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1395B1 - 테스트 핸들러의 버퍼 트레이 피치를 조절하는 방법 및장치 - Google Patents

테스트 핸들러의 버퍼 트레이 피치를 조절하는 방법 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1395B1
KR100901395B1 KR1020070084341A KR20070084341A KR100901395B1 KR 100901395 B1 KR100901395 B1 KR 100901395B1 KR 1020070084341 A KR1020070084341 A KR 1020070084341A KR 20070084341 A KR20070084341 A KR 20070084341A KR 100901395 B1 KR100901395 B1 KR 100901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uffer
tray
pitch
tra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4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9990A (ko
Inventor
이진환
Original Assignee
세크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크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크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4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1395B1/ko
Priority to JP2007248685A priority patent/JP2009049347A/ja
Priority to US11/869,161 priority patent/US20090050448A1/en
Priority to TW096138250A priority patent/TW200910499A/zh
Priority to CNA200710181331XA priority patent/CN101373727A/zh
Publication of KR20090019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9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1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1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33Trays for chi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6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93Handling, conveying or loading, e.g. belts, boats, vacuum fing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Abstract

반도체 장치들을 수납하기 위한 여러 쌍의 단위 버퍼 트레이들을 포함하는 버퍼 트레이의 피치 조절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위 버퍼 트레이의 쌍들 사이의 제1 피치는 제1 구동부에 의해 조절되며, 상기 단위 버퍼 트레이의 쌍들 내에서 제1 단위 버퍼 트레이들과 제2 단위 버퍼 트레이들 사이의 제2 피치는 제2 구동부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장치들은 테스트 핸들러의 테스트 트레이와 커스터머 트레이 사이에서 상기 피치가 조절된 버퍼 트레이를 경유하여 이송된다. 따라서, 상기 반도체 장치들을 이송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Description

테스트 핸들러의 버퍼 트레이 피치를 조절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pitch of buffer tray in test handler}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들을 테스트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반도체 장치들을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핸들러에서 반도체 장치들을 수납하는 버퍼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휘발성 또는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들, 시스템 LSI (Large-Scale integration) 회로 소자들과 같은 반도체 장치들은 다양한 테스트 과정들을 통해 동작 특성들이 검사된 후 출하된다.
테스트 핸들러는 상기 반도체 장치들을 검사하기 위하여 상기 반도체 장치들을 테스트 챔버로 이송한다. 특히, 상기 반도체 장치들은 커스터머 트레이로부터 버퍼 트레이를 경유하여 테스트 트레이로 이송되며, 상기 테스트 챔버에서 검사된 반도체 장치들은 테스트 트레이로부터 버퍼 트레이를 경유하여 커스터머 트레이로 이송된다.
테스트 핸들러는 상기 트레이들 사이에서 반도체 장치들을 이송하기 위한 피커 시스템(picker system)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피커 시스템에 대한 일 예들은 미합중국 특허 제6761526호, 제7000648호, 제7023197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최근, 반도체 장치들을 이송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하여 상기 피커 시스템은 다수의 피커들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상기 피커 시스템은 상기 피커들 사이의 피치를 커스터머 트레이와 테스트 트레이의 피치들과 동일하게 조절하기 위하여 피치 조절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피커들의 수량이 증가될수록 피치 조절 장치의 중량이 증가되므로 반도체 장치들의 이송 속도를 증가시키는데는 한계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반도체 장치들의 테스트를 위한 테스트 핸들러에서 반도체 장치들의 이송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버퍼 트레이의 피치 조절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버퍼 트레이의 피치 조절 방법을 수행하는데 적합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반도체 장치들을 테스트 트레이와 커스터머 트레이 사이에서 이송하는 도중에 상기 반도체 장치들을 임시 수납하기 위하여 각각 제1 단위 버퍼 트레이와 제2 단위 버퍼 트레이를 포함하는 다수의 단위 버퍼 트레이 쌍들로 이루어진 버퍼 트레이의 피치 조절 방법에 있어서, 출력 기어의 회전에 의해 직선 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출력 기어와 결합되며 상기 단위 버퍼 트레이 쌍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랙 기어를 이용하여 상기 단위 버퍼 트레이 쌍들 사이의 제1 피치를 조절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단위 버퍼 트레이들에 연결된 제1 링크들과 상기 제2 단위 버퍼 트레이들과 상기 제1 링크들 사이를 연결하는 제2 링크들을 구동하여 상기 제1 단위 버퍼 트레이들과 제2 단위 버퍼 트레이들 사이에서 상대적인 운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단위 버퍼 트레이 쌍들 내에서 상기 제1 단위 버퍼 트레이들과 제2 단위 버퍼 트레이들 사이의 제2 피치를 조절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피치는 상기 버퍼 트레이의 중앙 지점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되는 단위 버퍼 트레이의 쌍들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피치는 상기 버퍼 트레이의 중앙 지점에 인접하는 단위 버퍼 트레이의 쌍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되는 단위 버퍼 트레이의 쌍들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피치는 최외측 단위 버퍼 트레이의 쌍을 기준으로 나머지 단위 버퍼 트레이의 쌍들을 이동시킴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 피치는 상기 제1 단위 버퍼 트레이들에 대하여 상기 제2 단위 버퍼 트레이들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반도체 장치들을 테스트 트레이와 커스터머 트레이 사이에서 이송하는 도중에 상기 반도체 장치들을 임시 수납하기 위하여 각각 제1 단위 버퍼 트레이와 제2 단위 버퍼 트레이를 포함하는 다수의 단위 버퍼 트레이 쌍들로 이루어진 버퍼 트레이의 피치 조절 장치,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유닛, 상기 모터 유닛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출력 기어를 포함하는 기어박스 및 상기 출력 기어에 결합되어 상기 출력 기어의 회전에 의해 직선 운동 가능하며 상기 단위 버퍼 트레이 쌍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랙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랙 기어의 직선 운동을 이용하여 상기 단위 버퍼 트레이 쌍들 사이의 제1 피치를 조절하는 제1 구동부와, 상기 제1 단위 버퍼 트레이들에 연결된 제1 링크들과, 상기 제2 단위 버퍼 트레이들과 상기 제1 링크들 사이를 연결하는 제2 링크들과, 상기 제1 링크들 또는 제2 링크들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링크들 또는 제2 링크들에 구동력을 가하여 상기 제1 단위 버퍼 트레이들 및 상기 제2 단위 버퍼 트레이들 사이에서 상대적인 운동을 발생시키며, 상기 상대적인 운동을 이용하여 상기 단위 버퍼 트레이 쌍들 내에서 상기 제1 단위 버퍼 트레이들과 제2 단위 버퍼 트레이들 사이의 제2 피치를 조절하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구동부는 다수의 랙 기어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랙 기어들은 상기 버퍼 트레이의 중앙 지점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되는 단위 버퍼 트레이의 쌍들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력 기어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기어 박스는, 상기 모터 유닛의 구동축에 연결된 구동 기어와, 상기 구동축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 기어보다 작은 피치원 을 갖고, 서로 마주하는 제1 랙 기어 및 제2 랙 기어와 결합된 제1 피니언 기어와, 상기 구동 기어와 결합되어 상기 구동 기어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구동 기어보다 작은 피치원을 갖고, 서로 마주하는 제3 랙 기어 및 제4 랙 기어와 결합된 제2 피니언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피치 조절 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구동부와 제2 구동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랙 기어들 및 상기 기어 박스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면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모터 유닛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면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모터 유닛과 상기 기어 박스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랙 기어들과 상기 여러 쌍의 단위 버퍼 트레이의 쌍들은 상기 버퍼 트레이의 피치 방향에 대하여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서포트들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구동부는 다수의 랙 기어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랙 기어들은 상기 버퍼 트레이의 중앙 부위에 대응하는 단위 버퍼 트레이의 쌍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되는 단위 버퍼 트레이의 쌍들과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양측에 배치되는 단위 버퍼 트레이의 쌍들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력 기어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구동부는 다수의 랙 기어들과 다수의 출력 기어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랙 기어들은 최외측 단위 버퍼 트레이의 쌍을 제외한 나머지 단위 버퍼 트레이의 쌍들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나머지 단위 버퍼 트레이의 쌍들을 상기 버퍼 트레이의 피치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출력 기어들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버퍼 트레이는 두 쌍의 단위 버퍼 트레이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구동부는 하나의 랙 기어와 하나의 출력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랙 기어는 상기 제1 피치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두 쌍의 단위 버퍼 트레이들 중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제1 단위 버퍼 트레이들 또는 제2 단위 버퍼 트레이들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및 제2 단위 버퍼 트레이들은 상기 버퍼 트레이의 피치 방향에 대하여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서포트들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링크들과 연결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피치 조절 장치는 상기 제1 단위 버퍼 트레이들 및 상기 제2 단위 버퍼 트레이들을 상기 버퍼 트레이의 피치 방향으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피치 조절 장치는 상기 버퍼 트레이의 피치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제2 구동부에 의해 상기 버퍼 트레이의 피치 방향에 대하여 수직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구동부 및 상기 제1 링크들 또는 제2 링크들 사이의 연결 부위들을 상기 버퍼 트레이의 피치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치 조절 장치는 상기 가이드 부재의 양측 단부들과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 부재를 상기 버퍼 트레이의 피치 방향에 대하여 수직하는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제2 가이드 부재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각각의 제1 및 제2 단위 버퍼 트레이들은 상기 버퍼 트레이의 피치 방향에 대하여 수직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반도체 장치들을 수납하기 위한 다수의 소켓들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단위 버퍼 트레이들은 상기 버퍼 트레이의 피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반도체 장치들을 테스트 트레이와 커스터머 트레이 사이에서 이송하는 도중에 상기 반도체 장치들을 임시 수납하기 위하여 다수의 단위 버퍼 트레이들로 이루어진 버퍼 트레이의 피치 조절 장치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유닛과, 상기 모터 유닛과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의 출력 기어를 포함하는 기어박스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력 기어의 회전에 의해 직선 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력 기어에 결합되며 상기 단위 버퍼 트레이들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어 상기 직선 운동을 이용하여 상기 단위 버퍼 트레이들 사이의 피치를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랙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각각의 단위 버퍼 트레이들은 상기 버퍼 트레이의 피치 방향에 대하여 수직하는 방향으로 다수의 열을 갖도록 배치되어 상기 반도체 장치들을 수납하기 위한 다수의 소켓들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단위 버퍼 트레이들은 상기 버퍼 트레이의 피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버퍼 트레이는 짝수개의 단위 버퍼 트레이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수의 랙 기어들이 상기 버퍼 트레이의 중앙 지점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되는 단위 버퍼 트레이들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력 기어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버퍼 트레이는 홀수개의 단위 버퍼 트레이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수의 랙 기어들이 중앙의 단위 버퍼 트레이를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되는 단위 버퍼 트레이들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랙 기어들은 상기 양측에 배치되는 단위 버퍼 트레이들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력 기어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랙 기어는 최외측 단위 버퍼 트레이를 제외한 나머지 단위 버퍼 트레이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나머지 단위 버퍼 트레이가 상기 버퍼 트레이의 피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 나의 출력 기어에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버퍼 트레이의 피치는 피니언 기어와 랙 기어를 포함하는 제1 구동부 및 링크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제2 구동부에 의해 테스트 트레이 또는 커스터머 트레이의 피치와 동일하게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반도체 장치들을 이송하는 동안 피커 시스템의 피치를 조절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반도체 장치들의 이송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피커들의 피치를 조절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불필요하므로, 상기 피커 시스템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테스트 핸들러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보다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과 특징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된다. 도면들에 있어서, 각 장치 또는 구성 요소 및 영역들의 두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되게 도시되었으며, 또한 각 장치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지 아니한 다양한 부가 요소들을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으며, 특정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장치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상기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장치 상에 직접 배치되거나 그들 사이에 추가적인 요소가 개재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버퍼 트레이의 피치 조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버퍼 트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버퍼 트레이의 피치 조절 장치(100)는 반도체 장치들을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핸들러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피치 조절 장치(100)는 상기 버퍼 트레이(10)의 피치를 테스트 트레이(미도시) 또는 커스터머 트레이(미도시)의 피치와 동일하게 조절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버퍼 트레이(10)는 여러 쌍의 단위 버퍼 트레이들(12)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단위 버퍼 트레이의 쌍들(12)은 제1 단위 버퍼 트레이(12a)와 제2 단위 버퍼 트레이(12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버퍼 트레이(10)는 네 개의 단위 버퍼 트레이의 쌍들(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단위 버퍼 트레이들(12a, 12b) 각각은 일렬로 배치되며 반도체 장치들을 수납하기 위한 다수의 소켓들(14)을 가질 수 있으며, 서로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및 제2 단위 버퍼 트레이들(12a, 12b) 각각은 8개의 소켓들(14)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1 및 제2 단위 버퍼 트레이들(12a, 12b)의 소켓(14) 수량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여러 쌍의 단위 버퍼 트레이들(12)은 상기 제1 및 제2 단위 버퍼 트레이들(12a, 12b)의 연장 방향, 즉 열 방향(Y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하는 행 방향(X축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단위 버퍼 트레이들(12a, 12b)은 제1 서포트들(102a) 및 제2 서포트들(102b) 상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서포트들(102a, 102b)은 상기 제1 및 제2 단위 버퍼 트레이들(12a, 12b)의 바로 밑에서 상기 열 방향으로 각각 연장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포트들(102a)의 단부들에는 제1 링크들(104a)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서포트들(102b)의 단부들에는 제2 링크들(104b)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2 링크들(104b)은 상기 제1 링크들(104a)에 연결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링크들(104b)은 상기 제1 링크들(104a)의 중앙 부위들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는 다르게, 상기 제1 링크들(104a)의 단부들과 상기 제2 링크들(104b)의 단부들이 서로 연결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제1 링크들(104a)의 단부들이 상기 제2 링크들(104b)의 중앙 부위들에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피치 조절 장치(100)는 상기 버퍼 트레이(10)의 행 방향으로 피치를 조절하기 위한 제1 구동부(110) 및 제2 구동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피치 조절 장치(100)는 상기 단위 버퍼 트레이의 쌍들(12) 사이의 제1 피치(p1)를 조절하기 위한 제1 구동부(110)와 상기 단위 버퍼 트레이의 쌍들(12) 내에서 제1 및 제2 단위 버퍼 트레이들(12a, 12b) 사이의 제2 피치(p2)를 조절하기 위한 제2 구동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구동부들(110, 140)은 베이스 플레이트(106)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 구동부의 기어박스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1 구동부의 기어박스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1 구동부의 제1 모터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구동부(11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6)의 상부면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 기어를 포함하는 기어박스(112)와, 상기 출력 기어에 결합되는 다수의 랙 기어들(120), 및 상기 기어박스(112)와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 모터 유닛(12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6)의 상부면 상에는 4개의 랙 기어들(120)이 배치되며, 상기 4개의 랙 기어들(120)은 두 개의 피니언 기어들(114)에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제1 피니언 기어(114a)는 상기 제1 모터 유닛(122)의 구동축(124)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피니언 기어(114a)에는 제1 랙 기어(120a)와 제2 랙 기어(120b)가 서로 마주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또한, 제2 피니언 기어(114b)는 상기 제1 모터 유닛(122)의 구동축(124)에 연결된 구동 기어(116)와 결합되며, 상기 제2 피니언 기어(114b)에는 제3 랙 기어(120c)와 제4 랙 기어(120d)가 서로 마주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버퍼 트레이의 피치 조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들이다.
도 6 및 도 7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랙 기어(120a) 및 제2 랙 기어(120b)는 내측의 단위 버퍼 트레이들의 쌍들(12)과 제1 및 제2 서포트들(102a, 102b)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3 랙 기어(120c) 및 제4 랙 기어(120d)는 제1 및 제2 서 포트들(102a, 102b)을 통해 외측의 단위 버퍼 트레이들의 쌍들(12)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위 버퍼 트레이의 쌍들(12)은 상기 제1 및 제2 피니언 기어들(114a, 114b)의 회전에 의해 상기 버퍼 트레이(10)의 중앙 지점을 기준으로 양측 방향으로 각각 이동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랙 기어들(120a, 120b, 120c, 120d)은 상기 단위 버퍼 트레이들의 쌍들(12) 내에서 제1 서포트들(102a)을 통해 제1 단위 버퍼 트레이들(12a)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랙 기어들(120a, 120b, 120c, 120d)은 제2 서포트들(102b)을 통해 제2 단위 버퍼 트레이들(12b)에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랙 기어들(120a, 120b, 120c, 120d)을 상기 버퍼 트레이(10)의 행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다수의 가이드 부재들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6)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피니언 기어(114a)의 회전 속도와 제2 피니언 기어(114b)의 회전 속도 사이의 비는 상기 제1 단위 버퍼 트레이들(12a) 사이의 간격들이 서로 동일해질 수 있도록 1 : 3 정도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단위 버퍼 트레이의 쌍들(12) 사이의 제1 피치(p1)가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피니언 기어들(114a, 114b)은 상기 구동 기어(116)보다 작은 피치원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상기 구동 기어(116)의 직경은 상기 제2 피니언 기어(114b)의 직경의 3 배 정도로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피니언 기어들(114a, 114b)은 서로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피니언 기어들(114a, 114b)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단위 버퍼 트레이들(12a) 사이의 제1 피치(p1)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단위 버퍼 트레이들(12a)은 상기 제1 및 제2 링크들(104a, 104b)을 통해 상기 제2 단위 버퍼 트레이들(12b)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피치(p1)를 조절하는 동안 상기 제1 단위 버퍼 트레이들(12a)과 상기 제2 단위 버퍼 트레이들(12b) 사이의 제2 피치(p2)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의하면, 상기 기어박스(112)가 두 개의 피니언 기어들(114a, 114b)를 포함하고 있으나, 상기 기어박스(112)는 서로 다른 회전속도들을 갖는 세 개 이상의 피니언 기어들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구동부(110)는 상기 피니언 기어들과 결합되는 다수의 랙 기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피니언 기어들 및 상기 랙 기어들의 수량은 상기 제1 단위 버퍼 트레이들(12a)의 수량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퍼 트레이(10)가 두 쌍의 단위 버퍼 트레이들(12)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구동부(110)는 하나의 피니언 기어와 두 개의 랙 기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축(124)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6)를 통해 연장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6)의 하부면 상에는 상기 제1 모터 유닛(122)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모터 유닛(122)과 상기 구동축(124)은 베벨 기어(126)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1 모터 유닛(122)은 상기 구동축(124)과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6) 상에는 상기 행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제1 및 제2 서포트들(102a, 102b)을 상기 행 방향, 즉 상기 버퍼 트레이(10)의 피치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6) 상에는 상기 행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들(130a, 130b)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서포트들(102a, 102b)은 제1 볼 블록들(132a) 및 제2 볼 블록들(132b)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들(130a, 130b)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1 및 제2 서포트들(102a, 102b)은 하나의 가이드 레일에 의해 상기 행 방향으로 안내될 수도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2 구동부(14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6)의 상부면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링크들(104a)의 단부들과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2 구동부(140)는 상기 제1 단위 버퍼 트레이들(12a) 및 상기 제2 단위 버퍼 트레이들(12b) 사이의 제2 피치(p2)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링크들(104a)에 구동력을 가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 단위 버퍼 트레이들(12a) 및 상기 제2 단위 버퍼 트레이들(12b) 사이에서 상대적인 운동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제1 링크들(104a)의 단부들은 상기 행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이드 부재에 의해 상기 행 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행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이드 바(142, bar)가 상기 버퍼 트레이(10)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 바(142)는 상기 행 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롯(144)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슬롯(144) 내에는 다수의 롤러들(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링크들(104a)의 단부 들은 상기 롤러들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바(142)의 양측 단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6) 상에서 상기 열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3 가이드 레일(146a)과 제4 가이드 레일(146b)에 제3 볼 블록(148a) 및 제4 볼 블록(148b)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구동부(140)는 상기 가이드 바(142)를 통해 상기 제1 링크들(104a)의 단부들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바(142)는 상기 제2 구동부(140)에 의해 상기 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1 링크들(104a)은 상기 제1 서포트들(102a)의 단부들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링크들(104b)은 상기 제1 링크들(104a)의 중앙 부위들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2 단위 버퍼 트레이들(12b)은 상기 제1 단위 버퍼 트레이들(12a)에 대하여 상기 행 방향, 즉 피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 바(142)의 이동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버퍼 트레이(10)의 제2 피치(p2)를 조절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1 피치(p1)를 조절한 후, 제2 피치(p2)가 조절되고 있다. 그러나, 상황에 따라서 제2 피치(p2)가 조절된 후, 제1 피치(p1)가 조절될 수도 있다.
상기와는 다르게, 상기 제1 링크들(142)의 단부들은 다수의 볼 블록들과 가이드 레일에 의해 상기 행 방향으로 안내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버퍼 트레이(10)에 인접하도록 제5 가이드 레일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5 가이드 레일에는 다수의 제5 볼 블록들이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링크들(142)의 단부들은 상기 제5 볼 블록들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구동부(14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6)의 상부면 상에서 상기 가이드 바(142)와 연결된다. 특히, 상기 제2 구동부(140)는 제2 모터 유닛(15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모터 유닛(150)은 볼 스크루(152) 및 볼 너트(154)를 통해 상기 가이드 바(142)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볼 스크루(152)는 상기 제2 모터 유닛(150)의 회전축과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볼 너트(154)는 상기 가이드 바(142)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볼 스크루(142)는 상기 볼 너트(154)를 통해 연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구동부(140)로서 다양한 직선 왕복 구동 유닛들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캠과 스프링을 이용한 직선 왕복 운동 장치,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 등이 제2 구동부(140)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 및 제2 구동부들(110, 140)의 동작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백래쉬에 의한 피치 조절의 정확도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단위 버퍼 트레이들(12a) 및 제2 단위 버퍼 트레이들(12b)은 다수의 스프링들을 이용하여 서로 구속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단위 버퍼 트레이들(12a)과 제2 단위 버퍼 트레이들(12b)은 제1 스프링들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퍼 트레이(10)의 중앙 지점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되는 제1 단위 버퍼 트레이들(12a)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스프링 및 제3 스프링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단위 버퍼 트레이들(12a) 사이의 제1 피치(p1)는 제1 구동부(110)에 의해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단위 버퍼 트레이들(12a) 및 제2 단위 버퍼 트레이들(12b) 사이의 제2 피치(p2)는 제2 구동부(140)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버퍼 트레이(10)의 피치는 테스트 트레이 또는 커스터머 트레이의 피치와 동일하게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반도체 장치들을 이송하기 위한 피커 시스템의 피치를 조절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테스트 트레이 또는 커스터머 트레이와 상기 버퍼 트레이 사이에서 반도체 장치들을 이송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크게 단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커 시스템의 중량을 가볍게 할 수 있으므로, 상기 테스터 핸들러의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피커 시스템의 피커 수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버퍼 트레이의 피치 조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버퍼 트레이의 피치 조절 장치(200)는 반도체 장치들을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핸들러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버퍼 트레이는 여러 쌍의 단위 버퍼 트레이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단위 버퍼 트레이의 쌍들은 제1 단위 버퍼 트레이와 제2 단위 버퍼 트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버퍼 트레이는 다섯 개의 단위 버퍼 트레이의 쌍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위 버퍼 트레이의 쌍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기 설명된 바와 유사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 단위 버퍼 트레이들은 제1 서포트들(202a) 및 제2 서포트들(202b) 상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서포트들(202a, 202b)은 상 기 제1 및 제2 단위 버퍼 트레이들의 바로 밑에서 버퍼 트레이의 열 방향으로 각각 연장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포트들(202a)의 단부들에는 제1 링크들(204a)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서포트들(202b)의 단부들에는 제2 링크들(204b)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 링크들(204a)과 제2 링크들(204b)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피치 조절 장치(200)는 상기 단위 버퍼 트레이의 쌍들 사이의 제1 피치를 조절하기 위한 제1 구동부(210)와 상기 단위 버퍼 트레이의 쌍들 내에서 제1 및 제2 단위 버퍼 트레이들 사이의 제2 피치를 조절하기 위한 제2 구동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서포트들(202a, 202b)과 상기 제1 및 제2 링크들(204a, 204b) 및 상기 제1 및 제2 구동부들(210, 24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기 설명된 바와 유사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버퍼 트레이의 중앙 지점에 인접하는 중앙의 단위 버퍼 트레이의 쌍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면 상에 고정되며, 상기 중앙의 단위 버퍼 트레이의 쌍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되는 단위 버퍼 트레이의 쌍들은 제1 구동부와 연결된다. 즉, 상기 중앙의 제1 단위 버퍼 트레이와 연결된 제1 서포트(202c)는 베이스 플레이트(206)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앙의 제1 단위 버퍼 트레이가 베이스 플레이트(206)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경우, 상기 제1 구동부(210)는 양측의 나머지 제1 단위 버퍼 트레이들과 연결될 수 있으며, 중앙의 제2 단위 버퍼 트레이가 베이스 플레이트(206)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경우, 상기 제1 구동부(210)는 양측의 나머지 제2 단위 버퍼 트레이들과 연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 구동부(210)의 랙 기어들은 상기 중앙의 단위 버퍼 트레이의 쌍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되는 단위 버퍼 트레이의 쌍들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단위 버퍼 트레이의 쌍들 사이의 제1 피치를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구동부(210)의 제1 피니언 기어의 회전 속도와 제2 피니언 기어의 회전 속도 사이의 비는 상기 제1 단위 버퍼 트레이들 사이의 간격들이 서로 동일해질 수 있도록 1 : 2 정도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단위 버퍼 트레이의 쌍들 사이의 제1 피치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버퍼 트레이가 세 쌍의 단위 버퍼 트레이들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구동부는 하나의 피니언 기어와 두 개의 랙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버퍼 트레이의 피치 조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버퍼 트레이의 피치 조절 장치(300)는 반도체 장치들을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핸들러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버퍼 트레이는 여러 쌍의 단위 버퍼 트레이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단위 버퍼 트레이의 쌍들은 제1 단위 버퍼 트레이와 제2 단위 버퍼 트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버퍼 트레이는 세 개의 단위 버퍼 트레이의 쌍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위 버퍼 트레이의 쌍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기 설명된 바와 유사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 단위 버퍼 트레이들은 제1 서포트들(302a) 및 제2 서포트 들(302b) 상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서포트들(302a, 302b)은 상기 제1 및 제2 단위 버퍼 트레이들의 바로 밑에서 버퍼 트레이의 열 방향으로 각각 연장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포트들(302a)의 단부들에는 제1 링크들(304a)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서포트들(302b)의 단부들에는 제2 링크들(304b)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 링크들(304a)과 제2 링크들(304b)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피치 조절 장치(300)는 상기 단위 버퍼 트레이의 쌍들 사이의 제1 피치를 조절하기 위한 제1 구동부(310)와 상기 단위 버퍼 트레이의 쌍들 내에서 제1 및 제2 단위 버퍼 트레이들 사이의 제2 피치를 조절하기 위한 제2 구동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피니언 기어와 적어도 하나의 랙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구동부(310)는 두 개의 피니언 기어들과 두 개의 랙 기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서포트들(302a, 302b)과 상기 제1 및 제2 링크들(304a, 304b) 및 상기 제1 및 제2 구동부들(310, 340)에 대한 추가적인 상세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기 설명된 바와 유사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버퍼 트레이의 최외측 단위 버퍼 트레이의 쌍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면 상에 고정될 수 있으며, 나머지 단위 버퍼 트레이의 쌍들은 제1 구동부(31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최외측 제1 단위 버퍼 트레이와 연결된 최외측 제1 서포트(302c)가 베이스 플레이트(306)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경우, 상기 제1 구동부(310)는 나머지 제1 단위 버퍼 트레이들과 연결될 수 있다. 이와 다르 게, 최외측 제2 단위 버퍼 트레이가 베이스 플레이트(306)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경우, 상기 제1 구동부(310)는 나머지 제2 단위 버퍼 트레이들과 연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 구동부(310)의 랙 기어들은 상기 나머지 단위 버퍼 트레이의 쌍들을 피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단위 버퍼 트레이의 쌍들 사이의 제1 피치를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구동부(310)의 제1 피니언 기어의 회전 속도와 제2 피니언 기어의 회전 속도 사이의 비는 상기 제1 단위 버퍼 트레이들 사이의 간격들이 서로 동일해질 수 있도록 1 : 2 정도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단위 버퍼 트레이의 쌍들 사이의 제1 피치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버퍼 트레이가 두 쌍의 단위 버퍼 트레이들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구동부(310)는 하나의 피니언 기어와 하나의 랙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단위 버퍼 트레이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제2 및 제3 실시예들에 따르면, 각각의 단위 버퍼 트레이들(12a 또는 12b)은 일렬로 배치된 다수의 소켓들(14)을 갖는다. 그러나,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퍼 트레이(20)는 다수의 단위 버퍼 트레이들(22)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단위 버퍼 트레이들(22)은 다수의 열들로 배치된 다수의 소켓들(24a, 24b)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다수의 열들을 갖는 단위 버퍼 트레이들(22) 사이의 피치는 상기 제1, 제2 및 제3 실시예들에 따른 피치 조절 장치들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버퍼 트레이의 피치 조절 장치를 설명 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버퍼 트레이의 피치 조절 장치(400)는 반도체 장치들을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핸들러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버퍼 트레이는 다수의 단위 버퍼 트레이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단위 버퍼 트레이들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열로 배치되는 다수의 소켓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버퍼 트레이는 짝수개의 단위 버퍼 트레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버퍼 트레이는 네 개의 단위 버퍼 트레이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단위 버퍼 트레이는 열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1 소켓들과 상기 제1 소켓들과 평행하게 배열되는 제2 소켓들을 갖는다.
상기 피치 조절 장치(400)는 상기 단위 버퍼 트레이들과 연결되어 상기 단위 버퍼 트레이들 사이의 피치를 행 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한 구동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410)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 기어를 포함하는 기어 박스와 상기 출력 기어에 결합되는 다수의 랙 기어들 및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구동부(410)는 두 개의 피니언 기어들(412)과 네 개의 랙 기어들(414)을 이용하여 상기 버퍼 트레이의 피치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위 버퍼 트레이들과 상기 랙 기어들(414)은 베이스 플레이트(406) 상에 배치되는 서포트들(402)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410)는 상기 버퍼 트레이의 피치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버퍼 트레이의 중앙 지점을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되는 단위 버퍼 트레이들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부에 대한 추가적인 상세 설명은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기 설명된 제1 구동부와 유사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피치 조절 장치(410)는 상기 버퍼 트레이의 피치를 상기 테스트 핸들러의 테스트 트레이 또는 커스터머 트레이의 홀수열 피치와 동일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테스트 핸들러의 피커 시스템은 다수의 피커들을 이용하여 상기 테스트 트레이 또는 커스터머 트레이로부터 다수의 반도체 장치들을 픽업하고, 이어서 상기 버퍼 트레이의 상부로 이동한다. 먼저, 상기 피커 시스템은 상기 반도체 장치들 중에서 홀수열의 피커들에 파지된 반도체 장치들이 상기 버퍼 트레이의 제1 소켓들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정렬되며, 이어서 상기 홀수열의 반도체 장치들을 상기 제1 소켓들에 수납한다. 이어서, 상기 피커 시스템이 짝수열의 피커들에 파지된 반도체 장치들이 제2 소켓들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정렬된 후, 상기 짝수열의 반도체 장치들이 상기 제2 소켓들에 수납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버퍼 트레이의 피치 조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버퍼 트레이의 피치 조절 장치(500)는 반도체 장치들을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핸들러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버퍼 트레이는 다수의 단위 버퍼 트레이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단위 버퍼 트레이들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열로 배치되는 다수의 소켓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버퍼 트레이는 홀수개의 단위 버퍼 트레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퍼 트레이는 다섯 개의 단위 버퍼 트레이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단위 버퍼 트레이는 열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1 소켓들과 상기 제1 소켓들과 평행하게 배열되는 제2 소켓들을 갖는다.
상기 피치 조절 장치(500)는 상기 단위 버퍼 트레이들과 연결되어 상기 단위 버퍼 트레이들 사이의 피치를 행 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한 구동부(5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510)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 기어를 포함하는 기어 박스와 상기 출력 기어에 결합되는 다수의 랙 기어들 및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구동부(510)는 두 개의 피니언 기어들(512)과 네 개의 랙 기어들(514)을 이용하여 상기 버퍼 트레이의 피치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위 버퍼 트레이들과 상기 랙 기어들(514)은 베이스 플레이트(506) 상에 배치되는 서포트들(502)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510)는 상기 버퍼 트레이의 피치를 조절하기 위하여 중앙의 단위 버퍼 트레이를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되는 단위 버퍼 트레이들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부(510)에 대한 추가적인 상세 설명은 도 9를 참조하여 기 설명된 제1 구동부(210)와 유사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버퍼 트레이의 피치 조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버퍼 트레이의 피치 조절 장치(600)는 반도체 장치들을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핸들러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버퍼 트레이는 다수의 단위 버퍼 트레이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단위 버퍼 트레이들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열로 배치되는 다수의 소켓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퍼 트레이는 세 개 의 단위 버퍼 트레이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단위 버퍼 트레이는 열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1 소켓들과 상기 제1 소켓들과 평행하게 배열되는 제2 소켓들을 갖는다.
상기 피치 조절 장치(600)는 상기 단위 버퍼 트레이들과 연결되어 상기 단위 버퍼 트레이들 사이의 피치를 행 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한 구동부(6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610)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 기어를 포함하는 기어 박스와 상기 출력 기어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랙 기어 및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구동부(610)는 두 개의 피니언 기어들(612)과 두 개의 랙 기어들(614)을 이용하여 상기 버퍼 트레이의 피치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위 버퍼 트레이들과 상기 랙 기어들(614)은 베이스 플레이트(606) 상에 배치되는 서포트들(602)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610)는 최외측 단위 버퍼 트레이를 제외한 나머지 버퍼 트레이들을 피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버퍼 트레이의 피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610)에 대한 추가적인 상세 설명은 도 10을 참조하여 기 설명된 제1 구동부(310)와 유사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4, 제5 및 제6 실시예들에 따르면, 다수의 열들을 갖는 단위 버퍼 트레이들(도 11에서, 22)이 사용되고 있으나, 상기 제4, 제5 및 제6 실시예들에 따른 피치 조절 장치들을 이용하여 일렬로 배치된 소켓들을 갖는 단위 버퍼 트레이들(도 2에서, 12a 또는 12b) 사이의 피치를 조절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버퍼 트레이의 피치는 피니 언 기어와 랙 기어를 포함하는 제1 구동부 및 링크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제2 구동부에 의해 테스트 트레이 또는 커스터머 트레이의 피치와 동일하게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반도체 장치를 이송하는 동안 피커 시스템의 피치를 조절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반도체 장치의 이송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피커들의 피치를 조절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불필요하므로, 상기 피커 시스템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테스트 핸들러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버퍼 트레이의 피치 조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버퍼 트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 구동부의 기어박스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1 구동부의 기어박스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1 구동부의 제1 모터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버퍼 트레이의 피치 조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버퍼 트레이의 피치 조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버퍼 트레이의 피치 조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1은 단위 버퍼 트레이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버퍼 트레이의 피치 조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버퍼 트레이의 피치 조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버퍼 트레이의 피치 조절 장치를 설명 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버퍼 트레이 12a, 12b : 단위 버퍼 트레이
14 : 소켓 100 : 피치 조절 장치
102a, 102b : 서포트 104a, 104b : 링크
106 : 베이스 플레이트 110 : 제1 구동부
112 : 기어박스 114 : 피니언 기어
116 : 구동 기어 120 : 랙 기어
122 : 제1 모터 유닛 140 : 제2 구동부
142 : 가이드 바 150 : 제2 모터 유닛

Claims (26)

  1. 반도체 장치들을 테스트 트레이와 커스터머 트레이 사이에서 이송하는 도중에 상기 반도체 장치들을 임시 수납하기 위하여 각각 제1 단위 버퍼 트레이와 제2 단위 버퍼 트레이를 포함하는 다수의 단위 버퍼 트레이 쌍들로 이루어진 버퍼 트레이의 피치 조절 방법에 있어서,
    출력 기어의 회전에 의해 직선 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출력 기어와 결합되며 상기 단위 버퍼 트레이 쌍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랙 기어를 이용하여 상기 단위 버퍼 트레이 쌍들 사이의 제1 피치를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위 버퍼 트레이들에 연결된 제1 링크들과 상기 제2 단위 버퍼 트레이들과 상기 제1 링크들 사이를 연결하는 제2 링크들을 구동하여 상기 제1 단위 버퍼 트레이들과 제2 단위 버퍼 트레이들 사이에서 상대적인 운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단위 버퍼 트레이 쌍들 내에서 상기 제1 단위 버퍼 트레이들과 제2 단위 버퍼 트레이들 사이의 제2 피치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버퍼 트레이의 피치 조절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트레이의 중앙 지점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되는 단위 버퍼 트레이의 쌍들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피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퍼 트레이의 피치 조절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트레이의 중앙 지점에 인접하는 단위 버퍼 트레이의 쌍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되는 단위 버퍼 트레이의 쌍들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피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퍼 트레이의 피치 조절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최외측 단위 버퍼 트레이의 쌍을 기준으로 나머지 단위 버퍼 트레이의 쌍들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피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퍼 트레이의 피치 조절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위 버퍼 트레이들에 대하여 상기 제2 단위 버퍼 트레이들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2 피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퍼 트레이의 피치 조절 방법.
  6. 반도체 장치들을 테스트 트레이와 커스터머 트레이 사이에서 이송하는 도중에 상기 반도체 장치들을 임시 수납하기 위하여 각각 제1 단위 버퍼 트레이와 제2 단위 버퍼 트레이를 포함하는 다수의 단위 버퍼 트레이 쌍들로 이루어진 버퍼 트레이의 피치 조절 장치에 있어서,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유닛, 상기 모터 유닛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출력 기어를 포함하는 기어박스 및 상기 출력 기어에 결합되어 상기 출력 기어의 회전에 의해 직선 운동 가능하며 상기 단위 버퍼 트레이 쌍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랙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랙 기어의 직선 운동을 이용하여 상기 단위 버퍼 트레이 쌍들 사이의 제1 피치를 조절하는 제1 구동부;
    상기 제1 단위 버퍼 트레이들에 연결된 제1 링크들;
    상기 제2 단위 버퍼 트레이들과 상기 제1 링크들 사이를 연결하는 제2 링크들; 및
    상기 제1 링크들 또는 제2 링크들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링크들 또는 제2 링크들에 구동력을 가하여 상기 제1 단위 버퍼 트레이들 및 상기 제2 단위 버퍼 트레이들 사이에서 상대적인 운동을 발생시키며, 상기 상대적인 운동을 이용하여 상기 단위 버퍼 트레이 쌍들 내에서 상기 제1 단위 버퍼 트레이들과 제2 단위 버퍼 트레이들 사이의 제2 피치를 조절하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하는 버퍼 트레이의 피치 조절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부는 다수의 랙 기어들을 포함하며,
    상기 랙 기어들은 상기 버퍼 트레이의 중앙 지점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되는 단위 버퍼 트레이의 쌍들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력 기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퍼 트레이의 피치 조절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박스는,
    상기 모터 유닛의 구동축에 연결된 구동 기어;
    상기 구동축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 기어보다 작은 피치원을 갖고, 서로 마주하는 제1 랙 기어 및 제2 랙 기어와 결합된 제1 피니언 기어; 및
    상기 구동 기어와 결합되어 상기 구동 기어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구동 기어보다 작은 피치원을 갖고, 서로 마주하는 제3 랙 기어 및 제4 랙 기어와 결합된 제2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퍼 트레이의 피치 조절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구동부와 제2 구동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퍼 트레이의 피치 조절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랙 기어들 및 상기 기어 박스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 유닛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모터 유닛과 상기 기어 박스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퍼 트레이의 피치 조절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랙 기어들과 상기 여러 쌍의 단위 버퍼 트레이의 쌍들은 상기 버퍼 트레이의 피치 방향에 대하여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서포트들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퍼 트레이의 피치 조절 장치.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부는 다수의 랙 기어들을 포함하며,
    상기 랙 기어들은 상기 버퍼 트레이의 중앙 부위에 대응하는 단위 버퍼 트레이의 쌍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되는 단위 버퍼 트레이의 쌍들과 연결되며, 상기 양측에 배치되는 단위 버퍼 트레이의 쌍들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력 기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퍼 트레이의 피치 조절 장치.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부는 다수의 랙 기어들과 다수의 출력 기어들을 포함하며,
    상기 랙 기어들은 최외측 단위 버퍼 트레이의 쌍을 제외한 나머지 단위 버퍼 트레이의 쌍들에 연결되며, 상기 나머지 단위 버퍼 트레이의 쌍들을 상기 버퍼 트레이의 피치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출력 기어들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퍼 트레이의 피치 조절 장치.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트레이는 두 쌍의 단위 버퍼 트레이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구동부는 하나의 랙 기어와 하나의 출력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랙 기어는 상기 제1 피치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두 쌍의 단위 버퍼 트레이들 중 하나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퍼 트레이의 피치 조절 장치.
  15.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제1 단위 버퍼 트레이들 또는 제2 단위 버퍼 트레이들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퍼 트레이의 피치 조절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단위 버퍼 트레이들은 상기 버퍼 트레이 의 피치 방향에 대하여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서포트들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링크들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퍼 트레이의 피치 조절 장치.
  17. 삭제
  1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위 버퍼 트레이들 및 상기 제2 단위 버퍼 트레이들을 상기 버퍼 트레이의 피치 방향으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퍼 트레이의 피치 조절 장치.
  1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트레이의 피치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제2 구동부에 의해 상기 버퍼 트레이의 피치 방향에 대하여 수직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구동부 및 상기 제1 링크들 또는 제2 링크들 사이의 연결 부위들을 상기 버퍼 트레이의 피치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퍼 트레이의 피치 조절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의 양측 단부들과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 부재를 상기 버퍼 트레이의 피치 방향에 대하여 수직하는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제2 가이드 부재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퍼 트레이의 피치 조절 장치.
  21. 제6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1 및 제2 단위 버퍼 트레이들은 상기 버퍼 트레이의 피치 방향에 대하여 수직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반도체 장치들을 수납하기 위한 다수의 소켓들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단위 버퍼 트레이들은 상기 버퍼 트레이의 피치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퍼 트레이의 피치 조절 장치.
  22. 반도체 장치들을 테스트 트레이와 커스터머 트레이 사이에서 이송하는 도중에 상기 반도체 장치들을 임시 수납하기 위하여 다수의 단위 버퍼 트레이들로 이루어진 버퍼 트레이의 피치 조절 장치에 있어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유닛;
    상기 모터 유닛과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의 출력 기어를 포함하는 기어박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력 기어의 회전에 의해 직선 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력 기어에 결합되며 상기 단위 버퍼 트레이들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어 상기 직선 운동을 이용하여 상기 단위 버퍼 트레이들 사이의 피치를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랙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퍼 트레이의 피치 조절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각각의 단위 버퍼 트레이들은 상기 버퍼 트레이의 피치 방향에 대하여 수직하는 방향으로 다수의 열을 갖도록 배치되어 상기 반도체 장치들 을 수납하기 위한 다수의 소켓들을 가지며, 상기 단위 버퍼 트레이들은 상기 버퍼 트레이의 피치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퍼 트레이의 피치 조절 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트레이는 짝수개의 단위 버퍼 트레이들을 포함하며, 다수의 랙 기어들이 상기 버퍼 트레이의 중앙 지점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되는 단위 버퍼 트레이들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력 기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퍼 트레이의 피치 조절 장치.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트레이는 홀수개의 단위 버퍼 트레이들을 포함하며, 다수의 랙 기어들이 중앙의 단위 버퍼 트레이를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되는 단위 버퍼 트레이들과 연결되며, 상기 양측에 배치되는 단위 버퍼 트레이들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력 기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퍼 트레이의 피치 조절 장치.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랙 기어는 최외측 단위 버퍼 트레이를 제외한 나머지 단위 버퍼 트레이에 연결되며, 상기 나머지 단위 버퍼 트레이가 상기 버퍼 트레이의 피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력 기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퍼 트레이의 피치 조절 장치.
KR1020070084341A 2007-08-22 2007-08-22 테스트 핸들러의 버퍼 트레이 피치를 조절하는 방법 및장치 KR100901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4341A KR100901395B1 (ko) 2007-08-22 2007-08-22 테스트 핸들러의 버퍼 트레이 피치를 조절하는 방법 및장치
JP2007248685A JP2009049347A (ja) 2007-08-22 2007-09-26 テストハンドラーのバッファトレイピッチを調節する方法及び装置
US11/869,161 US20090050448A1 (en) 2007-08-22 2007-10-09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pitch of buffer tray in test handler having rack and pinion means
TW096138250A TW200910499A (en) 2007-08-22 2007-10-12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pitch of buffer tray in test handler
CNA200710181331XA CN101373727A (zh) 2007-08-22 2007-10-18 测试分选机中缓冲盘间距的调节方法及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4341A KR100901395B1 (ko) 2007-08-22 2007-08-22 테스트 핸들러의 버퍼 트레이 피치를 조절하는 방법 및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9990A KR20090019990A (ko) 2009-02-26
KR100901395B1 true KR100901395B1 (ko) 2009-06-05

Family

ID=40381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4341A KR100901395B1 (ko) 2007-08-22 2007-08-22 테스트 핸들러의 버퍼 트레이 피치를 조절하는 방법 및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90050448A1 (ko)
JP (1) JP2009049347A (ko)
KR (1) KR100901395B1 (ko)
CN (1) CN101373727A (ko)
TW (1) TW20091049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383B1 (ko) 2011-10-21 2013-03-19 제엠제코(주) 반도체 패키지의 클립 부착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패키지 제조방법
WO2017146326A1 (ko) * 2016-02-24 2017-08-31 제엠제코(주) 반도체 패키지의 클립 부착 방법 및 이를 위한 다중 클립 부착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10146709A1 (ja) * 2009-06-19 2012-11-29 株式会社アドバンテスト 電子部品移載装置及び電子部品の移載方法
EP2853357B2 (en) 2011-03-16 2023-01-25 Cama1 S.p.A. Machine and method for cartoning articles
CN102765600A (zh) * 2011-05-03 2012-11-07 致茂电子(苏州)有限公司 间距可调的半导体元件移载装置及具有该装置的检测机台
KR101990973B1 (ko) * 2012-07-30 2019-06-19 삼성전자 주식회사 테스트 핸들러의 트랜스퍼 유닛 및 그 작동방법
KR101713031B1 (ko) * 2012-09-24 2017-03-07 (주)테크윙 테스트핸들러용 픽앤플레이스장치
KR101942062B1 (ko) * 2012-11-21 2019-01-24 (주)테크윙 테스트핸들러용 픽앤플레이스장치
US9356188B2 (en) 2013-09-06 2016-05-31 Veeco Instruments, Inc. Tensile separation of a semiconducting stack
KR102122342B1 (ko) * 2017-08-31 2020-06-12 (주)플렉스컴 웨이퍼 받침대와 이를 이용한 웨이퍼 전사 장치 및 방법
CN113458600B (zh) * 2021-06-30 2023-01-24 厦门锋元机器人有限公司 新能源汽车锂电池加工用激光焊接工艺
CN114955541B (zh) * 2022-06-30 2024-04-09 歌尔科技有限公司 电池测试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7905A (ko) * 2006-01-25 2007-07-30 (주)테크윙 테스트핸들러 및 테스트핸들러의 로딩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38140A (en) * 1965-08-16 1967-08-29 John M Sheesley Actuator
JP2889657B2 (ja) * 1990-05-28 1999-05-10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板状体搬送装置
US5273244A (en) * 1990-10-31 1993-12-28 Tokyo Electron Sagami Limited Plate-like member conveying apparatus
US5325888A (en) * 1993-04-30 1994-07-05 Stary Gary M Pipeline valve transmission apparatus
US6752581B1 (en) * 1994-06-10 2004-06-22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Apparatus for removing and transporting articles from molds
JPH09260463A (ja) * 1996-03-19 1997-10-03 Fujitsu Ltd 板体配列ピッチ変換装置
KR100248704B1 (ko) * 1997-11-08 2000-03-15 정문술 반도체 소자검사기의 소자 간격조절장치
JP2000025949A (ja) * 1998-07-09 2000-01-25 Kokusai Electric Co Ltd 基板移載機
US6439631B1 (en) * 2000-03-03 2002-08-27 Micron Technology, Inc. Variable-pitch pick and place device
KR100498496B1 (ko) * 2003-05-07 2005-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자투리 반도체 소자의 검사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7905A (ko) * 2006-01-25 2007-07-30 (주)테크윙 테스트핸들러 및 테스트핸들러의 로딩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383B1 (ko) 2011-10-21 2013-03-19 제엠제코(주) 반도체 패키지의 클립 부착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패키지 제조방법
WO2017146326A1 (ko) * 2016-02-24 2017-08-31 제엠제코(주) 반도체 패키지의 클립 부착 방법 및 이를 위한 다중 클립 부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910499A (en) 2009-03-01
US20090050448A1 (en) 2009-02-26
KR20090019990A (ko) 2009-02-26
JP2009049347A (ja) 2009-03-05
CN101373727A (zh) 200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1395B1 (ko) 테스트 핸들러의 버퍼 트레이 피치를 조절하는 방법 및장치
KR100923252B1 (ko) 테스트 핸들러에서 반도체 장치들을 이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648919B1 (ko) 픽앤플레이스 장치
KR100957562B1 (ko) 버퍼 트레이의 피치 조절 장치 및 버퍼 트레이를 이용하여반도체 장치들을 이송하는 장치
KR100622415B1 (ko) 반도체 소자 테스트 핸들러의 소자 반송장치
US6352402B1 (en) Apparatus for adjusting pitch of picker
KR101304274B1 (ko) 테스트 핸들러의 픽앤플레이스장치
KR101830983B1 (ko) 반도체 소자들을 픽업하기 위한 장치
KR101227722B1 (ko) 반도체 소자들을 픽업하기 위한 장치
KR101012137B1 (ko) 이송툴
KR101069742B1 (ko) 픽 앤 플레이스장치
KR100976401B1 (ko) 반도체 소자 이송장치
KR20130042945A (ko) 소자검사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소자가압장치
KR100946336B1 (ko) 테스트 핸들러의 피커 시스템
KR101031339B1 (ko) 테스트 핸들러의 피커 장치
KR20090010248U (ko) 반도체 이송용 쏘팅픽커
CN101652850B (zh) 用于传输半导体设备的工具
KR102302518B1 (ko) 피치 가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픽업장치
KR20120105217A (ko) 반도체 소자들을 픽업하기 위한 장치
KR100567797B1 (ko) 핸들러용 픽커의 간격 조절장치
KR20090122611A (ko) 반도체 소자 이송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20110004868U (ko) 테스트 핸들러의 피커 시스템
KR20100001395A (ko) 자재 이송용 쏘팅픽커
KR20080104746A (ko) 테스트사이트 위치정렬장치
KR20110108204A (ko) 테스트핸들러용 로딩장치 및 테스트핸들러의 반도체소자 로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11