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6166B1 - 카메라 흔들림 보정과 감도 전환기능을 가진 디지털촬상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 흔들림 보정과 감도 전환기능을 가진 디지털촬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6166B1
KR100906166B1 KR1020070021090A KR20070021090A KR100906166B1 KR 100906166 B1 KR100906166 B1 KR 100906166B1 KR 1020070021090 A KR1020070021090 A KR 1020070021090A KR 20070021090 A KR20070021090 A KR 20070021090A KR 100906166 B1 KR100906166 B1 KR 100906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tivity
controller
camera shake
shooting
im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1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2620A (ko
Inventor
카츠토시 이자와
Original Assignee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2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2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6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6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4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controlling the image sensor readout, e.g. by controlling the integration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1Motion detection
    • H04N23/6811Motion detection based on the image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 Exposure Control For Cameras (AREA)

Abstract

정지화상의 촬영시에 과대 사양(overly specification-bound state)을 피하고 원하는 정지화상을 얻을 수 있는 디지털 촬상장치를 제공한다. 피사계의 밝기가 소정의 중간 정도 내에 있는 경우, 제어기는 피사계의 밝기, 스루-화상에서 검출된 피사체의 움직임 및 연속 자동초점(AF)의 작동 유무에 의하여 카메라 흔들림 보정을 온(ON)할지를 결정하고, 나아가 저감도 촬영 또는 고감도 촬영 중 어느 것에 의존해야 하는 지를 결정한다.
Figure R1020070021090
디지털 촬상장치, 카메라 흔들림 보정, 감도

Description

카메라 흔들림 보정과 감도 전환기능을 가진 디지털 촬상장치{Digital imaging apparatus with camera shake compensation and adaptive sensitivity switching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촬상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오토세팅 모드에서 디지털 촬상장치의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3은 ISO 감도 브라케팅 모드에서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 도 5 및 도 6은 실시예의 ISO 감도 세팅 모드에서 카메라 흔들림 보정, ISO 감도 및 셔터 스피드의 조합 상태의 예를 보여주기 위한 도식적인 표.
<주요 부호의 설명>
10 : 디지털 촬상장치 12 : 렌즈 시스템
16 : 드라이버 24 : 아날로그 회로
30 : 제어기
본 발명은 피사계(view of a subject)를 촬영하기 위한 디지털 촬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카메라 흔들림 보정 및 적절한 감도 전환(switching) 기능을 가진 디지털 촬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정지화상을 찍을 때 카메라 흔들림이나 피사체의 불안정으로 인한 번짐(blur)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광학적으로 카메라 흔들림으로 인한 효과를 감소시키거나 광학적으로 더욱 고감도로 촬영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가 알려지고 있다.
화상의 번짐이 카메라 흔들림에 의한 것인지 피사체의 불안정으로 인한 것인지를 구별할 수 있는 기술로서, 미국공개특허 제2004/0239795A1호(발명자 : 키타지마)가 있다. 촬영하는 동안 프레임에 따라 감도가 변화되는 브라케팅 촬영은 일본공개특허 제1999-4380호 공보에 '전자 스틸 카메라'로 공개되어 있다.
광학적 카메라 흔들림 보정기능과 고감도 촬영기능이 제공되는 디지털 카메라에서 화상 번짐은 고감도로 셔터 스피드를 빠르게 촬영하거나 광학적 카메라 흔들림 보정을 이용하여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매우 어두운 곳을 촬영하는 때에는 상기 두 기능은 상승효과를 내어 바람직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하지만, 매우 밝은 곳을 촬영할 때에는 두 가지 기능을 모두 사용할 필요는 없다. 즉, 상기 두 기능을 동시에 사용하는 것은 과대 사양을 이용한 방법(overly specified-bound measure)이다.
상기 두 기능은 동시에 사용될 것이기 때문에, 광학적 카메라 흔들림 보정기능과 고감도 촬영기능을 모두 갖춘 디지털 카메라는 매우 어두운 곳에서 특히 효과적이다. 하지만, 어느 정도 밝은 곳에서 촬영할 때 상기 두 기능을 사용하는 것은 과대 사양을 이용한 방법이다. 왜냐하면, 광학적 카메라 흔들림 보정기능을 헛되이 사용하는 것에 의해 전력소모가 증가되고, 한편, 필요 이상으로 고감도 촬영을 하는 경우에는 노이즈가 과다하게 증가되기 때문이다.
사용자가 의도된 번짐을 갖도록 움직이는 피사체를 추적 촬영하는 경우와 같이, 피사체 번짐의 정도는 사용자의 다양한 기호에 의존하기 때문에, 촬영화상에서의 피사체 번짐은 카메라 흔들림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촬영화상에서의 번짐과는 성질상 다르다. 경우에 따라서 피사체의 번짐은 예술 작품에서 바람직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고감도 및 광학적 카메라 흔들림 보정기능을 가지고, 과대 사양의 처리를 피하며 정지화상을 촬영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카메라 흔들림 보정기능 및 촬영시에 감도를 전환하는 감도 전환기능을 가진 디지털 촬상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카메라 흔들림 보정기능 및 촬영시에 감도를 전환하는 감도 전환기능을 가진 디지털 촬상장치에 있어서, 피사계를 정지화상으로 촬영하여 상기 피사계를 나타내는 화상신호를 생성하는 화상센서를 포함하는 촬상 유닛, 상기 촬상 유닛에 의하여 생성된 화상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기 및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상기 촬상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촬상 유닛은 피사계의 화상에 대한 카메라 흔들림의 효과를 보정하는 보정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보정기의 보정상태를 전환하고, 상기 화상 센서의 광학적 감도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상장치를 제공한다.
카메라 흔들림 보정기능과 촬영시 감도를 전환하는 감도 전환기능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촬상장치에 의하여, 카메라 흔들림 보정의 온/오프 및 정지화상 촬영시에 고감도와 저감도 촬영을 적절히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주변환경에 따라 적절히 카메라 흔들림 보정기능과 적당한 촬영감도가 선택된다.
ISO 감도 브라케팅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 감도변화에 따른 복수 개의 스테이지로 설정된 셔터 스피드로 일련의 화상을 촬영하고, 원하는 번짐(blur) 정도를 가진 화상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특징은 첨부된 도면에 관계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촬상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10)의 개략적인 블럭도가 나타내어져 있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카메라(10)는 고체 촬상소자(solid-state image pickup device)(14)에 의한 촬상 렌즈 시스템(12)으로 구성된 피사계의 광학적 화상을 상기 고체 촬상소자(14)로부터 생성된 전기적 화소 신호(electric pixel signal)로 광-전기적(photo-electrically)으로 변환하여 처리하며, 반도체 메모리 같은 데이터 저장물에 저장한다.
본 실시예의 렌즈 시스템(12)은 초점 거리가 변동되는 줌 렌즈인 것이 바람직하다. 렌즈 시스템(12)의 초점 위치(in-focus position)(12)는 드라이버(16)로부터 제공되는 렌즈 구동신호(18)에 의하여 제어된다. 본 명세서에서, 신호는 전달되는 연결부의 도면부호로 표시된다. 렌즈 시스템(12)은 도시되지 않은 조리개(iris)를 구비한다. 덧붙여, 렌즈 시스템(12)은 렌즈 구동신호(18)에 대응하여 광학축(13)에 관계되는 렌즈 위치를 조절하는 번짐(blur) 저감기능을 갖는다.
렌즈 시스템(12)에 의해 형성된 결상면(image plane)에 위치한 고체 촬상소자(14)는 컬러 CCD와 같은 고체 화상 센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체 촬상소자(14)는, 드라이버(16)로부터 공급되는 수직/수평 전송 클럭(transfer clock) 및 각종 제어전압 형태의 구동 신호(20)에 의해 구동되며, 촬상면(imaging surface)에 배치된 광다이오드(즉, photodiodes cell array)에 의하여 생성된 신호전하를 화소 신호로서 독출하여 출력(22)에 출력한다. 렌즈 시스템(12)과 고체 촬상소자(14) 사이에는 도시되지 않은 기계적 셔터가 구비되어 고체 촬상소자(14)를 위한 전자 셔터제어와 함께 셔터 스피드가 제어된다.
고체 촬상소자(14)의 출력(22)에 접속된 아날로그 회로(24)는 입력된 화소 신호(22)를 상관 이중 샘플링(correlated double sampling;CDS) 및 자동이득제어(automatic-gain control;AGC)하는 아날로그 신호 처리회로이다. 본 실시예에서 아날로그 회로(24)는 제어기(30)의 제어에 대응하여 자동이득제어(AGC)에 있어서 이득을 증감시켜 ISO 감도를 조절하는 ISO 감도조절기능을 가지고 있다. 아날로그 회로(24)의 출력(26)은 신호처리기(28)에 접속되어 있다.
신호처리기(28)는 화상 데이터(32,34)를 생성하기 위하여 아날로그 회로(24)의 출력(26)을 감마 보정, 화이트밸런스 조정, 화소보간처리(pixel interpolation) 등의 디지털 신호처리를 행하는 디지털 처리 회로이다. 신호처리기(28)의 입력측에는 도시되지 않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회로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신호처리기(28)는 고정밀도의 디지털 연산처리에 의하여 ISO 감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신호처리기(28)는 색성분을 포함한 컬러 화소신호를 각각 휘도 및 색차성분으로 구성된 각 휘도(luminance) 및 색차신호(chroma signals)로 변환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본 디지털 카메라(10)가 자동 초점 조절(AF)을 행할 때, 접속선(32)에 의해 제어기(30)에 접속된 신호처리기(28)는, 처리된 화소 신호로부터 휘도신호를 제어기(30)의 제어를 받아 생성하여, AF제어를 위하여 제어기(30)로 휘도신호를 전송한다.
신호처리기(28)는 디지털 신호 처리를 행하여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상기 신호처리기(28)의 출력(34)에 접속된 기록회로(36)로 전송한다. 상기 기록회로(36)는 신호처리기(28)에 의하여 처리된 화상 데이터를 도시되지 않은 정보기록회로에 기록한다. 상기 기록회로(36)는 촬영시 획득한 화상 데이터의 정보량을 인코딩(encoding)하여 압축하는 기능을 가진 처리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기(30)는 조작부(40)로부터 전송된 각종 지시신호에 대응하여 디지털 카메라(10)의 여러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상기 디지털 카메라(10)는 상기 조작부(40)에 의해 수동으로 선택할 수 있는 고감도 촬영모드와 카메라 흔들림 보정모 드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제어기(30)는 조작부(40)의 조작에 대응하여 고감도 촬영모드 또는 카메라 흔들림 보정모드를 자동으로 선택하는 자동설정 모드(automatic setting mode)를 가진다. 상기 제어기(30)는 소정 노출값에 있어서의 촬영시에 각각 ISO 감도를 변경시켜 일련의 화상 프레임을 촬영하는 ISO 감도 브라케팅 제어기능을 가진다. 상기 제어기(30)는 자동노출(AE)에 의한 촬영을 위한 자동노출 처리기(42)를 포함한다. 상기 자동노출기능은 셔터 스피드나 ISO 감도 등을 변경할 때, 다른 파라메터로서 조리개값이나 정지값(stop value)을 재조정함으로써 적절한 노출량을 얻게 한다.
상기 조작부(40)는 패널에 배치된 셔터 릴리스 스위치(50), 자동설정 모드 스위치(52) 및 감도 브라케팅 모드 스위치(54)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부(40)는 또한 조리개값, 셔터 스피드 및 ISO 감도를 각각 설정하기 위한 스위치(60,62,64)를 포함한다.
상기 셔터 릴리스 스위치(50)는 촬영 시작을 지시하는 지시신호를 제어기(30)에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자동설정 모드 스위치(52)는 촬영시에 제어기(30)가 자동설정 모드로 되도록 지시하는 조작 스위치이다. 자동설정 모드에서 고감도 촬영 및 카메라 흔들림 보정은 자동으로 활성(ON) 및 비활성(OFF)되도록 제어된다. 상기 감도 브라케팅 모드 스위치(54)는 상기 제어기(30)를 소정 노출값에 있어서 각 촬영마다 ISO 감도가 변하는 다중 프레임 촬영을 행하는 ISO 감도 브라케팅 촬영으로 되도록 지시하는 조작 스위치이다.
상기 드라이버(16)는 렌즈 시스템(12) 및 고체 촬상소자(14)를 구동하기 위 한 구동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드라이버(16)는 셔터 드라이버(70), 조리개 드라이버(72) 및 렌즈 드라이버(74)를 포함한다. 상기 셔터 드라이버(70)는 고체 촬상소자(14)용 전자 셔터 및 도시되지 않은 기계 셔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조리개 드라이버(72)는 렌즈 시스템(12)에 구비되는 도시되지 않은 조리개의 개구량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렌즈 드라이버(74)는 렌즈 시스템(12)의 초점 위치 및 초점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구동신호(18)에 대응하여, 상기 렌즈 시스템(12)은 초점 위치 및 초점 거리를 조절하기 위하여 도시되지 않은 메커니즘에 의하여 제어되는 렌즈위치를 갖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렌즈 드라이버(74)는 제어기(30)의 제어에 의하여 카메라 흔들림 효과를 보정하기 위해 렌즈 시스템(12)의 광학축(13)을 조정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렌즈 시스템(12)을 구동한다. 상기 광학적 카메라 흔들림 보정은 상술한 렌즈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행해지지만, 예를 들면, 고체 촬상소자(14)의 위치를 조정하여 행해질 수도 있다.
고감도 촬영모드 또는 카메라 흔들림 보정모드를 자동으로 선택하는 자동설정 모드를 지시하는 조작부(40)에 의하여 제어기(30)의 기능을 설명한다. 피사체의 밝기(lightness) Bv가 소정의 최소값, 즉 문턱치, min보다 작은 경우에, 제어기(30)는 촬영되는 씬이 매우 어둡다고 판단한다. 이 때, 제어기는 카메라 흔들림 보정을 온시키고 더 나아가 고감도 촬영으로의 전환을 결정하고, 이러한 조건 하에서 제어기(30)는 촬영 제어를 수행한다. 반면, 피사체의 밝기 Bv가 소정의 최대값, 즉 문턱치, max보다 더 큰 경우, 상기 제어기(30)는 촬영되는 씬이 매우 밝다고 판 단한다. 이 때, 제어기는 카메라 흔들림 보정을 오프시키고 더 나아가 저감도 촬영으로의 전환을 결정하고, 이러한 조건 하에서 촬영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기(30)는, 촬영되어 표시회로(38)의 도시되지 않은 표시화면에 표시되는 스루 화상(through-image)에 기초한 피사체의 움직임을 검출하고, 상기 피사체 움직임의 정도를 표시하는 평가치 k1을 계산하는 기능을 가진다. 나아가, 제어기(30)는 상기 평가치 k1에 평가치 k2를 더하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 평가치 k2는, 자동 초점조절 기능 중, 연속적인 초점 위치 조절을 행하는 연속자동초점(continuous AF) 기능이 온 되어 실행되는 경우, 평가치 k1에 가중치를 부여하기 위해 양의 값을 가진다.
게다가, 상기 제어기(30)는 렌즈 시스템(12)의 줌 배율에 비례하는 평가치 h1 및 초점 위치까지의 거리에 비례하는 평가치 h2를 계산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상기 제어기(30)는 평가치 k1과 k2의 합을 평가치 h1과 h2의 곱으로 나누어 그 결과를 K로 하는 기능을 가진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제어기(30)는 K=(k1+k2)/(h1×h2)를 계산한다. 이 경우에, 분모(h1×h2)는 카메라 흔들림 보정에 의존해야 할 평가치이고 분자(k1+k2)는 고감도 촬영에 의존해야 할 평가치이다.
상기 제어기(30)는 상술한 방법으로 구한 K와 문턱치와의 대소를 비교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만약 K가 문턱치보다 작으면 상기 제어기(30)는 카메라 흔들림 보정을 온 시키고 저감도 촬영으로 전환한다. 그리고 이러한 조건 하에서 촬영제어를 수행한다. 반대로 K가 문턱치보다 작지 않으면, 상기 제어기(30)는 카메라 흔들림 보정을 오프시키고 고감도 촬영으로 전환하며 이러한 조건에서 촬영제어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ISO 감도를 변경하여 일련의 화상 프레임의 촬영을 행하는 ISO 감도 브라케팅 제어기능이 조작부(40)에 지시된 경우의 제어기(30)의 기능을 설명한다. 제어기(30)는, 촬영에 앞서 결정된 노출치 x가 소정의 최소치 min이하인 경우에는, 카메라 흔들림 보정을 온시키고, 고감도 촬영으로 전환하며, 이러한 조건에서 조리개값 또는 정지값(stop value), 셔터 스피드 및 ISO 감도를 결정하여 촬영제어를 행한다. 반대로, 촬영에 앞서 결정된 노출치 x가 소정의 최대치 max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기(30)는 카메라 흔들림 보정을 오프시키고, 저감도 촬영으로 전환하며, 이러한 조건에서 조리개값 또는 정지값, 셔터 스피드 및 ISO 감도를 결정하여 촬영제어를 행한다.
ISO 감도 브라케팅 제어기능이 설정된 제어기(30)는, 촬영에 앞서 결정된 노출치 x가 소정의 최소치 min보다 크고 최대치 max보다 작으면, 즉, 노출치 x가 최소치 min을 초과하고 최대치 max이하인 경우, 조리개값, 셔터 스피드값 및 ISO 감도값의 조합을 복수설정하고, 설정된 복수의 촬영조건으로 일련의 화상 프레임의 고속촬영을 수행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상의 구성을 가지는 디지털 촬상장치(10)의 동작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2를 참조하면, 조작부(40)에 배치된 자동설정 모드 스위치(52)는 제어기(30)를 위한 자동설정 모드가 설정된다. S200 단계에서, 제어기(30)는 피사체의 밝기 Bv가 소정의 최소치 min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밝기 Bv가 최소치 min을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기(30)는 S202 단계로 진 행한다. S202 단계에서, 촬영하려는 씬(scene)이 매우 어두운지 판단된다. 상기 제어기(30)는 그에 따라 카메라 흔들림 보정을 온 시키고, 고감도 촬영으로 전환하여, 이러한 조건하에서 촬영제어를 행한다.
S200 단계에서, 피사체의 밝기 Bv가 최소치 min보다 크면, 제어기(30)는 S204 단계를 진행하여 밝기 Bv가 소정의 최대치 max보다 작은지 판단한다. 만약 밝기 Bv가 최대치 max보다 작지 않으면, 제어기(30)는 S206 단계를 진행한다. S206 단계에서는, 촬영하려고 하는 씬이 매우 밝은지가 판단된다. 상기 제어기(30)는 그에 따라 카메라 흔들림 보정을 오프 시키고 저감도 촬영으로 전환하여 이러한 조건에서 촬영제어를 행한다.
S204 단계에서, 만약 피사체의 밝기 Bv가 최대치 max보다 작으면, 제어기(30)는 S208 단계를 진행한다. S208 단계에서, 제어기(30)는 스루-화상(through-image)으로부터 촬영할 피사체의 움직임 또는 불안정함을 검출하여 상기 움직임의 정도를 표시하는 평가치 k1을 계산한다. 이때, 평가치 k1이 클수록 피사체의 움직임이 크다.
다음으로, 제어기(30)는 S210 단계를 진행한다. 연속 자동초점(continuous AF)이 온 되고 실행되는 경우에, 제어기(30)는 평가치 k1에 k2를 가산하여 평가치 k1에 가중치를 부여한다.
다음, 제어기(30)는 S212 단계를 진행한다. S212 단계에서, 제어기(30)는 렌즈 시스템(12)의 줌 배율에 비례하는 평가치 h1 및 초점 위치까지의 거리에 비례하는 평가치 h2를 계산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제어기(30)는 평가치 k1과 k2의 합을 평가치 h1과 h2의 곱으로 나눈다. 즉, 상기 제어기(30)는 K값을 다음과 같이 구한다. K=(k1+k2)/(h1×h2).
그런 다음, 제어기(30)가 S214 단계를 진행할 때, 제어기(30)는 상술한 방법으로 계산된 K값을 문턱치와 비교하여 K값과 문턱치와의 대소를 판단한다. K값이 문턱치보다 작은 경우, 제어기(30)는 S216 단계를 진행하여 카메라 흔들림 보정을 온 시키고 저감도 촬영으로 전환한다. 제어기(30)는 이러한 조건에서 촬영제어를 수행한다. 반대로, K값이 문턱치보다 작지 않으면 제어기(30)는 S218 단계를 진행하여 카메라 흔들림 보정을 오프 시키고 고감도 촬영으로 전환하며, 제어기(30)는 이러한 조건에서 촬영제어를 수행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어느 정도 밝은 촬영씬에 있어서, 카메라 흔들림 보정에 의할 것인지 또는 고감도 촬영에 의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경우에 그 비중(중요도)에 따라 카메라 흔들림 보정 또는 고감도 촬영이 선택될 수 있다. 어느 경우에 어떤 수단(고감도 촬영 또는 카메라 흔들림 보정)에 의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된다. 촬영씬이 매우 밝은 경우에는 두 가지 수단 모두 필요가 없다. 카메라 흔들림 보정에 의존해야 하는 촬영장면은 어느 정도의 밝기에서 줌 배율이 크거나 초점 위치가 먼 경우, 또는 스루-화상에서 빠르게 움직이는 피사체가 아닌 경우이다.
또한, 고감도 촬영에 의존해야할 촬영장면은, 어느 정도의 밝기(또는 중간정도의 밝기)에서 줌 배율이 작고 초점 위치가 가까운 경우, 스루-화상에서 빠르게 움직이는 피사체가 존재하는 경우, 또는 연속 자동초점(continuous AF) 모드가 온 으로 설정되고 촬영자가 움직이는 피사체를 추적하고 있다고 생각되는 경우 등이다. 촬영씬이 매우 어두운 경우에는 양 수단(고감도 촬영과 카메라 흔들림 보정)에 모두 의존해야 한다.
이상의 각 촬영씬에 의한 카메라 흔들림 보정처리 및 고감도 촬영처리 중 어느 것을 수행할 지에 대한 상대적인 중요도를 변화시키는 데 고려해야 할 요소(파라메터)는 스루-화상에서 검출된 움직임, 줌 배율, 초점 위치, 연속 AF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요소를 총합적으로 판단하여 카메라 흔들림 보정 및 고감도 촬영처리의 온/오프를 자동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상기 요소 중 하나 이상에 적절한 가중치를 부여한다.
피사체 흔들림으로 인한 화상 번짐(blur)은 카메라 흔들림에 의한 것과는 다르게, 사용자에 따라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사체 번짐은 움직이는 물체를 촬영할 경우에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사체 번짐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그러한 씬이 고감도 촬영에 의존하는 씬으로 고정적으로 결정되면 결과는 바람직하지 않을 것이다. 반대로, 촬영자가 카메라 흔들림에 의한 효과를 가능한 한 작게하려고 하는(카메라 흔들림 보정 및 고감도 촬영을 모두 사용하여) 촬영씬에서도 카메라 흔들림 보정에만 의존해야하는 촬영씬이라고 판단되어 버리면 그 결과도 바람직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시스템은, S218 단계 및 S216 단계에서 주어지는 결정에 기초하여 피사체를 촬영하는 것이 아니라, 촬영자로 하여금 최적의 피사체 번짐으로 촬영된 사진을 선택하게 하는 ISO 감도 브라케팅에 의하여 피사체를 촬영하도록 적용될 수 있다.
ISO 감도 브라케팅 제어기능이 조작부(40)의 감도 브라케팅 스위치(54)에서 지시된 경우에 디지털 촬상장치(10)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기(30)는, S300 단계에서, 촬영 전에 미리 결정된 노출치 x가 소정의 최소치 min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 노출치 x가 최소치 min이하인 경우에는 S302로 진행해서 카메라 흔들림 보정 및 고감도 촬영을 온 시키고, 이러한 조건에서 적절한 조리개 값, 셔터 스피드 및 ISO 감도를 결정한다. 반대로, 노출치 x가 최소치 min보다 큰 경우에, 제어기(30)는 S300 단계에서 S304 단계로 진행한다.
S304 단계에서, 제어기(30)는 촬영 전에 미리 결정된 노출치 x가 소정의 최대치 max보다 작은지 여부를 결정한다. 만약 노출치 x가 최대치 max보다 작지 않으면, 제어기(30)은 S306 단계로 진행하여 카메라 흔들림 보정을 오프시키고 저감도 촬영으로 전환하며, 이러한 조건에서 적절한 조리개 값, 셔터 스피드 및 ISO 감도를 결정한다. S302 단계와 S306 단계 이후의 S308 단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결정된 조리개 값, 셔터 스피드 및 ISO 감도를 사용하여 실제촬상(actual image shooting)의 처리가 릴리스 스위치(50)의 조작에 대응하여 수행된다.
S304 단계에서, 노출치 x가 최대치 max보다 작으면, 즉, 노출치 x가 최소치보다 크고 최대치보다 작으면, 제어기(30)는 S310, S312, S314 단계에서 조리개 값, 셔터 스피드 및 ISO 감도의 조합을 복수설정하고, 설정된 복수의 촬영조건에서 일련의 화상 프레임을 고속으로 촬영한다.
도 4,도 5 및 도 6은 브라케팅 촬영시 사용되는 촬영조건을 보여준다. 특히, 도 4는 비교적 밝은 촬영씬에 대하여 카메라 흔들림 보정, ISO 감도 및 셔터 스피 드의 몇가지 조합을 보여준다. 이 경우에, 카메라 흔들림 보정은 모든 세 가지 조합에 대하여 오프된다. ISO 감도는, 예를 들어, 400, 800 및 1600으로 설정되고, 그에 따라 셔터 스피드는 각각 1/30초, 1/60초 및 1/120초로 조정된다.
비교적 어두운 촬영씬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흔들림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으므로, 카메라 흔들림 보정이 모든 세 가지 경우에 온 된다. ISO 감도는, 예를 들어, 400, 800 및 1600으로 설정되고, 그에 따라 셔터 스피드는 각각 1/7.5초, 1/15초 및 1/30초로 조정된다.
상기 두 경우의 사이에 있는 밝기의 촬영씬에서는 ISO 감도는, 예를 들어,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400, 800 및 1600으로 설정되고, 그에 따라 셔터 스피드는 각각 1/15초, 1/30초 및 1/60초로 조정된다. 더 긴 1/15초의 셔터 스피드로 촬영되는 경우에는 카메라 흔들림 보정이 온 되고 이보다 더 큰 셔터 스피드로 촬영되는 경우에는 카메라 흔들림 보정이 오프된다.
명세서, 첨부된 도면, 요약서를 포함하며 2006년 3월 10일 출원된 일본출원 제2006-65289호는 여기에 병합된다.
본 발명은 특별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되었지만,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당업자가 변형시키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카메라 흔들림 보정기능과 촬영시의 감도를 전환하는 감도전환기능을 가진 디지털 촬상장치는, 카메라 흔들림을 보정하는 보정수단의 보정 상태로서 카메라 흔들림 보정의 유무와, 정지화상의 경우의 촬영감도의 고저를 자동적으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결과, 상황에 대응하여 적절히 카메라 흔들림 보정기능이 선택되고, 또한, 상황에 대응하여 적절한 촬영감도가 선택된다.

Claims (9)

  1. 카메라 흔들림 보정기능 및 촬영시에 감도를 전환하는 감도 전환기능을 가진 디지털 촬상장치에 있어서,
    피사계를 정지화상으로 촬영하여 상기 피사계를 나타내는 화상신호를 생성하는 화상센서를 포함하는 촬상 유닛;
    상기 촬상 유닛에 의하여 생성된 화상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기; 및
    상기 피사계를 촬영하기 위한 상기 촬상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촬상 유닛은 상기 피사계의 화상에 대한 카메라 흔들림의 효과를 보정하는 보정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촬상 유닛의 촬상 렌즈의 초점 위치(in-focus position)에 대응하여 상기 보정기의 보정의 온/오프와 촬영시의 감도설정을 제어하고, 상기 화상 센서의 광학적 감도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상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피사계의 밝기에 대응하여 상기 보정기의 보정상태와 정지화상의 촬영시에 광학적 감도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상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촬상 유닛으로부터 생성되고 스루 화상(through-image)으로서 표시되는 화상 신호에서 피사체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움직임 검출기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된 움직임에 대응하여 촬영시 감도 설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상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촬상 유닛의 촬상 렌즈의 줌 배율(zooming multiplication)에 대응하여 상기 보정기의 보정의 온/오프와 촬영시의 감도설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상장치.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피사계에 대하여 연속적으로 자동 초점 조절을 행하는 연속 자동 초점 조절기능을 갖고, 연속 자동 초점 조절기능의 온/오프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보정기의 보정의 온/오프와 촬영시의 감도 설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상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촬상 유닛의 렌즈의 초점 위치(in-focus position)에 대응하여 카메라 흔들림 보정에 따른 제1평가치와 고감도 촬영에 따른 제2평가치를 계산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1 및 제2 평가치에 대응하여 상기 보정기에 의한 보정 및 고감도 촬영 중 어느 것에 의존하는 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의 결과에 의하여 촬영제어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상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피사계의 밝기에 따라 결정되는 노출치에 대응하여 조리개 값(iris value), 셔터 스피드 및 촬영감도의 조합을 복수로 설정하여 상기 설정된 복수의 조합조건에서 일련의 화상 프레임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상장치.
KR1020070021090A 2006-03-10 2007-03-02 카메라 흔들림 보정과 감도 전환기능을 가진 디지털촬상장치 KR1009061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65289A JP4594257B2 (ja) 2006-03-10 2006-03-10 ディジタル撮像装置
JPJP-P-2006-00065289 2006-03-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2620A KR20070092620A (ko) 2007-09-13
KR100906166B1 true KR100906166B1 (ko) 2009-07-03

Family

ID=38479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1090A KR100906166B1 (ko) 2006-03-10 2007-03-02 카메라 흔들림 보정과 감도 전환기능을 가진 디지털촬상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787757B2 (ko)
JP (1) JP4594257B2 (ko)
KR (1) KR100906166B1 (ko)
CN (1) CN101035205B (ko)
TW (1) TWI36034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54443A1 (en) * 2013-10-11 2015-04-16 Facebook, Inc. Applying video stabilization to a multimedia clip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81325B2 (ja) * 2006-02-13 2012-07-18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システム
JP5224804B2 (ja) * 2007-12-27 2013-07-03 三星電子株式会社 撮像装置
CN101577791B (zh) * 2008-05-07 2011-01-12 华晶科技股份有限公司 修正手震模糊的数码图像处理方法
US8345150B2 (en) * 2009-07-27 2013-01-01 Panasonic Corporation Imaging apparatus
KR101594297B1 (ko) * 2009-08-24 2016-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오토 포커싱을 이용한 흔들린 영상 판단 방법 및 장치
JP5536010B2 (ja) * 2011-11-02 2014-07-0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カメラ、撮像制御プログラム及び撮像制御方法
WO2013108076A1 (en) * 2012-01-17 2013-07-25 Nokia Corporation Power management for optical image stabilizers
JP6083972B2 (ja) 2012-07-28 2017-02-22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6438671B2 (ja) * 2014-04-10 2018-12-1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焦点調節装置、カメラシステム、および撮像装置の焦点調節方法
CN104469159A (zh) * 2014-12-15 2015-03-25 乐视致新电子科技(天津)有限公司 一种拍照参数调整方法和装置
CN105812676A (zh) * 2016-04-28 2016-07-27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拍照方法及系统
CN106303243A (zh) * 2016-08-19 2017-01-04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一种拍照方法、装置及终端
JP6559366B2 (ja) 2016-10-13 2019-08-1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ブレ補正装置、撮像装置、及びブレ補正方法
CN107343121B (zh) * 2017-06-30 2019-01-2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图像数据的处理方法和移动终端
JP2019070706A (ja) * 2017-10-06 2019-05-09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CN108683857A (zh) * 2018-08-16 2018-10-1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拍照优化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设备
CN109194882B (zh) 2018-08-22 2020-07-3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图像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2204956B (zh) * 2019-10-10 2023-01-10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拍摄装置及其控制方法、可移动平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3711A (ko) * 1997-12-24 1999-07-15 유무성 고감도 전자 카메라
JP2001157110A (ja) * 1999-11-30 2001-06-08 Olympus Optical Co Ltd 電子カメラ装置
JP2004361486A (ja) * 2003-06-02 2004-12-24 Nikon Corp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JP2006042320A (ja) 2004-06-24 2006-02-09 Pentax Corp デジタルカメラ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8442A (en) * 1989-12-21 1993-06-08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Camera with camera-shake detection apparatus
US5710954A (en) * 1994-02-17 1998-01-20 Olympus Optical Co., Ltd. Camera system having function for photographing image linked to electronic image
JPH114380A (ja) 1997-06-12 1999-01-06 Nikon Corp 電子スチルカメラ
JP2001194701A (ja) * 2000-01-13 2001-07-19 Ricoh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US7176962B2 (en) * 2001-03-01 2007-02-13 Nikon Corporation Digital camera and digital processing system for correcting motion blur using spatial frequency
US20040080627A1 (en) 2002-07-11 2004-04-29 Kroll James Clarence Video recording camera system
JP4272863B2 (ja) 2002-09-20 2009-06-03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およびカメラシステム
JP2004200739A (ja) 2002-12-16 2004-07-15 Sanyo Electric Co Ltd 画像処理装置
JP4076148B2 (ja) 2003-03-20 2008-04-16 株式会社リコー デジタルカメラ
JP4766320B2 (ja) * 2006-02-06 2011-09-0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3711A (ko) * 1997-12-24 1999-07-15 유무성 고감도 전자 카메라
JP2001157110A (ja) * 1999-11-30 2001-06-08 Olympus Optical Co Ltd 電子カメラ装置
JP2004361486A (ja) * 2003-06-02 2004-12-24 Nikon Corp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JP2006042320A (ja) 2004-06-24 2006-02-09 Pentax Corp デジタルカメ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54443A1 (en) * 2013-10-11 2015-04-16 Facebook, Inc. Applying video stabilization to a multimedia cli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60349B (en) 2012-03-11
CN101035205B (zh) 2012-05-23
TW200810533A (en) 2008-02-16
JP2007243759A (ja) 2007-09-20
KR20070092620A (ko) 2007-09-13
CN101035205A (zh) 2007-09-12
US20070212043A1 (en) 2007-09-13
US7787757B2 (en) 2010-08-31
JP4594257B2 (ja) 201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6166B1 (ko) 카메라 흔들림 보정과 감도 전환기능을 가진 디지털촬상장치
US8786762B2 (en) Imaging device and automatic focus adjustment method
JP4528235B2 (ja) デジタルカメラ
TWI423664B (zh) 影像裝置與曝光控制方法
JP4542058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US20170187960A1 (en) Imaging apparatus
US20090167928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photographing apparatus
JP2007027967A (ja) 撮影装置
JP2006310969A (ja) 撮像装置
US7864239B2 (en) Lens barrel and imaging apparatus
JP2009008961A (ja) 撮影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5210215A (ja) 撮像装置および動画のノイズ処理方法
JP2021004934A (ja) 焦点調節装置および焦点調節方法
JP2009017427A (ja) 撮像装置
JP2004328606A (ja) 撮像装置
JP5219474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6294607B2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4869801B2 (ja) 撮影装置
US20110063474A1 (en) White balance adjustment system for solid-state electronic image sens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same
JP2006261928A (ja) 撮像装置及びデジタルカメラ
JP2005210216A (ja) 撮像装置および動画のノイズ処理方法
JP6990988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素子の制御方法
JP2010271507A (ja) 撮像装置、露出調整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7060577A (ja) 撮像装置
JP6727975B2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