착되거나 분말화될 수 있다.
땅콩 종자로부터 땅콩 종피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물로 세척하면서 얻어지는 폐액을, 필요하다면 정제 또는 건조하여, 추출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땅콩 종피 1kg을 용매 5 내지 25리터로 추출함이 바람직하다.
추출 온도에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대개 실온에서부터 대기압 하의 끓는 점까지 범위가 다양하다. 추출 시간은 추출 온도 또는 그와 같은 조건에 따라 다양하지만, 하루가 바람직하다.
이렇게 얻어진 추출물은 본 발명의 알레르기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 제제의 유효성분으로 바로 사용될 수 있다. 택일적으로,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 및 투석과 같은 다양한 정제 수단에 의한 처리를 거치면, 추출물은 더 높은 활성을 가진 가공산물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정제는 유효성분의 화학적 성질을 활용하여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알레르기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 제제의 바람직한 유효성분은 물 및/또는 탄소수가 작은 알코올(예를 들어, 에탄올)에 용해되는 성질이 있으며, 따라서, 이러 한 성질을 이용하여, 수용성 물질, 탄소수가 작은 알코올에 가용성인 물질, 또는 물 및 탄소수가 작은 알코올에 가용성인 물질을 수집함으로써, 더 높은 순도의 유효성분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알레르기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 제제는 땅콩 종피의 가공 산물을 공지된 제약 담체와 함께 사용하는 약제 조제의 형태로 이용될 수 있다. 처방 형태는 특별히 제한적이지 않으며 적절히 선택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제제는 정제, 캡슐, 과립, 미립, 분말, 용액, 시럽, 현탁액, 유탁액 또는 엘릭서제와 같은 경구제; 또는 주사, 점적제, 좌약, 흡입제, 피하흡입제, 피점막 흡입제 또는 습포제와 같은 비경구제이다.
본 발명의 알레르기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 제제의 투여량은 환자의 연령, 체중, 질환의 정도, 또는 투약 경로에 따라 다양하다. 경구 투여시, 상기 제제의 투여량은 땅콩 종피 추출물의 건조 분말의 형태로 보통 하루에 50 내지 1,000mg로 다양하며, 투여 빈도는 경구 투여시 하루에 1 내지 3회이다.
상기와 같은 경구제는 녹말, 락토스, 수크로스, 만니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옥수수 전분 또는 무기염류와 같은 첨가제를 사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조제된다.
이와 같은 조제시, 상기에 언급된 첨가제에 추가로 결합제, 붕괴제, 계면활성제, 윤활제, 유동성 촉진제, 향미료, 착색제, 방향제 또는 그와 같은 물질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결합제의 실시예로는 결정체의 셀룰로스, 결정체의 셀룰로스/카르멜로스 소 듐, 메틸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적은 정도로 치환된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프탈레이트, 히트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아세테이트 석시네이트, 카르멜로스 소듐, 에틸셀룰로스, 카르복시메틸에틸셀룰로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밀 전분, 쌀 전분,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덱스트린, 젤라틴화된 전분, 부분적으로 젤라틴화된 전분, 히드록시프로필 전분, 풀루란, 폴리비닐피롤리돈, 아미노알킬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E, 아미노알킬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RS,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L,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S,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LD, 폴리비닐 아세탈 디에틸 아미노아세테이트, 폴리비닐 알코올, 아카시아, 분말화된 아카시아, 우무, 젤라틴, 흰 셸락, 트래거캔스 검, 정제된 수크로스, 매크로골 200, 매크로골 300 및 매크로골 6000을 포함할 수 있다.
붕괴제의 실시예로는 결정체의 셀룰로스, 메틸셀룰로스, 적은 정도로 치환된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카르멜로스, 카르멜로스 칼슘, 카르멜로스 소듐, 크로스-카르멜로스 소듐, 밀 전분, 쌀 전분,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부분적으로 젤라틴화된 전분, 히드록시프로필 전분, 소듐 카르복시메틸 전분 및 트래거캔스 검을 포함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의 실시예로는 대두 레시틴, 수크로스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실 스테아레이트 40, 폴리옥시에틸렌으로 경화된 피마자유 100, 폴리옥시에틸렌으로 경화된 피마자유 40, 폴리옥시에틸렌으로 경화된 피마자유 50, 폴리옥시에틸렌으로 경화된 피마자유 60, 폴리옥시에틸렌[42]폴리옥시프로필렌[67]글리콜, 폴리옥시에 틸렌[54]폴리옥시프로필렌[39]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105]폴리옥시프로필렌[5]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160]폴리옥시프로필렌[80]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196]폴리옥시프로필렌[67]글리콜, 소르비탄 세스퀴올리에이트, 소르비탄 트리올리에이트,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폴리소르베이트 40, 폴리소르베이트 60, 폴리소르베이트 65, 폴리소르베이트 80,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및 라우로매크로골을 포함할 수 있다.
윤활제의 실시예로는 밀 전분, 쌀 전분, 옥수수 전분, 스테아르산, 칼슘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수화된 실리콘 디옥시드, 가벼운 무수의 실리크산(light anhydrous silicic acid), 합성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건조된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겔, 운모, 마그네슘 알미네이트 메타실리케이트, 칼슘 히드로젠포스페이트, 무수의 칼슘 히드로젠포스페이트, 수크로스 지방산 에스테르, 왁스, 수소화된 식물성 기름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할 수 있다.
유동성 촉진제의 실시예로는 수화한 실리콘 디옥시드, 가벼운 무수의 실리크산, 건조된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겔, 합성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및 마그네슘 실리케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알레르기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 제제가 용액, 시럽, 현탁액, 유탁액 또는 엘릭서제로 투여되는 경우, 향미료 또는 착색제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알레르기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 제제는 소위 특화된 보조 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음식물, 추잉검, 음료 또는 그와 유사한 것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알레르기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 제제는 꽃가루 과민증,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및 기관지 천식과 같은 다양한 알레르기성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데 유용하다.
본 발명의 알레르기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 제제를 제조하기 위한 원료인 땅콩 종피는 땅콩 종자와 함께 음식물로서 제공되어 왔으며, 따라서 본 물질의 안정성은 입증되어 왔다.
도 1은 땅콩 종피 추출물의 핵자기공명 스펙트럼을 나타낸 그림이다.
본 명세서는 본 명세서의 우선권 서류인 일본특허출원 제2001-263795호의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 땅콩 종피로부터 추출물의 제조
중국에서 생산된 땅콩(Arachis hypogaea L., Leguminosae)의 종자를 약 한 달간 건조시키고, 그로부터 종피를 분리하였다. 건조된 종피 25g을 정확하게 달아 2리터 엘렌마이어(Erlenmeyer) 플라스크에 넣었다. 여기에 정제된 물 1리터를 추가하고, 실온(22±3℃)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결과로서 생기는 혼합물을 면 필터로 여과시키고, 여과물을 동결 건조하여 땅콩 종피 추출물 분말을 획득하였다(수율: 땅콩 종피 25g 당 4.4484g). 상기 분말은 흡습성의 붉은색을 띤 갈색으로 무취의 고운 분말이며 쓴 맛이 있다. 상기 분말은 물 및 에탄올에 바로 용해될 수 있다.
땅콩 종피 추출물의 핵자기공명 스펙트럼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핵자기공명 스펙트럼에 따르면, 땅콩 종피 추출물의 주요 성분은 폴리페놀인 것으로 예측된다.
(2) 땅콩 종피 추출물에 대한 사람의 임상 자료
상술한 (1)에서 얻어진 땅콩 종피 추출물 분말을 미네랄 워터에 용해시키고, 전기 수득한 용액을 알레르기 질환 환자에 경구로 투여하고, 그 경과를 관찰하였다.
(사례 A)
본 사례의 환자는 20년간 꽃가루 과민증을 앓았다. 환자는 코막힘이 있었고 매년 2월 중순부터 5월의 연휴 끝날 때까지 입을 통해서만 숨을 쉴 수 있었다. 또 한, 환자는 극도의 눈가려움증이 있었으며 눈이 심하게 충혈되어 있었다. 환자는 심지어 귀 안쪽의 가려움과 같은 다양한 병증으로 고통받고 있었다.
2001년 2월 14일경부터, 꽃가루 과민증 증상이 있을 때, 땅콩 종피 추출물 분말 500mg을 미네랄 워터 1,500ml에 용해시키고, 환자는 전기 땅콩 종피 추출물 분말을 3일간 500mg의 속도로 투여하기 시작하였다. 첫째 날 뚜렷한 변화는 없었으나, 2 또는 3일 후에는 증상이 현저히 완화되었으며, 1주일 후에는 코막힘 또는 눈가려움과 같은 증상은 거의 사라졌다. 아침에 기상하면 몇몇 병증이 여러 날 동안 지속적으로 나타나기도 했으나, 그와 같은 증상은 땅콩 종피 추출물 분말 용액을 투여한지 얼마 되지 않아 사라졌다.
환자가 땅콩 종피 추출물 분말 용액을 약 반나절간 투여하지 않으면, 코막힘 또는 눈가려움이 다시 나타나기도 하였다. 그러나, 전기 용액을 투여하면, 그와 같은 증상은 완화되었다. 처음에는, 매 2 또는 3시간마다 전기 용액을 소량(약 100ml) 투여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약 한 달 후에는, 투여량이 약간 경감되었으나, 상기 증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더구나, 전기 추출물 분말을 투여하는 간격 또한 아침, 점심 및 저녁에 한번씩(하루 당 땅콩 종피 추출물 분말 100mg)으로 감소되었으나, 증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사례 B)
본 사례의 환자는 2월 초부터 4월 말까지 거의 10년 동안 꽃가루 과민증으로 야기된 눈가려움 및 콧물로 고생하였다. 환자는 전기 증상이 심해지면 꽃가루 과민증에 대한 주사제를 투여받았으나, 부작용에 대한 염려로 인해 3년 전부터 전기 주사제의 투여를 중단하였다.
2001년 2월 22일부터, 땅콩 종피 추출물 분말 500mg을 미네랄 워터 1,500ml에 용해시키고, 환자는 3일간 500mg의 속도로 전기 땅콩 종피 추출물 분말을 투여하기 시작하였다.
첫째 날, 환자는 특별한 효과를 느끼지 못하였다. 그러나, 둘째 날 눈의 가려움증이 가라앉았으며, 셋째 날에는 거의 가려움증을 느끼지 못하였다. 땅콩 종피 추출물 분말 용액을 투여하기 이전에는, 환자는 아침에 일어나면 지속적으로 재채기를 하였다. 그러나, 투여 후에는, 재채기 및 콧물이 멈추었다. 환자는 약 반 달 동안 땅콩 종피 추출물 분말 용액을 투여하였으며, 그 뒤 투여를 중단하였으나 꽃가루 과민증의 병증은 나타나지 않았다.
(사례 C)
1984년 봄 경부터, 본 사례의 환자는 꽃가루 과민증의 특징적인 증상(눈가려움 및 코막힘)을 앓았다. 그러나, 당시에는 꽃가루 과민증이 알려지지 않았으므로, 환자는 알레르기성 비염으로 진단받았다. 1990년 경에 꽃가루 과민증이 대중에 알려지면서, 환자는 심한 꽃가루 과민증을 앓고 있는 것으로 진단받았다. 환자는 눈가려움 및 코막힘과 같은 증상을 약제로 치료하였다. 졸림의 부작용 때문에 환자는 업무에 집중하지 못하고 힘겨운 생활을 이어나갔다.
2001년 2월, 환자는 꽃가루 과민증의 현저한 증상이 있어서, 매주 한번씩 병원을 찾아갔고, 전년도와 같은 약제에 치료를 의존하였다.
2001년 3월 16일부터, 환자는 땅콩 종피 추출물 분말 500mg을 미네랄 워터 1,500ml에 용해시킨 땅콩 종피 추출물 분말 용액병을 투여하기 시작하였다. 투여량은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일 자 투여량 (병) 상 태
2001년 3월 16일 1 눈의 심각한 가려움 및 코막힘과 같은 증상이 기존 약제의 투여를 중단함으로 인해 나타났다.
2001년 3월 17일 1 전날과 동일한 심한 증상으로 고통받음.
2001년 3월 18일 1 눈의 가려움 정도가 약간 완화되었다.
2001년 3월 19일 0.5 정도는 약했으나 점차 증상이 완화되었다.
2001년 3월 20일 0.5 위와 같음
2001년 3월 21일 0.5 위와 같음
2001년 3월 22일 0.5 위와 같음
2001년 3월 23일 0.5 위와 같음
2001년 3월 24일 0.5 위와 같음
2001년 3월 25일 0.5 위와 같음
2001년 3월 26일 0.5 위와 같음
2001년 3월 27일 1 현저히 개선된 징후가 나타났다. 코의 상태가 오후게 개선되어 미각이 회복되었다.
2001년 3월 28일 1 코 및 목의 상태가 더욱 개선되었다.
2001년 3월 29일 1
2001년 3월 30일 1
2001년 3월 31일 1 꽃가루 과민증의 증사이 거의 완전하게 사라졌다.
2001년 4월 1일 1
2001년 4월 2일 1
2001년 4월 3일 1 비록 꽃가루 수준이 높았으나, 완자은 단지 약간의 눈가려움을 나타내었으며, 그로 인한 고통을 심하게 느끼지는 않았다.
2001년 4월 4일 1 위와 같음
2001년 4월 5일 1 비록 꽃가루 수준이 높았으나, 환자의 상태는 정상이었다.
2001년 4월 6일 1
2001년 4월 7일 1

상술된 바와 같이, 꽃가루 과민증의 여러 증상은 부작용 없이 완화되었고, 환자는 일의 의욕을 유지할 수 있다.
(사례 D)
2001년 2월, 환자는 갑자기 꽃가루 과민증이 발병하였다. 처음에, 환자는 단지 콧물만 흘렀고 재채기 또는 눈가려움과 같은 증상은 없었다. 시간이 흐르면서, 재채기, 눈가려움 및 콧물로 인하여 마치 물이 코 안으로 들어간 것과 같은 통증 등의 증상이 나타났다. 환자는 종일 코를 풀어야 했기 때문에, 코 아래에 염증 및 통증이 발생하였다. 그래서, 환자는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비염 치료제를 복용하였다. 그로 인해 비염은 완화되었으나, 대신에 환자는 심한 메스꺼움, 입의 건조, 졸림 등의 부작용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환자는 전기 약의 복용을 중단하였다.
그 때부터, 환자는 땅콩 종피 추출물 분말을 투여하기 시작하였다.
처음에, 땅콩 종피 추출물 분말 500mg을 미네랄 워터 1,500ml에 용해시키고, 환자는 전기 땅콩 종피 추출물 분말 용액 약 50ml을 투여받았다. 잠시 후, 콧물이 멈추었고, 다음에는 마치 물이 코 안으로 들어간 것 같았던 통증, 재채기 및 눈가려움이 사라졌다. 환자가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약을 복용했을 때 나타났던 메스꺼움, 입의 건조 및 졸음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약 3시간 후에는 꽃가루 과민증의 병증이 다시 나타났으므로, 환자는 땅콩 종피 추출물 용액을 전과 동일한 양으로 복용하였다. 얼마 후, 전기 추출 용액 효과의 지속 시간은 3시간에서 4시 간으로, 다시 5시간으로 연장되었으며, 종국에는 아침에만 투여하여도 꽃가루 과민증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게 되었다.
(사례 E)
47세 남성
2001년 3월 8일, 본 사례의 남성 환자는 만성 아토피 피부염으로 인하여 손과 발에 혹 모양을 갖고 있었다. 환자는 항히스타민제 및 비타민 제제를 경구로 투여하였으며, 스테로이드 연고도 사용하였다.
2001년 5월경부터, 전기 증상은 현저하게 명백해졌다. 따라서, 환자는 때때로 스테로이드 정맥 주사를 투여받았으며, 그로 인해 증상은 잠시 개선되었고 환자는 회복된 것 같았다. 그러나, 증상은 다시 재발하였으며, 전보다 훨씬 더 악화되었다.
2001년 7월, 땅콩 종피 추출물 분말 500mg을 미네랄 워터 1,500ml에 용해시켜 수용액을 제조하였고, 환자는 매일 전기 용액 500ml을 3회에 나누어 투여받았다. 그 후, 환자는 매일 땅콩 종피 추출물 분말의 전기 수용액을 투여하면서, 스테로이드 주사를 중단하였다. 전기 증상은 하기와 같이 개선되었다.
2001년 5월 자료
IgE 740 IU/ml
에오시노필 20% 류코그램
뉴트로필 40% 류코그램
2001년 7월 자료
IgE 520 IU/ml
에오시노필 15%
뉴트로필 43%
(사례 F)
25세 여성
본 사례의 여성 환자는 15세부터 일반적인 아토피성 피부염을 앓았다. 그녀는 중국 약초 약제 및 중국 약초 연고로 아토피성 피부염을 치료하였으나, 전기 증상이 2000년 11월경부터 악화되었으므로, 일하러 나가는 것조차 불가능하였고, 그로 인해 우울증에 빠졌다. 결국, 그녀도 때때로 스테로이드 정맥 주사를 투여받았다. 또한, 그녀는 스테로이드 연고도 사용하였다.
증상은 일시적으로 개선되었으나, 재차 재발하였다. 그래서, 환자는 2001년 4월 스테로이드 제제의 투여를 중단하였다. 땅콩 종피 추출물 분말 500mg을 미네랄 워터 1,500ml에 용해시켜 수용액을 제조하였고, 환자는 전기 용액 500ml을 매일 3회에 나누어 복용하기 시작하였다.
2001년 11월경, 전기 증상은 완화되었고, 그녀는 더 이상 상기 질환이 재발하지 않았다.
2001년 4월 자료
IgE 950 IU/ml
에오시노필 36%
뉴트로필 43%
림프구 15%
2001년 8월 자료
IgE 430 IU/ml
에오시노필 25%
뉴트로필 45%
림프구 20%
(사례 G)
57세 여성
본 사례의 여성 환자는 오랜 기간 꽃가루 과민증으로 고생하였으며, 2000년 7월 그녀는 아토피성 피부염까지 앓게 되었다. 그녀는 비스테로이드 연고를 사용함으로써 한동안 양호한 치료 경과를 나타내었다.
2001년 4월, 아토피성 피부염 및 꽃가루 과민증이 악화되었으므로, 환자는 스테로이트 연고 및 경구로 스테로이드 제제를 투여받았다. 그로 인해 전기 증상 들은 가라앉았다. 그러나, 9월경, 전기 증상들은 전보다 더 악화되었고, 환자는 스테로이드 연고 및 스테로이드 제제의 투여를 중단하였다. 땅콩 종피 추출물 분말 500mg을 미네랄 워터 1,500ml에 용해시켜 수용액을 제조하였고, 환자는 전기 용액 500ml을 매일 3회에 나누어 투여하기 시작하였다. 그러자, 전기 증상들이 사라졌다.
2001년 자료
IgE 650 IU/ml,
집먼지 및 진드기에 대단히 민감함
2001년 11월 자료
IgE 500 IU/ml,
류코그램이 정상적이었다.
(사례 H)
58세 여성
본 사례의 환자는 오랜 기간 기관지 천식 및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를 받았다. 그녀는 기관지 확장제, 진해제 및 흡입제를 처치받았다.
2001년 피부의 병증이 악화되었고, 환자는 스테로이드 제제를 투여받았다.
전기 증상은 일시적으로 사라졌으나, 2001년 8월 아토피성 피부염 및 기관지 발작이 심각해졌으므로, 환자는 모든 제제의 투약을 중단하였다. 땅콩 종피 추출물 분말 500mg을 미네랄 워터 1,500ml에 용해시켜 수용액을 제조하였고, 환자는 전기 용액 500ml을 매일 3회에 나누어 투여하기 시작하였다. 아토피성 피부염 및 기관지의 증상이 완화되었다. 환자는 현재까지 양호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2001년 1월 자료
IgE 450 IU/ml
2001년 10월 자료
IgE 400 IU/ml
(사례 I)
21세 여성
본 사례의 환자는 7세경부터 기관지 천식을 앓았다. 약 4년 전부터 증상이 악화되었다. 그녀는 심각한 발작으로 고생하였으며, 매년 네다섯 차례 병원에 입원하였다. 약제의 투여량은 해마다 증가하였고, 그녀는 손떨림, 심계항진, 불면증 및 기능장애성 자궁 출혈과 같은 사용 약제의 부작용으로 심각하게 고통을 받았다.
프레드닌(Prednine)(5mg) 정제(부신 피질 호르몬):
12년간 아침에 한 정 및 밤에 다른 한 정을 복용하였다.
스피로펜트(Spiropent) 정제(기관지 확장제):
12년간 아침에 한 정 및 밤에 다른 한 정을 복용하였다.
테오두르(Theodur)(200mg) 정제(기관지 확장제):
12년간 아침에 한 정 및 밤에 다른 한 정을 복용하였다.
무코솔반(Mucosolvan) 정제(거담제):
10년간 아침, 점심 및 저녁에 한 정씩 복용하였다.
술탄올(Sultanol) 흡입기(기관지 확장제) 1병(13.5ml)을 12년간 투여하였다.
알데신(Aldecin) 100D(스테로이드 흡입제) 1병을 12년간 투여하였다.
싱글레어(Singulair) 10(천식 예방제)를 밤에 약 10년간 투여하였다.
크라빗(Cravit) 1정(매크롤리드(macrolide) 항생제; 기관지염이 나타날 때에 사용함)을 해마다 1 내지 3번, 4년간 아침, 점심 및 저녁에 복용하였다.
2001년 9월, 환자는 심각한 발작을 일으켰고, 또한, 전기 사용 제제의 부작용인 손떨림, 심계항진 및 불면증으로 고생하였으며, 특히, 2달간 지속적인 기능 장애성 자궁 출혈을 일으켰다.
환자는 모든 제제의 투여를 중단하였다. 그 다음, 땅콩 종피 추출물 분말 500mg을 미네랄 워터 1,500ml에 용해시켜 수용액을 제조하였고, 환자는 전기 용액 500ml을 매일 3회에 나누어 투여하기 시작하였다. 첫째 날부터, 환자는 천식으로 인한 고통이 완화됨을 느꼈고, 3일 후에는 기능 장애성 자궁 출혈이 멈추었다. 더구나, 알레르기성 비염 또한 사라졌으며, 2002년 1월까지 천식의 징후가 나타나지 않았다. 심지어 환자가 감기에 걸렸어도, 아무런 전기 증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스테로이드 제제(외용, 경구 투여, 정맥 주사 및 흡입)은 보편적으로 아토피성 피부염(특히 어른의 피부염), 기관지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등을 치료하는 데 사용되고, 항히스타민제도 동시에 사용된다. 사용에 있어 특별한 규정은 없으나, 증상이 사라질 때까지 사용되도록 한정된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 전기 제제의 장기간 사용이 종종 관찰된다. 특히, 외용 스테로이드 제제는 증상을 점차 완화시키는 동안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종국에 전기 제제는 외용 비스테로이드 제제로 대체된다. 스테로이드 제제를 경구 투여, 정맥 주사 또는 흡입하는 경우, 단기간만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증상이 쉽게 완화되지 않기 때문에 종종 장기간 사용된다.
이와 같은 사례에서, 심지어 스테로이드 제제의 투여를 중단할지라도, 땅콩 종피의 가공 산물을 사용함으로써 재발 현상 없이 알레르기성 질환을 치료할 수 있다.
실시예 2:
땅콩 종피 1,100mg을 85℃의 끓는 물 100ml에 1.5분 동안 담근 다음, 추출된 핏빛의 용액을 여과하여 병에 채워 넣었다. 이 병을 용액 내의 공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110℃에서 10분 동안 가열하였다. 공기 제거 후, 상기 병을 스테인리스 마개로 막아 밀봉시켰다. 상기 용액이 담긴 마개로 밀봉된 병을 살균을 위해 90℃ 끓는 물에 2시간 동안 담갔다. 가열 과정을 통해 병 속의 상기 용액은 투명한 핏빛을 가진 음료가 되었다.
실시예 3:
땅콩 종피 1,500mg 및 물 500ml을 흙으로 만든 병에 넣고, 잿불에서 30분 동안 가열하여 혼합액을 절반의 양으로 감소시켰다. 이렇게 얻어진 핏빛의 용액을 여과시키고, 이렇게 수득한 추출물을 하루 당 사람에게 투여될 양으로 정하였다.
실시예 4:
알코올 부피의 30%가 되도록 일정량의 땅콩 종피를 18℃의 99.9% 에탄올에 넣고, 40일 동안 방치하였다. 얻어진 추출물을 동결 건조하여 분말을 획득하였다.
이렇게 얻은 분말은 본 발명의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제제의 유효성분으로 바로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5:
실시예 4에서 얻어진 분말 10g을 옥수수 전분 490g과 혼합하고 물을 추가하여 반죽하였다. 그 다음에, 혼합물을 1mm×1mm 망을 가진 체로 과립 형성시키고 건조시켜, 과립을 획득하였다.
실시예 4에서 얻어진 분말 20mg이 상기 과립 1g에 포함되어 있다. 각 과립 5 내지 10g을 증상에 따라 하루에 세 번 투여하였다.
여기서 인용된 모든 문헌, 특허권 및 특허출원은 그 전체로서 참고자료로 본 명세서에 첨부되고 있다.
본 발명은 꽃가루 과민증,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및 기관지 천식과 같은 다양한 알레르기성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데에 효과적인 제제를 제공한다.

Claims (10)

  1. 땅콩 종피의, 실온에서 수득한 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꽃가루 과민증의 치료 및 예방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47003046A 2001-08-31 2002-02-15 가공된 땅콩 종피를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제 KR1009076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63795 2001-08-31
JP2001263795 2001-08-31
PCT/JP2002/001326 WO2003020295A1 (fr) 2001-08-31 2002-02-15 Moyens de traitement ou de prevention pour des maladies allergiques, comprenant un revetement a base de graines d'arachide traite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9121A KR20040029121A (ko) 2004-04-03
KR100907670B1 true KR100907670B1 (ko) 2009-07-14

Family

ID=19090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3046A KR100907670B1 (ko) 2001-08-31 2002-02-15 가공된 땅콩 종피를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393542B2 (ko)
EP (1) EP1428536B1 (ko)
JP (1) JP4279668B2 (ko)
KR (1) KR100907670B1 (ko)
CN (1) CN1723030A (ko)
AT (1) ATE428436T1 (ko)
CA (1) CA2458678A1 (ko)
DE (1) DE60231994D1 (ko)
WO (1) WO20030202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67188B1 (en) 1999-01-21 2006-06-27 Arkema Polymeric articles having a textured surface and frosted appearance
DE10227151B4 (de) * 2002-06-18 2007-03-15 Wild Flavors Berlin Gmbh & Co. Kg Extrakt aus Nebenprodukten der Nussverarbeitung,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nd dessen Verwendung
JP4793319B2 (ja) * 2007-05-15 2011-10-12 大正製薬株式会社 ショ糖脂肪酸エステル含有飲料
JP5954917B2 (ja) * 2007-09-28 2016-07-20 小林製薬株式会社 アルドースレダクターゼ阻害剤
CN103120342A (zh) * 2013-02-27 2013-05-29 山东师范大学 一种花生红衣柠檬矿泉水
KR20180060201A (ko) * 2016-11-28 2018-06-0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땅콩 지상부 추출물 및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및 그의 용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3532A (ja) * 1996-08-08 1998-02-24 Ichimaru Pharcos Co Ltd 植物抽出物含有抗アレルギー剤
JPH11246562A (ja) * 1998-03-04 1999-09-14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プロアントシアニジンaおよびその誘導体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765A (ja) * 1993-05-24 1995-01-13 Suntory Ltd ウルシ科植物抽出物を有効成分とするヒアルロニダーゼ阻害剤
US6258361B1 (en) 1996-10-21 2001-07-10 Akio Yoshihara Agent for recovering hematopoietic function and processed food both containing treated product of peanut seed coats
JP3217278B2 (ja) 1996-10-21 2001-10-09 株式会社 エフェクト 落花生種皮処理物を用いた造血機能回復剤及び加工食品
JP3281919B2 (ja) * 1997-03-27 2002-05-13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肥満細胞脱顆粒阻害剤
JP3010258B2 (ja) 1998-02-27 2000-02-21 工業技術院長 抗hiv剤
JP2000178196A (ja) * 1998-12-11 2000-06-27 Seikagaku Kogyo Co Ltd 新規ヒアルロニダーゼ阻害剤及び外用剤
JP2001247428A (ja) * 2000-03-06 2001-09-11 Katakura Chikkarin Co Ltd 皮膚外用剤
CN1323776A (zh) 2001-05-31 2001-11-28 北京天纯维通生物技术有限公司 白藜芦醇和白藜芦醇甙的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3532A (ja) * 1996-08-08 1998-02-24 Ichimaru Pharcos Co Ltd 植物抽出物含有抗アレルギー剤
JPH11246562A (ja) * 1998-03-04 1999-09-14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プロアントシアニジンaおよびその誘導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247712A1 (en) 2004-12-09
EP1428536A4 (en) 2006-06-28
JPWO2003020295A1 (ja) 2004-12-16
EP1428536B1 (en) 2009-04-15
ATE428436T1 (de) 2009-05-15
EP1428536A1 (en) 2004-06-16
US7393542B2 (en) 2008-07-01
WO2003020295A1 (fr) 2003-03-13
CA2458678A1 (en) 2003-03-13
JP4279668B2 (ja) 2009-06-17
CN1723030A (zh) 2006-01-18
DE60231994D1 (de) 2009-05-28
KR20040029121A (ko) 2004-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020506A1 (ko) 천년초 발효물 함유 식품, 음료 또는 의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2526546A (zh) 一种中药组合物及其制剂和制备方法
KR100907670B1 (ko) 가공된 땅콩 종피를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제
KR20210150829A (ko) 참당귀 추출물 및 인디루빈 농축물을 포함하는 건선 또는 비염치료용 조성물
KR101045025B1 (ko) 천식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
KR101528557B1 (ko) 천년초 발효물 함유 의약 조성물
AU2019100737A4 (en) Anti-Helicobacter Pylori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composition and applications
KR20120086262A (ko) 진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JP2002205954A (ja) 血液循環改善剤
CN113633672A (zh) 一种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101119647B1 (ko) 사상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20110113112A (ko) 금은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 및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A2656220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and preventing gastro esophageal reflux disease
CN112076247A (zh) 紫苏叶提取物在制备治疗慢性阻塞性肺疾病药物中的应用
JP2003073289A (ja) 活性酸素消去剤
CN112494598B (zh) 一种用于治疗咽炎的有效部位组合物及其应用
CN112057476B (zh) 一种组合物及其在醒酒解宿醉护胃上的应用
CN114982970B (zh) 一种辅助保护内腔粘膜的营养素含片及其制备方法
KR20120057161A (ko) 거북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의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ES2425220T3 (es) Composición de hierbas que reduce la liberación de la hormona foliculoestimulante
US20200113958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Balancing Body Acidity and Relieving Body Over Acidity Symptoms and Strengthening the Immune Response
CN106138156B (zh) 一种清热利咽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CN116492386A (zh) 一种具有清肺润喉效果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570154B1 (ko) 천년초 발효물의 제조 방법
WO2002020029A1 (fr) Medicaments et aliments dietetiqu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