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3112A - 금은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 및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금은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 및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3112A
KR20110113112A KR1020100032978A KR20100032978A KR20110113112A KR 20110113112 A KR20110113112 A KR 20110113112A KR 1020100032978 A KR1020100032978 A KR 1020100032978A KR 20100032978 A KR20100032978 A KR 20100032978A KR 20110113112 A KR20110113112 A KR 20110113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lergic
extract
gold
silver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2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근
Original Assignee
김대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근 filed Critical 김대근
Priority to KR1020100032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13112A/ko
Publication of KR20110113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311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5Caprifoliaceae (Honeysuckle family)
    • A61K36/355Lonicera (honeysuckl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on effect on allergy and risk of allerg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heu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알러지 및 항염증 작용을 갖는 금은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금은화 추출물은 부작용 없이 알러지성 질환 또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에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금은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 및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omitted}
본 발명은 금은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알러지성 질환 및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적합한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알러지성 질환은 환경적인 요인의 변화로 세계 각국에서 그 유병율이 급증하는 추세이다. 알러지성 질환의 예로는 과민증(anaphylaxis), 알러지성 비염(allergic rhinitis), 알러지성 천식(allergic asthma), 알러지성 피부염(allergic dermatitis) 등이 있으며 면역계통의 장애로 발생한다. 병태학적으로 알러지성 질환은 체액성 면역 및/또는 세포성 면역에 의해 매개되는 질환이다(Incorvaia C, Frati F, Verna N,
Figure pat00009
S, Motolese A, Pucci S. Allergy and the skin. Clin Exp Immunol 2008; 153: pp 27-29). 두드러기나 맥관부종은 체액성 면역(즉, IgE)에 의해 매개되고, 접촉성 피부염은 세포성 면역에 의해 매개되며, 또한 아토피성 피부염은 체액성과 세포성 면역이 모두 관여한다. 최근 수십 년 동안 우리나라를 비롯한 여러 선진국에서 그 환자수가 늘어나고 있다.
알러지 반응은 랑게르한스 세포가 IgE를 통해 알러젠을 포획하고, 이것들을 T 세포에 제시함으로써 이루어진다. T 헬퍼세포는 분비하는 싸이토카인에 따라 크게 Th1 세포와 Th2 세포로 나뉘어진다. Th1 세포는 interferon γ와 interleukin 2를 주로 생산하고 세포성 면역에 관여하는 반면, Th2 세포는 전형적으로 interleukin 4, interleukin 5 및 interleukin 10을 생산하고 체액성 면역 특히, IgE 합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알러지성 피부염의 예방이나 치료에 사용되는 것으로는 항히스타민, 스테로이드성 및/또는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같은 의약품이 사용된다. 이러한 약품들은 알러지성 질환의 증상을 경감시키는데 유용한데, 근본적인 예방 및/또는 치료를 제공하지는 못한다. 게다가 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는 피부의 위축와 상처치유기간 연장, 근육의 위축, 골다공증, 녹내장 및 백내장, 부신피질기능항진증 등과 같은 많은 부작용을 가지고 있다 (
Figure pat00010
H,
Figure pat00011
WD, Asadullah K. Mechanisms involved in the side effects of glucocorticoids. Pharmacol Ther. 2002; 96: 23-43).
본 발명에서 사용한 금은화는 인동덩굴(Lonicera japonica)의 꽃으로서 인동과(Caprifoliaceae)에 속하며 한국, 중국, 일본이 원산지이다. 한약재로도 사용되는 금은화는 성질이 차고 독성이 없으며, 열을 내리고 농을 배출하여, 호흡기질환 및 화농성 감염증, 관절염 등의 치료에 이용되어왔으나, 알러지성 및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관해서는 보고된 바가 없다.
KR, 10-2008-0011546 KR, 10-0878436
현재 알러지성 및 염증성 질환에 사용되는 스테로이드성 및/또는 비스테로이드성 의약품은 근본적인 예방 및/또는 치료에 효과적이지 못하고 또한 피부와 근육의 위축, 부신피질기능항진증 같은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알러지성 질환을 일으키는 면역반응과 그에 따른 염증반응을 억제하여 부작용 없이 알러지성 및 염증성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유용한 천연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알러지성 및 염증성 질환에 대한 예방 및/또는 치료효과를 가진 금은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극성용매, 또는 에틸아세테이트 등 유기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알러지성 질환은 과민증, 알러지성 비염, 알러지성 피부염, 알러지성 천식, 알러지성 결막염,아토피성 피부염, 곤충알러지, 식품알러지, 약품알러지, 두드러기 등을 포함한다.
상기 염증성 질환은 각종 피부염, 전신성 홍반성 낭창, 간염, 장염, 위염, 췌장염, 신장염, 망막염 등을 포함한다.
본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경구투여를 목적으로 하나, 건강식품이나 음료, 외용제 형태 등으로서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금은화 추출물을 분리하는 방법은 하기와 같으며,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금은화 추출물은 금은화를 건조하여 분쇄한 후, 금은화 건조 중량의 약 2 내지 20배, 바람직하게는 약 20배에 달하는 부피의 물로 6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80℃의 온도에서 1시간 내지 1일, 바람직하게는 3시간 동안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방법으로 1 내지 5회, 바람직하게는 3회 연속 추출하여 수득한 후, 여지로 여과하고 여액을 회전진공농축기로 2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에서 감압농축 한 후, 잔사를 진공동결건조 또는 열풍건조 또는 분사방식에 의한 건조법 등을 통하여 금은화 조추출물을 얻을 수 있으며, 수득된 금은화 추출물은 -20℃에서 보관하면서 실험에 이용한다. 또한, 금은화 추출물의 건조분말은 증류수에 일정농도로 용해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의 금은화 추출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 및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 추출물의 약학적 투여형태는 이들의 약학적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예로서, 프레드니솔론, 덱사메타손, 안티히스타민 등)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금은화 추출물은 알러지성 질환 및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 등의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캡슐제, 환제 또는 액제 등의 형태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화합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바람직한 일일 투여량은 환자의 성별, 연령, 병의 진행 상태 등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나, 대략 1일 1∼2000 mg/kg, 바람직하게는 200∼1000 mg/kg이 되도록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금은화 추출물은 부종 및 가려움증을 감소시키고, Th1 및 Th2 싸이토카인 모두를 억제시킴과 동시에 IgE와 TNF-α와 세포의 아프토시스(apoptosis)를 억제하여 알러지성 및 염증성 질환을 예방하거나 개선시킬 수 있다. 이러한 효능 및 효과는 하기의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명확히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OVA-DNFB 감작 마우스 모델에서 금은화 추출물의 부종 억제효과 평가
(1-1) OVA-DNFB 감작 마우스 모델 준비
OVA-DNFB 감작 마우스 모델은 알러지의 동물 모델로 많이 사용되는 동물 실험 모델이다. OVA-DNFB는 흰자위알부민(OVA, crude grade V; Sigma사) 200mg과 디니트로플르오로 벤젠(2,4-dinitrofluorobenzen, DNFB; Sigma사) 100mg을 혼합하여 실온에서 약 18시간 보관한 것을 사용하였다. 6주령의 ICR 마우스 암컷(중앙실험동물)을 1주일간 환경에 적응하도록 하였다. 7주령 째에 10μg의 OVA-DNFB와 1μg의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Sigma사)를 0.2ml의 생리식염수에 섞어 마우스에 복강주사 하고 1주일 후에 15㎕의 0.1% DNFB 에탄올용액을 마우스 귀에 도포하여 도포전과 후의 두께를 측정하여 도포 전에 비해 도포 후의 두께가 10% 이상 증가된 마우스 25마리를 선별하였다. 이렇게 선별된 마우스에 부스팅을 위해 10μg의 OVA-DNFB와 1μg의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Sigma사)를 0.2ml의 생리식염수에 섞은 것을 다시 한번 복강주사하였다. 이 25마리의 마우스를 각각 5마리씩 다섯 군으로 나누어 5mg/kg의 프레드니솔론, 100mg/kg, 200mg/kg 400mg/kg의 금은화 추출물을 각각 증류수에 섞어 매일 1회 7일간 경구투여하였고 나머지 한 군에서는 증류수만 투여하였다.
(1-2) DNFB로 유도된 마우스 귀의 부종에 대한 항염증효과
상기 (1-1)에서 준비된 마우스의 왼쪽 귀에 15㎕의 0.1% DNFB 에탄올 용액을 마우스 귀에 도포하기 전 마이크로캘리퍼를 이용하여 귀 두께를 측정하고, 0.1% DNFB 에탄올 용액을 도포하고 1시간 후의 귀두께를 측정하였다. 하기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부종의 증가율을 계산하였다.
Figure pat00001
실험결과 0.1% DNFB 에탄올 용액을 귀에 도포한 후 귀 두께를 비교하였을 때 200mg/kg과 400mg/kg의 금은화 추출물을 투여한 경우 스테로이드성 소염제인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만큼 마우스 귀의 부종을 억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그림 1).
Figure pat00012
[그림 1] 0.1% DNFB 에탄올 용액 도포 1시간 후 귀 부종의 증가율. Control: 증류수 투여군, PDS: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투여군, LJ-100: 100 mg/kg의 금은화 추출물 투여군, LJ-200: 200 mg/kg의 금은화 추출물 투여군, LJ-400: 400 mg/kg의 금은화 추출물 투여군.
실험예 2. OVA-DNFB 감작 마우스 모델에서 금은화 추출물의 가려움 억제효능 실험
상기 (1-1)에서 준비된 마우스 왼쪽 귀에 15㎕의 0.1% DNFB 에탄올 용액을 마우스 귀에 도포하고 1시간 동안 긁는 횟수를 관찰하였다.
실험결과 마우스가 귀를 긁는 정도를 비교하였을 때 200mg/kg과 400mg/kg의 금은화 추출물을 투여한 경우 스테로이드성 소염제인 프레드니솔론 만큼 마우스의 가려움 증상을 억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림 2.)
Figure pat00003
[그림 2] 0.1% DNFB 에탄올 용액 도포 후 1시간 동안 귀를 긁는 횟수. Control: 증류수 투여군, PDS: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투여군, LJ-100: 100 mg/kg의 금은화 추출물 투여군, LJ-200: 200 mg/kg의 금은화 추출물 투여군, LJ-400: 400 mg/kg의 금은화 추출물 투여군.
실험예 3. OVA-DNFB 감작 마우스 모델에서 알러지성 염증에 대한 금은화 추출물의 조직학적 평가
상기 (1-1)에서 준비된 마우스의 귀에 15㎕의 0.1% DNFB 에탄올 용액을 도포한 후 24시간 후에 마우스를 희생하여 귀조직을 획득하였다. 조직은 절편으로 잘라 H&E 염색을 한 후 광학현미경으로 귀두께를 측정하였다. 비만세포 및 염증세포들의 변화는 toluidine blue와 H&E 염색을 하고, TNF-α 면역반응세포는 면역염색을 실시해서 디지털 이미지분석기(DMI사의 DMI-300)를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그림 3과 4에 나타내었다. 귀두께는 200mg/kg과 400mg/kg의 금은화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염증세포수와 비만세포수 및 TNF-α 면역반응세포도 200mg/kg과 400mg/kg의 금은화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 현저히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Figure pat00004
[그림 3] 0.1% DNFB 에탄올 용액 도포하고 24시간 후 귀두께. Control: 증류수 투여군, PDS: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투여군, LJ-100: 100 mg/kg의 금은화 추출물 투여군, LJ-200: 200 mg/kg의 금은화 추출물 투여군, LJ-400: 400 mg/kg의 금은화 추출물 투여군.
Figure pat00005
[그림 4] ] 0.1% DNFB 에탄올 용액 도포하고 24시간 후 귀조직의 단위면적당 염증세포수와 비만세포수 및 TNF-α 면역반응세포수. Control: 증류수 투여군, PDS: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투여군, LJ-100: 100 mg/kg의 금은화 추출물 투여군, LJ-200: 200 mg/kg의 금은화 추출물 투여군, LJ-400: 400 mg/kg의 금은화 추출물 투여군.
실험예 4. OVA-DNFB 감작 마우스 모델에서 혈청 IgE 농도 분석
상기 (1-1)에서 준비된 마우스의 귀에 15㎕의 0.1% DNFB 에탄올 용액을 도포한 후 24시간 후에 마우스를 희생하여 혈청을 획득하였다. 혈청내 IgE의 농도는 ELISA 방법(Shibayagi사)으로 측정하였다. 200mg/kg과 400mg/kg을 복용한 마우스에서 혈청 IgE가 프레드디솔론(prednisolone)을 투여한 군보다 더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는 금은화 추출물이 알러지를 유발하는 IgE를 감소시킴으로써 알러지 증상을 개선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그림 5).
Figure pat00006
[그림 5] 0.1 DNFB 에탄올 용액 도포하고 24신 후 혈청내 IgE 농도. Control: 증류수 투여군, PDS: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투여군, LJ-100: 100 mg/kg의 금은화 추출물 투여군, LJ-200: 200 mg/kg의 금은화 추출물 투여군, LJ-400: 400 mg/kg의 금은화 추출물 투여군.
실험예 5. OVA-DNFB 감작 마우스 모델에서 Th1/Th2 싸이토카인의 조절
상기 (1-1)에서 준비된 마우스의 귀에 15㎕의 0.1% DNFB 에탄올 용액을 도포한 후 24시간 후에 마우스를 희생하여 목림프절을 획득하였다. 이 목림프절에서 RNA를 추출하여 RT-PCR을 이용하여 Th1의 싸이토카인 중 하나인 interferon γ(INF-γ)와 Th2의 싸이토카인 중 하나인 interleukin 4(IL-4)의 발현율을 디지털 이미지분석기(Bio-Rad사, Quantity One)로 정량하였다. 그림 6은 금은화 추출물이 INF-γ와 IL-4 싸이토카인의 발현을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시키고 있음을 보여준다. Th2 싸이토카인은 초기 알러지 반응을 일으키고, Th1 싸이토카인은 후기의 염증반응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따라서 금은화 추출물은 알러지성 피부염의 증상완화에 상당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Figure pat00007
[그림 6] 0.1% DNFB 에탄올 용액 도포하고 24시간 후 목림프절에서 IL-4와 IFN-γ의 발현율. Control: 증류수 투여군, PDS: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투여군, LJ-100: 100 mg/kg의 금은화 추출물 투여군, LJ-200: 200 mg/kg의 금은화 추출물 투여군, LJ-400: 400 mg/kg의 금은화 추출물 투여군.
실험예 6. OVA-DNFB 감작 마우스 모델에서 알러지성 피부염 병변부의 항아프토시스(anti-apoptosis)에 대한 효능 실험
상기 (1-1)에서 준비된 마우스의 귀에 15㎕의 0.1% DNFB 에탄올 용액을 도포한 후 24시간 후에 마우스를 희생하여 귀조직을 획득하였다. 이 조직을 caspase-3와 PARP 항체로 면역염색하여 아프토시스(apoptosis)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림 7은 200mg/kg과 400mg/kg의 금은화 추출물을 복용한 마우스에서 caspase-3 및 PARP 면역반응성 세포수가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금은화 추출물이 알러지성 피부염의 병변부 세포의 아프토시스(apoptosis)를 억제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pat00008
[그림 7] 0.1% DNFB 에탄올 용액을 도포하고 24시간 후 귀조직의 표피세포 100개당 Capase-3 면역반응세포수와 PARP 면역반응세포수. Control: 증류수 투여군, PDS: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투여군, LJ-100: 100 mg/kg의 금은화 추출물 투여군, LJ-200: 200 mg/kg의 금은화 추출물 투여군, LJ-400: 400 mg/kg의 금은화 추출물 투여군.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어떤 식으로든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금은화 추출물의 제조
(1-1) 물 용매를 이용한 열수추출법
분쇄한 상태의 금은화 100g을 2 리터의 증류수에 가하여 잘 교반한 다음 80℃를 유지하는 추출온도에서 3시간 동안 연속 3회 추출한 후 여액을 분리하였고 55∼65℃로 생약추출물을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시켜 금은화 분말 엑스 23.80g을 얻었다.
(1-2) 에탄올 추출법
건조한 상태의 금은화 100g에 80% 에탄올 1리터를 가하여 6시간 동안 추출하여 여과한 후 여액을 50℃에서 감압농축하여 추출물 10g을 얻었다.
[실시예 2] 건강식품의 제조예
실시예 1의 금은화 추출물 1000 mg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μg
비타민 E 1
비타민 B1 0.13
비타민 B2 0.15
비타민 B6 0.5
비타민 B12 0.2 μg
비타민 C 10
비오틴 10 μg
니코틴산아마이드 1.7
엽산 50 μg
판토텐산 칼슘 0.5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산화아연 0.82
탄산마그네슘 25.3
제1인산칼슘 15
제2인산칼슘 55
구연산칼륨 90
탄산칼슘 100
염화마그네슘 24.8
상기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 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3] 금은화 추출물의 정제 제조예
실시예 1의 금은화 추출물 40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5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정제를 제조할 수 있다.

Claims (8)

  1. 금은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및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은화 추출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러지성 질환은 과민증, 알러지성 비염, 알러지성 피부염, 알러지성 천식, 알러지성 결막염, 아토피성 피부염, 곤충알러지, 식품알러지, 약품알러지, 두드러기 등을 포함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질환은 각종 피부염, 전신성 홍반성 낭창, 간염, 장염, 위염, 췌장염, 신장염, 망막염 등을 포함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은화 추출물의 치료학적 유효용량은 1∼2000 mg/k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러지성 및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은화 추출물은 물,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은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통상으로 허용되는 약학적 제제형태(정제, 캡슐제, 겔, 외용제 또는 액제 형태 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금은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알러지성 질환 및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 식품, 기능성 식품첨가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00032978A 2010-04-08 2010-04-08 금은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 및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101131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2978A KR20110113112A (ko) 2010-04-08 2010-04-08 금은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 및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2978A KR20110113112A (ko) 2010-04-08 2010-04-08 금은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 및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3112A true KR20110113112A (ko) 2011-10-14

Family

ID=45028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2978A KR20110113112A (ko) 2010-04-08 2010-04-08 금은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 및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1311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610B1 (ko) * 2011-11-29 2014-08-29 전승표 한방추출물을 함유한 알레르기 비염 개선용 약학조성물의 제조방법
CN113181232A (zh) * 2021-05-27 2021-07-30 山东省科学院菏泽分院 一种治疗急性胰腺炎的物质
KR102353230B1 (ko) * 2021-03-10 2022-01-19 엔비케이제약(주) 복합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호흡기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610B1 (ko) * 2011-11-29 2014-08-29 전승표 한방추출물을 함유한 알레르기 비염 개선용 약학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353230B1 (ko) * 2021-03-10 2022-01-19 엔비케이제약(주) 복합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호흡기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3181232A (zh) * 2021-05-27 2021-07-30 山东省科学院菏泽分院 一种治疗急性胰腺炎的物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29275B1 (en) Total flavone extract of abelmoschus maniho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0615389B1 (ko) 다래 추출물을 함유하는 알러지성 질환 및 비알러지성염증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
WO2012157978A2 (ko) 팥꽃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2017532383A (ja) キツネノマゴ属植物の抽出物または分画物を含む組成物
JP2019511521A (ja) キツネノマゴ抽出物を含む呼吸器疾患の予防または治療用の薬学的組成物
CN102697982B (zh) 一种具有辅助降血脂功能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130077314A (ko)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2526546A (zh) 一种中药组合物及其制剂和制备方法
KR102218823B1 (ko) 지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알러지용 조성물
KR20060092373A (ko) 소아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및 개선용 생약 조성물
KR20110113112A (ko) 금은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 및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84435A (ko) 어성초 및 느릅나무 혼합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336094B1 (ko) 피부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02409A (ko)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용 조성물
JP6369931B2 (ja) 抗肥満剤
JP2006514041A (ja) 混合生薬材を用いた肥満抑制用組成物
JP2009227654A (ja) 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アトピー性皮膚炎改善用組成物
JP4371431B2 (ja) 抗アレルギー性組成物
KR102192586B1 (ko) 아위버섯의 추출물 또는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간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US20040247712A1 (en) Remedies or preventing for allergic diseases comprising processed peanut seed coat
JP5138345B2 (ja) 抗アレルギー剤
JP2008037785A (ja) 抗アレルギー剤
JP2007210920A (ja) 抗アレルギー性物質
CN107334988B (zh) 一种治疗肺痈的中药组合物
KR20110027417A (ko) 알러지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